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16467A - 컵-형상 용기 및 덮개 - Google Patents

컵-형상 용기 및 덮개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16467A
KR20050016467A KR10-2004-7019305A KR20047019305A KR20050016467A KR 20050016467 A KR20050016467 A KR 20050016467A KR 20047019305 A KR20047019305 A KR 20047019305A KR 20050016467 A KR20050016467 A KR 200500164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wall
constriction
container
do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93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55964B1 (ko
Inventor
지안프랑코 다마토
Original Assignee
세다 에스.피.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DE20208386U external-priority patent/DE20208386U1/de
Application filed by 세다 에스.피.에이. filed Critical 세다 에스.피.에이.
Publication of KR200500164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64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59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596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20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 B65D43/0204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snapping over beads or projections
    • B65D43/021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snapping over beads or projections only on the outside, or a part turned to the outside, of the mou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3/00Decoration means, markings, information elements, contents indic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31/00Means for facilitating the complete expelling of the contents
    • B65D2231/02Precut holes or weakened zo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018Overall construction of the lid
    • B65D2543/00027Stackable lid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018Overall construction of the lid
    • B65D2543/00064Shape of the outer periphery
    • B65D2543/00074Shape of the outer periphery curved
    • B65D2543/00092Shape of the outer periphery curved circul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018Overall construction of the lid
    • B65D2543/00259Materials used
    • B65D2543/00296Plast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342Central part of the lid
    • B65D2543/00351Dome-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444Contact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lid
    • B65D2543/00481Contact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lid on the inside or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 B65D2543/0049Contact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lid on the inside or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on the inside, or a part turned to the inside of the mouth of the container
    • B65D2543/00509Cu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444Contact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lid
    • B65D2543/00481Contact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lid on the inside or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 B65D2543/00537Contact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lid on the inside or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on the outside, or a part turned to the outside of the mouth of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444Contact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lid
    • B65D2543/00481Contact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lid on the inside or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 B65D2543/00555Contact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lid on the inside or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on both the inside and the outs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444Contact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lid
    • B65D2543/00592Snapping means
    • B65D2543/00601Snapping means on the container
    • B65D2543/00611Profiles
    • B65D2543/00638Rolled ed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444Contact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lid
    • B65D2543/00592Snapping means
    • B65D2543/00601Snapping means on the container
    • B65D2543/00675Periphery concerned
    • B65D2543/00685Total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444Contact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lid
    • B65D2543/00592Snapping means
    • B65D2543/00712Snapping means on the lid
    • B65D2543/00722Profiles
    • B65D2543/00731Groove or hollow b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444Contact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lid
    • B65D2543/00592Snapping means
    • B65D2543/00712Snapping means on the lid
    • B65D2543/00787Periphery concerned
    • B65D2543/00796Total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444Contact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lid
    • B65D2543/00592Snapping means
    • B65D2543/00712Snapping means on the lid
    • B65D2543/00787Periphery concerned
    • B65D2543/00805Seg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컵-형상 용기(C)는 그 개구 영역에 플라스틱 덮개(D)를 클립식으로 고정하기 위한 외측 비드(10)를 구비한다. 상기 덮개는 상기 비드를 수용하기 위한 원주둘레로 연속되는 체결 홈(1)을 구비한다. 상기 체결 홈은 탄성 변형 가능한 협착부(14)에 의해 외향으로, 그리고 원주둘레로 연속되는 U-형상 덮개 리세스의 외면(6)에 의해 내향으로 연속되며, 상기 덮개의 U-웨브(22)는 상기 협착부의 높이 위치보다 아래에 위치되고, 내측 레그(leg) 벽(23)은 상기 협착부의 높이 위치를 지나 상향으로 연장되는 돔(dome)(2)의 돔 벽의 일부분을 형성한다. 상기 덮개 리세스는 협착부의 높이 위치를 지나 하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용기 벽의 내경에 적합한 외경을 그 외면에 가지기 때문에, 적어도 덮개-클립결합 작동을 위한 센터링 및 안내 돌기부로서 기능하며, 상기 비드가 협착부를 통과하는 상태에서 적어도 상기 돌기부는 이미 슬라이드식으로 용기와 협동한다.

Description

컵-형상 용기 및 덮개{CUP-SHAPED RECEPTACLE AND LID}
본 발명은 컵-형상 용기 및 그러한 용기의 덮개에 관한 것이다.
미국특허 제5,253,781A호에 기재된 컵-형상 용기의 클립결합식 플라스틱 덮개에 의하면, 덮개 리세스의 외측 레그(leg) 벽의 외면은 협착부의 높이 위치를 약간만 지나 하향으로 연장된다. 말려진 테두리로서 구현되는 상기 용기의 비드가 체결 홈에 완전히 안착되는 경우에도, 상기 외면의 원추각 및 외경이 상기 용기 벽의 원추각 및 내경에 부합하기 때문에 상기 외면은 상기 용기와 충분히 접촉하지 않는다. 덮개 리세스의 U-웨브의 비교적 짧은 외면과 큰 반경방향 크기로 인해, 상기 체결 홈은 클립결합 동작 중에 내향으로 경사지고, 이 때문에 비드는 전체 원주둘레 길이에 걸쳐 협착부를 통과해 원활하게 이동하지 못하게 된다. 우선, 체결 홈을 갖는 덮개를 비드에 대해 손으로 중심을 맞춘 후에, 손의 슬라이딩 회전 이동에 의해 체결 홈의 상부벽에 직접 압력을 가하여 덮개를 클립결합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클립결합 동작은 불편하며, 시간 소모적이고, 컵 개구의 주위를 따르는 일부 위치들에서는 비드가 체결 홈에 적절하게 스냅결합되지 않는 위험을 증가시킨다. 이로 인해, 가득찬 컵이 기울어질 경우에는 액체가 누출될 수 있다. 컵 개구 구역은 반경방향으로 용이하게 변형되기 때문에, 가득찬 용기를 넘어뜨리게 되면 의도치 않게 덮개가 벗겨지기 쉽다.
도 1은 덮개의 측면도.
도 2는 도 1의 덮개의 축선을 따른 단면도.
도 3은 도 1 및 도 2의 덮개를 사용하도록 되어 있는 용기의 축선을 따른 단면도.
도 4는 용기상으로의 덮개의 클립결합 작업 도중의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
도 5는 용기상으로 덮개가 완전하게 클립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덮개의 다른 실시예의 축방향 단면도.
도 7은 도 6의 덮개의 일부분의 측면도.
도 8은 덮개의 클립결합 동작에서, 용기의 비드가 협착부에 도달해 있는 상태의 도 6의 덮개의 일부분의 단면도.
도 9는 클립결합 동작에서, 덮개의 클립결합 도중에 체결 홈이 일시적으로 다소 개방되어 있는 상태의 도 8에 대응하는 도면.
도 10은 덮개가 적절하게 클립결합된 상태의 도 8에 대응하는 도면.
도 11은 도 6의 덮개의 돔의 평면도.
도 12는 도 11의 돔의 중앙부에서 XII-XII 선을 따라 취한 축방향 단면도.
도 13은 덮개의 다른 실시예의 축방향 단면도.
도 14는 도 13의 덮개를 위에서 본 평면도.
도 15는 도 13 및 도 14의 덮개 여러개로 구성되는 덮개 적층체를 나타내는 도면.
도 16은 덮개의 클립결합 동작의 준비 상태에 있는 덮개 및 2겹 벽 용기의 축방향 단면도.
도 17은 덮개가 2겹 벽 용기에 완전하게 클립결합되어 있는 상태의 도 16과 유사한 단면도.
