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57449A - 무선 통신 시스템, 무선 통신 장치 및 무선 통신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 무선 통신 장치 및 무선 통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57449A
KR20050057449A KR1020057004682A KR20057004682A KR20050057449A KR 20050057449 A KR20050057449 A KR 20050057449A KR 1020057004682 A KR1020057004682 A KR 1020057004682A KR 20057004682 A KR20057004682 A KR 20057004682A KR 20050057449 A KR20050057449 A KR 200500574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antenna
terminal device
wireless
radi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46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74575B1 (ko
Inventor
데루야 마에다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574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74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45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457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 H04B7/08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using antenna selection
    • H04B7/080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using antenna selection with single receiver and antenna switching
    • H04B7/081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using antenna selection with single receiver and antenna switching based on current reception conditions, e.g. switching to different antenna when signal level is below threshol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Radio Transmission System (AREA)

Abstract

도 4에 도시한 무선 통신 시스템은, 무속 통신 기능을 가진 거치형의 베이스 스테이션(101)과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진 표시 장치(401, 402) 사이에서 무선 통신 처리를 하는 시스템이다. 베이스 스테이션(101)은, 소정의 방향으로 지향성 패턴을 갖는 복수의 안테나(501, 502)를 구비하고 있다. 표시 장치(401, 402)는, 베이스 스테이션(101)에 대하여 무선 통신 가능한 복수의 통신처로 된다. 베이스 스테이션(101)은, 안테나(501, 502)의 각각의 지향성 패턴에 따른 통신 에리어 내에 존재하는 통신처의 표시 장치(401나 402) 등을 인식 처리하고, 통신처의 표시 장치(401이나 402) 등과 안테나(501, 502)의 대응 관계를 기억 처리하며, 무선 통신 시에는, 안테나 선택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표시 장치(401이나 402) 등과 대응하는 안테나(501, 502)를 선택 처리한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 무선 통신 장치 및 무선 통신 방법{RADIO COMMUNICATION SYSTEM, RADIO COMMUNICATION DEVICE,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본 발명은, 2.4㎓대나 5.2㎓대 등을 이용한 무선 LAN 시스템 및 기지국용의 무선 통신 장치(액세스 포인트)에 적용하기에 적합한 무선 통신 시스템, 무선 통신 장치 및 무선 통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무선 기지국과 임의의 무선 통신 장치 사이에서 무선 통신 처리를 하는 시스템에서, 소정의 방향으로 지향성 패턴을 갖는 복수의 안테나체를 기지국용의 무선 통신 장치에 구비하고, 이들 안테나체의 각각의 지향성 패턴에 따른 통신 에리어 내에 존재하는 통신처의 무선 단말 장치를 인식하며, 이 통신처의 무선 단말 장치와 안테나체의 대응 관계를 기억한다.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통신 시에, 안테나체의 대응 관계의 기억 처리에 기초하여 해당 무선 단말 장치와 대응하는 최적의 안테나체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함과 함께, 여기서 선택된 최적의 안테나체를 사용하여 해당 지향성 내에 존재하는 무선 단말 장치와의 사이에서 무선 통신 처리를 실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최근, 휴대 전화기나, 전자 메일 송수신 장치 등의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진 정보 처리 장치가 사용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이러한 종류의 정보 처리 장치 외에도, 무선 LAN 카드를 노트형의 퍼스널 컴퓨터에 부착하여 무선 단말 장치를 형성하고, 액세스 포인트를 경유하여 다른 정보 처리 장치와 해당 무선 단말 장치 사이에 무선 통신 회선을 구축하여, 양 장치의 사이에서 데이터 통신 처리하는 네트워크 정보 처리 시스템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종류의 무선 LAN 기지국용의 무선 통신 장치에 따르면, 사용 주파수에 따른 파장의 안테나체가 구비된다. 안테나체를 부착하는 방식으로서는, 본체 장치의 외부에 부착하는 방법과, 그 내부에 부착하는 방법이 채용된다. 본체 장치의 외부에 부착하는 경우에는, 360°의 지향성 패턴을 가진 안테나체를 기지국 무선 통신 장치에 장비할 수 있다.
본체 장치의 내부에 안테나체를 부착하는 경우에는, 지향성 패턴이 서로 다른 2개의 안테나체를 기지국용의 무선 통신 장치에 장비하는 방법이 채용된다. 예를 들면, 장치 본체의 전면 방향으로 지향성 패턴을 형성하도록 한쪽의 다이버시티 안테나를 장치 본체 내부의 전면측에 부착하고, 그 배면에 지향성 패턴을 형성하도록 다른쪽의 다이버시티 안테나를 무선 통신 장치 내부의 배면측에 부착한다. 이것은, 통신 에리어를 무선 통신 장치의 전면측과 배면측으로 분할하여 무선 통신 처리를 하기 위해서이다.
그런데, 본체 장치의 내부에 안테나체를 부착한 종래 방식의 기지국용의 무선 통신 장치에 따르면, 그 전면측의 통신 에리어 내에 존재하는 무선 단말 장치와 무선 통신하는 경우와, 배면측의 통신 에리어 내에 존재하는 무선 단말 장치와 무선 통신하는 경우에서 안테나체를 전환하도록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러한 종류의 무선 통신 장치에서는, 전면측의 통신 에리어와 배면측의 통신 에리어 내에 존재하는 무선 단말 장치가 인식되면, 안테나 제어의 간이화를 도모하기 위해, 새롭게 데이터를 송신하는 경우에는, 해당 무선 통신 장치가 데이터를 최종으로 수신한 안테나를 사용하여 실행하는 안테나 제어 방식이 채용된다.
따라서, 전면측의 통신 에리어 내에 존재하는 무선 단말 장치로부터의 데이터를 수신한 직후에, 배면측의 통신 에리어 내에 존재하는 무선 단말 장치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상황이 발생하였을 때, 데이터를 최종으로 수신한 안테나체가 사용되게 되어, 배면측의 통신 에리어 내에 존재하는 무선 단말 장치에 최적의 안테나체로부터 데이터를 송신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렇게 됨으로써, 통신 내용이 도중에서 끊기게 되어, 최적으로 무선 통신 처리를 행할 수 없게 될 우려가 있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은, 무선 기지국과 임의의 무선 단말 장치 사이에서 무선 통신 처리를 하는 시스템으로서, 소정의 방향으로 지향성 패턴을 갖는 복수의 안테나체를 구비한 기지국용의 무선 통신 장치와, 기지국용의 무선 통신 장치에 대하여 무선 통신 가능한 통신처로 되는 무선 단말 장치를 구비한다. 이 기지국용의 무선 통신 장치는, 정기적 또는 부정기적으로 안테나체의 각각의 지향성 패턴의 통신 에리어 내에 존재하는 통신처의 무선 단말 장치를 인식 처리하고, 통신처의 무선 단말 장치와 안테나체의 대응 관계를 기억 처리하며, 무선 통신 시에는, 기억 처리에 기초하는 해당 무선 단말 장치와 대응하는 안테나체를 선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 따르면, 무선 기지국과 임의의 무선 통신 장치 사이에서 무선 통신 처리를 하는 경우에, 소정의 방향으로 지향성 패턴을 갖는 복수의 안테나체를 구비한 기지국용의 무선 통신 장치가 존재하고, 이 기지국용의 무선 통신 장치에 대하여 무선 통신 가능한 복수의 통신처로 되는 무선 단말 장치가 구비된다. 이것을 전제로 하여, 예를 들면, 기지국용의 무선 통신 장치의 소정의 지향성 패턴에 따른 통신 에리어 내에 통신처의 무선 단말 장치가 결과적으로 그 위치에 존재하거나, 또는, 그 지향성 패턴에 따른 통신 에리어간을 이동하도록 이루어진다.
이 기지국용의 무선 통신 장치에서는, 예를 들면, 정기적 또는 부정기적으로 안테나체의 각각의 지향성 패턴에 따른 통신 에리어 내에 존재하는 통신처의 무선 단말 장치가 인식 처리되며, 이 통신처의 무선 단말 장치와 안테나체의 대응 관계가 기억 처리된다. 무선 통신 시에는, 이 기억 처리에 기초하여 해당 무선 단말 장치와 대응하는 안테나체를 선택 처리하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해당 무선 단말 장치와 대응하는 최적의 안테나체를 항상 선택할 수 있기 때문에, 전면측의 통신 에리어 내에 존재하는 무선 단말 장치로부터의 데이터를 수신한 직후에, 배면측의 통신 에리어 내에 존재하는 무선 단말 장치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경우라도, 최적의 안테나체를 사용하여 해당 지향성 패턴에 따른 통신 에리어 내에 존재하는 무선 단말 장치와의 사이에서 무선 통신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종래 방식에 비해, 통신 내용이 도중에서 끊기지 않고, 최적으로 무선 통신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따라서, 해당 시스템을 무선 LAN 등의 액세스 포인트에 적용한 경우 등에 있어서, 무선 통신 품질의 향상에 기여하는 부분이 크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는, 통신처의 무선 단말 장치와 임의로 무선 통신 처리를 하는 장치로서, 소정의 방향으로 지향성 패턴을 갖는 복수의 안테나체와, 이 안테나체의 각각의 지향성 패턴에 따른 통신 에리어 내에 존재하는 통신처의 무선 단말 장치를 인식하고, 또한, 해당 통신처의 무선 단말 장치와 안테나체의 대응 관계를 인식하는 제어 장치를 구비하며, 제어 장치는 무선 통신 시에, 해당 무선 단말 장치와 대응하는 안테나체를 선택 처리하고, 여기서 선택 처리된 안테나체를 사용하여 해당 지향성 내에 존재하는 무선 단말 장치와 통신 처리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에 따르면, 통신처의 무선 단말 장치와 임의로 무선 통신 처리를 하는 경우에, 소정의 방향으로 지향성 패턴을 갖는 복수의 안테나체가 구비되고, 제어 장치에서는, 이 안테나체의 각각의 지향성 패턴에 따른 통신 에리어 내에 존재하는 통신처의 무선 단말 장치가 인식되며, 또한, 해당 통신처의 무선 단말 장치와 안테나체의 대응 관계가 인식된다. 이것을 전제로 하여, 이 제어 장치는 무선 통신 시에, 해당 무선 단말 장치와 대응하는 안테나체를 선택하고, 여기서 선택된 안테나체를 사용하여 해당 지향성 내에 존재하는 무선 단말 장치와 통신 처리를 하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항상, 최적의 안테나체를 사용하여 해당 지향성 내에 존재하는 무선 단말 장치와의 사이에서 무선 통신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종래 방식에 비해, 통신 내용이 도중에서 끊기지 않고, 최적으로 무선 통신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따라서, 무선 통신 품질의 향상에 기여하는 부분이 크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 방법은, 통신처의 무선 단말 장치와 임의로 무선 통신 처리를 하는 방법으로서, 소정의 방향으로 지향성 패턴을 갖는 복수의 안테나체를 기지국용의 무선 통신 장치에 구비함과 함께, 임의의 지향성 패턴에 따른 통신 에리어 내에 무선 통신 가능한 통신처의 무선 단말 장치를 준비하고, 기지국용의 무선 통신 장치에서는, 안테나체의 각각의 지향성 패턴에 따른 통신 에리어 내에 존재하는 통신처의 무선 단말 장치를 정기적 또는 부정기적으로 인식하며, 여기서 인식된 통신처의 무선 단말 장치와 안테나체의 대응 관계를 기억하고, 무선 통신 시에는, 해당 무선 단말 장치와 대응하는 안테나체를 선택하고, 여기서 선택된 안테나체를 사용하여 해당 지향성 내에 존재하는 무선 단말 장치와 통신 처리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 방법에 따르면, 통신처의 무선 단말 장치와 임의로 무선 통신 처리를 하는 경우에, 항상, 최적의 안테나체를 사용하여 해당 지향성 패턴에 따른 통신 에리어 내에 존재하는 무선 단말 장치와의 사이에서 무선 통신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종래 방식에 비해, 통신 내용이 도중에서 끊기지 않아, 최적으로 무선 통신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로서의 무선 통신 시스템(10)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개념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무선 통신 시스템(10)에서의 단말기 인식 시 및 무선송신 시의 처리예를 도시하는 플로우차트.
