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28178A - 엘리베이터용 안전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용 안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28178A
KR20050028178A KR1020030064560A KR20030064560A KR20050028178A KR 20050028178 A KR20050028178 A KR 20050028178A KR 1020030064560 A KR1020030064560 A KR 1020030064560A KR 20030064560 A KR20030064560 A KR 20030064560A KR 20050028178 A KR20050028178 A KR 200500281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bracket
housing
elevator
fixed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45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승주
김해덕
Original Assignee
유승주
김해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승주, 김해덕 filed Critical 유승주
Priority to KR10200300645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28178A/ko
Publication of KR200500281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8178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21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the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being independent of the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16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 B66B5/18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and applying frictional retarding forces
    • B66B5/185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and applying frictional retarding forces by acting on main ropes or main c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고정된 고정판, 그리고 스프링에 의하여 상기 고정판에 밀착되는 것에 의하여 그 사이에서 로프를 제동할 수 있는 이동판을 포함하는 엘리베이터의 안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동판을 고정판에 대하여 이격시키기 위하여, 상기 이동판에 연결된 연결부재와;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감속시키기 위한 워엄기어를 내장하는 감속기와; 상기 구동모터 및 감속기가 설치되고, 지지축을 중심으로 하우징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브라켓과; 상기 감속기의 출력축과 연결되어 회전하는 구동기어와; 상기 구동기어와 선택적으로 맞물리고, 하우징의 일측에 설치되는 종동기어; 상기 종동기어에 의하여 회전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설치되고, 상기 연결부재와 접촉하여 회전축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연결부재를 직선운동시켜 상기 이동판을 고정판에서 이격시키기 위한 편심캠; 상기 브라켓을 회동시키는 플런저를 구비하는 솔레노이드를 포함한다. 상기 솔레노이드에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플런저에 의하여 브라켓이 회동하여 상기 구동기어가 종동기어에 맞물려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고, 솔레노이드에 전원이 오프되면 압력각에 의하여 구동기어는 종동기어에서 해제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용 안전장치{Safety device for elevator}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용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엘리베이터의 로프를 제동하기 위한 것으로, 제조코스트의 저감이 가능한 엘리베이터용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엘리베이터용 로프 제동장치에 대한 종래의 구성예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998-0009085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기술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8)에 고정되어 있는 고정판(51)과, 상기 고정판(51)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할 수 있는 가동판(52)을 이용하여 엘리베이터의 로프(6)를 제동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상기 고정판(51) 및 가동판(52)의 대향면에는 각각 제동시 충분한 마찰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라이닝(51a,52a)이 설치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종래의 제동장치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모터(21) 및 감속기(22)로 구성되는 구동부(2)에 대한 전원이 단락된 상태, 즉 엘리베이터(1)가 정지된 상태에서는 스프링(54)의 탄성력에 의하여 가동판(52)이 