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16091A - 솔레노이드형 오퍼레이터를 구비한 전자기 클러치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솔레노이드형 오퍼레이터를 구비한 전자기 클러치 어셈블리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16091A
KR20050016091A KR1020040060831A KR20040060831A KR20050016091A KR 20050016091 A KR20050016091 A KR 20050016091A KR 1020040060831 A KR1020040060831 A KR 1020040060831A KR 20040060831 A KR20040060831 A KR 20040060831A KR 20050016091 A KR20050016091 A KR 200500160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utch
solenoid
assembly
input member
annu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08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04843B1 (ko
Inventor
크리스토퍼제이.코왈스키
래리에이.프리차드
브라이언캐플러
Original Assignee
보그워너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보그워너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보그워너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500160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60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48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484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34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for driving both front and rear wheels, e.g. four wheel drive vehicles
    • B60K17/344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for driving both front and rear wheels, e.g. four wheel drive vehicles having a transfer gea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7/00Magnetically- or electrically- actuated clutches; Control or electric circuits therefor
    • F16D27/10Magnetically- or electrically- actuated clutches; Control or electric circuits therefor with an electromagnet not rotating with a clutching member, i.e. without collecting rings
    • F16D27/108Magnetically- or electrically- actuated clutches; Control or electric circuits therefor with an electromagnet not rotating with a clutching member, i.e. without collecting rings with axially movable clutching members
    • F16D27/112Magnetically- or electrically- actuated clutches; Control or electric circuits therefor with an electromagnet not rotating with a clutching member, i.e. without collecting rings with axially movable clutching members with flat friction surfaces, e.g. discs
    • F16D27/115Magnetically- or electrically- actuated clutches; Control or electric circuits therefor with an electromagnet not rotating with a clutching member, i.e. without collecting rings with axially movable clutching members with flat friction surfaces, e.g. discs with more than two discs, e.g. multiple lamella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7/00Magnetically- or electrically- actuated clutches; Control or electric circuits therefor
    • F16D27/004Magnetically- or electrically- actuated clutches; Control or electric circuits therefor with permanent magnets combined with electromagn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Operated Clutches (AREA)
  • Retarders (AREA)
  • Arrangement And Driving Of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솔레노이드 작동 방식 볼 램프 오퍼레이터를 구비한 전자기 클러치 어셈블리는 동력 소모가 적고 제어 능력은 향상된다. 전자기 클러치 어셈블리는 일차 또는 파일럿 마찰 클러치 팩과 이차 또는 메인 마찰 클러치 팩을 포함한다. 환상 솔레노이드 코일은 환상 오퍼레이터 또는 플런저와 협력한다. 코일에 에너지가 인가되면, 환상 플런저는 병진 운동을 하여 일차 또는 파일럿 마찰 클러치 팩을 압축시킨다. 파일럿 클러치 팩이 작동하면, 볼 램프 오퍼레이터의 입력 및 출력 부재 중 하나의 움직임이 지연되며, 그에 따라 입력 및 출력 부재에 걸쳐 배치된 이차 또는 메인 마찰 클러치 팩이 압축된다.

Description

솔레노이드형 오퍼레이터를 구비한 전자기 클러치 어셈블리{ELECTROMAGNETIC CLUTCH ASSEMBLY HAVING SOLENOID TYPE OPERATOR}
본 발명은 전자기 클러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솔레노이드 작동 방식의 볼 램프 오퍼레이터를 구비한 전자기 클러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기 코일에 의해 작동되거나 에너지가 인가되는 클러치는 움직이지 않는 분야 및 모터 차량 모두에 있어서 회전력 전달 시스템에 매우 흔히 사용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전자기 클러치는 대체적으로 온-오프 에너지 전달 방식을 제공하는지 아니면 조절 에너지 전달 방식을 제공하는지에 따라 구분된다. 전자기의 경우에는 보조 동조 장치를 포함하는 도그 클러치가 사용되고, 후자의 경우에는 사이에 끼워진 다수의 마찰 플레이트 또는 디스크를 갖는 마찰 클러치 팩이 사용된다. 어느 경우에도, 클러치의 구성요소를 병진 운동시키거나 압축하는 전자기 오퍼레이터는, 에너지가 인가될 때 클러치를 작동시키고, 에너지가 인가되지 않으면 클러치를 작동시키지 않거나 작동을 늦추게 된다.
중요한 공학적인 주목을 받는 전자기 클러치의 설계상 그리고 동작상 특성 가운데 하나는 동력 소모이다. 특히 모터 차량의 경우, 동력 소모가 적은 클러치를 설계하고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은 동력 소모는 그 자체로서 바람직하지만, 코일에 의해 발생되는 열을 또한 감소시키며, 적은 동력 소모는 코일의 냉각 필요성을 감소시킬 수 있고, 코일의 사용 수명을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적은 동력 소모는 전반적으로 바람직한 설계 목표이다.
적은 전력 소모를 보여주는 클러치는 일반적으로 캠 또는 볼 램프 작동 방식 클러치로 불린다. 여기서, 볼 또는 롤러 베어링을 수용하는 대향 배치된 아치형 리세스 또는 캐밍 부재를 구비한 한 쌍의 대향 배치된 플레이트는 전자기 코일에 에너지가 인가된 결과로서 생기는 드래그에 의해 야기되는 상대 회전에 의해 분리된다. 이러한 분리에 의해 마찰 클러치 팩에 걸쳐 구동 에너지 또는 토크를 전달하는 인접한 마찰 클러치 팩이 압축된다. 이러한 장치는 본 출원의 양수인이 공동으로 그 권리를 소유하고 있는 미국특허 제 4,989,686 호에 트랜스퍼 케이스와 관련하여 개시되어 있다.
