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20073A - 항균 및 탈취 풀 - Google Patents

항균 및 탈취 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20073A
KR20050020073A KR1020030057725A KR20030057725A KR20050020073A KR 20050020073 A KR20050020073 A KR 20050020073A KR 1020030057725 A KR1020030057725 A KR 1020030057725A KR 20030057725 A KR20030057725 A KR 20030057725A KR 20050020073 A KR20050020073 A KR 200500200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id
antibacterial
hydroxy
isothiazolone
po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77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49367B1 (ko
Inventor
최하영
이재웅
송진한
Original Assignee
(주) 티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티셀 filed Critical (주) 티셀
Priority to KR10200300577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9367B1/ko
Publication of KR200500200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00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93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9367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6Non-macromolecular additives 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03/00Adhesives based on starch, amylose or amylopectin or on their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 C09J103/02Starch;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e.g. dextri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8Macromolecular additives

Abstract

본 발명은 수용성 및 수분산성을 갖는 이소티아졸론계 항균제를 이용한 항균 풀에 관한 것으로서, a) 전분, b) 이소티아졸론계 수용화 항균제 또는 이소티아졸론계 수용성 항균제 및 c) 에멀션 합성수지를 포함하는 항균 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항균 풀은 전분계 풀의 제조시 발생하는 1차 응고에 의해 풀이 굳어지는 현상을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생산성이 증대되고, 항균제가 용출되지 않으므로 지속적인 항균성을 유지할 수 있으며, 저온 안정성이 우수하다.

Description

항균 및 탈취 풀{ANTIMICROBIAL DEODORANT ADHESIVES}
본 발명은 수용성 또는 수분산성이 우수한 이소티아졸론계 항균제를 이용한 항균 풀에 관한 것으로서, 각종 건축물의 내장 공사 특히 벽지 시공 후에 발생되는 곰팡이류 번식의 억제에 적합한 기능성 항균풀에 관한 것이다.
각종 건축물의 내부 중에서 일정한 습도가 유지되는 지하실 또는 통풍이 잘 되지 않는 구석과 같은 습도가 높은 곳이나 공기 중의 습도가 증가되는 여름철의 경우에 벽지의 첩착에 사용된 접착물 특히 밀가루 풀은 미생물의 배지 역할을 할 정도의 높은 습도를 갖기 때문에 우리의 쾌적하고 건강해야할 삶이 위협 받고 있다.
일반적으로 인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미생물로는 세균, 곰팡이, 효모, 바이러스 등이 있고, 이 중에서 인체에 영향을 미치는 미생물을 예를 들면, 황색포도상구균, 스테필로코쿠스(Staphylococcus aureus), 바실러스(Bacillius subtilis), 스트렙토코쿠스(Streptococcus pyogenes) 등의 세균과 아스퍼질러스니거 (Aspergillius Niger), 페니실리움(Penicillium, Chaetomium), 알터나리아 (Alternaria) 등의 곰팡이류가 있다.
