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4368A - 터널진입 차단경보 이중화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터널진입 차단경보 이중화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4368A
KR20220134368A KR1020210039948A KR20210039948A KR20220134368A KR 20220134368 A KR20220134368 A KR 20220134368A KR 1020210039948 A KR1020210039948 A KR 1020210039948A KR 20210039948 A KR20210039948 A KR 20210039948A KR 20220134368 A KR20220134368 A KR 202201343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g
tunnel
blocking
controller
check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99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84562B1 (ko
Inventor
임기현
Original Assignee
예성산업개발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예성산업개발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예성산업개발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399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4562B1/ko
Publication of KR202201343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43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45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45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0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for guiding, warning or controlling traffic, e.g. delineator posts or milestones
    • E01F9/61Special features of delineator posts, e.g. with parts cantilevered toward the roadway or fixed vertically on a tilted surfac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96Overhead structures, e.g. gantries; Foundation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4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smoke, fire or coloured ga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ire Alarms (AREA)
  • Alarm Systems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화재나 교통사고 등이 발생된 터널의 차량 진입 차단경보를 이중화하여 차단막의 손상을 방지하면서 차단경보를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 터널진입 차단경보 이중화 시스템 및 그 방법이 개시된다. 터널진입 차단경보 이중화 시스템은, 풍속을 감지하는 풍도계와, 주변 조도를 감지하는 조도 센서와, 야간용 연기 발생기와 주간용 연기 발생기와, 조명광을 측향으로 출사하는 측향 조명장치와, 조명광을 상향으로 출사하는 상향 조명장치를 포함하는 터널진입 차단설비; 상기 전원공급판넬에서 제공되는 메인 전원에 기초하여 동작하고, 상기 터널진입 차단설비에 연결된 콘트롤러와, 상기 콘트롤러에 연결된 제1 이더넷 광컨버터와, 상기 전원공급판넬로부터 제공되는 전원을 저장하는 무정전 전원장치(UPS)와, 상기 콘트롤러에 연결된 이동통신모듈을 포함하는 현장제어설비; 및 상기 제1 이더넷 광컨버터에 TCP/IP으로 연결된 광분배함과, 풍속에 기초하여 차단막 또는 연기 및 조명을 차단경보로 활용하는 콘트롤러를 포함하는 통합제어설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터널진입 차단경보 이중화 시스템 및 그 방법{DUAL SYSTEM AND METHOD FOR TUNNEL ENTRY BLOCKING ALARM}
본 발명은 터널진입 차단경보 이중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화재나 교통사고 등이 발생된 터널의 차량 진입 차단경보를 이중화하여 차단막의 손상을 방지하면서 차단경보를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 터널진입 차단경보 이중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터널은 주행거리의 최단거리화 및 고속화를 위해 해당 지형에 대응하여 만들어지게 된다. 예를 들어, 터널은 주로 산 등을 관통하여 만들어지는 터널은 그 내부가 어둡고 공기소통이 원활치 못하므로 기본적으로 전등설비 및 공기환풍기 등이 설치된다. 근처의 전력설비를 이용하여 상기 전등설비의 점등이 이루어지게 되며, 상기 공기환풍기의 팬을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공기의 흐름을 유도함으로써 터널 내 공기를 환기시키고 있다.
그런데, 터널 내에서 누전 등으로 인해 화재 사고가 발생하였을 경우, 화염 및 유독가스 등의 발생으로 터널 내의 공기환기가 필수적으로 필요하게 되나, 실제적으로 화염에 의해 전등설비 및 공기환풍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선이 불타게 되어 전원공급이 어려워지게 된다. 이로 인해, 유독가스의 환기가 더욱 어려워지는 것이다.
이와 같이 터널내 사고가 있을 경우에는 원천적으로 터널 내 진입을 금지시키는 것이 가장 바람직할 것이다. 이에 터널입구 전방에 터널 내 진입을 금지하는 표시등을 설치하여 운용하고 있다. 그러나, 단순한 표시등 만으로는 터널 내 상황을 정확하게 알릴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심지어 표시등을 무시하고 터널 내로 진입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터널사고용 진입차단장치가 설치되어 운용되고 있다.
터널사고용 진입차단장치에 구비되는 차단막은 바람에 취약하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취약점을 보완하기 차단막에 바람이 통할 수 있는 통기공들을 형성하기도 한다. 그럼에도 여전히 바람에는 취약하다.
