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52037A - 전압 강하 전용 전압제어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전압 강하 전용 전압제어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52037A
KR20050052037A KR1020030085861A KR20030085861A KR20050052037A KR 20050052037 A KR20050052037 A KR 20050052037A KR 1020030085861 A KR1020030085861 A KR 1020030085861A KR 20030085861 A KR20030085861 A KR 20030085861A KR 20050052037 A KR20050052037 A KR 200500520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load
igbt
chopping
pow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58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13691B1 (ko
Inventor
정재기
양원영
Original Assignee
한빛이디에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빛이디에스(주) filed Critical 한빛이디에스(주)
Priority to KR10200300858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3691B1/ko
Publication of KR200500520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20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36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369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2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2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2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 H02M3/32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33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33569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having several active switching elements
    • H02M3/33576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having several active switching elements having at least one active switching element at the secondary side of an isolation transformer
    • H02M3/3359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having several active switching elements having at least one active switching element at the secondary side of an isolation transformer having a synchronous rectifier circuit or a synchronous freewheeling circuit at the secondary side of an isolation transform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8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by onl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70Bipolar devices
    • H01L29/72Transistor-type devices, i.e. able to continuously respond to applied control signals
    • H01L29/739Transistor-type devices, i.e. able to continuously respond to applied control signals controlled by field-effect, e.g. bipolar static induction transistors [BSIT]
    • H01L29/7393Insulated gate bipolar mode transistors, i.e. IGBT; IGT; COMF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Inverter Devices (AREA)

Abstract

우리나라에서 전력계통에서 사용하는 주파수는 60Hz이다. 이를 상용주파수라 한다. 상용주파수의 전압을 제어한다는 것은 전압의 크기와 주파수를 제어한다는 의미이다. 일반적으로 상용주파수의 전압 제어가 어려운 것은 전압이 높고 에너지가 큰 전력이기 때문에 상용주파수의 전압 제어는 기술적으로도 쉬운 일이 아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주파수가 일정하고 크기가 흔들리지 않는 일정한 고품질의 정전압이 요구되는 것은 정밀전기기기 산업분야, 특히 모터를 사용하는 산업분야뿐만이 아니라 최근의 정밀 정보통신사업의 근본이기 때문이다. 또한 전압의 변동률이 심하면 전기기기의 수명이 짧아지고 전등의 밝기가 흔들리는 등 일상생활에도 불편을 초래한다.
산업의 발전과 산업용량의 증가로 인하여 요즘에 첨단제어장치, 전력 전자기기등 다양한 반도체 전력변환설비가 많이 증대되었고 최근에는 컴퓨터, 복사기, 프린터등과 같은 OA기기 사용증가로 인하여 고조파 발생원이 매우 많이 늘어나게 되었다. 이러한 부하설비에 의해 발생되는 고조파는 케이블 및 변압기 과열소손, 발전기 출력저하, 역률저하, 전력손실증가, ELB. MCCB오동작, 통신선 유도장해, 중성선 대지전위상승등 많은 악영향을 끼치고 있다.
예전에는 단순히 산업현장에서나 많이 발생될 것이라 생각했었던 고조파는 현재 각종빌딩, 경기장, 주거지인 아파트, 경관조명시설, 공항 등 현대인이 살아가는 모든 생활공간에서 다량 발생되고 있다.
기존의 전압제어에 사용하는 인버터 방식은 기본적으로 AC전압을 DC전압으로 변환후 다시 AC를 재생하는 방식으로 고조파 및 고주파의 발생이 심하고, 제3고조파 전류를 발생시키고, 부하의 성격이 모터와 같은 유도성 부하에 적합한 방식으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일반 부하 상용주파수의 전압제어에는 적합하지 않다.
본 발명에서는 위에서 제기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고 전압 품질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전압 강하 전용 전압제어장치 및 방법을 발명하였다.

Description

전압 강하 전용 전압제어장치 및 방법{omitted}
전력용반도체 소자 즉, 전력전자소자가 발전하면서 전압제어의 가장 보편적인 장치가 인버터에 의한 방식(도 2)으로 되었다. 인버터에 의한 전압제어기술은 교류전압을 정류하여 직류전압으로 만든 다음 전력전자소자의 스위치 작용에 의해 다시 교류를 만드는 기술이다. 이러한 방식의 전압제어기의 작동원리는 전원( 도2의 4)을 정류( 22)한 후 직류파형을 만들고, 다시 품질이 좋은 직류전원을 만들기 위한 필터(23)을 거친 후, 전력소자( 도 2의 Qp1, Qp2, Qn1, Qn2 )를 게이트 제어기(26)에 의해 제어하여 교류를 만드는 인버터(24)를 구동하고, 인버터에서 만든 전압신호를 다시 좀더 깨끗한 교류전압을 만들기 위해 다시 필터(25)를 거친후 부하(도 2의 3)에 공급하게 된다.
도 2의 인버터방식의 전압제어방식이 갖는 장점은 크게 다음의 두 가지이다.
첫째, 주파수까지도 제어 가능하다. 첫 번째 장점은 주로 모터 제어시 개념으로 사용되고 있다.
둘째, 전압 제어폭이 넓다. 즉, 전압의 승압과 강압이 동시에 가능하다는 장점이다.
전력전자소자를 사용하여 전압을 제어하는 인버터 방식의 제어에서 갖는 장점이 있는 대신 다음과 같은 단점도 있다.
첫째, 제어기가 복잡하고 소자( 도 2의 Qp1, Qp2, Qn1, Qn2 )비용이 비싸진다. 특히 수십 kVA 이상의 대용량인 경우 소자의 가격과 평활하는데 사용하는 리액터(도2의 L1, L2), 콘덴서(도 2의 C1, C2)가격도 수십만원 대가 된다.
둘째, 제어가 어렵다. 정확한 전압과 주파수를 유지하기 위해서 정확한 제어가 필요하게 된다. 이러한 게이트 제어기(26)는 보통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의해 제어된다.
셋째, 인버터 제어기(도 2)에 의한 전압제어는 기본적으로 전력전자소자( 도 2의 Qp1, Qp2, Qn1, Qn2 )의 스위치작용을 이용하는 방법로 스위치 동작시 많은 고주파와 고조파가 발생한다. 이러한 고조파의 발생은 통신설비등에 유도작용을 발생시킨다.
넷째, 완전한 정현파를 복구하기가 어렵다. PWM 변환신호(71)를 사용자가 원하는 출력 정현파 파형(81)으로 복구하기 위해서는 PWM 변환신호(71)를 갖고출력 정현파 파형(81)을 생성해야 한다. 출력 정현파 파형(81)을 생성하는데 필터(25)가 사용되는데 이때 필터(25)의 구성물인 콘덴서와 리액터의 용량이 클수록 보다 정현파에 가깝게 복구가 된다. 하지만 이때 사용되는 콘덴서와 리액터의 용량에 따라 출력 파형의 변화가 크기 때문에 모든 부하(3)에 맞는 콘덴서와 리액터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이상적으로 큰 용량의 콘덴서와 리액터를 설치해야 된다. 하지만 큰 용량을 필요로 하는 저항 부하가 설치될 경우 출력되는 전류(81)가 계단파형(82)으로 나타나게 된다. 계단파형(82)은 순간 변화율인 가 매우 크게 나타난다. 따라서 리액터에서 전압의 계산식인 에 의해 순간적으로 높은 서지의 전압이 유입된다. 따라서 큰 용량의 저항 부하일 경우 인버터(도 2) 내에서 전압 써지에 의해서 열화가 촉진된다.
