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2304B1 - 휴대전화기의 자동 분실신고방법 - Google Patents

휴대전화기의 자동 분실신고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2304B1
KR100232304B1 KR1019970058551A KR19970058551A KR100232304B1 KR 100232304 B1 KR100232304 B1 KR 100232304B1 KR 1019970058551 A KR1019970058551 A KR 1019970058551A KR 19970058551 A KR19970058551 A KR 19970058551A KR 100232304 B1 KR100232304 B1 KR 1002323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st
loss
phone
password
re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85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8720A (ko
Inventor
황상진
Original Assignee
서평원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평원,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평원
Priority to KR10199700585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32304B1/ko
Publication of KR199900387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87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23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23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6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with mean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or fraudulent calling
    • H04M1/667Preventing unauthorised calls from a telephone set
    • H04M1/67Preventing unauthorised calls from a telephone set by electronic means
    • H04M1/673Preventing unauthorised calls from a telephone set by electronic means the user being required to key in a c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실된 휴대전화기의 자동 분실신고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분실 또는 도난에 대비하여 사용자에 의해 비밀번호기능이 설정되는 제1과정과, 상기 제1과정에서 비밀번호기능이 설정될 경우 사용자의 전화기 사용 시도에 따른 비밀번호 입력요구 메시지가 디스플레이되는 제2과정과, 상기 제2과정 후 사용자의 키조작에 따라 입력되는 입력번호와 기설정된 비밀번호를 매칭하는 제3과정과, 상기 제3과정에서 비밀번호가 매칭되면 정상상태로 연결되어 통화한 후 종료되는 반면, 매칭되지 않을 경우 중계기, 분실신고 센터 수신기를 거쳐 전화기의 분실사실을 자동응답기에 남기며, 이를 신고처리용 컴퓨터에서 관리자에게 분실사실을 알리는 제4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그 특징으로 한 것으로서, 휴대전화기 사용자가 어떤 이유로 자신의 휴대전화기를 분실 또는 당하였을시 분실된 휴대전화기에서 서비스 업체로 직접 분실신고를 접수케 함으로써 타인의 무단사용으로 인한 불이익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휴대전화기를 습득한 타인이 보다 쉽게 분실자의 연락처로 연락할 수 있게 되어 분실된 휴대전화기의 회수 가능성도 일층 높은 발명이다.

