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72214A - 카메라 모듈 조립체 - Google Patents

카메라 모듈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72214A
KR20110072214A KR1020090129055A KR20090129055A KR20110072214A KR 20110072214 A KR20110072214 A KR 20110072214A KR 1020090129055 A KR1020090129055 A KR 1020090129055A KR 20090129055 A KR20090129055 A KR 20090129055A KR 20110072214 A KR20110072214 A KR 201100722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housing
camera module
module assembly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90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21887B1 (ko
Inventor
홍경수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290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1887B1/ko
Publication of KR201100722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22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18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18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채용되는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설정각도 회전이 용이하도록 된 카메라 모듈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카메라 모듈 조립체로서, 외부 이미지를 결상시키는 렌즈모듈과, 상기 렌즈모듈을 통해 입력되는 광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이미지센서가 실장된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를 내부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수용하는 중공의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의 외면에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전기적으로 연결된 통전패드부가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의 내면에는 상기 본체의 통전패드와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복수의 통전단자부가 설치된다.
또한, 본 발명의 카메라 모듈 조립체에서, 상기 본체에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회전을 제한하기 위한 돌출부가 더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면에는 상기 본체의 돌출부가 삽입되어 회전이 제한되는 복수의 삽입홈이 형성된다.
카메라, 회전

