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8288Y1 -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8288Y1
KR200268288Y1 KR2019990002030U KR19990002030U KR200268288Y1 KR 200268288 Y1 KR200268288 Y1 KR 200268288Y1 KR 2019990002030 U KR2019990002030 U KR 2019990002030U KR 19990002030 U KR19990002030 U KR 19990002030U KR 200268288 Y1 KR200268288 Y1 KR 20026828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waste
decomposition chamber
air
body portion
connecting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20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22388U (ko
Inventor
이범노
Original Assignee
이범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범노 filed Critical 이범노
Priority to KR201999000203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8288Y1/ko
Publication of KR1999002238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238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828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8288Y1/ko

Links

Landscapes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분해실 내에 미생물을 투입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분해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하는 몸체부, 몸체부 내로 투입된 음식물을 섞어주는 교반장치, 몸체부 내로 공기를 투입, 배출 시키는 공기순환장치를 구비한다. 또한 교반장치와 공기순환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추가로 구비한다. 몸체부는 정육면체의 형상을 가지며, 몸체부의 내부에는 분해실이 형성된다. 또한 교반장치는 동력을 인가하는 모터, 벨트, 기어박스 및 교반축을 구비한다. 그리고, 공기순환장치는 공기를 투입하는 송풍기, 송풍기에서 투입된 공기를 분해실 내로 투입하는 공급구, 분해실 내의 탁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구를 구비한다. 이렇게 구비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미생물이 분해실 내에서 최적의 상태로 성장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완전히 분해하여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Device for treatment rubbish}
본 고안은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분해실 내에 미생물을 투입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분해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는 방법으로는 소각로에서 소각 처리하는 방법과, 일정부지에 매립시켜 자연적으로 발효 처리시키는 방법등이 있다.
상기한 소각로에서 소각 처리하는 방법은 젖은 쓰레기와 마른 쓰레기가 서로 섞여 처리되어 연소시 완전연소를 시킬 수 없으므로 막대한 에너지가 소모될 뿐만 아니라, 매연 및 이산화탄소 등의 배출로 2차 공해의 요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쓰레기를 매림하는 방법은 매립지가 포화상태에 이르러 부지확보의 어려움이 있고, 토양의 변질을 가져오는 환경 오염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미생물을 투입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분해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몸체부 11 : 분해실
12 : 경사면 14 : 투입문
19 : 투입구 20 : 교반장치
24 : 교반축 25 : 교반날개
30 : 공기순환장치 31 : 송풍기
32 : 공급구 33 : 배출구
40 : 제어부 42 : 제어스위치
100 :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고안은,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하는 몸체부;
몸체부 내로 투입된 음식물을 섞어주는 교반장치;
몸체부 내로,공기를 투입, 배출 시키는 공기순환장치; 및 교반장치와 공기순환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몸체부는 정육면체의 형상을 가지며, 몸체부의 내부에는 분해실이 형성된다. 또한 몸체부는 상부면의 소정의 위치에서 일측면의 소정의 위치까지 소정의 각도로 이루어진 경사면을 형성한다. 경사면에는 분해실로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될 수 있도록 투입문을 구비한다.
또한, 교반장치는 몸체부의 일측에 설치된다. 교반장치는 동력을 전달하는 모터가 부착되며, 모터에서 인가된 동력은 벨트로 잔달되고, 다시 벨트에서 인가된 동력은 모처의 하측에 구비되어 벨트에서 전달된 동력의 운동방향을 변환하는 기어박스에 전달되며, 기어박스는 다시 교반축을 회전시킨다. 그리고, 교반축은 분해실의 일측에서 다른축으로 연장되어 설치되고, 교반축에는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할 수 있도록 복수의 교반날개를 형성한다.
