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21267A - 진공형광 디스플레이용 전원회로 - Google Patents

진공형광 디스플레이용 전원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21267A
KR20050021267A KR1020040067061A KR20040067061A KR20050021267A KR 20050021267 A KR20050021267 A KR 20050021267A KR 1020040067061 A KR1020040067061 A KR 1020040067061A KR 20040067061 A KR20040067061 A KR 20040067061A KR 20050021267 A KR20050021267 A KR 200500212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terminal
switching element
filament
v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70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30431B1 (ko
Inventor
가메다마사시
시바타가즈히사
나카니시히로시
데라카미신이치
에구치도시히데
Original Assignee
노리타께 이세덴시 가부시키가이샤
가부시키가이샤 노리타케 캄파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3302538A external-priority patent/JP418146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3418233A external-priority patent/JP4268029B2/ja
Application filed by 노리타께 이세덴시 가부시키가이샤, 가부시키가이샤 노리타케 캄파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노리타께 이세덴시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212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12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04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043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31/00Cathode ray tubes; Electron beam tubes
    • H01J31/08Cathode ray tubes; Electron beam tubes having a screen on or from which an image or pattern is formed, picked up, converted, or stored
    • H01J31/10Image or pattern display tubes, i.e. having electrical input and optical output; Flying-spot tubes for scanning purposes
    • H01J31/12Image or pattern display tubes, i.e. having electrical input and optical output; Flying-spot tubes for scanning purposes with luminescent screen
    • H01J31/15Image or pattern display tubes, i.e. having electrical input and optical output; Flying-spot tubes for scanning purposes with luminescent screen with ray or beam selectively directed to luminescent anode seg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Dc-Dc Conver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진공형광 디스플레이용 전원회로는 부스팅 코일, 입력단자, 스위칭 트랜지스터, PWM 제어회로, 부스팅 회로, 제 1 필라멘트 단자, 및 제 2 필라멘트 단자를 포함한다. 부스팅 코일은 전류흐름에서의 변화에 따라 유도전압을 발생시키기 위해 전류경로에 제공된다. 입력단자는 부스팅 코일의 한 단자에 인가되는 DC 전압을 받아들인다. 스위칭 트랜지스터는 부스팅 코일의 타 단자와 접지선 사이에 제공된다. PWM 제어회로는 스위칭 트랜지스터를 주기적으로 온/오프한다. 부스팅 회로는 스위칭 트랜지스터가 온(ON) 에서 오프(OFF)로 전환될 때 부스팅 코일의 타 단자에서 발생되는 유도전압을 기초로 상승전압을 발생시킨다. 제 1 단자는 부스팅 코일의 타 단자와 스위칭 트랜지스터 사이의 노드에 연결된다. 부스팅 코일의 타 단자에서 발생되는 유도전압보다 낮은 DC 전압이 제 2 단자에 인가된다.

Description

진공형광 디스플레이용 전원회로{Power Supply Circuit For Vacuum Fluorescent Display}
본 발명은 진공형광 디스플레이(vacuum fluorescent display)에 부착되는 전원에 관한 것이다.
진공형광 디스플레이는 적어도 하나의 투명한 면을 갖는 진공용기(vacuum envelpoes)의 음극으로부터 방출된 전자들이 양극에 도포된 형광층에 충돌하도록 하고 상기 형광층이 빛을 방출하도록 함으로써 소정의 패턴을 나타내는 전자관(electron tube)이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진공형광 디스플레이로서, 전자의 움직임을 제어하기 위한 그리드(grid)를 갖는 트라이오드(triode) 구조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가 가장 빈번하게 사용된다.
도 15는 종래 일반적인 진공형광 디스플레이관 및 상기 진공형광 디스플레이관에 부착된 회로를 도시한 것이다(일본특허공개공보 제2002-260565호(참조문헌 1)를 참조). 도 15를 참조하면, 참조번호 1은 진공형광 디스플레이관(display tube)을 나타내고, 참조번호 400은 상기 진공형광 디스플레이관에 부착된 전원회로를 나타낸다. 진공형광 디스플레이관(1)에서, 진공 용기(2)는 형광재료(3)로 코팅된 복수의 양전극(4)들로 구성되는 양극(5), 상기 양극(5)의 상단면에 마주하도록 배치된 음극(6), 및 상기 음극(6)으로부터 방출된 전자를 제어하기 위해 상기 양극(5)과 상기 음극(6) 사이에 위치되는 그리드(7)를 포함한다. 상기 양극(5)은 양극 기판(8)상에 형성된다.
이 경우, 음극(6)은 전자방출재료로 코팅된 필라멘트(filament)이다. 음극(6)은 중간탭 변압기(center-tapped transformer)(9)를 통해 AC 전원(10)에 연결되고 상기 변압기(9)의 중간탭을 통해 접지(GND)된다. 이 구조로, AC 필라멘트 전압(Ef)이 음극(6)을 가로질러 (단자 F1 및 F2 사이에) 인가된다.
그리드(7)는 메쉬 패턴(mesh pattern)으로 형성되고 부스팅 회로(boosting circuit)(11)로부터 DC 전압(VDD2)을 받아들인다. 각각의 양전극(4)이 구동회로(12)에 연결된다. 상기 구동회로(12)는 또한 부스팅 회로(11)로부터 DC 전압(VDD2)을 받아들인다. 부스팅 회로(11)는 입력전압 Vin(DC 전압)을 상승시킴으로써 양극/그리드용의 DC 전압 VDD2을 발생시킨다. 구동회로(12)는 양 전압을 온/오프 제어하여 입력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기초로 각각의 양전극(4)에 인가되게 한다.
[컷오프(Cut-off) 전압]
진공형광 디스플레이에서, 필라멘트 전위가 양극 전위의 턴오프(turn-off) 레벨 이하로 떨어질 때, 발광 누출(leakage)이 발생할 수 있다. 즉, 필라멘트 전위는 양극 전위의 턴오프 레벨보다 더 높게될 필요가 있다. 이 필라멘트 전위를 컷오프 전압이라 한다.
