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41838A - 통신 어댑터 장치 - Google Patents
통신 어댑터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50041838A KR20050041838A KR1020040012524A KR20040012524A KR20050041838A KR 20050041838 A KR20050041838 A KR 20050041838A KR 1020040012524 A KR1020040012524 A KR 1020040012524A KR 20040012524 A KR20040012524 A KR 20040012524A KR 20050041838 A KR20050041838 A KR 2005004183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erminal
- communication
- power supply
- communication adapter
- adapter device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specially adapted for holding portable devices containing batteri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11—Supports for sets, e.g. incorporating armrest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9/00—Electrical connectors
- Y10S439/929—Connecting base plate or shelf type hold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단말 장치의 전원 단자 및 통신 단자에 각각 단자를 접속하여 충전, 전원 공급 및 통신하는 통신 어댑터 장치에 관한 것으로, 소정의 순서대로 단자 접속을 간단한 구조로 자동적으로 실행하여 전원 공급, 충전 및 통신을 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휴대 단말 장치가 놓인 것에 대응하여, 아래로 눌리는 부재와, 부재가 눌렸을 때에, 전원 단자를 밀어내어 휴대 단말 장치의 전원 단자와 접속하는 충전 단자 홀더부와, 부재가 눌렸을 때에, 전원 단자를 밀어내어 휴대 단말 장치의 전원 단자와 접속한 후에 또 그 부재가 눌렸을 때에, 통신 단자를 밀어내어 휴대 단말 장치의 통신 단자와 접속하는 통신 단자 홀더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휴대 단말 장치의 전원 단자 및 통신 단자에 각각 단자를 접속하여 충전 및 통신하는 통신 어댑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휴대 단말 장치는 충전 어댑터 상에 놓고서 충전하거나, 혹은 통신 어댑터에 커넥터로 접속하여 그 통신 어댑터를 통해 퍼스널 컴퓨터나 호스트와 통신하거나 전환하도록 하고 있었다.
또, 충전용 어댑터와 통신용 어댑터 2개를 설치하는 대신에, 충전 단자를 지닌 통신 어댑터를 설치하여, 적외선을 이용하여 휴대 단말 장치와 통신 어댑터가 송수신하도록 하고 있었다(특허문헌1: 일본 특허 공개 평09-294108호 공보).
상술한 전자에서는 충전하거나, 통신하거나 하는 경우에, 그 때마다, 전용의 충전 어댑터 혹은 통신 어댑터로 전환할 필요가 생겨 버리는 동시에, 특히, 통신 어댑터에서는 커넥터로 휴대 단말 장치와 통신 어댑터를 접속하고 있었기 때문에 접속, 접속의 전환이 번거롭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신 어댑터 장치는 USB나 RS-232C 등의 통신 수단을 통해 퍼스널 컴퓨터 또는 서버 등의 상위 장치에 접속되지만, 휴대 단말 장치와 통신 어댑터 장치의 전원 단자끼리가 접속되기 보다 전에 휴대 단말 장치와 통신 어댑터 장치의 통신 단말끼리가 접속된 경우에는, 휴대 단말 장치 또는 통신 어댑터 장치의 회로에 따라서는, 휴대 단말 장치 또는 통신 어댑터 장치에 대하여 상위 장치 측에서부터 불안정한 전압이 걸림으로써, 통신 상의 오동작이 발생하거나, 통신이 불안정하게 된다고 하는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었다.
또, 상술한 후자에서는 휴대 통신 단말의 충전 단자와 충전 단자를 지닌 통신 어댑터의 충전 단자를 접속하여 충전하고, 한편, 통신은 적외선에 의한 통신을 행하는 적외선 통신 어댑터 장치에 관해서 개시되어 있지만, 상술한 바와 같은 통신상의 오동작이나 불안정한 동작이라는 문제는 여전히 남는 것이 된다.
본 발명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휴대 단말 장치가 충전 단자를 지닌 통신 어댑터 장치에 놓이면, 충전 단자를 먼저 접속한 후에 통신 단자를 접속하고, 접속이 체크되어 접속 확인한 후에 휴대 단말 장치와 상위 장치가 단자를 경유하여 송수신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휴대 단말 장치를 충전 단자를 지닌 통신 어댑터 장치에 놓아 둘 때에, 소정의 순서에 의한 단자 접속을 간단한 구조로 실현하여, 안정된 충전, 전원 공급 및 통신을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0 및 1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 장치의 예를 도시한다.
도 10은 정면도를 나타내고, 도 11은 배면도를 나타낸다.
도 10에 있어서, 용지(41)는 프린터 장치에 의해서 데이터를 인자하는 용지(여기서는 롤 용지)이다.
스캐너(42)는 이미지나 바코드 등을 읽어내는 스캐너이다.
화면(LCD)(43)은 각종 데이터나 이미지를 표시하는 화면이다.
키보드(44)는 데이터나 지시를 입력하기 위한 키보드로서, 여기서는, 통신 버튼(이미 상술한 도 3의 S5)(45) 등을 포함하는 것이다.
