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18374A - 휴대단말기의 교통사고 자동 통보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단말기의 교통사고 자동 통보장치 및 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18374A
KR20050018374A KR1020030055774A KR20030055774A KR20050018374A KR 20050018374 A KR20050018374 A KR 20050018374A KR 1020030055774 A KR1020030055774 A KR 1020030055774A KR 20030055774 A KR20030055774 A KR 20030055774A KR 20050018374 A KR20050018374 A KR 200500183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information
driving
speed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57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원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557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18374A/ko
Publication of KR200500183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8374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41/00Fittings for identifying vehicles in case of collision; Fittings for marking or recording collision area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9/00Recording measured valu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진행속도와 앞/뒤 차량과의 거리를 측정하고, 휴대단말기에서 블루투스 방식의 적외선으로 인가 받아 분석처리하며, 교통사고 발생시에는 자동으로 차량고유정보와 휴대단말기의 위치정보 등을 지정 상대방에게 자동 전송하는 것으로, 접속요청 신호를 적외선으로 인가받고 차량고유정보를 출력하며, 측정된 앞차와의 거리와 주행속도 운행정보를 출력하는 차량과; 상기 차량과 적외선으로 접속확인하고 수신되는 운행정보를 분석하여 사고발생의 경우 사고정보를 작성하는 동시에 지정된 상대방에 상기 작성된 사고정보를 자동 통보하는 휴대단말기로 이루어지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고, 또한, 휴대단말기에 의하여 차량운행을 감시하는 경우 접속 확인된 차량으로부터 차량고유정보와 운행정보를 입력하는 준비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입력된 운행정보를 분석하여 주행속도가 기준속도 이상이면, 설정된 주기로 운행속도와 거리를 측정하는 분석과정과; 상기 과정의 설정주기에 의한 윈도우 시간에 최저 한계속도를 검출한 경우 최저한계 거리를 검출하였는지 판단하는 검출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윈도우 시간에 최저 한계속도와 한계거리를 검출한 경우, 사고정보를 작성하고 지정 호출된 상대방에 차량고유정보와 함께 전송하는 통보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단말기의 교통사고 자동 통보장치 및 방법{A METHOD AND A APPARATUS OF AUTOMATIC REPORTING TRAFFIC ACCIDENT FOR MOBILE PHONE}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를 이용하여 차량의 운용정보를 분석하여 교통사고 발생을 감지하고 지정된 상대방에 자동 통보하는 것으로, 특히, 차량에 장착된 센서를 통하여 차량진행속도와 앞/뒤 차량과의 거리를 측정하고 분석하여 교통사고로 판단되면 지정된 상대방에게 교통사고 발생정보를 자동 통보하도록 하는 휴대단말기의 교통사고 자동통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단말기(MS: MOBILE STATION)는, 가입 등록된 이동통신 시스템의 서비스 영역 안에서 자유롭게 이동하며 언제 어디서나 상대방과 즉시 무선접속하여 통신하는 것으로, 이동의 편리성과 개인이 휴대하며 음성, 문자, 영상 등으로 통신하는 장비이다.
상기 휴대단말기는, 실질적으로 통신에 사용하는 시간이 작으며, 통신에 대비하여 휴대하는 시간이 대부분이므로, 비교적 활용도가 매우 낮은 문제점을 개선하는 것이, 다양한 부가기능에 의한 부가 서비스를 구비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부가서비스에는, 일 예로, 게임, 전자계산기, 메모 작성, 전화번호부 관리, 일정관리 등등이 있으며, 계속 새로운 부가서비스 기능이 개발되어 제공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휴대단말기에 부가기능을 추가하여, 자동차 차량으로부터 검출되는 운행정보를 분석하므로 교통사고 발생을 감지하고, 교통사고 발생의 긴급한 상황을 지정된 수신자에 자동 통보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특히, 차량 운전자가 교통사고발생의 긴급한 상황을 구조 요청할 수 없는 경우, 휴대단말기가 자동으로 지정된 상대방에게 교통사고 발생현황을 상세히 통보하도록 개발할 필요가 있다.
이하,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사용상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종래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도1 은 일반적인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능구성도 이다.
