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26085A - 이중 모드 동조 장치 - Google Patents

이중 모드 동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26085A
KR20050026085A KR1020057001776A KR20057001776A KR20050026085A KR 20050026085 A KR20050026085 A KR 20050026085A KR 1020057001776 A KR1020057001776 A KR 1020057001776A KR 20057001776 A KR20057001776 A KR 20057001776A KR 20050026085 A KR20050026085 A KR 200500260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unction
tuning
mode
dual mode
parall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17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알란 친 렁 예오
쿠이 용 림
Original Assignee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filed Critical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ublication of KR200500260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6085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BGENERATION OF OSCILLATIONS, DIRECTLY OR BY FREQUENCY-CHANGING, BY CIRCUITS EMPLOYING ACTIVE ELEMENTS WHICH OPERATE IN A NON-SWITCHING MANNER; GENERATION OF NOISE BY SUCH CIRCUITS
    • H03B5/00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 H03B5/08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with frequency-determining element comprising lumped inductance and capacitance
    • H03B5/12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with frequency-determining element comprising lumped inductance and capacitance active element in amplifier being semiconductor device
    • H03B5/1237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with frequency-determining element comprising lumped inductance and capacitance active element in amplifier being semiconductor device comprising means for varying the frequency of the generator
    • H03B5/1262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with frequency-determining element comprising lumped inductance and capacitance active element in amplifier being semiconductor device comprising means for varying the frequency of the generator the means comprising switched elements
    • H03B5/1268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with frequency-determining element comprising lumped inductance and capacitance active element in amplifier being semiconductor device comprising means for varying the frequency of the generator the means comprising switched elements switched inducto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BGENERATION OF OSCILLATIONS, DIRECTLY OR BY FREQUENCY-CHANGING, BY CIRCUITS EMPLOYING ACTIVE ELEMENTS WHICH OPERATE IN A NON-SWITCHING MANNER; GENERATION OF NOISE BY SUCH CIRCUITS
    • H03B5/00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 H03B5/08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with frequency-determining element comprising lumped inductance and capacitance
    • H03B5/12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with frequency-determining element comprising lumped inductance and capacitance active element in amplifier being semiconductor device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BGENERATION OF OSCILLATIONS, DIRECTLY OR BY FREQUENCY-CHANGING, BY CIRCUITS EMPLOYING ACTIVE ELEMENTS WHICH OPERATE IN A NON-SWITCHING MANNER; GENERATION OF NOISE BY SUCH CIRCUITS
    • H03B5/00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 H03B5/08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with frequency-determining element comprising lumped inductance and capacitance
    • H03B5/12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with frequency-determining element comprising lumped inductance and capacitance active element in amplifier being semiconductor device
    • H03B5/1206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with frequency-determining element comprising lumped inductance and capacitance active element in amplifier being semiconductor device using multiple transistors for amplification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BGENERATION OF OSCILLATIONS, DIRECTLY OR BY FREQUENCY-CHANGING, BY CIRCUITS EMPLOYING ACTIVE ELEMENTS WHICH OPERATE IN A NON-SWITCHING MANNER; GENERATION OF NOISE BY SUCH CIRCUITS
