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41555A - 건축용 보강 금구 - Google Patents

건축용 보강 금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41555A
KR20050041555A KR1020030076764A KR20030076764A KR20050041555A KR 20050041555 A KR20050041555 A KR 20050041555A KR 1020030076764 A KR1020030076764 A KR 1020030076764A KR 20030076764 A KR20030076764 A KR 20030076764A KR 20050041555 A KR20050041555 A KR 200500415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building
horizontal
vertical
shap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67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토루 이와카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닛뽄 에이세이 센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닛뽄 에이세이 센터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닛뽄 에이세이 센터
Priority to KR10200300767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41555A/ko
Publication of KR200500415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1555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02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withstanding earthquake or sinking of ground
    • E04H9/021Bearing, supporting or connecting construct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build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14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against other dangerous influences, e.g. tornadoes, flo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진, 태풍 등에 의해 목조 건축물이 손괴를 입지 않도록, 건축 구조재끼리 직교차하는 부위에 조정 가능하게 부착되는 건축용 보강 금구를 제안하고자 하는 것으로, 되접어 꺾인 부분(111)을 구비한 수평부(112) 및 수직부(113)를 갖는 L자형의 제 1 부재(11)와, 이 제 1 부재(11)와 대칭적으로, 되접어 꺾인 부분(111)을 구비한 수평부(112) 및 수직부(113)를 갖는 좌우가 거꾸로 된 L자형의 제 2 부재(12)를 맞댐 접속시킨 상하가 거꾸로 된 T자형의 제 1 금구(1-1)와, 이 제 1 금구(1-1)와 동일한 사양의 제 2 금구(1-2)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 1 금구(1-1)의 제 2 부재(12)와 제 2 금구(1-2)의 제 1 부재(11), 및 제 1 금구(1-1)의 제 1 부재(11)와 제 2 금구(1-2)의 제 2 부재(12)를 각각 맞대고, 건축 구조재(A, A')의 교차 부위를 감싸듯이 접속 고정시킨다.

Description

건축용 보강 금구{REINFORCING ATTACHMENT FOR CONSTRUCTION}
본 발명은, 지진, 태풍 등에 의해 목조 건축물이 손괴를 입지 않도록, 건축 구조재끼리의 교차 접속부에 부착하여, 이 교차 접속부를 보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건축용 보강 금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 목조 건축물의 구조재의 접합부를 보강하는 보강 금구로서는, 지주, 혹은 L형 금구나 판형상의 T형 금구를 부착하는 등 여러 가지의 방법이 채용되고 있다. 이들 건축용 보강 금구는, 지진, 태풍 등에 의해 목조 건축물에 강한 진동이 부하되었을 경우에, 건축 구조재의 접속부에서의 진동을 다 흡수하지 못해, 건축 구조재로부터 보강 금구가 이탈되거나, 보강 금구 자체가 파손되어 버리는 등의 문제를 초래하기 쉽고, 심한 경우에는 이것이 원인이 되어 목조 건축물이 무너져 버리는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둥재(Y)와 빔재(X)가 직교차하여 접속되어 있는 한쪽면 또는 양쪽면에, 판형상의 T형 금구(71)를 대고, 못이나 볼트 등의 고정구(72)를 이용하여 고정시키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판형상의 T형 금구(71)를 건축 구조재의 직교차 접속부의 보강 금구로서 적용했을 경우에는, 기둥재(Y)와 빔재(X)의 교차 접속 부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쪽면에서 고정하면 외팔보 상태이기 때문에 불안정하며, 또한, 2장의 T형 금구(71)를 사용해 접속 부위를 양쪽면에서 끼워서 보강했다고 해도, 기둥재(Y)와 빔재(X)가 교차하고 있는 양 옆구리부(73, 73)는 프리하기 때문에, 보강 강도가 충분하다고는 볼 수 없었다. 