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34755A - 음향효과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가진 원격단말 - Google Patents

음향효과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가진 원격단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34755A
KR20050034755A KR1020057003589A KR20057003589A KR20050034755A KR 20050034755 A KR20050034755 A KR 20050034755A KR 1020057003589 A KR1020057003589 A KR 1020057003589A KR 20057003589 A KR20057003589 A KR 20057003589A KR 20050034755 A KR20050034755 A KR 200500347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xing
sound effect
sound
user information
mem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35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르쿠스 안데르트
프랑크 블라임베르거
발터 엥글
알렉산더 야르크치크
롤란트 켈러
마티아스 슈나이더-후프슈미트
카틀렌 슈타알베르크
Original Assignee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0500347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4755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by connection of exchangeable housing pa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04M1/7243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for voice messaging, e.g. dicta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4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playing music fi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1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with dictation recording and playback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향 사용자 정보를 기록하는 기록장치(20), 음향효과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42), 및 믹싱 장치(40)를 포함하는 원격통신 단말(10)에 관한 것이며, 믹싱장치(40)는 믹싱 동작모드에서 기록장치(20)에 의하여 기록된 음향 사용자 정보가 메모리(42)에 저장된 음향효과 데이터를 사용하여 수정되도록 구현된다. 게다가, 원격통신 단말(10)은 믹싱장치(40)에 접속되며 미리 결정된 동작기간후에 믹싱모드를 자동적으로 종료시키는 제어장치(44)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음향효과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가진 원격단말{TELE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A MEMORY FOR STORING ACOUSTIC EFFECT DATA}
본 발명은 음향 사용자 정보, 특히 음성 정보를 기록하는 기록장치, 음향효과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기록 장치 및 메모리에 접속되는 믹싱 장치를 포함하는 원격단말에 관한 것이며, 믹싱장치는 믹싱 동작모드에서 기록장치에 의하여 기록된 음향 사용자 정보가 메모리에 저장된 음향효과 데이터를 사용하여 수정되도록 구현된다.
유럽특허출원 EP 1 109 379 A1(ASCOM AG)는 음성정보를 전송하는 원격통신 단말을 기술하는데, 이 원격통신 단말은 음성정보로 하여금 저장된 배경 사운드들 또는 배경 음악을 동반하도록 한다. 앞의 문헌에 따라 기술된 원격통신 단말은 원격통신 단말 또는 경우에 따라 전송될 음성정보가 매우 제한된 범위에서만 개별적으로 취급될 수 있는 단점을 가진다. 이를 확장하기 위하여, 앞의 문헌에 기술된 방법은 배경 사운드들 또는 음악이 영구적으로 수반되도록 하며, 이러한 수반은 요구될때 수동적으로 비활성화될 수 있다. 음성정보 또는 다른 전송된 정보를 짧은 지원 또는 장식 정보 또는 보조 감정 정보에 의하여 수정함으로서 원격통신 단말을 개별적으로 취급할 수 있는 가능성이 공지되어 있지 않다.
도 1은 제 1 및 제 2 통신 단말로 구성되는 통신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제 1 통신 단말의 기능 엘리먼트들은 특별히 제공되는 음향 효과들을 더하거나 또는 경우에 따라서는 적분하기 위해 구현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전송될 필요가 있는 음성 정보의 음향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 통신 단말 또는 경우에 따라서는 원격통신 단말을 위한 보조 장치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특정 상황에 호환가능하고 또는 특정 상황에 비례하는 방식으로 전송될 사용자 정보를 수정함으로서 개별적으로 취급되도록 하는 원격통신 단말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은 음향 사용자 정보, 특히 음성정보를 기록하는 기록장치, 음향효과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기록장치 및 메모리에 접속된 믹싱 장치를 포함하는 원격통신 단말에 의하여 달성되며, 이러한 믹싱장치는 믹싱 동작모드에서 기록장치에 의하여 기록된 음향 사용자 정보가 메모리에 저장된 음향 효과 데이터를 사용하여 수정되도록 구현된다. 원격통신 단말은 믹싱장치에 접속된 제어장치를 가지며, 시작된 믹싱 동작모드는 미리 결정된 동작기간의 만료시에 제어장치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종료된다.
앞서 기술된 원격통신 단말 또는 경우에 따라 믹싱장치가 믹싱 동작모드에 있을때, 기록 장치에 의하여 기록된 음향 사용자 정보는 저장된 음향 효과 데이터를 사용하여 믹싱장치에서 수장될 것이다. 제어 장치는 믹싱 동작모드가 시작되기전에 또는 믹싱 동작모드가 진행중인동안 음향효과 데이터에 할당된 동작기간을 결정한다. 제어장치는 (미리 결정된) 동작기간의 만료시에 믹싱 동작모드를 자동적으로 종료한다.
이와같이 구현된 원격통신 단말은 음향 사용자 정보가 매우 융통성있게 수정되고 또한 특정 상황들에 따르도록 한다. 음향효과 데이터에 할당된 동작기간을 결정하면, 음향 사용자 정보에는 긴기간의 배경 사운드들 또는 음악이 제공되며 음향 사용자 정보는 감정 음성정보가 예컨대 팡파르 또는 징과 같은 짧은 사운드들을 따르거나 또는 이 짧은 사운드에 의하여 지원되도록 한다. 음향효과 데이터는 음향효과 데이터를 제공하는 전송될 최대 볼륨 또는 특정 조건들(예컨대, 통산 파트너들이 이동전화의 주소책에 포함될때 이동전화의 경우에 음향효과들이 가능한 조건)과 같은 제어 데이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통신 단말들은 예컨대 임의의 타입의 고정 네트워크 또는 이동 전화들일 수 있으나, GSM(이동통신세계화시스템) 또는 UMTS(범용 이동통신 시스템) 이동 무선 모듈들을 가진 조직자 또는 팜톱들이라 불리는 원격통신 모듈들(예컨대, 이동 무선모듈들)을 갖춘 장치들일 수 있다. 원격통신 단말들은 음성을 전송하고 및/또는 음성을 기록하며 및/또는 음성을 제공하도록 구현된 컴퓨터들(예컨대 음성-오버-IP 시스템들)과 같은 데이터 네트워크에 접속된 장치들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기록 장치들은 음향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예컨대 마이크로폰들과 같은 다양한 타입의 음향-전기 트랜스듀서들일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메모리들은 예컨대 전자 저장 소자들 및 광 또는 자기 메모리들일 수 있다. 메모리는 예컨대 칩 카드들 또는 교환가능한 메모리 모듈(예컨대 멀티미디어 카드)오 같은 교환가능한 엘리먼트들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특히 원격통신 단말들이 이동전화로서 구현될때 메모리는 교환가능한 하우징 셸들이라 불리는 장치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공되며, 이 장치는 상기 메모리를 액세스하기 위하여 예컨대 적어도 하나의 하우징 셸에 그리고 셸에 의하여 둘러싸인 베이스 소자(이 예에서 기록 장치, 믹싱 장치들을 가짐)에 전기 접촉부들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최소 기술적 노력으로 믹싱 장치의 믹싱 동작모드가 활성화되는 기간으로 불리는 미리 결정된 동작기간을 제어장치로 하여금 결정하도록 하기 위하여, (미리 결정된) 동작기간은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미리 결정된) 동작기간을 결정하기 위하여, 제어장치는 메모리 영역으로부터 동작기간을 판독할 필요가 있으며, 믹싱 동작모드가 시작한후에 (미리 결정된) 동작기간의 만료시에 이를 자동적으로 종료시킬 수 있다.
