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52346A - 하이포이드 기어를 가지는 감속장치 - Google Patents

하이포이드 기어를 가지는 감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52346A
KR20050052346A KR1020040094828A KR20040094828A KR20050052346A KR 20050052346 A KR20050052346 A KR 20050052346A KR 1020040094828 A KR1020040094828 A KR 1020040094828A KR 20040094828 A KR20040094828 A KR 20040094828A KR 20050052346 A KR20050052346 A KR 200500523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hypoid
gear
output
clu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48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26750B1 (ko
Inventor
다케치데츠오
Original Assignee
스미도모쥬기가이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도모쥬기가이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도모쥬기가이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523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23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67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6750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3/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 F16H3/44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using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0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1/2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more than two intermeshing members
    • F16H1/203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more than two intermeshing members with non-parallel ax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0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1/04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 F16H1/1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with non-parallel axes
    • F16H1/14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with non-parallel axes comprising conical gears only
    • F16H1/145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with non-parallel axes comprising conical gears only with offset axes, e.g. hypoïd gear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19Gearing
    • Y10T74/19642Directly cooperating gears
    • Y10T74/19688Bev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ar Transmission (AREA)
  • Retarders (AREA)

Abstract

축방향길이의 증대를 방지하면서, 클러치장치를 용이하게 또한 거의 임의의 위치에 설치할 수 있고, 동시에 감속장치 전체적으로 확보할 수 있는 감속비를 높게 유지한다.
중간축(하이포이드축)(42) 및 출력축(45)과 평행하게 클러치장치(CL)의 슬라이드 핀(클러치축)(50)을 배치한다. 이 슬라이드 핀(50)은 슬라이드체(體)(48)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가지며, 이 슬라이딩에 의하여 출력기어(46)를 출력축(45) 상에서 연동(連動)하여 구동하고, 이 출력기어(46)와 출력축(45) 또는 제2단(段) 피니언(44)과의 동력전달을 단접(斷接)한다.

Description

하이포이드 기어를 가지는 감속장치{Reduction gear having hypoid gear}
본 발명은, 하이포이드 기어를 가지는 감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하이포이드 피니언 및 하이포이드 기어로 이루어지는 하이포이드 기어 세트는,
A) 출력축이 뻗어 있는 방향을 입력축과 직각의 방향으로 바꿀 수 있다,
B) 출력축방향의 치수를 짧게 할 수 있다,
C) 어느 정도의 감속비를 해당 하이포이드 기어 세트만으로 얻을 수 있다,
D) 저소음이면서 또한 저진동이다,
등의 특장(特長)이 있다.
종래, 이들 특장을 이용하여 자주식(自走式) 캐리어용 감속장치에 하이포이드 기어 세트를 적용한 예가 개시되어 있다(특허문헌 1).
도 3, 도 4를 이용하여 이 감속장치에 대하여 간단하게 설명하면, 이 자주식 캐리어 전체(도시는 생략)에 사용되고 있는 감속장치(10)는, 하이포이드 감속기(12) 및 DC모터(일부만 도시)(14)를 구비한다.
DC모터(14)의 모터축(14A) 선단에는, 하이포이드 피니언(16)이 기어 컷팅 형성되어 있고, 하이포이드 감속기(12) 내를 향해져서 하이포이드 기어(18)와 맞물려 있다.
하이포이드 기어(18)가 장착된 하이포이드축(20)에는, 중간피니언(22)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출력축(23)에 설치된 출력기어(24)와 맞물려 있다.
그리고, 도면의 부호 25는 클러치장치로서, 오퍼레이터가 핸들(26)을 조작함으로써, 핀(21)과 오목부(22A)의 맞물림을 통하여 중간피니언(22)을 하이포이드축(20)을 따라서 이동시켜서, 스플라인(25)끼리의 이격, 맞물림에 의해서 이 하이포이드축(20)과 중간피니언(22) 사이의 동력전달의 단접(斷接)을 가능하게 하고 있는 것이다.
이로써, 특히, 정전시, 혹은 모터고장시 등에 자주식 캐리어를 수동으로 구동하고자 했을 때에 그 견인(牽引) 부담을 경감할 수 있다.
