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27198A - 피가공물 정지부를 갖는 단추구멍 재봉기 - Google Patents

피가공물 정지부를 갖는 단추구멍 재봉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27198A
KR20050027198A KR1020040066214A KR20040066214A KR20050027198A KR 20050027198 A KR20050027198 A KR 20050027198A KR 1020040066214 A KR1020040066214 A KR 1020040066214A KR 20040066214 A KR20040066214 A KR 20040066214A KR 20050027198 A KR20050027198 A KR 200500271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wing machine
buttonhole
stop
support plate
buttonhole sew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62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52498B1 (ko
Inventor
헤인즈 프란싱
조첸 피스쉐르
Original Assignee
뒤르콥 아들러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뒤르콥 아들러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뒤르콥 아들러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0500271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71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24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2498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35/00Work-feeding or -handl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5B35/10Edge guides
    • D05B35/102Edge guide control systems with edge sensor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3/00Sewing apparatus or machines with mechanism for lateral movement of the needle or the work or both for making ornamental pattern seams, for sewing buttonholes, for reinforcing openings, or for fastening articles, e.g. buttons, by sewing
    • D05B3/06Sewing apparatus or machines with mechanism for lateral movement of the needle or the work or both for making ornamental pattern seams, for sewing buttonholes, for reinforcing openings, or for fastening articles, e.g. buttons, by sewing for sewing buttonho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가공물(44) 정지부(54)를 갖는 단추구멍 재봉기에 관한 것으로, 상기 단추구멍 재봉기는 재봉 니들(11)을 승강시키기 위한 구멍(18)을 갖는 피가공물(44)용 지지 플레이트(17)와, 상기 지지 플레이트(17)상의 피가공물(44)을 가압하는 클램프를 포함하며, 상기 정지부(54)는 지지 플레이트(17)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피가공물 위치결정 에지(68; 69, 70)를 가지며, 상기 정지부(54)는 수동 절단될 수 있는 재료(플라스틱, 보드)로 제조되고, 상기 위치결정 에지(68; 69, 70)는 절단 작업에 의해 제조되며, 상기 정지부(54)는 공구를 전혀 사용하지 않고 돌출 끼움부에 의해 소정 위치에서 지지 플레이트(17)에 결합될 수 있으며, 돌출 끼움부에 의한 결합은 재봉 레벨에서의 정지부(54)의 위치를 보장한다.

Description

피가공물 정지부를 갖는 단추구멍 재봉기{Buttonhole sewing machine with work-piece stop}
본 발명은 피가공물 정지부를 갖는 단추구멍 재봉기로서, 피가공물 지지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플레이트는 재봉 니들을 승강시키기 위한 구멍을 가지며, 상기 정지부는 수동 절단될 수 있는 재료로 제조되고 재봉기 상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정지부 상에는 지지 플레이트 상에 놓이는 피가공물을 정렬시키기 위한 위치결정 에지가 재봉 니들의 작업 범위 내에서 제공되는 단추구멍 재봉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단추구멍 재봉기는, "Durkopp 556 Teilliste und Naheinrichtungen"라는 타이틀의 인쇄된 공보, 임프린트 Wd500, 에디션 2/88, 제1467867호에 따라 보드로 제조된 정지부를 갖는 칼라 형판을 이용할 수 있는 DURKOPP, 클래스 556'형 재봉기 형태를 구할 수 있다. 이 경우, 정지부는 다수의 부품으로 이루어지는 지지 구조물의 일부인 플레이트상에 나사결합된다. 이 구조물은 단추구멍 재봉기에 타이트하게 결합된다. 부품의 개수는 단추구멍 재봉기의 비용의 상당한 증가를 초래한다.
다른 결점은 정지부가 지지 플레이트상에 나사결합되어야 한다는 것인 바, 이는 상대 위치를 정확히 재현하는 것이 고도의 정밀성과 상당한 주의를 요하는 것임을 의미한다. 다른 형상의 피가공물에 맞추어 정지부를 부착하거나 재조정하는 것은 시간 소모적이며, 이는 단추구멍 재봉기의 유용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준다. 결론적으로, 공지된 단추구멍 재봉기는 변형된 재봉 조건에 대해 단추구멍 재봉기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개조(retrofitting)할 것을 요구하는 유연성 측면에서의 요건을 충족하지 못하고 있다.