상기 도1을 참조하면, 이동통신 시스템에 가입 등록되고 서비스 영역을 이동하면서 언제 어디서나 상대방과 즉시 무선접속하여 통신하는 휴대단말기(MS)(10)와; 상기 휴대단말기(10)를 구비하고 이동통신 서비스 영역 안을 이동하면서 언제 어디서나 상대방과 즉시 무선접속하여 통신하는 차량(20)과; 상기 휴대단말기(10) 및 차량(20)에 구비되는 휴대단말기(10)와 무선접속하고 통신신호를 송수신하는 동시에 이동통신 서비스 영역을 형성하는 기지국(BS: BASE STATION)(30)과; 상기 기지국(30)과 무선접속하고 입력되는 호접속 요청신호에 의하여 스위칭으로 통신경로를 설정하며, 이동통신 시스템 전체의 운용을 감시하고 제어하는 이동교환국(MSC: MOBILE SWITCHING CENTER)(40)으로 이루어진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의 일반적인 이동통신 시스템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휴대단말기(10)와 차량(20)에 구비되는 휴대단말기(10)는, 가입하므로 이동통신 시스템의 전체를 제어하는 이동교환국에 등록되며, 상기 등록되는 정보로는, 휴대단말기(10)의 전자일련번호(ESN), 할당된 이동통신 전화번호, 사용자 성명, 주소 등등을 필요로 한다.
상기 휴대단말기(10)와 휴대단말기(10)를 구비하는 차량(20)은, 기지국(30)이 형성하는 서비스 영역 안을 어디든지 이동하면서 상대방과 무선접속하여 통신하는 것으로, 상대방을 호출하고자 하는 경우는 다이얼링 신호를 입력하여 무선전송하면, 상기 기지국(30)이 수신하여 이동교환국(40)에 전송한다.
상기와 같은 다이얼링 신호를 기지국(30)을 통하여 호접속 요청신호로 입력하는 이동교환국(40)은 해당 분석처리와 스위칭(SWITCHING)에 의하여 통신경로를 설정하므로, 다른 휴대단말기(10) 또는 공중통신망(PSTN)을 경유하는 유선망의 통신용 단말기에 접속하므로,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휴대단말기(10) 만을 사용하여도 이동이 용이하지만, 차량(20)에 탑승하는 경우는 장거리 이동이 매우 용이하며, 상기와 같이 이동하면서도 통신을 계속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차량(20)을 이용하는 경우, 크고 작은 교통사고가 발생할 수 있으며, 교통사고 수습 및 처리를 위하여 휴대단말기를 사용할 수 있으나, 차량 운전자가 상기와 같이 발생한 교통사고 수습처리를 직접 할 수 없는 심각한 경우, 대형사고로 진행하거나 사고가 더 커지게 되는 등의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차량에 부착된 센서 정보를 분석하여 교통사고 발생이라고 판단하는 경우, 교통사고 발생 위치, 휴대단말기 사용자의 신원정보, 발생 시간정보 등을 지정된 상대방에게 자동통보되도록 하는 휴대단말기의 교통사고 자동 통보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접속요청 신호를 적외선으로 인가받고 차량고유정보를 출력하며, 측정된 앞차와의 거리와 주행속도 운행정보를 출력하는 차량과; 상기 차량과 적외선으로 접속확인하고 수신되는 운행정보를 분석하여 사고발생의 경우 사고정보를 작성하는 동시에 지정된 상대방에 상기 작성된 사고정보를 자동 통보하는 휴대단말기로 이루어지는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에 의하여 차량운행을 감시하는 경우 접속 확인된 차량으로부터 차량고유정보와 운행정보를 입력하는 준비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입력된 운행정보를 분석하여 주행속도가 기준속도 이상이면, 설정된 주기로 운행속도와 거리를 측정하는 분석과정과; 상기 과정의 설정주기에 의한 윈도우 시간에 최저 한계속도를 검출한 경우 최저한계 거리를 검출하였는지 판단하는 검출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윈도우 시간에 최저 한계속도와 한계거리를 검출한 경우, 사고정보를 작성하고 지정 호출된 상대방에 차량고유정보와 함께 전송하는 통보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교통사고 자동 통보장치 및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첨부된 것으로, 도2 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교통사고 자동 통보장치 기능 구성도 이며, 도3 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과 휴대단말기의 신호전송 과정도 이고, 도4 는 본 발명의 차량 운행정보 측정프레임에 의한 교통사고 검출상태도 이며, 도5 는 본 발명의 차량 운행정보 측정프레임에 의한 과속운행 검출상태도 이고, 도6 은 본 발명의 차량으로부터 휴대단말기로 전송되는 운행정보 데이터 프레임 구성상태도 이며, 도7 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교통사고 자동 통보방법 순서도 이다.
