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23503A - 잔반처리기용 교반조의 온도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잔반처리기용 교반조의 온도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23503A
KR20050023503A KR1020030059770A KR20030059770A KR20050023503A KR 20050023503 A KR20050023503 A KR 20050023503A KR 1020030059770 A KR1020030059770 A KR 1020030059770A KR 20030059770 A KR20030059770 A KR 20030059770A KR 20050023503 A KR20050023503 A KR 200500235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water
tank
water tank
temperature
stir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97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규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닉스디지컴
엔씨엘환경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닉스디지컴, 엔씨엘환경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닉스디지컴
Priority to KR10200300597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23503A/ko
Publication of KR200500235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3503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1/00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 C12M1/02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with agitation means; with heat exchange mea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1/00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 C12M1/34Measuring or testing with condition measuring or sensing means, e.g. colony coun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1/00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 C12M1/36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including condition or time responsive control, e.g. automatically controlled fermen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41/00Means for regulation, monitoring, measurement or control, e.g. flow regulation
    • C12M41/12Means for regulation, monitoring, measurement or control, e.g. flow regulation of tempera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20Waste processing or sepa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잔반처리기용 교반조의 온도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잔반처리기 몸체의 내부에 마련된 교반조에 투입된 잔반을 교반 및 분해하는 잔반처리기에 있어서, 상기 교반조의 일측에 장착되며 그 내부에는 교반조에 열량을 전달해 주도록 온수가 저장되는 온수탱크와, 이 온수탱크의 내부에 설치되어 온수를 가열하는 히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하면, 교반조의 배면에 온수가 저장된 온수탱크를 장착하여 교반조 내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켜 줌으로써 교반조 내에 배양된 미생물의 활성을 최적화시켜 주어 잔반처리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잔반처리기용 교반조의 온도조절장치{TEMPERATURE REGULATION APPARATUS OF LEFTOVER FOOD DEALING DEVICE}
본 발명은 잔반처리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교반조 내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해 주는 잔반처리기용 교반조의 온도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 가정 또는 음식점 등에서는 매일 잔반(폐기 음식물)이 배출되는데, 이렇게 배출된 잔반의 일부는 가축의 사료로 이용되고 있으나, 잔반의 운반 및 취급이 난이하여 대부분의 잔반은 단순히 거름망을 통하여 물기만을 걸러낸 후 매립하거나 소각하는 방법을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전자의 매립처리방식은 질소, 유황 화합물에 의한 악취를 발생하게 되고, 고농도 침출수 등으로 대기, 수질, 토양, 지하수의 심각한 오염을 초래한다.
그리고 후자의 소각처리방식을 위해서는 대용량의 소각로 설비가 요구되며, 소각시 대기 중으로 방출되는 유해물질로 인하여 대기환경이 오염될 뿐만 아니라 음식물쓰레기 자체의 낮은 열량과 많은 수분 함유량으로 인해 소각효율이 저하되고, 그로 인해 처리비용이 만만치 않게 소요되는 비경제적인 결함이 있다. 또한, 잔반의 불완전연소로 인해 다이옥신 등 각종 유해물질이 배출될 우려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근래에는 각 가정과 음식점에서도 자체적으로 잔반을 처리할 수 있도록 여러 종류의 잔반처리기가 제공되고 있으며, 현재 활용되고 있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방식은 크게 가열에 의한 소각식과 미생물을 이용한 발효식의 두가지 형태를 들 수 있다.
그 중 현재 개발되어 있는 소각식 처리장치는 음식물 쓰레기에 대한 직접가열을 행하는 형태로서 처리대상 음식물 쓰레기중에 수분함량이 높은 때에는 그 처리비용이 많이 들고 소각시 발생되는 연기와 냄새로 인한 2차적인 공해요인에 의해 아직까지는 널리 활용되고 있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다음, 발효식 처리장치는 현재 다양한 형태의 제품이 개발되어 시중에 출하되고 있는 바, 이는 음식물 쓰레기에 대한 분해특성을 지닌 미생물을 음식물 쓰레기와 함께 교반조 내부에 장입한 후 교반조 내부의 온도, 습도 및 영상상태 등의 분위기를 제어하여 음식물 쓰레기의 분해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음식물 쓰레기의 부피가 축소되도록 하는 형태를 취하고 있다.
