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50731A - 낙석 방호 울타리 구조물 및 그에 사용되는 충격에너지완충구 - Google Patents

낙석 방호 울타리 구조물 및 그에 사용되는 충격에너지완충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50731A
KR20050050731A KR1020030084334A KR20030084334A KR20050050731A KR 20050050731 A KR20050050731 A KR 20050050731A KR 1020030084334 A KR1020030084334 A KR 1020030084334A KR 20030084334 A KR20030084334 A KR 20030084334A KR 20050050731 A KR20050050731 A KR 200500507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ckfall
wire rope
buffer
energy
fence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43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10391B1 (ko
Inventor
남홍기
Original Assignee
(주) 코리아에스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코리아에스이 filed Critical (주) 코리아에스이
Priority to KR10200300843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0391B1/ko
Publication of KR200500507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07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03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0391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7/00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now, sand drifts, side-wind effects, snowslides, avalanches or falling rocks; Anti-dazzle arrangements ; Sight-screens for roads, e.g. to mask accident site
    • E01F7/04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nowslides, avalanches or falling rocks, e.g. avalanche preventing structures, galleries
    • E01F7/04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otecting against falling rocks, e.g. galleries, nets, rock trap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4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longitudinal beams or rigid strips supported above ground at spaced poi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6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cables, nettings or the like

Abstract

본 발명은 낙석 방호 울타리 구조물에 별도의 낙석 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는 완충구조를 부여하여, 낙석이 발생하여 울타리 구조물에 충돌할 때 그의 낙석 에너지를 효과적으로 흡수하도록 함으로써, 낙석의 충격에 대한 높은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낙석 방호 울타리 구조물 및 그에 구비되는 완충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양측 단부에 설치되는 단부지주(1)와, 상기 단부지주(1) 사이에 소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중간지주(2)와, 상기 단부지주(1) 및 중간지주(2) 사이에 설치되는 횡방향 와이어로프(4) 및 종방향 와이어로프(5)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경사면의 낙석을 방호하는 낙석 방호 울타리 구조물로서, 중간지주(2)의 후방에서 중간지주(2)에 작용하는 낙석 에너지를 흡수하는 앵커부 완충구(10)와, 상기 단부지주(1)의 측면에 설치되어 단부지주(1)에 가해지는 단부지주 완충구(17)와, 횡방향 와이어로프(4)에 슬립을 유발하여 낙석 에너지를 흡수하는 교차부 완충구(20), 이동 완충구(30) 및/또는 슬립 완충구(40)를 구비한 낙석 방호 울타리 완충구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인장력에 의한 에너지를 흡수하는 완충구로서, 2개의 나란한 봉 형상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봉 형상 부재의 단부에는 고정 가압판(12)이 구비되어 있고 중간에는 가동 가압판(14)이 구비되어 있는 연결정착부재(13)와; 상기 연결정착부재(13)의 나란한 봉 형상 부재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고정 가압판(12)을 관통하여 상기 가동 가압판(14)에 단부가 고정되는 봉 형상의 가동인출부재(15)와; 상기 고정 가압판(12)과 가동 가압판(14)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가동인출부재(15)가 인장력에 의하여 당겨질 때 가압되어 탄성변형, 소성 변형 및 파쇄를 일으켜 에너지를 흡수하는 파쇄부재(16)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력에 의한 에너지 완충구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낙석 방호 울타리 구조물 및 그에 사용되는 충격에너지 완충구{Barrier Structure and Shock Absorber therefor}
본 발명은 암 깍기 비탈면으로부터 낙석이 예상되는 곳에 설치되는 낙석 방호 울타리 구조물 및 그에 사용되는 완충구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낙석 에너지의 흡수 성능이 우수한 낙석 방호 울타리 구조물 및 그에 사용되는 완충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낙석 방호 울타리 구조물은 도로나 인도 측면의 암 깍기 비탈면에서 탈리된 낙석이 도로나 인도로 침범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된다.
도 6에는 종래의 낙석 방호 울타리 구조물의 개략적인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종래의 낙석 방호 울타리 구조물은, 지반 또는 콘크리트 기초에 하단이 강절로 고정되는 단부지주(100)와 중간지주(200), 그리고 상기 지주(100, 200)들 사이를 가로 질러 배치되는 와이어로프(300)와, 상기 지주들 사이에 설치되는 격자형 망(400)으로 구성된다. 상기 와이어로프(300)는 중간지주(200)를 관통하여 단부지주(100)에 정착된다.
