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52644A - 플로우팅 방지회로를 구비하는 mtcmos 반도체집적회로 - Google Patents

플로우팅 방지회로를 구비하는 mtcmos 반도체집적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52644A
KR20050052644A KR1020030085814A KR20030085814A KR20050052644A KR 20050052644 A KR20050052644 A KR 20050052644A KR 1020030085814 A KR1020030085814 A KR 1020030085814A KR 20030085814 A KR20030085814 A KR 20030085814A KR 20050052644 A KR20050052644 A KR 200500526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logic circuit
logic
threshold voltage
semiconductor integr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58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64588B1 (ko
Inventor
정광옥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858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4588B1/ko
Publication of KR200500526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26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45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458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9/00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 H03K19/0008Arrangements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 H03K19/0016Arrangements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by using a control or a clock signal, e.g. in order to apply power supply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9/00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 H03K19/02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using specified components
    • H03K19/08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using specified compon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H03K19/094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using specified compon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field-effect transistors
    • H03K19/096Synchronous circuits, i.e. using clock signals
    • H03K19/0963Synchronous circuits, i.e. using clock signals using transistors of complementary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ogic Circuits (AREA)

Abstract

MTCMOS(Multi-Threshold voltage CMOS)가 적용된 논리회로와 MTCMOS가 적용되지 않은 논리회로가 하나의 칩에 함께 사용되더라도 과도한 단락회로 전류가 발생되지 않는 반도체 집적회로가 개시된다. 상기 반도체 집적회로는, 낮은 제1문턱전압을 갖는 트랜지스터들과 상기 제1문턱전압보다 높은 제2문턱전압을 갖는 트랜지스터들로 구성되며, 정상모드(normal mode)시에만 동작하고 정지모드(sleep mode)시에는 동작하지 않는 제1논리회로, 상기 제1문턱전압을 갖는 트랜지스터들로만 구성되며, 상기 정상모드와 상기 정지모드에서 항상 동작하는 제2논리회로, 및 상기 정지모드에서 상기 제1논리회로와 상기 제2논리회로 사이에 플로우팅 노드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1논리회로와 상기 제2논리회로 사이에 연결되는 플로우팅 방지회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플로우팅 방지회로는, 인에이블 신호의 활성화에 응답하여 상기 제1논리회로의 출력신호를 받아 버퍼링하여 상기 제2논리회로로 출력하는 콘트롤드 버퍼, 및 상기 콘트롤드 버퍼의 출력신호를 래치시키는 래치회로를 구비한다.

