KR101827118B1 - 회로차단기 - Google Patents

회로차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7118B1
KR101827118B1 KR1020160062579A KR20160062579A KR101827118B1 KR 101827118 B1 KR101827118 B1 KR 101827118B1 KR 1020160062579 A KR1020160062579 A KR 1020160062579A KR 20160062579 A KR20160062579 A KR 20160062579A KR 101827118 B1 KR101827118 B1 KR 1018271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terminals
contact
contactor
circuit brea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25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31868A (ko
Inventor
김일현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625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7118B1/ko
Priority to EP17170853.0A priority patent/EP3249671B1/en
Priority to ES17170853T priority patent/ES2791497T3/es
Priority to CN201710357449.7A priority patent/CN107424851A/zh
Priority to US15/601,023 priority patent/US10079130B2/en
Publication of KR201701318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18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71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71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02Housings; Casings; Bases; Mountings
    • H01H71/0264Mountings or coverplates for complete assembled circuit breakers, e.g. snap mounting in pane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60Switches wherein the 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arc do not include separate means for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 H01H33/66Vacuum switches
    • H01H33/6606Terminal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00Contacts
    • H01H1/50Means f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preventing vibration of contacts, holding contacts together after engagement, or biasing contacts to the open posi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00Contacts
    • H01H1/58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contacts;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08Terminals;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50Manual reset mechanisms which may be also used for manual release
    • H01H71/52Manual reset mechanisms which may be also used for manual release actuated by lever
    • H01H71/522Manual reset mechanisms which may be also used for manual release actuated by lever comprising a cradle-mechanism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1/00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 H02B11/02Details
    • H02B11/04Isolating-contacts, e.g. mountings or shield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1/00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 H02B11/12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with isolation by horizontal withdrawal
    • H02B11/127Withdrawal mechanis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20Interlocking, locking, or latching mechanisms
    • H01H9/24Interlocking, locking, or latching mechanisms for interlocking two or more parts of the mechanism for operating contac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1/00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 H02B11/12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with isolation by horizontal withdrawal
    • H02B11/127Withdrawal mechanism
    • H02B11/133Withdrawal mechanism with interlock

Abstract

본 발명은 회로차단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단자를 구비하는 크래들과, 크래들에 연결되며, 복수의 단자와 접속되어 통전되는 복수의 터미널을 구비하는 차단기 본체를 포함하고, 복수의 터미널 각각은, 차단기 본체로부터 연결되어 복수의 단자 각각을 향해 돌출되는 터미널 몸체의 상, 하부에 결합되며, 복수의 단자의 두께에 비해 넓은 간격을 두고 서로 나란하게 대면 배치되는 접촉자와, 접촉자의 대면 방향으로 라운드지게 돌출되며, 복수의 단자와의 접속 시 접속된 단자의 양면을 가압하여 접촉하는 접촉돌기를 포함하는 회로차단기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회로차단기{CIRCUIT BREAKER}
본 발명은 회로차단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회로차단기의 배열 구조에 무관하게 차단기 본체의 터미널과 크래들의 단자 사이의 원활한 접속이 가능해지며, 일정한 접촉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회로차단기에 관한 것이다.
회로차단기는 규정 이상의 전류가 회로에 흘렀을 때 전류를 멈추게 해서 회로를 보호하는 장치로서 회로의 정상부하 개폐 및 사고전류 차단을 위해 사용된다.
예를 들어, 이러한 회로차단기는 발전소 및 변전소 등의 운전이나 제어, 전동기의 운전 등을 위해 차단기를 포함한 여러 전기기기를 넣어 관리하는 배전반에서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차단기 본체를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차단기 본체(1)는 복수의 터미널(10: 10a, 10b)를 구비한다. 이때, 복수의 터미널 중에서 상부의 터미널(10a)은 모선 터미널을 의미하며, 하부의 터미널(10b)은 부하 터미널을 의미한다.
한편, 도 2는 차단기 본체가 연결되는 크래들을 간략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전술한 차단기 본체(1, 도 1 참조)가 연결되는 크래들(3)로서, 상기 크래들(3)에는 복수의 단자(20: 20a, 20b)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부의 단자(20a)는 모선 단자를 의미하며, 하부의 단자(20b)는 부하 단자를 의미한다. 이와 같이 복수의 단자(20: 20a, 20b)에는 복수의 터미널(10: 10a, 10b, 도 1 참조)이 접속된다.