충전 단자(46)는 휴대 단말 장치(4)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내장되는 배터리를 충전하거나 하기 위한 단자로서, 이미 상술한 도 1, 도 2, 도 4의 충전 단자(12)가 접촉하는 단자이다.
통신 단자(USB 단자)(47)는 휴대 단말 장치(4)가 통신 어댑터 장치(3)의 통신 단자(21)와 접촉하여 서로 통신하기 위한 단자(예컨대 USB 단자, RS232 단자)이다. 여기서, USB 단자로서 동작하게 하기 위해서는 도시한 통신 단자(USB 단자)(47) 2개와, 충전 단자(46) 2개의 합계 4개의 단자로 USB에 의한 통신을 실행한다. 또한, 충전 단자(46)는 통상은 전원을 공급하기(및 충전하기) 위해서 사용하며, 통신은 단시간에 끝나기 때문에 그 통신을 할 때에는 충전 단자(46)를 USB 단자로서 단시간 사용한다(그 이외의 경우는 충전 단자(전원 단자)로서 사용하도록 전환함).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장착 설명도를 도시한다.
도 12는 휴대 단말 장치(4)를, 통신 어댑터 장치(3)에 얹어 장착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다.
도 13은 휴대 단말 장치(4)를, 통신 어댑터 장치(3)에 얹어 장착한 후의 상태를 도시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휴대 단말 장치(4)를, 통신 어댑터 장치(3)에 얹으면, 이미 상술한 것과 같이, 통신 어댑터 장치(3)의 C부(누름부)(11)가 아래로 눌려, 충전 단자가 먼저 통신 어댑터 장치(3)로부터 밀어져 나와 휴대 단말 장치(4)의 충전 단자에 접속한 후, 이어서, 통신 단자가 통신 어댑터 장치(3)로부터 밀어져 나와 휴대 단말 장치(4)의 통신 단자에 접속하여, 양자의 접속을 완료하는 식으로 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조도를 도시한다. 이것은 도 2에 도시하는 통신 어댑터 장치(3)의 주요부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에서, 충전 단자 홀더부(1)는, 휴대 단말 장치(4)를 장착하여(얹어) C부(누름부)(11)를 아래로 눌러, 충전 단자 홀더부(1)로부터 충전 단자(12)를 밀어내어 그 휴대 단말 장치의 단자에 접촉시켜 충전하거나 하는 것으로, 여기서는, C부(누름부)(11), 충전 단자(12), 축 A(지점), D부(돌기부)(13) 등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C부(누름부)(11)는 도시하지 않은 휴대 단말 장치(4)를 얹었을 때에 아래로 눌리는 누름부로서, 축 A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D부(돌기부)(13)를 여기서는 아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이다.
축 A(지점)는 C부(누름부)(11)가 아래로 눌렸을 때에 회전하기 위한 축으로서, 여기서는, C부(누름부)(11)가 눌리면 화살표 b로 나타낸 바와 같이, 우측 회전하기 위한 축이다.
D부(돌기부)(13)는 C부(누름부)(11)가 아래로 눌렸을 때에 축 A(지점)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이동하는 돌기부로서, 여기서는, C부(누름부)(11)가 아래로 눌리면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아래 방향으로 이동하여 소정 클리어런스(간격) 이동한 후에 E부(아암부)(23)를 화살표 d 방향으로 함께 이동시키는 것이다.
충전 단자(전원 단자)(12)는 C부(누름부)(11)가 아래로 눌렸을 때에 축 A(지점)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밀어내는 충전용, 전원 공급용의 단자로서, 여기서는, C부(누름부)(11)가 아래로 눌리면 화살표 c로 나타낸 바와 같이, 위 방향으로 볼록한 그 충전 단자를 이동하여, 도시하지 않는 얹은 휴대 단말 장치(4)의 충전 단자(평탄)에 접촉하는 것이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후술하는 도 10 및 도 13에 기재한 휴대 단말 장치(4)를 그 통신 어댑터 장치에 얹으면, C부(누름부)(11)가 아래로 눌려 축 A(지점)를 중심으로 회전한 충전 단자(12)가 화살표 c로 나타내는 것과 같이 밀어내어져 상기 휴대 단말 장치(4)의 충전 단자(평탄)에 접촉하며, 필요에 따라서 충전하거나, 또, C부(누름부)(11)가 눌려 축 A(지점)를 중심으로 회전한 D부(돌기부)(13)가 화살표 d 방향으로 이동하여 소정 클리어런스 이동한 후에 통신 단자부(2)의 E부(아암부)(23)를 아래 방향으로 함께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에 있어서, 통신 단자 홀더부(2)는 휴대 단말 장치(4)를 장착하여(얹어) 충전 단자 홀더부(1)의 C부(누름부)(11)를 아래로 누르면 상술한 바와 같은 식으로 D부(돌기부)(13)가 화살표 d 방향으로 이동하여, 소정 클리어런스 이동한 후에 E부(아암부)(23)를 화살표 d 방향으로 함께 이동시켜 통신 단자(21)를 휴대 단말 장치(4)의 통신 단자에 접촉시켜 통신하기 위한 것으로, 여기서는, E부(아암부)(23), 축 B(지점), 통신 단자(21) 등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E부(아암부)(23)는 상술한 충전 단자 홀더부(1)의 D부(돌기부)(13)가, 화살표 d 방향으로 이동하여 소정 클리어런스 이동한 후에 함께 화살표 d 방향으로 더욱 이동하는 것이다.
