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57435A - 부직포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부직포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57435A
KR20050057435A KR1020057004652A KR20057004652A KR20050057435A KR 20050057435 A KR20050057435 A KR 20050057435A KR 1020057004652 A KR1020057004652 A KR 1020057004652A KR 20057004652 A KR20057004652 A KR 20057004652A KR 20050057435 A KR20050057435 A KR 200500574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ber
nonwoven fabric
component
polymer
fi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46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토시오 코바야시
Original Assignee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574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7435A/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3/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 D04H3/0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orming fleeces or layers, e.g. reorientation of yarns or filament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326Condensation or reaction polymers
    • D04H1/4358Polyurethane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1/00Producing crimped or curled fibres, filaments, yarns, or threads, giving them latent characteristics
    • D02G1/18Producing crimped or curled fibres, filaments, yarns, or threads, giving them latent characteristics by combining fibres, filaments, or yarns, having different shrinkage characteristic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282Addition polymers
    • D04H1/4291Olefin seri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326Condensation or reaction polymers
    • D04H1/4334Polyamid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382Stretched reticular film fibres; Composite fibres; Mixed fibres; Ultrafine fibres; Fibres for artificial leather
    • D04H1/43835Mixed fibres, e.g. at least two chemically different fibres or fibre blend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 D04H1/46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by needling or like operations to cause entanglement of fibres
    • D04H1/4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by needling or like operations to cause entanglement of fibres in combination with at least one other method of consolidation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 D04H1/5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by treatment to produce shrinking, swelling, crimping or curling of fibr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7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orming fleeces or layers, e.g. reorientation of fibr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60Nonwoven fabric [i.e., nonwoven strand or fiber material]
    • Y10T442/601Nonwoven fabric has an elastic qualit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60Nonwoven fabric [i.e., nonwoven strand or fiber material]
    • Y10T442/601Nonwoven fabric has an elastic quality
    • Y10T442/602Nonwoven fabric comprises an elastic strand or fiber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60Nonwoven fabric [i.e., nonwoven strand or fiber material]
    • Y10T442/608Including strand or fiber material which is of specific structural defini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60Nonwoven fabric [i.e., nonwoven strand or fiber material]
    • Y10T442/608Including strand or fiber material which is of specific structural definition
    • Y10T442/609Cross-sectional configuration of strand or fiber material is specified
    • Y10T442/61Cross-sectional configuration varies longitudinally along strand or fiber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60Nonwoven fabric [i.e., nonwoven strand or fiber material]
    • Y10T442/637Including strand or fiber material which is a monofilament composed of two or more polymeric materials in physically distinct relationship [e.g., sheath-core, side-by-side, islands-in-sea, fibrils-in-matrix, etc.] or composed of physical blend of chemically different polymeric materials or a physical blend of a polymeric material and a filler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nwoven Fabrics (AREA)
  • Multicomponent Fibers (AREA)

Abstract

탄성적으로 신장하는 부직포(1)가 제1 중합체로 이루어진 탄성적으로 신장할 수있는 제1 섬유(11)와, 제2 중합체로 이루어진 비탄성적으로 신장할 수 있는 제2 섬유(12)에 의해 형성된다. 제2 섬유(12)는 제1 섬유(11)에 복수의 접합 부위(16)에서 접합하고, 제1 섬유(11) 위의 인접한 접합 부위(16)와 접합 부위(16) 사이에서 제1 섬유(11)로부터 분리되어 있다. 접합 부위(16)와 접합 부위(16) 사이에서, 제2 섬유(12)는 1가닥의 제1 섬유(11)에 대하여 1∼16가닥의 비율로 형성되는 동시에, 그 길이가 제1 섬유(11)의 길이보다 길게 만들어진다.

Description

부직포 및 그 제조 방법{NONWOVEN FABRIC AND METHOD FOR PRODUCTION THEREOF}
본 발명은 탄성적으로 신장할 수 있고, 또한 피부에 대하여 미끄러짐이 좋은 부직포와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본 특허 공개 평성 제6-184897호 공보에 기재된 탄성적으로 신장할 수 있는 웹은 탄성적으로 신장할 수 있는 중합체로 이루어진 섬유의 층과, 비탄성적으로 신장할 수 있는 중합체로 이루어진 섬유의 층을 중첩시킴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표 평성 제9-512313호 공보에 기재된 탄성적으로 신장할 수 있는 부직포도 또 탄성적으로 신장할 수 있는 중합체로 이루어진 섬유의 층과, 비탄성적으로 신장할 수 있는 중합체로 이루어진 섬유의 층을 중첩시킨 것이다.
일본 특허 공개 평성 제4-11021호 공보에 기재된 탄성적으로 신장할 수 있는 복합사는 코어 내장형(core-sheath type) 복합 섬유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코어(core)가 되는 섬유는 탄성적으로 신장할 수 있는 우레탄으로 이루어지고, 외피(sheath)가 되는 섬유는 비탄성적으로 신장할 수 있는 폴리아미드로 이루어진다.
일본 특허 공개 평성 제9-316748호 공보에 기재된 신축성 직물은 코어가 탄성 중합체, 외피가 비탄성 중합체로 이루어지고, 연신에 의해 코어와 외피를 분리하며, 외피가 느슨하여 주름상자형의 주름을 형성하고 있는 섬사를 씨실로 사용하고 있다.
일본 특허 제3262803호 공보에는 용융 방사된 다성분 열가소성 연속 섬사, 그것으로 형성된 제품 및 그것을 위한 형성 방법에 관한 발명이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압출기로부터 압출되어 급냉 챔버를 통과한 분할 가능한 다성분 열가소성 섬사가 러지(Lurgi)관으로 진입한다. 러지관에는 압축 공기가 보내지고, 이 관 안에서 섬사가 연신되어 분리된다. 그 후에, 분리된 섬사가 다공성 스크린 등으로 이루어진 수집면에 모여져 부직포를 형성한다.
일본 특허 공개 평성 제9-291454호 공보에는 신축 탄성 부직포에 관한 발명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신축 탄성 부직포가, 결정성 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진 단단한 탄성 성분을 제1 성분으로 하고, 열가소성 탄성 중합체를 제2 성분으로 하는 신축 탄성 복합 섬유를 사용함으로써 형성된다. 이 복합 섬유에는 사이드·바이·사이드형(side-by side)이나 외피·앤드·코어형(sheath-and-core)인 것 등이 사용된다. 복합 섬유는 스펀 본드법, 열 본드법 등에 의해 부직포의 형태로 가공된다.
도 1은 부직포의 사시도.
도 2는 복합 섬유의 단면을 도시한 사진.
도 3은 도 2의 복합 섬유를 트레이스한 도면.
도 4는 도 1의 부분 확대도.
도 5는 도 4의 V-V선 절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5의 부분 확대도.
도 7은 부직포가 잡아당겨졌을 때의 도 5와 동일한 도면.
도 8은 실시 형태의 일례를 도시한 도 2와 동일한 사진.
도 9는 실시 형태의 일례를 도시한 도 3과 동일한 도면.
도 10은 (a), (b), (c)에 의해 단면 형상이 다른 복합 섬유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테스터의 측면도.
