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2007Y1 - 음식물 쓰레기 소멸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음식물 쓰레기 소멸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2007Y1
KR200222007Y1 KR2020000025326U KR20000025326U KR200222007Y1 KR 200222007 Y1 KR200222007 Y1 KR 200222007Y1 KR 2020000025326 U KR2020000025326 U KR 2020000025326U KR 20000025326 U KR20000025326 U KR 20000025326U KR 200222007 Y1 KR200222007 Y1 KR 20022200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waste
tank
pipe
treatment
treated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53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탁
Original Assignee
주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탁 filed Critical 주탁
Priority to KR20200000253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200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20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2007Y1/ko

Links

Landscapes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미생물을 이용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소멸 처리하는 음식물 쓰레기 소멸 처리장치가 개시된다.
종래에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는데 따른 제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처리조(12), 교반날개(13), 히터(29), 분사관(25) 및 배수조(20)를 구비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수조(20)에는 상측에 배출관(21)이 연결되고 하측에는 처리수를 재순환시키는 순환관(22)이 연결되며, 상기 순환관(22)에는 배수조(20) 내의 처리수를 강제적으로 펌핑하는 순환 펌프(24)가 접속되고, 상기 순환관(22)의 선단은 처리조(12)의 상측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가 제공된다.
따라서, 처리 후에 잔류물이 남지 않고 완전 분해, 소멸되기 때문에 수거, 매립 또는 소각 등의 2차 처리가 필요 없게 되어 음식물 쓰레기의 처리가 용이함과 동시에 비용이 절감되며, 처리수를 순환시켜 재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처리수의 사용량이 절감될 뿐만 아니라 악취의 발생이 최소화됨과 동시에 잔유물의 발생이 없고 소음의 발생이 최소화된다.