그런데, 위와 같은 종래의 낙석 방호 울타리 구조물의 경우, 낙석 현상이 발생하게 되면 낙석이 와이어로프(300)를 타격하게 되는데, 낙석이 가지는 에너지는 와이어로프(300)와 망(400), 그리고 지주(100, 200)에 그대로 전달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요컨대, 낙석이 가지는 에너지는 와이어로프(300) 자체에 의하여 지지되거나 또는 지주의 강성에 의해서만 지지된다. 따라서, 낙석 에너지가 큰 경우 결국 와이어로프(300)가 파단되거나 손상되며, 지주 역시 꺾여서 파손된다. 와이어로프(300)가 파단된다는 것은 울타리로서 제기능을 다하지 못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종래의 구조물에서는 지주의 하단이 지반이나 콘크리트 기초에 강절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낙석이 지주를 타격하는 경우, 지주가 꺾어지거나 휘어지는 현상이 발생하면서도, 낙석 에너지를 충분히 흡수하지 못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낙석 방호 울타리 구조물이 가지는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낙석 방호 울타리 구조물에 별도의 낙석 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는 완충구조를 부여하여, 낙석이 발생하여 울타리 구조물에 충돌할 때 낙석 에너지를 효과적으로 흡수하도록 함으로써, 낙석의 충격에 대한 높은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낙석 방호 울타리 구조물 및 그에 구비되는 완충구를 제공함에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는 중간지주 자체도 낙석 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더 나아가 단부지주에도 낙석 에너지 완충기능을 부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와이어로프가 낙석에 의하여 당겨질 때, 와이어로프 자체에 대해서도 낙석 에너지 흡수기능을 가지도록 구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양측 단부에 설치되는 단부지주와, 상기 단부지주 사이에 소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중간지주와, 상기 단부지주 및 중간지주 사이에 설치되는 종방향 와이어로프 및 횡방향 와이어로프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경사면의 낙석을 방호하는 낙석 방호 울타리 구조물로서, 상기 중간지주의 하단부는, 낙석이 울타리 구조물을 타격시 회전 변위되어 낙석 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도록 회전이 가능한 힌지부로 구성되며; 상기 중간지주의 상부에는 중간지주가 전방으로 회전하지 않도록 지지하는 지주 지지용 와이어로프가 설치되고; 상기 지주 지지용 와이어로프의 반대측 단부에는, 낙석의 타격에 의하여 지주 지지용 와이어로프가 당겨짐에 따라 탄성변형, 소성변형, 또는 파쇄되므로써 낙석 에너지를 흡수하는 앵커부 완충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석 방호 울타리 구조물이 제공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낙석 방호 울타리 구조물에서, 상기 앵커부 완충구는, 2개의 나란한 봉 형상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봉 형상 부재의 단부에는 고정 가압판이 구비되어 있고 중간에는 가동 가압판이 구비되어 있는 연결정착부재와; 상기 연결정착부재의 나란한 봉 형상 부재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고정 가압판을 관통하여 상기 가동 가압판에 단부가 고정되는 봉 형상의 가동인출부재와; 상기 고정 가압판과 가동 가압판 사이에 설치되어 가압에 의하여 탄성변형, 소성 변형 및 파쇄를 일으켜 에너지를 흡수하는 파쇄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구체적인 실시예로서, 상기 파쇄부재는 상기 콘 형상의 부재 2개가 한 쌍을 이루어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하나 이상 배치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양측 단부에 설치되는 단부지주와, 상기 단부지주 사이에 소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중간지주와, 상기 단부지주 및 중간지주 사이에 설치되는 종방향 와이어로프 및 횡방향 와이어로프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경사면의 낙석을 방호하는 낙석 방호 울타리 구조물로서, 상기 종, 횡방향 와이어로프의 교차지점에는, 낙석에 의한 충격력이 작용할 때 상기 종, 횡방향 와이어로프의 슬립을 유도함으로써 슬립에 따른 마찰 저항에 의해 낙석 에너지를 흡수하는 교차부 완충구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석 방호 울타리 구조물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양측 단부에 설치되는 단부지주와, 상기 단부지주 사이에 소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중간지주와, 상기 단부지주 및 중간지주 사이에 설치되는 종방향 와이어로프 및 횡방향 와이어로프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경사면의 낙석을 방호하는 낙석 방호 울타리 구조물로서, 상기 중간지주 좌우측에는 각각 횡방향 와이어로프의 슬립에 의하여 낙석 에너지를 흡수하는 이동 완충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석 방호 울타리 구조물이 제공된다.
위와 같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로서, 상기 이동 완충구는 횡방향 와이어로프의 전후에서 서로 결합되는 전,후 결합판과, 상기 전,후 결합판을 일체로 체결하는 체결수단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이동 완충구가 횡방향 와이어로프와 결합할 때 상기 횡방향 와이어로프가 굴곡된 형태로 위치하도록 상기 전,후 결합판의 내부에는 굴곡된 형태의 홈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횡방향 와이어로프가 낙석의 충돌로 당겨질 때 굴곡된 배치에 의하여 슬립 저항력이 발생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석 방호 울타리 구조물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양측 단부에 설치되는 단부지주와, 상기 단부지주 사이에 소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중간지주와, 상기 단부지주 및 중간지주 사이에 설치되는 종방향 와이어로프 및 횡방향 와이어로프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경사면의 낙석을 방호하는 낙석 방호 울타리 구조물로서, 상기 중간지주는 횡방향 와이어로프의 슬립에 의하여 낙석 에너지를 흡수하는 슬립 완충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석 방호 울타리 구조물이 제공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슬립 완충구는 횡방향 와이어로프의 전후에서 서로 결합되는 전,후 결합판과, 상기 전,후 결합판을 중간지주와 일체로 체결하는 체결수단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슬립 완충구는, 횡방향 와이어로프와 결합할 때 상기 횡방향 와이어로프가 굴곡된 형태로 위치하도록 상기 전,후 결합판의 내부에는 굴곡된 형태의 홈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횡방향 와이어로프가 낙석의 충돌로 당겨질 때 굴곡된 배치에 의하여 슬립 저항력이 발생하도록 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양측 단부에 설치되는 단부지주와, 상기 단부지주 사이에 소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중간지주와, 상기 단부지주 및 중간지주 사이에 설치되는 종방향 와이어로프 및 횡방향 와이어로프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경사면의 낙석을 방호하는 낙석 방호 울타리 구조물로서, 상기 단부지주의 측면에는, 낙석의 타격에 의하여 지주 지지용 와이어로프가 당겨짐에 따라 탄성변형, 소성변형, 또는 파쇄되므로써 낙석 에너지를 흡수하는 단부지주 완충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석 방호벽 구조물이 제공된다.
위와 같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단부지주 완충구는, 단부지주의 측면을 관통한 봉상의 연결재의 단부가 최외부에 고정되어 낙석의 타격에 의하여 연결재가 당겨질 때 그 압력에 의하여 탄성변형, 소성변형, 또는 파쇄되는 파쇄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파쇄부재는, 콘 형상의 부재 2개가 한 쌍을 이루어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하나 이상 배치되어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충격에 의하여 발생하는 인장력에 기인한 에너지를 흡수하는 완충구로서, 2개의 나란한 봉 형상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봉 형상 부재의 단부에는 고정 가압판이 구비되어 있고 중간에는 가동 가압판이 구비되어 있는 연결정착부재와; 상기 연결정착부재의 나란한 봉 형상 부재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고정 가압판을 관통하여 상기 가동 가압판에 단부가 고정되는 봉 형상의 가동인출부재와; 상기 고정 가압판과 가동 가압판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가동인출부재가 인장력에 의하여 당겨질 때 가압되어 탄성변형, 소성 변형 및 파쇄를 일으켜 충격 에너지를 흡수하는 파쇄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력에 의한 충격 에너지 완충구가 제공된다.
