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36805A - 임산부용 건강관리 장치 - Google Patents

임산부용 건강관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36805A
KR20050036805A KR1020040082444A KR20040082444A KR20050036805A KR 20050036805 A KR20050036805 A KR 20050036805A KR 1020040082444 A KR1020040082444 A KR 1020040082444A KR 20040082444 A KR20040082444 A KR 20040082444A KR 20050036805 A KR20050036805 A KR 200500368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mount
change
pregnancy
weight
measur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24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02425B1 (ko
Inventor
우에다야스오
마루오모토요시
아시타카요시히코
혼다유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타니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타니타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타니타
Publication of KR200500368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68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24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242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9/00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 G01G19/44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for weighing persons
    • G01G19/50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for weighing persons having additional measuring devices, e.g. for heigh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5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diagnosis by means of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Measuring using microwaves or radio waves 
    • A61B5/053Measuring electrical impedance or conductance of a portion of the body
    • A61B5/0537Measuring body composition by impedance, e.g. tissue hydration or fat cont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1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immune or lymphatic systems
    • A61B5/412Detecting or monitoring sepsi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Immun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Measurement And Recording Of Electrical Phenomena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Living Body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임산부용 건강관리 장치에 있어서,
연산 수단, 및
판정 수단을 포함하고 있고,
연산 수단은 비임신시부터 측정시까지의 체중 증가량에 기초하여 비임신시부터 측정시까지의 체지방 변화량 및 체수분 변화량을 연산하고, 그리고
판정 수단은 연산된 체지방 변화량과 체수분 변화량에 기초하여 임산부의 건강상황을 판정한다.

Description

임산부용 건강관리 장치{HEALTH MANAGEMENT DEVICE FOR PREGNANT WOMAN}
(ⅰ)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임산부의 건강을 관리하는 장치, 특히 임산부의 부종이나 임신중독증에 관한 건강관리를 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ⅱ) 종래기술의 설명
종래, 임산부의 부종의 발생에 관해서는, 경골능을 엄지 손가락에서 누르고, 압흔이 남는지 아닌지로 판단되어 왔다. 또, 임신중독증에서의 부종에 관해서는, 일반적으로 다리에 부종이 보이고, 또한 최근 1주일에 500그램의 체중증가가 보인 경우에, 가벼운 임신중독증으로 판단되고, 부종이 전신에 미치면 심한 임신중독증으로 판단되고 있었다.
그러나, 부종의 판단은 진찰한 의사의 주관에 좌우되기 쉽고, 그리고 정량적인 판단을 할 수 없었다.
또, 체중의 증가도 그 날의 식사량, 배설량, 발한량 등에 따라 불균일이 커서, 500 그램 정도는 쉽게 변화되는 것이 알려졌다.
본 발명의 하나의 관점에 의하면, 임산부용 건강관리 장치에 있어서,
연산 수단, 및
판정 수단을 포함하고 있고,
연산 수단은 비임신시부터 측정시까지의 체중 증가량에 기초하여 비임신시부터 측정시까지의 체지방 변화량 및 체수분 변화량을 연산하고, 그리고
판정 수단은 연산된 체지방 변화량과 체수분 변화량에 기초하여 임산부의 건강상황을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산부용 건강관리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의하면, 임산부용 건강관리 장치에서, 연산 수단은, 비임신시부터 측정시까지의 체중 증가량에 제 1 소정 비율을 곱함으로써 비임신시부터 측정시까지의 체지방 변화량을 얻고, 그리고 비임신시부터 측정시까지의 체중 증가량에 제 2 소정 비율을 곱함으로써 비임신시부터 측정시까지의 체수분 변화량을 얻는다. 제 1 소정 비율은 바람직하게 약 58% 이고 및/또는 제 2 소정 비율은 바람직하게 약 29% 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의하면,
이 임산부용 건강관리 장치는, 상기 연산 수단이, 비임신시부터 측정시까지의 체중 증가량에 제 1 소정 비율을 곱함으로써 얻어진 값을 비임신시부터 측정시까지의 체지방 변화량으로 하고, 비임신시부터 측정시까지의 체중 증가량에 제 2 소정 비율을 곱함으로써 얻어진 값을 비임신시부터 측정시까지의 체수분 변화량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제 1 소정 비율은 약 58%이며, 및 /또는 상기 제 2 소정 비율은 약 29%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의하면, 판정 수단은 임신중독증의 발생을 판정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의하면, 임산부용 건강관리 장치는 적어도 현재의 체중과 비임신시의 체중을 임산부의 개인 데이터로서 입력하는 입력수단을 더 포함하고 있고, 그리고 연산 수단은 현재의 체중으로부터 비임신시의 체중을 감산하므로써 비임신시부터 측정시까지의 체중 증가량을 얻는다. 바람직하게, 임산부용 건강관리 장치는 임산부의 생체 전기 임피던스를 측정하는 임피던스 측정 수단을 더 포함하고 있고, 그리고 연산 수단은 적어도 입력 수단으로 입력된 현재의 체중과 임피던스 측정 수단으로 측정된 생체 전기 임피던스를 사용하여 생체 전기 임피던스분석법에 기초하여 현재의 체지방량과 체수분량을 연산하는 동시에, 이들 현재의 체지방량과 체수분량으로부터 상기 체지방 변화량과 체수분 변화량을 각각 뺌으로써 비임신시의 체지방량과 체수분량을 연산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의하면, 임산부용 건강관리 장치는 상기 연산 수단으로 연산된 체지방 변화량과 체수분 변화량을 기억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고 있고, 그리고 판정 수단은 메모리에 기억된 체지방 변화량과 체수분 변화량과의 각각의 변화의 추이로부터 판정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의하면, 임산부용 건강관리 장치에서, 판정 수단은 임산부에의 건강에 관한 어드바이스를 표시한다.