솔레노이드 작동 방식 볼 램프 오퍼레이터를 구비한 전자기 클러치 어셈블리는 동력 소모가 적고 제어 능력은 향상된다. 전자기 클러치 어셈블리는 일차 또는 파일럿 마찰 클러치 팩과 이차 또는 메인 마찰 클러치 팩을 포함한다. 환상 코일 및 하우징은 환상 오퍼레이터 또는 플런저와 협력한다. 코일에 에너지가 인가되면, 환상 플런저는 병진 운동을 하여 일차 또는 파일럿 마찰 클러치 팩을 압축시킨다. 파일럿 클러치 팩이 작동하면, 볼 램프 액추에이터의 입력 및 출력 부재 중 하나의 움직임이 지연되며, 그에 따라 입력 및 출력 부재에 걸쳐 배치된 이차 또는 메인 마찰 클러치 팩이 압축된다. 그 결과, 토크가 전달된다. 마찰 클러치 팩은 젖은 상태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서, 클러치 유체가 들어있는 밀봉된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클러치 어셈블리는 동력 소모가 적고 동작의 선형성은 향상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솔레노이드형 오퍼레이터를 구비한 전자기 클러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솔레노이드 오퍼레이터와, 볼 램프 액추에이터와, 일차 및 이차 마찰 클러치 팩을 구비한 전자기 클러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솔레노이드 오퍼레이터와, 젖은 상태의 일차 및 이차 마찰 클러치 팩을 구비한 전자기 클러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동력 소모가 적고 동작의 선형성은 향상된 솔레노이드형 오퍼레이터와 볼 램프 액추에이터를 구비한 전자기 클러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트랜스퍼 케이스, 후방 차축 및 기타의 모터 차량 구동 라인 구성요소에 사용 가능한 전자기 클러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그 밖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이루어지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히 밝혀진다. 첨부도면에서,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가리킨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전자기 클러치 어셈블리가 장착된 사륜 차량 구동 트레인이 도면부호 10으로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사륜 차량 구동 트레인(10)은 트랜스 액슬(14)에 커플링되어 트랜스 액슬(14)을 직접 구동하는 제 1 발동기(12)를 포함하고 있다. 트랜스 액슬(14)의 출력은, 전방 또는 일차 추진 샤프트(22)와, 전방 또는 일차 차동 장치(24)와, 한 쌍의 전방 차축(26)과, 각각 한 쌍으로 이루어진 전방 또는 일차 타이어 및 차륜 어셈블리(28)를 포함하는 일차 또는 전방 구동 라인(20)에 동력을 전달하는 베벨 또는 스파이럴 베벨 기어 세트(16)를 구동한다. 여기서, 전방 또는 일차 차동 장치(24)는 공지된 기술임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베벨 또는 스파이럴 베벨 기어 세트(16)는, 적절한 유니버설 조인트(34)를 갖는 이차 추진 샤프트(32)와, 후방 또는 이차 차동 장치 어셈블리(36)와, 한 쌍의 이차 또는 후방 차축(38)과, 각각 한 쌍으로 이루어진 이차 또는 후방 타이어 및 차륜 어셈블리(40)를 포함하는 이차 또는 후방 구동 라인(30)에 동력을 또한 전달한다.
전술한 내용은 일차 구동 라인(20)이 차량의 전방에 배치되고, 그에 대응하여 이차 구동 라인(30)이 차량의 후방에 배치되는 차량, 예컨대 전륜 구동 차량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일차 구동 라인"은 구동 토크를 항상 공급하는 구동 라인을 말하고, "이차 구동 라인"은 토크를 보충적으로 또는 간헐적으로 공급하는 구동 라인을 말한다. 그러나 여기에서 개시되고 청구되는 본 발명이 일차 구동 라인(20)이 차량의 후방에 배치되고, 이차 구동 라인(30) 및 이차 차동 장치 어셈블리(36) 내의 구성 요소가 차량의 전방에 배치되는 차량에도 활용될 수 있기 때문에, 본 명세서에서는 "전방" 및 "후방"이라는 표현보다는 "일차" 및 "이차"라는 표현을 써서 본 발명을 설명한다.
따라서, 일차 구동 라인(20)이 차량의 전방에 배치되어 있는 도 1의 구조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일례에 지나지 않으며, 따라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지 않음을 유의할 필요가 있고, 아울러 예시된 구성요소와 구성요소의 일반적인 배열은 후륜 구동 차량에도 동일하게 적절히 사용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그러한 차량에 있어서는, 일차 차동 장치(24)가 차량의 후방에 배치된 이차 차동 장치 어셈블리(36)를 대신하며, 이차 차동 장치 어셈블리(36)는 차량의 전방에 배치되어 일차 차동 장치(24)를 대신하게 된다.