상기한 완충구에서, 상기 파쇄부재는, 콘 형상의 부재 2개가 한 쌍을 이루어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하나 이상 배치되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본 발명의 완충구는 앞서 언급한 낙석 방호 울타리 구조물에 사용되기에 적합한 것이나, 그 용도는 반드시 위 낙석 방호 울타리 구조물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인장력에 의하여 발생하는 에너지를 흡수할 필요가 있는 곳이면 사용이 가능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낙석 방호 울타리 구조물의 개략도로서, 도 1a는 측면도이고, 도 1b는 경사지 측에서 바라본 배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낙석 방호 울타리 구조물은, 지반 또는 콘크리트 기초에 단부가 고정되어 울타리 구조물의 양측 단부에 설치되는 단부지주(1)와, 상기 단부지주(1) 사이에 소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중간지주(2), 상기 단부지주(1) 및 중간지주(2) 사이에 설치되는 횡방향(가로 방향) 와이어로프(4) 및 종방향(세로 방향) 와이어로프(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b에 도시된 것처럼, 격자형 망(6)이 지주(2, 3) 사이에 더 설치된다. 도 1b에서는 편의상 격자형 망(6)은 일부만 도시하였다.
우선, 도 1a를 참조하여 중간지주(2)의 설치 구조를 상세히 살펴보면, 상기 중간지주(2)는 지반이나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지주 기초(7)에 앵커볼트 등과 같은 고정수단(71)과 지주 플레이트(72)에 의하여 고정되는데, 종래의 경우와는 달리, 본 발명에서는 중간지주(2)의 하단부에는 힌지부(8)가 형성되어 있다. 즉, 낙석이 울타리 구조물을 타격하였을 때, 중간지주(2)가 회전 변위되어 낙석 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도록 본 발명에서는 중간지주(2)의 하단부를 회전이 가능한 힌지부(8)로 구성한 것이다.
이와 같이 회전이 될 수 있도록 힌지부(8)가 구비된 중간지주(2)가 전방 즉, 경사지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지 않도록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중간지주(2)의 상부에는 소정 위치에 지주 지지용 와이어로프(9)가 설치되는데, 상기 지주 지지용 와이어로프(9)의 반대측 단부에는 앵커부 완충구(10)가 설치되어 있고, 계속하여 상기 앵커부 완충구(10)는 지반에 고정 설치된 앵커(50)에 연결되어 있다. 한편, 중간지주(2)가 후방으로 즉, 경사지 방향으로 임의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중간지주(2)의 전방 하부에는 보조지주(3)가 설치된다.
상기 앵커부 완충구(10)는, 낙석이 울타리 구조물을 타격하여 중간지주(2)에 회전력을 가하게 될 때, 지주 지지용 와이어로프(9)가 당겨지게 되면, 그에 의하여 탄성변형, 소성변형, 또는 파쇄되므로써 낙석 에너지를 흡수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도 2a 및 도 2b에는 상기 앵커부 완충구(10)가 앵커(30)에 연결되어 있는 구조의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는데, 도 2a는 앵커(30)의 단부에 설치된 연결부재(31)에 하나의 앵커부 완충구(10)가 연결된 상태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앵커부 완충구(10)가 압축되어 에너지 흡수기능을 발휘하는 형상을 보여주는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앵커부 완충구(10)는, 2개의 나란한 봉 형상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봉 형상 부재의 단부에는 고정 가압판(12)이 구비되어 있고 중간에는 가동 가압판(14)이 구비되어 있는 연결정착부재(13)와, 상기 연결정착부재(13)의 나란한 봉 형상 부재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고정 가압판(12)을 관통하여 상기 가동 가압판(14)에 단부가 고정되는 봉 형상의 가동인출부재(15)와, 상기 고정 가압판(12)과 가동 가압판(14) 사이에 설치되어 가압에 의하여 탄성변형, 소성 변형 및 파쇄를 일으켜 에너지를 흡수하는 파쇄부재(16)로 구성된다. 도 2c에는 상기 파쇄부재(16)를 이루는 콘 형상 부재(11)의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상기 콘 형상 부재(11)의 중앙에는 가동인출부재(15)가 관통하게 되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파쇄부재(16)는, 도 2c에 도시된 것과 같은 콘 형상의 부재(11) 2개가 한 쌍을 이루어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다수개 배치되어 구성된다. 도면의 실시예에서는 마주보도록 쌍을 이룬 콘 형상의 부재(11) 쌍이 3개 배치되어 있으나, 그 콘 형상의 부재 쌍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 가동인출부재(15)의 타단부는 지주 지지용 와이어로프(9)에 연결되고, 연결정착부재(13)는 연결부재(31)에 의하여 앵커(50)와 연결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낙석에 의하여 중간지주(2)가 전방으로 회전하도록 충격력이 작용하게 되면, 중간지주(2)를 지지하고 있던 지주 지지용 와이어로프(9)가 당겨지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가동인출부재(15)가 당겨진다. 가동인출부재(15)가 당겨지면 그 단부에 고정되어 있던 가동 가압판(14)도 당겨지면서 파쇄부재(16)를 가압하게 된다. 상기 콘 형상 부재(11)가 서로 마주보는 형태를 이루고 있는 상기 파쇄부재(16)는, 가동 가압판(14)이 가압함에 따라 초기에는 서로 마주 눌려지게 되며, 그 탄성변형 한계를 벗어날 정도의 가압력이 작용하게 되면 소성변형되고, 결국에는 파쇄된다. 이와 같이 가동인출부재(15)가 당겨지면 파쇄부재(16)의 탄성변형, 소성변형, 그리고 파쇄에 의하여 가동인출부재(15)의 당김에 의한 에너지를 흡수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파쇄부재(16)의 에너지 흡수 작용에 의하여 앵커부 완충구(10)가 낙석 에너지를 흡수하게 되는 것이다. 도 2d는 2개의 앵커부 완충구(10)가 하나의 앵커(50)에 연결되어 있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한편, 도 1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단부지주(1)에도 단부지주 완충구(17)가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중간지주(2)를 가로질러 배치되는 횡방향 와이어로프(4)의 단부에는 봉상의 연결재(19)가 설치되어 단부지주(1)를 관통하게 되는데, 상기 단부지주(1)를 관통하여 돌출된 연결재(19)의 단부에 단부지주 완충구(17)가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단부지주 완충구(17)는, 앞서 설명한 앵커부 완충구(10)와 유사하게, 중앙에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콘 형상의 부재 두 개를 한 쌍으로 하여 서로 마주보게 배치한 것을 복수개로 연결한 파쇄부재(18)로 구성된다. 상기 연결재(19)의 단부는 상기 파쇄부재(18)를 관통하여 파쇄부재(18)의 최외부에 고정된다. 상기 단부지주 완충구(17)는, 낙석의 충돌에 의하여 횡방향 와이어로프(4)가 당겨질 때, 상기 파쇄부재(18)의 탄성변형, 소성변형, 파쇄에 의하여 에너지를 흡수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울타리 구조물의 또다른 특징 중의 하나는 횡방향 와이어로프(4) 및 종방향 와이어로프(5)의 교차점에, 슬립에 의하여 낙석 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는 또다른 수단으로서 교차부 완충구(또는 크로스 완충구)(20)를 구비한다는 것이다.