도 18은 도 5와 유사한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본 발명의 목적은 비숙련자에 의하더라도 덮개의 용이한 클립결합 동작이 달성되고, 가득찬 컵을 넘어뜨리는 경우에도 클립결합된 덮개가 좀처럼 벗겨지지 않으며 내누출성을 제공하는 용기 및 그 용기에 적합한 덮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높은 덮개 고정력 및 완전한 기밀을 달성하고자 하는 것이지만, 덮개는 용이하게 클립결합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외측 레그 벽이 비교적 긴 하향 연장부를 가지기 때문에, 덮개 리세스의 U-웨브 및 내측 레그 벽은 비드가 협착부를 통과해 이동하는 상태에서 적어도 이미 용기와 슬라이드식으로 접속하는 견고한 센터링 및 안내 돌기부를 함께 구성한다. 체결 홈은 자동으로 비드에 대해 정밀하게 센터링되며, 본질적으로 돔 상부벽에만 압력을 가함으로써 상기 비드는 실질적으로 전체 원주둘레 길이를 따라 협착부를 지나 체결 홈 내로 클립결합된다. 상기 외면과 용기 벽 사이의 슬리이딩 접촉은 안내 및 센터링 기능으로 인해 협착부를 비드에 걸쳐 균일하게 안내하고, 상기 비드는 모든 지점에서 덮개의 하향 이동에 대해 균일한 저항을 생성한다. 상기 안내 돌기부는 돔에 가해진 압력을 협착부를 따라 균일하게 분포된 하향 견인력으로 변환하여, 비드가 체결 홈 내에 정확하게 배치될 때까지 상기 협착부를 비드를 통해 균일하게 끌어당긴다. 실질적으로 원추형 또는 원통형인 센터링 및 안내 돌기부의 이러한 유리한 효과 및 균일한 힘 전달의 상호 작용으로 인해, 비드와 체결 홈 사이에 강한 억지 끼워맞춤이 제공되며, 상기 억지 끼워맞춤은 비드와 체결 홈 사이의 상대적으로 협소한 크기 및 소정의 탄성에 기인한다. 이로 인해, 클립결합된 덮개가 누출을 방지할 수 있고, 가득찬 컵을 넘어뜨리는 경우에도 비드가 체결 홈에서 국부적으로조차 분리되지 않는다. 돔 및 덮개 리세스의 형상으로 인해, 덮개 내로 견고하게 합체된 구조로 되고, 그러한 구조에 의해 덮개의 버클 결합 없이도 클립결합력 만으로 덮개를 효과적으로 클립결합할 수 있다. 클립결합된 덮개는 용기의 개구 영역을 현저하게 보강하기 때문에, 우수한 흘림 방지성 및 양호한 누출 방지성을 갖게 된다.
본 발명의 특히 중요한 양태는 덮개 내로 합체된 원주둘레로 지속적으로 작용하는 힌지 메카니즘이다. 이로 인해, 실제로 손의 신속한 파지에 의해 덮개를 용이하게 클립결합할 수 있게 된다. 적어도 돔 상부벽에 압력이 가해지는 즉시, 돔이 하강되며, 비드에 대한 협착부의 이동 저항이 증가하기 시작하면 변위된 내측 레그 벽은 U-웨브와 외측 레그 벽 사이의 전이부에 형성된 힌지에 대해 U-웨브를 하향으로 경사지게 한다. 상기 U-웨브의 경사 이동은 외측 레그 벽을 용기의 내벽으로부터 멀리 일시적으로 끌어당기는 경향이 있다. 비드와 협착부 사이의 접촉으로 인해 협착부가 외향으로 경사지며, 체결 홈은 다소 벌어지게 된다. 클립결합 압력으로 인해, 또는 필요에 따라, 자동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돔이 하향으로 밀릴 때 덮개의 외주부분을 가압하면, 비드는 협착부를 용이하게 통과하여 진행한다. 가압을 멈추면, 힌지 메카니즘은 덮개의 끼워맞춤을 재달성한다. 즉, U-웨브는 본질적으로 덮개의 축선에 수직한 위치로 복귀하고 용기의 내벽에 대해 외측 레그 벽을 견고하게 유지한다. 상기 협착부는 비드가 밀착 상태에 있고 체결 홈에 밀봉식으로 억지 끼워맞춤될 때까지 비드 뒤로 복귀된다. 돔의 상향 돌출 형상으로 인해, 우선 체결 홈에 대해 돔을 하강시킴으로써 결합 메커니즘이 작동하고, 비드가 벗겨지기 전에 체결 홈이 개방된다. 그후, 상기 돔은 초기의 상승 위치로 복귀된다. 클립결합 도중에, 클립결합 동작을 용이하게 완성하기 위해 덮개 주위를 손바닥으로 지지할 때까지 상기 가해진 압력에 의해 돔 상부벽이 하강될 수 있다.
상기 용기의 비드는 말려진 비드 또는 완전히 감겨진 테두리로서 형성될 수 있거나, 부분적으로 말려진 비드 또는 절반만 감겨진 테두리로서, 또는 그 대신에 외향 만곡된 에지 플랜지로서 형성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든 용이하고 편리한 덮개의 클립결합 동작이 달성되어, 최종적인 누출 방지 및 안정적인 덮개 고정 효과가 얻어진다. 한가지 디자인의 덮개로 다수의 비드 디자인에 대응할 수 있다.
강한 억지 끼워맞춤이 클립결합 조건임에도 불구하고 상기 덮개는 최적화되고 용이한 클립결합 동작을 고려하여 설계된다. 그 형상으로 인해, 상기 덮개는 그 중앙 구역이 상대적으로 단단하기 때문에, 안내 돌기부의 안내작용에 의해 단지 클립결합 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그리고 협착부에 대한 돔의 이동에 의해 체결 홈을 일시적으로 개방함으로써, 상기 비드는 기밀 형태의 끼워맞춤 및 억지 끼워맞춤으로 상기 체결 홈에 용이하고 완전하게 클립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에 대해서는, U-웨브가 실질적으로 평면형으로 덮개 축선에 대해 거의 수직하게 연장되고, 내측 레그 벽이 상기 덮개 축선에 대해 거의 평행한 것이 중요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적인 특징으로 인해, 주로 기계적인 이유로, U-웨브가 경사질 때 내측 레그 벽이 외측 레그 벽보다는 단단하게 작용하여 종국에는 외측 레그 벽이 내향으로 항복하고 상기 체결 홈을 내측으로부터 일시적으로 개방하기 때문에, 일체형 힌지 메커니즘은 덮개에 하향 압력이 가해질 때 적절하게 작용한다.
비드가 협착부의 탄성 변형을 개시하기 전에 상기 외면이 이미 용기의 벽과 슬라이드식으로 협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체결 홈 및 협착부 각각이 확실하게 센터링된 위치에서 비드 위에 놓이므로, 비드가 본질적으로 전체 원주둘레 길이에 걸친 통과에 대한 동일한 저항을 극복하여 용이하고 균일하게 체결 홈 내로 클립 결합된다는 효과를 갖는다.
상기 외면 및 상기 용기 벽의 원추각이 대략 일치하면, 상기 외면의 외경은 협착부의 높이 위치에서 개구 영역에서의 용기 벽의 내경에 적어도 대략적으로는 대응해야 하므로 비드가 협착부에 도달하기 전에 센터링 및 안내 효과는 이미 얻어진 상태이다. 비드가 체결 홈에 스냅결합하면, 특히 보다 유연한 재료의 용기가 비드 및 용기 벽에서 항복하므로, 덮개가 클립결합될 때 견고하고 확실한 결합이 달성된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상기 외면과 용기 벽 사이의 접촉 압력의 결과로서 덮개 리세스의 외측 레그 벽은 내향으로 약간 항복할 수 있다.
체결 홈에서의 외면의 외경은 개구 영역, 즉 내벽이 비드에로 외향 만곡되는 영역에서의 용기 벽의 내경보다 현저하게 클 수 있다. 이러한 크기는 협착부를 지나 체결 홈 내로의 비드의 전체 이동 중에 확실한 안내 및 센터링이 발생하도록 한다. 용기의 사이즈에 따라 대략 3.5%, 즉 대략 1.5% 내지 5% 범위의 초과 사이즈의 직경이 적합할 수 있다.
상기 협착부의 높이 위치를 지나 현저하게 연장되는 하향 연장부는 의도한 센터링 및 안내 효과를 위해 매우 중요하다. 상기 덮개는 실질적으로 돔에만 압력을 가함으로써 클립결합될 수 있다. 상기 외면은 상기 체결 홈 높이의 적어도 2.5배일 수 있다. 높이를 3배로 하거나 심지어 4배로 하면 체결 홈의 높이가 더 적합해질 수 있다. 상기 외면과 용기 벽 사이의 압력으로 인해 그리고 넓은 접촉 면적에 의해, 매우 유효한 밀봉 효과가 체결 홈에서의 비드의 밀봉 효과를 보완하게 된다.
대략 6° 내지 12°의 원추각, 즉 대략 12° 내지 24°의 전체 원추각이 바람직할 수 있다. 양호한 각도 범위는 대략 8°와 10° 사이, 즉 전체적으로 대략 16°와 20° 사이의 값이다.
