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51922A - 터널공사 환기 시스템 및 이의 운전 방법 - Google Patents

터널공사 환기 시스템 및 이의 운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51922A
KR20050051922A KR1020030085604A KR20030085604A KR20050051922A KR 20050051922 A KR20050051922 A KR 20050051922A KR 1020030085604 A KR1020030085604 A KR 1020030085604A KR 20030085604 A KR20030085604 A KR 20030085604A KR 20050051922 A KR20050051922 A KR 200500519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nnel
air supply
exhaust fan
construction
supply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56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42956B1 (ko
Inventor
이철우
강영구
Original Assignee
삼성물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물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물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856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2956B1/ko
Publication of KR200500519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19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29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2956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FSAFETY DEVICES, TRANSPORT, FILLING-UP, RESCUE, VENTILATION, OR DRAINING IN OR OF MINES OR TUNNELS
    • E21F1/00Ventilation of mines or tunnels; Distribution of ventilating currents
    • E21F1/04Air duct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FSAFETY DEVICES, TRANSPORT, FILLING-UP, RESCUE, VENTILATION, OR DRAINING IN OR OF MINES OR TUNNELS
    • E21F1/00Ventilation of mines or tunnels; Distribution of ventilating currents
    • E21F1/08Ventilation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air ducts, e.g. arrangements for mounting ventil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터널 공사현장에서 발생하는 비산 먼지 및 오염 물질을 터널 외부로 배출하는 터널공사 환기 시스템에 대하여 개선된 기술이 개시된다.
본 발명은, 서로 나란하게 설치되는 상,하행 터널과 상기 상,하행 터널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마다 설치되는 피난 연락갱을 포함하는 쌍굴식 터널의 공사중 환기를 위한 시스템으로서, 상기 상,하행 터널 중 어느 일측 터널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마다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기팬과; 상기 배기팬이 설치된 일측 터널에 설치되며 터널 내부에 공급되는 신선한 공기의 통로가 되는 급기튜브 및; 상기 급기튜브 내에 송풍력을 부여하여 터널 내부로 신선한 공기를 공급하는 급기팬;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르면, 터널내에서 와류 현상을 일으킴이 없이 짧은 시간 내에 뛰어난 환기 효과를 얻을 수 있고, 팬의 이동 설치에 따른 작업효율 저하를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굴착과 구조물 공사를 병행 시공할 수 있어 공사 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터널공사 