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56607A - 이동통신 단말기의 녹음된 음성을 이용한 통화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의 녹음된 음성을 이용한 통화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56607A
KR20050056607A KR1020030089643A KR20030089643A KR20050056607A KR 20050056607 A KR20050056607 A KR 20050056607A KR 1020030089643 A KR1020030089643 A KR 1020030089643A KR 20030089643 A KR20030089643 A KR 20030089643A KR 20050056607 A KR20050056607 A KR 200500566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ice
mobile communication
call
communication terminal
call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96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록
전종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to KR10200300896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56607A/ko
Publication of KR200500566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6607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 제어 방법과 관련된 것으로, 특히 녹음된 음성을 이용한 통화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 제어 방법에 있어서, 통화상태에 진입하는 단계; 녹음된 음성을 이용한 통화제어 모드인 경우, 발신자의 음성이 무선 수신되면, 상기 발신자의 음성을 처리하여 착신자에게 음성 출력하는 단계와, 및 착신자의 해당 조작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조작신호에 해당하는 녹음 음성을 처리하여 무선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의 녹음된 음성을 이용한 통화 제어 방법{METHOD FOR CONTROLLING CONVERSATION OF MOBILE COMMUNICATION UNIT USING RECORDED VOICE DATA}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 제어 방법과 관련된 것으로, 특히 녹음된 음성을 이용한 통화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회의장소 이거나 극장과 같은 장소에서, 상대방에게 전화가 걸려로는 경우가 흔히 있다. 이때에는 정상적인 통화가 곤란하며, 이러한 상황을 대처하기 위한 기술이 개발되어 있다.
먼저, 이동통신망에 의한 서비스가 있다. 이 기술은 착신자가 전화를 받지 않으면, 자동으로 호(Call)가 음성 사서함으로 전환되고 발신자는 착신자의 음성 사서함에 녹음을 남기게 된다.
이 기술의 문제점을 알아보면, 발신자는 호가 음성 사서함으로 전환되기까지 오랫동안 기다려야 되며, 직접 대화를 하지 못한다면, 불필요한 통화비용이 발생되기를 원하지 않는 발신자를 배려하지 못한다.
또한, 호 착신 도중에 착신자가 특정 키를 조작하거나 기 설정된 착신 모드에 따라서, 이동통신 단말기가 통화 채널을 연결하고 연결된 통화 채널을 통해 기 녹음된 음성 멘트를 출력하며 발신자의 음성을 녹음하여 저장하고 통화를 종료하는 기술이 있다.
이 기술의 문제점을 알아보면, 착신자는 발신자에게 전화 통화를 하기 힘든 이유를 설명하고, 발신자의 용무를 녹음해 둘 수는 있다. 그러나, 발신자는 즉시 전해야할 소식을 알려 줄 수가 없고, 이후에 착신자가 자신에게 연락(직접 통화)해 줄 때까지 막연히 기다려야 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자동으로 착신자가 설정해둔 문자 메시지가 즉시 전송될 수 있으나, 이 경우에도 착신자의 현재 상황만을 알 수가 있으며, 착신자가 자신이 녹음시킨 급한 용무는 알 수가 없다.
착신자의 입장에서 볼 때에도 발신자가 녹음시킨 그 용무가 어떤 것인지를 금방 알 수는 없다.
구체적인 상황을 보면, 착신자가 소리내어 말을 하기가 곤란한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인 상황을 보면, 착신자가 전화를 받아서 발신자의 음성은 들을 수 있으나 목소리를 낼 수 없는 경우가 될 수 있다. 또한, 남들에게 피해를 주지 않도록 목소리를 낼 수는 없지만 급한 소식을 착신자로부터 들어야 경우가 될 수 있다.
전술한 이유 외에도 메시지 녹음이나 메시지 청취를 듣지 않고 양자 간에 직접 통화가 필요한 경우가 얼마든지 있을 것이다. 또한, 개인적인 취향이나 성격에 따라서도, 통화 채널 연결이나 부재중 음성 메시지 녹음을 남기는 행동을 하지 않는 발신자가 흔히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상황에서 안출된 것으로, 통화중에 발신자는 음성은 수신자에게 계속 전달되도록 하고, 착신자는 직접 소리내어 말하지 않고서, 착신자가 기 녹음한 음성을 선택적으로 발신자에게 전할 수 있도록 하는 통화 제어 기술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 제어 방법에 있어서, 통화상태에 진입하는 단계; 녹음된 음성을 이용한 통화제어 모드인 경우, 발신자의 음성이 무선 수신되면, 상기 발신자의 음성을 처리하여 착신자에게 음성 출력하는 단계 및 착신자의 해당 조작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조작신호에 해당하는 녹음 음성을 처리하여 무선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그리고 추가적인 본 발명의 양상들은 후술하는 실시예들을 통하여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일 예이다.