    • H03B5/00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 H03B5/08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with frequency-determining element comprising lumped inductance and capacitance
    • H03B5/12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with frequency-determining element comprising lumped inductance and capacitance active element in amplifier being semiconductor device
    • H03B5/1237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with frequency-determining element comprising lumped inductance and capacitance active element in amplifier being semiconductor device comprising means for varying the frequency of the generator
    • H03B5/124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with frequency-determining element comprising lumped inductance and capacitance active element in amplifier being semiconductor device comprising means for varying the frequency of the generator the means comprising a voltage dependent capacitance
    • H03B5/1243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with frequency-determining element comprising lumped inductance and capacitance active element in amplifier being semiconductor device comprising means for varying the frequency of the generator the means comprising a voltage dependent capacitance the means comprising voltage variable capacitance diod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JTUNING RESONANT CIRCUITS; SELECTING RESONANT CIRCUITS
    • H03J5/00Discontinuous tuning; Selecting predetermined frequencies; Selecting frequency bands with or without continuous tuning in one or more of the bands, e.g. push-button tuning, turret tuner
    • H03J5/24Discontinuous tuning; Selecting predetermined frequencies; Selecting frequency bands with or without continuous tuning in one or more of the bands, e.g. push-button tuning, turret tuner with a number of separate pretuned tuning circuits or separate tuning elements selectively brought into circuit, e.g. for waveband selection or for television channel selection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BGENERATION OF OSCILLATIONS, DIRECTLY OR BY FREQUENCY-CHANGING, BY CIRCUITS EMPLOYING ACTIVE ELEMENTS WHICH OPERATE IN A NON-SWITCHING MANNER; GENERATION OF NOISE BY SUCH CIRCUITS
    • H03B2201/00Aspects of oscillators relating to varying the frequency of the oscillations
    • H03B2201/02Varying the frequency of the oscillations by electronic means
    • H03B2201/025Varying the frequency of the oscillations by electronic means the means being an electronic switch for switching in or out oscillator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nductance-Capacitance Distribution Constants And Capacitance-Resistance Oscillators (AREA)
  • Superheterodyne Receivers (AREA)
  • Channel Selection Circuits, Automatic Tuning Circuits (AREA)
  • Piezo-Electric Or Mechanical Vibrators, Or Delay Or Filter Circuits (AREA)
  • Microwave Amplifiers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 Input Circuits Of Receivers And Coupling Of Receivers And Audio Equipment (AREA)
  • Television Receiver Circuits (AREA)

Abstract

TV와 FM 신호 모두에 관한 동조 장치용 국부 발진기에 있어서, 기생 발진의 실질적인 위험이 존재한다. 이러한 위험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기 위한 특별한 설비가 개시된다. 특별한 설비란 접지와 국부 발진기의 병렬 LC 공진기의 접합부(J2) 사이의 기생 발진을 억제하기 위한 감쇠 저항의 연결을 말한다.

Description

이중 모드 동조 장치{DUAL MODE TUNING ARRANGEMENT}
본 발명은 VHF 텔레비전 신호와 FM 라디오 신호에 동조하기 위한 이중 모드 동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장치는 제 1 및 제 2 인덕턴스의 제 1 직렬 장치와, 가변 정전 용량 다이오드와 제 1 패딩 콘덴서의 제 2 직렬 장치, 상기 제 1 및 제 2 직렬 장치는 병렬 장치를 구성하기 위해 제 1 및 제 2 접합부에서 상호 연결되며, 상기 병렬 장치의 제 1 접합부와 접지 사이에 연결되는 능동 발진기 소자, 상기 제 1 및 제 2 인덕턴스 중 하나와 병렬로 연결된 제 2 패딩 콘덴서와 모드 스위칭 다이오드의 제 3 직렬 장치, 동조 전압을 가변 정전 용량 다이오드와 제 1 패딩 콘덴서의 접합부에 공급하는 수단, 및 모드 스위칭 전압을 모드 스위칭 다이오드와 제 2 패딩 콘덴서 사이의 접합부에 공급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국부 발진기 회로를 가진다. 이러한 이중 모드 동조 장치는 출원인의 공개적으로 이용 가능한 TV-FM 동조기 FM1200MK2에서 이용된다.
전술한 종류의 장치에서는 FM 라디오-밴드(88 내지 110㎒)가 VHF TV-밴드들 사이에 놓여있기 때문에 양 모드에 관해서 동일한 국부-발진기 회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TV 신호의 수신과 FM 신호의 수신을 위해서는 상이한 중간 주파수가 요구된다. FM 신호의 수신에 있어서, 중간 주파수는 10.7㎒인데 반해 TV 신호의 수신에 있어서, 중간 주파수는 38.9㎒(유럽 PAL-표준)이나 45.75㎒(미국 NTSC-표준)이다. 그러므로 국부 발진기 주파수가 TV 모드에서보다 FM 모드에서 더 낮도록 국부 발진기 회로가 스위칭될 필요가 있다. 이것이 모드 스위치의 기능이다.