축 B(지점)는 통신 홀더부(2)가 회전하기 위한 축으로서, 여기서는, E부(아암부)(23)가 아래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에 대응하여 통신 단자(21)를 화살표 e 방향으로 회전하여 밀어내어 휴대 단말 장치(4)의 통신 단자에 접촉시키기 위한 것으로, 충전 단자 홀더부(1)의 C부(누름부)(11)의 축 A(지점)와 여기서는 90도 위치 변경하여 통신 단자(21)를 90도 위치 변경한 방향으로 2개 나란히 밀어내기 위한 것이다(충전 단자(12)의 2개를 밀어내는 방향과, 통신 단자(21)의 2개를 밀어내는 방향을 90도 변경하기 위한 것임). 한편, 축 A와 축 B를 동축으로 하여, 동일한 방향으로 충전 단자(12), 통신 단자(21)의 2개를 밀어내도록 하더라도 좋다.
통신 단자(21)는 E부(아암부)(23)가 화살표 d 방향으로 회전하여 이동했을 때에 동일한 축인 축 B(지점)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화살표 f 방향으로 밀어내어 휴대 단말 장치(4)의 통신 단자(예컨대 USB 단자 등)에 접촉하는 것이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휴대 단말 장치(4)를 얹으면, 충전 홀더부(1)를 구성하는 C부(누름부)(11)가 아래로 눌리어 D부(돌기부)(13)가 여기서는 화살표 d 방향으로 회전하여 이동하며, 소정 클리어런스 이동한 후에, 통신 단자 홀더부(2)를 구성하는 E부(아암부)(23)가 화살표 d 방향으로 함께 이동하고 이에 대응하여 통신 단자(21)가 화살표 f 방향으로 밀어내어져 휴대 단말 장치(4)의 통신 단자에 접촉하여, 송수신 등을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외관 구조도를 도시한다. 이것은 본원 발명에 따른 통신 어댑터 장치의 외관 구조도로서, 도 1의 주요부 구조도의 외관 구조도이다.
도 2에서, C부(누름부)(11) 위에 휴대 단말 장치(4)를 얹으면, 상기 C부(누름부)(11)가 아래 방향으로 이동하여, 이미 상술한 것과 같은 식으로 충전 단자(12)를 밀어내어 휴대 단말 장치(4)의 충전 단자부에 접촉하고 필요에 따라서 충전을 시작하는 동시에, C부(누름부)(11)가 아래 방향으로 이동한 것에 대응하여, 이미 상술한 것과 같이 소정 클리어런스 이동한 후에 통신 단자(21)를 밀어내어 휴대 단말 장치(4)의 통신 단자에 접촉하여 통신을 시작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어서, 도 3의 흐름도의 순서에 따라서, 도 1, 도 2의 구조를 갖는 통신 어댑터 장치(3)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동작 설명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3에 있어서, S1에서, 휴대 단말 장치(4)를 통신 어댑터 장치(3)에 놓는다. 이것은 휴대 단말 장치(4)를 도 2의 통신 어댑터 장치(3)의 위에 놓는 것을 의미한다.
S2에서, C부가 아래로 눌린다. 이것은 S1에서 휴대 단말 장치(4)를 도 2의 통신 어댑터 장치(3) 위에 놓은 것에 대응하여, 도 1의 C부(누름부)(11)가 아래 방향으로 눌리는 것을 의미한다(도 1, 도 2의 a를 참조).
S3에서, 휴대 단말 장치와 충전 단자 홀더부의 충전 단자가 접촉한다. 이것은 S2에서 C부(누름부)(11)가 아래 방향으로 눌린 데에 대응하여, 도 1에서 충전 단자 홀더부가 축 A(지점)를 중심으로 화살표 b 방향으로 회전하여, 충전 단자(12)가 화살표 c 방향으로 이동하여 밀어내어, 휴대 단말 장치(4)의 충전 단자에 접촉하는 것을 의미한다(도 1, 도 2의 b를 참조).
S4에서, 충전 단자 홀더부가 소정 간격 이동한 후, 통신 단자 홀더부가 화살표 e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휴대 단말 장치와 통신 단자 홀더부의 통신 단자가 접촉한다.
이상의 S1에서부터 S4에 의해서, 휴대 단말 장치(4)를 도 1, 도 2의 통신 어댑터 장치(3)의 위에 놓으면, C부(누름부)(11)가 아래 방향으로 눌리어 충전 단자(12)를 밀어내어 휴대 단말 장치(4)의 충전 단자에 접촉해 필요에 따라서 충전하며, 또한, 소정 클리어런스 이동한 후에 통신 단자(21)의 커버부(22)를 위치 변경하여 그 통신 단자(21)를 밀어내어 휴대 단말 장치(4)의 통신 단자부에 접촉하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S5에서, 통신 버튼을 누른다. 휴대 단말 장치(4) 혹은 통신 어댑터 장치(3)의 도시한 것 이외의 통신 버튼을 눌러, 통신 시작을 지시한다.