도 3은 도 1에 도시한 기지국용의 베이스 스테이션(101)의 동작예를 도시하는 타임차트.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로서의 무선 LAN 시스템(100)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5는 거치형의 베이스 스테이션(101)에서의 안테나 부착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6A 및 도 6B는 안테나(501 및 502)의 지향성 패턴의 예를 도시하는 개념도.
도 7은 베이스 스테이션(101)의 통신 에리어 Ⅰ, Ⅱ의 형성예를 도시하는 개념도.
도 8은 베이스 스테이션(101)의 내부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9는 표시 장치(401이나 402) 등의 내부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10은 무선 LAN 시스템(100)의 베이스 스테이션(101)에서의 통신 처리예(그 1)를 도시하는 플로우차트.
도 11은 무선 LAN 시스템(100)의 베이스 스테이션(101)에서의 통신 처리예(그 2)를 도시하는 플로우차트.
도 12A 및 도 12B는 표시 장치(401[#1]이나 402[#2]) 등에서의 통신 처리예(그 1)를 도시하는 플로우차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본 발명은, 무선 기지국과 통신처의 무선 단말 장치 사이에서 최적으로 무선 통신 처리를 실행할 수 있도록 함과 함께, 무선 통신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무선 통신 시스템, 무선 통신 장치 및 무선 통신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 무선 통신 장치 및 무선 통신 방법의 일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을 한다.
(1) 제1 실시예
제1 실시예는, 상위 개념으로서의 실시 형태로서, 무선 기지국과 임의의 무선 통신 장치 사이에서 무선 통신 처리를 하는 경우에, 소정의 방향으로 지향성 패턴을 갖는 복수의 안테나체를 무선 기지국용의 무선 통신 장치에 구비하고 있다. 이 실시예에서 무선 통신 장치는, 안테나체의 각각의 지향성 패턴에 따른 통신 에리어 내에 존재하는 통신처의 무선 단말 장치를 인식하고, 이 통신처의 무선 단말 장치와 안테나체의 대응 관계를 기억한다. 이 실시예에서 무선 통신 시에는, 이 기억 처리에 기초하여 해당 무선 단말 장치와 대응하는 최적의 안테나체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함과 함께, 여기서 선택된 최적의 안테나체를 사용하여 해당 지향성 내에 존재하는 무선 단말 장치와의 사이에서 무선 통신 처리를 실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1에 도시한 무선 통신 시스템(10)은, 기지국용의 무선 통신 장치와 임의의 무선 단말 장치 사이에서 무선 통신 처리를 하는 시스템이다. 이 시스템(10)은, 2.4㎓대나 5.2㎓대 등을 이용한 무선 LAN 시스템 등에 적용하기에 바람직하다. 이 시스템(10)은, 기지국용의 무선 통신 장치(1)를 구비하고 있다. 이 무선 통신 장치(1)에는 소정의 방향으로 지향성 패턴을 갖는 복수의 안테나체가 설치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안테나체로서, 2개의 다이버시티 안테나(이하 간단하게 안테나(501, 502)라고 함)가 사용된다.
이 무선 통신 장치(1)에 대하여 무선 통신 가능한 복수의 통신처로 되는 무선 단말 장치로서 예를 들면, 2대의 무선 단말 장치(400)가 사전에 준비된다. 이 시스템(10)에서 무선 통신 장치(1)의 소정의 지향성 패턴에 따른 통신 에리어 Ⅰ 내에 통신처의 한쪽의 무선 단말 장치(400)가 존재하고, 통신 에리어 Ⅱ 내에 통신처의 다른쪽의 무선 단말 장치(400)가 존재하거나, 또는 이들 통신처의 무선 단말 장치(400)가 해당 지향성 패턴에 따른 통신 에리어 Ⅰ, Ⅱ간을 이동하도록 이루어진다. 예를 들면, 한쪽의 무선 단말 장치(400)가 안테나(501)의 지향성의 패턴의 방향에, 다른쪽의 무선 단말 장치(400)가 안테나(502)의 지향성의 패턴의 방향에 존재하고 있다.
이 무선 통신 장치(1)는, 안테나(501, 502)의 각각의 지향성 패턴에 따른 통신 에리어 내에 존재하는 통신처의 무선 단말 장치(400)를 인식 처리하고, 통신처의 무선 단말 장치(400)와 안테나(501, 502) 등의 대응 관계를 기억 처리하며, 무선 통신 시에는, 앞서 기억된 정보의 판독 처리에 기초하여 해당 무선 단말 장치(400)와 대응하는 안테나(501 또는 502)를 선택 처리하도록 이루어진다.
이 시스템(10)에서 무선 통신 장치(1)는, 통신처의 무선 단말 장치(400)에 대하여 정기적 또는 부정기적으로 통신 에리어 확인용의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이루어진다. 이에 의해, 통신처의 무선 단말 장치(400)가 해당 지향성 패턴에 따른 통신 에리어간을 이동하는 경우에도, 최적의 안테나(501 또는 502)와 해당 무선 단말 장치(400)의 대응 관계를 검지할 수 있다.
이 시스템(10)에서 무선 통신 장치(1)는, 통신처의 무선 단말 장치(400)와 임의로 무선 통신 처리를 하기 위해, 예를 들면, 2개의 안테나(501, 502), 안테나 전환기(2), 송수신 수단(3), 기억 수단(4) 및 제어 장치(5)를 갖고 있다. 안테나(501 및 502)에는 예를 들면, 다이버시티 안테나가 사용된다. 안테나(501)는, 무선 통신 장치의 본체 내부 전면측에 부착되어, 그 전면 방향으로 지향성 패턴을 갖도록 된다. 안테나(502)는, 그 본체 내부 배면측에 부착되어, 그 배면 방향으로 지향성 패턴을 갖도록 된다. 이들 2개의 안테나(501, 502)는, 안테나 전환기(2)에 접속된다.
이 안테나 전환기(2)는, 접점 a1, 접점 b1 및 공통 접점 c를 갖고 있다. 안테나(501)는, 안테나 전환기(2)의 접점 a1에 접속되고, 안테나(502)는, 그 접점 b1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안테나 전환기(2)는, 안테나 선택 신호 S1에 기초하여 안테나(501, 502)를 전환하도록 이루어진다. 안테나 선택 신호 S1은 제어 장치(5)로부터 공급된다. 안테나 전환기(2)에는, 송수신 수단(3)이 접속되며, 통신처의 무선 단말 장치(400)에 기준 신호 SR이나, 접속 응답 신호 SA, 데이터 DOUT 등을 송신 처리하거나, 통신처의 무선 단말 장치(400)로부터의 접속 요구 신호 SC를 수신 처리하도록 이루어진다. 안테나 전환기(2)의 공통 접점 c는 송수신 수단(3)에 접속된다.
송수신 수단(3)에는 제어 장치(5)가 접속되어, 각각의 지향성 패턴에 따른 통신 에리어 내에 존재하는 통신처의 무선 단말 장치(400)를 인식하고, 또한, 해당 통신처의 무선 단말 장치(400)와 안테나(501, 502)의 대응 관계를 인식하도록 이루어진다. 제어 장치(5)는 무선 통신 시에, 해당 무선 단말 장치(400)와 대응하는 안테나(501, 502)를 선택 처리하고, 여기서 선택 처리된 안테나(501, 502)를 사용하여 해당 지향성의 패턴의 방향에 존재하는 무선 단말 장치(400)와 통신 처리를 하도록 이루어진다.
이 제어 장치(5)에는 기억 수단(4)이 접속되어, 통신처의 무선 단말 장치(400)와 안테나(501, 502)의 대응 관계를 나타내는 안테나 선택 정보 D1을 기억하도록 이루어진다. 예를 들면, 통신처의 무선 단말 장치(400)와 안테나(501, 502)의 대응 관계는 안테나 테이블화된다. 기억 수단(4)에는, RAM(수시 기입 판독 가능한 메모리)이 사용되며, RAM은 워크 메모리로서도 사용된다. 이 예에서는, 안테나 선택 정보 D1이 2개의 안테나(501 또는 502) 중 어느 한쪽을 선택하는 정보로 된다. 안테나 선택 정보 D1에는, 각각의 지향성 패턴에 따른 통신 에리어 내에 존재하는 통신처의 무선 단말 장치(400)의 ID 정보가 대응되어, 도시하지 않은 안테나 테이블이 구성되어 있다. 이 안테나 테이블에 의해, 각각의 지향성 패턴에 따른 통신 에리어 내에 존재하는 통신처의 무선 단말 장치(400)에 대한 최적의 안테나(501, 502)를 관리할 수 있다.
이 안테나 선택 정보 D1은, 최적의 안테나(501, 502)를 사용하여 무선 통신 처리하기 위해 갱신된다. 예를 들면, 제어 장치(5)가 기억 수단(4)의 내용을 재기입하도록(덧씌우기하도록) 메모리 제어를 실행한다. 이에 의해, 안테나 테이블의 내용이 갱신된다. 이것은, 통신처의 무선 단말 장치(400)가 해당 지향성 패턴에 따른 통신 에리어로부터 다른 지향성 패턴에 따른 통신 에리어로 이동하는 경우가 상정되기 때문이다. 그것을 위해서도, 제어 장치(5)는, 통신처의 무선 단말 장치(400)에 대하여 정기적 또는 부정기적으로 통신 에리어 확인용의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이루어진다. 예를 들면, 무선 통신 장치(1) 및 무선 단말 장치(400) 등의 쌍방의 전원을 온한 경우에, 무선 통신 장치(1)에서는, 각각의 지향성 패턴에 따른 통신 에리어 내에 존재하는 통신처의 무선 단말 장치(400)를 인식하도록 이루어진다. 이에 의해, 최적의 안테나(501, 502)와 해당 무선 단말 장치(400)의 대응 관계를 검지할 수 있다.
