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29229A - 용기의 제조 방법 및 용기 인쇄 장치 - Google Patents

용기의 제조 방법 및 용기 인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29229A
KR20050029229A KR1020057000975A KR20057000975A KR20050029229A KR 20050029229 A KR20050029229 A KR 20050029229A KR 1020057000975 A KR1020057000975 A KR 1020057000975A KR 20057000975 A KR20057000975 A KR 20057000975A KR 20050029229 A KR20050029229 A KR 200500292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slit
flange
flange portion
pri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09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카하시히로유키
Original Assignee
이데미쓰 유니테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데미쓰 유니테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이데미쓰 유니테크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292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9229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1/00Shaping by thermoforming, i.e. shaping sheets or sheet like preforms after heating, e.g. shaping sheets in matched moulds or by deep-drawing; Apparatus therefor
    • B29C51/26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7/00Printing apparatus or machines of special types or for particular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F17/08Printing apparatus or machines of special types or for particular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inting on filamentary or elongated articles, or on articles with cylindrical surfaces
    • B41F17/14Printing apparatus or machines of special types or for particular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inting on filamentary or elongated articles, or on articles with cylindrical surfaces on articles of finite length
    • B41F17/20Printing apparatus or machines of special types or for particular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inting on filamentary or elongated articles, or on articles with cylindrical surfaces on articles of finite length on articles of uniform cross-section, e.g. pencils, rulers, resistors
    • B41F17/22Printing apparatus or machines of special types or for particular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inting on filamentary or elongated articles, or on articles with cylindrical surfaces on articles of finite length on articles of uniform cross-section, e.g. pencils, rulers, resistors by rolling conta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1/00Shaping by thermoforming, i.e. shaping sheets or sheet like preforms after heating, e.g. shaping sheets in matched moulds or by deep-drawing; Apparatus therefor
    • B29C51/26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51/30Moulds
    • B29C51/32Moulds having cut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1/00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 B65B61/18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making package-opening or unpack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791/00Shaping characteristics in general
    • B29C2791/004Shaping under special conditions
    • B29C2791/006Using vacu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793/00Shaping techniques involving a cutting or machining operation
    • B29C2793/009Shaping techniques involving a cutting or machining operation after sha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1/00Shaping by thermoforming, i.e. shaping sheets or sheet like preforms after heating, e.g. shaping sheets in matched moulds or by deep-drawing; Apparatus therefor
    • B29C51/10Forming by pressure difference, e.g. vacu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1/00Shaping by thermoforming, i.e. shaping sheets or sheet like preforms after heating, e.g. shaping sheets in matched moulds or by deep-drawing; Apparatus therefor
    • B29C51/14Shaping by thermoforming, i.e. shaping sheets or sheet like preforms after heating, e.g. shaping sheets in matched moulds or by deep-drawing; Apparatus therefor using multilayered preforms or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1/00Shaping by thermoforming, i.e. shaping sheets or sheet like preforms after heating, e.g. shaping sheets in matched moulds or by deep-drawing; Apparatus therefor
    • B29C51/26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51/44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 B29C51/445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from a support after moulding, e.g. by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1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accessories, Pack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inting Methods (AREA)
  • Auxiliary Devices For And Details Of Packaging Control (AREA)
  • Blow-Moulding Or Thermoform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용기 인쇄 장치는 성형 후의 용기(5)를 장착하는 장착부와, 전처리부와 인쇄부와 경화부와 용기(5)를 제거하는 탈착부를 갖는 동시에, 용기(5)의 플랜지부에 슬릿부를 형성하기 위한 슬릿부 형성부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용기 인쇄 장치는 이러한 각 부 사이에서 용기(5)를 이동시키는 용기 이동부(16)를 갖고 있다. 플랜지부에 슬릿부를 형성하는 슬릿부 형성부는 기판(120)과, 기판(120) 내부에 배치되는 환상의 슬릿 날과, 용기(5)의 플랜지부를 수용하는 플랜지부 수용 몰드와, 기판(120) 내부의 슬릿 날을 돌출시키는 돌출 수단을 갖고 있다. 플랜지부 수용 몰드와 기판(120)으로 플랜지부를 압착 고정하고, 슬릿 날을 가압하여 슬릿부를 형성한다.