환기 시스템 및 이의 운전 방법 {Ventilation System for Tunnel Construction Field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터널 공사현장에서 발생하는 비산 먼지 및 오염 물질을 터널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터널공사 환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일정간격으로 피난 연락갱이 설치된 쌍굴 형식의 터널에 있어 일측 터널에 일정 간격으로 배기팬을 설치하고 이 배기팬을 가동하여 양측 터널의 기압차에 따라 발생 분진을 일측 터널로 유도한 후, 이를 릴레이 방식으로 터널 외부로 배출하도록 함으로써, 터널 내에서의 와류 현상 방지, 팬의 이동 설치에 따른 작업효율 저하 방지, 환기 시간의 단축 및, 굴착과 구조물 공사 병행 시공의 가능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개선된 터널공사 환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터널이란 교통, 통수 등의 목적으로 산악, 지하 또는 수저 등에 구멍을 뚫어 형성한 상당 크기의 내공 단면을 가지는 갱도를 말하는 것으로, 주로 도로, 철도 등의 건설시 산악 지형 등 장애물을 만나는 경우에 직선 경로의 확보를 위하여 건설되고 있다. 이러한 터널을 시공하기 위해서는 터널이 시공되어질 부위에 대한 굴착 작업이 먼저 이루어져야 하는데, 통상 터널을 굴착하는 작업 현장에는 발파로 인한 비산 먼지를 비롯, 작업에 투입되는 굴삭 장비, 운반 차량 등 각종 장비로부터 발생하는 배기가스 등으로 인하여 작업 수행상 매우 불량한 환경으로 되는 바, 이는 작업 능률을 저하시키고 재해 발생을 일으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상기한 유해 환경 요인들을 제거하여 신선하고 쾌적한 작업환경을 위해서 갱내의 공기를 충분히 정화시켜 주는 것이 필요하다 할 것이며, 이에 터널의 공사 현장에서는 종래로부터 다양한 방식에 따라 터널 막장 내를 환기시켜 주고 있었다. 도1a는 이와 같은 종래의 터널 환기 시스템의 일예를 보여 주는 도면으로서, 이는 막장 굴착(발파) 후 막장 후방 약 100 ~ 150m 위치에 분진 차폐막(1)을 설치하여 발파로 인해 발생하는 비산 먼지를 차폐하고, 이 분진들이 배기덕트(2)를 통해 터널 갱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 다음, 배출이 완료되면 상기 분진 차폐막(1)을 오픈하고 이동식 급기팬(3)으로 막장 내에 신선한 공기를 불어 넣어 줌으로써 발파로 인해 오염된 공기를 환기시킬 수 있도록 하는 방식의 시스템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환기 시스템은 발파시 발생하는 분진이 확산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막장 후방에 분진 차폐막(2)을 설치하여야 하는데, 터널 공사의 경우 이와 같은 분진 차폐막의 설치가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일반적으로 터널 굴착은 화약을 사용한 발파 작업으로서 구조물 작업과 같이 정밀한 시공을 할 수는 없어 통상 10 ~ 20㎝의 여굴(과굴착)을 허용하고 있으며, 따라서 굴착된 터널의 내주면에 맞도록 규격화된 차폐막을 만들기가 곤란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소정 거리(통상 150m) 굴진시마다 이 분진 차폐막을 막장쪽으로 이동한 후 재설치하여야 하므로 매월 2, 3일의 작업 Loss가 발생하여 작업 효율이 저하되고 있었으며, 나아가 터널 발파 작업은 일반 나지에서의 발파 작업과는 달리 자유면이 일방향(갱구부)밖에 없으므로 발파 풍압에 의해 분진 차폐막이 전도되거나 찢어질 수 있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또 한편으로, 터널의 굴착에 있어서는 발파시 발생하는 비산 먼지 이외에도 각종 중차량, 예컨대 덤프트럭, 휠 로더(Wheel Loader), 펌프 카, 숏크리트 머신과 같은 장비들로부터 발생하는 배기 가스에 의한 오염 역시 작업 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라 할 것이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환기 방식의 경우 이러한 배기 가스에 대한 고려가 되지 않고 있으며, 터널 내의 중차량에서 발생되는 배기가스 등이 완전히 환기되지 않은 상태에서 이동식 급기팬(3)에 의해 막장으로 재공급 되는 바, 이에 따라 막장에 신선한 공기가 공급되지 못한다는 문제점도 지적되고 있었다.
