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61590A - 가요성 리본 케이블용 클램프 커넥터 - Google Patents

가요성 리본 케이블용 클램프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61590A
KR20050061590A KR1020057007582A KR20057007582A KR20050061590A KR 20050061590 A KR20050061590 A KR 20050061590A KR 1020057007582 A KR1020057007582 A KR 1020057007582A KR 20057007582 A KR20057007582 A KR 20057007582A KR 20050061590 A KR20050061590 A KR 200500615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exible ribbon
base
clamp connector
ribbon cables
ribbon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75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토마스 베른하트 파브스트
Original Assignee
에프씨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프씨아이 filed Critical 에프씨아이
Publication of KR200500615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1590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9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61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두 개의 정렬된 가요성 리본 케이블(2, 3)을 위한 클램핑 커넥터(1)에 관한 것으로, 커넥터는 기부 몸체(4), 접속이 일어나도록 표면을 서로 가압하기 위한 스프링 요소(5), 그리고 카운터 몸체(6)를 포함한다. 기부 몸체(4)와 카운터 몸체(6)는 예비 잠금 위치와 최종 잠금 위치에서 상호 고정될 수 있다. 적어도 두 개의 가요성 리본 케이블 중 각각 벗겨진 부분 영역은 동일한 접속을 위해 서로에 대해 가압된다. 가요성 리본 케이블(2, 3)에 대향하는 카운터 몸체(6)와 기부 몸체의 단부에는 상보적인 만입부(7) 또는 돌출부(8)가 제공되며, 이런 수단에 의해 가요성 리본 케이블(2, 3)은 케이블 그립을 형성하도록 안내될 수 있다.

Description

가요성 리본 케이블용 클램프 커넥터{CLAMPING CONNECTOR FOR FLEXIBLE RIBBON CABLES}
본 발명은 청구의 범위 제1항의 전제부에 따르는 가요성 리본 케이블용 클램프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커넥터는 독일 공개 특허 공보 제100 06 112호에 공지되어 있다.
독일 공개 특허 공보 제198 32 011호에는, 가요성 리본 케이블이 접속되는 위치에서 스트립되고 케이블의 스트립된 전도체 트랙이 스프링 요소에 의해 상호 가압되는, 여러 개의 변형 클램프 커넥터가 설명되어 있다. 이들 클램프 커넥터는 케이블에 인가되는 스트레인에 대해 적절한 보호를 제공하지 못하거나 스트레인 완화부를 준비하는데 많은 비용이 요구되기 때문에 이런 클램프 커넥터를 핸들링함에 있어 개선의 여지가 필요하다. 조립 장소, 예를 들면 자동차 조립에 있어 중요한 것은 조립하는 동안 간단하고 견고한 핸들링이다. 이를 목적으로, 접속되는 가요성 리본 케이블의 단부에 조립되어야 하는 부품이 여러 개로 분리되어 구성되는 클램프 커넥터는 편리하지 않다.
독일 공개 특허 공보 제100 06 112호에는 두 개의 가요성 리본 케이블 각각의 스트립된 한 단부가, 전기적 접속이 접촉 스프링을 거쳐 두 개의 가요성 리본 케이블 사이에 생성되도록 각 접촉 스프링의 탄성적인 스프링 하중 자유단에 대해 가압되는 가요성 리본 케이블용 커넥터가 설명되어 있다. 이런 장치는 두 개의 가요성 리본 케이블의 전도체 트랙 사이에 전기적 접속을 생성하기 위해, 두 개의 각 접촉 위치가 요구된다는 점과 함께 두 개의 가요성 리본 케이블의 직접적인 접촉으로 인한 경우보다 산화, 오염물, 킹크 형성 등으로 인한 접촉 저항 증가의 높은 위험성이 제기된다는 결점이 있다.
본 발명은 케이블의 많은 준비 없이, 신속하게 실현될 수 있는 스트레인 완화부와 낮은 접촉 저항으로 우수한 전기적 접속이 생성될 수 있고, 조립하는 동안 핸들링이 단순화되는 방식으로 일반적인 클램프 커넥터를 개선하는 문제를 기초로 한다.