상기 돔 상부벽의 상부가 외측 돔 벽과 만나는 위치에 형성된 함입부는 상기 덮개의 용이한 클립결합 동작을 허용하고 돔의 강성을 증가시킨다. 또한, 상기 함입부는 손가락을 가져다 대는 시각적 부위를 제공하며 덮개 적층체에서 덮개를 편리하게 분리하기 위한 파지 지점을 한정한다. 언더컷 함입부는 손 파지부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덮개 적층 견부를 한정할 수 있다. 각각의 덮개는 다음 덮개의 돔 상부벽에 있는 함입부의 견부에만 놓일 수 있기 때문에, 적층되어 있는 덮개들이 끼워지는 일은 없다.
밀봉 효과를 고려하여 상기 비드와 체결 홈 사이에 강한 억지 끼워맞춤을 달성하기 위해, 상기 비드의 반경방향 두께는 체결 홈의 반경방향 내부 폭보다 커야 한다. 상기 용기의 유연한 종이 또는 판지 재료와 상기 비드의 재료는 각각, 비드가 체결 홈에 위치될 때 내측 및 외측에서 항복한다. 평면형 접촉 영역을 갖는, 즉 단순히 선형 접촉 영역이 아닌 눌린 구역으로 인해 밀봉 효과가 개선된다.
상기 비드의 반경방향 두께는 체결 홈의 평균 반경방향 내부 폭보다 10% 내지 20%, 바람직하게는 15% 커야 한다. 이러한 크기 결정으로 인해 양호한 밀봉 효과가 얻어지는 동시에, 덮개를 용기에 클립결합하기 위해서는 단지 보통 정도의 힘만이 필요하다.
비드상에서의 덮개의 고정 효과를 보강하고 재료를 점진적으로 눌러 찌그러뜨리기 위해, 상기 체결 홈의 반경방향 내부 폭은 클립결합 방향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용기 벽의 원추각과 함께 적절하게 감소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에서, 체결 홈은 비드가 최종적으로 제위치에 안착할 때까지 쐐기 효과를 생성한다.
클립결합 덮개의 고정 효과를 개선하기 위해, 외측 레그 벽의 외면에 및/또는 용기의 내벽에 증가된 마찰계수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벨트형 구역이 제공되어야 한다. 이로 인해, 상기 덮개와 용기 사이 및 단단한 컵 개구 영역에서의 마찰 결합이 증가된다.
본 발명의 다른 중요한 양태는 협착부가 외부로부터 형성된 보다 깊고 얕은 연속적인 함입부들로 구성될 수 있다는 점이다.
바람직하게는, 보다 깊은 함입부는 보다 얕은 함입부보다 원주둘레 방향으로 더 길다. 이는 클립결합 동작을 용이하게 하면서 안정적이며 내구성 있는 유지 효과를 초래하고, 덮개 주변부를 강화한다.
돔 상부벽에는 상향으로 돌출하는 복수의 음료 식별용 돌기부가 제공되어 음료 형태, 예를 들어 콜라, 다이어트 콜라, 오렌지 주스 등을 외부에서 식별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돌기부들은 압입 버튼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다른 중요한 양태는 상기 돔 상부벽에 형성된 관통 영역이다. 이러한 영역은 적어도 상기 돔 상부벽보다 얇은 벽 두께를 가지며, 교차하는 스코어 라인(score lines)을 가지고, 그 스코어 라인을 뚫고 빨대를 편리하게 도입할 수 있다. 벽 두께가 감소됨으로써 빨대의 삽입이 보다 용이해진다. 상기 감소된 벽 두께는 상기 덮개의 재료를 국부적으로 압축함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 상기 감소된 벽 두께를 갖는 영역은 종래의 덮개보다 다소 두꺼운 벽을 갖는 상대적으로 단단한 덮개에 특히 유용하다. 그러나, 이러한 조치는 일반적으로 빨대의 도입을 용이하게 하기 때문에, 보다 얇은 영역을 제공하는 것이 상술한 모든 덮개에 대해서 일반적인 장점이 된다.
빨대를 편리하게 도입하기 위한 관통 영역은 리세스의 저부에, 예를 들어 돔 상부벽의 중앙부에 위치된다. 감소된 저부 벽 두께는 용이한 클립결합 동작을 감안하여 돔의 강성을 증가시킨다.
상기 관통 영역의 내향 만곡으로 인해, 빨대의 도입이 용이해지고 액압에 의한 외향 좌굴에 대한 저항이 증가된다. 빨대를 인출한 후 뚫린 스코어 라인에 의해 획정된 플랩(flaps)상에 내부로부터 액압이 작용하는 경우에, 상기 만곡은 상기 뚫린 스코어 라인의 자동 폐쇄 효과도 도출한다. 메인 축선들이 서로 90°로 오프셋되어 있는 두개의 타원에 대응하는 리세스의 외형은 상기 돔의 강성을 증가시키고 수려한 외관의 돔 디자인을 제공한다. 상기 스코어 라인들은 양 타원의 메인 축선을 따라 편리하게 형성된다. 빨대의 도입을 용이하게 하는 대신에 저부의 박벽의 중심부만을 가져도 충분하다.
본 발명의 다른 중요한 양태는 원추형 2겹 벽 종이 또는 판지 용기의 용이한 클립결합식 덮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2겹 벽 종이 또는 판지 용기는 내측 용기 벽이 단차부에서 외향으로 변형되어 외측 용기 벽에 연결되는 개구 영역을 가진다. 비드는 내측 용기 벽의 상단부 상에 형성된다. 상기 2겹 벽 용기의 원추형 내벽의 원추각은, 원주둘레 견부에 의해 하측 용기 벽의 연속부를 형성하며 상기 하측 용기 벽보다 작은, 심지어는 0도인 원추각을 갖는 확장형 상부 개구 영역 아래보다 크다. 비드가 협착부와 접촉하게 될 때 상기 비드상에 위치된 덮개는 센터링 및 안내 원추부에 의해 확장형 개구 영역의 내벽과 이미 접촉한 상태이다. 클립결합 동작 중에, 상기 덮개는 비드 위에서 센터링 및 안내된다. 내리눌려진 돔과 체결 홈 사이에서 발생하는 변형으로 인해 센터링 및 안내 돌기부가 내향으로 당겨지므로, 비드는 협착부를 보다 용이하게 통과하게 된다. 클립결합시에, 상기 덮개는 용기 개구 구역에 높은 누출 방지성 및 강성을 제공한다.
적절하게, 외면의 또는 센터링 및 안내 돌기부의 원추각은 용기 내벽의 원추각의 각도값보다 작은 값을 가지거나 0도일 수 있다. 강성의 센터링 및 안내 돌기부는 체결 홈에서의 비드를 누출방지 상태로 강제하고, 심지어는 강화된 용기 테두리부의 강성 및 밀봉을 목적으로 하는 2겹 벽 용기의 개구 영역의 변형을 야기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센터링 및 안내 돌기부는 용기 벽과의 억지 끼워맞춤 상호작용에 맞게 치수설정된 외측 레그 벽의 내향 단차부에 의해 하향으로 지속되어야 한다. 내향 단차부는 상부 단차 개구 영역 아래의 내측 용기 벽의 원추각과 본질적으로 동일한 원추각을 가져야 한다. 단차부와 용기 내벽 사이의 상호작용은 용기 내측의 깊은 부분에서도 강화된 밀봉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첨부도면을 참조로 후술된다.
종이 또는 판지 또는 플라스틱 재료로 구성되는 컵-형상 용기(C)에 사용하도록 되어 있는 덮개(D)는, 예를 들어 탄성의 플라스틱 박편 재료로부터 형성되며 0.3 내지 0.5㎜의 벽 두께를 갖는다(도 1 참조). 상기 덮개는 용기(C)의 개구 영역(9)상에 클립결합되도록 되어 있으므로, 상기 용기(C)는 누출방지식으로 밀폐되고, 가득찬 용기(C)가 넘어지게 되더라도 덮개(D)가 벗겨지지 않도록 되어 있다. 상기 덮개(D)(도 1 참조)에는 주위의 원주둘레로 연속되는 체결 홈(1)과, 그 평면 위에서 체결 홈(1)의 내측에서 둥근 천장으로 되는 돔(2)이 제공된다. 상기 돔(2)은 원주둘레로 실질적으로 균일한 덮개 리세스(V)에 의해 체결 홈(1)으로부터 이격되고, 본질적으로 편평한 돔 상부벽(5)과 원주둘레로 분포된 몇개의 함입부(3)를 갖춘다. 체결 홈(1)에 대해서, 덮개 리세스(V)의 외측 레그 벽(4)(도 2 참조)은 체결 홈(1)의 평면을 지나 하향으로 현저하게 연장된다.
