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31453A - 정보 처리 시스템,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기록 매체,및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정보 처리 시스템,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기록 매체,및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31453A
KR20050031453A KR1020047005817A KR20047005817A KR20050031453A KR 20050031453 A KR20050031453 A KR 20050031453A KR 1020047005817 A KR1020047005817 A KR 1020047005817A KR 20047005817 A KR20047005817 A KR 20047005817A KR 20050031453 A KR20050031453 A KR 200500314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information processing
processing apparatus
preference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58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72069B1 (ko
Inventor
켄스케 오누마
히토시 키무라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314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14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20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206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40/00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broadcast information
    • H04H40/09Arrangements for receiving desired information automatically according to timetab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8Client or end-user data management, e.g. managing client capabilities, user preferences or demographics, processing of multiple end-users preferences to derive collaborative data
    • H04N21/25866Management of end-user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8Client or end-user data management, e.g. managing client capabilities, user preferences or demographics, processing of multiple end-users preferences to derive collaborative data
    • H04N21/25866Management of end-user data
    • H04N21/25891Management of end-user data being end-user prefer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7PVR [Personal Video Record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7Providing Remote input by a user located remotely from the client device, e.g. at 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13Monitoring of end-user related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0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requesting content on demand, e.g. video on dema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14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e.g. of sport results or stock mark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5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 H04N21/4753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for user identification, e.g. by entering a PIN or passwor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5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 H04N21/4755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for defining user preferences, e.g. favourite actors or gen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5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client and server
    • H04N21/658Transmission by the client directed to the server
    • H04N21/6582Data stored in the client, e.g. viewing habits, hardware capabilities, credit card numb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3Generation or processing of protective or descriptive data associated with content; Content structuring
    • H04N21/84Generation or processing of descriptive data, e.g. content descrip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08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 H04N21/4532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involving end-user characteristics, e.g. viewer profile, prefer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8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 H04N5/781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on disks or dru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호 정보에 맞는 방송프로그램을 신속하게 녹화할 수 있도록 한 정보 처리 시스템,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기록 매체,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유저 장치(3-2)는, 생성한 기호 정보를, 그 제공처를 나타내는 정보와 함께, 네트워크(1)를 통하여 서버(2-1)에 등록한다. 서버(2-1)는, 기호 정보가 등록된 때, 그 제공처인 유저 장치(3-1)에 통지한다. 유저 장치(3-1)의 영상 기록 재생 장치(11)는, 네트워크(1)를 통하여 서버(2-1)에 액세스하고, 녹화 예약하고 싶다고 생각하는 기호 정보를 지정한다. 서버(2-1)는, 지정된 기호 정보를 네트워크(1)를 통하여, 영상 기록 재생 장치(11)에 송신한다. 영상 기록 재생 장치(11)는, 이것을 수신하고, 기호 정보에 의거하여, 녹화 예약을 실행한다. 본 발명은, 하드디스크 비디오 레코더에 적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정보 처리 시스템,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기록 매체, 및 프로그램{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RECORDING MEDIUM, AND PROGRAM}
본 발명은, 정보 처리 시스템,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기록 매체,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호 정보를 간단하면서 신속하게 얻을 수 있도록 한, 정보 처리 시스템,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기록 매체,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종래, 유저의 기호(嗜好) 정보를 이용하여, 유저의 취향이라고 생각되는 방송프로그램(텔레비전 방송되는 방송프로그램)을 자동적으로 녹화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내지 특허 문헌 7 참조).
이들의 특허 문헌 1 내지 특허 문헌 7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유저가 실제로 시청한 텔레비전 방송되어 있는 방송프로그램의 이력으로부터 유저의 기호가 분석되고, 그 기호에 맞는 방송프로그램이 자동적으로 녹화된다.
[특허 문헌 1]
특개평11-134345호 공보
[특허 문헌 2]
특개평11-345446호 공보
[특허 문헌 3]
특개2000-13708호 공보
[특허 문헌 4]
특개2000-287189호 공보
[특허 문헌 5]
특개2001-160940호 공보
[특허 문헌 6]
특개2001-298677호 공보
[특허 문헌 7]
특개2001-86420호 공보
그러나, 이들의 특허 문헌 1 내지 특허 문헌 7에 기재되어 있는 발명에서는, 유저의 기호 정보를 얻는데 시간이 걸리는 과제가 있다. 그 결과, 기호에 맞는 방송프로그램을 신속하게 예약 녹화할 수가 없다는 과제가 있다.
또한, 기호 정보를 유저 사이에서 교환하는 것은, 고려되어 있지 않았다.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한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예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영상 기록 재생 장치의 구성예를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도 1의 영상 기록 재생 장치의 기능적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4는 도 1의 서버(2-1)의 구성예를 도시한 블록도.
도 5는 도 1의 서버(2-1)의 기능적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6은 도 1의 영상 기록 재생 장치의 기호 정보 작성 처리를 설명하는 순서도.
도 7은 기호 정보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도 1의 유저 장치에 있어서의 기호 정보의 등록 처리를 설명하는 순서도.
도 9는 도 8의 스텝 S23의 처리에 의한 표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도 1의 서버에 있어서의 기호 정보의 등록 처리를 설명하는 순서도.
도 11은 도 1의 유저 장치의 등록 통지 취득 처리를 설명하는 순서도.
도 12는 도 1의 유저 장치의 기호 정보 취득 처리를 설명하는 순서도.
도 13은 도 12의 스텝 S82의 처리에 의한 표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14는 도 1의 서버의 기호 정보 취득 처리를 설명하는 순서도.
도 15는 기호 정보 등록 처리를 설명하는 도면.
도 16은 도 1의 영상 기록 재생 장치의 녹화 예약 처리를 설명하는 순서도.
도 17은 방송프로그램 정보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8은 녹화 예약 리스트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9는 도 1의 영상 기록 재생 장치의 예약 방송프로그램의 녹화 처리를 설명하는 순서도.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상황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기호 정보에 맞는 방송프로그램을 신속하게 예약 녹화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정보 처리 시스템은, 각각 네트워크에 접속되는, 제 1의 정보 처리 장치, 제 1의 정보 처리 장치와 정보를 수수하는 제 2의 정보 처리 장치, 및 제 1의 정보 처리 장치와 제 2의 정보 처리 장치 사이에서의 정보의 수수를 제어하는 제 3의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해 구성되는 정보 처리 시스템으로서, 제 1의 정보 처리 장치는, 제 1의 정보 처리 장치의 유저의 기호에 의거하여, 방송되는 방송프로그램에 관한 기호 정보를 취득하는 취득 수단과, 기호 정보와 함께, 기호 정보를 제공하는 제공처를, 네트워크를 통하여 제 3의 정보 처리 장치에 송신하는 제 1의 송신 수단을 구비하고, 제 2의 정보 처리 장치는, 제 1의 정보 처리 장치가 제 3의 정보 처리 장치에 등록시킨 기호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하여 제 3의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수신 수단을 구비하고, 제 3의 정보 처리 장치는, 제 1의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네트워크를 통하여 송신되어 온 기호 정보를 등록하는 등록 수단과, 제 2의 정보 처리 장치가, 제공처인 경우, 등록한 기호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하여 제 2의 정보 처리 장치에 송신하는 제 2의 송신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의 정보 처리 방법은, 각각 네트워크에 접속되는, 제 1의 정보 처리 장치, 제 1의 정보 처리 장치와 정보를 수수하는 제 2의 정보 처리 장치, 및 제 1의 정보 처리 장치와 제 2의 정보 처리 장치 사이에서의 정보의 수수를 제어하는 제 3의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해 구성되는 정보 처리 시스템의 정보 처리 방법으로서, 제 1의 정보 처리 장치의 정보 처리 방법은, 제 1의 정보 처리 장치의 유저의 기호에 의거하여, 방송되는 방송프로그램에 관한 기호 정보를 취득하는 취득 스텝과, 기호 정보와 함께, 기호 정보를 제공하는 제공처를, 네트워크를 통하여 제 3의 정보 처리 장치에 송신하는 제 1의 송신 스텝을 포함하고, 제 2의 정보 처리 장치의 정보 처리 방법은, 제 1의 정보 처리 장치가 제 3의 정보 처리 장치에 등록시킨 기호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하여 제 3의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수신 스텝을 포함하고, 제 3의 정보 처리 장치의 정보 처리 방법은, 제 1의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네트워크를 통하여 송신되어 온 기호 정보를 등록하는 등록 스텝과, 제 2의 정보 처리 장치가, 제공처인 경우, 등록한 기호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하여 제 2의 정보 처리 장치에 송신하는 제 2의 송신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의 정보 처리 장치는, 유저의 기호에 의거하여, 방송되는 방송프로그램에 관한 기호 정보를 취득하는 제 1의 취득 수단과, 기호 정보를 제공하는 제공처를 특정하는 제공처 정보를 취득하는 제 2의 취득 수단과, 제 1의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기호 정보와, 제 2의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제공처 정보를 다른 정보 처리 장치에 제공하는 제공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공 수단은, 기호 정보와 제공처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하여 다른 정보 처리 장치중의 제 1의 다른 정보 처리 장치에 송신하고, 등록시키고, 제 1의 다른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또한, 제공처 정보에 의해 규정된 다른 정보 처리 장치중의 제 2의 다른 정보 처리 장치에, 네트워크를 통하여 기호 정보를 제공시키도록 할 수 있다.
제 1의 취득 수단은, 유저에 의한 소정의 방송프로그램을 좋아하는 것을 나타내는 조작에 의거하여, 방송되는 방송프로그램에 관한 기호 정보의 취득을 시작하도록 할 수 있다.
유저에 의한 소정의 방송프로그램을 좋아하는 것을 나타내는 조작은, 녹화 예약 또는 프로텍트의 조작인 것으로 할 수 있다.
제 1의 취득 수단은, 유저에 의한 소정의 방송프로그램을 좋아하는 것을 나타내는 조작에 의거하여 방송프로그램의 상세 정보로부터 추출된 기호 키워드, 장르, 방송 시간대 및 방송국의 정보를, 방송프로그램 정보로부터 기호 정보로서 취득하도록 할 수 있다.
방송프로그램 정보를, 방송 전파를 통하여 방송국으로부터 수신, 또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수신 수단을 또한 구비하도록 할 수 있다.