한편, 공기순환장치는 몸체부의 상부면에 구비된다. 공기순환장치는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기, 송풍기와 연결되어 공급된 공기를 분해실로 공급하는 공급구를 구비하며, 분해실 내에 탁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구를 구비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분해실, 교반장치 및 공기순환장치를 채택하여 미생물이 분해실 내에서 최적의 상태를 성장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완전히 분해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100)는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하는몸체부(10), 몸체부(10) 내로 투입된 음식물을 섞어주는 교반장치(20), 몸체부(10) 내로 공기를 투입, 배출 시키는 공기순환장치(30), 그리고, 상기한 교반장치(20)와 공기순환장치(30)를 제어하는 제어부(40)를 구비한다.
몸체부(10)는 정육면체의 형상을 가진다. 그리고, 몸체부(10)의 내부에는 분해실(11)이 형성된다. 또한, 몸체부(10)는 상부면의 소정의 위치에서 일측면의 소정의 위치까지 소정의 각도로 이루어진 경사면(12)을 형성한다. 경사면(12)에는 분해실(11)로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될 수 있도록 투입문(14)을 구비한다. 그리고, 경사면(12)의 소정의 위치에 제어 스위치(42)를 구비한다. 한편, 몸체부(10)의 정면 일측에는 제어부(40)가 설치된다.
분해실(11)은 이중으 반원통형의 형상을 가지며 내벽(11a)과 외벽(11b)으로 이루어진다. 분해실(11) 하단 일측에는 분해중인 음식물 쓰레기를 선택적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배출공(18)이 형성된다. 또한, 분해실(11)의 내벽(11a)과 외벽(11b)사이에는 열선(50)을 구비한다. 열선(50)은 미생물이 발산하는 열로 인해 분해실(11)의 내벽(11a)에 수증기가 물방울 형태로 존재하는 것을 방지한다.
투입문(14)은 사각형상을 가지며, 투입문(14)의 하측끝단 양측에는 손잡이(15)가 각각 형성된다. 투입문(14)의 양측면에는 실린더(16)가 구비된다. 실린더(16)의 끝단은 투입문(14)의 양측면에 부착되고, 실린도의 다른 끝단은 경사면(12)에 부착된다. 투입문(14) 상단 일측에는 투입문(14)의 외부로 돌출 형성된 브라켓(17)이 형성된다. 브라켓(17)은 경사면(12)에 구비된 제어 스위치(42)를 제어한다. 제어 스위치(42)는 투입문(14)이 개방되면 브라켓(17)이 제어 스위치(42)에서 이격이되어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100)이 작동을 일시 중단 시킨다.
몸체부(10)의 일측에는 교반장치(20)가 설치된다. 교반장치(20)는 동력을 전달하는 모터(21)가 부착된다. 모처(21)에서 인가된 동력은 벨트(22)로 전달된다. 다시 벨트(22)에서 인가된 동력은 모터(21)의 하측에 구비된 기어박스(23)로 전달된다. 기어박스(23)는 벨트(22)에서 전달된 동력의 운동방향을 변환한다. 그리고, 기어박스(23)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교반축(24)을 추가로 구비한다.
교반축(24)은 분해실(11)의 일측에서 다른측으로 연장되어 설치된다. 또한, 교반축(24)에는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할 수 있도록 교반날개(25)를 다수개가 형성된다.
몸체부(10)의 상부면에는 공기순환장치(30)가 구비된다. 공기순환장치(30)는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기(31), 송풍기(31)와 연결되어 공급된 공기를 몸체부(10) 내부로 공급하는 공급구(32)를 구비한다. 그리고, 분해실(11)내에 탁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구(33)를 추가로 구비한다.