Description

음식물 쓰레기 소멸 처리장치 {Food sweeping treatment apparatus}
본 고안은 미생물을 이용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완전히 분해시켜서 처리함과 아울러 처리된 액상의 처리물을 재순환시켜 물의 사용량을 절감할 수 있는 음식물쓰레기 소멸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음식점 등에서는 많은 량의 음식물 쓰레기가 발생되는데, 이를 처리하는 방식은 많이 알려져 있다.
종래에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기 위한 방식으로서는 음식물 쓰레기를 고온 열풍으로 건조한 후 가축의 사료로 이용하는 방식이 있으나, 이는 음식물 쓰레기에서 가축 사료로 얻을 수 있는 영양소가 대략 10% 정도 밖에 되지 않으므로 재활용의 효율성이 없을 뿐만 아니라 건조시 악취가 발생되고 음식물 쓰레기를 수거 운반해야하는 등의 어려움과 중금속 등의 오염 문제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음식물 쓰레기를 고온 열풍과 발효제를 첨가하여 퇴비화 시키는 방식이 있으나, 이는 우리나라 음식물의 특성상 염분의 함량이 많아서 퇴비로 사용하는 것이 부적절하며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음식물 쓰레기를 별도의 장소에 매립하는 방식도 있으나, 이는 부지 확보의 어려움이 있으며, 특히 악취, 유해가스, 침출수 등의 발생으로 환경이 오염된다고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고, 음식물 쓰레기를 소각한 후 잔유물을 매립하는 방식도 있으나, 이는 불완전 연소로 인한 다이옥신 등의 유해물질의 배출로 환경을 오염시킬 뿐만 아니라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음식물 쓰레기를 연속적으로 미생물에 의해 완전히 분해시켜 소멸 처리함과 동시에 처리수를 재순환시켜 악취의 발생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잔유물의 발생이 없고 소음을 발생시키지 않으며, 물의 사용량을 절약할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 소멸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소멸 처리장치의 전체적인 구조를 보인 개략적인 도면.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소멸처리장치의 소멸 처리조 내부를 보인 일부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요부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일측면도.
도 4 는 본 고안의 요부를 나타내는 일부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본체 11: 도어
12: 처리조 13: 교반날개
18: 타공망 20: 배수조
21: 배출관 22: 순환관
23: 토출구 24: 순환 펌프
25: 분사관 25a: 노즐 구멍
29: 히터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음식물 쓰레기 소멸 처리장치는, 상측에는 도어가 개폐 가능케 결합되고 하측에는 복수개의 구멍이 형성된 타공망을 갖는 처리조와, 상기 처리조 내에 미생물과 함께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를 혼합시키는 복수 개의 회전 교반날개와, 상기 처리조 내의 미생물의 배양을 촉진시키는 온도가 상승되도록 가열하는 히터와, 상기 처리조의 상측으로 물을 분사시키는 복수 개의 노즐 구멍을 갖는 분사관과, 상기 처리조의 하측에 설치되어 타공망을 통하여 배출된 처리수 및 찌꺼기가 저장되는 배수조를 구비하는 음식물 쓰레기 소멸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수조에는 상측에 배출관이 연결되고 하측에는 처리수를 재순환시키는 순환관이 연결되며, 상기 순환관에는 배수조 내의 처리수를 강제적으로 펌핑하는 순환 펌프가 접속되고, 상기 순환관의 선단은 처리조의 상측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음식물 쓰레기의 처리 후에 잔류물이 남지 않고 완전 분해, 소멸되기 때문에 수거, 매립 또는 소각 등의 2차 처리가 필요 없게 되어 음식물 쓰레기의 처리가 용이함과 동시에 비용이 절감되며, 처리수를 순환시켜 재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처리수의 사용량이 절감될 뿐만 아니라 악취의 발생이 최소화됨과 동시에 잔유물의 발생이 없고 소음의 발생이 최소화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1 은 본 고안에 의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나타내는 일측면도이고, 도 2 는 본 고안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일부 절개 단면도로서, 부호 (10)은 본체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본체(10)의 상측에는 내부로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하기 위한 도어(11)가 개폐 가능케 결합되어 있으며, 그 하측에는 처리조(12)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처리조(12)의 내측에는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를 교반하는 복수 개의 교반날개(13)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교반날개(13)는 선단에 패들(13a)이 고정되어 있고, 상기 교반날개(13)는 횡방향으로 설치된 교반축(14)의 외측에 소정의 각도를 두고 설치되어 있다.
상기 교반축(14)의 양단은 처리조(12)의 양측에 회전가능케 지지되며, 그 일측에는 스프로켓(15)이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교반축(14)은 본체(10)의 내부 바닥에 장착된 교반 모터(16)에 의해 회전력을 받아 소정의 속도로 회전되는데, 상기 스프로켓(15)은 교반 모터(16)의 스프로켓(16a)과 체인(17)으로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받게 된다.
상기 처리조(12)의 하측에는 복수 개의 통공이 형성된 타공망(18)이 형성되어 있고, 그 하측에는 상기 타공망(18)으로 통하여 배출된 잔유물 및 처리수가 유입되는 배수조(20)가 위치되어 있다.
상기 배수조(20)에는 도 3 및 도 4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측에 상부에 상기 처리조(12)에서 타공망(18)을 통하여 배출된 처리수가 본체(10)의 외측으로 배출되는 배출관(21)이 접속되어 있으며, 그 하측에는 배수조(20) 내의 처리수를 재순환시켜 처리조(12)의 상측으로 토출시키는 순환관(22)이 접속되어 있고, 상기 순환관(22)의 선단에는 처리조(12)의 상측에 위치되는 토출구(2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순환관(22)에는 배수조(20) 내의 처리수를 강제적으로 펌핑하여 상기 토출구(23)를 통하여 처리조(12) 내로 토출시키는 순환 펌프(24)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처리조(12)의 상측에는 복수 개의 노즐 구멍(25a)을 갖는 분사관(25)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분사관(25)은 외부로부터 연결된 급수관(26)으로부터 물이 공급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급수관(26)에는 물의 공급을 제어하는 솔레노이드 밸브(27)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처리조(12)의 하측에는 브라켓(28)이 장착되어 있고, 상기 브라켓(28)에는 처리조(12) 내에 선택적으로 열을 가하는 히터(29)가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처리조(12)의 일측면에는 본체(10)의 외측에 설치된 조작 판넬(30)에서 조작자의 조작에 따라 교반 모터(16), 펌프(24), 솔레노이드 밸브(27) 및 히터(29) 등을 제어하는 제어판(31)이 장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처리조(12)의 상측에는 내부에서 발생된 가스를 배출시키기 위한 가스 배출구(3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본체(10)의 하측에는 이동이 가능하도록 복수 개의 캐스터(33)가 결합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음식물 쓰레기 소멸 처리장치는, 도어(11)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투입구를 통하여 처리조(12) 내에 음식물 쓰레기와 미생물을 투입하면 소멸 처리가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미생물의 투입 시에는 왕겨, 솔방울, 잣 껍질, 호도 껍질 등을 함께 투입할 수 있다.
즉, 상기 처리조(12) 내에 음식물 쓰레기와 미생물이 투입되면 교반 모터(16)가 구동하여 스프로킷(16a)을 회전시킴으로써 체인(17)을 통하여 회전력이 스프로켓(15)에 전달되어 교반축(14)이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상기 교반축(14)이 회전됨에 따라 교반날개(13) 및 패들(13a)이 회전하여 음식물 쓰레기와 미생물을 충분히 교반하게 된다.
이때, 상기 교반날개(13)는 20분 간격으로 7∼8RPM의 속도로 3분씩 회전하여 미생물과 음식물 쓰레기를 충분하게 혼합시키게 되며, 상기 교반날개(13)의 회전 작동 중에도 음식물 쓰레기는 수시로 투입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교반날개(13)의 작동과 동시에 급수관(26)을 통하여 유입된 물이 솔레노이드 밸브(27)의 개방에 따라 분사관(25)의 노즐 구멍(25a)을 통하여 처리조(12) 내로 분사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분사관(25)을 통하여 분사되는 물은 교반날개(13)의 작동 시에만 분사되도록 함이 바람직한데, 물의 양이 일정량 이상으로 유지되면 솔레노이드 밸브(27)가 제어되어 외부로부터의 물의 공급을 중지하고 배수조의 순환펌프에 의하여 순환관(22)을 통하여 재순환시키면 물의 사용량을 절감하는 것이 가능케 된다.
즉, 상기 분사관(25)을 통하여 공급된 물이 일정량 이상 유지되면, 예컨대 타공망(18)을 통하여 배수조(20)에 연결된 배출관(21)을 통하여 처리수의 배출이 이루질 정도의 량만큼 물이 공급되면 급수관(26)을 통하여 물의 공급을 중지하고, 순환 펌프(24)를 작동시켜 순환관(22)을 통하여 배수조(20) 내의 처리수를 펌핑하여 토출구(23)를 통하여 처리조(12) 내로 토출시켜 사용한다.
이때에 히터(29)가 작동하게 되는데, 상기 히터(29)는 처리조(12) 내의 온도가 미생물의 배양이 활성화되는 가장 적당한 온도 즉, 30∼50℃로 유지하도록 반복적으로 작동하게 된다.
상기 히터(29)의 작동에 따라 처리조(12) 내의 온도가 적정의 온도로 상승하게 되며, 상기 히터(29)와 근접하여 위치된 급수관(26) 내의 물의 온도도 상승하게 된다.
이러한 조건에서 처리조(3)내의 미생물이 활동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완전 발효시킴으로써 분해시키게 된다. 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가스는 가스 배출구(34)를 통해 본체(10)의 외부로 배출되며, 분해된 처리수와 미립화된 찌꺼기는 타공망(18)을 통하여 배수조(20) 내로 유입된다.
상기 배수조(20) 내로 유입된 처리수와 찌꺼기는 배출관(21)을 통하여 본체(10)의 외측으로 배출됨으로써 음식물 쓰레기의 처리가 완료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소멸 처리장치는 처리 후에 잔류물이 남지 않고 완전 분해, 소멸되기 때문에 수거, 매립 또는 소각 등의 2차 처리가 필요 없게 되어 음식물 쓰레기의 처리가 용이함과 동시에 비용이 절감되며, 처리수를 순환시켜 재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처리수의 사용량이 절감될 뿐만 아니라 악취의 발생이 최소화됨과 동시에 잔유물의 발생이 없고 소음의 발생이 최소화되는 등의 여러 가지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Claims (1)

