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15151A - 타블렛 모니터 - Google Patents

타블렛 모니터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15151A
KR20050015151A KR1020030053835A KR20030053835A KR20050015151A KR 20050015151 A KR20050015151 A KR 20050015151A KR 1020030053835 A KR1020030053835 A KR 1020030053835A KR 20030053835 A KR20030053835 A KR 20030053835A KR 20050015151 A KR20050015151 A KR 200500151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monitor
handle
main body
support st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38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70986B1 (ko
Inventor
김대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538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0986B1/ko
Priority to US10/851,205 priority patent/US6980426B2/en
Priority to CNB2004100713518A priority patent/CN1332280C/zh
Publication of KR200500151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51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09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098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48/00Supports
    • Y10S248/917Video display screen sup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결합부가 구비됨으로써 모니터본체 및 지지스탠드를 간단하고 편리하게 결합 또는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한 타블렛 모니터(Tablet Monitor)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타블렛 모니터는, 커넥터결합부(22) 및 손잡이수용부(24)가 형성된 모니터본체(20)와; 모니터본체(20)의 손잡이수용부(24)에 절첩 가능하도록 수용되는 손잡이(30)와; 모니터본체(20)의 후방에 연결되며, 모니터본체(20)의 커넥터결합부(22)에 결합되는 커넥터(42)가 형성된 지지스탠드(40)와; 손잡이(30) 및 지지스탠드(40)에 대응 형성되어,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1결합부(50)와; 모니터본체(20) 및 지지스탠드(40)에 대응 형성되어,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2결합부(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따라, 지지스탠드 및 모니터본체를 간편하고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어, 타블렛 모니터의 기능성 및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타블렛 모니터 {TABLET MONITOR}
본 발명은 타블렛 모니터(Tablet Monitor)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결합부가 구비됨으로써 모니터본체 및 지지스탠드를 간단하고 편리하게 결합 또는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한 타블렛 모니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타블렛 모니터(Tablet Monitor)는 대화형 그래픽에서 주로 사용되는 입력장치로서, 스타일러스(stylus)나 핸드커서가 그 위를 움직임에 따라 그 위치가 컴퓨터에 전달된다.
이러한 타블렛 모니터는 모니터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은 물론이고 종이 위에 글씨를 쓰거나 그림을 그리듯이 화면 위에 직접 문자를 기입하거나 원하는 그림을 그릴 수 있다.
그로 인해, CAD나 그래픽 분야에서는 이미 일반적인 입력 장치로 자리매김한 상태이다.
종래의 타블렛 모니터는 커넥터연결부가 구비되어 있는 모니터본체와; 상기 모니터본체의 배면에 절첩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손잡이와; 상기 모니터본체의 후방에 결합되며, 상기 모니터본체의 커넥터연결부와 결합되는 커넥터가 구비되어 있는 지지스탠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손잡이는 지지스탠드를 제거하여 모니터본체를 들고 사용할 때 필요한 것으로, 지지스탠드와 연결하여 사용할 때에는 유동되지 않도록 모니터본체에 결합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타블렛 모니터 대부분은 모니터본체 및 지지스탠드를 신속하게 결합 또는 해제하기 위해 커넥터에 의해서만 서로 연결되어 있는 구조를 지니고 있어, 외부의 조금만 충격에도 그 결합상태에 문제가 생겨 타블렛 모니터의 손상을 초래할 가능성이 높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모니터본체 및 지지스탠드를 간편하게 결합시킴과 아울러 그 결합상태를 견고히 유지할 수 있는 타블렛 모니터를 제공하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커넥터결합부 및 손잡이수용부가 형성된 모니터본체와; 상기 모니터본체의 손잡이수용부에 절첩 가능하도록 수용되는 손잡이와; 상기 모니터본체의 후방에 연결되며, 상기 모니터본체의 커넥터결합부에 결합되는 커넥터가 형성된 지지스탠드와; 상기 손잡이 및 상기 지지스탠드에 대응 형성되어,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1결합부와; 상기 모니터본체 및 상기 지지스탠드에 대응 형성되어,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2결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데 그 특징이 있다.