그런데, 이 자주식 캐리어는, 피반송물을 올려놓은 또는 늘어뜨려 걸쳐 놓은(縣架) 상태에서, 도시하지 않은 차륜이 구름운동 함으로써 소정의 괘도 상을 스스로 이동한다. 그 때문에, 그 성질상, 괘도 상의 전구역에 걸쳐서 해당 괘도의 주위에 캐리어 진행방향의 투영면적(도 4에서 묘사되어 있는 도형의 최외곽선)보다도 큰 「아무 것도 장해물이 없는 공간」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감속장치(10) 진행방향의 투영면적이 크면, 그 자주식 캐리어 자체의 설치가 불가능하게 되어 버리거나, 괘도 주위의 공간을 다른 목적을 위해서 유효하게 이용할 수 없게 되어 버리거나 한다.
그래서, 상기 특허문헌 1에서 개시된 자주식 캐리어용 감속장치(10)에 있어서는, 그 감속기구의 일부에 하이포이드 피니언(16) 및 하이포이드 기어(18)로 이루어지는 하이포이드 기어 세트를 설치하고, 모터(14)의 모터축(14A) 방향을 90도 변환하여, 축방향으로 긴 모터(14)를 진행방향(X)을 따른 방향으로 설치하여, 그 모터(14)에 의하여 캐리어 진행방향의 투영면적이 확대하는 것을 회피하고 있다.
또한, 하이포이드 기어 세트가 가지는 「출력축의 축방향길이를 짧게 할 수 있다」라는 기능을 이용하여 감속기부분의 투영면적의 특히 수평방향의 치수(S)의 축소화를 실현하고, 동시에, 「하이포이드 기어 세트는 단체(單體: 단독 기능하는 물체)인 정도의 감속비를 확보할 수 있다」라는 기능을 이용하여 이것을 감속비의 확보를 위해서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더욱 저소음, 저진동의 특성을 살려서 피반송물을 손상없이 또한 조용하게 반송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이 적응예와 같이, 하이포이드 기어 세트에는, 일반적인 평행축 기어기구, 혹은 베벨기어기구 등에서는 얻을 수 없는 많은 특장이 있기 때문에, 소형화, 경량화, 저소음화, 혹은 저진동화 등이 특히 요구되는 분야에 있어서 변함없는 요구가 있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허 제2760677호 공보
그러나, 이 특허문헌 1에 있어서 개시되어 있는 기술에서는, 상기 클러치장치(25)를 구성하는데 있어서, 중간피니언(22)을 하이포이드축(하이포이드 기어가 장착되어 있는 축)(20)을 따라서 이동시키도록 하고 있었다.
그로 인하여, 중간피니언(22)은, 어느 정도의 강도를 확보하면서 오목부(22A)나 스플라인(22B) 등의 형상을 구비할 필요가 있어서 피치 원경(圓徑)을 상응하게 크게 하지 않을 수 없고, 그 때문에 이 중간피니언(22)과 출력기어(24)의 사이에서 얻어지는 감속비가 작고, 결과적으로 감속기(12)의 총감속비도 작게 되지 않을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로 인하여, 보다 높은 감속비를 필요로 하는 용도에 따라서는 한번 더 1단 평행축 기어기구 등을 감속기 내에 설치하던가, 혹은 하이포이드축(20)과 출력축(23)과의 축심간 거리를 크게 하여 출력기어(24) 쪽을 보다 대경화하지 않으면 안되며, 어느 방법도, 그만큼 감속기가 크고 또한 무겁게 되어, 모처럼 「하이포이드 기어 세트를 도입했음」에도 불구하고, 감속기의 소형화, 경량화가 나빠진다고 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또한, 상기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클러치장치(25)에는 절환의 주역이 되는 중간피니언(22)을 축방향으로 구동할 때에, 그 어느 방향에 대해서도 수동에 의하여 행하도록 하고 있었지만, 예컨대 클러치를 되돌리는 조작에 관해서는, 스프링힘 등을 이용하여 가벼운 힘으로 되돌리도록 하면, 보다 편리성이 높아진다. 그러나, 이 경우, 출력축방향의 치수를 증대시키지 않고 이러한 부세(付勢)수단을 하이포이드축(22)에 설치하는 것은 극히 어려웠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현상황을 고려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하이포이드 기어가 가지는 본래의 기능을 극력 감쇄하지 않고 클러치장치를 설치할 수 있고, 또한, 어느 정도의 높은 감속비를 감속단수를 늘리지 않고 실현하며, 또한, 필요에 따라서 클러치의 원위치를 용이하게 하는 부세수단을 설치하는 경우이더라도, 출력축방향 치수의 증대를 초래하지 않고서 할 수 있는 하이포이드 기어를 가지는 감속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과제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은, 하이포이드 기어를 가지는 