본 발명은 임산부용 건강관리 장치에 있어서,
연산 수단, 및
판정 수단을 포함하고 있고,
연산 수단은 제 1 및 제 2의 소정 비율(바람직하게 약 58% 및 약 29%)로 예를들어, 비임신시부터 측정시까지의 체중 증가량을 곱하므로서 비임신시부터 측정시까지의 체지방 변화량 및 체수분 변화량을 연산하고, 그리고
판정 수단은 연산된 체지방 변화량과 체수분 변화량에 기초하여 임산부의 건강상황을 판정하는 임산부용 건강관리 장치이다. 이에 따라, 임산부의 임신중독증이나 부종은 객관적으로 그리고 정량적으로 관리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임산부용 건강관리 장치는 적어도 현재의 체중과 비임신시의 체중을 임산부의 개인 데이터로서 입력하는 입력수단을 더 포함하고 있고, 그리고 연산 수단은 현재의 체중으로부터 비임신시의 체중을 감산하므로써 비임신시부터 측정시까지의 체중 증가량을 얻는다. 그러므로, 임산부는 비임신시의 체중을 단지 기억하므로서 용이하게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임산부용 건강관리 장치는 임산부용 건강관리 장치는 임산부의 생체 전기 임피던스를 측정하는 임피던스 측정 수단을 더 포함하고 있고, 그리고 연산 수단은 적어도 입력 수단으로 입력된 현재의 체중과 임피던스 측정 수단으로 측정된 생체 전기 임피던스를 사용하여 생체 전기 임피던스분석법에 기초하여 현재의 체지방량과 체수분량을 연산하는 동시에, 이들 현재의 체지방량과 체수분량으로부터 상기 체지방 변화량과 체수분 변화량을 각각 뺌으로써 비임신시의 체지방량과 체수분량을 연산하고, 이들 데이터는 임산부가 이들을 기억하지 못하거나 또는 이들이 비임신기에 측정되지 않았을 지라도 얻을 수 있어서, 임산부의 건강을 관리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임산부용 건강관리 장치는 상기 연산 수단으로 연산된 체지방 변화량과 체수분 변화량을 기억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고 있고, 그리고 판정 수단은 메모리에 기억된 체지방 변화량과 체수분 변화량과의 각각의 변화의 추이로부터 판정한다. 이에 따라, 부종 및/또는 임신 중독증은 추이에 근거해서 발생전에 평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임산부용 건강관리 장치는 임산부용 건강관리 장치에서, 어드바이스를 표시하여, 임산부가 편리하게 사용하게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의 임산부용 건강관리 장치는 연산 수단과 판정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연산 수단은 예를 들면 비임신시부터 측정시까지의 체중 증가량에 제 1 및 제 2 소정 비율(바람직하게는 약 58% 및 약 29%)을 곱함으로써, 비임신시부터 측정시까지의 체지방 변화량 및 체수분 변화량을 연산하고, 그리고 판정 수단은 연산된 체지방 변화량과 체수분 변화량에 기초하여 임산부의 건강상황을 판정한다.
이 판정 수단은, 부종의 발생을 판정한다.
이 판정 수단은, 임신중독증의 발생을 판정한다.
또, 본 발명에 따라서 임산부용 건강관리 장치는 적어도 현재의 체중과 비임신시의 체중을 임산부의 개인 데이터로서 입력하는 입력 수단을 더 구비하고, 그리고 상기 연산 수단은 현재의 체중으로부터 비임신시의 체중을 뺌으로써 비임신시부터 측정시까지의 체중 증가량으로 한다. 본 발명의 임산부용 건강관리 장치는, 임산부의 생체 전기 임피던스를 측정하는 임피던스 측정 수단을 더 구비하고, 그리고 상기 연산 수단은 적어도 상기 입력 수단으로 입력된 현재의 체중과 상기 임피던스 측정 수단으로 측정된 생체 전기 임피던스를 사용하여 생체 전기 임피던스 분석법에 기초하여 현재의 체지방량과 체수분량을 연산하는 동시에, 이들 현재의 체지방량과 체수분량으로부터 상기 체지방 변화량과 체수분 변화량을 각각 뺌으로써 비임신시의 체지방량과 체수분량을 연산한다.