Description

카메라 모듈 조립체{CAMERA MODULE}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채용되는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설정각도 회전이 용이하도록 된 카메라 모듈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컴팩트한 카메라 모듈은 소형으로써 카메라폰, PDA 및 스마트폰 등 휴대용 이동통신 기기와 다양한 IT기기에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카메라 모듈은 CCD나 CMOS 등의 이미지 센서를 주요 부품으로 제작되고 있으며, 화상의 크기를 조절하기 위하여 포커스 조정이 가능하도록 제조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카메라 모듈이 적용된 휴대용 이동통신 기기는 음성통화, 단문메시지 서비스 외에도 카메라를 구비함으로서 언제 어디서나 찍고자하는 화상을 동영상 또는 이미지로 촬영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상기 휴대용 이동통신 기기는 촬영된 동영상 또는 이미지를 다른 사람에게 전송할 뿐아니라, 내장된 상기 카메라를 이용하여 화상통신 등의 영상정보 활용도가 높아지고 있다.
상기 휴대용 이동통신 기기는 자체 구비된 카메라가 상기 휴대용 이동통신 기기의 힌지부에 위치되거나, 상기 휴대용 이동통신 기기의 LCD패널부 또는 키패드 후면부등에 배치되어 이미지를 촬영하게 된다. 상기 카메라는 회전형으로 상기 힌지 부에 배치되거나, 상기 휴대용 이동통신 기기의 전면부 또는 후면부에 고정형으로 구비된다.
그러나, 상기 카메라는 고정형의 경우에는 상기 휴대용 이동통신 기기를 이동시켜 촬영각을 조절하게 되며, 또한 회전형의 경우에는 상기 카메라를 수동조작하여 회전시킴으로서 촬영각을 조절함으로서 번거로운 수동조작의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 채용되는 카메라 모듈 조립체에서 카메라 모듈이 용이하게 회전하여 촬영 가능하도록 된 카메라 모듈 조립체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카메라 모듈 조립체로서, 외부 이미지를 결상시키는 렌즈모듈과, 상기 렌즈모듈을 통해 입력되는 광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이미지센서가 실장된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를 내부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수용하는 중공의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의 외면에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전기적으로 연결된 통전패드부가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의 내면에는 상기 본체의 통전패드와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복수의 통전단자부가 설치된다.
또한, 본 발명의 카메라 모듈 조립체에서, 상기 본체에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회전을 제한하기 위한 돌출부가 더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면에는 상기 본체의 돌출부가 삽입되어 회전이 제한되는 복수의 삽입홈이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카메라 모듈 조립체에서 상기 본체는 원통형이고, 상기 하우징 중공은 상기 본체와 대응되는 원통형이며, 상기 하우징 내면의 통전 단자부 및 삽입홈은 상호 동일한 갯수로 마련되며, 상기 복수의 삽입 홈은 각각 동일 원주상에서 설정각도 이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통전 단자부는 상기 동일 원주상에 형 성된 복수의 삽입홈의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된다.
또한, 본 발명의 카메라 모듈 조립체에서, 상기 돌출부는, 탄성재질로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 내부면에 탄성을 갖고 접하도록 회전하고, 상기 삽입 홈에서 탄성에 의해 돌출된다.
또한, 본 발명의 카메라 모듈 조립체에서, 상기 통전 패드부 및 통전 단자부는, 각각의 본체 외주면 및 하우징 내주면에 소정 길이로 돌출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본체의 회전에 의해 상호 접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카메라 모듈 조립체에서, 상기 설정각도는 90˚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카메라 모듈 조립체는 설정각도로 용이하게 회전하여 촬영이 가능하게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 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 조립체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도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 조립체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카메라 모듈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본체의 회전시 통전패드 및 통전단자가 접하는 형태를 보이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본체의 각도별 회전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5는 획득된 이미지의 예를 보이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 조립체(100)는 외부 이미지를 결상시키는 렌즈모듈(21)과, 상기 렌즈모듈(21)을 통해 입력되는 광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이미지센서가 실장된 인쇄회로기판(미도시)이 내부에 수용된 본체(20)와, 상기 본체(20)를 내부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수용되는 중공의 하우징(10)을 포함한다.
상기 본체(20)는 그 상부측으로 단면의 반지름이 작아져 단이 진 원통형상이고, 상기 하우징(10)의 중공은 상기 원통형상의 본체(20)가 내부에 수용되도록 상기 본체의 단이 진 부분이 외부로 돌출되는 내부의 중공과 통하는 구멍(11)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도 2에 도시된 하우징(10)의 내부 일부면(12)이 상기 본체(20)의 단이 진 부분과 접하게 되어 안착 되는 형태를 갖는다.
상기와 같은 본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 조립체(100)에서 상기 본체(20)의 외면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의 인쇄회로기판(미도시)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통전패드부(22)가 설치되고, 상기 통전패드부(22)의 설치위치의 하단에, 즉 통전패드부(22)의 설치위치와 대응되는 외면 하부에는 돌출부(23)가 설치된다.
상기 통전패드부(22)는 내부의 인쇄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후술하는 제1 및 제2 통전단자부(13,14)와 전기적으로 연결, 외부와 전기적인 신호를 송수신 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돌출부(23)는 상기 본체(20)가 하우징(10)의 내부에서 회전할 때 회전을 제한하기 위한 것으로서, 탄성체로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돌출부(23)는 회전시 하우징(10)의 내주면에 눌리어 탄성을 지닌채 회전을 하게 되며, 후술하는 하우징(10)의 제1 및 제2 삽입홈(13a, 14a)에서 탄성에 의해 돌출되어 본체(20)의 회전을 제한하는 것이다.
상기 하우징(10)의 내주면에는 상기 본체(20)의 통전패드부(2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하고, 외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및 제2 통전단자부(13,14)가 설치되며, 상기 본체(20)의 돌출부(23)가 삽입되어 본체(20)의 회전이 제한되는 제1 및 제2 삽입홈(13a, 14a)이 형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 삽입홈(13a, 14a)은 동일한 원주상에 설정각도 이격되도록 설치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두개의 삽입홈(13a, 14a)이 동일 원주상에서 90˚간격으로 이격 형성된 것을 일예로 하여 설명하나, 4개의 삽입홈이 90˚간격으로 형성되도록 하는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본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 조립체(100)의 회전에 따른 전기적인 신호 전달의 예가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본체(20)의 통전 패드부(22)가 제2 통전단자부(14)와 접촉하였을 경우를 도 5의 (a)와 같은 정 방향이라고 가정할 경우, 제1 통전단자부(13)와 접촉하였을 때를 도 5의 (b)와 같이 90°회전방향으로 가정한다.
따라서, 평상시에는 본체(20)의 통전 패드부(22)가 도 3의 (a)와 같이 하우 징(10)의 제2 통전단자부(14)와 접하게 되어, 인쇄회로기판과 전기적인 신호의 송수신은 상기 통전 패드부(22) 및 제2 통전단자부(14)를 통해 이루어 진다.
사용자가 90˚방향으로 회전된 이미지를 얻고자, 상기 본체(20)를 회전시키는 경우에는 상기 본체(20)의 돌출부(23)가 하우징(10)의 제2 삽입홈(14a)에 돌출되어 있는 상태에서 외부의 회전력에 의해 상기 제1 삽입홈(14a)을 이탈하게 된다. 상기 돌출부(23)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삽입홈(13a, 14a)의 모서리와 맞닿는 부분이 테이퍼 져 있고 탄성체로 이루어져 있어 일정한 회전압력이 외부에서 가해지는 경우 탄성을 갖고 제2 삽입홈(14a)에서 이탈하게 된다. 회전압력에 의해 본체(20)는 회전하게 되며 이때 돌출부(23)는 하우징(10)의 내주면을 따라 탄성을 갖은체로 이동하게 되고, 제1 삽입홈(13a)에 도달하는 경우, 삽입홈(13a)의 공간으로 탄성에 의해 돌출되게 된다. 따라서, 제1 삽입홈(13a)에 상기 돌출부(23)가 걸리게 되는 형태를 갖게되어, 회전이 제한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본체(20)의 통전 패드부(22)는 하우징(10)의 제1 통전단자부(13)와 전기적으로 접하게 된다. 따라서, 외부의 조작에 의해 획득된 도 5의 (b)와 같은 90˚회전된 이미지는 이미지 센서가 실장된 인쇄회로기판에서 통전 패드부(22) 및 제1 통전 단자부(13)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모듈(미도시) 등에 표시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90˚간격으로 이격된 지점의 하우징(10) 내주면에 통전 단자부를 설치한 것을 예로 하였으나, 상기 본체(20)의 통전 패드부(22)가 회전하면서 상기 하우징(10)의 내주면에 계속 전기적으로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일체형의 통전 단자부를 형성함도 가능하다.
앞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 조립체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카메라 모듈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본체의 회전시 통전패드 및 통전단자가 접하는 형태를 보이기 위한 도면
도 4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본체의 각도별 회전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 조립체를 이용하여 획득된 이미지의 예를 보이는 도면