상기 교차부 완충구(20)는, 상기 종,횡방향 와이어로프(5, 4)의 교차지점에 설치되어, 낙석에 의한 충격력이 작용하는 경우, 상기 종,횡방향 와이어로프(5, 4)의 슬립을 유도함으로써, 슬립에 따른 마찰 저항에 의해 낙석 에너지를 흡수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3a 내지 도 3d에는 교차부 완충구(20)의 일 실시예들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는데, 도 3a 및 도 3b는 각각 직립형 교차부 완충구의 분해 사시도와 결합사시도이고, 도 3c 및 도 3d 역시 각각 또다른 교차부 완충구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와 결합사시도이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교차부 완충구(20)는 본 출원인에 의하여 이미 출원되어 등록된 실용신안등록 제313108호에 개시된 것으로서, 종,횡방향 와이어로프(5, 4) 중 어느 일방향의 와이어로프의 일측을 지지하여 상기 일방향 와이어로프와 결합하는 제1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제1 베이스 플레이트와 수직한 방향으로 일체로 결합되어 있으며 그 상면 또는 하면에서 상기 타방향 와이어로프의 일측을 지지하여 상기 타방향 와이어로프와 결합하는 제2 베이스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베이스 플레이트와 제2 베이스 플레이트에는 각각 다수개의 쌍으로 이루어진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고, 고리형상, 즉 '??'형상으로 이루어진 체결부재가 종방향 와이어로프와 횡방향 와이어로프를 내측에 넣은 상태로 그 단부가 상기 제1 및 제2 베이스 플레이트의 관통공을 관통한 후 너트와 같은 체결수단에 의하여 체결되는 구성을 가진다.
한편, 도 3c 및 도 3d에 도시된 교차부 완충구(20)는 본 출원인에 의하여 이미 출원되어 등록된 실용신안등록 제318201호에 개시된 것으로서, 상기 종,횡방향 와이어로프(5, 4)의 교차지점에서 종,횡방향 와이어로프(5, 4) 사이에 끼워지며 양측에 한 쌍의 관통공이 서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형으로 이루어지며, 각각 상기 횡방향 와이어로프(4)와 종방향 와이어로프(5)를 사이에 넣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각 관통공을 양면에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통과하여 너트로써 체결되는 한 쌍의 제1체결부재 및 한 쌍의 제2체결부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교차부 완충구(20)의 더욱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앞서 언급한 실용신안등록 제318201호 및 제313108호에 상세히 개시되어 있으므로 이에 대한 반복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울타리 구조물의 또다른 특징 중의 하나는, 중간지주(2) 좌우측에는 각각 횡방향 와이어로프(4)의 슬립에 의하여 낙석 에너지를 흡수하는 이동 완충구(30)가 설치되어 있고, 중간지주(2)에도 횡방향 와이어로프(4)의 슬립에 의하여 낙석 에너지를 흡수하는 슬립 완충구(40)가 설치되어 있다는 것이다.
도 4a에는 이동 완충구(30)가 횡방향 와이어로프(4)와 결합하는 구성을 보여주는 결합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4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이동 완충구(30)는 횡방향 와이어로프(4)의 전후에서 서로 결합되는 전,후 결합판(31, 32)과, 상기 전,후 결합판(31, 32)을 일체로 체결하는 볼트와 너트 등으로 이루어지는 체결수단(34)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전,후 결합판(31, 32)의 내부에는 상기 횡방향 와이어로프(4)가 위치하는 곳에 굴곡된 형태의 홈(33)이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이동 완충구(30)가 횡방향 와이어로프(4)와 결합하게 되면, 상기 횡방향 와이어로프(4)는 상기 이동 완충구(30) 내에서는 상기 굴곡된 형태의 홈(33)에 따라 굴곡된 형태로 배치되는 것이다. 한편, 도 1b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이동 완충구(30)는 중간지주(2)의 양측 가까이에서 소정 거리를 두고 배치되는데, 후술하는 것처럼 낙석에 의하여 횡방향 와이어로프(4)가 당겨지게 될 때, 일측의 이동 완충구(30)가 횡방향 와이어로프(4)에 체결된 채로 중간지주(2)의 측면에 충돌하게 되어, 일차적으로 횡방향 와이어로프(4)가 낙석에 의해 당겨지는 것에 저항하게 된다.