Description

용기의 제조 방법 및 용기 인쇄 장치{CONTAINER MANUFACTURING METHOD AND CONTAINER PRINTING DEVICE}
본 발명은 용기의 제조 방법 및 용기 인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식품 등의 피포장물을 포장한 후, 그 플랜지부에 커버재를 열밀봉(heat-seal)하여 밀봉하는 용기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용기는 피포장물의 보존의 관점에서는 높은 밀봉성이 요구되고 있고, 또한 사용할 때의 편리성의 관점에서는 커버재를 용이하게 박리할 수 있을 것이 요구되고 있다.
이와 같이 상반되는 특성을 갖는 용기로서, 개봉이 용이한 용기가 제안되고 있다. 이 용기는 표면층과 인접하는 다음 층을 용이하게 박리할 수 있는 다층 시트를 표면층이 용기의 최내층으로 되도록 성형한 것이다. 용기의 플랜지부의 최내층에는 슬릿부(slit part)가 형성되고, 이 슬릿부의 외주측에 열밀봉된 커버재를 제거하면, 플랜지부의 슬릿부보다도 외주측의 최내층 부분이 슬릿부로 절단되어서, 커버재와 함께 박리되고, 용이하게 커버재를 제거할 수 있는 장치로 되어 있다.
이러한 용기의 플랜지부에 슬릿부를 형성하는 방법으로는, 종래에 다음과 같은 방법이 알려져 있다.
용기 성형 공정에 있어서 슬릿부를 형성하는 방법(종래예 1, 일본 특허 공고 제 1993-80336 호 공보 참조). 이 방법은 금형을 사용하고, 진공법 등에 의해 용기를 열성형한 후, 금형내에 있는 용기의 플랜지부에 슬릿 날을 강하시켜서, 슬릿부를 형성하는 것이다.
용기를 슬릿 형성 장치의 용기 가이드에 장착시킨 후, 가열 수단이 설치된 환상 날을 플랜지부에 접촉시켜서 슬릿부를 형성하는 방법(종래예 2, 일본 실용 신안 등록 제 2517252 호).
용기의 오목부를 유지하여 용기와 슬릿 날을 상대적으로 회전시켜서 슬릿부를 형성하는 방법(종래예 3, 일본 특허 제 2630363 호).
그러나, 전술한 종래예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종래예 1의 경우, 통상, 용기의 제조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복수의 금형을 이용하여, 한장의 시트로 한번에 복수의 용기를 형성한다. 이 경우, 시트의 어느 부분으로 형성되었는지에 따라, 용기의 성질이 미묘하게 다른 경우가 있다. 예컨대, 시트의 중앙으로 형성된 용기와, 시트의 단부로 형성된 용기는 미묘하게 성질이 다르다. 종래예 1과 같은 슬릿부의 형성 방법에서는, 각 금형내에 있는 각 용기의 성질을 판단하여 슬릿부를 형성하기 어렵고, 모든 용기에 정확하게 슬릿부를 형성하기 어렵다. 특히, 한장의 시트로 성형되는 용기의 개수가 많아질수록 모든 용기에 정확하게 슬릿부를 형성하기 어려워진다.
종래예 2의 슬릿 형성 장치는 슬릿부를 형성하기 위한 장치일 뿐이고, 슬릿부를 형성하기 위한 공정을 독립적으로 설치하지 않으면 안되므로, 공정수가 증가하여 용기의 생산성이 저하한다는 문제가 있다.
종래예 3에 있어서는, 용기와 슬릿 날을 상대 이동하도록 회전시켜서 슬릿부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플랜지부를 안정되게 유지하기 어렵고, 슬릿부의 성형 정밀도를 향상시키기 어려웠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의 주 목적은 용기의 생산성을 향상할 수 있고, 슬릿부의 성형 정밀도를 향상할 수 있는 용기의 제조 방법 및 용기 인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용기의 제조 방법은, 다층 구조의 시트를 성형하여 이루어지고, 피포장물 수납용의 오목부와, 이 오목부의 개구 주연에 형성된 플랜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플랜지부의 최내층에 상기 개구 주연에 따른 슬릿부가 형성되는 동시에, 최외층에 인쇄가 실시된 용기의 제조 방법으로서, 성형 후의 상기 용기로의 인쇄는, 상기 최외층에 인쇄를 실시하는 인쇄 공정과, 인쇄면을 경화시키는 경화 공정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최내층에 슬릿부를 형성하는 슬릿부 형성 공정은, 상기 플랜지부를 압착 고정하는 동시에, 또는 압착 고정한 후, 상기 플랜지부의 형상에 따른 환상(環狀)의 슬릿 날을 상기 플랜지부에 가압함으로써 실행되고, 상기 슬릿부 형성 공정은 상기 인쇄 공정, 상기 경화 공정 중 어느 것과 동시에, 또는 이들 공정 사이에, 또는 상기 인쇄 공정 전에, 또는 상기 경화 공정 후에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최내층이란 용기의 오목부의 내면측에 위치하는 층의 것을 말하고, 플랜지부에 있어서는, 플랜지부 상면측에 위치하는 층, 즉 커버재를 장착할 때에 커버재와 접착되는 층이다.