또한 차단막이 비록 하강하여 터널 내 사고를 알림 처리를 하더라도 이를 미처 인식하지 못하고 또는 이를 무시하고 터널 내에 진입하는 차량이 있기도 하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07565호(2018. 10. 05.)(터널용 전원이중화 자동전환 장비)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81068호(2020. 02. 19.)(터널 조명 관리 장치)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점에 착안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화재나 교통사고 등이 발생된 터널의 차량 진입 차단경보시 풍속에 기초하여 차단막을 이용한 차단경보 또는 연기발생기 및 조명장치를 이용한 차단경보로 그 차단경보를 이중화함으로써 차단막의 손상을 방지하면서 차단경보를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 터널진입 차단경보 이중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한 터널진입 차단경보 이중화 시스템을 이용한 터널진입 차단경보 이중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일실시예에 따른 터널진입 차단경보 이중화 시스템은, 풍속을 감지하는 풍도계와, 주변 조도를 감지하는 조도 센서와, 야간용 연기 발생기와 주간용 연기 발생기와, 조명광을 측향으로 출사하는 측향 조명장치와, 조명광을 상향으로 출사하는 상향 조명장치를 포함하는 터널진입 차단설비; 상기 전원공급판넬에서 제공되는 메인 전원에 기초하여 동작하고, 상기 터널진입 차단설비에 연결된 콘트롤러와, 상기 콘트롤러에 연결된 제1 이더넷 광컨버터와, 상기 전원공급판넬로부터 제공되는 전원을 저장하는 무정전 전원장치(Uninterruptible Power Supply, 이하 UPS)와, 상기 콘트롤러에 연결된 이동통신모듈을 포함하는 현장제어설비; 및 상기 제1 이더넷 광컨버터에 TCP/IP으로 연결된 광분배함과, 풍속에 기초하여 차단막 또는 연기 및 조명을 차단경보로 활용하는 콘트롤러를 포함하는 통합제어설비를 포함한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콘트롤러는, 터널 내에서 화재나 교통사고 발생으로 체크되고, 감지된 풍속이 상기 풍속-임계치를 미초과하는 것으로 체크되면, 차단막을 하강시킬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콘트롤러는, 터널 내에서 화재나 교통사고 발생으로 체크되고, 감지된 풍속이 상기 풍속-임계치를 초과하고, 상기 조도 센서에 의해 감지된 주변 조도가 조도-임계치를 미초과하는 것으로 체크되면, 야간용 연기 발생기, 조명광을 측향으로 출사하는 측향 조명장치, 및 조명광을 상향으로 출사하는 상향 조명장치를 작동시킬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터널진입 차단설비는, 안개를 감지하고, 감지된 안개신호를 상기 콘트롤러에 제공하는 안개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조도 센서에 의해 감지된 주변 조도가 상기 조도-임계치를 초과하고, 안개가 미감지되는 것으로 체크되면, 주간용 연기 발생기를 작동시킬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터널진입 차단설비는, 안개를 감지하고, 감지된 안개신호를 상기 콘트롤러에 제공하는 안개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안개 센서에 의해 안개가 감지되고, 감지된 안개가 상기 안개-임계치보다 작은 것으로 체크되면, 상기 야간용 연기 발생기, 상기 측향 조명장치 및 상기 상향 조명장치를 작동시킬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터널진입 차단설비는, 안개를 감지하고, 감지된 안개신호를 상기 콘트롤러에 제공하는 안개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안개 센서에 의해 감지된 안개가 안개-임계치보다 크거나 같은 것으로 체크되면, 상기 야간용 연기 발생기를 작동시킬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일실시예에 따른 터널진입 차단경보 이중화 방법은, 터널 내에서 화재나 교통사고 발생으로 체크되면, 감지된 풍속과 풍속-임계치를 비교하는 단계; 감지된 풍속이 상기 풍속-임계치를 미초과하는 것으로 체크되면, 차단막을 하강시키는 단계; 감지된 풍속이 상기 풍속-임계치를 초과하는 것으로 체크되면, 감지된 주변 주변 조도를 감지하는 단계; 감지된 주변 조도가 조도-임계치를 미초과하는 것으로 체크되면, 야간용 연기 발생기, 조명광을 측향으로 출사하는 측향 조명장치, 및 조명광을 상향으로 출사하는 상향 조명장치를 작동시키는 단계; 및 감지된 주변 조도가 상기 조도-임계치를 초과하는 것으로 체크되면, 주간용 연기 발생기를 작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실시예에서, 