그리고 회로차단기는 복수의 터미널(10: 10a, 10b)을 갖는 차단기 본체(1)와 복수의 단자(20: 20a, 20b)를 갖는 크래들(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3과 도 4는 차단기 본체가 크래들에 연결되는 전, 후 결합관계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차단기 본체(1)가 크래들(3)에 연결되지 이전의 모습으로서, 위치가 고정된 크래들(3)을 향해 차단기 본체(1)가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크래들(3)에 구비된 모선 단자(20a)의 위치는 차단기 본체(1)의 모선 터미널(10a)의 위치와 동일하게 형성되며, 크래들(3)에 구비된 부하 단자(20b)의 위치는 차단기 본체(1)의 부하 터미널(10b)의 위치와 동일하게 형성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차단기 본체(1)가 인입방향(W)을 향해 이동하여 크래들(3)에 연결된 모습을 보여주는데, 크래들(3)에 구비된 복수의 단자(20: 20a, 20b)에 대해 차단기 본체(1)에 구비된 복수의 터미널(10: 10a, 10b)이 접속된 상태를 보여준다.
도 5는 종래의 터미널의 세부 구성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종래의 터미널(10)(모선 터미널(10a), 부하 터미널(10b)를 포함)은 터미널 몸체(11)와, 터미널 몸체(11)의 상, 하부에 결합되며 단자(즉, 도 4의 20a, 20b 중 어느 하나)와 접속 가능하게 형성되는 접촉자(13)를 포함하여 구성되었다.
특히, 접촉자(13)를 고정시키도록 핀 고정부재(17)가 터미널 몸체(11) 및 접촉자(13)를 동시에 관통하여 체결되며, 일 측(예: 상 측)의 접촉자(13)와 핀 고정부재(17)의 머리 사이에는 접압스프링(15)이 설치되어 소정의 탄성력을 부여한다.
도 6은 종래의 터미널이 단자 쪽으로 연결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 6의 (a)를 참조하면, 차단기 본체의 터미널(10)이 크래들의 단자(20) 쪽으로 이동한다. 여기서 터미널(10)은 모선 터미널(10a) 및 부하 터미널(10b)을 포함하며, 단자(20)는 모선 단자(20a) 및 부하 단자(20b)를 포함한다.
그런데, 종래의 접촉자(13)의 선단 부위에는 곡면형상부(14)이 마련되어 있는데, 단자(20)의 삽입부(21)는 상기 곡면형상부(14)을 통해 접촉자(13) 사이의 벌어진 간격으로 원활하게 삽입된다. 즉, 접촉자(13) 사이로 단자(20)의 삽입 시 간섭 및 충격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도 6의 (b) 및 (c)를 참조하면, 접촉자(13)의 곡면형상부(14)을 통해 단자(20)의 삽입부(21)가 설정 길이만큼 삽입되는데, 이후 상기 곡면형상부(14)는 삽입된 단자(20)의 양면을 가압하여 서로 간의 접촉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시킨다. 그리고 이를 가능하게 해주기 위해 접촉자(13)의 곡면형상부(14) 사이의 간격은 단자(20)의 두께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다.
그런데, 도 6에서와 같이 차단기 본체의 터미널(10)과 크래들의 단자(20)가 서로 마주하여 연결되는 형태를 회로차단기의 횡 방향 배열이라 하는데, 이와 다른 방식으로 종 방향 배열 형태가 있다.
도 7은 회로차단기의 종 방향 배열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차단기 본체(1)에는 복수의 터미널(10)이 서로 동일 간격을 두고 일직선 상으로 배치되고, 각 터미널(10)의 전방에는 이에 연결된 단자(20)가 배치된다.
이로써, 차단기 본체(1)가 인입방향(W)을 향해 이동하게 되면, 각 터미널(10)로 각 단자(20)가 연결되는 배열 형태를 보여준다.
그런데, 도 8의 확대된 부분을 참조하면 종래의 접촉자(13)의 곡면형상부(14)의 구조에 의하면 단자(20)가 곡면형상부(14)의 측면을 통과하지 못하고, 일정 영역(P)에서 곡면형상부(14)와 단자(20) 간의 충돌 문제가 발생한다.