감속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이포이드 기어가 설치된 하이포이드축과, 이 하이포이드축에 설치된 중간피니언과, 상기 하이포이드축과 평행하게 배치된 출력축과, 이 출력축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중간피니언과 맞물림 가능한 출력기어와, 상기 하이포이드축 및 출력축과 평행하게 배치된 클러치축과, 이 클러치축 상에 슬라이드체(體)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가지고, 이 슬라이드체의 슬라이딩에 의하여 상기 출력기어를 출력축 상에서 연동(連動)하여 구동하여, 이 출력기어와 상기 출력축 또는 중간 피니언과의 동력전달의 단접(斷接)을 가능하게 한 클러치장치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하이포이드 기어를 가지는 감속기가 적용되는 용도에 있어서 가장 소형화가 요구되는 것은, 이미 설명한 예와 같이, 그 출력축방향인 것이 대부분인 것에 주목하여, 하이포이드 기어를 가지는 감속기에 클러치장치를 설치할 때에, 하이포이드축 및 출력축과 평행하게 배치된 클러치축을 새롭게 설치하였다.
이로써, 하이포이드축에 장착하는 (후단의 평행축 기어기구의 일부를 구성하는) 중간피니언에는 클러치장치에 관계된 기능(오목부(22A)나 스플라인(22B) 등)을 가지게 할 필요가 없게 되어서, 피치 원경(圓徑)을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출력기어의 피치 원경을 크게 하지 않고 해당 중간피니언과 출력기어에 의하여 형성되는 평행축 기어기구의 감속비를 높게 확보할 수 있게 된다. 그 결과, 감속단의 수를 2단(段)으로 유지한 채, 보다 높은 감속비를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본 발명에 있어서도, 클러치축을 새롭게 설치하게 되므로, 축의 수가 증가한다는 의미에만 있어서는, 감속단수를 늘리는 경우와 마찬가지가 된다. 그러나, 동력전달계통에 속하는 중간축을 늘리는 경우, 그 취급하는 토크는 클러치축이 취급하는 토크의 비(比)가 아니며, 상응하는 베어링을 배치하지 않으면 안되는 등, 코스트 증대의 정도가 완전히 다르다. 본 발명에 의해서 감속비확보를 위하여 감속단을 1단(段) 늘리지 않아도 되는 효과는 현실적으로는 매우 크다.
그리고, 본 발명에 있어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은 클러치의 리턴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부세수단의 장비에 관해서는, 특히 필수가 되는 것은 아니지만, 가령 이와 같은 장비를 설치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클러치축에 여유를 가지고 장착할 수 있으므로, 출력축방향의 치수가 증대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이에 관련하여 (이 클러치축이 동력전달에는 기여하고 있지 않으므로, 취급하는 토크가 작은 것에 관련하여), 감속장치의 어느 부분에도 해당 클러치축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그 때문에, 특히, 오퍼레이터의 클러치조작의 용이성을 고려하여, 감속장치의 최적의 위치에 해당 클러치장치를 용이하게 배치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도면에 근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하이포이드 기어를 가지는 감속기장치를 나타낸 일부 파단의 정면도, 도 2는 그 종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하이포이드 감속장치(30)는, DC모터(26)와, 하이포이드 감속기(28)를 구비한다. DC모터(26)는, 그 모터축(26A)의 축심(O1)이 출력축(45)의 축심(O2)과 (교차하지 않는) 직각의 방향에 배치되어 있어서, 하이포이드 감속기(28)에 의하여 그 회전방향이 90도 변환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DC모터(26)의 모터축(26A) 선단에는, 하이포이드 피니언(34)이 기어 컷팅 형성되어 있다. 하이포이드 피니언(34)은, 하이포이드 감속기(28)의 케이싱(36) 내를 향하여 있어서, 하이포이드 기어(40)와 맞물려 있다. 즉, 이 실시형태에서는, DC모터(26)의 모터축(26A)이, 하이포이드 감속기(28)의 입력축을 겸하고 있다. 하이포이드 피니언(34)의 축심 (즉 모터축(26A)의 축심)(O1)과, 하이포이드 기어(40)가 장착되어 있는 중간축(하이포이드축)(42)의 축심(O3)은, 시프트량(E1)을 띄우고 평면에서 볼 때 서로 직각으로 교차하고 있다.