다섯째, 부하(3)에 따라 출력파형(81)의 변화가 매우 크다. 인버터(도 2) 후단에 연결되는 부하(3)는 부하(3)의 종류에 따라 용량과 저항성분, 리액터 성분이 다르게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어떤 부하(3)가 연결되어도 일정한 정현파 전압을 부하에 공급해야지만 이상적인 인버터(도 2)라 할 수 있다.
기존 인버터(도 2)에서는 부하(3)가 리액터 성분일 경우, 필터(25)에 사용되는 소자인 리액터와 콘덴서가 대용량의 크기가 아니더라도 정현파 출력이 가능하였다. 따라서 기존 인버터(도 2)는 주로 모터 구동형으로 많이 사용되었다.
반면에 부하(3)가 저항 성분일 경우, 필터(25)에 리액터와 콘덴서만으로는 정상적으로는 완전한 정현파 전압파형의 복원이 힘들고 파형 내에 계단현상(82)이 발생 된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필터(25)의 리액터와 콘덴서의 크기를 크게 하여 점차 계단현상(82)이 줄어들기는 하지만 완전히 해결되는 것은 아니다.
여섯째, 대용량이 될수록 고가이다. 현재 인버터(도 2) 방식은 소형모터를 사용하는 전기기기에는 범용화되리 만큼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고용량 전력기기의 경우 가격이 매우 비싸고 제어도 어려워 현실적으로 적용이 용이하지 않다. 다만, 고가라고 하더라도 꼭 필요한 개소에는 일부 사용중에 있으나, 대용량의 전압제어에는 사용이 범용화되지 않고 있고, 특히 전력계통상의 전압제어에는 가격과 고조파 및 고주파 문제등으로 현재 거의 사용이 불가한 실정이다.
일곱째, 에너지 전달이 일방적이다. 이 성질은 본 발명과 가장 비교되는 사항으로 기존의 인버터 방식(도 2)의 경우 입력단에서 다이오드(22) 혹은 단방향 반도체를 사용하여 정전압을 반파로 정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때 사용되는 다이오드(22)와 단방향 반도체는 전류의 일방성인 개념으로 한쪽방향으로 전류를 흐르게 하고 반대쪽 방향의 전류는 막는 성질이 있다. 따라서 기존 방식의 인버터(도 2)는 전기 사업자가 공급하는 전원(4)을 받아서 인버터(도 2)와 부하(3)에서 전력을 소비하는 성질만을 갖고 있다.
하지만 모터나 일반 전기기기의 경우 전원 차단시에 일반적으로 역기전력이 발생된다. 또한 일반 동작시에도 항시 부하(3)에서도 소량이기는 하지만 에너지를 발생시킨다. 이때 전기 사업자가 공급하는 전원(4)으로 에너지가 환원이 가능하고 이런 에너지를 회생에너지라 한다.
기존 방식의 인버터(도 2)는 위에서 언급한 회생에너지 개념을 적용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다이오드(22) 혹은 단방향 반도체를 사용하여 전기 사업자가 공급하는 전원(4)과 부하(3)사이에 에너지 흐름이 이어지지 않게 되어 부하에서 회생에너지 발생시 그 에너지를 전기 사업자가 공급하는 전원(4)으로 환원을 하지 못하고 인버터(도 2)에서나 부하에서 열이나 다른 에너지로 소모해야만 하게 된다.
여덟째, 저용량 부하가 연결된 채로 인버터(도 2)가 구동될 시에 전기 사업자가 공급하는 전원(4)에게서 3고조파 전류를 주로 사용한다. 발전소에서 생성되는 전원은 바로 사용자에게 공급되지 않고 여러 개의 변전소를 거치면서 최종적으로 배전반을 통해 사용자에게 공급된다. 발전소부터 배전반까지의 전력계통이 원활히 동작하기 위해서는 부하에서도 60Hz의 안정적인 전류를 사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하지만 기존 인버터(도 2)가 구동될 시에 인버터(도 2)에 연결된 부하(3)가 저용량일 경우 전기사업자가 공급하는 전원(4) 전류가 정현파가 아닌 3고조파 전류가 된다. 다른 고조파와 달리 3고조파의 경우 3상이 합쳐지는 중성점에서 위상이 120'차이가 나지 않으므로 3상이 합해질 경우 다른 고조파는 상쇄되어 사라지는 반면 3고조파는 상쇄되지 않고 증폭되어 계통에 그대로 영향을 미치게 된다.
본 발명은 기존의 인버터의 방식과 다른 방식의 전압 제어를 하여 앞에서 언급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전압 품질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제어가 가능하고 보다 효율적인 절연을 하기 위함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기존 인버터 방식(도 2)에서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항시 사용자가 원하는 품질의 전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기위하여 기존 인버터 방식(도 2)과 다른 방식으로 전압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이때, 본 발명이 사용되는 조건이 한정되는데 그 조건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감압에만 사용한다.
둘째, 주파수를 가변시키지 않는다.
셋째, 정격범위내에서 정전압 운전을 한다.
전압 제어 방식을 전압강하분에 대한 절전개념으로 사용될 때, 위에 언급한 세 가지 조건이 모두 적용되더라도 절전의 목적에 문제가 될 것이 없다.
전류의 입력단에 IGBT 스위치 Q1(6)과 Q2(5)를 두어 전기 사업자가 공급하는 전원 전압(4)을 게이트 제어 회로(10)에서 송출되는 신호를 받아 상용주파수 전원의 양의 반주기에서 IGBT스위치 Q1(6)가 동작하고 음의 반주기에서 IGBT스위치 Q2(5)가 동작한다. IGBT 스위치 Q1(6)과 Q2(5)는 게이트 제어 회로(10)에서 송출되는 신호를 받아 스위치 작용으로 입력되는 전압을 'on-off'시켜 전압 신호로 변환시킨다. 이때 기존의 인버터(도 2)에서는 정류회로(22)와 평활회로(23)를 통해 입력받은 신호를 디지털화 시켜 PWM변환 하는 반면 본 발명에서는 원 정현파 전원을 IGBT 스위치 Q1(6), Q2(5)에 의하여 'on-off'시킨다. Q1(6)에서는 양의 신호를 CHOPPING하고 Q2(5)에서는 음의 신호를 CHOPPING하게 된다.
게이트 제어 회로(10)에서 송출되는 신호를 받아 IGBT 스위치 Q1(6)과 Q2(5)가 전원전압(4)을 CHOPPING할 때 생기는 부하전류의 불연속이 발생하는 현상을 막기 위해 게이트 제어회로(10)에서 송출되는 신호를 받아 IGBT 스위치 Q3(11), Q4(7)가 동작하여 부하전류의 불연속이 되지 않도록 하는 작용인 free wheeling 작용을 한다. IGBT스위치 Q3(11)가 free wheeling 작용을 하는 시간은 IGBT 스위치 Q1(6)이 CHOPPING을 시작하는 시점부터 끝나는 시점까지이고 이 시간에 약간의 여유분을 두어 동작하게 된다. IGBT 스위치 Q4(7)도 free wheeling 작용 시간이 IGBT 스위치 Q2(5)가 CHOPPING을 시작하는 시점부터 끝나는 시점까지이고 이 시간에 약간의 여유분을 두어 동작하게 된다.