원격통신 단말은 음향효과 데이터가 톤 데이터를 포함하거나 또는 경우에 따라 사운드 데이터를 포함하도록, 그리고 믹싱 장치가 믹싱 모드에서 구현되어 음향 사용자 정보가 톤 데이터(사운드 데이터)에 의하여 믹싱모드에서 수행되도록 하는 유리한 실시예를 가질 수 있다. 톤 데이터(사운드 데이터)는 예컨대 전자 형식으로 저장된 사운드 또는 음악 데이터일 수 있다. 이러한 종류의 데이터는 예컨대 WAV 또는 MP3 형식으로 구현되는 압축 형식으로 아날로그 형식(예컨대, 음악 카세트들) 또는 디지털 형식으로 저장될 수 있다. 톤 데이터(사운드 데이터)는 일반적으로 예컨대 짧은 경고 톤들, 감정 사운드들 또는 짧은 톤들(방울 소리)(예컨대, 경적, 벨, 또는 웃음, 팡파르, 서명 톤 및 단일 톤 또는 멜로디를 포함함)을 포함할 수 있다.
그 다음에, 믹싱 장치는 입력된 음향 사용자 정보에 톤 데이터(사운드 데이터)를 배경으로서 공급할 수 있으며, 이는 음향 사용자 정보의 수신이 사용자 정보에 중첩된 톤 데이터를 청취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예컨대 배경음악 또는 배경 사운드를 가진 믹싱 음성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그 다음에, 제어장치는 동작기간의 만료시에 배경 믹싱을 자동적으로 종료할 것이다. 그러나, 동작기간은 "끝없는 기간"일 수 잇으며("끝 없는 기간"은 예컨대 문자 스트링으로 표현될 수있다), 이에 다라 믹싱 동작모드는 사용자에 의하여 수동으로 종료될때까지(예컨대, 정지 키에 의하여( 또는 원격통신 접속이 종료될때까지 지속된다.
음향효과 데이터는 특징 톤 데이터, 경우에 따라 톤 제어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원격통신 단말은 메모리 및 믹싱 장치에 접속되며 특징 톤 데이터로부터 톤 데이터(사운드 데이터)를 발생시키는 톤 데이터 발생기를 포함하며, 믹싱 장치는 믹싱 동작모드에서 실행되고 특징 톤 데이터로부터 발생된 톤 데이터(사운드 데이터)의 배경을 음향 사용자 정보에 제공한다. 특징 톤 데이터(예컨대, MIDI 데이터; MIDI: 음악 도구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저장하면 음향 보조 정보가 더 효율적으로 저장될 수 있다. 톤 데이터(사운드 데이터)는 톤 데이터가 예컨대 배경 사운드 또는 배경 음악의 형태로 음향 사용자 정보에 대한 배경으로서 제공되거나 또는 신호 톤으로서 제공되는 톤 데이터 발생기(예컨대, 합성기)에 의하여 특징 톤 데이터로부터 발생된다.
음향 사용자 정보가 수정되거나 또는 경우에 따라 음향효과 데이터를 사용하여 조작될때, 동작기간은 음향 효과 데이터의 동작기간에 대응할 수 있다. 이는 제어장치가 예컨대 믹싱 장치까지의 음향효과 데이터의 스트림을 추적하고 데이터 스트림이 종료될때를 인식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로서, 제어 장치는 예컨대 음향효과 데이터의 동작기간을 측정할 수 있는 반면에, 사용자 정보는 수정되어 음향 효과 데이터가 더 존재하지 않을때 믹싱 동작모드를 비활성화시킨다. 그러나, 제어장치는 음향효과 데이터의 볼륨을 결정할 수 있으며 예컨대 사용된 데이터 포맷을 인식으로 인하여 동작기간을 계산할 수 있다.
음향효과 파일은 (미리 결정된) 동작기간을 가진다. 만일 음향효과 데이터의 동작기간이 (예컨대, 메모리에) 저장된 (미리 결정된) 동작기간보다 짧으면, 믹싱 장치는 동작기간이 만료되고 제어장치가 믹싱 동작기간을 종료할때까지 음향 효과 데이터가 반복적으로 사용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반복인자는 예컨대 메모리에 추가로 저장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동작기간은 반복인자 및 음향효과 데이터의 곱과 일치하게 될 수 있다. 음향효과 데이터의 동작기간은 음향효과 데이터의 스트림을 관찰 또는 경우에 따라 측정하거나 또는 음향효과 데이터의 볼륨을 결정함으로서 결정될 수 있다. 동작기간은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만일 음향효과 데이터에 할당된 1의 반복인자가 메모리에 저장되면, 동작기간은 앞서 기술된 동작기간과 일치할 것이다. 저장된 음향효과 데이터, 예컨대 톤 데이터(사운드 데이터) 또는 특징 톤 데이터로부터 획득된 톤 데이터는 큰 반복인자들을 위하여 종종 반복될 것이다. "끝없는 동작"(끝없는 동작은 예컨대 문자 스트링으로 표현될 수 있음)을 위한 반복인자에 대하여, 저장된 음향효과 데이터, 예컨대 톤 데이터(사운드 데이터) 또는 특징 톤 데이터로부터 획득된 톤 데이터는 믹싱 동작모드가 예컨대 사용자에 의하여 수동으로 종료될때까지 또는 통신 접속 전체가 종료될때까지 반복될 것이다.
