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22173A - 와이어로프에 의한 코일손상방지구 - Google Patents

와이어로프에 의한 코일손상방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22173A
KR20050022173A KR1020030058745A KR20030058745A KR20050022173A KR 20050022173 A KR20050022173 A KR 20050022173A KR 1020030058745 A KR1020030058745 A KR 1020030058745A KR 20030058745 A KR20030058745 A KR 20030058745A KR 20050022173 A KR20050022173 A KR 200500221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wire rope
horizontal member
damage prevention
vertical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87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48053B1 (ko
Inventor
구경환
Original Assignee
구경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경환 filed Critical 구경환
Priority to KR10200300587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8053B1/ko
Publication of KR200500221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21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80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805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12Slings comprising chains, wires, ropes, or bands; Nets
    • B66C1/122Sling or load prot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 B21C47/24Transferring coils to or from winding apparatus or to or from operative position therein; Preventing uncoiling during transf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코일의 내주 모서리에 형성되어 와이어로프로 부터 코일을 보호하기 위한 손상방지구에 있어서, 상기 코일손상방지구(1)는 직각을 이루는 수평부재(110)와 수직부재(120)로 이루어지는 몸체(100)와, 상기 몸체(100)의 수평부재(110) 상부는 만곡면(111)이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수평부재와 수직부재의 바깥쪽 양측단부에는 걸림턱(112,211)이 돌출되도록 하여 상기 걸림턱(112,211)의 안쪽으로 오목홈(113,212)이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오목홈(113,212)에 와이어로프(B)가 걸릴 수 있도록 구성되어진 와이어로프에 의한 코일손상방지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몸체가 직각상태이고 수평부재의 상부면이 만곡형상을 갖는 것이어서 코일과의 밀착상태가 매우 양호해지고, 우레탄수지와 고무를 합성한 재질을 사용하므로써 강인성과 완충성이 좋아 코일의 내주 모서리 손상을 최소화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몸체의 안쪽 표면에 자석을 내장하여 작업자가 코일의 내주에 본 발명 손상방지구를 붙여놓는 것만으로도 제 위치를 잡게 되어 와이어로프를 걸어주는 작업이 매우 용이해지고, 손상방지구가 코일로 부터 이탈되는 단점을 해결할 수 있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은 로프걸이구를 형성하므로써 와이어로프가 되돌아 올때 작업자가 와이어로프에 로프걸이구를 걸어주는 것만으로도 되돌아 올 수 있게 되어 작업의 효율향상은 물론 종래 많은 작업인원을 필요로 하던 코일 이송작업을 한사람만으로도 작업이 가능하게 되는 등, 작업시간의 단축은 물론, 운송비용의 절감에도 큰 도움이 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