일본 특허 공개 평성 제6-184897호 공보 및 일본 특허 공표 평성 제9-512313호 공보에 기재된 웹이나 부직포에서는, 탄성적으로 신장할 수 있는 중합체로 이루어진 섬유의 층이 부직포의 표면을 형성한다. 이 종류의 중합체로 이루어진 섬유는 마찰계수가 일반적으로 크기 때문에, 그 섬유의 층이 표면을 형성하고 있는 부직포는 피부에 닿았을 때의 미끄러짐이 나쁘다. 또한, 2개의 섬유층을 중첩시킴으로써 얻어지는 부직포에서는, 그 두께가 두꺼워지기 쉽다.
일본 특허 공개 평성 제4-11021호 공보 및 일본 특허 공개 평성 제9-316748호 공보에 기재된 복합사나 직물은 코어 내장형의 복합 섬유를 사용하고, 코어가 되는 섬유에 탄성 중합체를 사용하며, 외피가 되는 섬유에 비탄성 중합체를 사용함으로써, 탄성적으로 신장할 수 있는 중합체인 탄성 중합체는 직접 피부에 닿지 않는다. 그러한 복합사나 직물은 피부에 닿았을 때의 미끄러짐이 좋다. 그러나, 주름상자형의 주름을 갖는 외피의 섬유가 코어가 되는 섬유의 탄성적인 수축의 방해가 되어 복합사나 직물의 탄성적인 신장, 수축의 양을 작게 한다. 또한, 복합 섬유는 주름상자형의 외피를 가짐으로써 직경이 커지기 때문에, 이들 복합사나 직물에서는 섬도가 작은 섬유에 특유한 유연한 촉감을 얻기가 어렵다.
일본 특허 제3262803호 공보에 따르면, 분할 가능한 다성분 열가소성 섬사가 러지관 안에서 복수 줄의 가는 섬사로 분할된 후에 부직포를 형성한다. 이 부직포의 표면에서는, 다성분 열가소성 섬사 중의 각각의 성분이 그 성분의 비율에 따라 가는 섬사를 형성한다. 다성분의 하나가 열가소성 탄성 중합체라면, 그 다성분 중에서 열가소성 탄성 중합체로 이루어진 섬사가 차지하는 비율에 따라 그 섬사가 부직포의 표면에 나타나고, 부직포는 그 탄성 중합체의 영향으로 피부에 대하여 미끄러짐이 나빠지는 경우가 있다.
일본 특허 공개 평성 제9-291454호 공보에 있어서, 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진 단단한 탄성 성분을 제1 성분으로 하고, 열가소성 탄성 중합체를 제2 성분으로 하는 신축 탄성 복합 섬유 및 그 복합 섬유의 교락점(交絡点) 사이를 융착시켜 얻어지는 신축 탄성 부직포는 복합 섬유의 표면이 폴리프로필렌으로 점유되어 있는 부분과 탄성 중합체로 점유되어 있는 부분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그 표면 전체가 탄성 중합체로 점유되어 경우에 비하면, 피부에 대한 미끄러짐의 악화는 억제된다. 그러나, 탄성 중합체는 그것이 복합 섬유의 표면에 있는 것이면, 신축 탄성 부직포의 표면에도 나타나기 때문에, 이 부직포의 피부에 대한 미끄러짐이 나빠진다. 또한, 이 문헌 6의 실시예에는 제1 성분의 폴리프로필렌을 외피로 하고,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탄성 중합체를 코어로 하는 외피·앤드·코어형 복합 섬유가 개시되어 있지만, 이러한 복합 섬유의 탄성적인 신장성은 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진 단단한 탄성 성분이 갖는 신장성이 지배적이게 되어 탄성 중합체 본래의 신장성이 억제될지도 모른다.
본 발명에서는, 탄성적인 신장, 수축의 양을 크게 할 수 있는 동시에, 피부에 대해 미끄러지기 쉬운 것을 조정할 수 있는 부직포와 그 제조 방법의 제공을 과제로 하고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부직포에 관한 제1 발명과, 그 부직포의 제조 방법에 관한 제2 발명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발명이 대상으로 하는 것은 제1 중합체로 이루어진 탄성적으로 신장할 수 있는 제1 섬유와, 제2 중합체로 이루어진 비탄성적으로 신장할 수 있는 제2 섬유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탄성적으로 신장할 수 있는 부직포이다.
이러한 부직포에 있어서, 상기 제1 발명이 특징으로 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 상기 부직포는 그 두께 방향으로 서로 평행한 제1 표면과 제2 표면을 갖는다. 상기 제2 섬유는 상기 제1 섬유 위에 간헐적으로 형성된 접합 부위의 각각에 있어서 상기 제1 섬유에 접합하고 있고, 상기 제1 섬유 위의 인접한 상기 접합 부위와 접합 부위 사이에서 상기 제1 섬유로부터 분리된 상태에 있다. 상기 분리된 상태에 있는 상기 제2 섬유는 그 길이가 상기 제1 섬유의 길이보다 길고, 또한, 그 갯수가 상기 제1 섬유 1가닥에 대하여 1∼16가닥의 비율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발명에는 다음과 같은 바람직한 실시 형태가 있다.
(1) 상기 제1, 제2 표면 중 어느 하나에서는, 상기 제1 섬유가 상기 두께 방향의 내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섬유가 상기 두께 방향의 외측에 위치하는 형태로 이들 제1, 제2 섬유가 교차하고 있다. 제1 섬유가 이러한 형태에 있는 부직포에서는, 이것을 착용 물품으로 사용했을 때에, 일반적으로 고무질의 촉감을 갖는 제1 섬유와 이 물품 착용자의 피부와의 접촉 기회가 적어진다.
(2) 상기 제1 섬유의 표면에서는, 상기 제1 섬유의 직경 방향의 중심부에서부터 상기 제1 섬유 밖으로 향해 볼록한 제1 곡면부와, 상기 밖에서부터 상기 중심부를 향해 볼록한 제2 곡면부가 상기 제1 섬유의 둘레 방향에서 교대로 반복하고 있고, 상기 둘레 방향에서 인접한 상기 제1 곡면부들과, 상기 제1 곡면부들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제2 곡면부가 협동하여 상기 제1 섬유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홈부를 형성하며, 상기 제2 곡면부가 상기 홈부의 바닥을 이루고 있다. 제1 섬유가 이러한 형태에 있는 부직포에서는, 그것을 착용 물품에 사용했을 때에, 제1 섬유는 그 제1 곡면부만이 물품 착용자의 피부에 접촉하기 때문에, 제1 섬유와 피부와의 접촉 기회가 적어진다.
(3) 상기 제1, 제2 표면 중 어느 하나의 미끄러짐 각도가 25°∼40° 범위에 있다. 이러한 미끄러짐 각도를 갖는 부직포는 착용 물품 등에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4) 상기 제1 중합체가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윤활제를 함유하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중 어느 하나이고, 상기 제2 중합체가 폴리올레핀계 중합체, 폴리아미드계 중합체 중 어느 하나이다. 이들 폴리올레핀계 중합체나 폴리아미드계 중합체는 비탄성적으로 신장할 수 있는 제2 섬유를 얻기에 적합한 것이다.
