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17755A - 아조 모이어티를 포함하는 금속착물 착색제 - Google Patents

아조 모이어티를 포함하는 금속착물 착색제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17755A
KR20050017755A KR1020030055022A KR20030055022A KR20050017755A KR 20050017755 A KR20050017755 A KR 20050017755A KR 1020030055022 A KR1020030055022 A KR 1020030055022A KR 20030055022 A KR20030055022 A KR 20030055022A KR 20050017755 A KR20050017755 A KR 200500177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ituted
carbon atoms
group
unsubstituted
metal comple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50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32106B1 (ko
Inventor
정연경
유승민
이경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550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2106B1/ko
Priority to US10/912,544 priority patent/US7364597B2/en
Priority to JP2004232524A priority patent/JP4807818B2/ja
Publication of KR200500177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77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21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210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BORGANIC DYES OR CLOSELY-RELATED COMPOUNDS FOR PRODUCING DYES, e.g. PIGMENTS; MORDANTS; LAKES
    • C09B45/00Complex metal compounds of azo dy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BORGANIC DYES OR CLOSELY-RELATED COMPOUNDS FOR PRODUCING DYES, e.g. PIGMENTS; MORDANTS; LAKES
    • C09B45/00Complex metal compounds of azo dyes
    • C09B45/02Preparation from dyes containing in o-position a hydroxy group and in o'-position hydroxy, alkoxy, carboxyl, amino or keto groups
    • C09B45/04Azo compounds in genera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ks, Pencil-Leads, Or Cray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조 모이어티를 포함하는 금속착물 착색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색상 구현이 가능하고, 내광성 및 내수성 등의 견뢰도가 향상된 금속 착물 착색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금속착물 착색제는 섬유, 식품, 의약품, 화장품, 도료, 잉크, 요업 등 색을 나타내고자 하는 모든 분야에서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아조 모이어티를 포함하는 금속착물 착색제{Metal complex colorant comprising azo moiety}
본 발명은 아조 모이어티를 포함하는 금속착물 착색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색상 구현이 가능하고, 내광성 및 내수성 등의 견뢰도가 향상된 금속 착물 착색제를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가시광선을 선택적으로 흡수 또는 반사함으로써 고유한 색을 나타내는 물질을 착색제라 하는데, 이러한 착색제는 식품, 의약품, 화장품, 도료, 잉크젯 프린터용 잉크, 인쇄용 잉크, 플라스틱 착색, 고무 착색, 가구 제조, 날염, 제지, 요업 등 색을 구현하는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사용이 되고 있다.
착색제는 염료와 안료의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염료는 물이나 기름 등에 용해되어 단분자 형태로 분산되며, 섬유 등의 분자와 결합하여 착색하는 유색물질을 말하고, 안료는 물이나 기름에 녹지 않고 가루인 채로 물체 표면에 불투명한 유색막을 만드는 물질을 의미한다.
통상적으로 염료는 색구현 범위가 넓으며 색상이 밝고 선명하지만 빛에 의해 탈색/변색되거나 물이나 유기용매에 의해 번지는 등 내광성과 내수성이 취약한 문제점이 있는 반면, 안료는 염료에 비해 내광성/내수성은 뛰어나지만 상대적으로 색의 구현범위가 좁다는 취약점이 있다. 따라서 다양한 색의 구현이라는 염료의 장점을 유지하면서 내광성, 내수성 등을 높이기 위해 여러 가지 연구가 행하여져 왔는데, 그 중 하나가 금속 착물을 이용하는 방법이다.
대표적으로 미국 특허 제 5,095,100호에서는 염료 분자 내의 아조기 및 특정 작용기를 금속과 배위결합시킴으로써 내광성이 향상된 금속착물 염료를 얻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발명은 금속과 배위결합이 가능한 아조기 및 특정 작용기가 착색제 분자내에 포함되어 있어야 한다는 제약이 있으므로, 금속 착물을 이룰 수 있는 착색제의 종류가 한정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아조 모이어티를 포함하는 금속 착물 착색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상기 금속 착물 착색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아조 모이어티가 착색제에 결합되고, 상기 아조 모이어티를 통해 금속이 배위결합된 하기 화학식 1의 금속착물 착색제를 제공한다.
식중, A1과 A2는 각각 독립적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중결합을 갖는 탄소원자수 2 내지 30개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케닐렌기를 함유하고 아조기와 공액이 형성된 모이어티이고; X1 및 X2는 히드록시기,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콕시기, 카르복실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미노기를 나타내며; M은 다가 전이금속을 나타내고; L은 중성 또는 음이온성 리간드를 나타내며; n은 1 내지 3의 정수이고; J는 링커를 나타낸다.
상기 화학식 1의 금속 착물 착색제로서는 하기 화학식 2 또는 3의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식중, J, X1, X2, M, L 및 n은 상기 정의한 바와 같으며, R1은 탄소원자수 1 내지 2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킬렌기, 탄소원자수 1 내지 2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알킬렌기, 탄소원자수 2 내지 2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케닐렌기, 탄소원자수 2 내지 2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알케닐렌기, 탄소원자수 6 내지 3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렌기, 또는 탄소원자수 6 내지 3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아릴렌기를 나타내고, X3, X4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원자, 히드록시기, 카르복실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미노기, 술폰산기, 인산기, 탄소원자수 1 내지 2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킬기, 탄소원자수 1 내지 2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알킬기, 탄소원자수 2 내지 2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케닐기, 탄소원자수 2 내지 2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알케닐기, 탄소원자수 6 내지 3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기, 또는 탄소원자수 6 내지 3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아릴기를 나타낸다.
식중, X1, X2, M, J, L 및 n은 상기 정의한 바와 같으며, Q1 및 Q 2는 각각 독립적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중결합을 포함하는 탄소원자수 2 내지 2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사이클로알케닐렌기, 탄소원자수 6 내지 3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렌기, 탄소원자수 2 내지 3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사이클로알케닐렌기, 탄소원자수 4 내지 3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아릴렌기를 나타내고, Y는 -O-, -S-, -P-, 카르복실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미노기, 술폰산기, 인산기, 탄소원자수 1 내지 2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킬기, 탄소원자수 1 내지 2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알킬기, 탄소원자수 2 내지 2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케닐기, 탄소원자수 2 내지 2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알케닐기, 탄소원자수 6 내지 3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기, 또는 탄소원자수 6 내지 3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아릴기를 나타낸다.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의 금속착물 착색제, 캐리어 매질 및/또는 첨가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일반적으로 착색제는 카르복실산기, 술폰산기, 하이드록시기, 아미노기, 인산기 등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이러한 작용기와 반응할 수 있는 작용기가 말단에 함유된 아조 모이어티를 착색제와 결합시키면 에스테르 결합이나 아미드 결합 등에 의해 아조 모이어티를 착색제에 도입할 수 있다. 착색제에 도입된 아조 모이어티는 금속과 반응하여 착물을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착색제가 금속 착물을 형성함으로써 다양한 색상 구현이 가능해지고, 내광성 및 내수성 등의 견뢰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에 따른 금속 착물 착색제는 하기 화학식 1의 구조를 갖게 된다.