공급구(32)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공급구(32)의 일측면에는 송풍기(31)와 연결된 제 1 연결관(35)이 형성된다. 공급구(32)의 상부면에는 제 2 연결관(36)이 부착된다. 제 2 연결관(36)은 상부에서 하부로 S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다시 하부에서는 분해실(11) 내부로 공기가 공급될 수 있도록 제 3 연결관(37)이 다수로 형성된다. 이렇게 분해실(11) 내로 투입된 공기는 분해실(11)내의 미생물이 최적의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배출구(33)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배출구(33) 내에는 탈취제를 구비한다.배출구(33)는 배출구(33)의 하부에서 분해실(11)과 연결된 제 4 연결관(38)과 배출구(33) 상부에서 외부로 돌출된 제 5 연결관(39)을 형성한다. 제 4 연결관(38)은 분해실(11)내에 탁한 공기를 배출구(33)까지 안내하고, 배출구(33)의 내부에 있는 탈취제에서 정화되어 제 5 연결관(39)을 통해서 외부로 배출된다.
하기에는 전술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100)의 사용상태를 설명한다.
먼저, 투입문(14)을 개방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분해실(11)에 투입한다. 이때, 미생물을 함께 투입한다. 그리고나서 투입문(14)을 잠그고 제어부(40)를 작동하여 교반장치(20)와 공기순환장치(30)를 가동시킨다. 교반장치(20)의 교반축(24)에 다수로 형성된 교반날개(25)는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고, 다시 음식물 쓰레기와 미생물을 적절하게 혼합한다. 음식물 쓰레기와 미생물이 혼합되면 미생물이 음식물 쓰레기를 분해한다. 이때, 분해실(11) 내에는 미생물이 발산하는 열이 생긴다. 이 열로 인해 분해실(11)에는 수증기가 발생하고, 이 수증기는 내벽(11a)을 따라 물방울 형태로 존재하게 된다. 이러한 물방울은 미생물의 성장에 악 영향을 주기 때문에 분해실(11)의 내벽(11a)과 외벽(11b) 사이의 열선(50)의 열로 인해 자연적으로 제거된다. 그리고, 공기순환장치(30)에서는 미생물이 정상적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신선한 공기를 제공하고, 다시 분해실(11) 내의 탁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한다. 교반장치(20)와 공기순환장치(30)의 반복적인 작업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는 완전히 분해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분해실, 교반장치 및 공기순환장치를 채택하여 미생물이 분해실 내에서 최적의 상태로 성장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분해하기 때문에 매연등의 발생하지 않고, 또한, 미생물이 음식물 쓰레기를 완전하게 분해하기 때문에 매립지에 매림을 하지 않아도 되는 편의를 제공한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실용신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9)

  1. 정육면체의 형상을 가지며 내부에는 이중의 반원통형의 형상을 가지며 내벽(11a)과 외벽(11b)을 가지며 하단 일측에는 분해중인 음식물 쓰레기를 선택적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배출공(18)이 형성되고 상기 내벽(11a)과 상기 외벽(11b) 사이에는 미생물이 발산하는 열로 인해 상기 내벽(11a)에 수증기가 생기는 것을 방지하는 열선(50)이 내장된 분해실(11)이 배치되고 상부면의 소정의 위치에서 일측면의 소정의 위치까지 소정의 각도로 이루어진 경사면(12)을 형성하며 상기 경사면(12)에는 상기 분해실(11)로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될 수 있도록 투입문(14)을 구비하는 몸체부(10);
    상기 몸체부(10)의 일측에 배치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모터(21)가 부착되며 상기 모터(21)에서 인가된 동력은 벨트(22)로 전달되고 상기 벨트(22)에서 인가된 동력은 상기 모터(21)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벨트(22)에서 전달된 동력의 운동방향을 변환하는 기어박스(23)를 구비하며 상기 기어박스(23)는 상기 분해실(11)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연장되게 설치된 교반축(24)을 회전시키는 교반장치(20);
    상기 몸체부(10)의 상부면에 구비되어 상기 분해실(11)에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기(31)가 배치되며 상기 송풍기(31)와 연결되어 공급된 공기를 상기 분해실(11)로 공급하는 공급구(32)를 구비하고 상기 분해실(11) 내에 탁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구(33)를 구비하는 공기순환장치(30); 및
