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53358A - 분실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분실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53358A
KR20050053358A KR20030086185A KR20030086185A KR20050053358A KR 20050053358 A KR20050053358 A KR 20050053358A KR 20030086185 A KR20030086185 A KR 20030086185A KR 20030086185 A KR20030086185 A KR 20030086185A KR 20050053358 A KR20050053358 A KR 200500533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lost
text message
lock mode
mobil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300861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순미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300861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53358A/ko
Publication of KR200500533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3358A/ko

Link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실된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분실상태임을 알리는 텔레서비스 아이덴티파이어(TI)가 포함된 문자 메시지가 수신되면 단말기 잠금 모드로 전환시키고, 차후에 분실상태 해제를 알리는 TI가 포함된 문자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잠금 모드를 해제하는 방법에 대한 것이다. 단말기 잠금 모드로 전환되면 타인이 그 단말기의 고유번호가 저장된 메모리에 접근하는 것이 금지되는 동시에, 단말기의 각 종 기능을 사용할 수 없게 된다. 이로써 분실된 단말기가 불법복제에 이용되는 것을 방지하고 예상치 못했던 타인의 단말기 사용으로 부당하게 과금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Description

분실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관리 방법 {Method for managing losed mobile communication device}
본 발명은 분실된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분실상태임을 알리는 텔레서비스 아이덴티파이어(Teleservice Identifier, 이하 'TI')가 포함된 문자 메시지가 수신되면 그 단말기의 고유번호가 저장된 메모리에 접근을 금지시키는 동시에, 단말기의 각 종 기능을 사용할 수 없도록 잠금 모드로 전환시키고, 차후에 분실상태 해제를 알리는 TI가 포함된 문자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잠금 모드를 해제하는 방법에 대한 것이다.
현대인들에게 이동통신 단말기는 이미 생활의 필수품으로서 자리매김하고 있는 바, 단순한 음성통화 기능 외에도 PIMS(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기능, 문자 메시지 기능 등을 구비하여 실질적으로 개인 수첩 역할을 대신한다고도 볼 수 있다.
따라서 이를 분실하였을 경우에 단말기에 저장된 개인의 신상에 관한 정보가 여과없이 유출될 수 있고, 불법적인 타인의 전화통화로 인해 예상치도 못한 과금으로 피해를 보기도 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선행기술로 특허공개 제 2003-0071002호가 있다. 이는 분실시 처리기능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 및 그 방법, 휴대용 단말기의 분실관리서버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단말기 분실시 분실관리 서버에 의해 분실인식코드가 전송되어 단말기에 입력되면 단말기가 그 분실상태임을 인식한 다음 이를 잠금상태로 하여 그 사용을 제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에 의하면 타인의 예상치 못한 전화통화나 개인 정보 유출을 방지할 수는 있으나, 그 외 다른 불법적 이용까지 차단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특히 분실된 단말기의 고유번호가 유출되는 경우에는 그 단말기가 불법 도감청에 이용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이동통신 단말기의 고유번호(Electronic Serial Number, ESN)는 물류파악을 목적으로 제조사에서 붙이는 일련번호(Serial Number)와는 비교되는 것으로서, 그 단말기가 고유하게 가지는 번호이며 원칙적으로 중복으로 존재할 여지가 없다.
다만, 단말기의 메모리 상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고유번호 및 당해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읽어내어 또 다른 단말기의 메모리에 덮어쓰게 되면 소위 브릿지 폰이 되어, 도감청 등의 불법적 사용에 이용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분실된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분실상태임을 알리는 텔레서비스 아이덴티파이어(TI)가 포함된 문자 메시지가 수신되면 단말기 잠금 모드로 전환시키고, 차후에 분실상태 해제를 알리는 TI가 포함된 문자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잠금 모드를 해제하는 방법을 제공한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상기 잠금 모드는 타인이 분실 단말기의 고유번호를 알아내기 위해 그 고유번호가 저장된 메모리 영역에 접근하지 못하도록 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단말기 분실 상태임을 알리는 TI를 포함하는 문자 메시지를 수신하는 제 1단계와, 단말기 잠금 모드로 전환하는 제 2단계와, 단말기 분실 상태 해제를 알리는 TI를 포함하는 문자 메시지를 수신하는 제 3단계와, 단말기 잠금 모드를 해제하는 제 4단계를 구비한다.