상기 제2 발명이 대상으로 하는 것은 제1 중합체로 이루어진 탄성적으로 신장할 수 있는 제1 섬유와, 제2 중합체로 이루어진 비탄성적으로 신장할 수 있는 제2 섬유에 의해 형성된 탄성적으로 신장할 수 있는 부직포를 제조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 발명이 특징으로 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 상기 제1 중합체에 의해 형성되는 섬유형의 제1 섬유 성분의 표면에 상기 제2 중합체에 의해 형성되어 상기 제1 섬유 성분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섬유형의 제2 섬유 성분이 분리 가능하게 접합하여 이루어진 복합 섬유의 복수를 기계 방향으로 공급함으로써, 상기 복합 섬유로 이루어진 평량 10∼500 g/㎡의 웹을 형성한다. 상기 웹에는 상기 복합 섬유들이 분리되지 않도록 접합하는 부위를 상기 기계 방향 및 상기 기계 방향에 대한 교차 방향 중 적어도 한 방향으로 간헐적으로 복수 형성한다. 그 후에, 상기 웹을 적어도 상기 한 방향으로 상기 제1 섬유 성분의 탄성 변형의 범위 내에서 또한 상기 제2 섬유의 파단 신도 이하의 신도로 신장하여, 상기 접합하는 부위와 부위 사이에서 상기 제1 섬유 성분과 상기 제2 섬유 성분을 분리시키는 동시에, 상기 제2 섬유 성분을 영구 변형시킨다. 또한 그 후에, 상기 제1 섬유 성분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기 웹을 수축시켜 상기 제1 섬유 성분으로부터는 상기 제1 섬유, 상기 제2 섬유 성분으로부터는 상기 제2 섬유, 상기 웹으로부터는 상기 부직포를 얻는다.
상기 제2 발명에는 다음과 같은 바람직한 실시 형태가 있다.
(1) 상기 복합 섬유에 있어서의 상기 제1 섬유 성분의 표면에서는, 상기 제1 섬유 성분의 직경 방향의 중심부에서부터 상기 제1 섬유 성분 밖으로 향해 볼록한 제1 표면부와, 상기 밖에서부터 상기 중심부를 향해 볼록한 제2 표면부가 상기 제1 섬유 성분의 둘레 방향에서 교대로 반복하고, 상기 둘레 방향에서 인접한 상기 제1 표면부들과, 상기 제1 표면부들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제2 표면부가 협동하여 상기 표면에 상기 제1 섬유 성분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홈부를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제2 섬유 성분이 상기 홈부 속에서 상기 제1 섬유 성분에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다.
(2) 상기 복합 섬유의 둘레면에서, 상기 제2 섬유 성분으로 이루어진 둘레면 부분이 상기 복합 섬유의 둘레 길이의 40∼90%를 차지하고 있다.
(3) 상기 복합 섬유에 있어서, 1가닥의 상기 제1 섬유 성분에 대하여 상기 제2 섬유 성분이 1∼16가닥의 비율로 형성되어 있다.
(4) 상기 제1 중합체가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윤활제를 함유하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중 어느 하나이고, 상기 제2 중합체가 폴리올레핀계 중합체, 폴리아미드계 중합체 중 어느 하나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부직포의 미끄러짐 각도는 도 11에 기재된 장치를 사용하여 측정된다. 그 측정 방법의 상세한 내용은 후술하는 도 11의 설명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부직포는 탄성 섬유를 갖는 것이기는 하여도, 1가닥의 탄성 섬유 근방에 그 탄성 섬유보다 길이가 긴 적어도 1가닥의 비탄성 섬유를 배치함으로써, 피부에 대해 미끄러짐이 좋은 것이 비탄성 섬유에 가까워지도록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부직포에 있어서, 1가닥의 탄성 섬유 근방에 복수 가닥의 비탄성 섬유를 배치하고, 이들 비탄성 섬유로 1가닥의 탄성 섬유를 둘러싸는 경우에는 부직포의 피부에 대한 미끄러짐이 특히 좋아진다. 비탄성 섬유는 그 길이가 탄성 섬유에 접합하는 부위와 부위 사이에서, 탄성 섬유의 길이보다 길기 때문에 탄성 섬유 및 부직포의 탄성적인 신장의 방해가 되는 일이 없다.
본 발명에 따른 부직포의 제조 방법에 따르면, 섬유형의 탄성 섬유 성분의 표면에 섬유형의 비탄성 섬유 성분이 분리 가능하게 접합되어 있는 복합 섬유를 각각의 섬유 성분으로 분리함으로써, 섬도가 작은 비탄성 섬유가 섬도가 큰 탄성 섬유를 둘러싸는 구조를 갖는 것으로서, 탄성적으로 신장, 수축하는 두께가 얇은 부직포를 얻을 수 있다. 그와 같은 제조 방법에 따른 부직포에서는, 그 양 표면 중 적어도 한 면을 섬도가 큰 탄성 섬유의 촉감이 아니라 섬도가 작은 비탄성 섬유에 특유한 유연한 촉감인 것으로 할 수 있다.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부직포와 그 제조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사시도로 도시된 거의 육면체를 이루는 부직포(1)의 단편은 서로 평행한 상부 표면(2)과, 하부 표면(3)을 가지며, 이들 양 표면(2, 3)과 교차하는 절단면(4a, 4b, 4c, 4d)에 의해 측면이 형성되어 있다. 부직포(1)는 제1 열가소성 중합체에 의해 형성된 탄성적인 신장성을 갖는 탄성 섬유(11)와, 제2 열가소성 중합체에 의해 형성된 비탄성적인 신장성을 갖는 비탄성 섬유(12)와, 이들 양 섬유(11, 12)가 길이 방향에서 서로 병렬하여 접합되고, 그 접합 부분에서 접합되어 있는 복합 섬유 부분(13)을 갖는다. 부직포(1)에서는, 이들 섬유(11, 12)나 복합 섬유 부분(13)이 복수의 접합 부위(16)에서 서로 용착되거나, 접착되거나, 기계적으로 교락되거나 함으로써 서로 실질적으로 분리되지 않도록 일체로 되어 있다. 탄성 섬유(11)와 비탄성 섬유(12)는 복합 섬유 부분(13)과 거의 동일한 구조를 갖는 복합 섬유(13a)의 형성 성분인 섬유 성분(21, 22; 도 2 참조)을 후기하는 부직포(1)의 제조 방법에 의해 각각의 성분으로 분리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도면에 있어서, 복합 섬유 부분(13)은 주로 접합 부위(16) 근방에 존재하고 있다.