통화 정보의 감정 내용은 반복의 수를 변경시킴으로서 선택적으로 강화될 수 있다. 이러한 예로서, 팡파레 신호 또는 웃음소리의 재생은 동일한 신호를 두번 또는 3번 재생하는 것 또는 경우에 따라 그것을 반복하는 것과 비교하여 약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음향효과 데이터는 왜곡 특징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믹싱장치는 왜곡 특징들을 사용하여 음향 사용자 정보를 왜곡하는 믹싱 동작모드로 구현된다.
앞서 언급된 목적은 음향 사용자 정보, 특히 음성 정보를 기록 또는 경우에 따라 등록하는 기록장치, 음향효과 데이터를 위한 메모리, 및 기록 장치 및 메모리에 접속된 믹싱장치를 가지는 원격통신 단말에 의하여 본 발명의 양상에 따라 달성되며, 상기 메모리는 왜곡특징들을 포함하며, 믹싱 장치는 왜곡특징들을 사용하여 음향 사용자를 왜곡시키기 위하여 믹싱동작모드로 구현된다.
왜곡은 믹싱장치에서 음향 사용자 정보의 주파수 스펙트럼에 대한 형상을 선택적으로 수정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이는 예컨대 음향 사용자 정보의 주파수 스펙트럼의 다른 주파수 범위들에 대한 임의의 목표된 제한 또는 재가중을 포함한다.
음향 사용자 정보에 톤 데이터(사운드 데이터)의 배경을 제공하는 것외에, 음향 사용자 정보의 왜곡은 특정 통화 상황을 유지할때 음향 사용자 정보를 새롭게 수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컨대, 음향 정보는 곤란한 통화시에 음성이 약간 감쇄되거나 또는 익살맞은 통화시에 발화자의 음성이 미키마우스 음성으로 변화되거나 또는 다른 익살맞은 목소리 특성으로 수정되도록 각각의 통화상황을 유지할때 수정될 수 있다. 동작기간은 이러한 경우에 왜곡특징들에 부가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에서는 시작후에 비제한 기간인 짧거나 또는 긴 왜곡 기간이 구현될 수 있다. 왜곡특징들이 일시적으로 수정될때, 이는 반복인자를 고려하여 한번, 두번 또는 비제한기간동안 수행될 수 있다.
원격통신 단말 및 음향 수정효과가 더 용이하게 동작되도록 하기 위하여, 원격통신 단말은 사용자에 의하여 믹싱 동작모드를 시작하는 시작 제어 엘리먼트 및/또는 사용자에 의하여 믹싱 동작모드를 종료하는 정지 제어 엘리먼트를 유리하게 포함한다. 인용된 제어 엘리먼트는 예컨대, 수치 키들, 다른 기능 키들 또는 프로그램가능 키들(소프트 키들); 또한 회전식 버튼들, 회전식 스위치들, 로커 키들 또는 토글 스위치들과 같은 원격통신 단말에 제공된 제어 엘리먼트들일 수 있다. 시작 제어 엘리먼트 및 정지 제어 엘리먼트는 다른 제어 엘리먼트들 또는 동일한 제어 엘리먼트들일 수 있으며, 예컨대 하나의 키는 믹싱 동작모드가 비활성화될때 시작 제어 엘리먼트로서 기능을 하고 또한 믹싱 동작모드가 믹싱동작모드를 종료하는 정지 제어엘리먼트로서 시작된후에 사용될 수 있다. 만일 원격통신 단말이 기본 장치에 접속된 보조 장치들을 포함하면, 시작 제어 엘리먼트들 및/또는 정지 제어 엘리먼트들은 보조 장치에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상기 엘리먼트들은 예컨대 키 또는 회전식 및/또는 토글 스위치들일 수 있다.
음향효과 데이터의 내부 조절은 예컨대 음향효과 파일내에서 높은 순위 데이터 오브젝트로 메모리에서 결합된다. 이러한 방식에서는 예컨대 데이터를 편성하여 이를 메모리내로 이동시키거나 또는 원격통신 접속을 통해 다른 장치들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에 의하여, 음향효과 데이터의 액세스가 단순화된다. 이러한 형태의 음향효과 파일은 포함된 음향효과 데이터에 할당된 동작 기간을 포함할 수 있다. 음향효과 파일은 음향효과 데이터의 동작기간 및/또는 반복 인자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장치는 동작기간동안 음향효과 데이터에 할당된 특징들이 음향효과 데이터를 저장하는 파일에 직접 배치되기 때문에 동작기간을 단순한 방식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음향효과 파일은 동작기간을 포함할 수 있다.
융통성있게 전송될 필요가 있으며 특정 상황을 유지할 필요가 있는 사용자 정보를 수정하기 위한 추가 가능성들은 음향 효과 데이터 세트를 각각 가진 적어도 두개의 음향효과 파일들이 메모리에 저장되는 경우에 획득될 것이다. 음향효과 데이터의 두개 이상의 세트들은 다른 음향효과 데이터 세트들이 예컨대 원격통신 단말을 사용하여 수행된 통화의 상황에 따라 사용될 수 있도록 원격통신 단말에 제공될 것이며 이러한 결과는 음향 사용자 정보가 믹싱 장치에서 다른 방식들로 수정될 것이다.
두개 이상의 음향효과 파일들이 존재할때 예컨대 음향효과 파일들중 한 파일이 사용자 우호적 방식으로 선택되도록 하기 위하여, 원격통신 단말은 적어도 두개의 음향효과 파일들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 제어 엘리먼트를 포함한다. 선택 제어 엘리먼트는 원격통신 단말에 미리 제공된 이러한 경우에 예컨대 키(예컨대, 수치 키 또는 기능 키 또는 소프트 키) 또는 대응 회전식 또는 로커 버튼, 또한 스위치일 수 있다.
믹싱 동작모드의 시작은 일단 음향효과 파일이 선택 제어 엘리먼트를 사용하여 선택되면 앞서 이미 언급한 시작 제어 엘리먼트에 의하여 초기화될 수 있다. 선택 제어 엘리먼트는 시작 선택 제어 엘리먼트에 할당된 음향효과 파일의 데이터를 사용하여 믹싱 동작모드를 시작하는 시작 선택 제어 엘리먼트로서 구현될 수 있다. 시작 선택 제어 엘리먼트가 동작될때, 제어 엘리먼트에 할당된 음향효과 파일은 선택될 것이며 믹싱 동작모드는 할당된 음향효과 파일에 포함된 음향효과 데이터를 사용하여 시작된다. 동작기간의 만료시에, 제어장치는 그것이 정지 제어 엘리먼트를 통해 사용자에 의하여 이미 종료되지 않은 경우에 믹싱 동작모드를 자동적으로 종료시킬 수 있다.