이러한 발효식 잔반처리장치는 교반조 내부에 장입된 미생물의 증식, 활성 등을 향상시키기 위해 교반조의 일측에 별도의 발열장치가 장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종래의 발효식 잔반처리장치에서는 상기 발열장치로부터 발생된 열량이 교반조 내에 고르게 분배되지 못하므로 교반조 내에 장입된 미생물들의 증식 및 활성 등을 도모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잔반처리 작업을 진행하는 데에도 그 처리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교반조 내부에 고르게 열량을 분배함으로써 잔반을 분해하기 위한 미생물들의 활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잔반처리기용 교반조의 온도조절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잔반처리기 몸체의 내부에 마련된 교반조에 투입된 잔반을 교반 및 분해하는 잔반처리기에 있어서, 상기 교반조의 일측에 장착되며 그 내부에는 교반조에 열량을 전달해 주도록 온수가 저장되는 온수탱크와, 이 온수탱크의 내부에 설치되어 온수를 가열하는 히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잔반처리기용 교반조의 온도조절장치에 대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에 적용된 잔반처리기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잔반처리기는 상면에 잔반을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101)가 형성되어 있는 몸체(100)를 가지며, 상기 투입구(101)의 일측에는 커버(110)가 개폐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상기 몸체(100)의 전면 일측에는 잔반처리시 그 운전 및 각종 제어를 위한 제어부(140)가 마련된다.
상기 커버(110)는 몸체(100)의 투입구(101)에 개폐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교반조(120)로 투입된 잔반의 처리작업시 몸체(100) 내부를 밀폐시켜 준다.
한편,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00)의 내부 중앙에는 미생물이 배양됨과 아울러 잔반을 처리하기 위한 소정의 내용적을 가진 교반조(120)가 마련되고, 이 교반조(120)의 바닥에는 잔반의 처리작업시 발생되는 수분을 배출하기 위해 다수의 배수공이 형성된 배수부(121)가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교반조(120)의 하측에는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어 액화된 액상의 유체가 배수부(121)로부터 낙하될 때 낙하된 유체를 일시 저장하였다가 배출하도록 낙수조(130)가 마련된다.
한편, 상기 교반조(120)의 상단에는 횡방향으로 급수관(210)이 결합되고, 이 급수관(210)에는 소정 간격으로 다수의 분사노즐(220)이 이격 설치된다. 따라서, 교반조(120)에 잔반을 투입하면 급수관(210)을 통해 물이 교반조(120)로 투입됨으로써 미생물의 배양에 적합한 습도를 유지시켜 준다.
그리고 상기 교반조(120)의 일측에는 산소공급구가 마련되며, 이 산소공급구에는 에어컴프레셔(310)의 작동에 의해 발생된 산소를 교반조(120) 내에 공급하도록 산소공급관(320)이 연결된다. 따라서, 교반조(120) 내에 공급된 산소는 미생물의 활성을 최적화시켜 주게 된다.
또한, 상기 교반조(120)에는 횡방향으로 교반축(410)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이 교반축(410)에는 교반조(120) 내부로 투입된 잔반을 교반 및 분해시켜 주는 교반날개(도시 생략)가 직교되도록 결합된다.