그리고, 이러한 종류의 보강 금구는, 건축 구조재(X, Y)의 각치수에 맞추기 때문에, 각종 사이즈의 T형 금구(71)를 갖춰놓고, 그 중에서 알맞은 사이즈를 선택하여 사용해야만 하는 번거로운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되접어 꺾인 부분을 구비하고, 보강 리브가 형성된 L자형의 제 1 부재와, 이것과 대칭적인 좌우가 거꾸로 된 L자형의 제 2 부재를 슬라이드 조정 가능하게 맞댐 접속하여 제 1 금구로 구성하고, 이 제 1 금구와 동일한 사양의 제 2 금구를 이용하여, 건축 구조재의 직교차 부위를 감싸며, 그리고 상기 되접어 꺾인 부분을 통해서 슬라이드 조정 가능하게 양쪽 금구 사이를 접속 고정함으로써, 건축 구조재의 각치수에 대응시킬 수 있는 동시에, 건축 구조재의 직교차 부위를 고도로 보강할 수 있으며, 또한 지진이나 태풍 등에 의해 목조 건축물에 수직 방향이나 수평 방향의 진동 혹은 연직 방향의 요동이 가해져도 이에 견디어, 목조 건축물이 손괴로부터 모면하도록 개량된 건축용 보강 금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요지는, 직교차하는 건축 구조재의 상호간을 접속하는 건축용 보강 금구로서, 되접어 꺾인 부분을 구비한 수평부 및 수직부를 갖는 L자형의 제 1 부재와, 이 제 1 부재와 대칭적으로, 되접어 꺾인 부분을 구비한 수평부 및 수직부를 갖는 좌우가 거꾸로 된 L자형의 제 2 부재를 맞댐 접속시킨 상하가 거꾸로 된 T자형의 제 1 금구와, 이 제 1 금구와 동일한 사양의 제 2 금구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1 금구의 제 2 부재와 제 2 금구의 제 1 부재, 및 제 1 금구의 제 1 부재와 제 2 금구의 제 2 부재를 각각 맞댐 접속하고, 직교차하는 건축 구조재의 각치수에 대응시켜서 슬라이드 조정 가능하게, 또한 건축 구조재의 교차 부위를 감싸듯이 접속 고정시키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보강 금구이다.
이하, 본 발명의 건축용 보강 금구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에 근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건축용 보강 금구를 도시하는 사시도로서, 도 1의 (A)는 본 발명을 각치수가 작은 건축 구조재에 적용했을 경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의 (B)는 본 발명을 각치수가 큰 건축 구조재에 적용했을 경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제 1 부재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제 2 부재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제 1 부재와 제 2 부재를 접속시킨 제 1 금구 또는 제 2 금구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을 건축 구조재의 직교차하는 부위에 적용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전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서 피걸림 구멍과 걸림편과의 결합 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본 발명은, 도시한 바와 같이, 직교차하는 건축 구조재(기둥 등)(A)와, 건축 구조재(빔, 도리 등)(A')의 상호간을 접속하는 건축용 보강 금구(1)로서, 되접어 꺾인 부분(111)을 구비한 수평부(112) 및 수직부(113)를 갖는 L자형의 제 1 부재(11)와, 이 제 1 부재(11)와 대칭적으로, 되접어 꺾인 부분(111)을 구비한 수평부(112) 및 수직부(113)를 갖는 좌우가 거꾸로 된 L자형의 제 2 부재(12)를 맞댐 접속시킨 상하가 거꾸로 된 T자형의 제 1 금구(1-1)와, 이 제 1 금구(1-1)와 동일한 사양의 제 2 금구(1-2)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1 금구(1-1)의 제 2 부재(12)와 제 2 금구(1-2)의 제 1 부재(11), 및 제 1 금구(1-1)의 제 1 부재(11)와 제 2 금구(1-2)의 제 2 부재(12)를 각각 맞댐 접속하고, 직교차하는 건축 구조재(A, A')의 각치수에 대응시켜서 슬라이드 조정 가능하게, 또한 건축 구조재(A, A')의 교차 부위를 감싸듯이 