부직포(1)에 있어서, 탄성 섬유(11)의 섬도는 0.1∼10 dtx의 범위에 있고, 비탄성 섬유(12)의 섬도는 0.05∼2 dtx의 범위에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탄성 섬유(11)의 섬도보다 작게 만들어져 있다. 접합 부위(16) 근방을 제외하면, 1가닥의 탄성 섬유(11)의 주위에는 1∼16가닥의 비탄성 섬유(12)가 존재하고, 이들 비탄성 섬유(12)가 탄성 섬유(11) 위에서 인접한 2개의 접합 부위(16), 예컨대 도시된 접합 부위(16a)와 접합 부위(16b) 사이로 연장되어 있다. 도시예의 부직포(1)에서는, 1가닥의 탄성 섬유(11a) 주위에 비탄성 섬유(12)로서 3가닥의 비탄성 섬유(12a, 12b, 12c)가 존재한다(도 5를 함께 참조). 또한, 이들 비탄성 섬유(12a, 12b, 12c)가 접합 부위(16a)와 접합 부위(16b) 근방에서는, 탄성 섬유(11a)에서 분기되도록 연장되어 있다. 탄성 섬유(11a)와 비탄성 섬유(12a, 12b, 12c)는 탄성 섬유(11a)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이러한 접합과 분기를 반복하고 있는 것이다. 인접한 접합 부위(16a)와 접합 부위(16b) 사이에서는, 비탄성 섬유(12a, 12b, 12c)의 길이가 탄성 섬유(11a)의 길이보다 길고, 탄성 섬유(11a)는 거의 직선형으로 연장되어 있지만, 각각의 비탄성 섬유(12a, 12b, 12c)는 여러 가지 형상으로 굴곡되거나, 만곡되어 있다. 이들 탄성 섬유(11a)와 비탄성 섬유(12a, 12b, 12c)는 상부 표면(2)에 대략 1:3의 비율로 나타나 있다. 바람직한 부직포(1)에서는, 하부 표면(3)에 있어서도, 탄성 섬유(11a)와 비탄성 섬유(12a, 12b, 12c)가 1:3의 비율로 나타난다. 또한, 부직포(1)의 절단면(4a)에 보이는 탄성 섬유(11)와 비탄성 섬유(12)의 말단 부분의 수의 비는 탄성 섬유(11a)와 비탄성 섬유(12a, 12b, 12c)의 갯수의 비인 1:3과 거의 같다.
부직포(1)는 그 용도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일회용 기저귀나 일회용 팬츠, 일회용 의료용 가운 등의 착용 물품이라든지, 일회용 와이퍼 등의 일용 잡화품 등의 사람의 피부에 닿는 용도에 적합한 경우에는, 1가닥의 탄성 섬유(11a) 위에서 인접한 접합 부위(16a)와 접합 부위(16b) 사이의 직선 거리가 0.5∼10 ㎜의 범위에 있고, 또한, 접합 부위(16a)와 접합 부위(16b) 사이의 비탄성 섬유(12a, 12b, 12c)를 따르는 각각의 길이가 탄성 섬유(11a)를 따르는 길이의 1.2∼5배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형성되어 있는 부직포(1)는 이것을 손으로 예컨대 A 방향, 또는 A 방향으로 직교하는 B 방향으로 잡아당기면, 탄성 섬유(11)가 탄성적으로 신장하고, 굴곡되거나 만곡되었던 비탄성 섬유(12)가 A 방향 또는 B 방향으로 향해 연장되도록, 그 방향을 변화시킨다. 부직포(1)에서 손을 떼면, 탄성 섬유(11)의 탄성적 복원력에 의해서 도 1의 상태로 되돌아간다. 탄성적으로 신장하고 수축하는 탄성 섬유(11)는 일반적으로 고무질의 촉감을 갖는 것이기는 하지만, 이 부직포(1)에서는, 그 탄성 섬유(11)를 둘러싸도록 복수의 비탄성 섬유(12)가 존재하기 때문에, 부직포(1)의 표면(2, 3)의 촉감은 비탄성 섬유(12)의 촉감과 비슷한 미끄러짐이 좋은 것이 된다. 또한, 부직포(1)의 미끄러짐이 좋은 것은 탄성 섬유(11)의 주위에 배치되는 비탄성 섬유(12)의 섬도나 단면 형상, 비탄성 섬유(12)의 개수 등에 따라 조정할 수 있다. 비탄성 섬유(12)의 섬도를 아주 작게, 예컨대 0.5∼1.5 dtx 정도로 하면, 표면(2, 3)은 미끄러짐이 좋은 것에 덧붙여 유연함을 갖게 되기도 한다.
도 2, 도 3은 부직포(1)를 제조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복합 섬유(13a)의 단면 사진과, 그 사진에 있어서의 복합 섬유(13a)를 트레이스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복수의 복합 섬유(13a)의 각각은 직경 25∼30 마이크론을 갖는 실질적인 의미에서 동일한 것으로, 1가닥의 섬유형의 탄성 섬유 성분(21)과 이 탄성 섬유 성분(21)의 표면 위에 둘레 방향에 있어서 거의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고, 탄성 섬유 성분(21)에 대하여 분리 가능하게 접합되어 있는 3가닥의 섬유형의 비탄성 섬유 성분(22)으로 형성되어 있다. 복합 섬유(13a)는 도 1에 있어서의 복합 섬유 부분(13)과 동일한 조성과 거의 동일한 구조를 갖는 것으로, 탄성 섬유 성분(21)과 비탄성 섬유 성분(22)의 각각을 형성하는 열가소성의 제1 중합체와 열가소성의 제2 중합체를 주지 기술에 기초하여 방사용 압출기의 노즐로부터 동시에 압출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탄성 섬유 성분(21)의 둘레면에서는, 탄성 섬유 성분(21)의 중심부에서부터 밖으로 향해 볼록한 제1 표면부(51)와, 제1 표면부(51)와는 반대로, 그 밖에서부터 중심부를 향해 볼록한 제2 표면부(52)가 탄성 섬유 성분(21)의 둘레 방향에서 교대로 반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 둘레 방향에서 인접한 제1 표면부(51)와, 이들 제1 표면부(51)들 사이에 위치하는 제2 표면부(52)는 서로 협동하여 제2 표면부(52)가 바닥이 되는 홈부(53)를 형성하고 있다. 홈부(53)는 3줄의 홈부(53a, 53b, 53c)로 이루어져, 탄성 섬유 성분(21)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비탄성 섬유 성분(22)은 각각의 홈부(53a, 53b, 53c) 속에 위치하는 3줄의 비탄성 섬유 성분(22a, 22b, 22c)으로 이루어져, 탄성 섬유 성분(21)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복합 섬유(13a)에서의 탄성 섬유 성분(21)을 얻기 위해서 사용되는 제1 중합체의 예로서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이나 윤활제를 함유하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그 밖의 열가소성 탄성 중합체가 있다. 비탄성 섬유 성분(22)을 얻기 위해서 사용되는 제2 중합체의 예로서는, 제1 중합체에 대하여 비상용성이며 비탄성적으로 신장하는 열가소성 중합체가 있다. 