고정판(51) 측으로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가동판(52)과 고정판(51) 사이의 로프(6)는 라이닝(51a,52a)에 의하여 정지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엘리베이터가 다시 정상적인 승하강을 하기 위해서는, 로프(6)의 제동상태가 해제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전원이 인가되어 구동모터(21)가 작동하게 되면, 그 구동력은 감속기(22)를 거쳐서 체인(33) 구동으로 스프라켓(34)을 회전시키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동력은 전달축(312)을 회전시키게 되고, 상기 전달축(312)의 양측에 설치된 스프라켓(313)을 회전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스프라켓(313)의 회전에 의하여, 스프라켓의 일정 부분에 고정된 체인(35)이 하부로 당겨지게 된다. 상기 체인(35)은 전달축(322)의 단부에 설치된 스프라켓(323)에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체인(35)의 하방 이동에 의하여 실질적으로 상기 전달축(323)가 안내홈(81)을 따라 회동하게 된다. 이 때 상기 전달축(323)의 양단부에 연결되어 있는 주링크(41)는, 피봇축(43)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상기 주링크(41)가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함에 따라서 상기 주링크(41)의 후단부(피봇축의 후방에 위치)는 작동링크(42)를 후방으로 밀어내게 된다. 상기 작동링크(42)는 가동판(52)과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가동판(52)가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가동판(52)의 이동은, 고정판(51)에서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상기 로프(6)는 실질적으로 자유상태가 되어 엘리베이터를 승하강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는, 엘리베이터의 출발 명령이 있으면 구동모터(21)에 전기가 인가되어 가동판(52)를 이동시켜서 로프(6)가 이동 가능하게 구성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엘리베이터가 승하강을 하는 동안에는 상기 구동모터(21)에 전기의 공급을 유지하고 있어야 하고, 엘리베이터가 정지되면 상기 구동모터에 전기의 공급이 오프되어 스프링(54)의 탄성력에 의하여 가동판(52)을 고정판(51) 측으로 가압하여 로프(6)의 제동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구성에 있어서는, 상기 구동모터(21)는 엘리베이터의 권상기 브레이크와 같은 작동을 하게 되기 때문에, 신속한 동작을 필요로 하게 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모터의 용량이 커지게 되고, 따라서 고가의 모터를 필요로 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즉 상술한 종래의 구성예에 의하면, 용량이 큰 모터를 이용하지 않으면 안되기 때문에, 고가의 모터 사용에 의한 제조단가가 높아지는 단점이 지적된다.
다른 종래의 구성예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221960호에 개시되어 있고, 도 3은 그 요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종래의 예에 있어서도, 하우징(8)에 고정되어 있는 고정판(51)과, 상기 고정판(51)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할 수 있는 가동판(52)을 이용하여 엘리베이터의 로프(6)를 제동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상기 고정판(51) 및 가동판(52)의 대향면에는 각각 제동시 충분한 마찰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라이닝(51a,52a)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판(51)에 대하여 이동판(52)가 스프링(도시 생략)에 의하여 밀착되어, 그 사이에서 로프(6)를 제동하는 구성은 전술한 실시예의 것과 동일하다. 본 종래의 예에서는, 제동된 상태의 로프(6)를 자유상태로 해제하기 위하여, 상기 가동판(52)을 후방으로 밀어내는 구성이 상술한 것과는 상이하다.
이와 같이 상기 로프(6)를 자유상태로 하기 위하여 상기 가동판(52)을 이동시키는 동작을 살펴보면, 구동브레이크모터(1)에서의 출력은 감속기(22)를 통하여 스프라켓(34)으로 전달된다. 체인(33)에 의하여 상기 동력은 스프라켓(35)의 중심축을 형성하는 회전축(41)으로 전달된다. 상기 회전축(41)이 회전하게 되면, 그것에 편심된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편심원판(43)이 회전하게 된다. 상기 편심원판(43)이 회전하게 되면, 그것과 접하고 있는 작동부재(55)는 후방으로 밀리게 된다. 그리고 상기 작동부재(55)의 선단에 설치된 롤러(55a)에 의하여 편심원판(43)과 작동부재(55)는 구름접촉을 수행하게 되어, 보다 원활하게 작동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작동부재(55)의 후단부는 가동판(52)과 연결되어 있어서, 작동부재(55)의 후방이동은 실질적으로 가동판(52)이 고정판(51)에 대하여 이격되도록 하여, 로프(6)를 자유상태로 하여 엘리베이터의 승하강이 가능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예에 있어서도, 전자브레이크 기능이 내장된 구동브레이크모터(1)를 사용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전자브레이크가 작동하여 모터의 역전을 방지하여 상기 로프(6)가 해제된 상태, 즉 정상 구동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엘리베이터의 