덮개(D)(도 2 참조)는, 예를 들어 돔 상부벽(5)상에만 클립결합 방향으로 압력(R)을 가함으로써 용기(C)의 개구 영역(9)상에 클립결합된다. 상기 돔 상부벽(5)은 본질적으로 덮개(D)의 평면에 평행하게 연장된다. 상기 덮개 리세스(V)는 U-형상 단면을 가지며 돔(2)을 동심으로 둘러싼다. 상기 덮개 리세스(V)는 본 실시예에서는 원추형으로 하향 경사진 외측 레그 벽(4), 하측 U-웨브(22), 및 상향으로 연장되는 돔의 외벽을 형성하는 내측 레그 벽(23)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외측 레그 벽(4)은 체결 홈(1) 내로 연장되는 외면(6)을 가진다. 상기 외면(6)은 적어도 용기(C)의 용기 벽(7)의 원추각 α/2에 본질적으로 대응하는 원추각 α/2로 배치된다.
도 3의 용기 벽(7)의 하단에는 용기 저부(8)가 배치되지만, 용기의 개구 영역(9)은 용기 벽(7)과, 바람직하게는 용기(C)의 판지 또는 종이 재료로 구성되는 소위 말려진 테두리(11)로 불리는, 외향 돌출형 비드(10)에 의해 획정된다. 플라스틱 용기의 경우에, 상기 비드(10)도 사출 성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비드는 절반만 말려진 비드 또는 외향 돌출형 용기 테두리 플랜지일 수 있다.
도 4는 말려진 테두리(11)로서 형성된 비드(10)상에 위치된 덮개(D)를 도시한다. 상기 덮개(D)의 협착부(14)는 비드(10)상에 위치된다.
상기 외측 레그 벽(4)은 상단부에서 덮개의 평면에 거의 평행하게 연장되는 벽(12)과 원주둘레 에이프런(13)으로 이어진다. 상기 에이프런(13)은 덮개(D)의 축선에 거의 평행하게 협착부(14)에까지 하향 연장된다. 상기 협착부(14)는 외측으로부터 스코어형(scorelike) 함입부로 될 수 있으며 내부에 둥근 융기부(15)를 형성한다. 상기 융기부(15) 및 협착부(14)는 원주둘레 방향으로 연속될 수 있거나, 대안적으로 외곽선(파단선으로 지시됨)이 대략 사이를 연결하는 개개의 국부적인 함입부들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협착부(14)는 클립결합 램프(17)를 한정하는 외향 경사벽(16)에 의해 하향으로 연속된다. 벽(16)으로부터, 추가의 에이프런(18)이 하향 연장되어 외부 플랜지(19)에서 종료한다. 추가의 에이프런(18)의 높이는 도시된 것보다 짧을 수도 있다.
직선형 용기 벽(7)에서 비드(10)의 곡선부까지의 이행부에서 측정한 상기 비드(10)의 반경방향 두께(Y)는 체결 홈(1)의 반경방향 내부 폭(Y1)보다 커질 수 있다. 상기 반경방향 두께(Y)는 상기 내부 폭(Y1)을 10% 내지 20%, 바람직하게는 대략 15% 정도 초과할 수 있다. 상기 체결 홈(1)에서, 상기 반경방향 내부 폭(Y1)은 바람직하게는 협착부(14)로부터 벽(12)을 향해 원추각(α/2)으로 점차로 감소한다.
상기 체결 홈(1)은 융기부(15)와 벽(12)의 내측부 사이에서 길이(L)를 한정한다. 외측 레그 벽(4)은 상기 협착부(14)의 높이 위치를 지나 적어도 높이(L)의 2.5배, 바람직하게는 3배, 더 바람직하게는 높이(L)의 4배 이상일 수 있는 길이(L1)까지 하향 연장된다.
상기 협착부(14)의 높이 위치(예를 들어, 융기부(15))에 있는 외측 레그 벽(4)의 외면(6)의 외경(D1)은 적어도 비드(10)에서의 용기 벽(7)의 내경(D7), 즉 직선형 용기 벽(7)에서 비드(10)의 외향 곡면부까지의 이행부에서의 내경보다 크다. 벽(12)의 접합부에서 외측 레그 벽(4)의 외면(6)의 외경(D2)은 상기 내경(D7)보다 현저하게 크며, 바람직하게는 대략 1.5% 내지 5.0%, 더 바람직하게는 대략 3.5% 더 크다.
도 4에서, 압력(R)이 돔(2)상에 가해지면, 비드(10)가 협착부(14)에 도달하기 전에 또는 그 순간에 외면(6)은 이미 용기 벽(7)에 슬라이드식으로 접촉해 있는 상태이다. 상기 덮개 리세스(V)는 덮개(D)의 용이한 클립결합 작업을 보조하는 센터링 및 안내 돌기부(K)를 형성한다. 상기 비드(10)가 협착부(14)에 도달하기 전에도 슬라이딩 접촉이 달성되기 때문에 편리해진다. 상기 덮개(D)가 더욱 아래로 가압되면, 이 과정 중에, 상기 비드(10)는 협착부(14)를 탄성적으로 외향으로 변형시키게 되고, 상기 비드(10) 역시 융기부(15) 위로 이동하기 전에 약간 변형되어 체결 홈(1) 내로 스냅결합된다(도 5 참조). 도 5에 도시된 십자형 해칭 구역은 밀봉, 유지 및 강화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해 비드(10) 및 용기 벽(7)에 형성된 압착 영역(20, 21)을 나타낸다.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상기 외측 레그 벽(4)도 내측으로 약간 항복될 수 있다(21'로 파단선으로 지시됨).
도 6 내지 도 10의 덮개(D)는 협착부(14)의 형상이 바뀌고 돔 상부벽(5)에 리세스(24)가 형성된다는 점에서 도 1 내지 도 5의 덮개(D)와는 다르다. 협착부(14)(도 7 참조)는 교대로 연속되는 보다 깊고 얕은 함입부들(16a, 16b)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함입부(16a, 16b)는 뱀의 이동선 형상의 내측 융기부(15')를 형성한다. 보다 깊은 함입부(16a)는 보다 얕은 함입부(16b)에 비해 원주둘레 방향으로 더 길어질 수 있다. 또한, 도 7은 단축된 에이프런(18)을 점선(19')으로 도시한다.
도 6에서, 리세스(24)는 돔 상부벽(5)의 아래에서 실질적으로 그에 평행한 저부 돔 영역(25)을 구비한다. 상기 덮개(D)의 벽 두께(x)는 실질적으로 일정하다. 예를 들어, 재료를 압축함으로써 단지 상기 영역(25)만이 더 얇다(두께(x1)). 상기 영역(25)은 돔 상부벽(5)의 중앙부에 위치된다. 빨대를 도입하기 위해, 상기 영역(25)에는 밀어서 뚫을 수 있는 십자형 스코어 라인(26)이 형성된다. 편리하게, 상기 영역(25)은 돔(2)의 내측을 향해 만곡될 수 있다.
돔 상부벽(5)에서 내측 레그 벽(23)까지의 이행부에 있는 함입부(3)는 돔(2)의 강성을 증가시키고, 예를 들어 덮개 적층체로부터 덮개(D)를 보다 용이하게 제거하여 그 덮개(D)를 용기(C)상에 배치하기 위해 덮개(D)를 손가락들로 파지할 수 있게 한다. 균일한 클립결합력(R)이 돔의 함입부(3)를 통해 가해질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용이한 클립결합 동작은 평탄한 돔 상부벽(5)을 손바닥으로 누름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도 6에서, 외측 레그 벽(4)은 적어도 하나의 벨트형 원주둘레 구역(30)을 구비할 수 있고, 그 구역에서는 덮개(D)가 클립결합될 때 강화된 유지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 마찰계수가 증가된다. 상기 구역(30)은 도시된 것보다 높게 위치되거나, 더욱 좁아지거나 넓어질 수 있다. 마찰계수가 증가된 각각의 구역은 덮개에 있는 상기 구역(30) 대신에 또는 덮개(D)에 제공된 구역(30)과 상호작용하여 상기 용기 벽(7)에 제공될 수도 있다.
원주둘레로 연속되는 힌지 메커니즘(M)은 돔(2) 및 덮개 리세스(V)의 모양 및 형상으로 덮개(D)에 통합된다. 상기 힌지 메커니즘은 특히 도 6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D)에서의 클립결합을 도울 수 있다.
