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28390A - 화상인식 장치 - Google Patents

화상인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28390A
KR20050028390A KR1020030064574A KR20030064574A KR20050028390A KR 20050028390 A KR20050028390 A KR 20050028390A KR 1020030064574 A KR1020030064574 A KR 1020030064574A KR 20030064574 A KR20030064574 A KR 20030064574A KR 20050028390 A KR20050028390 A KR 200500283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me position
carrier
image recognition
unit
recogni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45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현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645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28390A/ko
Publication of KR200500283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8390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acsimile Scann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예를 들어 프린터 기기에 평판 스캐너 기능을 부가하여 스캔, 팩스 및 복사 기능이 가능토록 하는 화상인식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화상인식(스캔) 과정에서 캐리어가 화상인식 구간의 이동 완료 후에 홈 위치(Home Position)로 다시 되돌아 오는 불필요한 이동을 최소화하여 사용자의 시간적 손실 및 화상인식을 위한 노광에 노출될 수 있는 가능성을 최소화하도록 된 화상인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화상 센싱부를 구비한 스캔부가 설치된 캐리어와, 상기 캐리어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 및 상기 캐리어의 홈 위치(home position)를 파악하기 위한 홈 위치부 및 홈 위치 검출센서를 포함하는 화상인식 장치에 있어서, 화상 인식을 위한 시작점으로서 상기 홈 위치를 정하기 위해 상기 캐리어 이동방향의 양쪽 단부에 각각 설치되는 제1 홈 위치부와 제2 홈 위치부; 상기 홈 위치를 확인하기 위해 상기 제1 홈 위치부와 제2 홈 위치부에 각각 대응되어 상호작용하도록 상기 캐리어에 설치되는 제1 홈 위치 검출센서와 제2 홈 위치 검출센서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화상인식 장치{Apparatus for scanning image}
본 발명은 예를 들어 프린터 기기에 평판 스캐너(Flat Scanner) 기능을 부가하여 스캔(화상인식), 팩스 및 복사 기능이 가능토록 하는 화상인식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화상인식 과정에서 캐리어가 화상인식 구간의 이동 완료 후에 홈 위치(Home Position)로 다시 되돌아 오는 불필요한 이동을 최소화하여 사용자의 시간적 손실 및 화상인식을 위한 노광에 노출될 수 있는 가능성을 최소화하도록 된 화상인식 장치에 관한 것이다.
당업자에게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스캐너(scanner)로 통칭되는 화상인식 장치는 화상인식을 위한 평판(flat) 스캔부를 포함한다. 평판 스캔부는 화상 센싱부와, 반사 미러, 노광 램프, 집광 렌즈 그리고 홈 위치(home position) 검출 센서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이와 같이 구성되는 평판 스캔부는 캐리어(carrier)에 장착된다. 상기 평판 스캔부가 장착되는 캐리어는 모터, 모터 회로, 구동 벨트, 이동 샤프트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구동부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화상인식 장치는 상기 캐리어 이외에 화상인식을 필요로 하는 원고를 올려 놓을 원고대와, 노광 차단 및 원고 지지 등을 위한 덮개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화상인식 장치에 있어서, 화상인식을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캐리어의 위치를 파악하는 과정을 거쳐야 한다. 이는 캐리어의 위치가 파악되지 않으면 인식될 화상에 대한 정확한 위치 정보를 알 수 없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이유로 캐리어는 홈 위치(Home Position)를 인식할 수 있는 장치, 즉 상기한 바와 같은 홈 위치 검출센서를 포함하게 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종래기술의 화상인식 장치(1)는 화상을 인식하기 전에 먼저 캐리어(10)가 홈 위치(12)에 있는지를 확인하는데, 만일 캐리어(10)가 홈 위치(12)에 있지 않는 경우에는 캐리어 구동부(16)를 동작시켜 캐리어(10)를 B방향으로 움직여 홈 위치(12)에 위치시킨다(S10)(S11)(S13). 캐리어(10)가 홈 위치(12)에 있는지의 확인은, 예를 들어 캐리어(10)에 장착된 홈 위치 검출센서(14)와 홈 위치(12)를 표시하는 구성부재와의 상호작용에 의해 달성된다.