원격통신 단말의 추가적인 유리한 개별취급은 원격통신 단말이 적어도 하나의 교환가능한 하우징 부분을 가진 하우징을 포함한다. 원격통신 단말의 하우징은 예컨대 두개의 교환가능한 하우징 부분들, 즉 상부 하우징 셸로 언급되고 하부 하우징 셸로 언급된 두개의 부분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원격통신 단말들의 교환가능한 하우징 부분들은 사용자의 특별한 소망들 및 구상들과 원격통신 단말의 외관을 매칭시키기 위하여 빈번히 사용된다. 이러한 개별 취급은 교환가능한 하우징 ㅜ분이 메모리의 적어도 하나의 부분을 포함하는 경우에 추가로 확장될 수 있으며, 음향효과 데이터의 적어도 한 부분, 특히 적어도 하나의 음향효과 파일은 메모리의 적어도 한 부분에 저장된다.
하우징은 예컨대 음향효과 데이터를 위한 전체 데이터 또는 음향효과 데이터를 위한 메모리의 일부분을 포함하며, 다른 실시예에서는 음향효과 데이터의 나머지 부분이 예컨대 원격통신 단말에 배치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교환가능한 하우징 부분에 장착된 메모리는 예컨대 하우징 부분의 외관에 적정하게 수용되는 하나 이상의 음향효과 파일들에서 음향효과 데이터를 포함하는 기록보호 파라미터 메모리(판독전용 메모리:ROM)를 포함할 수 있다. 예로서, 만일 외관이 유쾌한 외관을 가지면, 음향효과 파일들에 저장된 데이터에 의하여 유쾌한 음악, 하나 이상의 적절한 방울소리들 또는 상업적으로 익살맞은 음성 왜곡(예컨대, 미키 마우스 또는 코미디언)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만일 새로운 하우징 부분에 포함된 다른 음향효과 파일들을 가지고 또한 다른 외관을 가지는 다른 하우징 부분을 위하여 하우징 부분이 변경되면, 새로운 하우징의 외관에 매칭된 하나 이상의 다른 타입의 음향 효과들은 사용자에 의하여 입력될 음향 사용자 데이터를 수정하기 위하여 사용자에게 이용가능할 것이다.
교환가능한 하우징 부분은 음향 효과 데이터의 적어도 하나의 부분, 특히 하나 이상의 음향 효과 파일들을 선택하는 적어도 하나의 하우징 선택 엘리먼트를 포함한다. 만일 다수의 음향 효과 파일들이 원격통신 단말의 음향효과 데이터에 대한 메모리에 저장되면, 예컨대 교환가능 하우징 부분상에 배치된 하우징 선택 엘리먼트에 의하여 예컨대 교환가능 하우징 부분의 외관과 매칭되는 음향효과 파일들중 하나 이상을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타입의 선택 엘리먼트는 예컨대, 전기 또는 기계적 접촉 필들들 또는 기계적 스타일러스들과 같은 코드 태그들일 수 있다. 동작모드의 시작은 예컨대 특정 음향효과에 할당된 시작 접촉 엘리먼트 또는 시작 선택 제어 엘리먼트를 동작시킴으로서 초기화될 수 있다.
예컨대 원격통신 단말의 하우징 부분을 교환함으로서, 교환가능한 하우징 부분의 외관과 매칭되는 원격통신 단말 특정 음향 효과 파일들에 미리 저장된 다수의 음향효과 파일들중에서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러한 파일들은 예컨대 개별적으로 사용자에 의하여 트리거링가능하다. 따라서, 음향효과들의 넓은 어레이는 원격통신 단말에서 유지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들은 원격통신 단말이 공급되는 시간에 음향효과들에 대한 메모리 영역에 미리 저장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은 교환가능한 저장 엘리먼트들에 의하여 원격통신 단말의 메모리 영역으로 이후에 설치될 수 있다.
음향 효과 데이터나 음향 효과 파일은 또한 이를테면 원격통신 접속(이를테면 이동 무선 네트워크와 같은 원격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스위칭됨)을 통해서나 또는 원격통신 네트워크의 다른 성분들(소위 처리 장치들, 서비스-제어 센터들, 또는 원격통신 네트워크에서의 추가적인 서비스들을 위한 장치들)을 통해서 다른 원격통신 단말과 같은 다른 원격통신 장치의 메모리에 전달되어 저장될 수 있다. 원격통신 단말에 저장된 음향 효과 데이터 또는 음향 효과 파일은 원격통신 접속(이를테면 이동 무선 네트워크와 같은 원격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스위칭됨)을 통해서 다른 원격통신 장치들(예컨대 소위 처리 장치들, 서비스-제어 센터들, 또는 원격통신 네트워크에서 추가적인 서비스를 위한 장치들과 같은 다른 원격통신 네트워크)에 또한 전달될 수 있다. 음향 효과 데이터의 교환은 예컨대 서로 친구들인 원격통신 단말 사용자 사이에서 이러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거나, 추가적인 서비스들이 원격통신 네트워크에서 음향 효과가 이용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음향 효과 데이터나 경우에 따라서는 파일들이 무선 인터페이스들, 특히 블루투스 인터페이스들, 또는 적외선 인터페이스들과 같이 원격통신 단말들에 설치된 인터페이스들을 통해서 원격통신 단말들간에 사용자들에 의해서 또한 전송될 수 있다는 것이 여기서 주시되어야 한다.