또, 본 발명의 임산부용 건강관리 장치는 상기 연산 수단으로 연산된 체지방 변화량과 체수분 변화량을 기억하는 메모리를 더 구비하고, 그리고 상기 판정 수단은 상기 메모리에 기억된 체지방 변화량과 체수분 변화량과의 각각의 변화의 추이로부터 판정한다.
또, 상기 판정 수단은 임산부의 건강에 관한 어드바이스를 표시한다.
(실시예 1)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도면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임산부용 건강관리 장치(1)의 외관 사시도이다. 장치(1)는 크게는 측정부(2)와 표시/인쇄부(3) 그리고, 측정부(2)의 도시하지 않은 베이스판과 표시/인쇄부(3)에 고정되는 지지부(4)로 이루어진다. 이 측정부(2)는 공지의 체지방계와 동일한 구성이다. 측정부(2)는 내부에 체중측정 센서를 구비하고, 그리고 측정부(2)의 상면에 피측정자가 올라탐으로써 체중을 측정할 수 있다. 또, 측정부(2)의 상면에는, 양 다리 사이의 생체 전기 임피던스를 측정하기 위해 전류공급 전극(5A, 6A)과, 전압측정 전극(5B, 6B)을 구비하고 있다.
한편, 표시/인쇄부(3)는, 도 2에서 도시하는 조작부(7), 입력된 데이터나 결과표시를 위한 표시부(8), 측정 결과를 인쇄하는 인쇄부(9)로 이루어진다.
도 2의 조작부(7)는, 전원 스위치(10), 비측정자의 옷의 중량을 설정하는 테어(tare) 중량 설정키(11), 일시를 설정하기 위한 키(12), 성별·체형을 설정하는 키 그룹(13), 데이터 등을 설정하기 위한 텐 키(14)를 구비하고 있다.
도 3은, 임산부용 건강관리 장치(1)의 전기 블럭 다이어그램을 도시하는 것이다. 장치(1)는 마이크로컴퓨터를 구비한 제어부(15)를 구비하고 있다. 이 제어부(15)에 도 2의 조작부(7)의 각 스위치, 키가 접속되고, 표시부(8), 인쇄부(9)도 접속된다. 또, 측정부(2)로부터는, 정전류 발생 회로(16)를 통하여 전류공급 전극(5A, 6A)이 제어부(15)에 접속되고, 전압측정 회로(17)를 통하여 전압측정 전극(5B, 6B)이 제어부(15)에 접속된다. 체중측정 센서가 또한 제어부(15)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제어부(15)에는, 데이터를 기억하기 위한 메모리(18)가 접속되는 것 이외에, 임신주수 등의 일시 데이터를 발생시키는 시계회로(19)도 접속된다. 또한, 전원(20)은, 각 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것이다.
다음에 본 발명의 임산부용 건강관리 장치(1)의 동작을 도 4의 플로차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최초에 전원 스위치(10)를 누르면, 스텝S1에서 제어부(15)는, 마이크로컴퓨터나 메모리(18) 등을 초기화 한다. 이때, 과거의 측정 및 설정 데이터, 예를 들면 비임신시(임신전)일 때의 입력 데이터, 측정 데이터, 연산 결과 데이터 등은 그대로 기억해 둔다. 다음에 스텝S2에서 제어부(15)는 일시 설정이 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일시가 이미 설정되어 있으면, 스텝S4로 진행한다. 일시가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스텝S3에서 일시를 세팅한다. 이 일시 설정은, 일반 장치에서 사용되고 있는 것과 같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스텝S4에서는, 표시부(8)에 "옷의 중량, 즉 테어 중량을 텐 키(14)로 입력하고, 입력이 완료되면 테어 중량 설정키(11)를 눌러 주십시요"라고 표시를 한다. 그리고 피측정자가 텐 키(14)로 1.0kg을 입력하고, 테어 중량 설정키(11)를 누르면, 스텝S5에서 "Yes"라고 판단되어, 제어부(15)는 스텝S6으로 진행하고, 메모리(18)에 테어 중량을 기억한다. 스텝S5에서 테어 중량 설정키(11)를 누르지않으면, 스텝S4로 되돌아가, 테어 중량의 입력을 재촉하는 표시를 반복한다.
다음에, 스텝S7에서는, 성별·체형별을 설정하는 키 그룹(13)에서 피측정자에게 맞는 키를 누르도록 표시부(8)에 표시한다. 여기에서 피측정자가, 예를 들면 남성의 스탠다드일 경우, 도 2의 "남성" 표시의 범위내에서 "스탠다드"의 키를 누른다. 그렇게 하면, 스텝S8에서 입력을 판단하고, 스텝S9로 진행하고, 누른 키의 데이터를 메모리(18)에 기억한다. 스텝S8에서는, 키가 눌려질 때까지, 스텝S7로 되돌아가고, 키를 누르라고 계속하여 재촉한다. 마찬가지로 스텝S10부터 스텝S12에서는 피측정자의 연령을 입력하고, 메모리(18)에 기억하는 처리를 행한다. 스텝S13부터 스텝S15에서는 피측정자의 신장을 입력하고, 메모리(18)에 기억하는 처리를 행한다.