이런 문제는 청구의 범위에 따라 해결된다. 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의 특성을 특징으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클램프 커넥터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2는 도1에 따르는 클램프 커넥터의 기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3a 내지 도3c는 예비 잠금 위치와 최종 잠금 위치에 있는 도1에 따르는 클램프 커넥터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4는 그라운드 커넥터로서 공지된 스트레인 완화부를 갖춘 클램프 커넥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5a 내지 도5c는 그라운드 탭을 갖춘 본 발명의 클램프 커넥터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6은 Y 커넥터로서 본 발명의 커넥터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7a 내지 도7d는 예비 잠금 위치와 최종 잠금 위치에 있는 도6에 따르는 커넥터를 도시하는 사시도 및 내부 단면도이다.
도8은 차폐부를 갖춘 본 발명의 클램프 커넥터의 제4 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9a 내지 도9c는 예비 잠금 위치와 최종 잠금 위치에 있는 도8에 따르는 클램프 커넥터와 차폐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케이블이 "장애물"을 형성하는 완화부에 가압되는 방식으로 적어도 두 개의 부품 사이에 접속되는 가요성 리본 케이블의 단부를 클램핑하는 아이디어를 기초로 하며, 상기 완화부는 커넥터로부터 케이블을 분리하기 위해 높은 견인력이 요구되는 방식으로 케이블을 변형한다. 더욱이, 예비 잠금 위치는 간단히 조립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케이블 단부가 커넥터 부품에 서로 가압되고 이어서 소정의 위치에 고정되도록 예비-조립 커넥터의 스톱으로 삽입되기만 하면 되기 때문이다.
도1은 본 발명의 클램프 커넥터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커넥터(1)는 기부(4)와 정합부(6)를 가진다. 접속되는 가요성 리본 케이블(2, 3) 각각은 접속되는 도전성 트랙으로부터 절연부가 스트립된 영역을 케이블 단부에 가진다. 접속되는 가요성 리본 케이블(2, 3) 각각은 상이한 측부로부터 클램프 커넥터(1)로 삽입되고, 이런 작업 동안, 정합부(6)는 정합부가 기부(4)와 함께 가요성 리본 케이블(2, 3)을 삽입하기 위한 적절한 크기의 슬롯을 형성하는 예비 잠금 위치에 있고, 그 다음 기부와 정합부를 함께 가압하여 최종 잠금 위치를 이루며, 이에 따라 접속이 생성된다.
도2는 기부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기부(4)는 하부판(10)과 측벽(11a, 11b)을 포함하며, 기부에 잠금부가 부착되고, 기부와 함께 정합부(6)는 예비 잠금 위치에서 그리고 최종적으로 최종 잠금 위치에서 소정의 위치에 지지될 수 있다.
하부판(10)의 중간에는 네 개의 스트립형 스프링 요소(5)가 상호 평행하게 배열된다. 스트립형 스프링 요소는, 각각의 가요성 리본 케이블이 도전성 트랙의 레벨에서 다른 케이블을 가압하는 방식으로 상호 배열되고, 하부판(10)에 제공된 스트립형 스프링 요소를 위한 챔버에 코킹된다. 이런 방식에서, 스프링 요소의 스프링력이 가요성 리본 케이블의 종방향 연장에 대해 직각으로 작용할 수 있도록 스프링 요소(5)는 스프링 요소의 단부에서 나선 형상으로 굴곡된다.
도3a 내지 도3c는 길이방향으로 절개한 클램프 커넥터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3a는 가요성 리본 케이블(2, 3)이 삽입될 수 있는 예비 잠금 위치의 클램프 커넥터를 도시하고 있다. 도3a에서 가요성 리본 케이블(2, 3)의 종방향 연장에 대해 횡방향으로 배열된 두 개의 리브(8)가 기부(4)와 정합부(6)에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들은 가요성 리본 케이블(2, 3)의 삽입 작동시에 가요성 리본 케이블의 전면이 접할 때까지 스톱으로서 작용한다. 이런 방식으로, 두 개의 가요성 리본 케이블(2, 3)의 스트립된 영역이 정해진 방식으로 상호 상부 위에 위치하는 것이 보장된다.