Description

와이어로프에 의한 코일손상방지구{Coil demage prevention by using wire rope}
본 발명은 와이어로프에 의한 코일손상방지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코일의 내주 모서리를 보호하기 위한 와이어로프에 의한 코일손상방지구에 관한 것이다.
현재 제철소 등에서는 다량의 코일(A)들이 생산되어지며, 이처럼 생산된 코일을 다른 곳으로 운반하기 위해서는 여러번의 적재과정을 거쳐야 하는데, 상기 적재 및 운반과정 중에 많은 코일제품이 손상되어진다. 특히 코일의 내주 모서리부분은 돌출된 상태이므로 코일을 크레인의 와이어로프(B)로 들어올리는 과정중에 쉬 손상을 받게되는데, 종래에는 상기 와이어로프에 의한 코일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코일의 내주 모서리에 타이어조각(C)을 덧대고 와이어로프를 끼워넣어 코일을 들어올리도록 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상기 타이어조각은 코일의 모서리각과는 반대로 휘어진 형상을 갖는 것이어서 코일을 들어올릴 때마다 작업자가 와이어로프에 타이어조각을 끼운다음 코일의 내주 모서리에 바르게 위치를 잡아주어야 할 뿐 아니라 상기 타이어조각이 와이어로프로 부터 왕왕 이탈하는 경우가 발생하여 코일을 크레인으로 들어올리는 작업에 많은 작업인원을 필요로 하게 되며, 작업 또한 상당히 곤란하며, 심지어는 코일에 손상을 입히게 되는 단점을 갖기도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발명은 종래 타이어조각을 이용해 코일의 내주 모서리를 보호하는 방법을 탈피해 작업이 용이하고 코일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코일손상방지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직각을 이루는 수평부재와 수직부재로 이루어지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수평부재의 상부는 만곡면(灣曲面)이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수평부재와 수직부재의 바깥쪽 양측단부에는 걸림턱이 돌출되도록 하여 상기 걸림턱의 안쪽으로 오목홈이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오목홈에 와이어로프가 걸릴 수 있도록 구성되어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수평부재와 수직부재의 안쪽 표면부근에는 자력이 센 자석을 내장하여 코일에 부착되도록 하므로써 작업자가 손상방지구를 붙잡지 있지 않아도 되어 작업이 매우 용이하도록 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은 상기 몸체의 일측에 로프걸이구를 형성하여 코일을 적재하고 다른 코일을 들어올리기 위하여 와이어로프만 되돌아 올때 본 발명 손상방지구도 함께 돌아올 수 있도록 하므로써 작업의 효율을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 코일손상방지구(1)는 직각을 이루는 수평부재(110)와 수직부재(200)로 이루어지는 몸체(100)와, 상기 몸체(100)의 수평부재(110) 상부는 만곡면(111)이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수평부재와 수직부재의 바깥쪽 양측단부에는 걸림턱(112,211)이 돌출되도록 하여 상기 걸림턱(112,211)의 안쪽으로 오목홈(113,212)이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오목홈(113,212)에 와이어로프(B)가 걸릴 수 있도록 구성되어진 것이다.
이때 상기 수직부재(200)의 오목홈(212)의 단면 형상도 와이어로프와의 밀착을 고려하여 만곡(灣曲)형상(212a)을 갖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평부재(110)와 수직부재(200)의 안쪽 표면부근에는 자력이 센 자석(300)을 내장하여 본 발명 코일손상방지구(1)를 코일(A)에 대는 것만으로도 부착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때 상기 자석(300)은 코일과 맞닿지 않도록 몸체(100)의 성형시에 수평부재(110)와 수직부재(200)에 매설되도록 하거나, 상기 수평부재(110)와 수직부재(200)의 안쪽 표면에 오목홈을 형성하고 상기 오목홈에 자석을 안착시킨 다음 자석 위를 피복하여 코일과 맞닿지 않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 본 발명은 상기 몸체(100)의 일측에 로프걸이구(400)를 형성할 수도 있는데, 상기 로프걸이구(400)는 코일(A)을 들어올려 적재하고 다른 코일을 들어올리기 위하여 와이어로프(B)가 되돌아 올때 본 발명 손상방지구(1)도 와이어로프와 함께 되돌아오기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필요한 구성이다.
즉 로프걸이구(400)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손상방지구는 와이어로프에 걸어서 보내기가 불편하고, 또한 걸어서 돌려보낸다 하더라도 오는 도중에 떨어지는 폐단을 갖는 것이어서 작업자가 손상방지구를 한꺼번에 모았다가 가져와야 하는 등의 불편함을 갖는 것이기 때문이다.
상기 로프걸이구(400)는 몸체(100)의 최상단에 형성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며, 단면의 형상은 ""와 같이 이루어진다. 즉 상기 로프걸이구(400)의 일측은 몸체에 연결되고, 타측은 와이어로프가 쉬 이탈되지 않도록 돌기가 형성되어진 구조를 갖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 코일손상방지구(1)는 코일을 와이어로프로 들어올리는 과정에서의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하여 재질은 강인하면서도 완충성이 좋은 우레탄수지와 고무를 합성한 재질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본 발명은 몸체가 직각상태이고 수평부재의 상부면이 만곡형상을 갖는 것이어서 코일과의 밀착상태가 매우 양호해지고, 우레탄수지와 고무를 합성한 재질을 사용하므로써 강인성과 완충성이 좋아 코일의 내주 모서리 손상을 최소화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몸체의 안쪽 표면에 자석을 내장하여 작업자가 코일의 내주에 본 발명 손상방지구를 붙여놓는 것만으로도 제 위치를 잡게 되어 와이어로프를 걸어주는 작업이 매우 용이해지고, 손상방지구가 코일로 부터 이탈되는 단점을 해결할 수 있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은 로프걸이구를 형성하므로써 와이어로프가 되돌아 올때 작업자가 와이어로프에 로프걸이구를 걸어주는 것만으로도 되돌아 올 수 있게 되어 작업의 효율향상은 물론 종래 많은 작업인원을 필요로 하던 코일 이송작업을 한사람만으로도 작업이 가능하게 되는 등, 작업시간의 단축은 물론, 운송비용의 절감에도 큰 도움이 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 - 종래 코일손상방지구의 사용상태 참고도.
도 2 - 본 발명 코일손상방지구의 사시도.
도 3 -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4 - 본 발명의 사용상태 참고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본고안 코일손상방지구(이하 코일손상방지구라 한다)
100: 몸체
110: 수평부재 111: 만곡면(灣曲面)
112: 걸림턱 113: 오목홈
200: 수직부재
211: 걸림턱 212: 오목홈
300: 자석 400: 로프걸이구
A: 코일 B: 와이어로프
C: 폐타이어 조각