이러한 미생물의 생장을 억제하고 이를 사멸시키기 위하여, 종래에는 포르말린, 황산, 염산, 가성소다, 과산화수소수 등을 이용하여 제조된 풀을 사용하여 일시적인 방부의 효과를 얻을 수는 있었으나, 상기 방부제의 제조시 함유된 포르말린 등으로 인한 2차 환경오염이 발생되고, 또한 지속성이 짧아 6개월 이내에 곰팡이 및 세균이 다시 번식할 수 있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이 경우에 내장 공사에 사용되는 벽지, 석고보드 등의 건축자재는 풀에 함유된 강산에 의해 침식될 수 있다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오라이트, 실리카, 산화티탄, 알루미나 등의 무기 담체에 은, 구리, 아연등과 같이 항균성을 가진 금속이온을 치환 시킨 무기 항균제를 이용한 풀의 제조 방법이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97-6446호에 알려진 바 있다. 하지만, 이 경우에도 무기물인 항균제와 세룰로오즈의 유기물이 혼합되므로 장기 보관시 분리되어 균일한 항균조성을 갖기 어렵고, 항균제가 용출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01-83385호의 방균풀 조성물에서는 2-n-옥틸-4-이소티아졸린-3-온(2-n-octyl-4-isothiazolin-3-one),디아이도메틸-파라-톨리설폰(diiodomethyl-p-tolysulfone),2-4-티아졸일-벤즈이미다졸(2-4-thiazolyl-benzimidazole)등의 유기 항균제를 이용한 풀의 제조 방법이 제시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 유기 항균제인 경우 지속성이 짧으며 유용성이므로 수용성인 풀에 혼합되었을 때 항균제가 균일하게 풀에 혼합되지 않고 보관시 분리가 발생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상기 공개특허에서 제시된 롬앤하스(Rohm&Haas)사의 유용성 이소티아졸론계 항균제 특히 디클로로옥틸이소티아졸론(4,5-Dichloro-2-n-octyl-4-isothiazolin-3-one)은 유용성(油溶性)으로 항균성이 매우 우수하고 생분해성이 우수하여 친환경 항균제로서 방호 도료, 섬유 항균제, 수용성 도료 등으로 사용되고 있으나, 수분산 및 수용화에 극히 제한적이며 저온 저장 안정성이 낮기 때문에, 3~5℃에서 침전이 발생하기 때문에 봄, 가을, 겨울에는 사용하기 곤란한 문제가 있으며, 용출형이므로 장기적인 효과를 갖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유용성 항균제를 용해시키기 위한 계면활성제로서 생분해성이 낮은 계면 활성제가 사용되었는데, 이는 환경적인 측면에서 유익하지 않다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고려하여, 본 발명은 전분계 항균풀의 일 성분으로 수용성 및 수분산성을 갖는 이소티아졸론계 항균제 또는 수용성의 이소티아졸론계 화합물을 항균제로 채택함으로써, 전분계 풀 제조시 1차 응고에 의한 풀이 굳어지는 현상을 방지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항균제가 용출되지 않으므로 지속적인 항균효과를 유지할 수 있으며, 저온 안정성이 우수하여 겨울철에도 각종 공사가 가능한 항균 풀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항균풀은 하이드록시산 금속염을 탈취제로 채택하므로써, 열에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탈취성을 갖는 항균 탈취 풀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a) 전분, b) 이소티아졸론계 수용화 항균제 및 c) 에멀션 합성수지를 포함하는 항균 풀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a) 전분, b) 이소티아졸론계 수용성 항균제 및 c) 에멀션 합성수지를 포함하는 항균 풀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하이드록시산(Hydroxy acids) 금속염을 더 포함하는 항균 및 탈취 풀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항균 풀은 수용성 이소티아졸론계 항균제 또는 유용성 이소티아졸론계 화합물을 용해제에 녹이고, 계면활성제에 희석시켜 수분산성 및 수용성을 갖는 기능화된 이소티아졸론계 화합물을 전분계 풀의 항균제로 채택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수용성을 갖는 이소티아졸론계 화합물은 수용성의 전분계 풀 내에서 균일하게 분산되기 때문에, 풀의 제조시 1차 응고가 없어 생산성이 향상되고, 풀과 항균제의 분리에 의한 용출이 방지되어 항균성이 지속적으로 유지되며, 풀의 저온 저장성을 향상될 뿐만 아니라 환경 친화적인 항균 풀을 얻을 수 있다. 특히, 상기 항균풀을 건축물 내부의 도배를 위한 접착풀로 사용하는 경우 작업 용이성이 향상된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에서 상기 a)전분은 녹색식물에 있는 다당류로서, 예를 들어, 밀, 옥수수, 보리 등의 곡류와 감자, 고구마, 타피오카 등의 뿌리에 존재하는 것이다. 전분의 종류에는 특별한 한정이 있는 것은 아니지만, 밀 전분, 감자 전분, 옥수수 전분, 보리 전분, 고구마 전분, 타피오카 전분 등이 바람직하다. 전분, 이소티아졸론계 항균제 및 에멀션 합성수지 중량합에 대하여 전분이 1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접착강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고, 50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고형화되는 문제가 있기 때문에, 전분의 함량은 1~50중량%가 바람직하다.