상기 제1결합부는 상기 손잡이 중앙에 형성된 제1결합홀과; 상기 지지스탠드에 형성되어, 상기 제1결합홀에 대응 결합되는 제1결합돌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결합부는 상기 손잡이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1결합돌기의 결합 또는 분리에 따라 탄력적으로 유동되어 상기 모니터본체에 선택적으로 관통 결합되는 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핀부재는 상기 손잡이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1결합돌기의 결합 또는 분리에 따라 탄력적으로 유동되는 탄성체와; 상기 탄성체와 연동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모니터본체에 선택적으로 관통 결합되는 지지핀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결합부는 상기 모니터본체 및 상기 지지스탠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된 제2결합홈과; 상기 제2결합홈과 대응 결합되도록 다른 하나에 형성된 제2결합돌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타블렛 모니터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타블렛 모니터의 손잡이 작동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의 (a),(b)는 본 발명에 따른 타블렛 모니터 결합구조를 도시한 부분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타블렛 모니터(Tablet Monitor)는 커넥터결합부(22) 및 손잡이수용부(24)가 각각 형성된 모니터본체(20)와; 모니터본체(20)의 손잡이수용부(24)에 절첩 가능하도록 수용되는 손잡이(30)와; 모니터본체(20)의 후방에 연결되며, 모니터본체(20)의 커넥터결합부(22)에 결합되는 커넥터(42)가 형성된 지지스탠드(40)와; 손잡이(30) 및 지지스탠드(40)에 대응 형성되어,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1결합부(50)와; 모니터본체(20) 및 지지스탠드(40)에 대응 형성되어,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2결합부(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모니터본체(20)는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기능은물론이고 화면 위에 직접 문재를 기입하거나 원하는 그림을 그릴 수 있다. 커넥터연결부(22)는 모니터본체(20)의 배면 하부에 설치되어, 지지스탠드(40)의 커넥터(42)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그리고 손잡이수용부(24)는 장착되는 손잡이(30)의 크기 및 형상에 적합하도록 형성되며, 그 중앙부에는 핀지지홀(26)이 형성되어 있다.
손잡이(30)는 모니터본체(20)의 중앙에 위치하여, 모니터본체(20) 및 지지스탠드(40)의 결합 또는 분리에 따라 선택적으로 절첩할 수 있는 구조를 지니고 있다. 즉, 모니터본체(20)를 지지스탠드(40)에서 분리하여 사용시에는 손잡이(30)를 펴서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모니터본체(20)를 지지스탠드(40)에 결합하여 사용시에는 손잡이(30)를 접어 모니터수용부(24)에 수용·보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손잡이(30)는 제1결합부(50)의 결합 또는 분리에 의해 모니터본체(20)에 선택적으로 고정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이는 후술할 제1결합부(50) 구조를 통해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지지스탠드(40)는 모니터본체(20)를 지지하며, 그 구조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제1결합부(50)는 손잡이(30)의 중앙 하부에 형성된 제1결합홀(52)과; 지지스탠드(40)에 형성되어, 제1결합홀에(52) 대응 결합되는 제1결합돌기(54)와; 손잡이(30) 내부에 설치되며, 제1결합돌기(54)가 제1결합홀(52)에 결합 또는 분리됨에 따라 탄력적으로 유동되어 모니터본체(20)의 핀지지홀(26)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핀부재(5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로 인해, 모니터본체(20) 및 지지스탠드(40)를 상호 결합시킴과 동시에 손잡이(30)를 모니터본체(20)에 결합시킬 수 있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핀부재(56)는 별도로 형성하여 제1결합돌기(54)의 작동상태와는 관계없이 작동되도록 할 수도 있다.