제 2의 취득 수단은, 제공처 정보를 복수 취득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의 정보 처리 방법은, 유저의 기호에 의거하여, 방송되는 방송프로그램에 관한 기호 정보를 취득하는 제 1의 취득 스텝과, 기호 정보를 제공하는 제공처를 특정하는 제공처 정보를 취득하는 제 2의 취득 스텝과, 제 1의 취득 스텝의 처리에 의해 취득된 기호 정보와, 제 2의 취득 스텝의 처리에 의해 취득된 제공처 정보를 다른 정보 처리 장치에 제공하는 제공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의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프로그램은, 유저의 기호에 의거하여, 방송되는 방송프로그램에 관한 기호 정보를 취득하는 제 1의 취득 스텝과, 기호 정보를 제공하는 제공처를 특정하는 제공처 정보를 취득하는 제 2의 취득 스텝과, 제 1의 취득 스텝의 처리에 의해 취득된 기호 정보와, 제 2의 취득 스텝의 처리에 의해 취득된 제공처 정보를 다른 정보 처리 장치에 제공하는 제공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의 프로그램은, 유저의 기호에 의거하여, 방송되는 방송프로그램에 관한 기호 정보를 취득하는 제 1의 취득 스텝과, 기호 정보를 제공하는 제공처를 특정하는 제공처 정보를 취득하는 제 2의 취득 스텝과, 제 1의 취득 스텝의 처리에 의해 취득된 기호 정보와, 제 2의 취득 스텝의 처리에 의해 취득된 제공처 정보를 다른 정보 처리 장치에 제공하는 제공 스텝을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2의 정보 처리 장치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다른 정보 처리 장치에 액세스하는 액세스 수단과, 네트워크를 통하여 액세스한 다른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방송되는 방송프로그램에 관한 기호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과, 다른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수신된 기호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기억 수단에 의해 기억된 기호 정보에 의거하여, 방송프로그램을 예약 녹화하는 예약 녹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수신된 복수의 기호 정보로부터, 소정의 기호 정보를 지정하는 지정 정보를 취득하는 제 1의 취득 수단과, 제 1의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지정 정보를, 다른 정보 처리 장치에 네트워크를 통하여 송신하는 송신 수단을 또한 포함하고, 수신 수단은, 다른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네트워크를 통하여 송신되어 온, 송신 수단에 의해 송신된 지정 정보에 대응하는, 기호 정보를 수신하고, 기억 수단은, 송신 수단에 의해 송신된 지정 정보에 대응하는, 기호 정보를 기억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의 정보 처리 방법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다른 정보 처리 장치에 액세스하는 액세스 스텝과, 네트워크를 통하여 액세스한 다른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방송되는 방송프로그램에 관한 기호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 스텝과, 다른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수신된 기호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 스텝과, 기억 스텝의 처리에 의해 기억된 기호 정보에 의거하여, 방송프로그램을 예약 녹화하는 예약 녹화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2의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프로그램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다른 정보 처리 장치에 액세스하는 액세스 스텝과, 네트워크를 통하여 액세스한 다른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방송되는 방송프로그램에 관한 기호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 스텝과, 다른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수신된 기호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 스텝과, 기억 스텝의 처리에 의해 기억된 기호 정보에 의거하여, 방송프로그램을 예약 녹화하는 예약 녹화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2의 프로그램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다른 정보 처리 장치에 액세스하는 액세스 스텝과, 네트워크를 통하여 액세스한 다른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방송되는 방송프로그램에 관한 기호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 스텝과, 다른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수신된 기호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 스텝과, 기억 스텝의 처리에 의해 기억된 기호 정보에 의거하여, 방송프로그램을 예약 녹화하는 예약 녹화 스텝을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3의 정보 처리 장치는, 제 1의 다른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한 네트워크를 통한 액세스를 접수하는 제 1의 접수 수단과, 제 1의 접수 수단에 의해 액세스가 접수된 제 1의 다른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송신되어 온, 방송되는 방송프로그램에 관한 기호 정보와, 기호 정보를 제공하는 제공처를 특정하는 제공처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과,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기호 정보와 제공처 정보를 등록하는 등록 수단과, 제 2의 다른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한 네트워크를 통한 액세스를 접수하는 제 2의 접수 수단과, 제 2의 접수 수단에 의해 액세스가 접수된 제 2의 정보 처리 장치가, 기호 정보를 제공하는 제공처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 수단과, 판정 수단에 의해, 제 2의 접수 수단에 의해 액세스가 접수된 제 2의 다른 정보 처리 장치가, 기호 정보를 제공하는 제공처라고 판정된 경우, 등록 수단에 등록되어 있는 기호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하여 제 2의 정보 처리 장치에 송신하는 제 1의 송신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1의 송신 수단에 의해 송신된 복수의 기호 정보로부터 소정의 기호 정보를 지정하는 지정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하여, 제 2의 다른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취득하는 취득 수단과,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지정 정보에 대응하는 기호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하여 제 2의 정보 처리 장치에 송신하는 제 2의 송신 수단을 또한 포함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4의 정보 처리 방법은, 제 1의 다른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한 네트워크를 통한 액세스를 접수하는 제 1의 접수 스텝과, 제 1의 접수 스텝의 처리에 의해 액세스가 접수된 제 1의 다른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송신되어 온, 방송되는 방송프로그램에 관한 기호 정보와, 기호 정보를 제공하는 제공처를 특정하는 제공처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 스텝과, 수신 스텝의 처리에 의해 수신된 기호 정보와 제공처 정보를 등록하는 등록 스텝과, 제 2의 다른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한 네트워크를 통한 액세스를 접수하는 제 2의 접수 스텝과, 제 2의 접수 스텝의 처리에 의해 액세스가 접수된 제 2의 정보 처리 장치가, 기호 정보를 제공하는 제공처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 스텝과, 판정 스텝의 처리에 의해, 제 2의 접수 스텝의 처리에 의해 액세스가 접수된 제 2의 다른 정보 처리 장치가, 기호 정보를 제공하는 제공처라고 판정된 경우, 등록 스텝의 처리에 의해 등록되어 있는 기호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하여 제 2의 정보 처리 장치에 송신하는 송신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3의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프로그램은, 제 1의 다른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한 네트워크를 통한 액세스를 접수하는 제 1의 접수 스텝과, 제 1의 접수 스텝의 처리에 의해 액세스가 접수된 제 1의 다른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송신되어 온, 방송되는 방송프로그램에 관한 기호 정보와, 기호 정보를 제공하는 제공처를 특정하는 제공처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 스텝과, 수신 스텝의 처리에 의해 수신된 기호 정보와 제공처 정보를 등록하는 등록 스텝과, 제 2의 다른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한 네트워크를 통한 액세스를 접수하는 제 2의 접수 스텝과, 제 2의 접수 스텝의 처리에 의해 액세스가 접수된 제 2의 정보 처리 장치가, 기호 정보를 제공하는 제공처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 스텝과, 판정 스텝의 처리에 의해, 제 2의 접수 스텝의 처리에 의해 액세스가 접수된 제 2의 다른 정보 처리 장치가, 기호 정보를 제공하는 제공처라고 판정된 경우, 등록 스텝의 처리에 의해 등록되어 있는 기호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하여 제 2의 정보 처리 장치에 송신하는 송신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3의 프로그램은, 제 1의 다른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한 네트워크를 통한 액세스를 접수하는 제 1의 접수 스텝과, 제 1의 접수 스텝의 처리에 의해 액세스가 접수된 제 1의 다른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송신되어 온, 방송되는 방송프로그램에 관한 기호 정보와, 기호 정보를 제공하는 제공처를 특정하는 제공처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 스텝과, 수신 스텝의 처리에 의해 수신된 기호 정보와 제공처 정보를 등록하는 등록 스텝과, 제 2의 다른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한 네트워크를 통한 액세스를 접수하는 제 2의 접수 스텝과, 제 2의 접수 스텝의 처리에 의해 액세스가 접수된 제 2의 정보 처리 장치가, 기호 정보를 제공하는 제공처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 스텝과, 판정 스텝의 처리에 의해, 제 2의 접수 스텝의 처리에 의해 액세스가 접수된 제 2의 다른 정보 처리 장치가, 기호 정보를 제공하는 제공처라고 판정된 경우, 등록 스텝의 처리에 의해 등록되어 있는 기호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하여 제 2의 정보 처리 장치에 송신하는 송신 스텝을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1의 본 발명에서는, 제 1의 정보 처리 장치에서, 유저의 기호에 의거하여, 방송되는 방송프로그램에 관한 기호 정보가 취득되고, 기호 정보와 함께, 기호 정보를 제공하는 제공처가, 네트워크를 통하여 제 3의 정보 처리 장치에 송신되고, 등록된다. 또한, 제 2의 정보 처리 장치가, 제공처인 경우, 제 3의 정보 처리 장치에 등록된 기호 정보가, 네트워크를 통하여 제 2의 정보 처리 장치에 송신된다.
제 2의 본 발명에서는, 유저의 기호에 의거하여, 방송되는 방송프로그램에 관한 기호 정보와, 기호 정보를 제공하는 제공처를 특정하는 제공처 정보가 취득되고, 기호 정보와 제공처 정보가 다른 정보 처리 장치에 제공된다.
제 3의 본 발명에서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다른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방송되는 방송프로그램에 관한 기호 정보가 수신, 기억되고, 기억된 기호 정보에 의거하여, 방송프로그램이 예약 녹화된다.
제 4의 본 발명에서는, 제 1의 다른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송신되어 온, 방송되는 방송프로그램에 관한 기호 정보와, 기호 정보를 제공하는 제공처를 특정하는 제공처 정보가 수신되고, 등록된다. 또한, 액세스가 접수된 제 2의 정보 처리 장치가, 기호 정보를 제공하는 제공처라고 판정된 경우, 등록되어 있는 기호 정보가, 네트워크를 통하여 제 2의 정보 처리 장치에 송신된다.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한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 구성예에서는, 인터넷, WAN(Wide Area Network), LAN(Loca1 Area Network) 등에 의해 구성되는 네트워크(1)에, 서버(2-1, 2-2)와, 유저 장치(3-1, 3-2)가 접속되어 있다. 도 1의 예에서는, 2대의 서버(2-1, 2-2)(이하, 이들의 서버를 개별적으로 구별할 필요가 없는 경우, 단지 서버(2)라고 칭한다), 및 2대의 유저 장치(3-1, 3-2)(이하, 이들의 유저 장치를 개별적으로 구별할 필요가 없는 경우, 단지 유저 장치(3)라고 칭한다)가, 네트워크(1)에 접속되어 있지만, 그 대수는 임의이고, 각각 3대 이상이라도 좋다.
서버(2-1)는, 기호 정보(후술하는 도 7의 기호 정보(401))를, 서버(2-2)는, 방송프로그램 정보(EPG(Electric Program Guide) 정보)를, 각각 유저 장치(3)에 네트워크(1)를 통하여 제공한다.
유저 장치(3)는, 유저의 가정에 배치되고, 유저 장치(3-1)는, 영상 기록 재생 장치(11), 표시 장치(12), 및 안테나(13)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영상 기록 재생 장치(11)는, 예를 들면, 하드디스크 비디오 레코더 등이고, 안테나(13)를 통하여 방송 전파를 수신하고, 복조하여 얻어진 신호를, 내장하는 보조 기억 장치(40)(후술하는 도 2 참조)에 기억시킴과 함께, 후단의 표시 장치(12)에 제공하고, 표시시킨다. 표시 장치(12)는, 예를 들면 텔레비전 수상기나 모니터 등에 의해 구성된다.
또한, 도시는 생략하지만, 유저 장치(3-2)도, 유저 장치(3-1)와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영상 기록 재생 장치(11)는,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된다. 튜너(31)는, 안테나(13)에 의해 수신된 지상파의 텔레비전 방송의 방송 전파에 대응하는 방송 신호를 복조하고, 영상 신호 성분과 음성 신호 성분을 인코더(32)에 출력한다. 안테나(13)가 수신하는 지상파의 텔레비전 방송 신호의 수직 블랭킹 기간에는, EPG 정보가 포함되어 있고, 튜너(31)는, 이 EPG 정보를 EPG 취득 모듈(34)에 출력한다.
인코더(32)는, 튜너(31)로부터 입력된 영상 신호와 음성 신호를, 예를 들면 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 방식으로 인코드하고, 버스(52)를 통하여 보조 기억 장치(40)에 공급하고, 기억시킨다. 보조 기억 장치(40)는, 하드디스크, 자기 테이프, 리무버블 디스크, 플래시 메모리 등으로 구성된다.
보조 기억 장치(40)에 기억된 영상 신호와 음성 신호는, 버스(52)를 통하여 디코더(33)에 출력되고, MPEG 방식으로 디코드된 후, 표시 장치(12)에 공급된다. 인코더(32)와 디코더(33)는, 수신된 영상 신호와 음성 신호를 보조 기억 장치(40)에 기억시키지 않는 경우, 튜너(31)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그대로 표시 장치(12)에 출력한다.
버스(52)에는, 예를 들면, RAM(Random Access Memory) 등으로 이루어지는 주기억 장치(39)와, ROM(Read Only Memory)(38)이 접속되어 있다. 주기억 장치(39)에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35)가 각종의 처리를 실행하는데 있어서 필요한 데이터나 패러미터가 적절히 기억된다. ROM(38)에는, CPU(35)가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억되어 있다.
버스(52)에는, 또한, 네트워크(1)와의 인터페이스 처리를 실행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7)가 접속되어 있다.
CPU(35)는, 인코더(32), 디코더(33), 및 EPG 취득 모듈(34)과 함께, 버스(51)에 접속되어 있다. 이 버스(51)에는 또한, RAM 등으로 구성되는 주기억 장치(36)가 접속되어 있다.
영상 기록 재생 장치(11)의 소프트웨어를 중심으로 한 기능적 구성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루어진다. 라이브 방송 재생부(61)는, 튜너(31)에 의해, 그 때 수신되어 있는 신호, 또는 도시하지 않은 외부 입력 단자로부터 입력된 신호의 처리를 실행한다. 녹화 타이틀 재생부(62)는, 보조 기억 장치(40)에 기억된 방송프로그램(타이틀)의 재생 처리를 실행한다. 녹화 제어부(63)는, 보조 기억 장치(40)에 대한 신호의 기록 처리를 실행한다. 어플리케이션 관리부(64)는, 시청 제어 어플리케이션(68), 방송프로그램 정보 표시 어플리케이션(69), 및 녹화 예약 어플리케이션(70)의 기동, 종료, 및 동작 상태의 감시 처리를 실행한다.