다음, 본 발명의 항균제(b)는 이소티아졸론계 수용화 항균제(ⅰ) 또는 이소티아졸론계 수용성 항균제(ⅱ)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이소티아졸론계 수용화 항균제(ⅰ)는 유용성 항균제인 디클로로옥틸이소티아졸론(4,5-Dichloro-2-n-octyl-4-isothiazolin-3-one), 옥틸이소티아졸론(2-n-octyl-4-isothiazolin-3-one) 또는 벤즈이소티아졸론(1,2-Benzisothiazolin-3-one)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용해제에 녹이고, 다시 계면활성제를 더 첨가함으로써 상기 유용성 항균제에 수용성 및 수분산성이 부여된 기능화된 항균제를 의미한다.
다음, 상기 이소티아졸론계 수용성 항균제(ⅱ)는 원래 수용성인 항균제로서 용해제와 계면활성제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본 발명에서 항균제로서 단독으로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서, 예를들면 메틸이소티아졸론(2-Methyl-4-isothiazolin-3 -one), 클로로이소티아졸린(5-Chloro-2-methyl-4-isothiazolin-3-one)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이소티아졸론계 유용성 항균제를 수성 접착 풀의 상기 항균제로서 사용하기 위해서는 물에 희석해서 사용해하는데, 이 경우 상기 유용성 항균제는 물에 대한 용해도가 매우 낮아서, 종래와 같이 유용성 항균제를 계면활성제(생분해성이 낮음)에 먼저 희석된 채로 사용되었기 때문에 환경 친화적이지 못하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상기 유용성의 이소티아졸론계 항균제에 수분산성 및 수용성이 부여하기 위해 상기 유용성의 이소티아졸론계 항균제를 후술하는 용해제 녹인 후 이를 계면활성제로 희석시켜 얻어지는 이소티아졸론계 수용화 항균제를 접착풀에 적용함으로써, 수용성인 접착 풀과의 분리 즉 항균제의 용출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지속적인 항균 효과를 유지시킬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용해제는 상기 유용성의 이소티아졸론계 화합물을 용해시키기 것으로서, 알코올류, 글리콜류 또는 글리세린류 등이 있다. 특히, 벤질알코올(Benzyl alcohol), 메탄올(Methanol), 에탄올(Ethanol), 이소프로판올 (iospropanol), 부탄올(Butanol), 에틸렌글리콜(Ethylene glycol), 프로필렌글리콜 (propylene glycol), 글리세린(glycerine), 디글리세린(diglycerine), 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Ethylene glycol monomethyl ether),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Propylene glycol monomethyl ether), 에틸렌글리콜페닐에테르(Ethylene glycol phenyl ether) 및 프로필렌글리콜페닐에테르(propylene glycol phenylether) 등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계면활성제로는 양쪽성 계면활성제 또는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또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있으며, 폴리옥시에틸렌계 (polyoxyethylene) 또는 폴리옥시프로필렌계(polyoxypropylene) 코폴리머 (copolymer)와 같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용성의 이소티아졸론계 화합물 중에서 디클로로옥틸이소티아졸론의 예를 들면, 디클로로옥틸이소티아졸론 1~10중량%을 30~40중량%의 벤질알코올(benzyl alcohol), 에탄올(Ethanol), 메탄올(Methanol) 등과 같은 용해제에 녹인 후 상술한 계면활성제 중에서 1종 또는 2종의 계면활성제를 30~40중량%에 넣고 희석한 후 잔량의 증류수를 첨가하여 디클로로옥틸이소티아졸론에 수용성 및 수분산성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에서 유용성 디클로로옥틸이소티아졸론의 함량이 과소량 경우에는 항균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고, 너무 과량인 경우에는 용해도가 떨어져 침전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으며, 용해제의 함량이 과소량인 경우에는 항균제가 수불용성이 되는 문제가 있고, 과량인 경우에는 수용화시 침전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으며, 계면활성제의 함량이 과소량인 경우에는 수불용성이 되는 문제가 있고, 과량인 경우에는 용해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 이소티아졸론계 수용화 항균제(ⅰ) 또는 이소티아졸론계 수용성 항균제(ⅱ)는 40~100ppm으로 희석시켜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희석된 항균제의 함량은 풀의 주요성분인 전분, 이소티아졸론계 항균제 및 에멀션 합성수지의 중량합을 기준으로 0.01~10중량%가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0.01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항균제 첨가에 의한 효과가 미약하다는 문제가 있고, 10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작업자의 피부알러지 등을 유발할 수 있다는 문제가 있기 때문이다.