S6에서, 접촉 체크를 한다. S5에서 통신 버튼을 눌러 통신 시작이 지시되었을 때에, 통신 어댑터 장치(3)와 휴대 단말 장치(4)의 접촉(충전 단자, 통신 단자의 접촉)을 체크한다.
S7에서, S6의 체크 결과가 OK인지 판별한다. YES인 경우에는, S8에서 통신을 실행한다(휴대 단말 장치(4)와 통신 어댑터 장치(3) 사이에서 송수신을 행함). NO인 경우에는 에러 처리(예컨대 통신 어댑터 장치(3)의 에러 램프를 점등하여, 휴대 단말 장치(4)가 통신 어댑터 장치(3)에 정상적으로 장착되어 있지 않는다는 취지를 표시하거나 함)한다.
도 4∼도 7은 본 발명의 동작 설명도이다. 이것은, 이미 상술한 도 1 및 도 2의 통신 어댑터 장치의 구성을 기초로, 휴대 단말 장치(4)가 얹어졌을 때에, 충전 단자를 밀어내어 접속한 통신 단자를 접속할 때의 동작을 통신 어댑터 장치의 측면으로부터 본 설명도이다. 이하 순차 상세히 설명한다.
(1) 도 4에 있어서, 휴대 단말 장치(4)(예컨대 후술하는 도 7)를 도시한 통신 어댑터 장치(3) 위에 얹으면, C부(누름부)(11)가 아래 방향으로 눌린다.
(2) 도 4에 있어서, C부(누름부)(11)가 아래 방향으로 눌림으로써, 충전 단자 홀더(14)가 회전하여 충전 단자(12)의 밀어내기를 시작한다.
(3) 도 5에 있어서, 충전 단자 홀더(14)가 더욱 회전하여, D부(돌기부)(13)와 E부(아암부)(23) 사이의 클리어런스(간극)가 0(제로)으로 된 상태에서, 통신 어댑터 장치(3)의 충전 단자(12)가 충분히 밀어내어져 얹은 휴대 단말 장치(4)의 충전 단자와 완전히 접촉하여, 충전 단자가 서로 접속 완료된다.
(4) 다음에, 도 6(도 5의 우측의 화살 표시 방향에서 본 단면도)에 있어서, 또한, C부(돌기부)(11)가 눌리면 통신 단자(21)를 위 방향으로 밀어내기 시작한다.
(5) 도 7에 있어서, 더욱이, C부(돌기부)(11)가 눌리면, 통신 어댑터 장치(3)의 밀어내어진 통신 단자(21)를, 휴대 단말 장치(4)의 통신 단자에 접촉하여, 통신 단자가 서로 접속 완료가 된다.
이상과 같이, 휴대 단말 장치(4)를 통신 어댑터 장치(3) 위에 얹으면, 통신 어댑터 장치(3)의 C부(누름부)(11)를 눌러, 맨 처음에 충전 단자(12)가 밀어내기를 시작하여 휴대 단말 장치(4)의 충전 단자에 접속하기 시작하여 완료된 상태에서 도시한 클리어런스가 0(도 5가 되어), 또한, C부(누름부)(11)가 눌리고 있으면 통신 단자(21)가 밀어내기를 시작하여 휴대 단말 장치(4)의 통신 단자에 접속하기 시작하여 완료된다(도 7). 이에 따라, 휴대 단말 장치(4)를 통신 어댑터 장치(3)에 얹어 놓음으로써 자동적으로 충전 단자를 접속 완료한 후에, 통신 단자를 접속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한편, 충전 단자보다도 먼저 통신 단자를 접속하면, 휴대 단말 장치(4) 및 통신 어댑터 장치(3)의 회로에, 부정(不定) 전압이 들어가 오동작이 발생하거나, 정상적으로 동작을 시작하지 않거나 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한다. 그 때문에, 충전 단자(전원 단자)(+, -)를 먼저 접속하고 나서, 통신 단자를 접속함으로써, 이들 문제점의 발생을 완전히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충전 단자를 접속한 후, 통신 단자를 접속하기 위해서, 기계적인 클리어런스를 두어 실현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시간차를 두는 기구(예컨대 C부(누름부)(11)가 눌리면 충전 단자가 먼저 밀어내어져 접속하고, 소정시간 경과 후에 통신 단자가 밀어내어져 접속한다고 하는 시간 지연 기구)를 설치하더라도 좋다.
도 8은 본 발명의 단자 예를 도시한다. 도 1, 도 2, 도 4의 통신 어댑터 장치(3)의 충전 단자(12), 통신 단자(21)는 모두 볼록형이며, 상대의 휴대 단말 장치(4)의 충전 단자, 통신 단자가 모두 평탄한 예를 설명했지만, 여기서는, 통신 어댑터 장치(3)의 충전 단자(12), 통신 단자(21)가 도시한 상단의 평탄한 단자이며, 상대의 휴대 단말 장치(4)가 도시한 하단의 볼록형의 단자인 예를 나타낸다. 또, 도 1, 도 2, 도 4의 충전 단자(12)와 통신 단자(21)는 전부가 볼록 혹은 평탄한 단자일 필요는 없으며, 한 쪽이 평탄, 다른 쪽이 볼록형의 조합이라도 좋다.