다시 말해, 종래의 접촉자(13)의 곡면형상부(14) 사이의 간격(c, 도 9 참조)은 단자(20)의 두께(t, 도 8 참조)에 비해 좁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회로차단기의 횡 방향 배열의 경우 곡면형상부(14)의 특유의 형상을 이용하여 단자의 삽입이 용이해질 수 있다.
하지만, 도 8에서와 같이 단자(20)는 스스로의 두께(t)보다 좁은 간격(c, 도 9 참조)을 갖는 곡면형상부(14)를 통해 끼워질 수 없기 때문에 회로차단기의 종 방향 배열의 경우 터미널(10) 및 단자(20) 간의 접속이 어려워지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09040호가 있으며, 상기 선행문헌에는 회로차단기에 관한 내용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회로차단기의 배열 구조에 무관하게 차단기 본체의 터미널과 크래들의 단자 사이의 원활한 접속이 가능해지며, 일정한 접촉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회로차단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여기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단자를 구비하는 크래들; 및 상기 크래들에 연결되며, 상기 복수의 단자와 접속되어 통전되는 복수의 터미널을 구비하는 차단기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터미널 각각은, 상기 차단기 본체로부터 연결되어 상기 복수의 단자 각각을 향해 돌출되는 터미널 몸체의 상, 하부에 결합되며, 서로 나란하게 대면 배치되는 접촉자; 및 상기 접촉자의 대면 방향으로 라운드지게 돌출되며, 상기 복수의 단자와의 접속 시 상기 접속된 단자의 양면을 가압하여 접촉되는 접촉돌기;를 포함하는 회로차단기가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접촉돌기는 상기 접촉자마다 다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촉돌기는, 상기 접촉자의 선단에 근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촉돌기는, 반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촉돌기의 높이는 상기 접촉자의 후단으로 갈수록 더 높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촉돌기는, 반구 형상을 가지되, 상기 접속된 단자의 삽입을 제한하도록 상기 접촉자의 후단으로 갈수록 더 돌출된 경사면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촉돌기는, 상기 접촉자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된 라운드 형상, 상기 접촉자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된 라운드 형상, 상기 접촉자의 길이 및 폭 방향을 따라 각각 연장된 라운드 형상 중 하나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회로차단기의 배열 구조, 예를 들면 종 방향 배열이든 횡 방향 배열이든 어떠한 배열 형태이더라도 차단기 본체의 터미널과 크래들의 단자 사이의 원활한 접속이 가능해 질 수 있다.
나아가, 차단기 본체의 터미널과 크래들의 단자 간의 접속 시 서로 간의 충돌을 방지하여 부품의 파손을 억제하고 장치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더 나아가, 차단기 본체의 터미널과 크래들의 단자 간의 접속 후 일정한 접촉상태를 항시 유지할 수 있어 동작 신뢰성 및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차단기 본체를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차단기 본체가 연결되는 크래들을 간략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 3과 도 4는 차단기 본체가 크래들에 연결되는 전, 후 결합관계를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 5는 종래의 터미널의 세부 구성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종래의 터미널이 단자에 연결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 7과 도 8은 회로차단기의 종 방향 배열 모습을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 9는 종래의 접촉자의 곡면형상부 간격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로차단기의 터미널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촉자와 접촉돌기를 부분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로차단기의 터미널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3은 회로차단기의 횡 방향 배열 구조에 따른 터미널과 단자 간의 연결 전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회로차단기의 횡 방향 배열 구조에 따른 터미널과 단자 간의 연결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들이다.
도 15는 회로차단기의 종 방향 배열 구조에 따른 터미널과 단자 간의 연결 전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6은 회로차단기의 종 방향 배열 구조에 따른 터미널과 단자 간의 연결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들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접촉돌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접촉돌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접촉돌기의 제1 변형예를 나타낸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접촉돌기의 제2 변형예를 나타낸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접촉돌기의 제3 변형예를 나타낸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회로차단기는 규정 이상의 전류가 회로에 흘렀을 때 전류를 멈추게 해서 회로를 보호하는 장치로서 회로의 정상부하 개폐 및 사고전류 차단을 위해 사용된다. 예를 들어, 이러한 회로차단기는 발전소 및 변전소 등의 운전이나 제어, 전동기의 운전 등을 위해 차단기를 포함한 여러 전기기기를 넣어 관리하는 배전반에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회로차단기는 복수의 단자(20: 20a, 20b, 도 2 참조)를 갖는 크래들(3, 도 2 참조)과, 상기 복수의 단자들에 연결되는 복수의 터미널(10: 10a, 10b, 도 1 참조)을 갖는 차단기 본체(1, 도 1 참조)를 포함한다.
