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18637A - 훈련장치 - Google Patents

훈련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18637A
KR20050018637A KR10-2004-7011983A KR20047011983A KR20050018637A KR 20050018637 A KR20050018637 A KR 20050018637A KR 20047011983 A KR20047011983 A KR 20047011983A KR 20050018637 A KR20050018637 A KR 200500186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ining apparatus
ground
user
engaging surface
ground eng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19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38430B1 (ko
Inventor
윌리엄 조하네스 반스트라아텐
Original Assignee
그린하우스 인터내셔날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그린하우스 인터내셔날 엘엘씨 filed Critical 그린하우스 인터내셔날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0500186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86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84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843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abdomen, the spinal column or the torso muscles related to shoulders (e.g. chest mus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9/00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 A47C9/002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with exercising means or having special therapeutic or ergonomic effec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16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of legless type, e.g. with seat directly resting on the floor; Hassocks; Pouff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9/00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abdomen, the spinal column or the torso muscles related to shoulders (e.g. chest muscles)
    • A63B23/0205Abdomen
    • A63B23/0211Abdomen moving torso with immobilized lower limb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abdomen, the spinal column or the torso muscles related to shoulders (e.g. chest muscles)
    • A63B23/0205Abdomen
    • A63B23/0216Abdomen moving lower limbs with immobilized torso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6/00Exercising apparatus not covered by groups A63B1/00 - A63B25/00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82/00Exercise devices
    • Y10S482/907Stretch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Pulmonology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방외측으로 연장되는 지면결합면을 갖는 구조체와, 시트 구조물에 앉아있는 사용자가 자신의 발을 지면에 위치시킬 수 있도록 배치된 사용자용 시트 구조물을 포함하는 상부면과, 상향으로 연장되는 후방 지지면을 포함하는 훈련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훈련장치{EXERCISE DEVICE}
본 발명은 훈련장치에 관한 것이다.
훈련중인 사람은 운동량 적절도(fitness level)를 갖는데, 이러한 운동량 적절도는 완전 부적절함으로부터 완전 적절함까지 변화된다. 일반적인 용도에 적합한 훈련장치는 다양한 사용자들의 운동량 적절도 차이를 고려하게 조정되거나 이를 합리적으로 수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운동량 적절도는 공지되어 있지도 않으며, 훈련장치의 제조시나 판매시에도 공지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사용자가 자신의 특정한 운동량 적절도를 고려하여 훈련장치를 조정하거나 변경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만일 사용자가 적절하게 순응한다면, 사용자에게 상당히 높은 에너지 입력을 요구하는 방식으로 훈련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만일 사용자가 순응하지 못한다면, 필요로 하는 에너지 수준은 장치 사용시에 매우 낮아져야만 한다.
훈련중인 사용자는 자신의 운동량 적절도에 관계없이, 궁극적으로 출력가능한 에너지가 감소되는 시점에 도달하게 될 것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훈련장치를 사용하여 특정의 훈련과정을 완료하려 한다면, 사용시 자신의 피로도를 고려하여 장치를 조정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장치는 사용자가 피곤할 때 그다지 수고를 들이지 않아도 훈련과정을 마칠 수 있도록 조정가능하거나 가변적이야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훈련장치의 사시도.
도2는 도1의 훈련장치의 측면도.
도3 및 도4는 사용중인 훈련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5는 도1 내지 도4에 도시된 장치의 형태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결정하는 상관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6 및 도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훈련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8 및 도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훈련장치를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은 지면과 결합하는 표면과, 사용자의 등의 적어도 일부가 지면에 대해 가변적인 방향으로 지지될 수 있는 상부 지지면이 구비된 구조체를 포함하는 훈련장치를 제공한다.
상술한 방향으로의 가변성을 달성하기 위해, 사용자의 등은 상부 지지면의 다른 부분에 배치된다. 상기 상부 지지면은 지면결합면에 대해 경사진 적어도 2개의 상이한 경사부에서 예를 들어 적어도 2개의 구조물을 포함하며, 상기 지면결합면에 대해 필요로 하는 외형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구조체는 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지지면은 주어진 범위내에서 본체에 대해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지지면은 예를 들어 본체에 대해 피봇가능하게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지지면은 예를 들어 피봇연결부나 가요성 지지체에 의해, 또는 상부 지지면이 본체에 대해 이동될 수 있게 하는 기타 다른 수단에 의해, 본체와 결합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지면결합면은 구조체의 방향이 지면에 대해 변화될 때, 그 다른 부분이 지면과 결합될 수 있는 형태를 취한다.
