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25911A - 통전발열글라스장치 - Google Patents

통전발열글라스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25911A
KR20050025911A KR1020040071113A KR20040071113A KR20050025911A KR 20050025911 A KR20050025911 A KR 20050025911A KR 1020040071113 A KR1020040071113 A KR 1020040071113A KR 20040071113 A KR20040071113 A KR 20040071113A KR 20050025911 A KR20050025911 A KR 200500259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generating
heat
temperature difference
glass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11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24094B1 (ko
Inventor
타나카사토시
Original Assignee
선와이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선와이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선와이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259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59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40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409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84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ransparent or reflecting areas, e.g. for demisting or de-icing windows, mirrors or vehicle windshield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1/00Details of electric heating devices
    • H05B1/02Automatic switch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 Control of heating devic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10/00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 H10N10/10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operating with only the Peltier or Seebeck effec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14/00Aspects relating to resistive heating, induction heating and heating using microwaves, covered by groups H05B3/00, H05B6/00
    • H05B2214/02Heaters specially designed for de-icing or protection against icing

Landscapes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 Joining Of Glass To Other Materials (AREA)
  • Control Of Resistance Heating (AREA)

Abstract

콜드드래프트 및 또는 결로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통전발열 글라스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발열수단을 구비한 통전발열 글라스와, 상기 통전발열 글라스에 부착되어 이 통전발열 글라스의 난기측면의 온도와 이 난기측면에 근접하는 난기측의 분위기 온도와의 차를 검출하는 온도차 검출수단과, 상기 온도차 검출수단으로부터의 검출신호를 기초로 상기 발열수단을 제어하여 콜드드래프트 및 또는 결로를 방지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한 것이다.

Description

통전발열글라스장치{ELECTRIC-POWER-ENERGIED HEAT GLASS APPARATUS}
본 발명은 통전발열 글라스장치에 관하며 특히 콜드드래프트 및 결로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연구한 것에 관한 것이다.의
이른바 통전발열 글라스는 한난의 차에 기인하여 발생하는 「콜드드래프트」나 한난의 차 및 온도 등에 기인하여 발생하는 「결로」를 방지하기 위해 폭넓은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여기서 상기 콜드드래프트와 결로에 대해 정리해 본다.
우선 콜드드래프트라는 것은 다음과 같은 현상을 의미하고 있다. 예를들어 스토브에 의해 난방하고 있는 실내에 있어서 스토브를 창에서 멀리 떨어진 장소에 설치하면 데워진 공기는 천정으로 올라가 스토브방향으로 되돌아가는 대류가 발생한다. 이 경우 데워진 공기가 창틀을 지날 때 창의 냉기에 닿아 온도가 급격히 내려간다. 냉각된 공기는 바닥 위를 지나 스토브방향으로 되돌아 온다. 그리고 이 경우에는 천정과 바닥의 온도차가 커져 일반적으로 그 차가 5℃이상이 되면 불쾌한 상황이 된다. 이와같은 현상을 콜드드래프트라 칭하고 있다.
한편 결로이지만 예를들어 동절기에 창유리의 내측이 물방울로 뿌옇게 되거나 냉수가 들어간 컵 표면에 물방울이 생기도록 주위의 공기로부터 온도가 낮은 것의 표면에 닿았을 때 공기의 온도가 저하하고, 수증기가 응결하여 그 표면에 물방울이 생기는 현상을 의미하는 것이다. 또 창유리와 같은 테두리부를 갖는 현상인 경우에는 모든 조건에 의해서도 다르지만 이상방열하기 쉬운 하부 또는 구석부로부터의 발생이 받아들여지고 있다.
또 상기 통전발열 글라스의 구성을 개시하는 것으로서 예를들어 일본국 특개평 11-25340호 공보, 일본국 특개평 11-345677호 공보가 있다.
상기 일본국 특개평 11-25340호 공보의 「자동판매기의 창글라스면의 결로방지장치」에는 명세서의 청구항 8에 다음과 같은 구성이 개시되고 있다. 즉 실내온도센서와 실외온도센서를 마련하고 각 온도센서로부터 검출하는 온도를 비교하여 온도차가 일정치 이상일 때 결로조건하로 가상하여 발열글라스를 가열제어하는 것이다.