여기서 말하는 비상용성이란, 도 2의 복합 섬유(13a)에 있어서, 비탄성 섬유 성분(22)의 탄성 섬유 성분(21)에 대한 접합력이 약하고, 복합 섬유(13a)가 신장할 때에, 비탄성 섬유 성분(22)이 탄성 섬유 성분(21)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되는 것을 뜻하고 있다. 이러한 성질의 제2 중합체에는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계 중합체, 나일론 등의 폴리아미드계 중합체가 있다. 폴리프로필렌은 동종중합체라도 공중합체라도 사용할 수 있다. 단, 폴리프로필렌은, 바람직하게는 DSC법에 기초한 결정화도가 3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결정화도가 20% 이하로서, 단단한 탄성 섬유로 간주되지 않는 것을 사용한다. 탄성 섬유 성분(21)에 사용되는 제1 중합체가 지방산 아미드 등의 윤활제를 함유하는 것이면, 탄성 섬유 성분(21)과 비탄성 섬유 성분(22)의 분리가 용이해진다. 탄성 섬유 성분(21)의 구체예로는 JIS K 7311에 규정되는 용융 점도가 23∼180×103 포이즈의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이 있고, 비탄성 섬유 성분(22)의 구체예로는 230℃, 2.16 ㎏/㎠에 있어서의 MFR(멜트 플로우 레이트)이 30의 폴리프로필렌이 있다. 복합 섬유(13a)에서의 탄성 섬유 성분(21)과 비탄성 섬유 성분(22)과의 중량비는 20:80∼90:10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합 섬유(13a)의 둘레면에 있어서, 비탄성 섬유 성분(22)으로 이루어진 둘레면 부분은 복합 섬유(13a)의 주위 길이의 40∼90%를 차지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복합 섬유(13a)의 직경 방향 단면에 있어서, 탄성 섬유 성분(21)과 비탄성 섬유 성분(22)과의 단면적과 형상은 이들 성분(21, 22)으로부터 얻어지는 탄성 섬유(11)의 섬도가 0.1∼10 dtx가 되고, 비탄성 섬유(12)의 섬도가 탄성 섬유(11)보다 작아, 0.05∼2 dtx가 되도록 형성된다. 비탄성 섬유 성분(22)은 그 단면 형상이 타원형 등의 평평한 것으로서, 비탄성 섬유(12)가 되었을 때에도 평평한 단면 형상을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평평한 단면 형상을 갖는 비탄성 섬유(12)는 그 긴 직경의 치수가 짧은 직경의 치수의 2배보다 크고, 부드럽게 만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복합 섬유(13a)를 사용하여, 도 1의 부직포(1)는 다음과 같이 제조된다. 복합 섬유(13a)에는 바람직하게는 연속 섬유로 이루어진 것을 사용하고, 그 복합 섬유(13a)를 기계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공급하여 평량 10∼500 g/㎡의 웹을 형성한다. 이 웹이 기계 방향으로 주행하는 과정에서, 이 웹에 대하여 가열하의 엠보스 처리, 고압 주상 수류를 분사하는 처리, 또는 열풍 송풍 처리를 실시하여, 복합 섬유(13a)들이 분리되지 않게 용착 또는 교락하여 이루어지는 도 1에 예시한 접합 부위(16)를 기계 방향 및 이 방향에 대한 교차 방향 중 적어도 한 방향으로 간헐적으로 형성한다. 다음에, 이 웹을 접합 부위(16)가 간헐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방향 중 적어도 한 방향으로, 탄성 섬유 성분(21)의 탄성변형의 범위 내에서, 비탄성 섬유 성분(22)의 파단 신도 이하에서 예컨대 70% 이상 신장한다. 그러한 후에, 탄성 섬유 성분(21)의 복원력에 의해 웹을 수축시켜 도 1의 부직포(1)를 얻는다. 웹을 신장할 때에는 복합 섬유(13a)의 탄성 섬유 성분(21)과 비탄성 섬유 성분(22)이 복합 섬유(13a) 위에서 인접한 접합 부위(16)들 사이, 예컨대 도 1에 도시된 접합 부위(16a)와 접합 부위(16b) 사이에서 1가닥의 탄성 섬유(11)와 3가닥의 비탄성 섬유(12)로 분리된다. 신장한 비탄성 섬유 성분(22)은 영구 변형하여 그 길이가 길어지는 동시에, 섬도가 작아진다. 얻어진 부직포(1)에서는, 각각의 탄성 섬유(11)가 인접하는 접합 부위(16a)와 접합 부위(16b) 사이에서 거의 직선적으로, 또는 완만한 곡선을 그리도록 수축하는 한편, 비탄성 섬유(12)가 탄성 섬유(11)나 비탄성 섬유(12)들과 교차하는 곡선을 그리면서 수축한다.
도 4, 도 5는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도 1의 부직포(1)의 상면(2)에 있어서의 탄성 섬유(11)의 예인 탄성 섬유(11a)와, 비탄성 섬유(12)의 예인 비탄성 섬유(12a, 12b, 12c)의 확대 평면도 및 그 평면도에 있어서의 V-V선 절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있어서, 접합 부위(16a, 16b) 근방에서는, 복합 섬유(13a)의 탄성 섬유 성분(21)과 비탄성 섬유 성분(22)이 분리되어 있지 않고, 복합 섬유(13a)가 복합 섬유 부분(13)으로서 남아 있다. 분리하여 생긴 탄성 섬유(11a) 위에서 인접한 접합 부위(16a)와 접합 부위(16b) 사이에서는, 탄성 섬유(11a)가 거의 직선적으로 연장되는 한편, 비탄성 섬유(12a, 12b, 12c)가 여러 가지 형상의 곡선을 그리면서 연장되어 있다. 탄성 섬유(11a)와 비탄성 섬유(12b)는 서로 교차하여 중첩되어 있고, 그 교차하는 부위에서는, 탄성 섬유(11a)가 부직포(1)의 두께 방향의 내측에 위치하며, 비탄성 섬유(12b)가 두께 방향의 외측에 위치하고 있다. 도 5에 도시된 절단면에 있어서, 비탄성 섬유(12a, 12b, 12c)는 탄성 섬유(11a)를 둘러싸도록, 섬유(11a)의 주위에 분포되어 있다.
도 6은 도 5에 있어서의 탄성 섬유(11a)의 확대 사시도이다. 탄성 섬유(11a)의 표면에서는, 탄성 섬유(11a) 의 중심부에서부터 밖으로 향해 볼록한 곡률 반경이 작은 제1 곡면부(61)와, 그 밖에서부터 중심부를 향해 볼록한 제2 곡면부(62)가 탄성 섬유(11)의 둘레 방향에서 교대로 반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둘레 방향에서 인접한 제1 곡면부(61)들 사이에는 제2 곡면부(62)가 있고, 이들 제1 곡면부(61)들과 제2 곡면부(62)가 협동하여 탄성 섬유(11a)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홈부(63)를 형성하고 있다. 이들 제1 곡면부(61), 제2 곡면부(62), 홈부(63)의 각각은 도 3의 복합 섬유(13a)의 제1 표면부(51), 제2 표면부(52), 홈부(53)의 각각에 대응하는 부위이다.