도 9는 본 발명의 커버부 등의 일 실시예 구조도를 도시한다. 이것은 도 2의 커버부(22)의 상세 구조도의 예를 나타내며, 휴대 단말 장치(4)를 C부(누름부)(11)의 위에 얹어 놓음으로써 아래 방향으로 눌렸을 때에, 커버부(22)의 I부가 도시하는 화살표의 좌측 방향으로 슬라이드(혹은 회전 이동)하여, 통신 단자(21)를 덮고 있는 커버를 벗겨 내부에서부터 통신 단자(21)를 여기서는, 위 방향으로 밀어내는 모습을 도시한다. 이 때, 커버의 내면에 청소용 부재를 설치해 두고, 커버를 여기서는 좌측 방향으로 위치 변동했을 때에 통신 단자(21)의 선단 부분을 청소하여 깨끗하게 한 후에 통신 단자(21)를 위 방향으로 밀어내어 도시하지 않은 휴대 단말 장치(4)의 통신 단자에 접촉하게 하도록 하고 있다.
또, 커버의 외측에 청소용 부재를 설치해 두고, 커버를 여기서는 좌측 방향으로 위치 변경했을 때에 휴대 단말 장치(4)의 통신 단자의 선단 부분을 청소하여 깨끗하게 한 후에, 통신 어댑터 장치(3)의 통신 단자(21)를 위 방향으로 밀어내어 접촉하게 하도록 하고 있다.
(부기 1) 휴대 단말 장치의 전원 단자 및 통신 단자에 각각 대응하여 접속되는 전원 단자와 통신 단자를 갖춘 통신 어댑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 장치가 상기 통신 어댑터 장치 상에 적재됨으로써 아래로 눌리는 제1 부재와, 상기 통신 어댑터 장치의 전원 단자와, 돌기부를 갖추고, 상기 제1 부재가 눌리면 소정 각도 회전하여 상기 통신 어댑터 장치의 전원 단자를 밀어내어, 상기 휴대 단말 장치의 전원 단자와 접속되는 전원 단자 홀더부와,
상기 돌기부와의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된 제2 부재와, 상기 통신 어댑터 장치의 통신 단자를 갖추고, 상기 전원 단자 홀더부가 상기 소정 각도 회전함으로써 상기 돌기부와 상기 제2 부재가 접촉하는동시에 상기 통신 어댑터 장치의 전원 단자와 상기 휴대 단말 장치의 전원 단자가 접속된 후, 또 상기 제1 부재가 아래로 눌리면 소정 각도 회전하여 상기 통신 어댑터 장치의 통신 단자를 밀어내어, 상기 휴대 단말 장치의 통신 단자와 접속하게 하는 통신 단자 홀더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어댑터 장치.
(부기 2) 상기 전원 단자 홀더부 및 상기 통신 단자 홀더부의 단자를, 상기 휴대 단말 장치의 단자의 평탄 혹은 볼록에 대응하여, 볼록 혹은 평탄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에 기재한 통신 어댑터 장치.
(부기 3) 상기 제1 부재가 아래로 눌렸을 때에 회전하여 전원 단자를 밀어내는 축과, 제2 부재가 회전하여 통신 단자를 밀어내는 축을 0도 혹은 90도 중 어느 것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 또는 부기 2에 기재한 통신 어댑터 장치.
(부기 4) 상기 통신 단자를 밀어낼 때에 커버를 벗겨 그 통신 단자를 밀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에서부터 부기 3 중 어느 것에 기재한 통신 어댑터 장치.
(부기 5) 상기 커버의 내면에 청소용 부재를 설치하여, 커버를 벗길 때에 상기 통신 단자 홀더부의 단자를 청소하거나, 혹은 상기 커버의 외면에 청소용 부재를 설치하여, 커버를 벗길 때에 상기 휴대 단말 장치의 통신 단자를 청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4에 기재한 통신 어댑터 장치.
(부기 6) 상기 통신 단자를 USB 단자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에서터 부기 5 중 어느 것에 기재한 통신 어댑터 장치.
(부기 7) 상기 전원 단자를 밀어내어 상기 휴대 단말 장치의 전원 단자와 접속한 후에 또 그 제2 부재가 눌리는 대신에, 상기 전원 단자의 길이를 상기 통신 단자의 길이보다도 길게 하여, 먼저 상기 휴대 단말 장치의 전원 단자에 접속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에서부터 부기 6 중 어느 것에 기재한 통신 어댑터 장치.