Description

휴대전화기의 자동 분실신고방법
본 발명은 분실된 휴대전화기의 자동 분실신고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타인이 분실된 전화기를 허가없이 사용하고자 할 경우 휴대전화기에서 직접 중계기, 분실신고 센터 수신기, 자동응답기를 통해 신고처리용 컴퓨터로 분실 신고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타인의 무단사용으로 인한 원소유자의 불이익을 방지하기 위한 휴대전화기의 자동 분실신고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전화기는 개인이 휴대한 상태로 착신과 발신이 가능한 전화기로서 사용상의 편리함이 있으나, 그에 반해 분실할 우려도 많음은 주지하고 있는 사실이다.
이에 대비하여 분실 또는 타인의 사용을 억제키 위한 비밀번호기능이 부가된 제품이 근래들어 출시되고 있으나 이 역시 원소유자가 비밀번호 체크결과에 따라 정상사용여부만 결정케 하는 단순한 기능으로써 분실에 따른 효과적인 대처가 미흡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사항을 감안하여 창출한 것으로서, 타인이 분실된 전화기를 허가없이 사용하고자 할 경우 휴대전화기에서 직접 중계기, 분실신고 센터 수신기, 자동응답기를 거쳐 신고처리용 컴퓨터에 분실 신고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원소유자가 서비스 회사로 신고하지 않고도 신고처리지연에 따른 불이익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휴대전화기의 자동 분실신고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분실신고처리를 위한 개략적인 블럭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분실신고방법의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휴대전화기 20 - 중계기
30 - 분실신고 센터 수신기 40 - 자동응답기
50 - 신고처리용 컴퓨터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분실 또는 도난에 대비하여 사용자에 의해 비밀번호기능이 설정되는 제1과정과, 상기 제1과정에서 비밀번호기능이 설정될 경우 사용자의 전화기 사용 시도에 따른 비밀번호 입력요구 메시지가 디스플레이되는 제2과정과, 상기 제2과정 후 사용자의 키조작에 따라 입력되는 입력번호와 기설정된 비밀번호를 매칭하는 제3과정과, 상기 제3과정에서 비밀번호가 매칭되면 정상상태로 연결되어 통화한 후 종료되는 반면, 매칭되지 않을 경우 중계기, 분실신고 센터 수신기를 거쳐 전화기의 분실사실을 자동응답기에 남기며, 이를 신고처리용 컴퓨터에서 관리자에게 분실사실을 알리는 제4과정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 상기 제3과정에서 기설정된 비밀번호와 매칭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분실된 전화기임을 알리고 연락가능한 전화번호를 전화기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표시된 전화번호외에 연락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모든 입력키를 무시하는 단계와, 샌드(SEND)키 입력 여부를 일정시간 동안 카운트하는 단계와,샌드(SEND)키 입력시 연락 전화번호와 연결하여 통화를 시도하며, 샌드(SEND)키 입력이 없으면 중계기, 분실신고 센터 수신기를 거쳐 전화기의 분실사실을 자동응답기에 남기고, 이를 신고처리용 컴퓨터에서 관리자에게 분실사실을 알리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분실신고처리를 위한 블럭 구성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10)은 통상적으로 개인이 휴대하며 착신과 발신이 가능한 무선단말기를 지칭하는 휴대전화기이며, (20)은 휴대전화기와 휴대전화기, 또는 휴대전화기와 다른 유선전화망을 연결시켜 주기 위한 기지국 혹은 중계기이고, (30)은 통상의 서비스 센터 즉, 각종의 분실 또는 도난 사고시에 연락되는 전화를 수신하여 접수하는 분실신고 센터 수신기이다.
또, (40)은 상기 분실신고 센터 수신기(30)에서 접수되는 특정 형태의 데이터를 저장 혹은 후술하는 신고처리용 컴퓨터로 전달해 주는 자동응답기이며, (50)은 미리 등록된 휴대전화기 전체 사용자의 개인 등록정보가 수록되며 상기한 자동응답기(40)에서 전달된 정보를 기초로 휴대전화기의 원소유자를 찾아내고 이에 관리자가 조치 즉, 분실신고 확인여부를 원소유자에게 확인할 수 있도록 정보를 가공해 주는 신고 처리용 컴퓨터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원소유자가 자신의 분실 또는 도난 당하였다는 사실을 인지하지 않는 상태라도 도 2와 같은 동작으로 휴대전화기에서 등록된 서비스 업체로 직접 분실신고를 접수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먼저 원소유자가 자신의 휴대전화기에 내장된 비밀번호기능을 활성화시켜 놓아야 한다.
부연하면, 우연히 분실된 휴대전화기를 습득한 사람은 당연히 전화기 사용을 위해 키를 조작하는 시도를 할 것이며(S100), 이때 비밀번호기능이 설정되지 않는 상태이면 그 즉시 정상 사용상태(S103)로 사용이 가능하므로 공지의 동작수순에 따른 보호를 받아야 하는 반면, 비밀번호기능이 설정된 상태이면(S101) 휴대전화기(10)의 표시창에 비밀번호 입력요구 메시지가 디스플레이되면서(S102) 본 발명의 프로그램에 따라 보호를 받을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비밀번호 요구메시지를 인식한 상태에서 사용자는 입력번호를 입력시킬 것이고, 이에 기설정된 비밀번호와 상호 매칭하는지를 비교판단하여(S104) 상호 매칭된 상태이면 정상상태(S103)로 판단하여 정상 통화가 가능케 연결되며, 매칭되지 않을 경우는 이 휴대전화기(10)는 분실 또는 도난상태의 전화기임을 표시창에 알리며, 그와 동시에 원소유자와 연락할 수 있는 전화번호도 전화기의 액정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된다(S105).
단계 S105에서 전화기에 표시된 전화번호 이외에는 다른 전화번호와는 연락이 원천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도록 샌드(SEND)키 이외의 모든 입력키를 무시하도록(S106)함과 아울러, 샌드(SEND)키의 입력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일정시간을 카운트한다(S107).
이때, 샌드(SEND)키 입력이 있을 경우는 원소유자에게 직접 연락이 이루어지도록 표시된 전화번호와 연결되어 통화를 하고(S108), 통화종료 후 휴대전화기는 일정시간 후 자동으로 전원이 차단된다(S109). 물론 다시 전원키를 누르면 휴대전화기는 초기의 상태에서부터 진행한다.
만약, 단계 S107에서 분실된 상태임을 표시하고 샌드(SEND)키 입력을 기다린 상태에서 일정시간동안 샌드키 입력이 없으면 돌려줄 의사가 없는 것으로 판단하여, 현재의 상태 즉, 표시창에는 분실된 상태만 표시하고 모든 입력키의 입력을 무시한 상태에서(S110-S111) 사전에 입력된 등록된 휴대전화기 서비스 업체로 전화를 건다.
상기 전화는 중계기(20), 분실신고 처리수신기(30)를 거쳐 분실된 휴대전화기(10)의 고유 개인ID(고유전화번호)를 자동응답기(40)에 수록되게 하고(S112), 이 정보는 신고처리용 컴퓨터(50)로 전달되어 신고처리용 컴퓨터(50)는 기저장된 정보에서 검색하여 해당 정보 즉, 분실메시지를 담당관리자에게 통보한다(S113). 이에 담당관리자는 원소유자에게 연락하여 분실여부를 확인하고 그에따른 사용중지조치 등을 취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휴대전화기 사용자가 어떤 이유로 자신의 휴대전화기를 분실 또는 당하였을시 이를 상당기간 인지하지 못할 경우에 특히 유용한 것으로 분실된 휴대전화기에서 서비스 업체로 직접 분실신고를 접수케 함으로써 타인의 무단사용으로 인한 불이익을 방지하는데 유용할 뿐만 아니라, 휴대전화기를 습득한 타인이 보다 쉽게 분실자의 연락처로 연락할 수 있게 함으로써 분실된 휴대전화기의 회수 가능성도 일층 높다.