상기 교반축(410)의 끝단부는 교반조(120)의 외측으로 관통되며, 그 끝단부에는 구동모터(510)로부터 발생된 회전력에 의해 연결체인(550)으로 구동스프라킷(530)과 동시에 연동하는 종동스프라킷(540)이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전원을 인가하여 구동모터(510)를 기동시키면 구동스프라킷(530)이 일측 방향으로 회전하고, 이 구동스프라킷(530)에 연결체인(550)으로 결합된 종동스프라킷(540)이 회전하게 되며, 결국 종동스프라킷(540)에 일단이 결합된 교반축(410)이 회전하면서 교반날개(420)는 교반조(120) 내에 투입된 잔반을 교반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교반조(120)의 일측에 교반조(120) 내부의 온도를 적절하게 유지시켜 줌으로써 교반조(120) 내에 배양된 미생물들의 활성을 최적화시켜 줄 수 있도록 온도조절장치(600)가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온도조절장치(600)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교반조(40)의 후방에 장착되는 온수탱크(610)와, 이 온수탱크(610)의 내부에 설치되는 히터(620)를 포함한다.
상기 온수탱크(610)는 내부에 적정량의 온수가 저장되도록 함체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온수탱크(610)는 교반조(120) 내부에 열량을 균일하게 전달할 수 있도록 교반조(120)의 배면에 최대한의 접촉면적을 가지도록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온수탱크(610)의 일측면에는 온수탱크의 청소나 잔반처리기의 운전 정지 등의 상황에 따라 그 내부에 저장된 온수를 배출하기 위한 배수공(611)이 형성되어 있고, 이 배수공(611)에는 배수밸브(612)가 결합되어 상기 배수공(611)을 개폐하게 된다.
또한, 상기 온수탱크(610)의 상면에는 온수탱크(610)에 저장된 온수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감지센서(614)가 마련되며, 이 온도감지센서(614)에 감지된 신호는 잔반처리기 몸체(100)의 전면에 마련된 제어부(140)로 전달되고, 상기 제어부(140)는 전달받은 신호에 따라 설정 온도까지 온수가 가열되도록 히터(620)를 가동시키고, 히터(620)의 지속적인 가열에 따라 온수가 설정 온도에 도달한 경우에는 온도감지센서(614)로부터 제어부(140)에 신호를 전달하여 히터(620)의 가동을 중지시키게 된다.
상기 히터(620)는 대략 "ㄱ"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온수탱크(610)의 상측에 형성된 결합공(도시 생략)을 통해 삽입된 후 온수탱크(610) 내부에 위치되어 온수를 지속적으로 가열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히터(620)의 일단부에는 히터결합구(621)가 구비되어 상기 결합공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한편, 상기 온수탱크(600)의 내부에는 히터(620)에 의해 온수가 가열되면서 수증기가 발생하게 되며, 이러한 수증기를 적절하게 배출하지 않을 경우에는 온수탱크(600) 내부에 압력이 누적됨에 따라 온수탱크(600)가 파열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상기 온수탱크(600)의 상측에는 히터(620)에 의해 온수가 가열될 때 발생하는 수증기를 배출할 수 있도록 배기공(613)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히터(620)에서 발생된 열량은 온수탱크(600) 내부에 저장된 온수를 가열하고, 소정 온도로 가열된 온수들은 교반조(120)의 배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교반조(120)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해 준다.
즉, 본 발명에서는 교반조(120) 내에 배양된 미생물은 40∼60℃에서 최적의 활성을 보여 주므로, 온수탱크(610)에 저장된 온수는 그보다 높은 온도로 가열된 상태로 교반조(120)에 열량을 전달하게 된다. 이 때, 본 발명에서는 온수의 온도가 85℃가 될 경우 이 온도를 최대임계온도로 설정하고, 온도감지센서(614)는 온수가 최대임계온도에 도달한 경우 제어부(140)에 신호를 전달하면, 제어부(140)는 히터(620)의 가동을 중지시켜 온수의 온도가 더 이상 증가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교반조(40) 내의 호기성 미생물은 항상 최적화된 온도에서 활발하게 증식되므로, 교반조(120) 내에 투입된 잔반은 그 처리 효율이 극대화될 수 있는 것이다.