그리고 스텝S16에서는, 스텝S8에서 누른 키가 어떤것인지를 판단한다 이 경우에는 남성의 스탠더드이므로, "No"로 판단되고, 제어부(15)는 스텝S17로 진행한다. 스텝S17에서는, 피측정자가 전류공급 전극(5A, 6A)에 발끝을, 전압측정 전극(5B, 6B)에 발뒤꿈치를 접촉하고 측정부(2)에 올라탄 것을 확인하고 측정을 개시한다. 체중의 측정은, 체중 센서로부터의 출력을 제어부(15)에 받아들이고, 스텝S18에서 체중을 연산한다. 한편, 임피던스를 측정하기 위해서, 정전류회로(16)로부터 전극(5A, 6A) 사이에 일정 전류를 흘리고, 전극(5B, 6B) 사이의 전압을 전압측정 회로(17)로 측정하고, 전류와 전압의 관계로부터 임피던스를 스텝S18에서 연산한다. 스텝S18에서는, 측정한 체중으로부터 테어 중량을 감산하여, 피측정자의 체중을 측정하고; 임피던스로부터 체지방율을 연산하고; 체중에 체지방율을 승산하여 체지방량을 연산하고; 체중으로부터 체지방량을 감산하여 제지방량을 연산하고; 제지방량에 평균적 체수분율인 73.2%를 승산하여 체수분량을 연산하고; 신장과 체중으로부터 BMI(체격지수; Body Mass Index)를 각각 연산한다. 그리고 이 연산 결과는, 스텝S19에서 표시부(8)에 표시하는 동시에, 인쇄부(9)로부터 출력한다.
도 5는, 이 출력의 예이다. 측정 일시 이외에, 입력한 성별·체형·연령, 신장, 등의 개인 데이터, 스텝S17 및 스텝S18에서 측정 및 연산한 결과를 인쇄한다.
이 데이터를 표시 및 인쇄후, 제어부(15)는 스텝S4로 되돌아가 다음 데이터 입력을 기다린다.
상기 스텝S8에서 "머터너티" 키를 누르면, 스텝S16에서 "Yes"로 판단되어, 제어부(15)는 스텝S20으로 진행한다. 스텝S20에서는, 제어부(15)는 표시부(8)에 출산 예정일을 입력해 달라고 표시한다. 스텝S21에서 텐 키로부터의 연월일의 입력이 될 때까지, 스텝S20과 S21을 반복한다. 예정 연월일이 입력되면, 스텝S21에서 "Yes"로 판단되고, 그리고 제어부(15)는 스텝S22에서 입력된 출산 예정일과 측정일의 데이터로부터 임신주수를 연산하고, 스텝S23으로 진행하고, 스텝S23에서는, 임신전(비임신시)의 체중을 입력해 달라고 표시한다. 그리고 스텝S24으로 진행한다.
스텝S24에서는 텐 키로부터 비임신시의 체중의 입력이 될 때까지, 스텝S23과 S24를 반복한다. 체중값을 입력하면 스텝S24에서 "Yes"로 판단되고, 그리고 제어부(15)는 스텝S25로 진행하는데, 스텝S25에서는, 임신전(비임신시)의 체지방량을 입력해 달라고 표시한다. 텐 키로부터 체지방량이 입력되면, 스텝S26에서 "Yes"로 판단되고, 그리고 제어부(15)는 스텝S27로 진행한다. 이때, 일정시간 이내에 비임신시의 체지방량이 입력되지 않으면 스텝S26에서 "No"로 판단되고, 그리고 제어부(15)는 스텝S28에서 메모리(18)내의 비임신시 체지방량 플래그에 1을 정하고 스텝S27로 진행한다.
스텝S27에서는, 제어부(15)는 임신전(비임신시)의 체수분량을 입력해 달라고 표시한다. 체수분량이 텐 키로부터 입력되면, 스텝S29에서 "Yes"로 판단되고, 제어부(15)는 스텝S30으로 진행한다. 이때, 일정시간 이내에 비임신시의 체수분량이 입력되지 않으면, 스텝S29에서 "No"로 판단되고, 제어부(15)는 스텝S31에서 메모리(18)내의 비임신시 체수분량 플래그에 1을 정하고 스텝S30으로 진행한다. 스텝S30에서는 제어부(15)는 임산부의 부종이나 임신중독증에 관계되는 데이터를 입력해 달라고 표시한다. 텐 키로부터 데이터가 입력되면, 스텝S32에서 "Yes"로 판단되고, 그리고 스텝S33에서 이들 입력된 데이터 및 플래그의 상태를 메모리(18)에 기억한다. 스텝S32에서, 입력하는 데이터는, 임신중독증의 판정에 관계되는 확장기 및 수축기의 혈압값, 24시간 요로 엔바흐법(Enbach method) 또는 이것에 준하는 측정법으로 조사한 단백뇨의 데이터, 임산부의 부종이 전신에 미치고 있는지 일부만인지 등이다. 또한, 스텝S32에서 데이터 입력이 없으면, 제어부(15)는 스텝S33으로 진행한다.