차량 구동 트레인(10)에는, 다수의 센서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이차 차동 장치 어셈블리(36) 앞에 동작 가능하게 배치된 전자기 클러치 어셈블리(70)에 제어 신호, 즉, 작동 신호를 제공하는 제어기 또는 마이크로프로세서(50)가 장착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 1 센서, 예컨대, 가변 릴럭턴스 또는 홀 효과 센서(52)는 오른쪽 일차 (전방) 타이어 및 차륜 어셈블리(28)의 회전 속도를 검출하고, 그에 대응하는 신호를 마이크로프로세서(50)에 제공한다. 이와 유사하게, 제 2 가변 자기 저항 또는 홀 효과 센서(54)는 왼쪽 일차 (전방) 타이어 및 차륜 어셈블리(28)의 회전 속도를 검출하고, 그에 대응하는 신호를 마이크로프로세서(50)에 제공한다. 제 3 가변 릴럭턴스 또는 홀 효과 센서(56)는 오른쪽 이차 (후방) 타이어 및 차륜 어셈블리(40)의 회전 속도를 검출하고, 그에 대응하는 신호를 마이크로프로세서(50)에 제공한다. 마지막으로, 왼쪽 이차 (후방) 타이어 및 차륜 어셈블리(40)에 부착된 제 4 가변 릴럭턴스 또는 홀 효과 센서(58)는 이 어셈블리(40)의 회전 속도를 검출하고, 그에 대응하는 신호를 마이크로프로세서(50)에 제공한다. 상기한 속도 센서(52, 54, 56, 58)는 독립된, 다시 말해서 전용 센서일 수도 있고, 이들 센서가 차량에 장착되어 록 방지 제동 시스템(ABS) 또는 기타 속도 검출 및 제어 장비에 사용될 수도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비록 도 1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적절한 종래의 카운팅 또는 톤 휠에 속도 센서(52, 54, 56, 58)가 각각 장착되어 있음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제어기 또는 마이크로프로세서(50)는 트랜스 액슬(14)의 출력 속도에 관한 정보를 또한 수신할 수도 있다. 전방 또는 일차 추진 샤프트(22) 상의 톤 휠(64)에 부착된 가변 릴럭턴스 또는 홀 효과 센서(62)가 활용될 수도 있다. 그렇지 않으면, 이차 구동 라인(30)에 부착된 가변 릴럭턴스 또는 홀 효과 센서(66)가 이차 차동 장치 어셈블리(36)를 구동하는 트랜스 액슬(14)의 이차 출력 상의 톤 휠(68)에 인접하게 위치할 수도 있다. 제어기 또는 마이크로프로세서(50)는 센서(62) 또는 센서(66) 중 하나에서 뿐 만 아니라 센서(52, 54, 56, 58)로부터도 신호를 수신 및 조절하고, 차량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차량의 제어를 유지하고, 및/또는 스키드 또는 차량의 변칙적인 동작 상태를 교정하거나 보상하기 위한 조정 작용을 결정하는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며, 출력 신호를 전자기 클러치 어셈블리(70)에 제공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전자기 클러치 어셈블리(70)는,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한 이차 차동 장치 어셈블리(36)의 하우징에 클러치 어셈블리(70)를 쉽게 설치하고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는 나사 죔쇠(도시 안됨)를 수용할 수 있도록 된 다수의 관통 개구부(76)를 한정하는 연속 플랜지 또는 다수의 귀 형상 부재(74)를 구비한 벨 형상의 원통형 하우징(72)을 포함하고 있다. 오-링 밀봉부재(78)에 의해 원통형 하우징(72)과 이차 차동 장치 어셈블리(36)의 하우징간에 빈틈없는 유체 밀봉이 이루어진다. 원통형 하우징(72)은 벨 형상 입력 부재(82)를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마찰-방지 베어링, 예컨대, 볼 베어링 어셈블리(80)를 수용하고 지지한다.
입력 부재(82)는 수형 스플라인(86)을 갖춘 입력 스터브 샤프트(84)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타의 구동 수단들, 예컨대, 키웨이, 육각형 플랫 등이 입력 스터브 샤프트(84)에 의해 한정될 수도 있다. 수형 스플라인(86)은 플랜지(90) 내에 형성된 보완적인 형태의 암형 스플라인(88)과 맞물릴 수도 있다. 플랜지(90)는 (도 1에 도시된) 유니버설 조인트(34)의 일부이거나 이차 추진 샤프트(32)의 다른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 플랜지(90)는 일반적으로 그러한 연결을 손쉽게 하는 관통공(92)을 포함한다. 플랜지(90)는 입력 스터브 샤프트(84)의 수나사(96) 상에 수용되는 너트(94)에 의해 입력 스터브 샤프트(84) 상에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차 마찰-방지 베어링, 예컨대, 볼 베어링 어셈블리(98)는 원통형 출력 허브(100)를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볼 베어링 어셈블리(98)에 대향하는 출력 허브(100)의 단부는 마찰-방지 베어링, 예컨대, 롤러 베어링(102)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출력 허브(100)의 원통형 내벽은 다수의 암형 스플라인 또는 기어 치(104)를 한정한다. 볼 베어링 어셈블리(80, 98)의 외측에는 클러치 어셈블리(70)의 인접한 구성요소 간에 빈틈없는 유체 밀봉을 제공하는 오일 밀봉부재(106)가 인접하게 배치되어 있다.
벨 형상의 원통형 하우징(72)에는 자속 집중 환상 하우징(112) 내에 배치되어 보호를 받는 전자기 또는 솔레노이드 코일(110)이 고정되어 있다. 환상 하우징(112)은 경사진 또는 절두 원추 형태의 표면(114)을 포함하고 있다. 환상 하우징(112)은 다수의 나사 스터드, 죔쇠(116) 또는 그와 유사한 장치(도 2에는 하나만이 도시되어 있음)에 의해 원통형 하우징(72)에 고정되어 있다. 단일 또는 다중 컨덕터 케이블(118)은 솔레노이드 코일(110)에 전기 에너지를 공급한다. 솔레노이드 코일(110) 및 환상 하우징(112)의 일부 둘레에는 환상 코일 하우징(112) 상의 절두 원추형 표면(114)과 인접한 상태로 정렬하고 있는 보완적인 형태의 경사진 또는 절두 원추 형태의 표면(122)을 갖는 환상 솔레노이드 오퍼레이터 부재 또는 플런저(120)가 배치되어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솔레노이드 플런저(120)는 솔레노이드 플런저(120)로부터 축방향으로 그리고 나란히 멀어지게 연장되고 입력 부재(82)의 방사상으로 그리고 원주 방향으로 연장된 부분 내의 축방향 통로(126)를 통해 연장되는 다수의, 바람직하게는 3 개의, 기둥 또는 스터드(124)를 수용하고 있다. 만일 3 개의 기둥 또는 스터드(124)가 사용되면, 그들 사이의 각 α는 120도이다. 만일 4개의 기둥 또는 스터드(124)가 사용되면, 각 α는 90도이다. 더욱 일반적으로 설명하면, 기둥 또는 스터드(124)는, 그 수가 아무리 많아도, 플런저(120)를 중심으로 동일한 각을 두고 배치되어야 한다. 기둥 또는 스터드(124)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적절한 나사 잠금 요소가 사용될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기둥 또는 스터드(124)는 솔레노이드 플런저(120) 내의 블라인드 구멍 내에 삽입되는 억지 끼워 맞춤 부재일 수도 있고, 플런저(120) 및 스터드(124)의 벽을 통해 연장되는 방사상 보유 핀(도시 안됨)에 의해 또는 예를 들어 용접에 의해 그에 고정될 수도 있다.