Description

플로우팅 방지회로를 구비하는 MTCMOS 반도체 집적회로{Multi-Threshold voltage CMOS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including floating prevention circuit}
본 발명은 반도체 집적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플로우팅 방지회로를 구비하는 MTCMOS(Multi-Threshold voltage CMOS) 반도체 집적회로에 관한 것이다.
MTCMOS는 기존의 낮은 문턱전압을 갖는 CMOS 논리게이트의 누설 패쓰(leakage path)에 높은 문턱전압을 갖는 트랜지스터들을 추가한 것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다. 도 1에서 피모스 트랜지스터들(Q3,Q4)과 엔모스 트랜지스터들(Q5,Q6)는 기존의 낮은 제1문턱전압을 갖는 트랜지스터들이고 피모스 트랜지스터(Q1)과 엔모스 트랜지스터(Q2)는 제1문턱전압보다 높은 제2문턱전압을 갖는 트랜지스터들이다. 이와 같이 두 가지 서로 다른 문턱전압을 갖는 모스 트랜지스터들을 사용하기 때문에 MTCMOS(Multi-Threshold voltage CMOS)라고 부른다.
도 1에 도시된 회로는 정상동작 모드(normal operation mode)시에는 제어신호(SC)가 논리"로우"가 되어 트랜지스터들(Q1,Q2)이 턴온된다. 그리고 가상접지(virtual ground)(VGND)와 가상 전원전압(VVDD) 사이에 연결되는 트랜지스터들(Q3-Q6)이 낮은 문턱전압을 갖기 때문에 상기 회로는 빠른 동작속도를 갖게 된다. 회로의 동작이 필요없는 정지모드(sleep mode)시에는 제어신호(SC)가 논리"하이"가 되어 트랜지스터들(Q1,Q2)이 턴오프되고 이에 따라 누설전류가 크게 감소된다.
그런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MTCMOS가 적용된 논리회로(21)와 MTCMOS가 적용되지 않은 논리회로(23)가 하나의 칩에 함께 사용될 경우, 이 두 논리회로(21,23) 간의 인터페이스에 즉 MTCMOS가 적용된 논리회로(21)의 출력단에 플로우팅 노드(floating node)가 발생된다. 즉 정지모드시에 제어신호(SC)의 반전신호(/SC)가 논리"로우"가 되어 트랜지스터(Q7)가 턴오프되며 이에 따라 논리회로(21)의 출력단이 플로우팅된다. 이로 인하여 의도하지 않은 과도한 단락회로 전류(short circuit current)(Is)가 논리회로(23)에서 발생된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하는 기술적 과제는, MTCMOS가 적용된 논리회로와 MTCMOS가 적용되지 않은 논리회로가 하나의 칩에 함께 사용되더라도 과도한 단락회로 전류가 발생되지 않는 반도체 집적회로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집적회로는, 낮은 제1문턱전압을 갖는 트랜지스터들과 상기 제1문턱전압보다 높은 제2문턱전압을 갖는 트랜지스터들로 구성되며, 정상모드(normal mode)시에만 동작하고 정지모드(sleep mode)시에는 동작하지 않는 제1논리회로; 상기 제1문턱전압을 갖는 트랜지스터들로만 구성되며, 상기 정상모드와 상기 정지모드에서 항상 동작하는 제2논리회로; 및 상기 정지모드에서 상기 제1논리회로와 상기 제2논리회로 사이에 플로우팅 노드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1논리회로와 상기 제2논리회로 사이에 연결되는 플로우팅 방지회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플로우팅 방지회로는, 인에이블 신호의 활성화에 응답하여 상기 제1논리회로의 출력신호를 받아 버퍼링하여 상기 제2논리회로로 출력하는 콘트롤드 버퍼(controlled buffer); 및 상기 콘트롤드 버퍼의 출력신호를 래치시키는 래치회로를 구비한다.
특히 상기 제1논리회로는 상기 정상모드시에는 활성화되고 상기 정지모드시에는 비활성화되는 소정의 제어신호에 의해 제어되고, 상기 인에이블 신호는 상기 제어신호가 비활성화되기 전에 활성화된다.
상기 플로우팅 방지회로는 상기 제2문턱전압을 갖는 트랜지스터들로만 구성된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 상의 잇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집적회로를 나타내는 회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각 신호들의 타이밍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집적회로는, MTCMOS가 적용된 제1논리회로(31), MTCMOS가 적용되지 않은 제2논리회로(33), 및 플로우팅 방지회로(35)를 구비한다.
제1논리회로(31)는 낮은 제1문턱전압을 갖는 트랜지스터들(Q8,Q9)와 제1문턱전압보다 높은 제2문턱전압을 갖는 트랜지스터(Q10)로 구성된다. 피모스 트랜지스터(Q8)의 일단은 실제(real) 전원전압(VDD)에 연결되고 엔모스 트랜지스터(Q9)의 일단은 가상접지(VGND)에 연결된다. 엔모스 트랜지스터(Q10)는 가상접지(VGND)와 실제 접지(GND) 사이에 연결된다.
정상 모드(normal mode)시에는 제어신호(SC)가 논리"로우"가 되어 즉 제어신호의 반전신호(/SC)가 논리"하이"가 되어 트랜지스터(Q10)이 턴온되며 이에 따라 제1논리회로(31)는 정상적으로 동작된다. 그런데 정지모드(sleep mode)시에는 제어신호(SC)가 논리"하이"가 되어 즉 제어신호의 반전신호(/SC)가 논리"로우"가 되어 트랜지스터(Q10)이 턴오프되며 이에 따라 제1논리회로(31)는 동작하지 않는다.
