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3380B1 - 열연 코일용 이송 와이어 장치 - Google Patents

열연 코일용 이송 와이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3380B1
KR101343380B1 KR1020130070916A KR20130070916A KR101343380B1 KR 101343380 B1 KR101343380 B1 KR 101343380B1 KR 1020130070916 A KR1020130070916 A KR 1020130070916A KR 20130070916 A KR20130070916 A KR 20130070916A KR 101343380 B1 KR101343380 B1 KR 1013433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wire
support
installation guide
mag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09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수연
Original Assignee
김수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수연 filed Critical 김수연
Priority to KR10201300709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33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33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33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 B21C47/24Transferring coils to or from winding apparatus or to or from operative position therein; Preventing uncoiling during transf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 B21C47/28Drums or other coil-ho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12Slings comprising chains, wires, ropes, or bands; N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 HR 코일의 훼손을 방지하고 협소한 공간에서의 이송이 가능한 철판 코일용 이송 와이어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송 와이어 장치는, 철판코일(HR 코일) 이송을 위한 와이어 장치에 있어서, 크레인으로 고정 설치되도록 종단고리가 양 종단부에서 형성되고, 중앙을 접어 중앙고리를 형성하는 와이어; 상기 와이어의 중앙 부위 이격을 방지하도록 간헐적으로 설치되는 클립; 및 상기 중앙고리로 인입되어 HR 코일의 각 내경 외주면으로 설치되는 한 쌍의 지지체로 이루어며, 상기 지지체의 각 모서리는 와이어의 훼손방지를 위해 곡률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와이어 상에서 유동 가능한 지지체를 구성하고, HR 코일의 내경 모서리에 지지체가 부착되도록 함으로써, HR 코일의 이송을 위한 와이어의 제조 단가를 격감시키고, 설치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PP 로프를 사용하지 않음에 따라 PP 성분으로 인한 제품의 훼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열연 코일용 이송 와이어 장치{WIRE DEVICE FOR TRANSFERRING HR COIL}
본 발명은 철판 코일 이송을 위한 와이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좁은 공간에서 HR 코일(열연 코일 : Hot Rolled Coil)을 적재 또는 하역 시 제품의 훼손이 없는 철판 코일용 이송 와이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소 냉연공장에서 코일형태로 권취된 제품인 철판(CR 코일)은 코일 팩킹라인(CPL, coil packing line)으로 진행되어 제품의 손상방지와 장기보존, 녹 발생방지를 위해 1차적으로 지포장 후 2차로 철판포장을 하여서 규격에 맞게끔 포장코일 외주방향으로 O형 타입의 스틸밴드(Steel band)로, 코일 내주방향으로 I형 타입의 스틸밴드로 단단히 결속시킨 후, CPL 이송 컨베이어에 의해 크레인 권상 작업위치에 도착하면 크레인의 운송작업에 의해 창고로 적치되는 일련의 작업과정을 거친다. 이러한 크레인 작업은 포장코일이 해상, 육상운송 수요에 따라 최종 제품 가공 전까지 수회 반복되는 운송, 적치작업이다.
여기서, 크레인 작업은 CR 코일을 운반하기 위한 수단으로 L 후크 또는 C 후크 구조를 가지며, 넓은 공간 내에서 CR 코일을 이송할 경우에 사용된다. 그러나, CR 코일은 포장이 이루어지고 밴드가 체결되어 있어서 선적 및 하역 시 제품의 선상이 발생하지 않으나, 열연 코일(HR Coil)은 포장 구조를 갖지 않기 때문에, 선박 등으로 선적될 경우 제품의 손상을 야기한다. 즉, HR 코일은 다량이 선적될 때 HR 코일 간 간격이 매우 좁혀지기 때문에, 하역 과정에서는 L 후크 또는 C 후크가 사용되지 못한다. 이러한 경우에 사용되는 것이 와이어가 사용되는데, 이는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와이어(103)는 소정 길이의 양 종단으로 종단고리(105)를 형성한 후 중앙을 접어 중앙고리(107)가 형성되도록 두 가닥으로 이루어지며, 와이어(103)의 중앙부에 PP로프(Polypropylene Rope)가 권취되어 HR 코일(101)의 하중을 견디고, HR 코일(101) 하중에 의한 와이어의 훼손을 방지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와이어(103)는 통상 36TON의 HR 코일의 하중을 견디도록 구성되며, 와이어의 제작 과정이 수작업에 의해 이루어져 제조단가는 매우 높게 설정된다. 그러나, 도시한 바와 같이 와이어가 HR 코일의 내경으로 관통한 후, 크레인에 의해 종단고리(105) 및 중앙고리(107)를 취합하여 HR 코일을 이송하기 때문에, PP 로프(109)와 HR 코일의 내경 사이에서 PP 로프(109)의 훼손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근래에는, HR 코일의 내경과 PP 로프(109) 사이에 금속 패널을 덧대어 PP 로프(109)의 훼손을 방지토록 하고 있다. 그러나, 전술된 금속패널은 와이어(103)와 HR 코일(101)의 내경 사이에서 정확하게 위치되어야 하기 때문에, 작업의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를 야기한다.
