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33610A - 공기 주입 타이어 - Google Patents

공기 주입 타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33610A
KR20050033610A KR1020057000821A KR20057000821A KR20050033610A KR 20050033610 A KR20050033610 A KR 20050033610A KR 1020057000821 A KR1020057000821 A KR 1020057000821A KR 20057000821 A KR20057000821 A KR 20057000821A KR 20050033610 A KR20050033610 A KR 200500336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tire
arc
curvature
circular ar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08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제니치로우 시다
Original Assignee
요코하마 고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코하마 고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요코하마 고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336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3610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11/04Tread patterns in which the raised area of the pattern consists only of continuous circumferential ribs, e.g. zig-za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083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characterised by the curvature of the tyre tr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11/0306Patterns comprising block rows or discontinuous ribs
    • B60C11/0309Patterns comprising block rows or discontinuous ribs further characterised by the groove cross-s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11/04Tread patterns in which the raised area of the pattern consists only of continuous circumferential ribs, e.g. zig-zag
    • B60C11/042Tread patterns in which the raised area of the pattern consists only of continuous circumferential ribs, e.g. zig-zag further characterised by the groove cross-s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11/13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the groove cross-section, e.g. for buttressing or preventing stone-trapping
    • B60C11/1376Three dimensional block surfaces departing from the enveloping tread contou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11/13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the groove cross-section, e.g. for buttressing or preventing stone-trapping
    • B60C11/1376Three dimensional block surfaces departing from the enveloping tread contour
    • B60C11/1384Three dimensional block surfaces departing from the enveloping tread contour with chamfered block corn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52/00Resilient tires and wheels
    • Y10S152/901Tread pattern having no blocks and having circumferential ribs defined by linear circumferential grooves having straight e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레드면에 공기 주입 타이어 둘레 방향에 슬레이트형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주홈을 형성하고, 그들의 주홈에 의해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랜드부를 구분 형성하며, 각 랜드부의 접지면을 타이어 자오선 단면에서 단일한 곡률 반경을 갖는 제 1 원호로 구성한 공기 주입 타이어에 있어서, 타이어를 차량에 장착하였을 때 차량 외측으로부터 세어 적어도 2번째의 랜드부의 접지면을 제 1 원호에 차량 외측에서 접하는 적어도 1개의 제 2 원호를 연접하여 구성한다. 원호의 곡률 반경을 차량 외측에 위치하는 원호일 수록 작게 하고, 차량 외측에 위치하는 원호일 수록 트레드면으로부터 오목하게 들어간 위치로 하고 있다. 차량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원호와 2번째의 랜드부의 차량 외측 벽부의 교점의 오목하게 들어간 깊이(d)와 차량 외측 벽면이 면하는 주홈의 홈 깊이(D)의 비(d/D)를 0.02 내지 0.1로 한다.

Description

공기 주입 타이어{Pneumatic tire}
본 발명은 공기 주입 타이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내편(耐偏)마모성과 선회 성능을 개선하도록 한 공기 주입 타이어에 관한 것이다.
종래, 트레드(tread)면에 타이어 둘레방향으로 스트레이트형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주(主)홈을 형성하고, 이들의 주홈에 의해 둘레방향으로 연장되는 리브(랜드(land)부)를 형성한 공기 주입 타이어나, 또한 타이어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가로 홈을 타이어 둘레방향으로 소정의 피치로 배치하고, 주홈과 가로 홈에 의해 둘레방향으로 연장되는 블록열(랜드부)을 형성한 공기 주입 타이어가 있다.
이러한 공기 주입 타이어에 있어서, 예를 들면,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주홈(12)간에 형성된 리브(13)의 접지면(13x)을 타이어 자오선 단면으로 트레드면(11)의 윤곽을 형성하는 원호(C0)의 곡률 반경(R0)과 같은 곡률 반경(R1)을 갖는 원호(C1)로 구성하도록 한 것이 있다.
이러한 공기 주입 타이어는, 예를 들면, 서킷(circuit) 주행과 같은 큰 선회력이 생기는 사용 조건하에서는 각 리브(13)에 있어서, 타이어를 차량에 장착하였을 때에 차량 외측(M)이 되는 외측 단부(13a)에 접지압이 집중하기 때문에, 그 외측 단부(13a)가 국부적으로 마모되는 편마모가 생기기 쉽다. 특히, 차량 외측(M)으로부터 세어 2번째의 랜드부(13N)의 외측 단부(13a)에는 높은 접지압이 가해지기 때문에, 그 단부(13a)가 크게 마모되어, 내편마모성이 대폭 악화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외측 단부(13a)에 접지압이 집중함으로써, 랜드부(13)의 내측 단부(13b)측에 들뜸이나 미끄러짐이 생기기 쉬워진다. 특히 2번째의 랜드부(13N)의 내측 단부(13b)측에 큰 들뜸이나 미끄러짐이 생기고, 그 결과, 선회력이 저하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공기 주입 타이어의 1실시형태를 도시하는 트레드면의 중요부 정면도.