상기 지면결합면은 본체의 한쪽 단부로부터 대향의 단부를 향해 적절한 형태를 취하면서 굴곡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형태에 있어서, 지면결합면은 굴곡되고 외측으로 팽창되어 볼록한 형태를 취한다.
상기 지면결합면은 연속적으로 가변적일 수 있으므로, 지면결합면은 불연속성을 갖고 있지 않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면결합면은 불연속이며; 구조체의 방향이 변화될 때, 필요에 따라 지면과 각각 결합가능한 다수의 표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예에서, 구조체 또는 본체의 방향은 계단형태로 지면에 대해 조정가능하다.
상기 본체는 단단하거나 또는 거의 단단하게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발포 고무 등과 같이 가요성 재료로 제조된다.
본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팽창가능하다.
상기 본체는 예를 들어 적절한 형태의 지면결합면이 형성된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조체는 그 상부측에 사용자의 시트를 위한 오목한 제1한정영역과, 외측으로 굴곡되고 사용자의 등을 위한 지지면을 형성하는 제2한정영역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구조체에 대해 사용자가 지면에 지지되어 있는 발이나 무릎 하부를 이동시킬 때, 상기 지면결합면은 회전운동 또는 티핑운동(tipping action)에 의해 지면에 대해 이동가능하다.
상기 구조체는 훈련장치를 사용할 동안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는 핸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팽창가능한 본체로 형성되고, 대향하는 둥근 상단부 및 하단부가 구비된 상부측과 볼록한 지면결합면을 갖는 구조체와; 상기 둥근 하단부에 인접한 오목한 시트영역과, 상기 오목한 시트영역과 둥근 상단부 사이에 형성된 볼록한 지지면을 포함하는 훈련장치를 제공하며; 사용자는 상부측에서 자신의 체중 분포를 변화시키므로써 상기 볼록한 지면결합면의 상이한 부분을 지면과 결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하방외측으로 연장되는 지면결합면을 갖는 구조체와, 시트 구조물에 앉아있는 사용자가 자신의 발을 지면에 위치시킬 수 있도록 배치된 사용자용 시트 구조물을 포함하는 상부면과, 상향으로 연장되는 후방 지지면을 포함하는 훈련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첨부의 도면을 참조한 양호한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서술될 것이다.
도1 및 도2는 하부 지면결합면(14)과 상부 지지면(16)이 구비된 구조체(12)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훈련장치(10)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구조체(12)는 다양한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조체(12)는 고밀도 발포체 등과 같이 미세한 탄성을 갖는 적절한 재료로 성형된 일체형의 중실형 본체(18)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본체(18)는 중공으로 형성되며, 고무 또는 이와 등가인 인공 재료 등과 같은 적절한 재료로 일체형 부재로 성형된다. 이에 대해서는 체육관에서 사용되는 형태의 대형의 둥근 고무 볼에 사용되는 기법과 동일한 기법이 사용된다. 상기 볼은 필요에 따라 팽창하거나 수축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상기 구조체(12)는 고무 등과 같은 재료로 일체로 성형될 수 있으며, 공지된 구조를 갖는 밸브(19)를 통해 팽창될 수도 있다.
구조체의 길이는 필요에 따라 변화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800㎜의 길이를 갖는다. 본체의 폭(22) 또한 필요에 따라 변화될 수 있지만, 통상적인 폭 칫수는 500㎜ 이다. 지면결합면(14)은 외측으로 팽창하거나 굴곡되며, 일반적으로는 볼록한 형태를 취한다. 상부 지지면(16)은 팽창한 하단부(26)와, 오목부(28)와, 상향 경사면(30)과, 둥근 상단부(32)를 포함하는 형태를 취한다.
상기 본체(18)는 바닥 또는 지면(36)에 안착되어 있는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만일 사용자가 장치를 사용하고 있다면, 장치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지위치를 취하게 된다.