터널진입 차단경보 이중화 방법은, 상기 감지된 주변 조도가 상기 조도-임계치를 초과하는 것으로 체크되면, 안개 감지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 안개가 미감지되는 것으로 체크되면, 주간용 연기 발생기를 작동시키는 단계; 안개가 감지되는 것으로 체크되면, 감지된 안개와 안개-임계치를 비교하는 단계; 및 감지된 안개가 상기 안개-임계치보다 작은 것으로 체크되면, 상기 야간용 연기 발생기, 상기 측향 조명장치 및 상기 상향 조명장치를 작동시키는 단계; 및 감지된 안개가 상기 안개-임계치보다 크거나 같은 것으로 체크되면, 상기 야간용 연기 발생기를 작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터널진입 차단경보 이중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의하면, 화재나 교통사고 등이 발생된 터널의 차량 진입 차단경보시 풍속에 기초하여 차단막을 이용한 차단경보 또는 연기발생기 및 조명장치를 이용한 차단경보로 그 차단경보를 이중화함으로써 차단막의 손상을 방지하면서 차단경보를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널진입 차단경보 이중화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터널진입 차단경보 이중화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널진입 차단경보 이중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널진입 차단경보 이중화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터널진입 차단경보 이중화 시스템은 관리동(10)에 배치된 전원공급판넬(미도시) 및 통합제어설비(미도시)와, 상행선 도로상에 입설된 제1 터널진입 차단 지지대에 배치된 제1 통행제한설비(20)와, 하행선 도로상에 입설된 제2 터널진입 차단 지지대에 배치된 제2 통행제한설비(30)를 포함한다. 제1 통행제한설비(20)에는 후술되는 제1 터널진입 차단설비(120) 및 제1 현장제어설비(130)가 배치되고, 제2 통행제한설비(30)에는 후술되는 제2 터널진입 차단설비(220) 및 제2 현장제어설비(230)가 배치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터널진입 차단경보 이중화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터널진입 차단경보 이중화 시스템은 전원공급판넬(110), 터널진입 차단설비(120), 현장제어설비(130) 및 통합제어설비(140)를 포함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행선 도로가 관통하는 터널의 입구측에 배치 가능한 터널진입 차단설비(120) 및 현장제어설비(130)를 도시하고, 하행선 도로가 관통하는 터널의 입구측에 배치 가능한 터널진입 차단설비 및 현장제어설비에 대한 도시는 생략한다.
전원공급판넬(110)은 전원을 터널진입 차단설비(120) 및 현장제어설비(130)에 제공한다.
터널진입 차단설비(120)는 차단막(121a), 모터(121b), 경광등(122), 사이렌장치(123), 연기발생부(124), 조명부(125), CCTV(126), 화재감지센서(127), 풍도계(128), 조도 센서(129a) 및 안개 센서(129b)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차단막(121a)은 회전봉(미도시)에 감겨진다. 회전봉의 일측은 제1 지지부재에 의해 지지되면서 회전하고, 회전봉의 타측은 제2 지지부재에 의해 지지되면서 회전된다. 차단막(121a)의 일측, 특히, 상단이나 정면 등의 최측면에는 진입차량의 운전자들에게 경고에 대한 시선 유도를 위하여, 발광체를 포함하는 경광등(122)이나 경고음을 발하는 사이렌장치(123)가 더욱 구성될 수도 있다. 차단막(121a)은 그 재질을 그물 재질로 구성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차단막(121a)의 크기에 의해서 통상의 바람에도 펄럭임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펄럭임이 심한 경우 진입하는 차랑에게 효과적으로 경고의 표시를 전달할 수 없기 때문이다. 차단막(121a)에 새겨진 경고문고는 형광색의 글씨로 구성하여 시인성(시안성)을 보다 강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터(121b)는 상기 회전봉의 일단부에 연결되어 차단막(121a)의 승강을 위해 회전봉을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킨다. 모터(121b)는 구동축의 일단에 연결되고 인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인버터는 통상의 그것이면 충분하며 인입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회전방향과 등속 및 가속 운동 등을 제어할 수 있는 것이면 충분하다.