상기 덮개(D)의 힌지 메커니즘(M)은 돔(2), 내측 레그 벽(23), U-웨브(22), 및 외측 레그 벽(4)으로 구성된다. 상기 U-웨브(22) 내로의 외측 레그 벽(4)의 이행부 및 내측 레그 벽(23) 내로의 U-웨브(22)의 이행부가 힌지(29)를 한정한다. 내측 레그 벽(23)은 본질적으로 덮개의 종방향 축선에 평행하게 연장되고, U-웨브(22)는 편평하며 덮개 축선에 수직하다. 상기 돔(2)의 강성으로 인해, 그리고 상기 외측 레그 벽(4)의 보다 큰 직경에 대한 내측 레그 벽(23)의 보다 작은 직경으로 인해, 상기 외측 레그 벽은 내측 레그 벽(23)보다 용이하게 내향으로 항복하게 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상기 효과는 체결 홈(1)을 일시적으로 개방하여 용이한 덮개 클립결합 동작을 달성하는데 사용된다.
도 8에서, 협착부(14)의 전체 원주둘레 범위가 비드(10)상에서 센터링되도록 덮개(D)가 용기(C)의 비드(10)상에 놓인다. 외측 레그 벽(4)은 용기 벽(7)에 접촉한다. 그때, 예를 들어 돔 상부벽(5)이 하강될 때까지 손바닥을 편평하게 하여 돔 상부벽(5)에 클립결합력(R)을 가한다.
도 9에서, 협착부(14)가 비드(10)상에 놓이기 때문에, 상기 클립결합력(R)에 대향하는 반력(R')이 작용한다. 내측 레그 벽(23)은, 내측 레그 벽(23)에서 U-웨브(22)로의 이행부에서 내측 힌지(29)에 의해 U-웨브(22)를 하향으로 경사지게 한다. 돔(22)의 반경방향 강성으로 인해, U-웨브(22)의 경사에 의해 외측 힌지(29)에 힘(28)이 작용하게 된다. 체결 홈(1)이 내측에서 다소 개방될 수 있도록 힘(28)에 의해 외측 레그 벽(4)이 용기 벽(7)으로부터 이격된다. 상기 반력(R')에 의해 화살표 27 방향으로 에이프런(18)이 외향 변위되므로, 상기 체결 홈(1)은 일시적으로 외측에서 다소 개방될 수 있다. 클립결합력(R)하에서, 벽(12)을 가압함으로써 돔 상부벽(5)이 하강되기 때문에, 비드(10)는 종국에 체결 홈(1)에 클립결합될 때까지 협착부(14)를 지나 슬라이드된다.
도 10에서, 클립결합력(R)은 중단되었다. U-웨브(22)는 탄성에 의해 본질적으로 덮개 축선에 수직한 방향으로 복귀되었고, 외측 레그 벽(4)을 용기 벽(7)에 대해 가압하고 있다. 탄성에 의해 에이프런(8)도 복귀되었다. 체결 홈(1)은 비드(10)를 견고하게 유지하고 있다. 센터링 돌기부(K) 및 체결 홈(1) 양자는 용기(C)의 개구부를 현저하게 강화한다.
도 11에서, 상기 리세스(24)는 4엽(quatrefoil)형과 같은 벽 외형을, 즉 메인 축선들이 90°로 오프셋되는 동일한 크기의 두개의 타원에 의해 특정될 수 있는 외형을 가진다. 상기 영역(25)에서의 스코어 라인(26)은 양 타원의 메인 축선들을 따라 연장된다. 도 12는 영역(25)에서의 벽 두께(x)와 벽 두께(x1) 사이의 차이를 확대된 척도로 도시한다. 상기 영역(25)은 도시된 바와 같이 내향 만곡되거나 돔 상부벽(5)에 평행해질 수 있다. 감소된 벽 두께(x1)는 영역(25) 전체에 대해서 필요한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덮개(D)를 제작할 때 재료를 압축함으로써 상기 영역(25)의 중앙부만을 박벽으로 제공하면 충분하다.
도 6 내지 도 10에서 환형 U-웨브(22)의 반경방향 폭은 덮개(D)의 외경의 약 10%의 크기일 수 있지만, 상기 돔 상부벽(5)의 직경은 덮개(D) 외경의 약 60% 크기일 수 있다.
도 13 및 도 14의 덮개(D)의 실시예는 도 6 내지 도 12의 실시예와 유사하지만, 돔 상부벽(5)에 일정하게 분포된 음료 식별용 돌기부(5a)를 추가로 갖춘다. 마킹 및/또는 누름 가능한 버튼을 각각 그 상부에 구비하는, 예를 들어 4개의 타원형 음료 식별 돌기부가 존재한다. 이것이 현재 유통되고 있는 다양한 덮개의 표준이다. 상기 돌기부(5a)는 돔 상부벽(5)의 외측 에지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약간의 거리를 두고 또한, 중앙 리세스(24)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약간의 거리를 두고 배치된다. 또한, 몇개의 덮개들로 이루어진 적층체(도 15 참조)에서 덮개(D)가 제거되어야 할 때 손끝으로 보다 용이하게 파지될 수 있도록 상기 함입부(3)에는 언더컷이 형성된다. 각각의 함입부(3)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층 정지부로서 기능할 수 있는 측방향 견부(3a)를 형성하고, 상기 견부(3a)는 상기 적층체의 다음 덮개(D)의 돔 상부벽(5)에 놓인다. 주로 견부(3a)가 돔 상부벽(5)상에 놓이는 위치 및 외측 레그 벽들이 서로 접촉하는 위치에서 상기 적층된 덮개들이 서로 접촉하기 때문에, 상기 견부(3a)는 적층된 덮개들이 서로 끼워물리게 되는 것을 적절하게 방지한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각각의 덮개(D)가 편리하게 제거될 수 있는 조밀하게 정돈된 적층체로 된다.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8개의 함입부(3)가 제공된다.
도 13 내지 도 15의 덮개(D)도 클립결합 동작이 용이하도록 센터링 및 안내 돌기부(K)(안내 원추부)와 힌지 메커니즘(M)을 구비한다.
도 16 및 도 17은 2겹 벽 용기(CD)의 용이한 클립결합 덮개(D)를 도시한다. 상기 2겹 벽 용기(CD)는 단열 효과를 제공하기 위해 사이에 에어 갭이 형성되는 내벽(7) 및 외벽(7c)을 구비한다. 비드(10)는 내벽(7)의 상단부에 형성된다. 2겹 벽 용기(CD)에는, 우선 비드(10)로 이어지는 원추각(α/2)이 형성된다. 형성 과정 중에, 상기 내벽(7)의 상부는, 개구 영역(9a)의 원추각(α'/2)이 상기 원추각(α/2)보다 작아지도록, 또는 심지어 거의 0이 되도록, 그리고 견부(7b)가 형성되도록 외향으로 확장된다. 2겹 벽 용기(CD)의 덮개(D)는 이미 기술한 바와 같은 센터링 및 안내 돌기부(K)를 구비한다. 이 경우에, 상기 돌기부(K)는 외면(6)이 원통형(도시된 바와 같음)이거나, 0°(원통형) 또는 상기 원추각(α'/2)과 유사하지만 그보다는 작은 값 사이의 작은 원추각(β/2)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외측 레그 벽(4)의 외면(6)은 견부(4a)를 형성하도록 내향 단차형 벽 부분(4b)으로 계속된다. 상기 벽 부분(4b)의 외면 부분(6a)은 원추각(α/2)으로 경사진다. 센터링 및 안내 돌기부(K)의 저부는 중앙 덮개 축선에 거의 수직하게 연장되는 U-웨브(22)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외면(6)의 직경(D1)은 상기 비드(10) 영역에서 본질적으로 개구 영역(9a)의 직경(D7)에 대응한다. 상기 개구 영역(9a)에서, 내측 용기 벽(7a)의 내부 및 외측 레그 벽(4)과 벽 부분(4b)의 외부는, 상기 덮개(D)가 2겹 벽 용기(CD)에 완전하게 클립결합될 때, 변형되거나 압력 접촉을 개시하게 되는 것이 나타난다.
도 16에서, 상기 비드(10)가 아래에서부터 협착부(14)에 접근함에 따라 상기 덮개(D)는 2겹 벽 용기(CD)에 대해 센터링된다. 그후, 예를 들어 돔 상부벽(5)(도 16에는 도시되지 않음)에 클립결합력(R)이 가해지면, 외면(6)은 이미 개구 영역(9a)에서 내측 용기 벽(7a)과 접촉하여 덮개(D)를 적절하게 센터링하여 안내하게 된다.