다음, 상기 c)에멀션 합성수지는 방균제를 수지 성분에 포함시켜 방균제를 보호하는 것으로, 항균력에 지속성을 부여하고, 전분의 부착성을 보완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서, 초산비닐수지, 에틸렌초산비닐수지 또는 아크릴 수지가 바람직하다.
상기 c)에멀션 합성수지의 함량은 전분, 이소티아졸론계 항균제 및 에멀션 합성수지 중량합의 1~50중량%가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1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접착력이 저하된다는 문제가 있고, 50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건조 성능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기 때문이다.
다음, 본 발명의 항균풀은 하이드록시산(Hydroxy acids) 금속염을 더 포함함으로써 탈취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하이드록시산 금속염은 하이드록시산을 금속화합물과 반응시킨 하이드록시산 금속염으로서, 하이드록시산의 예로는 하이드록시리놀레익에시드(2-hydroxylinoleic acid), 트렌스하이드록시데케노익에시드(trans 10-hydroxydec-2-enoic acid), 하이드록시데케노익에시드(9-hydroxydec-2-enoic acid), 하이드록시옥타디에노익에시드( 8-hydroxy-5,6-octadienoic acid), 하이드록시에이코세노익에시드(14-hydroxy-11-eicosenoic acid), 하이드록시옥타데세노익에시드(12-hydroxy-9-octadecenoic acid), 하이드록시옥타데카디에노익에시드(12-hydroxy-9,15-octadecadienoic acid) 및 하이드록시에코사디에노익에시드(14-hydroxy-11,17-eicosadienoic acid)등이 있으며, 금속화합물의 예로는 마그네시움 (Mg), 나트리움(Na), 철(Fe), 주석(Sn)망간(Mn), 아연(Zn), 칼륨(K), 은(Ag), 금 (Au) 및 구리(Cu)가 포함된 금속화합물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이드록시산 금속염은 기존의 탈취제와는 달리 열적 안정성이 우수하여, 악취의 원인 물질인 암모니아, 아민류 및 황을 포함하는 물질에 대하여도 탈취력이 우수하다.
상기 하이드록시산 금속염의 함량은 상기 전분, 수용화 항균제 및 에멀션 합성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1 ~ 5 중량부가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1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탈취력이 저감되는 문제가 있고, 5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접착력이 악화될 뿐만 아니라, 원가상승의 문제가 있기 때문이다.
이하에서는 상기 본 발명의 항균풀의 제조 공정을 설명한다.