간단한 모드 동조된 회로의 성질은 공진 주파수의 한쪽에서 임피던스가 매우 낮은 레벨로 신속하게 감쇠하면서, 공진시 매우 높은 임피던스를 가진다는 점이다. 그러므로 이러한 회로에서는 단일 발진만이 유지된다. 하지만 전술한 종류의 이중 모드 동조 회로에서는, 원치 않은 또는 기생 발진이 쉽게 일어날 수 있고, 이들 기생 발진은 충분히 감쇠되어야 한다. 이는 위상 동기 루프(PLL) 합성기가 실제 주파수를 측정하고 동조 회로를 조정하기 위해 그 결과를 이용하는 애플리케이션에 있어서 특히 중요하다. PLL이 원치 않는 발진을 획득하게 된다면 "고정된 상태(lock up)"로 구동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공개적으로 알려진 동조 장치에서는, 비교적 낮은 값의 감쇠 저항을 통해 2개의 인덕턴스 사이의 접합 포인트를 접지시킴으로써, 기생 발진을 감쇠시키는 것이 제공된다. 하지만, 이러한 해결책은 충분히 만족스럽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능동 발진 소자(PLL)는 흔히 집적된 형태로 실현되고, 개선된 높은 주파수 성능을 구비한 최신 PLL 합성기 IC를 가지고, 알려진 이중 모드 동조된 회로는 여전히 기생 발진을 구비한 상당한 문제점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난다. 감쇠 저항의 값을 증가시키게 되면, 기생 발진의 감쇠를 증가시킬 수 있지만, 이러한 해결책은 발진기의 더 낮은 성능과 함께 더 많은 잡음을 만들어 내게 된다. 또다른 문제점은 이러한 저항이 또한 모드 스위칭 다이오드에 관한 접지로의 DC 경로로서 기능한다는 사실에 의해 감쇠 저항의 값까지의 실제 상한(upper limit)이 존재한다는 점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이중 모드 동조 장치의 개략도.
도 2는 도 1의 장치의 양 모드에서의 임피던스 대 주파수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 모드 동조 장치의 개략도.
도 4는 도 3의 장치의 양 모드에서의 임피던스 대 주파수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
본 발명의 목적은 기생 발진의 위험이 감소된 개선된 이중 모드 동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상기 병렬 장치의 제 2 접합부와 접지 사이에 연결된 기생 발진을 억제하기 위한 감쇠 저항을 특징으로 한다.
기생 발진의 감소된 위험과는 별도로, 본 발명의 장치는 원하는 발진이 감쇠 저항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추가 장점과, 흔히 상기 장치의 성분을 운반하는 인쇄 회로 기판의 레이아웃의 임의의 변경 없이,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이제, 본 발명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의 동조 장치는 2개의 인덕터 L1과 L2의 제 1 직렬 장치와, 가변 정전 용량 다이오드(Cv)와 패딩 콘덴서(Cp1)의 제 2 직렬 장치를 포함한다. 2개의 직렬 장치는 병렬 장치를 구성하기 위해 J1과 J2의 접합부에서 상호 연결된다. 작은 콘덴서(C3)는 가변 정전 용량 다이오드(Cv)와 병렬로 연결된다. 2개의 직렬 장치의 접합부(J1)는 결합 콘덴서(C1)와 양의 피드백 콘덴서(C2)를 통해 증폭기(A)에 연결된다. 증폭기(A)와 2개의 콘덴서(C1과 C2)는 장치의 능동 부분, 또는 접합부(J1)에 AC 전류를 공급하는 전류원(S)을 구성한다. 동조 전압(Vt)은 저항기(R3)를 통해, 가변 정전 용량 다이오드(Cv)와 패딩 콘덴서(Cp1)의 접합부에 인가된다. 동조 전압은 예를 들어 모놀리식 집적회로에서 증폭기(A)와 함께 위치한 주파수 합성기로부터 유도될 수 있다.