중간축(42)에는, 제2단 피니언(중간피니언)(44)이 형성되어 있다. 제2단 피니언(44)은, 출력축(45)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된 출력기어(46)와 맞물려 있다. 출력축(45)은, 베어링(47, 49)을 통하여 이 중간축(42)과 평행(즉 모터축(26A)과 직각)하게 배치되어 있고, 그 외주의 일부에는 수(雄)스플라인(외치기어)(45A)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출력기어(46)에는 자신의 내주에 이 수(雄)스플라인(45A)과 맞물림 가능한 암(雌)스플라인(46A)이 형성되어 있다. 즉, 출력기어(46)는, 제2단 피니언(44)과 맞물리는 외치기어임과 동시에, 수(雄)스플라인(45A)과 맞물리는 내치기어이기도 하다. 출력축(45)은, 도시하지 않은 피구동체의 입력축과 연결되어, 이 피구동체를 구동한다.
다음으로, 클러치기구(클러치장치)(CL)에 대하여 설명한다.
출력기어(46)는, 그 외주의 일부에 링형상의 오목부(46B)를 가지고, 이 오목부(46B)에 슬라이드체(體)(48)의 계지부(係止部)(48A)가 맞물려 있다. 슬라이드체(48)는, 출력축(45)과 평행하게 별도로 마련된 슬라이드 핀(클러치축)(50)을 따라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슬라이드체(48)는 상기 계지부(48A)와 반대측(도 2의 상방측)에 핀(48B)을 가진다.
핸들(노브)(52)에는, 그 중심축(H1)의 주위에서 이 핸들(52)과 일체적으로 회전하는 편심캠(54)이 배치되어 있다. 이 편심캠(54)은 캠면(54A)을 구비한다. 캠면(54A)은, 핸들(52)의 회전에 수반하여 중심축(H1)에 대하여 공전가능하고, 이 공전에 의해서 상기 슬라이드체(48)의 핀(48B)을 가압 가능하다. 슬라이드체(48)는 슬라이드 핀(50)을 따라서만 이동이 가능하므로, 핀(48B)측으로부터의 가압력에 의하여 슬라이드체(48)의 슬라이드 핀(50)방향의 추진력(분력)이 얻어진다. 또한, 슬라이드체(48)는, 슬라이드 핀(50)에 장착된 스프링(60)에 의하여 상시 도 2의 좌측방향(출력기어(46)의 암(雌)스플라인(46A)을 출력축(45)의 수(雄)스플라인(45A)과 맞물리게 하는 방향)으로 부세되어 있다.
슬라이드 핀(클러치축)(50)을 중심으로 하여, 핸들(52), 편심캠(54), 스프링(60), 슬라이드체(48), 출력기어(46)의 암(雌)스플라인(46A), 및 출력축(45)의 수(雄)스플라인(45A)이, 출력기어(46)와 출력축(45) 사이의 동력전달을 단접가능한 클러치기구(CL)를 구성하고 있다.
한편, 하이포이드 감속기(28)의 케이싱(36)은, 본체(36A)와 커버(36B)로 주로 구성되고, 시일 링(64)을 통하여 볼트(66)에 의하여 일체화되어 있다. 커버(36B)는, 하이포이드 감속기(28) 내의 각 축, 즉 중간축(42), 출력축(45), 및 슬라이드 핀(50)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홀(70, 72, 74)을 구비하고, 케이싱(36)의 본체(36A)측은 대응하는 지지홀(76, 78, 80)을 구비한다. 중간축(42)은 베어링(82, 83)을 통하여, 출력축(45)은 베어링(47, 49)을 통하여, 슬라이드 핀(50)은 특히 큰 토크가 걸리는 것이 아니므로 직접적으로, 이들 지지홀(70, 72, 74, 76, 78, 80)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도면의 부호 81은, 볼트(81A), 스프링(81B), 볼(81C)로 이루어지는 편심캠(54)의 위치결정기구이며, 편심캠(54)의 중심축(H1)방향의 움직임을 구속하기 위한 것이다.