상기 도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교통사고 자동 통보장치는, 접속요청 신호를 적외선(INFRA RED)으로 인가받고 차량고유정보를 출력하며, 측정된 앞차와의 거리와 주행속도 운행정보를 출력하는 것으로, 앞 차량과의 거리를 초음파로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운행정보를 출력하는 거리측정부(230); 차량의 주행속도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운행정보를 출력하는 속도부(240); 상기 거리측정부(230)와 속도부(240)로부터 각각 측정된 운행정보를 입력하여 해당 메모리(MEMORY)에 기록하고 접속요청 신호를 입력하면 해당 메모리에 기록되어 저장된 차량고유정보를 출력하며 각 기능부를 감시하고 제어하는 차량제어부(220); 상기 차량제어부(220)와 접속하고 적외선(INFRA RED)으로 수신되는 접속요청신호를 상기 차량제어부(220)에 출력하는 동시에 입력되는 운행정보를 무선송신하는 블루투스부(BLUETOOTH)(210)로 이루어지는 차량(200)과,
상기 차량(200)과 적외선으로 접속확인하고 수신되는 운행정보를 분석하여 사고발생의 경우 사고정보를 작성하는 동시에 지정된 상대방에 상기 작성된 사고정보와 차량고유정보를 자동 통보하는 것으로, 상기 차량(200)과 적외선으로 접속확인 신호를 무선 송수신하며 차량운행정보를 무선수신하는 블루투스부(110); 상기 블루투스부(110)를 통하여 기록된 휴대단말기 고유번호를 송신하여 접속요청하고, 수신되는 차량고유정보를 기록저장하며 운행정보를 분석하여 교통사고 발생의 경우 현재 위치정보와 신원정보와 시간정보를 차량정보와 함께 지정 상대방에게 자동 통보하는 제어부(120); 상기 제어부(120)와 접속되고 이동통신 기지국과 무선접속되어 통신신호를 무선송수신하는 고주파부(130)로 이루어지는 휴대단말기(100)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차량제어부(220)는, 상기 블루투스부(210)로부터 입력되는 휴대단말기(100)의 접속요청 신호에 의하여 기록된 차량번호와 차종과 출고년도와 배기량과 외장색상 등의 차량고유정보를 응답신호로 출력하고; 상기 출력된 응답신호를 수신측에서 확인하고, 상기 수신측으로부터 확인응답신호를 회신하는 경우, 상기 거리측정부(230)로부터 입력된 운행정보와 속도부(240)로부터 입력된 운행정보를 상기 블루투스부(210)에 출력하며; 상기 블루투스부(210)는, 접속된 차량제어부(220)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무선 송수신하며 차량운행정보를 무선송신한다.
또한, 상기 휴대단말기(100)의 제어부(120)는, 상기 블루투스부(110)를 통하여 휴대단말기(100) 고유번호(ID)를 차량(200)으로 무선송신하므로 접속요청하고; 상기 차량(200)으로부터 수신되는 차량고유정보를 기록저장하는 동시에 거리측정과 속도측정 운행정보를 분석하여 교통사고 발생을 확인하고; 교통사고 발생의 경우는 이동통신 시스템과 접속하여 현재 위치정보와 등록된 신원정보와 시간정보를 확인하며; 지정된 상대방을 호출하여 상기 차량정보와 함께 사고정보를 자동 통보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한 것으로, 휴대단말기의 교통사고 자동 통보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차량(200)은, 상기 거리측정부(230) 구성을 이용하여 앞차와의 거리를 초음파로 측정하고, 상기 차량제어부(220)에 운행정보로 출력하는 동시에, 상기 속도부(240) 구성을 이용하여 현재의 주행 속도를 측정하고, 상기 차량제어부(220)에 운행정보로 출력한다.
상기 차량제어부(220)는, 상기 거리측정부(230)와 속도부(240)로부터 각각 입력되는 운행정보를 내장된 해당 메모리(MEMORY)의 할당된 영역에 기록하여 저장하는 동시에, 상기 내장된 해당 메모리의 별도 할당된 영역에 고유한 차량번호와 차종과 출고년도와 배기량과 외장색상 등과 같은 차량고유정보를 기록저장한다.
상기 블루투스부(210)는, 적외선(INFRA RED)을 이용하여 양방향 통신하는 것으로, 일 예로, 휴대단말기(100)의 블루투스부(110)와 적외선으로 무선접속하여 각종 정보를 무선으로 송수신한다.