다음에 일본국 특개평 11-345677호 공보의 「발열성 판재를 이용한 발열시스템」에는 명세서(0008)에 개시되는 제 2실시예에 있어서 다음과 같은 구성이 개시되고 있다. 즉 발열글라스의 표면온도를 검지하는 검지부와, 실내의 벽면온도를 검지하는 검지부를 마련하고 각 검지온도를 기초로 발열글라스의 표면온도를 벽면 온도와 같거나 또는 대략 같아지도록 제어하여 콜드드래프트를 방지선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종래의 구성에 의한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었다.
우선 일본국 특개평 11-25340호 공보에 개시되고 있는 「자동판매기의 창글라스면의 결로방지장치」, 일본국 특개평 11-345677호 공보에 개시되고 있는 「발열성 판재를 이용한 발열시스템」의 경우에는 모두 온도센서를 2개 필요로 하는 것으로 구성이 복잡화되는 것은 원래부터 부품점수의 증가나 공정수의 증대에 의해 원가가 상승하게 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 일본국 특개평 11-25340호 공보의 청구항 8에 기재인 「자동판매기의 창글라스면의 결로방지장치」는 실내온도와 실외온도의 차를 비교하여 온도차가 일정치 이상일 때 발열글라스를 가열제어하는 구성이므로 창유리를 구성하는 글라스의 두께나 매수 등을 변경한 경우에는 실내에서의 열전도율도 변화하고 창유리에 발생하는 결로에 대해 효과적인 가열제어가 불가능한 경우가 있다.
또 일본국 특개평 11-345677호 공보에 개시되고 있는 「발열성 판재를 이용한 발열시스템」은 글라스면의 온도를 근방의 벽면 온도와 같거나 또는 대략 같게 하는 것으로 콜드드래프트를 방지하고 있다.
그러나 난방장치의 시동이나 정지직후 등에서의 실내의 급격한 온도변화에 있어서 벽면소재가 열전도율이 낮은 것인 경우에는 반응시간이 늦어진다.
또한 통상의 경우에는 글라스면의 하부 또는 구석부로부터 결로가 발생하기 시작하므로 조건검지에 있어서 검지개소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이와같은 점을 기초로 행해진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콜드드래프트 및 또는 결로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통전발열 글라스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원 발명의 청구항 1에 의한 통전발열 글라스장치는 발열수단을 구비한 통전발열글라스와, 상기 통전발열 글라스에 부착되어 이 통전발열 글라스의 난기측면의 온도와 이 난기측면에 근접하는 난기측의 분위기 온도와의 차를 검출하는 온도차 검출수단과, 상기 온도차 검출수단으로부터의 검출신호를 기초로 상기 발열수단을 제어하여 콜드드래프트 및 또는 결로를 방지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 청구항 2에 의한 통전발열 글라스장치는 청구항 1기재의 통전발열 글라스장치에 있어서, 상기 온도차 검출수단은 상기 통전발열 글라스의 난기측면에 부착된 펠체소자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 청구항 3에 의한 통전발열 글라스장치는 청구항 2기재의 통전발열 글라스장치에 있어서, 상기 온도차 검출수단은 분위기측의 표면에 전열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 청구항 4에 의한 통전발열 글라스장치는 청구항 3기재의 통전발열 글라스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열재는 평판모양을 이루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 청구항 5에 의한 통전발열 글라스장치는 청구항 3기재의 통전발열 글라스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열재는 휜모양을 이루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 청구항 6에 의한 통전발열 글라스장치는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중 어느 한 항 기재의 통전발열 글라스장치에 있어서, 상기 온도차 검출수단은 통전발열 글라스의 하부구석부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청구항 7에 의한 통전발열 글라스장치는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통전발열 글라스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미리 설정된 다수단계의 온도차를 기초로 상기 발열수단의 출력을 다수단계로 나누어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 청구항 8에 의한 통전발열 글라스장치는 청구항 7기재의 통전발열 글라스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미리 설정된 최저온도차를 밑돈 경우에 상기 발열수단을 오프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 청구항 9에 의한 통전발열 글라스장치는 청구항 2기재의 통전발열 글라스장치에 있어서 상기 펠체소자의 외주에는 커버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 청구항 10에 의한 통전발열 글라스장치는 청구항 9기재의 통전발열 글라스장치에 있어서, 상기 펠체소자의 분위측 표면에는 전열판이 설치되고 있으며 이 전열판은 상기 커버에 대해 분위기측 표면방향으로 돌출·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의한 통전발열 글라스장치의 전체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으로 우선 통전발열 글라스(1)가 있다. 이 통전발열 글라스(1)는 한기측 글라스판(3)과, 난기측 글라스판(5)고, 이들 한기측 글라스판(3)과 난기측 글라스판(5)을 소정의 간격으로 유지하는 틀체(7)와, 상기 한기측 글라스판(3)과 난기측 글라스판(5) 사이로 난기측 글라스판(5)측에 마련된 발열수단으로서의 히터(9)로 구성되고 있다.