다음으로 이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하이포이드 감속장치(30)의 작용을 설명한다.
DC모터(26)의 모터축(26A)이 회전하면, 이 모터축(26A)의 선단에 형성된 하이포이드 피니언(34)이 일체적으로 회전한다. 하이포이드 피니언(34)이 회전하면, 이것과 맞물려 있는 하이포이드 기어(40)가 회전하고, 중간축(42)에 형성된 제2단 피니언(44)이 회전한다. 제2단 피니언(44)의 회전은 출력기어(46)에 전달된다.
여기서, 통상 사용시는, 핸들(노브)(52)의 위치가 스프링(60)의 기능에 의하여 슬라이드체(48)를 도 2의 실선 위치에 위치결정하고 있으므로, 이 출력기어(46)의 암(雌)스플라인(46A)은 출력축(45)의 수(雄)스플라인(45A)과 맞물려 있어서, 출력기어(46)의 회전은 그대로 출력축(45)의 회전이 된다.
한편, 어떠한 이유로, 피구동체를 수동으로 구동할 필요가 생긴 경우, 즉, 출력축(45)측으로부터 회전동력이 입력되어 오는 것과 같은 상황일 때에는, 이 출력축(45)이 제2단 피니언(44)이나 하이포이드 기어(40) 및 하이포이드 피니언(34)을 통하여 모터축(26A)과 연결된 상태에 있으면, 큰 구동저항이 발생한다. 그래서, 이 경우에는, 핸들(52)을 회전시킴으로써 편심캠(54)의 캠면(54A)을 중심축(H1)에 대하여 공전시킨다. 그러면, 이 공전에 의하여 슬라이드체(48)의 핀(48B)을 통하여 슬라이드 핀(50)의 축방향의 분력을 얻을 수 있고, 슬라이드체(48)는, 스프링(60)의 부세력을 이겨내어 도 2의 우측방향으로 슬라이드하고, 그 계지부(48A)를 통하여 출력기어(46)를 도 2의 우측방향으로 연동하여 이동시킨다. 이 결과, 출력기어(46)의 암(雌)스플라인(46A)과 출력축(45)의 수(雄)스플라인(45A)의 맞물림이 해제되어, 출력축(45)은 DC모터(26)로부터의 동력전달계통에서 벗어난다. 이 결과, 오퍼레이터는 이 클러치기구(CL)의 존재에 의하여, 피구동체를 용이하게 구동 혹은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이 클러치기구(CL)를, 출력축(45)에 형성된 수(雄)스플라인(45A)에 대하여, 암(雌)스플라인(46A)을 가지는 출력기어(46)를 출력축(45)을 따라서 슬라이딩시키고, 이 수(雄)스플라인(45A)과 암(雌)스플라인(46A)의 맞물림, 이격을 행하게 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으므로, 클러치기구(CL) 자체의 구성이 용이하여, 저(低)코스트화를 실현할 수 있다.
더욱이, 이 출력기어(46)의 출력축(45)을 따른 슬라이딩을, 중간축(하이포이드축)(42) 및 출력축(45)과 평행하게 배치한 슬라이드 핀(클러치축)(50) 상을 슬라이딩 가능한 슬라이드체(48)에 의하여 실현하도록 하였으므로, 공간적으로 보다 여유가 있는 공간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어서, 리턴 기구가 장착되어 있는 클러치장치(CL)를 가지면서, 출력축방향의 치수(S1)의 증대를 회피할 수 있다.
또한, 클러치장치(CL)가 중간축(42)측에 설치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고(高)감속비를 얻기 위해서 가능한 한 소경(小徑)으로 하고자 하는 제2단 피니언(중간피니언)(44)의 피치 원경(圓徑)을 한계에 가까운 값까지 작게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감속단을 1단 늘리거나 하지 않고, 혹은, 원래 대경(大徑)인 출력기어(46)를 더욱 그 이상 크게 하거나 하지 않고, 간이하게 고(高)감속비에 대응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출력기어(46)를 이동시킴으로써 출력축(45)과 출력기어(46) 사이의 동력전달을 단접하도록 하고 있지만, 출력기어와 중간피니언의 맞물림을 해제하여 이 사이의 동력전달을 단접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하이포이드 피니언을 모터축에 직접 형성하여 모터축에 감속기의 입력축으로서의 기능을 겸용하도록 하였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는, 감속기 내에 독립된 입력축을 구비하고, 이 입력축 상에 하이포이드 피니언을 가지고 있는 경우이더라도, 당연히 적응 가능하다.