시청 제어 어플리케이션(68)은, 유저로부터의 지령에 의거하여, 라이브 방송 재생부(61), 녹화 타이틀 재생부(62), 녹화 타이틀 관리부(65), 또는 방송프로그램 정보 관리부(66)를 제어하고, 그 때 수신 또는 입력되어 있는 신호를 재생시키거나, 보조 기억 장치(40)에 기억되어 있는 방송프로그램의 재생을 행한다. 또한, 시청 제어 어플리케이션(68)은, 라이브 방송 재생부(61)를 제어하고, 튜너(31)에, 유저로부터 지정된 채널의 방송프로그램을 수신시키는 때, 방송프로그램 정보 관리부(66)에 기억되어 있는 방송프로그램 정보를 적절히 참조한다. 또한, 시청 제어 어플리케이션(68)은, 녹화 타이틀 재생부(62)를 제어하고, 보조 기억 장치(40)에 기억되어 있는 방송프로그램을 재생하는 때, 녹화 타이틀 관리부(65)에 기억되어 있는 방송프로그램의 관리 정보를 적절히 참조한다.
방송프로그램 정보 표시 어플리케이션(69)은, 방송프로그램 정보 관리부(66)에 기억되어 있는 방송프로그램 정보(EPG 정보)를 참조하여, 표시 장치(12)에 방송프로그램 정보를 표시시킨다. 녹화 예약 어플리케이션(70)은, 유저로부터의 지령에 의거하여, 녹화 예약 처리를 실행함과 함께, 유저의 기호 정보(방송프로그램에 관한 기호 정보)를 생성한다. 이 때 녹화 예약 어플리케이션(70)은, 필요에 응하여 방송프로그램 정보 관리부(66)에 기억되어 있는 방송프로그램 정보를 참조한다. 또한, 녹화 예약 어플리케이션(70)은, 유저로부터의 조작에 의거하여 녹화 예약을 행하는 때, 녹화 예약 관리부(67)를 제어하고, 녹화 예약 처리를 실행시킨다.
녹화 타이틀 관리부(65)는, 보조 기억 장치(40)에 기억되어 있는 방송프로그램(타이틀)에 관한 정보를 관리한다. 방송프로그램 정보 관리부(66)는, EPG 취득 모듈(34)에 의해 취득된 방송프로그램 정보를 관리한다. 녹화 예약 관리부(67)는, 녹화 예약 어플리케이션(70) 또는 자동 녹화 예약 제어부(71)로부터의 요구에 의거하여, 녹화 제어부(63)를 제어하고, 녹화 예약 처리를 실행한다.
자동 녹화 예약 제어부(71)는, 서버(2-1)로부터 취득한 기호 정보(후술하는 도 7의 기호 정보(401))에 의거하여, 녹화 예약 처리를 실행한다. 네트워크 통신부(72)는, 네트워크(1)를 통하여 서버(2-1, 2-2)와 통신하고, 기호 정보(후술하는 도 7의 기호 정보(401))나 방송프로그램 정보를 취득한다.
서버(2-1)는,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된다. 도 4에서, CPU (Central Processing Unit)(221)는, ROM(Read Only Memory)(222)에 기억되어 있는 프로그램, 또는 기억부(228)로부터 RAM(Random Access Memory)(223)에 로드된 프로그램에 따라 각종의 처리를 실행한다. RAM(223)에는 또한, CPU(221)가 각종의 처리를 실행하는데 있어서 필요한 데이터 등도 적절히 기억된다.
CPU(221), ROM(222) 및 RAM(223)은, 버스(224)를 통하여 서로 접속되어 있다. 이 버스(224)에는 또한, 입출력 인터페이스(225)도 접속되어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225)에는, 키보드, 마우스 등으로 이루어지는 입력부(226), CRT(Cathode Ray Tube), LCD(Liquid Crystal display) 등으로 이루어지는 디스플레이, 및 스피커 등으로 이루어지는 출력부(227), 하드디스크 등으로 구성되는 기억부(228), 모뎀 등으로 구성되는 통신부(229)가 접속되어 있다. 기억부(228)에는, 유저 장치(3)에 제공하는 기호 정보(후술하는 도 7의 기호 정보(401))가 기억되어 있다. 통신부(229)는, 인터넷을 포함하는 네트워크(1)를 통한 통신 처리를 행한다.
입출력 인터페이스(225)에는 또한, 필요에 응하여 드라이브(230)가 접속되고,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또는 반도체 메모리 등의 리무버블 미디어(231)가 적절히 장착되고, 그들로부터 판독된 컴퓨터 프로그램이, 필요에 응하여 기억부(228)에 인스톨된다.
또한, 도시는 생략하지만, 서버(2-2)도, 도 4에 도시한 서버(2-1)와 기본적으로 같은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 5는, 서버(2-1)의 기능적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네트워크 통신부(301)는, 네트워크(1)를 통하여 유저 장치(3)와 통신하고, 기호 정보(후술하는 기호 정보(401))를 공급한다. 또한, 네트워크(1)를 통하여, 유저 장치(3)에 의해 송신된 기호 정보나, 유저 장치(3)로부터 송신된 유저 ID를 수신한다.
등록 관리부(302)는, 네트워크 통신부(301)를 제어하고 취득한 정보를, 고객 데이터베이스(304) 또는 기호 정보 데이터베이스(305)에 기억시키거나, 고객 데이터베이스(304) 또는 기호 정보 데이터베이스(305)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를 취득하고, 네트워크 통신부(301)를 통하여 출력한다. 또한, 등록 관리부(302)는, 네트워크 통신부(301)를 통하여 유저 장치(3)로부터 취득한 유저 ID를 등록한다. 화면 관리부(303)는, 등록 관리부(302)가 관리하고 있는 유저 ID에 의거하여, 신뢰 등록 화면(후술하는 도 9)을 관리한다.
다음에, 도 6의 순서도를 참조하여, 도 3의 영상 기록 재생 장치(11)에 의한 기호 정보 작성 처리를 설명한다. 또한, 이 처리는, 유저에 의해, 영상 기록 재생 장치(11)에 대해, 소정의 방송프로그램을 좋아한다는 조작(소정의 방송프로그램을 좋아하는 것을 나타내는 조작)이 입력된 때 시작된다.
스텝 S1에서, 녹화 예약 어플리케이션(70)은, 유저에 의해, 소정의 방송프로그램을 좋아한다는 조작이 행하여지면, 이 조작에 의거한 신호를 취득한다. 이와 같은 조작으로서는, 예를 들면, 녹화 예약, 또는, 프로텍트 등의 조작을 들 수 있다. 예를 들면, 유저에 의해, 어느 방송프로그램의 녹화 예약을 하는 조작이 행하여지면, 녹화 예약 어플리케이션(70)은 이것을 취득함과 함께, 녹화 예약 처리를 실행한다.
스텝 S2에서, 자동 녹화 예약 제어부(71)는, 방송프로그램 정보 관리부(66)에 기억되어 있는 방송프로그램 정보(EPG 정보)로부터, 그 방송프로그램(스텝 S1의 처리에 의해, 녹화가 예약된 프로그램)의 타이틀, 상세 정보, 장르, 방송 시간대 및 방송국을 취득한다. 즉, 방송프로그램 정보 관리부(66)에는, 예를 들면, 후술하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방송프로그램 정보(EPG 정보)가 기억되어 있고, 그것에 의거하여, 이 처리가 행하여진다.
스텝 S3에서, 자동 녹화 예약 제어부(71)는, 스텝 S2의 처리에 의해 취득한 타이틀, 또는, 상세 정보로부터, 기호 키워드를 추출한다(추출한 기호 키워드가, 후술하는 도 7의 키워드 기호 정보(402)로 된다). 예를 들면, 타이틀, 또는 상세 정보에 특정한 연예인의 이름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이것이 추출된다.
스텝 S4에서, 자동 녹화 예약 제어부(71)는, 스텝 S3의 처리에 의해 추출한 기호 키워드, 및 스텝 S2의 처리에 의해 취득된 장르, 방송 시간대 및 방송국의 정보를 기호 정보로서 보존한다.
도 6의 처리에 의해, 유저에 의한 소정의 방송프로그램을 좋아한다는 조작(녹화 예약이나 프로텍트 등의 조작)에 의거하여, 방송되는 방송프로그램에 관한 기호 정보의 취득이 시작된다. 또한, 유저에 의한 소정의 방송프로그램을 좋아한다는 조작에 의거하여 방송프로그램의 상세 정보로부터 추출된 기호 키워드, 장르, 방송 시간대 및 방송국의 정보가, 방송프로그램 정보로부터 기호 정보로서 취득된다.
도 7은, 도 6의 처리에 의해 보존된 기호 정보(401)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호 정보(401)는, 키워드 기호 정보(402), 장르 기호 정보(403), 방송국 기호 정보(404) 및 시간대 기호 정보(405) 등의, 방송프로그램에 관한 기호 정보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물론, 기호 정보(401)를 구성하는 기호 정보(키워드 기호 정보(402), 장르 기호 정보(403), 방송국 기호 정보(404) 및 시간대 기호 정보(405))는,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자동 녹화 예약 제어부(71)는, 이 기호 정보를 참조함에 의해, 그 기호에 따른 방송프로그램의 녹화 예약을 행할 수 있다.
키워드 기호 정보(402)는, keyword name, update, 및 그 keyword name의 포인트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도 7의 예에서, 1번째의 키워드 기호 정보(402)의 keyword name는 「山田一郞」이고, keyword name를 업데이트한 시각 update는 「2002.1.3 10:03:45」이고, 그 keyword name의 포인트는 「30」이라고 되어 있다. 또한, 2번째의 키워드 기호 정보(402)의 keyword name는 「山中花子」이고, keyword name를 업데이트한 시각 update는 「2002.1.3 10:03:45」이고, 그 keyword name의 포인트는 「20」이라고 되어 있다. 또한, 3번째의 키워드 기호 정보(402)의 keyword name는 「野球」이고, keyword name를 업데이트한 시각 update는 「2002.1.3 10:03:45」이고, 그 keyword name의 포인트는 「10」이라고 되어 있다. 또한, 4번째의 키워드 기호 정보(402)의 keyword name는 「日曜劇場」이고, keyword name를 업데이트한 시각 update는 「2002.1.3 10:03:45」이고, 그 keyword name의 포인트는 「25」라고 되어 있다.
keyword name의 포인트는, 그 keyword name에 대응하는 키워드에 대한 유저에 의한 기호도가 높을수록 큰 값으로 된다. 또한, 도 7의 예의 경우, keyword name의 포인트를 정의 값으로 하였지만, 부의 값으로 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유저가, 기호하지 않는(싫어하는) 키워드가 있는 경우, 기호 정보(401)에, 그 keyword name의 포인트를 부의 값으로서 보존할 수 있다. 물론, keyword name의 포인트의 부의 값의 절대치가 큰(보다, 작은 값이다) 때, 유저에 의해, 보다 기호되지 않는(보다 싫어하는) 키워드인 것으로 된다.
도 7의 예의 경우, 키워드 기호 정보(402)의 keyword name으로서, 유저에게 가장 기호되고 있는 keyword name는 「야마다 이치로」로 된다(keyword name의 포인트가 「30」으로 가장 큰 값이기 때문에).
장르 기호 정보(403)는, genre id, update, 및 그 genre id의 포인트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도 7의 예에서, 1번째의 장르 기호 정보(403)의 genre id는 「1」(예를 들면, 「1」은 스포츠에 대응하는 값이다)이고, genre id를 업데이트한 시각 update는 「2002.1.3 10:03:45」이고, 그것의 genre id의 포인트는 「23」이라고 되어 있다. 또한, 2번째의 장르 기호 정보(403)의 genre id는 「3」(예를 들면, 「3」은 드라마에 대응하는 값이다)이고, genre id를 업데이트한 시각 update는 「2002.1.3 10:03:45」이고, 그 genre id의 포인트는 「10」이라고 되어 있다.
genre id의 포인트는, 유저에 의한 기호도가 높을수록 큰 값으로 된다. 또한, genre id의 포인트가 부의 값인 경우, 그 genre id에 대응하는 장르는, 유저가 기호하지 않는(싫어하는) 장르인 것으로 된다.
도 7의 예의 경우, 장르 기호 정보(403)의 genre id로서, 유저에게 가장 기호되고 있는 genre id는, 「1」(예를 들면, 「1」은 스포츠에 대응하는 값이다)로 되고(genre id의 포인트가 「23」으로 가장 큰 값이기 때문에), 유저에게 가장 기호되지 않는(싫어하는) genre id는 「3」(예를 들면, 「3」은 드라마에 대응하는 값이다)이다.
방송국 기호 정보(404)에 대응하는 정보는, station id, update, 및 그 station id의 포인트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도 7의 예에서, 1번째의 방송국 기호 정보(404)의 station id는 「1」(예를 들면, 「1」은 1채널에 대응하는 ID이다)이고, station id를 업데이트한 시각 update는 「2002.1.3 10:03:45」이고, 그 station id의 포인트는 「23」이라고 되어 있다. 또한, 2번째의 방송국 기호 정보(404)의 station id는, 「5」(예를 들면, 「5」는, 5채널에 대응하는 ID이다)이고, station id를 업데이트한 시각 update는 「2002.1.3 10:03:45」이고, 그 station id의 포인트는, 「-10」이라고 되어 있다.
station id의 포인트에 있어서도, 유저에 의한 기호도가 높을수록 큰 값으로 된다. 또한, station id의 포인트가 부의 값인 경우, 그 station id에 대응하는 방송국은, 유저가 기호하지 않는(싫어하는) 방송국인 것으로 된다.