우선, 밀 전분을 물에 녹여 밀가루 풀을 제조한다. 밀가루 풀의 제조방법에 특별한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지만, 바람직하게는, 밀 전분 100중량부에 물 300~500중량부를 70~80℃의 온도에서 교반하여 밀가루 풀을 제조한다. 다음, 상기 밀가루 풀에 상기 수용화 항균제와 에멀션 합성수지를 넣고 균일하게 혼합함으로써 본 발명의 항균 풀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에서, 각 성분의 함량은 전분 1~50중량%, 이소티아졸론계 수용화 항균제 또는 이소티아졸론계 수용성 항균제 0.01~10중량% 및 에멀션 합성수지 1~5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제시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명백할 것이다.
[실시예 1]
저온안정성 디클로로옥틸이소티아졸론(DCOIT, 4,5-Dichloro-2-n-octyl-4-isothiazol in-3-one) 항균제( b)의 제조)
디클로로옥틸이소티아졸론은 유용성 이므로 5g을 35g의 벤질알코올(benzyl alcohol)에 녹인 후 양쪽성 계면활성제인 알킬암포디아세테이트(Alky ampho(di)acetate) 35g을 너어 희석시킨 후 증류수 25g을 넣어 수용성 및 수분산성이 있는 항균제를 제조하였다.
항균 풀의 제조
밀 전분 80g, 물 400g을 80℃에서 가온하면서 밀가루 풀을 제조하고, 이와는 별도로 물80g에 상기 저온안정성 디클로로옥틸이소티아졸론 0.1g(40ppm)을 넣고 교반하면서 초산비닐계 에멀션 합성수지 1 g을 첨가한 후 상기 밀가루 풀 70g을 넣고 균일하게 혼합하여 항균 풀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의 항균풀 제조에서, 메틸셀룰로오즈(Henkel사의 Thomsit 또는 합성수지가 포함된 메틸셀룰로오즈)를 2.5g을 더욱 첨가하고 균일하게 혼합하여 항균 풀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하이드록시에시드 금속염의 제조
하이드록시에시드가 70% 이상인 정제 피마자유를 포타시움하이드록사이드가 포함된 용매에 넣고 3시간 동안 100℃에서 가열하고, 용매를 제거한 후 불순한 하이드록시 에시드를 감압 증류하고 용매로 추출하여, 하이드록시스테아릭산( hydroxystearic acid)을 얻은 후 소디움하이드록사이드(sodium hydroxide)와 반응시켜 소디움 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sodium hydroxystearate)를 얻었다.
상기 실시예 1의 항균풀 제조 단계에서 상기 소디움 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 2g을 더 투입함으로써, 항균 탈취 풀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상기 실시예 1의 항균풀 제조에서 메틸셀룰로오즈(Henkel사의 Methylan)를 2.5g을 더욱 첨가하고 균일하게 혼합하여 항균 풀을 제조하고, 실시예 3의 소디움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를 상기 항균풀에 더 투입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항균 탈취 풀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항균력 시험
상기 실시예의 방법으로 제조된 항균 풀의 항균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세균으로서 포도상구균 스테필로코쿠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 ATCC 6538)와 곰팡이인 아스퍼질러스 니이거 (Aspergillus niger)에 대한 항균 효과를 직물의 항균도 시험법(KS-K-0693)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세균에 대한 항균력 측정
상기 실시예 1, 3 및 4의 도배용 풀(접착제)을 부직포에 도포하여 각각의 시료에 대한 항균력을 확인하였다. 시험 균주는 포도상구균 (Staphylococcus aureus ATCC 6538 )을 사용하였고 사용 배지는 뉴트리언트아거(Nutrient Agar(NA))로 하였으며 희석액은 멸균 생리식염수( 0.85% NaCl )와 육즙 (Nutrient Broth ; NB)으로 하여 시험하였다. 각 시료를 지름 2.5cm 크기로 잘라 screw cap vial에다 넣고 멸균 처리한다. 멸균은 습윤 멸균법(autoclave)으로 121℃에서 20분간 실시하였다. 24시간 배양해 놓은 세균액을 육즙(NB)으로 희석한 후 멸균된 sample에 각각 0.25ml씩 접종한다. 초기 생균수는 control을 따로 준비하여 세균액을 0.25ml씩 접종하자마자 생리식염수 10ml를 첨가한 후 심하게 1분간 흔들어 주어 생균수 측정을 한다. 접종된 시료는 30℃ 배양기에서 24시간 배양한 후 생리식염수 10ml를 첨가하여 1분간 심하게 흔들어주어 생균수를 측정하여 균감소율을 아래의 식에 의해 계산하여 표1에 나타내었다.