도 4, 도 5, 도 6에 도시된 탄성 섬유(11)와 비탄성 섬유(12)를 갖는 부직포(1)에서는, 피부가 비탄성 섬유(12a, 12b, 12c)에 접촉하기 쉽고, 탄성 섬유(11a)에는 접촉하기 어려우며, 부직포(1)의 촉감이 미끄러짐이 좋은 비탄성 섬유(12)에 가까워지는 경향이 있다. 도 4의 비탄성 섬유(12b)와 같이 탄성 섬유(11a)와 교차하는 비탄성 섬유(12)의 갯수가 많아지면, 부직포(1)의 상부 표면(2)에서는 고무질로서 피부에 대한 미끄러짐이 나쁜 탄성 섬유(11a)가 비탄성 섬유(12)에 메워지는 상태가 되기 때문에, 그 경향이 강해진다. 또한, 탄성 섬유(11a)는,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그것이 가상선으로 도시된 피부(69)와 접촉하는 것은 주로 제1 곡면부(61)의 근방이며, 제2 곡면부(62)는 피부(69)와 접촉하는 일이 거의 없다. 이와 같이, 탄성 섬유(11a)의 둘레면이 피부(69)에 닿는 것은 둘레면의 극히 일부분으로서, 또한 곡률 반경이 작은 부분에 한정되기 때문에, 탄성 섬유(11a)는 그것과 동일한 단면적을 갖는 단면 형상이 원형인 경우에 비하면, 피부(69)에 대한 접촉 면적이 작아지는 경향이 있다. 탄성 섬유(11)와 피부(69)와의 접촉 면적이 작아질수록 부직포(1)의 피부(69)에 대한 미끄러짐이 좋은 것이 향상된다. 또한, 탄성 섬유(11a)와 피부(69)가 접촉했을 때에는 피부(69)와 탄성 섬유(11a)의 홈부(63) 사이에 틈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 그와 같은 상태의 부직포(1)에서는, 공기가 그 틈 안을 흐름에 따라 피부가 습기 차서 푹푹 찌는 듯한 느낌을 막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부직포(1)에서는, 상부 표면(2) 대신에 하부 표면(3)을 도 1의 상부 표면(2)의 형태로 하거나, 이들 양 표면(2, 3)을 도 1의 형태로 하거나 할 수도 있다.
도 7은 부직포(1)가 도 4의 A 방향으로 잡아당겨져 있을 때의 도 5와 동일한 도면이다. 부직포(1)가 잡아당겨져 탄성 섬유(11a)가 도 4의 A 방향으로 신장되면, 도 5의 비탄성 섬유(12a, 12b, 12c)는 화살표 P, Q, R 방향으로 움직여 탄성 섬유(11a)에 접근하고, 섬유(11a)를 둘러싸는 도 7의 상태가 된다. 도 7의 비탄성 섬유(12)는 도 4의 화살표 A 방향으로의 배향 정도가 강해지기 때문에, 부직포(1)는 화살표 A 방향의 미끄러짐이 좋다.
도 8, 도 9는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되는 복합 섬유(13a)의 일례를 도시한 도 2, 도 3과 동일한 도면이다. 이 복합 섬유(13a)는 직경이 약 15 마이크론인 것으로서, 서로 분리될 수 있도록 접합하고 있는 반원형 단면의 탄성 섬유 성분(21)과, 같은 반원형 단면을 갖는 비탄성 섬유 성분(22)으로 이루어진다. 복합 섬유(13a)의 단면은 거의 원형으로서, 그 둘레면에 나타난 비탄성 섬유 성분(22)은 복합 섬유(13a)의 주위 길이의 약 50%를 차지하고 있다. 이 복합 섬유(13a)로 이루어진 웹을 신장, 수축시킴으로써 얻어지는 부직포(1)에 있어서도, 비탄성 섬유 성분(22)으로부터 생기는 비탄성 섬유의 길이는 탄성 섬유 성분(21)으로부터 생기는 탄성 섬유의 길이보다 길어진다. 그와 같은 비탄성 섬유가 탄성 섬유와 교차하도록 굴곡되거나, 만곡된 상태에 있으면, 탄성 섬유와 피부와의 접촉이 방해되기 때문에, 이 복합 섬유(13a)로부터 얻어지는 부직포는 도 1의 부직포(1) 정도는 아니라고 하더라도 피부에 대한 미끄러짐이 좋아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탄성 섬유 성분(21)이 도 3에 도시된 홈부(53)를 가지며, 비탄성 섬유 성분(22)이 그 홈부(53) 속에 있는 복합 섬유(13a)로 이루어진 웹을 사용하여 부직포(1)를 제조하면, 탄성 섬유(11)의 섬도에 비하여 비탄성 섬유(12)의 섬도를 간단히 작게 할 수 있다.
도 10은 복합 섬유(13a)의 단면 형상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a)의 복합 섬유(13a)는 그 단면 형상이 도 9의 복합 섬유(13a)와 다른 것으로서, 탄성 섬유 성분(21)에 1개의 홈부(53)가 형성되어 있다. (b)에서는, 탄성 섬유 성분(21)에 2개의 홈부(53)가 형성되어 있다. (c)에서는, 탄성 섬유 성분(21)에 4개의 홈부(53)가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이 하여 탄성 섬유 성분(21)에 홈부(53)를 1∼16개 형성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에 있어서 부직포의 미끄러짐이 좋은 것을 평가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테스터(70)의 측면도이다. 테스터(70)는 모터(73)를 사용하여 수평면에 대한 경사 각도(α)를 일정한 속도로 크게 할 수 있는 플레이트(71)와, 평가 대상인 부직포를 부착하기 위한 블록(72)을 갖는다. 플레이트(71)의 상면은 JIS B 0601에 규정한 표면 조도가 12.5 s의 스테인레스 스틸로 형성되어 있다. 블록(72)은 부직포(1)에 10 g/㎠의 면압이 작용하는 중량의 스테인레스 스틸로 형성되어 있다. 부직포는 블록(72)의 하면 전체를 피복하도록 하여, 이 블록(72)에 부착된다. 블록(72)을 실은 플레이트(71)는 수평면에 대한 경사 각도(α)가 2°/sec의 속도로 커지도록 축(4)을 중심으로 하여 선회시켜, 블록(72)이 플레이트(71)의 상면을 미끄러지기 시작했을 때의 경사 각도(α)를 구하여, 그 때의 값을 미끄러짐 각도(αs)로 한다. 미끄러짐 각도(αs)의 값이 작아질수록 부직포는 피부에 대하여 미끄러지기 쉬워진다. 이 테스터(70)에 의해 측정한 면 100%로 이루어진 남성용 및 여성용 속옷용 셔츠나 팬츠의 옷감의 미끄러짐 각도(αs)는 약 21°∼25°의 범위에 있다.