도3b는 최종 잠금 위치에 있는 클램프 커넥터를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 리브(8)가 가요성 리본 케이블(2, 3)을 개방 슬롯으로서 구성된 만입부(7)로 각각 가압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런 방법으로, 가요성 리본 케이블의 종방향 연장에 대해 횡방향으로 연장하는 킹크(kink)가 가요성 리본 케이블에 형성되며, 이 때문에 잠금된 커넥터부(4) 또는 정합부(6)로부터 가요성 리본 케이블을 견인하는 것은 케이블 재료의 변형에 의해서만 가능하게 된다. 스프링 요소(5)들 중에 최외측 가장자리의 스프링 요소(5a)만이 도시되어 있고, 정합부(6)의 횡방향 리브(9)를 볼 수 있으며, 횡방향 리브의 측면 플랭크에는 가요성 리본 케이블(2, 3)의 중첩 단부가 위치한다. 이것은 나선형으로 비틀린 스프링 요소(5)의 단부가 가요성 리본 케이블 위의 넓은 표면 위에 스프링력을 가할 수 있기 때문에 도3c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면의 확대를 생성한다.
도4는, 예를 들면 독일 공개 특허 공보 제100 06 112호에 공지된 바와 같은 그라운드 커넥터로서 사용되는 클램프 커넥터가 도시되어 있다. 가요성 리본 케이블(2)의 전폭 위로 연장하는 접촉 스프링(12)은 기부(4)로부터 돌출한 접합부(12b; junction end)와 일체식으로 형성된다. 접촉 스프링(12)은 기부(4)에 주조된다. 스프링은 U형상으로 굴곡된 금속 박판처럼 형성되고, 스프링의 자유 레그(12a; free leg)는 가요성 리본 케이블(2)을 가압하여 절연부의 스트립된 도전성 트랙을 거쳐 접속 단부(12b)에 전기적 접촉을 생성한다. 접합 단부(12b)의 중앙에는 나사형 이어(12c)가 추가로 제공된다. 제1 실시예와 같은 플러그 커넥터는 횡방향 리브(8)와 정합 플러그(6)에 있는 대응 만입부(7)에 의해 형성된 스트레인 완화부를 가진다. 조립하는 동안, 가요성 리본 케이블(2)은 가요성 리본 케이블이 상단부(26)와 대향하여 위치하는 단부에 접할 때까지 정합부의 슬롯을 통해 정합부(6)로 삽입된다. 정합부(6)가 최종 잠금 위치, 즉 전술된 예시적인 실시예와 같이 정합부가 소정의 위치에 잠금되는 위치에서 기부(4) 위에 가압되면, 정합부는 이 위치로부터 더 이상 해제될 수 없다. 만일 원한다면 잠금은 적절한 도구 등을 통해 해제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상황에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도5a 내지 도5c는 본 발명의 클램프 커넥터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5a는 클램프 커넥터의 종단면도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전술한 실시예들과 비교하여, 클램프 커넥터는 기부의 상측부 및 하측부에 잠금될 수 있는 두 개의 정합부(6a, 6b)를 가진다. 기부(4)는 중앙에 개구(13)를 가지며, 개구를 통해 가요성 리본 케이블(2, 3)의 스트립된 도전성 트랙이 상호 접촉하게 된다. 이는 정합부(6a, 6b)에 각각 코킹된 스프링 요소(5)를 거쳐 실행된다. 스트레인 완화는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가요성 리본 케이블(2, 3)에 제공된 슬롯(15)으로 딥되는 랜스(14; lance)를 거쳐 실행된다. 두 개의 정합부(6a, 6b)에는 상단부(17)가 제공되며, 예비 잠금 위치에서 가요성 리본 케이블이 커넥터로 삽입되는 동안 케이블의 상부는 상단부에 접한다.
도5b는 잠금 위치에 있는 커넥터를 도시하고 있다. 도5c는 상부 스프링 요소가 측방향으로 돌출하는 스프링 접촉부로서 구성되는 것을 도시하고 있는데, 측방향 돌출부(16)는 그라운드 탭을 나타낸다. 이런 목적으로, 도5a에 도시된 상부 가요성 리본 케이블(3)의 도전성 트랙의 절연부는 양 측면이 스트립된다. 이런 방식으로, 접촉이 그라운드 탭(16)과 가요성 리본 케이블(2, 3)의 도전성 트랙 양 쪽 사이에서 생성되는 것이 보장된다.