캐리어(10)가 홈 위치(12)에 위치하고 있음이 확인되면, 캐리어(10)는 해당 원고의 화상 인식을 위해 A방향으로 이동한다(S12). 화상 인식을 위해 이동하는 캐리어(10)는 미리 입력되거나 또는 재설정된 시간, 거리 또는 센싱 등의 방법에 의해 결정되는 구간을 이동하고, 이동 완료가 확인되면 다시 홈 위치(12)를 찾아 B 방향으로 이동한다(S14)(S15). 캐리어(10)가 홈 위치(12)에 다시 위치한 것이 확인되면, 상기 화상 인식 과정이 완료된 것으로 한다(S16).
그런데, 상기한 종래기술의 화상인식 장치(1)에 있어서, 화상 인식 과정에서 캐리어(10)의 화상 인식 구간의 이동 완료 후, 캐리어(10)가 홈 위치(12)를 찾기 위해 화상 인식을 위한 이동 거리 만큼 되돌아 오는 불필요한 동작을 하고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종래기술의 화상인식 장치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실질적으로 화상 인식이 끝났음에도 불구하고 캐리어(10)가 홈 위치(12)를 찾아 되돌아 오는 시간 만큼의 시간적 손실을 감당해야 했다. 또한, 화상인식 장치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화상인식 과정에서 덮개를 오픈하면 노광에 노출되게 되는데, 종래기술의 화상인식 장치와 같이 화상 인식 완료 후 캐리어(10)가 홈 위치(12)로 되돌아 오는 과정을 거치게 되면 그 만큼 불필요한 노광에 더 노출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화상인식 장치의 화상 인식 과정에서 캐리어가 화상 인식 구간의 이동 완료 후에 홈 위치로 다시 되돌아 오는 불필요한 이동을 최소화하여 사용자의 시간적 손실 및 화상인식(스캔)을 위한 노광에 노출될 수 있는 가능성을 최소화하도록 된 화상인식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상인식 장치는, 화상 센싱부를 구비한 스캔부가 설치된 캐리어와, 상기 캐리어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 및 상기 캐리어의 홈 위치(home position)를 파악하기 위한 홈 위치부 및 홈 위치 검출센서를 포함하는 화상인식 장치에 있어서, 화상 인식을 위한 시작점으로서 상기 홈 위치를 정하기 위해 상기 캐리어 이동방향의 양쪽 단부에 각각 설치되는 제1 홈 위치부와 제2 홈 위치부; 상기 홈 위치를 확인하기 위해 상기 제1 홈 위치부와 제2 홈 위치부에 각각 대응되어 상호작용하도록 상기 캐리어에 설치되는 제1 홈 위치 검출센서와 제2 홈 위치 검출센서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가 상기 제1 홈 위치부를 시작점으로 하여 상기 제2 홈 위치부를 향해 이동하면서 화상인식을 할 때, 상기 캐리어가 상기 제2 홈 위치부에 도달하면 상기 캐리어의 이동이 완료되고, 상기 제2 홈 위치부가 새로운 화상 인식을 위한 시작점으로 설정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화상인식 장치가 자동급지장치(ADF; auto document feeder)를 이용하여 화상 인식을 하는 경우, 상기 제1 홈 위치부가 디폴트(default)로 화상 인식 시작점으로 설정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상인식 장치는, 화상 센싱부를 구비한 스캔부가 설치된 캐리어와, 상기 캐리어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 및 상기 캐리어의 홈 위치(home position)를 파악하기 위한 홈 위치부 및 홈 위치 검출센서를 포함하는 화상인식 장치에 있어서, 화상 인식을 위한 시작점으로서 상기 홈 위치를 정하기 위해 상기 캐리어 이동방향의 양쪽 단부에 각각 설치되는 제1 홈 위치부와 제2 홈 위치부와; 상기 홈 위치를 확인하기 위해 상기 제1 홈 위치부 및 제2 홈 위치부 모두에 각각 상호작용하도록 상기 캐리어에 설치되는 홈 위치 검출센서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가 상기 제1 홈 위치부와 제2 홈 위치부 중에서 어느쪽에 위치하고 있는지를 나타내기 위한 표현 수단(예; 플래그)과, 상기 캐리어가 상기 제1 홈 위치부와 제2 홈 위치부 중에 어느쪽에 더 가깝게 위치하고 있는가를 확인하기 위한 확인 수단(예; 플래그)이 마련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화상인식 시작 전에 상기 캐리어가 상기 제1, 2 홈 위치부의 어느쪽에도 위치하고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캐리어는 상기 확인 수단을 통해 더 가까운 쪽의 홈 위치부로 이동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화상인식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인식 장치의 일실시예의 구성도이고, 도 4a 및 도 4b는 각각 도 3에 도시한 화상인식 장치의 