경광등(122)은 터널 진입을 경고하기 위해 단속적 광을 출력한다. 경광등(122)은 차단막(121a)에 부착될 수도 있고, 터널진입차단 시스템의 지지대에 부착될 수도 있다. 상기 지지대는 터널의 진입로에 폭방향으로 장착된 통상적인 구조물로서, 터널 진입로의 도로변에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된 다수개의 기둥부재, 및 상기 기둥부재들의 사이에 수평방향으로 구성되어 상기 기둥부재를 상호 연결하는 가로부재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지지대는 터널의 구조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구성할 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사이렌장치(123)는 터널 진입을 경보하기 위해 음향을 출력한다. 사이렌장치(123)는 차단막(121a)에 부착될 수도 있고, 터널진입차단 시스템의 지지대에 부착될 수도 있다.
연기발생부(124)는 터널 외부에 배치되어 현장제어설비(130)의 제어에 따라 연기를 발생시킨다. 즉, 연기발생부(124)는 상황 전파시 연기를 인위적으로 발생시켜 먼 거리에서 확인할 수 있는 장치로서, 상황 전파시 색상이 혼재된 연기를 발생할 수 있다. 연기발생부(124)는 야간용 연기를 발생하는 야간용 연기발생기 및 주간용 연기를 발생하는 주간용 연기발생기를 포함할 수 있다. 야간용 연기는 태양광이 존재하지 않는 관계로 컬러의 조합으로 밝은 색을 가질 수 있다. 주간용 연기는 태양광이 존재하는 관계로 컬러의 조합으로 어두운 색을 가질 수 있다. 일례에서 야간용 연기발생기 및 주간용 연기발생기는 터널진입차단 시스템의 지지대에 부착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야간용 연기발생기 및 주간용 연기발생기는 도로나 도로에 근접하는 영역에 매몰될 수도 있다.
조명부(125)는 터널 외부에 배치되어 발생되는 연기를 비추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조명부(125)는 조명광을 측향을 출사하는 측향 조명장치 및 조명광을 상향으로 출사하는 상향 조명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측향 조명장치 및 상향 조명장치는 터널진입차단 시스템의 지지대에 부착될 수 있다.
CCTV(126)는 터널 내에 배치되어 터널 내의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현장제어설비(130)에 제공한다.
화재감지센서(127)는 터널 내에 배치되어 터널 내 화재 발생 여부를 감지하고 감지된 화재 발생 신호를 현장제어설비(130)에 제공한다.
풍도계(128)는 터널 외부에 배치되어 바람의 풍속을 측정하고 측정된 풍속 신호를 현장제어설비(130)에 제공한다. 풍도계(128)는 터널진입차단 시스템의 지지대에 부착될 수 있다.
조도 센서(129a)는 터널 외부에 배치되어 주변 조도를 감지하고 감지된 조도 감지 신호를 현장제어설비(130)에 제공한다. 조도 센서(129a)는 터널진입차단 시스템의 지지대에 부착될 수 있다.
안개 센서(129b)는 터널 외부에 배치되어 안개의 발생 여부를 감지하고 감지된 안개 감지 신호를 현장제어설비(130)에 제공한다. 안개 센서(129b)는 터널진입차단 시스템의 지지대에 부착될 수 있다.
현장제어설비(130)는 콘트롤러(131), 제1 이더넷 광컨버터(132), 이동통신모듈(133), 무정전 전원장치(Uninterruptible Power Supply, 이하 UPS)(134), 및 전원공급스위치(135)를 포함하고, 터널진입 차단설비(120)와 통합제어설비 간에 배치되어 운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콘트롤러(131)는 터널진입 차단설비(120)에 구성되는 구성요소들과 양방향 연결되고, 제1 이더넷 광컨버터(132) 및 이동통신모듈(133)과 양방향 연결되어, 터널진입 차단설비(120)에 구성되는 구성요소들로부터 각종 감지신호(상태신호 포함)를 제1 이더넷 광컨버터(132) 및 이동통신모듈(133)에 제공한다. 또한 제1 이더넷 광컨버터(132)에서 제공되는 신호 또는 이동통신모듈(133)에서 제공되는 신호를 제공받아 내부적인 처리를 통해 터널진입 차단설비(120)에 구성되는 구성요소들 중 하나의 구성요소에 제어신호를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서, 콘트롤러(131)는, 터널 내에서 화재나 교통사고 발생으로 체크되고, 풍도계(128)에 의해 감지된 풍속이 상기 풍속-임계치를 미초과하는 것으로 체크되면, 차단막을 하강시킬 수 있다.