도 2는 도 1의 타이어 자오선 중요부 확대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공기 주입 타이어의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타이어 자오선 중요부 확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공기 주입 타이어의 더욱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타이어 자오선 중요부 확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공기 주입 타이어의 더욱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타이어 자오선 중요부 확대 단면도.
도 6은 종래의 공기 주입 타이어를 도시하는 타이어 자오선 중요부 확대 단면도.
도 7은 실시예에서 사용한 비교 타이어(1)의 타이어 자오선 중요부 확대 단면도.
도 8은 실시예에서 사용한 비교 타이어(2)의 타이어 자오선 중요부 확대 단면도.
도 9는 실시예에서 사용한 비교 타이어(3)의 타이어 자오선 중요부 확대 단면도.
본 발명의 목적은 서킷 주행과 같은 큰 선회력이 생기는 사용 조건하에 있어서, 내편마모성과 선회 성능을 개선하는 것이 가능한 공기 주입 타이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의 공기 주입 타이어는 트레드면에 타이어 둘레방향으로 스트레이트형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주홈을 형성하고, 상기 주홈에 의해 타이어 둘레방향으로 연장되는 랜드부를 구분 형성하며, 각 랜드부의 접지면을 타이어 자오선 단면에서 단일한 곡률 반경을 갖는 제 1 원호로 구성한 공기 주입 타이어에 있어서, 타이어를 차량에 장착하였을 때에 차량 외측으로부터 세어 적어도 2번째의 랜드부의 접지면을 상기 제 1 원호에 차량 외측에서 접하는 적어도 1개의 제 2 원호를 연접하여 구성하며, 상기 원호의 곡률 반경을 차량 외측에 위치하는 원호일 수록 작게 하고, 차량 외측에 위치하는 원호일 수록 상기 트레드면으로부터 오목하게 들어간 위치로 하며, 차량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원호와 상기 적어도 2번째의 랜드부의 차량 외측 벽면의 교점의 오목하게 들어간 깊이(d)와 상기 차량 외측 벽면이 면하는 주홈의 홈 깊이(D)의 비(d/D)를 0.02 내지 0.1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편마모성과 선회 성능을 크게 저하시키는 차량 외측으로부터 세어 2번째의 랜드부의 접지면을 종래의 제 1 원호의 차량 외측에 곡률 반경을 작게 한 적어도 1개의 제 2 원호를 연접한 구성으로 하고, 그 제 2 원호와 2번째의 랜드부의 차량 외측 벽면의 교점의 깊이(d)를 차량 외측 벽면이 면하는 주홈의 홈 깊이(D)의 관계로 상기한 바와 같이 특정함으로써, 2번째의 랜드부의 외측 단부를 트레드면으로부터 타이어 내경측으로 효과적으로 움푹 들어가게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서킷 주행시와 같은 큰 선회력 작용시에 있어서의 2번째의 랜드부의 접지압 분포를 종래보다 균일화할 수 있기 때문에, 그 외측 단부에서 접지압이 높아지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따라서, 내편마모성을 개선할 수 있는 동시에, 2번째의 랜드부의 내측 단부측이 들뜨거나 미끄러지는 것을 저감할 수 있기 때문에, 선회력의 저하를 억제하여 선회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공기 주입 타이어는 트레드면에 타이어 둘레방향으로 스트레이트형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주홈을 형성하고, 상기 주홈에 의해 타이어 둘레방향으로 연장되는 랜드부를 구분 형성하며, 각 랜드부의 접지면을 타이어 자오선 단면에서 단일한 곡률 반경을 갖는 제 1 원호로 구성한 공기 주입 타이어에 있어서, 타이어를 차량에 장착하였을 때에 차량 외측으로부터 세어 적어도 2번째의 랜드부의 접지면을 상기 제 1 원호에 차량 외측에서 접하는 곡선을 연접하여 구성하고, 상기 곡선을 차량 외측에 위치할 수록 상기 트레드면으로부터 오목하게 들어가도록 형성하고, 상기 곡선과 상기 적어도 2번째의 랜드부의 차량 외측 벽면의 교점의 오목하게 들어간 깊이(d)와 상기 차량 외측 벽면이 면하는 주홈의 홈 깊이(D)의 비(d/D)를 0.02 내지 0.1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서도, 서킷 주행과 같은 큰 선회력이 생기는 사용 조건하에서, 상기와 마찬가지로 하여 내편마모성과 선회 성능을 개선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공기 주입 타이어의 1실시형태를 도시하며, 트레드면(1)에 타이어 둘레방향(T)을 따라 스트레이트형으로 연장되는 복수(도면에서는 3개)의 주홈(2)을 형성할 수 있고, 이들 주홈(2)에 의해 타이어 둘레방향으로 연장되는 리브(3; 랜드부)가 구분 형성되어 있다. 또, CL은 타이어 센터라인이다.