작용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인식 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각각 도 5에 도시한 화상인식 장치의 작용 흐름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인식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의 구성도, 도 8은 도 7에 도시한 화상인식 장치의 작용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화상인식 장치(100)는, 화상 센싱부를 구비한 스캔부가 설치된 캐리어(110)와, 캐리어(110)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160)와, 화상인식 또는 스캔을 위한 시작점으로서 홈 위치를 정하기 위해 캐리어(110) 이동방향의 양쪽 단부, 즉 평판 스캐너부의 양쪽 단부에 각각 설치되는 제1 홈 위치부(120)와 제2 홈 위치부(130), 상기 홈 위치를 확인하기 위해 제1 홈 위치부(120)와 제2 홈 위치부(130)에 각각 대응되어 상호작용하도록 캐리어(110)에 설치되는 제1 홈 위치 검출센서(125)와 제2 홈 위치 검출센서(13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1 홈 위치부(120)와 제1 홈 위치 검출센서(125)는 각각 도 1에 도시한 종래기술에 따른 화상인식 장치의 홈 위치(12)와 홈 위치 검출센서(14)에 대응된다고 볼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이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화상인식 장치를 도시한 것으로서, 화상 센싱부를 구비한 스캔부가 설치된 캐리어(110)와, 캐리어(110)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160)와, 화상인식 또는 스캔을 위한 시작점으로서 홈 위치를 정하기 위해 캐리어(110) 이동방향의 양쪽 단부(즉, 평판 스캐너부의 양쪽 단부)에 각각 설치되는 제1 홈 위치부(120)와 제2 홈 위치부(130), 상기 홈 위치를 확인하기 위해 상기 제1 홈 위치부(120) 및 제2 홈 위치부(130) 모두에 각각 상호작용하도록 캐리어(110)에 설치되는 홈 위치 검출센서(12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5에 도시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화상인식 장치는, 도 3에 도시한 화상인식 장치에서 제2 홈 위치 검출센서(135)가 제거된 형태라고 볼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이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화상인식 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에 도시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화상인식 장치는, 도 5에 도시한 화상인식 장치에 캐리어(110)가 제1 홈 위치부(120)와 제2 홈 위치부(130) 중에 어느쪽에 더 가깝게 위치하고 있는가를 확인하기 위한 확인 표시부재, 즉 특정 지점(180)이 별도로 마련된 것 이외에는 도 5의 구성과 동일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화상인식 장치의 작용을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일반적인 화상인식 장치에 있어서, 평판 스캔은 화상을 인식하는 방법으로 캐리어를 이동하여 원고대에 고정된 화상을 인식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이때, 정확한 시작점을 인식하여야 화상 정보의 손상 없이 인식이 가능하게 되는데 이때 사용되어 지는 것이 본 발명에서 다루는 홈 위치(Home Position)이다. 즉, 화상인식 장치에서 화상 인식 작업이 수행되기 전이나 인식 작업이 완료된 후 캐리어는 홈 위치를 찾아 이동하게 된다.
도 3 및 도 4a, b를 참조하면, 이는 도시한 바와 같이 2개의 홈 위치부(120)(130)와, 각 홈 위치부(120)(130)에 대응하는 2개의 홈 위치 검출센서(125)(135)를 포함하는 화상인식 장치(100)로서, 화상인식 장치(100)에 전원이 인가되거나 또는 캐리어(110)의 비 정상적인 정지상태에서 사용자가 화상 인식을 위한 동작, 예를 들면 화상인식 장치의 덮개를 오픈하거나 또는 스캔 시작 키(Push Start Key)를 누르는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캐리어(110)가 홈 위치부(120)(130)에 위치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종래기술에서와 같이 제1 홈 위치 검출센서(125)를 이용하여 디폴트(Default)로 설정된 종전의 제1 홈 위치부(120)를 찾아 캐리어(110)가 이동한다.