<화학식 1>
식중, A1과 A2는 각각 독립적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중결합을 갖는 탄소원자수 2 내지 30개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케닐렌기를 함유하고 아조기와 공액이 형성된 모이어티이고; X1 및 X2는 히드록시기,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콕시기, 카르복실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미노기를 나타내며; M은 다가 전이금속을 나타내고; L은 중성 또는 음이온성 리간드를 나타내며; n은 1 내지 3의 정수이고; J는 링커를 나타낸다.
상기 화학식 1의 금속 착물에서, A1과 A2는 탄소수 2 내지 30,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2 내지 15개의 알케닐렌기를 함유하는 모이어티로서 그 형태는 고리 시스템 또는 비고리 시스템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고리 시스템의 경우는 방향족 또는 비방향족 모두 가능하다.
상기 A1 및 A2는 금속과 결합이 가능한 치환기 X1 및 X2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X1 및 X2는 각각 독립적으로 히드록시기,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콕시기, 카르복실기 또는 아미노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의 금속 착물에서, 다가 전이금속 M으로는 산화수 +1가 내지 +5가의 금속으로서, 예를 들어 알루미늄, 금, 세륨, 코발트, 크롬, 구리, 유로퓸, 철, 포타슘, 게르마늄, 인듐, 란타늄, 망간, 니켈, 팔라듐, 백금, 로듐, 루테늄, 스칸듐, 실리콘, 사마륨, 티타늄, 우라늄, 아연, 지르코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니켈, 구리, 아연, 철, 크롬, 팔라듐, 백금, 코발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의 금속 착물에서, 중성 리간드로서는 한자리 리간드, 두자리 리간드, 세자리 리간드 등이 사용될 수 있고, 이의 구체적인 예로는 암모니아, 물, 트리페닐포스핀, *NH2R"NH2*(R"은 탄소수 1 내지 2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킬렌기, 탄소원자수 1 내지 2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알킬렌기, 탄소원자수 6 내지 3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렌기, 탄소원자수 4 내지 3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아릴렌기임), 2,2'-비피리딘, 1,10-페난트롤린, 2,2',2''-터피리딘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중성 리간드는 상기 금속 M과 결합 하기 전에 전하를 띠지 않는 물질로서, 상기 금속 M과 결합한 후에는 비친수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의 금속 착물에서, 음이온성 리간드로서는 1 내지 6의 음전하를 갖고 있고, 이의 구체적인 예로는, 할로겐 원자 이온(F-, Cl-, Br-, I-), R''-NO3*(R''은 탄소원자수 1 내지 2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킬기, 탄소원자수 1 내지 2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알킬기, 탄소원자수 6 내지 3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 탄소원자수 4 내지 3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아릴기임), 탄소원자수 1 내지 2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킬카르복실레이트 이온(예: 아세테이트, 트라이플루아세테이트), R''CN*(R''은 탄소원자수 1 내지 2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킬기, 탄소원자수 1 내지 2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알킬기, 탄소원자수 6 내지 3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기, 탄소원자수 4 내지 2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아릴기, -(CH2CH2O)Z- (Z은 1 내지 50의 수임), R''OO*(R''은 탄소원자수 1 내지 2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킬기, 탄소원자수 1 내지 2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알킬기, 탄소원자수 6 내지 3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기, 탄소원자수 4 내지 2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아릴기), R''O*(R''은 탄소원자수 1 내지 2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킬기, 탄소원자수 1 내지 2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알킬기, 탄소원자수 6 내지 3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기, 탄소원자수 4 내지 2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아릴기), R''SCN*(R''은 탄소원자수 1 내지 2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킬기, 탄소원자수 1 내지 2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알킬기, 탄소원자수 6 내지 3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기, 탄소원자수 4 내지 2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아릴기), R''N3*(R''은 탄소원자수 1 내지 2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킬기, 탄소원자수 1 내지 2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알킬기, 탄소원자수 6 내지 3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기, 탄소원자수 4 내지 2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아릴기), R''CO3*(R''은 탄소원자수 1 내지 2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킬기, 탄소원자수 1 내지 2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알킬기, 탄소원자수 6 내지 3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기, 탄소원자수 4 내지 2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아릴기), 및 R''SO4*(R''은 탄소원자수 1 내지 2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킬기, 탄소원자수 1 내지 2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알킬기, 탄소원자수 6 내지 3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기, 탄소원자수 4 내지 2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아릴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음이온성 리간드는 상기 금속 M과 결합 하기 전에 음전하를 띠는 물질로서, 상기 금속 M과 결합한 후에는 비친수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의 금속 착물에서, J는 링커를 나타내며, 아조기와 착색제를 서로 결합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와 같은 링커 J는 아조기를 착색제와 화학적으로 결합시키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으며, 미리 상기 링커를 착색제와 화학적으로 결합시킨 후, 아조기를 결합시키는 과정에서 발생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링커 J는 구체적으로는 -O-, -NR-, -N=N-, -S-, -P-, -C(=O)-NR-, -NR-C(=O)-, -S(=O)(=O)O-, -C(=O)O-, -O-C(=O)-, -P(=O)O-, -C(=O)-O-C(=O)-, -C(=O)-S-C(=O)-, -C(=O)-NR-C(=O)-, -C(=N)-O-C(=N)-, -C(=S)-O-C(=S)-, -C(=N)-NR-C(=N)-, -C(=S)-NR-C(=S)-, -C(=N)-S-C(=N)-, 또는 -C(=S)-S-C(=S)-이고, 단순한 화학결합, 즉 단일결합 또는 이중결합인 경우도 가능하다. 상기 식중 R은 수소 또는 탄소원자수 1 내지 4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킬기를 나타낸다.
상기 화학식 1의 금속 착물에서 A1 및 A2가 비고리형 시스템인 경우를 하기 화학식 2에 나타낸다.
<화학식 2>
식중, J, X1, X2, M, L 및 n은 상기 정의한 바와 같으며, R1은 탄소원자수 1 내지 2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킬렌기, 탄소원자수 1 내지 2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알킬렌기, 탄소원자수 2 내지 2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케닐렌기, 탄소원자수 2 내지 2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알케닐렌기, 탄소원자수 6 내지 3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렌기, 또는 탄소원자수 6 내지 3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아릴렌기를 나타내고, X3, X4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원자, 히드록시기, 카르복실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미노기, 술폰산기, 인산기, 탄소원자수 1 내지 2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킬기, 탄소원자수 1 내지 2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알킬기, 탄소원자수 2 내지 2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케닐기, 탄소원자수 2 내지 2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알케닐기, 탄소원자수 6 내지 3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기, 또는 탄소원자수 6 내지 3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아릴기를 나타낸다.
상기 화학식 2의 금속 착물은 아조기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A1 및 A2가 비고리형 공액 시스템을 갖는 경우로서, 상기 식 중 X1 및 X2는 아조기에 인접하여 위치하며, 이중결합을 형성하는 탄소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어 있으며, 중심 금속인 M과 배위결합을 형성하게 된다.
또한 상기 화학식 1의 금속 착물에서 아조기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알케닐렌기 함유 모이어티가 고리형 시스템인 경우를 하기 화학식 3에 나타낸다.