* 수학식 1 :감소율 (%) = (B-A/B) X 100
(A는 접종 후 일정 시간 (24시간)을 통하여 배양된 시험편으로부터 재생된 세균수이고, B : 접종 후 일정 시간 접촉을 통하여 배양된 대조편(control)으로부터 재생된 세균수이다)
곰팡이에 대한 항균력
상기 실시예 1, 3 및 4에서 제조된 항균탈취 풀을 부직포에 도포하여 시료에 대한 항균력을 확인하였다. 배지는 PDA(Potato Dextrose Agar)로 하였고 균주는 아스퍼질러스(Aspergillus niger)로하여 측정하였고 시험방법은 저지환(Inhibition Zone Test)법으로 하여 측정하였으며 시험은 아스퍼질러스(Aspergillus niger)을 접종한 배지를 페트리디시(Petri-dish)에 넣고, 여기에 각 샘플마다 2개씩 일정한 크기로 자른 것을 각각 다른 면이 배지에 접착되도록 한 후 인큐베이터(Incubator)에서 배양하면서 환(Zone)의 생성과 상태를 확인한다. 시험 결과 zone형성이 완벽하여 곰팡이 형성이 전혀 나타나지 않았으며 10일차까지 지켜보았으나 별다른 생성을 보이지 않았다. 그 결과는 표2에 나타내었다.
벽지용 전분계 접착제 품질시험
실시예 4의 항균 풀을 이용하여 건물벽, 천장등에 마감재료로 벽지(KS M 7305에 규정된 벽지)를 붙이는 경우, 현장에서 도포사용하는 전분계 접착제에 대하여 규정한 KS M 3217-01의 시험방법에 의하여 시험을 한국건자재 시험연구원에 의뢰하여 품질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3에 나타내었다.
탈취력 시험
실시예 3의 항균 및 탈취 풀을 대상으로 탈취시험은 관능시험으로 실시하였으며, 냄새관능 시험자는 감기등으로 냄새 평가가 부적합하다고 판단되는자를 제외한 10명의 성인을 대상으로 실시하였고, 냄새의 등급은 6단계로 구분하여 판정하고 그 결과는 표4에 나타내었다.
[표1. 세균에 대한 항균력 측정]
시 료
control 실시예1 실시예3 실시예4
2일 - + + +
4일 - ++ ++ ++
6일 - +++ +++ +++
8일 - +++ +++ +++
10일 - +++ +++ +++
12일 - +++ +++ +++
단위 : CFU(Colony Forming Unit)/ml
[표 2. 곰팡이에 대한 항균력 측정]
시 료
control 실시예1 실시예3 실시예4
0시간 6×105
24시간 2.5×107 0 0 0
감소율(%) 100 100 100
상기 표 2에서, 억제대가 5mm이상인 경우를 "+++"로 표시하고, 억제대가 3-4mm이상인 경우를 "++"로 표시하고, 억제대가 0-2mm이상인 경우 "+" 로 표시하고, 곰팡이가 시편을 덮은 경우를"-"로 표시하였다.