전송될 필요가 있는 사용자 정보로 하여금 특정 상황에 유동적이면서 적절한 방식으로 변경될 수 있게 하는 목적은 원격통신 단말에 의해서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라 달성되는데, 상기 원격통신 단말은, (적어도) 하나의 교환가능한 하우징 부분을 갖는 하우징; 음향 사용자 정보, 특히 음성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기록 장치, 및 상기 기록 장치에 접속되는 믹싱 장치를 구비하는데, 상기 믹싱 장치는 믹싱 동작 모드에서 기록 장치를 통해 기록된 음향 사용자 정보가 변경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구현되고, 상기 교환가능 하우징 부분은 경우에 따라서 다수의 교환가능한 하우징 부분들이 존재하고 그들 중 적어도 하나가 믹싱 장치를 구비하는 경우에 믹싱 장치를 포함한다. 이러한 타입의 원격통신 단말의 믹싱 장치는 또한 톤 데이터(음향 데이터)의 배경를 갖는 음향 사용자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서 및/또는 음향 사용자 정보를 왜곡시키기 위해서 믹싱 동작 모드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타입의 원격통신 단말은, 예컨대, 음향 사용자 정보를 변경하기 위해 필요한 엘리먼트들이 교환가능 하우징 셀 상에 위치됨으로써 원격통신 단말의 베이스 성분에 통합될 필요가 없도록 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는 예컨대, 특정 교환가능 하우징 셀들이 원격통신 단말에 사용되는 반면에 교환가능 하우징 엘리먼트들의 다른 실시예들이 이러한 타입의 음향효과를 가능하게 할 경우에 음향 효과의 사용이 가능하지 않게 되는 경우일 수 있다.
원격통신 장치의 베이스 성분과 교환가능 하우징 부분은, 예컨대, 기록 장치에 의해 등록된 사용자 정보를 상기 교환가능 하우징 부분 상의 믹싱 장치에 라우팅하기 위해 각각의 전기 접촉 엘리먼트들을 포함할 수 있고, 원격통신 단말의 베이스 성분에 있는 추가적인 처리 전자 회로에 상기 믹싱 장치에 의해서 제공되는 변경된 사용자 정보를 라우팅하기 위한 접촉 엘리먼트들을 또한 포함할 수 있다.
믹싱 동작 모드의 시작 및/또는 종료는 따라서 사용자에 의한 믹싱 동작 모드의 시작을 위해 시작 제어 엘리먼트 및/또는 사용자에 의한 믹싱 동작 모드의 종료를 위해 종료 제어 엘리먼트를 통해 실행될 수 있고, 상기 엘리먼트들은 원격통신 단말에 첨가된다. 상기 시작 및 종료 제어 엘리먼트는 따라서 예컨대 원격통신 단말에 이미 존재하는 제어 엘리먼트들일 수 있다. 또한, 시작 또는 종료 제어 엘리먼트는 교환가능 하우징 부분에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르면, 보조 장치 또는 경우에 따라서는 음향 장치가 입력되는 음향 사용자 정보, 특히 음성 정보를 변경하기 위해 원격통신 단말에 제공된다. 원격통신 단말이 보조 장치와 사용될 것이라고 가정하면, 상기 단말은 음향 사용자 정보, 특히 음성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음향 기록 장치를 구비하고, 음향 사용자 정보, 특히 음성 정보를 변경하기 위한 보조 장치를 원격통신 단말에 첨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보조 장치는 변경된 음향 사용자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믹서 출력 영역을 갖는 믹싱 장치를 구비하고, 원격통신 단말에 믹싱 장치를 첨가하는 것이 가능해지며, 이러한 방식을 통해서 믹싱 장치의 믹싱 동작 모드에서 믹서 출력 영역으로부터 제공되는 변경된 음향 사용자 정보가 존재하거나 경우에 따라서는 원격통신 단말의 음향 기록 장치에 의해서 기록될 수 있다.
보조 장치 또는 경우에 따라서는 원격통신 단말을 위한 이러한 타입의 보조 유닛이 예컨대 음성 정보와 같이 실제 원격통신 단말 밖으로 전송될 필요가 있는 음향 사용자 정보의 변경을 가능하게 하며, 따라서 상기 실제 원격통신 단말은 음향 효과들을 갖는 사용자 정보의 변경을 구현하도록 특별히 설계될 필요가 없다. 전송될 필요가 있는 음향 사용자 데이터를 개별화시키기 위한 음향 효과의 사용에 있어서 고도의 유동성이 이러한 방식으로 달성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믹싱 장치는 예컨대 이를테면 마이크로폰과 같은 전자-음향 기록 엘리먼트와 이를테면 스피커와 같은 전자-음향 출력 엘리먼트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음향 사용자 데이터는 마이크로폰에 의해서 기록될 수 있으며 믹서에서 변경될 수 있고, 이어서 스피커에 제공된다. 제공되는 상기 변경된 사용자 데이터는 원격통신 단말의 기록 장치를 통해 기록될 수 있다. 전자-음향 출력 엘리먼트가 사용될 경우에, 상기 전자-음향 출력 엘리먼트는 보조 장치의 믹서 출력 영역에 바람직하게 위치될 수 있다.
믹싱 장치에는 또한 전송될 필요가 있는 음향 사용자 정보에 음향 효과들을 포함시키기 위한 기계적인 엘리먼트가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타입의 기계적인 엘리먼트는 예컨대, 이를테면 음성 정보와 같이 특정 음향 특징을 갖는 음향 사용자 정보를 제공하는 멤브레인들(membranes)이나 상기 멤브레인들의 결합일 수 있다
믹싱 장치를 구비하는 이러한 타입의 보조 장치는 예컨대 원격통신 단말의 하우징 상에 외부적으로 첨가될 수 있다. 이러한 타입의 보조 장치는 또한 원격통신 단말의 음향 기록 장치에 근접하여 하우징 부분의 내부면, 특히 교환가능 하우징 부분의 내부면에 첨부될 수 있다.
이러한 타입의 보조 장치는, 특히 원격통신 단말의 외부면에 첨부될 수 있는 경우에는, 다수의 믹싱 장치들을 또한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장치들이 제거가능한 형태로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이러한 방식을 통해 각각의 경우에 상이한 믹싱 장치들이 원격통신 단말의 기록 엘리먼트의 기록 영역에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다수의 상기 믹싱 장치들은 원격통신 단말의 기록 장치의 기록 영역에 동시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이러한 방식으로 여러 믹싱 장치들에 의해 생성되는 음향 효과들의 결합이 달성될 수 있다. 또한, 믹싱 장치들은 톤 데이터의 배경를 갖는 입력되는 음향 사용자 정보를 제공하고 및/또는 상기 입력되는 음향 사용자 정보를 왜곡시키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유리한 실시예들이 종속항들에서 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일예로서 설명된다.