스텝S33에서, 제어부(15)는 스텝S20 이후에 입력된 데이터를 메모리(18)에 기억하여 스텝S17로 진행한다.
"머터너티" 모드의 경우에는, 스텝S17의 처리는 일반적인 경우와 같다. 하지만, 스텝S18에서의 데이터 연산에서, "머터너티" 모드는 통상의 경우에 비해 추가되는 것은 이하와 같다.
도 6에 도시하는 그래프(메모리(18)에 데이터가 기억되어 있슴)로부터 임신주수에 대응한 태아체중, 양수중량, 태반중량을 읽어 낸다. 이들은 테어 중량을 감산한 측정 체중으로부터 이것들을 더 감산함으로써 태아부분중량을 뺀 체중을 구한다. 이 체중에 기초하여 측정 시점에서의 체지방율, 체지방량, 제지방량, 체수분량, 체수분량/체지방량(TBW/FAT)을 연산한다.
또한, 스텝S17에서 측정한 현재의 체중으로부터 스텝S24에서 입력한 비임신시의 체중을 감산하여, 비임신시부터 측정시까지의 체중 증가량을 판정한다. 또, 비임신시부터 측정시까지의 체지방량의 증가량 및 체수분량의 증가량은, 스텝S17에서 측정한 체중 및 임피던스 등의 데이터를 사용하여 생체 전기 임피던스법에 기초하여 스텝S18에서 연산한 현재의 체지방량 및 체수분량으로부터, 스텝S26 및 스텝S29에서 입력한 비임신시의 체지방량 및 체수분량을 감산하여 구한다. 그러나, 임산부는 일반적으로 비임신시의 체중, 체지방량, 체수분량 등의 데이터를 기억하고 있는 사람은 적고, 기억하고 있어도 체중 정도이다.
이것에 대해, 본 발명자는, 비임신시부터 측정시까지의 체중 증가량에 대하여, 비임신시부터 측정시까지의 체지방 변화량 및 체수분 변화량이, 각각 약 58%, 약 29%인 것을 발견했다.
예를들면, 비임신시의 체중이 50kg이고, 측정시의 체중이 55kg일 때 체중 증가량은 5kg이 된다. 이 5kg에 58%, 29%를 곱하면, 각각 2.9kg, 1.45kg이 되고, 비임신시부터 측정시까지의 체지방 변화량과 체수분 변화량이 구해진다. 즉, 이 값을 측정시의 체지방량, 체수분량으로부터 감산하면, 비임신시의 체지방량, 체수분량이 구해지게 된다.
본 발명자는 이 비율이 임신 6주부터 16주까지 변화 없고, 또한 입덧 등으로 체중이 변화해도 비율의 변화가 없는 것을 발견했다. 그 때문에, 임신 6주부터 16주 사이에 적어도 1회 측정한 때에는, 스텝S28 및/또는 스텝S31에서 설정된 플래그가 1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플래그에 1이 정해져 있으면 이 스텝S18에서 비임신시부터 현재까지의 체중 증가량에 이 비율을 곱하여, 비임신시부터 측정시까지의 체지방 변화량 및/또는 체수분 변화량을 판정하는 동시에, 현재의 체지방량 및 체수분량으로부터 체지방 변화량과 체수분 변화량을 감산하여, 비임신시의 체지방량과 체수분량을 판정한다.
이 체지방량과 체수분량의 연산은, 임신 6주부터 16주까지의 사이에서 적어도 1회 측정하고, 구한 비임신시의 체지방량과 체수분량을 메모리(18)에 기억해 두면, 임신중기나 말기라도, 비임신시부터 측정시까지의 체지방 변화량, 체수분 변화량의 데이터를 연산할 수 있다.
그리고 그 결과는 메모리(18)에 기억해 두는 동시에, 스텝S19에서 표시부(8)에 표시하고, 인쇄부(9)에서 출력한다. 임신 24주에 5일을 더하여 측정한 출력의 예는, 도 7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 5의 예에 대해 임신주수, 태아부분중량을 빼기 전인 보정전 체중(테어 중량은 감산되어 있음)과 뺀 후인 보정후 체중의 인자, 태아체중, 양수중량, 태반중량, 태아부분중량을 빼기 전의 체중(테어 중량은 감산되어 있음)과 신장으로부터 구하는 보정전 BMI, 비임신시 체중, 비임신시 체지방량, 비임신시 체수분량, 임신전부터 측정시까지의 체중 증가량, 체지방 변화량, 체수분 변화량, 현재의 건강 상태에 대한 코멘트(후술)가 추가되어 있다. 여기에서의 보정전 BMI를 연산하고, 표시 또는 인쇄하는 것은, 이 보정전 BMI의 값에 의해 태아의 성장 상황을 판단하는 산부인과의에의 데이터 제공을 위해서다.