<화학식 3>
식중, X1, X2, M, J, L 및 n은 상기 정의한 바와 같으며, Q1 및 Q 2는 각각 독립적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중결합을 포함하는 탄소원자수 2 내지 2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사이클로알케닐렌기, 탄소원자수 6 내지 3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렌기, 탄소원자수 2 내지 3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사이클로알케닐렌기, 탄소원자수 4 내지 3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아릴렌기를 나타내고, Y는 -O-, -S-, -P-, 카르복실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미노기, 술폰산기, 인산기, 탄소원자수 1 내지 2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킬기, 탄소원자수 1 내지 2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알킬기, 탄소원자수 2 내지 2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케닐기, 탄소원자수 2 내지 2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알케닐기, 탄소원자수 6 내지 3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기, 또는 탄소원자수 6 내지 3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아릴기를 나타낸다.
상기 화학식 3의 금속 착물은 상기 화학식 1의 금속 착물에서 A1 및 A2가 고리형 시스템인 경우를 나타내며, 상기 고리형 시스템은 아조기와 인접한 위치에 알케닐렌기를 갖는다. 특히 상기 고리형 시스템은 알케닐렌기를 포함하는 것 이외에, 특별한 제한없이 방향족 또는 비방향족 어느 것이라도 가능하다. 또한 4원계 내지 8원계 시스템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들은 적절한 치환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바이사이클 또는 트리사이클과 같은 다중고리시스템으로도 형성이 가능하며, 각 고리는 서로 융합하여 융합고리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고리형 시스템의 치환기는 일치환기 또는 다치환기로 구성되며, 다치환기인 경우에는 동일 또는 상이한 치환기로 이루어지며, 예를 들어 수소, 할로겐원자, 히드록시기, 카르복실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미노기, 술폰산기, 인산기, 탄소원자수 1 내지 2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킬기, 탄소원자수 1 내지 2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알킬기, 탄소원자수 2 내지 2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케닐기, 탄소원자수 2 내지 2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알케닐기, 탄소원자수 6 내지 3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기, 또는 탄소원자수 6 내지 3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아릴기를 나타낸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 내지 3의 금속 착물들은 착색제에 통상적으로 포함되어 있는 카르복실산기, 술폰산기, 히드록시기, 아미노기, 인산기 등을 아조 모이어티가 말단에 함유하는 작용기와 일반적인 화학결합, 예를 들어 에스테르 결합 또는 아마이드 결합시켜 아조 모이어티를 착색제에 도입한 후, 이를 중성 또는 음이온성 리간드와 함께 금속에 배위결합시켜 얻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아조 모이어티와 결합 가능한 착색제로서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염료 또는 안료 중 분자 내에 아미노기, 카르복실기, 히드록실기, 인산기 또는 술폰산기가 존재하거나 또는 일반적인 반응을 통해 이를 도입할 수 있다면 특별한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염료의 구체적인 예로서 C.I.디렉트 블랙 9, 17, 19, 22, 32, 56, 91, 94, 97, 166, 168, 174, 199, C.I.디렉트 블루 1, 10, 15, 22, 77, 78, 80, 200, 201, 202, 203, 207, 211, C.I.디렉트 레드 2, 4, 9, 23, 31, 39, 63, 72, 83, 84, 89, 111, 173, 184, 240, C.I.디렉트 옐로우 8, 9, 11, 12, 27, 28, 29, 33, 35, 39, 41, 44, 50, 53, 58 등이 있고, 안료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카본 블랙, 그래파이트, 유리 카본(vitreous carbon), 활성화 차콜, 활성화 탄소, 안트라퀴논, 프탈로시아닌 블루, 프탈로시아닌 그린, 디아조스(diazos), 모노아조스(monoazos), 피란트론(pyranthrones), 페릴렌(perylene), 퀴나크리돈(quinacridone), 인디고이드계 안료(indigoid pigments)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의 금속 착물 착색제는 섬유, 피혁, 모피, 식품, 의약품, 화장품, 잉크젯 잉크, 인쇄잉크, 도료, 플라스틱착색, 고무착색, 가구제조, 날염, 제지, 요업 등에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의 금속착물 착색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기 화학식 1의 금속착물 착색제, 캐리어 매질 및/또는 첨가제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조성물의 일 구현예인 잉크 조성물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나, 본 발명이 반드시 여기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잉크 조성물에 있어서, 각 성분의 함량비는, 상기 잉크 조성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상기 화학식 1의 금속착물 착색제가 1 내지 2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 중량부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른 잉크 조성물은 착색제로서 통상의 착색제 및 본 발명에 따른 금속착물 착색제를 함께 포함하는 잉크 조성물이다. 즉,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른 잉크 조성물은 통상의 착색제 및 상기 화학식 1의 금속착물 착색제의 혼합물; 캐리어 매질 및/또는 첨가제를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른 잉크 조성물에 있어서, 각 성분의 함량비는, 상기 잉크 조성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상기 통상의 착색제 1 내지 15 중량부 및 상기 화학식 1의 금속착물 착색제 1 내지 15 중량부이며, 상기 통상의 착색제 및 상기 화학식 1의 금속착물 착색제 총함량이 상기 잉크 조성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2 내지 2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통상의 착색제 및 상기 화학식 1의 금속착물 착색제의 총함량은 상기 잉크 조성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2 내지 10 중량부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 및 다른 구현예에 따른 잉크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착색제 및 본 발명에 따른 금속착물 착색제는 캐리어 매질에 용해 또는 분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캐리어 매질은 물 또는 1종 이상의 유기 용매 단독; 또는 1종 이상의 유기용매 5 내지 50 중량부와 물 50 내지 95중량부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이와 같은 캐리어 매질에 첨가되는 물과 유기용매의 양은 다양한 요인, 예를 들어 점도, 표면장력, 건조 속도 등과 같이 잉크 조성물의 특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이 성질들은 잉크가 사용되는 인쇄 방법에 따라 달라지고, 또한 잉크가 인쇄되어지는 기재의 종류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상기 캐리어 매질에 사용되는 유기용매는 메틸알콜, 에틸 알콜, n-프로필알콜, 이소프로필알콜, n-부틸알콜, sec-부틸알콜, t-부틸알콜 또는 이소부틸알콜의 알콜류 화합물;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디에틸케톤 또는 디아세톤알콜의 케톤 화합물; 메틸 아세테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또는 에틸 락테이트의 에스테르 화합물;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1,4-부탄디올, 1,2,4-부탄트리올, 1,5-펜탄디올, 1,2,6-헥산트리올, 헥실렌글리콜, 글리세롤, 글리세롤 에톡실레이트 또는 트리메틸롤프로판 에톡실레이트의 다가 알콜 화합물; 에틸렌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에틸렌글리콜 모노에틸 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 메틸 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 에틸 에테르, 트리에틸렌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또는 트리에틸렌글리콜 모노에틸 에테르의 에테르 화합물; 2-피롤리돈 또는 N-메틸-2-피롤리돈의 함질소 화합물; 및 디메틸 술폭사이드, 테트라메틸렌술폰 또는 티오글리콜의 함황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일 구현예 및 다른 구현예에 따른 상기 잉크 조성물은 분산제, 점도 조절제, 계면활성제, 저장안정제, 습윤제, pH 조절제 그리고 투과제(penetrant)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첨가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잉크 조성물에서 착색제가 안료이거나 또는 물에 용해되지 않는 염료인 경우에는 착색제의 분산안정성을 위하여 필요에 따라 1종 이상의 분산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 가능한 분산제에 대하여 특별한 제한은 없다. 즉, 비교적 구조가 단순하고 분자량이 작은 분산제 뿐만 아니라, 블록코폴리머같은 큰 분자량의 분산제도 본 발명의 잉크 조성물에서는 사용될 수 있다.