도 15를 참조하면, 음극(6)의 한 단자와 GND 사이의 평균전압(필라멘트 단자 F1측상의 평균전압)은 음극(6)의 타 단자와 GND 사이의 평균전압(필라멘트 단자 F2측상의 평균전압)과 같다. 음극(6)의 평균전압을 컷오프 전압으로 정한다. 이 컷오프 전압은 GND와 변압기(9)의 중심탭 사이에 연결된 저항기(RC1)의 값에 의해 조정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 전원회로(400)에서, AC 필라멘트 전압(Ef)은 변압기(9)를 사용하여 얻어지므로,
(1) 많은 소음의 발생;
(2) 전원의 설계에 많은 비용과 시간이 듦;
(3) 진공형광 디스플레이관(1)상에 소정의 패턴을 나타낼 때 명멸(明滅)의 발생; 및
(4) 큰 소비전력이 드는 문제들이 드러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필라멘트 구동 변압기의 필요성을 제거하고 저소음을 달성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원의 설계에 드는 시간을 단축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소정의 패턴이 진공형광 디스플레이관상에 나타날 때 명멸을 방지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저소비전력을 달성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목적에 따르면, 전류흐름에서의 변화에 따라 유도전압을 발생시키도록 전류경로에 제공되는 유도소자, 상기 유도소자의 한 단자에 있는 DC 전압용 입력 단자, 상기 유도소자의 타 단자와 접지선 사이에 제공되는 스위칭 소자, 상기 스위칭 소자를 주기적으로 온/오프(trun on/off)하는 제어회로, 상기 스위칭 소자가 온(ON)에서 오프(OFF)로 전환될 때 상기 유도소자의 타 단자에서 생성되는 유도전압을 기초로 상승전압을 발생시키는 부스팅 회로, 상기 유도소자의 타 단자와 상기 스위칭 소자 사이의 노드(node)에 연결되는 제 1 단자, 및 상기 유도소자의 타 단자에서 생성되는 유도전압 보다 낮은 DC 전압이 인가되는 제 2 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형광 디스플레이용 전원회로가 제공된다.
본 발명은 첨부도면을 참조로 하기에 상세히 설명된다
제 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전원회로의 주요부를 도시한 것이다. 전원회로(100)는 커패시터(입력평활 커패시터) C0, 부스팅 코일(boosting coil)(유도소자) L, 부스팅 회로(13), 스위칭 트랜지스터(switching transistor)(전계효과 트랜지스터) TR, 가변저항기(전압조정 저항기)(14), PWM 제어회로(15), 및 저항기 R1과 R2를 포함한다. 전원회로는 입력단자 Pin, 출력단자 Pout, 필라멘트 단자 F1(제 1 단자), 및 필라멘트 단자 F2(제 2 단자)를 갖는다.
입력전압(DC 전압) Vin이 입력단자 Pin에 인가된다. 양극/그리드용의 DC 전압 VDD2은 출력단자 Pout로부터 출력된다. 필라멘트 단자 F1 및 F2 사이에 진공형광 디스플레이관(1)의 음극(필라멘트)(6)이 연결된다.
전원회로(100)에서, 부스팅 코일(L)은 입력단자 Pin와 부스팅 회로(13) 사이의 전류경로 Lin에 제공되고, 전류경로 Lin에 흐르는 전류의 변화에 따라 유도전압을 발생시킨다. 입력평활 커패시터 C0는 부스팅 코일 L의 한 단자 Pa와 입력단자 Pin 간의 노드와 접지선 사이에 연결된다. 부스팅 코일 L의 타 단자 Pb는 스위칭 트랜지스터 RT의 드레인(drain)에 연결된다.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소스(source)는 접지(GND)된다. PWM 제어회로(15)는 저항기 R1을 통해 스위칭 트랜지스터 TR의 게이트(gate)에 연결된다.
PWM 제어회로(15)는 기설정된 듀티비(duty ratio)[Vin 대 Vo의 비 Vin/Vo(후술함)를 오프듀티(off duty) Doff(Doff=Vin/Vo)로 하고, (Vo-Vin) 대 Vo의 비가 온듀티(on duty) Don(Don = (Vo-Vin)/Vo)로 함]에 따라 펄스 신호를 주기적으로 발생시키고, 저항기 R1를 통해 스위칭 트랜지스터 TR의 게이트에 펄스 신호를 공급한다. PWM 제어회로(15)에서, 펄스 신호의 주기 및 듀티비가 조정될 수 있음을 유의하라.
부스팅 코일 L의 타 단자 Pb와 스위칭 트랜지스터 TR의 드레인 사이의 노드 P1는 전압조정 저항기(14)를 통해 필라멘트 단자 F1에 연결된다. 즉, 전압조정 저항기(14)는 상기 부스팅 코일 L의 타 단자 Pb와 스위칭 트랜지스터 TR 간의 노드 P1과 필라멘트 단자 F1 사이의 연결선 LR에 연결된다. 입력전압(DC 전압) Vin이 필라멘트 단자 F2에 인가된다.
부스팅 회로(13)는 n개의 전하펌프 CHP1 내지 CHPn를 포함한다. 전하펌프 CHP1는 다이오드(정류다이오드) D11 및 D12와 커패시터 C1a 및 C1b(출력평활/전하펌프 커패시터)로 구성된다. 다이오드 D11의 양극은 부스팅 코일 L의 한 단자에 연결되고, 다이오드 D11의 음극은 다이오드 D12의 양극에 연결된다. 커패시터 C1a의 한 단자는 다이오드 D11의 음극과 다이오드 D12의 양극에 연결된다. 커패시터 C1a의 타 단자는 접지된다. 커패시터 C1b의 한 단자는 다이오드 D12의 음극에 연결되고, 타 단자는 부스팅 코일 L의 타 단자 Pb, 즉, 부스팅 코일 L, 부스팅 회로(13) 및 스위칭 트랜지스터 TR 사이의 노드 P1에 연결된다.
CHP2 내지 CHPn-1의 전하펌프는 전하펌프 CHP1의 배열과 동일한 배열을 갖는다. 마지막 전하펌프 CHPn는 다이오드 Dn 와 커패시터 Cn로 구성된다. 다이오드 Dn의 양극은 바로 앞의 전하펌프 CHPn-1 다이오드 D(n-1)2의 음극에 연결되고, 다이오드 Dn의 음극은 출력단자 Pout에 연결된다. 커패시터 Cn는 다이오드 Dn의 음극과 접지선 사이에 연결된다.
[부스팅 동작]
PWM 제어회로(15)는 기설정된 듀티비에 따라 펄스 신호를 주기적으로 발생시키고, 저항기 R1를 통해 스위칭 트랜지스터 TR의 게이트에 상기 펄스 신호를 제공한다. 스위칭 트랜지스터 TR는 펄스신호에 따라 온/오프(ON/OFF) 동작을 수행한다. 이 경우, 스위칭 트랜지스터 TR가 온(ON) 에서 오프(OFF)로 전환되는 경우, 입력전압 Vin보다 더 큰 전압(유도전압) Vo이 부스팅 코일 L과 스위칭 트랜지스터 TR 사이의 노드 P1에서 발생된다.
전압 Vo이 부스팅 회로(13)에 인가된다. 부스팅 회로(13)에서, 전하펌프 CHP1의 커패시터 C1a는 다이오드 D11을 통해 노드 P1에서 발생된 전압 V0에 의해 충전되고, 펌프의 충전 전위 V1는 V0(V1=V0)가 된다. 스위칭 트랜지스터 TR가 오프(OFF) 에서 온(ON)으로 전환되는 경우, 커패시터 C1b는 다이오드 D12를 통해 커패시터 C1a의 충전 전위 V1에 의해 충전되고, 커패시터의 충전 전위는 V0이 된다. 스위칭 트랜지스터 TR가 다시 온(ON) 에서 오프(OFF)로 전환되는 경우, 커패시터 C1b의 충전 전위 V0는 노드 P1에서 발생된 유도전압 V0만큼 상승되고, 전하펌프 CHP2에서 커패시터 C2a의 충전 전위 V2는 2V0(V2=2V0)가 된다.