기둥 또는 스터드(124)는 기둥 또는 스터드(124) 및 입력 부재(82)의 축방향 통로 사이에 빈틈없는 유체 밀봉을 제공하는 오-링 밀봉부재(132)를 수용하는 원주상 그루브(128)를 각각 포함하고 있다. 솔레노이드 플런저(120)에 대향하는 기둥 또는 스터드(124)의 단부에도 나사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환상의 제 1 압력 또는 인가 플레이트(136)에 고정되어 있다. 파일럿 또는 일차 마찰 클러치 팩(140)은 입력 부재(82)의 방사상 및 원주 방향 연장 부분과 제 1 인가 플레이트(136)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솔레노이드 코일(110)에 에너지가 인가되면,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솔레노이드 플런저(120)가 왼쪽으로 이동한다. 절두 원추형 표면(114, 122) 사이의 공기 갭이 폐쇄됨에 따라, 제 1 인가 플레이트(136)는 파일럿 또는 일차 마찰 클러치 팩(140)을 압축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파일럿 또는 일차 마찰 클러치 팩(140)은 입력 부재(82)의 내표면 상의 보완적인 형태의 암형 스플라인(146)과 맞물리는 수형 또는 외부 스플라인(144)을 갖춘 직경이 큰 다수의 제 1 클러치 디스크 또는 플레이트(142)를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직경이 큰 다수의 제 1 마찰 클러치 플레이트(142)는 입력 부재(82)와 함께 회전한다. 직경이 큰 다수의 제 1 클러치 플레이트(142)는 원형 클러치 허브(154) 상의 수형 스플라인(152)과 보완적인 형태로 구성되어 그 수형 스플라인(152)과 맞물리는 내부 암형 스플라인(150)을 구비하는 직경이 작은 다수의 제 2 마찰 클러치 디스크 또는 플레이트(148)에 끼워져 있다. 이들 다수의 제 1 및 제 2 클러치 플레이트(142, 148)는 클러치 유체 내에 놓이거나 클러치 유체로 적셔질 때 최적의 기능을 발휘하는 적절한 마찰 클러치 종이 또는 재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클러치 허브(154)는 출력 허브(100) 상에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며, 원형 클러치 허브(154)와 입력 허브(82)의 방사상으로 그리고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는 인접 표면 사이에 배치된 마찰-방지 롤러 베어링 어셈블리(156)에 의해 상기한 자유로운 회전이 보장된다.
원형 클러치 허브(154)는 출력 허브(100)의 축 둘레에 원형으로 배치된 다수의, 바람직하게는 3 개의, 램프 형성 리세스(158)를 포함하고 있다. 리세스(158)는 헬리컬 원환체의 경사진 부분을 각각 한정한다. 각각의 리세스(158) 내에는 리세스(158)에 의해 한정되는 램프를 따라 구르는 하중 전달 부재, 예컨대 볼 베어링(160) 또는 그와 유사한 구성요소가 배치되어 있다. 직경이 큰 원형 부재(162)는 원형 클러치 허브(154)와 대향하는 상태로 배치되어 있으며, 보완적인 크기와 배열을 갖는 다수의 리세스(164)를 포함하고 있다. 하중 전달 볼(160)은 쌍을 이루어 대향 배치된 리세스(158, 164) 내에 이탈이 가능하지 않게 수용되어 있으며, 리세스(158, 164)의 단부는 구부러져 있고, 리세스(158, 164)의 중간 영역부보다 경사도가 심하다.
리세스(158, 164) 및 하중 전달 볼(160)은 그들 사이의 상대 회전에 응하여 원형 클러치 허브(154)와 제 2 원형 부재(162)의 축방향 변위를 야기하는 유사한 형태의 기계적인 요소로 대체될 수도 있음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롤러와 같이 중간에 개재되는 기계적인 요소를 갖춘 또는 갖추지 않은 보완적인 형상의 원추 나선부 또는 보완적인 경사 페이스 캠 내에 배치된 테이퍼 경사진 롤러가 사용될 수도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밍 오퍼레이터는 원형 클러치 허브(154')와 직경이 큰 원형 부재(162') 상에 배치된 대향하는 페이스 캠(166A, 166B)을 교대로 포함하고 있다. 리세스(158, 164) 및 하중 전달 볼(160)의 작용과 유사하게, 원형 클러치 허브(154')와 원형 부재(162')가 상대 회전을 하게 되면, 페이스 캠(166A, 166B)은 클러치 허브(154')와 원형 부재(162')를 축방향으로 분리시킨다.
리세스(158, 164), 하중 전달 볼(160) 및 페이스 캠(166A, 166B)의 설계에 있어서 중요한 고려 사항은 클러치 어셈블리(70)가 스스로 맞물리지 않도록 클러치 어셈블리(70)의 기하학, 전반적인 설계 및 간격이 설정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전자기 클러치 어셈블리(70)는 스스로 맞물리는 것이 아니라 제어기 또는 마이크로프로세서(50)에 의해 제공된 입력 신호에 직접적으로 정비례하게 응답하여 마찰 클러치 팩의 클램핑을 조절할 수 있어야 한다.