비교적 분자량이 작고 구조가 간단한 분산제의 구체적 예로서는, 폴리비닐알콜(PVA), 셀룰로오스계 폴리머(cellulosics), 에틸렌 옥사이드로 개질된 페놀계 폴리머(ethylene oxide modified phenols), 에틸렌 옥사이드/프로필렌 옥사이드 폴리머, 소듐 폴리아크릴레이트 용액(TEGO, disperse 715W), 변성 폴리아크릴 수지 용액(TEGO, disperse 735W), 저분자 폴리카르복실산 폴리머의 알킬올 암모늄염 용액(BYK-Chemie, Disperbyk), 다기능성 폴리머의 알킬올 암모늄 용액(BYK-Chemie, Disperbyk-181),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을 들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구조가 복잡하고 분자량이 큰 분산제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폴리에테르 실록산 공중합체(TEGO, Wet KL 245/Wet 260)와 같은 실록산 계열; AB 또는 BAB 구조의 친수성 폴리머(이때, A는 비치환된 또는 치환된 탄소수가 1 내지 30인 아크릴계 모노머(acrylic monomer)의 소수성 호모폴리머 또는 코폴리머이고, B는 비치환된 또는 치환된 탄소수가 1 내지 30인 아크릴계 모노머의 친수성 폴리머 또는 코폴리머로 이루어진 친수성 폴리머인 AB 또는 BAB 폴리머) 등을 들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구조가 복잡하고 분자량이 큰 분산제의 더욱 구체적인 예로서는 아크릴산/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acrylic acid/acrylate copolymer), 메타크릴산/메타크릴레이트 코폴리머(methacrylic acid/methacrylate copolymer), 아크릴산/폴리디알킬실록산/아크릴레이트 블록코폴리머(acrylic acid/polydialkylsiloxane/acrylate block copolymer)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 및 다른 구현예에 따른 잉크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분산제의 함량은 상기 잉크 조성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 내지 2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점도 조절제는 원활한 분사가 유지될 수 있도록 잉크 조성물의 점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이의 구체적인 예로서 카세인, 하이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점도 조절제의 함량은 잉크 조성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1 내지 5.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계면활성제는 잉크 조성물의 표면장력을 조절하여 노즐에서의 제팅 성능을 안정화시키기 위한 것인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나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또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예로는 탄소수 1 내지 1000의 알킬카르복실산의 염(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0 내지 200의 알킬카르복실산의 염), 탄소수 1 내지 1000의 알콜 술폰산 에스테르의 염(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0 내지 200의 알콜 술폰산 에스테르의 염), 탄소수 1 내지 1000의 알킬술폰산의 염(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0 내지 200의 알킬술폰산의 염), 탄소수 1 내지 1000의 알킬벤젠술폰산의 염(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0 내지 200의 알킬벤젠술폰산의 염), 또는 그 혼합물을 들 수 있다.
양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예로는 지방산 아민염, 4급 암모늄염, 술포늄염, 포스포늄염, 이들의 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예로는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에테르(단, 알킬은 탄소수 1 내지 1000의 알킬기이고,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0 내지 200의 알킬기임),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페닐 에테르(단, 알킬은 탄소수 1 내지 1000의 알킬기,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0 내지 200의 알킬기임), 폴리옥시에틸렌 이차 알콜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옥시프로필렌 블록 코폴리머,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또는 그 혼합물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 및 다른 구현예에 따른 잉크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의 함량은 상기 잉크 조성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1 내지 5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습윤제는 잉크 조성물이 노즐에서 클로깅(clogging)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다가알콜(polyhydric alcohol)이 바람직하다. 습윤제의 구체적인 예로서 글리세린, 에틸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디프로필렌 글리콜, 헥실렌 글리콜, 1,3-부탄디올, 1,4-부탄디올, 1,5-펜탄디올, 2-부텐-1,4-디올, 2-메틸-2-펜탄디올 및 그 혼합물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 및 다른 구현예에 따른 잉크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습윤제의 함량은 상기 잉크 조성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5 내지 3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일 구현예 및 다른 구현예의 잉크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분산제, 점도 조절제, 계면활성제, 저장안정제, 습윤제, pH 조절제 그리고 투과제(penetrant)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첨가제의 총함량은 상기 잉크 조성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5 내지 4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기한 본 발명의 일 구현예 및 다른 구현예에 따른 잉크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상기 금속착물 착색제 및/또는 통상의 착색제를 캐리어 매질에 넣고 여기에 필요에 따라 분산제, 점도 조절제, 계면활성제 등 기타 첨가물을 혼합한 후 이를 충분히 교반하여 균일한 잉크 조성물을 제조한다. 그 후, 이 조성물을 0.45 내지 0.8㎛의 필터에 통과시켜 여과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잉크 조성물이 최종적으로 얻어진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되,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잉크를 중심으로 특성을 평가하였음을 밝혀 두며 이 평가의 방법은 잉크 이외에도, 습식 토너, 건식 토너, 도료 및/또는 코팅액에 적용될 수 있다. 이하, 화학식 1의 금속착물 착색제를 적용한 조성물에 대한 실시예의 대표로서 잉크에 대해서만 기술하기로 하며, 이는 본 발명의 실시가 잉크에만 한정된 것은 아니라는 것을 의미한다.
<합성예 1>
(1) 500ml 삼각 플라스크에 Acid Red 4 (E-SO3Na) 36.5g, DMSO 300ml, 그리고 하기 화학식 4의 아조 화합물 31.5g을 넣어 녹였다. 여기에 비등석 1~2개를 넣고 진한 황산 30ml를 천천히 떨어뜨린 후 환류냉각기에 연결하여 80℃에서 8시간 이상 충분히 반응시켰다. 이 반응액을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 과량의 메탄올을 가하여 생긴 결정을 흡입 여과기로 여과하였다. 미반응물을 제거하기 위해 상기 결정을 DMSO에 다시 녹인 후 메탄올을 가하여 생긴 결정을 마찬가지로 흡입 여과기로 여과하고 오븐에서 건조시켜 하기 화학식 5의 착색제 42.6g을 얻었다.
(2) (1)에서 얻은 화학식 5의 착색제 34.2g과 암모니아 수용액(30%) 13g을 400ml의 에틸렌 글리콜에 넣고, 여기에 Co(CH3COO)2 · 4H2O 13g을 첨가한 후 100℃에서 충분히 섞어주었다. 이 반응액에 뜨거운 물 400ml와 암모늄 클로라이드 50g을 넣은 후 침전시키고 여과, 세척 후 오븐에서 말려 금속착물 착색제 28g을 얻었다.