타이어를 차량에 장착하였을 때에 차량 외측(M)으로부터 세어 2번째의 랜드부(3A)의 접지면(3x)은 도 2의 타이어 자오선 단면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곡률 반경(R1)을 갖는 제 1 원호(C1)와 그것에 차량 외측에서 접하는 곡률 반경(R2)을 갖는 제 2 원호(C2)로 구성되어 있다. 제 1 원호(C1)는 트레드면(1)의 윤곽을 형성하는 곡률 반경(R0)을 갖는 원호(C0)와 일치하고 있고, 제 1 원호(C1)와 제 2 원호(C2)는 동일 접선상에서 접하고 있다. 다른 랜드부(3)의 각 접지면(3x)은 단일한 곡률 반경(R1)을 갖는 제 1 원호(C1)로 구성되어 있다.
차량 외측(랜드부(3A)의 외측 단부(3A1))에 위치하는 제 2 원호(C2)의 곡률 반경(R2)은 제 1 원호(C1)의 곡률 반경(R1)보다 작고, 제 2 원호(C2)는 차량 외측일 수록 트레드면(1)의 윤곽을 형성하는 원호(C0)로부터 점차로 오목하게 들어가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 2 원호(C2)와 2번째의 랜드부(3A)의 외측의 주홈(2)에 면하는 차량 외측 벽면(3y)의 교점(P)의 오목하게 들어간 깊이(d)와 그 외측의 주홈(2)의 홈 깊이(D)의 비(d/D)는 0.02≤d/D≤0.1로 되어 있다. 또, 교점(P)의 깊이(d)는 도 2에 있어서, 2번째의 랜드부(3A)의 외측의 주홈(2)의 양측에 위치하는 랜드부(3)의 접지면(3x)간에 접선(S)을 그어, 그 접선(S)에서 교점(P)까지를 타이어축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측정한 길이이다. 또한, 주홈(2)의 홈 깊이(D)는 홈 폭 중심에서 홈 바닥(2x)으로부터 접선(S)까지를 타이어축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측정한 길이이다.
상술한 본 발명에 의하면, 내편마모성과 선회 성능의 저하에 크게 영향을 주는 랜드부(3A)의 접지면(3x)을 종래의 제 1 원호(C1)의 차량 외측에, 곡률 반경을 작게 한 제 2 원호(C2)를 연접하는 동시에, 제 2 원호(C2)와 랜드부(3A)의 차량 외측 벽면(3y)의 교점(P)의 깊이(d)를 상기한 바와 같이 규정하는 것으로, 외측 단부(3A1)를 종래의 트레드면의 위치보다 타이어 내경측으로 효과적으로 움푹 들어가게 하여, 큰 선회력이 작용하였을 때의 접지압 분포를 종래보다 균일화할 수 있기 때문에, 외측 단부(3A1)에 접지압이 집중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따라서, 내편마모성을 개선할 수 있는 동시에, 랜드부(3A)의 내측 단부(3A2)측이 떠오르거나 미끄러지는 것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선회 성능의 개선도 가능하게 된다.
비(d/D)가 0.02보다 작으면, 선회 성능과 내편마모성을 효과적으로 개선하는 것이 어렵게 된다. 반대로 O.1을 넘으면, 선회 성능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없다.
도 3은 본 발명의 공기 주입 타이어의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하고, 2번째의 랜드부(3A)의 접지면(3x)을 곡률 반경(R1, R2, R3)이 다른 제 1, 제 2, 제 3 원호(C1, C2, C3)로 구성한 것이다. 곡률 반경(R1, R2, R3)은 제 1 원호(C1)가 가장 크고, 차량 외측에 위치하는 제 3 원호(C3)일 수록 작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3개의 원호(C1, C2, C3)로 접지면(3x)을 구성하여, 차량 외측의 제 3 원호(C3)와 2번째의 랜드부(3A)의 외측의 주홈(2)에 면하는 차량 외측 벽면(3y)의 교점(P)의 오목하게 들어간 깊이(d)와 그 차량 외측 벽면(3y)이 면하는 주홈(2)의 홈 깊이(D)의 비(d/D)를 상기와 마찬가지로 설정함으로써도, 상술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교점(P)의 깊이(d)는 주홈(2)의 홈 폭(W)과의 관계로부터, 그 비(d/W)를 0.01≤d/W≤0.15로 하는 것이 좋다. 비(d/W)가 0.01미만이면, 선회 성능과 내편마모성을 효과적으로 개선하는 것이 어렵고, 반대로 0.15보다 크면, 선회 성능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없다.
