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46715A - 성형탄 제조 장치 - Google Patents

성형탄 제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46715A
KR20050046715A KR1020057001727A KR20057001727A KR20050046715A KR 20050046715 A KR20050046715 A KR 20050046715A KR 1020057001727 A KR1020057001727 A KR 1020057001727A KR 20057001727 A KR20057001727 A KR 20057001727A KR 20050046715 A KR20050046715 A KR 200500467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opening
screw
charging
fee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17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스 루프
Original Assignee
루프 게엠베하 & 컴퍼니.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루프 게엠베하 & 컴퍼니. 카게 filed Critical 루프 게엠베하 & 컴퍼니. 카게
Priority to KR10200570017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46715A/ko
Publication of KR200500467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6715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5/00Solid fuels
    • C10L5/40Solid fuels essentially based on materials of non-mineral origin
    • C10L5/403Solid fuels essentially based on materials of non-mineral origin on paper and paper waste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2290/00Fuel preparation or upgrading, processes or apparatus therefore, comprising specific process steps or apparatus units
    • C10L2290/46Compressors or pump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2290/00Fuel preparation or upgrading, processes or apparatus therefore, comprising specific process steps or apparatus units
    • C10L2290/56Specific details of the apparatus for preparation or upgrading of a fu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50/00Technologies for the production of fuel of non-fossil origin
    • Y02E50/30Fuel from waste, e.g. synthetic alcohol or dies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20Waste processing or separ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olid Fuels And Fuel-Associated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압착 재료를 충전시키기 위한 용기(1)를 포함하는 장입 장치를 갖는, 분진 또는 슬러리, 특히 금속 절삭 잔류물 슬러리를 성형탄으로 제조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용기(1) 내에는 스크루 구동 수단(4)에 의해 구동되어 피압착 재료를 용기 개구부(5)를 통해 강제 배출하는 충전 스크루(3)가 배치되어 있다. 압착 스탬프(10)가 이동하는 성형실 및 용기 개구부(5)로부터 강제 배출된 상기 피압착 재료를 도입하기 위한 유입 개구부, 및 상기 성형실 말단을 밀봉 및 개방시키기 위한 슬라이딩 밀봉 장치(14)를 포함하는 성형탄 압착기가 더 구비되어 있다. 상기 장입 장치는 단독형 장치로서 구현되고, 호환이 용이하도록 상기 성형탄 압착기에 조립된다.