클립결합 압력이 상기 협착부(14)를 비드(10)에 대해 가압하는 동안, 상기 외면(6)은 덮개(D)를 안내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U-웨브(22)가 하향 경사지면, 외측 레그 벽(4)은 다소 내향 변위되며, 상기 협착부(14)는 외향 항복한다. 이는 협착부(14)가 도 17의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비드(10) 위로 용이하게 미끄러지도록 한다. 그후, 비드(10)는 외측 및 내측으로부터 파지된다. 접촉 벽 부분(20 및 20')은 압착될 수 있다. 견부(4a)는 견부(7b)상에 위치되거나, 적어도 견부(7b)에 가깝게 위치된다. 상기 부분(20')에서는 특정한 접촉 압력이 달성되므로, 체결 홈(1)과 비드(10) 사이에서 및 외측 레그 벽(4)과 내측 용기 벽 부분(7a) 사이에서의 상호작용에 의해 밀봉 효과에 더하여 추가의 밀봉 효과가 달성된다. 도 17에서, 덮개(D)의 강성 돔 구조는 내측 용기 벽 부분(7a)을 평행 관계로 외측 레그 벽(4)에 강제할 수 있으므로, 결합력이 높아지고 우수한 효과가 얻어지며, 밀폐된 용기(CD)의 개구부를 현저하게 강화한다.
또한, 견부들(4a, 7b)간의 상호작용으로 인해, 비드가 과도하게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클립결합 제한부의 기능이 제공된다. 견부들(4a, 7b)의 접촉으로 인해, 상기 비드(10)와 체결 홈(1)은 덮개(D)의 높은 누출 방지성 및 높은 유지력이 특징인 사전 하중부여 밀폐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도 18은 도 5와 유사한 하나의 벽으로 된 용기(C)에 덮개(D)가 클립결합된 것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상기 덮개(D)의 체결 홈(1)은 둥근 단면으로 이루어진다. 십자형 해칭 영역은 과도한 접촉 구역, 예를 들어 약간 과도하게 압착된 표면 부분들을 나타낸다. 비드(10)의 180° 이상의 원주둘레에 걸쳐 상기 체결 홈(10)과 비드(10) 사이에 밀착 접촉이 존재한다. 외측 레그 벽(4)은 상부 개구 영역을 반경방향 변형에 대해 현저하게 강화한다.

Claims (28)

  1. 플라스틱제 클립결합식 덮개(D)가 제공된, 종이 또는 판지로 이루어지는 컵-형상 용기(C)로서, 상기 용기(C)의 개구 영역(9)은 상향 및 외향 경사진 원추형 용기 벽(7)과 외향 돌출형 비드(bead)(10), 특히 말려진 테두리(11)에 의해 구획되고, 상기 덮개(D)에는 상기 비드(10)를 내부에 수용하기 위해 상기 덮개의 하부면 상에서 개방되는 체결 홈(1)이 주위에 형성되며, 상기 체결 홈(1)은 탄성적으로 확장 가능한 협착부(14)를 외측 하단부 구역에 가지며 U-형상 단면으로 원주둘레로 연장되는 덮개 리세스(recess)(V)의 외측 레그(leg) 벽(4)의 원통형 또는 원추형 외면(6)을 내측에 가지고, 상기 덮개 리세스(V)의 U-웨브(22)는 상기 협착부(14)의 높이 위치 아래에 위치되며, 상기 덮개 리세스(V)의 내측 레그 벽(23)은 상기 협착부 및 상기 체결 홈의 각각의 위에 위치된 돔 상부벽(5)을 갖는 돔(2)의 돔 벽의 일부로 형성되는, 컵-형상 용기(C)에 있어서,
    상기 덮개 리세스(V)는 상기 협착부(14)의 높이 위치를 지나 현저하게 하향으로 연장되는 깊이로 형성되고 상기 비드(10)에서 상기 용기 벽(7)의 내경(D7)에 적합한 협착부(14)의 높이에서 외면(6)에 외경(D1)을 가지며, 상기 덮개(D)의 용이한 클립결합 작업 도중에, 하향으로 배향된 클립결합 압력(R)이 주로 상기 돔(2)에 가해질 때, 적어도 상기 비드(10)가 상기 협착부(14)를 지나 체결 홈(1) 내로 이동하는 동안은 상기 덮개 리세스(V)의 외면(6)은 상기 용기 벽(7)과 슬라이딩 접촉함으로써 상호 협동하는 덮개 센터링 및 안내 돌기부(K)로서 기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형상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돔(2) 및 상기 덮개 리세스(V)는 압력(R)하에서 상기 협착부(14)가 비드(10)상에 위치되는 상태에서 상기 외측 레그 벽(4)을 내향으로 변위시킴으로써, 상기 체결 홈(1)을 일시적으로 개방하기 위해 원주둘레로 연속되는 일체형 힌지 메커니즘(M)을 함께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형상 용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U-웨브(22)는 실질적으로 편평하며 본질적으로 상기 덮개 축선에 대해 수직하고, 상기 내측 레그 벽(23)은 실질적으로 상기 덮개 축선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형상 용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링 및 안내 돌기부(K)는 상기 비드(10)가 하측부에서 협착부(14)에 도달하기 전에 이미 상기 용기 벽(7)과의 슬라이딩 접촉에 의해 협동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형상 용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면(6)의 외경(D1)은, 실질적으로 상기 협착부(14)의 높이 위치 수준에서, 적어도 상기 개구 영역(9)에 있는 용기 벽(7)의 내경(D7)에 대응하고, 상기 용기 벽(7) 및 상기 원추형 외면(6)의 원추각(α/2)들은 적어도 대략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형상 용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홈(1) 내에서의 상기 외면(6)의 외경(D2)은 상기 개구 영역(9)에서의 상기 용기 벽(7)의 내경(D7)보다 현저하게 크며, 바람직하게는 대략 1.5% 내지 5.0% 정도, 더 바람직하게는 대략 3.5% 정도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형상 용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면(6)은 상기 체결 홈(1)의 높이(L)의 적어도 2.5배의 길이(L1)로 상기 협착부(14)의 높이 위치를 지나 하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형상 용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면(6)은 적어도 상기 내부 높이(L)의 3배의, 바람직하게는 상기 체결 홈(1)의 높이(L)의 4배 이상의 길이(L1)로 상기 협착부(14)의 높이 위치를 지나 하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형상 용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추각(α/2)은 대략 6° 내지 12°, 바람직하게는 대략 8° 내지 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형상 용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돔(2)은 원주둘레로 분포된 함입부(3)들, 바람직하게는 4개 또는 8개의 규칙적으로 분포된 동일한 크기 및 깊이의 함입부(3)들을, 상기 돔 상부벽(5)과 상기 상향으로 연장되는 내측 레그 벽(23) 사이의 이행부에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형상 용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함입부(3)는 상기 내측 레그 벽(23)에 손가락 파지용 언더컷 만입부를 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형상 용기.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함입부(3)에는 덮개 적층용 정지부를 한정하는 하부 견부(3a)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형상 용기.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레그 벽(4)의 외면(6) 및/또는 상기 용기 벽(7)에는 적어도 하나의 벨트형 원주둘레 구역(30)이 제공되고, 상기 구역(30)은 상기 구역(30) 부근에 비해 증가된 마찰계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형상 용기.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드(10)의 반경방향 두께(Y)는 상기 체결 홈(1)의 반경방향 내부 폭(Y1)을 초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형상 용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비드(10)의 반경방향 두께(Y)는 상기 체결 홈(1)의 반경방향 평균 내부 폭(Y1)을 대략 10% 내지 20%, 바람직하게는 대략 15% 정도 초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형상 용기.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홈(1)의 반경방향 내부 폭(Y1)은 상기 협착부(14)에서 클립결합 방향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올라갈수록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형상 용기.