모드 스위칭 다이오드(Csw)와 제 2 패딩 콘덴서(Cp2)의 제 3 직렬 장치는 인덕터(L2)와 병렬로 연결되고, 모드 스위칭 전압(Vs)은 모드 스위칭 다이오드와 제 2 패딩 콘덴서의 접합부에 저항(R2)을 통해 인가된다. 인덕터(L1과 L2)의 접합부는 비교적 작은 감쇠 저항(R1)을 통해 접지된다.
동작시 FM 수신 동안에, 어떠한 스위칭 전압도 저항(R2)을 통해 인가되지 않고, 스위칭 다이오드(Csw)는 예를 들어 1㎊의 작은 콘덴서와 같이 행동한다. 이러한 FM-모드에서 소자(L1, L2, Cp1 및 Cv+C3)는 그것의 공진 주파수가 실질적으로 원하는 발진기 주파수를 결정하는 공진 회로를 구성한다. 동조 전압(Vt)을 변경시키면, FM 라디오 밴드 내의 동조를 위해 요구되는 범위 내에서 이러한 주파수를 변경시키게 된다. 패딩 콘덴서(Cp1)와 콘덴서(C3)의 값은 발진기 주파수가 실질적으로 10.7㎒의 거리에서 동조된 입력 회로(미도시)를 실질적으로 추적하는 것을 보장한다.
TV 신호의 수신 동안에 양의 전압(Vs)이 저항(R2)을 통해 모드 스위칭 다이오드(Csw)에 인가된다. 이 모드에서 다이오드(Csw)는, 예를 들어 1㎋의 정전 용량처럼 행동한다. 이러한 정전 용량과 패딩 콘덴서(Cp2)는, 이제 공진회로가 소자(L1, Cv+C3, Cp1, Cp2 및 Csw)에 의해 형성되도록 인덕터(L 2)를 우회(bypass)한다.
저항(R1)은 장치의 임의의 기생 발진을 감쇠시키는 역할을 한다. 장치의 기생 발진 행동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능동 전류원(S)을 음의 임피던스로 간주하고, 전류원(S)에 의해 보여지는 바와 같이, 탱크 회로(즉, 소스 S를 제외한 장치의 모든 소자)의 (양의) 임피던스를 계산하는 것이 편리하다. 발진은 탱크 회로 임피던스가 전류원의 음의 임피던스보다 큰 임의의 주파수에서 일어나게 된다. 탱크 회로 임피던스의 결정을 위해서는, 접지로의 접합부(J1)의 표유(stray) 정전 용량(Cs1)과 접지로의 Csw와 Cp2의 접합부의 제 2 표유(stray) 정전 용량(Cs2)이 고려되었다.
탱크 회로의 임피던스는 도 2에서 수평축을 따라 주파수(㎒)로 도시되고, 수직축을 따라 임피던스의 진폭(㏈)으로 도시되어 있다. 계산을 위해, 다음 실제 값들이 선택되었다:
L1=170nH, L2=120nH, R1=5.6Ω, R2=10㏀, R3=10㏀, C3=0.5㎊, Cp1=120㎋, Cp2=220㎋, Cs1=0.8㎊ 및 Cs2=0.8㎊이다.
Cv=7.5㎊은 동조 범위의 중간쯤에 있다.
Csw는 FM 모드에서는 1㎊이고, TV 모드에서는 1㎋이다.
도 2에서 곡선 Ⅰ는 FM 모드에서의 탱크 회로의 임피던스를 나타내고, 곡선 Ⅱ는 TV 모드에서의 이 임피던스를 나타낸다.