도 2의 실시형태와 같이, 접지면(3x)을 제 1, 제 2 원호(C1, C2)로 구성한 경우에는 원호(C1, C2)의 곡률 반경(R1, R2)의 비(R1/R2)를 2 내지 10으로 하는 것이 좋다. 비(R1/R2)가 2보다 작으면, 선회 성능의 개선 효과가 작다. 반대로 10보다 크면, 선회 성능과 내마모성의 개선 효과가 작다.
도 3에 도시하는 실시형태와 같이, 접지면(3x)을 제 1, 제 2, 제 3 원호(C1, C2, C3)로 구성한 경우에는 원호(C1, C2, C3)의 곡률 반경(R1, R2, R3)의 관계를 각각 비(R1/R2)와 비(R2/R3)가 2 내지 10이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 비가 2미만이면, 선회 성능의 개선 효과가 작다. 반대로 10을 넘으면, 선회 성능과 내마모성의 개선 효과가 작다.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접지면(3x)은 3개 이상의 복수의 원호로 구성하여도 좋고, 제 1 원호(C1)와 그것에 차량 외측에서 접하는 적어도 1개의 제 2 원호(C2)로 구성하고, 원호의 곡률 반경을 차량 외측에 위치하는 원호일 수록 작게 하면 좋다. 그 때의 교점(P)의 깊이(d)는 차량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원호와 차량 외측 벽면(3y)의 교점의 깊이이다.
또한,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원호(C1)의 차량 외측에 곡률 반경이 차량 외측 벽면(3y)을 향하여 연속적으로 감소하는 곡선(4)을 동일 접선상에서 접하도록 접속하고, 그 곡선(4)을 차량 외측에 위치할 수록 트레드면(1)의 윤곽을 형성하는 원호(C0)로부터 점차로 오목하게 들어가도록 형성하여도 좋다. 그와 같은 곡선(4)을 사용한 경우에도, 곡선(4)과 차량 외측 벽면(3y)의 교점(P)의 오목하게 들어간 깊이(d)와 차량 외측 벽면(3y)이 면하는 주홈(2)의 홈 깊이(D)의 비(d/D)를 상기와 마찬가지로 설정함으로써,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원호(C1)의 차량 내측에도 제 1 원호(C1)보다 곡률 반경이 작은 내측 원호(C2')를 동일 접선상에서 접하도록 형성하고, 랜드부(3a)의 내측 단부(3A2)에 있어서의 접지면(3x)의 부분을 차량 내측을 향하여 트레드면(1)의 윤곽을 형성하는 원호(C0)로부터 점차로 오목하게 들어가게 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것에 의해 랜드부(3a)의 내측 단부(3A2)가 선회 외측이 되는 역방향의 선회 주행시에 있어서, 내측 단부(3A2)에 접지압이 집중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기 때문에, 내측 단부(3A2)에 있어서의 내편마모성을 개선할 수 있는 동시에, 역방향 선회 주행시의 선회 성능을 개선할 수 있다.
원호(C2')의 곡률 반경(R2')과 제 1 원호(C1)의 곡률 반경(R1)의 관계는 비(R1/R2')가 2 내지 10이 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비(R1/R2')가 2보다 작으면, 역방향 선회 주행시의 선회 성능의 개선 효과가 작고, 반대로 10보다 크면, 역방향 선회 주행시의 선회 성능과 내측 단부(3A2)의 내마모성의 개선 효과가 작다.
또한, 원호(2')와 2번째의 랜드부(3A)의 내측의 주홈(2)에 면하는 차량 내측 벽면(3z)의 교점(P')의 깊이(d')와 그 내측의 주홈(2)의 홈 깊이(D')의 비(d'/D')를 0.01≤d'/D'≤0.1로 하는 것이 좋다. 비(d'/D')가 0.01미만이면, 역방향 선회 주행시의 선회 성능과 내측 단부(3A2)의 내편마모성을 효과적으로 개선하는 것이 어렵고, 반대로 0.1을 넘으면, 역방향 선회 주행시의 선회 성능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없다.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차량 외측(M)으로부터 세어 2번째의 랜드부(3A)의 접지면(3x)만을 상기한 바와 같이 형성하였지만, 3번째나 4번째의 랜드부(3)의 접지면(3x)도 마찬가지로 구성하여도 좋고, 적어도 내편마모와 선회 성능의 저하에 크게 영향을 주는 2번째의 랜드부(3A)의 접지면(3x)을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하면 좋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의 주홈(2)은 타이어 정규 폭의 2% 이상의 홈 폭을 갖는 것으로, 그것보다 좁은 둘레방향으로 연장되는 홈은 여기서 말하는 본 발명의 주홈에 해당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랜드부로서 리브를 형성한 예를 개시하였지만, 도 1의 트레드 패턴에 더욱 타이어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가로 홈을 타이어 둘레방향을 따라 소정의 피치로 배치하고, 리브 대신에 타이어 둘레방향(T)으로 연장되는 블록열로 이루어지는 랜드부를 형성한 것이어도 좋다.