연이어, 이 동작이 반복되므로, 노드 P1에서 발생된 전압 V0은 전하펌프 CHP1 에서 CHPn에 의해 잇따라 상승된다. 그 결과, 전압 nV0은 출력단자 Pout로부터 양극/그리드용의 DC 전압 VDD2(VDD2=nV0)으로서 얻어진다. 즉, 노드 P1에서 발생된 전압 V0을 부스팅 회로(13)를 지나게 함으로써, 전압 V0보다 n배 큰 양극/그리드용의 DC 전압 VDD2을 얻을 수 있다. 양극/그리드용의 DC 전압 VDD2의 값은 스위칭 트랜지스터 TR의 온듀티 Don와 부스팅 회로(13)에 있는 전하펌프의 갯수에 의해 조정될 수 있다.
[필라멘트 전압]
[F1에서의 파형]
도 2는 상기 부스팅 회로에 따른 필라멘트 단자 F1에서 나타나는 전압파형(F1에서의 파형)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인용기호 ton은 스위칭 트랜지스터 TR의 온(ON) 시간을 나타내고, toff는 스위칭 트랜지스터 TR의 오프(Off) 시간을 나타낸다. 이하 설명에서, 전압은 스위칭 트랜지스터 TR, 다이오드 D 및 커패시터 C등에서의 전압강하(voltage drops)는 무시된다.
스위칭 트랜지스터 TR가 온(ON)인 경우, 필라멘트 단자 F1는 전압조정 저항기(14)를 통해 접지되어 있기 때문에, 전압조정 저항기(14)에서의 0V 보다 전압강하 VR만큼 더 큰 전압이 나타난다. 이 경우, Rf를 음극(6)의 저항으로, R을 전압조정 저항기(14)의 저항으로 두면, 전압조정 저항기(14)에서의 전압강하 VR는 필라멘트 단자 F2의 전위가 Vin이기 때문에 VR = Vin·{R/(Rf+R)}로 표현된다. 따라서, 필라멘트 단자 F1의 전위는 VR = Vin·{R/(Rf+R)}로 주어진다.
스위칭 트랜지스터 TR가 오프(OFF)인 경우, 노드 P1에서 발생된 전압 V0이 전압조정 저항기(14)를 통해 필라멘트 단자 F1에 인가되기 때문에, 전압조정 저항기(14)에 전압 V0 보다 전압강하 VR만큼 더 낮은 전압이 나타난다. 이 경우, 전압조정 저항기(14)에서의 전압강하 VR는 이번에는 노드 P1에서 전위가 V0이기 때문에 VR = (V0-Vin)·{R/(Rf+R)}로 표현된다. 따라서, 필라멘트 단자 F1의 전위는 V0 - (V0-Vin)·{R/(Rf+R)}로 주어진다.
[F1 및 F2 사이의 파형]
필라멘트 단자 F1 및 F2 사이의 전압파형(F1 및 F2 사이의 파형)은 필라멘트 단자 F2에 인가된 입력전압 Vin이 기준이 되고 필라멘트 단자 F1측이 "+"측이 되어 도 3에 도시된 파형과 유사하게 된다. 즉, 필라멘트(6)의 양단에 인가된 전압은 스위칭 트랜지스터 TR의 주기적인 온/오프 스위칭으로 인해 직사각형 파형(AC 필라멘트 전압)을 갖는 전압이 된다.
이 경우, 필라멘트(6)의 양단에 인가되는 필라멘트 전압 Ef의 유효값은
로 표현된다.
식(1)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필라멘트 전압 Ef은 전압조정 저항기(14)의 저항 R과 전압 V0에 의해 조정될 수 있다. VDD2=nV0 이고 V0=VDD2/n이므로, V0는 부스팅 회로(13)에서 전하펌프의 갯수에 의해 결정됨을 유의하라. 즉, V0 값은 전하펌프의 갯수를 변경함으로써 변경될 수 있다.
전압조정 저항기(14)없이(R=0), 필라멘트 전압 Ef의 유효값은
으로 표현된다.
[컷오프 전압]
전원회로(100)에서, 필라멘트 단자 F1 및 F2에서 평균전압 VF1 및 VF2은 VF1=VF2=Vin으로 표현된다. 예를 들어, 전압조정 저항기(14)없이(R=0Ω),
VF1 = V0·Doff = V0·(Vin/V0) = Vin이다.
VF2 = Vin이므로(Vin에 연결됨),
VF1 = VF2 = Vin이다.
전압조정 저항기(14)가 있으면,
VF1 = {V0 - (V0-Vin)·(R/(Rf+R))}·Doff + Vin·(R/(Rf+R))·Don
= {V0-(V0-Vin)·(R/(Rf+R))}·(Vin/V0) + Vin·(R/(Rf+R))·((V0-Vin)/V0)
= {1-(R/(Rf+R))}·Vin + Vin·(R/(Rf+R))
= Vin·{(Rf/(Rf+R))+(R/(Rf+R))} = Vin이다.
VF2 = Vin(Vin에 연결됨)이므로,
VF1 = VF2 = Vin이다.
필라멘트 단자 F1에서 컷오프 전압(양극이 오프(OFF)일 때 휘도(luminance)가 0이되는 필라멘트 전위)은 필라멘트 단자 F2에서의 컷오프 전압과 같을 수 있다. 또한, 필라멘트 전위의 최소값과 접지 전위 사이의 전위차 VR(VR=Vin·{R/(Rf+R)})는 전압조정 저항기(14)의 저항 R을 조정함으로써 임의로 정해질 수 있다.
[Vin의 가변에 따른 Ef의 가변비]
Vin의 가변에 따른 Ef의 가변비를 현 장치에 의해 구하였다. 이는 Vin의 범위가 컸더라도 필라멘트 전압 Ef이 안정적었음을 입증할 수 있게 했다.
(1) V0 = 10V인 경우,
이다.
Vin이 ±10% 범위로 가변하면, Ef는 ±0.6% 범위로 가변한다.
(2) V0 = 10V인 경우,
이다.
Vin이 ±20% 범위로 가변하면, Ef는 ±2% 범위로 가변한다.
(3) V0 = 15V인 경우,
이다.
Vin이 ±10% 범위로 가변하면, Ef는 -2.8% 에서 +2.3% 범위로 가변한다.