IGBT 스위치 Q1(6)이 CHOPPING을 하는 양의 반주기에서는 free wheeling 작용으로 IGBT 스위치 Q3(11)가 동작하고 IGBT 스위치 Q2(5)는 전기사업자가 공급하는 전원 전압(4)과 부하(3)와의 연결을 위해 동작이 된다. 하지만 이때 Q4(7)는 동작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IGBT 스위치 Q2(5)가 CHOPPING을 하는 양의 반주기에서는 free wheeling 작용으로 IGBT 스위치 Q4(7)가 동작하고 IGBT 스위치 Q1(6)은 전기 사업자가 공급하는 전원 전압(4)과 부하(3)와의 연결을 위해 동작이 된다. 하지만 이때 Q3(11)는 동작하지 않는다.
이때, IGBT 스위치 Q1(6)과 Q2(5)가 CHOPPING이 시작하는 시간을 설정하기 위해서 정확한 zero crossing time(32)을 알아내야 한다. zero crossing time(32)에서 바로 CHOPPING이 시작될 경우 미세한 주파수 변동에 의해서 Q3(11)와 Q4(7)의 'on', 'off'시간과 zero crossing time이 맞지 않아서 이 시간 설정이 정확히 이루어지지 않으면 Q1(6)이 동작할 때에 Q4(7)가 동작하거나 Q2(5)가 동작할 때에 Q3(11)가 동작하게 된다. 이 경우 Q1-Q4-Q3-Q2가 회로적으로 연결되는 arm-short현상으로 과전류가 흐르게 되어 장비 고장의 원인이 된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zero crossing time(32)에서 모든 IGBT 스위치의 동작이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Chopping-free 구간을 두어 그 시간만큼 시간차를 두고 IGBT스위치가 동작한다. 이럴 경우 전체 파형을 Chopping하는 것이 아니지만 에너지가 많이 흐르지 않는 구간을 Chopping에서 제외시킴으로서 부하(3)에 파형 발생시 완전한 정현파 파형을 발생시키는 것에는 문제가 되지 않고 정상적인 IGBT스위치 동작이 가능하게 된다.
입력단 양단에 연결된 콘덴서부는 IGBT 스위치 Q1(6), Q2(5), Q3(11), Q4(7)에 의해 전기 사업자가 공급하는 전원 전압이 CHOPPING될 때에 발생하는 고조파를 제거해 준다.
부하측에는 CHOPPING된 전원전압(61)을 사용자가 원하는 정현파 전압이 되도록 하고 CHOPPING작용으로 발생하는 고조파가 부하에 공급되는 것을 막기 위해 리액터와 콘덴서를 사용하여 필터(8)로 작용시킨다.
이때 발생시키는 정현파 전압은 전기사업자가 공급하는 전원전압(4)을 전압의 크기를 그대로 지닌 채 직접적으로 스위칭 작용인 CHOPPING한 신호를 다시 부하에서 원하는 정현파 전압으로 발생시켜서 부하에 공급시키므로 기존 인버터 방식(도 2)이 PWM변환으로 0과 1의 디지털 신호(71)로 정현파 파형(81)을 발생시키는 것 보다 효율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기존 인버터(도 2)에서 사용하던 콘덴서와 리액터보다 용량이 작은 용량의 콘덴서와 리액터로 구성된 필터(8)도 완전한 정현파(도 9)를 공급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류회로와 평활회로가 없다. 기존 인버터회로(도 2)에서 PWM 변환을 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전기사업자가 공급하는 전원전압을 정류회로(22)와 평활회로(23)를 거치면서 DC전압으로 변화시켜야 한다. 이때 사용하고자 하는 전원전압(4)이 커지게 되면 그만큼 정류회로(22)와 평활회로(23)에서 사용되는 부품의 용량이 커져야만 한다. 따라서 기존 인버터 방식(도 2)으로 제작된 제품은 용량에 따른 부피와 가격이 크게 오르게 된다. 하지만 본 발명의 신호 변환방식은 PWM방식이 아닌 전원전압(4)의 성질을 가진 그대로를 신호로 변환시키기 때문에 정류회로와 평활회로가 필요가 없다. 이 때문에 본 발명은 가격적으로 구조적으로 이득을 갖는다.
둘째, 전기사업자가 공급하는 전원전압(4)을 CHOPPING시 정현파 구조 그대로 신호 변환하여 파형 발생이 간단히 이루어진다. 기존 인버터 방식(도 2)이 PWM변환으로 0과 1의 디지털 신호(71)로 정현파 전압으로 발생시키는 것 보다 효율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다.
셋째, 적은 수의 module로 구성이 가능하다. 일반적인 IGBT module은 첫번째 IGBT스위치의 에미터와 두 번째 IGBT 스위치 콜렉터가 연결되어 있는 구조로 되어 있어서 다른 용도로 두개의 IGBT스위치가 필요할 경우 두 스위치간에 서로 연결이 되어있어서 두 스위치 다 사용하지 못하고 각각의 IGBT module을 사용하여야 한다. 하지만 본 발명의 결선구조에서는 하나의 IGBT module을 각각 IGBT스위치 Q1(6)과 Q4(7)로 IGBT스위치 Q2(5)과 Q3(11)로 사용할 수 있어서 구조적 장점으로 작용한다.
넷째, 고주파 발생이 적다. 전기사업자가 공급하는 전원전압(4)을 CHOPPING할 때에 입력단 양단에 연결된 콘덴서부(9)가 고주파를 줄이는 역할을 한다. 또한 CHOPPING작용으로 발생하는 고주파가 부하에 공급되는 것을 막기 위해 리액터와 콘덴서를 사용하여 필터(8)로 작용시킨다.
다섯째, 완전한 정현파(도 9)가 얻어진다. 원 정현파에 가깝도록 Chopping된 신호(61)를 원신호로 복원시키기 때문에 기존의 인버터 방식(도 2)과 달리 적은 용량으로도 정현파 구현이 가능하고 계단 파형 현상(82)도 일어나지 않게 된다.
여섯째. 역에너지 흐름이 가능하다. 상용주파수 전원(4)에서 양의 반주기 동안 동작하고 게이트 제어 회로(10)에서 송출되는 신호에 의해 동작하는 IGBT 스위치 Q1(6)이 스위칭 작용인 CHOPPING할 때 부하의 성격에 따라 역전류가 흐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IGBT 스위치 Q2(5)가 'on' 동작하고, free wheeling 작용을 의해 IGBT 스위치 Q3(11)가 'on' 동작하고, 이와 대조를 이루어 전원의 음의 반주기 동안 동작하고 게이트 제어 회로에서 송출되는 신호에 의해 동작하는 IGBT 스위치 Q2(5)가 스위칭 작용인 CHOPPING 할 때 역전류의 흐름이 원활하게 Q1(6)을 'on' 동작시키고, free wheeling 작용을 위해 IGBT 스위치 Q4(7)가 'on' 동작하여 부하의 성격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회생에너지가 전원측으로 환원이 가능하도록 한다.