<합성예 2>
(1) 500ml 삼각 플라스크에 DMSO 100ml, 그리고 하기 화학식 6의 아조 화합물 21.2g을 가하여 용해하였다. 여기에 SOCl2 14.8g을 넣고 실온에서 1시간 이상 반응시켜 용액(A)를 얻었다. DMSO 200ml에 C.I. Pigment Red 177 (E-NH2) 47.8g을 녹인 용액을 상기 용액(A)에 넣고 비등석 1~2개를 넣은 후 환류냉각기에 연결하여 80℃에서 6시간 이상 충분히 반응시켰다. 이 반응액을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 과량의 메탄올을 가하여 생긴 결정을 흡입 여과기로 여과하였다. 미반응물을 제거하기 위해 상기 결정을 DMSO에 다시 녹인 후 메탄올을 가하여 생긴 결정을 마찬가지로 흡입 여과기로 여과하고 오븐에서 건조하여 하기 화학식 7의 착색제 45.0g을 얻었다.
(2) 톨루엔 500ml에 암모니아 20g을 넣고, 여기에 8.5g의 CuCl2 · 2H2O를 넣어 녹였다. 이 용액에 (1)에서 얻은 화학식 7의 착색제 31.5g을 첨가하고 80℃로 가열하여 충분히 섞어준 후 35g의 염화암모늄과 열수 150ml를 가하였다. 여기에 NaCl을 첨가하여 침전시킨 후 여과하고 오븐에서 건조하여 금속착물 착색제 23.7g을 얻었다.
<합성예 3>
(1) 500ml 삼각 플라스크에 Direct Black 51 (E-COOH) 41.3g, DMSO 300ml, 그리고 하기 화학식 8의 아조 화합물 25.0g을 넣어 녹였다. 여기에 비등석 1~2개를 넣고 진한 황산 30ml를 천천히 떨어뜨린 후 환류냉각기에 연결하여 80℃에서 8시간 이상 충분히 반응시켰다. 이 반응액을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 과량의 메탄올을 가하여 생긴 결정을 흡입 여과기로 걸러냈다. 미반응물을 제거하기 위해 상기 결정을 DMSO에 다시 녹인 후 메탄올을 가하여 생긴 결정을 마찬가지로 흡입 여과기로 여과하고 오븐에서 건조시켜 하기 화학식 9의 착색제 42.2g을 얻었다.
(2) (1)에서 얻은 화학식 9의 착색제 33.3g을 물 150ml에 녹이고 여기에 CrCl3 · 6H2O 10.7g을 첨가하였다. 이 용액을 pH 3에서 6시간 이상 환류시킨 후 반응액을 pH 6으로 처리하여 침전시키고, 이 침전물을 여과, 세척하여 금속착물 착색제 25.5g을 얻었다.
<합성예 4>
(1) 상기 화학식 6의 아조 화합물 23.2g과 Direct Black 168 (E-OH) 73.1g을 이용하여 상기 <합성예 3>의 (1)과 같은 방법으로 실험하여 하기 화학식 10의 착색제 54.3g을 얻었다.
(2) 물 500ml에 암모니아 20g을 넣고, 여기에 6.8g의 CuCl2 · 2H2O를 넣어 녹였다. 이 용액에 (1)에서 얻은 화학식 10의 착색제 32.4g을 첨가하고 80℃로 가열하여 충분히 섞어준 후 35g의 염화암모늄과 열수 150ml를 가하였다. 여기에 NaCl을 첨가하여 침전시킨 후 여과하고 오븐에서 건조하여 금속착물 착색제 27.5g을 얻었다.
<합성예 5>
(1) 500ml 삼각 플라스크에 DMSO 200ml, 하기 화학식 11의 아조 화합물 26.7g을 녹이고, 여기에 Pigment Red 177 (E-NH2) 41.3g을 넣어 120℃에서 12시간 이상 반응시키고 반응액을 농축시켰다. 이 농축액을 에테르에 녹인 후 증류수로 여러 번 세척하고 추출하여 얻은 에테르층을 다시 농축하여 하기 화학식 12의 착색제 43.2g을 얻었다.
(2) (1)에서 얻은 화학식 12의 착색제 36.9g과 Co(CH3COO)2 · 4H2O 13.2g을 이용하여 상기 <합성예 1>의 (2)와 같은 방법으로 실험하여 금속착물 착색제 29.6g을 얻었다.
<합성예 6>
(1) 하기 화학식 13의 아조 화합물 41.4g과 Direct Black 51 (E-NH2) 34.4g을 이용하여 상기 <합성예 2>의 (1)과 같은 방법으로 실험하여 하기 화학식 14의 착색제 45.2g을 얻었다.
(2) (1)에서 얻은 화학식 14의 착색제 34.2g을 물 150ml에 녹이고 여기에 CrCl3 · 6H2O 9.2g을 첨가하였다. 이 용액을 pH 3에서 6시간 이상 환류시킨 후 반응액을 pH 6으로 처리하여 침전시키고, 이 침전물을 여과, 세척하여 금속착물 착색제 26.0g을 얻었다.
<실시예 1>
잉크 조성
상기 합성예 1(2)의 금속착물 착색제 4g
물 77g
이소프로필 알콜 3g
에틸렌 글리콜 10g
글리세린 6g
상기 성분들을 혼합하고 교반기에서 30분 이상 충분히 교반하여 균일한 상태로 만들어 주었다. 그 후 결과물을 0.45㎛의 필터에 통과시켜 목적하는 본 발명의 금속착물 착색제를 포함하는 잉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에서 합성예 1(2)의 금속착물 착색제 대신에 합성예 2(2)의 금속착물 착색제를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잉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단, 분산제로 TEGO disperse 750W 3.0g을 첨가하고 대신 물의 양은 74g으로 줄였으며, 잉크 조성물은 0.8㎛ 필터에 통과시켜서 얻었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1에서, 합성예 1(2)의 금속착물 착색제 대신 합성예 3(2)의 금속착물 착색제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잉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상기 실시예 1에서, 합성예 1(2)의 금속착물 착색제 대신 합성예 4(2)의 금속착물 착색제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잉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
상기 실시예 1에서 합성예 1(2)의 금속착물 착색제 대신에 합성예 5(2)의 금속착물 착색제를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잉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단, 분산제로 TEGO disperse 750W 3.0g을 첨가하고 대신 물의 양은 74g으로 줄였으며, 잉크 조성물은 0.8 ㎛ 필터에 통과시켜서 얻었다.
<실시예 6>
상기 실시예 1에서, 합성예 1(2)의 금속착물 착색제 대신 합성예 6(2)의 금속착물 착색제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잉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상기 실시예 1에서, 합성예 1(2)의 금속착물 착색제 대신에 Acid Red 4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잉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상기 비교예 1에서, Acid Red 4 대신 Pigment Red 177을 사용하고 0.8 ㎛ 필터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잉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상기 비교예 1에서, Acid Red 4 대신 Direct Black 51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잉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4>
상기 비교예 1에서, Acid Red 4 대신 Direct Black 168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잉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잉크 조성물의 특성을 하기 방법에 따라 평가하였다.