이때, 복수의 터미널은 각각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접촉자(110)와, 접촉돌기(120)가 포함될 수 있다.
차단기 본체(1, 도 1 참조)는 복수의 터미널(10: 10a, 10b, 도 1 참조)을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한 예로서, 도 1을 참조하면, 상부의 터미널(10a)은 모선 터미널일 수 있으며, 하부의 터미널(10b)은 부하 터미널일 수 있다.
크래들(3, 도 2 참조)은 차단기 본체(1, 도 1 참조)가 연결되는데, 이러한 크래들(3)에는 복수의 터미널(10: 10a, 10b, 도 1 참조)에 대응하여 복수의 단자(20: 20a, 20b, 도 2 참조)가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한 예로서, 도 2를 참조하면 상부의 단자(20a, 도 2 참조)는 모선 터미널과 접속되는 모선 단자일 수 있으며, 하부의 단자(20b, 도 2 참조)는 부하 터미널과 접속되는 부하 단자일 수 있다.
이와 같이 크래들(2, 도 2참조)에 구비된 복수의 단자(20: 20a, 20b, 도 2 참조)는 차단기 본체(1, 도 1 참조)에 구비된 복수의 터미널(10: 10a, 10b, 도 1 참조)과 접속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미널은 도 10에 도시되어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도시된 터미널(10)은 터미널 몸체(11)를 갖는데, 긴 사각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접촉자(110)는 터미널 몸체(11)의 앞쪽 부위(즉, 선단이라 함)를 통해 터미널 몸체(11)의 상, 하부에 결합될 수 있는데, 전술한 복수의 단자 각각의 두께에 비해 넓은 간격을 두고 서로 나란하게 대면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접촉자(11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6개로 분할되되, 3개는 터미널 몸체(11)의 일면에 결합되고, 나머지3개는 터미널 몸체(11)의 타면에 결합된다. 여기서, 타면에 결합된 나머지 3개의 접촉자(110)는 일면에 결합된 3개의 접촉자(110)와 마주하여 나란하게 평행을 이루어 대면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접촉자(110)는 핀 고정부재(17)에 의해 터미널 몸체(11)에 고정되는데, 일면에 결합된 3개의 접촉자(110)와 핀 고정부재(17)의 머리 사이에는 접압스프링(15)이 설치되어 접촉자(110)에는 소정의 탄성력이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터미널 몸체(11)의 일면과 타면을 통해 결합되어 서로 마주보는 접촉자(110) 사이에는 일정한 크기의 간격(C1, 도 12 참조)이 형성될 수 있는데, 이를 제1 간격(C1, 도 12 참조)이라 한다.
이러한 제1 간격(C1, 도 12 참조)은 반드시 크래들의 단자(20, 도 13 참조)의 두께(t, 도 13 참조)에 비해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접촉돌기(12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자(110)의 대면 방향, 즉 터미널 몸체(11)의 일면과 타면을 통해 결합되는 서로 마주보는 접촉자(110) 사이로 라운드 형상으로 돌출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 11을 통해 확인할 수 있듯이 6개의 접촉자(110)마다 하나씩의 접촉돌기(120)가 돌출될 수 있다.
이러한 접촉돌기(120)는 접촉자(110) 사이의 제1 간격(C1, 도 12 참조)을 통해 진입한 크래들의 단자(20, 도 13 참조)의 양면을 가압하여 접촉을 유지시켜준다.
이를 위해, 접촉돌기(120) 사이에는 상기 단자(20)의 두께(t, 도 13 참조)에 비해 상대적으로 좁은 간격(이하, 제2 간격이라 함)(C2, 도 12 참조)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2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로차단기의 터미널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터미널 몸체(11)의 상, 하부에 서로 마주하여 결합된 접촉자(110)와, 접촉자(110)의 마주하는 방향, 즉 대면 방향으로 라운드지 돌출된 접촉돌기(120)의 단면 형상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접촉자(110) 사이에 형성된 제1 간격(C1)은 단자의 두께(t, 도 13 참조)에 비해 상대적으로 넓게 형성되고, 접촉돌기(120) 사이에 형성된 제2 간격(C2)은 단자의 두께(t, 도 13 참조)에 비해 상대적으로 좁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적 특징에 따라, 회로차단기의 배열구조에 관계없이 차단기 본체의 터미널과 크래들의 단자 사이의 원활한 접속이 가능해 질 수 있다.
