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24911A - 차량의 냄새 경보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냄새 경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24911A
KR20050024911A KR1020030062145A KR20030062145A KR20050024911A KR 20050024911 A KR20050024911 A KR 20050024911A KR 1020030062145 A KR1020030062145 A KR 1020030062145A KR 20030062145 A KR20030062145 A KR 20030062145A KR 20050024911 A KR20050024911 A KR 200500249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smell
odor
sensor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21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59320B1 (ko
Inventor
류진수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621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9320B1/ko
Publication of KR200500249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49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93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932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98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display or indicating devices, e.g. voice simu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73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 B60H1/008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the input being air qual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73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 B60H1/00807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the input being a specific way of measuring or calculating an air or coolant tempera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21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ventilating, air admitting or air distributing devices
    • B60H1/00835Damper doors, e.g. position control
    • B60H1/00849Damper doors, e.g. position control for selectively commanding the induction of outside or inside ai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Fluid Adsorption Or Reactions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냄새 경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에 장착되어 차량 내,외부의 냄새발생을 감지하는 냄새센서와, 차량에 장착되어 차량의 온도를 센싱하는 온도센서와, 냄새센서의 센싱신호를 전송받아 냄새 발생부위가 차량의 외부로 판단되면 내외기 액츄에이터를 구동시켜 내기로 전환하며, 냄새 발생부위가 차량 내부로 판단되면 운전자에게 경고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온도센서의 센싱신호를 전달받아 임계치 이상이면 경고등을 점등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차량의 냄새 경보장치{SMELL WARNING DEVICE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냄새 경보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에서 발생되는 냄새 및 이상온도를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이상발생시 운전자에게 경보하도록 하여 안전운전을 도모하는 차량의 냄새 경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운전중에 타는 냄새가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차량 운전중 타는 냄새가 발생되면, 운전자는 타는 냄새가 차량 내부에서 발생하는지, 엔진룸에서 발생되는지 또는 차량과는 상관없는 차량 외부에서 발생한 냄새가 차량 내부로 유입되는지 판단할 수 없다.
전술한 바와 같이, 차량 실내에서 냄새가 발생될 경우 차량 실내 자동환기 시스템(AQS)은 외부의 공기오염정도를 측정하여 동작하기 때문에 그에 해당하는 대응을 하지 못한다. 또한, 트렁크 리드에 음식물과 같은 부패성 수화물을 넣고 기억하지 못해 썩는 것을 운전자에게 재대로 인식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차량에서 발생되는 냄새 및 이상온도를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이상발생시 운전자에게 경보하도록 하는 차량의 냄새 경보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차량의 냄새 경보장치는, 차량에 장착되어 차량 내,외부의 냄새발생을 감지하는 냄새센서; 상기 차량에 장착되어 차량의 온도를 센싱하는 온도센서; 및 상기 냄새센서의 센싱신호를 전송받아 냄새 발생부위가 차량의 외부로 판단되면 내외기 액츄에이터를 구동시켜 내기로 전환하며, 냄새 발생부위가 차량 내부로 판단되면 운전자에게 경고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온도센서의 센싱신호를 전달받아 임계치 이상이면 경고등을 점등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냄새센서는, 상기 차량 전방에 장착되어 차량 외부의 유해물질의 냄새를 감지하는 제1냄새샌서; 상기 차량의 엔진룸에 장착되어 엔진룸의 이상 냄새발생을 감지하는 제2냄새센서; 상기 차량의 실내에 장착되어 차량 실내의 이상 냄새발생을 감지하는 제3냄새센서; 및 상기 차량의 트렁크 리드에 장착되어 이상 냄새발생을 감지하는 제4냄새센서;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온도센서는, 상기 차량의 엔진룸, 알터네이터, 배기매니폴드 근접 위치 및 실내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온도센서의 센싱온도의 임계점은 차량 실내 100℃ 및 차량 엔진룸 20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냄새 경보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 1은 차량의 냄새 경보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차량의 냄새 경보장치(100)는, 차량에 장착되어 차량 내,외부의 냄새발생을 감지하는 냄새센서(10)와, 차량에 장착되어 차량의 온도를 센싱하는 온도센서(20)와, 냄새센서(10) 및 온도센서(20)의 센싱신호를 전달받아 이상온도 및 냄새발생시 경고등을 점등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30)를 구비한다.