상기 구성을 이루는 통전발열 글라스(1)는 창틀(11)내에 끼워지고 있다. 또 도 1에 있어서 통전발열 글라스(1)의 좌측이 한기측이고 우측이 난기측이다. 그리고 상기 히터(9)에 의해 난기측 글라스판(5)을 적절히 가열함으로써 난기측 글라스판(5)의 표면온도와 그에 근접하는 난기측 분위기 온도와의 온도차를 시정하여 콜드드래프트 및 또는 결로를 방지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통전발열 글라스(1)의 난기측 글라스판(5)의 난기측에는 온도차 검출수단으로서의 펠체소자(13)가 열전도 양면 테이프(14)를 통해 부착되고 있다. 상기 펠체소자(13)는 예를들어 도 3에 도시하는 것과 같은 원리를 기초로 난기측 글라스판(5)의 표면온도와 난기측으로 난기측 글라스판(5)직근의 분위기 온도와의 온도차를 검출하는 것이다.
도 3을 기초로 설명하면 P형 열전 반도체(15)와, N형 열전 반도체(17)를 동 전극(19)(21)(23)을 통해 접합한 것이다. 이 경우 전원(25)에서 직류전류를 흐르게 하면 이른바 「펠체효과」를 기초로 P형 열전 반도체(15) 및 N형 열전 반도체(17)를 끼우고 도 3중 상측과 하측과의 사이에 온도차가 발생한다. 역으로 P형 열전 반도체(15) 및 N형 열전 반도체(17)를 끼워 도 3중 상측과 하측 사이에 온도차가 발생하면 그에 따라 기전력이 발생한다. 본 실시예에 의한 펠체소자(13)는 이와같은 원리를 이용한 것으로 난기측 글라스판(5)의 표면온도와 난기측으로 난기측 글라스판(5) 직근의 분위기 온도와의 온도차에 의해 발생하는 기전력을 검출하고 그에 따라 온도차의 크기를 검지선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펠체소자(13)로부터의 검지신호는 제어수단(27)에 입력된다. 제어수단(27)은 그 검출신호를 기초로 히터(9)를 제어하고 난기측 글라스판(5)의 난기측 표면온도와 난기측으로 난기측 글라스판(5) 직근의 분위기 온도와의 온도차를 시정하여 콜드드래프트 및 또는 결로를 방지선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펠체소자(13)의 부착구조를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펠체소자(13)는 난기측 글라스판(5)의 난기측으로 오른쪽 밑 구석에 부착되고 있다. 이 부분은 난기글라스판(5)의 표면에 있어서 눈에 띄기 어려운 개소임과 동시에 온도가 낮다고 예상되는 개소이다. 그것은 히터(9)에 의해 가열된 열이 외부로 더욱 방열되기 쉬운 개소이기 때문이다. 그와 같은 개소에 펠체소자(13)를 부착함으로써 콜드드래프트 및 또는 결로를 조깅 방지선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펠체소자(13)로부터 인출된 리드선(29)(31)은 난기측 글라스판(5)에 마련한 관통공(33)을 거쳐 통전 발열글라스(1)의 공기층을 거쳐 틀체(7)를 관통하여 통전발열 글라스(1)의 측면으로부터 인출한다. 또한 창틀(11) 및 벽내를 거쳐 제어수단(27)에 접속되므로 리드선(29)(31)은 외관상으로 노출시키지 않고 외관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도 2중 가상선으로 도시하는 것과 같이 펠체소자(13)의 외주부를 커버(34)에 의해 피복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그 경우에는 관통공(33)등을 감추어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에 도 4의 플로우챠트를 참조하면서 제어수단(27)에 의한 제어내용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이른바 「사이클제어」에서의 사이클(%)과 검지전압을 각각 설정한다.