계속하여 횡방향 와이어로프(4)가 당겨지게 되면, 횡방향 와이어로프(4)는 이동 완충구(30)에서 슬립하게 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횡방향 와이어로프(4)가 이동 완충구(30) 내에서 굴곡된 형태로 배치되어 있으므로, 낙석이 횡방향 와이어로프(4)를 타격하여 횡방향 와이어로프(4)가 슬립하게 될 때, 슬립 저항력이 커지게 되어 그만큼 더 많은 낙석 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게 된다.
도 4b에는 슬립 완충구(40)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는데, 중간지주(2)에 설치되는 슬립 완충구(40) 역시 위와 유사하게 횡방향 와이어로프(4)를 전후방에서 결합하는 전,후 결합판(41, 42)을 구비하고 있으며, 슬립 완충구(21)의 내부에도 횡방향 와이어로프(4)가 위치하는 곳에는 굴곡된 홈(4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슬립 완충구의 전,후 결합판(41, 42)은 체결수단(44)에 의하여 중간지주(2)에 결합된다.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횡방향 와이어로프(4)가 슬립 완충구(40) 내에 위치할 때는 홈(43) 형상에 맞추어 굴곡된 형태로 배치된다. 따라서, 앞서 이동 완충구(30)의 경우처럼, 낙석에 의하여 횡방향 와이어로프(4)가 슬립 완충구(40) 내에서 슬립하게 될 때, 굴곡된 형상에 의하여 슬립 저항력이 증가되어 낙석 에너지를 흡수하게 된다.
위에서 살펴본 본 발명의 특징들은 각각 별도로 독립적으로 또는 서로 조합하여 낙석 방호 울타리 구조물에 구비될 수 있는데, 아래에서는 위 특징들이 모두 구비된 낙석 방호 울타리 구조물을 예로 들어 구체적인 낙석 에너지 흡수 메카니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a 내지 도 5c에는 위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특징들을 모두 구비한 낙석 방호 울타리 구조물에 낙석 현상이 발생하였을 때의 메카니즘을 단계별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5a 내지 도 5c의 실시예에서는, 각각의 지주에는 2개의 지주 지지용 와이어로프(9)와 앵커부 완충구(10)가 양측으로 설치되어 있으나, 상기 지주 지지용 와이어로프(9) 및 앵커부 완충구(10)는 각 지주에 대하여 각각 하나만 설치될 수도 있으며, 각 지주에 대하여 2개 이상 설치될 수도 있다.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면에서 낙석(60)이 떨어져 방호벽과 충돌하게 되면, 낙석이 충돌한 순간에, 낙석이 충돌한 위치의 횡방향 와이어로프(4)가 외부로 밀려가서 당겨지게 되는데, 교차부 완충구(20)에서 횡방향 와이어로프(4)와 종방향 와이어로프(5)의 슬립이 발생하면서 그 슬립 현상에 의하여 낙석 에너지를 흡수하게 된다.
그와 동시에 횡방향 와이어로프(4)가 당겨짐에 따라 중간지주(2)에 설치된 슬립 완충구(40)에서도 횡방향 와이어로프(4)의 슬립 현상에 의하여 낙석 에너지를 흡수하게 된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슬립 완충구(40) 내의 홈(43)은 굴곡된 형태를 가지고 있으므로, 횡방향 와이어로프(4)가 슬립 완충구(40) 내에서 슬립하게 될 때, 굴곡된 형상에 의하여 슬립 저항력이 증가되어 낙석 에너지를 흡수하게 된다.
한편, 낙석의 충돌로 인하여, 중간지주(2)에 경사면의 반대방향 즉, 전방으로 회전시키려는 충격력이 발생하게 되는데, 그에 따라 지주 지지용 와이어로프(9)가 당겨지게 되고, 결국 그 후방에 연결되어 있는 앵커부 완충구(20)에 변형을 일으키게 된다. 즉, 지주 지지용 와이어로프(9)가 당겨지게 되면 상기 가동인출부재(15)도 당겨지게 되고, 그에 따라 그 단부에 고정되어 있던 가동 가압판(14)도 당겨지면서 파쇄부재(16)를 가압하게 된다. 마주 보고 있는 콘 형상의 부재(11)는 가압력에 의하여 납작하게 되도록 탄성변형되고, 계속하여 더 큰 힘으로 당겨지게 되면 소성변형을 일으키며, 결국에는 파쇄된다. 이러한 앵커부 완충구(10)의 완충작용에 의하여 낙석 에너지를 흡수하게 된다.