도 7의 예의 경우, 방송국 기호 정보(404)의 station id로서, 유저에게 가장 기호되고 있는 station id는 「1」(예를 들면, 「1」은 1 채널에 대응하는 ID이다)로 되고(station id의 포인트가 「23」으로, 가장 큰 값이기 때문에), 유저에게 가장 기호되지 않는(싫어하는) station id는 「5」(예를 들면, 「5」는 5채널에 대응하는 ID이다)이다.
시간대 기호 정보(405)에 대응하는 정보는, time_zone id, update, 및 그 time_zone id의 포인트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도 7의 예에서, 1번째의 시간대 기호 정보(405)의 time_zone id는, 「0」(예를 들면, 「0」은 0시부터 1시에 대응하는 값이다)이고, time_zone id를 업데이트한 시각 update는 「2002.1.3 10:03:45」이고, 그 time_zone id의 포인트는 「50」이라고 되어 있다. 또한, 2번째의 시간대 기호 정보(405)의 time_zone id는, 「2」(예를 들면, 「2」는 2시부터 3시에 대응하는 값이다)이고, time_zone id를 업데이트한 시각 update는 「2002.1.3 10:03:45」이고, 그 time_zone id의 포인트는 「-10」이라고 되어 있다. 또한, 3번째의 시간대 기호 정보(405)의 time_zone id는 「4」(예를 들면, 「4」는, 4시부터 5시에 대응하는 값이다)이고, time_zone id를 업데이트한 시각 update는 「2002.1.3 10:03:45」이고, 그 time_zone id의 포인트는 「-20」이라고 되어 있다. 또한, 4번째의 시간대 기호 정보(405)의 time_zone id는, 「8」(예를 들면, 「8」은 8시부터 9시에 대응하는 값이다)이고, time_zone id를 업데이트한 시각 update는 「2002.1.3 10:03:45」이고, 그 time_zone id의 포인트는 「23」이라고 되어 있다.
time_zone id의 포인트에 있어서도, 유저에 의한 기호도가 높을수록 큰 값으로 된다. 또한, time_zone id의 포인트가 부의 값인 경우, 그 time_zone id에 대응하는 시간대는, 유저가 기호하지 않는(싫어하는) 시간대인 것으로 된다.
도 7의 예의 경우, 시간대 기호 정보(405)의 time_zone id로서, 유저에게 가장 기호되고 있는 time_zone id는 「0」(예를 들면, 「0」은, 0시부터 1시에 대응하는 값이다)으로 되고(time_zone id의 포인트가 「50」으로 가장 큰 값이기 때문에), 유저에게 가장 기호되지 않는(싫어하는) time_zone id는 「4」(예를 들면, 「4」는, 4시부터 5시에 대응하는 값이다)이다.
이상의 정보가, 유저 장치(3)의 유저의 기호 정보(401)로서 격납되어 있다. 유저 장치(3)의 유저는, 이상과 같이 하여 기호 정보를 보존한 때, 그것을 서버(2-1)에 등록하고, 친구 등에게 이용시킬 수 있다.
다음에, 도 8의 순서도를 참조하여, 유저 장치(3-2)의 유저가, 스스로 작성(보존)한 기호 정보(유저의 기호 정보)를 서버(2-1)에 등록하는 처리를 설명한다. 또한, 이 처리는, 유저에 의해, 유저 등록이 지령된 때 시작된다.
스텝 S21에서, 자동 녹화 예약 제어부(71)는, 서버(2-1)에 등록하는 기호 정보(401)(예를 들면, 도 7의 기호 정보(401))를 취득한다. 이 기호 정보(401)는, 유저가 녹화 예약 등을 행함에 의해, 도 6의 순서도에 도시된 처리를 실행함으로써 작성된 것이다.
스텝 S22에서, 자동 녹화 예약 제어부(71)는, 네트워크 통신부(72)를 제어하고, 네트워크(1)를 통하여, 서버(2-1)에 액세스한다. 서버(2-1)는, 유저 장치(3-2)로부터의 액세스를 접수하고(후술하는 도 10의 스텝 S41), 신뢰 등록 화면을 송신한다(후술하는 도 10의 스텝 S42). 유저 장치(3-2)는, 서버(2-1)로부터 송신되어 온 신뢰 등록 화면(후술하는 도 9)을 수신한다.
스텝 S23에서, 자동 녹화 예약 제어부(71)는, 서버(2-1)에 의해 송신된(도 10의 스텝 S42) 신뢰 등록 화면을, 방송프로그램 정보 표시 어플리케이션(69)을 사용하여, 표시 장치(12)에 표시시킨다. 이 신뢰 등록 화면의 예를 도 9에 도시한다.
도 9에는, 「신뢰하는 유저의 유저 ID를 넣고, 결정을 누르십시오.」라는 메시지가 표시되어 있고, 유저 ID를 입력하는 박스가 표시되어 있다. 유저는, 자신의 기호 정보를 이용시키고 싶다고 생각하는 다른 유저의 유저 ID를 입력하고, 결정 버튼(501)을 조작한다.
도 8로 되돌아와, 스텝 S24에서, 자동 녹화 예약 제어부(71)는, 등록하는 유저의 ID를 취득한다. 구체적으로는, 유저에 의해, 도 9에 도시된 화면에 유저 ID가 입력되고, 결정 버튼(501)이 선택된 때, 자동 녹화 예약 제어부(71)는, 입력된 유저 ID를 취득한다. 지금의 예의 경우, 이 처리를 실행하는 유저를 유저 장치(3-2)의 유저로 하고, 등록하는 유저를 유저 장치(3-1)의 유저로 한다(즉, 등록하는 유저 ID는, 유저 장치(3-1)의 유저의 유저 ID이다). 이것은, 유저 장치(3-2)가, 등록하는 유저 ID에 기호 정보의 제공을 허가하는 것을 의미하다. 따라서, 이 서비스를 이용한 유저는, 서버(2-1)에 자기 자신을 유저 등록하고, 유저 ID의 할당을 미리 받아 둘 필요가 있다.
스텝 S25에서, 자동 녹화 예약 제어부(71)는, 스텝 S21의 처리에 의해 취득한 기호 정보(401)와, 스텝 S24의 처리에 의해 취득한 유저 ID(지금의 예의 경우, 유저 장치(3-1)의 유저의 유저 ID)를 서버(2-1)에 송신한다. 서버(2-1)는, 이것을 수신하고, 등록한다(후술하는 도 10의 스텝 S43과 스텝 S44).
다음에, 도 10의 순서도를 참조하여, 도 8의 유저 장치(3-2)의 처리에 대응하는, 서버(2-1)에 있어서의 유저의 등록 처리를 설명한다. 또한, 이 처리는, 유저 장치(3-2)로부터 액세스된 때 시작된다.
스텝 S41에서, 네트워크 통신부(301)는, 유저 장치(3)(지금의 예의 경우 유저 장치(3-2))로부터의 액세스(도 8의 스텝 S22)를 접수한다.
스텝 S42에서, 등록 관리부(302)는, 화면 관리부(303)에 의해 관리되어 있는 신뢰 등록 화면(도 9)을 판독하고, 네트워크 통신부(301)를 통하여, 유저 장치(3)에 송신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도 9에 도시된 신뢰 등록 화면의 데이터를 송신한다. 유저 장치(3)(유저 장치(3-2))는, 이것을 수신하여 표시하고(도 8의 스텝 S23), 등록하는 유저 ID(지금의 예의 경우 유저 장치(3-1))와 기호 정보(401)(유저 장치(3-2)의 유저의 기호 정보)를 취득하고, 서버(2-1)에 송신한다(도 8의 스텝 S25).
그러면, 스텝 S43에서, 등록 관리부(302)는, 네트워크 통신부(301)를 통하여, 기호 정보(401)(유저 장치(3-2)의 유저의 기호 정보)와 등록하는 유저 ID를 수신한다.
스텝 S44에서, 등록 관리부(302)는, 네트워크 통신부(301)로부터 기호 정보(401)(유저 장치(3-2)의 유저의 기호 정보)와 등록하는 유저 ID를 취득하고, 기호 정보 데이터베이스(305)에 등록한다. 구체적으로는, 기호 정보(401)를 기호 정보 데이터베이스(305)에 기억시키고, 유저 ID(유저 장치(3-1)의 ID)(방송프로그램 정보를 제공하는 제공처를 특정하는 유저 ID)를 고객 데이터베이스(304)에 등록시킨다. 이로써, 지금의 예의 경우, 유저 장치(3-2)의 유저가 신뢰하고 있는 유저가, 유저 장치(3-1)의 유저인 것이 등록된다.
스텝 S45에서, 등록 관리부(302)는, 네트워크 통신부(301)를 제어하고, 등록한 유저(지금의 예의 경우 유저 장치(3-1))에게, 유저 장치(3)(지금의 예의 경우, 유저 장치(3-2))로부터 등록된 것을 통지한다.
이와 같이, 도 8과 도 10의 처리에 의해, 기호 정보의 등록이 행하여진다.
다음에, 도 11의 순서도를 참조하여, 도 10의 스텝 S45의 처리에 대응하여 실행되는 유저 장치(3)(예를 들면, 유저 장치(3-1))의 처리를 설명한다. 또한, 이 처리는, 서버(2-1)로부터 등록한 유저가 갖는 유저 장치(3)(유저 장치(3-1))에게 통지된 때 시작된다.
스텝 S61에서, 유저 장치(3)(지금의 예의 경우, 유저 장치(3-1))는, 서버(2-1)로부터의 액세스(도 10의 스텝 S45)를 접수한다.
스텝 S62에서, 유저 장치(3)(지금의 경우, 유저 장치(3-1))는, 서버(2-1)로부터의 통지를 수신한다. 이 통지에는, 예를 들면, 도 8의 처리를 실행한 유저 장치(3-2)에 의해, 기호 정보(유저 장치(3-2)의 유저의 기호 정보)가 등록된 것을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이 통지를 수신함에 의해, 유저 장치(3-1)의 유저는, 다른 유저 장치(지금의 예의 경우, 유저 장치(3-2))에 의해 기호 정보(유저 장치(3-2)의 유저의 기호 정보)가 등록된 것을 알 수 있다.
다음에, 도 12의 순서도를 참조하여, 유저 장치(3)의 기호 정보 취득 처리에 관해 설명한다. 또한, 이 처리는, 유저 장치(3)(예를 들면, 유저 장치(3-1))를 소유하는 유저에 의해, 녹화 예약을 하도록 지령된 때 시작된다.
스텝 S81에서, 네트워크 통신부(72)는, 유저의 지령에 의거하여, 서버(2-1)에 액세스한다. 서버(2-1)는, 이 액세스를 접수하고(후술하는 도 14의 스텝 S111), 기호 정보의 제공처로서 등록되어 있다고 판정된 경우(후술하는 도 14의 스텝 S112에서 YES로 된 경우), 복수의 유저 장치(3)의 기호 정보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 화면을 송신한다(후술하는 도 14의 스텝 S113).
그러면 스텝 S82에서, 네트워크 통신부(72)는, 서버(2-1)로부터 송신된 복수의 유저 장치(3)의 기호 정보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 화면을 수신한다. 그리고, 자동 녹화 예약 제어부(71)는, 방송프로그램 표시 어플리케이션(69)을 제어하고, 복수의 유저 장치(3)의 기호 정보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 화면을 표시 장치(12)에 표시시킨다.
이 때, 표시 장치(12)에 표시되는 화면예를 도 13에 도시한다. 도 13에는, 「당신을 신뢰하고 있는 분의 기호 정보 리스트입니다. 좋아하시는 기호 정보 리스트를 선택하여 주십시요」라는 메시지가 표시되어 있고, 그 메시지의 아래에, 유저 X씨 버튼(521), 유저 B씨 버튼(522) 및 유저 C씨 버튼(523)이 선택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다. 유저는, 유저 X씨 버튼(521), 유저 B씨 버튼(522) 및 유저 C씨 버튼(523)으로부터 어느 하나를 선택한다. 또한, 도 13에 도시되어 있는 유저 X씨 버튼(521), 유저 B씨 버튼(522), 유저 C씨 버튼(523)은, 함께, 상술한 도 8의 스텝 S25, 도 10의 스텝 S44의 처리에 의해, 등록된 유저 ID의 유저의 명칭이다.