도 13은 회로차단기의 횡 방향 배열 구조에 따른 터미널과 단자 간의 연결 전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회로차단기의 횡 방향 배열 구조에 따르는 터미널(10)과 단자(20) 간의 접속 전 모습으로서, 인입방향(W)으로 차단기 본체가 이동하면 터미널(10)은 단자(20)를 향해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서로 간의 접속이 가능해 진다.
도 14는 회로차단기의 횡 방향 배열 구조에 따른 터미널과 단자 간의 연결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들이다.
도 14의 (a)를 참조하면, 단자(20), 특히 단자의 삽입부(21)는 접촉자(110) 사이의 제1 간격(C1, 도 12 참조)를 원활하게 통과할 수 있다. 그리고 접촉자(110)의 대면 방향으로 돌출된 접촉돌기(120)에 도달하게 된다.
도 14의 (b)를 참조하면, 단자의 삽입부(21)는 라운드 형상을 갖는 접촉돌기(120)를 살짝 들어 올리면서 접촉돌기(120)에 접촉 고정될 수 있다. 이로써, 단자(20)와 터미널(10) 간의 접촉상태는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도 15는 회로차단기의 종 방향 배열 구조에 따른 터미널과 단자 간의 연결 전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회로차단기의 종 방향 배열 구조에 따르는 터미널(10)과 단자(20) 간의 접속 전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터미널(10)이 도시된 인입방향(W)으로 이동하면서 일 측에 놓인 단자(20)의 측면 방향을 지나 상호 간의 접속이 가능해 진다.
도 16은 회로차단기의 종 방향 배열 구조에 따른 터미널과 단자 간의 연결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들이다.
도 16의 (a)를 참조하면, 단자(20)는 스스로의 두께보다 넓게 형성된 접촉자(110) 사이의 제1 간격(C1, 도 12 참조)를 측면 방향으로도 원활하게 통과할 수 있는데, 어떠한 충돌이나 부딪힘은 발생되지 않는다. 그리고 접촉자(110)의 대면 방향으로 돌출된 접촉돌기(120)에 접촉하게 된다.
도 16의 (b)를 참조하면, 단자(20)는 라운드 형상을 갖는 접촉돌기(120)를 살짝 밀어 올리면서 접촉돌기(120)에 물려 접촉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에 따라 회로차단기의 종 방향 배열 구조에 따를 경우에도 단자(20)와 터미널(10) 간의 접속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접촉돌기(120)의 경우 가능하면 접촉자(110)의 선단에 근접하여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반드시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게다가 이러한 접촉돌기(120)의 경우 도시된 바로는 1개만 형성된 것으로 나타나 있는데, 이러한 개수에 한정되지 않으며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접촉돌기(120)는 도 11을 통해 살펴보았듯이 반구 형상을 가질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7 및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접촉돌기의 다른 실시예들을 나타낸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의 접촉자(110) 내에 다수 개(예: 2개 등)의 접촉돌기(120, 120')가 구비될 수 있다.
도 17의 (a)를 참조하면, 접촉자(110)의 길이 방향(즉, X축 방향)을 따라 2개의 접촉돌기(120, 120')가 일직선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각각의 접촉돌기(120, 120')의 단면 형상은 도 1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별도로 도시하진 않았으나, 다수 개의 접촉돌기(120, 120')가 접촉자(110)의 폭 방향(즉, Y축 방향)을 따라 나란히 구비될 수도 있다.
도 18을 참조하면,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접촉자(110) 내에 단일의 접촉돌기(120)가 구비되는데, 상기 접촉돌기(120)의 경우 안쪽, 즉 접촉자(110)의 후단으로 갈수록 높이(h2)가 바깥쪽의 높이(h1)에 비해 더 높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도 18의 (b)를 통해 확인할 수 있듯이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접촉돌기(120)는 반구 형상을 가지는데, 접촉자(110)의 사이로 접속되는 단자(20, 도 13 참조)의 삽입 거리를 제한하도록 접촉자(110)의 후단으로 갈수록 더 돌출되는 경사면을 가질 수 있다.