도 1은 제 1 통신 단말(10) 및 제 2 통신 단말(100)로 구성되는 통신 장치의 개략도이고, 도 1은 제 2 수신 통신 단말(100)에 전송될 필요가 있는 음성 정보에 음향 효과들을 추가하기 위해 구현되는 제 1 통신 단말(10)의 물리적인 구조를 상세히 나타낸다. 제 1 및 제 2 통신 단말은 예컨대 이동 무선 장치나 또는 경우에 따라서는 이동 전화기로서 구현될 수 있다. 제 1 통신 단말(10)은 마이크로폰(20)을 구비하는데, 상기 마이크로폰(20)을 통해 음성 데이터는 기록되며 제 1 통신 단말(10) 내의 믹싱 장치와 같은 변조기(40)에 전달된다. 변조기(40)에서 변경된 음성 데이터는 예컨대 유선에 기초해서 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송할 수 있는 전송 시스템(200)을 통해서 제 2 통신 단말에 전송된다. 제 1 및 제 2 통신 단말은 이동 전화기로서 구현될 경우에, 상기 전송 시스템은 GSM 또는 UMTS 표준에 따라 특별히 동작되는 이동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서 구현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 1 통신 단말(10)에서 변경되는 음성 데이터는 제 2 통신 단말(100)의 스피커(120)를 통해 제 2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제 1 통신 단말(10)의 변조기(40)는 또한 제 2 통신 단말(100)의 마이크로폰(130)에 제 2 사용자에 의해서 발화되는 (음성) 신호를 변경할 수 있으며, 전송 시스템(200)에 의해서 제 1 통신 단말(10)에 전달되어 제 1 통신 단말(10)의 스피커(30)를 통해 제공된다.
제 1 통신 장치(10)의 메모리 또는 저장부(42)에 저장되고 다수의 음향 효과 파일들에 결합된 음향 효과 데이터는 마이크로폰(20)으로부터 도달하는 음향 신호들을 변경하기 위해 변조기(40)에서 사용된다. 저장부(42)에 저장되는 다수의 음향 효과 파일들 중 하나를 선택하고, 음향 신호들이나 경우에 따라서는 음성 신호들이 변경되거나 경우에 따라 음향 효과 데이터에 따라서 조정되는 변조기(40)의 믹싱 동작 모드를 활성해제시키는 것 모두가 제어부(44)를 통해 가능하다. 믹싱 동작 모드는 키보드(50) 상의 미리 정해진 시작 키를 동작시킴으로써 활성된다. 변조기(40)의 믹싱 동작 모드는 미리 정해진 동작 기간의 만료시에 제어부(44)에 의한 (믹싱) 동작 모드의 자동 종료를 통해서나 또는 믹싱 동작 모드를 종료하기 위해 키보드(50) 상에 할당되는 종료 키를 누름으로써 제어부(44)에 의해서 종료될 수 있는데, 이러한 액션은 제어부(44)로 하여금 변조기(40)의 믹싱 동작 모드를 종료시키도록 한다.
이용가능한 음향 효과들 중 어느 것이 사용될 것인지 또는 경우에 따라서는 키보드(50) 상의 시작 키가 동작되었을 경우에 어떤 음향 효과 데이터가 사용될 것인지를 제어부(44)가 확인할 수 있는 구성 파일(46)이 또한 키보드(50) 및 메뉴(48) 상의 키들을 통해 결정된다.
구성 파일(46)은 예컨대 상기 구성 파일(46)에서 지정되는 사용될 음향 효과 파일에 대한 동작 기간을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음향 효과 파일은 예컨대 제 1 통신 단말(10)의 메모리 영역에 동일하게 포함되며 메뉴(48)를 통해서 구성 파일(46)에 파일링될 수 있다.
도 2는 두 개의 상이한 보조 장치들(310, 320)을 구비하는 이동 전화기(300)로서 구현된 통신 단말을 나타낸다. 도 2A는 5개의 상이한 믹싱 엘리먼트들이나 경우에 따라서는 믹싱 장치들(311 내지 315)을 구비하는 이동 전화기(300)를 나타낸다. 믹싱 엘리먼트들(312 내지 315)은 수동 위치에 있으며 이동 전화기(300)의 마이크로폰(미도시:상기 마이크로폰은 믹싱 장치(311) 다음에 위치함) 앞의 위치로 화살표(318) 방향으로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제 1 믹싱 장치(311)는 마이크로폰 앞에 이미 위치되며, 믹싱 엘리먼트(311)의 특징을 유지하면서 이동 전화기(300)의 마이크로폰(302) 방향으로 사용자에 의해서 제공되는 음성 정보를 변경한다. 사용자와 마주보는 전면 상의 믹싱 엘리먼트(311)는 마이크로폰(302)을 포함하고, 이동 전화기의 배면 상에의 믹싱 엘리먼트는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믹싱 엘리먼트(311 내지 315)는 입력되는 음향 정보를 변경하기 위한 상응하는 엘리먼트들을 그들 내부에 포함한다.
도 2B는 보조 장치(320)를 구비하는 이동 전화기(300)를 나타내는데, 믹싱 장치(321 내지 324)는 휠의 형태로 각각의 경우에 배열된다. 믹싱 장치(321 내지 324)의 각각의 휠들은 화살표(328)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고, 따라서 믹싱 엘리먼트들(321 내지 324)의 상이한 엘리먼트들이 이동 전화기(300)의 마이크로폰 앞에 형성될 수 있다. 도 2B의 좌측에는, 제 1 믹서 엘리먼트(322)가 이동 전화기(300)의 마이크로폰 앞에 위치되는 반면에, 도 2B의 우측에는, 제 2 믹싱 장치(321)가 대응하는 휠이 회전된 이후에 이동 전화기(300)의 마이크로폰 앞에 위치된다. 상이한 음향 효과들이 여러 믹싱 장치들(321 내지 324)을 갖는 각각의 휠을 회전시킴으로써 사용자에 의해서 이러한 방식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다수의 믹싱 장치들이나 경우에 따라서는 믹싱 엘리먼트들이 상응하는 휠을 회전시킴으로써 이동 전화기(300)의 마이크로폰 앞의 위치로 동시에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모든 믹싱 장치들(321 내지 324)이 단일 휠에 위치되는 것이 또한 구상가능하고, 그로인해서 상기 휠을 회전시킴으로써 각각의 믹싱 장치들은 이동 전화기(300)의 마이크로폰 앞에 개별적으로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를테면 이동 전화기와 같은 원격통신 단말을 나타내는데, 상기 원격통신 단말은 음향 사용자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기록 장치, 음향 효과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음향 효과 데이터를 사용하여 기록 장치를 통해 기록되는 음향 사용자 정보를 변경하기 위한 믹싱 장치를 구비한다. 원격통신 단말이 교환가능한 하우징 부분들과 같은 교환가능한 엘리먼트들을 구비하는 경우에는, 교환가능한 엘리먼트들 중 적어도 하나에 메모리 및/또는 믹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음향 효과 데이터에는 (미리 정해진) 동작 기간이 할당되는데, 상기 동작 기간 이후에는 원격통신 단말에 포함되는 제어 장치가 믹싱 동작 모드를 자동으로 종료시킨다. 특정 상황에서 유동적이면서 적절한 전송될 필요가 있는 음향 사용자 정보의 변경이 짧은 지속기간 및 긴 지속기간을 갖는 다수의 상이한 음향 효과들을 갖는 상이한 음향 효과 데이터를 통해 음향 사용자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이러한 타입의 원격통신 단말을 통해 달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음향 효과 데이터는 또한 왜곡 특징을 포함할 수 있고, 결국 믹싱 장치는 믹싱 동작 모드에서 상기 왜곡 특징을 사용하여 음향 사용자 정보를 왜곡시키도록 설계될 수 있다.

