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51339A - 파지 손잡이 측벽을 가진 저장 용기 - Google Patents

파지 손잡이 측벽을 가진 저장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51339A
KR20010051339A KR1020000064121A KR20000064121A KR20010051339A KR 20010051339 A KR20010051339 A KR 20010051339A KR 1020000064121 A KR1020000064121 A KR 1020000064121A KR 20000064121 A KR20000064121 A KR 20000064121A KR 20010051339 A KR20010051339 A KR 200100513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sidewall
areas
storage container
side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41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릴레런드스티그
헤이버그자코브
대넨로버트에이치.씨.엠.
모티어요한엠.제이.케이.
Original Assignee
존 에이. 도닌거
다아트 인더스트리즈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존 에이. 도닌거, 다아트 인더스트리즈 인크. filed Critical 존 에이. 도닌거
Publication of KR200100513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1339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9/00Supports, holders, or containers for household use,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G1/00-A47G27/00 or A47G33/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3/00Details of bottles or ja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23/10Handles
    • B65D23/102Gripping means formed in the walls, e.g. roughening, cavities, projec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02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 A47J47/04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for granulated foodstuffs
    • A47J47/06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for granulated foodstuffs with arrangements for keeping fres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 Packages (AREA)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지 손잡이 측벽을 가진 저장 용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 용기는 측벽, 상부벽 및 바닥벽을 포함한다. 측벽은 사용자의 파지를 허용하는 주연 형상으로 형성된다. 두 개의 이격된 지점에서, 측벽 두께는 증가된 가요성을 갖는 영역을 형성하기 위해서 감소된다. 상기 영역들 사이의 부분은 원래 강도를 유지한다. 사용자는 손바닥을 원래 강도를 갖는 영역에 걸쳐서 위치시키고, 손가락들 및 엄지 손가락은 각각 증가된 가요성을 갖는 이격된 영역 상에 위치시켜서 용기를 파지한다. 파지압력을 가하면 이격된 영역에서 측벽을 변형시켜서 용기 측벽의 손잡이에 압흔을 만들고 용기의 파지의 신뢰도를 향상시킨다.