Description

성형탄 제조 장치 {Device for briquetting}
본 발명은 청구범위 제 1 항의 주 전제부에 따른 분진 또는 침전물을 성형탄으로 제조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유형의 장치가 EP-B1-0 748 276호에 공지되어 있다. 이 경우, 장입 스크루는 용기 개구부 및 공급 개구부를 통해 성형실로 직접 피압착 재료를 운반한다. 상기 장치는 묵은 종이 및 폐지를 성형탄으로 만드는 장치로 매우 특별하게 고안된 것이다. 이 경우, 상기 장입 장치는 성형탄 압착기의 일 성분을 이루는 부속이 된다.
도 1은 금속 분쇄 슬러지를 성형탄으로 제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 및 2에 도시되어 있는 성형탄 압착기에 부착 가능한 또 다른 장입 장치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청구범위 제 1 항의 주 전제부에 언급되어 있는 유형의 장치로, 보다 유연성있게 사용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은 청구범위 제 1 항의 특징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다양한 부착식 장입 장치에 의해 성형탄 압착기로 공급되는 서로 다른 폐기물들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입 장치에 대한 유지 작업이 보다 용이하게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진전예에 따르면, 스크린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는 관이 용기 개구부와 공급 개구부 사이에 배치된다. 따라서, 폐 슬러지의 경우, 습기 분획물이 고체 분획물로부터 분리될 수 있으며, 이는 피압착 재료가 성형실을 통과하면서 광범위하게 건조되어 성형이 보다 잘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렇게 분리된 습윤 재료는 수거되어 처리될 수 있다. 장입 장치의 제거 용이성은 보다 단순한 방법으로 관을 교체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진전예에 따르면, 스크린 개구부는 관의 종방향으로 또는 경사형으로 연장되는 슬롯 형태를 갖는다. 따라서, 피압착 재료는 운반 공정 중에 충분한 시간 동안 건조될 수 있다.
상기 부착식 장입 장치는 다양한 방법으로 개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진전예에 따른 장입 장치의 용기는 장입 스크루에 인접하여 상기 장입 스크루에 대해 소정의 각도, 바람직하게는 직각으로 배치되어 있는 적어도 2개 이상의 공급기 스크루가 상기 용기의 바닥부 바로 위에 구비되어 있는 깔때기-형태 또는 박스-형태일 수 있다.
후자의 경우, 본 발명의 또 다른 진전예에 따르면, 상기 공급기 스크루 및/또는 장입 스크루 각각은 상기 용기 상의 일측에만 설치되는 것이 유리하다. 이렇게 함으로써 폐기물을 자유롭게 운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진전예에 따르면, 잠금 연결부를 이용하여 장입 장치를 성형탄 압착기에 부착한다. 이는 상기 장입 장치가 매우 빠르게 탈부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을 예시되어 있는 실시형태에 의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장치는 피압착 장입 재료에 대해 깔때기 형태로 탱크(2) 쪽으로 개방되어 있는 용기(1)를 포함하는 장입 장치를 갖는다. 장입 스크루(3)는 탱크(2) 내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장입 스크루는 스크루 구동 수단(4)에 의해 구동된다. 상기 스크루 구동 수단은 기어 장비 및 전기 모터를 포함한다. 장입 스크루(3)의 영역 내에서, 상기 탱크(2)에는 용기 개구부(5)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장입 장치는 독립적인 장치 형태이다.
또한, 상기 장치는 기판(6) 상에 설치되고 성형실(7) 및 상기 성형실에 부착되어 있는 실린더 피스톤부(8)를 포함하는 성형탄 압착기를 가지며, 상기 실린더 피스톤부의 피스톤(9)에는 압착기 램(10)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피스톤(9)은 공기압 또는 수압 구동 수단(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구동된다. 이 경우, 상기 압착기 램(10)은 성형실(7) 내에서 전후방으로 이동되어 성형탄을 제조한다. 상기 성형실(7)의 측상에는 공급 개구부(1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용기 개구부(5)와 공급 개구부(11) 사이에는, 슬롯(13)과 같은 슬롯 형태의 스크린 개구부를 가진 관 (12)이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 관(12)은 호환이 용이하도록 탱크(2)에 고정되어 있다. 장입 스크루(3)와 스크루 구동 수단(4)을 가진 용기(1)를 성형실(7)에 대해 스크루의 종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제 위치에 고정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바, 이는 상이한 유형 및 길이를 갖는 관(12)이 사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장치는 실린더 피스톤부, 및 상기 실린더 피스톤부의 피스톤(15)에 연결되어 압착기 램(10)에 대향하여 위치되어 있는 성형실(7)의 말단부를 폐쇄 또는 개방하는 폐쇄 슬라이드(16)를 포함하는 폐쇄 슬라이드 장치(14)를 갖는다. 피스톤(15)을 구동하기 위한 수단은 공기압 또는 수압이다.