Claims (6)

  1. 카메라 모듈 조립체로서,
    외부 이미지를 결상시키는 렌즈모듈과, 상기 렌즈모듈을 통해 입력되는 광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이미지센서가 실장된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를 내부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수용하는 중공의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의 외면에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전기적으로 연결된 통전패드부가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의 내면에는 상기 본체의 통전패드와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복수의 통전단자부가 설치된 카메라 모듈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회전을 제한하기 위한 돌출부가 더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면에는 상기 본체의 돌출부가 삽입되어 회전이 제한되는 복수의 삽입홈이 형성된 카메라 모듈 조립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원통형이고,
    상기 하우징 중공은 상기 본체와 대응되는 원통형이며,
    상기 하우징 내면의 통전 단자부 및 삽입홈은 상호 동일한 갯수로 마련되며,
    상기 복수의 삽입 홈은 각각 동일 원주상에서 설정각도 이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통전 단자부는 상기 동일 원주상에 형성된 복수의 삽입홈의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된 카메라 모듈 조립체.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탄성재질로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 내부면에 탄성을 갖고 접하도록 회전하고, 상기 삽입 홈에서 탄성에 의해 돌출되는 카메라 모듈 조립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전 패드부 및 통전 단자부는,
    각각의 본체 외주면 및 하우징 내주면에 소정 길이로 돌출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본체의 회전에 의해 상호 접하도록 되어 있는 카메라 모듈 조립체.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각도는 90˚인 카메라 모듈 조립체.
KR1020090129055A 2009-12-22 2009-12-22 카메라 모듈 조립체 KR1016218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9055A KR101621887B1 (ko) 2009-12-22 2009-12-22 카메라 모듈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9055A KR101621887B1 (ko) 2009-12-22 2009-12-22 카메라 모듈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2214A true KR20110072214A (ko) 2011-06-29
KR101621887B1 KR101621887B1 (ko) 2016-05-17

Family

ID=444031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9055A KR101621887B1 (ko) 2009-12-22 2009-12-22 카메라 모듈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188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91359A1 (en) * 2012-06-22 2013-12-27 Lg Innotek Co., Ltd. Camera modul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10754A (ja) * 2008-03-04 2009-09-17 Alps Electric Co Ltd カメラモジュール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91359A1 (en) * 2012-06-22 2013-12-27 Lg Innotek Co., Ltd. Camera module
US9807286B2 (en) 2012-06-22 2017-10-31 Lg Innotek Co., Ltd. Camera module having a housing and an electronic circuit pattern layer formed there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1887B1 (ko) 2016-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21650B2 (en) Electronic device, terminal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
US7525581B2 (en) Compact digital zoom camera and cellular phone having the same
CN101762951B (zh) 镜头模组及应用该镜头模组的电子装置
EP1944950A2 (en) Portable terminal having digital camera function
CN108024046B (zh) 拍摄装置及终端
CN108833617B (zh) 移动终端
WO2019228380A1 (zh) 摄像头模组和移动终端
KR100576008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메인 보드
KR20210017409A (ko) 트레이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0562723B1 (ko) 통신기기용 소형 카메라장치 및 그를 구비한 통신기기
US10972646B2 (en) Camera device and mobile terminal
KR20110072214A (ko) 카메라 모듈 조립체
KR100959862B1 (ko) 듀얼 카메라 모듈
US8602830B2 (en) Terminal component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20170044534A (ko) 카메라 모듈
CN214381094U (zh) 镜头、摄像头模组和电子设备
CN110557467A (zh) 图像采集设备及电子装置
KR101512730B1 (ko) 외장형 광학장치 모듈 및 이를 장착하는 고도지능객체
KR101153511B1 (ko) 호환 가능한 분리형 카메라 및 그에 따른 칩셋을 갖는이동통신 단말기
CN110416802B (zh) 电子设备
KR20050013444A (ko) 휴대용 단말기의 회전형 카메라 장치
KR101080553B1 (ko) 이동통신 단말기용 디지털 카메라 작동 버튼 구조
CN116346964A (zh) 电子设备
KR200306380Y1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로터리 힌지 모듈
KR101133039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의 화질 개선용 커넥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