무선 처리부(105)는 기지국(도시하지 않음) 사이에 송/수신되는 신호를 무선 처리한다. 예컨대, 무선 처리부(105)는 베이스밴드의 송신신호를 무선 출력용의 고주파로 주파수 대역을(중간 주파수 변환 단계를 거칠 수도 있음.) 천이 시키고 이를 증폭하여 안테나를 통해 무선 출력하며, 상기 안테나로부터 수신되는 고주파 신호를 베이스 밴드로(중간 주파수 변환 단계를 거칠 수도 있음.) 주파수 대역을 천이 시킨다.
음성 처리부(107)는 사용자가 마이크를 통해 이야기한 음성 송신신호를 음성 인코딩을 포함하는 해당 처리를 수행하여 제어부(110)로 전달하고, 상기 제어부(110)에 의해 복조된 음성 수신신호(상대측의 음성)에 대해 음성 디코딩을 포함하는 해당 처리를 수행하여 스피커를 통해 출력한다. 통상적으로 음성 처리부(107)는 음성 데이터에 대해 압축 및 압축해제를 수행하는 보코더(도시하지 않음)와, 증폭기와 필터 등의 아날로그 회로 그리고 아날로그/디지탈 변환회로, 디지탈/아날로그 변환회로등을 포함한다.
제어부(110)는 상기 무선 처리된 해당 수신신호를 복조하고 해당 송신신호를 변조하여 무선 처리부(110)에 전달한다. 이때, 제어부(110)는 이동통신용으로 기설정되어 있는 방식으로 변/복조 동작을 수행하게 되는데, 예컨대 채널 코딩/디코딩, 직교 부호/복호등의 CDMA 변/복조 동작을 수행 할 수가 있다.
이외에도, 제어부(110)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10)는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해석하고, 이에 대응하여 표시부(103), 조작부(101), 무선 처리부(105) 및 음성 처리부(107)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10)는 조작부(101)로부터 입력되는 키데이터에 대응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요소(103, 105, 107, 109, 111)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10)는 본 발명에 따른 녹음된 음성을 이용한 통화 제어를 수행한다.
표시부(103)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프로그램 진행 상황과, 사용자의 메뉴 선택 화면, 통화 화면등을 디스플레이 한다. 또한, 표시부(103)는 그래픽 처리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각종 비디오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할 수가 있다. 표시부(103)는 본 발명에 따라서 녹음신호를 선택할 수 있는 조작 안내 메뉴를 착신자에게 표시한다.
조작부(101)는 사용자의 조작을 입력할 수 있는 수단으로 구현되며, 숫자키와 기능키등으로 이루어지는 키패드, 사이드키, 터치패널, 필기체 입력부, 음성 인식부등이 될 수 있다.
음원 파일 재생부(109)는 음원 데이터를 재생하여 해당 스피커를 통해 출력한다. 음원 파일 재생부(109)는 MP3파일이나 미디 파일등과 같은 음원 데이터를 연주하도록 구현된 별도의 칩으로 구현될 수가 있다. 음원 재생부(109)의 성능은 차츰 향상되어 가고 있어, 16화음, 32화음, 40화음, 64화음 등의 연주가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음원 데이터가 출력되는 스피커는 음성 통화용의 스피커나 별도의 음원 데이터 재생용의 고성능 스피커가 될 수 있다.
저장부(111)는 제어부(110)의 동작 프로그램, 시스템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상기한 프로그램은 통상 저장부(111)에 포함된 롬(ROM) 영역에 저장되며, 필요에 따라서는 소거가 가능하다. 전기적으로 소거가 가능한 롬으로서는 이이피롬, 플래쉬 메모리등이 있다. 또한, 저장부(111)는 여러 동작 프로그램의 수행 중에 있어 발생하는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램(RAM)을 포함한다. 또한, 저장부(111)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녹음된 음성을 이용한 통화 제어 방법을 기술한 프로그램 데이터가 저장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녹음된 음성을 이용한 통화 제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상기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 제어 방법은, 통화상태에 진입하는 단계(201)와, 녹음된 음성을 이용한 통화제어 모드인 경우(203), 발신자의 음성이 무선 수신되면(209), 상기 발신자의 음성을 처리하여 착신자에게 음성 출력하는 단계(211) 및 착신자의 해당 조작신호가 입력되면(213), 상기 조작신호에 해당하는 녹음 음성을 처리하여 무선 송신하는 단계(215)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신자로부터 전화가 걸려오면, 제어부(110)는 통화 상태로 진입한다(201). 제어부(110)는 본 발명에 따른 녹음된 음성을 이용한 통화제어모드인지를 검사한다(203). 상기 203단계는 착신 벨소리를 들은 후에 착신자가 기설정된 조작신호를 입력함에 따라 설정될 수 있고, 또는 착신자는 미리 메뉴 설정 화면에서 상기 통화제어모드를 설정해 둘 수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녹음된 음성을 이용한 통화제어모드가 아니면, 제어부(110)는 통상의 통화모드를 수행한다(205).