Description

파지 손잡이 측벽을 가진 저장 용기 {STORAGE CONTAINER WITH GRIPPING HANDLE SIDE WALL}
본 발명은 가정용 식품의 저장 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특히 용기의 파지를 개선하기 위해서 선택적으로 가요성 측벽을 갖춘 개선된 저장 용기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가정용 음식 저장 용기가 알려져있다. 이들 중 다수는 사용자가 떨어뜨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용기의 견고한 파지를 유지하는 것을 보장하는 손잡이 또는 다른 장치를 포함한다. 이 문제는 용기의 치수 및 형상에 따라서 변경된다.
파지에 가장 어려운 일부 용기는 상대적으로 높고 얇아서 사용자가 통상적으로 용기를 들어올리기 위해서 측벽을 파지하는 그런 용기들이다. 이러한 용기에 보통의 주전자의 손잡이와 유사한 형태로 손잡이를 위치시키는 것이 가능하지만, 이는 용기의 복잡성과 비용을 크게 증가시킨다. 또한, 상기 손잡이는 체적을 차지하지만, 용기의 저장 용량에는 기여하지 못한다.
이 문제점에 대한 하나의 해결책은 본 양수인에게 양도되고, 계류 중인 미국 특허 출원 제09/131,260호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출원의 용기는 타원형 단면을 가진 높은 측벽을 가진다. 상기 용기는 사용자가 타원체의 장축 상의 단부 부근의 측벽을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크기를 갖고 있다. 파지 능력을 개선하기 위해서, 측벽은 단축 상에 만입된 영역을 포함해서, 용기의 각 측면에 한 쌍의 릿지를 형성한다. 사용자의 손가락이 이들 릿지 위로 연장되고, 릿지는 사용자에게 파지면을 제공한다. 이 장치는 만족스럽고, 사용자에게 훨씬 견고한 파지면을 제공하기에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측벽 부근을 용이하고 견고하게 파지할 수 있는 저장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측벽의 파지 영역에서 증가된 가요성을 갖는 한 쌍의 이격된 영역을 포함하는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들 및 다른 목적들은 파지 손잡이 측벽을 갖춘 저장 용기에 의해서 달성된다. 상기 용기는 측벽, 상부벽 및 하부벽을 포함한다. 측벽은 사용자에 의한 파지를 허용하는 주연 형상으로 형성된다. 두 개의 이격된 지점에서 측벽 두께는 증가된 가요성을 갖는 영역을 형성하기 위해서 감소된다. 상기 영역들 사이의 부분은 원래 강도를 유지한다. 사용자는 손가락들 및 엄지 손가락을 각각 증가된 가요성을 갖는 이격된 영역에, 손바닥을 원래 강도를 갖는 영역 위에 위치시켜서 용기를 파지한다. 파지 압력은 이격된 영역에서 측벽을 변형시켜서 용기 측벽에 손잡이의 압흔을 생성하고, 이는 용기 파지의 신뢰도를 증가시킨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저장 용기의 상부, 후방 사시도.
도2는 상기 용기의 하부, 후방 분해도.
도3a는 도1의 3a-3a 선에 따른 단면도.
도3b는 도3a의 3b-3b 선에 따른 단면도.
도4는 주둥이의 분해 상세도.
도5 및 도6은 주둥이의 작동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7은 도2의 7-7 선에 따른 단면도.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도7과 유사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저장 용기
12 : 측벽
14 : 상부 에지
16 : 하부 에지
18 : 상부벽
22 : 캡
24 : 바닥벽
26 : 중심부
28 : 부착 스커트
30 : 밀폐 플랜지
38 : 연장부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 및 특징을 유사한 참조부호가 유사한 요소를 나타내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해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용기는 전체적으로 참조 부호 10으로 나타나있다. 상기 용기는 상부 에지(14)와 하부 에지(16) 사이에서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측벽(12)을 포함한다(도2). 상부벽(18)은 상부 에지(10)에 고정된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상부벽(18)은 아래에 보다 상세하게 설명되는 형태로 상부 패널에 고정된 캡(22)과 함께, 측벽(12)의 일체부로서 형성된 상부 패널(20)의 형태를 취한다. 그러나, 전체 상부벽(18)은 제거가능한 캡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된 평면 형태는 아래에 설명되는 이유로 바람직하나, 필요하지는 않다. 또한, 용기(10)는 하부 에지(16)에 고정된 하부벽(24)을 포함한다. 도시된 양호한 실시예에서 바닥벽(24)은 하부 에지(16)로부터 선택적으로 제거가능한 별도의 부분으로 된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부벽(18)과 함께, 바닥벽(24)은 측벽(12)에 고정된 (도시되지 않은) 바닥 패널 또는 (도시되지 않은) 고정 및 착탈식 부분의 조합으로 전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상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용기 내용물의 중량은 바닥벽(24)에 작용하고, 들려졌을 때, 용기로부터 바닥벽(24)에 힘을 가하게 된다. 