[표 3. 벽지용 전분계 접착제 품질시험(KS M 3217-01)]
시험항목 시험결과 시험방법
접착강도(N/25mm) 12.09 KS M 3217-"01
포름알데히드 방출량(mg/L) 0
불휘발분(%) 19
회분(%) 0.6
pH 5.7
내한성(N/25mm) 11.51
[표 4. 탈취효과 관능 시험]
등급 평가자(악취종류) A B C D E F G H I J
1(자극적임)
2(강한역겨움)
3(쉽게 감지됨)
4(약하게 감지됨)
5(감지 안됨) O O O
6(없음) O O O O O O O
본 발명은 수용화 및 수분산화된 이소티아졸론계 화합물 또는 수용성 이소티아졸론계 화합물을 전분계 풀의 항균제로 채택함으로써, 기존의 전분계 풀 제조시 발생하는 1차 응고에 의해 풀이 굳어지는 현상이 방지되기 때문에 생산성이 향상되며, 항균제가 용출되지 않으므로 지속적인 항균성이 유지되며, 저온 안정성이 우수하여 겨울철에도 일반주택, 아파트, 호텔 등 건축 내장 공사가 가능한 우수한 항균 풀이다.
또한, 본 발명 항균풀은 하이드록시산 금속염을 전분계 풀의 탈취제로 사용함으로써, 열안정성과 지속성이 우수한 탈취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9)

  1. a) 전분 ;
    b) 이소티아졸론계 수용화 항균제 ; 및
    c) 에멀션 합성수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소티아졸론계 수용화 항균제는 디클로로옥틸이소티아졸론, 옥틸이소티아졸론 및 벤즈이소티아졸론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유용성 이소티아졸론계 화합물과 용해제 및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것 임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분의 함량은 1~50중량%이고, 상기 이소티아졸론계 수용화 항균제는 0.01~10중량%이고, 상기 에멀션 합성수지는 1~50중량% 임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풀 조성물.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는 폴리옥시에틸렌계(polyoxyethylene) 또는 폴리옥시프로필렌계(polyoxypropylene)의 코폴리머(copolymer)임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풀.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용해제는 알코올류, 글리콜류 및 글리세린류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용해제 임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풀.
  6. a) 전분 ;
    b) 이소티아졸론계 수용성 항균제 ; 및
    c) 에멀션 합성수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풀.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소티아졸론계 수용성 항균제는 메틸이소티아졸론 또는 클로로이소티아졸론 임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풀.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항균풀은 하이드록시산(Hydroxy acids) 금속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탈취 풀.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드록시산(Hydroxy acids) 금속염은 하이드록시리놀레익에시드(2-hydroxylinoleic acid), 트렌스하이드록시데케노익에시드(trans 10-hydroxydec-2-enoic acid), 하이드록시데케노익에시드(9-hydroxydec-2-enoic acid), 하이드록시옥타디에노익에시드( 8-hydroxy-5,6-octadienoic acid), 하이드록시에이코세노익에시드(14-hydroxy-11-eicosenoic acid), 하이드록시옥타데세노익에시드(12-hydroxy-9-octadecenoic acid), 하이드록시옥타데카디에노익에시드(12-hydroxy-9,15-octadecadienoic acid) 및 하이드록시에코사디에노익에시드(14-hydroxy-11,17-eicosadienoic acid)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하이드록시산과 마그네시움(Mg), 나트리움(Na), 철(Fe), 주석(Sn)망간(Mn), 아연(Zn), 칼륨(K), 은(Ag), 금(Au) 및 구리(Cu)로 이루어진 금속화합물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금속화합물과 반응시킨 하이드록시산 금속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탈취 풀.