표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도 2, 도 3의 복합 섬유(13a)를 사용함으로써 얻어진 실시예의 부직포와, 비교예로서의 부직포의 미끄러짐 각도(αs)가 표시되어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의 부직포는 평량 50 g/㎡를 갖는 웹에 기계 방향과 그 방향에 대한 교차 방향에 있어서 열 엠보스 처리를 행하여 얻어진 것이다. 복합 섬유(13a)에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과 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이들 양자의 중량비가 84.4:15.6∼67.9:32.1의 범위에 있고, 복합 섬유(13a)의 주위 길이 중에서 폴리프로필렌이 차지하는 비율이 대략 70∼90%의 범위에 있는 것을 사용하였다. 비교예의 부직포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섬유 또는 폴리프로필렌 섬유로 이루어지고, 평량 50g/㎡를 갖는 웹에 실시예에 있어서의 웹과 동일한 열 엠보스 처리를 행함으로써 얻어진 것이다. 실시예와 비교예에서의 열 엠보스 처리에서는, 각각의 웹에 대하여 기계 방향과 교차 방향으로 2 ㎜의 피치로 0.3 ㎟의 가열 엠보스 영역을 복수 형성하였다. 표 1로부터 밝혀진 바와 같이, 복합 섬유(13a)의 주위 길이 중에서 비탄성 섬유 성분(22)인 폴리프로필렌이 차지하는 비율에 따라 부직포(1)의 미끄러짐 각도(αs)가 변화된다. 환언하면, 본 발명에서는, 복합 섬유(13a)의 주위 길이에 있어서의 비탄성 섬유 성분(22)의 비율에 따라 부직포(1)의 미끄러짐 각도(αs)를 조정할 수 있다. 부직포(1)가 착용 물품에 사용되는 경우에는, 상부 표면(2) 및/또는 하부 표면(3)의 미끄러짐 각도(αs)를 25°∼40°의 범위에서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부직포(1)의 미끄러짐 각도(αs)를 조정하기 위해서, 복합 섬유(13a)로서, 표 1에 실시예로서 기재된 것 이외에 열가소성 폴리우레탄과 폴리프로필렌과의 중량비가 20:80∼90:10의 범위에 있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복합 섬유(13a)로서, 그 주위 길이에 차지하는 폴리프로필렌의 비율이 40∼90%의 범위에 있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복합 섬유의 조성(중량%) 복합 섬유의 주위 길 이에 있어서 폴리프로필렌이 차지하는 비율(%) 미끄러짐 각도αs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폴리프로필렌
실시예 1 84.4 15.6 70.92 39.3
실시예 2 76.5 23.5 75.04 34.3
실시예 3 67.9 32.1 86.07 30.3
비교예 1 100 - 0 49.1
비교예 2 - 100 100 21.3
본 발명에 따른 부직포는 일회용 착용 물품 등의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조 방법에 의해 그러한 부직포의 제조가 가능해진다.

Claims (10)

  1. 제1 중합체로 이루어진 탄성적으로 신장할 수 있는 제1 섬유와, 제2 중합체로 이루어진 비탄성적으로 신장할 수 있는 제2 섬유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탄성적으로 신장할 수 있는 부직포로서,
    상기 부직포는 그 두께 방향에서 서로 평행한 제1 표면과 제2 표면을 가지며, 상기 제2 섬유는 상기 제1 섬유 위에 간헐적으로 형성된 접합 부위의 각각에 있어서 상기 제1 섬유에 접합하고 있고, 상기 제2 섬유는 상기 제1 섬유 위에 인접한 상기 접합 부위와 접합 부위 사이에서 상기 제1 섬유로부터 분리된 상태에 있으며, 상기 분리된 상태에 있는 상기 제2 섬유는 그 길이가 상기 제1 섬유의 길이보다 길고, 상기 제2 섬유의 갯수는 상기 제1 섬유 1가닥에 대하여 1∼16가닥의 비율로 형성되어 있는 것인 부직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표면 중 어느 하나에서는, 상기 제1 섬유가 상기 두께 방향의 내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섬유가 상기 두께 방향의 외측에 위치하는 형태로 이들 제1 및 제2 섬유가 교차하고 있는 것인 부직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섬유의 표면에서는, 상기 제1 섬유의 직경 방향의 중심부에서부터 상기 제1 섬유 밖으로 향해 볼록한 제1 곡면부와, 상기 밖에서부터 상기 중심부를 향해 볼록한 제2 곡면부가 상기 제1 섬유의 둘레 방향에서 교대로 반복하고 있고, 상기 둘레 방향에서 인접한 상기 제1 곡면부들과, 상기 제1 곡면부들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제2 곡면부가 협동하여 상기 제1 섬유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홈부를 형성하며, 상기 제2 곡면부가 상기 홈부의 바닥을 이루고 있는 것인 부직포.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표면 중 어느 하나의 미끄러짐 각도가 25°∼40° 범위에 있는 것인 부직포.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중합체가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윤활제를 함유하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중 어느 하나이고, 상기 제2 중합체가 폴리올레핀계 중합체, 폴리아미드계 중합체 중 어느 하나인 것인 부직포.
  6. 제1 중합체로 이루어진 탄성적으로 신장할 수 있는 제1 섬유와, 제2 중합체로 이루어진 비탄성적으로 신장할 수 있는 제2 섬유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탄성적으로 신장할 수 있는 부직포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제1 중합체에 의해 형성되는 섬유형의 제1 섬유 성분의 표면에 상기 제2 중합체에 의해 형성되어 상기 제1 섬유 성분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섬유형의 제2 섬유 성분이 분리 가능하게 접합하여 이루어진 복합 섬유의 복수를 기계 방향으로 공급함으로써, 상기 복합 섬유로 이루어진 평량 10∼500 g/㎡의 웹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웹에는 상기 복합 섬유들이 분리되지 않도록 접합하는 부위를 상기 기계 방향 및 상기 기계 방향에 대한 교차 방향 중 적어도 한 방향으로 간헐적으로 복수 형성하는 단계;
    상기 웹을 적어도 상기 한 방향으로 상기 제1 섬유 성분의 탄성 변형의 범위 내에서 상기 제2 섬유의 파단 신도 이하의 신도로 신장하고, 상기 접합하는 부위와 부위 사이에서 상기 제1 섬유 성분과 상기 제2 섬유 성분을 분리시키는 동시에, 상기 제2 섬유 성분을 영구 변형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1 섬유 성분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기 웹을 수축시켜, 상기 제1 섬유 성분으로부터는 상기 제1 섬유, 상기 제2 섬유 성분으로부터는 상기 제2 섬유, 상기 웹으로부터는 상기 부직포를 얻는 단계
    를 포함하는 부직포의 제조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섬유에 있어서의 상기 제1 섬유 성분의 표면에서는, 상기 제1 섬유 성분의 직경 방향의 중심부에서부터 상기 제1 섬유 성분의 밖으로 향해 볼록한 제1 표면부와, 상기 밖에서부터 상기 중심부를 향해 볼록한 제2 표면부가 상기 제1 섬유 성분의 둘레 방향에서 교대로 반복하고, 상기 둘레 방향에서 인접한 상기 제1 표면부들과, 상기 제1 표면부들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제2 표면부가 협동하여 상기 표면에 상기 제1 섬유 성분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홈부를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제2 섬유 성분이 상기 홈부의 속에서 상기 제1 섬유 성분에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는 것인 부직포의 제조 방법.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섬유의 둘레면에서, 상기 제2 섬유 성분으로 이루어진 둘레면 부분이 상기 복합 섬유의 주위 길이의 40∼90%를 차지하고 있는 것인 부직포의 제조 방법.