본원 발명은 휴대 단말 장치가 충전 단자를 지닌 통신 어댑터 장치에 놓이면, 충전 단자를 먼저 접속한 후에 통신 단자를 접속하도록 구성하여, 접속이 체크되어 접속 확인 후에 휴대 단말 장치와 상위 장치가 단자를 경유하여 송수신하는 구성을 채용하고 있기 때문에, 휴대 단말 장치를 충전 단자를 지닌 통신 어댑터 장치에 놓아 둠으로써, 소정의 순서대로 단자 접속을 간단한 구조로 자동적으로 실행하여 충전 및 통신을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 구조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외관 구조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동작 설명 흐름도이다.
도 4 ~ 7은 본 발명의 동작 설명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단자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커버부 등의 일 실시예 구조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 장치의 일례의 정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 장치의 일례의 배면도이다.
도 12는 휴대 단말 장치를 통신 어댑터 장치에 얹어 장착하기 전의 상태도.
도 13은 휴대 단말 장치를 통신 어댑터 장치에 얹어 장착한 후의 상태도.
도 14는 통신 어댑터 장치를 외부 장치에 접속하는 방법을 설명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충전 단자 홀더부 11 : C부(누름부)
12 : 충전 단자 13 : D부(돌기부)
14 : 충전 단자 홀더 2 : 통신 단자 홀더부
21 : 통신 단자 22 : 커버부
23 : E부(아암부) 3 : 통신 어댑터 장치
31, 32 : 단자 4 : 휴대 단말 장치
45 : 통신 버튼 46 : 충전 단자
47 : 통신 단자
Claims (5)
- 휴대 단말 장치의 전원 단자 및 통신 단자에 각각 대응하여 접속되는 전원 단자와 통신 단자를 갖춘 통신 어댑터 장치에 있어서,상기 휴대 단말 장치가 상기 통신 어댑터 장치 상에 적재됨으로써 아래로 눌리는 제1 부재와, 상기 통신 어댑터 장치의 전원 단자와, 돌기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부재가 아래로 눌리면 소정 각도 회전하여 상기 통신 어댑터 장치의 전원 단자를 밀어내어, 상기 휴대 단말 장치의 전원 단자와 접속시키는 전원 단자 홀더부와,상기 돌기부와의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된 제2 부재와, 상기 통신 어댑터 장치의 통신 단자를 구비하며, 상기 전원 단자 홀더부가 상기 소정 각도 회전함으로써 상기 돌기부와 상기 제2 부재가 접촉하는 동시에 상기 통신 어댑터 장치의 전원 단자와 상기 휴대 단말 장치의 전원 단자가 접속된 후, 또한 상기 제1 부재가 아래로 눌리면 소정 각도 회전하여 상기 통신 어댑터 장치의 통신 단자를 밀어내어, 상기 휴대 단말 장치의 통신 단자와 접속시키는 통신 단자 홀더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어댑터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단자 홀더부 및 상기 통신 단자 홀더부의 단자를, 상기 휴대 단말 장치의 단자의 평탄 혹은 볼록에 대응하여, 볼록 혹은 평탄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어댑터 장치.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가 아래로 눌렸을 때에 회전하여 전원 단자를 밀어내는 축과, 제2 부재가 회전하여 통신 단자를 밀어내는 축을 0도 혹은 90도의 어느 것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어댑터 장치.
-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단자를 밀어낼 때에 커버를 벗겨 그 통신 단자를 밀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어댑터 장치.
- 제1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단자를 밀어내어 상기 휴대 단말 장치의 전원 단자와 접속한 후에 또 그 제2 부재가 아래로 눌리는 대신에, 상기 전원 단자의 길이를 상기 통신 단자의 길이보다도 길게 하여, 앞서 상기 휴대 단말 장치의 전원 단자에 접속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어댑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03372405A JP4325853B2 (ja) | 2003-10-31 | 2003-10-31 | 通信アダプタ装置 |
JPJP-P-2003-00372405 | 2003-10-31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041838A true KR20050041838A (ko) | 2005-05-04 |
KR100994704B1 KR100994704B1 (ko) | 2010-11-17 |
Family
ID=345440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40012524A KR100994704B1 (ko) | 2003-10-31 | 2004-02-25 | 통신 어댑터 장치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2) | US7384302B2 (ko) |
JP (1) | JP4325853B2 (ko) |
KR (1) | KR100994704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40162637A1 (en) | 2002-07-25 | 2004-08-19 | Yulun Wang | Medical tele-robotic system with a master remote station with an arbitrator |
US7813836B2 (en) | 2003-12-09 | 2010-10-12 | Intouch Technologies, Inc. | Protocol for a remotely controlled videoconferencing robot |
US8077963B2 (en) | 2004-07-13 | 2011-12-13 | Yulun Wang | Mobile robot with a head-based movement mapping scheme |
US9198728B2 (en) | 2005-09-30 | 2015-12-01 | Intouch Technologies, Inc. | Multi-camera mobile teleconferencing platform |
US8849679B2 (en) | 2006-06-15 | 2014-09-30 | Intouch Technologies, Inc. | Remote controlled robot system that provides medical images |
US9160783B2 (en) | 2007-05-09 | 2015-10-13 | Intouch Technologies, Inc. | Robot system that operates through a network firewall |
CN101822030B (zh) | 2007-12-14 | 2013-02-27 | 富士通株式会社 | 保持台以及信息处理系统 |
US10875182B2 (en) | 2008-03-20 | 2020-12-29 | Teladoc Health, Inc. | Remote presence system mounted to operating room hardware |
US8179418B2 (en) | 2008-04-14 | 2012-05-15 | Intouch Technologies, Inc. | Robotic based health care system |
US8170241B2 (en) | 2008-04-17 | 2012-05-01 | Intouch Technologies, Inc. | Mobile tele-presence system with a microphone system |