한편, 위와 같은 앵커부 완충구(10), 교차부 완충구(20), 및 슬립 완충구(40)에 의한 낙석 에너지 흡수 작용에 더하여, 단부지주(1)에 설치되어 있는 단부지주 완충구(17)에 의한 낙석 에너지 흡수 작용도 동시에 발생하게 된다. 즉, 낙석의 충돌에 의하여 횡방향 와이어로프(4)가 당겨질 때, 상기 단부지주 완충구(17)에 구비된 파쇄부재(18)가, 앵커부 완충구(10)의 경우처럼 탄성변형, 소성변형, 파쇄됨으로써 낙석 에너지를 흡수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낙석이 계속하여 전방으로 움직이게 되면 도 5c에 도시된 것처럼 이동 완충구(30)가 중간지주(2) 방향으로 더욱 움직이게 되어 중간지주(2)의 측면에 충돌하게 되어 더 이상 움직이지 않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횡방향 와이어로프(4)가 더욱 당겨지게 되면 횡방향 와이어로프(4)가 이동 완충구(30) 내에서 슬립을 하게 되는데, 앞서 설명하였듯이, 횡방향 와이어로프(4)가 이동 완충구(30) 내에서 굴곡된 형태로 배치되어 있으므로, 횡방향 와이어로프(4)가 이동 완충구(30) 내에서 슬립하게 될 때, 굴곡 배치로 인하여 발생하는 큰 슬립 저항력에 의하여 추가적인 낙석 에너지 흡수 효과가 발생하게 된다. 물론, 앞서 설명한 앵커부 완충구(10), 단부지주 완충구(17), 교차부 완충구(20), 슬립 완충구(40)에 의한 낙석 에너지 흡수 효과도 계속된다. 상기 앵커부 완충구(10)와 단부지주 완충구(17)의 파쇄부재(16, 18)는 적절한 재료의 선택 등을 통하여 도 5b에 도시된 상태에서 파쇄되도록 할 수도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도 5b에 도시된 상태에서는 탄성변형 또는 소성변형만이 발생하고, 도 5c에 도시된 상태 이후에 파쇄되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낙석 방호 울타리 구조물에서는, 중간지주(2)의 하단부가 힌지부(8)로 구성된다. 종래의 경우, 중간지주가 지반이나 지주 기초에 강절로 고정되므로 낙석이 타격하였을 때 중간지주 자체가 변형되어 손상될 뿐만 아니라, 낙석 에너지 흡수 효과도 적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낙석이 울타리 구조물을 타격하였을 때, 중간지주(2)가 회전 변위되어 낙석 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중간지주의 손상 가능성도 낮출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특히, 종래 기술에서처럼 중간지주가 기초에 강절로 고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중간지주의 단부가 기초에 매립되어 있으므로, 낙석의 타격에 의하여 중간지주가 손상되어 교체하여야 할 필요가 있게 되면 중간지주뿐만 아니라 기초까지도 동시에 교체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중간지주(2)가 힌지부(8)를 통하여 지반 또는 기초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중간지주(2)가 손상된 경우 힌지부(8)를 해체하여 중간지주(2)만을 기초로부터 분리하여 교체할 수 있으므로, 손상된 중간지주(2)의 교체작업이 저렴한 비용으로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지주(1, 2)의 후방에는 지주 지지용 와이어로프(9)와 앵커부 완충구(10)가 구비되어 지주를 지지하고 있게 되는데, 이러한 앵커부 완충구(10)의 완충 작용에 의하여 상당한 낙석 에너지의 흡수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본 발명의 낙석 방호 울타리 구조물에는, 단부지주(1)의 측면에 단부지주 완충구(17)가 구비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상기 단부지주 완충구(17)를 설치하게 되면, 낙석의 충돌에 의하여 횡방향 와이어로프(4)가 당겨질 때, 단부지주 완충구(17)에 구비된 파쇄부재(18)의 탄성변형, 소성변형, 파쇄에 의하여 낙석 에너지를 효과적으로 흡수하게 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낙석 방호 울타리 구조물에는, 교차부 완충구(20)가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종,횡방향 와이어로프(5, 4)의 교차지점에 교차부 완충구(20)를 설치하게 되면, 낙석에 의한 충격력이 작용할 때 교차부 완충구(20)에서 상기 종,횡방향 와이어로프(5, 4)의 슬립을 유도함으로써, 슬립에 따른 마찰 저항에 의해 낙석 에너지를 흡수하는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울타리 구조물에서는, 중간지주(2) 좌우측에는 이동 완충구(30)를 설치하고, 중간지주(2)에는 슬립 완충구(40)를 설치할 수 있는데, 상기 이동 완충구(30) 및 슬립 완충구(40)는, 횡방향 와이어로프(4)가 굴곡된 형태로 그 내부 배치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횡방향 와이어로프(4)가 낙석의 충돌로 인하여 당겨져 슬립될 때, 슬립 저항력을 증대시킴으로써 낙석 에너지를 흡수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본 발명에 따른 낙석 방호 울타리 구조물은 위에서 설명한 각각의 특징들에 의하여 효과적인 낙석 에너지 흡수 효과를 발휘하게 되는 바, 낙석에 대한 높은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낙석 방호 울타리 구조물은 위에서 설명한 특징들을 각각 개별적으로 구비할 수도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몇몇 특징들을 조합하여 구비할 수도 있고, 모두 구비할 수도 있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낙석 방호 울타리 구조물의 개략도로서, 도 1a는 측면도이고, 도 1b는 경사지 측에서 바라본 배면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낙석 방호 울타리 구조물에 구비된 앵커부 완충구가 앵커에 연결되어 있는 구조에 대한 개략도로서, 도 2a는 앵커의 단부에 설치된 연결부재에 하나의 앵커부 완충구가 연결된 상태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앵커부 완충구가 압축되어 에너지 흡수기능을 발휘하는 형상을 보여주는 것이다.
도 2c는 본 발명에 따른 낙석 방호 울타리 구조물에 구비된 앵커부 완충구의 파쇄부재를 이루는 콘 형상 부재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에 따른 낙석 방호 울타리 구조물에 구비된 교차부 완충구의 일 실시예들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낙석 방호 울타리 구조물에 구비된 이동 완충구와 슬립 완충구가 횡방향 와이어로프와 결합하는 구성을 보여주는 결합사시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에 따른 낙석 방호 울타리 구조물에 낙석이 발생하였을 때의 메카니즘을 단계별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단부지주 2 : 중간지주
10 : 앵커부 완충구 20 : 교차부 완충구
30 : 이동 완충구 40 : 슬립 완충구

Claims (17)

  1. 양측 단부에 설치되는 단부지주(1)와, 상기 단부지주(1) 사이에 소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중간지주(2)와, 상기 단부지주(1) 및 중간지주(2) 사이에 설치되는 횡방향 와이어로프(4) 및 종방향 와이어로프(5)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경사면의 낙석을 방호하는 낙석 방호 울타리 구조물로서,
    상기 중간지주(2)의 하단부는, 낙석이 울타리 구조물을 타격시 회전 변위되어 낙석 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도록 회전이 가능한 힌지부(8)로 구성되며;
    상기 중간지주(2)의 상부에는 중간지주(2)가 전방으로 회전하지 않도록 지지하는 지주 지지용 와이어로프(9)가 설치되고;
    상기 지주 지지용 와이어로프(9)의 반대측 단부에는, 낙석의 타격에 의하여 지주 지지용 와이어로프(9)가 당겨짐에 따라 탄성변형, 소성변형, 또는 파쇄되므로써 낙석 에너지를 흡수하는 앵커부 완충구(10)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석 방호 울타리 구조물.