또 다른 문제점으로, PP 로프(109)를 사용함으로 인해 PP 로프의 재질로부터 이탈된 화학적 성분이 HR 코일(101)의 측부에 흡착되는 문제이다. 여기서, PP 재질이 HR 코일(101)에 흡착될 경우, HR 코일(101)의 사용 용도에 따라 매우 치명적인 문제를 초래한다. 예컨대, HR 코일(101)을 연신하여 음식용 캔을 제조할 경우, PP 재질의 성분은 극히 유해한 성분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PP 재질이 흡착된 HR 코일은 세척 공정이 추가 반복되어야 한다.
도 2는 HR 코일에 PP 성분이 흡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진이며, 수급업체는 PP 성분을 제어하기 위해 해당 부분을 절단하는 공정을 적용하거나, 세척 공정을 추가한다. 그러나, 이러한 공정은 별도의 비용이 추가될 뿐만 아니라, 절단 공정 시 자재의 로스(LOSS) 율이 높아지고, 세척 공정 시에는 출하제품의 안정성을 명확히 보장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L 후크 또는 C 후크를 사용하지 못하는 작업 공간 내에서는 반드시 와이어를 사용할 수밖에 없어 와이어의 구조적 개선이 매우 시급한 실정이라 할 수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832432, 등록일자 2008년 05월 20일, 발명의 명칭 '포장코일 외표면 보호대 및 이의 자동부착장치' (참고 문헌)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HR 코일의 이송을 위한 와이어의 제조 단가를 격감시키고, 설치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철판 코일용 이송 와이어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PP 로프를 사용하지 않음에 따라 PP 성분으로 인한 제품의 훼손을 방지할 수 있는 철판 코일용 이송 와이어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관점에 따른 철판 코일용 이송 와이어 장치는, 철판코일(HR 코일) 이송을 위한 와이어 장치에 있어서, 크레인으로 고정 설치되도록 종단고리가 양 종단부에서 형성되고, 중앙을 접어 중앙고리를 형성하는 와이어; 상기 와이어의 중앙 부위 이격을 방지하도록 간헐적으로 설치되는 클립; 및 상기 중앙고리로 인입되어 HR 코일의 각 내경 외주면으로 설치되는 한 쌍의 지지체로 이루어며, 상기 지지체의 각 모서리는 와이어의 훼손방지를 위해 곡률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지지체가 와이어에 삽설된 후, 상기 지지체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두 와이어 사이로 끼움 결합되는 이탈 방지바를 더 포함하며; 이탈 방지바는 각 종단부가 라운드 처리된 일자형 또는 십자형 구조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지지체는, 상기 와이어의 인입이 원활하도록 원형 연통구를 구비한 원통바디; 및 상기 원통바디의 종단부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환형 구조를 갖고, 상기 원통 바디와 대향하는 배면으로 자석을 인입 설치하기 위한 자석 설치홈을 구비한 환형 설치 가이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지지체는, 와이어의 인입이 원활하도록 원호 연통구를 구비한 원호 구조를 갖는 원호바디; 상기 원호바디의 종단부에서 수직 방향으로 방사되도록 연장하고, 상기 원호바디와 대향하는 배면으로 자석을 인입 설치하기 위한 자석 설치홈을 구비한 원호 구조의 원호 설치 가이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지지체는, 단면이 반원 형상을 갖는 제1 바디와, 상기 제1 바디의 종단부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되고, 종단 일측에 결합수단이 부가된 원호 형상의 제1 설치 가이드로 구성된 제1 지지체; 단면이 반원 형상을 갖는 제2 바디와, 상기 제2 바디의 종단부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되고, 종단 일측에 상기 결합수단과 대응하도록 체결 가능한 결합홈이 구비된 원호 형상의 제2 설치 가이드로 구성된 제2 지지체; 상기 제1 설치 가이드 및 제2 설치 가이드의 각 종단 타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1 지지체 및 제2 지지체 간의 회동을 유도하는 힌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결합수단은, 제1 바디의 