도전성 트랙은 회로 기판의 제조에 사용되는 종래의 방법, 기상-증착, 또는 스퍼터링에 의해 생성된 도전성 트랙 또는 구리 합금으로 제조된 금속 스트립을 포함할 수 있다. 도5b 및 도5c는 잠금 위치에 있는 클램프 커넥터를 도시하고 있다.
도6은 가요성 리본 케이블(19)이 두 개의 다른 가요성 리본 케이블(2, 3)에 접속되는, 본 발명의 클램프 커넥터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본 실시예는 실질적으로 기부(4)의 중간 높이에 슬롯(18)이 제공되고, 이를 통해 가요성 리본 케이블의 상부가 기부(4)의 중앙 개구(13)를 가로질러 최종적으로 개구(13)의 가장자리에서 대향하며 위치하는 수용 홈(20)의 상단부에 도달할 때까지 가요성 리본 케이블(19)이 삽입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5의 실시예와 상당 부분이 유사하다. 케이블(2, 3)과 같은 케이블(19)은 도5와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스트레인 완화부(14, 15)에 의해 고정된다.
도7a 내지 도7d는 예비 잠금 위치와 최종 위치에 있는 도6에 따르는 클램프 커넥터의 사시도 및 종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7a는 예비 잠금 위치이며, 이 위치에 있는 동안 가요성 리본 케이블(2, 3, 19)이 커넥터로 삽입될 수 있다는 알 수 있다. 이런 작업에서, 도5와 관련하여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모든 케이블은 스톱으로 활주한다. 도7c는 선행하는 예시적인 실시예들과 마찬가지로 해제 불가능하도록 설계된 최종 위치에 있는 커넥터를 도시하고 있다. 도7d는 스프링 요소가 서로에 대해 한 위치에서 어떻게 세 개의 모든 가요성 리본 케이블(2, 3, 19)을 가압하는가를 도시하고 있다. 이를 위해, 도전성 트랙 절연부의 스트립핑이 필요에 따라 중간에 있는 가요성 리본 케이블(19)의 상부에서 단지 상측부, 하측부, 또는 양 측부에서 수행된다.
도8 및 도9a 내지 도9c는 접속되는 가요성 리본 케이블(2, 3) 사이에 접촉 영역의 차폐부가 제공되는, 본 발명의 클램프 커넥터의 제4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를 목적으로, 스프링 요소(5)는 도5에 따른 예시적인 실시예와 같이 기부판(22)의 형상으로 구성되고, 스프링(5)은 기부판으로부터 이격되어 연장한다. 기부판(22)은, 양 정합부(6a, 6b)에 있는 두 차폐부의 굴곡 단부가 상호 대향하며 위치하여 이들 사이에 있는 각각의 가요성 리본 케이블을 클램핑하는 방식으로 가요성 리본 케이블(2, 3)을 향하여 이의 전단부와 배면 단부가 역 굴곡된다. 기부판(22)의 단부는 기부(4)의 슬롯(23)을 통하여 안내된다. 양호하게는, 기부판(22)의 단부가 탄성 스프링 암(24)으로 구성된다. 그외에 이에 제공된 가요성 리본 케이블(2, 3)의 상부에 대한 상단부는 기부(4)에 형성된다. 상단부(25)는 횡방향 슬롯(23)의 전면에 위치하며, 이를 통해 기부의 탄성 스프링 암(24)이 통과하게 된다.
도9a 내지 도9c는 차폐부를 제외하고 도5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상이하지 않은 예비 잠금 위치와 최종 잠금 위치에 있는 클램프 커넥터와 차폐 케이지 자체가 도시되어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청구의 범위에 정해진 본 발명의 실례로서 단지 제공되며, 이것에 관하여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 것이다.