이상 상태에서는 상기 구동브레이크모터(21)의 전원을 차단하여 스프링에 의한 로프의 제동이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전자브레이크는, 마찰판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로프의 제동을 위해서는 용량이 커져야 하고, 이러한 규격을 만족하는 제품은 단가가 매우 고가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종래의 예에서도, 고가의 부품을 사용하는 것에 의하여 제품의 제조원가 상승이라는 단점이 발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엘리베이터의 제동에 대한 신뢰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음과 같이 보다 낮은 제조코스트로 제조 가능한 엘리베이터용 안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고정된 고정판, 그리고 스프링에 의하여 상기 고정판에 밀착되는 것에 의하여 그 사이에서 로프를 제동할 수 있는 이동판을 포함하는 엘리베이터의 안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동판을 고정판에 대하여 이격시키기 위하여, 상기 이동판에 연결된 연결부재와;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감속시키기 위한 워엄기어를 내장하는 감속기와; 상기 구동모터 및 감속기가 설치되고, 지지축을 중심으로 하우징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브라켓과; 상기 감속기의 출력축과 연결되어 회전하는 구동기어와; 상기 구동기어와 선택적으로 맞물리고, 하우징의 일측에 설치되는 종동기어; 상기 종동기어에 의하여 회전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설치되고, 상기 연결부재와 접촉하여 회전축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연결부재를 직선운동시켜 상기 이동판을 고정판에서 이격시키기 위한 편심캠; 상기 브라켓을 회동시키는 플런저를 구비하는 솔레노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솔레노이드에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플런저에 의하여 브라켓이 회동하여 상기 구동기어가 종동기어에 맞물려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고, 솔레노이드에 전원이 오프되면 압력각에 의하여 구동기어는 종동기어에서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고정된 고정판, 그리고 스프링에 의하여 상기 고정판에 밀착되는 것에 의하여 그 사이에서 로프를 제동할 수 있는 이동판을 포함하는 엘리베이터의 안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동판을 고정판에 대하여 이격시키기 위하여, 상기 이동판에 연결된 연결부재와;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감속시키기 위한 감속기와; 상기 구동모터 및 감속기가 설치되고, 지지축을 중심으로 하우징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브라켓과; 상기 감속기의 출력축과 연결되어 회전하는 구동기어와; 상기 구동기어와 선택적으로 맞물리고, 하우징의 일측에 설치되는 종동기어; 상기 종동기어에 의하여 회전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설치되고, 상기 연결부재와 접촉하여 회전축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연결부재를 직선운동시켜 상기 이동판을 고정판에서 이격시키기 위한 편심캠; 상기 브라켓을 회동시키는 플런저를 구비하는 솔레노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의 축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구동기어의 일측에 걸려서 구동기어를 일방향으로만 회전 가능하도록 스프링에 의하여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래치를 포함하고; 상기 솔레노이드에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플런저에 의하여 브라켓이 회동하여 상기 구동기어가 종동기어에 맞물려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고, 구동기어의 역방향의 회전은 상기 래치에 의하여 규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재의 선단부에는 상기 편심캠과 구름접촉하는 롤러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는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기초하면서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안전장치는, 전체적인 기본 프레임을 형성하는 하우징(100)에 고정판(110)이 고정되어 있고, 이동판(120)이 상기 고정판(110)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 고정판(110)과 이동판(120)의 대향면에는 각각 라이닝(113,123)이 설치되어 있어서, 그 사이에서 엘리베이터용 로프(도시 생략)를 제동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상기 이동판(120)은, 고정판(110)에 고정되어 있는 다수개의 가이드바아(114)를 관통한 상태로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바아(114)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스프링(116)에 의하여 고정판(110) 측으로 탄성적으로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스프링(116)의 탄성에 의하여 상기 이동판(120)이 고정판(110) 측으로 가압되면, 고정판(110)과 이동판(120) 사이의 로프(도시 생략)를 