    상기 교반장치(20)와 상기 공기순환장치(30)를 제어하는 제어부(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문(14)의 하측 양측에는 손잡이(15)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투입문(14)의 양측면에는 각각 실린더(16)가 구비되며, 상단 일측면 상에는 상기 투입문(14)의 외부로 돌출되는 브라켓(17)아 형성되고, 상기 투입문(14)의 일측 인접위치에는 상기 투입문(14)을 개방할 때 상기 브라켓(17)에 인해 작동하여 상기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도록 제어 스위치(42)가 상기 제어부(40)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축(24)에는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할 수 있도록 복수의 교반날개(25)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구(32)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공급구(32)의 일측면에는 상기 송풍기(31)에서 연장되는 제 1 연결관(35)이 부착되고, 상기 공급구(32)의 상부면에는 상부에서 하부로 S자 형상으로 형성된 제 2 연결관(36)이 부착되어 상기 분해실(11) 내로 연장되며, 상기 제 2 연결관(36) 하부에는 상기 분해실(11) 내부로 공기가 공급될 수 있도록 제 3 연결관(37)이 다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33)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배출구(33) 내에는 탈취제를 구비하며, 상기 배출구(33)는 상기 분해실(11)과 연결되어 상기 분해실(11) 내에 탁한 공기를 배출구(33)까지 안내하는 제 4 연결관(38)과 상기 배출구(33) 상부에서 외부로 돌출된 제 5 연결관(39)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19990002030U 1999-02-10 1999-02-10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026828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2030U KR200268288Y1 (ko) 1999-02-10 1999-02-10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2030U KR200268288Y1 (ko) 1999-02-10 1999-02-10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2388U KR19990022388U (ko) 1999-07-05
KR200268288Y1 true KR200268288Y1 (ko) 2002-03-15

Family

ID=547555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2030U KR200268288Y1 (ko) 1999-02-10 1999-02-10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8288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6236B1 (ko) * 2013-05-06 2014-03-12 진산피앤씨 주식회사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2388U (ko) 1999-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18281A (ko) 다층 고온 열분해 소각 장치
KR100701480B1 (ko)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0701887B1 (ko) 소각장치에서 발생하는 폐열(스팀)을 이용하는 슬러지건조장치
KR101799893B1 (ko) 속효성 유기물 발효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발효방법
CN112714757A (zh) 有机废弃物的发酵处理装置
KR20100003784U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JP2005162497A (ja) 堆肥化処理方法及び装置
KR200268288Y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0229597B1 (ko)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쓰레기 소멸처리방법 및 그 장치
JP2007225181A (ja) 含水性廃棄物処理装置
KR100263270B1 (ko)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소멸처리장치
KR100315604B1 (ko) 유기성 쓰레기의 고속 소멸처리장치
KR100269683B1 (ko) 음식물찌꺼기 소멸처리장치
KR102335402B1 (ko) 고효율 고온 소각 장치
KR100189695B1 (ko) 유기물 퇴비화 장치
KR100314796B1 (ko) 음식물쓰레기 발효 및 건조 장치
KR200222007Y1 (ko) 음식물 쓰레기 소멸 처리장치
KR200320394Y1 (ko) 옥외용 화장실
KR200342196Y1 (ko) 잔반처리기
KR100387917B1 (ko) 유기폐기물 분해처리장치 및 분해처리방법
KR200253348Y1 (ko) 기능성 광물질을 첨가한 음식폐기물 및 유기성 폐기물을이용한 퇴비원료의 혼합,발효숙성기
KR200228901Y1 (ko) 생석회를 이용한 토지개량제 제조장치
KR200216349Y1 (ko) 직립식 나선형 임펠러를 구비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KR100285212B1 (ko) 유기물 처리장치
KR100325578B1 (ko) 발효분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30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