상기 차량(200)과 휴대단말기(100)가 적외선으로 무선접속하고, 정보를 송수신하는 과정을, 상기 첨부된 도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휴대단말기(100)는 해당 제어부(120)에 기록되고 저장되어 있는 해당 고유번호를 블루투스부(110)를 통하고 상기 차량(200)에 무선전송하여 접속요청한다(ST10).
상기와 같이 적외선(INFRA RED)으로 무선신호를 송수신하는 휴대단말기(100)의 블루투스부(110)를 통하여 접속요청 신호를 수신한 차량(200)의 블루투스부(210)는 차량제어부(220)에 인가하고, 상기 차량제어부(220)는 입력된 신호를 분석하여 접속요청 신호임을 확인하며, 상기와 같이 접속요청 신호로 확인되면 해당 메모리의 할당된 영역에 기록저장하고, 해당 메모리 영역에 기록되어 있는 것으로, 차종, 차량등록번호, 배기량, 출고년도, 도색된 외장색상 등등의 차량을 확인할 수 있는 고유정보를 접속응답 신호로 블루투스부(210)에 출력하고, 상기 블루투스부(210)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무선으로 휴대단말기에 전송한다(ST20).
상기와 같이 차량(200)으로부터 출력되는 적외선 신호는. 휴대단말기(100)의 블루투스부(110)를 통하여 수신되고, 제어부(120)에 입력되어 할당된 해당 메모리 영역에 기록되어 저장되며, 상기와 제어부(120)는 수신하였다는 수신확인 신호를 확인응답신호로 상기 차량에 전송한다(ST30).
상기와 같이 휴대단말기(100)로부터 확인응답신호를 수신한 차량(200)은, 거리측정부(230)에서 초음파를 이용하여, 앞 차량 또는 뒤 차량과의 거리를 실시간으로 측정한 운행정보와, 속도부(240)에서 실시간으로 측정한 주행속도의 운행정보를 오류발생에 대비하고 보정하는 CRC(CYCLIC REDUNDANCY CHECK)처리하고, 상기 차량제어부(220)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적외선을 이용하는 블루투스부를 통하여 상기 휴대단말기(100)에 계속 무선전송한다(ST40).
상기 휴대단말기(100)는 상기와 같이 수신되는 차량 운행정보를, 자체적으로 별도 내장된 해당 프로그램에 의하여 분석하므로, 상기 차량이 교통사고 없이 주행하고 있는지 교통사고가 발생되었는지를 판단한다.
상기와 같이 휴대단말기(100)의 판단에서, 교통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는, 사전에 설정되어 지정된 상대방에게, 해당 메모리에 기록저장된 차량 고유정보와 현재의 위치정보, 휴대단말기의 등록 신원정보, 시간정보 등의 사고정보를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즉시 전송한다.
그러므로, 차량의 탑승객이 교통사고로 인하여, 정신을 못 차리는 경우에도 교통사고가 발생한 지점과 차량의 정보 등을 신속하게 지정된 상대방에게 통보하므로, 상기 상대방에 의하여 필요한 후속조치를 빠르게 취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첨부된 도4는, 일 예로, 차량으로부터 운행정보를 수신한 휴대단말기에서 교통사고로 판단하는 상태를 시간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각 눈금의 시간단위는 0.1초 단위이고, 휴대단말기(100)에 의하여 교통사고 여부를 판단하는 프레임 단위 시간은 0.5초 주기 임을 보여준다.
즉, 상기 휴대단말기(100)는 이동통신용 운용 프로그램 이외에, 별도로 내장된 교통사고 판단 응용 프로그램에 의하여, 설정된 소정의 기준속도 이상으로 해당 차량의 주행속도가 측정되는 경우, 즉, 차량의 측정된 속도가 설정된 기준속도보다 크게 측정되는 경우, 휴대단말기의 해당 응용 프로그램은, 교통사고 측정 프레임을 동작시킨다.
일 예로, 상기 기준속도를 20 Km로 설정하는 경우, 차량이 서서히 움직이기 시작할 때부터, 계속하여 0.5초 단위의 측정 프레임을 동작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측정 프레임에서, 차량의 주행속도와 앞 뒤 차량과의 거리가 동시에 0.1초 윈도우 시간에, 소정의 최저값 또는 0값 부근인 경우는, 교통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와 같이 판단한 휴대단말기(100)는, 지정되어 입력된 상대방에게 차량고유정보와 사고정보를 이동통신 시스템을 통하여 자동 무선통보한다.