즉 결로에 관해서는 온도차 뿐만 아니라 온도도 관계한다. 따라서 결로만을 대상으로 하는 경우에는 검지전압에 관한 설정시 그것을 고려하게 된다.
이어서 자동스타트가 된다. 우선 스텝 S1에 있어서 펠체소자(13)로부터 검출되는 기전력이 3.5mV이상인 지 여부가 판별된다. 펠체소자(13)로부터 검출되는 기전력이 3.5mV이상이라고 판별된 경우는 스텝 S2로 이행한다. 그리고 히터(9)에 의한 운전을 설정치의 150%운전으로 변환한다.
스텝 S1에 있어서 펠체소자(13)로부터 검출되는 기전력이 3.5mV이상이 아닌 경우에는 스텝 S3으로 이행한다. 스텝 S3에 있어서 펠체소자(13)로부터 검출되는 기전력이 2.8mV이상인 지 여부를 판별된다. 펠체소자(13)로부터 검출되는 기전력이 2.8mV이상이라고 판별된 경우는 스텝 S4로 이행한다. 그리고 히터(9)에 의한 운전을 설정치의 100%운전으로 변환한다.
스텝 S3에 있어서 펠체소자(13)로부터 검출되는 기전력이 2.8mV이상이 아닌 경우에는 스텝 S5로 이행한다. 스텝 S5에 있어서 펠체소자(13)로부터 검출되는 기전력이 2.4mV이상인 지 여부를 판별한다. 펠체소자(13)로부터 검출되는 기전력이 2.4mV이상이라고 판별된 경우는 스텝 S6으로 이행한다. 그리고 1초 대기한 후에 스텝 S1로 되돌아 온다.
또한 스텝 S2,S4의 경우에도 운전변환을 행한 후에 스텝 S6으로 이행하고 1초대기한 후 스텝 S1로 복귀한다.
스텝 S5에 있어서 펠체소자(13)로부터 검출되는 기전력이 2.4mV이상이 아니라고 판별된 경우에는 스텝 S7으로 이행하고 히터(9)로의 통전이 「OFF」가 된다. 그리고 스텝 S8로 이행하여 30초 경과했는 지 여부의 판별이 행해진다. 30초 경과한 경우에는 스텝 S1으로 되돌아 가 동일한 처리가 행해지게 된다.
이상 본 실시예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우선 단일 센서인 펠체소자(13)만을 사용하여 난기측 글라스판(5)의 표면온도와 난기측으로 난기측 글라스판(5) 직근의 공기온도와의 온도차를 검출하고, 그것을 기초로 히터(9)를 제어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2개의 센서를 필요로 하는 구성에 비해 구성의 간략화, 공정수의 감소, 부품점수의 감소, 원가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 이 실시예의 경우에는 펠체소자(13)를 사용하여 난기측 글라스판(5)의 표면온도와 난기측으로 난기측 글라스판(5) 직근의 공기온도와의 온도차를 검출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콜드드래프트 결로에 대해 효과적으로 또한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다.
또 콜드드래프트에 대해 히터(9)에 의한 가열을 필요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에너지 소비량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펠체소자(13)는 난기측 글라스판(5) 표면으로 온도가 낮은 개소인 하부구석부에 부착되고 있기 때문에 그것에 의해서도 콜드드래프트, 결로에 대해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난기측 글라스판(5)의 표면온도와 난기측으로 난기측 글라스판(5) 직근의 공기온도와의 온도차를 다수 단계, 구체적으로는 3단계로 구분하여 각각 다른 내용으로 히터(9)를 제어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그것에 의해서도 콜드드래프트, 결로에 대해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또 미리 설정된 최저온도차를 밑돈 경우에는 히터(9)를 오프로 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에너지 소비량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즉 미리 설정된 최저온도차를 밑돈 경우에 히터(9)를 오프하도록 하는 것은 다음과 같은 점을 기초로 한 것이다. 통상 결로를 방지하는 것을 생각한 경우에는 통전발열 글라스의 난기측면의 온도를 그에 근접한 분위기 온도와 같거나 또는 그 이상으로 하는 것을 예상할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통전발열 글라스의 난기측면의 온도를 그에 근접한 분위기 온도와 같거나 또는 그 이상으로 할 필요는 없으며 이 분위기 온도와 비교하고 있는 최저온도차를 밑도는 것으로 결로와 콜드드래프트가 효과적으로 방지되는 것을, 본건 출원인은 확인한 것으로 그것을 기초로 미리 설정된 최저온도차를 밑돈 경우에 히터(9)를 오프로 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그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히터(9)에 의한 발열을 억제하여 에너지 소비량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다음에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실시예를 설명한다. 상기 제 1실시예의 경우에는 히터(9)로의 통전을 「OFF」로 한 후 스텝 S8에 있어서, 30초 경과를 보고 동일한 처리를 반복하도록 했지만 이 제 2실시예의 경우에는 스텝 S8에 있어서 펠체소자(13)로부터 검출되는 기전력이 2.8m이상인 지 여부를 판별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펠체소자(13)로부터 검출되는 기전력이 2.8mV이상이라고 판별된 경우에는 스텝 S1로 되돌아 가 동일한 처리를 행하도록 한 것이다.