슬릿 날은 플랜지부의 형상에 따른 형상이면 좋고, 플랜지부의 형상이 원형상이면 원형상, 플랜지부의 형상이 삼각형상이면 삼각형상의 환상 날로 하면 된다.
또한, 시트의 재질에 따라서는 인쇄 공정 전에 시트 표면을 전처리할 필요가 있고, 시트가 극성을 갖는 폴리머인 경우에는 전처리는 불필요하지만, 폴리올레핀 등의 극성을 갖지 않는 폴리머인 경우에는, 코로나 처리, 화염 처리 등의 전처리를 실행할 필요가 있다.
이 구성의 본 발명에서는, 플랜지부를 압착 고정하는 동시에 또는 압착 고정한 후, 슬릿 날을 플랜지부에 가압하고 있기 때문에, 슬릿부를 형성할 때에, 플랜지부가 불안정하게 움직이지 않고, 정확하게 슬릿부를 성형할 수 있다.
또한, 환상의 슬릿 날을 사용하고 있고, 용기나 슬릿 날을 회전시킬 필요가 없기 때문에, 보다 정확하게 슬릿부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성형 후의 용기에 슬릿부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용기의 특성을 판단하고 나서, 슬릿부를 형성하는 조건을 결정할 수 있으므로, 정확하게 슬릿부를 성형할 수 있다.
또한, 슬릿부 형성 공정은 전처리 공정, 인쇄 공정, 경화 공정 중 어느 것과 동시에, 또는 이들 공정 전에 또는 전처리 공정 전에 또는 경화 공정 후에 실시되고, 인쇄와 슬릿부의 성형을 일련의 작업으로 하여 실행할 수 있으며, 작업성의 향상, 또한 용기의 생산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 있어서, 상기 슬릿부 형성 공정에서는, 슬릿 날이 돌출된 기판에 대하여 상기 용기의 플랜지부를 수용하는 플랜지 수용 몰드를 전진시킴으로써, 상기 플랜지부를 압착 고정하는 동시에 상기 플랜지부에 슬릿부를 형성할 수도 있고, 또는 슬릿 날이 돌출 가능한 기판에 대하여, 상기 용기의 플랜지부를 수용하는 플랜지부 수용 몰드를 전진시켜서, 상기 플랜지부를 압착 고정한 후, 상기 기판으로부터 슬릿 날을 돌출시켜 상기 플랜지부에 슬릿부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렇게 하면, 플랜지부가 압착 고정되는 기판으로부터 슬릿 날을 돌출함으로써, 플랜지부에 접촉하는 면적을 최대한으로 확보할 수 있고, 보다 안정적으로 플랜지부를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슬릿부를 정밀도 양호하게 성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슬릿부 성형 장치는 포장물 수납용의 오목부와, 이 오목부의 개구 주연에 형성된 플랜지부를 구비한 용기의 외측면에 인쇄를 실시하는 용기 인쇄 장치이고, 상기 용기의 외측면에 표면 처리를 실시하는 전처리부와, 표면 처리 후, 상기 용기의 외측면에 인쇄를 실시하는 인쇄부와, 인쇄면을 경화시키는 경화부와, 상기 용기의 개구 주연을 따라 상기 플랜지부에 슬릿부를 형성하기 위해서, 상기 전처리부, 상기 인쇄부 및 상기 경화부와 일체 또는 별개로 구성되고, 상기 플랜지부를 압착 고정하며, 상기 플랜지부의 형상에 따른 환상의 슬릿 날을 상기 플랜지부에 가압하는 슬릿부 형성부와, 상기 용기를 상기 각 부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용기 이동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의 본 발명에서는, 슬릿부 형성부는 플랜지부를 압착 고정하여 슬릿 날을 상기 플랜지부에 가압하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슬릿부를 형성할 때에, 플랜지부가 불안정적으로 작동하지 않고, 정밀도 양호하게 슬릿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각 부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용기 이동 수단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슬릿부 