또한, 상기 첨부된 도5는, 일 예로, 휴대단말기(100)가 차량(200)으로부터 운행정보를 수신하고 분석하여 상기 차량이 정상적으로 주행하고 있음을 판단하는 것으로, 0.1초의 측정 윈도우에서 차량이 소정의 기준속도 보다 빠르게 주행하는 것으로 측정되는 경우, 상기 5개의 측정 윈도우로 이루어지는 0.5초 단위의 측정프레임 단위로, 상기 차량의 주행속도와 앞 및 뒤 차량과의 거리를 측정한다.
상기 측정 프레임에서 측정하여 차량의 주행속도와 거리 중에서 어느 하나의 측정값이 최저값 이하인 경우는,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지 않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으로, 즉, 차량이 교통사고 없이 운행하면서 앞 또는 뒤의 차량과 일시적으로 설정된 최저거리 이하를 유지하는 경우가 있고, 또한, 교통사고가 없으면서도, 속도만이 설정된 최저속도 이하를 유지 할 수 있다.
즉, 측정된 차량의 주행속도와 앞뒤 차량과의 거리가 동시에 윈도우 시간단위로 최저값을 나타내지 않으면 교통사고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다.
상기 첨부된 도6은, 차량으로부터 블루투스부를 통하여 적외선으로 수신되는 운행정보의 데이터 형태로, 8 비트(BIT) 또는 1 바이트(BYTE)를 이용하여 측정된 차량의 주행속도를, 일 예로, 시속 0 내지 200 Km의 주행속도를 측정하여 전송하고, 앞 또는 뒤 차량과의 거리 정보도 역시 8 비트 또는 1 바이트를 이용하여, 일 예로, 0 내지 256 미터의 측정된 값을 전송하며, 상기와 같이 측정되어 전송되는 운행정보는 CRC 처리에 의하여 전송오류를 보정하도록 암호화 처리하여 전송한다.
이하, 첨부된 도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교통사고 자동통보방법을 설명한다.
이동통신용 휴대단말기(100)에 의하여 차량운행을 감시하는 경우 접속 확인된 차량(200)으로부터 차량고유정보와 운행정보를 입력하는 것으로, 휴대단말기(100)에 의하여 차량(200)의 운행을 감시할 것인지 판단하는 과정(S100); 상기 과정(S100)에서 판단하여 차량의 운행을 감시하는 경우, 적외선으로 접속확인하고 차량으로부터 차량고유정보와 운행정보를 입력하는 과정(S110)으로 이루어지는 준비과정과,
상기 준비과정에서 입력된 차량의 운행정보를 분석하여 주행속도가 기준속도 이상이면, 설정된 윈도우 시간 주기로 운행속도와 거리를 측정하는 것으로, 상기 입력되는 차량 운행정보를 분석하여 설정된 소정 기준속도 이상으로 주행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S120); 상기 과정(S120)에서 판단하여 소정 기준속도 이상으로 주행하는 경우, 설정된 측정프레임 주기로 각 윈도우 시간마다 차량(200)의 운행속도를 측정하는 동시에 앞차와의 거리를 측정하는 과정(S130)으로 이루어진 분석과정과,
상기 분석과정의 설정주기에 의한 윈도우 시간에 최저 한계속도를 검출한 경우 최저한계 거리를 검출하였는지 판단하는 것으로. 상기 설정된 주기의 프레임을 구성하는 각 윈도우 시간에 최저 한계속도를 검출하는지 판단하고 검출하지 못하는 경우는 상기 분석과정으로 궤환하는 과정(S140); 상기 과정(S140)에서 윈도우 시간에 최저 한계속도를 검출한 경우, 상기 프레임의 윈도우 시간에 앞/뒤 차량과의 최저 한계거리를 검출하는지 판단하고 검출하지 못하는 경우는 상기 분석과정(S120)으로 궤환(FEEDBACK)하는 과정(S150)으로 이루어진 검출과정과,
상기 검출과정에서 윈도우 시간에 최저 한계속도와 한계거리를 검출한 경우, 사고정보를 작성하고 지정 호출된 상대방에 차량고유정보와 함께 전송하는 것으로, 상기 휴대단말기가 이동통신 시스템에 접속하여 현재 위치정보와 등록된 신원정보와 현재 시간정보를 제공받아 사고정보를 작성 기록하는 과정(S160); 상기 과정(S160)의 사고정보와 기록된 차량고유정보를 지정된 상대방을 호출하여 전송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통보과정으로 구성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한 것으로, 휴대단말기의 교통사고 자동 통보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휴대단말기(100)는 차량(200)의 운행을 감시할 것인지 판단하고(S100), 상기 판단(S100)에서 차량의 운행을 감시하는 경우, 적외선(INFRA RED) 통신을 통하여 접속요청을 하므로, 차량(200)으로부터 차량 고유정보와 차량의 운행정보를 입력한다(S110).