실험예 1 : 장기 저장 안정성 테스트
상기 실시예 1 내지 6 및 비교예 1 내지 4에서 얻어진 잉크 조성물을 내열성 유리병에 각각 100ml씩 넣고 밀봉한 후, 60℃ 항온조에 저장하였다. 이를 2개월 동안 방치한 후 바닥의 침전유무를 확인하고 다음과 같이 평가하여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 침전물 없음. ×: 침전물 있음.
구분 실시예 비교예
1 2 3 4 5 6 1 2 3 4
저장 안정성
상기 표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금속착물 착색제를 사용하여 얻어진 잉크 조성물인 실시예 1 내지 6의 경우, 통상의 착색제를 사용한 비교예 1 내지 4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침전형성이 관찰되지 않아서 저장안정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실험예 2 : 내광성 테스트
실시예 1 내지 6 및 비교예 1 내지 4 에서 얻어진 잉크 조성물을 삼성 잉크 카트리지에 담고 2cm × 2cm의 솔리드 패턴을 인쇄한 후 이를 Q-SUN 제논 테스트 챔버(Q-SUN Xenon Test Chamber)에서 100시간 동안 광노출시킨 후 테스트 전후의 OD 값 변화를 측정하고 다음과 같이 평가하여 그 결과를 다음 표 2에 나타내었다.
A = OD(테스트 후) / OD(테스트 전) × 100(%)
O : A ≥ 90
△ : 75 ≤ A < 90
X : A < 75
구분 실시예 비교예
1 2 3 4 5 6 1 2 3 4
내광성 X X X
표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금속착물 착색제를 사용하여 얻어진 잉크 조성물인 실시예 1 내지 6의 경우, 통상의 착색제를 사용한 비교예 1 내지 4와 비교하면 내광성이 뛰어난 것으로 보아 착색제가 금속착물을 형성함으로써 내광성이 강화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3 : 내수성 테스트
실시예 1 내지 6 및 비교예 1 내지 4 에서 얻어진 잉크 조성물을 사용하여 상기 실험예 2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솔리드 패턴을 인쇄하고 1시간 동안 말린 후 이 화상을 증류수가 채워진 용기에 5분간 담그었다 꺼내서 말렸다. 증류수에 넣기 전후 상기 화상의 OD값 변화를 측정하고 다음과 같이 평가하여 그 결과를 다음 표 3에 나타내었다.
○: 초기 대비 OD 값 20% 미만 변화
×: 초기 대비 OD 값 20% 이상 변화
구분 실시예 비교예
1 2 3 4 5 6 1 2 3 4
내수성 X O X X
표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금속착물 착색제를 사용하여 얻어진 잉크 조성물인 실시예 1 내지 6의 경우, 통상의 착색제를 사용한 비교예 1 내지 4와 비교하면 내수성이 뛰어난 것으로 보아 착색제가 금속착물을 형성함으로써 내수성이 강화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로 표현되는 본 발명의 금속착물 착색제는 분자 내에 금속과 배위결합을 형성할 수 있는 모이어티를 갖고 있지 않은 착색제에 대해서도 착색제의 제한 없이 금속 착물 착색제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으며, 따라서, 다양한 색상 구현이 가능하고 내광성, 내수성 등의 견뢰도가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금속착물 착색제는 그 용도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섬유, 식품,의약품, 화장품, 도료, 잉크, 요업 등 색을 나타내고자 하는 모든 분야에서 사용될 수 있다.

Claims (18)

  1. 하기 화학식 1의 금속착물 착색제:
    <화학식 1>
    식중, A1과 A2는 각각 독립적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중결합을 갖는 탄소원자수 2 내지 30개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케닐렌기를 함유하고 아조기와 공액이 형성된 모이어티이고; X1 및 X2는 히드록시기,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콕시기, 카르복실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미노기를 나타내며; M은 다가 전이금속을 나타내고; L은 중성 또는 음이온성 리간드를 나타내며; n은 1 내지 3의 정수이고; J는 링커를 나타낸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의 금속 착물 착색제가 하기 화학식 2 또는 3의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착물 착색제:
    <화학식 2>
    식중, J, X1, X2, M, L 및 n은 상기 정의한 바와 같으며, R1은 탄소원자수 1 내지 2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킬렌기, 탄소원자수 1 내지 2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알킬렌기, 탄소원자수 2 내지 2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케닐렌기, 탄소원자수 2 내지 2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알케닐렌기, 탄소원자수 6 내지 3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렌기, 또는 탄소원자수 6 내지 3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아릴렌기를 나타내고, X3, X4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원자, 히드록시기, 카르복실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미노기, 술폰산기, 인산기, 탄소원자수 1 내지 2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킬기, 탄소원자수 1 내지 2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알킬기, 탄소원자수 2 내지 2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케닐기, 탄소원자수 2 내지 2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알케닐기, 탄소원자수 6 내지 3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기, 또는 탄소원자수 6 내지 3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아릴기를 나타낸다.
    <화학식 3>
    식중, X1, X2, M, J, L 및 n은 상기 정의한 바와 같으며, Q1 및 Q 2는 각각 독립적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중결합을 포함하는 탄소원자수 2 내지 2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사이클로알케닐렌기, 탄소원자수 6 내지 3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렌기, 탄소원자수 2 내지 3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사이클로알케닐렌기, 탄소원자수 4 내지 3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아릴렌기를 나타내고, Y는 -O-, -S-, -P-,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미노기, 술폰산기, 인산기, 탄소원자수 1 내지 2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킬기, 탄소원자수 1 내지 2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알킬기, 탄소원자수 2 내지 2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케닐기, 탄소원자수 2 내지 2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알케닐기, 탄소원자수 6 내지 3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기, 또는 탄소원자수 6 내지 3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아릴기를 나타낸다.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가 전이 금속이 은, 알루미늄, 금, 세륨, 코발트, 크롬, 구리, 유로퓸, 철, 포타슘, 게르마늄, 인듐, 란타늄, 망간, 니켈, 팔라듐, 백금, 로듐, 루테늄, 스칸듐, 실리콘, 사마륨, 티타늄, 우라늄, 아연 또는 지르코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착물 착색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성 리간드가 암모니아, 물, 트리페닐포스핀, *NH2R"NH2*(R"은 탄소수 1 내지 2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킬렌기, 탄소원자수 1 내지 2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알킬렌기, 탄소원자수 6 내지 3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렌기, 탄소원자수 4 내지 3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아릴렌기임), 2,2'-비피리딘, 1,10-페난트롤린 또는 2,2',2''-터피리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착물 착색제.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음이온성 리간드가 할로겐 원자 이온(F-, Cl-, Br-, I-), R''-NO3*(R''은 탄소원자수 1 내지 2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킬기, 탄소원자수 1 내지 2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알킬기, 탄소원자수 6 내지 3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 탄소원자수 4 내지 3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아릴기임), 탄소원자수 1 내지 2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킬카르복실레이트 이온(예: 아세테이트, 트라이플루아세테이트), R''CN*(R''은 탄소원자수 1 내지 2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킬기, 탄소원자수 1 내지 2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알킬기, 탄소원자수 6 내지 3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기, 탄소원자수 4 내지 2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아릴기, -(CH2CH2O)Z- (Z은 1 내지 50의 수임), R''OO*(R''은 탄소원자수 1 내지 2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킬기, 탄소원자수 1 내지 2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알킬기, 탄소원자수 6 내지 3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기, 탄소원자수 4 내지 2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아릴기), R''O*(R''은 탄소원자수 1 내지 2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킬기, 탄소원자수 1 내지 2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알킬기, 탄소원자수 6 내지 3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기, 탄소원자수 4 내지 2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아릴기), R''SCN*(R''은 탄소원자수 1 내지 2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킬기, 탄소원자수 1 내지 2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알킬기, 탄소원자수 6 내지 3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기, 탄소원자수 4 내지 2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아릴기), R''N3*(R''은 탄소원자수 1 내지 2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킬기, 탄소원자수 1 내지 2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알킬기, 탄소원자수 6 내지 3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기, 탄소원자수 4 내지 2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아릴기), R''CO3*(R''은 탄소원자수 1 내지 2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킬기, 탄소원자수 1 내지 2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알킬기, 탄소원자수 6 내지 3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기, 탄소원자수 4 내지 2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아릴기), 및 R''SO4*(R''은 탄소원자수 1 내지 2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킬기, 탄소원자수 1 내지 2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알킬기, 탄소원자수 6 내지 3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기, 탄소원자수 4 내지 2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아릴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착물 착색제.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링커가 -O-, -NR-, -N=N-, -S-, -P-, -C(=O)-NR-, -NR-C(=O)-, -S(=O)(=O)O-, -C(=O)O-, -O-C(=O)-, -P(=O)O-, -C(=O)-O-C(=O)-, -C(=O)-S-C(=O)-, -C(=O)-NR-C(=O)-, -C(=N)-O-C(=N)-, -C(=S)-O-C(=S)-, -C(=N)-NR-C(=N)-, -C(=S)-NR-C(=S)-, -C(=N)-S-C(=N)-, -C(=S)-S-C(=S)-, 단일결합 또는 이중결합(식중, R은 수소 또는 탄소원자수 1 내지 4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킬기를 나타낸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착물 착색제.