더욱이, 본 발명에 있어서는, 클러치를 되돌리기 위한 부세수단의 장비에 대해서는,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고, 접속방향, 이격방향 모두 오퍼레이터의 손에 의하여 구동하는 구성이더라도 상관없다.
<산업상이용가능성>
하이포이드 감속기가 가지는 제반 기능을 필요로 하는 용도에 있어서, 특히 클러치장치의 장착을 필요로 하고, 또한 출력축방향의 치수 증대 방지와 보다 높은 감속비 확보의 양립이 기대되는 감속장치로서 유익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하이포이드 기어를 가지는 감속장치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가장 중요시되는, 출력축방향의 길이의 증대방지를 가능하게 하면서, 클러치장치를 용이하고 또한 거의 임의의 위치에 설치할 수 있고, 동시에 감속장치 전체적으로 확보할 수 있는 감속비를 높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하이포이드 감속장치의 실시형태의 예를 나타낸 일부 파단(破斷)의 정면도.
도 2는, 도 1의 화살표Ⅱ-Ⅱ선을 따른 단면도.
도 3은, 종래의 하이포이드 감속장치의 구성예를 나타낸 정단면도.
도 4는, 도 3의 화살표 Ⅳ-Ⅳ선을 따른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CL : 클러치장치
26 : DC모터
26A : 모터축
28 : 하이포이드 감속기
30 : 하이포이드 감속장치
34 : 하이포이드 피니언
36 : 케이싱
36A : 본체
36B : 커버
40 : 하이포이드 기어
42 : 중간축(하이포이드축)
44 : 제2단(段) 피니언
45 : 출력축
45A : 수(雄)스플라인
46 : 출력기어
46A : 암(雌)스플라인
48 : 슬라이드체(體)
50 : 슬라이드 핀(클러치축)
52 : 핸들
54 : 편심캠
56 : 핀
60 : 스프링
70, 72, 74, 76, 78, 80 : 지지홀

Claims (3)

  1. 하이포이드 기어를 가지는 감속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이포이드 기어가 설치된 하이포이드축과,
    이 하이포이드축에 설치된 중간피니언과,
    상기 하이포이드축과 평행하게 배치된 출력축과,
    이 출력축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중간피니언과 맞물림 가능한 출력기어와,
    상기 하이포이드축 및 출력축과 평행하게 배치된 클러치축과,
    이 클러치축 상에 슬라이드체(體)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가지고, 이 슬라이드체의 슬라이딩에 의하여 상기 출력기어를 출력축 상에서 연동(連動)하여 구동하여, 이 출력기어와 상기 출력축 또는 중간 피니언과의 동력전달의 단접(斷接)을 가능하게 한 클러치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포이드 기어를 가지는 감속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장치는, 상기 슬라이드체를 일방향으로 밀어붙이는 부세(付勢)수단을, 상기 클러치축 상에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포이드 기어를 가지는 감속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장치는, 오퍼레이터의 조작에 의하여 구동되는 편심캠을 구비하고, 이 편심캠과 상기 슬라이드체와의 슬라이딩에 의하여 슬라이드체의 축방향의 추진력을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포이드 기어를 가지는 감속장치.