실시예 1
타이어 사이즈를 235/45ZR17로 공통으로 하고, 도 1에 도시하는 트레드 패턴에 있어서, 타이어를 차량에 장착하였을 때에 차량 외측으로부터 세어 2번째의 랜드부의 접지면을 곡률 반경(R1, R2)을 갖는 2개의 원호(C1, C2)로 구성한 도 2의 본 발명 타이어(1), 곡률 반경(R1, R2, R3)을 갖는 3개의 원호(C1, C2, C3)로 구성한 도 3의 본 발명 타이어(2), 곡률 반경(R1, R2, R3, R2')을 갖는 4개의 원호(C1, C2, C3, C2')로 구성한 도 4의 본 발명 타이어(3)를 각각 제작하였다.
또한, 도 6에 도시하는 구성을 갖는 종래 타이어, 및 도 7,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트레드면의 윤곽을 형성하는 원호(C0)의 곡률 반경(R0)보다 작은 곡률 반경(R1)을 갖는 원호(C1)로 2번째의 랜드부의 접지면을 구성한 비교 타이어(1, 2), 및 도 6의 종래 타이어에 있어서 2번째의 랜드부의 외측 단부를 반경(Rx)의 원호로 모떼기한 도 9에 도시하는 비교 타이어(3), 및 본 발명 타이어(2)에 있어서 곡률 반경(R1, R2, R3)을 R1>R2, R2<R3의 관계로 한 비교 타이어(4)를 각각 제작하였다.
또한, 도 3에 도시하는 구성을 갖는 타이어에 있어서, 교점의 깊이(d)와 주홈의 홈 깊이(D)의 비(d/D)를 표 1과 같이 바꾼 본 발명 타이어(4 내지 6)와 비교 타이어(5, 6)를 각각 제작하였다. 또, 각 원호의 곡률 반경(R0, R1, R2, R3, R2') 및 비(d/W)는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다.
이들 각 시험 타이어를 림(rim) 사이즈 17×8JJ의 림에 장착하고 빔 기압을 220kPa로 하여, 이하에 나타내는 측정 조건에 의해, 선회 성능과 내편마모성의 평가 시험을 한 바, 표 1에 나타내는 결과를 얻었다.
선회 성능
각 시험 타이어를 실내 드럼 시험기에 장착하고, 하중 4.0kN, 주행속도 100km/h, 슬립각 4°, 챔버각 3°의 조건하에서, 코너링 포스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종래 타이어를 100으로 하는 지수치로 평가하였다. 이 값이 클 수록 선회력이 높고, 선회 성능이 우수하다. 여기서는 105이상이 현저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한다.
내편마모성
각 시험 타이어를 배기량 2리터의 4륜 구동차에 장착하여, 1바퀴 2.1km의 서킷 코스를 10바퀴 주행한 후, 2번째의 랜드부의 마모량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10점법으로 평가하였다. 이 값이 클 수록 내편마모성이 우수하다. 여기서는 7이상을 실용상 효과적인 개선 효과 있는 것으로 한다.
종래 타이어 비교 타이어 1 비교타이어 2 비교 타이어 3 비교 타이어 4 본 발명 타이어 1 본 발명 타이어 2 본 발명 타이어 3 비교 타이어 5 본 발명 타이어 4 본 발명 타이어 5 본 발명 타이어 6 비교 타이어 6
R0(mm)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R1(mm) 1000 335 6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R2(mm) 100 250 300 300 300 300 300 300 300
R3(mm) 300 100 100 70 75 100 100 100
R2'(mm) 150
Rx(mm) 4.25
d/D 0.5 0.035 0.035 0.035 0.035 0.017 0.02 0.06 0.1 0.21
d/W 0.304 0.021 0.021 0.021 0.021 0.021 0.021 0.021 0.021 0.021
선회성능 100 104 103 102 105 106 108 108 103 105 107 105 103
내편마모성 2 6 6 6 6 7 8 8 5 7 8 8 7
표 1에서, 본 발명 타이어는 선회 성능과 내편마모 성능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2
타이어 사이즈를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상기 본 발명 타이어(2)에 있어서, 교점의 깊이(d)와 주홈(2)의 홈 폭(W)의 비(d/W)를 표 2와 같이 바꾼 시험 타이어(1 내지 5)를 각각 제작하였다. 또, 각 원호의 곡률 반경(R0, R1, R2, R3) 및 비(d/D)는 표 2에 나타내는 바와 같다.