  1. 상측에는 도어(11)가 개폐 가능케 결합되고 하측에는 복수개의 구멍이 형성된 타공망(18)을 갖는 처리조(12)와, 상기 처리조(12) 내에 횡방향으로 회전 가능케 설치되어 미생물과 함께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를 혼합시키는 복수 개의 교반날개(13)와, 상기 교반 날개(13)에 동력을 전달하는 교반 모터(16)와, 상기 처리조(12) 내의 온도가 상승되도록 가열하는 히터(29)와, 상기 처리조(12)의 상측으로 물을 분사시키는 복수 개의 노즐 구멍(25a)을 갖는 분사관(25)과, 상기 처리조(12)의 하측에 설치되어 타공망(18)을 통하여 배출된 처리수 및 찌꺼기가 저장되는 배수조(20)를 구비하는 음식물 쓰레기 소멸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수조(20)에는 상측에 배출관(21)이 연결되고 하측에는 처리수를 재순환시키는 순환관(22)이 연결되며, 상기 순환관(22)에는 배수조(20) 내의 처리수를 강제적으로 펌핑하는 순환 펌프(24)가 접속되고, 상기 순환관(22)의 선단은 처리조(12)의 상측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소멸 처리장치.
KR2020000025326U 2000-09-06 2000-09-06 음식물 쓰레기 소멸 처리장치 KR20022200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5326U KR200222007Y1 (ko) 2000-09-06 2000-09-06 음식물 쓰레기 소멸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5326U KR200222007Y1 (ko) 2000-09-06 2000-09-06 음식물 쓰레기 소멸 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2007Y1 true KR200222007Y1 (ko) 2001-05-02