Claims (15)

  1. 기부(4), 접촉되는 표면을 서로 가압하기 위한 스프링 요소(5), 그리고 정합부(6)를 포함하며, 기부(4)와 정합부(6)가 예비 잠금 위치와 최종 잠금 위치에서 상호 부착될 수 있는, 적어도 두 개의 정렬된 가요성 리본 케이블(2, 3)을 위한 클램프 커넥터(1)에 있어서,
    접촉을 위해 스트립된 각각의 소영역을 갖춘 적어도 두 개의 가요성 리본 케이블은 상호 가압되고,
    접속되는 가요성 리본 케이블(2, 3)에 대향하는 정합부(6)의 측면과 기부(4)의 측면은 상보적인 만입부(7) 또는 돌출된 완화부(8)를 가지며, 이에 의하여 가요성 리본 케이블(2, 3)이 스트레인 완화부의 형성을 위해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스프링 요소(5)는 가요성 리본 케이블(2, 3)의 도전성 트랙의 개수에 대응하는 개수로 기부(4)에 코킹된 강철 스프링(5a, 5b, ...)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클램프 커넥터.
  3. 제2항에 있어서, 강철 스프링(5a, 5b)은 중앙에 코킹된 스트립이고, 강철 스프링의 양 단부 각각은 내측으로 나선형 굴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 커넥터.
  4. 제3항에 있어서, 정합부(6)는 강철 스프링(5a, 5b)의 지지 위치 사이에 횡방향 리브(9)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 커넥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기부(4)는 잠금부가 정합부(6)의 최종 잠금 위치와 예비 잠금 위치를 위해 배열되는 하부판(10)과 두 개의 측벽(11a, 11b)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 커넥터.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기부(4)와 정합부(6)에 형성된 리브(8)는, 가요성 리본 케이블(2, 3)의 종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연장하고, 접속되는 가요성 리본 케이블(2, 3)의 상부에 대해 상단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 커넥터.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기부(4)는 오목부(13)를 가지며, 이를 통해 기부(4)의 상측부와 하측부에 배열된 두 개의 스트립된 가요성 리본 케이블(2, 3)이 기부의 상측부와 하측부에 잠금되는 정합부(6a, 6b)에 배열된 각각의 스프링 요소(5)에 의해 상호 가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 커넥터.
  8. 제7항에 있어서, 스트레인 완화부는 각각의 가요성 리본 케이블에 제공된 슬롯(15)에 맞물리는 랜스(14)를 통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 커넥터.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스프링 요소(들)(5)는, 그라운드 탭으로서 측방향 돌출부(16)를 갖춘 접촉 스프링으로 구성되고, 해당 가요성 리본 케이블(2, 3)은 양 측면이 스트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 커넥터.
  10.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두 개의 정합부(6a, 6b) 각각은 각각의 가요성 리본 케이블(2, 3)의 상부에 대해 상단부 견부(1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 커넥터.
  11. 제7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Y 커넥터의 형성을 위해, 두 개의 가요성 리본 케이블(2, 3)은 동일한 방향으로 케이블의 상부와 함께 기부(4)의 양 측면으로 삽입되고, 기부(4)는 기부의 상측부와 하측부 사이에서 중간 높이로 제3 가요성 리본 케이블(19)을 삽입하기 위한 슬롯(18)을 가지며, 제3 가요성 리본 케이블의 전면 영역은 양 측면이 스트립되고, 기부(4)의 오목부(13)를 가로질러 오목부(13)의 가장자리에서 대향하여 위치하는 수용 홈(20)에 지지되며, 스프링 요소(5)는 오목부(13)의 영역에서 세 개의 모든 가요성 리본 케이블(2, 3, 19)을 함께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 커넥터.
  12. 제7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3 가요성 리본 케이블(19)은, 기부(4)의 단부로부터 나오고, 상기 단부는 두 개의 제1 가요성 리본 케이블(2, 3)이 돌출하는 단부와 대향하여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 커넥터.
  13. 제7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 정합부(6a, 6b)의 스프링 요소(5)는 공동 기부판(4, 22)으로부터 각각 나오고, 상기 공동 기부판은 다른 정합부(6a, 6b)에 배열된 스프링 요소(5)의 기부판(22)과 함께 가요성 리본 케이블(2, 3)의 접촉 위치 주위에 폐쇄 차폐부(21)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 커넥터.
  14. 제13항에 있어서, 스프링 요소(5)의 기부판(22)은 기부(4)의 횡방향 슬롯(23)을 통과하고 탄성 스프링 암(24)이 제공된 측벽과 함께 가요성 리본 케이블(2, 3)을 지지하며, 상기 양 기부판(22)의 측벽은 실질적으로 상호 동일 평면에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 커넥터.