DE 286 280호에는 스케일 및 조정가능한 위치 정지 바아가 그 위에 구비된 피가공물 지지 플레이트 상에 바아가 장착되어 있는, 단추구멍 재봉기용의 조정가능한 각형 정지부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설계는 단추구멍 제조를 위해 피가공물이 놓여지는 정지부를 제공한다. 상기 각형 정지부에 의하여 피가공물에는 단추구멍이 각각의 피가공물의 외측 에지로부터 규칙적인 소정 거리에 형성되지만, 상이한 외측 치수의 피가공물에게 있어서는 정지부의 재조정이 불가피하다는 결점이 있다. 이러한 정지부의 재조정 또는 세팅 갱신은 시간 소모적이며, 잘못 조정될 위험을 안고 있다. 따라서, 각형 정지부는 더 이상 단추구멍 재봉기에 대한 오늘날의 요구, 즉 피가공물에서의 윤곽 및 위치가 자주 바뀌는 단추구멍을 제조하기 위한 요구를 충족하지 못하고 있다.
GB 787 752 A는 재봉기 위에서의 피가공물의 임의의 위치결정을 용이하게 하는, 단추구멍 재봉기 또는 단추 재봉기에 사용하기 위한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각형 정지부의 결점은 이 장치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제조될 단추구멍의 위치와 피가공물의 다양한 형상에 대한 개조가 보다 유연해지도록 공지의 피가공물 정지부 단추구멍 재봉기를 개량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목적은, 정지부가 일체의 공구 사용 없이 지지 플레이트에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정지부는 돌출 끼움 결합부에 의해 지지 플레이트 상에 위치될 수 있고, 리세스에 삽입되기 위한 돌출부를 갖는 돌출 끼움 결합부에 의해 피가공물 지지 플레이트 상에서 정확히 재현가능한 위치를 차지함으로써 달성된다. 본 발명의 특별한 장점은 고객이 단추구멍 재봉기를 특정한 재봉 작업에 맞게 즉시 개조할 수 있다는 것이다. 단추구멍 재봉기를 다양한 재봉 조건에 맞게 조정하기 위한 비용 및 개조에 의해 초래되는 일체의 기계 정지가 현저히 감소된다. 본 발명의 다른 장점은, 정지부가 피가공물 지지 플레이트상의 정확한 재현가능한 위치에 배치됨으로써 단추구멍 재봉기가 다양한 재봉 조건에 맞게 개조된다는 것이다. 조정 에러가 배제됨으로써 일정한 품질의 제조가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단추구멍 재봉기는 재봉 조건이 자주 변화되는 상태에서 작은 여러 크기의 피가공물에 단추구멍을 제조하기 위한 융통성 있는 수단이다.
단추구멍 재봉기의 바람직한 추가 발전은 하기의 특징들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상기 돌출 끼움 결합부는 적어도 두 개의 원통형 리세스와 그 안에 위치될 수 있는 두 개의 핀을 포함하고; 상기 핀은, 단추구멍의 종축에 대해 직각으로 상기 종축으로부터 등거리로 연장되는 연결선 상에 배치되며; 상기 핀은 상기 지지 플레이트 상에 형성되고 상기 리세스는 정지부 상에 형성되며; 상기 정지부는 원통형 리세스를 포함하는 블랭크로 제조된다. 정지부가 제1 사용 위치 및 제2 사용 위치에서 단추구멍 재봉기의 지지 플레이트에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사용 위치는 제조될 단추구멍의 종축 주위로 회전되는 정지부의 위치들에 대응하는, 추가적인 발전에 의하면, 거울상 위치에 단추 구멍을 제조하기 위한 단추구멍 재봉기의 개조가 두 군데의 사용 위치에 사용되는 하나의 동일한 정지 형판에 의해 이루어진다는 장점이 제공된다.