도3 및 도4는 사용자가 본체에 앉았을 때 본체(18)의 방향이 변화될 수 있는 방식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상기 오목부(28)는 사용자를 위한 시트로 사용되며; 사용자의 무릎은, 사용자의 발이 하단부에 인접한 지면(36)에 안착될 수 있도록 충분히 낮은 상태의 팽창한 하단부(26)를 넘어간다. 만일 사용자의 무릎 하부(도3)가 내측으로 이동한다면, 사용자의 발은 하단부(26)에 인접하게 되어, 사용자의 무게중심(사용자의 체중 분포)과 본체(18)는 우측으로 이동하며, 본체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려는 경향을 띄게 된다. 한편, 만일 사용자의 무릎 하부가 팽창한 하단부(26)로부터 외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사용자의 무게중심과 본체(18)는 좌측으로 이동하여, 본체는 화살표(42) 방향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려는 경향을 띄게 된다. 무릎이 본체(18)에 가까워지거나 또는 멀어지도록 이동하였을 때, 사용자의 체중 분포는 무릎의 이동에 의해, 또는 본체에 대한 사용자의 위치에 의해, 또는 이들 두 동작의 조합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변화될 수 있다.
상향 경사면(30)은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도록 설계되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본체(18)의 경사도가 변화되었을 때, 경사면(30)이 바닥(36)에 대해 상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각도도 변화된다. 경사면(30)에 안착되어 있는 사용자의 등은 이에 대응하는 방향변화를 받게 된다.
장치(10)는 상부면(16)에 앉아 있을 동안 복근운동 등과 같은 훈련을 실행하려는 사용자를 위해 지지체를 제공하도록 설계되었다. 만일 본체(18)가 반시계방향으로 최대한으로 회전한다면, 사용자는 거의 수직으로 앉아있게 되며, 복근운동을 실행하는데 필요한 사용자의 수고는 매우 낮다. 복근운동을 실행하는데 필요로 하는 수고는 본체(18)가 사용자의 등을 위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바닥(36)을 향해 하강함에 따라 효과적으로 증가된다. 이와 동시에, 서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무릎 하부는 본체의 팽창된 하단부(26)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며; 복근운동을 실행하는데 필요한 수고와, 복근운동중 사용자의 등이 이동하는 아치의 길이는 증가된다.
자신의 무릎을 하단부(26)에 대해 내측으로 또는 외측으로 이동시키므로써 그 방향성을 조절할 수 있는 상기 장치(10)는 운동량 적절도가 다른 사람이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장치(10)를 사용하는, 운동량 적절도가 설정된 사람은 자신의 에너지 수준이나 피로도를 고려하여, 언제라도 자신의 신체 방향을 조정할 수 있다.
상기 본체(18)는 상부면에 완전히 기대고 있는 사용자에게 효과적이면서도 안락감있는 지지체를 제공하기 위해, 미세한 탄성을 갖는 상부면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훈련중 사용자의 파지를 돕기 위하여 본체의 대향측에는 핸들(44)이 제공된다.
도5는 장치(10A)의 단면도로서, 구조체(12A)는 가방형태를 취하고 있으며, 고무 등의 재료로 일체로 성형된 질긴 가요성 스킨(18A)을 포함한다. 상기 장치는 중공의 내부(18B)를 포함하며; 상기 내부는 공기로 가압될 수 있고, 적절한 펌프(도시않음)를 사용하여 충진펌프(19A)를 통해 가압된다.
팽창되었을 때, 구조체(12A)는 도시된 바와 같은 단면형상을 취한다.
상기 구조체는 곡률반경(R1)을 갖는 둥근 하단부(26A)와, 곡률반경(R2)을 갖는 오목부(28A)와, 곡률반경(R3)을 갖는 상향 경사면(30A)과, 곡률반경(R4)을 갖는 둥근 상단부(32A)와, 곡률반경(R5)을 갖는 지면결합면(14A)을 포함한다. 실험을 통해, 상기 장치(10A)는 광범위한 사용자에게 특히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이 밝혀졌다.
R1 R2 R4;
R3 R5
적절한 값은 110≤R1 ≤120 이고, 470≤R3 ≤490 이며, 양호한 값은 R1 = 115㎜이고, R3 = 480㎜이다.