이에,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이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자는 도1b에 도시된 것과 같은 새로운 형태의 환기 시스템을 개발하여 시험 적용한 바 있다. 상기 환기 시스템은 도시된 바와 같이 분진 차폐막을 설치하는 대신, 막장 부근에 배기팬(5)을 설치하고 이 배기팬(5)을 가동함으로써 막장에서 발생하는 오염된 공기를 배기튜브(6)를 통해 터널 외부로 강제 배출함과 동시에, 이동식 급기팬(7)을 가동하여 막장측으로 신선한 공기를 공급함으로써 터널내의 환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식의 환기 시스템의 경우, 배기팬(5)을 터널 안쪽에 설치하여 송풍하는 방식으로서, 터널 외부에서 공기를 흡입함에 따른 금속제의 덕트 사용을 배제하고 연질의 풍관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경제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는 있으나, 반면 이 시스템에서는 터널의 굴진량 증가시마다 배기팬(5)을 이동 설치하여야 하므로 이에 대한 추가 작업이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었으며, 특히, 발파작업시의 비산먼지와 중차량의 배기가스가 배기팬(5)을 통해 전량 배출되지 못하고 터널 내부에 설치된 급기팬(7)을 통해 다시 막장으로 공급되는 와류 현상이 발생, 효과적인 환기가 이루어지지 못함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이 가지는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일정간격으로 피난 연락갱이 설치된 쌍굴 형식의 터널에 있어 일측 터널에 일정 간격으로 배기팬을 설치하고 이 배기팬의 가동에 의해 양측 터널에 기압차를 발생시켜 비산 분진을 일측 터널로 유도한 뒤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비교적 간단한 구성에 의하여, 터널내에서 와류 현상을 일으킴이 없이 짧은 시간 내에 뛰어난 환기 효과를 얻을 수 있고, 팬의 이동 설치에 따른 작업효율 저하를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굴착과 구조물 공사를 병행 시공할 수 있어 공사 기간 단축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개선된 터널공사 환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서로 나란하게 설치되는 상,하행 터널과 상기 상,하행 터널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마다 설치되는 피난 연락갱을 포함하는 쌍굴식 터널의 공사중 환기를 위한 시스템으로서, 상기 상,하행 터널 중 어느 일측 터널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마다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기팬과; 상기 배기팬이 설치된 일측 터널에 설치되며 터널 내부에 공급되는 신선한 공기의 통로가 되는 급기튜브 및; 상기 급기튜브 내에 송풍력을 부여하여 터널 내부로 신선한 공기를 공급하는 급기팬;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터널 공사 환기 시스템을 특징적인 구성으로서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상, 하행 터널 한 쌍이 나란하게 설치되는 쌍굴식 터널을 대상으로 하는 것으로서, 이와 같은 쌍굴식 터널에는 통상적으로 터널간 연락을 위하여 소정 간격마다 피난 연락갱이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와 같은 쌍굴식 터널을 이루는 한 쌍의 터널 중 어느 한 쪽에 설치된 배기팬을 가동하게 되면, 이 배기팬의 가동으로 인하여 일측 터널의 기압이 다른 쪽 터널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아지게 되며, 이 때, 상기 한 쌍의 터널들은 피난 연락갱에 의해 서로 연통되어 있으므로, 상기와 같은 기압차에 의하여 작업 중 발생된 비산 먼지(또는 배기가스)는 상기 피난 연락갱을 통하여 배기팬이 설치된 터널로 대부분 유입되고, 이렇게 유도된 비산 먼지 등은 상기 배기팬의 송풍력에 의하여 터널 외부측으로 배출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배기팬은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개가 설치될 수 있는 데, 이와 같은 경우 모여진 비산 먼지 등은 각 배기팬들에 의해 터널 외부를 향하여 릴레이 식으로 이송되므로 매우 짧은 시간내에 효과적으로 터널 내 환기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서 상,하행 터널 간에 공기의 유동이 가능하도록 공기 통로의 역할을 하는 피난 연락갱의 경우 기존에 일반적으로 설치되는 간격으로 시공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에 따른 환기 시스템을 더욱 효과적으로 적용하기 위해서 통상적인 간격보다 더욱 조밀한 간격으로 추가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개념이 바람직하게 구현된 일 실시예와 함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이는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더욱 명확하게 이해하고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를 이에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며, 전술한 사항들 이외에 본 발명이 가지는 또 다른 기술적 특징들 및 장점들은 후술하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당업자에게 더욱 확실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터널공사 환기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로서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터널공사 환기 시스템은, 서로 나란하게 설치되는 상,하행 터널(T1,T2)과 상기 상,하행 터널(T1,T2)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마다 설치되는 피난 연락갱(T3)을 포함하는 쌍굴식 터널의 공사중 환기를 위한 시스템으로서, 상기 상,하행 터널(T1,T2) 중 어느 일측 터널에 소정 간격마다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기팬(10)과; 상기 배기팬(10)이 설치된 일측 터널(T1)에 설치되는 급기튜브(20) 및; 상기 급기튜브(20)에 연결되어 터널 내주에 외부 공기를 공급하는 급기팬(30);을 포함하여 개략 구성된다.