형성과 용기의 인쇄를 일련의 작업으로서 실행할 수 있고, 용기의 제조 작업의 효율화를 도모할 수 있으며, 생산성을 향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슬릿부 형성부는 기판과, 상기 기판 내부에 설치된 상기 슬릿 날과, 상기 용기에 대하여 상기 기판으로부터 상기 슬릿 날을 출입시키는 출입 기구와, 상기 용기의 플랜지부를 수용하고, 상기 기판에 플랜지부를 압착 고정하는 플랜지부 수용 몰드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플랜지부가 압착 고정되는 기판으로부터 슬릿 날을 돌출시킴으로써, 플랜지부에 접촉하는 면적을 최대한으로 확보할 수 있고, 보다 안정적으로 플랜지부를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슬릿부를 정밀도 양호하게 성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용기 인쇄 장치에 의해 제조된 용기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용기 인쇄 장치를 도시하는 모식도,
도 3은 도 2의 III-III 방향의 단면도,
도 4는 상기 용기 인쇄 장치의 용기 이동부와 슬릿부 성형부를 도시하는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실시 형태로 제조된 용기(5)가 도시되어 있다. 이 용기(5)는 다층 시트를 성형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피포장물 수납용의 오목부(51)와, 이 오목부(51)의 개구 주연에 형성된 플랜지부(52)를 구비한다. 플랜지부(52)의 최내층에는 개구 주연을 따른 슬릿부(521)가 형성되는 동시에, 용기(5)의 최외층(외측면)에는 인쇄가 실시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오목부(51) 및 플랜지부(52)는 평면 원형상이다.
도 2에는 이러한 용기(5)에 인쇄를 실시하기 위한 용기 인쇄 장치(1)가 도시되어 있다.
이 용기 인쇄 장치(1)는 성형 후의 용기(5)를 장착하는 장착부(10)와 전처리부(11)와, 인쇄부(13)와, 경화부(14)와, 용기(5)를 제거하는 탈착부(15)를 갖는 동시에, 용기(5)의 플랜지부(52)에 슬릿부(521)를 형성하기 위한 슬릿부 형성부(12)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용기 인쇄 장치(1)는 이러한 각 부 사이에서 용기(5)를 이동시키는 용기 이동부(16)를 갖고 있다.
장착부(10)는 후술하는 유지 수단(161)을 흡인으로 전환하기 위한 전환 수단(도시 생략)과, 용기 이동부(16)에 용기(5)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 장치(도시 생략)를 갖는다.
전처리부(11)는 용기(5)의 외측면에 표면 처리, 예컨대 코로나 처리, 화염 처리 등을 실시하고, 용기(5)의 외측면을 활성화시키는 것이다.
인쇄부(13)는 표면 처리 후, 용기(5)의 외측면에 인쇄를 실시하는 것이고, 본 실시 형태에서는, 삼색 인쇄를 실행하기 위해, 3개의 인쇄 유닛(131)을 구비하고 있다. 인쇄 유닛(131)은 용기(5)의 외측면에 압접하여 인쇄를 실시하는 인쇄부(131A)를 갖고 있고, 이 인쇄부(131A)에는 잉크 공급부(131B)로부터 잉크가 전사 공급된다.
경화부(14)는 자외선이나 열처리 등으로 인쇄면을 경화시키는 것이며, 자외선원(도시 생략) 등을 갖는다.
탈착부(15)는, 도시하지 않지만, 후술하는 유지 수단(161)을 흡인으로부터 분출로 전환하기 위한 전환 수단(도시 생략)과, 용기 이동부(16)로부터 용기(5)를 탈착하는 탈착 장치(도시 생략)를 갖는다.
용기 이동부(16)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용기(5)를 유지하는 유지 수단(161)과, 그 주연부에 유지 수단(161)이 복수개, 예컨대 8개 장착된 회전판(162)을 갖는다.