대향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축을 형성하고, 상기 연장축의 종단에 체결너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철판 코일용 이송 와이어 장치는, 와이어 상에서 유동 가능한 지지체를 구성하고, HR 코일의 내경 모서리에 지지체가 부착되도록 함으로써, HR 코일의 이송을 위한 와이어의 제조 단가를 격감시킨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장치는 작업상의 설치 편의성을 높일 뿐만 아니라 제품의 물리적 훼손 또는 손상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PP 로프를 사용하지 않음에 따라 PP 성분으로 인한 제품의 화학적 훼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종래 HR 코일을 이송하기 위해 PP 로프가 권취된 와이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와이어 사용으로 인해 PP 성분이 HR 코일에 흡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HR 코일 이송용 와이어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HR 코일 이송용 와이어의 설치 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로 나타낸 지지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로 나타낸 지지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로 나타낸 지지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HR 코일 이송을 위한 와이어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크레인으로 고정 설치되도록 종단고리(305)가 양 종단부에서 형성되고, 중앙을 접어 중앙고리(307)를 형성하는 와이어(301)와, 상기 와이어(301)의 중앙 부위 이격을 방지하도록 간헐적으로 설치되는 클립(309)과, 상기 중앙고리(307)로 인입되어 HR 코일의 각 내경 외주면으로 설치되는 한 쌍의 지지체(321)로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체(321)는 와이어(301)가 관통하는 연통구가 마련된 바디와, 상기 바디의 종단부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HR 코일의 측부를 지지하는 설치 가이드로 구성된다. 이러한 지지체(321)는 와이어(301) 상에서 상호 대향 하도록 두 개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지지체(321)의 바디 및 설치 가이드 간 절곡 부위는 HR 코일의 하중에 의해 와이어(301)의 훼손을 방지하도록 설정된 반경으로 곡률을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체(321)는 금속 재질로 제작되거나 폴리카본(PC) 재질로 성형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금속 재질의 지지체는 제품과의 접촉 부위에 탄성체를 접합 또는 체결할 수 있다. 이는 제품과 지지체 간의 가압력, 충격 등에 의한 제품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탄성체는 고무 재질이 바람직하나, 고무 재질 이외에 소정의 탄성을 갖는 플라스틱 예컨대, ABS 재질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지지체(321)가 금속 재질로 구현될 경우, 35TON 중량 기준에서 10mm 내지 15mm의 두께를 유지함이 바람직하며, 상기 바디의 길이는 100mm 내지 150mm이고 상기 바디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상기 설치 가이드의 길이는 80mm 내지 100mm로 설정함이 적절하다. 또한, 상기 연통구의 반경은 80mm 내지 100mm로 설정함으로써 와이어 상에서 지지체(321)가 원활하게 유동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체(321)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지지체(321)는 각 바디가 상호 대향 하도록 상기 와이어(301)의 중앙고리(307)를 통해 인입 설치되며, 와이어(301)의 종단고리(305)는 크레인에 고정 설치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지지체(321)가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중앙고리(307)를 HR 코일의 내경 중공부로 유입 관통하여 크레인에 설치한다.