접속 고정시키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 1 금구(1-1) 또는 제 2 금구(1-2)의 제 1 부재(11)와 제 2 부재(12)의 접속은, 제 1 부재(11)의 수평부(112)와 수직부(113)에 형성한 걸림편(115)을, 제 2 부재(12)의 수평부(112)와 수직부(113)에 형성한 피걸림 구멍(114)에 결합시켜 임시 고정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제 1 부재(11)의 수평부(112)와 수직부(113)에 형성한 체결 구멍(117)을, 제 2 부재(12)의 수평부(112)와 수직부(113)에 형성한 타원형 구멍(116)에 부합시켜서, 고정구(2)에 의해, 양 부재(11, 12) 사이를 슬라이드 조정 가능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 1 금구(1-1)의 제 2 부재(12)의 되접어 꺾인 부분(111)에 형성한 타원형 구멍(116)에, 제 2 금구(1-2)의 제 1 부재(11)의 되접어 꺾인 부분(111)에 형성한 체결 구멍(117)을 부합시켜서, 양 금구(1-1, 1-2) 사이를 슬라이드 조정 가능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더욱이, 상기 제 1 금구(1-1) 및 제 2 금구(1-2)의 각 부재(11, 12)의 수평부(12)와 수직부(13)가 교차하는 부위에, 바깥측으로 팽출되는 보강 리브(118)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해, 되접어 꺾인 부분(111)을 가지며, 보강 리브(118)가 형성된 대략 L자형의 제 1 부재(11)와, 이것에 대칭인 거의 거꾸로 된 L자형의 제 2 부재(12)를, 슬라이드 조정 가능하게 맞댐 접속하여 형성되는 제 1 금구(1-1)와, 이 제 1 금구(1-1)와 동일한 사양의 제 2 금구(1-2)를, 상기 되접어 꺾인 부분(111)을 통해서 슬라이드 조정 가능하게 접속 고정시켜, 건축 구조재(A, A')의 직교차하는 부위를 감싸듯이 보강할 수 있으므로, 건축 보강재(A, A')의 각치수의 대소에 대응시켜서 적용할 수 있는 동시에, 지진이나 태풍 등에 의해 목조 건축물에 수직 방향이나 수평 방향의 진동 혹은 연직 방향의 요동이 가해져도, 이에 견디는 보강 효과가 발휘되어, 목조 건축물의 손괴를 방지할 수 있는 작용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다.
(실시예)
본 발명은, 직교차하는 건축 구조재(기둥 등)(A)와 건축 구조재(빔, 도리 등)(A')의 상호간을 접속하는 건축용 보강 금구(1)로서, 되접어 꺾인 부분(111)을 구비한 수평부(112) 및 수직부(113)를 갖는 L자형의 제 1 부재(11)와, 이 제 1 부재(11)와 대칭적으로, 되접어 꺾인 부분(111)을 구비한 수평부(112) 및 수직부(113)를 갖는 좌우가 거꾸로 된 L자형의 제 2 부재(12)를 맞댐 접속시킨 상하가 거꾸로 된 T자형의 제 1 금구(1-1)와, 이 제 1 금구(1-1)와 동일한 사양의 제 2 금구(1-2)로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 제 1 금구(1-1) 또는 제 1 금구(1-2)를 구성하는 제 1 금구(11)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되접어 꺾인 부분(111)을 갖는 수평부(112)와 수직부(113)로 이루어지고, 전체 형상이 L자형을 띠고 있다. 그리고, 수평부(112)와 수직부(113)의 경계선, 및 각 되접어 꺾인 부분(111, 111)의 수평부(112)에서부터 수직부(113)로 이행하는 경계선에는, 바깥측으로 원호 형상으로 팽출되는 보강 리브(118)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 1 부재(11)의 수직부(113)의 해방단 근처의 상단부, 및 수평부(112)의 하단 근처이며 상기 수직부(113)의 해방단 근처와 동일선상의 바로 아래에, 걸림편(115)을 형성하는 동시에, 수직부(113)의 걸림편(115)을 형성한 곳에서부터, 수평부(112)의 걸림편(115)을 형성한 곳에 이르는 동안에, 3군데의 체결 구멍(117)이 형성된다. 또한, 제 1 부재(11)의 수평부(112)의 되접어 꺾인 부분(111)의 해방단 근처에, 체결 구멍(117)을 1군데 형성하는 동시에, 수직부(113)의 되접어 꺾인 부분(111)의 해방단 근처에 2군데의 체결 구멍(117)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금구(1-1) 또는 제 2 금구(1-2)를 구성하는 제 2 부재(12)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되접어 꺾인 부분(111)을 가진 수평부(112)와 수직부(113)로 이루어지고, 전체 형상이 좌우가 거꾸로 된 L자형을 띠고 있다. 그리고, 수평부(112)와 수직부(113)의 경계선, 및 각 되접어 꺾인 부분(111, 111)의 수평부(112)에서부터 수직부(113)로 이행하는 경계선에는, 바깥측으로 원호 형상으로 팽출되는 보강 리브(118)가 형성된다.