  2. 양측 단부에 설치되는 단부지주(1)와, 상기 단부지주(1) 사이에 소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중간지주(2)와, 상기 단부지주(1) 및 중간지주(2) 사이에 설치되는 횡방향 와이어로프(4) 및 종방향 와이어로프(5)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경사면의 낙석을 방호하는 낙석 방호 울타리 구조물로서,
    상기 중간지주(2) 좌우측에는 각각 횡방향 와이어로프(4)의 슬립에 의하여 낙석 에너지를 흡수하는 이동 완충구(30)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석 방호 울타리 구조물.
  3. 양측 단부에 설치되는 단부지주(1)와, 상기 단부지주(1) 사이에 소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중간지주(2)와, 상기 단부지주(1) 및 중간지주(2) 사이에 설치되는 횡방향 와이어로프(4) 및 종방향 와이어로프(5)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경사면의 낙석을 방호하는 낙석 방호 울타리 구조물로서,
    상기 중간지주(2)에는 횡방향 와이어로프(4)의 슬립에 의하여 낙석 에너지를 흡수하는 슬립 완충구(40)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석 방호 울타리 구조물.
  4. 양측 단부에 설치되는 단부지주(1)와, 상기 단부지주(1) 사이에 소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중간지주(2)와, 상기 단부지주(1) 및 중간지주(2) 사이에 설치되는 횡방향 와이어로프(4) 및 종방향 와이어로프(5)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경사면의 낙석을 방호하는 낙석 방호 울타리 구조물로서,
    상기 단부지주(1)의 측면에는, 낙석의 타격에 의하여 지주 지지용 와이어로프(9)가 당겨짐에 따라 탄성변형, 소성변형, 또는 파쇄되므로써 낙석 에너지를 흡수하는 단부지주 완충구(17)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석 방호 울타리 구조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지주(2) 좌우측에는 각각 횡방향 와이어로프(4)의 슬립에 의하여 낙석 에너지를 흡수하는 이동 완충구(30)가 더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석 방호 울타리 구조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지주(2)에는 횡방향 와이어로프(4)의 슬립에 의하여 낙석 에너지를 흡수하는 슬립 완충구(40)가 더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석 방호 울타리 구조물.
  7. 제1항, 제2항, 제3항, 제5항 또는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지주(1)의 측면에는, 낙석의 타격에 의하여 지주 지지용 와이어로프(9)가 당겨짐에 따라 탄성변형, 소성변형, 또는 파쇄되므로써 낙석 에너지를 흡수하는 단부지주 완충구(17)가 더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석 방호 울타리 구조물.
  8. 제2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지주(2)에는 횡방향 와이어로프(4)의 슬립에 의하여 낙석 에너지를 흡수하는 슬립 완충구(40)가 더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석 방호 울타리 구조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지주(1)의 측면에는, 낙석의 타격에 의하여 지주 지지용 와이어로프(9)가 당겨짐에 따라 탄성변형, 소성변형, 또는 파쇄되므로써 낙석 에너지를 흡수하는 단부지주 완충구(17)가 더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석 방호 울타리 구조물.
  10. 제1항, 제5항 또는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부 완충구(10)는, 2개의 나란한 봉 형상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봉 형상 부재의 단부에는 고정 가압판(12)이 구비되어 있고 중간에는 가동 가압판(14)이 구비되어 있는 연결정착부재(13)와; 상기 연결정착부재(13)의 나란한 봉 형상 부재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고정 가압판(12)을 관통하여 상기 가동 가압판(14)에 단부가 고정되는 봉 형상의 가동인출부재(15)와; 상기 고정 가압판(12)과 가동 가압판(14) 사이에 설치되어 가압에 의하여 탄성변형, 소성 변형 및 파쇄를 일으켜 에너지를 흡수하는 파쇄부재(16)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석 방호 울타리 구조물.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파쇄부재(6)는, 콘 형상의 부재(11) 2개가 한 쌍을 이루어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하나 이상 배치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석 방호 울타리 구조물.
  12. 제2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완충구(30)는 횡방향 와이어로프(4)의 전후에서 서로 결합되는 전,후 결합판(31, 32)과, 상기 전,후 결합판(31, 32)을 일체로 체결하는 체결수단(34)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이동 완충구(30)가 횡방향 와이어로프(4)와 결합할 때 상기 횡방향 와이어로프(4)가 굴곡된 형태로 위치하도록 상기 전,후 결합판(31, 32)의 내부에는 굴곡된 형태의 홈(33)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횡방향 와이어로프(4)가 낙석의 충돌로 당겨질 때 굴곡된 배치에 의하여 슬립 저항력이 발생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석 방호 울타리 구조물.
  13. 제3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슬립 완충구(40)는 횡방향 와이어로프(4)의 전후에서 서로 결합되는 전,후 결합판(41, 42)과, 상기 전,후 결합판(41, 42)을 중간지주(2)와 일체로 체결하는 체결수단(44)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슬립 완충구(40)는, 횡방향 와이어로프(4)와 결합할 때 상기 횡방향 와이어로프(4)가 굴곡된 형태로 위치하도록 상기 전,후 결합판(41, 42)의 내부에는 굴곡된 형태의 홈(43)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횡방향 와이어로프(4)가 낙석의 충돌로 당겨질 때 굴곡된 배치에 의하여 슬립 저항력이 발생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석 방호 울타리 구조물.
  14.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지주 완충구(17)는, 단부지주(1)의 측면을 관통한 봉상의 연결재(19)의 단부가 최외부에 고정되어 낙석의 타격에 의하여 연결재(19)가 당겨질 때 그 압력에 의하여 탄성변형, 소성변형, 또는 파쇄되는 파쇄부재(18)로 구성되며;
    상기 파쇄부재(18)는, 콘 형상의 부재(11) 2개가 한 쌍을 이루어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하나 이상 배치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석 방호 울타리 구조물.