상기 정지부가 단추구멍 재봉기의 전기 제어 시스템에 연결되는 센서에 의해 검출될 수 있는 표식(marking)을 가지며, 상기 제어 시스템은 다수의 재봉 프로그램 중에서 정지부에 할당되는 재봉 프로그램이 할당되면 재봉기의 작동을 개시하는 회로를 포함하는, 단추구멍 재봉기의 추가적인 발전에 의하면, 특정한 재봉 작업을 위해 제공되는 정지부에 재봉 조건에 따라 정해진 형상 및 크기의 단추구멍을 할당하는 것이 자동으로 이루어지고, 일체의 작동 에러가 배제되며, 한층 높은 기계 융통성이 얻어진다. 상기 표식에 바코드가 포함되는 추가적인 발전에 의하면 경제적인 효과의 설계가 유도된다. 센서에 의해 검출될 수 있고 기준선으로부터의 그 거리가 정지부를 식별하는 파라미터를 나타내는 에지가 상기 표식에 포함되는 실시예는 특정 정지부에 대해 특정 재봉 프로그램을 자동으로 할당한다.
본 발명의 다른 장점, 특징 및 세부사항들은 첨부도면을 참조로 한 예시적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실시예
단추구멍 재봉기(1)는 베이스 플레이트(2)를 구비하며, 이 베이스 플레이트에는, 직립 지주(3), 및 헤드(5)에서 종료되는 엘보우형 아암(4)이 포함된다. 상기 아암(4)에는 아암 샤프트(6)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이 아암 샤프트는 상기 지주의 측부상의 단부에서 수동 핸들(7)에 연결된다. 상기 수동 핸들(7)은 벨트 드라이브(8)에 의해서, 상기 아암(4) 내부에 배치되는 구동 모터(9)에 연결된다.
상기 헤드(5)의 내부에서, 아암 샤프트(6)의 자유 단부는 니들 바아(10)를 조작하기 위해 공지된 방식으로 크랭크 드라이브(도시되지 않음)에 결합되며, 상기 니들 바아(10)는 베이스 플레이트(2)를 향하고 있는 단부에 재봉 니들(11)을 갖는다. 상기 니들 바아(10)는 헤드(5) 내부에서, 드라이브를 구비하는 지그재그-스티치 베어링(12)에 설치되는 바, 이는 도 2에 도시된 레벨에서 재봉 니들(11)에 측방향 조그 이동(jogging) 및 지그재그 이동을 생성하도록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크랭크 드라이브에는 실 레버(13)가 연결되어 조작되며, 그 자유 단부(14)는 헤드(5)내의 구멍(15)을 통해서 돌출된다. 도 1에 따르면, 단추구멍 커터(16)가 니들 바아(10)의 옆에 배치되며, 베이스 플레이트(2)를 향하고 있는 헤드(5) 단부로부터 돌출하고 있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 상에는 지지 플레이트(17)가 장착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재봉 니들(11)이 통과하기 위한 타원형 스티치 구멍(18)을 가지며, 이 구멍(18)의 형상은 제조될 지그재그 스티치에 맞게 되어 있다. 상기 지지 플레이트(17)의 아래에는 후크(19)가 배치되며, 이 후크는 2-실 로크 스티치의 제조를 위해 재봉 니들(11)과 협력한다.
지주(3) 내부에는 직선형 가이드(20)가 제공되며, 이 가이드 상에는 도 1에 도시된 레벨에서 변위되는 슬라이딩 베어링(21)이 장착된다. 상기 슬라이딩 베어링(21)은 타이밍-벨트 드라이브(23)의 일부로서 연속 타이밍 벨트의 상부 지주에 타이트하게 결합되는 부속물(22)을 포함한다. 상기 드라이브(23)는 고정 타이밍-벨트 풀리(24)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내에 배치되는 구동 모터(26)의 샤프트 상에 장착되는 타이밍-벨트 풀리(25)를 포함한다. 상기 슬라이딩 베어링(21)상에는 베어링(27)이 형성되고, 이 베어링(27)상에는 2-아암형 레버(28)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슬라이딩 베어링(21)상에는, 레버(28)의 아암에 관절연결되는 드라이브(도면부호 병기되지 않음)가 형성된다. 상기 드라이브는 2-아암형 레버(28)가 베어링(27)의 지지점 주위로 피봇하도록 구체화된다. 상기 레버(28)의 자유 아암(29)은 니들 바아(10)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도 1, 도 7), 그곳에서는 클램프(30)를 형성하는 엘보우형 부분에서 종료된다. 상기 클램프(30)는 재봉 니들(11)의 접근을 위한 장방형 리세스(31)를 갖는다. 상기 2-아암형 레버(28)를 특정하게 조작하면 클램프(30)가 베어링 플레이트(17)에 대해 가압되거나 그로부터 대략 10 mm의 길이만큼 들어올려진다.