상기한 본 발명을 이루는 구성요소 중 배기팬(10)은 터널 내에 발생한 비산먼지 및 배기가스 등을 터널 외측을 향해 강제 배기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일정한 송풍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장치로서, 이는 기존에 환기용으로 사용되고 있는 제트팬과 같은 것들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 배기팬(10)은 터널 내를 운행하는 덤프트럭과 같은 중차량의 진행에 지장이 없도록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널(T1)의 외측에 붙여 설치하는 것이 좋으며, 그 설치 간격은 터널의 단면적, 소요 풍량 및 피난 연락갱(T3) 의 형성 간격 등을 감안하여 적절한 간격으로 정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피난 연락갱(T3)이 매 350m 마다 형성된 경우로서, 여기서는 상기 배기팬(10)을 대략 700m 간격(피난 연락갱 2개 간격 해당 길이)으로 설치한 예를 보여주고 있다. 통상적인 경우 상기 배기팬(10)의 간격은 600 내지 800m 정도가 적당하며, 이와 같은 간격에서 배기팬의 용량은 50마력(37.5㎾)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적합하다.
상기 급기튜브(20)는 터널의 굴착작업이 진행되는 막장(W) 부근에 신선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하여 터널(T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관로로서, 이는 도3에서와 같이 작업 및 차량 운행에 지장이 없도록 터널(T1)의 상부 벽쪽에 부착 설치된다. 이와 같은 급기튜브(20)는 그 유입구(21)가 터널 외부에 위치하도록 하고 유출구(22)는 터널 막장(W) 부근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후술하는 급기팬(30)에 의해 터널 외부의 신선한 공기가 막장(W)에 도달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급기튜브(20)의 관경은 도시된 실시예에서와 같은 조건에서는 φ1600으로 함이 적당하며, 재질은 연질의 합성섬유 튜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와 같은 급기튜브(20)는 상기 배기팬(10)이 설치된 일측 터널(T1)뿐 아니라 다른 편 터널(T2)에도 설치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한데, 이는 배기팬(10)을 가동시 일측 터널(T1) 내부의 압력이 저하되어 타측 터널(T2)의 공기를 비산 먼지와 함께 빨아들이는 경우, 이에 따라 타측 터널(T2)의 압력이 감소되어 터널(T1)의 후방측에서 배출되고 있는 오염공기를 피난 연락갱(T3)를 통해 다시 내부(T2)로 끌어들임으로써 오염물질이 포함된 공기가 순환하는 바람직하지 못한 현상이 일어날 수 있는 바 이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이 양측 터널(T1,T2) 모두에 급기튜브를 설치하게 되면, 배기팬(10)이 가동되고 있는 일측터널(T1)로 빠져나간 공기의 양에 대하여 외부로부터의 신선한 공기가 보충될 수 있으므로 이러한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급기팬(30)은 상기 급기튜브(20)의 유입구(21)측에 연결되어 터널 내부에 신선한 공기를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이는 전술한 급기팬(10)과 같이 송풍기의 용도로 사용되는 통상의 제트팬을 가지고 구성할 수 있다. 이 급기팬(30)의 용량은 설치된 배기팬(10)의 용량에 따라 적당한 것을 선정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150마력(110㎾)의 것을 사용하였다.