스텝 S83에서, 자동 녹화 예약 제어부(71)는, 유저의 조작에 의거하여, 복수의 기호 정보로부터 소정의 것을 지정하는 지정 정보를 취득한다. 예를 들면, 스텝 S82의 처리에 의해 표시 장치(12)에 표시된 도 13의 화면에서, 유저에 의해, 유저 B씨 버튼(522)이 선택된 경우, 유저 B씨 버튼(522)이 지정된 것을 나타내는 지정 정보가 취득된다.
스텝 S84에서, 네트워크 통신부(72)는, 지정된 기호 정보의 지정 정보(스텝 S83의 처리에 의해 취득된 지정 정보)를 서버(2-1)에 송신한다. 스텝 S83의 처리에 의해 유저 B씨 버튼(522)이 지정된 것을 나타내는 지정 정보가 취득된 경우에는, 유저 장치(3)는, 유저 B씨 버튼(522)이 지정된 것을 나타내는 지정 정보를 서버(2-1)에 송신한다. 서버(2-1)는, 이것을 수신하고(후술하는 도 14의 스텝 S114), 유저 장치(3)에 기호 정보를 송신한다(후술하는 도 14의 스텝 S115). 지금의 예의 경우, 유저 B씨에 의해, 미리 서버(2-1)(서버(2-1)의 기호 정보 데이터베이스(305))에 등록되어 있는 기호 정보를 송신한다.
그러면, 스텝 S85에서, 자동 녹화 예약 제어부(71)는, 네트워크 통신부(72)를 통하여, 서버(2-1)로부터 송신된 기호 정보(예를 들면, 도 7의 기호 정보(401))를 수신하고, 녹화 예약 관리부(67)는, 이것을 내부의 기호 정보 데이터베이스(보조 기억 장치(40))에 기억시킨다. 이 기호 정보는, 스텝 S84의 처리에 의해 송신된, 지정된 지정 정보에 대응하는 기호 정보이다. 지금의 예의 경우, 유저 B씨 버튼(522)이 지정된 것을 나타내는 지정 정보에 대응하는 기호 정보이기 때문에, 유저 B씨에 의해, 미리 등록되어 있는 기호 정보로 된다.
스텝 S86에서, 녹화 예약 관리부(67)는, 스텝 S85의 처리에 의해 수신하고, 기억한 기호 정보에 의거하여, 녹화 예약을 행한다. 즉, 기억한 기호 정보에 의해 지정되어 있는 방송프로그램의 녹화 예약을 행하고, 소정의 시각이 오면, 녹화 동작을 시작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에, 도 14의 순서도를 참조하여, 유저 장치(3)가 실행하는 도 12의 처리에 대응하는, 서버(2-1)의 기호 정보 취득 처리를 설명한다. 또한, 이 처리는, 도 12의 스텝 S81의 처리에 의해, 유저 장치(3)(지금의 경우, 유저 장치(3-1))로부터 액세스된 때 시작된다.
스텝 S111에서, 네트워크 통신부(301)는, 유저 장치(3)로부터의 액세스(도 12의 스텝 S81)를 접수한다. 예를 들면, 유저 장치(3-1)로부터의 액세스를 접수한다.
스텝 S112에서, 등록 관리부(302)는, 액세스하여 온 유저 장치(3)(지금의 예의 경우, 유저 장치(3-1))가, 기호 정보의 제공처로서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구체적으로는, 등록 관리부(302)는, 고객 데이터베이스(304)를 참조하여, 유저 장치(3)(지금의 예의 경우, 유저 장치(3-1))가 기호 정보의 제공처로서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유저 장치(3)(지금의 예의 경우, 유저 장치(3-1))가, 기호 정보의 제공처로서 등록되어 있다고 판정된 경우, 처리는 스텝 S113으로 진행하고, 복수의 유저 장치(3)의 기호 정보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 화면을 송신한다.
유저 장치(3)는 이들을 수신하고, 표시 장치(12)에, 복수의 유저 장치(3)의 기호 정보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 화면을 표시하고(도 12의 스텝 S82), 지정시키고, 지정된 기호 정보의 지정 정보를 송신한다(도 12의 스텝 S84). 지금의 예의 경우, 유저 B씨 버튼(522)이 지정된 것을 나타내는 지정 정보를 송신한다.
스텝 S114에서, 네트워크 통신부(301)는, 지정된 기호 정보의 지정 정보를 유저 장치(3-1)로부터 수신한다. 등록 관리부(302)는, 기호 정보 데이터베이스(305)로부터, 지정 정보에 의거하여, 그 방송프로그램의 기호 정보(예를 들면, 도 7의 기호 정보(401))를 판독한다. 지금의 예의 경우, 유저 B씨 버튼(522)이 지정된 것을 나타내는 지정 정보를 수신하고, 이에 의거하여, 유저 B씨에 의해 등록된 기호 정보를 판독한다.
스텝 S115에서, 등록 관리부(302)는, 스텝 S114의 처리에 의해 판독된 기호 정보(예를 들면, 도 7의 기호 정보(401))를, 네트워크 통신부(301)를 통하여, 유저 장치(3)에 송신한다. 이 기호 정보가 유저 장치(3)에 의해 수신되고, 그에 의거하여 녹화 예약 처리가 행하여진다(도 12의 스텝 S85, S86).
스텝 S115의 처리의 후, 또는, 스텝 S112에서, 기호 정보의 제공처로서 등록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 처리는 종료된다.
또한, 스텝 S113의 처리에 의해, 등록되어 있는 모든 다른 유저의 기호 정보를, 미리 유저 장치(3)에 송신하여 두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유저 장치(3) 자신이 필요한 기호 정보를 선택할 수 있기 때문에, 스텝 S114, S115의 처리는, 생략할 수 있다. 또한, 유저 장치(3)에서도, 도 12의 스텝 S84, S85의 처리는 생략된다. 단, 이 경우, 송수신하는 데이터의 량이 많아진다.
도 12와 도 14의 처리에 의해, 유저 장치(3)가, 서버(2-1)로부터 복수의 다른 유저 장치(3)의 기호 정보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 화면을 취득하고, 선택된 기호 정보의 지정 정보를 서버(2-1)에 송신하고, 서버(2-1)로부터 지정 정보에 의거한 기호 정보가 수신되고, 녹화 예약을 행함에 의해, 다른 유저 장치(3)의 기호 정보에 의거하여 예약 녹화를 행할 수 있다. 유저는, 다른 유저에게 기호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동일한 프로그램을 다른 유저와 공유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유저로부터의 기호 정보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스스로 기호 정보를 작성하는 수고를 줄일 수 있다.
이상의 처리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이 된다. 즉,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버(2-1)에, 고객 데이터베이스(304)와 기호 정보 데이터베이스(305)가 보존되어 있다. 고객 데이터베이스(304)에는, 유저 장치(3-1)와 유저 장치(3-2)의 고객 데이터가 기억되어 있다. 이로써, 기호 정보의 사용을 허가하는 유저를 제한할 수 있다. 유저 장치(3-2)는, 자기 자신이 작성한 기호 정보(예를 들면, 도 6의 처리에 의해 작성한 기호 정보)를, 네트워크(1)를 통하여, 서버(2-1)에 공급한다. 서버(2-1)는, 이것을 기호 정보 데이터베이스(305)에 등록시킨다. 서버(2-1)로부터 기호 정보의 등록의 통지를 받고, 또는 또한, 필요에 응하여 소정의 타이밍에서, 스스로 진행하여, 유저 장치(3-1)가, 서버(2-1)에 액세스하면, 서버(2-1)는, 유저 장치(3-2)(고객 데이터베이스(304)에 등록되어 있는 유저)에 의해 작성된, 기호 정보를 송신한다(도 14의 스텝 S113).
유저 장치(3-1)는, 등록되어 있는 유저 장치(3)(도 15의 예의 경우, 유저 장치(3-2))에 의해 작성된, 기호 정보를 지정하고(복수의 유저에 의해 기호 정보가 등록되어 있는 경우, 이것을 지정하고), 지정한 지정 정보를 서버(2-1)에 송신한다(도 12의 스텝 S84).
서버(2-1)는, 이것을 수신하고, 기호 정보 데이터베이스(305)에 기억되어 있는, 지정된 정보에 대응하는 기호 정보(611)(예를 들면, 유저 장치(3-2)의 기호 정보)를 취득하고, 네트워크(1)를 통하여 유저 장치(3-1)에게 송신한다. 유저 장치(3-1)는, 이것을 수신하고, 자동 녹화 예약 제어부(71)에, 기호 정보에 의거한 녹화 처리(녹화 예약)를 실행시킨다.
또한, 서버(2-1)의 관리자는, 이상과 같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에 대해, 필요에 응하여 유저 장치(3)의 유저에게 과금하고, 이익을 올릴 수 있다.
또한, 도 8의 스텝 S24에서 자동 녹화 예약 제어부(71)에 의해 취득되는 유저 ID는 복수라도 좋다. 자동 녹화 예약 제어부(71)가, 스텝 S24에서 유저 ID(제공처 정보)를 복수 취득하도록 한 경우, 도 10의 스텝 S44에서는, 취득된 기호 정보와 복수의 유저(제공처)가 등록된다. 이로써, 같은 기호 정보를, 복수의 유저(제공처)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하여, 유저 장치(3)는, 서버(2-1)를 통하여, 기호 정보를 취득하고, 자동 녹화 예약 제어부(71)에, 녹화 예약 처리를 행하게 한다. 또한, 유저 자신에 의해 작성된 기호 정보를 취득하고, 자동 녹화 예약 제어부(71)에, 녹화 예약 처리를 행하게 한다. 유저에 의해, 이 설정(선택)이 행하여지면, 다음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녹화 예약이 자동적으로 행하여지게 된다.
다음에, 도 16의 순서도 참조하여, 기호 정보에 의거하여, 자동 녹화 예약 제어부(71)에 의해 자동적으로 실행되는 녹화 예약 처리에 관해 설명한다. 또한, 이 도 16의 순서도에 도시되는 처리는, 미리 설정된 소정의 시간마다 주기적으로 실행된다.
스텝 S131에서, 자동 녹화 예약 제어부(71)는, 기억되어 있는, 예를 들면 2일분의 방송프로그램 정보(EPG 정보) 중으로부터 하나의 방송프로그램 정보를 선택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EPG 정보는, EPG 취득 모듈(34)에 의해 취득되고, 방송프로그램 정보 관리부(66)에 의해 관리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EPG 정보는, 보조 기억 장치(40)에 기억되어 있다.
도 17은, 이와 같은 EPG 정보(방송프로그램 정보)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이 도 17의 예는, 하나의 프로그램의 방송프로그램 정보를 나타내고 있고, 보조 기억 장치(40)에는, 최근의, 예를 들면 현재 시각으로부터 2일간의 사이에 방송되는 방송프로그램의 방송프로그램 정보가 기억되어 있다.
도 17의 예에서는, 방송프로그램을 방송하는 방송국은 TV Japan이고, 그 방송일은 2002년 3월 26일인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이 방송프로그램의 방송 시작시각은 17시 00분이고, 종료시각은 18시 00분인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이 방송프로그램의 장르는 버라이어티이고, 프로그램의 타이틀은 「뉴스 17」인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상세 정보로서 「수상 퇴진 엔화 약세 진행되다···」라는 정보가 기술되어 있다.
스텝 S131의 처리에서는, 예를 들면,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하나의 방송프로그램의 방송프로그램 정보가, 여기서 선택되게 된다.
다음에, 스텝 S132에서, 자동 녹화 예약 제어부(71)는, 방송프로그램 정보의 장르에 대응하는 기호치를 기호 정보로부터 취득하고, 해당 방송프로그램의 기호치에 더한다. 즉, 스텝 S131의 처리에 의해 선택된 방송프로그램 정보의 장르가, 기호 정보(401)의 장르 기호 정보(403)에 해당하고 있는 경우, 자동 녹화 예약 제어부(71)는, 그 기호치를, 해당 방송프로그램(스텝 S131의 처리에 의해 선택된 방송프로그램 정보)의 기호치에 더한다.
여기서 사용한 기호 정보는, 도 12의 스텝 S85의 처리에서 다른 유저 장치(3)로부터 전송을 받고, 기억한 기호 정보, 또는, 유저 장치(3) 자신이 도 6의 순서도에 도시된 처리를 실행하여 등록, 보존하고 있는 기호 정보이다.
스텝 S133에서, 자동 녹화 예약 제어부(71)는, 방송프로그램 정보의 방송 시간대에 대응하는 기호치를 기호 정보로부터 취득하고, 해당 프로그램의 기호치에 더한다. 즉, 스텝 S131의 처리에 의해 선택된 방송프로그램 정보의 방송 시간대가, 기호 정보(401)의 시간대 기호 정보(405)에 해당하고 있는 경우, 자동 녹화 예약 제어부(71)는, 그 기호치를, 해당 프로그램(스텝 S131의 처리에 의해 선택된 방송프로그램 정보)의 기호치에 더한다.