제동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이동판(120)과 연결되어 있는 연결부재(140)는 고정판(110)을 관통한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연결부재(140)를 후방으로 밀게 되면 상기 이동판(120)은 고정판(110)에 대하여 일정 간격 이격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스프링(116)에 의하여 상기 이동판(120)이 고정판(110)에 대하여 밀착되면 그 사이에 개재되어 있는 로프가 완전하게 제동되어, 엘리베이터의 운행이 정지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엘리베이터의 운행을 재개하기 위해서는, 상기 이동판(120)이 고정판(110)에 대하여 이격되어 로프가 자유롭게 승하강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이동판(120)과 연결되어 있는 연결부재(140)를 도면상 후방으로 밀게 되면 상기 이동판(120)이 고정판(110)에 대하여 이격되면서, 그 사이에 있는 로프의 승하강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에는 상기 연결부재(140)를 후방으로 밀기 위한 구성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연결부재(140)의 전방에는 편심캠(150)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편심캠(150)은 회전축(152)에 대하여 편심된 위치에 설치되어 있어서, 원운동을 하게 되면, 연결부재(140)를 직선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편심캠(150)은 캠형상을 가지도록 성형하여도 무방하고, 원판을 상기 회전축(152)에 대하여 편심된 위치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회전축(152)의 회전에 따라 상기 편심캠(150)이 회전하게 되면, 상기 편심캠(150)의 외주면에 접촉하고 있는 상기 연결부재(140)는 직선운동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편심캠(150)과 접촉하는 연결부재(140)의 선단에는 구름접촉을 위한 롤러(142)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폄심캠(150)의 회전축(152)는, 하우징(100)의 외측면에 설치되어 있는 종동기어(160)와 연결되어 있다. 상기 종동기어(160)는 구동모터(180) 및 감속기(182)와 연결되는 구동기어(196)와 맞물려 있다.
따라서 상기 구동모터(180)에 전원이 인가되어 회전하게 되면, 그 회전력은 감속기(182)를 통하여 원하는 회전수로 감속된 후, 상기 구동기어(196)를 회전시키게 된다. 구동기어(196)는 종동기어(160)를 같이 회전시키게 되고, 종동기어(160)의 회전에 따라서 회전축(152)이 회전하게 된다.
상기 회전축(152)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편심캠(150)이 회전하게 된다. 상기 편심캠(150)이 회전하게 되면, 편심캠(150)의 외주면에 접촉하고 있는 연결부재(140)이 후방으로 밀리게 된다. 즉 상기 편심캠(150)의 회전운동은, 상기 연결부재(140)의 직선운동으로 변환되어, 연결부재(140)가 후방으로 밀려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 연결부재(140)의 직선운동은, 이동판(120)을 후방으로 밀게 되어 상기 고정판(110)에서 이격되어, 고정판과 이동판 사이의 로프를 자유상태로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 6을 같이 참조하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구동모터(180) 및 감속기(182)는 하나의 브라켓(192) 상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브라켓(192)는, 하우징(100)의 측벽(구동기어 및 종동기어가 설치되는 측벽)에 지지축(190)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브라켓(192)은 연결바아(184)를 통하여 솔레노이드(170)와 연결되어 있다. 상기 솔레노이드(170)은 하우징(100)에 고정되어 있고, 전원의 인가여부에 의하여 직선운동하는 솔레노이드의 플런저(172)의 하단부에는 상기 연결바아(184)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연결바아(184)는 플런저(172)의 동작에 의하여 상기 브라켓(192)을 지지축(190)을 중심으로 회동시키는 운동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브라켓(192)이 지지축(190)을 중심으로 회동하게 되면, 실질적으로 상기 브라켓(192)에 설치되어 있는 구동모터(180) 및 감속기(182), 그리고 구동기어(196)가 같이 움직이게 되는 것은 당연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상기 구동모터와 감속기는, 실질적으로 전자브레이크의 기능을 포함하지 않는 간단한 것을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보다 저렴한 제조단가로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감속기(182)는 내부에 감속을 위한 워엄기어를 내장하고 있는 것이고, 이러한 감속기 자체는 이미 공지된 것이어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워엄기어의 특성상, 높은 감속비를 가지면서, 동력전달방향의 역으로는 동력전달이 되지 않는다.
도 8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8에는 상술한 종동기어(160)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기구 부분만을 도시하고 있다. 상술한 실시예는, 감속기(182)의 내부에 워엄 및 워엄기어가 내장되어 있어서, 구동모터에서 감속기를 통하여 구동기어로는 동력의 전달이 가능하게 되고, 상기 구동기어에서 감속기로의 역방향 회전동력은 전달되지 않게 되는 것은 상술한 바와 같다.