상기와 같이 해서 캐리어(120)가 이동하여 제1 홈 위치부(120)에 위치하면, 화상인식 장치(100)는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상인식을 수행한다. 화상 인식이 수행되면, 캐리어(110)는 현재 위치한 홈 위치부에서 다른 홈 위치부, 예를 들면 제1 홈 위치부(120)에서 제2 홈 위치부(130)로 이동하게 되며, 캐리어(110)가 제2 홈 위치부(130)에 도달시 화상 인식에 따른 캐리어(110)의 이동이 완료된다. 캐리어(110)가 제2 홈 위치부(130)에 도달한 것은 제2 홈 위치 검출센서(135)와 제2 홈 위치부(130)의 상호작용에 의해 달성된다. 즉, 캐리어(110)가 어느쪽의 홈 위치부에 도달했는가는 홈 위치 검출센서의 출력신호에 의해 쉽게 알아낼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캐리어(110)가 제2 홈 위치부(130)에 위치하고 있을 때, 새로운 화상인식을 위한 신호가 입력되면 캐리어(110)는 제2 홈 위치부(130)를 스캔 시작으로 하여 제1 홈 위치부(120)로 이동하게 되며, 캐리어(110)가 제1 홈 위치부(120)에 도달시 화상 인식에 따른 캐리어(110)의 이동이 완료된다.
한편, 도 3에 도시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화상인식 장치(100)에 의해 자동급지장치(ADF; Auto Document Feeder)의 스캔이 이루어질 경우는,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ADF 스캔이 이루어지는 곳이 디폴트로 종래기술에서 다루었던 제1 홈 위치부(120)라고 가정하면, 캐리어(110)가 새롭게 추가된 제2 홈 위치부(130)에 위치해 있다 하더라도 사용자에 의해 ADF 스캔이 선택되었으면, 캐리어(110)는 제2 홈 위치부(130)에서 디폴트로 설정된 제1 홈 위치부(120)로 이동하여 화상인식 작업을 수행한다.
도 3에 도시한 화상인식 장치(100)에서, 캐리어(110)에 제1, 2 홈 위치 검출센서(125)(135)를 설치하고, 평판 스캐너부(Flat Scanner)의 양단에 제1, 2 홈 위치부(120)(130)를 설치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캐리어(110)에 홈 위치부 역할을 할 수 있는 구성부재를 설치하고, 평판 스캐너부의 양단에 홈 위치 검출센서 역할을 할 수 있는 구성부재를 설치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은 도 3에 도시한 구성과 동일한 작용을 하도록 홈 위치부와 홈 위치 검출센서의 설치 위치를 바람직하게 교체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a, b를 참조하면, 이는 도시한 바와 같이 2개의 홈 위치부(120)(130)와, 각 홈 위치부(120)(130)에 대응하여 작용할 수 있는 1개의 홈 위치 검출센서(125)를 포함하는 화상인식 장치(100)로서, 화상인식 장치(100)에 전원이 인가되거나 또는 캐리어(110)의 비 정상적인 정지상태에서 사용자가 화상 인식을 위한 동작, 예를 들면 화상인식 장치의 덮개를 오픈하거나 또는 스캔 시작 키(Push Start Key)를 누르는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캐리어(110)가 홈 위치에 위치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홈 위치를 표현하는 플래그(Flag)(Pos_Flag)를 사용하여 홈 위치를 찾아 이동한다. 여기서, 예를 들어 상기 플래그(Pos_Flag)가 종래기술에서와 같은 제1 홈 위치부(120)를 가르키도록 디폴트로 세팅되면,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캐리어(110)는 제1 홈 위치부(120)로 이동한다. 이때, 전원 인가시 종래기술에 비해 새롭게 추가된 제2 홈 위치부(130)에 캐리어(110)가 위치해 있는 경우, 위치 정보에 오류가 발생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해 캐리어(110)가 각 홈 위치부(120)(130)에 도달할 때는 플래그(Pos_Flag) 정보를 항상 제어부(170)에 마련된 메모리(미도시)에 저장하거나 또는 제2 홈 위치부(130)가 초기 화상 인식 동작시에 홈 위치 검출센서(125)에 의해 감지가 가능한 위치에서 감지가 불가능하도록 변형(상하이동 또는 전후이동)되게 한다.