본 발명에 따른 녹음된 음성을 이용한 통화제어모드인 경우, 발신자의 음성이 무선 수신되면, 제어부(110)는 상기 무선 수신된 발신자의 음성을 이동통신 수신 경로를 통해 처리하고 음성 출력되도록 제어한다(211).
본 발명에서 이동통신 수신 경로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무선 수신되는 상대방의 음성이 처리되는 통상적인 경로를 의미하는 것으로, 그 예로써 무선 수신 처리, 이동통신용의 복조 처리, 음성 처리 경로를 의미한다. 각 경로의 세부적인 동작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이 출원되기 이전에 공지된 것으로 당업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통화 상태를 유지하면서 발신자는 음성을 수신자에게 계속 전달할 수가 있다. 예를 들어, 급한 용무를 수신자에게 전해 줄 수가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조작부(101)를 통해 통화용 조작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110)는, 종래와 같이 마이크로부터 입력되어 음성 처리부(107)에 의해 신호 처리된 사용자 음성을 소스 데이터로 하지 않고, 상기 조작신호에 해당하는 녹음된 음성을 처리하여 무선 송신한다. 여기서 녹음된 음성 데이터는 저장부(111)에 미리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녹음된 음성 데이터는 이동통신 단말기 통상의 녹음기능에 의해 저장될 수 있다.
상기 녹음된 음성을 처리하는 기술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무선 송신할 사용자의 음성이 처리되는 송신 경로를 통해 처리된다. 송신 경로는 그 예로써 이동통신용의 변조 처리, 무선 송신 처리 경로를 의미한다. 각 경로의 세부적인 동작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이 출원되기 이전에 공지된 것으로 당업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통화 상태를 유지하면서 수신자는 녹음된 음성을 발신신자에게 계속 전달할 수가 있다. 예를 들어, 주위에 폐를 끼치지 않으면서도 급한 용무를 발신자로부터 실시간으로 계속해서 전해 들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보조적인 양상에 따르면, 상기 녹음 음성이, 복수개이고; 상기 조작신호가, 상기 녹음 음성들을 식별할 수 있는 것(상기 도 2에 도시하지 않음);을 특징으로 한다.
수신자는 자신이 직접 통화할 때에 필요한 복수개의 대화를 이동통신 단말기의 녹음 기능을 이용해 녹음 시킬 수가 있으며, 발신자의 대화를 들어 가면서 적당한 응답을 조작신호를 통해 선택할 수가 있게 된다. 또는 경우에 따라서, 이동통신 단말기 자체적으로 기본적인 대화가 녹음되어 있을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상기 녹음신호를 선택할 수 있는 조작 안내 메뉴를 착신자에게 표시하는 단계(상기 도 2에 도시하지 않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어부(110)는 통화용 녹음음성 목록 화면을 표시부(103)를 통해 출력한다. 이에 따라, 수신자는 편리하게 녹음음성을 선택할 수가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제어부(110)는 마이크 동작을 오프하는 단계를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상기 도 2에 도시하지 않음).
이에 따라, 마이크 기능이 중단되어, 수신자는 현재 주위의 소리를 발신자에게 들리지 않도록 할 수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상기 조작신호에 해당하는 음원 파일을 재생한 신호를 처리하여 무선 송신하는 단계(상기 도 2에 도시하지 않음);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추가적인 양상은 녹음된 음성 뿐만 아니라 음악이나 다른 오디오 신호를 발신자에게 들려 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통화가 종료되지 않은 상태에서 사용자의 조작신호가 통상의 통화모드로 복귀하는 것에 해당하면, 제어부(110)는 207 단계에서 통상의 통화모드로 진입한다.
이러한 특징적 양상은 수신자가 회의 장소나 영화관 객석에서 빠져나와 정상적으로 통화할 수 있는 곳으로 가서는 정상적인 통화를 할 수 있도록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통화 상태를 유지하면서 발신자는 음성을 수신자에게 계속 전달할 수가 있다. 예를 들어, 급한 용무를 수신자에게 전해 줄 수가 있다.