이때, 상기 중앙고리(307)를 크레인에 설치하는 과정에서 상기 각 지지체(321)는 와이어(301) 상에서 용이하게 유동되기 때문에, 상기 종단고리(305)에 근접한 하나의 지지체(321)를 HR 코일의 내경 모서리에 고정한 후, 다른 하나의 지지체를 유동시켜 타측 내경 모서리에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중앙고리(307)를 크레인에 설치한다.
한편, 상기 중앙고리(307)로부터 인입되는 한 쌍의 지지체(321)는 작업 과정에서 지지체(321)가 이탈될 수 있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중앙고리(307)에 근접한 위치에 이탈 방지바(331)를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이탈 방지바(331)는 지지체(321)가 와이어(301)에 삽설된 후, 두 와이어 사이로 끼움 결합되는 것으로,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종단부가 라운드 처리된 일자형 또는 십자형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이탈 방지바(331)는 전술한 바와 같이 직선 구조로 구현되나 필요에 따라, 곡선 형태의 후크, 반달 형태 등으로 제시될 수 있음은 당연할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지지체(321)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와이어(301)의 인입이 원활하도록 원형 연통구(515)를 구비한 원통바디(501)와, 상기 원통바디(501)의 종단부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환형 구조를 갖고, 상기 원통 바디(501)와 대향하는 배면으로 자석(509)을 인입 설치하기 위한 자석 설치홈(505)을 구비한 환형 설치 가이드(503)로 이루어진다.
상기 환형 설치 가이드(503)의 배면으로 자석(509)을 설치하는 것은, HR 코일이 자석과 직접적으로 맞닿지 않도록 하여 부착 및 이탈이 용이하도록 함과 동시에, HR 코일과 자석 간의 인력으로 인한 자석의 분리 현상을 방지함에 있다.
필요에 따라, 상기 환형 설치 가이드(503)의 배면으로 자석(509)의 분리를 방지하기 위한 커버(511)를 구비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상기 커버(511)는 환형 설치 가이드(503)와 나사 결합이 가능할 것이며, 상기 환형 설치 가이드(503)의 자석 설치홈(505) 사이로 다수 개의 체결홈(507)을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원통형 구조의 지지체(321)는 환형 설치 가이드(503)의 배면에 마련된 다수 개의 자석 설치홈(505)으로 자석(509)을 인입 설치한 후, 상기 커버(511)를 환형 설치 가이드(503)으로 배면으로 밀착시켜 나사(513)를 이용하여 결합한다.
따라서, HR 코일용 와이어 장치(300)가 HR 코일의 내경을 따라 설치될 때, HR 코일 내경의 상부위치 모서리로 각각의 지지체(321)를 부착시킨 후, 와이어(301)의 중앙고리(307)를 크레인에 체결토록 함으로써 작업의 효율성을 높이게 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환형 서러치 가이드(503) 및 원통 바디(501) 사이의 경계면은 소정의 곡률(R)을 갖도록 가공함으로써 와이어(301)의 인장력으로 인한 와이어(301)의 훼손을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지지체(321)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와이어(301)의 인입이 원활하도록 원호 연통구(615)를 구비한 원호 구조를 갖는 원호바디(601)와, 상기 원호바디(601)의 종단부에서 수직 방향으로 방사되도록 연장하고, 상기 원호바디(601)와 대향하는 배면으로 자석(609)을 인입 설치하기 위한 자석 설치홈(605)을 구비한 원호 구조의 원호 설치 가이드(603)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원호 설치 가이드(603)의 배면으로 자석(609)의 분리를 방지하도록 배면과 대응하는 원호 구조의 커버(611)를 구비하며, 상기 커버(611)와 원호 설치 가이드(603) 간 나사 결합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원호 설치 가이드(603)의 자석 설치홈(605) 사이로 다수 개의 체결홈(607)을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원호 연통구(615)의 단면 형상이 원호 형상을 유지하나, 상기 와이어(301)가 원활하게 유동될 수 있도록 원호의 최고 높이는 80mm 내지 100mm로 설정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원호 설치 가이드(603) 및 원호 바디(601) 간 경계면은 곡률(R)을 갖도록 설계하여 와이어(301)의 훼손을 방지한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 제시하는 원호 구조의 지지체(321)는 HR 코일의 내경과 밀착되는 면을 증가시켜 설치의 편의성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또한, 이하의 설명을 포함하는 모든 실시 예에서의 지지체(321)는 각 모서리를 곡률로 형성함으로써, 사용의 안정성과 와이이의 보호가 이루어지도록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로 나타낸 지지체로써, 클립 또는 클램프 형태의 구조를 갖는다. 