다시 말해, 반구 형상의 접촉돌기(120)의 경우 안쪽의 높이(h2)가 바깥쪽의 높이(h1)에 비해 높게 형성될 수 있으며, 소정의 경사각(e)을 갖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단자(20, 도 13 참조)의 삽입을 제한하는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접촉돌기(110)의 다양한 변형예들에 관하여 도 19 내지 도 21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접촉돌기의 제1 변형예를 나타낸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접촉자(110)의 선단 중앙 부위에 형성된 제1 변형예에 따른 접촉돌기(120-1)의 평면형상(a)과, 단면형상(b)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9의 (a)를 참조하면, 도시된 접촉돌기(120-1)는 전술한 반구형상이 아니라 접촉자(110)의 폭 방향(즉, Y축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된 라운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19의 (b)를 참조하면, 이와 같은 제1 변형예에 따른 접촉돌기(120-1)는 돔 형태로 볼록하게 돌출되어 X, Y축 방향 중 어느 방향으로 단자(20, 도 16 참조)가 접속되어도 단자와 터미널 간의 접촉상태를 더욱 견고하게 해줄 수 있다.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접촉돌기의 제2 변형예를 나타낸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접촉자(110)의 선단 중앙 부위에 형성된 제2 변형예에 따른 접촉돌기(120-2)의 평면형상(a)과, 단면형상(b)을 확인할 수 있다.
도 20의 (a)를 참조하면, 도시된 접촉돌기(120-2)는 제 1 변형예와 달리 접촉자(110)의 길이 방향(즉, X축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된 라운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20의 (b)를 참조하면, 이와 같은 제2 변형예에 따른 접촉돌기(120-2)는 돔 형태로 볼록하게 돌출되어 X, Y축 방향 중 어느 방향으로 단자(20, 도 16 참조)가 접속되어도 단자와 터미널 간의 접촉상태를 더욱 견고하게 해줄 수 있다.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접촉돌기의 제3 변형예를 나타낸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접촉자(110)의 선단 중앙 부위에 형성된 제3 변형예에 따른 접촉돌기(120-3)의 평면형상(a)과, 단면형상(b)을 확인할 수 있다.
도 21의 (a)를 참조하면, 도시된 접촉돌기(120-3)는 앞선 제 1, 2 변형예와 달리 접촉자(110)의 길이 및 폭 방향(즉, X, Y축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어 십(十)자 모양의 라운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21의 (b)를 참조하면, 이와 같은 제3 변형예에 따른 접촉돌기(120-3)는 돔 형태로 볼록하게 돌출되어 X, Y축 방향 중 어느 방향으로 단자(20, 도 16 참조)가 접속되어도 단자와 터미널 간의 접촉상태를 더욱 견고하게 해줄 수 있다.
한편, 이러한 도 19 내지 도 21를 통해 살펴본 다양한 접촉돌기의 형상 변경에 따라 단자와의 접촉면적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통전 성능이 일정 수준으로 확보되는 조건하에서 그 형상을 적절히 변경하여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회로차단기는, 회로차단기의 배열 구조, 예를 들면 회로차단기가 종 방향 배열이든 횡 방향 배열이든 어떠한 배열 구조를 가질 경우에도 차단기 본체의 터미널과 크래들의 단자 간의 접속이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회로차단기는, 차단기 본체의 터미널과 크래들의 단자 간의 접속 시 서로 간의 충돌을 방지하여 부품의 파손을 억제하고 장치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회로차단기는, 차단기 본체의 터미널과 크래들의 단자 간의 접속 후 일정한 접촉상태를 항시 유지할 수 있어 동작 신뢰성 및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인 회로차단기에 관하여 살펴보았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리고 전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및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W: 인입방향
1: 차단기 본체
3: 크래들
10(10a, 10b): 터미널
11: 터미널 몸체
15: 접압스프링
17: 핀 고정부재
20(20a, 20b): 단자
110: 접촉자
120, 120-1, 120-2, 120-3: 접촉돌기

Claims (7)

  1. 복수의 단자를 구비하는 크래들; 및
    상기 크래들에 연결되며, 상기 복수의 단자와 접속되어 통전되는 복수의 터미널을 구비하는 차단기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터미널 각각은,
    상기 차단기 본체로부터 연결되어 상기 복수의 단자 각각을 향해 돌출되는 터미널 몸체의 상, 하부에 소정의 탄성력을 갖도록 고정 결합되는 접촉자; 및
    상기 접촉자의 대면 방향으로 라운드지게 돌출되며, 상기 복수의 단자와의 접속 시 상기 접속된 단자의 양면을 가압하여 접촉을 유지시켜주는 접촉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접촉돌기는 상기 접촉자의 선단에 근접하여 배치되며, 상기 접촉자마다 다수 개가 구비되고,