  15. 제12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요성 리본 케이블(2, 3)에 대한 상단부(25)는 양 측면의 기부(4)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 커넥터.
KR1020057007582A 2002-10-31 2003-10-28 가요성 리본 케이블용 클램프 커넥터 KR2005006159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50924.7 2002-10-31
DE10250924A DE10250924A1 (de) 2002-10-31 2002-10-31 Inline-Klemmverbinder für Flex-Flachbandkabe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1590A true KR20050061590A (ko) 2005-06-22

Family

ID=321150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7582A KR20050061590A (ko) 2002-10-31 2003-10-28 가요성 리본 케이블용 클램프 커넥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063561B2 (ko)
EP (1) EP1559176A1 (ko)
JP (1) JP2006505105A (ko)
KR (1) KR20050061590A (ko)
CN (1) CN1708884A (ko)
AU (1) AU2003276193A1 (ko)
DE (1) DE10250924A1 (ko)
WO (1) WO200404071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1190B1 (ko) * 2006-08-23 2011-07-21 몰렉스 인코포레이티드 접착제를 이용한 fpc용 릴레이 커넥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1207B1 (ko) * 2005-08-27 2007-01-19 삼성전자주식회사 기판커넥팅장치 및 이를 갖는 전자장치
US7551448B2 (en) * 2006-01-31 2009-06-23 Cryovac, Inc. Electronic device having improved electrical connection
WO2007131537A1 (en) * 2006-05-16 2007-11-22 Fci Connector of flat conductors
US7425134B1 (en) * 2007-05-21 2008-09-16 Amphenol Corporation Compression mat for an electrical connector
PL2252807T3 (pl) * 2008-03-06 2014-02-28 Brugg Ag Kabelwerke Końcówka kabla taśmowego, kabel taśmowy z końcówką i sposób wytwarzania kabla taśmowego z końcówką
US8529277B2 (en) * 2011-02-18 2013-09-10 Hi Rel Connectors, Inc Flex to flex connection device
US8430684B1 (en) * 2011-08-04 2013-04-30 George F. Glatts, III Ribbon cable connector
DE102012013786A1 (de) * 2012-07-11 2014-01-16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n.d. Ges. d. Staates Delaware) Tragstrukturkomponente einer Kraftfahrzeug-Karosserie mit einem Kunststoffeinsatz
US8920188B2 (en) * 2013-02-27 2014-12-30 Silicon Image, Inc. Integrated connector/flex cable
KR102528679B1 (ko) * 2015-07-01 2023-05-08 인텔 코포레이션 더 양호한 신호 무결성 및 설계 간결성을 위한 fpc 커넥터
JP6826961B2 (ja) * 2017-07-24 2021-02-10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および配線板組立体
JP2020068168A (ja) * 2018-10-26 2020-04-30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コネクタ
JP7265443B2 (ja) * 2019-07-31 2023-04-26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配線板組立体
US10958004B1 (en) 2019-10-31 2021-03-23 Aptiv Technologies Limited Location orientation of wiring relative to electrical connector
US10797477B1 (en) 2019-10-31 2020-10-06 Aptiv Technologies Limited Clip for flat wiring and robotic assembly
US11404836B2 (en) * 2019-10-31 2022-08-02 Aptiv Technologies Limited Perpendicular electrical connector for wiring
US11038288B2 (en) * 2019-10-31 2021-06-15 Aptiv Technologies Limited Electrical splice connector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971443C (de) 1954-08-26 1959-01-29 Standard Elek K Lorenz Ag Hochtonlautsprecher mit festem Dielektrikum
US4610495A (en) * 1985-03-07 1986-09-09 Rogers Corporation Solderless connector apparatus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4647125A (en) * 1985-07-22 1987-03-03 Rogers Corporation Solderless connector technique
US4828512A (en) * 1986-09-25 1989-05-09 G & H Technology, Inc. Connector for flat electrical cables