또한 콘트롤러(131)는, 터널 내에서 화재나 교통사고 발생으로 체크되고, 풍도계(128)에 의해 감지된 풍속이 상기 풍속-임계치를 초과하고, 감지된 주변 조도가 조도-임계치를 미초과하는 것으로 체크되면, 야간용 연기 발생기, 조명광을 측향으로 출사하는 측향 조명장치, 및 조명광을 상향으로 출사하는 상향 조명장치를 작동시킬 수 있다.
또한 콘트롤러(131)는, 감지된 주변 조도가 상기 조도-임계치를 초과하고, 안개가 미감지되는 것으로 체크되면, 주간용 연기 발생기를 작동시킬 수 있다.
또한 콘트롤러(131)는, 안개 센서(129b)에 의해 안개가 감지되고, 감지된 안개가 상기 안개-임계치보다 작은 것으로 체크되면, 야간용 연기 발생기, 측향 조명장치 및 상향 조명장치를 작동시킬 수 있다.
또한 콘트롤러(131)는, 안개 센서(129b)에 의해 감지된 안개가 상기 안개-임계치보다 크거나 같은 것으로 체크되면, 야간용 연기 발생기를 작동시킬 수 있다.
제1 이더넷 광컨버터(132)는 콘트롤러(131)와 통합제어설비 사이에 양방향 유선 연결되어, 콘트롤러(131)에서 제공되는 이더넷 신호를 광신호로 변환하여 유선라인을 통해 통합제어설비에 제공하거나 통합제어설비에서 제공되는 광신호를 이더넷 신호로 변환하여 콘트롤러(131)에 제공한다.
이동통신모듈(133)은 콘트롤러(131)와 통합제어설비 사이에 양방향 무선 연결되어, 콘트롤러(131)부터 제공되는 감지신호를 통합제어설비에 제공하고, 통합제어설비에서 제공되는 제어신호를 콘트롤러(131)에 제공한다.
UPS(134)는 전원공급판넬(110)로부터 제공되는 전원을 저장한다.
전원공급스위치(135)는 메인전원공급부(미도시)에서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된 것으로 체크되면, UPS(134)에 저장된 전원을 콘트롤러(131), 제1 이더넷 광컨버터(132), 및 이동통신모듈(133)에 제공한다.
통합제어설비는 전원공급판넬(110)로부터 제공되는 전원에 기초하여 동작하고, 소방설비(142), PC(144), 광분배함(146), 및 스마트폰(148)을 포함하고 현장제어설비(130)에서 이격된 위치의 관리동에 배치되어 운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소방설비(142)는 터널진입 차단설비(120)를 통해 화재가 감지됨에 따라 화재신호를 출력하고 발생된 화재진압을 위한 동작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소방설비(142)는 화재가 감지됨에 따라 관리동내에 사이렌 등을 통해 화재 알림을 처리하고, 연결된 소방서에 화재발생신고를 접수하는 등의 동작을 수행한다.
PC(144)는 관리자의 조작을 위한 제어프로그램(도면부호 미부여)을 탑재하고 관리자에게 터널 진입차단 시스템의 상태 확인을 위한 화면과 동작 제어를 위한 화면을 제공한다. 관리자는 제공되는 화면을 통해 터널 진입차단 시스템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고, 터널 진입차단 시스템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광분배함(146)은 제2 이더넷 광컨버터(도면부호 미부여)를 포함하고, 현장제어설비(130)의 제1 이더넷 광컨버터(132)에 양방향 유선 연결된다. 통상적으로, 제1 이더넷 광컨버터(132)와 제2 이더넷 광컨버터는 TCP/IP 프로토콜을 통해 관리 데이터 및 제어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스마트폰(148)은 관리자의 조작을 위한 제어프로그램(도면부호 미부여)을 탑재하고 관리자에게 터널 진입차단 시스템의 상태 확인을 위한 화면과 동작 제어를 위한 화면을 제공한다. 즉, 스마트폰(148)은 이동통신모듈(133)과 무선 연결되어 이동통신모듈(133)로부터 감시를 위한 감시 데이터를 수신하고 터널진입 차단설비(120)의 동작 제어를 위한 제어 데이터를 이동통신모듈(133)에 제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널진입 차단경보 이중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콘트롤러(131)는 차량들이 통과하는 터널 내에서 화재발생 여부나 교통사고 발생 여부 등을 체크한다(단계 S110).