역에너지 흐름이 가능하다는 것은 전압제어시 추가적으로 에너지 절전이 가능하다는 것을 말한다. 기존 인버터 방식(도 2)에서는 인버터 입력단에 다이오드(22) 혹은 단방향 반도체를 사용하여 정전압을 반파로 정류하기 때문에 전류의 일방성인 개념으로 전기 사업자가 공급하는 전원(4)이 부하쪽으로 흐르는 것만 가능하기 때문에 실제 부하의 성격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회생에너지가 다시 전원(4)으로 환원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기존 인버터 방식(도 2)에서 회생에너지가 발생시 인버터(도 2)와 부하(3)에서 회생에너지가 사용되어야 하므로 회생에너지에 대한 에너지 절감효과가 없고, 그 에너지를 소모하기 위해서 인버터(도 2)와 부하(3)에서 열에너지등에 의해 소모를 해야한다. 에너지 소모시 발생되는 열은 부하(3) 온도를 상승시켜 정상 동작하는데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일곱째, 3고조파 발생이 없다. 본 발명의 전압제어시 부하(3)의 종류와 부하에서 필요로 하는 용량에 관계없이 항상 정현파 전류를 전기사업자가 공급하는 전원(4)에서 사용하기 때문에 전력계통에 문제를 주지 않는다. 특히 기존 인버터 장비(도 2)가 작은 용량의 부하가 연결될 시 3고조파의 전류를 주로 전원(4)에서 사용하는 반면 본 발명은 부하의 용량에 관계없이 일정한 정현파 전류를 전원(4)에서 사용하게 된다.
여덟째, 전원전압(4)과 동기로 운전한다. 전력계통에서는 각 전력 계통 기기는 동기가 같은 상태에서 운전을 해야 한다. 동기가 다른 전원을 사용하는 전력 계통에서 두개의 동기를 같게 하기 위해서 연결시 전력 계통에 무리를 줄 수 있고 심할 경우 전력계통 안전에 영향을 끼칠 수 있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대부분의 인버터에 연결된 부하(3)가 전원전압(4)과 다른 동기로 운전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 경우 기존 전원전압(4)과 동기로 운전되는 장치와 연결시 양쪽 장비에 치명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부하(3)가 운전되는 동기가 전원전압(4)과 같기 때문에 전력계통에 안전하고 효율적인 전원관리가 가능하다.
아홉째, 역률이 개선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입력단에 콘덴서부(9)와 필터(8)내의 소자인 콘덴서에 의하여 사용 전력에서 무효 전력 성분보다 유효전력 성분이 더 많이 들어오도록 역률을 개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대표도
도 2는 전압제어의 한 방식인 인버터를 설명하기 위한 구조
도 3은 본 발명의 CHOPPING시 IGBT 동작 설명도
도 4는 Q1 CHOPPING에 의한 입력전압의 변환 파형
부하에 정전압을 공급하기 위해서 전압 제어시, 전기 사업자가 공급하는 전원 전압 양의 반주기에 대해서 IGBT스위치 Q1가 동작된다. 이때 CHOPPING되는 신호는 전기 사업자가 공급하는 전원 전압 파형이 갖는 크기, 위상을 그대로 갖고 고주파수로 CHOPPING되는 특징을 갖는다.
도 5는 Q2 CHOPPING에 의한 입력전압의 변환 파형
부하에 정전압을 공급하기 위해서 전압 제어시, 전기 사업자가 공급하는 전원 전압 음의 반주기에 대해서 IGBT스위치 Q2가 동작된다. 이때 CHOPPING되는 신호는 전기 사업자가 공급하는 전원 전압 파형이 갖는 크기, 위상을 그대로 갖고 고주파수로 CHOPPING되는 특징을 갖는다.
도 6은 Q1, Q2 CHOPPING에 의해 변환 파형
도 7은 기존 인버터 방식에 의한 PWM 변환
도 8은 기존 인버터에서 PWM 변환 신호를 복원시 생기는 전압파형
도 9는 본 방식에 의한 출력 전압 파형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3상 4선식 회로 구성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3상 3선식 회로 구성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 2. 부하단의 단자
이 두단자 사이에 인가되는 전압을 일정하게 제어하는 것이 정전압의 목적이다. 또한 이 두단자 사이의 전압을 일정하게 하고 주파수를 안정하게 하는 것이 정전압 제어이다.
3. 부하
일반적으로 전기적인 관점에서 부하이다. 가정 혹은 산업용으로 사용하는 모든 전기기기 및 전기제품은 부하에 해당한다. 부하는 전등과 같은 저항성부하( 동상 부하)와 모터와 같은 유도성 부하(지상부하), 방전등 혹은 콘덴서와 용량성 부하(진상부하)로 나누어진다. 여기서 동상부하라는 것은 전압과 전류의 위상이 일치하는 것을 말하고, 지상부하는 전류가 전압의 위상을 기준으로 할 때 90도 늦은 것을 말하고, 진상부하는 전류가 전압을 기준으로 할 때 90도 앞서는 것을 말한다.
4. 전기 사업자가 공급하는 전원
전기사업자가 공급하는 전원을 의미한다. 전기적으로 무한대의 에너지를 공급하는 것을 의미하고, 내부임피던스가 '0'인 것을 이상적인 전원이라 한다.
5. IGBT스위치 Q2
부하에 정전압을 공급하기 위해서 전압 제어시 전기 사업자가 공급하는 전원 전압을 상용주파수 전원의 음의 반주기에서 IGBT스위치 Q2가 동작된다. 이때 CHOPPING되는 신호는 전기 사업자가 공급하는 전원 전압 파형이 갖는 크기, 위상을 그대로 갖고 고주파수로 CHOPPING되는 특징을 갖는다. 따라서 기존 장치들이 전기 사업자가 공급하는 전원 전압을 PWM방식으로 변환시킬때 0과 1의 크기만을 가지도록 하는 정류회로와 평활 회로를 필요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IGBT 스위치는 IGBT 모듈에서 하나의 IGBT(G2)와 역방향 다이오드, 스너브회로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6. IGBT스위치 Q1
부하에 정전압을 공급하기 위해서 전압 제어시 전기 사업자가 공급하는 전원 전압을 상용주파수 전원의 양의 반주기에서 IGBT스위치 Q1가 동작된다. 이때 CHOPPING되는 신호는 전기 사업자가 공급하는 전원 전압 파형이 갖는 크기, 위상을 그대로 갖고 고주파수로 CHOPPING되는 특징을 갖는다. 따라서 기존 장치들이 전기 사업자가 공급하는 전원 전압을 PWM방식으로 변환시킬때 0과 1의 크기만을 갖을 때와 달리 정류회로와 평활 회로를 필요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IGBT 스위치는 IGBT 모듈에서 하나의 IGBT(G1)와 역방향 다이오드, 스너브회로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7. IGBT스위치 Q4
부하에 정전압을 공급하기 위해서 전기 사업자가 공급하는 전원 전압을 게이트 제어 회로에서 송출되는 신호를 받아 IGBT 스위치 Q2가 전원전압을 CHOPPING시 생기는 부하전류의 불연속이 발생하는 현상을 막기 위해 게이트 제어회로에서 송출되는 신호를 받아 IGBT 스위치 Q4가 동작하여 부하전류의 불연속이 되지 않도록 하는 작용인 Free wheeling 작용이 일어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IGBT 스위치는 IGBT 모듈에서 하나의 IGBT(G4)와 역방향 다이오드, 스너브회로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8. 부하단 필터
IGBT 스위치 Q1, Q2, Q3, Q4의 동작에 의해 만들어진 CHOPPING 되어진 신호를 정현파 전압이 되도록 하고 CHOPPING 작용으로 발생하는 고조파가 부하에 공급되는 것을 막기 위해 리액터와 콘덴서를 사용하여 필터작용을 한다.