다음으로는,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터널공사 환기 시스템을 운전하여 터널 공사를 시공하는 방법과 함께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막장(W)에서 발파 작업 등으로 비산 먼지가 발생하면 급기팬(30)을 가동하여 터널 외부의 신선한 공기를 터널 내부의 막장(W) 근처까지 공급한다. 여기서 터널 발파 후 배기팬(10)을 가동하고 있지 않은 때에는 비산 먼지가 피난 연락갱(T3)를 통하여 교류되므로 양 터널(T1 ,T2) 중 어느 한 쪽에서만 발파 작업이 진행되더라도 양 터널 모두 환기가 불량하게 되어있는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상기 배기팬(10)을 가동하게 되면 배기팬(10)의 송풍력에 의해 막장(W) 근처의 공기가 터널(T1) 갱로를 따라 외부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배기팬(10)이 가동되는 터널측(T1)은 반대쪽 터널(T2)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기압이 낮아지게 된다. 이 때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양 터널(T1,T2)은 피난 연락갱(T3)에 의하여 일정 간격마다 연통되어 있는 바, 상기와 같은 터널간 기압차로 인하여 막장 근처의 오염된 공기는 대부분 배기팬(10)이 설치되어 있는 터널(T1)쪽으로 유도되게 된다(도4 참조). 이와 같이 한 곳으로 모아진 오염된 공기는 배기팬(10)에 의해 터널의 입구쪽으로 밀려 나가게 되는데, 이때, 상기 배기팬(10)들은 소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먼지 등이 포함된 오염된 공기는 이들 배기팬(10)에 의해 릴레이 식으로 터널 갱로 바깥까지 이동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절차에 의해 본 발명의 환기 시스템을 가동하게 되면, 막장(W) 근처의 먼지 등이 포함된 공기는 모두 배기팬(10)이 설치된 일측 터널(T1)을 따라 외부로 배출되며, 이 때,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기팬(10)이 가동되고 있지 않은 다른 쪽 터널(T2)의 일정거리 후방측에는 막장(W)으로부터의 오염된 공기가 확산되지 않으므로 이 지역(CA)은 비교적 신선한 공기를 포함하는 청정지역으로 유지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청정지역(CA)에 대해서는 터널 굴착공사 이후의 후속 공정, 즉, 숏크리트 타설, 방수 시공 및 라이닝 콘크리트와 같은 작업들을 착수하여 진행할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에 의하면 터널 굴착과 후속 구조물 작업을 병행 시공할 수 있으므로 공사기간 단축 및 공사비 절감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에서 설명된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부가 및 변형이 가능할 것임은 당연한 것으로,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형태들 역시 아래에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하여지는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배기팬을 통해 릴레이 방식으로 터널 내의 비산먼지 및 차량 배기가스를 강제 배기함으로써 환기에 소요되는 시간이 다른 환기 시스템에 비해 줄어들며, 가동 후 일정 시간이 경과된 후에는 버력 처리를 위한 중차량의 주행에도 불구하고 터널내의 오염도가 양호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둘째, 터널 외부에서 신선한 공기를 공급하고 기압차를 이용해 분진과 배기가스를 일정 방향으로 유도하기 때문에 터널내에서의 공기 와류 현상을 방지하여 막장에 항상 신선한 공기를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르면 두개의 터널 중 공기 배출로로 사용되는 터널의 다른 쪽 터널 후방에는 굴착 후속 공정을 진행할 수 있으므로, 굴착공사와 구조물 공사의 병행 시공이 가능하여 공사기간 단축 및 공사비 절감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 밖에도, 본 발명에 따르면, 굴착 진척도에 따라 팬의 이동 설치를 요하지 않으므로 이에 대한 작업 Loss를 없앨 수 있으며, 오염공기의 배출을 위한 별도의 배기 덕트를 설치하지 않고, 배기팬에 의한 릴레이 방식으로 일측 터널 갱로를 통해 비산 먼지등을 배출하므로 재료비의 절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도1a 및 도1b는 종래의 터널공사 환기 시스템의 일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터널공사 환기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3은 도2의 A-A'선에 따른 단면도로서, 본 발명에서의 배기팬 및 급기튜브가 터널 내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터널공사 환기 시스템의 가동 시 오염물질이 배출되는 흐름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배기팬 20: 급기튜브
30: 급기팬
T1, T2: 상, 하행 터널 T3: 피난 연락갱

Claims (10)

  1. 서로 나란하게 설치되는 상,하행 터널과 상기 상,하행 터널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마다 설치되는 피난 연락갱을 포함하는 쌍굴식 터널의 공사중 환기를 위한 시스템으로서,
    상기 상,하행 터널 중 어느 일측 터널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마다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기팬;
    상기 배기팬이 설치된 일측 터널에 설치되며, 터널 내부에 공급되는 신선한 공기의 통로가 되는 급기튜브; 및,
    상기 급기튜브 내에 송풍력을 부여하여 터널 내부로 신선한 공기를 공급하는 급기팬;
    을 포함하는 터널 공사 환기 시스템.