상기와 같이 차량으로부터 입력되는 차량정보는, 8 비트 또는 1 바이트 단위로 이루어지는 측정된 주행 속도정보와, 상기와 같이 8 비트 또는 1 바이트 단위로 이루어지는 앞/뒤 차량과의 측정된 거리정보이다.
상기 휴대단말기(100)는, 차량(200)으로부터 입력된 운행정보를 분석하여, 설정된 소정의 기준속도 이상으로 주행하고 있는지, 일 예로, 상기 차량이 시속 20 Km 이상으로 주행하고 있는지를 판단하며(S120), 상기 판단에서 소정의 기준 속도 이상으로 주행하는 경우, 설정된 측정 프레임 시간 주기로 운행속도와 앞/뒤 차량과의 거리를 측정하여 교통사고 발생여부를 분석한다(S130).
상기 0.5초 단위의 측정프레임 주기로 차량의 측정된 운행정보를 분석하여, 0.1초의 윈도우 시간단위로 최저한계속도가 검출되는지 판단하고(S140), 상기 판단에서 최저 한계 속도가 검출되지 않는 경우는 상기 분석과정(S120)으로 궤환하며, 최저 한계속도가 검출되는 경우, 윈도우 시간에 최저한계 거리를 검출하는지 판단한다(S150).
상기 판단(S150)에서, 0.5초의 측정 프레임에 구비되는 5개의 0.1초 윈도우 중에서 어느 하나로부터 최저한계거리를 검출하지 못하는 경우, 교통사고가 발생한 것이 아니고, 도로상의 교통환경에 의하여 주행의 흐름이 변화하는 것이므로, 상기 분석과정(S120)으로 궤환(FEEDBACK)하여 운행정보를 다시 측정하도록 하고, 상기 판단(S150)에서 최저한계거리를 검출한 경우, 교통사고가 발생한 것이므로, 상기 휴대단말기(100)는 이동통신 시스템이 관리하고 있는 현재 위치정보와 등록된 신원정보와 시간정보를 제공받고, 해당 처리하여 지정된 상대방에게 전송할 사고정보를 작성한다(S160).
상기 휴대단말기(100)는, 상기와 같이 작성된 사고정보와 차량고유정보를, 이동통신 시스템을 통하여 무선접속된 지정 상대방에게 자동으로 통보하므로, 상기 상대방이 신속한 후속조치를 하도록 한다(S170).
상기 지정된 상대방은, 가족이거나, 보험회사, 119 구조대 등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100)가 차량(200)에 탑승하는 경우, 상기 차량(200)과 블루투스 방식의 적외선을 이용하여 무선통신하므로, 차량고유정보와 운행정보를 입력받고, 운행정보를 0.1초의 윈도우 단위로 분석하며, 0.5초 이내의 측정 프레임 단위로 주행속도와 앞/뒤 차량거리가 동시에 최저값 이하로 검출되는 경우, 교통사고로 판단하여, 지정된 상대방에게 교통사고 발생위치 정보, 휴대단말기 사용자의 신원정보, 교통사고 발생시간 정보 등의 사고정보와, 차량(200)에 대한 각종 고유정보를 자동으로 통보하므로, 교통사고에 의하여 경황이 없거나 정신을 못차리는 경우에도 교통사고 상황을 정확하게 통보하여 신속한 후속조치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응용 프로그램 또는 알고리즘을 휴대단말기에서 구비하고, 처리하도록 하므로, 차량은 운행정보를 측정하여 소정의 암호화 처리한 후, 휴대단말기에 적외선으로 통보만 하는 간단한 구조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블루투스 방식의 적외선을 이용하여 차량의 고유정보와 운행정보를 인가받은 휴대단말기에서 해당 응용 프로그램으로 분석처리하여 교통사고를 판단하고, 자동으로 지정된 상대방에 통보하므로 피해를 적게 하는 산업적 이용효과가 있다.
또한, 휴대단말기가 블루투스 방식의 적외선을 이용하여 차량으로부터 운행정보를 제공받으므로, 설치와 이동이 간편한 사용상 편리한 효과가 있다.