상기 아암(4)상에는 패널(32)이 장착되며, 이 패널에는 키보드(33)와 디지털 디스플레이(34)가 구비된다. 상기 패널(32)은 전기선(35)을 통해서 전자 제어 시스템(36)에 연결되며, 상기 전자 제어 시스템은 마이크로프로세서(37)와, 입-출력 회로(38), 전원 공급부(39), 및 프로그램 메모리(40)를 포함한다.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40)에는, 피가공물(44)에 치수 f 및 g와 같은 다양한 파라미터의 단추구멍과, 다양한 개수의 스티치를 만들도록 작동될 수 있는 다수의 재봉 프로그램(41, 42, 43)이 저장되어 있다.
전원 공급부(39)를 통해서, 상기 제어 시스템(36)은 공지된 방식으로 다양한 드라이브 및 위치결정 부재에 연결된다. 기술된 것에 관한 한, 단추구멍 재봉기(1)는 다양한 제조업자에 의해 공지되어 있고 시판되고 있다.
상기 아암(29)상에는 센서(45)가 장착되며, 이 센서는 제어 시스템(36)에 연결된다. 상기 베어링 플레이트(17)에는 두 개의 핀(47, 48)이 고정되며, 이들 핀(47, 48)을 연결선(49)이 통과하고 있다(도 3). 상기 핀은 스티치 구멍(18)으로부터 지주(3) 방향으로 거리 h 만큼 이격되어 위치한다. 상기 연결선(49)은 스티치 구멍(18)의 중심을 지나는 선(50)에 대해 직각으로 연장된다. 상기 핀(47, 48)은 선(50)으로부터 동일한 거리 b에서 배치된다. 상기 선(50)은 제조될 단추구멍(52)의 종축(51)과 일치하고 있다(도 8).
도 4는 예를 들면 대략 3 mm 두께 d의 보드와 같은 수동으로 절단될 재료로 제조되고 정지 형판(54)(도 3)의 제조를 목적으로 하는, 블랭크(53)로서 지칭되는 반제품을 도시한다. 상기 정지 형판(54)의 절단 에지는 후술될 피가공물(44) 위치결정 에지를 갖는 정지부를 구성한다. 하기에서, 형판(54)이라는 용어는 정지 형판(54)을 지칭한다.
상기 블랭크(53)는 실질적으로 장방형으로 패터닝되며, 직각으로 교차하는 보조선(55, 56)이 개략적으로 아웃라인 도시되어 있는 바, 이들 보조선은 사실상 블랭크(53)상에 존재하지 않고 하기 기재에서만 의미가 있다. 블랭크(53)는 두 원통형 리세스(57, 58)를 갖는 바, 이들 리세스는 보조선(56)으로부터 거리 b에 있는 보조선(55)상에 위치한다. 또한, 상기 블랭크(53)는 보조선(56)에 대해 대칭을 이루고 꼭지점 r, s, t, u에 의해 한정되는 창문 형태의 통로(59)를 갖는다. 상기 통로(59)의 폭, 즉 보조선(55) 방향으로의 길이는 클램프(30)가 대략 1 mm의 유격으로 끼워지도록 치수를 갖는다. 또한, 상기 통로(59)는 V자 형태의 절개부(60)를 갖는 바, 이 절개부의 레그는 정점 61을 갖는다. 최종적으로, 상기 리세스(57) 근방에는, 가시적 선에 의해 한정되는 장방형 필드(62)가 배치된다. 이는 블랭크(53)의 도 4에 나타난 측부(63)상에 존재하며, 반면에 블랭크의 후방 측부(64)는 리세스(58) 근방에, 상기 필드(62)에 대응하는 필드(65)를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블랭크(53)를 형판(54)으로 전환되도록 처리하는 과정에 대해 기술한다.
상기 형판(54)은 정밀하게 한정되는 피가공물용으로 준비되며, 피가공물의 샘플은 단추구멍이 형성된 상태로 입수되어야 한다. 하기의 기재는 도 9에 도시된 셔츠 칼라 형태의 피가공물(44)을 사용하고 있으며, 이 피가공물에는 소정의 파라미터(스티치의 치수, 개수 등)와 정확한 위치를 갖는 좌측 단추구멍(52a)이 형성되어 있다.