Claims (3)

  1. 분실 또는 도난에 대비하여 사용자에 의해 비밀번호기능이 설정되는 제1과정과, 상기 제1과정에서 비밀번호기능이 설정될 경우 사용자의 전화기 사용 시도에 따른 비밀번호 입력요구 메시지가 디스플레이되는 제2과정과, 상기 제2과정 후 사용자의 키조작에 따라 입력되는 입력번호와 기설정된 비밀번호를 매칭하는 제3과정과, 상기 제3과정에서 비밀번호가 매칭되면 정상상태로 연결되어 통화한 후 종료되는 반면, 매칭되지 않을 경우 중계기와 분실신고 센터 수신기를 거쳐 전화기의 분실사실을 자동응답기에 남기며 이를 신고처리용 컴퓨터에서 관리자에게 분실사실을 알리는 제4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한 휴대전화기의 자동 분실신고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과정에서 기설정된 비밀번호와 매칭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분실된 전화기임을 알리고 연락가능한 전화번호를 전화기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표시된 전화번호외에 연락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모든 입력키를 무시하는 단계와, 샌드(SEND)키 입력 여부를 일정시간 동안 카운트하는 단계와, 샌드(SEND)키 입력시 연락 전화번호와 연결하여 통화를 시도하며, 샌드(SEND)키 입력이 없으면 중계기와 분실신고 센터 수신기를 거쳐 전화기의 분실사실을 자동응답기에 남기고 이를 신고처리용 컴퓨터에서 관리자에게 분실사실을 알리는 단계가 추가로 이루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한 휴대전화기의 자동 분실신고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의 분실된 상태임을 표시하고 샌드(SEND)키 입력을 기다린 상태에서 일정시간동안 샌드키 입력이 없으면 표시창에 분실된 상태만 표시하고 모든 입력키의 입력을 무시한 상태에서 전화를 시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한 휴대전화기의 자동 분실신고방법.
KR1019970058551A 1997-11-06 1997-11-06 휴대전화기의 자동 분실신고방법 KR1002323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8551A KR100232304B1 (ko) 1997-11-06 1997-11-06 휴대전화기의 자동 분실신고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8551A KR100232304B1 (ko) 1997-11-06 1997-11-06 휴대전화기의 자동 분실신고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8720A KR19990038720A (ko) 1999-06-05
KR100232304B1 true KR100232304B1 (ko) 1999-12-01

Family

ID=195243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8551A KR100232304B1 (ko) 1997-11-06 1997-11-06 휴대전화기의 자동 분실신고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3230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8019A (ko) * 2002-10-31 2004-05-08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지피에스 기능을 이용하여 분실단말기 찾기방법 및 그를이용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8720A (ko) 1999-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759595B (zh) 配备用户可拆卸模块的无线通信设备中的紧急回叫
JP3621612B2 (ja) 携帯電話機
US5745559A (en) Restricted access telephones for logical telephone networks
JP2001238260A (ja) 電子機器及び固有情報管理方法
EP1251472A1 (en) Means for loss protection of a mobile terminal
US8086283B2 (en) Wireless child communication device
EP1347667A2 (en) Method of indicating unauthorized use of a mobile terminal
KR920003341B1 (ko) 오류방지회로 및 전화호출 제한방법
KR100590349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 잠금 제어 방법
CN102055848A (zh) 一种移动通讯终端的来电处理方法
JPH11298600A (ja) 携帯電話装置
CN108924335B (zh) 一种呼叫控制方法、系统及移动终端
JP3261394B2 (ja) 無線携帯端末装置
JP2005033565A (ja) メールおよびスケジュール機能付き携帯電話
KR100232304B1 (ko) 휴대전화기의 자동 분실신고방법
JPH11331366A (ja) 携帯電話機
JPH09312687A (ja) 防犯機能付き携帯電話機
EP1675367A1 (en) Mobile telephone and method for placing an emergency call
EP0786913A2 (en) Radio call receiver
KR20000042657A (ko) 휴대폰의 분실 또는 도난 방지 방법
KR20040100153A (ko) 분실한 이동 통신 단말기 제어 방법
JP2004356685A (ja) 携帯通信端末及び携帯通信端末制御システム
KR100598354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수신번호 보호방법
JP3631695B2 (ja) 携帯電話装置及びそのリモート操作方法
CN101232684A (zh) 用户鉴权方法及具备用户鉴权功能的固网无线终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816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