도 4에서 미설명부호 (122)는 교반조(120) 내의 온도를 감지하여 제어부(140)로 신호를 전달해 주는 온도감지센서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교반조의 배면에 온수가 저장된 온수탱크를 장착하여 교반조 내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켜 줌으로써 교반조 내에 배양된 미생물의 활성을 최적화시켜 주어 잔반처리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잔반처리기의 외관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잔반처리기를 일부 절개하여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잔반처리기를 일측면에서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온도조절장치가 장착된 잔반처리기의 교반조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온도조절장치가 장착된 잔반처리기의 교반조의 배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온도조절장치가 장착된 잔반처리기의 교반조의 평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잔반처러기 몸체 120 ; 교반조
121 ; 온도감지센서 600 ; 온도조절장치
610 ; 온수탱크 611 ; 배수공
612 ; 배수밸브 613 ; 배기공
614 ; 온도감지센서 620 ; 히터
621 ; 히터결합구

Claims (4)

  1. 잔반처리기 몸체의 내부에 마련된 교반조에 투입된 잔반을 교반 및 분해하는 잔반처리기에 있어서,
    상기 교반조의 일측에 장착되며 그 내부에는 교반조에 열량을 전달해 주도록 온수가 저장되는 온수탱크와, 이 온수탱크의 내부에 설치되어 온수를 설정 온도까지 가열하는 히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반처리기용 교반조의 온도조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수탱크의 일측에는 온수를 배출하기 위한 배수공이 형성되고, 이 배수공에는 온수의 배출을 조절하는 배수밸브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반처리기용 교반조의 온도조절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수탱크의 상측에는 수증기를 배출하기 위한 배기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반처리기용 교반조의 온도조절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수탱크의 일측에는 저장된 온수의 온도를 측정하여 제어부로 신호를 전달해 주는 온도감지센서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반처리기용 교반조의 온도조절장치.
KR1020030059770A 2003-08-28 2003-08-28 잔반처리기용 교반조의 온도조절장치 KR2005002350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9770A KR20050023503A (ko) 2003-08-28 2003-08-28 잔반처리기용 교반조의 온도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9770A KR20050023503A (ko) 2003-08-28 2003-08-28 잔반처리기용 교반조의 온도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3503A true KR20050023503A (ko) 2005-03-10

Family

ID=372310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9770A KR20050023503A (ko) 2003-08-28 2003-08-28 잔반처리기용 교반조의 온도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2350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7037600A1 (en) Apparatus for disposing of food waste
KR102284180B1 (ko) 유기성 슬러지 교반장치
KR102054380B1 (ko) 복수의 교반기와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2083460B1 (ko)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050023503A (ko) 잔반처리기용 교반조의 온도조절장치
KR100189695B1 (ko) 유기물 퇴비화 장치
KR100549860B1 (ko) 잔반처리기의 체인 장력조절장치
KR101124743B1 (ko) 음식물 쓰레기를 포함하는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KR20110061321A (ko)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JP2006289234A (ja) 生ごみ処理装置
KR100912723B1 (ko) 축산 분뇨 및 음식물 쓰레기의 발효 건조기
KR100230519B1 (ko) 음식 폐기물 처리장치 및 그 방법
KR200342196Y1 (ko) 잔반처리기
KR100557486B1 (ko) 잔반처리기의 탈취장치
KR100314796B1 (ko) 음식물쓰레기 발효 및 건조 장치
KR20050015278A (ko) 잔반처리기
KR20020078956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공기 공급장치
KR102303974B1 (ko) 발효·분해작용을 활용한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0222007Y1 (ko) 음식물 쓰레기 소멸 처리장치
KR100714063B1 (ko) 음식물쓰레기 미생물발효기의 투입장치
KR20030088958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210059297U (zh) 一种饮食垃圾消灭机脱臭装置
KR100285212B1 (ko) 유기물 처리장치
KR200385926Y1 (ko) 악취를 포함하는 가스 및 수증기의 발생 방지 기능을구비한 잔반 처리기
KR200316509Y1 (ko) 발효액비 제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