먼저, 대략 1 mm 두께의 라운드형 공구, 예를 들면 재봉 니들이 단추구멍 절개부(67)의 출발점(66)에 배치되고, 이후 피가공물(44)은 상기 공구와 함께, 상기 공구가 V형 절개부(60)의 정점(61)에 밀접하도록 블랭크(53)상에 배치된다. 이후 공구에 대한 피가공물(44)의 회전 위치가 소정 위치로 조정된다. 이후 피가공물(44)의 외형이 첨필(尖筆;stylus)(연필이나 볼펜)에 의해 블랭크(53)상에 카피된다. 이후 상기 피가공물(44)에 의해 커버된 영역이 예를 들면 가위를 사용하여 수동으로 절단되며, 따라서 블랭크(53)에는 이제 위치결정 에지(68)가 제공된다. 절단 작업에서, 지점 v, x 및 w, y에 의해 한정되는 블랭크(53) 부분은 폐기된다. 이제 블랭크(53)에는, 부분적인 위치결정 에지(69, 70)를 포함하는 피가공물(44) 위치결정 에지(68)가 제공된다. 그 결과, 크기 절단된 블랭크(53)는 피가공물(44)과 매치되는 형판(54)을 구성하며, 위치결정 에지(68)는 피가공물(44)의 외형과 일치한다.
이후 형판(54)에는 표식(71)이 제공된다. 이를 위해, 알루미늄 필름의 스트립(72)이 필드(62)상에 접착되며, 상기 스트립(72)은 에지(73)를 갖는다. 상기 에지(73)는 보조선(55)으로부터 거리 a에 위치하며, 이 거리 a는 상기 형판(54)의 표식(71)을 나타낸다. 따라서, 상이한 형판들은 상이한 길이의 거리 a를 가져야 한다.
돌출 끼움부(74)에 의해 결합되는 핀(47, 48)과 리세스(57, 58)가 선(50)에 대해 대칭을 이루고 있으므로, 형판(54)은 도 3에 도시된 제1 사용 위치(G1)와, 형판(54)이 선(50)에 대해 180°회전된 제2 사용 위치(G2)에서 지지 플레이트(17)에 배치될 수 있다. 그 결과, 피가공물(44)에 단추구멍(52b)을 형성하기 위해 하나의 동일 형판(54)이 사용될 수 있다.
전술했듯이, 제1 사용 위치(G1)에는 표식(71)이 할당된다. 동일한 방식으로, 제2 사용 위치(G2)에서는, 스트립(72)에 대응하는 필드(65)에 스트립(72a)이 접착되어 마찬가지로 표식(71)을 구현한다. 형판(54)의 사용에 의해 상이한 단추구멍들이 제1 또는 제2 사용 위치(G1, G2)에 형성되어야 할 때, 위치 G1, G2에 상이한 표식을 할당하는 것도 마찬가지로 고려해 볼 수 있다.
단추구멍 재봉기(1)의 작동 방식은 다음과 같다:
일단 전류가 스위치온 되고 압축 공기가 임의의 기존 공압식 위치결정 부재용으로 이용될 수 있게 되면, 단추구멍 재봉기(1)는 이하의 작동을 위한 정지 대기 상태에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 재봉 니들(11)이 지지 플레이트(17)의 위에 이격 배치된다;
- 클램프(30)가 지지 플레이트(17)로부터 이격된 상승 위치에 있게 된다;
- 형판(54)이나 피가공물(44) 어느 것도 지지 플레이트(17)상에 배치된다;
- 클램프(30)가, 지주(3)에 가까운 최종 위치인 기본 위치로 이동된다.
조작자는 우선 형판(54)을 측부(63)가 보일 수 있도록 지지 플레이트(17)상의 제1 사용 위치(G1)에 배치한다. 핀(47, 48)상에 리세스(57, 58)가 배치됨으로써 정렬된 후에, 상기 형판(54)은, 돌출 끼움 결합부(74)에 의해, 재봉 니들(11)에 대해 정해진 위치를 차지한다. 이후, 상기 피가공물(44)은 단추구멍(52a) 재봉을 위해 삽입되며, 상기 피가공물(44)은 부분적 위치결정 에지(69, 70)에 대해 배치되어 정확히 정렬된다.