KR1020040094828A 2003-11-28 2004-11-19 하이포이드 기어를 가지는 감속장치 KR1006267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400609 2003-11-28
JP2003400609A JP2005163841A (ja) 2003-11-28 2003-11-28 ハイポイドギヤを有する減速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2346A true KR20050052346A (ko) 2005-06-02
KR100626750B1 KR100626750B1 (ko) 2006-09-25

Family

ID=346166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4828A KR100626750B1 (ko) 2003-11-28 2004-11-19 하이포이드 기어를 가지는 감속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50115347A1 (ko)
JP (1) JP2005163841A (ko)
KR (1) KR100626750B1 (ko)
CN (1) CN1621710B (ko)
DE (1) DE102004057213A1 (ko)
TW (1) TWI23822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6006B1 (ko) * 2006-04-28 2014-03-19 나부테스코 가부시키가이샤 감속 기어 기구 및 그 제조 방법
CN104251290A (zh) * 2014-08-28 2014-12-31 南京埃斯顿机器人工程有限公司 一种小型负载工业机器人用减速器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25527A (en) * 1967-07-07 1969-02-04 Lloyd J Wolf Transmission clutch
US3813821A (en) * 1971-04-06 1974-06-04 Toyota Motor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finishing the tooth surfaces of hypoid gears
US3862672A (en) * 1973-07-12 1975-01-28 Eaton Corp Quick-change drive unit
JPS55134617U (ko) * 1979-03-14 1980-09-25
JPS5619821U (ko) * 1979-07-24 1981-02-21
DK610486A (da) * 1986-12-17 1988-06-18 Danske Sukkerfab Gear omfattende en indgangsaksel og en udgangsaksel, som er koaksialt placeret
JPH01144552U (ko) * 1988-03-29 1989-10-04
JP2760677B2 (ja) * 1991-06-27 1998-06-04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自走式キャリヤ用ギヤドモータ
US5159847A (en) * 1991-09-12 1992-11-03 New Venture Gear, Inc. Sector plate for transfer case
KR0129112Y1 (ko) * 1995-10-06 1998-12-01 박천수 흙파기차용 전, 후진 변속기
JP2000274493A (ja) * 1999-03-25 2000-10-03 Mitsubishi Electric Corp ハイポイドギヤ式ギヤードモートル
JP2000320621A (ja) * 1999-05-14 2000-11-24 Mitsubishi Heavy Ind Ltd 回転動力発生装置の低速回転装置
JP2003329089A (ja) * 2002-05-15 2003-11-19 Canon Inc クラッチ機構を有した歯車装置
JP3769565B2 (ja) * 2003-10-10 2006-04-26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電動車いすの駆動装置に使用されるギヤドモー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517603A (en) 2005-06-01
KR100626750B1 (ko) 2006-09-25
CN1621710A (zh) 2005-06-01
US20050115347A1 (en) 2005-06-02
CN1621710B (zh) 2010-06-16
TWI238227B (en) 2005-08-21
DE102004057213A1 (de) 2005-08-18
JP2005163841A (ja) 2005-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8491B1 (ko) 드라이브 모듈
EP2143978B1 (en) Sequential control device with rotating drum for engaging gears in a mechanical gearbox of a motor vehicle, particularly of a motor car
KR100763466B1 (ko) 전동휠체어의 구동장치에 사용되는 기어드 모터
DE102009013871B4 (de) Antriebseinheit mit zwei Motoreinheiten
US9630491B2 (en) Transfer case with stationary low range planetary
US9333854B2 (en) Vehicle transmission device
WO2013119204A1 (en) Transfer case sprocket idler gear actuation
JPS5830552A (ja) 遊星歯車装置
JP7281635B2 (ja) ギヤボックス、及びモータ駆動ユニット
JP2007078134A (ja) 駆動力配分装置
EP1867515A1 (en) Axle driving device having dual planetary reduction
KR100626750B1 (ko) 하이포이드 기어를 가지는 감속장치
US7758463B2 (en) Power transmitting apparatus
JP2012137113A (ja) シャフト装置
JP2008281159A (ja) デファレンシャル装置
EP1467125A2 (en) Planetary differential gear
CN212106896U (zh) 减速器换挡拨叉系统和汽车
CN111520467B (zh) 减速器换挡拨叉系统和汽车
KR20190004711A (ko) 변속기에서의 커플링, 시프팅 및/또는 동기화를 위한 장치 및 방법
CN108240418B (zh) 驱动轴锁止装置以及动力驱动系统和车辆
KR20230152292A (ko) 디스커넥터 장치
WO2018221007A1 (ja) 噛み合い式係合装置
JP4712518B2 (ja) 折り畳み可能な電動車いすの駆動装置に使用されるギヤドモータ
JP2002098167A (ja) 動力伝達装置
JP2001241548A (ja) 変速比切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