이는 지지체의 연통구가 개폐 가능한 구조로 구현됨에 따라 와이어(301)를 인입 설치할 필요가 없게 된다. 또한, 전술한 이탈 방지바(331)의 설치가 불필요한 구조로 제시될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체는 단면이 반원 형상을 갖는 제1 바디(701)와, 상기 제1 바디(701)의 종단부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되고, 종단 일측에 결합수단(781)이 부가된 원호 형상의 제1 설치 가이드(703)로 구성된 제1 지지체로 이루어지며; 단면이 반원 형상을 갖는 제2 바디(721)와, 상기 제2 바디(721)의 종단부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되고, 종단 일측에 상기 결합수단(781)과 대응하도록 체결 가능한 결합홈(731)이 구비된 원호 형상의 제2 설치 가이드(723)로 구성된 제2 지지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설치 가이드(703) 및 제2 설치 가이드(723)의 각 종단 타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1 지지체 및 제2 지지체 간의 회동을 유도하는 힌지(741)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바디(701)와 대향하는 제1 설치 가이드(703)의 배면에는 다수 개의 자석(709)이 인입 설치되기 위한 자석 설치홈(705)을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제2 바디(721)와 대향하는 제2 설치 가이드(723)의 배면에는 다수 개의 자석(729)이 인입 설치되기 위한 자석 설치홈(725)이 마련된다.
여기서, 상기 자석(709, 729)의 설치 후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1 설치 가이드(703)와 대응하는 형상의 제1 커버(751) 및 상기 제2 설치 가이드(723)와 대응하는 형상의 제2 커버(771)를 구비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자석 설치홈(705, 725) 사이로 각각의 체결홈(707, 727)이 마련되며, 상기 제1 커버(751, 771)는 상기 각 체결홈(707, 727)과 대응하는 체결구(753)이 제공된다.
한편, 상기 결합수단(781)은 제1 바디(701)의 대향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축을 형성하고, 상기 연장축의 종단에 체결너트가 구비된 구조를 갖는다. 이에, 상기 제2 설치 가이드(723)의 종단 일측에는 상기 연장축으로 인입되기 위해 일단이 개방된 결합홈(731)을 제공한다. 따라서, 상기 제1 지지체 및 제2 지지체는 상기 힌지(741)를 중심으로 회동하되, 상기 결합홈(731)이 결합수단(781)의 연장축으로 인입된 후 체결너트에 의해 제1 지지체 및 제2 지지체 간 결합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결합수단(781)의 실시 예를 너트 체결 방식으로 설명하였으나, 결합수단으로서 클램프가 사용될 수 있음은 당연할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 예에서의 지지체는 제1 설치 가이드(703)의 자석 설치홈(705)으로 각각의 자석(709)이 매립된 후, 상기 제1 커버(751)와 제1 설치 가이드(703) 간 체결이 이루어진다. 체결방식은 스크류 체결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 제2 설치 가이드(723)의 자석 설치홈(725)으로 각각의 자석(729)이 매립된 후, 상기 제2 커버(771)와 제2 설치 가이드(723) 간 체결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클립 또는 클램프 구조를 갖도록 제1 지지체 및 제2 지지체로 이루어지며, 힌지(741)에 의해 일정 각도로 회동 가능하게 된다. 결국,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시하는 지지체는 와이어(301)의 측면으로 인입되어 결합하기 위한 구조를 갖는다.
즉, HR 코일의 내경으로 와이어(301)가 관통되고 중앙고리(307)가 크레인에 안착될 때, 와이어(301)와 HR 코일 내경의 공간으로 상기 지지체가 인입되어 상기 와이어(301) 상으로 제1 지지체가 안착된다. 그리고, 관리자는 제2 지지체를 회동시켜 제1 지지체 및 제2 지지체 사이로 와이어(301)가 안착되도록 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두 개의 지지체가 와이어 상으로 설치되며, 각 지지체의 바디가 상호 대향하도록 한다.