스텝 S134에서, 자동 녹화 예약 제어부(71)는, 방송프로그램 정보의 방송국에 대응하는 기호치를 기호 정보로부터 취득하고, 해당 프로그램의 기호치에 더한다. 즉, 스텝 S131의 처리에 의해 선택된 방송프로그램 정보의 방송국이, 기호 정보(401)의 방송국 기호 정보(404)에 해당하고 있는 경우, 자동 녹화 예약 제어부(71)는, 그 기호치를, 해당 방송프로그램(스텝 S131의 처리에 의해 선택된 방송프로그램 정보)의 기호치에 더한다.
스텝 S135에서, 자동 녹화 예약 제어부(71)는, 방송프로그램 정보의 타이틀·키워드에, 기호 정보에 있는 키워드가 포함되어 있으면, 그 키워드의 기호치를 해당 방송프로그램의 기호치에 더한다. 즉, 스텝 S131의 처리에 의해 선택된 방송프로그램 정보의 키워드가, 기호 정보(401)의 키워드 기호 정보(402)에 있는 키워드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 자동 녹화 예약 제어부(71)는, 그 기호치를, 해당 방송프로그램(스텝 S131의 처리에 의해 선택된 방송프로그램 정보)의 기호치에 더한다.
스텝 S132 내지 스텝 S135의 처리에 의해, 스텝 S131의 처리에 의해 선택된 하나의 방송프로그램 정보의 기호치가 설정된다(각각의 스텝에 의해, 기호치가 추가되고, 스텝 S135의 처리의 후의 기호치가, 이 방송프로그램 정보의 기호치로 된다).
스텝 S136에서, 자동 녹화 예약 제어부(71)는, 모든 방송프로그램 정보(EPG 정보)를 선택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모든 방송프로그램 정보를 아직 선택하고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아직 선택하지 않은 방송프로그램이 존재하는 경우), 처리는 스텝 S131로 되돌아와, 다음의 하나의 프로그램의 방송프로그램 정보가 선택되고, 상술한 경우와 마찬가지로, 스텝 S132 이후의 처리가 실행된다.
스텝 S136에서, 모든 방송프로그램 정보를 선택하였다고 판정된 경우(2일분의 방송프로그램의 방송프로그램 정보를 선택하였다고 판정된 경우), 처리는 스텝 S137로 진행하고, 자동 녹화 예약 제어부(71)는, 녹화 예약 관리부(67)를 제어하고, 방송프로그램의 기호치가 높은 순으로, 녹화 예약량의 상한까지 녹화 예약 리스트에 추가시킨다(녹화 예약 처리를 행한다). 그 후, 처리는 종료된다.
또한, 자동 녹화 예약 제어부(71)는, 기호 정보(401)에 등록되어 있는 정보 중에서, 포인트가 부의 값으로 되어 있는 것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그 방송프로그램을 검색 대상으로부터 제외하도록 하여도 좋고, 기호치의 부의 포인트를 더하도록 하여도 좋다. 도 7의 예의 경우, 장르 기호 정보(403)의 genre id가 「3」으로 되는 것, 방송국 기호 정보(404)의 station id가 「5」로 되는 것, 시간대 기호 정보(405)의 time_zone id가 「2」, 또는, 시간대 기호 정보(405)의 time_zone id가 「4」로 되는 것이, 각각, 스텝 S132의 처리에 의해 선택된 방송프로그램(예를 들면, 도 17)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 그 프로그램은 검색 대상으로부터 제외되던지 기호치의 부의 포인트가 더하여진다.
이상과 같이 하여, 자동 녹화 예약 제어부(71)는, 녹화 예약 관리부(67)에,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은 녹화 예약 리스트를 작성시킨다.
도 18의 예에서는, 녹화 예약되는 방송프로그램의 방송일, 방송국, 방송 시작시각, 및 방송 종료시각이 등록되어 있다. 예를 들면, 2002년 7월 1일에 TV Japan의 방송국에서 16시 00분 00초부터 16시 30분 00초까지 방송되는 방송프로그램이, 녹화 예약된 방송프로그램으로서 등록되어 있다.
이 녹화 예약 리스트는, 유저가 기호 정보를 등록하는, 또는, 선택하는 조작을 하였을 뿐으로 자동적으로 작성된다. 따라서, 유저는, 이 녹화 예약 리스트를 작성하는데 과대한 부하를 강요받는 일은 없다. 또한, 등록 또는 선택한 다른 유저의 기호에 맞춘 녹화 예약을 자동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물론, 유저가 녹화 예약 어플리케이션(70)을 통하여, 소정의 방송프로그램을 개별적으로 지정하고, 녹화 예약 리스트에 등록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하여, 녹화 예약 리스트가 작성되면, 녹화 예약 관리부(67)는, 예약 방송프로그램의 녹화 처리를 실행한다. 다음에, 도 19의 순서도를 참조하여, 이 예약 방송프로그램의 녹화 처리에 관해 설명한다. 또한, 이 도 19의 순서도에 도시된 처리는, 일정 시간마다 주기적으로 행하여진다.
스텝 S151에서, 녹화 예약 관리부(67)는, 녹화 예약 리스트에 예약되어 있는 모든 방송프로그램을 검색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아직 검색하지 않은 예약되어 있는 방송프로그램이 존재하는 경우, 스텝 S152로 진행하고, 녹화 예약 관리부(67)는, 녹화 예약 리스트로부터 하나의 프로그램을 추출한다. 스텝 S153에서, 녹화 예약 관리부(67)는, 스텝 S152의 처리에서 추출한 방송프로그램의 방송 일시를 판독한다. 예를 들면, 도 18의 번호 1번으로 표시되어 있는 방송프로그램이, 스텝 S152의 처리에서 추출된 경우, 스텝 S153의 처리에서, 그 방송일과 방송 시작시각인 「2002년 7월 1일 16시 00분 00초」가, 방송 일시로서 판독된다.
스텝 S154에서, 녹화 예약 관리부(67)는, 내장하는 타이머로부터 현재 일시를 판독하고, 스텝 S153의 처리에서 판독된 방송 일시가, 현재 일시로부터 기준시간 이내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기준시간이란, 예를 들면 30초 또는 1분이라는 비교적 짧은 시간이다. 이 기준시간은, 녹화 제어부(63)를 통하여 제어를 지령하고 나서 실제로 녹화 처리가 시작되기 까지 필요하게 되는 시간을 고려하여 결정된다.
방송 일시가 현재 일시로부터 기준시간 이내가 아니라고 판정된 경우, 처리는 스텝 S151로 되돌아와, 그 이후의 처리가 반복 실행된다.
예를 들면, 현재 일시가 「2002년 7월 1일 12시 00분 00초」라면, 현재 일시는, 방송 일시보다 4시간 전이기 때문에, 기준시간 이내라고는 판정되지 않고, 스텝 S151로 되돌아와, 예약되어 있는 모든 방송프로그램을 검색하였는지의 여부의 판정 처리가 재차 행하여진다. 지금의 경우, 아직 모든 프로그램을 검색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스텝 S152로 진행하고, 다음의 하나의 방송프로그램이 추출된다. 예를 들면, 도 18에 번호 2로 표시되는 방송프로그램이 추출되고, 스텝 S153에서, 그 번호 2번의 방송 일시가, 「2002년 7월 1일 17시 30분 00초」로서 판독된다.
스텝 S154에서, 방송 일시가 현재 일시로부터 기준시간 이내인지의 여부가 판정되고, 기준시간 이내가 아니면, 스텝 S151로 되돌아와, 그 이후의 처리가 반복 실행된다.
예를 들면, 번호 1의 프로그램이 선택되고, 현재 일시가 「2002년 7월 1일 15시 59분 30초」인 경우, 방송 일시인 「2002년 7월 1일 16시 00분 00초」는, 현재 일시인 「2002년 7월 1일 15시 59분 30초」로부터 30초 이내라는 것으로 되고(기준시간 이내라는 것으로 되고), 스텝 S154에서, 방송 일시가 현재 일시로부터 기준시간 이내라고 판정된다. 이 경우, 스텝 S155로 진행하고, 녹화 예약 관리부(67)는, 녹화 제어부(63)를 제어하고, 지금 대상으로 되어 있는 방송프로그램을 수신시킨다. 지금의 경우, 방송국 TV Japan의 방송 전파를 튜너(31)에 의해 수신시킨다.
스텝 S156에서, 녹화 예약 관리부(67)는, 녹화 제어부(63)를 제어하고, 스텝 S155의 처리에서 수신된 방송프로그램을, 보조 기억 장치(40)에 기억시킨다.
즉, 이 때 튜너(31)에 의해 수신된 영상 신호와 음성 신호는, 인코더(32)에 공급되고, MPEG 방식으로 인코드된 후, 보조 기억 장치(40)에 공급되고, 기억된다.
스텝 S157에서, 녹화 예약 관리부(67)는, 방송프로그램이 종료되었는지의 여부를, 지금 녹화 처리를 실행하고 있는 방송프로그램의 방송 종료시각과 현재 일시를 비교함으로써 판정한다. 방송프로그램이 아직 종료하지 않은 경우에는, 종료할 때까지 대기하고, 방송프로그램이 종료된 경우, 스텝 S158로 진행하고, 녹화 예약 관리부(67)는, 녹화 제어부(63)를 제어하여, 보조 기억 장치(40)에 대한 녹화 처리를 종료시킨다. 또한, 스텝 S159에서, 녹화 예약 관리부(67)는, 녹화 제어부(63)를 제어하여, 튜너(31)에 의한 프로그램의 수신 처리를 종료시킨다.
스텝 S160에서, 녹화 예약 관리부(67)는, 녹화 예약 리스트로부터, 지금 녹화가 완료된 방송프로그램을 삭제시킨다.
스텝 S151에서, 예약되어 있는 모든 프로그램을 검색하였다고 판정된 경우, 스텝 S152 내지 스텝 S160의 처리는 스킵되고, 처리는 종료된다.
이상의 처리가 일정 시간마다 행하여지고, 녹화 예약 리스트에 등록되어 있는 방송프로그램이 순차적으로, 보조 기억 장치(40)에 자동적으로 녹화된다.
또한, 도 18에 도시된 녹화 예약 리스트를 방송 일시의 순번대로 소트하여 배치하여 두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스텝 S152의 처리에서 최초에 추출된 방송프로그램이 가장 시간적으로 빠른 방송 일시를 갖는 것으로 되고, 그 방송 일시가, 현재 일시로부터 기준시간 이내가 아니라고 판정된 경우에는, 나머지 방송프로그램은, 전부, 그 방송 일시가 현재 일시로부터 기준시간 이내가 아니라는 것으로 되기 때문에, 그들의 방송프로그램에 관한 판정 처리를 생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과 같이 하여, 보조 기억 장치(40)에 방송프로그램이 녹화되면, 녹화 타이틀 관리부(65)는, 그 녹화된 방송프로그램의 타이틀, 방송 일시라는 정보를 등록, 관리한다.
유저가, 시청 제어 어플리케이션(68)을 통하여 녹화된 방송프로그램의 재생을 지령하면, 시청 제어 어플리케이션(68)은, 녹화 타이틀 관리부(65)의 관리 정보를 참조하여, 보조 기억 장치(40)에 녹화되어 있는 방송프로그램 타이틀을 판독하고, 표시 장치(12)에 표시시킨다. 유저가, 이 표시를 보고, 재생 대상으로 하는 방송프로그램을 선택하면, 시청 제어 어플리케이션(68)은, 녹화 타이틀 재생부(62)에, 그 방송프로그램의 재생을 지시한다. 녹화 타이틀 재생부(62)는, 지시된 방송프로그램을 보조 기억 장치(40)로부터 재생시킨다. 보조 기억 장치(40)로부터 재생된 영상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는, 디코더(33)에 입력되고, MPEG 방식으로 디코드된 후, 표시 장치(12)에 출력되고, 표시된다.
이상의 처리에 의해, 유저 장치(3)는, 서버(2-1)를 통하여, 등록한 유저에 의해 작성된 기호 정보를 취득하고, 자동 녹화 예약 제어부(71)에, 녹화 처리를 행하게 한다. 자동 녹화 예약 제어부(71)는, 녹화 예약 관리부(67)에, 녹화 예약 리스트(도 18)를 작성시키고, 녹화 처리를 행하게 한다. 이로써, 기호 정보를 단말 사이에서(유저 장치(3-1, 3-2)) 교환할 수 있고, 유저에게 부담을 주는 일 없이, 간단하면서 신속하게, 방송프로그램의 녹화를 예약할 수 있다.