Claims (23)

  1. 음향 사용자 정보, 특히 음성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기록 장치(20);
    음향 효과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42); 및
    상기 기록 장치(20) 및 메모리(42)에 연결되고, 동작 믹싱 모드에서 상기 기록 장치(20)에 의해 기록된 음향 사용자 정보가 상기 메모리(42)에 저장된 음향 효과 데이터를 사용하여 수정되도록 구현되는 믹싱 장치(40)를 포함하는 통신 단말(10)로서
    상기 믹싱 장치(40)에 연결되며, 동작 믹싱 모드가 일단 개시되면 미리 결정된 동작 기간 만료시에 동작 믹싱 모드를 종료하도록 설계되는 제어 장치(4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결정된 동작 기간은 상기 메모리(42)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효과 데이터는 톤(tone) 데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믹싱 장치(40)는 동작 믹싱 모드에서 톤 데이터의 배경를 음향 사용자 정보에 제공하도록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효과 데이터는 특성 톤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 단말(10)은 상기 메모리(42) 및 상기 믹싱 장치(40)에 연결되며, 상기 특성 톤 데이터로부터 톤 데이터를 발생시키기 위한 톤 데이터 발생기를 포함하며, 상기 믹싱 장치(40)는 상기 동작 믹싱 모드에서 상기 특성 톤 데이터로부터 발생된 톤 데이터의 배경를 상기 음향 사용자 정보에 제공하도록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결정된 동작 기간은 본질적으로 상기 음향 효과 데이터의 플레이 기간동안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반복 인자가 상기 메모리(42)에 저장되며, 미리 결정된 동작 기간은 본질적으로 상기 반복 인자와 상기 음향 효과 데이터의 플레이 기간의 곱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효과 데이터는 왜곡 특성들을 포함하며, 상기 믹싱 장치(40)는 동작 믹싱 모드에서 상기 왜곡 특성들을 사용하여 음향 사용자 정보를 왜곡시키도록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
  8. 음향 사용자 정보, 특히 음성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기록 장치(20);
    왜곡 특성들을 포함하는 음향 효과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42); 및
    상기 기록 장치(20) 및 메모리(42)에 연결되며, 동작 믹싱 모드에서 상기 기록 장치(20)에 의해 기록된 음향 사용자 정보가 상기 메모리(42)에 저장된 음향 효과 데이터를 사용하여 수정되도록 구현되는 믹싱 장치(40)를 포함하며,
    상기 믹싱 장치(40)는 동작 믹싱 모드에서 왜곡 특성들을 사용하여 음향 사용자 정보를 왜곡하도록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10).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단말(10)은 사용자에 의해 동작 믹싱 모드를 개시하기 위한 시작 제어 엘리먼트 및/또는 사용자에 의해 상기 동작 믹싱 모드를 종결시키기 위한 중지 제어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효과 데이터는 상기 메모리(42) 내의 음향 효과 파일 내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효과 파일은 미리 결정된 동작 기간 및/또는 반복 인자 및/또는 음향 효과 데이터의 플레이 기간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적어도 2개의 음향 효과 파일들이 상기 메모리(42)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단말(10)은 적어도 2개의 음향 효과 파일들 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선택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
  14. 제10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단말(10)은 특히 시작 제어 엘리먼트에 할당된 음향 효과 파일 데이터를 사용하여 동작 믹싱 모드를 시작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시작 제어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단말(10)은 적어도 하나의 교환가능한 하우징부를 갖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교환가능한 하우징부는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음향 효과 데이터의 적어도 하나의 부분, 특히 적어도 하나의 음향 효과 파일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부(42)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
  17.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교환가능한 하우징부는 적어도 하나의 음향 효과 데이터부, 특히 적어도 하나의 음향 효과 파일을 선택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하우징 선택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
  18. 교환가능한 하우징부를 갖는 하우징;
    음향 사용자 정보, 특히 음성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기록 장치(20); 및
    상기 기록 장치(20)에 연결되며, 상기 기록 장치(20)에 의해 기록된 음향 사용자 정보가 동작 믹싱 모드에서 수정되도록 구현되는 믹싱 장치(40)를 포함하는 통신 단말(10)로서,
    상기 교환가능한 하우징부는 상기 믹싱 장치(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믹싱 장치(40)는 상기 동작 믹싱 모드에서 음향 사용자 정보에 톤 데이터의 배경를 제공하고 및/또는 상기 음향 정보를 왜곡하도록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
  20. 제18항 또는 제19항에 있어서,
    통신 단말(10)은 사용자에 의해 동작 믹싱 모드를 시작하는 시작 제어 엘리먼트 및/또는 사용자에 의해 믹싱 동작 모드를 중단시키는 중지 제어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
  21. 제15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통신 단말을 위한 교환가능한 하우징부.