다시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직경이 큰 원형 부재(162)는, 직경이 큰 원형 부재(162)가 출력 허브(100)와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출력 허브(100)상의 수형 또는 외부 스플라인 또는 기어 치(172)와 맞물리는 암형 또는 내부 스플라인(168)을 포함하고 있다.
메인 또는 이차 마찰 클러치 팩 어셈블리(180)는 직경이 큰 원형 부재(162)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있다. 메인 또는 이차 마찰 클러치 팩 어셈블리(180)는 입력 부재(82) 상의 암형 스플라인(146) 내에 수용된 외부 또는 수형 스플라인(184)을 갖춘 직경이 큰 다수의 제 1 마찰 클러치 디스크 또는 플레이트(182)를 포함하고 있다. 다수의 제 1 마찰 클러치 플레이트(182)에는, 출력 허브(100) 상의 보완적인 형태로 구성된 수형 스플라인(192)과 맞물리는 내부 또는 암형 스플라인(188)을 구비하는 직경이 작은 다수의 제 2 마찰 클러치 디스크 또는 플레이트(186)가 끼워져 있다. 이들 마찰 플레이트(182, 186)는 클러치 유체 내에 놓이거나 클러치 유체로 적셔질 때 최적의 기능을 발휘하는 적절한 마찰 클러치 종이 또는 재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원형 칼라(196)는 메인 또는 이차 마찰 클러치 팩(180)에 대한 반작용 표면을 제공하며, 입력 부재(82)의 내표면과 볼 베어링 어셈블리(98) 및 오일 밀봉부재(106) 사이에 연장되어 있다. 칼라(196)는 협동하는 보유 와셔(198)와 스냅 링(202)에 의해 제 위치에 유지된다. 원주형 채널(206) 내에 배치된 오-링(204)은 원형 칼라(196)와 입력 부재(82) 사이에 적절한 밀봉을 제공한다.
따라서, 입력 부재(82)와 원형 칼라(196)에 의해 한정되는 클러치 어셈블리의 내부 영역은 오-링(106, 132, 204)에 의해 밀봉됨으로써 그 내부에 클러치 유체(208)가 용이하게 보유될 수 있고, 젖은 마찰 클러치 팩(140, 180)을 사용할 수 있으며, 마찰 플레이트(142, 148, 182, 186) 상에서 호환 가능한 마찰 재료를 사용할 수 있음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솔레노이드 코일(110)에 전기 에너지가 인가되면, 환상 플런저(120)가 환상 하우징(112)을 향해 당겨짐으로써, 파일럿 마찰 클러치 팩(140)이 압축되어 제 2 원형 부재(162)에 대해 제 1 원형 허브(154)가 회전하는 드래그가 생성되며, 하중 전달 볼(160)이 리세스(158, 162) 위에 놓여서 원형 클러치 허브(154)와 원형 부재(162)를 분리시킨다. 원형 부재(162)는 인가 플레이트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며, 그러한 축방향 이동에 의해 메인 또는 이차 마찰 클러치 팩(180)이 압축되고, 입력 부재(82)와 출력 허브(100) 사이에 토크가 전달된다. 솔레노이드 하우징(112) 및 플런저 사이의 자기 견인, 특히 절두 원추형 표면(114, 122) 사이의 경사진 공기 갭은 동작의 제어 및 선형성을 향상시킨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전술한 내용은 일차 전륜 구동 파워 트레인을 구비한 모터 차량의 후방 차동 장치와 관련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에 따른 솔레노이드형 오퍼레이터를 구비한 전자기 클러치는 정확하고 반복 가능한 조절 클러치 동작을 요구하는 기계 동력 분배 시스템에 폭 넓게 적용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따라서, 전자기 클러치는 트랜스퍼 케이스 등의 모터 차량 구동 라인 구성요소에 사용될 수도 있다.
전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도록 발명자들에 의해 고안된 최적의 실시 형태이다. 그러나, 전자기 클러치 어셈블리 분야에서 숙련된 기술을 습득한 당업자라면 본 발명을 여러 가지로 변경 및 변형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도록 발명자들에 의해 고안된 최적의 실시 형태를 설명한 것으로서,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기재되어 있으므로, 본 발명이 상기한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상기한 모든 변형 및 변경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에 기재하는 특허청구범위의 정신 및 범주에 의해서만 제한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 클러치 어셈블리는 솔레노이드 작동 방식 볼 램프 오퍼레이터를 구비함으로써, 동력 소모는 줄어들고 제어 능력은 향상된다.