계속해서,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 방법에 대하여, 해당 무선 통신 시스템(10)에서의 단말기 인식 시 및 무선 데이터 송신 시의 처리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예에서는, 통신처의 무선 단말 장치(400)와 임의로 무선 통신 처리를 하는 경우에, 무선 통신 장치 본체의 전면 방향으로 지향성 패턴을 갖는 안테나(501)와, 그 배면 방향으로 지향성 패턴을 갖는 안테나(502)의 2개를 해당 무선 통신 장치(1)에 구비함과 함께, 각각의 지향성 패턴에 따른 통신 에리어 내에서 무선 통신 가능한 통신처의 무선 단말 장치(400)가 사전에 준비된다. 이러한 지향성이 서로 다른 2개의 안테나(501, 502)가 구비되고, 무선 통신 장치(1)는, 안테나(501, 502)의 쌍방으로부터 교대로 해당 지향성 내의 통신처의 무선 단말 장치(400)에 기준 신호 SR을 송신한다. 이 때, 기준 신호 SR이 양방의 안테나(501, 502)로부터 교대로 송신되기 때문에, 통신처의 무선 단말 장치(400)에서 기준 신호 SR을 인식할 수 있는 범위가 확대된다. 이와 같이 무선 통신 장치(1)와 무선 단말 장치(400) 사이의 통신 가능 거리를 길게 할 수 있다. 또한, 통신처의 2대의 무선 단말 장치(40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쪽의 무선 단말 장치(400)가 안테나(501)의 지향성의 패턴의 방향에, 다른쪽의 무선 단말 장치(400)가 안테나(502)의 지향성의 패턴의 방향에 존재하고 있는 경우를 상정한다.
이것을 처리 조건으로 하여, 도 2에 도시한 플로우차트의 단계 A1에서 전원을 온한다. 그 후, 단계 A2로 이행하여 도 1에 도시한 안테나(501)로부터, 한쪽의 지향성 패턴에 따른 통신 에리어 내에 존재하는 통신처의 무선 단말 장치(400)에 기준 신호 SR이 송신된다(도 3의 ① 참조). 이에 이어, 안테나(502)로부터 다른쪽의 지향성 패턴에 따른 통신 에리어 내에 존재하는 통신처의 무선 단말 장치(400)에 기준 신호 SR이 송신된다(도 3의 ② 참조).
그 후, 단계 A3에서 무선 통신 장치(1)에서는, 안테나(501 및 502)의 각각의 지향성 패턴에 따른 통신 에리어 내에 존재하는 통신처의 각각의 무선 단말 장치(400)를 인식하도록 이루어진다. 이 때, 안테나(501)로부터의 기준 신호 SR을 받은 한쪽의 무선 단말 장치(400)는, 접속 요구 신호 SC를 무선 통신 장치(1)에 송신하고, 그 무선 통신 회선의 접속 요구를 통지한다. 무선 통신 장치(1)는, 한쪽의 무선 단말 장치(400)로부터의 접속 요구 신호 SC를 수신한다(도 3의 ③ 참조).
다음으로, 여기서 인식된 통신처의 무선 단말 장치(400)와 안테나(501)의 대응 관계를 단계 A4에서 기억 처리한다. 이 때, 한쪽의 무선 단말 장치(400)로부터의 접속 요구 신호 SC를 받은 무선 통신 장치(1)는, 제어 장치(5)에 의해 안테나 테이블에 한쪽의 무선 단말 장치(400)의 단말기 ID로서 예를 들면, 「#1」을 기술하고, 최적의 안테나체로서 「ANT1」을 등록(설정)한다. 이에 의해, 안테나 설정 정보 D1이 기억된다. 여기서, 단말기 ID=「#1」의 무선 단말 장치(400)를 무선 단말 장치(400[#1])로 기술한다.
또한, 무선 통신 장치(1)는, 단계 A5로 이행하여 무선 단말 장치(400[#1])에 대하여 안테나(501)를 사용하여 접속 응답 신호 SA를 송신한다(도 3의 ④ 참조). 그리고, 무선 단말 장치(400[#1])와 무선 통신 장치(1)를 접속하고, 그 사이의 무선 통신 회선을 확립하도록 이루어진다.
그 후, 단계 A6으로 이행하여 다른 안테나에 관하여 상술한 처리를 하였는지가 판별된다. 이 때의 판별은, 해당 무선 통신 장치(1)에 2개의 안테나(501 및 502)가 부착되기 때문에, 단계 A3 내지 A5에서 안테나(501)에 따른 처리와, 안테나(502)에 따른 처리를 실행하였는지를 검출함으로써 판별의 기준으로 된다. 따라서, 상술한 처리를 해야 할 다른 안테나가 있는 경우에는, 단계 A3로 되돌아가서, 이번에는, 안테나(502)에 대하여, 그 지향성 패턴에 따른 통신 에리어 내에 존재하는 통신처의 다른쪽의 무선 단말 장치(400)를 인식하도록 이루어진다. 이 때, 앞서 안테나(502)로부터 기준 신호 SR을 받은 다른쪽의 무선 단말 장치(400)에서는, 접속 요구 신호 SC를 무선 통신 장치(1)에 송신하고, 그 무선 통신 회선의 접속 요구를 통지한다. 무선 통신 장치(1)는, 다른쪽의 무선 단말 장치(400)로부터의 접속 요구 신호 SC를 수신한다(도 3의 ⑤ 참조).
이 통지를 받은 무선 통신 장치(1)에서는, 단계 A4로 이행하여 제어 장치(5)에 의해 안테나 테이블에 다른쪽의 무선 단말 장치(400)의 단말기 ID로서 「#2」를 추가하고, 최적의 안테나체로서 「ANT2」를 설정한다. 이에 의해, 안테나 설정 정보 D1이 기억된다. 여기서, 단말기 ID=「#2」의 무선 단말 장치(400)를 무선 단말 장치(400[#2])로 기술한다. 또한, 단계 A5로 이행하여 무선 단말 장치(400[#2])에 대하여 접속 응답 신호 SA를 안테나(502)로부터 송신하여 무선 단말 장치(400[#2])와 무선 통신 장치(1)를 접속하고 그 사이의 무선 통신 회선을 확립한다(도 3의 ⑥ 참조). 표 1은, n대의 무선 단말 장치(400)의 단말기 ID와, 이들의 최적의 안테나체 「ANT1」, 「ANT2」와의 관계예를 나타내고 있다. 제1 실시예의 안테나 테이블은, 표 1에 기초하여 작성된다.
안테나 테이블
단말기 ID 안테나
#1 ANT1
#2 ANT2
#3 ANT1
... ...
#n ANT1
이러한 안테나(501 및 502)에 관하여, 상술한 처리를 해야 할 안테나가 없는 경우에는, 단계 A7로 이행하여, 무선 통신 장치(1)에서는, 데이터를 무선 송신할지가 판별된다. 이 때의 판별에서는, 해당 무선 통신 장치(1)로부터 무선 단말 장치(400)[#1]) 또는 무선 단말 장치(400[#2])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커맨드 등을 검출함으로써 판별의 기준으로 된다. 따라서, 데이터를 송신하는 경우에는, 단계 A8로 이행하여 데이터를 송신하는 통신처의 무선 단말 장치(400)와 대응하는 안테나(501 또는 502)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도록 이루어진다.
[무선 통신 장치(1)로부터 무선 단말 장치(400[#1])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경우]
이 경우에는, 단계 A8에서 무선 통신 장치(1)에 의해 안테나 테이블이 참조되어, 무선 단말 장치(400[#1])에 대한 최적의 안테나체인 「ANT1」을 선택한다. 그리고, 안테나 선택 정보 D1에 기초하여 안테나 선택 신호 S1을 안테나 전환기(2)에 출력한다. 이 결과, 안테나(501)에 접속된 접점 a1이 송수신 수단(3)에 접속된다. 여기서 접속된 안테나(501)를 사용하여 단계 A9에서 해당 지향성의 패턴의 방향에 존재하는 무선 단말 장치(400[#1])에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하여 통신 처리를 실행하도록 이루어진다(도 3의 ⑦ 참조). 그 후, 단계 A12로 이행한다.
이러한 종류의 무선 통신 시스템(10)에 관하여, 무선 단말 장치(400[#1])에의 무선 데이터 송신 시의 처리예에 대하여 종래 방식과 본 발명 방식을 비교한다. 종래 방식의 무선 통신 방법에 따르면, 최종으로 무선 통신 장치(1)가 수신한 데이터는, 무선 단말 장치(400[#2])로부터의 접속 요구 신호 SC이다. 즉, 안테나 테이블이 없는 경우, 종래 방식에서는, 안테나(502)로부터 이 신호 SC를 수신하였기 때문에, 다시 이 안테나(502)를 사용하여 무선 단말 장치(400[#1])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시퀀스를 채용하게 된다. 이에 대하여, 본 발명 방식에서는, 무선 단말 장치(400[#1])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경우에, 무선 통신 장치(1)는, 안테나 테이블을 참조하여, 무선 단말 장치(400[#1])에 대한 최적의 안테나체가 「ANT1」인 것을 인식하기 때문에, 안테나(501)를 사용하여 무선 단말 장치(400[#1])와 통신 처리하도록 된다.
또한, 무선 단말 장치(400)[#1])로부터 무선 통신 장치(1)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경우에는, 무선 통신 장치(1)에서는 송신 처리 이외에는, 단계 A11로 이행하여 안테나 전환기(2)를 주사하여 입력을 대기하고 있기 때문에, 통신처의 무선 단말 장치(400[#1])로부터의 수신 전파가 가장 강한 안테나(501)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이루어진다(도 3의 ⑧ 참조).
무선 단말 장치(400[#1])가 안테나(502)의 지향성 패턴에 따른 통신 에리어로 이동하고 있는 경우에는, 무선 단말 장치(400[#1])로부터의 수신 전파가 안테나(502)에 의해 가장 강하게 수신되기 때문에, 이 안테나(502)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함께, 기억 수단(4)에서는 제어 장치(5)의 메모리 제어를 받아, 무선 단말 장치(400[#1])의 최적의 안테나체가 안테나(502)인 취지의 안테나 선택 정보 D1을 재기입하도록 이루어진다.
[무선 통신 장치(1)로부터 무선 단말 장치(400[#2])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경우]
이 경우에도, 단계 A8에서 무선 통신 장치(1)에 의해 안테나 테이블이 참조되어, 무선 단말 장치(400[#2])에 대한 최적의 안테나체인 「ANT2」를 선택하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안테나 선택 정보 D1에 기초하여 안테나 선택 신호 S1을 안테나 전환기(2)에 출력한다. 이 결과, 안테나(502)에 접속된 접점 b1이 송수신 수단(3)에 접속된다. 여기서 접속된 안테나(502)를 사용하여 단계 A10에서 해당 지향성의 패턴의 방향에 존재하는 무선 단말 장치(400[#2])에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하여 통신 처리를 실행하도록 이루어진다(도 3의 ⑨ 참조). 그 후, 단계 A12로 이행한다.