조작자의 명령 후에, 제어 시스템(36)은 우선 클램프(30)를 피가공물(44)상으로 하강시키고, 이후 클램프(30)를, 이 클램프가 피가공물(44)을 지지 플레이트(17)에 대해 가압하는 동안, 지주(3)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정지 상태의 재봉 니들(11)에 의해 트리거(trigger)되는 구동 모터(26)에 의해 이루어지는 상기 운동 중에, 펄스들은 선(75)을 통해서 제어 시스템(36)으로 전해지며, 구동 모터(26)와 결합되는 모멘텀 전송기(76)에 의해 방출된다. 또한, 펄스는 센서(45)가 표식(71)의 에지(73)를 감지하자마자 선(46)을 통해서 제어 시스템(36)에 제공된다.
모멘텀 전송기(76)에 의해 방출되어 추가된 펄스, 및 에지(73) 검출시 센서(45)에 의해 방출되는 펄스와, 재봉 니들(11)과 연결선(49) 사이의 거리 h의 저장된 정보가 입수되면, 마이크로프로세서는 거리 a의 연산을 진행한다.
클램프(30)가 모멘텀 전송기에 의한 회전 위치의 피드백 없이 스테퍼 모터 형태의 구동 모터(26)에 의해 작동되면, 제어 시스템(36)에 의해 스테퍼 모터로 전송되는 펄스들은 거리 a의 결정을 위한 기초로서 작용한다.
결정된 거리 a는 마이크로프로세서(37)에 제공된 평가 회로(77)로 보내진다. 이 평가 회로(77)는 저장된 재봉 프로그램들(41, 42)중에서 표식(71)에 할당된 재봉 프로그램을 작동시킨다.
센서(45)에 의해 신호가 방출되면, 제어 시스템(36)은 클램프(30)를 그 기초 위치로 복귀시킨다. 이후, 피가공물(44)에 단추구멍(52a)이 형성된다.
특정한 순서의 작동에 있어서, 사용되는 형판(54)에 대한 재봉 프로그램의 할당은 재봉기 조작자의 일체의 협력이 없이 자동으로 이루어진다.
특정 형판에 대한 특정 재봉 프로그램의 할당은, 제어 시스템(36)에 연결되어 표식(71)상의 바코드(79)를 읽어들이는 스캐너(78)에 의해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조될 단추구멍의 위치와 피가공물의 다양한 형상에 대한 개조가 보다 유연해질 수 있다. 즉, 고객이 단추구멍 재봉기를 특정한 재봉 작업에 맞게 즉시 개조할 수 있으며, 따라서 단추구멍 재봉기를 다양한 재봉 조건에 맞게 조정하기 위한 비용 및 개조에 의해 초래되는 일체의 기계 정지가 현저히 감소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정지부가 피가공물 지지 플레이트상의 정확한 재현가능한 위치에 배치됨으로써 단추구멍 재봉기가 다양한 재봉 조건에 맞게 개조되는 바, 조정 에러가 배제됨으로써 일정한 품질의 제조가 달성된다.
또한, 특정한 재봉 작업을 위해 제공되는 정지부에 재봉 조건에 따라 정해진 형상 및 크기의 단추구멍을 할당하는 것이 자동으로 이루어지고, 일체의 작동 에러가 배제되며, 한층 높은 기계 융통성이 얻어진다. 또한, 표식에 바코드가 포함됨으로써 경제적인 효과의 설계가 유도된다.
도 1은 단추구멍 재봉기의 정면도.
도 2는 도 1의 화살표 Ⅱ에 따른 단추구멍 재봉기의 측면도.
도 3은 도 2의 Ⅲ-Ⅲ 선상에서 취한 재봉기의 스티치-형성 영역의 확대 평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형판의 도시도.
도 5는 도 4의 화살표 V에 따른 상기 형판의 측면도.
도 6은 도 3의 Ⅵ-Ⅵ선상에서 취한 확대 단면도.
도 7은 전자 제어 시스템을 포함하는 단추구멍 재봉기의 개략도.
도 8은 재봉된 단추구멍을 갖는 피가공물의 확대 평면도.
도 9는 단추구멍이 형성된 셔츠 칼라의 도시도.