상술한 양호한 곡률반경을 갖는 장치의 길이(L)는 800㎜ 내지 900㎜이며, 바람직하기로는 850㎜이다. 장치의 높이(H)는 450㎜ 내지 440㎜이며, 바람직하기로는 430㎜이다.
장치(10A)는 체격이 상이하고 사용자의 운동량 적절도에 상당한 격차가 있는 광범위한 사용자들에게도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제한 즉, 체격과 운동량 적절도가 상이할 경우, 상당한 경험에 의해 얻어진 상기 값들은 대부분의 잠재적 사용자들에게도 적용될 수 있는 변수들의 양호한 조합을 제공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도6 및 도7은 장치(10)와의 기술적 개념은 유사하지만 그 구성이 상이한 장치(46)를 도시하고 있다.
장치(46)는 이격된 2개의 평행 프레임부재(48)(도면에는 하나만 보여지고 있다)를 포함하며, 이러한 프레임부재는 장치를 위한 지면결합면(52)을 형성한다. 시트(54)는 프레임부재(48)의 하단부에 고정되며, 후방 안착부(56)는 프레임부재의 상단부와 연결되어 있다. 상기 후방 안착부는 지지판(60)을 위한 쿠션표면(58)을 갖는다. 상기 지지판은 가요성 고무 지지체(64)에 의해 횡단바아에 피봇가능하게 고정된다. 상기 횡단바아는 프레임부재의 상단부에 고정된다.
지면결합면(52)은 제1팽창부(70)와, 상기 제1팽창부(70)에 대해 경사진 제2팽창부(72)를 포함한다. 상기 팽창부(70)는 지면(74)에 안착될 수 있으며, 시트(54)에 앉아 있는 사용자는 프레임부재의 하단부(76)를 향해 자신의 무릎 하부를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무게중심이 우측으로 이동하며, 장치는 시계방향으로 이동하므로, 상기 팽창부(72)는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74)과 결합된다.
장치에 앉아있는 사용자는 팽창부(70)가 지면상에 있거나(도6) 또는 팽창부(72)가 지면상에 있을 때(도7), 상이한 수고도를 필요로 하는 복근운동을 실행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사용자는 훈련중 도움을 받기 위하여 장치의 대향측에서 핸들(78)을 파지할 수 있다.
프레임부재에 대해 한계점까지 이동가능한 후방 안착부(56)는 장치상에서의 사용자 변화위치를 용이하게 수용하므로, 체격이 다른 사람들이 하나의 장치를 사용할 수 있게 한다.
장치(10)와 장치(46)를 비교하면, 장치(10)는 상부지지면(30)상에 안착된 사용자의 연속적인 후방 방향변화를 허용하는 반면; 장치(46)는 그 기울기가 계단식으로 변화되게 하며, 이에 따라 팽창부(70 또는 72)는 지면(74)상에 안착된다.
장치(46)의 지면결합면(52)은 다수의 평탄면을 포함하며, 이들 각각의 평탄면은 장치에 상당한 안정감을 제공할 것이며, 장치가 사용될 때 장치의 한정된 방향성을 제공할 것이다. 도6 및 도7에는 장치의 지면결합면상에서 점선으로 도시된 부가적인 제3팽창부(80)가 도시되어 있다. 필요에 따라, 부가의 팽창부가 제공될 수도 있다. 물론 지면에 대한 훈련장치의 계단식 조정이 장치의 지면결합면상에 평탄면을 제공하여 실행된다는 내용이 기본적인 사항은 아니다. 지면에 대해 훈련장치 본체의 방향을 변화시키기 위해 다른 적절한 형태의 구조물이나 부품들이 사용될 수도 있으며; 장치가 이동되는 각각의 위치에서 훈련중인 사용자에게 장치에 의해 부여된 저항도는 변화될 수 있다.
장치(10, 46)에 있어서, 장치가 안착된 지면에 대해 장치를 이동시키므로써 훈련장치의 방향이 조정될 수 있다.
도8 및 도9에는 도1 내지 도7을 참조로 서술한 장점들을 제공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정지된 훈련장치(84)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장치(84)는 평탄한 하부 지면결합면(90)과, 사용자가 자신의 등을 기댈 수 있는 표면을 제공하는 상향으로 굴곡진 또는 팽창된 상부면(92)을 포함한다.