이러한 종류의 무선 통신 시스템(10)에 관하여, 무선 단말 장치(400[#2])에의 무선 데이터 송신 시의 처리예에 대하여 종래 방식과 본 발명 방식을 비교한다. 종래 방식의 무선 통신 방법에 따르면, 최후에 무선 통신 장치(1)가 수신한 데이터는, 무선 단말 장치(400[#1])로부터의 데이터이다. 따라서, 안테나 테이블이 없는 경우, 종래 방식에서는, 안테나(501)로부터 수신하였기 때문에, 다시 이 안테나(501)를 사용하여 무선 단말 장치(400[#2])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시퀀스를 채용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대하여, 본 발명 방식에서는, 무선 단말 장치(400[#2])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경우에, 안테나 테이블을 참조하여, 최적의 안테나체로서 「ANT2」를 채용하기 때문에, 이 안테나(502)를 사용하여 무선 단말 장치(400[#2])에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된다.
또한, 무선 단말 장치(400[#2])가 무선 통신 장치(1)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경우에는, 무선 통신 장치(1)에서는 송신 처리 이외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단계 A11에서 안테나 전환기(2)를 주사하여 입력을 대기하고 있기 때문에, 통신처의 무선 단말 장치(400)로부터의 수신 전파가 가장 강한 안테나(502)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이루어진다. 그 후, 단계 A12로 이행한다. 단계 A12에서는 해당 통신 처리를 종료할지가 체크된다. 예를 들면, 전원 오프 정보를 검출하여 해당 통신 처리를 종료한다. 해당 통신 처리를 종료하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A7로 되돌아가 데이터를 송신할지가 체크되며, 상술한 처리를 반복하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로서의 무선 통신 시스템(10)에 따르면, 무선 기지국으로서의 무선 통신 장치(1)와 임의의 무선 단말 장치(400) 사이에서 무선 통신 처리를 하는 경우에, 무선 통신 장치(1)에서는, 정기적 또는 부정기적으로 안테나(501, 502)의 각각의 지향성 패턴에 따른 통신 에리어 내에 존재하는 통신처의 무선 단말 장치(400)가 인식 처리되며, 이 통신처의 무선 단말 장치(400)와 안테나(501, 502)의 대응 관계가 기억 처리된다. 무선 통신 시에는, 이 기억 처리에 기초하여 해당 무선 단말 장치(400)와 대응하는 안테나(501 또는 502)를 선택 처리하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해당 무선 단말 장치(400)와 대응하는 최적의 안테나(501, 502)를 항상 선택할 수 있기 때문에, 전면측의 통신 에리어 내에 존재하는 무선 단말 장치(400[#1])로부터의 데이터를 수신한 직후에, 배면측의 통신 에리어 내에 존재하는 무선 단말 장치(400[#2])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경우라도, 최적의 안테나(502)를 사용하여 해당 지향성의 패턴의 방향에 존재하는 무선 단말 장치(400[#2])와의 사이에서 무선 통신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종래 방식에 비해, 통신 내용이 도중에서 끊기지 않아, 최적으로 무선 통신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해당 시스템(10)을 무선 LAN 등의 액세스 포인트에 적용한 경우 등에 있어서, 무선 통신 품질의 향상에 기여하는 부분이 크다.
(2) 제2 실시예
제2 실시예는, 하위 개념으로서의 실시 형태로서, 무선 통신 장치의 일례로 되는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진 거치형의 베이스 스테이션(선국 장치)(101)을 구비함과 함께, 통신처의 무선 단말 장치로서 2대의 무선 통신 기능이 부가된 휴대 단말기형의 표시 장치(401, 402)를 구비하여, 무선 LAN 시스템(100)을 구축하도록 한 것이다. 베이스 스테이션(101)에는, 지향성이 서로 다른 2개의 다이버시티 안테나(이하 간단하게 안테나(501, 502)라고 함)가 설치되고, 베이스 스테이션(101)에서는, 정기적 또는 부정기적으로 안테나(501, 502)의 각각의 지향성 패턴에 따른 통신 에리어 내에 존재하는 통신처의 표시 장치(401, 402)가 인식 처리되며, 이 통신처의 표시 장치(401이나 402) 등과 안테나(501, 502)의 대응 관계가 기억 처리된다. 무선 통신 시에는, 이 기억 처리에 기초하여 해당 표시 장치(401이나 402) 등과 대응하는 안테나(501 또는 502)를 선택 처리하도록 이루어진다.
도 4에 도시한 무선 LAN 시스템(100)은, 거치형의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진 베이스 스테이션(101)과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진 휴대 단말기형의 표시 장치(401이나 402) 등과의 사이에서 무선 통신 처리를 하는 시스템이다. 이 시스템(100)에서 베이스 스테이션(101)의 한쪽의 지향성 패턴에 따른 통신 에리어 내에 통신처의 표시 장치(401)가 존재하고, 다른쪽의 지향성 패턴에 따른 통신 에리어 내에 통신처의 표시 장치(402)가 존재하거나, 또는 통신처의 표시 장치(401이나 402) 등이 해당 지향성 패턴에 따른 통신 에리어간을 이동하도록 이루어진다. 예를 들면, 표시 장치(401)가 안테나(501)의 지향성의 패턴의 방향에, 표시 장치(402)가 안테나(502)의 지향성의 패턴의 방향에 존재하고 있다. 무선 LAN 시스템(100)에서는, 이러한 사용 형태가 채용된다.
이 베이스 스테이션(101)은, 안테나(501, 502)의 각각의 지향성 패턴에 따른 통신 에리어 내에 존재하는 통신처의 표시 장치(401이나 402) 등을 인식 처리하고, 통신처의 표시 장치(401이나 402) 등과 안테나(501, 502) 등의 대응 관계를 안테나 선택 정보 D1로 하여 기억 처리하며, 무선 데이터 송신 시에는, 앞서 기억된 안테나 선택 정보 D1의 판독 처리에 기초하여 해당 표시 장치(401이나 402) 등과 대응하는 안테나(501 또는 502)를 선택 처리하도록 이루어진다.
이 시스템(100)에서 베이스 스테이션(101)은, 통신처의 표시 장치(401, 402)에 대하여 정기적 또는 부정기적으로 통신 에리어 확인용의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이루어진다. 이에 의해, 통신처의 표시 장치(401이나 402) 등이 해당 지향성 패턴에 따른 통신 에리어간을 이동하는 경우에도, 최적의 안테나(501 또는 502)와 해당 표시 장치(401이나 402) 등의 대응 관계를 검지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한 안테나(501 및 502)는, 베이스 스테이션(101)의 장치 본체(11)의 내측에 부착되어 있다. 안테나(501)는, 예를 들면, 장치 본체(11)의 내측 전면 부위에 부착되어, 장치 본체(11)의 전면 방향으로 지향성 패턴을 갖는 것이다. 안테나(502)는, 예를 들면, 장치 본체(11)의 내측 배면 부위에 부착되어, 장치 본체(11)의 배면 방향으로 지향성 패턴을 갖는 것이다. 어느 안테나(501 및 502)도,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 등의 다이버시티 안테나가 사용된다. 이들 안테나(501 및 502)의 지향성 패턴은, 모두,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평면 내(x-y 평면) 지향 특성에서, 안테나 도파기와 도래 전파가 이루는 각도 θ를 90°로 한 경우에 반원 형상을 이루고, 수직면 내(x-z 평면) 지향 특성에서, 수신 전력이 최대 감도 방향의 1/2 이상의 전력이 얻어지는 범위를 나타내는 전력 반치각 φ=0°에서 반원 형상을 이루고 있다.
도 7은 베이스 스테이션(101)의 통신 에리어 Ⅰ, Ⅱ의 형성예를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7에 도시한 베이스 스테이션(101)의 장치 본체(11)의 전면에는, 상술한 전면 방향의 지향성 패턴에 따른 통신 에리어 Ⅰ이 형성된다. 이 통신 에리어 Ⅰ에 표시 장치(401이나 402) 등이 존재 또는 이동된 경우에는, 베이스 스테이션(101)에서는, 안테나(501)를 사용하여 통신 처리를 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장치 본체(11)의 배면에는, 상술한 배면 방향의 지향성 패턴에 따른 통신 에리어 Ⅱ가 형성된다. 이 통신 에리어 Ⅱ에 표시 장치(401이나 402) 등이 존재 또는 이동된 경우에는, 베이스 스테이션(101)에서는, 안테나(502)를 사용하여 통신 처리를 하도록 이루어진다. 최적의 안테나(501 및 502)를 사용하여 해당 지향성 패턴에 따른 통신 에리어 내에 존재하는 표시 장치(401이나 402) 등과의 사이에서 무선 통신 처리를 행하기 위해서이다.
[베이스 스테이션]
도 8은 베이스 스테이션(101)의 내부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이 베이스 스테이션(101)은, 무선 LAN 시스템(100)에서 통신처의 표시 장치(401이나 402) 등과 임의로 무선 통신 처리를 하기 위해, 적어도, 2개의 안테나(501, 502), 안테나 전환기(2), 송수신 수단(3), RAM(203) 및 DSP(50)를 갖고 있다. 또한, 베이스 스테이션(101)은, 텔레비전 방송 신호나, 전화선(15)을 통해 제공되는 각종 정보를 텔레비전 수신 시스템에 저장하거나, 이 텔레비전 수신 시스템으로부터 전화선(15)을 통해 통신 네트워크에 정보를 송출하기도 하는 인터페이스로서의 기능을 갖고 있다.
이 베이스 스테이션(101)의 각 부는, 제어 장치의 일례로 되는 제어부(200)에 의해 제어하도록 되어 있다. 제어부(200)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CPU(Central Processing Unit)(201), ROM(Read Only Memory)(202), RAM(Random Access Memory)(203),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204)가 CPU 버스(206)를 통해 접속되어 구성된 마이크로컴퓨터이다. ROM(202)은, 이 베이스 스테이션(101)에서 실행하는 각종 처리 프로그램이나 정보 처리에 필요한 데이터 등이 기록된 것이다. RAM(203)은, 기억 수단의 일례로서, CPU 버스(26)에 접속되어 있고, 통신처의 표시 장치(401이나 402) 등과 안테나(501, 502)의 대응 관계를 나타내는 안테나 선택 정보 D1을 기억하도록 이루어진다. RAM(203)은, 각종 처리에서 얻어진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기억 유지하는 것 등과 같이, 주로 각종 처리의 작업 영역으로서 이용되는 것이다.