바닥벽(24)을 견고하게 보유하기 위해서, 바닥벽(24)은 부착 스커트(28)가 현수되는 중심부(26)를 포함한다. 양호하게도, 종결 플랜지(30)는 사용자가 필요할 때에 용이하게 바닥벽(24)을 제거할 수 있는 파지면을 제공하기 위해서 적어도 한 지점 부근에서 측벽(12)을 지나서 연장된 부착 스커트(28)의 하부 에지로부터 주연방향 외향으로 연장된다. 부착 스커트(28)의 상부 에지는 하부 에지(16)에 인접한 측벽(12)의 내부에 형성된 정합 홈(32) 내부에 수납되는 돌기를 형성하기 위해서 중심부(26)의 에지로부터 조금 내향으로 이격된다. 플라스틱 같은 약한 탄성을 가진 재료의 측벽(12) 및/또는 바닥벽(24)을 형성함으로써, 이는 바닥벽(24)에 상대적으로 견고한 부착부를 제공하는 것처럼 보일 수 있다.
그러나, 이 부착부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바닥벽(24)은 플라스틱 또는 금속 시트 같은 약한 탄성 재료로 형성되고, 도시된 것과 같이 중심부(26)는 상향으로 도움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도움 형상은 바닥벽(24)의 느슨하고, 변형되지 않은 상태이다. 바닥벽(24)은 용기 내용물의 중량이 중심부(26)를 하향으로 변형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평면 지점을 지난 변형은 바람직하지 않지만, (최대 설계 용량까지) 중량이 더 커질수록, 변형도 더 커진다. 예상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중심부(26)가 하향으로 변형됨에 따라서 이의 외부 주연부도 외향으로 조금 확장된다. 이는 중심부(26)의 주연부를 보다 큰 힘으로 홈(32) 안으로 밀어내서 바닥벽(24)을 더 큰 힘으로 보유한다. 이와 같이, 이러한 구성으로, 내용물의 중량이 증가할수록 그 위치에서 바닥벽(26)의 보유력도 증가한다.
언급된 것과 같이, 상부벽(18)은 유사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상부 패널(20) 및 캡(22)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이 캡은 선택적으로 유출 주둥이(34)를 선택적으로 밀폐하는데 사용된다. 유출 주둥이(34)는 상부 패널(20) 내에 전체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도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부 에지(14)가 용기(10)로부터 내용물의 용이한 유동을 허용하도록 유출 주둥이(34)의 주연부의 일부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된 것과 같이, 캡(22)은 효과적으로 주둥이를 밀봉하기 위해서 양호하게는 주둥이(34) 내로 밀봉식으로 수납될 수 있는 밀봉 스커트(36)를 포함한다.
캡(22)은 다양한 방법으로 상부 패널(20)에 장착될 수 있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캡(22)은 공통 축을 따라 한 쌍의 굴대(40)가 연장되는 연장부(38)를 포함한다. 상부 패널(20)은 연장부(38)를 수납하는 중심 홈(42) 및 이 중심 홈(42)에 개방되고, 굴대(40)를 수납하는 크기를 갖춘 한 쌍의 굴대 홈(44)을 포함한다. 도5 및 도6에 가장 잘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오목부(48)는 굴대(및 전체 캡(22))가 개방 및 밀폐 위치 사이를 왕복할 수 있도록 홈 내의 제 위치에 굴대(40)를 고정할 수 있다. 캡이 개방 위치에 유지되도록 하기 위해서, 연장부(38)는 캡(22)이 개방 위치에 있을 때 중심 홈(42)에 억지 끼움이 되는 위치에서 연장부로부터 연장되는 캠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설명된 대로, 사용자는 용기에서부터 유출 주둥이(34)를 통해서 내용물을 유출시킬 수 있다.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유출 주둥이(34)를 통해서 용기를 리필할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는 용기(20)를 뒤집어서 바닥벽(24)을 제거할 수 있고, 편의를 위해서 용기는 더 큰 개구를 가질 수 있다. 안정성 때문에 상부벽은 반전된 위치에서 양호하게는 평면형을 취한다. 또한, 이 구성은 용기 내용물의 지속적인 신선함을 보장한다. 다시 말해, 용기 바닥의 재료는 더 신선한 재료로 연속적으로 덮여지지 않고, 대신에 용기를 통해서 신속하게 통과된다.
잔존 내용물의 양을 신속하게 결정하기 위해서, 측벽(12)의 일부분은 투명한 재료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된 양호한 실시예에서 투명한 스트립(50)은 하부 에지(16)에 인접한 지점에서부터 중심 홈(42)까지 뻗어있다. 이 스트립(50)은 측벽(12)에 고정된 별도의 재료 부분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르게는, 상기 출원에 개시된 것처럼 증가된 투명성을 제공하는 감소된 두께를 갖는 영역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도시된 양호한 실시예에서 측벽(12)은 이중 층 요소로서 형성된다.