기존의 PWM 신호를 정현파로 복원시킬때 큰 용량의 L과 C를 이용해야 하나 큰 용량의 L과 C를 사용하더라도 완전한 정현파를 복원시킬 수 없다. CHOPPING 되어진 신호를 정현파 전압이 되도록 할 때 본 발명의 IGBT 스위치 Q1, Q2가 전원전압의 크기를 갖은 채로 CHOPPING하였기 때문에 소용량의 L과 C만으로도 부하측에 고조파가 섞이지 않은 정현파 파형을 발생 시킬 수 있다.
또한 필터의 콘덴서는 콘덴서 부의 콘덴서와 함께 역률을 개선하여 전기 사업자가 공급하는 전원 전압에서 부하쪽으로 유효전력을 많이 들어오게 하여 실질적인 전기 절연효과를 준다.
9. 콘덴서 부
CHOPPING시 생성되는 고조파를 입력단 양단에 연결된 콘덴서를 이용하여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부하단 필터에 포함되어 있는 콘덴서와 함께 역률을 개선하여 전기 사업자가 공급하는 전원 전압에서 부하쪽으로 유효전력을 많이 들어오게 하여 실질적인 전기 절연효과를 준다.
10. 게이트 제어 회로
IGBT 스위치 Q1, Q2, Q3, Q4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로 [도 3]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CHOPPING시 IGBT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컨트롤 한다.
11. IGBT스위치 Q3
부하에 정전압을 공급하기 위해서 전기 사업자가 공급하는 전원 전압을 IGBT 스위치 Q1과 Q2가 전원전압을 CHOPPING시 생기는 부하전류의 불연속이 발생하는 현상을 막기 위해 게이트 제어회로에서 송출되는 신호를 받아 IGBT 스위치 Q3, Q4가 동작하여 부하전류의 불연속이 되지 않도록 하는 작용인 Free wheeling 작용이 일어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IGBT 스위치는 IGBT 모듈에서 하나의 IGBT(G3)와 역방향 다이오드, 스너브회로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22. 정류부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바꾸어주는 기능을 수행하는 부분으로 정류소자인 다이오드 4개로 구성된다. 정류부의 다른 표현으로 컨버터라고 한다. 여기서의 회로를 전파정류회로하고 한다.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는 것을 정류라 한다.
23 평활필터
상기 22의 정류부에서 정류된 전압파형은 완전한 직류가 아니라 교류성분을 갖는 파형이 된다. 이러한 파형을 '맥동성분을 갖는다'라고 하고, 리액터(도 2의 L1)와 콘덴서(도 2의 C1)에 의해서 좀더 직류에 가까운 전압파형이 된다.
24 인버터
상기의 평활필터를 거친 직류전압을 사용하여 다시 원하는 주파수와 원하는 크기의 전압을 만드는 인버터 부이다. 전력전자소자의 스위치작용에 의해 새로운 교류전원을 만든다.
25 평활회로
전력전자소자를 이용하여 만든 AC 전압은 많은 고조파 및 고주파를 함유하고 있어 이러한 고조파 및 고주파를 부하에 인가하면 소음, 통신장애 등의 문제점을 발생한다. 그러므로 이러한 고조파와 고주파를 제한하기 위한 필터를 사용한다.
26 게이트 제어회로
상기 24의 인버터에 사용되는 전력전자소자의 스위치 작용을 하는 부분으로 전압 및 주파수를 제어하는 부분에 해당한다. 보통 마이크로프로세서로 제어되는 것이 보통이다. 또한 제어전원으로 절연전원을 사용하여 각각의 전력전자소자의 동작을 확실하게 보장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절연전원을 제작하는데 많은 비용이 든다.
31. 전기 사업자가 공급하는 전원의 파형
전기 사업자가 공급하는 전원은 60Hz의 주파수를 갖고 있다. 하지만 미세하게 그 값은 변화하기 때문에 항상 전원의 파형을 관찰할 필요가 있다.
32. T zero : zero crossing time부터 다음 zero crossing time까지의 시간
정확한 CHOPPING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Q1과 Q2의 CHOPPING 시작시간과 끝나는 시간을 정확히 알아야 한다. 또한 IGBT 스위치 Q1과 Q2가 CHOPPING시 free wheeling작용을 하도록 IGBT 스위치 Q3와 Q4가 동작되도록 제어하여야 한다. 따라서 정확한 zero crossing time을 알게 된다면 위에서 제어하려는 요소를 설정이 가능하다.
33. T ch : CHOPPING하는 시간
부하에 정전압을 공급하기 위해서 게이트 제어 회로에서 송출되는 신호를 받아 전기 사업자가 공급하는 전원 전압을 IGBT 스위치 Q1과 Q2가 전원전압을 CHOPPING을 하는 시간으로 zero crossing time에서 시간차이를 두어서 CHOPPING이 시작되고 끝난다. IGBT 스위치 Q1과 Q2가 CHOPPING이 시작하는 시간을 설정하기 위해서 정확한 zero crossing time을 알아내야 한다. zero crossing time에서 바로 CHOPPING이 시작될 경우 미세한 주파수 변동에 의해서 Q3와 Q4의 'on', 'off'시간과 zero crossing time이 맞지 않아서 이 시간 설정이 정확히 이루어지지 않으면 Q1이 동작할 때에 Q4가 동작하거나 Q2가 동작할 때에 Q3가 동작하게 된다. 이 경우 Q1-Q4-Q3-Q2가 회로적으로 연결되는 arm-short현상으로 과전류가 흐르게 되어 장비 고장의 원인이 된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zero crossing time에서 모든 IGBT스위치의 동작이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Chopping-free 구간을 두어 그 시간만큼 시간차를 두고 IGBT스위치가 동작한다. 이럴 경우 전체 파형을 Chopping하는 것이 아니지만 에너지가 많이 흐르지 않는 구간을 Chopping에서 제외시킴으로서 부하에 파형 발생시 완전한 정현파 파형을 발생시키는 것에는 문제가 되지 않고 정상적인 IGBT스위치 동작이 가능하게 된다.
34. T fw : G3, G4에서 free wheeling 동작 시간
부하에 정전압을 공급하기 위해서 게이트 제어 회로에서 송출되는 신호를 받아 전기 사업자가 공급하는 전원 전압을 IGBT 스위치 Q1과 Q2가 전원전압을 CHOPPING시 생기는 부하전류의 불연속이 발생하는 현상을 막기 위해 게이트 제어회로에서 송출되는 신호를 받아 IGBT스위치 Q3, Q4가 동작하여 부하전류의 불연속이 되지 않도록 하는 작용인 Free wheeling 작용이 일어나도록 한다. 이때, G1과 G2가 CHOPPING시작되는 시간, T ch 보다 시작시간과 끝나는 시간을 길게 하여 free wheeling 동작이 정확히 일어나도록 한다.