그러나 상기 감속기(54)는 워엄기어를 내장하지 않은 일반적인 기어를 이용하여 감속을 수행하는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즉,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모터(280)와 감속기(282)가 연설되어 있고, 상기 감속기(282)의 출력축에는 구동기어(296)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기어(280)와 감속기(282)는 브라켓(292)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브라켓(292)는 상술한 실시예와 동일하게 하우징의 측벽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브라켓(292)의 하부에는 래치(R)가 축(Pa)에 의하여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래치(R)는 스프링(Sm)에 의하여 구동기어(296)에 걸리도록 구성되고 있다. 여기서 상기 래치(R)는, 구동기어의 치형의 일측에 탄성적으로 걸려져 있으며, 정방향(구동모터에 의한 회전동력을 구동기어에 전달하는 방향)으로는 회전이 가능하지만 그 역방향으로는 회전이 불가능하게 된다. 즉 상기 래치(R)는, 상기 구동기어(296)의 일부분에 걸리도록 설치되어, 상기 구동기어(296)를 일방향으로만 회전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다음에는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안전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엘리베이터의 정상 운행상태에서는, 상기 이동판(120)이 가동판(110)에 대하여 일정 간격 이격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이동판(120)과 가동판(110) 사이의 로프는 자유상태가 되어, 엘리베이터 본체의 승하강을 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엘리베이터의 정지 또는 비상정지 등과 같이, 엘리베이터의 로프를 제동시켜야 하는 상태가 발생하면, 상기 스프링(116)의 탄성력에 의하여, 이동판(120)이 고정판(110) 측에 밀착되어, 그 사이에서 로프를 제동하게 된다. 이렇게 로프가 제동된 상태에서는 엘리베이터는 운행하지 못하는 상태이다.
그리고 엘리베이터의 운행을 재개하기 위해서는, 상기 이동판(120)이 고정판(110)에 대하여 이격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상기 솔레노이드(170) 및 구동모터(180)에 전원이 인가된다. 따라서 상기 솔레노이드(170)의 플런저(172)는,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방(솔레노이드측)으로 당겨지게 된다. 상기 플런저(172)의 이동에 의하여, 도 7b를 기준으로 상기 브라켓(192)이 지지축(190)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감속기(182)의 출력축에 연결되어 있는 구동기어(196)는, 종동기어(160)와 맞물리게 된다. 그리고 구동모터(180)가 온상태로 되면서 구동하여 감속기(182)를 통하여 일정 비율로 감속된 상태로 회전력을 제공하게 되면, 상기 구동기어(196)는 그것과 맞물려 있는 종동기어(160)을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종동기어(160)의 회전은 회전축(152)를 회전시키게 되고, 상기 회전축(152)에 결합되어 있는 편심캠(150)이 회전하게 된다. 상기 편심캠(150)의 회전에 의하여, 그 외주면에 접촉하고 있는 연결부재(140)는 편심캠(150)에 의하여 후방으로 밀리게 된다. 이렇게 후방으로 밀리는 연결부재(140)의 힘은, 상기 스프링(116)의 탄성력을 이기고 상기 이동판(120)을 고정판(110)에서 이격시키게 된다.
이렇게 하여 상기 이동판(120)이 고정판(110)에서 이격되면, 그 사이의 로프는 정상적으로 승하강이 가능하게 되어, 정상적으로 엘리베이터가 운행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이동판(120)이 이격된 상태, 즉 엘리베이터의 정상운행 상태에 있어서는, 구동모터의 전원은 오프되지만, 솔레노이드(170)의 전원은 온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솔레노이드(170)의 온상태에 의하여, 구동기어(196)와 종동기어(160)은 계속 맞물려 있게 된다.