    상기 접촉자는 상기 복수의 단자 각각의 두께에 비해 넓은 간격을 두고 서로 나란하게 대면 배치되며, 상기 접촉돌기는 상기 복수의 단자 각각의 두께에 비해 상대적으로 좁은 간격을 두고 돌출되어, 상기 크래들과 상기 차단기 본체는 횡 방향 배열구조 및 종 방향 배열구조에서 상기 복수의 터미널과 상기 복수의 단자 간의 충돌 없이 접속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차단기.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돌기는,
    반구 형상을 갖는 것 특징으로 하는 회로차단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돌기의 높이는 상기 접촉자의 후단으로 갈수록 더 높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차단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돌기는,
    반구 형상을 가지되, 상기 접속된 단자의 삽입을 제한하도록 상기 접촉자의 후단으로 갈수록 더 돌출된 경사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차단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돌기는,
    상기 접촉자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된 라운드 형상, 상기 접촉자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된 라운드 형상, 상기 접촉자의 길이 및 폭 방향을 따라 각각 연장된 라운드 형상 중 하나의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차단기.
KR1020160062579A 2016-05-23 2016-05-23 회로차단기 KR1018271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2579A KR101827118B1 (ko) 2016-05-23 2016-05-23 회로차단기
EP17170853.0A EP3249671B1 (en) 2016-05-23 2017-05-12 Circuit breaker
ES17170853T ES2791497T3 (es) 2016-05-23 2017-05-12 Interruptor de circuito
CN201710357449.7A CN107424851A (zh) 2016-05-23 2017-05-19 断路器
US15/601,023 US10079130B2 (en) 2016-05-23 2017-05-22 Circuit break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2579A KR101827118B1 (ko) 2016-05-23 2016-05-23 회로차단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1868A KR20170131868A (ko) 2017-12-01
KR101827118B1 true KR101827118B1 (ko) 2018-02-07

Family

ID=587074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2579A KR101827118B1 (ko) 2016-05-23 2016-05-23 회로차단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079130B2 (ko)
EP (1) EP3249671B1 (ko)
KR (1) KR101827118B1 (ko)
CN (1) CN107424851A (ko)
ES (1) ES2791497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2698B1 (ko) * 2017-02-21 2018-10-29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조작기를 갖는 차단기
CN211045800U (zh) * 2019-01-02 2020-07-17 上海量乘机电科技有限公司 电器装置及其联动的电连接组件
US10985487B2 (en) * 2019-07-15 2021-04-20 Abb Schweiz Ag Electrical connector between a bus and a circuit breaker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790182C3 (de) * 1968-09-25 1974-11-28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uenchen Begrenzt bewegliche elektrische Starkstromsteckverbindung
US4505531A (en) * 1983-08-29 1985-03-19 Miller Edwin A Socket terminal and connector
JPH06101358B2 (ja) * 1988-01-22 1994-12-12 アンプ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ヒンジコネクター
US5147230A (en) * 1991-12-19 1992-09-15 General Motors Corporation Two piece electrical female terminal
US5685726A (en) * 1992-07-17 1997-11-11 Berg Technology, Inc. Flat back card connector
JP2596910Y2 (ja) * 1993-11-30 1999-06-28 日本エー・エム・ピー株式会社 雌型コンタクト
GB9324762D0 (en) * 1993-12-02 1994-01-19 Amp Holland Low insertion force receptacle terminal
US6102754A (en) * 1997-03-31 2000-08-15 The Whitaker Corporation Bus bar contact
JP3494347B2 (ja) * 1998-03-06 2004-02-09 矢崎総業株式会社 端子のへたり防止構造
JP3473521B2 (ja) * 1999-10-08 2003-12-08 住友電装株式会社 雌端子金具
US6595810B1 (en) * 2001-11-07 2003-07-22 Pro Equipment, Llc Electrical connectors and connection system
US6595799B2 (en) * 2001-12-19 2003-07-22 Taiwan Gamma Electronic Inc. Structure of contact piece for cable television signals