  15. 양측 단부에 설치되는 단부지주(1)와, 상기 단부지주(1) 사이에 소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중간지주(2)와, 상기 단부지주(1) 및 중간지주(2) 사이에 설치되는 횡방향 와이어로프(4) 및 종방향 와이어로프(5)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경사면의 낙석을 방호하는 낙석 방호 울타리 구조물로서,
    상기 종,횡방향 와이어로프(5, 4)의 교차지점에는, 낙석에 의한 충격력이 작용할 때 상기 종,횡방향 와이어로프(5, 4)의 슬립을 유도함으로써 슬립에 따른 마찰 저항에 의해 낙석 에너지를 흡수하는 교차부 완충구(20)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석 방호 울타리 구조물.
  16. 인장력에 의한 충격 에너지를 흡수하는 완충구로서, 2개의 나란한 봉 형상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봉 형상 부재의 단부에는 고정 가압판(12)이 구비되어 있고 중간에는 가동 가압판(14)이 구비되어 있는 연결정착부재(13)와; 상기 연결정착부재(13)의 나란한 봉 형상 부재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고정 가압판(12)을 관통하여 상기 가동 가압판(14)에 단부가 고정되는 봉 형상의 가동인출부재(15)와; 상기 고정 가압판(12)과 가동 가압판(14)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가동인출부재(15)가 인장력에 의하여 당겨질 때 가압되어 탄성변형, 소성 변형 및 파쇄를 일으켜 충격 에너지를 흡수하는 파쇄부재(16)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력에 의한 충격 에너지 완충구.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파쇄부재(6)는, 콘 형상의 부재(11) 2개가 한 쌍을 이루어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하나 이상 배치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 에너지 완충구.
KR1020030084334A 2003-11-26 2003-11-26 충격에너지 완충구를 구비한 낙석 방호 울타리 구조물 KR1006103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4334A KR100610391B1 (ko) 2003-11-26 2003-11-26 충격에너지 완충구를 구비한 낙석 방호 울타리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4334A KR100610391B1 (ko) 2003-11-26 2003-11-26 충격에너지 완충구를 구비한 낙석 방호 울타리 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0731A true KR20050050731A (ko) 2005-06-01
KR100610391B1 KR100610391B1 (ko) 2006-08-09

Family

ID=386660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4334A KR100610391B1 (ko) 2003-11-26 2003-11-26 충격에너지 완충구를 구비한 낙석 방호 울타리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1039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3249B1 (ko) * 2022-02-22 2023-02-24 엄도부 중공형 탄성체의 감쇄장치가 적용된 능동형 낙석방지책
JP2023158754A (ja) * 2022-04-19 2023-10-31 東京製綱株式会社 防護柵、緩衝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3123B1 (ko) 2010-11-23 2011-03-24 하리기술이십이 주식회사 낙석방지망용 완충구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291758B1 (ko) * 2012-11-07 2013-07-31 제일산업개발 주식회사 압축식 버클을 이용한 경사지반 안정화 공법
KR101702481B1 (ko) * 2015-01-30 2017-02-03 (주)희원조경 맹수류 방사장용 울타리
KR101914693B1 (ko) * 2018-01-31 2018-11-02 서정엔지니어링 주식회사 다단 분리형 토석류 방호 완충 네트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2175766B1 (ko) * 2019-11-14 2020-11-06 (주)대한지오이엔씨 낙석방지 울타리용 충격 에너지 감쇄장치
KR102269067B1 (ko) 2020-03-19 2021-06-24 심석래 방호내트망의 낙하물 충격흡수장치
KR102325771B1 (ko) 2021-09-14 2021-11-12 (주) 코리아에스이 마찰 슬립 및 확장변형에 의한 낙석에너지 흡수구조의 복합 단부 완충장치, 이를 구비한 낙석 방지망 및 이를 이용한 완충식 낙석 방지 공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3249B1 (ko) * 2022-02-22 2023-02-24 엄도부 중공형 탄성체의 감쇄장치가 적용된 능동형 낙석방지책
JP2023158754A (ja) * 2022-04-19 2023-10-31 東京製綱株式会社 防護柵、緩衝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10391B1 (ko) 2006-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99781A (en) Flex post fence
CA2561751C (en) Net and mat
KR20150034826A (ko) 지주 구조
CN107938527B (zh) 一种柔性拦挡网及其设计方法
KR100610391B1 (ko) 충격에너지 완충구를 구비한 낙석 방호 울타리 구조물
TW200827509A (en) Shock-absorbing protective fence
US7794172B2 (en) Perimeter anti-ram system
JP2018115420A (ja) 防護柵
JP4410743B2 (ja) 衝撃吸収柵
JP6188242B2 (ja) 支柱ユニット
JP3458134B2 (ja) ポケット式落石防止網
JP3668964B2 (ja) 防護柵
CN113756217A (zh) 一种具备韧性消能功能的崩塌落石防护网结构及安装方法
KR101037013B1 (ko) 와이어로프의 충격흡수용 슬라이드 조립체
JP3593609B2 (ja) 衝撃吸収柵
US9309636B2 (en) Rockfall barrier
JP2001107321A (ja) ポケット式覆網落石防止工法
CN111424572A (zh) 一种崩塌防护装置
KR200367220Y1 (ko) 웨지콘을 이용한 낙석 방호 시설물의 와이어로프 단부완충구
JP3639950B2 (ja) 衝撃吸収防護柵
JP2008106450A (ja) 衝撃吸収フェンス
JP2003003425A (ja) 衝撃吸収防護柵
CN207582338U (zh) 一种柔性拦挡网
JP6979838B2 (ja) 緩衝装置及び落石防護装置
KR20070099909A (ko) 도로 분리 경계용 충격흡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5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