이후, 작업자는 두 개의 지지체를 HR 코일의 내경 각 모서리에 위치시킨 후, 내설된 자력에 의해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부착한다. 그리고, 작업자의 지시에 따라 크레인에 설치된 와이어를 당겨 HR 코일을 이송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지지체를 이용하여 와이어와 체결되도록 함에 따라, HR 코일이 밀집된 협소한 장소에서 HR 코일의 선적 및 하역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PP 로프를 사용하지 않음에 따라 제품의 훼손 및 손상을 사전에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300 : HR 코일용 와이어 장치 301 : 와이어
305 : 종단 고리 307 : 중앙 고리
309 : 클립 321 : 지지체
331 : 이탈 방지바 501 : 원통바디
503 : 환형 설치 가이드 505, 605, 705, 725 : 자석 설치홈
507, 607, 707, 727 : 체결홈 509, 609, 709, 729 : 자석
511, 611 : 커버 513, 613 : 나사
515 : 원형 연통구 601 : 원호 바디
603 : 원호 설치 가이드 615 : 원호 연통구
701 : 제1 바디 703 : 제1 설치 가이드
721 : 제2 바디 723 : 제2 설치 가이드
751 : 제1 커버 753 : 체결구
771 : 제2 커버

Claims (13)

  1. 철판코일(HR 코일) 이송을 위한 와이어 장치에 있어서,
    크레인으로 고정 설치되도록 종단고리가 양 종단부에서 형성되고, 중앙을 접어 중앙고리를 형성하는 와이어;
    상기 와이어의 중앙 부위 이격을 방지하도록 간헐적으로 설치되는 클립; 및
    상기 중앙고리로 인입되어 HR 코일의 각 내경 외주면으로 설치되는 한 쌍의 지지체로 이루어며, 상기 지지체의 각 모서리는 와이어의 훼손방지를 위해 곡률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판 코일용 이송 와이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상기 와이어가 관통하는 연통구가 마련된 바디와, 상기 바디의 종단부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HR 코일의 측부를 지지하는 설치 가이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판 코일용 이송 와이어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금속재질 또는 폴리카본(PC) 재질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판 코일용 이송 와이어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가 와이어에 삽설된 후, 상기 지지체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두 와이어 사이로 끼움 결합되는 이탈 방지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판 코일용 이송 와이어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 방지바는 각 종단부가 라운드 처리된 일자형 또는 십자형 구조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판 코일용 이송 와이어 장치.
  6.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상기 와이어의 인입이 원활하도록 원형 연통구를 구비한 원통바디; 및
    상기 원통바디의 종단부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환형 구조를 갖고, 상기 원통 바디와 대향하는 배면으로 자석을 인입 설치하기 위한 자석 설치홈을 구비한 환형 설치 가이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판 코일용 이송 와이어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환형 설치 가이드의 배면으로 자석의 분리를 방지하기 위한 커버를 더포함하며;
    상기 커버가 상기 환형 설치 가이드와 나사 결합하도록 상기 환형 설치 가이드의 자석 설치홈 사이로 다수 개의 체결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판 코일용 이송 와이어 장치.