도 1은 후방 차동 장치에 인접하게 배치된 본 발명에 따른 솔레노이드형 오퍼레이터를 구비한 전자기 클러치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사륜 구동 모터 차량 파워 트레인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솔레노이드형 오퍼레이터를 구비한 전자기 클러치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3-3 선을 따라 취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 클러치 어셈블리의 볼 램프 액추에이터가 평평한 형태로 전개된 모습을 보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솔레노이드형 오퍼레이터를 구비한 전자기 클러치 어셈블리의 일부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3의 5-5 선을 따라 취한 본 발명에 따른 솔레노이드형 오퍼레이터를 구비한 전자기 클러치 어셈블리의 일부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솔레노이드형 오퍼레이터를 구비한 전자기 클러치 어셈블리의 경사진 캐밍(camming) 표면을 갖는 캠 액추에이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측면도이다.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사륜 차량 구동 트레인
12: 제 1 발동기
14: 트랜스
20: 일차 또는 전방 구동 라인 액슬
22: 전방 또는 일차 지주 샤프트
24: 전방 또는 일차 차동 장치
26: 전방 차축
28: 전방 또는 일차 타이어 및 차륜 어셈블리
30: 이차 또는 후방 구동 라인
32: 이차 지주 샤프트
34: 유니버설 조인트
36: 후방 또는 이차 차동 장치 어셈블리
38: 이차 또는 후방 차축
40: 이차 또는 후방 타이어 및 차륜 어셈블리
50: 제어기 또는 마이크로프로세서
70: 전자기 클러치 어셈블리

Claims (14)

  1. 입력 부재(84) 및 그와 동축적으로 배열된 출력 부재(100)와,
    다수의 캐밍 표면(158, 166A)을 갖는 제 1 부재(154, 154') 및 상기 제 1 부재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다수의 캐밍 표면(164, 166B)을 가지며 상기 출력 부재에 커플링되어 그와 함께 회전하는 제 2 부재(162, 162')를 구비한 캐밍 오퍼레이터와,
    상기 제 1 원형 부재에 스플라인 결합된 다수의 제 1 클러치 플레이트(148) 및 상기 입력 부재에 스플라인 결합된 다수의 제 2의, 삽입 클러치 플레이트(142)를 구비한 제 1 클러치 팩(140)과,
    솔레노이드 코일(110), 상기 솔레노이드 코일의 작동에 의해 병진 운동을 하는 환상 플런저(120), 및 상기 환상 플런저에 커플링되고 상기 제 1 클러치 팩(140)을 압축할 수 있도록 된 환상 인가 플레이트(136)와,
    상기 입력 부재에 스플라인 결합된 다수의 제 1 클러치 플레이트(182) 및 상기 출력 부재에 스플라인 결합된 다수의 제 2의, 삽입 클러치 플레이트(186)를 구비한 제 2 클러치 팩(180)을 포함하는, 전자기 솔레노이드형 클러치 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솔레노이드 코일(110)은 하우징(112)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 및 환상 플런저는 상호 보완적이고 대향 배치된 경사 표면(114, 122)을 포함하는, 전자기 솔레노이드형 클러치 어셈블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부재(84)를 수용할 수 있도록 된 외부 하우징(72)과, 상기 외부 하우징(72) 내에서 상기 입력 부재(84)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마찰-방지 베어링(80)을 또한 포함하는, 전자기 솔레노이드형 클러치 어셈블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하우징(72)은 죔쇠를 수용할 수 있도록 된 다수의 축방향 개구부(76)를 갖춘 마운팅 플랜지(74)를 포함하는, 전자기 솔레노이드형 클러치 어셈블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캐밍 오퍼레이터는 상기 캐밍 표면(158, 164) 상에 배치된 다수의 하중 전달 부재(160)를 더 포함하는, 솔레노이드형 클러치 어셈블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원형 부재(162)는 상기 제 2 클러치 팩(180)에 인접하게 배치된 압력 플레이트인, 전자기 솔레노이드형 클러치 어셈블리.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클러치 팩(140, 180)이 들어있는 상기 클러치 어셈블리의 내부 영역을 밀봉하기 위한 다수의 밀봉부재(106, 132)를 또한 포함하며, 상기 내부 영역에는 클러치 유체(208)가 들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 솔레노이드형 클러치 어셈블리.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환상 플런저(120) 및 상기 환상 인가 플레이트(136) 사이에서 연장되는 다수의 스터드(124)를 더 포함하는, 전자기 솔레노이드형 클러치 어셈블리.
  9. 솔레노이드 오퍼레이터를 구비한 토크 전달 장치로서,
    회전 가능한 입력 부재(84)와,
    회전 가능한 출력 부재(100)와,
    대향하는 캠 표면(158, 166A, 164, 166B)을 한정하는 제 1 및 제 2 캠 부재(154, 154', 162, 162')를 구비하며, 상기 제 1 캠 부재는 상기 출력 부재에 커플링되어 그와 함께 회전하는 캠 오퍼레이터와,
    상기 입력 부재에 커플링된 다수의 제 1 클러치 플레이트(182) 및 상기 출력 부재에 커플링되고 상기 다수의 제 1 클러치 플레이트가 끼워진 다수의 제 2 클러치 플레이트(186)를 구비한 메인 클러치(180)와,
    환상 코일(110), 환상 플런저(120), 및 상기 환상 플런저에 커플링된 인가 플레이트(136)를 구비한 솔레노이드 어셈블리와,
    상기 입력 부재에 커플링된 다수의 제 1 클러치 플레이트(142) 및 상기 인가 플레이트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다수의 제 1 클러치 플레이트가 끼워진 다수의 제 2 클러치 플레이트(148)를 구비한 파일럿 클러치(14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솔레노이드 코일에 에너지가 인가되면, 상기 플런저가 병진 운동을 하여 상기 파일럿 클러치가 압축되는, 토크 전달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솔레노이드 코일(110)은 하우징(112) 내에 배치되며, 상기 하우징(112) 및 환상 플런저(120)는 상호 보완적이고 대향 배치된 경사 표면(114, 122)을 포함하는, 토크 전달 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부재(84)를 수용할 수 있도록 된 외부 하우징어셈블리(72)와, 상기 외부 하우징(72) 내에서 상기 입력 부재(84)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마찰-방지 베어링(80)을 더 포함하는, 토크 전달 장치.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부재(100)는 스플라인이 형성된 내부 통로(104)를 한정하는, 토크 전달 장치.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환상 플런저(120) 및 상기 환상 인가 플레이트(136) 사이에서 연장되는 다수의 스터드(124)를 더 포함하는, 토크 전달 장치.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럿 및 메인 클러치 팩(140, 180)이 들어있는 상기 클러치 어셈블리의 내부 영역을 밀봉하기 위한 다수의 밀봉부재(106, 132)를 더 포함하는, 토크 전달 장치.