이들 각 시험 타이어를 실시예 1과 같이 하여 선회 성능과 내편마모성의 평가 시험을 한 바, 표 2에 나타내는 결과를 얻었다.
시험 타이어1 시험 타이어2 시험 타이어3 시험 타이어4 시험 타이어5
R0(mm) 1000 1000 1000 1000 1000
R1(mm) 1000 1000 1000 1000 1000
R2(mm) 300 300 300 300 300
R2(mm) 100 100 100 100 100
d/D 0.035 0.035 0.035 0.035 0.035
d/W 0.008 0.01 0.10 0.15 0.16
선회 성능 103 106 105 105 103
내편마모성 3 7 8 8 7
표 2로부터, 교점의 깊이(d)와 주홈(2)의 홈 폭(W)의 비(d/W)를 0.01 내지 0.15의 범위로 하는 것이 좋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타이어를 차량에 장착하였을 때에 차량 외측으로부터 세어 적어도 2번째의 랜드부의 접지면을 종래의 제 1 원호의 차량 외측에 곡률 반경을 작게 한 적어도 1개의 제 2 원호를 연접한 구성, 또는 종래의 제 1 원호의 차량 외측에 차량 외측에 위치할 수록 트레드면으로부터 오목하게 들어가도록 형성한 곡선을 연접한 구성으로 하고, 그 제 2 원호 또는 곡선과 2번째의 랜드부의 차량 외측 벽면의 교점의 깊이(d)와 차량 외측 벽면이 면하는 주홈의 홈 깊이(D)의 비(d/D)를 상기 범위로 특정함으로써, 서킷 주행과 같은 큰 선회력이 생기는 사용 조건하에 있어서, 선회 성능과 내편마모성을 효과적으로 개선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술한 뛰어난 효과를 갖는 본 발명은 서킷 등을 주행하는 차량에 장착되는 공기 주입 타이어로서, 지극히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Claims (12)

  1. 트레드면에 타이어 둘레방향으로 스트레이트형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주홈을 형성하고, 상기 주홈에 의해 타이어 둘레방향으로 연장되는 랜드부를 구분 형성하며, 각 랜드부의 접지면을 타이어 자오선 단면에서 단일한 곡률 반경을 갖는 제 1 원호로 구성한 공기 주입 타이어에 있어서,
    타이어를 차량에 장착하였을 때에 차량 외측으로부터 세어 적어도 2번째의 랜드부의 접지면을 상기 제 1 원호에 차량 외측에서 접하는 적어도 1개의 제 2 원호를 연접하여 구성하고, 상기 원호의 곡률 반경을 차량 외측에 위치하는 원호일 수록 작게 하고, 차량 외측에 위치하는 원호일수록 상기 트레드면으로부터 오목하게 들어간 위치로 하여, 차량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원호와 상기 적어도 2번째의 랜드부의 차량 외측 벽면의 교점의 오목하게 들어간 깊이(d)와 상기 차량 외측 벽면이 면하는 주홈의 홈 깊이(D)의 비(d/D)를 0.02 내지 0.1로 한 공기 주입 타이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깊이(d)와 상기 차량 외측 벽면이 면하는 주홈의 홈 폭(W)의 비(d/W)를 0.01 내지 0.15로 한 공기 주입 타이어.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번째의 랜드부의 접지면을 상기 제 1 원호와 상기 제 2 원호로 구성하고, 상기 제 1 원호의 곡률 반경(R1)과 상기 제 2 원호의 곡률 반경(R2)의 비(R1/R2)를 2 내지 10으로 한 공기 주입 타이어.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번째의 랜드부의 접지면을 상기 제 1 원호, 상기 제 2 원호, 및 상기 제 2 원호에 연접한 제 3 원호로 구성하고, 상기 제 1 원호의 곡률 반경을 R1, 상기 제 2 원호의 곡률 반경을 R2, 상기 제 3 원호의 곡률 반경을 R3으로 하면, 비(R1/R2)와 비(R2/R3)를 각각 2 내지 10으로 한 공기 주입 타이어.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번째의 랜드부의 접지면을 상기 제 1 원호의 차량 내측에서 접하는 상기 제 1 원호보다 곡률 반경이 작은 내측 원호를 연접하여 구성한 공기 주입 타이어.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원호와 상기 적어도 2번째의 랜드부의 차량 내측 벽면의 교점의 오목하게 들어간 깊이(d')와 상기 차량 내측 벽면이 면하는 주홈의 홈 깊이(D')의 비(d'/D')를 0.01 내지 0.1로 한 공기 주입 타이어.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원호의 곡률 반경(R1)과 상기 내측 원호의 곡률 반경(R2')의 비(R1/R2')를 2 내지 10으로 한 공기 주입 타이어.