여기서 단말기 잠금 모드는 단말기 고유번호 읽기를 금지시키고 단말기의 각 종 기능을 사용할 수 없도록 하는 상태를 말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분실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관리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별 블럭도이다.
제어부(108)는 단말기 전체의 무선 통화 또는 데이터 처리를 수행하며 후술될 단말기의 각 부분들을 제어한다. 본 발명에서는 수신된 문자 메시지의 헤더에서 TI 부분을 검출하여 판단하는 기능, 분실상태임을 알리는 TI가 포함된 문자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단말기의 각종 기능들을 잠그는 기능 등의 알고리즘을 구비한다. 물론 차후에 잠금해제를 위한 문자 메시지를 수신해야 하므로 문자메시지 수신 기능만은 계속 활성화된다.
특히 상기의 경우 단말기의 고유번호(Eletronic Sirial Number, ESN)를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에 함부로 접근하지 못하도록 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따라서, 차후에 필요에 의해서 그 메모리 영역에 접근하고자 하는 자를 구별하기 위해 별도의 암호화 알고리즘을 구비해야 함은 자명하다.
그 외, 분실상태 해제를 알리는 TI가 포함된 문자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에는 상기 잠금 상태를 해제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키입력부(104)는 숫자/문자 키, 통화 키, 종료 키 등을 포함한 각종 키들을 구비하며 사용자가 누르는 키에 대응하는 키 신호를 발생시켜 상기 제어부(108)에 제공한다. 다만, 본 발명에서 분실상태임을 알리는 TI가 포함된 문자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108)에 의해 어떠한 키 입력에도 단말기가 작동하지 않게 된다.
음성처리부(116)는 제어부(108)의 제어 하에 수신부(110)에 수신된 음성 데이터를 아날로그의 전기적인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SPK)로 출력한다. 그러면 스피커(SPK)는 전기적인 음성신호를 가청음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마이크로폰은 음성을 전기적인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음성처리부(116)로 제공한다.
표시부(102)는 일반적으로 LCD(Liquid Crystal Display)로 구성할 수 있으며, 제어부(108)의 제어 하에 표시할 데이터를 받아 무선 단말기의 동작상태, 다이얼링되는 데이터 기타 등등의 각종 메시지를 표시한다. 본 발명에서는 분실상태임을 알리는 TI가 포함된 문자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단말기의 화면에 그 분실사실과 분실자의 연락처 등의 정보를 표시해 주고, 잠금상태에서 어떠한 키라도 눌릴 경우에는 현재 잠금상태에 있다는 메시지를 표시해 준다. 마찬가지로 분실상태 해제를 알리는 문자 메시지가 수신된 때에는 잠금상태 해제 사실을 화면에 표시한다.
메모리부(106)는 제어부(108)의 동작에 필요한 제어 프로그램 코드와 각종 데이터 및 사용자가 저장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영역을 가진다. 특히, 본 영역에는 단말기의 구별수단인 고유번호(ESN)가 저장되어 있으며, 단말기 잠금모드로 전환됨에 따라 상기 제어부(108)에 의해 더이상 본 영역에 함부로 접근할 수 없게 함은 상기 설명한 바와 같다.
이러한 구조를 가지면서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로는 코드리스폰, 셀룰러폰, PCS폰, IMT2000 등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인 분실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관리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네트워크 다이어그램이다.
분실자에 의해 단말기 분실사실이 통신회사에 신고되면, 통신회사는 교환국(205)의 고객 DB(207)에 그 분실여부를 등록한다. 고객 DB에는 그 분실자 성명, 주소 등의 일반적인 정보뿐만 아니라 그 분실 단말기에 취할 조치 즉, 사용중지 신청여부, 해지신청 여부 등의 정보들도 포함되어 있다.