전원회로(100)에서, 입력단자 Pin에 인가되는 DC 전압과 필라멘트 단자 F2에 인가되는 DC 전압은 동일한 전압 Vin으로 설정된다. 그러나, 필라멘트 단자 F2에 인가되는 DC 전압이 노드 P1에서 발생된 유도전압 V0보다 더 낮으면 충분하다. 즉, 이 전압은 입력단자 Pin에 인가된 DC 전압 Vin과 항상 같을 필요가 없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원회로(100)에 따르면, 상승된 전압 VDD2이 진공형광 디스플레이관(1)의 양극(5)과 그리드(7)에 인가될 때 스위칭 트랜지스터 TR의 주기적인 온/오프 동작을 사용하여 AC 필라멘트 전압 Ef이 발생되기 때문에, 어떠한 필라멘트 구동 변압기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이는 저소음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이 회로는 상용으로 구매가능한 부품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어떠한 변압기 설계비용도 들지 않는다. 또한, 전원의 설계에 드는 시간도 단축될 수 있다. 더욱이, 필라멘트(6)의 구동주기는 PWM 제어회로(15)로부터 펄스신호의 주기를 조정함으로써 디스플레이 턴온 주기와 동조될 수 있다. 이는 소정의 패턴이 진공형광 디스플레이관(1)상에 나타날 때 명멸(明滅)을 방지할 수 있다. 어떠한 변압기도 사용되지 않기 때문에, 저소비전력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필라멘트 전압 Ef은 부스팅 회로 L의 한 단자에서 발생된 유도전압 V0을 사용하여 얻어지기 때문에, 전압손실이 작으며, 필라멘트 전압 Ef의 안정성도 우수하다. 입력전압이 변하거나 배터리 구동 동작(battery driven operation)에서와 같이 불안정할 때에도, 필라멘트 전압 Ef의 안정성은 우수하다.
제 2 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전원회로의 주요부를 도시한 것이다. 전원회로(200)는 제어회로(16A), 부스팅 회로(17) 및 컷오프 회로(18A)를 포함하고, 입력단자 Pin, 출력단자 Pout, 필라멘트 단자 F1 및 F2를 갖는다. DC 전압(입력 전압) Vin은 입력단자 Pin에 인가된다. 양극/그리드용의 DC 전압 VDD2은 출력단자 Pout로부터 출력된다. 진공형광 디스플레이관(1)의 음극(필라멘트)(6)은 필라멘트 단자 F1 및 F2 사이에 연결된다.
컷오프 회로(18A)는 제 1 스위치 SW1, 제 2 스위치 SW2, 저항기 R, 다이오드 D1 및 D2, 및 커패시터 C1 및 C2를 포함한다. 스위치 SW1 및 SW2는 DC 전압 Vin용의 입력선 Lin과 접지선(GND) 사이에 직렬로 연결된다. 이 직렬연결에서, 스위치 SW1는 DC 전압 Vin의 입력선 Lin측상에 위치되고, 스위치 SW2는 접지선 측상에 위치된다. 저항기 R4와 다이오드 D2 및 D1의 직렬연결 회로(18-1)는 스위치 SW1와 병렬연결된다.
컷오프 회로(18A)에서, 다이오드 D1는 고정전압 소자로 사용되고, 다이오드 D2는 역류 방지소자로 사용된다. 다이오드 D2는 다이오드 D1보다 DC 전압 Vin용의 입력선 Lin에 더 가까이 위치된다. 즉, 다이오드 D2의 양극은 저항기 R4를 통해 전원 전압 Vin용의 입력선 Lin에 연결되고, 다이오드 D2의 음극은 다이오드 D1의 양극에 연결된다. 다이오드 D1의 음극은 스위치 SW1 및 SW2 사이의 노드에 연결된다. 저항기 R4는 다이오드 D1 및 D2에 흐르는 순방향 전류를 정하기 위한 저항기로서 사용된다.
커패시터 C1는 다이오드 D1와 병렬연결된다. 즉, 커패시터 C1의 한 단자는 다이오드 D1의 양극(고정전압 소자의 입력단자)에 연결되고, 커패시터 C1의 타 단자는 다이오드 D1의 음극(고정전압 소자의 출력단자)에 연결된다. 필라멘트 단자 F1는 다이오드 D1의 양극과 커패시터 C1 사이의 노드 PA에 연결된다. 커패시터 C2는 필라멘트 단자 F2와 접지선 사이에 연결된다.
제어회로(16A)는 동작 전원으로서 DC 전압 Vin을 사용하고 반대방향으로 컷오프 회로(18A)의 스위치 SW1 및 SW2를 주기적으로 온/오프 한다. 즉, 제어회로(16A)는 "스위치 SW1를 온할 때 스위치 SW2를 오프하고, 스위치 SW1를 오프할 때 스위치 SW2를 온하는" 동작을 주기적으로 반복한다. 부스팅 회로(17)는 DC 전압 Vin을 상승시켜 양극/그리드용 DC 전압 VDD2을 발생시키도록 한다.
제어회로(16A)는 스위치들을 반대방향으로 주기적으로 온/오프할 때 상기 스위치 SW1 및 SW2의 스위칭 주기 T와 듀티비(온듀티 및 오프듀티)를 조정할 수 있다. 스위치 SW1가 온(ON)인 동안의 시간(스위치 SW2가 오프(OFF)인 동안의 시간)을 ton이라하고, 스위치 SW1가 오프(OFF)인 동안의 시간(스위치 SW2가 온(ON)인 동안의 시간)을 toff라하면, 스위칭 주기 T는 T = ton + toff로 주어진다. 또한, 스위치 SW1의 온듀티 Don는 Don = ton/T로 표현된다. 스위치 SW1의 오프듀티 Doff는 Doff = toff/T = (T - ton)/T = 1 - Don로 표현된다.
[필라멘트 전압]
[F1 및 GND 사이의 파형]
도 5는 제어회로 16A에 의해 스위치 SW1 및 SW2 상에서의 온/오프(ON/OFF) 제어시에 필라멘트 단자 F1에 나타나는 전압파형(F1 및 GND 사이의 파형)을 도시한 것이다.
스위치 SW1가 오프되고 스위치 SW2가 온되는 경우, 전류는 저항기 R4, 다이오드 D1 및 D2, 스위치 SW2로 구성되는 경로를 통해 흐르고, 커패시터 C1의 충전 전압 Vc1은 다이오드 D1의 순방향 전압 VF과 같게된다. 그 결과, toff 간격에서, F1 및 GND 사이의 전압은 Vc1 = VF가 된다.
스위치 SW1가 온되고 스위치 SW2가 오프되는 경우, DC 전압 Vin은 스위치 SW1를 통해 커패시터 C1의 충전 전압 Vc1에 더해지고, 노드 PA에서 전위는 Vin + Vc1이 된다. 따라서, ton 간격에서, F1 및 GND 사이의 전압은 Vin + Vc1이 된다. 이 경우, 노드 PA에서 전위가 Vin보다 높지만, 다이오드 D2의 역류방지효과로 인해 입력선 Lin에 어떠한 전류도 흐르지 않는다.
[F2 및 GND 사이의 파형]
도 6은 제어회로(16A)에 의해 스위치 SW1 및 SW2 상에서의 온/오프 제어시에 필라멘트 단자 F2에 나타나는 전압파형(F2 및 GND 사이의 파형)을 도시한 것이다.
스위치 SW1가 온되고 스위치 SW2가 오프되는 경우, DC 전압 Vin이 스위치 SW1를 통해 커패시터 C1의 충전 전압 Vc1에 더해지고, 노드 PA에서 전위는 Vin + Vc1이 된다. 그 결과, 전류 If1가 필라멘트(6)에 흐르고, 커패시터 C2는 전류 If1(충전전류)에 의해 충전된다.