Family

ID=730884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5326U KR200222007Y1 (ko) 2000-09-06 2000-09-06 음식물 쓰레기 소멸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2007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8556B1 (ko) * 2005-02-22 2006-06-19 주식회사 싱크피아 싱크대 장착용 음식물쓰레기 처리기
KR100751880B1 (ko) * 2006-01-27 2007-08-23 주식회사 리코금속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0810994B1 (ko) 2007-01-12 2008-03-11 박종찬 음식물 쓰레기의 발효 처리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8556B1 (ko) * 2005-02-22 2006-06-19 주식회사 싱크피아 싱크대 장착용 음식물쓰레기 처리기
KR100751880B1 (ko) * 2006-01-27 2007-08-23 주식회사 리코금속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0810994B1 (ko) 2007-01-12 2008-03-11 박종찬 음식물 쓰레기의 발효 처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5162497A (ja) 堆肥化処理方法及び装置
KR102311767B1 (ko) 폐유기물 처리기
KR200222007Y1 (ko) 음식물 쓰레기 소멸 처리장치
JP2007225181A (ja) 含水性廃棄物処理装置
KR102151917B1 (ko) 복합효소를 이용한 가압식 음식물 쓰레기 소멸 처리장치
KR20070098274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KR0160598B1 (ko) 음식물 쓰레기의 소멸화 장치
KR200214056Y1 (ko) 음식물쓰레기의고속진공발효건조기
CN211972163U (zh) 卧式消灭型餐厨垃圾处理设备
KR200342196Y1 (ko) 잔반처리기
KR100298509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0129513Y1 (ko) 음식물 쓰레기의 퇴비화 장치
KR20100106813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 방법 및 장치
KR20050015278A (ko) 잔반처리기
KR100557486B1 (ko) 잔반처리기의 탈취장치
KR200213073Y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0438690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CN111233529B (zh) 卧式消灭型餐厨垃圾处理设备
KR20230076216A (ko) 음식물 쓰레기 소멸장치
KR100549860B1 (ko) 잔반처리기의 체인 장력조절장치
KR100640545B1 (ko) 음식물 쓰레기 감량처리장치
KR200268288Y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0224978Y1 (ko) 고속 진공 발효 건조기의 임페러
KR0173174B1 (ko) 가정용 음식물 쓰레기의 분해 발효방법 및 그 처리장치
KR100216182B1 (ko) 분말 탈취제 투입방식의 음식물쓰레기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