도 5 및 도 6a에 도시한 화상인식 장치(100)의 화상인식이 수행되면, 캐리어(110)는 현재 위치한 홈 위치부에서 다른 홈 위치부, 예를 들면 제1 홈 위치부(120)에서 제2 홈 위치부(130)로 이동하게 되며, 캐리어(110)가 제2 홈 위치부(130)에 도달하면 화상 인식에 따른 캐리어(110)의 이동이 완료된다. 제2 홈 위치부(130)에 캐리어(110)가 위치했다는 것은 전술한 바와 같이 플래그(Pos_Flag)의 세팅정보로 알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화상인식 작업을 수행한 후, 캐리어(110)가 제2 홈 위치부(130)에 위치하고 있을 때, 새로운 화상 인식을 위한 신호가 입력되면 캐리어(110)는 제2 홈 위치부(130)를 스캔 시작으로 하여 제1 홈 위치부(120)로 이동하게 되며, 캐리어(110)가 제1 홈 위치부(120)에 도달할 때 화상 인식에 따른 캐리어(110)의 이동이 완료된다.
한편, 도 5에 도시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화상인식 장치(100)에 있어서, 자동급지장치(ADF; Auto Document Feeder)의 스캔이 이루어질 경우는,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ADF 스캔이 이루어지는 곳이 디폴트로 종래기술에서 다루었던 제1 홈 위치부(120)라고 가정하면, 캐리어(110)가 새롭게 추가된 제2 홈 위치부(130)에 위치해 있다 하더라도 사용자에 의해 ADF 스캔이 선택되었으면, 캐리어(110)는 제2 홈 위치부(130)에서 디폴트로 설정된 제1 홈 위치부(120)로 이동하여 화상인식 작업을 수행한다.
도 5에 도시한 화상인식 장치(100)에서, 캐리어(110)에 홈 위치 검출센서(125)를 설치하고, 평판 스캐너부(Flat Scanner)의 양단에 제1, 2 홈 위치부(120)(130)를 설치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캐리어(110)에 홈 위치부 역할을 할 수 있는 구성부재 1개를 설치하고, 평판 스캐너부의 양단에 홈 위치 검출센서 역할을 할 수 있는 구성부재 2개를 설치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은 도 5에 도시한 구성과 동일한 작용을 하도록 홈 위치부와 홈 위치 검출센서의 설치 위치를 바람직하게 교체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이는 도시한 바와 같이 2개의 홈 위치부(120)(130)와, 각 홈 위치부(120)(130)에 대응하여 작용할 수 있는 1개의 홈 위치 검출센서(125), 및 캐리어(110)가 제1 홈 위치부(120)와 제2 홈 위치부 (130)중에서 어느쪽에 위치하고 있는지를 나타내기 위한 표현수단으로서 예를 들어 특정 지점( C line)(180)을 포함하는 화상인식 장치(100)로서, 화상인식 장치(100)에 전원이 인가되거나 또는 캐리어(110)의 비 정상적인 정지상태에서 사용자가 화상 인식을 위한 동작, 예를 들면 화상인식 장치의 덮개를 오픈하거나 또는 스캔 시작 키(Push Start Key)를 누르는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캐리어(110)가 제1 홈 위치부(120) 및 제2 홈 위치부(130)의 어디에도 위치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홈 위치부(120)(130)의 위치를 표현하는 플래그(Pos_Flag)와 특정 지점(180)의 정보를 표현하는 플래그(CT_Flag)를 사용하여 현재 캐리어(110)의 위치로부터 가까운 홈 위치부를 찾아 이동한다. 상기 2개의 플래그(Pos_Flag)(CT_Flag)는 바람직하게 종래기술에서와 같은 제1 홈 위치부(120)를 가르키도록 디폴트로 세팅한다. 도 7에 도시한 화상인식 장치(100)에 있어서, 초기 전원 인가시 새롭게 추가된 제2 홈 위치부(130)에 캐리어(110)가 위치해 있는 경우, 위치 정보에 오류가 발생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해 캐리어(110)가 각 홈 위치부(120)(130)에 도달할 때는 플래그 정보를 항상 제어부(170)에 마련된 메모리(미도시)에 저장하거나 또는 제2 홈 위치부(130)가 초기 화상 인식 동작시에 홈 위치 검출센서(125)에 의해 감지가 가능한 위치에서 감지가 불가능하도록 변형(상하이동 또는 전후이동)되게 한다.