  8. 트레드면에 타이어 둘레방향으로 스트레이트형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주홈을 형성하고, 상기 주홈에 의해 타이어 둘레방향으로 연장되는 랜드부를 구분 형성하며, 각 랜드부의 접지면을 타이어 자오선 단면에서 단일한 곡률 반경을 갖는 제 1 원호로 구성한 공기 주입 타이어에 있어서,
    타이어를 차량에 장착하였을 때에 차량 외측으로부터 세어 적어도 2번째의 랜드부의 접지면을 상기 제 1 원호에 차량 외측에서 접하는 곡선을 연접하여 구성하고, 상기 곡선을 차량 외측에 위치할 수록 상기 트레드면으로부터 오목하게 들어가도록 형성하며, 상기 곡선과 상기 적어도 2번째의 랜드부의 차량 외측 벽면의 교점의 오목하게 들어간 깊이(d)와 상기 차량 외측 벽면이 면하는 주홈의 홈 깊이(D)의 비(d/D)를 0.02 내지 0.1로 한 공기 주입 타이어.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깊이(d)와 상기 차량 외측 벽면이 면하는 주홈의 홈 폭(W)의 비(d/W)를 0.01 내지 0.15로 한 공기 주입 타이어.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번째의 랜드부의 접지면을 상기 제 1 원호의 차량 내측에서 접하는 상기 제 1 원호보다 곡률 반경이 작은 내측 원호를 연접하여 구성한 공기 주입 타이어.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원호와 상기 적어도 2번째의 랜드부의 차량 내측 벽면의 교점의 오목하게 들어간 깊이(d')와 상기 차량 내측 벽면이 면하는 주홈의 홈 깊이(D')의 비(d'/D')를 0.01 내지 0.1로 한 공기 주입 타이어.
  12.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원호의 곡률 반경(R1)과 상기 내측 원호의 곡률 반경(R2')의 비(R1/R2')를 2 내지 10으로 한 공기 주입 타이어.
KR1020057000821A 2002-09-10 2003-09-08 공기 주입 타이어 KR2005003361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264148 2002-09-10
JPJP-P-2002-00264148 2002-09-1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3610A true KR20050033610A (ko) 2005-04-12

Family

ID=319864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0821A KR20050033610A (ko) 2002-09-10 2003-09-08 공기 주입 타이어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478657B2 (ko)
EP (1) EP1541382B1 (ko)
JP (1) JP4145300B2 (ko)
KR (1) KR20050033610A (ko)
CN (1) CN100335300C (ko)
DE (1) DE60331744D1 (ko)
TW (1) TWI238125B (ko)
WO (1) WO200402447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26333B2 (ja) * 2005-02-21 2011-02-09 横浜ゴム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EP1918130A4 (en) * 2005-08-23 2009-06-10 Bridgestone Corp PNEUMATIC
JP4742759B2 (ja) * 2005-09-06 2011-08-10 横浜ゴム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DE102008032281A1 (de) * 2008-07-09 2010-01-14 Continental Aktiengesellschaft Fahrzeugluftreifen
JP4973708B2 (ja) 2009-09-11 2012-07-11 横浜ゴム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JP5753375B2 (ja) * 2010-12-02 2015-07-22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JP5214776B2 (ja) * 2011-07-15 2013-06-19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加硫済みトレッド
JP5917869B2 (ja) * 2011-09-14 2016-05-18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JP6009748B2 (ja) * 2011-09-14 2016-10-19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JP5387707B2 (ja) * 2012-03-14 2014-01-15 横浜ゴム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CN103264619B (zh) * 2013-03-15 2015-10-28 江苏大学 一种宽基子午线胎面弧轮胎
CN105142932B (zh) * 2013-03-18 2017-05-31 株式会社普利司通 轮胎
CN103332070B (zh) * 2013-06-20 2016-12-28 江苏大学 一种仿生胎冠结构子午线轮胎
JP6211354B2 (ja) * 2013-09-04 2017-10-11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空気入りタイヤ
JP6253941B2 (ja) * 2013-10-09 2017-12-27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タイヤ
JP6425531B2 (ja) * 2013-12-13 2018-11-21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空気入りタイヤ
JP6433760B2 (ja) * 2014-10-31 2018-12-05 東洋ゴム工業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JP6647970B2 (ja) * 2016-06-14 2020-02-14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タイヤ