제2논리회로(33)는 상기 낮은 제1문턱전압을 갖는 트랜지스터들(Q11,Q12)로만 구성되며, 이에 따라 정상모드와 정지모드에서 항상 동작한다. 피모스 트랜지스터(Q11)의 일단은 실제 전원전압(VDD)에 연결되고 엔모스 트랜지스터(Q12)의 일단은 실제 접지(GND)에 연결된다.
플로우팅 방지회로(35)는 제1논리회로(31)와 제2논리회로(33) 사이에 연결되며 정지모드(sleep mode)에서 제1논리회로(31)와 제2논리회로(33) 사이에 플로우팅 노드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한다. 플로우팅 방지회로(35)는, 인에이블 신호(EN)의 활성화에 응답하여 제1논리회로(31)의 출력신호(A)를 받아 버퍼링하여 제2논리회로(33)로 출력하는 콘트롤드 버퍼(controlled buffer)(351), 및 콘트롤드 버퍼(351)의 출력신호(Y)를 래치시키는 래치회로(353)를 구비한다.
플로우팅 방지회로(35) 내의 콘트롤드 버퍼(351)와 래치회로(353)는 상기 높은 제2문턱전압을 갖는 트랜지스터들로만 구성되며 실제(real) 전원전압(VDD)과 실제 접지(GND)에 직접 연결된다.
한편 도 4를 참조하면, 제1논리회로(31)를 제어하는 제어신호의 반전신호(/SC)는 정상모드(normal mode)시에는 논리"하이"로 활성화되고 정지모드(sleep mode)시에는 논리"로우"로 비활성화된다. 특히 플로우팅 방지회로(35)를 제어하는 인에이블 신호(EN)는 제어신호의 반전신호(/SC)가 논리"로우"로 비활성화되기 소정시간(t) 전에 논리"하이"로 활성화된다.
다음의 표 1은 플로우팅 방지회로(35) 내의 콘트롤드 버퍼(351)의 동작을 나타내는 진리표(truth table)이다.
A EN Y
X 1 Hi-Z
0 0 0
1 1 1
표 1을 참조하여 콘트롤드 버퍼(351)의 동작을 설명하면, 먼저 인에이블 신호(EN)가 논리"하이"로 활성화된 동안에 제1논리회로(31)의 출력(A)이 플로우팅 상태(X)이면 콘트롤드 버퍼(351)의 출력신호(Y)는 하이 임피던스(high impedence) 상태(Hi-Z)가 된다. 인에이블 신호(EN)가 논리"로우"로 비활성화된 동안에 제1논리회로(31)의 출력신호(A)가 논리"로우"이면 콘트롤드 버퍼의 출력신호(Y)는 논리"로우"가 된다.
다음에 인에이블 신호(EN)가 논리"하이"로 활성화된 동안에 제1논리회로(31)의 출력신호(A)가 논리"하이"이면 콘트롤드 버퍼의 출력신호(Y)는 논리"하이"가 된다.
이하 상기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집적회로가 좀 더 설명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 3에서 플로우팅 방지회로(35) 내의 콘트롤드 버퍼(351)와 래치회로(353)를 구성하는 트랜지스터들 및 제1논리회로(31) 내의 트랜지스터(Q10)는 높은 제2문턱전압을 갖고 그 이외의 트랜지스터들은 낮은 제1문턱전압을 갖는다. 또한 플로우팅 방지회로(35)는 정지모드(sleep mode)에서도 항상 동작해야 하기 때문에 반드시 실제 접지(real ground)(GND)에 연결되어야 한다.
플로우팅 방지회로(35)는 콘트롤드 버퍼(351)와 래치회로(353)로 구성되는 데, 래치회로(353)는 최대한 누설전류를 줄이기 위해 최소 크기의 트랜지스터들로 제작되어야 하며, 콘트롤드 버퍼(351)는 뒷단의 부하(loading)를 고려하여 구동능력(driving strength)이 다른 여러 가지 라이브러리 셀(library cell)로 제작되어야 한다.
제1논리회로(31)는 MTCMOS가 적용된 회로이며 도 4의 타이밍도에서와 같이 제어신호의 반전신호(/SC)가 논리"로우"가 됨에 따라, 가상 접지(VGND)가 플로우팅되고 그 결과 제1논리회로(31)의 출력(A)이 플로우팅 상태가 된다. 그러나, 콘트롤드 버퍼(351)를 제어하는 인에이블 신호(EN)는 정지모드(sleep mode)에서 도 4의 타이밍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논리"하이"가 되기 때문에, 이 인에이블 신호(EN)는 표 1의 진리표에서와 같이 앞에서 발생된 플로우팅 신호를 차단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래치회로(353)에 의해 정지모드 이전의 상태가 유지되므로 제2논리회로(33)에 불필요한 단락회로 전류(short circuit current)(Is)가 흐르지 않게 된다.
특히 플로우팅 방지회로(35) 제어시 주의할 사항은, 도 4의 타이밍도에서 보듯이 인에이블 신호(EN)는 반전신호(/SC)가 논리"로우"로 비활성화되기 소정시간(t) 전에 논리"하이"로 활성화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왜냐하면, /SC의 비활성화와 EN의 활성화가 거의 동시에 이루어 지거나 또는 /SC의 비활성화보다 EN의 활성화가 다소 늦게 이루어질 경우에는, 이미 플로우팅된 제1논리회로(31)의 출력신호(A)의 잡음(noise)이 뒷단으로 전파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상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집적회로는 플로우팅 방지회로를 구비함으로써 MTCMOS가 적용된 논리회로와 MTCMOS가 적용되지 않은 논리회로가 하나의 칩에 함께 사용되더라도 불필요한 단락회로 전류가 발생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MTCMOS 구조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2는 MTCMOS가 적용된 논리회로와 MTCMOS가 적용되지 않은 논리회로가 하나의 칩에 함께 사용되는 경우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집적회로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각 신호들의 타이밍도이다.