도3a 및 도7에 가장 잘 도시된 것과 같이 측벽(12)은 양호하게는 플라스틱 같은 투명한 재료의 내부층(12a)으로 형성되고, 플라스틱과 같은 반투명한 다른 재료의 외부 층(12b)으로 거의 전부가 덮여있다. 이러한 이중 층 플라스틱 품목은 이 기술분야에서 주지된 것이고, 다양한 기술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외부층은 스트립(50)을 형성하기 위해서 필요한 부분을 따라서 형성되지 않았다(또는 제거되었다).
유출 주둥이(34)로부터 내용물의 유출 시 또는 용기(10)의 다른 이송 시에 사용자는 일반적으로 측벽(12)을 파지한다. 이 경우에 용기(10)는 이를 허용하는 주연 형상으로 형성된다. 예상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큰 직경을 갖는 원형 측벽은 주연 형상에서는 바람직하지 못한 선택이다. 차라리, 측벽(12)은 파지를 허용하기 위해서 측방향으로 충분히 좁은 부분을 포함해야 한다. 이는 (도시되지 않은) 측방향으로 더 넓은 주 영역으로부터 돌출되는 더 좁은 영역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측벽(12)은 사용자가 장축의 단부에 인접해서 형성된 작은 반경부를 용이하게 파지하도록 타원 형상을 갖는다. 또한, 유출 주둥이는 양호하게는 파지부에 대향되게 위치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일반적으로 유출 주둥이(34)에 대향되게 장축의 단부에서 용기(10)의 양호한 형태를 파지할 수 있다.
이를 돕기 위해서, 측벽(12)의 외부 표면은 미끄러짐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직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이격된 만입부가 도시된 것과 같이 장축의 단부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측벽(12)에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보다 용이한 파지부를 제공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증가된 가요성을 갖는 한 쌍의 이격된 영역(52)을 포함하는 측벽(12)이다.
특히, 장축의 단부(또는 다른 파지 영역)로부터 이격된 두 영역(52)에서 측벽(12)의 두께는 측벽(12)의 가요성을 증가시키기에 충분한 양만큼 감소된다. 이와 같이, 이러한 이격된 영역(52)은 원래 강도를 갖는 영역(54)에 의해 구분된다. 이는 도7 및 도8에 가장 잘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것과 같이, 양호한 이중 층 실시예에서 내부층(12a)은 가요성이 적은 재료로 형성되고, 용기(10)의 구조 강도의 대부분을 제공한다. 외부층(12b)은 보다 높은 마찰력을 제공하는 탄성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내부층(12a)이 강도를 제공하기 때문에 이격된 영역(52)에서 내부층(12a)의 두께를 감소시키는 것은 현저하게 증가된 가요성을 갖게 한다. 물론, 이는 양 층 또는 외부층(12b)만의 두께 감소에 의해서 제공될 수 있지만, 전술된 대로 내부층(12a)에서만이 바람직하다.
예상할 수 있는 것과 같이, 증가된 가요성은 이들 이격된 영역(52)에 제한된다. 이들 이격된 영역(52)들 사이의 측벽(12) 부분은 이 증가된 가요성을 갖지 못 한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용기(10)를 파지할 수 있고, 손바닥을 이격된 영역(51)들 사이에 원래 강도(54)의 영역에 걸쳐서 위치시키고, 엄지 손가락과 그 외 손가락들의 압력으로 각각 이격된 영역(52)의 내향으로 측벽(12)을 변형시킬 수 있다. 이 변형부는 손이 부분적으로 손바닥 아래 측벽의 경부 주위를 감싸서 부분적인 손잡이의 압흔을 만듦으로써 사용자가 누를 수 있게 해준다.
물론, 이 구성은 다층 측벽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가 도8에 도시되어 있는데, 여기서는 단일층의 두께를 간단히 감소시킴으로써 단일층의 측벽(12)에 이격된 영역(52)을 제공한다. 이는 측벽(12)을 통한 광투과의 차이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이 제2 실시예는 측벽(12)에서 감지되는 균일함의 부족 때문에 심미성을 적게 가진다. 그러나, 이는 이중 층의 제1 실시예에 비해서 제조하는 데 저렴하다.
전술한 내용으로부터 본 발명은 명백하고 구조가 고유한 다른 장점과 함께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모든 목적과 목표를 성취하도록 잘 개조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일정한 특징 및 조합은 유용하며, 다른 특징 및 조합을 참조함이 없이 채용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청구항의 범위 내에 속하고 예상가능하다.
많은 가능한 실시예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가능하기 때문에 첨부된 도면에서 도시되고 여기서 설명된 모든 것들은 도시를 위한 것이지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의해서 측벽 부근을 용이하고 견고하게 파지할 수 있는 저장 용기가 제공된다. 또한, 측벽의 파지 영역에서 증가된 가요성을 갖는 한 쌍의 이격된 영역을 포함하는 용기가 제공된다.