KR1020040060831A 2003-08-11 2004-08-02 솔레노이드형 오퍼레이터를 구비한 전자기 클러치 어셈블리 KR1011048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638,781 2003-08-11
US10/638,781 US6905008B2 (en) 2003-08-11 2003-08-11 Electromagnetic clutch assembly having solenoid type opera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6091A true KR20050016091A (ko) 2005-02-21
KR101104843B1 KR101104843B1 (ko) 2012-01-17

Family

ID=341357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0831A KR101104843B1 (ko) 2003-08-11 2004-08-02 솔레노이드형 오퍼레이터를 구비한 전자기 클러치 어셈블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905008B2 (ko)
JP (1) JP2005061629A (ko)
KR (1) KR101104843B1 (ko)
CN (1) CN100406765C (ko)
DE (1) DE102004034009B4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6461B1 (ko) * 2005-12-22 2008-06-09 다이모스(주) 가동코일 클러치 액츄에이터 오퍼레이터를 갖는 트랜스퍼 케이스
KR100864586B1 (ko) * 2007-05-17 2008-10-20 다이모스(주) 사륜구동차량의 토크온디멘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48625B1 (fr) * 2002-12-17 2005-04-08 Thales Sa Dispositif d'accouplement a crabot
US7338403B2 (en) * 2004-08-30 2008-03-04 Magna Powertrain Usa, Inc. Torque coupling with power-operated clutch actuator
JP4967640B2 (ja) * 2006-05-15 2012-07-04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電磁式アクチュエータ、同電磁式アクチュエータを構成機構とする電磁式クラッチ、および、同電磁式クラッチを構成機構とする車両用駆動力伝達装置
US20080090694A1 (en) * 2006-10-13 2008-04-17 Magnetic Torque International, Ltd. Torque transfer system, method of using the same,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the same
US9083049B2 (en) 2006-10-16 2015-07-14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Additives for fuel cell layers
JP5247135B2 (ja) * 2007-05-18 2013-07-24 Gknドライブラインジャパン株式会社 駆動力分配伝達装置
US20080296117A1 (en) * 2007-05-29 2008-12-04 Leising Brian E Electrically Actuated Clutch Torque Signature
DE102008031583A1 (de) * 2007-08-01 2009-02-05 Borgwarner Inc., Auburn Hills Drehmomentübertragungsvorrichtung mit verminderter Drehmomentschwankung
CN101796329A (zh) 2007-09-13 2010-08-04 博格华纳公司 受控的差速器致动器
DE112009000860T5 (de) 2008-05-13 2011-06-09 Borgwarner Inc., Auburn Hills Flash-Speicher-Signaturkalibrierung
US9279461B2 (en) * 2008-05-13 2016-03-08 Borgwarner Inc. Integrated memory chip for a coupling device
DE102010005568A1 (de) 2009-01-30 2010-08-19 Borgwarner Inc., Auburn Hills Schätzung der Solenoidaktuatorkraftleitung durch Analyse von Spannungs- und Stromsignalen
US8490769B2 (en) * 2009-03-19 2013-07-23 Borgwarner Inc. Lever applied solenoid clutch actuator
EP2290253B1 (en) * 2009-08-24 2012-06-27 Dymos Inc. Power transmission system for vehicle changing power transmission state by electric control
US8276724B2 (en) * 2009-08-26 2012-10-02 Dymos Inc. Power transmission system for vehicle changing power transmission state by electric control
CN102009592B (zh) * 2009-09-04 2013-06-19 岱摩世株式会社 电控式车辆变速动力传动系统
US20110213532A1 (en) * 2010-03-01 2011-09-01 Blair Ricky E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a two-speed transfer case
US8522943B2 (en) * 2011-03-07 2013-09-03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 Llc Electromagnetically controlled clutch assembly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US9322632B2 (en) * 2011-12-05 2016-04-26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Linear position sensor assembly having magnetic shield
JP6061815B2 (ja) * 2013-08-19 2017-01-18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モータ
DE112014005178A5 (de) * 2013-11-13 2016-07-21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Rampensystem zum Betätigen einer Reibungskupplung
DE102013223498B4 (de) * 2013-11-18 2016-01-07 Magna powertrain gmbh & co kg Kupplungsaktuator
US10408323B2 (en) 2014-07-16 2019-09-10 Dana Automotive Systems Group, Llc Drive unit with twin side shaft torque coupling
US9109646B1 (en) * 2015-01-12 2015-08-18 Borgwarner Inc. Transfer case with lever applied solenoid clutch actuator
JP6735180B2 (ja) * 2016-03-04 2020-08-05 ジーケーエヌ オートモーティブ リミテッド カム機構及びこのカム機構を用いたクラッチ装置。
DE102016204290A1 (de) * 2016-03-16 2017-09-21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Kupplungssystem
WO2017157372A1 (de) * 2016-03-16 2017-09-21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Kupplungssystem
CN106545595B (zh) * 2017-01-09 2019-11-26 山东理工大学 无刷线控离心球臂接合装置的电磁离合器
CN106763736B (zh) * 2017-01-09 2022-06-28 山东理工大学 带无刷线控离心球臂接合装置的汽车六档自动变速器
US10197144B2 (en) 2017-01-20 2019-02-05 Dana Heavy Vehicle Systems Group, Llc Drive unit with torque vectoring and an axle disconnect and reconnect mechanism
KR102261551B1 (ko) * 2017-06-14 2021-06-07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토크전달장치
CN107605988A (zh) * 2017-09-22 2018-01-19 芜湖禾丰离合器有限公司 一种减震减噪离合器
JP7275874B2 (ja) * 2018-07-06 2023-05-18 株式会社デンソー クラッチ装置