US4900264A (en) * 1989-04-21 1990-02-13 Amp Incorporated Electrical connector and method of interconnecting flat power cables
US5007856A (en) * 1989-12-21 1991-04-16 Amp Incorporated Housing for an electrical connection
US4975076A (en) * 1990-03-01 1990-12-04 Molex Incorporated Contact wiping electrical connector
US5213511A (en) * 1992-03-27 1993-05-25 Hughes Aircraft Company Dimple interconnect for flat cables and printed wiring boards
US6447305B1 (en) * 1996-05-14 2002-09-10 Miraco, Inc. Circuit to printed circuit board stored energy connector
US6074220A (en) * 1996-05-14 2000-06-13 Roberts; Joseph A. Direct circuit to circuit stored energy connector
US5743747A (en) * 1997-01-13 1998-04-28 Hughes Electronics Dimpled connector
JPH10217876A (ja) 1997-02-06 1998-08-18 Yazaki Corp ルーフワイヤハーネスの接続構造
US6017244A (en) * 1998-02-09 2000-01-25 The Whitaker Corporation Interconnection mechanism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US6247951B1 (en) * 1998-05-29 2001-06-19 Delphi Technologies, Inc. Flexible circuit connector
US6010359A (en) 1998-07-08 2000-01-04 Molex Incorporated Electrical connector system for shielded flat flexible circuitry
DE19832011B4 (de) 1998-07-16 2005-12-22 Leopold Kostal Gmbh & Co. Kg Flachbandleitung mit einem zum lösbaren Verbinden vorgesehenen Anschlußbereich
DE10006112A1 (de) * 2000-02-11 2001-08-16 Draexlmaier Lisa Gmbh Verbinder für Folienleiter
DE10065972A1 (de) * 2000-05-29 2002-07-11 Taller Gmbh Flexfoliensteckerzugentlastung
DE10034613A1 (de) * 2000-07-17 2002-01-31 Kostal Leopold Gmbh & Co Kg Anordnung zum lötfreien elektrischen Verbinden von zwei elektrischen Flachleitungen sowie Verbindungssystem zum Erstellen einer solchen Anordnung
DE10115283C1 (de) * 2001-03-28 2002-10-02 Fci Automotive Deutschland Gmb Flex-Verbindungsanordnung mit Federgehäus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1190B1 (ko) * 2006-08-23 2011-07-21 몰렉스 인코포레이티드 접착제를 이용한 fpc용 릴레이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6505105A (ja) 2006-02-09
EP1559176A1 (de) 2005-08-03
DE10250924A1 (de) 2004-05-19
US20050266725A1 (en) 2005-12-01
AU2003276193A1 (en) 2004-05-25
CN1708884A (zh) 2005-12-14
WO2004040711A1 (de) 2004-05-13
US7063561B2 (en) 2006-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50061590A (ko) 가요성 리본 케이블용 클램프 커넥터
JP4187338B2 (ja) 電気コネクタ
US6139376A (en) Female electrical terminal
US5207603A (en) Dual thickness blade type electrical terminal
KR100379209B1 (ko) 접지 접촉 스프링을 구비한 차폐형 전기 커넥터
US5658174A (en) Female electrical terminal
US6439935B2 (en) Female terminal fitting
JP4219005B2 (ja) フラットケーブル用コネクタ
JP2561894B2 (ja) ブレ−ド接点に嵌合するための電気端子
EP0795930B1 (en) High contact force pin-receiving electrical contact
JP4663636B2 (ja) 可撓側壁と平坦な傾斜接点を備えた雌型端子
US4298242A (en) Electrical socket contact
US5338233A (en) Structure for electrically connecting a terminal and a wire
KR20050061581A (ko) 편평 가요성 케이블용 커넥터
DE19826012A1 (de) Steckverbinderanschluß
US6234843B1 (en) Low profile filter connector with ferrite
EP0937318B1 (en) Female terminal with protective sleeve
US6217356B1 (en) Electrical terminal with arc arresting region
JP3523030B2 (ja) 端子構造
US6083024A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reduced wear and mating forces
JP7068512B2 (ja) 直接差し込みコネクタ用の接点及び直接差し込みコネクタ
JP3651979B2 (ja) コネクタ
EP0973232A2 (en) Electrical contact for contacting a foil conductor
JP2801774B2 (ja) 固定手段を有するレセプタクル端子
JPS6320055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