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56864A - 승강기 탈출문 차폐용 조천정 장치 - Google Patents

승강기 탈출문 차폐용 조천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56864A
KR20050056864A KR1020040098950A KR20040098950A KR20050056864A KR 20050056864 A KR20050056864 A KR 20050056864A KR 1020040098950 A KR1020040098950 A KR 1020040098950A KR 20040098950 A KR20040098950 A KR 20040098950A KR 20050056864 A KR20050056864 A KR 200500568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iling
guide
elevator
length
emergency ex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89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14078B1 (ko
Inventor
윤일식
Original Assignee
윤일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일식 filed Critical 윤일식
Priority to KR10200400989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4078B1/ko
Publication of KR200500568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68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40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407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66B11/0226Constructional features, e.g. walls assembly, decorative panels, comfort equipment, thermal or sound insu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27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to permit passengers to leave an elevator car in case of failure, e.g. moving the car to a reference floor or unlocking the door

Abstract

본 발명은 승강기 천정에 설치된 탈출문을 가리기 위한 조천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비상탈출문(1) 양측에 설치되고, 그 길이는 비상탈출문의 길이보다 길고 승강기 천정의 길이보다는 짧은 2개의 기다란 레일형 가이드(10); 및 레일형 가이드(10)에 얹혀져 비상탈출문(1)을 가리는 직사각형의 얇은 금속판으로 이루어진 조천정판(20);을 포함하고, 2개의 가이드(10)의 하단부에는 안쪽으로 휘어진 걸림턱(12)이 형성되어 있어서, 이들 걸림턱(12)에 상기 조천정판(20)의 양측연부를 걸어 설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승강기 탈출문 차폐용 조천정 장치{Assistant ceilling device for shielding an escaping door of an elevator}
본 발명은 승강기 천정(이하 "본천정"이라 함)에 설치된 탈출문을 가리기 위한 조천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거의 모든 승강기에는 정전이나 고장 등으로 승강기가 비정상적으로 갑자기 멈춰 승강기 문을 정상적으로 열 수 없는 비상사태시 승강기로부터 승객을 탈출시키기 위해 승강기 본천정에 탈출문을 배치한다. 이와 같은 탈출문의 크기는 대개 400mm X 500mm로 규격화되어 있다.
종래의 승강기는 이런 비상탈출문을 그대로 노출시키는 구성과 비상탈출문을 승객에게 보이지 않도록 차폐시키는 구성의 두가지 형태의 승강기가 있다. 노출형 승강기의 경우, 비상탈출문이 승객의 육안에 그대로 드러나 외관상 보기가 좋지 않은 문제가 있으므로, 고급형 승강기를 포함해 최근의 승강기에서는 거의 채택하고 있지 않은 실정이다.
도 1은 탈출문을 가리는 종래의 차폐형 승강기의 내부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기의 본천정의 중앙에는 비상탈출문(1)이 형성되어 있고, 본천정 양측 가장자리에는 환풍기구나 조명기구(이하, "조명기구"라 통일함; 3)가 배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런 조명기구는 승강기 본천정의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본천정 아랫면에서 일정 간격 떨어져 형성된다. 이렇게 형성된 조명기구(3)의 사이에 공간 전체를 커버하는 크기의 얇은 금속판이나 아크릴판 등의 차폐판(5)을 그 양측부가 조명기구(3)에 걸리도록 배치한다. 이와 같이 차폐판(5)을 배치한 상태의 단면도가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참고로, 당업계에서는 본천정에 대비하여 조명기구(3)와 금속판(5)으로 이루어진 천정을 "조천정"이라고 한다.