  2. 제1항에서, 상기 급기튜브는 유입구가 터널 외부에 위치하고 유출구는 터널 내부 막장 부근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공사 환기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상기 배기팬이 설치된 일측 터널의 반대편 터널에도 급기튜브 및 급기팬이 더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공사 환기 시스템.
  4.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급기튜브의 재질은 연질의 합성섬유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공사 환기 시스템.
  5.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배기팬의 설치 간격은 상기 피난 연락갱이 설치된 간격의 2배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공사 환기 시스템.
  6. 제4항에서, 상기 배기팬의 출력은 50마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공사 환기 시스템.
  7. 서로 나란하게 설치되며 피난 연락갱에 의해 소정 간격마다 연결되는 상,하행 터널과; 상기 상,하행 터널 중 어느 일측 터널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기팬과; 상기 상,하행 터널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며 터널 내부에 공급되는 신선한 공기의 통로가 되는 급기튜브; 및, 상기 급기튜브 내에 송풍력을 부여하여 터널 내부로 신선한 공기를 공급하는 급기팬;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터널공사 환기 시스템을 운전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a) 상기 급기팬을 가동하여 상기 급기튜브를 통해 터널 막장 부위에 신선한 공기를 공급하는 제1단계;
    (b) 상기 배기팬을 가동하여 터널 내에 발생된 분진을 상기 배기팬이 설치된 터널 갱도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는 제2단계;
    (c) 상기 배기팬이 설치되지 않은 터널의 후방에서 후속 구조물 시공작업을 진행하는 제3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터널공사 환기 시스템의 운전 방법.
  8. 제7항에서, 상기 급기튜브는 유입구가 터널 외부에 위치하고 유출구는 터널 내부 막장 부근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공사 환기 시스템의 운전 방법.
  9. 제7항 또는 제8항에서, 상기 배기팬의 설치 간격은 상기 피난 연락갱이 설치된 간격의 2배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공사 환기 시스템의 운전 방법.
  10. 제9항에서, 상기 배기팬의 출력은 50마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공사 환기 시스템의 운전 방법.