또한, 마찬가지로 데이터 제공을 위해 도 7에서 도시하는 출력예, 또는 표시기(8)의 표시에 추가하는 형태로, 비임신시의 BMI를 인쇄 또는 표시해도 좋다.
이 표시 및 인쇄의 스텝S19이 종료하면, 제어부(15)는 스텝S4로 되돌아가 다음 데이터 입력을 기다린다.
상기 건강 상태에 대한 코멘트는,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주로 비임신시부터 현재까지의 체지방 변화량과 체수분 변화량의 그래프에서 판단된다. 이 판단에 사용하는 그래프의 데이터는, 메모리(18)에 기억되어 있다. 스텝S18에서 현재의 체지방 증량과 체수분 변화량을 연산했을 때, 현재의 위치를 그래프로부터 판단하고, "지방과 수분의 밸런스가 무너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비만에 주의하세요.", "체중 증가, 체지방 증가가 임신중기에 일어나면 임신 후기에 부종이 강하게 생기거나, 혈압이 상승하여 중독증이 되기 쉬워집니다.", "체수분이 지나치게 증가합니다. 발이나 손이 부어 있지는 않습니까? 섭취 칼로리는 계산하고 있습니까? 매운 것을 지나치게 먹거나 물을 다량으로 마시거나 하고 있지 않습니까 ?", 또는 "지방과 수분의 밸런스가 좋지 않습니다. 중독증의 가능성도 있으므로 검진에서의 결과에 주의해 주십시요." 등의 코멘트를 미리 기억하고 있는 메모리(18)로부터 호출하여 표시 및/또는 인쇄를 한다.
도 8의 그래프는, 비임신시 또는 임신의 직후를 원점(변화량 0인 곳)으로 하고, 비임신시 또는 임신의 직후부터 측정시의 체지방량과 체수분량이 어느 만큼 변화되었는지를 플롯하고, 그 위치에 따라 부종이나 중독증의 발생 상태를 판정 하게 된다. 도 8의 그래프에서, 비임신시의 BMI가 18미만, 18∼24, 24 이상과 같이 체격별로 정상범위, 중독증, 부종의 범위가 변하므로, 그래프는 체격별로 메모리(18)에 기억해 두는 동시에, 임신주수마다에도 이들 범위가 변하므로 메모리(18)에 기억해 둔다. 예를들면 체격을 3구분으로 하고, 임신 주수를 3구분(임신 전기: 0∼15주, 중기: 16∼27주, 후기: 28주 이후)로 하면, 메모리(18)에는 9종류의 그래프를 기억한다. 도 8은, BMI가 18∼24이고, 임신중기(16∼27주)의 판정 범위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 판정 범위의 이해를 위해, 참고로 다른 체격의 정상범위도 파선으로 나타낸다.
또한, 도 8의 그래프에 원점(비임신시의 데이터)으로부터 임신주수의 추이에 따라 측정 시점의 상태를 플로팅하고, 플롯 점의 위치와 플롯 점이 어느 방향으로 이동해 가고 있는지를 제어기(15)에서 해석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판단하고, 건강 상태의 코멘트를 표시 또는 인쇄해도 좋다. 이때 건강 상태의 판단의 정밀도를 높이기 위해서, 측정 회수는 많은 편이 좋다. 도 8에서는 BMI가 18∼24이고, 임신 20주인 사람의 측정결과를 나타낸다. 체지방 변화량은 2.5kg, 체수분 변화량이 3.0kg으로 정상범위로부터는 벗어나 있는데, 지지난주(18주)였을 때에는 정상범위에 있은 것이 판명되었다. 하지만, 지지난 주부터 측정일까지의 이동 방향이 경증범위를 향하고 있으므로, 경증의 임신 부종/임신중독증이 발생할 가능성이 예상된다. 그 취지의 코멘트를 도 4의 스텝S19에서 표시 또는 인쇄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체수분량이나 체지방량의 연산에 태아부분의 중량을 제외한 보정체중을 가지고 연산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측정한 체중 그 자체로 연산해도 연산 결과는 동일한 경향을 보이는 것이 판명되었다. 따라서, 보정전 체중을 가지고 연산해도 좋다.