이와 같은 양측 조명기구에 걸쳐서 설치하는 종래의 차폐형 천정장치의 경우, 차폐판(5)의 크기는 양측 조명기구(3) 사이의 노출된 공간을 모두 커버해야만 하므로 상당히 클 수 밖에 없다. 승강기의 경우 조명기구(3) 사이의 노출공간의 크기는 대략 1000mm X 1500mm 정도이다. 또, 이에 맞는 크기의 스테인리스 강판 규격품의 사이즈는 1219mm X 2438mm이다. 따라서, 규격판에서 하나의 차폐반 밖에 생산할 수 없다. 물론, 규격판에서 차폐판을 재단하고 남은 나머지 재료는 폐기처리되거나, 고물로 처리될 수 밖에 없는 형편이다. 따라서, 재료의 낭비가 상당히 심할 수 밖에 없다. 또한, 이런 대형 차폐판(5)을 조천정으로서 본천정 밑에 설치하려면, 대형 차폐판의 무게가 상당히 많이 나가므로 여러명의 작업자가 투입될 수 밖에 없으며, 그 무게로 인해 낙하시 작업자가 부상당할 위험성도 많을 수 밖에 없었다. 물론, 대형 차폐판은 설치한 뒤에도 유지보수가 힘들다는 것은 말할 나위도 없다. 이와 같이, 종래의 대형 차폐판은 재료의 낭비, 큰 부피로 인한 운송의 어려움과 과다한 운송비, 작업인력의 과다 투입, 유지보수의 곤란 등으로 인해 전체적으로 상당한 경비 상승의 원인이 되었다.
또한, 차폐판(5)을 양쪽 조명기구(3)에 걸쳐놓게 설치하기 때문에, 승강기의 천정(특히, 조천정)의 높이가 상당히 낮아지게 되므로, 높이가 큰 가구, 특히 장롱 등을 승강기로 운반하기가 곤란하다는 문제가 생길 수 있다(도 5 참조).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대형 차폐판(5)을 여러 조각으로 절단하여 설치하는 것도 한가지 해결책이 될 수 있지만, 이 경우 여러 조각의 차폐판들 사이의 틈새로 빛이 새어나오지 않도록 하려면 이들 차폐판을 서로 정밀하게 맞대거나 겹치게 설치해야만 하므로, 설치작업이 상당히 번거롭고 인력이 더 소요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비상탈출문에 맞는 크기의 조천정판을 쉽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재료를 절감하고 설치와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하며 전체적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승강기용 조천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승강기의 내부공간의 높이를 종래에 비해 증가시켜서, 승강기의 내부공간의 활용도를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승강기 천정 중앙에 위치하는 비상탈출문(1)을 가리기 위한 조천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비상탈출문 양측에 설치되고, 그 길이는 비상탈출문의 길이보다 길고 승강기 천정의 길이보다는 짧은 2개의 기다란 레일형 가이드; 및
상기 레일형 가이드에 얹혀져 비상탈출문을 가리는 직사각형의 조천정판;을 포함하고,
상기 2개의 가이드의 하단부에는 안쪽으로 휘어진 걸림턱(12)이 형성되어 있어서, 이들 걸림턱에 상기 조천정판(20)의 양측연부를 걸어 설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탈출문 차폐용 조천정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 있어서, 가이드의 상단부에는 볼트머리가 통과하지 못할 정도의 폭을 갖는 슬롯과, 볼트머리가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크기의 통로를 갖는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있어서, 가이드홈에 장치된 볼트 등을 이용해 승강기 천정에 가이드를 체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가이드홈에 장치된 볼트 등을 삽입할 수 있는 다수의 구멍(13)을 승강기 천정에 형성하되, 이들 구멍은 가이드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기다란 형태를 가져, 구멍의 길이만큼 조천정판의 폭 방향으로 가이드를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천정 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승강기의 내부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기 본천정 중앙에는 비상탈출문(1)이 위치한다. 또한, 종래와 마찬가지로, 승강기의 본천정 양측 가장자리에는 조명기구(3)가 배치되고, 조명기구(3)의 구성은 종래와 같다. 비상탈출문(1)의 양측에는 각각 하나씩 2개의 기다란 레일형 가이드(10)가 설치되는데, 도 3에는 가이드(10)가 승강기 본천정의 전체 길이에 걸쳐 뻗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가이드의 길이는 비상탈출문의 길이보다 길고 승강기 본천정의 길이와 동일한 범위내에서 필요에 따라 선택할 수 있다.
이들 2개의 레일형 가이드(10)에 사이에는 비상탈출문(1)을 가리는 직사각형의 조천정판(20)이 배치되어 가이드(10)에 얹혀진다. 조천정판(20)은 얇은 금속판, 아크릴판, 목재판 등의 판재는 물론 승강기 내부에서 비상탈출문을 가리는 어떤 형태의 판재도 모두 포함한다고 할 수 있다. 조천정판(20)을 가이드(10)에 얹기 위해, 2개의 가이드(10)의 하단부에는 안쪽으로 휘어진 걸림턱(12)이 형성되어 있고, 이들 걸림턱(12)에 상기 조천정판(20)의 양측연부를 걸어 설치할 수 있도록 한다(도 4 참조).
전술한 바와 같이, 규격판의 크기는 1219mm X 2438mm이고, 비상탈출문(1)의 크기는 400mm X 500mm이다. 따라서, 규격판 1매로 비상탈출문(1)을 차폐하는 조천정판(20)을 3매 재단할 수 있다. 종래에 비해 3배의 효과를 볼 수 있는 것이다.