또한, 친구끼리(복수의 유저 장치) 기호 정보를 교환할 수 있기 때문에, 친구끼리가 좋아하는 방송프로그램을 볼 수 있고, 서로의 유저의 기호를 체감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기호 정보의 교환의 장(場)을 서버(2-1)(서비스 제공자)가 제공함에 의한 대가로서, 유저로부터 사용료를 징수할 수 있고, 그것으로써, 사업화가 가능해진다.
또한, 서버(2-1)(서비스 제공자)는, 유저 장치(3)의 유저의 고객 정보와 기호 정보를 수집할 수 있기 때문에, 그것을 이용하여, 유저에 대해 효과적인 상품 제안 등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에 있어서는, 방송프로그램 정보를, 방송 전파를 통하여 방송국으로부터 수신하도록 하였지만, 네트워크(1)를 통하여 서버(2-2)로부터 수신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서버(2-1)에 등록하고, 유저 장치(3)에 송신하는 것을 기호 정보로 하였지만, 이에 한하지 않고, 예를 들면, 유저에 의해 예약이 아니라 실제로 녹화한 방송프로그램의 정보로부터 기호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요컨대, 녹화 대상으로 하는 방송프로그램을 특정할 수 있는 기호 정보라면 어떤 정보라도 좋다.
상술한 일련의 처리는,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시킬 수도 있지만,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행시킬 수도 있다.
일련의 처리를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행시키는 경우에는, 그 소프트웨어를 구성하는 프로그램이, 전용의 하드웨어에 설치되어 있는 컴퓨터, 또는, 각종의 프로그램을 인스톨함으로써, 각종의 기능을 실행하는 것이 가능한, 예를 들면 범용의 퍼스널 컴퓨터 등에, 네트워크나 기록 매체로부터 인스톨된다.
이 기록 매체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 본체와는 별도로, 유저에게 프로그램을 제공하기 위해 배포되는,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자기 디스크(플로피 디스크를 포함한다), 광디스크(CD-ROM(Compact Disk-Read Only Memory), DVD(Digital Versatile Disk)를 포함한다), 광자기 디스크(MD (Mini-Disk)를 포함한다), 또는 반도체 메모리 등으로 이루어지는 리무버블 미디어(231)에 의해 구성될 뿐만 아니라, 장치 본체에 미리 설치된 상태에서 유저에게 제공되는,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ROM(222)이나, 기억부(228)에 포함되는 하드디스크 등으로 구성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을 기술하는 스텝은, 기재된 순서에 따라서 시계열적으로 행하여지는 처리는 물론, 반드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지 않더라도, 병렬적 또는 개별적으로 실행되는 처리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시스템이란, 복수의 장치에 의해 구성되는 장치 전체를 나타내는 것이다.
제 1의 본 발명에 의하면, 방송프로그램의 녹화를 예약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하면, 기호 정보에 맞는 방송프로그램을 신속하게 예약 녹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 2의 본 발명에 의하면, 다른 정보 처리 장치의 유저에게 방송프로그램을 예약시킬 수 있다. 특히, 그 유저에게 큰 부하를 거는 일 없이, 신속하면서 간단하게, 방송프로그램을 녹화 예약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 3의 본 발명에 의하면, 정보 처리 장치 자신이 기호 정보를 생성하지 않아도, 방송프로그램을 예약 녹화할 수 있다.
제 4의 본 발명에 의하면, 제 1의 다른 정보 처리 장치와 제 2의 다른 정보 처리 장치 사이에서, 기호 정보를 교환시킬 수 있다. 이로써, 필요에 응하여, 이익을 올릴 수 있다.

Claims (22)

  1. 각각 네트워크에 접속되는, 제 1의 정보 처리 장치, 상기 제 1의 정보 처리 장치와 정보를 수수하는 제 2의 정보 처리 장치, 및 상기 제 1의 정보 처리 장치와 상기 제 2의 정보 처리 장치 사이에서의 정보의 수수를 제어하는 제 3의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해 구성되는 정보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 1의 정보 처리 장치는,
    상기 제 1의 정보 처리 장치의 유저의 기호에 의거하여, 방송되는 방송프로그램에 관한 기호 정보를 취득하는 취득 수단과,
    상기 기호 정보와 함께, 상기 기호 정보를 제공하는 제공처를, 상기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제 3의 정보 처리 장치에 송신하는 제 1의 송신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 2의 정보 처리 장치는,
    상기 제 1의 정보 처리 장치가 상기 제 3의 정보 처리 장치에 등록시킨 상기 기호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제 3의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수신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 3의 정보 처리 장치는,
    상기 제 1의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상기 네트워크를 통하여 송신되어 온 상기 기호 정보를 등록하는 등록 수단과,
    상기 제 2의 정보 처리 장치가, 상기 제공처인 경우, 등록한 상기 기호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제 2의 정보 처리 장치에 송신하는 제 2의 송신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시스템.
  2. 각각 네트워크에 접속되는, 제 1의 정보 처리 장치, 상기 제 1의 정보 처리 장치와 정보를 수수하는 제 2의 정보 처리 장치, 및 상기 제 1의 정보 처리 장치와 상기 제 2의 정보 처리 장치 사이에서의 정보의 수수를 제어하는 제 3의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해 구성되는 정보 처리 시스템의 정보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1의 정보 처리 장치의 정보 처리 방법은,
    상기 제 1의 정보 처리 장치의 유저의 기호에 의거하여, 방송되는 방송프로그램에 관한 기호 정보를 취득하는 취득 스텝과,
    상기 기호 정보와 함께, 상기 기호 정보를 제공하는 제공처를, 상기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제 3의 정보 처리 장치에 송신하는 제 1의 송신 스텝을 포함하고,
    상기 제 2의 정보 처리 장치의 정보 처리 방법은,
    상기 제 1의 정보 처리 장치가 상기 제 3의 정보 처리 장치에 등록시킨 상기 기호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제 3의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수신 스텝을 포함하고,
    상기 제 3의 정보 처리 장치의 정보 처리 방법은,
    상기 제 1의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상기 네트워크를 통하여 송신되어 온 상기 기호 정보를 등록하는 등록 스텝과,
    상기 제 2의 정보 처리 장치가, 상기 제공처인 경우, 등록한 상기 기호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제 2의 정보 처리 장치에 송신하는 제 2의 송신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방법.
  3. 유저의 기호에 의거하여, 방송되는 방송프로그램에 관한 기호 정보를 취득하는 제 1의 취득 수단과,
    상기 기호 정보를 제공하는 제공처를 특정하는 제공처 정보를 취득하는 제 2의 취득 수단과,
    상기 제 1의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상기 기호 정보와, 상기 제 2의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상기 제공처 정보를 다른 정보 처리 장치에 제공하는 제공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 수단은, 상기 기호 정보와 상기 제공처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다른 정보 처리 장치중의 제 1의 다른 정보 처리 장치에 송신하고, 등록시키고, 상기 제 1의 다른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또한, 상기 제공처 정보에 의해 규정되는 상기 다른 정보 처리 장치중의 제 2의 다른 정보 처리 장치에, 상기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기호 정보를 제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의 취득 수단은, 유저에 의한 소정의 방송프로그램을 좋아하는 것을 나타내는 조작에 의거하여, 방송되는 방송프로그램에 관한 기호 정보의 취득을 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에 의한 소정의 방송프로그램을 좋아하는 것을 나타내는 조작은, 녹화 예약 또는 프로텍트의 조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의 취득 수단은, 상기 유저에 의한 소정의 방송프로그램을 좋아하는 것을 나타내는 조작에 의거하여 상기 방송프로그램의 상세 정보로부터 추출된 기호 키워드, 장르, 방송 시간대 및 방송국의 정보를, 방송프로그램 정보로부터 기호 정보로서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프로그램 정보를, 방송 전파를 통하여 방송국으로부터 수신, 또는, 상기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수신 수단을 또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9.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의 취득 수단은, 상기 제공처 정보를 복수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10. 정보 처리 장치의 정보 처리 방법에 있어서,
    유저의 기호에 의거하여, 방송되는 방송프로그램에 관한 기호 정보를 취득하는 제 1의 취득 스텝과,
    상기 기호 정보를 제공하는 제공처를 특정하는 제공처 정보를 취득하는 제 2의 취득 스텝과,
    상기 제 1의 취득 스텝의 처리에 의해 취득된 상기 기호 정보와, 상기 제 2의 취득 스텝의 처리에 의해 취득된 상기 제공처 정보를 다른 정보 처리 장치에 제공하는 제공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방법.
  11. 정보 처리 장치의 프로그램으로서,
    유저의 기호에 의거하여, 방송되는 방송프로그램에 관한 기호 정보를 취득하는 제 1의 취득 스텝과,
    상기 기호 정보를 제공하는 제공처를 특정하는 제공처 정보를 취득하는 제 2의 취득 스텝과,
    상기 제 1의 취득 스텝의 처리에 의해 취득된 상기 기호 정보와, 상기 제 2의 취득 스텝의 처리에 의해 취득된 상기 제공처 정보를 다른 정보 처리 장치에 제공하는 제공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기록 매체.
  12. 정보 처리 장치를 제어하는 컴퓨터에,
    유저의 기호에 의거하여, 방송되는 방송프로그램에 관한 기호 정보를 취득하는 제 1의 취득 스텝과,
    상기 기호 정보를 제공하는 제공처를 특정하는 제공처 정보를 취득하는 제 2의 취득 스텝과,
    상기 제 1의 취득 스텝의 처리에 의해 취득된 상기 기호 정보와, 상기 제 2의 취득 스텝의 처리에 의해 취득된 상기 제공처 정보를 다른 정보 처리 장치에 제공하는 제공 스텝을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13. 네트워크를 통하여 다른 정보 처리 장치에 액세스하는 액세스 수단과,
    상기 네트워크를 통하여 액세스한 상기 다른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방송되는 방송프로그램에 관한 기호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과,
    상기 다른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수신된 상기 기호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상기 기억 수단에 의해 기억된 상기 기호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방송프로그램을 예약 녹화하는 예약 녹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수신된 복수의 상기 기호 정보로부터, 소정의 기호 정보를 지정하는 지정 정보를 취득하는 제 1의 취득 수단과,
    상기 제 1의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상기 지정 정보를, 상기 다른 정보 처리 장치에 상기 네트워크를 통하여 송신하는 송신 수단을 또한 구비하고,
    상기 수신 수단은, 상기 다른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상기 네트워크를 통하여 송신되어 온, 상기 송신 수단에 의해 송신된 상기 지정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기호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기억 수단은, 상기 송신 수단에 의해 송신된 상기 지정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기호 정보를 기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15. 정보 처리 장치의 정보 처리 방법에 있어서,
    네트워크를 통하여 다른 정보 처리 장치에 액세스하는 액세스 스텝과,
    상기 네트워크를 통하여 액세스한 상기 다른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방송되는 방송프로그램에 관한 기호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 스텝과,
    상기 다른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수신된 상기 기호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 스텝과,
    상기 기억 스텝의 처리에 의해 기억된 상기 기호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방송프로그램을 예약 녹화하는 예약 녹화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방법.
  16. 정보 처리 장치의 프로그램으로서,
    네트워크를 통하여 다른 정보 처리 장치에 액세스하는 액세스 스텝과,
    상기 네트워크를 통하여 액세스한 상기 다른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방송되는 방송프로그램에 관한 기호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 스텝과,
    상기 다른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수신된 상기 기호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 스텝과,
    상기 기억 스텝의 처리에 의해 기억된 상기 기호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방송프로그램을 예약 녹화하는 예약 녹화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기록 매체.