단계 S110에서 터널 내에서 화재나 교통사고 발생 또는 교통사고 발생 등으로 체크되면, 콘트롤러(131)는 감지된 풍속과 풍속-임계치를 비교한다(단계 S120). 상기 풍속-임계치는 차단막이 하강되었을 때 파손될 수 있는 정도의 풍속을 의미하며, 관리자에 의해 설정이 가능하다.
단계 S120에서 감지된 풍속이 상기 풍속-임계치를 미초과하는 것으로 체크되면, 콘트롤러(131)는 차량진입의 차단을 경고하는 문구 등이 인쇄된 차단막을 하강시킨다(단계 S122).
단계 S120에서 감지된 풍속이 상기 풍속-임계치를 초과하는 것으로 체크되면, 콘트롤러(131)는 터널진입 차단경보 이중화 시스템의 주변 조도를 감지한다(단계 S130).
콘트롤러(131)는 단계 S130에서 감지된 조도가 기 저장된 조도-임계치를 초과하는지의 여부를 체크한다 (단계 S140). 상기 조도-임계치는 관리자에 의해 설정이 가능하다.
단계 S140에서 감지된 조도가 조도-임계치를 미초과하는 것으로 체크되면, 콘트롤러(131)는 야간용 연기 발생기, 조명광을 측향으로 출사하는 측향 조명장치, 및 조명광을 상향으로 출사하는 상향 조명장치를 작동시킨다(단계 S142). 이에 따라, 비록 차단막은 하강되지 않으나 야간용 연기를 발생시켜 터널내에서 긴급한 상황이 발생되었음을 터널에 진입하려는 차량들에게 경고 알림 처리를 수행하고 부가적으로 상향 조명장치의 작동을 통해 야간용 연기가 보다 잘 시인될 수 있도록 연기를 비추고, 또한 측향 조명장치의 작동을 통해 서로 마주하는 측면에서 발생되는 야간용 연기가 보다 잘 시인될 수 있도록 연기를 비춘다.
단계 S140에서 감지된 조도가 상기 조도-임계치를 초과하는 것으로 체크되면, 콘트롤러(131)는 안개 감지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S152).
단계 S152에서 안개가 미감지되는 것으로 체크되면, 콘트롤러(131)는 주간용 연기 발생기를 작동시킨다(단계 S160).
단계 S152에서 안개가 감지되는 것으로 체크되면, 콘트롤러(131)는 감지된 안개와 기 저장된 안개-임계치를 비교한다(단계 S170). 상기 안개-임계치는 관리자에 의해 설정이 가능하다.
단계 S170에서 감지된 안개가 상기 안개-임계치보다 큰 것으로 체크되면, 단계 S142의 동작을 수행한다.