도 4에는 가이드(10)와 조천정판(20)의 관계가 구체적으로 도시된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4a는 분리상태를 도 4b는 결합상태를 보여준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가이드(10)의 상단부에는 볼트머리가 통과하지 못할 정도의 폭을 갖는 슬롯(14)과, 볼트머리가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크기의 통로(16)를 갖는 가이드홈(18)이 형성되어 있다. 이 가이드홈(18)에 볼트 등의 체결구(19)를 필요한 갯수로 끼우고 체결구(19)를 승강기 본천정에 체결하여 가이드(10)를 본천정에 설치한다.
한편, 본천정에는 가이드홈(18)에 장치된 볼트 등을 삽입할 수 있는 다수의 구멍(13)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구멍(13)은 어떤 형상도 가능하지만, 가급적 가이드(10)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기다란 형태의 장공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가이드(10)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장공 형태의 구멍(13)을 이용할 경우, 구멍(13)의 길이만큼 가이드(10)를 설치할 때 화살표(A) 방향으로 가이드를 움직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조천정판(20)을 정밀하게 재단하지 못한 경우라도, 구멍(13)의 길이에 해당하는 만큼 조천정판(20)의 허용오차를 수용할 수 있게 되어, 조천정판(20)의 설치가 한층 용이해진다. 물론, 체결구(19) 자체도 통로(16)에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으므로, 가이드(10) 자체를 길이방향으로 원하는대로 움직일 수 있다. 즉, 가이드(10)는 전후좌우로 소정 길이 움직일 수 있게 되어, 조천정판(20)의 설치작업과 위치조정이 한층 용이해지는 것이다.
또한, 조천정판(20)의 임의적인 이탈이나 분리를 방지하기 위해, 조천정판(20)의 양단에 하향 돌출부(22)를 형성하고, 걸림턱(12)의 내단부에는 상단 돌출부(15)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조천정판 양측의 하향 돌출부(20)와 걸림턱(12)의 상단돌출부(15)가 맞물리게 되므로, 조천정판(20)이 불시에 또는 의도하지 않게 분리될 우려가 확실히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조천정판(20) 자체는 양측 가이드(20)에 체결된 것은 아니므로, 내부 청소나 승객구출 등 필요할 경우에는 언제든지 편리하게 가이드(20)에서 쉽게 분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 의하면, 종래의 규격판 1매에서 조천정판 3매를 형성할 수 있으므로, 규격판 1매에서 1매의 차폐판을 형성할 수 밖에 없던 종래의 경우에 비해 대략 3배의 효과를 볼 수 있다. 즉, 재료비 측면에서 보면 약 2/3의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조천정판(20)의 크기가 종래에 비해 크게 줄어들어 무게도 크게 작아지므로 작업자가 종래에 비해 쉽게 작업할 수 있고 필요한 작업자 수도 크게 줄어든다. 즉, 종래의 대형 차폐판의 경우에는 설치작업시 3명 정도의 작업자가 필요한 반면, 본 발명에 따르면 1명의 작업자로도 설치작업을 쉽게 마무리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전체적인 재료비, 운송비, 설치비, 인건비, 유지보수비가 종래에 비해 크게 절감되게 되고, 또한 설치작업이나 유지보수작업도 종래에 비해 상당히 단순화되어 작업성이 향상된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천정판(20)은 본천정에 밀접하게 설치할 수 있으므로 종래에 비해 승강기의 내부공간의 높이를 증가시킬 수 있다. 도 5a는 본 발명에 다른 장치가 설치된 경우7의 승강기 내부공간을, 도 5b는 종래의 승강기의 내부공간을 개략적으로 보여준다. 이들 두개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설치할 경우 승강기의 내부공간의 높이가 증가되어 높은 장롱 등의 가구를 승강기 내부에 수용할 수 있지만, 종래의 경우에는 조천정의 높이가 낮아져 높은 가구를 승강기 내부에 들여놓을 수 없게 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이용할 경우 승강기 내부공간의 활용도도 크게 개선됨을 알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승강기의 조천정판을 보여주는 내부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조천정판이 조립된 상태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천정판 장치의 분해상태를 보여주는 내부사시도;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조천정판의 구조를 자세히 보여주는 분리사시도;
도 4b는 도 4a의 구성이 조립된 상태의 사시도;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조천정판 장치에 의한 승강기 내부공간 활용상태를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5b는 도 5a와 비교되는 종래의 구조를 보여주는 측단면도.