스위치 SW1가 오프되고 스위치 SW2가 온되는 경우, 노드 PA에서 전위는 Vc1으로 복귀한다. 그 결과, 커패시터 C2로부터의 방전전류 If2가 필라멘트(6)에 흐른다.
스위치 SW1가 온되는 경우 커패시터 C2가 충전되는 전류 If1·Don는 스위치 SW2가 온되는 경우 커패시터 C2로부터 방전되는 전류 If2·Doff와 같다. If1·Don > If2·Doff이면, Vc2가 증가하지만, If2는 증가한다. 그 결과, Vc2는 감소한다. If1·Don < If2·Doff이면, Vc2가 감소하지만, If1은 증가한다. 그 결과, Vc2는 증가한다. 결국, Vc2는 일정해지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If1·Don = If2·Doff가 된다.
If1·Don = If2·Doff, (Vin + Vc1 - Vc2)·Don = (Vc2-Vc1)·(1-Don)이므로, 식을 간단히 하기 위해 이 식의 브라켓들을 제거하면, Vin·Don + Vc1·Don - Vc2·Don = Vc2 - Vc2·Don - Vc1 + Vc1·Don이 된다. 즉, Vin·Don = Vc2 - Vc1이 얻어진다. 따라서, Vc2 = Vin·Don + Vc1이고, F2 및 GND 사이의 전압은 toff 간격동안 및 ton 간격동안 모두에서 Vc2 = Vin·Don + Vc1이 된다.
[F1 및 F2 사이의 파형]
필라멘트 단자 F1 및 F2 사이의 전압파형(F1 및 F2 사이의 파형)은 필라멘트 단자 F2에 인가된 전압 Vc2 = Vc1·Don + Vc1에 대해 도 7에 도시된 파형과 동일해진다. 즉, 필라멘트(6)의 양단에 인가된 전압은 제어회로(16A)에 의해 스위치 SW1 및 SW2상에 온/오프 제어에 기인하여 Vin으로 표현되는 전압폭을 갖는 직사각형 파형을 갖는 전압(AC 필라멘트 전압)이 된다.
[필라멘트 전압의 유효값]
스위치 SW1가 온되고 SW2가 오프되는 경우 필라멘트(6)의 양단에 인가되는 유효전압을 ef1이라 하면, ef1 = (Vin + Vc1 - Vc2)·Don1/2이다. Vc2 = Vin·Don + Vc1를 위 식에 대입함으로써
가 도출된다.
스위치 SW1가 오프되고 SW2가 온되는 경우 필라멘트(6)의 양단에 인가되는 유효전압을 ef2라 하면, ef2 = (Vc2 - Vc1)·Doff1/2 = (Vc2 - Vc1)·(1 - Don)1/2이다. Vc2 = Vin·Don + Vc1를 위 식에 대입함으로써
가 도출된다.
필라멘트(6)의 양단에 인가된 필라멘트 전압의 유효값 ef은 ef = (ef12 + ef22)1/2로 주어진다. 이 식의 양측을 제곱함으로써 ef2 = [Vin·(1-Don)·Don 1/2]2 + [Vin·Don·(1-Don)1/2]2 = Vin2·(1-Don)2·Don + Vin2 ·Don2·(1-Don) = Vin2·(1-Don)·Don[(1 - Don) + Don] = Vin2·(1 - Don)·Don이 된다. 이 식에 따르면, 필라멘트(6)의 양단에 인가된 필라멘트 전압의 유효값 ef은
로 주어진다.
식(5)에 따르면, 필라멘트 전압의 유효값 ef을 최대화하는 조건은 Don = 0.5이고, 이 조건이 충족되는 경우 필라멘트 전압의 유효값 ef은 ef = 0.5 Vin으로 주어진다. 이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서, 필라멘트 전압의 유효값 ef은 스위치 SW1의 온듀티 Don를 조정함으로써 ef ≤ 0.5 Vin 범위내에 임의로 정해질 수 있다.
[컷오프 전압]
전원회로(200)에서, 필라멘트 단자 F1에서 평균전압(필라멘트 단자 F1cmr상의 평균전압) VF1은
으로 주어진다.
필라멘트 단자 F2에서 평균전압(필라멘트 단자 F2상의 평균전압) VF2은
로 주어진다. 따라서, 필라멘트 단자 F1에서의 컷오프 전압은 필라멘트 단자 F2에서의 컷오프 전압과 같게된다. 식(6) 및 식(7)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이러한 컷오프 전압은 커패시터 C1의 충전전압 Vc1, 즉, 다이오드 D1의 순방향 전압 VF과 스위치 SW1의 온듀티 Don를 조정함으로써 임의로 정해질 수 있다.
전원회로(200)에서, 컷오프 전압은 상술한 바와 같이 Vin·Don + Vc1으로 주어지므로, 컷오프 전압이 낮게 설정될 수 있어, 컷오프 전압의 자유도가 증가한다. 도 15에 도시된 종래 전원회로(400)에서, 컷오프 전압은 저항기 RC1를 사용함으로써 조정될 수 있다. 그러나, 컷오프 전압은 단자 F1 및 F2와 변압기(9)의 중심탭 사이의 평균전압 아래로 감소될 수 없다. 즉, 컷오프 전압을 설계하는데 있어 자유도가 낮아진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본 실시예의 전원회로(200)에서, 컷오프 전압은 다이오드 D1의 순방향 전압 VF와 스위치 SW1의 온듀티 Don에 의해 임의로 정해질 수 있다. 이는 컷오프 전압의 자유도를 증가시킨다.
본 출원인은 이전에 참조문헌2(일본특허공개공보 제2003-29711호)에 개시된 "진공형광 디스플레이관과 회로를 구동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도 16은 상기 참조문헌2에 개시된 전원회로(500)를 도시한 것이다. 도 17은 전원회로(500)의 동작을 도시한 것이다. 전원회로(500)에서, 참조번호 20은 입력전압(DC 전압) Vin으로부터 DC 전원 VCC을 생성하는 논리 전원을 나타내고, 참조번호 21은 기준 클록신호(clock signal) PC1를 생성하는 기준 공진기를 나타내며, 그리고 참조번호 22는 기준 클록신호 PC1의 주파수를 1/2로 나눔으로써 외부 클록신호 PC2를 생성하는 1/2 주파수 구동회로를 나타낸다.
참조번호 23은 입력전압 Vin을 스위칭함으로써 출력단자 OUT1 및 OUT2로부터의 상보적인 차동펄스전압(differential pulse voltages) PLin 및 P을 출력하는 필라멘트 드라이버(driver)를 나타낸다. 필라멘트 드라이버(23)로부터의 차등펄스전압 PLin 및 P이 필라멘트(6)에 인가된다. 이 동작에 따라, AC 필라멘트 전압 Ef이 필라멘트(6)의 양단에(단자 F1 및 F2 사이에) 인가된다. 참조번호(24)는 필라멘트 드라이버(23)로부터의 차동펄스전압 PLin 및 P 출력을 상승시키고 정류하며 양극/그리드용의 DC 전압 VDD2으로서 결과적으로 발생한 전압을 출력하는 부스팅 회로를 나타낸다.