상기 고객 DB에 등록함과 아울러 SMS 서버(209)에 분실상태임을 알리는 특정 TI를 실은 문자 메시지를 당해 분실 단말기(201)로 전송할 것을 요청한다. 분실 단말기(201)는 교환국(205) 및 기지국(203)을 통해 상기 SMS 서버로부터 송신된 문자 메시지를 수신하여 단말기 잠금모드로 전환하게 된다.
분실자가 분실 단말기를 회수한 경우에 통신회사에 그 회수사실을 신고하여 분실상태 해제를 알리는 문자 메시지를 수신받는 과정은 상기 과정과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인 분실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관리 방법을 구현하는 흐름도이다.
분실된 단말기에 문자 메시지가 수신되면(S301), 그 문자 메시지의 헤더 부분에 분실상태임을 나타내는 TI가 포함되어 있는지 분석한다(S303). 단말기가 그 문자 메시지를 통해 분실상태임을 인식한 경우라면 단말기를 잠금모드로 전환한다(S305).
이는 습득자로 하여금 함부로 단말기의 고유번호 저장 영역에 접근하지 못하도록 하고, 부득이하게 접근해야 할 시에는 미리 준비된 암호화 알고리즘에 의해 인증을 거치게 하는 등의 방법을 구비하는 것이다. 또한, 단말기의 기타 기능들 특히 전화통화 기능을 차단하여 불필요한 과금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차후에 단말기를 회수한 경우, 상기 단말기 잠금모드를 해제하기 위하여 다시 일정한 문자 메시지를 수신하게 된다(S307). 문자 메시지의 헤더 부분에 분실상태가 해제되었음을 나타내는 TI가 포함되어 있다면(S309), 상기 S305단계와 반대로 단말기 고유번호에의 접근을 가능케 하고 단말기의 각 종 기능을 사용할 수 있도록 잠금모드를 해제한다(S311).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분실된 이동통신 단말기에 분실상태임을 알리는 SMS가 수신된 경우의 단말기 화면예이다.
단말기가 분실된 경우에 습득자가 그 단말기를 습득한 당시에는 대기상태에 놓여있을 것이다(401). 소유자가 통신회사에 분실신고를 하면, 통신회사는 자사 고객 DB에 상기 단말기가 분실되었음을 등록하고 그 분실된 단말기로 특정 TI가 포함된 문자 메시지를 송신하는데, 이 문자 메시지에는 당해 단말기가 분실된 것이라는 내용과 소유자와 연결할 수 있는 연락처를 담게 된다(403).
문자 메시지로부터 분실상태임을 파악한 단말기는 습득자 등이 그 고유번호를 읽을 수 없도록, 그리고 단말기의 각 종 기능을 더이상 사용하지 못하도록 잠금모드로 전환하고, 그 전환여부를 단말기 화면에 출력한다(405).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되찾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분실상태 해제를 알리는 SMS가 수신된 경우의 단말기 화면예이다.
현재 단말기는 분실상태이므로 단말기의 대기화면에는 본 단말기가 분실상태임을 나타내는 문구와 소유자의 연락처가 표시되어 있다(501).
이제 소유자가 단말기를 다시 회수하게 되어 통신회사에 회수 신고를 하면, 마찬가지로 통신회사는 고객 DB에 그 회수여부를 등록하고 회수된 단말기로 분실해제를 알리는 TI가 포함된 문자 메시지를 송신한다.
이를 수신한 단말기는 화면에 잠김상태가 해제되었음을 알리는 문구를 출력하는 동시에 상기의 단말기 잠금모드를 해제한다(503).