35. IGBT 스위치 Q1의 동작상태 설명 그래프
IGBT 스위치 Q1은 부하에 정전압을 공급하기 위해서 게이트 제어 회로에서 송출되는 신호를 받아 전기 사업자가 공급하는 전원 전압을 Chopping하고 Q2가 Chopping할 때는 전원전압과 연결되기 위해 동작상태로 있는다.
36. IGBT 스위치 Q3의 동작상태 설명 그래프
IGBT 스위치 Q1이 CHOPPING을 하는 양의 반주기에서는 free wheeling 작용으로 IGBT 스위치 Q3가 동작하고 IGBT 스위치 Q2가 Chopping하는 음의 반주기에서는 arm-short를 방지하기 위하여 반드시 IGBT 스위치 Q3가 동작하지 않아야 한다.
37. IGBT 스위치 Q2의 동작상태 설명 그래프
IGBT 스위치 Q2은 부하에 정전압을 공급하기 위해서 게이트 제어 회로에서 송출되는 신호를 받아 전기 사업자가 공급하는 전원 전압을 Chopping하고 Q1가 Chopping할 때는 전원전압과 연결되기 위해 동작상태로 있는다.
38. IGBT 스위치 Q4의 동작상태 설명 그래프
IGBT 스위치 Q2가 CHOPPING을 하는 음의 반주기에서는 free wheeling 작용으로 IGBT 스위치 Q4가 동작하고 IGBT 스위치 Q1가 Chopping하는 양의 반주기에서는 arm-short를 방지하기 위하여 반드시 IGBT 스위치 Q4가 동작하지 않아야 한다.
41. Q1 CHOPPING에 의한 입력전압의 변환 파형
부하에 정전압을 공급하기 위해서 게이트 제어 회로에서 송출되는 신호를 받아 전압 제어시 전기 사업자가 공급하는 전원 전압을 상용주파수 전원의 양의 반주기에서 IGBT스위치 Q1가 동작된다. 이때 CHOPPING되는 신호는 전기 사업자가 공급하는 전원 전압 파형이 갖는 크기, 위상을 그대로 갖고 고주파수로 CHOPPING되는 특징을 갖는다.
51. Q2 CHOPPING에 의한 입력전압의 변환 파형
부하에 정전압을 공급하기 위해서 게이트 제어 회로에서 송출되는 신호를 받아 전압 제어시 전기 사업자가 공급하는 전원 전압을 상용주파수 전원의 양의 반주기에서 IGBT스위치 Q2가 동작된다. 이때 CHOPPING되는 신호는 전기 사업자가 공급하는 전원 전압 파형이 갖는 크기, 위상을 그대로 갖고 고주파수로 CHOPPING되는 특징을 갖는다.
61. Q1, Q2 CHOPPING에 의해 변환 파형
71. 기존 인버터 방식에 의한 PWM 변환
81. 기존 인버터에서 PWM 변환 신호를 복원시 생기는 전압파형
PWM 변환신호를 사용자가 원하는 출력 정현파 파형으로 복구하기 위해서는 PWM 신호에 의해서 새로운 파형을 생성해야 한다. 새로운 파형을 생성하는데 필터가 사용되는데 이때 필터의 구성물인 콘덴서와 리액터의 용량이 클수록 보다 정현파에 가깝게 복구가 된다. 하지만 이때 사용되는 콘덴서와 리액터의 용량에 따라 출력 파형의 변화가 크기 때문에 모든 부하에 맞는 콘덴서와 리액터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이상적으로 큰 용량의 콘덴서와 리액터를 설치해야 된다.
82. 완전히 복원되지 못한 출력 전류 파형
큰 용량을 필요로 하는 저항 부하가 설치될 경우 출력되는 전류가 계단파형으로 나타나게 된다. 계단파형은 순간 변화율인 가 매우 크게 나타난다. 따라서 리액터에서 전압의 계산식인 에 의해 순간적으로 높은 서지의 전압이 유입된다. 따라서 큰 용량의 저항 부하일 경우 인버터 내에서 전압 써지에 의해서 열화가 촉진된다.

Claims (16)

  1. 전기사업자가 공급하는 전원(4)과 전력을 사용하는 수용가의 부하(3)사이에 연결되어 전원(4)이 공급하는 전압이 흔들리는 경우에도 부하(3)에 정전압 공급이 가능하게 하고, 추가적인 효과로 역률개선도 가능하게 하여 부하(3)에 공급되는 전력의 질을 향상시키며, 전력절감은 물론 과전압, 과전류로부터 기기를 보호하고 수명을 연장시키기 위한 전압 강하 전용 전압 제어 방법으로서,
    부하(3)에 정전압을 공급하기 위해 전압을 제어함에 있어 전기사업자가 공급하는 전원전압(4)을 게이트 제어 회로(10)에서 송출되는 신호를 받아 상용주파수 전원의 양의 반주기에서는 IGBT 스위치 Q1(6)이, 음의 반주기에서는 IGBT 스위치 Q2(5)가 전원전압을 직접적으로 스위칭 작용인 CHOPPPING하는 스텝;
    게이트 제어 회로(10)에서 송출되는 신호를 받아 IGBT 스위치 Q1(6)과 Q2(5)가 전원전압(4)을 CHOPPING할 때 생기는 부하전류의 불연속이 발생하는 현상을 막기 위해 게이트 제어회로(10)에서 송출되는 신호를 받아 IGBT 스위치 Q3(11), Q4(7)가 동작하여 부하전류의 불연속이 되지 않도록 하는 작용인 Free wheeling 작용을 하는 스텝;
    부하(3)의 성격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회생에너지가 전원측으로 환원이 가능하도록 IGBT 스위치 Q1(6)이 스위칭작용인 CHOPPING할 때 부하의 성격에 따라 역전류가 흐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IGBT 스위치 Q2(5)가 'on' 동작하고, free wheeling 작용을 의해 IGBT 스위치 Q3(11)가 'on' 동작하고,IGBT 스위치 Q2(5)가 스위칭 작용인 CHOPPING 할 때 역전류의 흐름이 원활하게 Q1(6)을 'on' 동작시키는 스텝;
    IGBT 스위치 Q1, Q2, Q3, Q4의 동작에 의해 만들어진 CHOPPING 되어진 신호(61)를 정현파 전압이 되도록 하고 Chopping 작용으로 발생하는 고조파가 부하에 공급되는 것을 막기 위해 리액터와 콘덴서를 사용하여 필터(8)로 작용하는 스텝;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 강하 전용 정전압 제어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부하(3)에 정전압을 공급하기 위해 전압을 제어함에 있어 전기사업자가 공급하는 전원전압(4)을 게이트 제어 회로(10)에서 송출되는 신호를 받아 상용주파수 전원의 양의 반주기에서는 IGBT 스위치 Q1(6)이, 음의 반주기에서는 IGBT 스위치 Q2(5)가 전원전압을 직접적으로 스위칭 작용인 CHOPPPING하는 스텝에서,
    전기사업자가 공급하는 전원전압을 받아 부하에 공급하는 전압을 재생하는 방법에 있어 기존의 PWM 변환에서는 교류인 전원전압을 우선 정류하여 직류전원으로 만든 다음 스위치의 'on', 'off' 동작에 의해 'on' 되는 시간을 조절하여 방법으로 'on'되는 구간을 조절하여 필요한 정전압을 만드는 반면, 본 발명에서는 전원전압을 교류 전압 파형을 직접 CHOPPING하여 필요한 정전압을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 강하 전용 전압 제어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게이트 제어 회로(10)에서 송출되는 신호를 받아 IGBT 스위치 Q1(6)과 Q2(5)가 전원전압을 CHOPPING할 때 생기는 부하전류의 불연속이 발생하는 현상을 막기 위해 게이트 제어회로(10)에서 송출되는 신호를 받아 IGBT 스위치 Q3(11), Q4(7)가 동작하여 부하전류의 불연속이 되지 않도록 하는 작용인 Free wheeling 작용을 하는 스텝에서,
    부하(3)에 전력이 공급될때 연속적인 전류를 CHOPPING시 전기사업자가 공급하는 전원전압(4)이 계속적으로 스위치의 'on', 'off' 동작에 의해 부하에 흐르는 전류끊기는 현상이 일어날 때 본 발명에서는 전류가 연속되는 성질을 유지시키도록 게이트 제어회로(10)에서 송출되는 신호를 받아 IGBT 스위치 Q3(11), Q4(7)가 동작하여 부하전류의 불연속이 되지 않도록 하는 작용인 Free wheeling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강하 전용 전압 제어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IGBT 스위치 Q1, Q2, Q3, Q4의 동작에 의해 만들어진 CHOPPING 되어진 신호를 정현파 전압이 되도록 하고 Chopping 작용으로 발생하는 고조파가 부하에 공급되는 것을 막기 위해 리액터와 콘덴서를 사용하여 필터(8)로 작용하는 스텝에서