상기 장치는 또한 실린더 피스톤부(8)에 고정되는 이동 픽업(17)을 갖는다. 상기 이동 픽업에 의해 가변 압착 공정이 가능하다. 상기 압착기 램의 속도는 전방 방향으로 가변적이어서 최적의 압착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이러한 가변 속도는 예를 들면 바람직하게는 일정한 속도로 조절 가능한 펌프 또는 바람직하게는 횟수-조절 가능한 구동 모터를 가진 정압 펌프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독립적인 형태로 형성되는 상기 장입 장치(1 내지 4)는 호환이 용이하도록 성형탄 압착기(6 내지 17) 상에 설치된다.
피압착 재료가 상기 용기(1)에 장입되면, 폐쇄 슬라이드(16)이 폐쇄된 상태에서 장입 스크루(3)에 의해 관(12) 및 성형실(7)로 강제로 장입되게 된다. 동시에, 슬러지의 습윤 물질 및 가스가 스크루 압력을 통해 압착되는 잔여 재료로부터 분리된다. 분리된 습윤 물질은 관(12)의 슬롯(13)을 통해 배출되고, 도시되어 있지 않은 방식으로 회수 및 처리된다. 스크루 구동 수단(4)에는 장입 스크루(3)가 차단되기 전에 반응하여 스크루 구동 수단(4)을 정지시키는 전기 부하(current consumer)가 구비되어 있다. 이후, 성형실(7)에서 탈수된 피압착 재료는 압착기 램에 의해 압착되어 성형탄을 형성한 후, 폐쇄 슬라이드(16)가 개방되면 강제 배출된다. 일부 유형의 피압착 재료의 경우, 제 1 압착 공정 후 압착기 램으로부터 압력이 소진된 다음 재차 인가하는 것이 유리하다. 이는 압착 압력 5000 kh/m 2 로 압축된 성형탄 내 잔류 공기 또는 수분을 분리하는 것이 보다 용이함을 의미한다.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다른 장입 장치(30)는 바닥부(36), 2개의 측벽(31, 32), 전벽(33) 및 상기 전벽에 대향 배치되는 후벽(34)에 의해 형성되는 용기를 포함한다. 상기 측벽(31, 32) 및 후벽(34)은 거의 동일한 높이를 가지지만; 전벽(33)은 폐기물을 갖는 용기(도시하지 않음)가 비게 되는 지점에서 유의적으로 낮은 높이를 갖는다. 3개의 공급기 스크루(40)에 대한 3개의 독립적인 구동 수단(41)이 하부 전벽(33)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3개의 공급기 스크루(40)는 바닥부(36) 상에서 서로 수평 및 평행하게 부착되며, 전벽(33) 상에만 설치된다. 공급기 스크루로서 장입 스크루(37)가 공급기 스크루(40)의 종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또한 동일한 높이로 배치되며, 상기 장입 스크루(37)는 바닥부(36) 상에 부착되고, 자신의 독립적인 구동 수단(38)을 구비하며, 측벽(31) 상에만 설치된다. 공급기 스크루 및 장입기 스크루의 직각 배치로부터 벗어나, 이들이 또 다른 각으로 배치되도록 할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장입 장치(30)는 독립적인 장치 형태이다. 상기 장입 장치는 도 1 및 2에 도시되어 있는 성형탄 압착기에 호환이 용이하다록 부착된다.
바람직하게는, 잠금 연결부에 의해 성형탄 압착기가 장입 장치(1 내지 4) 또는 장치(30)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공급기 스크루(40) 및 장입 스크루(37)가 작동하게 되면, 상기 공급기 스크루(40)는 예를 들면 금속 절삭 형태의 폐기물을 장입 스크루(37)의 방향으로 운반하면, 상기 장입 스크루는 금속 절삭물을 인계하여 방향 전환에 의해 상기 금속 절삭물을 성형탄 압착기로 유도한다. 성형탄 압착기에서 가공되는 금속 절삭물은 장입 장치(30)로 도입하기 전에 분쇄할 필요는 없다. 상이한 유형의 금속 절삭물을 혼합하기 위해 장입 장치(30) 내에 교반기를 설치할 필요는 없다. 따라서, 상기 장치는 상이한 두께 및 길이를 갖는 예를 들면 금속 절삭 볼 등과 같은 절삭물을 어떠한 예비 가공 처리할 필요가 없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공급기 스크루(40) 및 장입 스크루(37)에는 별도의 구동 수단이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별도의 구동 수단에 의해, 장입 장치(3)의 바닥부(36) 상에 불균일하게 분포된 금속 절삭물의 경우, 하나의 공급기 스크루를 작동시키고, 또 다른 공급기 스크루는 정지시킬 수 있다. 각 공급기 스크루(40)의 개별적인 작동 조절, 전방 회전 또는 후방 회전의 경우 공급기 스크루(40) 속도의 상호 작용, 및 피처리 폐기물 등의 저항에 대한 스크루(40, 37)의 작동 의존 등은 일반적으로 공지되어 있어 본 발명의 대상이 아닌 프로그래밍부에 의해 조절된다. 그러나, 이들 프로그래밍부는 또한 각각의 고유한 특성 또는 서로 매우 다른 특성을 포함하는 상이한 프로그램을 가질 수도 있다.