단계 S170에서 감지된 안개가 상기 안개-임계치보다 작거나 같은 것으로 체크되면, 콘트롤러(131)는 상기 야간용 연기 발생기를 작동시킨다(단계 S172).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화재나 교통사고 등이 발생된 터널의 차량 진입 차단경보시 풍속에 기초하여 차단막을 이용한 차단경보 또는 연기발생기 및 조명장치를 이용한 차단경보로 그 차단경보를 이중화함으로써 차단막의 손상을 방지하면서 차단경보를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관리동 20 : 제1 통행제한설비
30 : 제2 통행제한설비 110 : 전원공급판넬
120 : 제1 터널진입 차단설비 121a : 차단막
121b : 모터 122 : 경광등
123 : 사이렌장치 124 : 연기발생부
125 : 조명부 126 : CCTV
127 : 화재감지센서 128 : 풍도계
129a : 조도 센서 129b : 안개 센서
130 : 제1 현장제어설비 131 : 콘트롤러
132 : 제1 이더넷 광컨버터 133 : 이동통신모듈
134 : 무정전 전원장치(UPS) 135 : 전원공급스위치
220 : 제2 터널진입 차단설비 230 : 제2 현장제어설비
140 : 통합제어설비 142 : 소방설비
144 : PC 146 : 광분배함
148 : 스마트폰

Claims (8)

  1. 풍속을 감지하는 풍도계와, 주변 조도를 감지하는 조도 센서와, 야간용 연기 발생기와 주간용 연기 발생기와, 조명광을 측향으로 출사하는 측향 조명장치와, 조명광을 상향으로 출사하는 상향 조명장치를 포함하는 터널진입 차단설비;
    상기 전원공급판넬에서 제공되는 메인 전원에 기초하여 동작하고, 상기 터널진입 차단설비에 연결된 콘트롤러와, 상기 콘트롤러에 연결된 제1 이더넷 광컨버터와, 상기 전원공급판넬로부터 제공되는 전원을 저장하는 무정전 전원장치(Uninterruptible Power Supply, 이하 UPS)와, 상기 콘트롤러에 연결된 이동통신모듈을 포함하는 현장제어설비; 및
    상기 제1 이더넷 광컨버터에 TCP/IP으로 연결된 광분배함과, 풍속에 기초하여 차단막 또는 연기 및 조명을 차단경보로 활용하는 콘트롤러를 포함하는 통합제어설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진입 차단경보 이중화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러는, 터널 내에서 화재나 교통사고 발생으로 체크되고, 상기 풍도계에 의해 감지된 풍속이 풍속-임계치를 미초과하는 것으로 체크되면, 차단막을 하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진입 차단경보 이중화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러는, 터널 내에서 화재나 교통사고 발생으로 체크되고, 감지된 풍속이 상기 풍속-임계치를 초과하고, 상기 조도 센서에 의해 감지된 주변 조도가 조도-임계치를 미초과하는 것으로 체크되면, 야간용 연기 발생기, 조명광을 측향으로 출사하는 측향 조명장치, 및 조명광을 상향으로 출사하는 상향 조명장치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진입 차단경보 이중화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널진입 차단설비는, 안개를 감지하고, 감지된 안개신호를 상기 콘트롤러에 제공하는 안개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조도 센서에 의해 감지된 주변 조도가 상기 조도-임계치를 초과하고, 안개가 미감지되는 것으로 체크되면, 주간용 연기 발생기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진입 차단경보 이중화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널진입 차단설비는, 안개를 감지하고, 감지된 안개신호를 상기 콘트롤러에 제공하는 안개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안개 센서에 의해 안개가 감지되고, 감지된 안개가 상기 안개-임계치보다 작은 것으로 체크되면, 상기 야간용 연기 발생기, 상기 측향 조명장치 및 상기 상향 조명장치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진입 차단경보 이중화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널진입 차단설비는, 안개를 감지하고, 감지된 안개신호를 상기 콘트롤러에 제공하는 안개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안개 센서에 의해 감지된 안개가 안개-임계치보다 크거나 같은 것으로 체크되면, 상기 야간용 연기 발생기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진입 차단경보 이중화 시스템.
  7. 터널 내에서 화재나 교통사고 발생으로 체크되면, 감지된 풍속과 풍속-임계치를 비교하는 단계;
    감지된 풍속이 상기 풍속-임계치를 미초과하는 것으로 체크되면, 차단막을 하강시키는 단계;
    감지된 풍속이 상기 풍속-임계치를 초과하는 것으로 체크되면, 감지된 주변 주변 조도를 감지하는 단계;
    감지된 주변 조도가 조도-임계치를 미초과하는 것으로 체크되면, 야간용 연기 발생기, 조명광을 측향으로 출사하는 측향 조명장치, 및 조명광을 상향으로 출사하는 상향 조명장치를 작동시키는 단계; 및
    감지된 주변 조도가 상기 조도-임계치를 초과하는 것으로 체크되면, 주간용 연기 발생기를 작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진입 차단경보 이중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된 주변 조도가 상기 조도-임계치를 초과하는 것으로 체크되면, 안개 감지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
    안개가 미감지되는 것으로 체크되면, 주간용 연기 발생기를 작동시키는 단계;
    안개가 감지되는 것으로 체크되면, 감지된 안개와 안개-임계치를 비교하는 단계; 및
    감지된 안개가 상기 안개-임계치보다 작은 것으로 체크되면, 상기 야간용 연기 발생기, 상기 측향 조명장치 및 상기 상향 조명장치를 작동시키는 단계; 및
    감지된 안개가 상기 안개-임계치보다 크거나 같은 것으로 체크되면, 상기 야간용 연기 발생기를 작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진입 차단경보 이중화 방법.