도1 은 일반적인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능구성도,
도2 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교통사고 자동 통보장치 기능 구성도,
도3 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과 휴대단말기의 신호전송 과정도,
도4 는 본 발명의 차량 운행정보 측정프레임에 의한 교통사고 검출상태도,
도5 는 본 발명의 차량 운행정보 측정프레임에 의한 과속운행 검출상태도,
도6 은 본 발명의 차량으로부터 휴대단말기로 전송되는 운행정보 데이터 프레임 구성상태도,
도7 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교통사고 자동 통보방법 순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0 : 휴대단말기 110,210 : 블루투스부 120 : 제어부
130 : 고주파부 200 : 차량 220 : 차량제어부
230 : 거리측정부 240 : 속도부

Claims (11)

  1. 접속요청 신호를 적외선으로 인가받고 차량고유정보를 출력하며, 측정된 앞차와의 거리와 주행속도 운행정보를 출력하는 차량과,
    상기 차량과 적외선으로 접속확인하고 수신되는 운행정보를 분석하여 사고발생의 경우 사고정보를 작성하는 동시에 지정된 상대방에 상기 작성된 사고정보를 자동 통보하는 휴대단말기로 이루어지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교통사고 자동 통보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은,
    앞 차량과의 거리를 초음파로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운행정보를 출력하는 거리측정부와,
    차량의 주행속도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운행정보를 출력하는 속도부와,
    상기 거리측정부와 속도부로부터 각각 측정된 운행정보를 입력하여 기록하고 접속요청 신호에 의하여 기록된 차량고유정보를 출력하며 각 기능부를 감시하고 제어하는 차량제어부와,
    상기 차량제어부와 접속하고 적외선으로 수신되는 접속요청신호를 상기 차량제어부에 출력하는 동시에 입력되는 운행정보를 무선송신하는 블루투스부로 이루어지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교통사고 자동 통보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제어부는,
    상기 블루투스부로부터 입력되는 휴대단말기의 접속요청 신호에 의하여 기록된 차량번호와 차종과 출고년도와 배기량과 외장색상의 차량고유정보를 응답신호로 출력하고,
    상기 출력된 응답신호를 수신측에서 확인하는 경우에 상기 거리측정부로부터 입력된 운행정보와 속도부로부터 입력된 운행정보를 상기 블루투스부에 출력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교통사고 자동 통보장치.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블루투스부는,
    상기 차량제어부와 접속되며 적외선을 이용하여 접속확인 신호를 무선 송수신하고 차량운행정보를 무선송신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교통사고 자동 통보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는,
    상기 차량과 적외선으로 접속확인 신호를 무선 송수신하며 차량운행정보를 무선수신하는 블루투스부와,
    상기 블루투스부를 통하여 기록된 휴대단말기 고유번호를 송신하여 접속요청하고, 수신되는 차량고유정보를 기록저장하며 운행정보를 분석하여 교통사고 발생의 경우 현재 위치정보와 신원정보와 시간정보를 차량정보와 함께 지정 상대방에게 자동 통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와 접속되고 이동통신 기지국과 무선접속되어 통신신호를 무선송수신하는 고주파부로 이루어지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교통사고 자동 통보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블루투스부를 통하여 휴대단말기 고유번호를 차량으로 무선송신하므로 접속요청하고,
    상기 차량으로부터 수신되는 차량고유정보를 기록저장하는 동시에 거리측정과 속도측정 운행정보를 분석하여 교통사고 발생을 확인하고,
    교통사고 발생의 경우는 이동통신 시스템과 접속하여 현재 위치정보와 등록된 신원정보와 시간정보를 확인하며,
    상기 차량정보와 함께 지정된 상대방을 호출하여 사고정보를 자동 통보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교통사고 자동 통보장치.
  7. 휴대단말기에 의하여 차량운행을 감시하는 경우 접속확인된 차량으로부터 차량고유정보와 운행정보를 입력하는 준비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입력된 운행정보를 분석하여 주행속도가 기준속도 이상이면, 설정된 주기로 운행속도와 거리를 측정하는 분석과정과,
    상기 과정의 설정주기에 의한 윈도우 시간에 최저 한계속도를 검출한 경우 최저한계 거리를 검출하였는지 판단하는 검출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윈도우 시간에 최저 한계속도와 한계거리를 검출한 경우, 사고정보를 작성하고 지정 호출된 상대방에 차량고유정보와 함께 전송하는 통보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교통사고 자동 통보방법.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준비과정은,
    휴대단말기에 의하여 차량의 운행을 감시할 것인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판단하여 차량의 운행을 감시하는 경우, 적외선으로 접속확인하고 차량고유정보와 운행정보를 입력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교통사고 자동 통보방법.