상기 냄새센서(10)는 차량 전방에 장착되어 차량 외부의 유해물질의 냄새를 감지하는 제1냄새센서(11)와, 차량의 엔진룸에 장착되어 엔진룸의 이상 냄새발생을 감지하는 제2냄새센서(13)와, 차량의 실내에 장착되어 차량 실내의 이상 냄새발생을 감지하는 제3냄새센서(15)와, 차량의 트렁크 리드에 장착되어 이상 냄새발생을 감지하는 제4냄새센서(17)로 구비된다.
상기 제1냄새센서(11)는 차량의 전방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차량 외부의 대기 유해물질에 의한 냄새발생을 감지한다. 이러한 제1냄새센서(11)의 감지로 인해 차량 외부에서 발생된 냄새의 차량 내부 진입여부를 감지하도록 하여 제어부(30)로 전송한다. 상기 제2냄새센서(13)는 차량의 엔진룸에 장착되어 엔진룸의 이상 냄새발생을 감지하는 것으로서, 엔진룸의 화재로 인한 유독가스발생의 냄새를 감지하도록 하여 제어부(30)로 전송한다. 그리고 상기 제3냄새센서(15)는 차량의 실내에 장착되어 차량 내부의 배선의 합선 또는 기타화재로 인한 이상냄새 발생을 감지하여 제어부(30)로 전송한다. 또한 상기 제4냄새센서(17)는 차량의 트렁크 리드부에 장착되어 트렁크의 화재나 수화물의 부패된 냄새 발생을 감지하여 제어부(30)로 전송한다.
상기 온도센서(20)는 차량의 온도를 센싱하는 것으로서, 차량의 엔진룸, 알터네이터, 배기매니폴드 근접 위치 및 실내에 장착되어 그 각각의 온도를 센싱하여 제어부(30)로 전송한다.
상기 제어부(30)는 냄새센서(10)의 센싱신호를 전달받아 냄새의 발생위치가 차량 외부로 판단되면 내외기 액츄에이터(33)를 구동하여 내기로 전환함으로써, 외부 냄새가 차량으로 유입되지 못하도록 한다. 그리고 제어부(30)는 냄새센서(10)의 센싱신호를 통하여 냄새의 발생이 차량내부에서 발생되는 것으로 판단될 경우 경고등을 점등하여 운전자에게 경고한다. 또한, 제어부(30)는 온도센서(20)의 센싱신호를 전송받아 임계점이상 즉, 차량 실내온도 100℃ 이상일 경우 또는 엔진룸 온도 200℃ 이상일 경우에는 경고등(31)을 점등하여 운전자에게 경고한다. 이러한 경고등의 점등색은 냄새센서(10) 및 온도센서(20) 각각에 색을 달리하여 적용하도록 한다.
상기의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냄새 경보장치의 작용을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차량에 장착된 냄새센서(10)의 센싱신호를 전달을 통하여 냄새발생 유무를 판단한다.(S11)
그리고 제어부(30)는 차량에 다수개 장착된 냄새센서(10)의 센싱신호를 통하여 냄새 발생부위를 판단한다.(S12)
다음 제어부(30)는 냄새 발생위치가 차량 외부로 판단되면 내,외기 액추에이터를 구동하여 내기로 전환하여(S13) 냄새가 차량 내부로 유입되지 못하도록 한다.