또한, 수직부(113)의 해방단 근처의 상단부에, L자형으로 뚫은 피걸림 구멍(114)을 형성하는 동시에, 수평부(112)의 하단 근처이며 상기 수직부(113)의 해방단 근처와 동일선상의 바로 아래에, 상하가 거꾸로 된 L자형으로 뚫은 피걸림 구멍(114)을 형성하고, 그리고 수직부(113)의 피걸림 구멍(114)을 형성한 곳에서부터, 수평부(112)의 피걸림 구멍(114)을 형성한 곳에 이르는 동안에, 3군데의 타원형 구멍(116)을 형성한다. 그리고, 이 제 2 부재(12)에 형성한 피걸림 구멍(114, 114)은, 상기 제 1 부재(11)에 형성한 걸림편(115, 115)과 부합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된다.
또한, 제 2 부재(12)의 수평부(112)의 되접어 꺾인 부분(111)의 해방단 근처에, 타원형 구멍(116)을 1군데 형성하는 동시에, 수직부(113)의 되접어 꺾인 부분(111)의 해방단 근처에 2군데의 타원형 구멍(117)이 형성된다. 그리고, 이 제 2 부재(12)에 형성한 타원형 구멍(116)은, 상기 제 1 부재(11)에 형성한 체결 구멍(117)과 부합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제 2 부재(12)에 형성한 피걸림 구멍(114)과, 상기 제 1 부재(11)에 형성한 걸림편(115)의 결합은, 도 6에 도시하는 것처럼 해서 이루어진다.
즉, 걸림편(115)은, 제 1 부재(11)를 세로로 긴 반원형 모양으로 잘라서 세우고, 파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세로로 긴 반원형 모양의 걸림편(115)의 끝을, 제 2 부재(12)의 두께에 상당하는 간격을 유지하고 일으켜 세워 형성해 둔다. 그리고, 제 1 부재(11)로부터 돌출 형성된 걸림편(115)을, 제 2 부재(12)의 피걸림 구멍(114)에 삽입하여, 걸림편(115)을 슬라이드 구멍(114')을 따라 파선으로 된 화살표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킨다. 이것에 의해, 제 1 부재(11)와 제 2 부재(12) 사이를 슬라이드 조정하여 임시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을 건축 구조재(A, A')에 부착하기 위해선, 도 5에 전개도로 도시한 바와 같이, 미리 제 1 부재(11)와 제 2 부재(12)를, 도면 중의 좁은 화살표 방향으로 맞대고, 그리고, 제 1 부재(11)에 형성한 걸림편(115)을, 제 2 부재(12)에 형성한 피걸림 구멍(114)에 결합시켜 임시 고정하며,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제 1 금구(1-1) 및 제 2 금구(1-2)를 조립해 둔다. 그런 다음, 이 임시 고정된 제 1 금구(1-1)와 제 2 금구(1-2)를 이용해서, 기둥 등의 건축 구조재(A)와 빔, 도리 등의 건축 구조재(A')가 직교차하고 있는 부위에 맞게, 도면 중의 두꺼운 화살표 방향에서부터, 건축 구조재(A, A')를 끼워넣듯이 맞대어 임시 부착시킨다.