본 발명은, 비임신시부터 측정시까지의 체중 증가량에 기초하여, 예를 들면 비임신시부터 측정시까지의 체중 증가량에 제 1 및 제 2 소정 비율(바람직하게는 약 58% 및 약 29%)을 곱함으로써, 비임신시부터 측정시까지의 체지방 변화량 및 체수분 변화량을 연산하는 연산 수단과, 연산된 체지방 변화량과 체수분 변화량에 기초하여 임산부의 건강상황을 판정하는 판정 수단을 갖춘 임산부용 건강관리 장치이며, 객관적, 정량적으로 부종이나 임신중독증 등의 임산부의 건강관리를 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임산부용 건강관리 장치는, 적어도 현재의 체중과 비임신시의 체중을 임산부의 개인 데이터로서 입력하는 입력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연산 수단이, 현재의 체중으로부터 비임신시의 체중을 감소시킴으로써 얻어진 값을 비임신시부터 측정시까지의 체중 증가량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며, 임산부는, 비임신시의 체중을 기억하고 있는 것 만으로, 간단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임산부용 건강관리 장치를, 임산부의 생체 전기 임피던스를 측정하는 임피던스 측정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연산 수단이, 적어도 상기 입력 수단으로 입력된 현재의 체중과 상기 임피던스 측정 수단으로 측정된 생체 전기 임피던스를 사용하여 생체 전기 임피던스법에 기초하여 현재의 체지방량과 체수분량을 연산하는 동시에, 이들 현재의 체지방량과 체수분량으로부터 상기 체지방 변화량과 체수분 변화량을 각각 감소시킴으로써 비임신시의 체지방량과 체수분량을 연산하는 것으로 한 경우에는, 이들 데이터를 임산부가 기억하고 있지 못하거나, 또는 비임신시에 측정하지 않았더라도 구할 수 있어, 임산부의 건강관리를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임산부용 건강관리 장치는, 상기 연산 수단으로 연산된 체지방 변화량과 체수분 변화량을 기억하는 메모리를 더 구비하고, 상기 판정 수단이, 상기 메모리에 기억된 체지방 변화량과 체수분 변화량의 각각의 변화의 추이로부터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며, 부종이나 임신중독증이 되기 전에 변화의 추이로부터 예측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임산부용 건강관리 장치는, 임산부에의 건강에 관한 어드바이스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며, 임산부에게 있어서 사용편리성이 좋은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외관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표시/인쇄부를 도시하는 다이어그램이다.
도 3은 전기 블럭 다이어그램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플로차트이다.
도 5는 머터너티 이외의 인쇄의 예를 도시하는 다이어그램이다.
도 6은 임신주수와 태아부분중량과의 관계를 도시하는 다이어그램이다.
도 7은 머터너티의 인쇄의 예를 도시하는 다이어그램이다.
도 8은 체지방 변화량과 체수분 변화량의 관계를 도시하는 다이어그램이다.

Claims (11)

  1. 임산부용 건강관리 장치에 있어서,
    연산 수단, 및
    판정 수단을 포함하고 있고,
    연산 수단은 비임신시부터 측정시까지의 체중 증가량에 기초하여 비임신시부터 측정시까지의 체지방 변화량 및 체수분 변화량을 연산하고, 그리고
    판정 수단은 연산된 체지방 변화량과 체수분 변화량에 기초하여 임산부의 건강상황을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산부용 건강관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 수단은, 비임신시부터 측정시까지의 체중 증가량에 제 1 소정 비율을 곱함으로써 비임신시부터 측정시까지의 체지방 변화량을 얻고, 그리고 비임신시부터 측정시까지의 체중 증가량에 제 2 소정 비율을 곱함으로써 비임신시부터 측정시까지의 체수분 변화량을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산부용 건강관리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소정 비율은 약 58%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산부용 건강관리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소정 비율은 약 29%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산부용 건강관리 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소정 비율은 약 58%이며, 상기 제 2 소정 비율이 약 29%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산부용 건강관리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 수단은 부종의 발생을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산부용 건강관리 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5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 수단은 임신중독증의 발생을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임산부용 건강관리 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5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입력 수단을 더 포함하고 있고,
    입력 수단은 적어도 현재의 체중과 비임신시의 체중을 임산부의 개인 데이터로서 입력하고, 그리고
    상기 연산 수단은 현재의 체중으로부터 비임신시의 체중을 감산하므로써 비임신시부터 측정시까지의 체중 증가량을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산부용 건강관리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임피던스 측정 수단을 더 포함하고 있고,
    임피던스 측정 수단은 임산부의 생체 전기 임피던스를 측정하고, 그리고
    상기 연산 수단은 적어도 상기 입력 수단으로 입력된 현재의 체중과 상기 임피던스 측정 수단으로 측정된 생체 전기 임피던스를 사용하여 생체 전기 임피던스분석법에 기초하여 현재의 체지방량과 체수분량을 연산하는 동시에, 이들 현재의 체지방량과 체수분량으로부터 상기 체지방 변화량과 체수분 변화량을 각각 뺌으로써 비임신시의 체지방량과 체수분량을 연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산부용 건강관리 장치.
  10. 제 1 항 내지 제 5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메모리를 더 포함하고 있고,
    메모리는 상기 연산 수단으로 연산된 체지방 변화량과 체수분 변화량을 기억하고, 그리고
    상기 판정 수단은 상기 메모리에 기억된 체지방 변화량과 체수분 변화량과의 각각의 변화의 추이로부터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산부용 건강관리 장치.