만일 사용자가 장치 근처에서 실제로 지면에 앉아 있다면, 사용자의 등은 장치의 좌측에서 상기 상부면(92)에 기댈 수 있다. 사용자는 곧바른 착석자세로부터 미세하게 변위되며, 복근운동을 실행하는데 필요로 하는 수고도는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우 적어지게 된다.
만일 사용자의 등이 장치의 최상부에 위치된다면, 사용자의 등은 효과적으로 수평으로 되고, 복근운동의 실행에 따른 저항도는 증가된다. 그러나, 사용자는 계속 우측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등은 상부면 위에서 아치형태를 이루게 되고, 사용자의 머리는 장치의 우측으로 하방을 향하게 된다. 따라서, 복근운동에 필요한 수고도는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대로 된다.
상술한 바의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원리는 외형 및 구조적 구성등이 상이한 다양한 훈련장치에 널리 사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변경은 본 발명의 범주내에 속하는 것임을 인식해야 한다.

Claims (25)

  1. 지면결합면과,
    사용자의 등의 적어도 일부가 지면에 대해 가변적인 방향으로 지지될 수 있는 상부 지지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훈련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부 지지면은 지면결합면에 대해 경사도가 상이한 적어도 2개의 구조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훈련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지지면은 본체에 대해 제한범위내에서 이동가능하며, 구조체는 상기 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훈련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지지면은 본체에 대해 피봇가능하게 이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훈련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면결합면은 구조체의 방향이 지면에 대해 변화될 때 그 다른 부분이 지면과 결합될 수 있는 형태를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훈련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면결합면은 본체의 한쪽 단부로부터 대향 단부로 굴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훈련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면결합면은 일반적으로 볼록한 형태가 되도록 굴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훈련장치.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지면결합면은 연속적으로 가변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훈련장치.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면결합면은 불연속적이며; 구조체의 방향이 변화될 때, 필요에 따라 지면과 각각 결합가능한 다수의 표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훈련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체는 그 상부측에 사용자의 시트를 위한 오목한 제1한정영역과, 외측으로 굴곡되고 사용자의 등을 위한 상부 지지면을 형성하는 제2한정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훈련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체는 제1한정영역에 인접한 둥근 하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훈련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체는 제2한정영역에 인접한 둥근 상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훈련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지면결합면은 하방으로 대면하는 둥근 상단부와 둥근 하단부 사이에서 볼록한 형상을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훈련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둥근 하단부와 둥근 상단부 및 제1한정영역은 동일한 곡률반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훈련장치.
  15.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한정영역과 지면결합면은 동일한 곡률반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훈련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팽창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훈련장치.
  1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가요성 재료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훈련장치.
  18. 팽창가능한 본체로 형성되며 대향하는 둥근 상단부 및 하단부가 구비된 상부측과 볼록한 지면결합면을 갖는 구조체와,
    상기 둥근 하단부에 인접한 오목한 시트영역과,
    상기 오목한 시트영역과 둥근 상단부 사이에 형성된 볼록한 지지면을 포함하며,
    사용자는 상부측에서 자신의 체중 분포를 변화시키므로써 상기 볼록한 지면결합면의 상이한 부분을 지면과 결합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훈련장치.
  19. 하방외측으로 연장되는 지면결합면을 갖는 구조체와,
    시트 구조물에 앉아있는 사용자가 자신의 발을 지면에 위치시킬 수 있도록 배치된 사용자용 시트 구조물을 포함하는 상부면과,
    상향으로 연장되는 후방 지지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훈련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지면결합면은 외측으로 굴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훈련장치.
  21. 제19항 또는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구조물은 오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훈련장치.
  22. 제19항 내지 제21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후방 지지면은 외측으로 굴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훈련장치.
  23.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지면결합면은 구조체의 방향이 변화될 때, 지면과 각각 결합가능한 다수의 불연속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훈련장치.
  24.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지면결합면의 다른 부분들은 구조체의 방향이 변화될 때, 지면과 각각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훈련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체의 방향은 구조체상에서 사용자의 무게중심이나 체중 분포를 변화시키므로써, 시트 구조물에 앉아있는 사용자에 의해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훈련장치.