도 16을 참조하면, 필라멘트(6)의 한 단자와 필라멘트 드라이버(23)의 출력단자(OUT1) 사이의 평균전압(필라멘트 단자 F1측상의 평균전압)은 필라멘트(6)의 타 단자와 필라멘트 드라이버(23)의 출력단자(OUT2) 사이의 평균전압(필라멘트 단자 F2측상의 평균전압)과 같다. 필라멘트(6)의 평균전압은 컷오프 전압으로 정해진다. 이 컷오프 전압은 F1과 OUT1 사이에 연결된 저항기 RC2의 값과 F2과 OUT2 사이에 연결된 저항기 RC3의 값을 조정함으로써 조정될 수 있다.
전원회로(500)에서, 컷오프 전압을 조정하기 위한 저항기 RC2 및 RC3는 필라멘트(6)와 직렬연결되기 때문에, 입력전압 Vin은 저항기 RC2 및 RC3에서의 전압강하로 인해 전체가 필라멘트(6)에 인가되는 전압으로서 사용될 수 없다. 또한, 저항기 RC2 및 RC3에 의한 소비전력도 크고, 필라멘트(6)에 의해서도 또한 큰 전력이 소비된다. 즉, 총소비전력이 매우 크다. 게다가, 필라멘트 드라이버(23)로서, 이러한 전력을 감당하는 전력등급 및 전력크기를 갖는 드라이버가 사용되어야만 하므로, 비용면에서 증가가 발생된다. 필라멘트 전압 Ef이 안정화될 때, 큰 손실이 발생하고, 따라서 효율이 나빠진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제 2 실시예의 전원회로(200)에서, 전압폭 Vin과 직사각형 파형을 갖는 전압이 필라멘트(6)에 인가되기 때문에, 전체 입력전압 Vin은 필라멘트(6)에 인가되는 전압으로 사용된다. 또한, 전원 경로에서 필라멘트(6)로의 입력 전압 Vin에 대한 어떠한 저항도 없으므로, 저항으로 인한 어떠한 전력 소비도 없어, 소비전력이 낮아진다. 이는 회로 부품의 전압등급, 전류등급, 및 소비전력 용량을 감소시킬 수 있고 부품의 비용과 크기에서 절감을 실현할 수 있다.
제 1 실시예의 전원회로(100)와 같이, 제 2 실시예의 전원회로(200)도 어떠한 필라멘트 구동 변압기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저소음이 달성된다. 또한, 변압기 설계에 어떠한 고비용도 들지 않으며, 이에 따라 전원 설계에 드는 시간도 단축될 수 있다. 또한, 필라멘트(6)의 구동주기는 제어회로(16A)로부터 스위치 SW1 및 SW2의 온/오프 주기를 조정함으로써 디스플레이 턴온(turn-on) 주기와 동조될 수 있다. 이는 소정의 패턴이 진공형광 디스플레이관(1)상에 나타날 때 명멸을 방지할 수 있다.
제 3 실시예
도 8은 도 4에 도시된 전원회로(200)의 어플리케이션을 도시한 것이다. 전원회로(300)에서, 제 3 및 제 4 스위치 SW3 및 SW4가 DC 전압 Vin용의 입력선 Lin과 접지선 사이에 직렬연결된다. 이 직렬연결회로에서, 스위치 SW3는 DC 전압 Vin의 입력선 Lin측상에 위치되고, 스위치 SW4는 접지선측상에 위치된다. 커패시터 C2는 필라멘트 단자 F2와 제 3 및 제 4 스위치 SW3 및 SW4 사이의 노드 PB에 연결된다.
스위치 SW1와 스위치 SW4는 제 1 스위치 쌍을 구성하고, 스위치 SW2와 스위치 SW3는 제 2 스위치 쌍을 구성한다. 제어회로(16B)는 제 1 스위치 쌍(SW1 및 SW4)을 주기적으로 그리고 번갈아 온/오프시키고 제 2 스위치 쌍((SW2 및 SW3)은 반대방향으로 온/오프시킨다.
즉, 제어회로(16B)는 "제 1 스위치 쌍(SW1 및 SW4)을 온 하자마자 동시에 제 2 스위치 쌍((SW2 및 SW3)을 오프하고, 제 1 스위치 쌍(SW1 및 SW4)을 오프 하자마자 동시에 제 2 스위치 쌍((SW2 및 SW3)을 온하는" 동작을 주기적으로 반복한다.
도 9, 도 10 및 도 11은 F1 및 GND 사이의 파형, F2 및 GND 사이의 파형, 그리고 F1 및 F2 사이의 파형을 각각 도시한 것으로, 도 5, 도 6 및 도 7에 각각 대응한다. 이들 파형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전원회로(300)에서, 직사각형 파형을 갖는 전압(AC 필라멘트 전압)이 전원회로(200)에서와 같이 필라멘트(6)에 인가된다. 그러나, 이 경우, 필라멘트(6)에 인가되는 직사각형 파형을 갖는 전압의 전압폭은 2·Vin로 정해진다.
전원회로(200)에서, 제 1 스위치 쌍(SW1 및 SW4)의 온/오프 듀티비는 제 2 스위치 쌍((SW2 및 SW3)의 온/오프 듀티비와 같다. 또한, 필라멘트 단자 F1 및 F2에서 평균전압 VF1 및 VF2은 VF1 = VF2 = Vin·Don + Vc1으로 표현된다. 필라멘트 전압의 유효값 ef은 ef = Vin·(2·Don)1/2으로 주어진다.
상기 전원회로(200 및 300)에서, 트랜지스터 및 FET와 같은 스위칭 소자들이 스위치 SW1 에서 SW4로서 사용된다. 스위치 SW1에 연결된 저항기 R4와 다이오드 D2 및 D1의 직렬연결회로(18-1)에서, 저항기 R4는 다이오드 D1 및 D2 사이에 또는 스위치 SW1 및 SW2 사이의 노드와 다이오드 D1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다이오드 D1는 고정전압소자로서 사용되고, 다이오드 D2는 역류방지소자로서 사용된다. 그러나, 이들 소자들은 다이오드에 국한되지 않는다.