즉, 제 1 금구(1-1)의 제 1 부재(11)에 형성한 걸림편(115)을,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2 부재(12)에 형성한 피걸림 구멍(114)에 결합시켜 슬라이드 조정해서, 양 부재(11, 12)의 수직부(113)의 되접어 꺾인 부분(111)의 내벽면을, 건축 구조재(A)의 외벽면에 밀착시킨다. 그리고, 제 1 부재(11)에 형성한 체결 구멍(117)을, 제 2 부재(12)에 형성한 타원형 구멍(116)에 부합시키고, 여기에서 볼트, 못 등의 고정구(2)를 이용해서 양 부재(11, 12) 사이를 접속 고정시키는 동시에, 제 1 부재(11)에 형성한 체결 구멍(117)으로부터 고정구(2)를 지나, 건축 구재(A, A')의 교차 부위의 한쪽면에 제 1 금구(1-1)를 고정 부착시킨다.
그 후, 건축 구조재(A, A')의 교차 부위의 다른쪽면에 제 2 금구(1-2)를 맞붙이고, 이 제 2 금구(1-2)의 제 1 부재(11)의 되접어 꺾인 부분(111)에 형성되어 있는 체결 구멍(117)에, 먼저 부착되어 있는 제 1 금구(1-1)의 제 2 부재(12)에 형성되어 있는 타원형 구멍(116)을 슬라이드 조정하여 부합시키는 동시에, 제 2 금구(1-2)의 제 2 부재(12)의 되접어 꺾인 부분(111)에 형성되어 있는 타원형 구멍(116)에, 먼저 부착되어 있는 제 1 금구(1-1)의 제 1 부재(11)의 되접어 꺾인 부분(111)에 형성되어 있는 체결 구멍(117)을 슬라이드 조정하여 부합시키고, 제 2 금구(1-2)의 양 부재(11, 12)의 수직부(113)의 내벽면을 건축 구조재(A)의 외벽면에 밀착시킨다. 그런 다음, 고정구(2)를 이용하여, 건축 구조재(A, A')의 교차 부위의 다른쪽면에 제 2 금구(1-2)를 고정 부착시킨다.
본 발명에 의해, 제 1 부재와 제 2 부재의 두 종류의 부재를 조합해서, 제 1 금구 및 제 2 금구가 구성됨과 동시에, 각 부재간 및 각 금구간을 슬라이드 조정 가능하게 접속할 수 있게 되어 있기 때문에, 건축 구조재의 각치수에 대응시켜서 직교차하는 건축 구조재의 상호간을 접속 조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각종 사이즈의 금구를 갖춰놓을 필요가 없어, 보강 금구로서의 적용 범위가 넓고 편리하다.
또한, 직교차하는 건축 구조재의 쌍방을 감싸서, 제 1 부재와 제 2 부재 사이 및 제 1 금구와 제 2 금구 사이를 접속 고정시킬 수 있는 동시에, 각 부재의 수평부와 수직부 사이에 보강 리브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지진이나 태풍 등에 의해, 목조 건축물에 수직 방향이나 수평 방향의 진동 혹은 연직 방향의 요동이 가해져도, 이에 견디는 보강 효과가 발휘되어, 목조 건축물이 손괴로부터 모면한다고 하는 작용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건축용 보강 금구를 도시하는 사시도로서, 도 1의 (A)는 본 발명을 각치수가 작은 건축 구조재에 적용했을 경우, 도 1의 (B)는 본 발명을 각치수가 큰 건축 구조재에 적용했을 경우를 각각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제 1 부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제 2 부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서 제 1 부재와 제 2 부재를 접속시킨 제 1 금구 또는 제 2 금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을 건축 구조재의 직교차하는 부위에 적용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전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서 피걸림 구멍과 걸림편과의 결합 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7은 종래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보강 금구 1-1 : 제 1 금구
1-2 : 제 2 금구 11 : 제 1 부재
111 : 되접어 꺾인 부분 112 : 수평부
113 : 수직부 114 : 피걸림 구멍
115 : 걸림편 116 : 타원형 구멍
117 : 체결 구멍 118 : 보강 리브
12 : 제 2 부재 2 : 고정구
A : 건축 구조재(기둥 등) A' : 건축 구조재(빔, 도리 등)

Claims (4)