회전판(162)은 유지 수단(161)에 유지된 용기(5)를 각 부로 이동시키는 것이다. 회전판(162)의 주위에는 전처리부(11) 등의 각 부가 배치되어 있고, 회전판(162)이 간헐적으로 회전함으로써, 용기(5)가 각 부로 이동된다.
회전판(162)에는 복수개, 예컨대 8개의 원형의 구멍(162A)이 형성되어 있고, 각 구멍(162A)에 기판(120)이 끼워져 있다.
유지 수단(161)은 용기(5)를 부압에 의해 흡착하여 유지하고, 분출에 의해 용기(5)를 탈착하는 것이다. 유지 수단(161)은 용기(5)의 오목부(51)와 대략 동일 형상이고, 회전판(162)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돌출된 용기 유지부(161A)와, 이 용기 유지부(161A)와 일체적으로 형성된 부착부(161B)를 갖고 있다. 부착부(161B)는 용기 유지부(161A)보다도 직경 치수가 작고, 회전판(162)에 끼워진 기판(120)에 부착되어 있다. 이 용기 유지부(161A)와 부착부(161B)에는, 도시하지 않는 감압 및 고압 공기계와 연통하는 흡인·분출 구멍(161C)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유지 수단(161)은 회전판(162)에 대하여 회전 가능해지고 있다.
슬릿부 형성부(12)는 용기(5)의 플랜지부(52)에 슬릿부(521)를 형성하기 위한 것이고, 회전판(162)의 구멍(162A)에 끼워진 기판(120)과, 기판(120) 내부에 배치되는 슬릿 날(122)과, 용기(5)의 플랜지부(52)를 수용하는 플랜지부 수용 몰드(121)와, 기판(120) 내부의 슬릿 날(122)을 돌출시키는 돌출 수단(도시 생략)을 갖고 있다.
기판(120)에는 용기 유지부(161A)측으로 오목한 홈부(120A) 및 이 홈부(120A)와 연통하는 슬릿 날 돌출 구멍(120B)이 형성되어 있다. 홈부(120A) 및 슬릿 날 돌출 구멍(120B)은 평면 원환상으로 되어 있다.
슬릿 날(122)은 기판(120)의 홈부(120A)에 설치되는 가압 부재(123)의 선단에 부착되어 있다. 슬릿 날(122)의 형상은 플랜지부(52)의 형상에 따른 형상이면 좋고, 본 실시 형태에서는 원환상이다. 슬릿 날(122)이 부착된 가압 부재(123)의 기단측에는 가동판(124)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홈부(120A)내에서, 홈부(120A)의 측면(120C)과 가압 부재(123)의 선단의 사이[슬릿 날(122)의 기단측의 주위]에는 원환상의 스프링(125)이 배치된다.
플랜지부 수용 몰드(121)는 슬릿부 형성시에 플랜지부(52)를 기판(120)에 가압하여 압착 고정하기 위한 것이고, 회전판(162)에 끼워진 기판(120)에 대하여 전진 및 후퇴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플랜지부 수용 몰드(121)에는 용기(5)의 오목부(51)를 수납하는 수납부(121A)가 형성되어 있다.
돌출 수단은 가압 부재(123)에 부착된 가동판(124)을 가압하기 위한 것이고, 공기 등의 유체압을 이용한 액추에이터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돌출 수단에 의해, 가동판(124)을 가압하면, 가압 부재(123)가 홈부(120A)내를 용기 유지부(161A)측을 향해서 전진시키고, 이에 의해 슬릿 날(122)이 슬릿 날 돌출 구멍(120B)으로부터 돌출한다. 이 때, 스프링(125)에는 압축 방향의 힘이 걸린다. 가동판(124)에 가해지는 힘을 해제하면, 스프링(125)의 탄성력에 의해 가압 부재(123) 및 가동판(124)이 원래 위치로 복귀되고, 슬릿 날(122)이 기판(120)의 슬릿 날 돌출 구멍(120B)내로 후퇴한다. 따라서, 돌출 수단과 스프링(125)이 슬릿 날(122)을 출입시키는 출입 기구로 되어 있다.
이러한 용기 인쇄 장치(1)를 사용하여 용기(5)는 다음과 같이 하여 제조된다.
먼저, 장착부(10)에 있어서, 용기(5)를 유지 수단(161)의 용기 유지부(161A)에 부착한다. 회전판(162)이 회전하면, 용기(5)는 전처리부(11)로 이동되고, 표면 처리가 실시된다(전처리 공정).