Claims (7)

  1. 피압착 재료를 공급하기 위한 용기; 상기 용기 내에 배치되고, 스크루 구동 수단에 의해 구동되어 피압착 재료를 용기 개구부를 통해 강제 배출하는 장입 스크루; 및 압착기 램이 이동 가능한 성형실 및 용기 개구부로부터 강제 배출되는 상기 피압착 재료의 유입을 위한 공급 개구부를 가질 뿐 아니라 상기 성형실의 말단을 폐쇄 및 개방시키기 위한 폐쇄 슬라이드 장치를 포함하는 성형탄 압착기를 갖는 장치로서, 상기 장입 장치(1-4; 30)는 독립적인 장치 형태이고, 호환이 용이하도록 상기 성형탄 압착기에 부착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진 또는 침전물, 보다 특별하게는 금속 분쇄 슬러지를 성형탄으로 제조하기 위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스크린 개구부(13)가 형성되어 있는 관(12)이 상기 용기 개구부(5) 및 공급 개구부(11)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기 스크린 개구부가 상기 관의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롯(13)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1)가 깔때기-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31-34, 36)가 박스-형태이고, 상기 장입 스크루(37)에 인접하여 상기 장입 스크루에 대해 소정의 각도, 바람직하게는 직각으로 배치되어 있는 적어도 2개 이상의 공급기 스크루(40)가 상기 용기의 바닥부(36) 바로 위에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기 스크루(40) 및/또는 장입 스크루(37) 각각이 상기 용기(30) 상의 일측에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잠금 연결부를 이용하여 상기 장입 장치(1-4; 30)를 압착기(6-17)에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20057001727A 2005-01-31 2002-08-02 성형탄 제조 장치 KR2005004671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7001727A KR20050046715A (ko) 2005-01-31 2002-08-02 성형탄 제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7001727A KR20050046715A (ko) 2005-01-31 2002-08-02 성형탄 제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6715A true KR20050046715A (ko) 2005-05-18

Family

ID=372459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1727A KR20050046715A (ko) 2005-01-31 2002-08-02 성형탄 제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4671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037041B1 (en) Press for continuously expressing liquid out of a mass
RU1807938C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производства регенерата пластмассы
US20060110485A1 (en) Device for briquetting
US20070022882A1 (en) Material compaction apparatus
US7430960B2 (en) Apparatus for removing foreign matters from construction waste
US5664492A (en) Apparatus for compacting metal shavings
KR20050046715A (ko) 성형탄 제조 장치
GB2032842A (en) 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compacting a light material of varying nature and dimensions to a product processible to bales
US5406883A (en) Dewatering press for compressibly dewaterable material
JP2010131630A (ja) 切屑圧縮処理装置および方法
RU2312019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брикетирования
US5524534A (en) Dual hydraulic cylinder compacting apparatus
JP2001105188A (ja) 研磨スラッジブリケット製造装置
US6948424B2 (en) Material compaction apparatus
JP2000176689A (ja) 嵩高性切粉の圧縮機
JP2001300783A (ja) 研磨スラッジブリケット製造装置
CN220946835U (zh) 一种垃圾处理用压缩装置
CN220406619U (zh) 一种全自动金属废料粉碎压块装置
CN211441304U (zh) 一种金属屑压块机
GB2267053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mpressing materials
SU1097511A1 (ru) Подпрессовщик брикетного пресса
JPH0470070B2 (ko)
GB2321024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mpacting and dewatering waste.
SU1255439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загрузки древесного сырь в аппарат
JP2923459B2 (ja) 廃棄物の圧縮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