도 10은 바코드를 갖는 정지 형판의 일부의 확대 도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단추구멍 재봉기 2: 베이스 플레이트
3: 지주 4: 아암
5: 헤드 6: 아암 샤프트
8: 벨트 드라이브 9: 구동 모터
10: 니들 바아 11: 재봉 니들
13: 나사 레버 16: 단추구멍 커터
21: 슬라이딩 베어링 23: 타이밍-벨트 드라이브
30: 클램프 31: 리세스
36: 전자 제어 시스템 37: 마이크로프로세서
40: 프로그램 메모리 44: 피가공물
47, 48: 핀 53: 블랭크
54: 형판 57, 58: 리세스
71: 표식 74: 돌출 끼움부

Claims (9)

  1. 피가공물(44) 정지부(54)를 갖는 단추구멍 재봉기로서,
    (a) 피가공물(44) 지지 플레이트(17)를 포함하고,
    (b) 상기 지지 플레이트(17)는 재봉 니들(11)을 승강시키기 위한 구멍(18)을 가지며,
    (c) 상기 정지부(54)는 수동 절단될 수 있는 재료로 제조되고 재봉기(1)상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며,
    (d) 상기 정지부 상에는 지지 플레이트(17)상에 놓이는 피가공물(44)을 정렬시키기 위한 위치결정 에지(68)가 재봉 니들(11)의 작업 범위 내에서 제공되고,
    (e) 상기 정지부(54)는 공구를 전혀 사용하지 않고 상기 지지 플레이트(17)에 결합될 수 있으며,
    (f) 상기 정지부(54)는 돌출 끼움 결합부(74)에 의해 지지 플레이트(17) 상에 위치될 수 있고, 리세스(57, 58)에 삽입되기 위한 돌출부(47, 48)를 갖는 돌출 끼움 결합부(74)에 의해 피가공물(44) 지지 플레이트(17)상에서 정확히 재현가능한 위치를 차지하는, 단추구멍 재봉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 끼움 결합부(74)는 적어도 두 개의 원통형 리세스(57, 58)와 그 안에 위치될 수 있는 두 개의 핀(47, 48)을 포함하는 단추구멍 재봉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핀(47, 48)은, 단추구멍(52)의 종축(51)에 대해 직각으로 상기 종축으로부터 등거리(b)로 연장되는 연결선(49)상에 배치되는 단추구멍 재봉기.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핀(47, 48)은 상기 지지 플레이트(17)상에 형성되고, 상기 리세스(57, 58)는 정지부(54)상에 형성되는 단추구멍 재봉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부(54)는 원통형 리세스(57, 58)를 포함하는 블랭크(53)로 제조되는 단추구멍 재봉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부(54)는 제1 사용 위치(G1) 및 제2 사용 위치(G2)에서 단추구멍 재봉기(1)의 지지 플레이트(17)에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사용 위치(G1, G2)는 제조될 단추구멍(52)의 종축(51) 주위로 회전되는 정지부(54)의 위치에 대응하는 단추구멍 재봉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부(54)는 단추구멍 재봉기(1)의 전자 제어 시스템(36)에 연결되는 센서(45, 78)에 의해 검출될 수 있는 표식(71)을 가지며, 상기 제어 시스템(36)은 다수의 재봉 프로그램(41, 42, 43)중에서 정지부(54)에 할당되는 재봉 프로그램이 할당되면 재봉기(1)의 작동을 개시하는 회로(77)를 포함하는 단추구멍 재봉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표식(71)은 바코드(79)를 포함하는 단추구멍 재봉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표식(71)은, 센서(45)에 의해 검출될 수 있으며 기준선(55)으로부터의 그 거리(a)가 정지부(54)를 식별하는 파라미터를 나타내는 에지(73)를 포함하는 단추구멍 재봉기.