또한, 통화 상태를 유지하면서 수신자는 녹음된 음성을 발신신자에게 계속 전달할 수가 있다. 예를 들어, 주위에 폐를 끼치지 않으면서도 급한 용무를 발신자로부터 실시간으로 계속해서 전해 들을 수 있다.
또한, 수신자는 자신이 직접 통화할 때에 필요한 복수개의 대화를 이동통신 단말기의 녹음 기능을 이용해 녹음 시킬 수가 있으며, 발신자의 대화를 들어 가면서 적당한 응답을 조작신호를 통해 선택할 수가 있게 된다. 또는 경우에 따라서, 이동통신 단말기 자체적으로 기본적인 대화가 녹음되어 있을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는 실시예에 의하여 설명되었으나 이에 한정하여 해석되지 않으며, 이로부터 자명한 많은 변형예들을 포괄하도록 해석되어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일 예.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녹음된 음성을 이용한 통화 제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용 녹음음성 목록 화면.

Claims (6)

  1.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 제어 방법에 있어서,
    통화상태에 진입하는 단계;
    녹음된 음성을 이용한 통화제어 모드인 경우, 발신자의 음성이 무선 수신되면, 상기 발신자의 음성을 처리하여 착신자에게 음성 출력하는 단계; 및
    착신자의 해당 조작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조작신호에 해당하는 녹음 음성을 처리하여 무선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녹음된 음성을 이용한 통화 제어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녹음 음성이, 복수개이고;
    상기 조작신호가, 상기 녹음 음성들을 식별할 수 있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녹음된 음성을 이용한 통화 제어 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녹음신호를 선택할 수 있는 조작 안내 메뉴를 착신자에게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녹음된 음성을 이용한 통화 제어 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착신자에 의해 입력되는 조작신호가 통상의 통화모드로 복귀하는 것에 해당되면, 통상의 통화모드로 복귀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녹음된 음성을 이용한 통화 제어 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마이크 동작을 오프하는 단계;를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녹음된 음성을 이용한 통화 제어 방법.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신호에 해당하는 음원 파일을 재생한 신호를 처리하여 무선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녹음된 음성을 이용한 통화 제어 방법.
KR1020030089643A 2003-12-10 2003-12-10 이동통신 단말기의 녹음된 음성을 이용한 통화 제어 방법 KR2005005660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9643A KR20050056607A (ko) 2003-12-10 2003-12-10 이동통신 단말기의 녹음된 음성을 이용한 통화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9643A KR20050056607A (ko) 2003-12-10 2003-12-10 이동통신 단말기의 녹음된 음성을 이용한 통화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6607A true KR20050056607A (ko) 2005-06-16

Family

ID=372511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9643A KR20050056607A (ko) 2003-12-10 2003-12-10 이동통신 단말기의 녹음된 음성을 이용한 통화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5660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13490B1 (en) Mobile station with audio signal adaptation to hearing characteristics of the user
CN100353734C (zh) 便携式电话机
RU2376727C2 (ru) Устройство,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звуковой связи с возможностью бесшумного выбора и передачи звуковых сообщений
US20060258396A1 (en) Mobile device having broadcast receiving function and telephone communication function
US20070099651A1 (en) Hold on telephony feature
KR20030007483A (ko) 음성 정보를 송신하는 방법 및 음성 정보 송신용 전자통신 장치
KR100387962B1 (ko) 엠피쓰리 휴대폰에서의 엠피쓰리 음악 재생방법
KR20050056607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녹음된 음성을 이용한 통화 제어 방법
KR100752294B1 (ko) 이동 단말기에서 배경음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JPH11194798A (ja) 音声認識電話機
JP4600643B2 (ja) 文字表示機能を有するテレビ電話装置及びテレビ電話装置における音声の文字変換表示方法
JPH11194797A (ja) 音声認識作動装置
EP1009145A1 (en) Message control system
JP2003046603A (ja) 音楽プレーヤ兼用携帯電話機
KR20010061331A (ko) 배경음악 기능을 갖는 이동 단말기
JP2002232957A (ja) 携帯電話通話方法および装置
JP2004343566A (ja) 移動電話端末及びプログラム
JP3046998U (ja) 携帯電話
JP3981995B2 (ja) 通信端末装置
KR100483821B1 (ko)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 자동응답 인사말에 배경 음악삽입 방법
JP3311365B2 (ja) 携帯電話装置
JP2000059494A (ja) 通話装置
JP2005045658A (ja) 携帯電話装置およびその通話方法
JPH09247249A (ja) 携帯電話機
JPH11194795A (ja) 音声認識作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