다음, 제어부(30)는 냄새 발생위치가 차량 내부로 판단되면, 경보발생과 함게 외기로 전환한다.(S14)
이어서, 제어부(30)는 온도센서의 센싱신호를 전달받아 차량의 온도가 임계점 이상인지를 판단(S15)하여 즉, 차량 실내온도가 100℃ 이상 또는 차량 엔진룸의 온도가 200℃ 이상일 경우에는 경고등을 점등하여 운전자 경고를 실시한다.(S16)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냄새 경보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차량 운전자가 운전중에도 화재 및 트렁크 리드 등에 위치할 수 있는 음식물부패에 의한 냄새 발생위치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으며, 온도센서를 이용하여 화재등로 인한 이상온도를 감지하여 경보할 수 있음으로써 안전운행을 도모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과 균등한 범위에 속하는 다양한 변형예 또는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이어지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차량의 냄새 경보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차량의 냄새 경보장치의 동작 흐름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Claims (4)

  1. 차량에 장착되어 차량 내,외부의 냄새발생을 감지하는 냄새센서;
    상기 차량에 장착되어 차량의 온도를 센싱하는 온도센서; 및
    상기 냄새센서의 센싱신호를 전송받아 냄새 발생부위가 차량의 외부로 판단되면 내외기 액츄에이터를 구동시켜 내기로 전환하며, 냄새 발생부위가 차량 내부로 판단되면 운전자에게 경고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온도센서의 센싱신호를 전달받아 임계치 이상이면 경고등을 점등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냄새 경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냄새센서는,
    상기 차량 전방에 장착되어 차량 외부의 유해물질의 냄새를 감지하는 제1냄새샌서;
    상기 차량의 엔진룸에 장착되어 엔진룸의 이상 냄새발생을 감지하는 제2냄새센서;
    상기 차량의 실내에 장착되어 차량 실내의 이상 냄새발생을 감지하는 제3냄새센서; 및
    상기 차량의 트렁크 리드에 장착되어 이상 냄새발생을 감지하는 제4냄새센서;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냄새 경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센서는,
    상기 차량의 엔진룸, 알터네이터, 배기매니폴드 근접 위치 및 실내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냄새 경보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센서의 센싱온도의 임계점은 차량 실내 100℃ 및 차량 엔진룸 2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냄새 경보장치.
KR1020030062145A 2003-09-05 2003-09-05 차량의 냄새 경보장치 KR1005593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2145A KR100559320B1 (ko) 2003-09-05 2003-09-05 차량의 냄새 경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2145A KR100559320B1 (ko) 2003-09-05 2003-09-05 차량의 냄새 경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4911A true KR20050024911A (ko) 2005-03-11
KR100559320B1 KR100559320B1 (ko) 2006-03-15

Family

ID=372319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2145A KR100559320B1 (ko) 2003-09-05 2003-09-05 차량의 냄새 경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932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3582B1 (ko) 2009-07-13 2011-10-14 현대로템 주식회사 실외 화재 감지기를 구비한 철도차량
DE102020125848A1 (de) 2020-10-02 2022-04-07 Zf Cv Systems Global Gmbh Verfahren zum Erkennen einer Überhitzung eines Wälzlagers einer landwirtschaftlichen Maschine, Auswerteeinheit sowie landwirtschaftliche Maschine
DE102020125845A1 (de) 2020-10-02 2022-04-07 Zf Cv Systems Global Gmbh Verfahren zum Ermitteln eines Betriebszustandes eines Reifens eines Fahrzeuges, Auswerteeinheit, Fahrzeug sowie Verfahren zum Steuern des Fahrzeug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59320B1 (ko) 2006-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51301B2 (en) Environmental control system
KR20050024911A (ko) 차량의 냄새 경보장치
KR20150139741A (ko) 방향지시등 및 그 가변 순차점등방법
JP2009163657A (ja) 警報器
ES2792174T3 (es) Unidad de pantalla de autodiagnóstico
KR20160045260A (ko) 스마트키 시스템 및 그 위험상황 경보 방법
KR20180019949A (ko) 위험 상황 위치 알림 시스템 및 이를 가지는 해양구조물
KR20090034217A (ko) 선박의 네비게이션 라이트 제어 장치
EP0442853B1 (en) Self-contained apparatus for emergency lighting incorporating alarm systems for fire, gas and the like
KR100514820B1 (ko) 차량의 램프 점등 확인장치
KR940011939A (ko) 차량의 이상검출장치
KR200324757Y1 (ko) 조도 연동형 센서등
KR200178426Y1 (ko) 보일러의 전원 및 표시 제어 시스템
JP2007063990A (ja) 車両の衝突事故防止制御と装置
KR19980028815A (ko) 신호등 변환 감지장치 및 그 방법
KR100207913B1 (ko) 자동차 전장시스템의 자동제어장치
CN117119628A (zh) 一种隧道的照明系统、装置、方法及电子设备
KR100283327B1 (ko) 인질 이동 방지 장치
KR970039405A (ko) 범퍼의 충격완충장치
KR20220134368A (ko) 터널진입 차단경보 이중화 시스템 및 그 방법
KR19980069179A (ko) 자동차의 도어 열림 경보장치
KR19980046117U (ko) 자동차 클러치 폐일 감지장치
KR20200087450A (ko) 차량용 질식방지 능동제어시스템
KR100251198B1 (ko) 엔진 연구실의 보호장치
KR0136858Y1 (ko) 방범감지센서의 배터리상태 경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