이 예에서는, 안테나 선택 정보 D1이 2개의 안테나(501 또는 502) 중 어느 한쪽을 선택하는 정보로 된다. 안테나 선택 정보 D1에는, 각각의 지향성 패턴에 따른 통신 에리어 내에 존재하는 통신처의 표시 장치(401이나 402) 등의 ID 정보가 대응되어, 안테나 테이블이 구성되어 있다. 이 안테나 테이블에 의해, 각각의 지향성 패턴에 따른 통신 에리어 내에 존재하는 통신처의 표시 장치(401이나 402) 등에 대한 최적의 안테나(501, 502)를 관리할 수 있다.
안테나 선택 정보 D1은, 최적의 안테나(501, 502)를 사용하여 무선 통신 처리하기 위해 갱신된다. 예를 들면, CPU(201)가 RAM(203)의 내용을 재기입(덧씌우기)하도록 메모리 제어를 실행한다. 이에 의해, 안테나 테이블의 내용이 갱신된다. 통신처의 표시 장치(401이나 402) 등이 해당 지향성 패턴에 따른 통신 에리어로부터 다른 지향성 패턴에 따른 통신 에리어로 이동하는 경우가 상정되기 때문이다. EEPROM(204)은, 소위 불휘발성의 메모리로서, 전원이 꺼져도, 기억 유지한 정보가 소실되지 않고, 예를 들면, 베이스 스테이션(101)의 주 전원이 꺼지기 직전까지 선국하고 있었던 방송 채널의 정보를 기억 유지하고, 전원 투입 후에 있어서는, 전회 전원이 꺼지기 직전까지 선국하고 있었던 채널의 방송 신호를 선국하도록 하는 소위 라스트 채널 메모리 기능을 실현하는 것 등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 베이스 스테이션(101)에 따르면, 옥외에 설치된 텔레비전 방송 수신용의 안테나(111)로부터의 안테나 케이블(12)은, 접속 단자(13)를 통해 베이스 스테이션(101)의 선국부(112)에 접속된다. 이 안테나(111)에 의해 수신된 텔레비전 방송 신호는, 선국부(112)에 공급된다. 선국부(112)에서는, 수신용의 안테나(111)로부터의 텔레비전 방송 신호 중에서, 제어부(200)로부터의 선국 지시 신호에 따른 텔레비전 방송 신호를 선국하고, 이 선국한 텔레비전 방송 신호를 복조부(113)에 공급한다. 복조부(113)는, 이것에 공급된 텔레비전 방송 신호를 복조하고, 복조 후의 신호(텔레비전 프로그램의 신호)를 스위치 회로(114)의 입력단 a에 공급한다.
스위치 회로(114)는, 제어부(200)로부터의 전환 제어 신호에 의해 전환 제어되어, 복조부(113)로부터 입력단 a에 공급되는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신호를 출력할것인지, 혹은, 제어부(200)로부터 입력단 b에 공급되는 신호를 출력할 것인지를 전환한다. 또한, 제어부(200)로부터 스위치 회로(114)에 공급되는 신호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전화선(15)을 통해 베이스 스테이션(101)에 공급되며, 통신용의 모뎀부(210)를 통해 수신한 전자 메일이나 인터넷 등의 소위 홈페이지의 정보 등이다.
또한, 스위치 회로(114)로부터 출력된 신호는, 압축 처리부(115)에 공급된다. 압축 처리부(115)는, 이것에 공급된 신호를 소정의 압축 방식을 이용하여 데이터 압축한다. 이 압축 처리부(115)에서는, 예를 들면, MPEG(Moving Picture Expert Group) 방식이나 Wavelet 방식 등의 데이터 압축 방식을 이용하여, 스위치 회로(114)로부터의 신호를 데이터 압축한다. 압축 처리부(115)에서 데이터 압축된 신호는, 송신 신호 형성부(116)에 공급된다. 송신 신호 형성부(116)는, 사전에 결정된 통신 프로토콜에 준거한 송신 신호를 형성한다. 이 베이스 스테이션(101)에서는, IEEE(Institute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1 방식의 프로토콜, 혹은, 그 발전 프로토콜에 준거한 송신 신호를 형성한다.
송신 신호 형성부(116)에는, 제어 장치를 구성하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50)가 접속되어, 각각의 지향성 패턴에 따른 통신 에리어 내에 존재하는 통신처의 표시 장치(401이나 402) 등을 인식하고, 또한, 해당 통신처의 표시 장치(401이나 402) 등과 안테나(501 또는 502)의 대응 관계를 인식하도록 이루어진다. DSP(50)는, 무선 통신 시에, 해당 표시 장치(401이나 402) 등과 대응하는 안테나(501 또는 502)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여기서 선택 처리된 안테나(501 또는 502)를 사용하여 해당 지향성의 패턴의 방향에 존재하는 표시 장치(401이나 402) 등과 통신 처리를 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DSP(50)는, 통신처의 표시 장치(401이나 402) 등에 대하여 정기적 또는 부정기적으로 통신 에리어 확인용의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이루어진다. 예를 들면, 베이스 스테이션(101) 및 표시 장치(401이나 402) 등의 쌍방의 전원을 온한 경우에, 베이스 스테이션(101)에서는, 각각의 지향성 패턴에 따른 통신 에리어 내에 존재하는 통신처의 표시 장치(401이나 402) 등을 인식하도록 이루어진다. 이에 의해, 최적의 안테나(501, 502)와 해당 표시 장치(401이나 402) 등의 대응 관계를 검지할 수 있다.
DSP(50)에서 디지털 처리된 송신 신호는, 송수신 수단(3)에 공급된다. 송수신 수단(3)은, 송신 처리부(117S), 공용부(117K) 및 수신 처리부(117R)를 갖고 있다. DSP(50)로부터의 송신 신호는, 송신 처리부(117S)에 공급된다. 송신 처리부(117S)는, 제어부(200)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 송신 신호의 변조 처리나 증폭 처리를 행한다. 송신 처리부(117S)에서는, 예를 들면, 통신처의 표시 장치(401이나 402) 등에 기준 신호 SR이나, 접속 응답 신호 SA, 데이터 DOUT 등을 송신 처리한다.
송신 처리부(117S)에서 처리된 송신 신호는, 공용부(117K)에 출력된다. 공용부(117K)는, DSP(50)로부터 출력되는 송수신 전환 신호 S2에 기초하여 송신 신호 Tx의 출력 또는 수신 신호 Rx의 입력을 전환하도록 이루어진다. 이것은, 송신 신호 Tx와 수신 신호 Rx가 서로 간섭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즉, 이 베이스 스테이션(101)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표시 장치(401이나 402) 등으로부터 무선 송신되는 지시 정보 등을 안테나(501, 502)를 통해 수신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따라서, 공용부(117K)는, 송신 처리부(117S)로부터의 송신 신호 Tx가, 안테나(501 또는 502)를 통해 수신되는 수신 신호 Rx에 대하여 간섭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공용부(117K)에는, 안테나 전환기(2)가 접속되어 있다. 안테나 전환기(2)의 공통 접점 c는, 공용부(117K)의 공통점 n에 접속된다.
안테나 전환기(2)는, 안테나 선택 신호 S1에 기초하여 안테나(501, 502)를 전환하도록 이루어진다. 안테나 선택 신호 S1은, DSP(50)로부터 공급된다. 안테나 전환기(2)에는, 안테나(501, 502)가 접속되어 있다. 안테나(501 및 502)에는, 다이버시티 안테나가 사용된다. 안테나(501)는, 예를 들면, 베이스 스테이션(101)의 장치 본체 내부 전면측에 부착되어, 그 전면 방향으로 지향성 패턴을 갖고 있다. 안테나(502)는, 그 장치 본체 내부 배면측에 부착되어, 그 배면 방향으로 지향성 패턴을 갖고 있다. 안테나(501 또는 502)를 통해 수신한 표시 장치(401이나 402) 등으로부터의 예를 들면, 선국 지시 등의 신호는, 공용부(117K)를 통해 수신 처리부(117R)에 공급된다. 수신 처리부(117R)에서는, 통신처의 표시 장치(401이나 402) 등으로부터의 접속 요구 신호 SC를 수신 처리하도록 이루어진다. 수신 처리부(117R)는, 이것에 공급된 신호를 복조하는 등의 처리를 행하여, 제어부(200)가 취급할 수 있는 신호로 하며, 이 신호를 제어부(200)에 공급한다. 제어부(200)는, 수신 처리부(117R)로부터의 신호가, 선국 지시 등의 지시 신호일 때에는, 그 지시 신호에 따라 각 부를 제어한다. 따라서, 수신 처리부(117R)로부터 제어부(200)에 공급된 신호가, 선국 지시이었던 경우에는, 제어부(200)는, 공급된 선국 지시에 따른 선국 지시 신호를 선국부(112)에 공급하여, 선국하는 텔레비전 방송 신호를 바꿀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수신 처리부(117R)로부터 제어부(200)에 공급된 신호가, 전자 메일 등의 송신 정보이었던 경우에, 제어부(20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모뎀부(210) 및 전화선(15)을 통해, 전화 회선을 접속하고, 송신 정보를 접속한 전화 회선에 송출하여, 목적으로 하는 상대편에 송신한다. 모뎀부(210)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터페이스(도 8에서는 I/F로 기재)부(211)와, 통신부(212)로 이루어져 있다. I/F부(211)는, 상대편과 베이스 스테이션(101) 사이에 전화망을 통해 접속되는 통신 회선과, 이 베이스 스테이션(101) 사이의 인터페이스로서, 전화 회선(전화선(15))을 통해 송신되어 오는 신호를 수신하거나, 베이스 스테이션(101)으로부터의 신호를 송신하기도 한다. 전화선(15)은, 접속 단자(14)를 통해 옥내에 인입된다.
통신부(212)는, I/F 회로(211)를 통해 수신한 신호를 복조하여, 이것을 제어부(200)에 공급하거나, 제어부(200)로부터의 송신 신호를 변조하여, 이것을 I/F 회로(211)에 공급한다. 이에 의해, 전화 회선이 접속된 상대편과의 사이에서, 각종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할 수 있도록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 베이스 스테이션(101)에서는, 모뎀부(210), 전화선(15), 및, 소정의 ISP(Internet Service Provider)를 통해 인터넷에 접속하고, 인터넷을 통해 각종 정보의 제공을 받도록 이루어진다. 이 예에서는, 전자 메일을 수신하거나 송신하거나, 혹은, 채팅을 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 때문에, 제어부(200)는, 모뎀부(210)를 제어하여, 오프훅하거나 온훅하거나 할 수 있음과 함께, 오프훅하도록 모뎀부(210)를 제어하였을 때에는, 다이얼 신호를 전화선(15)에 송출하도록 하는 소위 다이얼러로서의 기능 등도 구비한 것이다. 또한, 도 8에서, 제어부(200)에는, 전원의 온/오프 키나 각종 설정 키가 설치된 키 입력부(215)가 접속되어 있고, 베이스 스테이션(101)의 주 전원의 온/오프나, 각종 설정 입력이, 이 키 입력부(215)를 통해 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베이스 스테이션(101)에서는, 텔레비전 방송 신호를 수신, 선국하여 복조하고, 이 복조한 텔레비전 방송 프로그램의 신호를 데이터 압축하여, 소정의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무선 송신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전화 회선을 통해 제공되는 네트워크 정보를 수신하여 복조하고, 이것을 텔레비전 방송 신호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데이터 압축하여, 소정의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무선 송신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베이스 스테이션(101)은, 후술하는 표시 장치(401이나 402) 등으로부터 무선 송신되어 오는 선국 지시 등의 지시 정보를 수신하고, 그 정보에 따른 처리를 행하거나, 표시 장치(401이나 402) 등으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전자 메일 등의 송신 정보를, 모뎀부(210)를 통해 송신할 수 있는 것이다.