KR1020210039948A 2021-03-26 2021-03-26 터널진입 차단경보 이중화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4845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9948A KR102484562B1 (ko) 2021-03-26 2021-03-26 터널진입 차단경보 이중화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9948A KR102484562B1 (ko) 2021-03-26 2021-03-26 터널진입 차단경보 이중화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4368A true KR20220134368A (ko) 2022-10-05
KR102484562B1 KR102484562B1 (ko) 2023-01-06

Family

ID=835963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9948A KR102484562B1 (ko) 2021-03-26 2021-03-26 터널진입 차단경보 이중화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4562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6647A (ko) * 1999-09-03 2000-02-07 정종승 터널환경계측, 화재감시 및 조명제어 통합시스템
KR20060088153A (ko) * 2005-02-01 2006-08-04 주식회사 포이즈앤컴팩트 터널진입 경고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60011929A (ko) * 2014-07-23 2016-02-02 정호조 재난상황 연출 장치
KR101907565B1 (ko) 2017-04-03 2018-12-10 전오식 터널용 전원이중화 자동전환 장비
KR20190026503A (ko) * 2017-09-05 2019-03-13 (주)주성지앤비 피난 가이드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피난 가이드 시스템
KR102081068B1 (ko) 2019-10-22 2020-02-25 (주)에스에이치아이티 터널 조명 관리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6647A (ko) * 1999-09-03 2000-02-07 정종승 터널환경계측, 화재감시 및 조명제어 통합시스템
KR20060088153A (ko) * 2005-02-01 2006-08-04 주식회사 포이즈앤컴팩트 터널진입 경고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60011929A (ko) * 2014-07-23 2016-02-02 정호조 재난상황 연출 장치
KR101907565B1 (ko) 2017-04-03 2018-12-10 전오식 터널용 전원이중화 자동전환 장비
KR20190026503A (ko) * 2017-09-05 2019-03-13 (주)주성지앤비 피난 가이드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피난 가이드 시스템
KR102081068B1 (ko) 2019-10-22 2020-02-25 (주)에스에이치아이티 터널 조명 관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4562B1 (ko) 2023-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64049B2 (en) Electronic traffic alert system
RU2544737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эвакуации и указатель пути эвакуации для него
KR100691742B1 (ko) 터널진입 경고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847153B1 (ko) 도로 등 토목용터널 진입차단장치
KR102290963B1 (ko) 스마트 안전관리 지주 장치
KR101568349B1 (ko) 터널 화재 시 자동차 진입 차단 장치
KR20110059161A (ko) 지능형 피난 레이저 유도 시스템
KR101682061B1 (ko) 도로경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430592B1 (ko)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 기반의 스마트 led 도로 표지판 관리 시스템
KR20110012017A (ko) 가로등
KR20200104739A (ko) 작업자 안전 관리를 위한 작업용 철도 차량 접근 원격 알람 시스템
JP2011034433A (ja) 閉鎖空間照明装置、閉鎖空間照明システム
CN215867976U (zh) 一种基于多维传感的公路隧道智能化巡检机器人系统
KR102484562B1 (ko) 터널진입 차단경보 이중화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605880B1 (ko) 조명장치
KR200489836Y1 (ko) 주차장용 입출고 경보 시스템
KR20180013076A (ko) 보안프로토콜을 적용한 터널 암순응구간 장애물감지 시스템
KR102515036B1 (ko) 가변형 표시 장치를 구비한 안전운전 유도 정보 표출 시스템 및 그 표출 방법
KR101915412B1 (ko) 차량의 정차 상태를 알려주는 가로등 시스템
CN110488681A (zh) 一种基于网络的地下通道安全防范系统
KR102484564B1 (ko) 터널진입차단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70044894A (ko) 차량 유도용 신호 수단을 갖는 회전형 교차로 제어장치 및 방법
KR20160012358A (ko) 조명장치의 제어 방법
CN111341118B (zh) 一种在特大桥上对团雾进行预警的系统和方法
KR200335062Y1 (ko) 터널내 화재시 차량 진입 차단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