  11. 제 1 항 내지 제 5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 수단은 임산부에의 건강에 관한 어드바이스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산부용 건강관리 장치.
KR1020040082444A 2003-10-16 2004-10-15 임산부용 건강관리 장치 KR1006024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356888 2003-10-16
JP2003356888 2003-10-16
JPJP-P-2004-00218848 2004-07-27
JP2004218848A JP4791716B2 (ja) 2003-10-16 2004-07-27 妊婦用健康管理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6805A true KR20050036805A (ko) 2005-04-20
KR100602425B1 KR100602425B1 (ko) 2006-07-20

Family

ID=343804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2444A KR100602425B1 (ko) 2003-10-16 2004-10-15 임산부용 건강관리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160257B2 (ko)
EP (1) EP1523935B1 (ko)
JP (1) JP4791716B2 (ko)
KR (1) KR100602425B1 (ko)
CN (1) CN1306908C (ko)
DE (1) DE602004013103T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5101B1 (ko) * 2020-04-21 2020-11-05 (주)아주르852 임산부의 산전산후 시기별 체형 관리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89776B2 (ja) 2005-03-28 2010-12-01 株式会社タニタ 妊婦用生体測定システム
JP4890121B2 (ja) * 2006-06-30 2012-03-07 浜松ホトニクス株式会社 トレーニングメニュー作成システムおよびトレーニングメニュー作成方法
JP4902311B2 (ja) * 2006-10-23 2012-03-21 株式会社タニタ 腹部インピーダンス式胎児発育状況推定装置
US10178965B2 (en) * 2007-06-22 2019-01-15 Ipventure, Inc. Activity monitoring system for pregnant women
ES2736950T3 (es) * 2012-04-26 2020-01-09 Fresenius Medical Care Deutschland Gmbh Electrodos para un dispositivo de medición de bioimpedancia y dispositivos usados durante diálisis
EP3733062A4 (en) * 2017-12-28 2021-09-22 Tanita Corporation HEALTH ASSESSMENT DEVICE AND PROCESS, AND PROGRAM
EP3984444A1 (en) * 2020-10-15 2022-04-20 Koninklijke Philips N.V. Measurement of blood pressure and edema, for example as an indication of an increased likelihood of pre-eclampsia
CN116030979A (zh) * 2022-12-29 2023-04-28 中山佳维电子有限公司 一种妊娠期妇女身体指标监控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95163A (en) * 1988-05-24 1990-01-23 Bio Analogics, Inc. System for body impedance data acquisition
TW514510B (en) * 1999-06-11 2002-12-21 Tanita Seisakusho Kk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distribution of body fat
JP3682909B2 (ja) * 1999-08-12 2005-08-17 株式会社タニタ 妊婦用体重計
JP3722654B2 (ja) * 1999-09-03 2005-11-30 株式会社タニタ 出産後の体調回復判断装置
JP3866943B2 (ja) * 2000-08-04 2007-01-10 株式会社タニタ 体重管理装置
DE60204262T2 (de) * 2001-07-24 2006-01-26 Tanita Corp. Körperfettmesssystem für schwangere Frauen
JP4175603B2 (ja) * 2001-10-04 2008-11-05 株式会社タニタ 妊婦用健康管理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5101B1 (ko) * 2020-04-21 2020-11-05 (주)아주르852 임산부의 산전산후 시기별 체형 관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523935A1 (en) 2005-04-20
DE602004013103T2 (de) 2009-06-10
US20050085742A1 (en) 2005-04-21
JP4791716B2 (ja) 2011-10-12
DE602004013103D1 (de) 2008-05-29
CN1306908C (zh) 2007-03-28
EP1523935B1 (en) 2008-04-16
CN1608580A (zh) 2005-04-27
KR100602425B1 (ko) 2006-07-20
US7160257B2 (en) 2007-01-09
JP2005137885A (ja) 2005-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279367B1 (en) Body fat measuring system for pregnant women
TW471958B (en) Bio-characteristic value measuring device with graphical display
JP4589776B2 (ja) 妊婦用生体測定システム
US7146207B2 (en) Health administration apparatus
KR100602425B1 (ko) 임산부용 건강관리 장치
JP2001078977A (ja) 婦人用体調判定方法及び婦人用体調管理装置
EP1481634B1 (en) Body composition management apparatus for pregnant woman
CN100428910C (zh) 基础代谢率测定装置
US6587716B2 (en) Method and instrument for estimating condition of growing ovum
JP4279481B2 (ja) 妊婦用健康管理装置
JP4279502B2 (ja) 妊婦用体脂肪測定装置
JP2007203086A (ja) 妊婦用健康管理装置
JP4175603B2 (ja) 妊婦用健康管理装置
JP5134660B2 (ja) 妊婦用生体測定システム
EP1683480B1 (en) Basal metabolic rate measuring device
JP2003093363A (ja) 内臓脂肪計
JP2003111741A5 (ko)
JP2007244893A (ja) 妊婦用体脂肪測定装置
JP2006288678A (ja) 基礎代謝量測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