[표시 장치]
도 9에 도시한 표시 장치(401이나 402) 등은, 휴대 단말기 표시 장치를 구성하고, 상술한 베이스 스테이션(101)과 무선 접속되는 것이다. 표시 장치(401이나 402) 등은, CPU(301), ROM(302), RAM(303) 및, EEPROM(304)을 CPU 버스(305)를 통해 접속하여 구성된 마이크로컴퓨터의 제어부(300)에 의해 제어하도록 된다. CPU 버스(305)에는, 이 제어부(300) 외에, 송수신 무선부(122), 신장 처리부(123), 송신 신호 형성부(128), 키 입력부(329) 및 터치 패널(351)이 접속되어 있다. 송수신 무선부(122)는, 공용부(122K), 송신 처리부(122S) 및 수신 처리부(122R)를 갖고 있다. 신장 처리부(123)에는, 화상 신호 처리부(124) 및 음성 신호 처리부(126)가 접속되어 있다.
CPU 버스(305)에 접속된 ROM(302)에는, 이 표시 장치(401이나 402) 등에서 실행하는 각종 처리 프로그램이나 처리에 필요한 데이터 등이 기록된 것이다. RAM(303)은, 각종 처리에서 얻어진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기억 유지하는 것 등과 같이, 주로 각종 처리의 작업 영역으로서 이용되는 것이다. EEPROM(304)은, 소위 불휘발성의 메모리로서, 전원이 꺼져도, 기억 유지한 정보가 소실되지 않고, 예를 들면, 각종 설정 파라미터나, 작성한 전자 메일이나 수신한 전자 메일, 채팅의 내용(텍스트 데이터) 등을 기억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 시스템에서 베이스 스테이션(101)으로부터의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표시 장치(401이나 402) 등은,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베이스 스테이션(101)으로부터의 소정의 통신 프로토콜에 준거한 무선 신호(기준 신호 SR 등)는, 도 9에 도시한 송수신용의 안테나(121)에 의해 수신되어, 공용부(122K)를 통해 수신 처리부(122R)에 공급된다. 수신 처리부(122R)는, 이것에 공급된 신호를 복조하는 등의 처리를 행하여, 복조 후의 신호를 신장 처리부(123)에 공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베이스 스테이션(101)에서 무선 송신하는 신호는, 데이터 압축하여 송신되어 오기 때문에, 표시 장치(401이나 402) 등의 신장 처리부(123)는, 베이스 스테이션(101)으로부터의 변조된 신호를 신장하여 원래의 신호를 복원한다. 그리고, 복원한 신호가 예를 들면, 텔레비전 방송 프로그램의 신호인 경우에는, 복원된 신호는, 화상 신호와 음성 신호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화상 신호는, 화상 신호 처리부(124)에 공급되며, 음성 신호는, 음성 신호 처리부(126)에 공급된다.
화상 신호 처리부(124)는, 신장 처리부(123)로부터의 화상 신호로부터 표시용 신호를 형성하고, 이것을 터치 패널 방식의 LCD(125)에 공급한다. 이에 의해, LCD(125)에는, 베이스 스테이션(101)으로부터 무선 송신되어 온 화상 신호에 따른 화상이 표시된다. 한편, 음성 신호 처리부(126)는, 이것에 공급된 음성 신호로부터 스피커(127)에 공급하는 음성 신호를 형성하고, 이것을 스피커(127)에 공급한다. 스피커(127)는, 음성 신호 처리부(126)에 접속되어 있다. 이에 의해, 스피커(127)로부터는, 베이스 스테이션(101)으로부터 무선 송신되어 온 음성 신호에 따른 음성이 방음(防音)된다. 이와 같이, 표시 장치(401이나 402) 등은, 베이스 스테이션(101)으로부터 무선 송신되어 오는 텔레비전 방송 프로그램 등의 신호를 수신하고, 그 수신한 신호의 화상 신호나 음성 신호를 재생하여 출력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계속해서, 본 발명에 따른 무선 LAN 통신 방법에 대하여, 해당 무선 LAN 시스템(100)에서의 표시 장치 인식 시 및 무선 데이터 송신 시의 처리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예에서는, 베이스 스테이션(101)에서의 처리예 및, 표시 장치(401이나 402) 등에서의 처리예의 2개로 나누어 설명을 한다.
[베이스 스테이션측]
제2 실시예에서는, 통신처의 표시 장치(401이나 402) 등과 임의로 무선 통신 처리를 하는 경우에, 장치 본체(11)의 전면 방향으로 지향성 패턴을 갖는 안테나(501)와, 그 배면 방향으로 지향성 패턴을 갖는 안테나(502)를 베이스 스테이션(101)에 구비함과 함께, 각각의 지향성 패턴 패턴에 의한 통신 에리어 내에 무선 통신 가능한 통신처의 2대의 표시 장치(401이나 402)가 사전에 준비된다. 이러한 지향성 패턴이 서로 다른 2개의 안테나(501, 502)가 구비되는 경우로서, 베이스 스테이션(101)은, 표시 장치 인식 시에, 안테나(501, 502)의 쌍방으로부터 교대로 해당 지향성 패턴 내의 통신처의 표시 장치(401 및 402)에 기준 신호를 송신한다. 또한, 통신처의 표시 장치(401 및 402)의 위치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 장치(401)가 안테나(501)의 지향성의 패턴의 방향에, 표시 장치(402)가 안테나(502)의 지향성의 패턴의 방향에 존재하고 있는 경우를 상정한다. 각각의 표시 장치(401 및 402)의 각각의 전원은 온되어 있다.
이것을 처리 조건으로 하여, 도 10에 도시한 플로우차트의 단계 B1에서 베이스 스테이션(101)의 전원을 온한다. 그 후, 단계 B2로 이행하여 도 4에 도시한 안테나(501)의 지향성 패턴에 따른 통신 에리어 내에 존재하는 통신처의 표시 장치 #1에 기준 신호 SR이 송신된다(도 3의 ① 참조). 이에 이어, 안테나(502)의 지향성 패턴에 따른 통신 에리어 내에 존재하는 통신처의 표시 장치(402)에 기준 신호 SR이 송신된다(도 3의 ② 참조).
그 후, 단계 B3에서 베이스 스테이션(101)에서는, 안테나(501 및 502)의 각각의 지향성 패턴에 따른 통신 에리어 내에 존재하는 통신처의 표시 장치(401이나 402) 등을 인식하도록 이루어진다. 이 때, 안테나(501)로부터의 기준 신호 SR을 받은 표시 장치(401)는, 접속 요구 신호 SC를 베이스 스테이션(101)에 송신하고, 그 무선 통신 회선의 접속 요구를 통지한다. 베이스 스테이션(101)은, 표시 장치(401)로부터의 접속 요구 신호 SC를 수신한다(도 3의 ③ 참조).
다음으로, 여기서 인식된 통신처의 표시 장치(401)와 안테나(501)의 대응 관계를 단계 B4에서 기억 처리한다. 이 때, 표시 장치(401)로부터의 접속 요구 신호 SC를 받은 베이스 스테이션(101)은, CPU(201)에 의해 RAM(203)의 안테나 테이블에 표시 장치(401)의 단말기 ID로서 예를 들면, 「#1」을 기술하고, 최적 안테나로서 「ANT1」을 등록(설정)한다. 여기서, 단말기 ID=「#1」의 표시 장치(401)를 표시 장치(401[#1])로 기술한다. 이에 의해, 안테나 설정 정보 D1이 기억된다.
또한, 베이스 스테이션(101)은, 단계 B5로 이행하여, 표시 장치(401[#1])에 대하여 안테나(501)를 사용하여 접속 응답 신호 SA를 송신한다(도 3의 ④ 참조). 그리고, 표시 장치(401[#1])와 베이스 스테이션(101)을 접속하고, 그 사이의 무선 통신 회선을 확립하도록 이루어진다. 그 후, 단계 B6으로 이행하여 다른 안테나에 대하여 상술한 처리를 하였는지가 판별된다. 이 때의 판별은, 해당 베이스 스테이션(101)에 2개의 안테나(501 및 502)가 부착되기 때문에, 단계 B3 내지 B5에서 안테나(501)에 관계되는 처리와, 안테나(502)에 관계되는 처리를 실행하였는지를 검출함으로써 판별의 기준으로 된다. 따라서, 상술한 처리를 해야 할 다른 안테나가 있는 경우에는, 단계 B3으로 되돌아가서, 이번에는, 안테나(502)에 대하여, 그 지향성 패턴에 따른 통신 에리어 내에 존재하는 통신처의 다른쪽의 표시 장치(402)를 인식하도록 이루어진다. 이 때, 앞서 안테나(502)로부터 기준 신호 SR을 받은 다른쪽의 표시 장치(402)에서는, 접속 요구 신호 SC를 베이스 스테이션(101)에 송신하고, 그 무선 통신 회선의 접속 요구를 통지한다. 베이스 스테이션(101)은, 다른쪽의 표시 장치(402)로부터의 접속 요구 신호 SC를 수신한다(도 3의 ⑤ 참조).
이 통지를 받은 베이스 스테이션(101)에서는, 단계 B4로 이행하여 제어 장치(5)에 의해 안테나 테이블에 다른쪽의 표시 장치(402)의 단말기 ID로서 「#2」를 추가하고, 최적의 안테나체로서 「ANT2」를 설정한다. 이에 의해, 안테나 설정 정보 D1이 기억된다. 여기서, 단말기 ID=「#2」의 표시 장치(402)를 표시 장치(402[#2])로 기술한다. 또한, 단계 B5로 이행하여 표시 장치(402[#2])에 대하여 접속 응답 신호 SA를 안테나(502)로부터 송신하여 표시 장치(402[#2])와 베이스 스테이션(101)을 접속하고 그 사이의 무선 통신 회선을 확립한다(도 3의 ⑥ 참조). 표 2는, 2대의 표시 장치(401, 402)의 단말기 ID와, 이들의 최적의 안테나체 「ANT1」, 「ANT2」와의 관계예를 나타내고 있다. 제2 실시예의 안테나 테이블은, 표 2에 기초하여 작성된다.