EP2133976B1 (en) * | 2008-05-12 | 2016-10-12 | BlackBerry Limited | Communication device |
US9193065B2 (en) * | 2008-07-10 | 2015-11-24 | Intouch Technologies, Inc. | Docking system for a tele-presence robot |
US9842192B2 (en) | 2008-07-11 | 2017-12-12 | Intouch Technologies, Inc. | Tele-presence robot system with multi-cast features |
US8340819B2 (en) | 2008-09-18 | 2012-12-25 | Intouch Technologies, Inc. | Mobile videoconferencing robot system with network adaptive driving |
US8996165B2 (en) | 2008-10-21 | 2015-03-31 | Intouch Technologies, Inc. | Telepresence robot with a camera boom |
US8463435B2 (en) | 2008-11-25 | 2013-06-11 | Intouch Technologies, Inc. | Server connectivity control for tele-presence robot |
US9138891B2 (en) | 2008-11-25 | 2015-09-22 | Intouch Technologies, Inc. | Server connectivity control for tele-presence robot |
US8849680B2 (en) | 2009-01-29 | 2014-09-30 | Intouch Technologies, Inc. | Documentation through a remote presence robot |
US7722388B1 (en) * | 2009-03-11 | 2010-05-25 | Symbol Technologies, Inc. | System for a mobile unit charging and connection |
US8897920B2 (en) | 2009-04-17 | 2014-11-25 | Intouch Technologies, Inc. | Tele-presence robot system with software modularity, projector and laser pointer |
US11399153B2 (en) | 2009-08-26 | 2022-07-26 | Teladoc Health, Inc. | Portable telepresence apparatus |
US8384755B2 (en) | 2009-08-26 | 2013-02-26 | Intouch Technologies, Inc. | Portable remote presence robot |
US11154981B2 (en) | 2010-02-04 | 2021-10-26 | Teladoc Health, Inc. | Robot user interface for telepresence robot system |
US8670017B2 (en) | 2010-03-04 | 2014-03-11 | Intouch Technologies, Inc. | Remote presence system including a cart that supports a robot face and an overhead camera |
US8664917B2 (en) | 2010-03-23 | 2014-03-04 | Symbol Technologies, Inc. | Adapter and method for mobile unit charging and communication |
US10343283B2 (en) | 2010-05-24 | 2019-07-09 | Intouch Technologies, Inc. | Telepresence robot system that can be accessed by a cellular phone |
US10808882B2 (en) | 2010-05-26 | 2020-10-20 | Intouch Technologies, Inc. | Tele-robotic system with a robot face placed on a chair |
US9264664B2 (en) | 2010-12-03 | 2016-02-16 | Intouch Technologies, Inc. | Systems and methods for dynamic bandwidth allocation |
US12093036B2 (en) | 2011-01-21 | 2024-09-17 | Teladoc Health, Inc. | Telerobotic system with a dual application screen presentation |
US9323250B2 (en) | 2011-01-28 | 2016-04-26 | Intouch Technologies, Inc. | Time-dependent navigation of telepresence robots |
EP2668008A4 (en) | 2011-01-28 | 2018-01-24 | Intouch Technologies, Inc. | Interfacing with a mobile telepresence robot |
US10769739B2 (en) | 2011-04-25 | 2020-09-08 | Intouch Technologies, Inc. |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ement of information among medical providers and facilities |
US9098611B2 (en) | 2012-11-26 | 2015-08-04 | Intouch Technologies, Inc. | Enhanced video interaction for a user interface of a telepresence network |
US20140139616A1 (en) | 2012-01-27 | 2014-05-22 | Intouch Technologies, Inc. | Enhanced Diagnostics for a Telepresence Robot |
US8836751B2 (en) | 2011-11-08 | 2014-09-16 | Intouch Technologies, Inc. | Tele-presence system with a user interface that displays different communication links |
US9251313B2 (en) | 2012-04-11 | 2016-02-02 | Intouch Technologies, Inc. | Systems and methods for visualizing and managing telepresence devices in healthcare networks |
US8902278B2 (en) | 2012-04-11 | 2014-12-02 | Intouch Technologies, Inc. | Systems and methods for visualizing and managing telepresence devices in healthcare networks |
WO2013176758A1 (en) | 2012-05-22 | 2013-11-28 | Intouch Technologies, Inc. | Clinical workflows utilizing autonomous and semi-autonomous telemedicine devices |
US9361021B2 (en) | 2012-05-22 | 2016-06-07 | Irobot Corporation | Graphical user interfaces including touchpad driving interfaces for telemedicine devices |
JP5924177B2 (ja) * | 2012-07-25 | 2016-05-25 |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 クレードル |
EP3086434A1 (de) * | 2015-04-24 | 2016-10-26 | HILTI Aktiengesellschaft | Netzbetreibbares akku-ladegerät, ladesystem und handwerkzeugmaschine |