KR1020047011983A 2002-08-15 2003-08-12 훈련장치 KR1006384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ZA2002/3287 2002-08-15
ZA200203287 2002-08-15
PCT/ZA2003/000108 WO2004016323A1 (en) 2002-08-15 2003-08-12 Exercise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8637A true KR20050018637A (ko) 2005-02-23
KR100638430B1 KR100638430B1 (ko) 2006-10-24

Family

ID=317162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1983A KR100638430B1 (ko) 2002-08-15 2003-08-12 훈련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7033307B2 (ko)
EP (1) EP1530496A1 (ko)
JP (1) JP2005525918A (ko)
KR (1) KR100638430B1 (ko)
CN (1) CN1253223C (ko)
AU (1) AU2003270925A1 (ko)
MY (1) MY133331A (ko)
TW (1) TW589202B (ko)
WO (1) WO200401632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87085A1 (en) * 2004-02-24 2005-08-25 Webb Nicholas J. Inflatable abdominal exercise apparatus
US20050250630A1 (en) * 2004-05-10 2005-11-10 Webb Nicholas J Inflatable abdominal exercise apparatus
US20050250629A1 (en) * 2004-05-10 2005-11-10 Webb Nicholas J Inflatable abdominal exercise apparatus
CN100376301C (zh) * 2004-07-21 2008-03-26 格林豪塞国际有限公司 一种健身辅助器材
DE102004049248A1 (de) * 2004-09-30 2006-04-06 Polat Bekir Multifunktionale Übungsvorrichtung
DE202005009651U1 (de) * 2005-06-20 2006-04-06 Nardone, Jennifer, Shekou Trainingsgerät
USRE43981E1 (en) * 2005-11-10 2013-02-05 Balanced Body, Inc. Convertible barrel exercise apparatus
US7452313B2 (en) * 2005-11-10 2008-11-18 Balanced Body, Inc. Convertible barrel exercise apparatus
US8167777B2 (en) * 2006-06-13 2012-05-01 Susan Nichols Balance and exercise dynamic support block
JP3988169B1 (ja) * 2006-12-04 2007-10-10 智之 根本 椅子用姿勢改善補助椅子
US20080254956A1 (en) * 2007-04-16 2008-10-16 Purvis Thomas C Abdominal Exercise Device
US7833144B1 (en) * 2009-06-15 2010-11-16 Core Bench Fitness Strength training workout bench
US9192801B1 (en) * 2009-12-08 2015-11-24 Vassili Gouloubev Exercise support system
CN102188795A (zh) * 2010-03-12 2011-09-21 邱金和 可消除疲劳的卧垫装置
CN101780323B (zh) * 2010-03-23 2012-05-02 浙江大学 不稳定支撑界面的家用仰卧起坐训练器
US8172737B1 (en) 2010-12-14 2012-05-08 International Gymnastics Innovations LLC Back handspring training device
US8602953B2 (en) 2011-02-04 2013-12-10 Amy Christine Jordan Reformer apparatus having integral ergonomic purchase translatable into deployed and stowed positions
US20130053228A1 (en) * 2011-08-22 2013-02-28 Td Innovations, Llc Unstable Platform
US9179770B2 (en) * 2012-01-30 2015-11-10 Viggi Kids, Corp. Multi-orientation modular furniture having an energy releasable design
US10264881B2 (en) 2012-01-30 2019-04-23 Viggi Corp. Multi-orientation modular furniture having an energy releasable design
JP1524731S (ko) * 2012-06-29 2015-06-01
US9254067B2 (en) * 2013-03-14 2016-02-09 Galia YAARI Infant feeding and bathing system
US10265582B2 (en) * 2013-03-20 2019-04-23 Nathan J. Price Support device for performing floor exercise
USD740902S1 (en) * 2014-08-06 2015-10-13 Endless Mountains Gymnastics, LLC Floor and beam back handspring training apparatus
USD884212S1 (en) * 2014-08-06 2020-05-12 Brenda S Hamilton Atrium for an educational learning facility
USD782151S1 (en) * 2015-01-21 2017-03-28 Hill's Pet Nutrition, Inc. Pet food piece
USD754451S1 (en) * 2015-01-30 2016-04-26 Thomas Stroman Chair