안테나 테이블
표시 장치 ID 안테나
#1 ANT1
#2 ANT2
이러한 안테나(501 및 502)에 대하여, 상술한 처리를 해야 할 안테나가 없는 경우에는, 단계 B7로 이행하여, 베이스 스테이션(101)에서는, 데이터를 무선 송신할지가 판별된다. 이 때의 판별에서는, 해당 베이스 스테이션(101)으로부터 표시 장치(401[#1]) 또는 표시 장치(402[#2])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커맨드 등을 검출함으로써 판별의 기준으로 된다. 따라서, 데이터를 송신하는 경우에는, 단계 B8로 이행하여 데이터를 송신하는 통신처의 표시 장치(401이나 402) 등과 대응하는 안테나(501 또는 502)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도록 이루어진다.
[베이스 스테이션(101)으로부터 표시 장치(401[#1])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경우]
이 경우에는, 도 10에 도시한 플로우차트의 단계 B8에서 베이스 스테이션(101)에 의해 안테나 테이블이 참조되어, 표시 장치(401[#1])에 대한 최적의 안테나체인 「ANT1」을 선택한다. 그리고, 안테나 선택 정보 D1에 기초하여 안테나 선택 신호 S1을 안테나 전환기(2)에 출력한다. 이 결과, 안테나(501)에 접속된 접점 a1이 공용부(117K)에 접속된다. 여기서 접속된 안테나(501)를 사용하여 단계 B9에서 해당 지향성의 패턴의 방향에 존재하는 표시 장치(401[#1])에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하여 통신 처리를 실행하도록 이루어진다(도 3의 ⑦ 참조). 그 후, 단계 B12로 이행한다.
또한, 표시 장치(401[#1])로부터 베이스 스테이션(101)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경우에는, 베이스 스테이션(101)에서는, 송신 처리 이외에는, 단계 B11로 이행하여 안테나 전환기(2)를 주사하여 입력을 대기하고 있다. 예를 들면, 도 11에 도시한 서브 루틴을 콜하여 그 단계 C1에서 안테나(501, 502)의 입력 주사 처리를 한다. 이 때, 공용부(117K)에서는, 수신 신호 Rx를 입력하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단계 C2로 이행하여 접속 요구 신호 SC를 수신하였는지가 체크된다. 접속 요구 신호 SC를 수신하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C1로 되돌아가서 입력 주사 처리가 계속된다.
표시 장치(401[#1]이나 402[#2]) 등으로부터의 접속 요구 신호 SC를 수신한 경우에는, 단계 C3으로 이행하여 안테나(501 및 502) 중 어느 쪽이 수신 전파가 강한지를 판별하여, 수신 전파가 강한 쪽의 안테나(501 또는 502)를 선택한다. 안테나(501)에 의한 수신 전파가 강한 경우에는, 단계 C4로 이행하여 표시 장치(401[#1]이나 402[#2]) 등의 단말기 ID를 확인한다. 이 경우에는, 표시 장치(401[#1])의 단말기 ID=「#1」이 확인된다. 그리고, 단계 C5로 이행하여 접속 응답 신호 SA를 표시 장치(401[#1])에 송신하였는지가 체크된다. 표시 장치(401[#1])에 접속 응답 신호 SA를 송신한 경우에는, 단계 C6으로 이행하여 안테나(501)를 사용하여 표시 장치(401[#1])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한다. 그 후, 단계 C7로 이행하여 데이터를 전부 수신하였는지가 체크된다. 데이터를 전부 수신하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C6으로 되돌아가서 수신이 계속된다. 데이터를 전부 수신한 경우에는, 도 10에 도시한 플로우차트의 단계 B10으로 리턴한다.
또한, 단계 C3에서 안테나(502)쪽이 수신 전파가 강한 경우에는, 단계 C8로 이행하여 표시 장치(401[#1]이나 402[#2]) 등의 단말기 ID를 확인한다. 이 예에서는, 표시 장치(402[#2])의 단말기 ID=「#2」가 확인된다. 그리고, 단계 C9로 이행하여 접속 응답 신호 SA를 표시 장치(402[#2])에 송신하였는지가 체크된다. 표시 장치(402[#2])에 접속 응답 신호 SA를 송신한 경우에는, 단계 C10으로 이행하여 안테나(502)를 사용하여 표시 장치(402[#2])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한다.
그 후, 단계 C11로 이행하여 데이터를 전부 수신하였는지가 체크된다. 데이터를 전부 수신하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C10으로 되돌아가서 수신이 계속된다. 데이터를 전부 수신한 경우에는, 도 10에 도시한 플로우차트의 단계 B10으로 리턴한다. 이에 의해, 통신처의 표시 장치(401[#1]이나 402[#2]) 등으로부터의 수신 전파가 가장 강한 안테나(501이나 502) 등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이루어진다(도 3의 ⑧ 참조).
표시 장치(401[#1])가 안테나(502)의 지향성 패턴에 따른 통신 에리어로 이동하고 있는 경우에는, 표시 장치(401[#1])로부터의 수신 전파가 안테나(502)에 의해 가장 강하게 수신되기 때문에, 이 안테나(502)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함께, 기억 수단(4)에서는, DSP(50)의 메모리 제어를 받아, 표시 장치(401[#1])의 최적의 안테나체가 안테나(502)인 취지의 안테나 선택 정보 D1을 재기입하도록 이루어진다.
[베이스 스테이션(101)으로부터 표시 장치(402[#2])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경우]
이 경우에도, 도 10에 도시한 플로우차트의 단계 B7에서 베이스 스테이션(101)의 CPU(201)에 의해 RAM(203)의 안테나 테이블이 참조되어, 표시 장치(402[#2])에 대한 최적의 안테나체인 「ANT2」를 선택하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안테나 선택 정보 D1에 기초하여 안테나 선택 신호 S1을 안테나 전환기(2)에 출력한다. 이 결과, 안테나(502)에 접속된 접점 b1이 공용부(117K)에 접속된다. 여기서 접속된 안테나(502)를 사용하여 단계 B9에서 해당 지향성 패턴의 통신 에리어 내에 존재하는 표시 장치(402[#2])에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하여 통신 처리를 실행하도록 이루어진다(도 3의 ⑨ 참조). 그 후, 단계 B11로 이행한다.
또한, 표시 장치(402[#2])가 베이스 스테이션(101)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경우에는, 도 1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통신처의 표시 장치(402[#2])로부터의 수신 전파가 가장 강한 안테나(502)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이루어진다. 그 후, 단계 B11로 이행한다. 단계 B11에서는, 해당 통신 처리를 종료할지가 체크된다. 예를 들면, 전원 오프 정보를 검출하여 해당 통신 처리를 종료한다. 해당 통신 처리를 종료하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B6으로 되돌아가서 데이터를 송신할지가 체크되며, 상술한 처리를 반복하도록 이루어진다.
[표시 장치측]
이 예에서는, 표시 장치 인식 시에, 베이스 스테이션(101)으로부터 기준 신호 SR을 수신한 경우에는, 접속 요구 신호 SC를 베이스 스테이션(101)에 송신하고, 데이터 송신 시에도, 베이스 스테이션(101)에 접속 요구 신호 SC를 송신하는 경우를 전제로 한다. 이것을 처리 조건으로 하여, 도 12A에 도시한 플로우차트의 단계 E1에서 전원을 온한 후, 단계 E2로 이행하여 기준 신호 SR의 수신이 대기된다. 기준 신호 SR을 수신한 경우에, 단계 E3으로 이행하여 접속 요구 신호 SC를 베이스 스테이션(101)에 송신한다. 그 후, 단계 E4로 이행하여 접속 응답 신호 SA의 수신이 대기된다.
이 접속 응답 신호 SA를 수신한 경우에는, 단계 E5로 이행하여 데이터의 수신이 대기된다. 예를 들면, 베이스 스테이션(101)에서 수신한 전자 메일이나, 채팅의 내용(텍스트 데이터) 등의 데이터를 수신한 경우, 단계 E6으로 이행하여 수신 데이터가 RAM(302) 또는 EEPROM(304)에 저장된다. 그 후, 단계 E7로 이행하여 회신용의 전자 메일의 작성 등의 데이터 처리가 이루어지며, 도 12B의 플로우차트의 단계 E8로 이행하여 데이터 처리를 종료하였는지가 체크된다. 데이터 처리를 종료하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E7로 되돌아가서 데이터 처리가 계속된다.
이 데이터 처리가 종료된 경우에는, 단계 E9로 이행하여 회신용의 전자 메일 등의 데이터 처리의 결과 등을 베이스 스테이션(101)에 송신할지가 체크된다. 데이터 처리의 결과를 베이스 스테이션(101)에 송신하는 경우에는, 단계 E10으로 이행하여 베이스 스테이션(101)에 접속 요구 신호 SC를 송신하고, 단계 E11에서 베이스 스테이션(101)으로부터의 접속 응답 신호 SA를 대기한다.
베이스 스테이션(101)으로부터 접속 응답 신호 SA를 수신한 경우에는, 단계 E12로 이행하여 전자 메일이나, 채팅의 내용 등의 데이터를 베이스 스테이션(101)에 송신한다. 그 후, 단계 E13으로 이행하여 해당 통신 처리를 종료할지가 체크된다. 예를 들면, 전원 오프 정보를 검출하여 해당 통신 처리를 종료한다. 해당 통신 처리를 종료하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E7로 되돌아가서 데이터 처리를 계속하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에서의 무선 LAN 시스템(100)에 따르면, 무선 기지국으로서의 베이스 스테이션(101)과 2대의 표시 장치(401[#1]이나 402[#2]) 등과의 사이에서 무선 통신 처리를 하는 경우에, 베이스 스테이션(101)에서는, 정기적 또는 부정기적으로 안테나(501, 502)의 각각의 지향성 패턴에 따른 통신 에리어 Ⅰ, Ⅱ 내에 존재하는 통신처의 표시 장치(401[#1]이나 402[#2]) 등이 인식 처리되며, 이 통신처의 표시 장치(401[#1]이나 402[#2]) 등과 안테나(501 또는 502)의 대응 관계가 RAM(203)에 안테나 테이블로서 기억 처리된다. 무선 데이터 송신 시에는, 이 안테나 테이블에 기초하여 해당 표시 장치(401[#1]이나 402[#2]) 등과 대응하는 안테나(501 또는 502)를 선택 처리하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해당 표시 장치(401[#1]이나 402[#2]) 등과 대응하는 최적의 안테나(501 또는 502)를 항상 선택할 수 있기 때문에, 최적의 안테나(501 또는 502)를 사용하여 해당 지향성 패턴에 따른 통신 에리어 내에 존재하는 표시 장치(401[#1]이나 402[#2]) 등과의 사이에서 무선 통신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종래 방식에 비해, 통신 내용이 도중에서 끊기지 않아, 최적으로 무선 통신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무선 통신 품질이 높은 무선 LAN 시스템(100)을 구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2.4㎓대나 5.2㎓대 등을 이용한 무선 LAN 시스템 및 기지국용의 무선 통신 장치(액세스 포인트)에 적용하기에 매우 바람직하다.