상기 구동기어(196)와 맞물려 있는 종동기어(160)는, 실질적으로 편심캠(150)을 회전시키는 회전축(152)과 연결되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엘리베이터의 정상운행상태에서는, 상기 회전축(152)이 회전하지 않아서, 편심캠((150)이 연결부재(142)를 지속적으로 밀고 있어야 한다. 즉 스프링(116)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회전축(152)이 회전하지 않아야 하는데, 상시 솔레노이드(170)을 온시켜두는 것에 의하여, 상기 구동기어(196)를 회전축(152)에 설치되는 종동기어(160)와 맞물린 상태로 유지하게 한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감속기(182)는 역방향으로의 동력전달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상기 구동기어(196)는 종동기어(160)와 맞물린 상태에서 회전하지 않게 된다.
또는 도 8에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래치(R)가 구동기어(296)에 걸려져 있어서, 역방향(구동기어에서 감속기방향)의 동력전달이 불가능하게 되어 있어서, 실질적으로 상기 종동기어(160)이 구동기어(296)를 회전시킬 수 없도록 구성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엘리베이터의 정상운행 중에, 비상상태가 발생하는 등의 이유로 엘리베이터를 정지시켜야 하는 경우에는, 상기 솔레노이드(170)에 전원을 오프시켜야 한다. 상기 솔레노이드(170)에 전원이 오프되면, 상기 플런저(172)는 실질적으로 구속력이 없는 자유상태가 된다.
이렇게 되면 상기 스프링(116)의 탄성력은, 연결부재(140) 및 편심캠(150)을 통하여 상기 종동기어(160)를 회전시키려는 회전력으로 작용하게 된다. 상기 스프링(116)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종동기어(160)가 회전하려고 하면, 상기 구동기어(196)는 구속력이 없는 자유상태이기 때문에, 양자의 압력각에 의하여 구동기어(1967)는 종동기어(160)에서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스프링(116)의 탄성력이 발휘되면서, 상기 이동판(120)이 고정판(110) 측으로 밀착되면서, 그 사이에서 로프를 제동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솔레노이드에 대한 전원의 온/오프에 의하여, 실질적으로 동력을 연결 또는 차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모터(180)는 이동판(120)을 이격시키는 경우에만 사용되기 때문에, 소용량의 저렴한 것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하게 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은 첨부한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의 것에 비하여 소용량의 모터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구동모터 및 감속기 부분에 별도의 전자브레이크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제조코스트이 저감이 가능하게 되는 장점이 기대된다.
도 1은 종래의 엘리베이터 로프 제동장치의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엘리베이터 로프 제동장치의 단면 예시도.
도 3은 종래의 다른 엘리베이터 로프 제동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안전장치의 예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안전장치의 예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구동장치의 요부 사시도.
도 7a는 본 발명의 안전장치의 구동상태 예시도.
도 7b는 본 발명의 안전장치의 구동상태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구동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하우징 110 ..... 고정판
120 ..... 이동판 140 ..... 연결부재
150 ..... 편심캠 152 ..... 회전축
170 ..... 솔레노이드 172 ..... 플런저
180 ..... 구동모터 182 ..... 감속기

Claims (3)

  1.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고정된 고정판, 그리고 스프링에 의하여 상기 고정판에 밀착되는 것에 의하여 그 사이에서 로프를 제동할 수 있는 이동판을 포함하는 엘리베이터의 안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동판을 고정판에 대하여 이격시키기 위하여, 상기 이동판에 연결된 연결부재와;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감속시키기 위한 워엄기어를 내장하는 감속기와;
    상기 구동모터 및 감속기가 설치되고, 지지축을 중심으로 하우징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브라켓과;
    상기 감속기의 출력축과 연결되어 회전하는 구동기어와;
    상기 구동기어와 선택적으로 맞물리고, 하우징의 일측에 설치되는 종동기어;
    상기 종동기어에 의하여 회전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설치되고, 상기 연결부재와 접촉하여 회전축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연결부재를 직선운동시켜 상기 이동판을 고정판에서 이격시키기 위한 편심캠;
    상기 브라켓을 회동시키는 플런저를 구비하는 솔레노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솔레노이드에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플런저에 의하여 브라켓이 회동하여 상기 구동기어가 종동기어에 맞물려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고, 솔레노이드에 전원이 오프되면 압력각에 의하여 구동기어는 종동기어에서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안전장치.