상기와 같은 화상인식 장치(100)에서 화상인식이 수행되면, 캐리어(110)는 현재 위치한 홈 위치부에서 다른 홈 위치부 방향으로, 예를 들면 제1 홈 위치부(120)에서 제2 홈 위치부(130)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화상 인식 종료 시점이 특정 지점(180)을 넘지 않은 경우는 출발한 홈 위치부(예; 제1 홈 위치부)로 되돌아 가고 그렇지 않은 경우(특정 지점을 넘은 경우)는 다른 홈 위치부(예; 제2 홈 위치부)로 계속 진행하여 다른 홈 위치부에 도달시 화상인식에 따른 캐리어(110)의 이동을 완료한다. 해당 홈 위치부에 캐리어(110)가 위치했다는 것은 전술한 바와 같이 플래그(Pos_Flag)의 세팅정보로 알 수 있다.
한편, 도 7에 도시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화상인식 장치(100)에 있어서, 자동급지장치(ADF; Auto Document Feeder)의 스캔이 이루어질 경우는, 도 6b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ADF 스캔이 이루어지는 곳이 디폴트로 종래기술에서 다루었던 제1 홈 위치부(120)라고 가정하면, 캐리어(110)가 새롭게 추가된 제2 홈 위치부(130)에 위치해 있다 하더라도 사용자에 의해 ADF 스캔이 선택되었으면, 캐리어(110)는 제2 홈 위치부(130)에서 디폴트로 설정된 제1 홈 위치부(120)로 이동하여 화상인식 작업을 수행한다.
도 7의 화상인식 장치(100)에 특정 지점(180)이 마련되어 있다는 것 이외에는 도 7의 화상인식 장치와 도 5의 화상인식 장치는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상기한 본 발명의 작용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화상인식 장치는 양방향 화상 인식(스캔)이 가능하게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상인식 장치는, 화상인식(스캔) 과정에서 캐리어가 화상인식 구간의 이동 완료 후에 홈 위치로 다시 되돌아 오는 불필요한 이동을 최소화하여 사용자의 시간적 손실 및 화상인식을 위한 노광에 노출될 수 있는 가능성을 최소화하도록 하는 이점을 제공한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기술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첨부된 청구 범위에 정의된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발명을 여러 가지로 변형 또는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앞으로의 실시예들의 변경은 본 발명의 기술을 벗어날 수 없을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화상인식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종래기술에 의한 화상인식 장치의 작용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인식 장치의 일실시예의 구성도.
도 4a 및 도 4b는 각각 도 3에 도시한 화상인식 장치의 작용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인식 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도.
도 6a 및 도 6b는 각각 도 5에 도시한 화상인식 장치의 작용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인식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의 구성도.