  9.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과정은,
    상기 준비과정에서 입력되는 차량 운행정보를 분석하여 소정 기준속도 이상으로 주행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판단하여 소정 기준속도 이상으로 주행하는 경우, 설정된 주기로 차량의 운행속도를 측정하고 앞차와의 거리를 측정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교통사고 자동 통보방법.
  10.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과정은,
    상기 분석과정에서 설정된 주기의 프레임을 구성하는 각 윈도우 시간에 최저 한계속도를 검출하는지 판단하고 검출하지 못하는 경우는 상기 분석과정으로 궤환하는 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윈도우 시간에 최저 한계속도를 검출한 경우, 상기 프레임의 윈도우 시간에 앞뒤 차량과의 최저 한계거리를 검출하는지 판단하고 검출하지 못하는 경우는 상기 분석과정으로 궤환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교통사고 자동 통보방법.
  11.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통보과정은,
    상기 휴대단말기가 이동통신 시스템에 접속하여 현재 위치정보와 등록된 신원정보와 현재 시간정보를 제공받아 사고정보를 작성 기록하는 과정과,
    상기 과정의 사고정보와 기록된 차량고유정보를 지정된 상대방을 호출하여 전송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교통사고 자동 통보방법.
KR1020030055774A 2003-08-12 2003-08-12 휴대단말기의 교통사고 자동 통보장치 및 방법 KR2005001837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5774A KR20050018374A (ko) 2003-08-12 2003-08-12 휴대단말기의 교통사고 자동 통보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5774A KR20050018374A (ko) 2003-08-12 2003-08-12 휴대단말기의 교통사고 자동 통보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8374A true KR20050018374A (ko) 2005-02-23

Family

ID=372279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5774A KR20050018374A (ko) 2003-08-12 2003-08-12 휴대단말기의 교통사고 자동 통보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1837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0560B1 (ko) * 2008-08-18 2015-01-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블루투스를 이용한 차량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2862383A (zh) * 2019-11-26 2021-05-28 金毛豆科技发展(北京)有限公司 一种数据处理方法和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0560B1 (ko) * 2008-08-18 2015-01-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블루투스를 이용한 차량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2862383A (zh) * 2019-11-26 2021-05-28 金毛豆科技发展(北京)有限公司 一种数据处理方法和装置
CN112862383B (zh) * 2019-11-26 2024-05-28 金毛豆科技发展(北京)有限公司 一种数据处理方法和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7921B1 (ko) 텔레매틱스 시스템 및 상기 시스템에서의 텔레매틱스 서비스 제공 방법
US20110279263A1 (en) Event Detection
KR20210107518A (ko) 건설현장 근로자의 보건 안전 및 관리 시스템
WO2013043668A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 traffic accident determination and notification
CN109196566B (zh) 传输有关交通工具的事故或故障的数据的辅助系统及方法
TWI657945B (zh) 機車事故偵測通知方法
MX2007004848A (es) Metodo y sistema para monitorear un vehiculo.
KR101130238B1 (ko) 차량 도난 방지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EP2518710A1 (en) Portable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and notifying of vehicle accidents
JP6978247B2 (ja) 操作監視システム
AU201320760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onitoring the condition of railway tracks
US11778445B2 (en) Vehicle with automatic reporting function
KR20190023260A (ko) 차량 검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70073148A (ko) 무선통신을 이용한 차량의 긴급구조 단말기와 정보처리장치 및 시스템
KR20170055178A (ko) 차량사고 알림시스템
EP3457379A1 (en) Method of providing driver-behavior information off-site through telematics system
US6983157B2 (en) Automatic report control system for reporting arrival at destination or passing point
KR102283398B1 (ko) Ai 기반 복합 adas 룸미러
CN106448207A (zh) 车辆行驶警告方法及装置
KR101413409B1 (ko) 자동차 사고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5160876A (zh) 一种汽车喇叭监控系统
JP2017087812A (ja) 事故通報装置、事故通報アプリケーション、事故通報システム、事故通報方法
KR20050018374A (ko) 휴대단말기의 교통사고 자동 통보장치 및 방법
JP6095835B1 (ja) 事故通報装置、事故通報アプリケーション、事故通報システム、事故通報方法
KR102114712B1 (ko) 스마트 플랫폼 기반의 지능형 블랙박스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