  2.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고정된 고정판, 그리고 스프링에 의하여 상기 고정판에 밀착되는 것에 의하여 그 사이에서 로프를 제동할 수 있는 이동판을 포함하는 엘리베이터의 안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동판을 고정판에 대하여 이격시키기 위하여, 상기 이동판에 연결된 연결부재와;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감속시키기 위한 감속기와;
    상기 구동모터 및 감속기가 설치되고, 지지축을 중심으로 하우징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브라켓과;
    상기 감속기의 출력축과 연결되어 회전하는 구동기어와;
    상기 구동기어와 선택적으로 맞물리고, 하우징의 일측에 설치되는 종동기어;
    상기 종동기어에 의하여 회전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설치되고, 상기 연결부재와 접촉하여 회전축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연결부재를 직선운동시켜 상기 이동판을 고정판에서 이격시키기 위한 편심캠;
    상기 브라켓을 회동시키는 플런저를 구비하는 솔레노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의 축(Pa)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구동기어의 일측에 걸려서 구동기어를 일방향으로만 회전 가능하도록 스프링(Sm)에 의하여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래치를 포함하고;
    상기 솔레노이드에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플런저에 의하여 브라켓이 회동하여 상기 구동기어가 종동기어에 맞물려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고, 구동기어의 역방향의 회전은 상기 래치에 의하여 규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안전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의 선단부에는 상기 편심캠과 구름접촉하는 롤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안전장치.
KR1020030064560A 2003-09-17 2003-09-17 엘리베이터용 안전장치 KR2005002817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4560A KR20050028178A (ko) 2003-09-17 2003-09-17 엘리베이터용 안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4560A KR20050028178A (ko) 2003-09-17 2003-09-17 엘리베이터용 안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8178A true KR20050028178A (ko) 2005-03-22

Family

ID=373851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4560A KR20050028178A (ko) 2003-09-17 2003-09-17 엘리베이터용 안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2817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540666A (ja) * 2010-08-17 2013-11-07 ベ、フグン ロープ制動装置
CN106241550A (zh) * 2016-09-27 2016-12-21 黄韩华 一种接触式电梯轿厢意外移动保护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540666A (ja) * 2010-08-17 2013-11-07 ベ、フグン ロープ制動装置
CN106241550A (zh) * 2016-09-27 2016-12-21 黄韩华 一种接触式电梯轿厢意外移动保护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782118B (zh) 电动盘式制动器
JP4864582B2 (ja) トルク自動切替装置
JP4378296B2 (ja) 車両用ドアの駆動装置
KR100623277B1 (ko) 육상 차량용 브레이크 장치
JP3898113B2 (ja) 駆動ユニット
KR101181073B1 (ko) 더블 클러치 변속기의 클러치 조작장치
KR20150068566A (ko)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KR100823138B1 (ko) 도어 스토퍼
US20090218181A1 (en) Servo motor brake device
KR20130037875A (ko) 전자식 파킹 브레이크
KR101271509B1 (ko) 전자 기계식 브레이크
CN105626722A (zh) 机器手臂的刹车装置
KR20150143935A (ko)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US20100122877A1 (en) Electric disc brake
JP4010940B2 (ja) 窓操作装置
JP2000344449A5 (ko)
KR102199659B1 (ko) 전자브레이크가 없는 무대장치용 리프트 구동장치
KR20050028178A (ko) 엘리베이터용 안전장치
CN115325052B (zh) 电子驻车制动器执行装置
JP4740087B2 (ja) 電動式竪型射出成形機
KR100417577B1 (ko) 리프팅 잭
KR100303267B1 (ko) 수문용 권양장치
KR20200094379A (ko) 전기기계식 브레이크용 엑츄에이터
KR101227045B1 (ko) 전동식 주차 브레이크 장치
CN213451564U (zh) 摩擦驱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