또한, 제 2 실시예의 전원회로(200)에서 컷오프 회로(18A)의 기술은 도 12에 도시된 전원회로(201)(제 4 실시예)의 경우에서와 같이 전원회로(100)에 사용될 수 있다. 도 13은 제 2 실시예의 전원회로(200)에서 F1에서의 파형을 도시한 것이다. 도 14는 전원회로(201)에서 F1 및 F2 사이의 파형을 도시한 것이다. 전원회로(201)에서, If1·Doff = If2·Don, [(V0 + Vc1 - Vc2)/Rf]·(1 - Don) = [(Vc2 - Vc1)/Rf]·Don, V0 + Vc1 -Vc2 = V0·[(Vo - Vin)/V0], 및 Vc2 = Vin + Vcl이다. 그러므로, VF1 = Vin + Vc1이고, VF2 = Vc2 = Vin + Vc1 = VF1이다. 필라멘트 전압 Ef는 제 2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계산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AC 필라멘트 전압은 스위칭 소자의 주기적인 온/오프 동작을 사용함으로써 발생되기 때문에, 어떠한 필라멘트 구동 변압기를 사용할 필요가 없으며, 저소음이 달성될 수 있다. 또한, 변압기의 설계에 어떠한 고비용도 들지 않으며, 전원의 설계에 드는 시간도 단축될 수 있다. 게다가, 본 발명은 소정의 패턴이 진공형광 디스플레이관상에 나타날 때 명멸을 방지하고, 저소비전력을 달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전원회로의 주요부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2는 제 1 실시예에서 필라멘트 단자 F1에 나타나는 전압파형(F1에서의 파형)을 도시한 파형도이다;
도 3은 제 1 실시예에서 필라멘트 단자 F1 및 F2 사이의 파형(F1 및 F2 사이의 파형)을 도시한 파형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전원회로의 주요부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5는 제 2 실시예에서 필라멘트 단자 F1에 나타나는 전압파형(F1과 GND사이의 파형)을 도시한 파형도이다;
도 6은 제 2 실시예에서 필라멘트 단자 F2에 나타나는 전압파형(F2 및 GND 사이의 파형)을 도시한 파형도이다;
도 7은 제 2 실시예에서 필라멘트 단자 F1 및 F2 사이의 파형(F1 및 F2 사이의 파형)을 도시한 파형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전원회로의 주요부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9는 제 3 실시예에서 필라멘트 단자 F1에 나타나는 전압파형(F1과 GND사이의 파형)을 도시한 파형도이다;
도 10은 제 3 실시예에서 필라멘트 단자 F2에 나타나는 전압파형(F2 및 GND 사이의 파형)을 도시한 파형도이다;
도 11은 제 3 실시예에서 필라멘트 단자 F1 및 F2 사이의 파형(F1 및 F2 사이의 파형)을 도시한 파형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전원회로의 주요부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13은 제 4 실시예에서 필라멘트 단자 F1에 나타나는 전압파형(F1에서의 파형)을 도시한 파형도이다;
도 14는 제 4 실시예에서 필라멘트 단자 F1 및 F2 사이의 파형(F1 및 F2 사이의 파형)을 도시한 파형도이다;
도 15는 종래의 진공형광 디스플레이관 및 상기 진공형광 디스플레이관에 부착되는 회로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6은 양극/그리드용 DC 전압을 생성하고 필라멘트를 펄스구동하는 종래의 전원회로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그리고
도 17은 본 전원회로의 동작을 도시한 파형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진공형광 디스플레이관 2: 진공용기
3: 형광재료 4: 양전극
5: 양극 6: 음극, 필라멘트
7: 그리드 8: 양극 기판
9: 중간탭 변압기 10: AC 전원공급장치
11: 부스팅 회로 12: 구동회로
13: 부스팅 회로 14: 가변저항기
15: PWM 제어회로 16A: 제어회로
17: 부스팅 회로 18A: 컷오프 회로
18-1: 직렬연결회로 R: 저항기
F1, F2: 단자 Ef: 필라멘트 전압
C: 커패시터 Pin/Pout: 입력/출력단자
P1,P2: 노드 Don/Doff: 온듀티/오프듀티
TR: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CHP: 전하펌프
GND: 접지선 VDD2: DC 전압

Claims (4)

  1. 전류흐름에서의 변화에 따라 유도 전압을 발생시키도록 전류경로(Lin)에 제공되는 유도소자(L);
    상기 유도소자(L)의 한 단자(Pa)에서의 DC 전압(Vin)용 입력 단자(Pin);
    상기 유도소자(L)의 타 단자(Pb)와 접지선(GND) 사이에 제공되는 스위칭 소자(TR);
    상기 스위칭 소자(TR)를 주기적으로 온/오프하는 제어회로(15);
    상기 스위칭 소자(TR)가 온(ON)에서 오프(OFF)로 전환될 때 상기 유도소자(L)의 타 단자(Pb)에서 발생되는 유도전압(V0)을 기초로 상승 전압(VDD2)을 발생시키는 부스팅 회로(boosting circuit)(13);
    상기 유도소자(L)의 타 단자(Pb)와 상기 스위칭 소자(R) 사이의 노드(node)(P1)에 연결되는 제 1 단자(F1); 및
    상기 유도소자(L)의 타 단자(Pb)에서 발생되는 유도전압(V0)보다 낮은 DC 전압(Vin)이 인가되는 제 2 단자(F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형광 디스플레이용 전원회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소자(L)의 타 단자(Pb) 및 스위칭 소자(TR) 간의 노드(P1)와 상기 제 1 단자(F1) 사이의 연결선(LR)상에 제공되는 가변저항기(1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형광 디스플레이용 전원회로.
  3. DC 전압(Vin)용 입력선(Lin)과 접지선(GND) 사이에 제공되는 직렬연결된 제 1 및 제 2 스위칭 소자(SW1, SW2);
    서로 직렬연결되는 저항기(R4), 역류방지소자(D2) 및 고정전압소자(D1)를 포함하는 직렬연결회로(18-1);
    상기 고정전압소자(D1)의 입력단자와 출력단자 사이에 연결되는 제 1 커패시터(C1);
    상기 고정전압소자(D1)의 입력단자와 상기 제 1 커패시터(C1) 사이의 노드(PA)에 연결되는 제 1 단자(F1);
    제 2 단자(F2)와 상기 접지선(GND) 사이에 연결되는 제 2 커패시터(C1); 및
    상기 제 1 스위칭 소자(SW1)와 상기 제 2 스위칭 소자(SW2)를 번갈아 온/오프하는 제어수단(16A)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스위칭 소자(SW1)는 상기 제 2 스위칭 소자(SW2)보다 DC 전압용 입력선에 더 가까이 위치되며,
    상기 역류방지소자(D2)는 상기 제 1 스위칭 소자(SW1)와 병렬연결되어 상기 고정전압소자(D1)보다 DC 전압용 입력선에 더 가까이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형광 디스플레이용 전원회로.