Claims (5)

  1. 코일의 내주 모서리에 형성되어 와이어로프로 부터 코일을 보호하기 위한 손상방지구에 있어서,
    상기 코일손상방지구는 직각을 이루는 수평부재와 수직부재로 이루어지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수평부재 상부는 만곡면이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수평부재와 수직부재의 바깥쪽 양측단부에는 걸림턱이 돌출되도록 하여 상기 걸림턱의 안쪽으로 오목홈이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오목홈에 와이어로프가 걸릴 수 있도록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로프에 의한 코일손상방지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부재의 오목홈 단면 형상도 와이어로프와의 밀착을 고려하여 만곡형상을 갖도록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로프에 의한 코일손상방지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부재와 수직부재의 안쪽 표면부근에는 자석이 내장되도록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로프에 의한 코일손상방지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일측에 로프걸이구가 형성되도록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로프에 의한 코일손상방지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재질은 우레탄수지와 고무를 합성한 재질을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로프에 의한 코일손상방지구.
KR1020030058745A 2003-08-25 2003-08-25 와이어로프에 의한 코일손상방지구 KR1005480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8745A KR100548053B1 (ko) 2003-08-25 2003-08-25 와이어로프에 의한 코일손상방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8745A KR100548053B1 (ko) 2003-08-25 2003-08-25 와이어로프에 의한 코일손상방지구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7229U Division KR200337562Y1 (ko) 2003-08-25 2003-08-25 와이어로프에 의한 코일손상방지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2173A true KR20050022173A (ko) 2005-03-07
KR100548053B1 KR100548053B1 (ko) 2006-02-09

Family

ID=372301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8745A KR100548053B1 (ko) 2003-08-25 2003-08-25 와이어로프에 의한 코일손상방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4805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3301B1 (ko) * 2006-12-21 2007-03-14 (주)그린포닉스시스템 탈부착이 용이한 코일 손상 방지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2604B1 (ko) 2006-09-28 2006-12-29 (주)그린포닉스시스템 간격조절이 용이한 코일 손상 방지장치
KR101343380B1 (ko) 2013-06-20 2013-12-18 김수연 열연 코일용 이송 와이어 장치
KR101531571B1 (ko) * 2013-08-01 2015-06-2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와이어 손상 방지용 프로텍터
KR101563870B1 (ko) 2013-10-04 2015-10-2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밸런스 행어
KR101642731B1 (ko) * 2014-07-28 2016-07-28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크레인 와이어 보호대
KR200488150Y1 (ko) * 2017-04-07 2018-12-19 주식회사 세명오토테크 운반 대차의 프레임 손상 방지용 보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3301B1 (ko) * 2006-12-21 2007-03-14 (주)그린포닉스시스템 탈부착이 용이한 코일 손상 방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48053B1 (ko) 2006-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48053B1 (ko) 와이어로프에 의한 코일손상방지구
GB253799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olding containers open
CA2671796A1 (en) Edge protector for use with a sling
KR200337562Y1 (ko) 와이어로프에 의한 코일손상방지구
US4784419A (en) Coil protector for "C" hooks
US10759641B1 (en) Protective lift pad for materials handling vehicle
KR200370872Y1 (ko) 공구 걸이
US3450428A (en) Device for handling workpieces
KR20120003718U (ko) 파이프 이송용 클램프
CA2573463C (en) Magnetic wear device
US7014905B1 (en) Wear pad
KR20100135379A (ko) 경계석 고정집게
KR20100011049A (ko) 파이프 리프팅용 후크
JP2513529Y2 (ja) バケット把持装置
CN207774286U (zh) 一种防护取料机构
JP3208776U (ja) 荷下ろし作業用治具
CN205770678U (zh) 加强型医药周转箱
US20170297208A1 (en) Die transport device and method
US9039337B2 (en) Lifting member edge protector
KR102087903B1 (ko) 건설자재 인양박스
US20180118449A1 (en) Coil protector, method and kit therewith
KR200489257Y1 (ko) 파레트 조립체
JPH0535640U (ja) 柵付パレツト
CN217398212U (zh) 一种可防吊运打滑的砂箱
EP3645408B1 (en) Pallet prot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12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