그 외의 구성은 상기 제 1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하며 따라서 제 1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것이다.
다음에 도 6을 참조하여 제 3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경우에는 펠체소자(13)의 표면에 평판모양의 전열부재(41)를 부착한 것으로 그 이외는 상기 제 1, 제 2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하다. 상기 전열재(41)에 의해 온도차를 더욱 높은 정밀도로 검지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콜드드래프트, 결로에 대해 더욱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다음에 도 7을 참조하여 제 4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경우에는 펠체소자(13)의 표면에 휜모양의 전열부재(51)를 부착한 것으로 그 이외는 상기 제1 , 제 2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하다. 상기 전열부재(51)에는 다수개의 돌기(53)가 휜모양으로 돌출·형성되고 있으며 전체적으로 전열면적을 대폭적으로 확대하고 있다. 상기 전열부재(61)에 의해 온도차를 보다 높은 정밀도로 검지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콜드드래프트, 결로에 대해 보다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특히 휜모양을 이루고 있어 그 전열면적을 확대하고 있기때문에 효과적이다.
다음에 도 8을 참조하여 제 5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제 5실시예는 펠체소자(13)의 외주부에, 상기 제 1실시예에서 도시한 커버(34)를 설치함과 동시에 펠체소자(13)의 표면에 상기 제 4실시예에서의 휜모양 전열부재(51)를 설치한 것이다. 또 상기 커버(34)로서는 예를들어 수지제로 단열기능을 기대할 수 있는 재질로 구성되고 있다. 또 펠치소자(13)와의 경계부에 있어서는 높은 액밀성을 확보하여 높은 방수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있다.
그 외의 구성은 상기 제 1실시예와 동일하며 따라서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여 도시하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구성에 의한 상기 각 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음과 동시에 다음과 같은 새로운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우선 커버(34)를 설치함으로써 펠체소자(13)의 난기측 글라스판(5)에 접촉하는 감온면이 분위기 온도에 영향을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에 따라 난기측 글라스판(5)의 온도를 정확하게 검지할 수 있다.
또 커버(34)에 의해 단열기능이 발휘되므로 그에 따라 펠체소자(13)가 열적영향을 받아 감온성능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커버(34)에 의해 방수기능을 발휘할 수 있기 때문에 누수 등에 의해 펠체소자(13)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휜상 전열부재(51)가 커버(34)에 대해 도 8중 우측으로 돌출한 상태에서 설치되고 있기 때문에 상하로 유동되기 쉬운 공기에 대한 분위기 온도의 감온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 1~제 5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 1~제 5실시예에서는 2장의 글라스판으로 구성된 통전발열 글라스를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한장의 글라스판 및 3장 이상의 글라스판으로 구성되는 통전발열 글라스에 대해서도 적용가능하다.
또한 통전과열 글라스의 경우에 대해서도 상기 각 실시예에서는 히터를 모식적으로 도시했지만 발열수단의 구성으로서는 시트상의 것, 도포한 것 등 여러가지의 것을 생각할 수 있다.
통전발열 글라스장치의 용도에 대해 이를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제어수단에 의한 제어내용으로서 상기 각 실시예에서는 온도차를 3단계로 나누어 제어하도록 하고 있지만 더욱 세시하게 구분하여 제어하도록 해도 되며 더욱 단순하게 제어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또 제어시의 설정치는 임의로 설정하는 것으로 이를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 콜드드래프트를 주로 대상으로 하는 경우 주로 결로를 대상으로 하는 경우, 그것들 양자를 대상으로 하는 등 그 목적에 따라 각종 설정치를 임의로 설정하게 된다.