  17. 개구 영역(9)에 외부 비드(10)를 구비하는 원추형 종이 또는 판지 용기(C)를 위한 플라스틱제 덮개(D)로서, 상기 덮개(D)에는 상기 비드(10)를 내부에 수용하기 위해 상기 덮개의 하부면 상에서 개방되는 체결 홈(1)이 주위에 형성되고, 상기 체결 홈(1)은 그 외측 하단부에서는 탄성적으로 확장 가능한 협착부(14)로 이어지며 그 내측 하단부에서는 상기 협착부(14)의 높이 위치보다 아래에 위치된 U-웨브(22)를 갖는 실질적으로 U-형상 단면의 원주둘레로 연장되는 덮개 리세스(V)의 외측 레그 벽(4)의 원통형 또는 원추형 외면(6)으로 이어지고, 상기 덮개 리세스(V)의 내측 레그 벽(23)은 상기 협착부(14)의 높이 위치 및 상기 체결 홈(1)보다 현저하게 높게 위치된 돔 상부면(5)을 포함하는 돔(2)의 돔 벽의 일부로 형성되는, 덮개에 있어서,
    상기 덮개 리세스(V)는 상기 협착부(14)의 높이 위치를 지나 현저하게 하향으로 연장되는 깊이 및 본질적으로 상기 협착부(14)의 높이 위치의 외면(6)에서 외경(D1)으로 형성되고, 상기 덮개 리세스(V)는 상기 용기(C)의 비드(10)상으로의 덮개(D)의 용이한 클립결합 작업을 위해 센터링 및 안내 돌기부(K)를 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덮개.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돔(2) 및 상기 덮개 리세스(V)는 외측 레그 벽(4)을 내향으로 견인함으로써 상기 체결 홈(1)을 일시적으로 개방하기 위한 원주둘레로 연속되는 힌지 메커니즘(M)을 함께 형성하고, 상기 결합 메커니즘(M)은 상기 돔을 상기 체결 홈(1)에 대해 변위시키도록 주로 상기 돔 상부면(5)상에 가해지는 압력(R)에 의해 상기 덮개 클립결합 작업 도중에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덮개.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협착부(14)는 원주둘레로 연속되며 교대로 보다 깊게 및 얕게 외측으로부터 형성되는 함입부들(16a, 16b)로 구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다 깊은 함입부(16a)는 상기 보다 얕은 함입부(16b)보다 원주방향으로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덮개.
  20.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돔 상부벽(5)에는 규칙적으로 분포된 상향으로 돌출하는 복수의 음료 식별용 돌기부(5a)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덮개.
  21. 개구 영역(9)에 외부 비드(10)를 구비하는 원추형 종이 또는 판지 용기(C)를 위한 플라스틱제 덮개(D)로서, 상기 덮개(D)에는 상기 비드(10)를 내부에 수용하기 위해 상기 덮개의 하부면 상에서 개방되는 체결 홈(1)이 주위에 형성되고, 상기 체결 홈(1)은 그 외측 하단부에서는 탄성적으로 확장 가능한 협착부(14)로 이어지며 그 내측 하단부에서는 상기 협착부(14)의 높이 위치보다 아래에 위치된 덮개 리세스 U-웨브(22)를 갖는 실질적으로 U-형상 단면의 원주둘레로 연장되는 덮개 리세스(V)의 외측 레그 벽(4)의 원통형 또는 원추형 외면(6)으로 이어지고, 상기 덮개 리세스(V)의 내측 레그 벽(23)은 상기 협착부(14)의 높이 위치 및 상기 체결 홈(1)보다 현저하게 높게 위치된 돔 상부벽(5)을 포함하는 돔(2)의 돔 벽의 일부로 형성되는, 덮개에 있어서,
    상기 돔 상부벽(5)에는 소정 크기의 관통 영역(25)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 영역(25)은 적어도 상기 돔 상부벽 두께(x)보다 얇은 벽 두께(x1)를 가지며, 상기 관통 영역(25)에는 빨대를 도입하기 위한 십자형 스코어 라인(26)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덮개.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 영역(25)은 상기 돔 상부벽(5)에 형성된 리세스(24)의 박벽의 저부에 제공되고, 상기 저부는 상기 돔 상부벽(5) 아래에 위치되며, 상기 박형의 저부 벽 두께(x1)는 국부적인 재료 압축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덮개.
  23.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 영역(25)은 상기 돔(2)의 내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만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덮개.
  24.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24)는 본질적으로 상기 돔 상부벽(5)의 중앙부에 위치되며, 상기 리세스(24)는 메인 축선들이 서로 90°로 오프셋되는 동일한 크기의 중첩하는 두개의 타원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리세스 벽 외형을 가지고, 상기 스코어 라인(26)은 상기 타원들의 교차형 메인 축선을 따라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덮개.
  25. 원추형 및 단차형 개구 영역(9a)에 외부 비드(10)를 구비하는 2겹의 벽으로 된 원추형 종이 또는 판지 용기(CD)를 위한 플라스틱제 덮개(D)로서, 상기 덮개(D)에는 상기 비드(10)를 내부에 수용하기 위해 상기 덮개의 하부면 상에서 개방되는 체결 홈(1)이 주위에 형성되고, 상기 체결 홈(1)은 그 외측 하단부에서는 탄성적으로 확장 가능한 협착부(14)로 이어지며 그 내측 하단부에서는 상기 협착부(14)의 높이 위치보다 아래에 위치된 U-웨브(22)를 갖는 실질적으로 U-형상 단면의 원주둘레로 연장되는 덮개 리세스(V)의 외측 레그 벽(4)의 원통형 또는 원추형 외면(6)으로 이어지고, 상기 덮개 리세스(V)의 내측 레그 벽(23)은 상기 협착부(14)의 높이 위치 및 상기 체결 홈(1)보다 현저하게 높게 위치된 돔 상부벽(5)을 포함하는 돔(2)의 돔 벽의 일부로 형성되는, 덮개에 있어서,
    상기 덮개 리세스(V)는 상기 협착부(14)의 높이 위치를 지나 하향으로 연장되는 깊이 및 실질적으로 상기 협착부(14)의 높이 위치의 상기 외면(6)에서 외경(D1)으로 형성되고, 상기 덮개 리세스(V)는 상기 비드(10)상으로의 덮개(D)의 용이한 클립결합 작업을 위해 상기 2겹 벽 용기(CD)의 원추형 및 단차형 개구 영역(9a)과 협동하는 센터링 및 안내 돌기부(K)를 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덮개.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레그 벽(4)의 외면(6)은 0°와 상기 원추형 및 단차형 용기 개구 영역(9a)의 원추각 값보다 작은 값 사이의 원추각 값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덮개.
  27.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링 및 안내 돌기부(K)는 상기 원추형 및 단차형 개구 영역(9a) 아래에 위치된 용기 벽(7)의 영역과 억지 끼워맞춤식으로 협동하는 크기의 내향 단차형 부분(4a, 4b, 6a)으로 하향으로 이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덮개.
  28. 플라스틱제 클립결합식 덮개(D)가 제공된, 종이 또는 판지로 이루어지는 컵-형상 용기(C, CD)로서, 상기 용기(C)의 개구 영역(9)은 상향 및 외향 경사진 원추형 용기 벽(7)과 외향 돌출형 비드(10), 특히 말려진 테두리(11)에 의해 구획되고, 상기 덮개(D)에는 상기 비드(10)를 내부에 수용하기 위해 상기 덮개의 하부면 상에서 개방되는 체결 홈(1)이 주위에 형성되며, 상기 체결 홈(1)은 탄성적으로 확장 가능한 협착부(14)를 외측 하단부 구역에 가지며 U-형상 단면으로 원주둘레로 연장되는 덮개 리세스(V)의 외측 레그 벽(4)의 원통형 또는 원추형 외면(6)을 내측에 가지고, 상기 덮개 리세스(V)의 U-웨브(22)는 상기 협착부(14)의 높이 위치 아래에 위치되며, 상기 덮개 리세스(V)의 내측 레그 벽(23)은 상기 협착부 및 상기 체결 홈의 각각의 위에 위치된 돔 상부벽(5)을 갖는 돔(2)의 돔 벽의 일부로 형성되는, 컵-형상 용기(C, CD)에 있어서,
    상기 덮개 리세스(V)는 상기 협착부(14)의 높이 위치를 지나 현저하게 하향으로 연장되는 깊이로 형성되고 상기 비드(10)에서 상기 용기 벽(7)의 내경(D7)에 적합한 협착부(14)의 높이에서 외면(6)에 외경(D1)을 가지며, 상기 덮개(D)의 용이한 클립결합 작업 도중에, 하향으로 배향된 클립결합 압력(R)이 주로 상기 돔(2)에 가해질 때 적어도 상기 비드(10)가 상기 협착부(14)를 지나 체결 홈(1) 내로 이동하는 동안은 상기 덮개 리세스(V)의 외면(6)은 상기 용기 벽(7)과 슬라이딩 접촉함으로써 상호 협동하는 덮개 센터링 및 안내 돌기부(K)로서 기능하고, 상기 덮개 센터링 및 안내 돌기부(K)와 상기 클립결합된 체결 홈(1)은 용기 개구가 반경방향으로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환형의 용기 개구 영역 강화 구조를 함께 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형상 용기.