Claims (7)

  1. 낮은 제1문턱전압을 갖는 트랜지스터들과 상기 제1문턱전압보다 높은 제2문턱전압을 갖는 트랜지스터들로 구성되며, 정상모드(normal mode)시에만 동작하고 정지모드(sleep mode)시에는 동작하지 않는 제1논리회로;
    상기 제1문턱전압을 갖는 트랜지스터들로만 구성되며, 상기 정상모드와 상기 정지모드에서 항상 동작하는 제2논리회로; 및
    상기 정지모드에서 상기 제1논리회로와 상기 제2논리회로 사이에 플로우팅 노드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1논리회로와 상기 제2논리회로 사이에 연결되는 플로우팅 방지회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집적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우팅 방지회로는,
    인에이블 신호의 활성화에 응답하여 상기 제1논리회로의 출력신호를 받아 버퍼링하여 상기 제2논리회로로 출력하는 콘트롤드 버퍼(controlled buffer); 및
    상기 콘트롤드 버퍼의 출력신호를 래치시키는 래치회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집적회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논리회로는 상기 정상모드시에는 활성화되고 상기 정지모드시에는 비활성화되는 소정의 제어신호에 의해 제어되고,
    상기 인에이블 신호는 상기 제어신호가 비활성화되기 전에 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집적회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인에이블 신호가 활성화된 동안에 상기 제1논리회로의 출력이 플로우팅이면 상기 콘트롤드 버퍼의 출력신호는 하이 임피던스(high impedence) 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집적회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인에이블 신호가 비활성화된 동안에 상기 제1논리회로의 출력신호가 논리"로우"이면 상기 콘트롤드 버퍼의 출력신호는 논리"로우"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집적회로.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인에이블 신호가 활성화된 동안에 상기 제1논리회로의 출력신호가 논리"하이"이면 상기 콘트롤드 버퍼의 출력신호는 논리"하이"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집적회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우팅 방지회로는 상기 제2문턱전압을 갖는 트랜지스터들로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집적회로.
KR1020030085814A 2003-11-28 2003-11-28 플로우팅 방지회로를 구비하는 mtcmos 반도체집적회로 KR1005645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5814A KR100564588B1 (ko) 2003-11-28 2003-11-28 플로우팅 방지회로를 구비하는 mtcmos 반도체집적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5814A KR100564588B1 (ko) 2003-11-28 2003-11-28 플로우팅 방지회로를 구비하는 mtcmos 반도체집적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2644A true KR20050052644A (ko) 2005-06-03
KR100564588B1 KR100564588B1 (ko) 2006-03-29