  17. 정보 처리 장치를 제어하는 컴퓨터에,
    네트워크를 통하여 다른 정보 처리 장치에 액세스하는 액세스 스텝과,
    상기 네트워크를 통하여 액세스한 상기 다른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방송되는 방송프로그램에 관한 기호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 스텝과,
    상기 다른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수신된 상기 기호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 스텝과,
    상기 기억 스텝의 처리에 의해 기억된 상기 기호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방송프로그램을 예약 녹화하는 예약 녹화 스텝을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18. 제 1의 다른 정보 처리 장치, 및 상기 제 1의 다른 정보 처리 장치와 정보를 수수하는 제 2의 다른 정보 처리 장치와 함께 네트워크에 접속되고, 상기 제 1의 다른 정보 처리 장치와 상기 제 2의 다른 정보 처리 장치 사이에서의 정보의 수수를 제어하는 정보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의 다른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한 상기 네트워크를 통한 액세스를 접수하는 제 1의 접수 수단과,
    상기 제 1의 접수 수단에 의해 액세스가 접수된 상기 제 1의 다른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송신되어 온, 방송되는 방송프로그램에 관한 기호 정보와, 상기 기호 정보를 제공하는 제공처를 특정하는 제공처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과,
    상기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상기 기호 정보와 상기 제공처 정보를 등록하는 등록 수단과,
    상기 제 2의 다른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한 상기 네트워크를 통한 액세스를 접수하는 제 2의 접수 수단과,
    상기 제 2의 접수 수단에 의해 액세스가 접수된 상기 제 2의 정보 처리 장치가, 상기 기호 정보를 제공하는 상기 제공처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 수단과,
    상기 판정 수단에 의해, 상기 제 2의 접수 수단에 의해 액세스가 접수된 상기 제 2의 다른 정보 처리 장치가, 상기 기호 정보를 제공하는 상기 제공처라고 판정된 경우, 상기 등록 수단에 등록되어 있는 상기 기호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제 2의 정보 처리 장치에 송신하는 제 1의 송신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의 송신 수단에 의해 송신된 복수의 상기 기호 정보로부터 소정의 기호 정보를 지정하는 지정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제 2의 다른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취득하는 취득 수단과,
    상기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상기 지정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기호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제 2의 정보 처리 장치에 송신하는 제 2의 송신 수단을 또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20. 제 1의 다른 정보 처리 장치, 및 상기 제 1의 다른 정보 처리 장치와 정보를 수수하는 제 2의 다른 정보 처리 장치와 함께 네트워크에 접속되고, 상기 제 1의 다른 정보 처리 장치와 상기 제 2의 다른 정보 처리 장치 사이에서의 정보의 수수를 제어하는 정보 처리 장치의 정보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1의 다른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한 상기 네트워크를 통한 액세스를 접수하는 제 1의 접수 스텝과,
    상기 제 1의 접수 스텝의 처리에 의해 액세스가 접수된 상기 제 1의 다른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송신되어 온, 방송되는 방송프로그램에 관한 기호 정보와, 상기 기호 정보를 제공하는 제공처를 특정하는 제공처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 스텝과,
    상기 수신 스텝의 처리에 의해 수신된 상기 기호 정보와 상기 제공처 정보를 등록하는 등록 스텝과,
    상기 제 2의 다른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한 상기 네트워크를 통한 액세스를 접수하는 제 2의 접수 스텝과,
    상기 제 2의 접수 스텝의 처리에 의해 액세스가 접수된 상기 제 2의 정보 처리 장치가, 상기 기호 정보를 제공하는 상기 제공처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 스텝과,
    상기 판정 스텝의 처리에 의해, 상기 제 2의 접수 스텝의 처리에 의해 액세스가 접수된 상기 제 2의 다른 정보 처리 장치가, 상기 기호 정보를 제공하는 상기 제공처라고 판정된 경우, 상기 등록 스텝의 처리에 의해 등록되어 있는 상기 기호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제 2의 정보 처리 장치에 송신하는 송신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방법.
  21. 제 1의 다른 정보 처리 장치, 및 상기 제 1의 다른 정보 처리 장치와 정보를 수수하는 제 2의 다른 정보 처리 장치와 함께 네트워크에 접속되고, 상기 제 1의 다른 정보 처리 장치와 상기 제 2의 다른 정보 처리 장치 사이에서의 정보의 수수를 제어하는 정보 처리 장치의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제 1의 다른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한 상기 네트워크를 통한 액세스를 접수하는 제 1의 접수 스텝과,
    상기 제 1의 접수 스텝의 처리에 의해 액세스가 접수된 상기 제 1의 다른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송신되어 온, 방송되는 방송프로그램에 관한 기호 정보와, 상기 기호 정보를 제공하는 제공처를 특정하는 제공처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 스텝과,
    상기 수신 스텝의 처리에 의해 수신된 상기 기호 정보와 상기 제공처 정보를 등록하는 등록 스텝과,
    상기 제 2의 다른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한 상기 네트워크를 통한 액세스를 접수하는 제 2의 접수 스텝과,
    상기 제 2의 접수 스텝의 처리에 의해 액세스가 접수된 상기 제 2의 정보 처리 장치가, 상기 기호 정보를 제공하는 상기 제공처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 스텝과,
    상기 판정 스텝의 처리에 의해, 상기 제 2의 접수 스텝의 처리에 의해 액세스가 접수된 상기 제 2의 다른 정보 처리 장치가, 상기 기호 정보를 제공하는 상기 제공처라고 판정된 경우, 상기 등록 스텝의 처리에 의해 등록되어 있는 상기 기호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제 2의 정보 처리 장치에 송신하는 송신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기록 매체.
  22. 제 1의 다른 정보 처리 장치, 및 상기 제 1의 다른 정보 처리 장치와 정보를 수수하는 제 2의 다른 정보 처리 장치와 함께 네트워크에 접속되고, 상기 제 1의 다른 정보 처리 장치와 상기 제 2의 다른 정보 처리 장치 사이에서의 정보의 수수를 제어하는 컴퓨터에,
    상기 제 1의 다른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한 상기 네트워크를 통한 액세스를 접수하는 제 1의 접수 스텝과,
    상기 제 1의 접수 스텝의 처리에 의해 액세스가 접수된 상기 제 1의 다른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송신되어 온, 방송되는 방송프로그램에 관한 기호 정보와, 상기 기호 정보를 제공하는 제공처를 특정하는 제공처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 스텝과,
    상기 수신 스텝의 처리에 의해 수신된 상기 기호 정보와 상기 제공처 정보를 등록하는 등록 스텝과,
    상기 제 2의 다른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한 상기 네트워크를 통한 액세스를 접수하는 제 2의 접수 스텝과,
    상기 제 2의 접수 스텝의 처리에 의해 액세스가 접수된 상기 제 2의 정보 처리 장치가, 상기 기호 정보를 제공하는 상기 제공처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 스텝과,
    상기 판정 스텝의 처리에 의해, 상기 제 2의 접수 스텝의 처리에 의해 액세스가 접수된 상기 제 2의 다른 정보 처리 장치가, 상기 기호 정보를 제공하는 상기 제공처라고 판정된 경우, 상기 등록 스텝의 처리에 의해 등록되어 있는 상기 기호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제 2의 정보 처리 장치에 송신하는 송신 스텝을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KR1020047005817A 2002-08-21 2003-08-20 정보 처리 시스템,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기록 매체,및 프로그램 KR1009720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240753A JP3743565B2 (ja) 2002-08-21 2002-08-21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JPJP-P-2002-00240753 2002-08-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1453A true KR20050031453A (ko) 2005-04-06
KR100972069B1 KR100972069B1 (ko) 2010-07-22

Family

ID=319439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5817A KR100972069B1 (ko) 2002-08-21 2003-08-20 정보 처리 시스템,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기록 매체,및 프로그램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266654B2 (ko)
JP (1) JP3743565B2 (ko)
KR (1) KR100972069B1 (ko)
CN (1) CN100388772C (ko)
WO (1) WO200401961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05418B2 (ja) * 2003-11-13 2010-07-2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番組推薦装置及び番組推薦装置の番組推薦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20070156521A1 (en) 2005-12-29 2007-07-05 United Video Propert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commerce in media program related merchandise
US7779004B1 (en) 2006-02-22 2010-08-17 Qurio Holdings, Inc. Methods, systems, and products for characterizing target systems
WO2007124436A2 (en) 2006-04-20 2007-11-01 Veveo, Inc. User interface methods and systems for selecting and presenting content based on relationships between the user and other members of an organization
US8005841B1 (en) 2006-04-28 2011-08-23 Qurio Holdings, Inc. Methods, systems, and products for classifying content segments
US8615573B1 (en) * 2006-06-30 2013-12-24 Quiro Holdings, Inc. System and method for networked PVR storage and content capture
US8418206B2 (en) * 2007-03-22 2013-04-09 United Video Properties, Inc. User defined rules for assigning destinations of content
US20080301732A1 (en) * 2007-05-31 2008-12-04 United Video Propert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ersonalizing an interactive media guidance application
JP4717871B2 (ja) * 2007-11-06 2011-07-06 シャープ株式会社 コンテンツ視聴装置及びコンテンツ推薦方法
US8943539B2 (en) * 2007-11-21 2015-01-27 Rovi Guides, Inc. Enabling a friend to remotely modify user data
US8856833B2 (en) * 2007-11-21 2014-10-07 United Video Properties, Inc. Maintaining a user profile based on dynamic data
US8561108B2 (en) * 2008-03-25 2013-10-1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Video episode order adherence
US8689266B2 (en) * 2008-03-25 2014-04-0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ynamic rebroadcast scheduling of videos
US9800839B2 (en) * 2008-04-16 2017-10-24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Management, Llc Remote access to personal video profile
US9152969B2 (en) 2010-04-07 2015-10-06 Rovi Technologies Corporation Recommendation ranking system with distrust
US9848276B2 (en) 2013-03-11 2017-12-19 Rovi Guid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uto-configuring a user equipment device with content consumption material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60036B1 (en) * 1994-11-29 2002-10-01 Pinpoint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ustomized electronic newspapers and target advertisements
JPH11134345A (ja) 1997-10-27 1999-05-21 Fuji Xerox Co Ltd 嗜好情報選択装置
JP3682162B2 (ja) 1998-05-29 2005-08-10 株式会社東芝 自動録画方法
JP2000013708A (ja) 1998-06-26 2000-01-14 Hitachi Ltd 番組選択支援装置
AR020608A1 (es) * 1998-07-17 2002-05-22 United Video Properties Inc Un metodo y una disposicion para suministrar a un usuario acceso remoto a una guia de programacion interactiva por un enlace de acceso remoto
JP3669167B2 (ja) 1998-08-12 2005-07-06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他者グループ嗜好情報を利用した情報提供方法及び情報提供装置、並びに、情報提供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US20020083441A1 (en) * 2000-08-31 2002-06-27 Flickinger Gregory C. Advertisement filtering and storage for targeted advertisement systems
JP2000287189A (ja) 1999-03-31 2000-10-13 Toshiba Corp テレビ番組の視聴管理装置
JP2001086420A (ja) 1999-09-16 2001-03-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放送端末装置
JP2001125858A (ja) 1999-10-29 2001-05-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データ管理システム、情報受信装置、情報管理装置、及び記録媒体
JP2001136452A (ja) 1999-11-02 2001-05-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番組情報送信装置、及び受信装置
JP2001160940A (ja) 1999-12-01 2001-06-12 Sony Corp 放送システム及び受信装置
TW518891B (en) * 2000-03-31 2003-01-21 United Video Properties Inc Interactive media system and method for presenting pause-time content
JP2001298677A (ja) 2000-04-14 2001-10-26 Hirofumi Naito 番組選択支援システム
JP2002044555A (ja) * 2000-07-28 2002-02-08 Sony Corp 情報表示制御装置および方法
WO2002043353A2 (en) * 2000-11-16 2002-05-30 Mydtv, Inc. System and methods for determining the desirability of video programming events
US20030131355A1 (en) * 2001-11-27 2003-07-10 Berenson Richard W. Program guide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50060743A1 (en) 2005-03-17
JP2004080620A (ja) 2004-03-11
JP3743565B2 (ja) 2006-02-08
CN1593059A (zh) 2005-03-09
US8266654B2 (en) 2012-09-11
CN100388772C (zh) 2008-05-14
KR100972069B1 (ko) 2010-07-22
WO2004019610A1 (ja) 2004-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9732B1 (ko) 정보 처리 시스템,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및 기록 매체
KR100972069B1 (ko) 정보 처리 시스템,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기록 매체,및 프로그램
US8042136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US8707358B2 (en) Apparatus for providing metadata of broadcast program
KR100634096B1 (ko) 디지털 방송 환경에서 방송 시청 정보를 기반으로 한 전자프로그램 안내 시스템 및 방법
CN101308506B (zh) 信息处理设备、信息处理方法和程序
US9363458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program,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US20100100837A1 (en) Content reproducing apparatus, content reproducing method, server, content reproducing system, content reproducing program, and storage medium
US8683528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recording medium, and program
JP4586343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KR100871040B1 (ko) 정보 제공 시스템, 및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CN101340535B (zh) 记录控制装置与记录系统
JP4379400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JP2006311010A (ja) 情報システム、情報提供システム及び情報提供プログラム
JP2013141050A (ja) コンテンツ推薦サーバ、コンテンツ表示端末、およびコンテンツ推薦システム
JP2012033981A (ja) 制御装置、録画機器
JP4232111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JP2003153105A (ja) チャンネル切替装置、チャンネル切替方法、チャンネル切替プログラム及びその記録媒体
JP2007081464A (ja) 録画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