KR1020047019305A 2002-05-29 2002-12-19 컵-형상 용기 및 덮개 KR1007559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20208386U DE20208386U1 (de) 2002-05-29 2002-05-29 Becherförmiger Behälter und Deckel
DE20208386.1 2002-05-29
DE20214652.9 2002-09-23
DE20214652 2002-09-23
PCT/EP2002/014589 WO2003101855A1 (en) 2002-05-29 2002-12-19 Cup-shaped receptacle and li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6467A true KR20050016467A (ko) 2005-02-21
KR100755964B1 KR100755964B1 (ko) 2007-09-06

Family

ID=297132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9305A KR100755964B1 (ko) 2002-05-29 2002-12-19 컵-형상 용기 및 덮개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JP (1) JP3617009B2 (ko)
KR (1) KR100755964B1 (ko)
CN (1) CN100445177C (ko)
AU (1) AU2002360059B2 (ko)
BR (1) BR0215747A (ko)
EA (1) EA006466B1 (ko)
HR (1) HRP20041195B1 (ko)
NZ (1) NZ537049A (ko)
PL (1) PL196014B1 (ko)
RO (1) RO120833B1 (ko)
RS (1) RS50901B (ko)
WO (1) WO200310185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90825B2 (en) * 1999-12-08 2013-07-23 Metal Container Corporation Can lid closure and method of joining a can lid closure to a can body
GB0318584D0 (en) 2003-08-07 2003-09-10 Mcgill Tech Ltd Mixing apparatus
FI20040242A (fi) 2004-02-16 2005-08-17 Stora Enso Oyj Kuitupohjaista materiaalia oleva kuppipakkaus sekä sen valmistusmenetelmä
DE202005014177U1 (de) 2005-09-08 2005-11-17 Seda S.P.A., Arzano Doppelwandiger Becher
JP2007126174A (ja) * 2005-11-02 2007-05-24 Fuji Electric Retail Systems Co Ltd コップ蓋
DK1787916T3 (da) * 2005-11-18 2011-01-31 Seda Spa Beholder med et låg
DE202005018987U1 (de) * 2005-12-05 2007-04-12 Seda Spa Deckel
JP5250449B2 (ja) * 2009-02-24 2013-07-31 東洋アルミエコープロダクツ株式会社 蓋付容器
ITBO20090574A1 (it) * 2009-09-09 2011-03-10 Dacca S P A Coperchio per bicchieri
US8430268B2 (en) * 2010-05-27 2013-04-30 David Weiss Lid having a circumferential rim with a plurality of annular ribs
CN102578880B (zh) * 2011-01-10 2014-03-19 晋溢生化科技股份有限公司 杯盖
EP2888178B1 (en) * 2012-08-22 2017-12-27 PTM Packaging Tools Machinery PTE. Ltd. Paper-based container lids
JP2014091540A (ja) * 2012-11-01 2014-05-19 Denki Kagaku Kogyo Kk 包装用容器
JP6754340B2 (ja) * 2017-08-25 2020-09-09 東洋製罐株式会社 ボトル缶及びキャップ付きボトル缶
CN108163351A (zh) * 2018-02-02 2018-06-15 上海连享商务咨询有限公司 一种纸浆包装上盖
KR102187886B1 (ko) * 2018-03-09 2020-12-08 (주)쿠첸 음식물 가열 포트
KR102109826B1 (ko) * 2018-03-09 2020-05-13 (주)쿠첸 유아용 음식물 가열 포트의 노즐 코크 구조
GB2578170B (en) * 2018-10-19 2023-05-17 Vegware Ltd The combination of two containers with a lid suitable to fit either
CN109250290A (zh) * 2018-10-23 2019-01-22 镇江刘恒记食品有限公司 一种盛醋容器
CN209427328U (zh) * 2018-10-29 2019-09-24 江苏绿森包装有限公司 一种纸塑容器的扣合结构
KR102452221B1 (ko) * 2018-11-16 2022-10-07 기쿠오 야마다 종이제 뚜껑 및 종이제 뚜껑의 제조방법
KR102112248B1 (ko) * 2019-01-03 2020-05-18 조인석 일회용 용기의 종이뚜껑 제조방법 및 일회용 용기의 종이뚜껑
CN111483691B (zh) * 2019-01-28 2022-04-05 金箭印刷科技(昆山)有限公司 纸浆模塑饮料杯盖及其制造方法
CN216425372U (zh) * 2021-11-12 2022-05-03 斯道拉恩索公司 杯盖和杯具组件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65875A (en) * 1960-02-19 1962-11-27 Continental Can Co Plastic snap-on reclosure cover
FR1379233A (fr) * 1963-12-20 1964-11-20 Nippon Plapot Company Ltd Boîte pour la mise en conserve de produits alimentaires
US3349941A (en) * 1966-04-25 1967-10-31 Illinois Tool Works Compartmented container package
FR1526655A (fr) * 1967-06-12 1968-05-24 Akerlund & Rausing Ab Couvercle pour récipient comportant un rebord de retenue
US3583596A (en) * 1969-07-22 1971-06-08 Solo Cup Co Lid
US3749277A (en) * 1971-11-01 1973-07-31 Phillips Petroleum Co Closure having improved resistance to unseating
JPH0380882U (ko) * 1989-12-09 1991-08-19
DE9000025U1 (ko) * 1990-01-03 1990-03-08 Robert Thoma Gmbh Rotho - Kunststoffwerke, 7800 Freiburg, De
US5253781A (en) * 1992-06-29 1993-10-19 James River Corporation Of Virginia Disposable drink-through cup lid
US5624053A (en) * 1995-06-06 1997-04-29 James River Corporation Of Virginia Drink-thru cup lid
US6056144A (en) * 1997-05-30 2000-05-02 International Paper Co. Beverage cup with locking lid
US5975344A (en) * 1998-03-17 1999-11-02 Letica Corporation Closure having controlled radial flex
JP4140081B2 (ja) * 1998-05-22 2008-08-27 凸版印刷株式会社 紙製断熱容器
DE29906577U1 (de) * 1999-04-13 1999-07-29 Goetz Deckel
US6612456B1 (en) * 2000-10-12 2003-09-02 Wincup Holdings, Inc. Drink-through cup lid having selectively inwardly and outwardly rotatable hinged portion
DE10057277A1 (de) * 2000-11-17 2002-05-29 Ferratec Werkzeug Und Formenba Flaschenverschlu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0215747A (pt) 2005-03-15
AU2002360059A1 (en) 2003-12-19
EA006466B1 (ru) 2005-12-29
JP3617009B2 (ja) 2005-02-02
WO2003101855A1 (en) 2003-12-11
RO120833B1 (ro) 2006-08-30
HRP20041195A2 (en) 2005-06-30
EA200401557A1 (ru) 2005-06-30
PL196014B1 (pl) 2007-11-30
JP2004001892A (ja) 2004-01-08
CN1639019A (zh) 2005-07-13
RS50901B (sr) 2010-08-31
PL373194A1 (en) 2005-08-22
KR100755964B1 (ko) 2007-09-06
HRP20041195B1 (en) 2012-06-30
NZ537049A (en) 2007-04-27
CN100445177C (zh) 2008-12-24
RS103404A (en) 2006-10-27
AU2002360059B2 (en) 2006-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5964B1 (ko) 컵-형상 용기 및 덮개
US6932234B2 (en) Cup-shaped receptacle and lid
US4917258A (en) Snap-on lid for opened soft drink cans
US6401964B1 (en) Portable insulating receptacles
US6056144A (en) Beverage cup with locking lid
US5310081A (en) Integral beverage container closure
US4369888A (en) Closure for container
CA2426713C (en) Cup-shaped receptacle and lid
AU2008316445A1 (en) Method for forming a lid and such seamable lid itself
US6619518B1 (en) Spout assembly for liquid container
US6189719B1 (en) Plastic cover for a container
US2857947A (en) Food container
JP4979128B2 (ja) 開口容易缶蓋
EP1208044A1 (en) Can lid with opening means providing enhanced opening function and sanitariness
JPH0234202Y2 (ko)
US20010010313A1 (en) Portable thermos receptacles
GB2164015A (en) Metal container with integral rim for receiving lid
KR200370693Y1 (ko) 오물용기
KR102574804B1 (ko) 캔뚜껑의 오픈기능을 갖는 위생커버
FI75134C (fi) Lock foer hermetisk tillslutning av en behaollare.
EP0842095A1 (en) Vacuum closures and containers therefor, and combinations thereof
KR200206817Y1 (ko) 용기 뚜껑
GB2101104A (en) Closure for containers
KR20010051339A (ko) 파지 손잡이 측벽을 가진 저장 용기
WO2005030591A1 (en) Beverage can with pull tab integrally formed there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0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