  4. DC 전압(Vin)용 입력선(Lin)과 접지선(GND) 사이에 제공되는 직렬연결되는 제 1 및 제 2 스위칭 소자(SW1, SW2);
    상기 DC 전압(Vin)용 입력선(Lin)과 상기 접지선(GND) 사이에 제공되는 직렬연결된 제 3 및 제 4 스위칭 소자(SW3, SW4);
    서로 직렬연결되는 저항기(R4), 역류방지소자(D2) 및 고정전압소자(D1)를 포함하는 직렬연결회로(18-1);
    상기 고정전압소자(D1)의 입력단자와 출력단자 사이에 연결되는 제 1 커패시터(C1);
    상기 고정전압소자(D1)의 입력단자와 상기 제 1 커패시터(C1) 사이의 노드(PA)에 연결되는 제 1 단자(F1);
    상기 제 3 스위칭 소자(SW3) 및 상기 제 4 스위칭 소자(SW4) 간의 노드(Pb)와 제 2 단자(F2) 사이에 연결되는 제 2 커패시터(C1); 및
    상기 제 1 스위칭 소자쌍과 상기 제 2 스위칭 소자쌍을 번갈아 온/오프하는 제어수단(16B)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스위칭 소자(SW1)는 상기 제 2 스위칭 소자(SW2)보다 DC 전압용 입력선에 더 가까이 위치되며,
    상기 제 3 스위칭 소자(SW3)는 상기 제 4 스위칭 소자(SW4)보다 DC 전압용 입력선에 더 가까이 위치되고,
    상기 역류방지소자(D2)는 상기 제 1 스위칭 소자(SW1)와 병렬연결되어 상기 고정전압소자(D1)보다 DC 전압용 입력선에 더 가까이 위치되며,
    상기 제 1 스위칭 소자쌍은 상기 제 1 스위칭 소자(SW1)와 상기 제 4 스위칭 소자(SW4)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스위칭 소자쌍은 상기 제 2 스위칭 소자(SW2)와 상기 제 3 스위칭 소자(SW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형광 디스플레이용 전원회로.
KR1020040067061A 2003-08-27 2004-08-25 진공형광 디스플레이용 전원회로 KR1006304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302538A JP4181463B2 (ja) 2003-08-27 2003-08-27 蛍光表示装置の電源回路
JPJP-P-2003-00302538 2003-08-27
JP2003418233A JP4268029B2 (ja) 2003-12-16 2003-12-16 蛍光表示装置の電源回路
JPJP-P-2003-00418233 2003-12-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1267A true KR20050021267A (ko) 2005-03-07
KR100630431B1 KR100630431B1 (ko) 2006-10-02

Family

ID=342207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7061A KR100630431B1 (ko) 2003-08-27 2004-08-25 진공형광 디스플레이용 전원회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088080B2 (ko)
KR (1) KR100630431B1 (ko)
CN (1) CN100383840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200828207A (en) * 2006-12-27 2008-07-01 Holtek Semiconductor Inc Vacuum fluorescent display and filament-driving method thereof
US8274805B2 (en) * 2008-04-08 2012-09-25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High voltage power supply
JP4533445B2 (ja) * 2008-04-15 2010-09-01 ノリタケ伊勢電子株式会社 蛍光表示管のフィラメント用電源回路
JP5081341B2 (ja) * 2008-05-23 2012-11-28 双葉電子工業株式会社 蛍光表示管の駆動回路
CN101839934B (zh) * 2009-01-20 2013-07-31 上海电力学院 真空荧光显示器电流分配系数计算方法的确定
EP2244368A1 (en) * 2009-04-23 2010-10-27 Mitsubishi Electric R&D Centre Europe B.V. Method and an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output voltage of a boost converter composed of plural bridge devices
IT1400054B1 (it) * 2010-05-31 2013-05-17 Nuova Pignone S R L Dispositivo e metodo per analizzatore di distanza
JP4912487B2 (ja) * 2010-07-09 2012-04-11 キヤノン株式会社 高圧電源
US20140001344A1 (en) * 2012-07-02 2014-01-02 EPC Power Switched mode night vision device power supply
TW201426691A (zh) * 2012-12-19 2014-07-01 Chyng Hong Electronic Co Ltd 無變壓器且無電磁干擾之真空螢光顯示器電源電路
CN103904882B (zh) * 2012-12-27 2016-08-31 汉朗科技(北京)有限责任公司 近晶相液晶电子标签用多路高压输出电源电路及升压方法
CN103595270B (zh) * 2013-10-18 2016-12-07 上海交通大学 无源整流电路
CN107833553A (zh) * 2016-09-16 2018-03-23 双叶电子工业株式会社 集成电路装置及荧光显示管
JP2018084634A (ja) * 2016-11-22 2018-05-31 双葉電子工業株式会社 集積回路装置、蛍光表示管、昇圧制御方法
US11309887B2 (en) * 2018-02-09 2022-04-19 Delta Electronics, Inc. Conversion circuit
WO2019203355A1 (ja) 2018-04-20 2019-10-24 国立大学法人静岡大学 インピーダンス調整回路、電力変換素子及び電源素子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28861A (en) * 1989-05-24 1991-07-02 Motorola, Inc. Strobed DC-DC converter with current regulation
CN2130007Y (zh) * 1992-04-23 1993-04-14 中国科学技术大学 高效率高功率密度升压器
US5861734A (en) * 1997-10-14 1999-01-19 Lucent Technologies, Inc. Control architecture for interleaved converters
JP2002260565A (ja) 2001-03-01 2002-09-13 Noritake Itron Corp 蛍光表示装置
JP5043261B2 (ja) 2001-07-13 2012-10-10 ノリタケ伊勢電子株式会社 蛍光表示管の駆動方法及び駆動回路
US6741436B2 (en) * 2001-12-20 2004-05-25 Daimlerchrysler Corporation Microprocessor-controlled DC to DC converter with fault prote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30431B1 (ko) 2006-10-02
US7088080B2 (en) 2006-08-08
CN1591534A (zh) 2005-03-09
US20050046402A1 (en) 2005-03-03
CN100383840C (zh) 2008-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0431B1 (ko) 진공형광 디스플레이용 전원회로
US5859489A (en) Piezoelectric transformer driving circuit
US6057651A (en) Lighting apparatus
US6317347B1 (en) Voltage feed push-pull resonant inverter for LCD backlighting
KR20070086112A (ko) 발광 다이오드 구동용 반도체 회로 및 발광 다이오드 구동장치
JP4686434B2 (ja) アクティブ型電流調整回路及びその発光構造
JP2009516923A (ja) Ledセルを駆動するための装置
JP2009527894A (ja) Ledを変調するための回路配置及びledの動作方法
CN108364613B (zh) Led背光驱动电路、led背光灯、电视终端
WO2011030258A2 (en) Driving led&#39;s
KR101190213B1 (ko) 인버터 회로
US7397196B2 (en) Circuit arrangement for preventing high peak currents
US5896287A (en) Bridge-type direct current boost converter for driving a capacitive load
US5229690A (en) Apparatus for operating discharge lamps utilizing a capacitor and charging circuit
US8044597B2 (en) Drive circuit of fluorescent display
JP4181463B2 (ja) 蛍光表示装置の電源回路
US6134133A (en) Piezoelectric transformer inverter
US8111214B2 (en) Charge recovery for enhanced transistor drive
JP3469508B2 (ja) 発光ダイオード点灯回路
US8415891B2 (en) Lamp ballast circuit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6297597B1 (en) EL driver with low side current mirrors
JP4268029B2 (ja) 蛍光表示装置の電源回路
KR20200130061A (ko) Led 구동 캐패시터를 포함하는 ac 직결형 발광 다이오드 구동장치
KR102059864B1 (ko) 광원 구동 부
KR100303439B1 (ko) 러쉬전류감소회로및이를이용한스위칭모드전원공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3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3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9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