USD813321S1 (en) * 2016-04-22 2018-03-20 Amir Zaki Exercise brick
USD802690S1 (en) * 2016-06-13 2017-11-14 Steven Laszlo Yoga block
CN106334288B (zh) * 2016-11-02 2019-02-19 永康市大邦运动器材有限公司 一种多功能新型仰卧板
USD817653S1 (en) * 2017-01-09 2018-05-15 Zinus, Inc. Reclined foam hacker chair
USD831761S1 (en) * 2017-04-14 2018-10-23 Norbert's Athletic Products, Inc. Handspring trainer
US10226665B2 (en) 2017-05-12 2019-03-12 Kormel, LLC Exercise apparatus for performing a gluteal bridge movement
DE102019213120A1 (de) * 2019-08-30 2021-03-04 Horst Biewald Sitzformteil mit einem starren Körper
USD911463S1 (en) * 2019-10-09 2021-02-23 Joseph Robert Roseberry Exercise platform
US11358024B2 (en) * 2020-02-17 2022-06-14 Willem Johannes Van Straaten Exercise device
WO2021167627A1 (en) * 2020-02-17 2021-08-26 Willem Van Straaten Exercise device
US11198032B2 (en) 2020-02-17 2021-12-14 Willem Johannes Van Straaten Exercise device
USD941943S1 (en) * 2020-03-06 2022-01-25 Willem Johannes Van Straaten Inflatable exercise device
USD972793S1 (en) * 2020-10-30 2022-12-13 Doskocil Manufacturing Company, Inc. Pet toy
USD974483S1 (en) * 2021-02-19 2023-01-03 Enfant Terrible Design AB Rocking toy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42932A (en) * 1955-01-31 1964-08-04 Jerome H Lemelson Plastic inflatable toys
US4902003A (en) * 1985-09-23 1990-02-20 Buoni Nick J Exercise device and method
US5033742A (en) * 1990-07-12 1991-07-23 Consumer Direct, Inc. Inflatable sit-up exercise device
US5147267A (en) * 1990-10-11 1992-09-15 Kunewalder Anthony P Exercise aid
US5803884A (en) * 1992-07-22 1998-09-08 Sharp; Gary Owen Abdominal exercise machine with curved back support
US5795276A (en) * 1993-07-07 1998-08-18 Almeda; T. Michael Stretching and exercise device
US5584786A (en) * 1993-07-07 1996-12-17 Almeda; Thomas M. Abdominal exercise device
US5605526A (en) * 1993-08-10 1997-02-25 Hatfield; Steven L. Exercise device
USD418563S (en) * 1999-02-04 2000-01-04 Chang-Shyong Hwang Exercis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38430B1 (ko) 2006-10-24
JP2005525918A (ja) 2005-09-02
WO2004016323A1 (en) 2004-02-26
TW589202B (en) 2004-06-01
TW200405822A (en) 2004-04-16
CN1253223C (zh) 2006-04-26
US7033307B2 (en) 2006-04-25
EP1530496A1 (en) 2005-05-18
MY133331A (en) 2007-11-30
CN1488414A (zh) 2004-04-14
US20040033873A1 (en) 2004-02-19
AU2003270925A1 (en) 2004-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8430B1 (ko) 훈련장치
US7137938B2 (en) Exercise device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US7090628B2 (en) Exercise apparatus
US6533710B2 (en) Hip exerciser
US7311644B2 (en) Exercise ball mounted for rotation
JP2004517678A5 (ko)
JPS6365880A (ja) 運動用装置
US20230050760A1 (en) Protective rowing device
KR100764064B1 (ko) 운동 장비용 안장 및 그러한 안장을 이용하는 운동 장비
EP1533004B1 (en) Cardiovascular spine exerciser
US20220062694A1 (en) Exercise device
CN101641138A (zh) 训练板及具备该训练板的训练器材
JP3227002U (ja) 骨盤運動器
KR20210104582A (ko) 운동기구
US20080064580A1 (en) Exercise device and method of exercise using the same
JP3135248U (ja) 介護用足踏み健康具
JP2003325698A (ja) 腰部回動用具
US20240189657A1 (en) Exercise device
KR200300474Y1 (ko) 허리 운동기
WO2015061902A1 (en) Balance training and exercise device
JP2020171383A (ja) 開脚補助器具
JP2005118308A (ja) ストレッチングチェア
AU2002225543A1 (en) Exercise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