US11862302B2 (en) | 2017-04-24 | 2024-01-02 | Teladoc Health, Inc. | Automated transcription and documentation of tele-health encounters |
US10483007B2 (en) | 2017-07-25 | 2019-11-19 | Intouch Technologies, Inc. | Modular telehealth cart with thermal imaging and touch screen user interface |
US11636944B2 (en) | 2017-08-25 | 2023-04-25 | Teladoc Health, Inc. | Connectivity infrastructure for a telehealth platform |
US10617299B2 (en) | 2018-04-27 | 2020-04-14 | Intouch Technologies, Inc. | Telehealth cart that supports a removable tablet with seamless audio/video switching |
Family Cites Familie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48733A (en) * | 1987-06-30 | 1989-01-12 | Mitsubishi Electric Corp | Portable radio communication equipment |
DE3825120A1 (de) * | 1988-05-11 | 1989-11-23 | Wella Ag | Vorrichtung fuer ein elektrisches geraet |
US5888087A (en) * | 1989-01-31 | 1999-03-30 | Norand Corporation | One-handed dock for a portable data collection terminal |
US5052943A (en) * | 1989-03-23 | 1991-10-01 | Norand Corporation | Recharging and data retrieval apparatus |
JP2503137B2 (ja) * | 1991-10-30 | 1996-06-05 | 富士通株式会社 | 携帯電話機用充電器構造 |
US5473242A (en) * | 1993-11-10 | 1995-12-05 | Intermec Corporation | Battery contact and method of retention |
JPH09294108A (ja) | 1996-04-25 | 1997-11-11 | Canon Inc | 赤外線通信アダプタ装置 |
US6302727B1 (en) * | 2000-09-08 | 2001-10-16 |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 Multi-axis connectors and electronic devices incorporating same |
US6359053B1 (en) * | 2000-09-22 | 2002-03-19 | Fuzetec Technology Co., Ltd. | Cocktail-type 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PTC) polymer blend composition and circuit protection device |
AU2002320687B2 (en) * | 2001-07-25 | 2008-05-01 | Sony Corporation | Terminal structure and mounting part |
-
2003
- 2003-10-31 JP JP2003372405A patent/JP4325853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4
- 2004-02-12 US US10/776,236 patent/US7384302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4-02-25 KR KR1020040012524A patent/KR100994704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8
- 2008-03-06 US US12/073,557 patent/US7510428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4325853B2 (ja) | 2009-09-02 |
KR100994704B1 (ko) | 2010-11-17 |
US20080234011A1 (en) | 2008-09-25 |
US20050096100A1 (en) | 2005-05-05 |
US7384302B2 (en) | 2008-06-10 |
US7510428B2 (en) | 2009-03-31 |
JP2005136821A (ja) | 2005-05-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994704B1 (ko) | 통신 어댑터 장치 | |
US5115374A (en) | Portable computer including, for facsimile transmission, a document scanner integral with the display module | |
EP1744521B1 (en)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rotatable camera | |
US6941618B2 (en) | Hinge device for portable wireless terminal | |
TWI284268B (en) | Input device provided with windable display and foldable keyboard, and personal computer provided with input device | |
CN111885235A (zh) | 可折叠壳体组件及可折叠电子设备 | |
CN111427419B (zh) | 翻转功能组件及电子设备 | |
CN101103329A (zh) | 操作体、信息输入设备和信息终端设备 | |
CN103294203A (zh) | 便携式键盘及便携式装置 | |
US20020178343A1 (en) | Personal digital assistant for connecting with a digital image capture device | |
CN114495772A (zh) | 折叠屏状态检测装置及方法、折叠屏装置 | |
KR100619513B1 (ko) | 스위치를 가지는 힌지 장치 및 이 힌지 장치를 포함한전자 기기 | |
KR20020086589A (ko) | 휴대용 정보 단말, 휴대용 정보 단말을 위한 디지털카메라, 휴대용 디지털 카메라/정보 단말 시스템 및휴대용 정보 단말 제어 방법 | |
KR20070002480A (ko) | 네비게이션 키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 |
JP4257231B2 (ja) | 端末機用充電器 | |
JP2006128996A (ja) | 携帯端末装填装置 | |
CN212156579U (zh) | 手持云台 | |
KR100939763B1 (ko) | 카메라 모듈 검사장치 | |
EP1843557B1 (en) | Hinge device for portable wireless terminal | |
JPH10172658A (ja) | コネクタ | |
KR200372517Y1 (ko) |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고정장치 | |
CN102163185B (zh) | 电子名片装置 | |
KR20110072214A (ko) | 카메라 모듈 조립체 | |
CN116129735A (zh) | 电子设备 | |
KR100433423B1 (ko) |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현상기 전원공급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022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021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016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019 Year of fee payment: 7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