도 8은 도 7에 도시한 화상인식 장치의 작용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화상인식 장치 110 : 캐리어
120 : 제1 홈 위치부 125 : 제1 홈 위치 검출센서
130 : 제2 홈 위치부 135 : 제2 홈 위치 검출센서
160 : 캐리어 구동부

Claims (7)

  1. 화상 센싱부를 구비한 스캔부가 설치된 캐리어와, 상기 캐리어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 및 상기 캐리어의 홈 위치(home position)를 파악하기 위한 홈 위치부 및 홈 위치 검출센서를 포함하는 화상인식 장치에 있어서,
    화상 인식을 위한 시작점으로서 상기 홈 위치를 정하기 위해 상기 캐리어 이동방향의 양쪽 단부에 각각 설치되는 제1 홈 위치부와 제2 홈 위치부;
    상기 홈 위치를 확인하기 위해 상기 제1 홈 위치부와 제2 홈 위치부에 각각 대응되어 상호작용하도록 상기 캐리어에 설치되는 제1 홈 위치 검출센서와 제2 홈 위치 검출센서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인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가 상기 제1 홈 위치부를 시작점으로 하여 상기 제2 홈 위치부를 향해 이동하면서 화상 인식을 할 때, 상기 캐리어가 상기 제2 홈 위치부에 도달하면 상기 캐리어의 이동이 완료되고, 상기 제2 홈 위치부가 새로운 화상 인식을 위한 시작점으로 설정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인식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인식 장치가 자동급지장치(ADF; auto document feeder)를 이용하여 화상 인식을 하는 경우, 상기 제1 홈 위치부가 디폴트(default)로 화상 인식 시작점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인식 장치.
  4. 화상 센싱부를 구비한 스캔부가 설치된 캐리어와, 상기 캐리어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 및 상기 캐리어의 홈 위치(home position)를 파악하기 위한 홈 위치부 및 홈 위치 검출센서를 포함하는 화상인식 장치에 있어서,
    화상 인식을 위한 시작점으로서 상기 홈 위치를 정하기 위해 상기 캐리어 이동방향의 양쪽 단부에 각각 설치되는 제1 홈 위치부와 제2 홈 위치부;
    상기 홈 위치를 확인하기 위해 상기 제1 홈 위치부 및 제2 홈 위치부 모두에 각각 상호작용하도록 상기 캐리어에 설치되는 홈 위치 검출센서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인식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가 상기 제1 홈 위치부와 제2 홈 위치부 중에서 어느쪽에 위치하고 있는지를 나타내기 위한 표현 수단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인식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가 상기 제1 홈 위치부와 제2 홈 위치부 중에 어느쪽에 더 가깝게 위치하고 있는가를 확인하기 위한 확인 수단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인식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화상 인식 시작 전에 상기 캐리어가 상기 제1, 2 홈 위치부의 어느쪽에도 위치하고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캐리어는 상기 확인 수단을 통해 더 가까운 쪽의 홈 위치부로 이동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인식 장치.
KR1020030064574A 2003-09-17 2003-09-17 화상인식 장치 KR200500283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4574A KR20050028390A (ko) 2003-09-17 2003-09-17 화상인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4574A KR20050028390A (ko) 2003-09-17 2003-09-17 화상인식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8390A true KR20050028390A (ko) 2005-03-23

Family

ID=373853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4574A KR20050028390A (ko) 2003-09-17 2003-09-17 화상인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2839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34753B2 (en) Original size detecting apparatus, original size detecting method, and program for original size detection
US20130044357A1 (en) Original document size detection device
US9979845B2 (en) Image reading apparatus and image reading method
US11627229B2 (en) Original reading apparatus
US20080094668A1 (en) Image read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KR20150036973A (ko) 화상 형성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050028390A (ko) 화상인식 장치
JP2001346009A (ja) 原稿サイズ検知装置、画像読取装置、原稿サイズ検知方法及び記憶媒体
US20030231364A1 (en) Image reading apparatus
JPH11261750A (ja) 画像読取装置
JP2009118377A (ja) 画像読取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3456578B2 (ja) 画像読み取り装置
JP4012096B2 (ja) 画像読取装置
JP2591471B2 (ja) 画像処理装置
JP4481422B2 (ja) 画像形成装置
KR100492108B1 (ko) 사무용 자동화기기의 원고 테두리 검출방법
JP2001016406A (ja)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方法
JP2001111790A (ja) イメージスキャナおよびイメージスキャナにおけるページの存在を検出する方法
JP2021136568A (ja) 画像読取装置
JP6443076B2 (ja) 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4054030A (ja) 画像読取装置
JP2002118725A (ja) 原稿読取装置
JP2004241838A (ja) フィルムホルダおよび画像読み取り制御装置
JP4865646B2 (ja) 画像処理装置
JP4525590B2 (ja) 画像読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