이상 상술한 것과 같이 본원 발명에 의한 통전발열 글라스장치에 의하면 발열수단을 구비한 통전발열 글라스와, 상기 통전발열 글라스에 부착되어 이 통전발열 글라스의 난기측면의 온도와 이 난기측면에 근접하는 난기측의 분위기 온도와의 차를 검출하는 온도차 검출수단과, 상기 온도차 검출수단으로부터의 검출신호를 기초로 상기 발열수단을 제어하여 콜드드래프트 및 결로를 방지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한 구성이 되고 있으며 통전발열 글라스의 난기측면의 온도와 그에 근접하는 난기측의 분위기 온도와의 차를 검출하고, 그것을 기초로 발열수단을 제어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콜드드래프트나 결로에 대해 효과적으로 또한 신속하게 대응가능하다.
또한 발열수단에 의한 가열을 필요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에너지 소비량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 온도검출수단을 통전발열 글라스의 난기측의 면에 부착되어 펠체소자로 구성한 경우에는 단일의 검출수단으로 충분하게 되며 구성의 간략화, 부품점수의 감소, 공정수의 감소, 원가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 온도차 검출수단의 표면에 전열재를 마련한 경우에는 콜드드래프트나 결로에 대해 더욱 효과적으로 대응가능하다.
또 전열재를 휜모양으로 하는 것에 의해서도 더욱 높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온도차 검출수단을 통전발열 글라스의 표면으로 하부구석부에 부착함으로써 외관을 양호하게 함과 동시에 초기결로 발생개소의 온도차를 검출할 수 있기 때문에 확실하게 결로를 방지할 수 있다.
또 제어수단에 의해 미리 설정된 다수 단계의 온도차를 기초로 상기 발열수단의 출력을 다수 단계로 나누어 제어하도록 한 경우도 보다 높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또 상기 제어수단을 미리 설정된 최저온도차를 밑돈 경우에 상기 발열수단을 오프로 한 것으로서 구성한 경우는 에너지 소비량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즉 미리 설정된 최저온도차를 밑돈 경우에 상기 발열수단을 오프로 하도록 하는 것은 다음과 같은 점을 기초로 한 것이다. 통상 결로를 방지하는 것을 생각한 경우에는 통전발열 글라스의 난기측면의 온도를 그에 근접한 분위기 온도와 같거나 또는 그 이상으로 하는 것을 예상할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통전발열 글라스의 난기측면의 온도를 그에 근접한 분위기 온도와 같거나 또는 그 이상으로 할 필요는 없으며 이 분위기 온도와 비교하여 최저온도차를 밑도는 것에 의해 결로와 콜드드래프트가 효과적으로 방지되는 것을 확인한 것으로 그것을 기초로 미리 설정된 최저온도차를 밑돈 경우에 상기 발열수단을 오프로 하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그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발열수단에 의한 발열을 억제하여 에너지소비량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는 것이다.
또 상기 펠체소자의 외주에 커버를 마련한 경우에는 펠체소자의 난기측 글라스판에 접촉하는 감온면이 분위기 온도에 영향을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난기측 글라스판의 온도를 정확하게 검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 상기 펠체소자의 분위기측 표면에 전열판을 설치하고 이 전열판을 상기 커버에 대해 분위기측 표면방향으로 돌출·배치한 경우에는 상하로 유동하기 쉬운 공기에 대한 분위기 온도의 감온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콜드드래프트 및 결로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통전발열 글라스 장치로서 효과적으로 적용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통전발열 글라스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펠체소자로 이루어지는 온도차 검출수단의 부착구조를 도시하는 일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펠체소자의 구동원리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제어수단에 의한 제어의 내용을 도시하는 플로우챠트.
도 5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제어수단에 의한 제어의 내용을 도시하는 플로우챠트.