DE102019108652B3 (de) 2019-04-03 2020-01-09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Kupplungsvorrichtung für ein Robotergelenk sowie Roboter mit einer solchen Kupplungsvorrichtung
CN111075854B (zh) * 2019-12-31 2021-03-12 西南大学 具有多片式摩擦离合器的中央驱动式自适应电驱动总成
JP2022083683A (ja) * 2020-11-25 2022-06-06 ジーケーエヌ オートモーティブ リミテッド 終減速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56657A (en) * 1957-09-12 1960-10-18 Bendix Corp Clutch
US3425529A (en) * 1966-07-07 1969-02-04 Toyoda Automatic Loom Works Magnetic clutch for a car cooler compressor
JPS62209229A (ja) 1986-03-06 1987-09-14 Tochigi Fuji Ind Co Ltd 電磁クラツチ
CN86203432U (zh) * 1986-05-24 1987-09-02 田金铭 湿式多片摩擦式电磁离合器
US4828091A (en) * 1988-02-05 1989-05-09 Dana Corporation Electromagnetically actuated friction disc clutch
US4838118A (en) * 1988-03-10 1989-06-13 Eaton Corporation Anti-spin differential
US4989686A (en) * 1988-07-07 1991-02-05 Borg-Warner Automotive, Inc. System for controlling torque transmission in a four wheel drive vehicle
US5083986A (en) * 1989-07-20 1992-01-28 Tochigifujisangyo Kabushiki Kaisha Coupling apparatus with double clutches
US5052534A (en) * 1990-10-30 1991-10-01 Dana Corporation Electromagnetic synchronizing and shifting clutch
US5311990A (en) * 1992-02-19 1994-05-17 Ethicon, Inc. Thermoformed blister package having quick disconnect locking cover mechanism
JP3297476B2 (ja) * 1992-09-29 2002-07-02 栃木富士産業株式会社 電磁クラッチ
CA2116411C (en) * 1993-02-26 1997-08-26 Jun Aoki Connecting system
US6196361B1 (en) * 1996-02-16 2001-03-06 Sundstrand Corporation Compact electric asymmetry brake
IN190089B (ko) * 1996-03-01 2003-06-07 Eaton Corp
JP3738083B2 (ja) * 1996-07-17 2006-01-25 豊田工機株式会社 駆動力伝達装置
US5810141A (en) * 1996-12-13 1998-09-22 Eaton Corporation Driveline clutch with unidirectional apply ball ramp
EP0856676B8 (en) * 1997-01-29 2005-01-12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Clutch arrangement
US5884738A (en) * 1997-04-30 1999-03-23 Borg-Warner Automotive, Inc. Clutch assembly having reaction force circuit
US5911643A (en) * 1998-01-02 1999-06-15 Eaton Corporation Differential gear mechanism and improved ball-ramp actuation thereof
US6098770A (en) * 1999-03-19 2000-08-08 Borgwarner Inc. Clutch assembly having reaction force circuit
JP4102510B2 (ja) 1999-04-13 2008-06-18 Gkn ドライブライン トルク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カップリング
US6101897A (en) * 1999-08-27 2000-08-15 Borgwarner Inc. Transfer case clutch configuration
US6378677B1 (en) * 2000-10-03 2002-04-30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Power transmission device having electromagnetic clutch
JP4247568B2 (ja) * 2001-01-24 2009-04-02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駆動力伝達装置
EP1248007B1 (de) * 2001-04-06 2004-01-14 BorgWarner Inc. Flüssigkeitsreibungskupplung
US6537172B1 (en) * 2001-10-18 2003-03-25 Eaton Corporation Electronically actuated modulatable differential
US6691845B2 (en) * 2001-11-21 2004-02-17 Borgwarner, Inc. Ball ramp clutch having force amplifying configuratio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6461B1 (ko) * 2005-12-22 2008-06-09 다이모스(주) 가동코일 클러치 액츄에이터 오퍼레이터를 갖는 트랜스퍼 케이스
KR100864586B1 (ko) * 2007-05-17 2008-10-20 다이모스(주) 사륜구동차량의 토크온디멘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905008B2 (en) 2005-06-14
KR101104843B1 (ko) 2012-01-17
DE102004034009B4 (de) 2016-03-17
DE102004034009A1 (de) 2005-03-10
CN100406765C (zh) 2008-07-30
CN1580598A (zh) 2005-02-16
JP2005061629A (ja) 2005-03-10
US20050034950A1 (en) 2005-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4843B1 (ko) 솔레노이드형 오퍼레이터를 구비한 전자기 클러치 어셈블리
US6098770A (en) Clutch assembly having reaction force circuit
KR100484212B1 (ko) 반력회로를구비한클러치조립체
US6761662B2 (en) Electromagnetic coupling apparatus
CN100416125C (zh) 具有马达驱动的球斜面操作器的摩擦离合器组
KR100373168B1 (ko) 일체형휠단부시스템
KR100562767B1 (ko) 자성 유체 클러치를 포함한 트랜스퍼 케이스 조립체 및 차동장치 조립체
US20030155201A1 (en) Torque transfer clutch with magnetorheological actuator and ball screw operator
JPH07228168A (ja) 動力伝達組立体
US6790154B1 (en) Rear axle having electromagnetic clutches and geared differential
US6837351B2 (en) Electromagnetic clutch assembly having enhanced torque throughput
US20060011441A1 (en) Ball ramp actuator having differential drive
KR100285140B1 (ko) 동력 전달 조립체
US20040040801A1 (en) Electromagnetic brake
US6854571B2 (en) Electromagnetic brake and drive force distributing apparatus for vehicle using the electromagnetic brake
EP1510715B1 (en) Electromagnetic clutch assembly having enhanced torque throughput
JP2004060663A (ja) 電磁ブレーキ
JP3456887B2 (ja) 駆動力伝達装置
JP2004060698A (ja) 電磁ブレーキ
KR101080620B1 (ko) 향상된 토오크 출력을 갖는 전자기 클러치 어셈블리
JP2005076699A (ja) トルク発生量が改良された電磁クラッチ組立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