JP6793021B2 (ja) * 2016-12-02 2020-12-02 Toyo Tire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JP6809988B2 (ja) * 2017-06-15 2021-01-06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タイヤ
JP6454433B2 (ja) * 2018-04-03 2019-01-16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JP7472466B2 (ja) 2018-11-13 2024-04-23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タイヤ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22378A (en) * 1986-05-19 1988-02-02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Tire treads with convex elements
JPH03208707A (ja) * 1989-10-23 1991-09-11 Bridgestone Corp 重荷重用空気入りラジアルタイヤのトレッド
JP3001220B2 (ja) * 1990-02-23 2000-01-24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空気入りタイヤ
JP3057381B2 (ja) * 1991-04-11 2000-06-26 横浜ゴム株式会社 乗用車用空気入りラジアルタイヤ
JP3121391B2 (ja) * 1991-09-19 2000-12-25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重荷重用空気入りタイヤ
JP3197953B2 (ja) * 1992-07-29 2001-08-13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空気入りラジアルタイヤ
FR2720979A1 (fr) 1994-06-14 1995-12-15 Michelin & Cie Bande de roulement pour pneumatique.
JP2992466B2 (ja) * 1995-02-24 1999-12-20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US5616195A (en) * 1995-08-28 1997-04-01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Low aspect ratio truck tire
JP3636565B2 (ja) * 1997-03-18 2005-04-06 横浜ゴム株式会社 重荷重用空気入りラジアルタイヤ
JPH111105A (ja) * 1997-06-13 1999-01-06 Bridgestone Corp 空気入りタイヤ
JPH11165504A (ja) 1997-12-01 1999-06-22 Bridgestone Corp 空気入りタイヤ
EP1074405B1 (en) * 1999-02-22 2006-01-18 Bridgestone Corporation Pneumatic tire
DE19937067A1 (de) * 1999-08-05 2001-02-08 Dunlop Gmbh Fahrzeugreifen mit einer profilierten Lauffläche
DE19945774B4 (de) * 1999-09-24 2005-02-24 Continental Aktiengesellschaft Fahrzeugluftreifen
JP2002002223A (ja) * 2000-06-21 2002-01-08 Yokohama Rubber Co Ltd:The 空気入りタイヤ
JP2002029219A (ja) 2000-07-19 2002-01-29 Bridgestone Corp 空気入りタイヤおよびそれの装着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541382B1 (en) 2010-03-17
US7478657B2 (en) 2009-01-20
US20050241738A1 (en) 2005-11-03
CN1668484A (zh) 2005-09-14
JPWO2004024473A1 (ja) 2006-01-05
WO2004024473A1 (ja) 2004-03-25
TWI238125B (en) 2005-08-21
JP4145300B2 (ja) 2008-09-03
EP1541382A1 (en) 2005-06-15
DE60331744D1 (de) 2010-04-29
TW200408563A (en) 2004-06-01
EP1541382A4 (en) 2007-05-02
CN100335300C (zh) 2007-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50033610A (ko) 공기 주입 타이어
EP1075971B1 (en) Pneumatic tire
US20130092304A1 (en) Pneumatic tire
US5358021A (en) Pneumatic tire having asymmetric tread pattern
US7469731B2 (en) Heavy-duty tire having ground-contact surface shape
US8162015B2 (en) Pneumatic tire having asymmetrical tread pattern
US6206064B1 (en) Pneumatic tire having directional tread pattern
JPH06171316A (ja) 重荷重用空気入りラジアルタイヤ
CA2167192A1 (en) Pneumatic radial tire
US9764599B2 (en) Pneumatic tire
EP0299766A1 (en) Pneumatic tyre
JPH0524415A (ja) 空気入りラジアルタイヤ
JP2004161202A (ja) 重荷重用空気入りタイヤ
US20220055411A1 (en) Pneumatic tire
JP2003054221A (ja) 空気入りタイヤ
JPH0342306A (ja) 空気入りタイヤ
US20220097457A1 (en) Tire
JP2000238507A (ja) 重荷重用タイヤ
US11813894B2 (en) Tire
WO2022118638A1 (ja) タイヤ
US11584166B2 (en) Tyre
JPH0328006A (ja) 乗用車用空気入りラジアルタイヤ
US11745547B2 (en) Tyre
US20200254821A1 (en) Tyre
JP2001171317A (ja) 空気入りタイ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90812

Effective date: 201104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