도 6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펠체소자로 이루어지는 온도차 검출수단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4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펠체소자로 이루어지는 온도차 검출수단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5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통전발열 글라스장치의 일부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통전발열 글라스 3: 한기측 글라스판
5: 난기측 글라스판 7: 틀체
9: 히터 11: 창틀
13: 펠체소자 27: 제어수단
41: 전열부재 51: 전열부재

Claims (10)

  1. 발열수단을 구비한 통전발열글라스와,
    상기 통전발열 글라스에 부착되어 이 통전발열 글라스의 난기측면의 온도와 이 난기측면에 근접하는 난기측의 분위기 온도와의 차를 검출하는 온도차 검출수단과,
    상기 온도차 검출수단으로부터의 검출신호를 기초로 상기 발열수단을 제어하여 콜드드래프트 및 또는 결로를 방지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전발열 글라스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차 검출수단은 상기 통전발열 글라스의 난기측면에 부착된 펠체소자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전발열 글라스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차 검출수단은 분위기측의 표면에 전열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전발열 글라스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전열재는 평판모양을 이루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전발열 글라스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전열재는 휜모양을 이루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전발열 글라스장치.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차 검출수단은 통전발열 글라스의 하부구석부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전발열 글라스장치.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미리 설정된 다수단계의 온도차를 기초로 상기 발열수단의 출력을 다수단계로 나누어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전발열 글라스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미리 설정된 최저온도차를 밑돈 경우에 상기 발열수단을 오프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전발열 글라스장치.
  9.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펠체소자의 외주에는 커버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전발열 글라스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펠체소자의 분위측 표면에는 전열판이 설치되고 있으며 이 전열판은 상기 커버에 대해 분위기측 표면방향으로 돌출·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전발열 글라스장치.
KR1020040071113A 2003-09-08 2004-09-07 통전발열글라스장치 KR1008240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314891 2003-09-08
JP2003314891A JP3631487B1 (ja) 2003-09-08 2003-09-08 通電発熱ガラス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5911A true KR20050025911A (ko) 2005-03-14
KR100824094B1 KR100824094B1 (ko) 2008-04-21

Family

ID=344153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1113A KR100824094B1 (ko) 2003-09-08 2004-09-07 통전발열글라스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3631487B1 (ko)
KR (1) KR10082409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7467B1 (ko) * 2012-01-10 2014-06-17 주식회사 씨피이셀 냉난방 모듈을 갖는 시스템 창호
KR101522660B1 (ko) * 2013-10-31 2015-05-26 이찬행 복층유리의 내부 밀폐공기층 온도조절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밀폐공기층의 온도조절방법
JP2015115984A (ja) * 2013-12-09 2015-06-22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結露防止装置
CN103921506B (zh) * 2014-04-01 2015-08-05 中国建筑材料科学研究总院 一种智能防结露结霜玻璃
KR102420060B1 (ko) * 2022-01-25 2022-07-13 주식회사 유건알미늄 결로를 최소화할 수 있는 미서기창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2075B1 (ko) * 2001-12-01 2007-07-23 한국델파이주식회사 차량의 습도제어 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631487B1 (ja) 2005-03-23
JP2005082428A (ja) 2005-03-31
KR100824094B1 (ko) 2008-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3168734A1 (ja) 加熱装置
ATE376205T1 (de) Sitz mit temperaturregelung und belueftung, und sicherheitssystem fuer ein fahrzeug
US20210302068A1 (en) PTC Heater with Energy Save Function
KR100824094B1 (ko) 통전발열글라스장치
JP2010175404A (ja) X線分析装置
KR101684327B1 (ko) 열전소자 복합 특성 평가장치
US20140239078A1 (en) Thermostat Control System with IR Sensor
JPWO2013186904A1 (ja) 結露検知装置、冷却システム、及び冷却媒体流量制御方法
JP5615338B2 (ja) コンデンサ劣化診断装置、インバータ装置、及び家電機器
JPS60133329A (ja) 非接触式温度検出装置
JP2019003439A (ja) 熱感知器
KR101330107B1 (ko) 전기자동차용 공조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6549450B2 (ja) 熱感知器、及び熱感知器の制御方法
KR20060004315A (ko) 수질계측기용 항온장치
JP2020080665A (ja) ペット用温度調節装置
JPH0424353Y2 (ko)
CN201803467U (zh) 燃气热水器用电子式热敏传感防冻加热装置
KR20100029572A (ko) 열전소자모듈을 이용한 열교환장치
KR20190030070A (ko) 열전소자를 이용한 유체 온도조절장치
JPH11201957A (ja) 恒温槽
JPS6112523Y2 (ko)
KR200352329Y1 (ko) 차량용 프리히터
JP3600425B2 (ja) 電子レンジ
JPS63173943A (ja) ガス検知素子
JPH0332933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