    전기사업자가 공급하는 전원전압(4)을 전압의 크기를 그대로 지닌 채 직접적으로 스위칭 작용인 한 신호를 다시 부하(3)에서 원하는 정현파 파형으로 발생시켜서 부하(3)에 공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 강하 전용 전압 제어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IGBT 스위치 Q1, Q2, Q3, Q4의 동작에서 CHOPPING시 생성되는 고조파를 입력단 양단에 연결된 콘덴서부(9)를 이용하여 제거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 강하 전용 전압 제어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부하의 성격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회생에너지가 전원(4)측으로 환원이 가능하도록 IGBT 스위치 Q1(6)이 스위칭작용인 CHOPPING할 때 부하의 성격에 따라 역전류가 흐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IGBT 스위치 Q2(5)가 'on' 동작하고, IGBT 스위치 Q2(5)가 스위칭 작용인 CHOPPING 할 때 부하(3)에서 전원(4)측으로 흐르는 역전류의 흐름이 원활하게 Q1(6)을 'on' 동작시키는 스텝에서,
    상용주파수 전원에서 양의 반주기 동안 동작하고 게이트 제어 회로(10)에서 송출되는 신호에 의해 동작하는 IGBT 스위치 Q1(6)이 스위칭작용인 CHOPPING할 때 부하의 성격에 따라 역전류가 흐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IGBT 스위치 Q2(5)가 'on' 동작하고, free wheeling 작용을 의해 IGBT 스위치 Q3(11)가 'on' 동작하고, 이와 대조를 이루어 전원의 음의 반주기 동안 동작하고 게이트 제어 회로에서 송출되는 신호에 의해 동작하는 IGBT 스위치 Q2(5)가 스위칭 작용인 CHOPPING 할 때 역전류의 흐름이 원활하게 Q1(6)을 'on' 동작시키고, free wheeling 작용을 위해 IGBT 스위치 Q4(7)가 'on' 동작하여 부하의 성격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회생에너지가 전원(4)측으로 환원 가능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 강하 전용 전압 제어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전원 전압(31)의 zero crossing time(32)에서 바로 CHOPPING이 시작될 경우 미세한 주파수 변동에 의해서 Q3(11)와 Q4(7)의 'on', 'off'시간과 zero crossing time(32)이 맞지 않아서 이 시간 설정이 정확히 이루어지지 않으면 Q1(6)이 동작할 때에 Q4(7)가 동작하거나 Q2(5)가 동작할 때에 Q3(11)가 동작하게 되어 Q1-Q4, 혹은 Q3-Q2가 회로적으로 동시에 'on' 동작으로 이루어지는 연결되는 arm-short현상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zero crossing time(32)에서 모든 IGBT스위치의 동작이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Chopping-free 구간을 두어 그 시간만큼 IGBT 스위치 Q1(6)과 Q2(5)가 Chopping 동작을 하지 않고 전원 전압을 부하(3)에 그대로 통과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 강하 전용 전압 제어 장치
  8. 전기사업자가 공급하는 전원(4)과 전력을 사용하는 수용가의 부하(3)사이에 연결되어 전원(4)이 공급하는 전압이 흔들리는 경우에도 부하(3)에 정전압 공급이 가능하게 하고, 추가적인 효과로 역률개선도 가능하게 하여 부하(3)에 공급되는 전력의 질을 향상시키며, 전력절감은 물론 과전압, 과전류로부터 기기를 보호하고 수명을 연장시키기 위한 전압 강하 전용 전압 제어 방법으로서,
    입력전원(4)에서 보내진 정현파를 CHOPPING하는 IGBT 스위치 Q1(6), 스위치 Q2(5)와;
    상기 IGBT 스위치 Q1(6), Q2(5) 에서 CHOPPING시 부하전류의 불연속이 되지 않도록 하는 작용인 Free wheeling 작용하는 IGBT 스위치 Q3(11), Q4(7)와;
    IGBT 스위치 Q1, Q2, Q3, Q4의 동작에 의해 만들어진 CHOPPING 되어진 신호를 정현파 전압이 되도록 하고 chopoping 작용으로 발생하는 고조파가 부하에 공급되는 것을 막기위해 리액터와 콘덴서를 사용하는 필터(8)와;
    CHOPPING시 생성되는 고조파를 제거해주는 콘덴서부(9)와;
    IGBT 스위치 Q1, Q2, Q3, Q4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게이트 제어 회로(10)
    로 구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 강하 전용 전압 제어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입력전원(4)에서 보내진 정현파를 CHOPPING하는 IGBT 스위치 Q1(6), 스위치 Q2(5)는,
    입력 전압(31)의 크기가 유지된 채로 CHOPPING을 하고 CHOPPING에 사용되는 IGBT 스위치 외의 IGBT 스위치를 동작시켜서 입력전원(4)과 양방향 에너지흐름이 가능하도록 하여서 부하(3)의 동작에 따라 발생되는 회생에너지를 입력전원에 환원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 강하 전용 전압 제어 장치
  10. 제 8항에 있어서 IGBT 스위치 Q1(6), Q2(5) 에서 CHOPPING시 부하전류의 불연속이 되지 않도록 하는 작용인 Free wheeling 작용하는 IGBT 스위치 Q3, Q4는,
    게이트 제어 회로(10)에서 송출되는 신호를 받아 IGBT 스위치 Q1(6)과 Q2(5)가 전원전압(4)을 CHOPPING할 때 생기는 부하전류의 불연속이 발생하는 현상을 막기 위해 게이트 제어회로(10)에서 송출되는 신호를 받아 IGBT 스위치 Q3(11), Q4(7)가 동작하여 부하전류의 불연속이 되지 않도록 하는 작용인 Free wheeling 작용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 강하 전용 전압 제어 장치
  11. 제 8항에 있어서 필터(8)는
    IGBT 스위치 Q1, Q2, Q3, Q4의 동작에 의해 만들어진 CHOPPING 되어진 신호를 정현파 전압이 되도록 하고 Chopping 작용으로 발생하는 고조파가 부하에 공급되는 것을 막기 위해 리액터와 콘덴서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 강하 전용 전압 제어 장치
  12. 제 8항에 있어서 콘덴서부(9)는
    입력단 양단에 연결되어 게이트 회로에서 CHOPPING시 생성되는 고조파를 제거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 강하 전용 전압 제어 장치
  13. 제 8항에 있어서 전원 전압(31)의 zero crossing time(32)에서 바로 CHOPPING이 시작될 경우 미세한 주파수 변동에 의해서 Q3(11)와 Q4(7)의 'on', 'off'시간과 zero crossing time(32)이 맞지 않아서 이 시간 설정이 정확히 이루어지지 않으면 Q1(6)이 동작할 때에 Q4(7)가 동작하거나 Q2(5)가 동작할 때에 Q3(11)가 동작하게 되어 Q1-Q4, 혹은 Q3-Q2가 회로적으로 동시에 'on 동작으로 이루어지는 arm-short현상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zero crossing time(32)에서 모든 IGBT스위치의 동작이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Chopping-free 구간을 두어 그 시간만큼 IGBT 스위치 Q1(6)과 Q2(5)가 Chopping 동작을 하지 않고 전원 전압을 부하(3)에 그대로 통과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 강하 전용 전압 제어 장치