  22. 음향 사용자 정보, 특히 음성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음향 기록 장치를 갖는 통신 단말(300)용 보조 장치(310,320)로서,
    상기 보조 장치는 음향 사용자 정보, 특히 음성 정보를 수정하기 위한 믹싱 장치(311-315)를 포함하며, 상기 믹싱 장치는 수정된 음향 사용자 정보를 피드 아웃(feed out)하기 위한 믹서 출력 영역을 가지며, 믹싱 장치(311-315, 321-324)의 동작 믹싱 모드에서 상기 믹서 출력 영역에 의해 피드 아웃된 수정된 음향 사용자 정보가 상기 통신 단말(300)의 음향 기록 장치에 의해 기록되거나 기록될 수 있도록 상기 보조 장치가 상기 통신 단말(300)에 부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용 보조 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믹싱 장치(311-315, 321-324)는 입력되는 음향 사용자 정보에 톤 데이터의 배경를 제공하고 및/또는 입력된 음향 사용자 정보를 왜곡시키도록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용 보조 장치.
KR1020057003589A 2002-08-28 2003-08-01 음향효과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가진 원격단말 KR2005003475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39588A DE10239588A1 (de) 2002-08-28 2002-08-28 Telekommunikationsendgerät mit einer Speichereinrichtung zur Speicherung von Akustikeffekt-Daten
DE10239588.8 2002-08-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4755A true KR20050034755A (ko) 2005-04-14

Family

ID=315020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3589A KR20050034755A (ko) 2002-08-28 2003-08-01 음향효과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가진 원격단말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060105818A1 (ko)
EP (1) EP1532801A2 (ko)
JP (1) JP2005536957A (ko)
KR (1) KR20050034755A (ko)
CN (1) CN1679311A (ko)
AU (1) AU2003260252A1 (ko)
DE (1) DE10239588A1 (ko)
RU (1) RU2005108585A (ko)
WO (1) WO2004021686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71193B2 (en) * 2004-03-22 2007-01-30 The Hoffman Group Llc Telecommunications interruption and disconnection apparatus and methods
IL165817A0 (en) * 2004-12-16 2006-01-15 Samsung Electronics U K Ltd Electronic music on hand portable and communication enabled devices
US7599719B2 (en) * 2005-02-14 2009-10-06 John D. Patton Telephone and telephone accessory signal generator and methods and devices using the same
US7973818B2 (en) * 2006-08-14 2011-07-05 Broadcom Corporation Mixing background effects with real communication data to enhance personal communications
JP2008206172A (ja) * 2008-03-17 2008-09-04 Dimagic:Kk 音楽コンテンツファイル及び音楽コンテンツ配信方法
CN101651737A (zh) * 2008-08-13 2010-02-17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移动通讯装置及其音频调变方法
TWI514836B (zh) * 2008-11-21 2015-12-21 Hon Hai Prec Ind Co Ltd 移動通訊裝置及其音頻調變方法
EP2224703B1 (en) * 2009-02-26 2017-09-20 BlackBerry Limited Mobile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with novelty voice alteration and related methods
US8457688B2 (en) 2009-02-26 2013-06-04 Research In Motion Limited Mobile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with voice alteration and related methods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17593B1 (en) * 1996-08-12 2001-11-13 Gateway, Inc. Intelligent cellular telephone function
JP3719057B2 (ja) * 1999-08-24 2005-11-24 ヤマハ株式会社 電話端末装置および通信方法
JP3879323B2 (ja) * 1999-09-06 2007-02-14 ヤマハ株式会社 電話端末装置
EP1109379A1 (de) * 1999-12-16 2001-06-20 Ascom AG Verfahren zur Optimierung eines Nutzsignals in einem Sprachendgerät sowie Sprachendgerät
JP3279304B2 (ja) * 2000-03-28 2002-04-30 ヤマハ株式会社 楽曲再生装置および楽曲再生機能を備える携帯電話装置
EP1410650B1 (de) * 2000-04-11 2013-10-09 Gude, Michael Telefonsystem und hilfsmittel für das betreiben des systems
US6947728B2 (en) * 2000-10-13 2005-09-20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Mobile phone with music reproduction function, music data reproduction method by mobile phone with music reproduction function, and the program thereof
EP1332603A2 (de) * 2000-10-25 2003-08-06 Siemens Aktiengesellschaft Kommunikationsendgerät
DE10054907A1 (de) * 2000-11-06 2002-06-13 Bayerischer Rundfunk Anstalt D Fernsprechapparat
US20040044953A1 (en) * 2000-11-18 2004-03-04 Andrew Watkins Resource files for electronic devices
US20020111189A1 (en) * 2001-02-09 2002-08-15 Ming-Hsun Chou Cellular telephone with detachable radi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4021686A2 (de) 2004-03-11
WO2004021686A3 (de) 2004-09-02
DE10239588A1 (de) 2004-03-11
JP2005536957A (ja) 2005-12-02
CN1679311A (zh) 2005-10-05
US20060105818A1 (en) 2006-05-18
AU2003260252A1 (en) 2004-03-19
EP1532801A2 (de) 2005-05-25
RU2005108585A (ru) 2006-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750115B (zh) 通话声音生成装置及方法
EP1700462B1 (en) Method and apparatus of karaoke storage on a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CN100353734C (zh) 便携式电话机
JP4032615B2 (ja) 携帯端末装置および制御方法
JP3542955B2 (ja) 携帯電話機
JP2001333143A (ja) 通信端末の着信音再生方法及び通信端末装置
JP2002064626A (ja) 携帯電話機
KR20050034755A (ko) 음향효과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가진 원격단말
WO2000045567A1 (fr) Telephone et systeme telephonique
US6255577B1 (en) Melody sound generating apparatus
WO2001052506A1 (fr) Telephone portable
CN201479213U (zh) 具伴唱功能的移动电话
JP3997374B2 (ja) 電話機及び記録媒体
JP4169077B2 (ja) 端末装置
KR20020070814A (ko) 휴대 단말 장치와 그의 효과 부여 방법 및 기록 매체
JP2000316038A (ja) 着信音発生装置
JP2002125011A (ja) 情報端末装置
WO2001099391A1 (fr) Terminal de transmission, procede de transmission d'une melodie d'attente, procede de lecture d'une melodie entrante et support de stockage de donnees
US20060211456A1 (en) Musical audible alert termination
KR100695091B1 (ko) 음원 합성 단말기 및 방법
KR20060017043A (ko) Mp3 음악을 이용한 휴대폰의 벨소리 서비스방법
KR100576510B1 (ko) 네트워크 기반의 사용자 노래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벨소리 설정시스템 및 방법
KR200242886Y1 (ko) 벨소리 변경을 위한 전화기 보조 유닛
JPH08223259A (ja) 携帯電話機
JP2001345884A (ja) 通信端末の着信音再生方法及び通信端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