TV 모드에서, 원하는 발진 주파수는 공진 피크(R)(대략 130㎒)에서 일어난다. 이 모드에서는 0과 800㎒ 사이의 측정 범위 내에서는 기생 공진이 존재하지 않는다. FM 모드에서, 원하는 발진 주파수가 공진 피크(R)(대략 100㎒)에서 일어난다. 하지만 이 모드에서는 약 375㎒에서 기생 공진 피크(P)도 존재한다. 이 기생 공진은 주로 루프(Cs1, L1, R1)에서 이동하는 전류에 기인한다. 도 2의 그래프로부터 이러한 기생 발진에서의 임피던스는 원하는 발진의 임피던스보다 단지 약 10㏈ 낮은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이러한 주파수에서 어떠한 기생 발진도 일어나지 않을 것을 보장하기에는 너무 적다.
개선된 장치가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에서의 장치와의 유일한 차이점은 이제 감쇠 저항(R1)이 접합부(J2)와 접지 사이에서 연결된 감쇠 저항(R1a)으로 대체된다는 점이다. 도 4는 전술한 것과 동일한 값과, 도 1의 저항(R1)에 관한 것처럼 저항(R1a)에 관해서 동일한 값을 가진 그렇게 수정된 장치의 임피던스-그래프를 도시한다. 그래프는 FM 모드에서의 기생 피크(P)가 상당히 감소되고, 또한 기생 발진의 위험이 실질적으로 최소화되도록 원하는 발진 주파수(약 500㎒까지)로부터 이동된 것을 보여준다. 기생 피크(P)가 이제 TV 모드에서 존재하지만, 이러한 피크는 충분히 감소된 레벨과 충분히 낮은 주파수를 가져서, 이러한 피크 상에는 어떠한 기생 발진의 위험도 존재하지 않게 됨을 또한 알 수 있게 된다.
도 3의 배치에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이 주목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병렬 연결된 Csw-Cp2 조합을 가지고 인덕터(L 1)와 인덕터(L2)는 상호 교환될 수 있다. 또한 2개의 직렬 장치(Cv-Cp1, C sw-Cp2)에서, 성분들이 각 다이오드의 극성의 적절한 선택으로 상호 교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VHF 텔레비전 신호와 FM 라디오 신호에 동조하기 위한 이중 모드 동조 장치에 이용 가능하다.

Claims (1)

  1. VHF 텔레비전 신호와 FM 라디오 신호에 동조하기 위한 이중 모드 동조 장치로서, 상기 장치는 제 1 및 제 2 인덕턴스(L1, L2)의 제 1 직렬 장치와, 가변 정전 용량 다이오드(Cv)와 제 1 패딩 콘덴서(Cp1)의 제 2 직렬 장치, 상기 제 1 및 제 2 직렬 장치는 병렬 장치를 구성하기 위해 제 1 및 제 2 접합부(J1, J2)에서 상호 연결되며, 상기 병렬 장치의 제 1 접합부(J1)와 접지 사이에 연결되는 능동 발진기 소자(S), 상기 제 1 및 제 2 인덕턴스 중 하나와 병렬로 연결된 제 2 패딩 콘덴서(Cp2)와 모드 스위칭 다이오드(Csw)의 제 3 직렬 장치, 동조 전압(Vt)을 가변 정전 용량 다이오드(Cv)와 제 1 패딩 콘덴서(Cp1)의 접합부에 공급하는 수단(R3), 및 모드 스위칭 전압(Vs)을 모드 스위칭 다이오드(Csw)와 제 2 패딩 콘덴서(Cp2) 사이의 접합부에 공급하는 수단(R2)을 포함하는 국부 발진기 회로를 가지는 이중 모드 동조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병렬 장치의 제 2 접합부(J2)와 접지 사이에 연결된 기생 발진을 억제하기 위한 감쇠 저항(R1a)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모드 동조 장치.