  9.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섬유에서, 1가닥의 상기 제1 섬유 성분에 대하여 상기 제2 섬유 성분이 1∼16가닥의 비율로 형성되어 있는 것인 부직포의 제조 방법.
  10. 제6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중합체가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윤활제를 함유하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중 어느 하나이고, 상기 제2 중합체가 폴리올레핀계 중합체, 폴리아미드계 중합체 중 어느 하나인 것인 부직포의 제조 방법.
KR1020057004652A 2002-09-19 2003-09-19 부직포 및 그 제조 방법 KR2005005743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311896 2002-09-19
JP2002311896 2002-09-19
JP2003321935A JP4705321B2 (ja) 2002-09-19 2003-09-12 不織布
JPJP-P-2003-00321935 2003-09-1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7435A true KR20050057435A (ko) 2005-06-16

Family

ID=320329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4652A KR20050057435A (ko) 2002-09-19 2003-09-19 부직포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040132374A1 (ko)
EP (1) EP1559822B1 (ko)
JP (1) JP4705321B2 (ko)
KR (1) KR20050057435A (ko)
CN (1) CN100402725C (ko)
AU (1) AU2003264529A1 (ko)
CA (1) CA2498765A1 (ko)
TW (1) TW200407478A (ko)
WO (1) WO200402713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10018579A1 (en) 1998-12-18 2001-08-30 Walter Klemp Disposable absorbent garment having stretchable side waist regions
US7806880B2 (en) 2005-03-18 2010-10-0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ull-on wearable article with informational image
US7887522B2 (en) 2005-03-18 2011-02-15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Pull-on wearable article with informational image
WO2006102360A2 (en) * 2005-03-23 2006-09-28 Allasso Industries, Inc. Low linting, high absorbency, high strength wipes composed of micro and nano fibers
US8663184B2 (en) 2005-08-05 2014-03-0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with a multifunctional side panel
US7432413B2 (en) 2005-12-16 2008-10-07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having side panels with structurally, functionally and visually different regions
US8491558B2 (en) 2006-03-31 2013-07-2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with impregnated sensation material for toilet training
US8664467B2 (en) 2006-03-31 2014-03-0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with feedback signal upon urination
US20070233026A1 (en) * 2006-03-31 2007-10-0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with feedback signal upon urination
US8057450B2 (en) 2006-03-31 2011-11-1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with sensation member
JP5137337B2 (ja) * 2006-05-31 2013-02-06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
US8053074B2 (en) * 2006-05-31 2011-11-08 Kao Corporation Stretch nonwoven fabric
US8235963B2 (en) 2006-06-07 2012-08-0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wearable absorbent articles with anchoring systems
US20070287983A1 (en) 2006-06-07 2007-12-13 Richard Worthington Lodge Absorbent article having an anchored core assembly
JP5112678B2 (ja) 2006-11-27 2013-01-09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不織布
EP2088979A2 (en) 2006-12-04 2009-08-1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comprising graphics
JP5238158B2 (ja) * 2006-12-25 2013-07-1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伸縮性シートの製造方法
JP5342751B2 (ja) 2007-03-30 2013-11-13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伸縮性不織布
US8597268B2 (en) 2007-09-07 2013-12-0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wearable absorbent articles with anchoring subsystems
US8668679B2 (en) 2007-09-07 2014-03-1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wearable absorbent articles with anchoring subsystems
US8790325B2 (en) 2007-09-07 2014-07-2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wearable absorbent articles with anchoring subsystems
US8858523B2 (en) 2007-09-07 2014-10-1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wearable absorbent articles with anchoring subsystems
US9060900B2 (en) 2007-09-07 2015-06-23 The Proctor & Gamble Company Disposable wearable absorbent articles with anchoring subsystems
US9056031B2 (en) 2007-09-07 2015-06-1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wearable absorbent articles with anchoring subsystems
US8945079B2 (en) 2007-09-07 2015-02-0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wearable absorbent articles with anchoring subsystems
JP5557456B2 (ja) * 2008-03-31 2014-07-23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汗性不織布とその製造方法
EP2135984A1 (en) * 2008-06-19 2009-12-23 FARE' S.p.A. A process of producing soft and absorbent non woven fabric
WO2013170433A1 (en) 2012-05-15 2013-11-2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having characteristic waist end
JP5655116B2 (ja) * 2013-07-05 2015-01-1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伸縮性不織布
CN109072512A (zh) * 2016-04-04 2018-12-21 金伯利-克拉克环球有限公司 具有低毛绒以及高流体吸收性和释放特性的清洁产品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85575A (en) * 1976-01-09 1977-07-15 Mitsubishi Rayon Co Manufacture of elastic unwoven fabric
US5256050A (en) * 1989-12-21 1993-10-26 Hoechst Celanese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spinning bicomponent filaments and products produced therefrom
JPH05131580A (ja) * 1991-11-09 1993-05-28 Kanebo Ltd 伸縮性繊維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3074338B2 (ja) * 1991-12-30 2000-08-07 ユニチカ株式会社 極細繊維よりなる不織布の製造方法
US5626961A (en) * 1995-06-30 1997-05-06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Polyester filaments and tows
DE19781925C2 (de) * 1996-08-27 2001-11-08 Chisso Corp Vliesstoff und diesen verwendender absorbierender Artikel
US6509285B1 (en) * 1997-09-15 2003-01-21 Patrick Yeh Fabric for moisture management
FR2801612B1 (fr) * 1999-11-29 2002-08-30 Aplix Sa Fibre a ame elastique et tissu non tisse elastique
JP3658303B2 (ja) 2000-09-01 2005-06-0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弾性伸縮性複合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020119722A1 (en) * 2000-05-15 2002-08-29 Welch Howard M. Elastic stranded laminate with adhesive bonds and method of manufac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4131918A (ja) 2004-04-30
JP4705321B2 (ja) 2011-06-22
US20040132374A1 (en) 2004-07-08
CA2498765A1 (en) 2004-04-01
EP1559822B1 (en) 2012-10-31
AU2003264529A1 (en) 2004-04-08
WO2004027138A1 (ja) 2004-04-01
TW200407478A (en) 2004-05-16
CN100402725C (zh) 2008-07-16
EP1559822A1 (en) 2005-08-03
EP1559822A4 (en) 2008-06-25
CN1681985A (zh) 2005-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50057435A (ko) 부직포 및 그 제조 방법
US6821372B2 (en) Elastically stretchable composite sheet and process for making the same
US8574211B2 (en) Stretchable composite sheet
US6531014B1 (en) Process for making elastically stretchable composite sheet
JP4753852B2 (ja) 伸縮性不織布
US6372067B1 (en) Process for making elastically stretchable composite sheet
WO2022009835A1 (ja) 複合不織布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10076380A (ko) 신축성 복합 시트 및 그 제조 방법
JP2008106375A (ja) 伸縮性不織布
EP1104692B1 (en) Elastically stretchable laminated sheet and process for making the same
US20010044250A1 (en) Composite sheet
JP3739286B2 (ja) 弾性伸縮性複合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694743B2 (ja) 弾性的な伸長性を有する複合シートの製造方法
CN115195238A (zh) 一种复合弹性无纺布及其生产工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