  7.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금속착물 착색제; 및 캐리어 매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색용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착색용 조성물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상기 금속착물 착색제가 1 내지 20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색용 조성물.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매질이 물 또는 유기용매를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물과 1종 이상의 유기용매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색용 조성물.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매질이 물과 유기용매의 혼합물인 경우 캐리어 매질 중 유기용매의 함량이 캐리어 매질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5내지 50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색용 조성물.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용매가 메틸알콜, 에틸 알콜, n-프로필알콜, 이소프로필알콜, n-부틸알콜, sec-부틸알콜, t-부틸알콜 또는 이소부틸알콜의 알콜 화합물;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디에틸케톤 또는 디아세톤알콜의 지방족 케톤 화합물; 메틸 아세테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또는 에틸 락테이트의 에스테르 화합물;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1,4-부탄디올, 1,2,4-부탄트리올, 1,5-펜탄디올, 1,2,6-헥산트리올, 헥실렌글리콜, 글리세롤, 글리세롤 에톡실레이트 또는 트리메틸롤프로판 에톡실레이트의 다가 알콜 화합물; 에틸렌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에틸렌글리콜 모노에틸 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 메틸 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 에틸 에테르, 트리에틸렌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또는 트리에틸렌글리콜 모노에틸 에테르의 에테르 화합물; 2-피롤리돈 또는 N-메틸-2-피롤리돈의 함질소 화합물; 및 디메틸 술폭사이드, 테트라메틸렌술폰 또는 티오글리콜의 함황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색용 조성물.
  12. 제7항에 있어서, 분산제, 점도 조절제, 계면활성제, 저장안정제, 및 습윤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상기 착색용 조성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5 내지 40 중량부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색용 조성물.
  13. 착색제;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금속착물 착색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금속착물 착색제; 및
    캐리어 매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색용 조성물.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착색용 조성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상기 착색제의 함량이 1 내지 15 중량부이고 상기 금속착물 착색제의 함량이 1 내지 15 중량부이며, 상기 착색제 및 상기 금속착물 착색제의 총함량이 상기 착색용 조성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2 내지 20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색용 조성물.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매질이 물 또는 1종 이상의 유기용매를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또는 물과 1종 이상의 유기용매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색용 조성물.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매질 중 유기용매의 함량이 캐리어 매질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5내지 50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색용 조성물.
  17.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용매가 메틸알콜, 에틸 알콜, n-프로필알콜, 이소프로필알콜, n-부틸알콜, sec-부틸알콜, t-부틸알콜 또는 이소부틸알콜의 알콜 화합물;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디에틸케톤 또는 디아세톤알콜의 지방족 케톤 화합물; 메틸 아세테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또는 에틸 락테이트의 에스테르 화합물;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1,4-부탄디올, 1,2,4-부탄트리올, 1,5-펜탄디올, 1,2,6-헥산트리올, 헥실렌글리콜, 글리세롤, 글리세롤 에톡실레이트 또는 트리메틸롤프로판 에톡실레이트의 다가 알콜 화합물; 에틸렌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에틸렌글리콜 모노에틸 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 메틸 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 에틸 에테르, 트리에틸렌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또는 트리에틸렌글리콜 모노에틸 에테르의 에테르 화합물; 2-피롤리돈 또는 N-메틸-2-피롤리돈의 함질소 화합물; 및 디메틸 술폭사이드, 테트라메틸렌술폰 또는 티오글리콜의 함황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색용 조성물.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분산제, 점도 조절제, 계면활성제, 저장안정제, 및 습윤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상기 착색용 조성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5 내지 40 중량부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색용 조성물.