  14. 제 8항에 있어서 일반적인 IGBT module은 첫 번째 IGBT스위치의 에미터와 두 번째 IGBT 스위치 콜렉터가 연결되어 있는 구조로 되어 있어서 다른 용도로 두개의 IGBT스위치가 필요할 경우 두 스위치간에 서로 연결이 되어있어서 두 스위치 다 사용하지 못하고 각각의 IGBT module을 사용하여야 하지만 본 발명의 결선 구조에서는 하나의 IGBT module을 각각 IGBT스위치 Q1(6)과 Q4(7)로 IGBT스위치 Q2(5)과 Q3(11)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 강하 전용 전압 제어 장치
  15. 제 1항의 전압 강하 전용 전압 제어 방법을 3상 4선식(도 10)에 적용한 장치
  16. 제 1항의 전압 강하 전용 전압 제어 방법을 3상 3선식(도 11)에 적용한 장치
KR1020030085861A 2003-11-28 2003-11-28 전압 강하 전용 전압제어장치 KR1007136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5861A KR100713691B1 (ko) 2003-11-28 2003-11-28 전압 강하 전용 전압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5861A KR100713691B1 (ko) 2003-11-28 2003-11-28 전압 강하 전용 전압제어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8080U Division KR200349337Y1 (ko) 2003-12-05 2003-12-05 전압 강하 전용 전압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2037A true KR20050052037A (ko) 2005-06-02
KR100713691B1 KR100713691B1 (ko) 2007-05-04

Family

ID=372481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5861A KR100713691B1 (ko) 2003-11-28 2003-11-28 전압 강하 전용 전압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369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291005A (zh) * 2010-06-18 2011-12-21 上海威曼电气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交流斩波器
CN102291006A (zh) * 2010-06-18 2011-12-21 上海威曼电气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交流斩波器
CN104995831A (zh) * 2012-12-27 2015-10-21 伊顿公司 用于软启动电机和其它应用的ac到ac转换器及其操作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4564A (ja) * 1995-07-18 1997-02-07 Chiyoda:Kk 入力波形追従型交流電源装置
JP2001286145A (ja) 2000-03-30 2001-10-12 Fuji Electric Co Ltd 電力変換装置
JP4739541B2 (ja) 2001-02-19 2011-08-03 河村電器産業株式会社 交流チョッパ装置
JP3488705B2 (ja) 2001-06-29 2004-01-19 河村電器産業株式会社 交流電圧調整装置
JP3902030B2 (ja) 2001-11-27 2007-04-04 富士電機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電力変換装置の制御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291005A (zh) * 2010-06-18 2011-12-21 上海威曼电气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交流斩波器
CN102291006A (zh) * 2010-06-18 2011-12-21 上海威曼电气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交流斩波器
CN104995831A (zh) * 2012-12-27 2015-10-21 伊顿公司 用于软启动电机和其它应用的ac到ac转换器及其操作方法
CN104995831B (zh) * 2012-12-27 2017-12-05 伊顿公司 用于软启动电机和其它应用的ac到ac转换器及其操作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13691B1 (ko) 2007-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2553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DC to AC inverter system by a plurality of pulse-width modulated pulse trains
US6954366B2 (en) Multifunction hybrid intelligent universal transformer
CN103329421B (zh) 用于将电能从dc发电机馈入具有两条电力线的ac电网的功率逆变器
US9647568B1 (en) Bi-directional multi-port applications
US9407133B1 (en) Active power conditioner
CN101331671B (zh) 高频调制/解调多相整流装置
CN102428635B (zh) 用于对逆变器装置的输出端的滤波电容器进行放电的方法和逆变器装置
Iman-Eini et al. Analysis and design of power electronic transformer for medium voltage levels
US20140043870A1 (en) Three phase boost converter to achieve unity power factor and low input current harmonics for use with ac to dc rectifiers
Endres et al. 6 kW bidirectional, insulated on-board charger with normally-off GaN gate injection transistors
KR20190115364A (ko) 단상 및 3상 겸용 충전기
US20140204614A1 (en) Rectified high frequency power supply with low total harmonic distortion (thd)
US20140327308A1 (en) Solid-State Bi-Directional Balanced Energy Conversion and Management System
Al-Hafri et al. Transformer-less based solid state transformer for intelligent power management
US9425696B2 (en) Rectifying circuit and method for an unbalanced two phase DC grid
Viktor et al. Intelligent Transformer: Possibilities and Challenges.
CN112825427A (zh) 用于进行有效的、不受电网类型影响的中间电路调理的装置
KR100713691B1 (ko) 전압 강하 전용 전압제어장치
JP2010110179A (ja) 整流回路
Ferreira et al. Alternative power distribution in residential and commercial buildings
Gagic et al. Control of load interfacing power electronics converter in multifrequency systems
KR200349337Y1 (ko) 전압 강하 전용 전압제어장치
Al Dubaikel et al. Comparison between transformer-based Vs. transformer-less UPS systems
JP6343434B2 (ja) 電力変換装置及び電力変換方法
Ibrahim et al. Networked PFC drive for SPPSCIM air conditioners to enable elastic load operation in constrained power syste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5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