KR1020057001776A 2002-08-01 2003-07-25 이중 모드 동조 장치 KR2005002608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2017272.2 2002-08-01
EP02017272 2002-08-0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6085A true KR20050026085A (ko) 2005-03-14

Family

ID=311977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1776A KR20050026085A (ko) 2002-08-01 2003-07-25 이중 모드 동조 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7301584B2 (ko)
EP (1) EP1527513B1 (ko)
JP (1) JP4272155B2 (ko)
KR (1) KR20050026085A (ko)
CN (1) CN100431259C (ko)
AT (1) ATE370547T1 (ko)
AU (1) AU2003249436A1 (ko)
DE (1) DE60315660T2 (ko)
WO (1) WO200401395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95230B (zh) * 2012-11-02 2016-06-29 北京动力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电压源型逆变器直流侧谐振的抑制方法及电路
DE102014109867A1 (de) * 2014-07-14 2016-01-14 Erni Production Gmbh & Co. Kg Steckverbinder und Bauelement
DE102020118567A1 (de) * 2019-11-27 2021-05-27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Vorrichtung für ein Fahrzeug zur Kommunikation mit einem mobilen Gerät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31919A (ja) * 1984-11-30 1986-06-19 Pioneer Electronic Corp フロントエンド
CN2071851U (zh) * 1990-04-17 1991-02-20 宁波无线电厂 一种调频(fm)和电视(vhf)伴音通用调谐器
US5404052A (en) * 1992-10-29 1995-04-04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United States Department Of Energy Base drive circuit
JP3614620B2 (ja) * 1997-07-30 2005-01-26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テレビジョン信号及びfm放送信号の復調器並びにテレビジョン信号及びfm放送信号の受信機
JPH11127028A (ja) * 1997-10-21 1999-05-11 Alps Electric Co Ltd 平衡型発振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315660T2 (de) 2008-06-05
US7301584B2 (en) 2007-11-27
JP4272155B2 (ja) 2009-06-03
EP1527513B1 (en) 2007-08-15
DE60315660D1 (de) 2007-09-27
ATE370547T1 (de) 2007-09-15
CN1672318A (zh) 2005-09-21
EP1527513A1 (en) 2005-05-04
CN100431259C (zh) 2008-11-05
AU2003249436A1 (en) 2004-02-23
WO2004013954A1 (en) 2004-02-12
US20050260959A1 (en) 2005-11-24
JP2005535216A (ja) 2005-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36966B2 (ja) 広帯域同調範囲および低位相ノイズをもつlc発振器
EP0803972B1 (en) Dual band oscillator circuit
US5231361A (en) Voltage controlled push-push oscillator with parallel resonant tank circuits
US6239664B1 (en) Low phase noise, wide tuning range oscillator utilizing a one port saw resonator and method of operation
EP0583800B1 (en) A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JPH04119705A (ja) 電圧制御発振器
KR0153379B1 (ko) 디지탈 무선통신시스템의 업/다운컨버터용 전압제어발진기
EP1223667A2 (en)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VCO) in colpitts configuration
KR100782252B1 (ko) 감소된 위상 잡음을 갖는 발진기 회로
KR20040012852A (ko) 광대역 전압 제어형 수정 발진기
US6097258A (en) Oscillator having a resonator coupled to an amplifier by a series resistance
KR100427106B1 (ko) 가변주파수발진기회로
US4748425A (en) VCO range shift and modulation device
KR20050026085A (ko) 이중 모드 동조 장치
CN101162889B (zh) 压控振荡器及其控制方法
CA1295699C (en) Wide range oscillator
JPH0746038A (ja) 電圧制御周波数発振器
KR100333789B1 (ko) 고주파모듈
US3324412A (en) Dual mode oscillator circuit with phase shift circuit to prevent band jumping
US20020158695A1 (en) Low phase noise dual band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KR100226284B1 (ko) 고주파 발진장치
US7432989B2 (en) Television tuner in which unnecessary radiation is reduced
JPH104315A (ja) 高周波発振回路
KR20010063116A (ko) 위상동기루프 발진기의 탱크회로
JP2003332841A (ja) 電圧制御発振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