표면 처리가 완료되면, 회전판(162)이 다시 회전하고, 용기(5)가 슬릿부 형성부(12)로 이동한다. 슬릿부 형성부(12)에서는 플랜지부 수용 몰드(121)가 전진하고, 용기(5)의 플랜지부(52)가 회전판(162)에 끼워진 기판(120)에 압착 고정된다. 돌출 수단이 가동판(124)을 가압하면, 가압 부재(123)가 전진하고, 슬릿 날(122)이 기판(120)으로부터 돌출하여 플랜지부(52)에 가압된다. 이로써, 플랜지부(52)에 슬릿부(521)가 형성된다(슬릿부 형성 공정). 돌출 수단에 의한 가동판(124)으로의 가압을 해제하면, 슬릿 날(122)이 기판(120)내로 복귀한다. 플랜지부 수용 몰드(121)를 후퇴시켜서 슬릿부 형성 공정을 종료한다.
또한, 회전판(162)이 다시 회전하고, 용기(5)를 인쇄부(13)로 반송한다(인쇄 공정). 각 인쇄 유닛(131)에 의해 인쇄가 실시되면, 회전판(162)의 회전에 수반하여, 용기(5)는 경화부(14)로 이동한다(경화 공정). 경화 처리가 종료하면, 탈착부(15)에 있어서, 용기(5)는 유지 수단(161)으로부터 탈착된다. 이로써, 용기(5)의 제조가 종료한다.
또한, 전처리 공정, 인쇄 공정, 경화 공정에 있어서는, 유지 수단(161)은 필요에 따라 회전하고, 용기(5)의 최외층에 인쇄의 얼룩이 생기지 않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이하의 효과를 이룰 수 있다.
슬릿부 형성 공정에서는 플랜지부(52)를 압착 고정하여 슬릿 날(122)을 플랜지부(52)에 접촉하고 있고, 슬릿부(521)를 형성할 때에, 플랜지부(52)가 불안정해지거나 움직여버리는 일 없이, 정확하게 슬릿부(521)를 성형할 수 있다. 특히, 플랜지부(52)가 압착 고정되는 기판(120)으로부터 슬릿 날(122)이 돌출하기 때문에, 보다 안정적으로 플랜지부(52)를 고정하여 슬릿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슬릿부(521)를 정밀도 양호하게 성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성형 후의 용기(5)에 슬릿부(521)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용기(5)의 특성을 판단하고 나서, 슬릿부(521)를 형성하는 조건을 결정할 수 있으므로, 정확하게 슬릿부(521)를 성형할 수 있다.
환상의 슬릿 날(122)을 사용하고 있고, 용기(5)나 슬릿 날(122)을 회전시킬 필요가 없으므로, 보다 정확하게 슬릿부(521)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슬릿 날(122)은 가동판(124)을 가압하면, 가압 부재(123)가 전진하여 기판(120)으로부터 돌출하는 구조로 되어 있고, 슬릿 날(122)의 돌출량은 돌출 수단의 가동판(124)을 가압하는 힘이나 이동량을 제어함으로써,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재질이나 최내층의 두께 등이 다른 용기(5)에 슬릿부(521)를 형성하는 경우에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정밀도 양호하게 슬릿부(521)를 성형할 수 있다.
또한, 가압 부재(123)의 선단측에 스프링(125)을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이 스프링(125)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돌출한 슬릿 날(122)을 용이하게 기판(120)내로 복귀시킬 수 있다.
또한, 슬릿부 형성 공정은 전처리 공정과 인쇄 공정 사이에 실시되므로, 인쇄와 슬릿부(521)의 성형을 일련의 작업으로 하여 실행할 수 있고, 작업성의 향상과, 또한 용기(5)의 생산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에서의 변형, 개량 등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이다.
예컨대,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슬릿부 형성 공정이 전처리 공정과 인쇄 공정 사이에서 실시되고 있었지만, 슬릿부 형성 공정은 인쇄 공정과 경화 공정 사이에 실시될 수도 있고, 전처리 공정 전에 실시하고, 일단 용기를 제거하여, 전처리 공정에서 부착할 수도 있으며, 경화 공정 후에 실시될 수도 있다. 또한, 슬릿부 형성부(12)를 전처리부(11)나 인쇄부(13)와 일체로 구성함으로써, 전처리 공정, 인쇄 공정, 경화 공정 중 어느 것과 동시에 실시될 수도 있다.