KR1020030057725A 2003-08-20 2003-08-20 항균 및 탈취 풀 KR1005493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7725A KR100549367B1 (ko) 2003-08-20 2003-08-20 항균 및 탈취 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7725A KR100549367B1 (ko) 2003-08-20 2003-08-20 항균 및 탈취 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0073A true KR20050020073A (ko) 2005-03-04
KR100549367B1 KR100549367B1 (ko) 2006-02-03

Family

ID=372290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7725A KR100549367B1 (ko) 2003-08-20 2003-08-20 항균 및 탈취 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4936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0109B1 (ko) * 2005-11-03 2007-12-06 (주)쎌테크 하이드록시에시드의 금속염과 우레탄을 이용한 피막형성 탈취제 및 그 제조방법
KR20180071710A (ko) * 2016-12-20 2018-06-28 주식회사 케이씨씨 도배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벽지 시공 방법
KR20190120519A (ko) * 2018-04-16 2019-10-24 주식회사 케이씨씨 도배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벽지의 시공 방법
CN115340724A (zh) * 2022-07-11 2022-11-15 金聚合科技(宁波)有限公司 一种淀粉基抗菌材料及其制备方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0109B1 (ko) * 2005-11-03 2007-12-06 (주)쎌테크 하이드록시에시드의 금속염과 우레탄을 이용한 피막형성 탈취제 및 그 제조방법
KR20180071710A (ko) * 2016-12-20 2018-06-28 주식회사 케이씨씨 도배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벽지 시공 방법
KR20190120519A (ko) * 2018-04-16 2019-10-24 주식회사 케이씨씨 도배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벽지의 시공 방법
CN115340724A (zh) * 2022-07-11 2022-11-15 金聚合科技(宁波)有限公司 一种淀粉基抗菌材料及其制备方法
CN115340724B (zh) * 2022-07-11 2023-10-24 金聚合科技(宁波)有限公司 一种淀粉基抗菌材料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49367B1 (ko) 2006-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454300B (zh) 固定的1,2-苯并异噻唑啉-3-酮
EP0371103B1 (en) Biocidal delivery system and method of preparation thereof
CN104970043A (zh) 贮存稳定的包含异噻唑啉酮、胺和氧化剂的协同杀微生物浓缩物
JP3399789B2 (ja) 植物病害防除剤
CN111418584A (zh) 一种二溴海因消毒片及其制备方法
US6403113B1 (en) Anti-microbic agent
KR101798978B1 (ko) 라우릴피리디늄클로라이드를 포함하는 물티슈 원단에서의 확산성이 증가된 물티슈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고 있는 물티슈
KR100549367B1 (ko) 항균 및 탈취 풀
WO2004100660A1 (ja) 抗菌・抗ウイルス組成物
CN102696652A (zh) 一种防治水稻稻瘟病的杀菌组合物
JPH10109906A (ja) 工業用抗菌防黴剤
CN101568257A (zh) 抗菌剂及杀菌剂
CA1039183A (en) Oxydiacetaldehyde compositions and processes
JPH11506768A (ja) 殺微生物剤および防腐剤として有用な1,4−ビス(ブロモアセトキシ)−2−ブテンの乳化組成物
JP5390384B2 (ja) イソチアゾロン化合物の亜鉛塩、イソチアゾロン化合物の低刺激化方法、イソチアゾロン化合物の亜鉛塩を用いる抗菌・防カビ方法、および抗菌・防カビ組成物
CN101632359B (zh) 一种防治梨树黑星病的杀菌组合物其水乳剂及制备方法
JP3781733B2 (ja) キトサンを含む植物の耐病性及び成長を向上する組成物
CN105188370A (zh) 包含异噻唑啉酮和胺氧化物的杀微生物组合物
CN108450471A (zh) 一种含有氟唑菌苯胺、吡唑醚菌酯和氟噻唑吡乙酮的种衣剂
US20120107422A1 (en) Compositions and method for preventing and treating fire blight
CA2301562C (en) Synergistic antimicrobial compositions containing dodecylmorpholine or a salt thereof and dodecylamine or a salt thereof
JP4543237B2 (ja) チオシアネート系抗菌防カビ剤
KR100780109B1 (ko) 하이드록시에시드의 금속염과 우레탄을 이용한 피막형성 탈취제 및 그 제조방법
CN107079928A (zh) 一种含解淀粉芽孢杆菌和啶酰菌胺的杀菌组合物
CN102578104A (zh) 一种杀菌组合物及其制剂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6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