Family

ID=372485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5814A KR100564588B1 (ko) 2003-11-28 2003-11-28 플로우팅 방지회로를 구비하는 mtcmos 반도체집적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458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4634B1 (ko) * 2004-10-08 2006-03-28 삼성전자주식회사 단락전류 방지회로를 구비한 mtcmos 회로 시스템
KR100835436B1 (ko) * 2006-12-18 2008-06-04 동부일렉트로닉스 주식회사 Mtcmos를 이용한 ic 설계시 효율적 스위치배치방법
US7917776B2 (en) 2006-09-01 2011-03-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on-chip including deepstop mode to reduce total leakage current and method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6604B1 (ko) 2007-01-23 2008-11-03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원제어 장치 및 전원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16422A (ja) * 1995-10-23 1997-05-02 Hitachi Ltd 半導体論理回路
KR970060013U (ko) * 1996-04-30 1997-11-10 저전류 플로팅 방지 버퍼회로
KR20000039591A (ko) * 1998-12-15 2000-07-05 윤종용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옵션 패드 본딩 회로
KR100427714B1 (ko) * 2001-12-21 2004-04-28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고전압 전달장치
US20030218478A1 (en) * 2002-05-24 2003-11-27 Sani Mehdi Hamidi Regulation of crowbar current in circuits employing footswitches/headswitche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4634B1 (ko) * 2004-10-08 2006-03-28 삼성전자주식회사 단락전류 방지회로를 구비한 mtcmos 회로 시스템
US7917776B2 (en) 2006-09-01 2011-03-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on-chip including deepstop mode to reduce total leakage current and method thereof
KR100835436B1 (ko) * 2006-12-18 2008-06-04 동부일렉트로닉스 주식회사 Mtcmos를 이용한 ic 설계시 효율적 스위치배치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64588B1 (ko) 2006-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16723B1 (ko) 출력 회로
KR100519787B1 (ko) 슬립 모드에서 데이터 보존이 가능한 mtcmos플립플롭 회로
KR100228529B1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용 스케일러블 레벨 시프터
US6060910A (en) Dynamic logic circuit
US5635861A (en) Off chip driver circuit
US6850103B2 (en) Low leakage single-step latch circuit
JPH11289246A (ja) 半導体集積回路
US7355447B2 (en) Level shifter circuit
JP3580823B2 (ja) 改良されたデータ出力バッファ
US4503341A (en) Power-down inverter circuit
US5173627A (en) Circuit for outputting a data signal following an output enable command signal
KR20010108290A (ko) 절연층상의 실리콘(soi) 도미노 회로 내에서바이폴라를 제거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6087879A (e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 and low-amplitude signal receiving method
KR100564588B1 (ko) 플로우팅 방지회로를 구비하는 mtcmos 반도체집적회로
US7420403B2 (en) Latch circuit and flip-flop
US7199638B2 (en) High speed voltage level translator
US6861887B2 (en) Clocked-scan flip-flop for multi-threshold voltage CMOS circuit
JP3831270B2 (ja) 論理回路及び半導体集積回路
US4467455A (en) Buffer circuit
JP3500598B2 (ja) ラッチ回路
US5003203A (en) Adaptive reference voltage generation circuit for PLA sense amplifiers
KR100732432B1 (ko) 반도체 집적 회로
JPH06132747A (ja) 半導体装置
EP1030450B1 (en) Tristate differential output stage
KR940003399B1 (ko) 저잡음 데이타 출력 버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31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