Claims (1)

  1. 파지 손잡이 측벽을 구비한 저장 용기로서, 상부 에지와 하부 에지 사이에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측벽과, 상기 상부 에지에 고정되는 상부벽과, 상기 하부 에지에 고정되는 하부벽을 포함하는 저장 용기에 있어서,
    상기 측벽에 증가된 가요성을 갖는 한 쌍의 이격된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이격된 영역들 사이에 기재 부분은 원래 강도를 갖고, 상기 이격된 영역들은 사용자의 손바닥이 상기 원래 강도 영역에 놓이고 엄지 손가락 및 다른 손가락들이 각각 증가된 가요성을 갖는 상기 이격된 영역에 놓이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 용기.
KR1020000064121A 1999-11-01 2000-10-31 파지 손잡이 측벽을 가진 저장 용기 KR2001005133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43090599A 1999-11-01 1999-11-01
US9/430,905 1999-11-0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1339A true KR20010051339A (ko) 2001-06-25

Family

ID=237095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4121A KR20010051339A (ko) 1999-11-01 2000-10-31 파지 손잡이 측벽을 가진 저장 용기

Country Status (17)

Country Link
EP (1) EP1095868A1 (ko)
JP (1) JP2001171734A (ko)
KR (1) KR20010051339A (ko)
CN (1) CN1135191C (ko)
AU (1) AU6656300A (ko)
BR (1) BR0005209A (ko)
CA (1) CA2324844A1 (ko)
CZ (1) CZ294921B6 (ko)
HR (1) HRP20000737A2 (ko)
HU (1) HUP0004213A3 (ko)
ID (1) ID27966A (ko)
IL (1) IL139060A0 (ko)
IS (1) IS5676A (ko)
NO (1) NO20005476L (ko)
PL (1) PL198977B1 (ko)
TW (1) TW572843B (ko)
ZA (1) ZA200005807B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37874C (ko) *
US3301464A (en) * 1964-03-03 1967-01-31 Lily Tulip Cup Corp Container and lid
US3743131A (en) * 1970-06-22 1973-07-03 Dart Ind Inc Closure for open-mouthed containers or tubular vessels
US5868272A (en) * 1993-06-01 1999-02-09 Deal; Richard E. Beverage container
GB2299566A (en) * 1995-04-07 1996-10-09 Joanne Marie White Storage contai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UP0004213A2 (hu) 2001-12-28
PL198977B1 (pl) 2008-08-29
CN1297837A (zh) 2001-06-06
BR0005209A (pt) 2001-06-19
ID27966A (id) 2001-05-03
IS5676A (is) 2001-05-02
JP2001171734A (ja) 2001-06-26
CA2324844A1 (en) 2001-05-01
ZA200005807B (en) 2001-05-17
CZ294921B6 (cs) 2005-04-13
CN1135191C (zh) 2004-01-21
PL343618A1 (en) 2001-05-07
NO20005476D0 (no) 2000-10-31
AU6656300A (en) 2001-05-03
EP1095868A1 (en) 2001-05-02
TW572843B (en) 2004-01-21
NO20005476L (no) 2001-05-02
HRP20000737A2 (en) 2001-06-30
IL139060A0 (en) 2001-11-25
HUP0004213A3 (en) 2002-03-28
CZ20004050A3 (cs) 2001-12-12
HU0004213D0 (ko) 2001-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91514B1 (en) Easy open air-tight sealed food container
CA2265076C (en) Portable insulating receptacle
US6644490B2 (en) Lid
US5390810A (en) Squeeze open lid
AU2007264474B2 (en) Synthetic resin bottle
US5799814A (en) Drink-through lid for container
US20210206539A1 (en) Drinking Tumbler
JP5356216B2 (ja) 貯蔵及び飲用の容器
AU2004215419A1 (en) Squeezable beverage bottle
US4898299A (en) Push and drink lid
US20110036851A1 (en) Container closure
US20030094464A1 (en) Fluid product dispenser with gripping member
US5221020A (en) Reusable beverage can cap
KR20010051339A (ko) 파지 손잡이 측벽을 가진 저장 용기
JP4354211B2 (ja) 注出口のキャップ
JP4671071B2 (ja) 注出装置
US20010010313A1 (en) Portable thermos receptacles
CA2136579A1 (en) Squeeze open lid
KR200373748Y1 (ko) 내용물을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게 하는 용기 커버
MXPA00010562A (en) Storage container with gripping handle sidewall
KR200485937Y1 (ko) 음료 또는 주류용 캔용기
KR200227286Y1 (ko) 물감저장용기
KR20240018806A (ko) 컵이나 잔 또는 머그 및 그것들의 뚜껑
KR200365735Y1 (ko) 음료수 병마개
KR100337432B1 (ko) 개폐 구조의 음료수 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