KR1020040066214A 2003-09-13 2004-08-23 피가공물 정지부를 갖는 단추구멍 재봉기 KR1011524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342433.4 2003-09-13
DE10342433A DE10342433B4 (de) 2003-09-13 2003-09-13 Knopfloch-Nähmaschine mit einem Anschlag für ein Nähguttei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7198A true KR20050027198A (ko) 2005-03-18
KR101152498B1 KR101152498B1 (ko) 2012-06-01

Family

ID=343057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6214A KR101152498B1 (ko) 2003-09-13 2004-08-23 피가공물 정지부를 갖는 단추구멍 재봉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05087732A (ko)
KR (1) KR101152498B1 (ko)
CN (1) CN1594703B (ko)
DE (1) DE10342433B4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51868A (zh) * 2017-07-06 2017-09-12 邬利生 一种可自动识别字符方向的钮扣夹头及输送的控制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77228A (zh) * 2012-10-18 2013-01-16 江苏博峰体育用品有限公司 一种衣袖车缝模板
CN103173945A (zh) * 2013-03-13 2013-06-26 吕国彬 缝纫用磁铁定规
CN113882091B (zh) * 2021-10-12 2023-07-21 泉州职业技术大学 一种缝料固定夹具及制作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86280C (ko) *
GB787752A (en) * 1955-03-02 1957-12-18 Mervyn Temple Improved means for indicating the positions of buttons and/or button holes
JPS4115943Y1 (ko) * 1964-09-09 1966-07-25
GB1365350A (en) * 1970-12-24 1974-09-04 Brother Ind Ltd Sewing machine with work piece feeding device
US4022139A (en) * 1975-10-28 1977-05-10 Blue Bell, Inc. Tacker guide and method
DE2935763C2 (de) * 1979-09-05 1981-11-26 Eisele Apparate- und Gerätebau GmbH, 7070 Schwäbisch Gmünd Vorrichtung zum Herstellen von aus Stichgruppen bestehenden Nahtbildern
DE3000831C2 (de) * 1980-01-11 1982-11-18 Kochs Adler Ag, 4800 Bielefeld Nähautomat zur Erzeugung einer eine Befestigungsnaht und Verriegelungsstiche aufweisenden Naht
JPS6440387U (ko) * 1987-08-31 1989-03-10
DE10216808C2 (de) * 2001-12-21 2003-11-13 Duerkopp Adler Ag CNC-gesteuerte Knopfloch-Nähmaschine
EP1321555B1 (de) * 2001-12-21 2006-03-29 Dürkopp Adler Aktiengesellschaft CNC-gesteuerte Knopfloch-Nähmaschine
DE10206477C1 (de) * 2002-02-16 2003-05-08 Duerkopp Adler Ag Vorrichtung zum Nähen von aus Stichgruppen bestehenden Nahtbilder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51868A (zh) * 2017-07-06 2017-09-12 邬利生 一种可自动识别字符方向的钮扣夹头及输送的控制方法
CN107151868B (zh) * 2017-07-06 2024-02-09 上海鸠兹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可自动识别字符方向的钮扣夹头及输送的控制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594703A (zh) 2005-03-16
CN1594703B (zh) 2010-08-25
JP2005087732A (ja) 2005-04-07
KR101152498B1 (ko) 2012-06-01
DE10342433A1 (de) 2005-04-14
DE10342433B4 (de) 2005-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37945A (en) Sewing data modifying apparatus
US649951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sewn goods
US4312283A (en) Automatic sewing machine having control circuit receiving a signal measuring adjustment of work receiving means
KR101152498B1 (ko) 피가공물 정지부를 갖는 단추구멍 재봉기
CN101063256B (zh) 缝制装置
JP5013780B2 (ja) 玉縁縫いミシン
US5280759A (en) Automatic sewing device
JP5059435B2 (ja) 玉縁縫いミシン
JP2010017846A (ja) 工作機械を校正する装置
US5119745A (en) Sewing machine accessory for circular sewing
US4418629A (en) Device for making darts on cut parts of garments
JP2000079596A (ja) 畳縁りの自動縫着装置及び畳縁りと畳床の自動縫着裁断装置
JP2009207734A (ja) ミシンのマーキング照射装置
KR200407032Y1 (ko) 다양한 스팡글테이프 호환가능한 스팡글 공급장치
JP2007098005A (ja) 玉縁縫いミシン
US20100212562A1 (en) Workpiece processing attachment and sewing machine
JP2602977B2 (ja) 縫製装置のワーク供給装置
JPH071114Y2 (ja) 自動ミシン
US6684797B2 (en) CNC controlled buttonhole sewing machine
CN217809934U (zh) 缝纫机和用于缝纫机的改装套件
JP3672187B2 (ja) 畳縫着装置
JP2696065B2 (ja) 和服用縫製カセットとその縫製方法
JPS61213089A (ja) 布地保持器の運動を制御する装置を有するミシン
JP6706019B2 (ja) 畳床裁断装置
CN215551815U (zh) 一种准备标识印刷位置的移印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J501 Disposition of invalidation of tri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