KR10-2003-0055022A 2003-08-08 2003-08-08 아조 모이어티를 포함하는 금속착물 착색제 KR1005321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5022A KR100532106B1 (ko) 2003-08-08 2003-08-08 아조 모이어티를 포함하는 금속착물 착색제
US10/912,544 US7364597B2 (en) 2003-08-08 2004-08-06 Metal complex colorant comprising azo moiety
JP2004232524A JP4807818B2 (ja) 2003-08-08 2004-08-09 金属錯体着色剤,および,着色用組成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5022A KR100532106B1 (ko) 2003-08-08 2003-08-08 아조 모이어티를 포함하는 금속착물 착색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7755A true KR20050017755A (ko) 2005-02-23
KR100532106B1 KR100532106B1 (ko) 2005-11-29

Family

ID=342706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5022A KR100532106B1 (ko) 2003-08-08 2003-08-08 아조 모이어티를 포함하는 금속착물 착색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364597B2 (ko)
JP (1) JP4807818B2 (ko)
KR (1) KR10053210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2107B1 (ko) * 2003-08-09 2005-11-29 삼성전자주식회사 아조 모이어티를 포함하는 자가 분산형 금속착물 착색제
WO2006082352A2 (en) * 2005-02-03 2006-08-10 Eastman Kodak Company Modified pigments
US8219173B2 (en) 2008-09-30 2012-07-10 Abbott Diabetes Care Inc. Optimizing analyte sensor calibration
US8579428B2 (en) * 2012-01-18 2013-11-12 Xerox Corporation Colorants
US9834808B2 (en) 2016-01-21 2017-12-05 SeLux Diagnostics, Inc. Methods for rapid antibiotic susceptibility testing
AU2017210215B2 (en) 2016-01-21 2022-09-08 SeLux Diagnostics, Inc. Methods for rapid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testing
JP6862105B2 (ja) * 2016-06-23 2021-04-21 株式会社パイロットコーポレーション 筆記具用水性インキ組成物
EP3529592B1 (en) 2016-10-21 2023-04-05 Rebellion Photonics, Inc. Gas imaging system
BR112019012979A2 (pt) 2016-12-23 2019-12-31 Selux Diagnostics Inc métodos para o teste de suscetibilidade antimicrobiana rápida melhorada
CN115772357A (zh) * 2022-04-28 2023-03-10 张国伟 一种耐腐蚀荧光涂料的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29629A (en) * 1951-04-25 1956-01-03 Sandoz Ag Green substantive dyestuff mixtures and process of making same
US2824093A (en) * 1952-10-03 1958-02-18 Saul & Co Azo dyestuffs
US2842536A (en) * 1956-06-29 1958-07-08 Du Pont Metallized disazo dyes
CH347915A (de) * 1956-11-09 1960-07-31 Ciba Geigy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metallhaltigen Dis- und Polyazofarbstoffpigmenten
US4008211A (en) * 1964-10-20 1977-02-15 Ciba-Geigy Ag Betainic azo dyestuffs containing cobalt in complex union with a colorless, tridentate ligand
NL131003C (ko) * 1964-10-20
US3705888A (en) * 1969-12-29 1972-12-12 Charles Edward Lewis Non-ionic,nickel n-alkylamine arylazoaryl compounds
FR2219964B1 (ko) * 1973-03-02 1978-03-03 Ugine Kuhlmann
CH601438A5 (ko) * 1973-09-22 1978-07-14 Ciba Geigy Ag
FR2333029A1 (fr) * 1975-11-28 1977-06-24 Ugine Kuhlmann Nouveaux colorants complexes chromiferes reactifs, leurs preparations et leurs applications
US4481141A (en) * 1982-06-28 1984-11-06 Eastman Kodak Company Nondiffusible yellow metallized azo dye-releasing compounds
DE3473608D1 (en) * 1983-07-26 1988-09-29 Ici Francolor Metal complex compounds, their preparation and use
CH656142A5 (de) * 1983-11-10 1986-06-13 Ciba Geigy Ag Faserreaktive chromkomplexe und deren herstellung.
CH670452A5 (ko) * 1985-11-07 1989-06-15 Sandoz Ag
US5095100A (en) * 1989-06-13 1992-03-10 Orient Chemical Industries, Ltd. Metal complex dyes and preparation thereof
JP2855343B2 (ja) * 1989-06-13 1999-02-10 オリヱント化学工業株式会社 金属なめし革染色用金属錯塩染料
US5180705A (en) * 1991-03-11 1993-01-19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Transfer imaging using metal-azo and metal-azomethine dyes
US5166326A (en) * 1991-03-11 1992-11-24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Polymerizable metal-azo and metal-azomethine dyes
US5314998A (en) * 1992-09-08 1994-05-24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Organic solvent-soluble metal-azo and metal-azomethine dyes
JPH1161015A (ja) 1997-08-08 1999-03-05 Konica Corp インクジェット記録液
JP3969884B2 (ja) 1998-03-31 2007-09-05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カラーフィルター、液晶パネル、コンピュータ及びカラーフィルターの製造方法
US6203604B1 (en) 1998-03-31 2001-03-20 Canon Kabushiki Kaisha Ink, color filter, liquid crystal panel, and computer, and process for producing color filter
JP2000265099A (ja) * 1999-01-13 2000-09-26 Mitsubishi Chemicals Corp 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
WO2000067069A1 (fr) * 1999-04-29 2000-11-09 Gosudarstvenny Nauchny Tsentr Rossiiskoi Federatsii Niopik (Gnts Rf Niopik) Polariseur
JP2002275382A (ja) 2001-03-21 2002-09-25 Fuji Photo Film Co Ltd 金属キレートアゾ色素、その製造方法、着色組成物、インクジェット用インク、感熱記録材料、カラーフィルター、感光材料、及びアゾ色素画像の形成方法
JP2003221527A (ja) * 2002-01-30 2003-08-08 Seiko Epson Corp インクセット
KR100532107B1 (ko) * 2003-08-09 2005-11-29 삼성전자주식회사 아조 모이어티를 포함하는 자가 분산형 금속착물 착색제
CN1882660A (zh) * 2003-09-23 2006-12-20 联合色料制造公司 有机溶剂可溶的金属络合物偶氮染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50059813A1 (en) 2005-03-17
JP2005060698A (ja) 2005-03-10
JP4807818B2 (ja) 2011-11-02
KR100532106B1 (ko) 2005-11-29
US7364597B2 (en) 2008-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32106B1 (ko) 아조 모이어티를 포함하는 금속착물 착색제
KR100540660B1 (ko) 루이스 산을 이용한 자가분산형 착색제의 제조 방법 및상기 착색제를 포함하는 잉크 조성물
JP2014196394A (ja) トリアリールメタン化合物
KR100601641B1 (ko) 비피리딘계 금속 착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잉크 조성물
KR100561466B1 (ko) 자가분산가능한 비피리딘계 금속 착화합물 및 이를 포함한잉크조성물
KR100532107B1 (ko) 아조 모이어티를 포함하는 자가 분산형 금속착물 착색제
KR100601686B1 (ko) 잉크 조성물
JP4204430B2 (ja) 耐光性着色剤及びそれを含むインク用組成物
CN108137933A (zh) 夹氧杂蒽化合物、及包含该夹氧杂蒽化合物的着色剂
KR100517501B1 (ko) 내광성 착색제 및 이를 포함하는 내광성 잉크 조성물
KR100542347B1 (ko) 자가 분산이 가능한 살렌계 금속 착화합물 착색제를 포함하는 잉크 조성물
KR100510133B1 (ko) 내광성 착색제 및 이를 포함하는 내광성 잉크 조성물
KR100636199B1 (ko) 자가분산형 착색제, 그 제조 방법 및 그를 포함하는 잉크조성물
JP2004091787A (ja) 抗菌性着色剤及びインク組成物
KR100538235B1 (ko) 항균성 착색제 및 이를 포함하는 항균성 액체 조성물
KR100561403B1 (ko) 내광성 금속착물 착색제 및 이를 포함하는 내광성 액체조성물
KR20040101865A (ko) 내광성 강화 첨가제 및 이를 포함하는 잉크 조성물
KR20220120776A (ko) 친수성기가 착색제에 도입된 잉크조성물
CN112521768A (zh) 一种油溶性染料、其制备方法及应用
JP5652823B2 (ja) アゾ化合物
JP2022081148A (ja) 分散液、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インク組成物、及び分散樹脂
JP5701560B2 (ja) キノフタロン系化合物及び着色組成物
JP2004196798A (ja) 2−メトキシフェノール誘導体及びこれを含有するインク組成物
MXPA01005950A (en) Pigment composition containing atrp polym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