Claims (21)

  1. 무선 기지국과 임의의 무선 단말 장치 사이에서 무선 통신 처리를 하는 시스템으로서,
    소정의 방향으로 지향성 패턴을 갖는 복수의 안테나체를 구비한 기지국용의 무선 통신 장치와,
    상기 기지국용의 무선 통신 장치에 대하여 무선 통신 가능한 통신처로 되는 무선 단말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기지국용의 무선 통신 장치는,
    정기적 또는 부정기적으로 상기 안테나체의 각각의 지향성 패턴의 통신 에리어 내에 존재하는 통신처의 무선 단말 장치를 인식 처리하고,
    상기 통신처의 무선 단말 장치와 상기 안테나체의 대응 관계를 기억 처리하며,
    무선 통신 시에는,
    기억 처리에 기초하는 해당 무선 단말 장치와 대응하는 안테나체를 선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기지국용의 무선 통신 장치는,
    소정의 방향으로 지향성 패턴을 갖는 복수의 안테나체와,
    상기 안테나체의 각각의 지향성 패턴에 따른 통신 에리어 내에 존재하는 통신처의 무선 단말 장치를 인식하며, 또한, 해당 통신처의 무선 단말 장치와 상기 안테나체의 대응 관계를 인식하는 제어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 장치는,
    무선 통신 시에,
    해당 무선 단말 장치와 대응하는 안테나체를 선택 처리하며,
    선택 처리된 상기 안테나체를 사용하여 해당 지향성 패턴에 따른 통신 에리어 내에 존재하는 무선 단말 장치와 통신 처리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용의 무선 통신 장치의 소정의 지향성 패턴에 따른 통신 에리어 내에 상기 통신처의 무선 단말 장치가 배치되거나, 또는 상기 통신처의 무선 단말 장치가 해당 지향성 패턴의 통신 에리어간을 이동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용의 무선 통신 장치에는,
    상기 통신처의 무선 단말 장치와 상기 안테나체의 대응 관계를 나타내는 안테나 선택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장치에서는,
    상기 안테나 선택 정보를 갱신하도록 상기 기억 수단을 메모리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장치에서는,
    상기 통신처의 무선 단말 장치에 대하여 정기적 또는 부정기적으로 통신 에리어 확인용의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기지국용의 무선 통신 장치에, 지향성 패턴이 서로 다른 2개의 안테나체가 구비되고,
    상기 무선 통신 장치는,
    상기 안테나체의 쌍방으로부터 교대로 해당 지향성 패턴에 따른 통신 에리어 내의 통신처의 무선 단말 장치에 기준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용의 무선 통신 장치에서는,
    무선 송신 시 이외에는, 상기 안테나체의 입력을 주사 처리하여 수신 대기하고,
    상기 통신처의 무선 단말 장치로부터의 수신 전파가 가장 강한 안테나체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9. 통신처의 무선 단말 장치와 임의로 무선 통신 처리를 하는 장치로서,
    소정의 방향으로 지향성 패턴을 갖는 복수의 안테나체와,
    상기 안테나체의 각각의 지향성 패턴에 따른 통신 에리어 내에 존재하는 통신처의 무선 단말 장치를 인식하고, 또한, 해당 통신처의 무선 단말 장치와 상기 안테나체의 대응 관계를 인식하는 제어 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제어 장치는,
    무선 통신 시에,
    해당 무선 단말 장치와 대응하는 안테나체를 선택 처리하고,
    선택 처리된 상기 안테나체를 사용하여 해당 지향성 내에 존재하는 무선 단말 장치와 통신 처리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처의 무선 단말 장치와 상기 안테나체의 대응 관계를 나타내는 안테나 선택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안테나 선택 정보를 갱신하도록 상기 기억 수단을 메모리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통신처의 무선 단말 장치에 대하여 정기적 또는 부정기적으로 통신 에리어 확인용의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장치.
  13. 제9항에 있어서,
    적어도, 지향성이 서로 다른 2개의 상기 안테나체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안테나체의 쌍방으로부터 교대로 해당 지향성 내의 통신처의 무선 단말 장치에 기준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장치.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에서는,
    무선 송신 시 이외에는, 상기 안테나체의 입력을 주사 처리하여 수신 대기하고,
    상기 통신처의 무선 단말 장치로부터의 수신 전파가 가장 강한 안테나체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장치.
  15. 통신처의 무선 단말 장치와 임의로 무선 통신 처리를 하는 방법으로서,
    소정의 방향으로 지향성 패턴을 갖는 복수의 안테나체를 기지국용의 무선 통신 장치에 구비함과 함께, 임의의 상기 지향성 패턴에 따른 통신 에리어 내에 무선 통신 가능한 통신처의 무선 단말 장치를 준비하고,
    상기 기지국용의 무선 통신 장치에서는,
    정기적 또는 부정기적으로 상기 안테나체의 각각의 지향성 패턴에 따른 통신 에리어 내에 존재하는 통신처의 무선 단말 장치를 인식하고,
    인식된 상기 통신처의 무선 단말 장치와 상기 안테나체의 대응 관계를 기억하며,
    무선 송신 시에는,
    해당 무선 단말 장치와 대응하는 안테나체를 선택하고,
    선택된 상기 안테나체를 사용하여 해당 지향성 내에 존재하는 무선 단말 장치와 통신 처리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용의 무선 통신 장치의 소정의 지향성 패턴에 따른 통신 에리어 내에 상기 통신처의 무선 단말 장치를 배치하거나, 또는 상기 통신처의 무선 단말 장치를 해당 지향성 패턴에 따른 통신 에리어간을 이동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처의 무선 단말 장치와 상기 안테나체의 대응 관계를 나타내는 안테나 선택 정보를 작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선택 정보를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처의 무선 단말 장치에 대하여 정기적 또는 부정기적으로 통신 에리어 확인용의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20. 제15항에 있어서,
    적어도, 지향성이 서로 다른 2개의 상기 안테나체를 구비하고,
    상기 안테나체의 쌍방으로부터 교대로 해당 지향성 내의 통신처의 무선 단말 장치에 기준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21.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송신 시 이외에는,
    상기 안테나체의 입력을 주사 처리하여 수신 대기하고,
    상기 통신처의 무선 단말 장치로부터의 수신 전파가 가장 강한 안테나체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KR1020057004682A 2002-09-20 2003-09-19 무선 통신 시스템, 무선 통신 장치 및 무선 통신 방법 KR1010745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274978A JP3815414B2 (ja) 2002-09-20 2002-09-20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
JPJP-P-2002-00274978 2002-09-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7449A true KR20050057449A (ko) 2005-06-16
KR101074575B1 KR101074575B1 (ko) 2011-10-17

Family

ID=320250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4682A KR101074575B1 (ko) 2002-09-20 2003-09-19 무선 통신 시스템, 무선 통신 장치 및 무선 통신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60154678A1 (ko)
EP (1) EP1551116A4 (ko)
JP (1) JP3815414B2 (ko)
KR (1) KR101074575B1 (ko)
CN (2) CN101867404A (ko)
WO (1) WO200402804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78643A1 (en) * 2003-10-14 2005-04-14 Archiable Donald Paul Pvlan
AU2004286274A1 (en) * 2003-10-28 2005-05-12 Mcneil-Ppc, Inc. Dispensing device for liquid sweetener
JP4542913B2 (ja) * 2005-02-03 2010-09-15 Okiセミコンダクタ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
JPWO2009144930A1 (ja) * 2008-05-27 2011-10-0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
KR101416599B1 (ko) * 2010-07-05 2014-07-09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측위용 액세스 포인트를 이용한 위치 측위 방법과 그를 위한 장치, 시스템 및 액세스 포인트
WO2012160826A1 (ja) * 2011-05-25 2012-11-29 日本電気株式会社 無線伝送システム、無線伝送方法、無線通信装置
CN108471326B (zh) * 2018-03-01 2021-02-02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天线切换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CN111464222B (zh) * 2020-03-13 2023-06-13 浙江大华技术股份有限公司 发射信号的接收方法、装置、设备、计算机可读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200518C (en) * 1996-03-21 2000-11-14 Etsuhiro Nakano Cdma mobile communication scheme with effective use of sector configuration
JP2000232456A (ja) * 1999-02-09 2000-08-22 Kokusai Electric Co Ltd 無線データ通信システム
JP2000232458A (ja) * 1999-02-09 2000-08-22 Kokusai Electric Co Ltd 無線データ通信システム
AU2001226986A1 (en) * 2000-01-18 2001-07-31 Nortel Networks Limited Multi-beam antenna system for high speed data
JP4493143B2 (ja) * 2000-02-16 2010-06-30 マスプロ電工株式会社 無線lan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74575B1 (ko) 2011-10-17
US20060154678A1 (en) 2006-07-13
JP2004112619A (ja) 2004-04-08
JP3815414B2 (ja) 2006-08-30
CN1695323A (zh) 2005-11-09
CN101867404A (zh) 2010-10-20
EP1551116A4 (en) 2012-04-18
WO2004028040A1 (ja) 2004-04-01
EP1551116A1 (en) 2005-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47525B2 (en) System and method for receiving and transmitting information in a multipath environment
US8831697B2 (en) Method of controlling a plurality of internal antennas in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JP3645948B2 (ja) アンテナ構造とそれを内蔵した無線通信装置
JP3670541B2 (ja) 無線通信端末および無線通信方法
US20040185904A1 (en) Base station apparatus of which installation is facilitated
CN101507128A (zh) 无线通信装置
JP3513058B2 (ja) 携帯端末装置
KR101074575B1 (ko) 무선 통신 시스템, 무선 통신 장치 및 무선 통신 방법
JP2001292017A (ja) 携帯電話装置
US8155607B2 (en) Antenna apparatus of portable terminal
EP1608078B1 (en) Antenna Module
CN1358340A (zh) 具有有源元件和反射器的天线组件
WO2003105355A1 (ja) 通信装置
CN1132455C (zh) 本地无线服务
US20050277436A1 (en) Method of enabling a dual band handset having both PHS and GSM arrangements to be ready to receive a call in standby
JP2003338783A (ja) アンテナ装置
US20120142396A1 (en) Antenna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JP2003309500A (ja) 通信システム、中継装置、その方法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JPH10145273A (ja) 移動体通信制御装置
JP3710761B2 (ja) 無線通信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
JP5093988B2 (ja) 無線機
JPH0878949A (ja) 小形無線機
CN118157717A (zh) 一种cpe蜂窝天线的切换方法及系统
JP3120809B2 (ja) 移送通信システムのハンドオフ方法及び移動端末
JP2001095037A (ja) 移動通信システムのハンドオフ方法、移動受信機、基地局及び交換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