  1. 직교차하는 건축 구조재의 상호간을 접속하는 건축용 보강 금구로서, 되접어 꺾인 부분을 구비한 수평부 및 수직부를 갖는 L자형의 제 1 부재와, 상기 제 1 부재와 대칭적으로, 되접어 꺾인 부분을 구비한 수평부 및 수직부를 갖는 좌우가 거꾸로 된 L자형의 제 2 부재를 맞댐 접속시킨 상하가 거꾸로 된 T자형의 제 1 금구와, 상기 제 1 금구와 동일한 사양의 제 2 금구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1 금구의 제 2 부재와 상기 제 2 금구의 제 1 부재, 및 상기 제 1 금구의 제 1 부재와 상기 제 2 금구의 제 2 부재를 각각 맞댐 접속하고, 직교차하는 건축 구조재의 각치수에 대응시켜서 슬라이드 조정 가능하게, 그리고 건축 구조재의 교차 부위를 감싸듯이 접속 고정시키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보강 금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금구 또는 상기 제 2 금구의 제 1 부재와 제 2 부재의 접속은, 상기 제 1 부재의 수평부와 수직부에 형성한 걸림편을, 상기 제 2 부재의 수평부와 수직부에 형성한 피걸림 구멍에 결합시켜 임시 고정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상기 제 1 부재의 수평부와 수직부에 형성한 체결 구멍을, 상기 제 2 부재의 수평부와 수직부에 형성한 타원형 구멍에 부합시켜서, 고정구에 의해, 양 부재 사이를 슬라이드 조정 가능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보강 금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금구의 제 2 부재의 되접어 꺾인 부분에 형성한 타원형 구멍에, 상기 제 2 금구의 제 1 부재의 되접어 꺾인 부분에 형성한 체결 구멍을 부합시켜서, 양 금구 사이를 슬라이드 조정 가능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보강 금구.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금구 및 상기 제 2 금구의 각 부재의 수평부와 수직부가 교차하는 부위에, 바깥측으로 팽출되는 보강 리브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보강 금구.
KR1020030076764A 2003-10-31 2003-10-31 건축용 보강 금구 KR2005004155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6764A KR20050041555A (ko) 2003-10-31 2003-10-31 건축용 보강 금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6764A KR20050041555A (ko) 2003-10-31 2003-10-31 건축용 보강 금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1555A true KR20050041555A (ko) 2005-05-04

Family

ID=372430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6764A KR20050041555A (ko) 2003-10-31 2003-10-31 건축용 보강 금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4155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14003B2 (ja) 連結金具及びこれを備えたフレーム並びにこれを用いた建築物
US5297886A (en) Connector bracket
JP4683579B1 (ja) 木造建築物の補強構造
JP2008019692A (ja) 筋かい接合部材
JP3998313B2 (ja) 接合金物
KR20050041555A (ko) 건축용 보강 금구
JP4177776B2 (ja) 耐震補強材
JP2007332743A (ja) 耐震補強部材および耐震補強工法
JP4461264B2 (ja) 耐震架構体
KR100386022B1 (ko) 내진용 보강구
JP2003336318A (ja) 建築用補強金具
KR200465675Y1 (ko) 방음벽 클램핑장치
JP2004257111A (ja) ユニットハウス構造
JP5229709B1 (ja) 火打兼用ブレース連結具
KR200273496Y1 (ko) 조립식 진열장
JP2002371632A (ja) 建築用補強金具
JP4305230B2 (ja) 柱と梁の接合構造
JP2008019693A (ja) 耐震補強部材および耐震補強工法
JP7482512B2 (ja) 仮囲い用コーナー部材
JP2004076345A (ja) 柱と梁の接合構造
JP3989277B2 (ja) 建造物用下地構造
JP5571896B2 (ja) ブレース材
JP4676609B2 (ja) ユニット式建物
JP2008008145A (ja) 角形鋼接合用の変形防止金物
KR100413862B1 (ko) 내진 보강 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