KR1020030085604A 2003-11-28 2003-11-28 터널공사 환기 시스템 및 이의 운전 방법 KR1005429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5604A KR100542956B1 (ko) 2003-11-28 2003-11-28 터널공사 환기 시스템 및 이의 운전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5604A KR100542956B1 (ko) 2003-11-28 2003-11-28 터널공사 환기 시스템 및 이의 운전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1922A true KR20050051922A (ko) 2005-06-02
KR100542956B1 KR100542956B1 (ko) 2006-01-20

Family

ID=372480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5604A KR100542956B1 (ko) 2003-11-28 2003-11-28 터널공사 환기 시스템 및 이의 운전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42956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8878B1 (ko) * 2008-04-02 2008-09-17 에스텍이앤지(주) 터널 공사용 집진환기 장치
CN102102527A (zh) * 2010-12-20 2011-06-22 中铁隧道集团有限公司 单斜井双正洞射流通风技术
CN102619547A (zh) * 2012-04-17 2012-08-01 中铁十六局集团有限公司 一种高寒隧道通风节能升温系统
RU2631946C1 (ru) * 2016-06-29 2017-09-29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Пермский национальный 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политехниче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Способ проветривания тупиковой выработки
CN109958467A (zh) * 2019-04-16 2019-07-02 中铁十七局集团第二工程有限公司 一种用于隧道施工的通风防尘方法
KR20210000118A (ko) * 2019-06-24 2021-01-04 주식회사 기성 외부공기 공급기능을 갖는 터널용 벨트 컨베이어
CN113898395A (zh) * 2021-11-09 2022-01-07 中煤第三建设(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煤矿特长斜井通风方法及通风系统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240299B (zh) * 2015-11-17 2018-04-24 中国长江三峡集团公司 地下洞室施工期通排风风机系统及其实施方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8878B1 (ko) * 2008-04-02 2008-09-17 에스텍이앤지(주) 터널 공사용 집진환기 장치
CN102102527A (zh) * 2010-12-20 2011-06-22 中铁隧道集团有限公司 单斜井双正洞射流通风技术
CN102619547A (zh) * 2012-04-17 2012-08-01 中铁十六局集团有限公司 一种高寒隧道通风节能升温系统
CN102619547B (zh) * 2012-04-17 2014-01-08 中铁十六局集团有限公司 一种高寒隧道通风节能升温系统
RU2631946C1 (ru) * 2016-06-29 2017-09-29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Пермский национальный 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политехниче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Способ проветривания тупиковой выработки
CN109958467A (zh) * 2019-04-16 2019-07-02 中铁十七局集团第二工程有限公司 一种用于隧道施工的通风防尘方法
KR20210000118A (ko) * 2019-06-24 2021-01-04 주식회사 기성 외부공기 공급기능을 갖는 터널용 벨트 컨베이어
CN113898395A (zh) * 2021-11-09 2022-01-07 中煤第三建设(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煤矿特长斜井通风方法及通风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42956B1 (ko) 2006-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0459B1 (ko) 도심지 횡류 또는 반횡류 터널의 배연성능 향상을 위한 급기 및 배기장치
CN102966367B (zh) 巷道掘进设备及其除尘装置
KR100542956B1 (ko) 터널공사 환기 시스템 및 이의 운전 방법
CN112211659A (zh) 隧道通风方法
KR100858878B1 (ko) 터널 공사용 집진환기 장치
KR101023017B1 (ko) 유해물질의 자연배출 구조를 갖는 터널
JP6495578B2 (ja) トンネル換気方法
JP4319619B2 (ja) トンネル内の換気装置
JP4634351B2 (ja) 除塵装置および除塵方法
KR20090118587A (ko) 터널공사용 수분무장치 및 환기시스템, 그 환기방법
JP2004092074A (ja) 既設トンネルの拡幅工事用換気装置及び換気方法
KR101648952B1 (ko) 환기 성능 및 제연 성능 향상이 가능한 신형 환기 시스템
JP4723364B2 (ja) 集塵機
KR101458003B1 (ko) 중앙지지벽에 대피로가 구비된 투아치 터널 및 그 시공방법
JP3922933B2 (ja) トンネル内の換気装置
KR101188220B1 (ko) 터널공사용 환기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H10252400A (ja) 施工中トンネル内の換気方法
CN220815719U (zh) 一种长距离隧道通风装置
JPH0449274Y2 (ko)
RU2112142C1 (ru) Способ проветривания камер при разработке мощного пласта камерной системой разработки
JP2005030129A (ja) トンネル内の換気装置
JPH11324597A (ja) トンネル形成工法
JPH1172000A (ja) 長大トンネルの換気システム
JP3009526B2 (ja) 掘削中トンネルの換気方法及び装置
JPH0512400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0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