이상, 본 발명을 몇가지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한 수정과 변경을 가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 설명한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르면 분실된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분실상태임을 알리는 텔레서비스 아이덴티파이어(TI)가 포함된 문자 메시지가 수신되면 단말기 잠금 모드로 전환시키고, 차후에 분실상태 해제를 알리는 TI가 포함된 문자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잠금 모드를 해제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이 때, 단말기 잠금 모드로 전환되면 타인이 그 단말기의 고유번호가 저장된 메모리에 접근하는 것이 금지되는 동시에, 단말기의 각 종 기능을 사용할 수 없게 된다. 이로써 분실된 단말기가 불법복제에 이용되는 것을 방지하고 예상치 못했던 타인의 단말기 사용으로 부당하게 과금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분실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관리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별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인 분실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관리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네트워크 다이어그램이다.
도 3은 본 발명인 분실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관리 방법을 구현하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분실된 이동통신 단말기에 분실상태임을 알리는 문자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의 단말기 화면예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되찾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분실상태 해제를 알리는 문자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의 단말기 화면예이다.

Claims (2)

  1. 단말기 분실 상태임을 알리는 TI(Teleservice Identifier)를 포함하는 문자 메시지를 수신하는 제 1단계,
    단말기 잠금 모드로 전환하는 제 2단계,
    단말기 분실 상태 해제를 알리는 TI(Teleservice Identifier)를 포함하는 문자 메시지를 수신하는 제 3단계,
    단말기 잠금 모드를 해제하는 제 4단계,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실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관리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잠금 모드는, 단말기 고유번호 읽기를 금지시키고 단말기의 각 종 기능을 사용할 수 없도록 하는 상태임을 특징으로 하는, 분실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관리 방법.
KR20030086185A 2003-12-01 2003-12-01 분실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관리 방법 KR2005005335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30086185A KR20050053358A (ko) 2003-12-01 2003-12-01 분실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30086185A KR20050053358A (ko) 2003-12-01 2003-12-01 분실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관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3358A true KR20050053358A (ko) 2005-06-08

Family

ID=372490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30086185A KR20050053358A (ko) 2003-12-01 2003-12-01 분실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5335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8088B1 (ko) * 2014-01-09 2015-04-07 유춘근 스마트 it 제품의 통합 보안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US9301143B2 (en) 2011-09-23 2016-03-29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providing security theret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01143B2 (en) 2011-09-23 2016-03-29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providing security thereto
KR101508088B1 (ko) * 2014-01-09 2015-04-07 유춘근 스마트 it 제품의 통합 보안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621612B2 (ja) 携帯電話機
JP3424639B2 (ja) 電子機器及び固有情報管理方法
EP1601216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6836654B2 (en) Anti-theft protection for a radiotelephony device
US20100099383A1 (en) Mobile terminal device
EP1703708A1 (en) Mobile terminal and remote locking program storage medium
EP1589779A2 (en) Function-limiting device and function-limiting method
JP2011504333A (ja) 緊急時状態を有する移動端末及びその状態に入るための方法
US20030181219A1 (en) Method of indicating unauthorized use of a mobile terminal
JP2002218048A (ja) 移動電話装置
CN100571436C (zh) 一种移动终端信息资源安全保障的实现方法
JP2003101640A (ja) 携帯端末
JP3261394B2 (ja) 無線携帯端末装置
JPH11331366A (ja) 携帯電話機
KR101197269B1 (ko) 분실한 휴대용 단말기의 불법 사용을 방지하는 장치 및방법
KR20050053358A (ko) 분실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관리 방법
JPH03179938A (ja) 移動電話装置
KR100621748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발신 전화 번호 저장 방법
KR100771160B1 (ko) 휴대 단말기의 스팸통화 제어 방법
JP2009094909A (ja) 通信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00125026A (ja) 携帯通信端末のデータ設定方法
KR100232304B1 (ko) 휴대전화기의 자동 분실신고방법
JP3631695B2 (ja) 携帯電話装置及びそのリモート操作方法
JP4159069B2 (ja) 無線電話装置
JP2008048133A (ja) 移動体通信装置およびこの移動体通信装置の通話機能選択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