  8.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상기 와이어의 인입이 원활하도록 원호 연통구를 구비한 원호 구조를 갖는 원호바디;
    상기 원호바디의 종단부에서 수직 방향으로 방사되도록 연장하고, 상기 원호바디와 대향하는 배면으로 자석을 인입 설치하기 위한 자석 설치홈을 구비한 원호 구조의 원호 설치 가이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판 코일용 이송 와이어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원호 설치 가이드의 배면으로 자석의 분리를 방지하도록 배면의 형상과 대응하는 원호 구조의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판 코일용 이송 와이어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단면이 반원 형상을 갖는 제1 바디와, 상기 제1 바디의 종단부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되고, 종단 일측에 결합수단이 부가된 원호 형상의 제1 설치 가이드로 구성된 제1 지지체;
    단면이 반원 형상을 갖는 제2 바디와, 상기 제2 바디의 종단부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되고, 종단 일측에 상기 결합수단과 대응하도록 체결 가능한 결합홈이 구비된 원호 형상의 제2 설치 가이드로 구성된 제2 지지체;
    상기 제1 설치 가이드 및 제2 설치 가이드의 각 종단 타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1 지지체 및 제2 지지체 간의 회동을 유도하는 힌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판 코일용 이송 와이어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와 대향하는 제1 설치 가이드의 배면에는 다수 개의 자석이 인입 설치되기 위한 자석 설치홈을 구비하며;
    상기 제2 바디와 대향하는 제2 설치 가이드의 배면에는 다수 개의 자석이 인입 설치되기 위한 자석 설치홈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판 코일용 이송 와이어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의 설치 후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1 설치 가이드와 대응하는 형상의 제1 커버 및 상기 제2 설치 가이드와 대응하는 형상의 제2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판 코일용 이송 와이어 장치.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제1 바디의 대향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축을 형성하고, 상기 연장축의 종단에 체결너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판 코일용 이송 와이어 장치.
KR1020130070916A 2013-06-20 2013-06-20 열연 코일용 이송 와이어 장치 KR1013433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0916A KR101343380B1 (ko) 2013-06-20 2013-06-20 열연 코일용 이송 와이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0916A KR101343380B1 (ko) 2013-06-20 2013-06-20 열연 코일용 이송 와이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43380B1 true KR101343380B1 (ko) 2013-12-18

Family

ID=499887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0916A KR101343380B1 (ko) 2013-06-20 2013-06-20 열연 코일용 이송 와이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338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6669Y1 (ko) * 2014-09-12 2015-03-25 김수연 열연코일 이송을 위한 와이어 구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4413Y1 (ko) 2000-06-05 2000-11-15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코일형 제품 이송장치
JP2001353522A (ja) 2000-04-11 2001-12-25 Nkk Corp コイルリフターのコイルエッジ損傷防止装置
KR100548053B1 (ko) 2003-08-25 2006-02-09 구경환 와이어로프에 의한 코일손상방지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53522A (ja) 2000-04-11 2001-12-25 Nkk Corp コイルリフターのコイルエッジ損傷防止装置
KR200204413Y1 (ko) 2000-06-05 2000-11-15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코일형 제품 이송장치
KR100548053B1 (ko) 2003-08-25 2006-02-09 구경환 와이어로프에 의한 코일손상방지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6669Y1 (ko) * 2014-09-12 2015-03-25 김수연 열연코일 이송을 위한 와이어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44138B2 (en) Edge protector for use with a sling
JP2014058398A (ja) コンベヤベルト搬送用保持具
KR101343380B1 (ko) 열연 코일용 이송 와이어 장치
US8562048B2 (en) Reel lifting device and method
US9221381B1 (en) Adjustable magnetic tie-down
US7909378B2 (en) Apparatus for carrying multiple fishing poles
US20100095544A1 (en) Flange alignment pin
EP4186837A1 (en) Welding wire spool with breakaway tab
KR100662604B1 (ko) 간격조절이 용이한 코일 손상 방지장치
US9783393B2 (en) Lifting apparatus
US20190150416A1 (en) Fishing line holder
US7070142B2 (en) Clamping device and method
JP6751509B2 (ja) 安全帯
US20140326026A1 (en) Apparatuses and Methods for Securing Fishing Rods and Reels
KR101030766B1 (ko) 철판 코일용 운반 보호링
AU2012100960B4 (en) Gas Bottle Support Kit
US20160090276A1 (en) Heavy load sling protective pad
KR20050022173A (ko) 와이어로프에 의한 코일손상방지구
GB2590413A (en) Container cover
US10847293B2 (en) Magnetic core with flexible packaging
JP7162817B2 (ja) 吊り具
KR102122305B1 (ko) 종이 슬리브 변형 방지 장치
JPH07164929A (ja) 電車線ハンガイヤ用保護カバー
KR200476669Y1 (ko) 열연코일 이송을 위한 와이어 구조
JP6307808B2 (ja) 軸受用治具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