또한, 슬릿부 형성 공정에서는 플랜지부 수용 몰드(121)를 전진시키고, 용기(5)의 플랜지부(52)를 기판(120)에 압착 고정한 후, 슬릿 날(122)을 기판(120)으로부터 돌출시켰지만, 기판(120)으로부터 슬릿 날(122)을 돌출시킨 후에, 플랜지부 수용 몰드(121)를 전진시키고, 용기(5)의 플랜지부(52)를 기판(120)에 압착 고정하는 동시에 슬릿부(521)를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가압 부재(123)의 선단측에 스프링(125)을 배치했지만, 스프링(125)으로 한정하지 않고, 가압 부재(123)를 후퇴시켜서, 슬릿 날(122)을 기판(120) 내부로 복귀시키는 탄성을 갖는 다른 탄성체를 배치할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탄성체를 배치하지 않고, 가동판(124)을 잡아당기며 후퇴시켜서, 슬릿 날(122)을 기판(120) 내부로 복귀시키는 기구를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슬릿 날(122)은 원환상으로 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플랜지부(52)가 삼각형상, 사각형상인 경우에는, 삼각형상, 사각형상의 환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용기 인쇄 장치(1)는 회전판(162)에 기판(120)을 끼우는 구조로 했지만, 회전판(162)에 기판(120)을 끼우지 않는 구조로 할 수도 있다. 예컨대, 회전판(162)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지지 부재를 설치하고, 이 지지 부재의 선단에 유지 수단(161) 및 기판(120)을 유지시키는 구조로 할 수도 있다. 단, 이러한 구조로 한 경우에는, 부재 수가 증가하고, 용기 인쇄 장치(1)의 구조가 복잡화해질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은 용기의 제조 방법 및 용기 인쇄 장치로서 이용할 수 있고, 식품 등의 피포장물을 포장한 후, 그 플랜지부에 커버재를 열밀봉하여 밀봉하는 용기로서 이용할 수 있다.

Claims (5)

  1. 다층 구조의 시트를 성형하여 이루어지고, 피포장물 수납용의 오목부와, 이 오목부의 개구 주연에 형성된 플랜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플랜지부의 최내층에 상기 개구 주연에 따른 슬릿부(slit part)가 형성되는 동시에, 최외층에 인쇄가 실시된 용기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성형 후의 상기 용기로의 인쇄는,
    상기 최외층에 인쇄를 실시하는 인쇄 공정과,
    인쇄면을 경화시키는 경화 공정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최내층에 슬릿부를 형성하는 슬릿부 형성 공정은, 상기 플랜지부를 압착 고정하는 동시에, 또는 압착 고정한 후, 상기 플랜지부의 형상에 따른 환상의 슬릿 날을 상기 플랜지부에 가압함으로써 실행되고,
    상기 슬릿부 형성 공정은 상기 인쇄 공정, 상기 경화 공정 중 어느 것과 동시에, 또는 이들 공정 사이에, 또는 상기 인쇄 공정 전에, 또는 상기 경화 공정 후에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의 제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부 형성 공정은 슬릿 날이 돌출된 기판에 대하여 상기 용기의 플랜지부를 수용하는 플랜지 수용 몰드를 전진시킴으로써, 상기 플랜지부를 압착 고정하는 동시에 상기 플랜지부에 상기 슬릿 날을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의 제조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부 형성 공정은 슬릿 날이 돌출 가능한 기판에 대하여, 상기 용기의 플랜지부를 수용하는 플랜지부 수용 몰드를 전진시켜서, 상기 플랜지부를 압착 고정한 후, 상기 기판으로부터 슬릿 날을 돌출시켜 상기 플랜지부에 슬릿 날을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의 제조 방법.