Claims (2)

  1. 승강기 천정 중앙에 위치하는 비상탈출문(1) 양측에 설치되고, 그 길이는 비상탈출문의 길이보다 길고 승강기 천정의 길이보다는 짧은 2개의 기다란 레일형 가이드(10); 및 상기 레일형 가이드(10)에 얹혀져 비상탈출문(1)을 가리는 직사각형의 얇은 금속판으로 이루어진 조천정판(20);을 포함하고, 상기 2개의 가이드(10)의 하단부에는 안쪽으로 휘어진 걸림턱(12)이 형성되어 있어서, 이들 걸림턱(12)에 상기 조천정판(20)의 양측연부를 걸어 설치할 수 있는 종래 기술의 승강기 탈출문 차폐용 조천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10)의 상단부에는 볼트머리가 통과하지 못할 정도의 폭을 갖는 슬롯(14)과, 볼트머리가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크기의 통로(16)를 갖는 가이드홈(18)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18)에 장치된 볼트 등을 이용해 승강기 천정에 가이드(10)를 체결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18)에 장치된 볼트 등을 삽입할 수 있는 다수의 구멍(13)을 승강기 천정에 형성하되, 상기 구멍(13)은 가이드(10)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기다란 형태를 가져, 구멍(13)의 길이만큼 조천정판(20)의 폭 방향으로 가이드(10)를 움직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20040098950A 2004-11-30 2004-11-30 승강기 탈출문 차폐용 조천정 장치 KR1007140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8950A KR100714078B1 (ko) 2004-11-30 2004-11-30 승강기 탈출문 차폐용 조천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8950A KR100714078B1 (ko) 2004-11-30 2004-11-30 승강기 탈출문 차폐용 조천정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8442U Division KR200343081Y1 (ko) 2003-12-10 2003-12-10 승강기 탈출문 차폐용 조천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6864A true KR20050056864A (ko) 2005-06-16
KR100714078B1 KR100714078B1 (ko) 2007-05-02

Family

ID=372513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8950A KR100714078B1 (ko) 2004-11-30 2004-11-30 승강기 탈출문 차폐용 조천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407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78760A (zh) * 2017-12-04 2020-06-12 通力股份公司 设置有用于制造穿过电梯轿厢屋顶的开口的装置的电梯
CN112299214A (zh) * 2020-12-12 2021-02-02 博仕通电梯有限公司 一种箱式电梯用安全防护门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3590A (ja) * 1988-06-30 1990-01-17 Toshiba Corp エレベータ乗かごの冷房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78760A (zh) * 2017-12-04 2020-06-12 通力股份公司 设置有用于制造穿过电梯轿厢屋顶的开口的装置的电梯
CN112299214A (zh) * 2020-12-12 2021-02-02 博仕通电梯有限公司 一种箱式电梯用安全防护门
CN112299214B (zh) * 2020-12-12 2022-06-03 博仕通电梯有限公司 一种箱式电梯用安全防护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14078B1 (ko) 2007-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43081Y1 (ko) 승강기 탈출문 차폐용 조천정 장치
KR101027873B1 (ko) 엘리베이터 도어의 유리판 고정장치
EP1950166B1 (en) Device for lighting elevator car
EP1982944A1 (en) Elevator car rescue device
EP2754776B1 (de) Profilsystem zur Begrenzung einer Plattenbekleidung
BRPI0411223A (pt) trilho perfilado e processo para fabricação de um trilho perfilado
KR102127737B1 (ko) 슬라이드 방식 갱폼 안전 인양장치
US20180370769A1 (en) Elevator car
KR100714078B1 (ko) 승강기 탈출문 차폐용 조천정 장치
KR102060193B1 (ko) 엘리베이터 캐빈
KR20160031936A (ko) 엘리베이터 도어의 마감재 조립체 및 그 설치방법
CN109095323B (zh) 升降机厢壁
GB2048813A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 conveyor trough for use with a mining machine
JP6218161B2 (ja) エレベータのフェッシャープレート、及びフェッシャープレートの組立方法
EP1685058B1 (en) Elevator pulley arrangement
DE202010011402U1 (de) Anordnung zur Abdeckung eines Kaltgangs
JP2004099183A (ja) エレベーター装置
KR101978681B1 (ko) 돌출부가 달린 엘리베이터 도어의 유리판 고정장치
EP3418241A1 (en) Elevator car accessory fastening element
CN220257001U (zh) 一种适用于水下数据中心的防火隔断结构
CN111867961B (zh) 电梯的轿厢顶棚装置
WO2022259634A1 (ja) 保護カバー
DE102012216342B4 (de) Arbeitsmöbel
KR200462381Y1 (ko) 엘리베이터의 가이드 슈
KR101714584B1 (ko) 크린룸의 천장판넬 시공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7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