JP2005183160A (ja) * 2003-12-19 2005-07-07 Jst Mfg Co Ltd 雌コンタクト
US7175488B2 (en) * 2005-04-04 2007-02-13 Lear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and system
KR100868567B1 (ko) 2005-06-30 2008-11-13 주식회사 히타치엘지 데이터 스토리지 코리아 터미널 및 이를 사용한 커넥터
JP2007141509A (ja) * 2005-11-15 2007-06-07 Sumitomo Wiring Syst Ltd 端子金具
JP4607749B2 (ja) * 2005-12-06 2011-01-0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雌型コネクタ端子及び雌型コネクタ
CN201219183Y (zh) * 2008-07-02 2009-04-08 厦门华电开关有限公司 大电流中压开关柜
US8323061B2 (en) * 2009-01-20 2012-12-04 Molex Incorporated Miniature receptacle terminals
KR101048992B1 (ko) * 2009-03-11 2011-07-12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회로 차단기의 접촉 장치
CN102439734B (zh) * 2009-05-20 2014-12-03 行田电线株式会社 连接端子、端子连接结构及端子盒
KR101106899B1 (ko) 2009-10-07 2012-01-25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포지션 스위치 및 이를 구비한 회로 차단기
DE102009050367A1 (de) 2009-10-22 2011-04-28 Phoenix Contact Gmbh & Co. Kg Federkraftanschlussklemme
KR20110074636A (ko) 2009-12-23 2011-07-01 주식회사 씨엔플러스 커넥터 장치
JP2012079505A (ja) * 2010-09-30 2012-04-19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コネクタ組立体
KR101426798B1 (ko) * 2011-12-26 2014-08-06 주식회사 만도 전기 접속 단자
EP2690637A1 (en) * 2012-07-23 2014-01-29 ABB Technology AG Connecting device
KR101309040B1 (ko) 2012-07-26 2013-09-17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회로차단기
JP6119524B2 (ja) * 2013-09-20 2017-04-26 住友電装株式会社 端子金具
US9196985B2 (en) 2014-01-09 2015-11-24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Configurable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KR20160062579A (ko) 2014-11-25 2016-06-02 삼성전자주식회사 패킷 기반 네트워크에서의 영상 통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US9336977B1 (en) 2015-04-03 2016-05-10 Eaton Corporation Electrical switching apparatus and secondary disconnect assembly with terminal retention and correction features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249671A2 (en) 2017-11-29
US10079130B2 (en) 2018-09-18
EP3249671B1 (en) 2020-03-04
CN107424851A (zh) 2017-12-01
EP3249671A3 (en) 2018-03-07
US20170338070A1 (en) 2017-11-23
ES2791497T3 (es) 2020-11-04
KR20170131868A (ko) 2017-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07268A (en) Electromagnetic relay
JP4242885B2 (ja) 差込みばねクランプ
KR101827118B1 (ko) 회로차단기
KR101985433B1 (ko) 릴레이
US8008999B2 (en) Electromagnetic relay
EP3540861B1 (en) Socket
US4837538A (en) Electromagnetic relay
CN109326909A (zh) 一种高密度大功率卡类连接端子以及连接器
US9449767B2 (en) Switch contact subassembly having a switch contact bridge and contact bridge retention member
US9741517B2 (en) Electromagnetic relay
JPH06295774A (ja) 短絡部材付きコネクタ
JP2010029011A (ja) 電気接続箱
US5903201A (en) Relay for high breaking capacities
KR20130143600A (ko) 접점 구조
CN100454459C (zh) 双极转换开关
US20220310341A1 (en) Auxiliary Contact System of Contactor
KR102362811B1 (ko) 전기 접속 커넥터
KR200482617Y1 (ko) 기판 조립체의 유동 방지 기능을 갖는 전자 접촉기
JP7115358B2 (ja) 電子モジュール
US10199190B2 (en) Active electrical component
CN218385091U (zh) 单框式低压框架断路器
EP4336538A1 (en) Electromagnet device and electromagnetic relay
KR20120019066A (ko) 릴레이 오조립 방지 구조
WO2023212919A1 (en) Disconnector and disconnector system
WO2020194704A1 (ja) 接続変換アダプタおよび電気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