  4. 포장물 수납용의 오목부와, 이 오목부의 개구 주연에 형성된 플랜지부를 구비한 용기의 외측면에 인쇄를 실시하는 용기 인쇄 장치에 있어서,
    상기 용기의 외측면에 인쇄를 실시하는 인쇄부와,
    인쇄면을 경화시키는 경화부와,
    상기 용기의 개구 주연을 따라 상기 플랜지부에 슬릿부를 형성하기 위해서, 상기 인쇄부 및 상기 경화부와 일체 또는 별개로 구성되고, 상기 플랜지부를 압착 고정하며, 상기 플랜지부의 형상에 따른 환상의 슬릿 날을 상기 플랜지부에 가압하는 슬릿부 형성부와,
    상기 용기를 상기 각 부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용기 이동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인쇄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부 형성부는 기판과, 상기 기판 내부에 설치된 상기 슬릿 날과, 상기 용기에 대하여 상기 기판으로부터 상기 슬릿 날을 출입시키는 출입 기구와, 상기 용기의 플랜지부를 수용하고, 상기 기판에 플랜지부를 압착 고정하는 플랜지부 수용 몰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인쇄 장치.
KR1020057000975A 2002-07-19 2003-07-18 용기의 제조 방법 및 용기 인쇄 장치 KR2005002922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211165 2002-07-19
JP2002211165A JP2004051159A (ja) 2002-07-19 2002-07-19 容器の製造方法及び容器印刷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9229A true KR20050029229A (ko) 2005-03-24

Family

ID=307677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0975A KR20050029229A (ko) 2002-07-19 2003-07-18 용기의 제조 방법 및 용기 인쇄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04051159A (ko)
KR (1) KR20050029229A (ko)
WO (1) WO200400945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7232B1 (ko) * 2011-09-27 2013-04-29 김경협 동판을 이용한 좌욕용기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63564A1 (ja) * 2007-11-15 2009-05-22 Arrow Co., Ltd. 立体パーツ印刷方法及び印刷システム
CN102009772B (zh) * 2009-09-08 2014-09-10 出光统一科技株式会社 包装容器、其制造方法以及制造装置
JP7270805B2 (ja) * 2017-12-27 2023-05-10 アルテミラ株式会社 印刷装置
SE2250445A1 (en) * 2022-04-08 2023-10-09 Pulpac AB A dry-forming mould system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cellulose product in a dry-forming mould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35579A (en) * 1978-05-11 1980-11-25 Leesona Corporation Synthetic plastics article manufacturing system
US5178293A (en) * 1986-04-08 1993-01-12 Idemitsu Petrochemical Co., Ltd. Easily-openable packaging container
JP2630363B2 (ja) * 1987-11-02 1997-07-16 出光石油化学株式会社 容器の切り欠き方法及びその切欠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7232B1 (ko) * 2011-09-27 2013-04-29 김경협 동판을 이용한 좌욕용기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4051159A (ja) 2004-02-19
WO2004009451A1 (ja) 2004-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16311B1 (en) Device and method for separating a shaped substrate from a stamping tool
CN113573870B (zh) 用于制造机动车的方法和适用于此的工具
JPS6241446B2 (ko)
CA2213816A1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foamed resin container with a label
CA2358898A1 (en) Process for the vacuum-assisted resin impregnation of reinforcing material with equalized pressure
US20070222098A1 (en) Mold for foam molding and foam molding method
KR20050029229A (ko) 용기의 제조 방법 및 용기 인쇄 장치
US20070132159A1 (en) Vacuum molding methods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molded article
WO2010136496A2 (en) Embossing method and apparatus
CN109127938A (zh) 一种铁皮罐罐身制作方法
CN110576116A (zh) 一种啤酒罐旋口盖成型工艺
JP2000079626A (ja) 枠体付き透明板状体の製造方法および枠体付き透明板状体製造用金型
JP2003340943A (ja) 紙カップの底締め方法及びそれに使用する底締め装置
CN109968889B (zh) 对位治具及使用其的模外装饰方法
US4188256A (e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identification plates having indented retroreflective characters
CN109130228B (zh) 一种易拉盖的制作工艺及易拉盖
CN205951439U (zh) 一种汽车发电机调节器的厚膜贴装及下压治具
JP6493871B2 (ja) 樹脂成形品の製造方法
KR101878767B1 (ko) 다각 캔 및 그 성형 방법
JP2002011694A (ja) 紙蓋の製造方法及び紙蓋
US20240158124A1 (en) Method for placing a label on moulded packaging, tooling for implementing said method, installation comprising said tooling and packaging obtained
CN109910103A (zh) 一种imr成型pet膜片冲裁模具及其使用方法
CN212093921U (zh) 一种可连续冲压生产的复合落料模装置
RU2279839C1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значка
JPH03222705A (ja) 模様付き成形品、模様付き成形品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