핀부재(56)는 손잡이 내부에 설치되는 탄성체(57)와; 탄성체(57)에 설치되며, 제1결합돌기(54)의 결합 또는 분리에 따른 탄성체(57)의 유동에 의해 연동되어 모니터본체(20)의 핀지지홀(26)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지지핀(58)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핀부재(56)는 제1결합돌기(54)에 의해 탄력적으로 유동 가능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구조로 변형 가능하다.
탄성체(57)는 탄력적으로 유동 가능한 여러 종류의 것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지만,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복원력이 우수한 판스프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결합부(60)는 모니터본체(20) 및 지지스탠드(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형성된 제2결합홈(62), 제2결합홈(62)과 대응 결합되도록 다른 하나에 형성된 제2결합돌기(64)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모니터본체(20)에 제2결합홈(62)이 형성되고, 지지스탠드(40)에 제2결합홈(62)과 대응되는 제2결합돌기(64)가 형성되어 있는 구조이다.
제2결합부(60)는 그 결합력을 견고히 유지시키기 위해서 모니터본체(20)의 커넥터연결부(24)의 양측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타블렛 모니터의 결합 과정을 간단히 살펴보면 하기와 같다.
모니터본체(20)의 배면 하부에 형성된 제2결합홈(62)에 지지스탠드(40)의 제2결합돌기(64)가 삽입되어 결합됨과 동시에 손잡이(30)에 형성된 제1결합홀(52)과 지지스탠드(40)의 제1결합돌기(54)가 결합되어 모니터본체(20) 및 지지스탠드(40)의 연결상태가 견고히 유지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모니터본체(20)의 커넥터결합부(22)와 지지스탠드(40)의 커넥터(42)도 결합된다.
또한, 손잡이(30)는 지지스탠드(40)의 제1결합돌기가 손잡이(30)에 형성된 제1결합홀(52)에 결합되면서 핀부재(56)를 상승시킴으로써 핀부재(56)가 손잡이수용부(24) 상측에 형성된 핀지지홀(26)에 관통 결합됨으로써 모니터본체(20)에 결합된다.
한편, 제1결합돌기(54)가 제1결합홀(52)에서 분리되면 핀부재(56)가 탄력적으로 원상 복귀되어 모니터본체(20)와의 연결상태가 해제됨으로써 손잡이(30)를 자유롭게 절첩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모니터본체 및 지지스탠드를 간편하면서도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어, 타블렛 모니터의 기능성 및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모니터본체 및 지지스탠드 결합구조를 통해 손잡이를 동시에 결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타블렛 모니터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타블렛 모니터의 손잡이 작동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의 (a),(b)는 본 발명에 따른 타블렛 모니터 결합구조를 도시한 부분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 모니터본체 22 : 커넥터결합부
24 : 손잡이수용부 30 : 손잡이
40 : 지지스탠드 42 : 커넥터
50 : 제1결합부 52 : 제1결합홀
54 : 제1결합돌기 56 : 핀부재
60 : 제2결합부

Claims (5)

  1. 커넥터결합부 및 손잡이수용부가 형성된 모니터본체와;
    상기 모니터본체의 손잡이수용부에 절첩 가능하도록 수용되는 손잡이와;
    상기 모니터본체의 후방에 연결되며, 상기 모니터본체의 커넥터결합부에 결합되는 커넥터가 형성된 지지스탠드와;
    상기 손잡이 및 상기 지지스탠드에 대응 형성되어,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1결합부와;
    상기 모니터본체 및 상기 지지스탠드에 대응 형성되어,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2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블렛 모니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는 상기 손잡이 중앙에 형성된 제1결합홀과; 상기 지지스탠드에 형성되어, 상기 제1결합홀에 대응 결합되는 제1결합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블렛 모니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는 상기 손잡이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1결합돌기의 결합 또는 분리에 따라 탄력적으로 유동되어 상기 모니터본체에 선택적으로 관통 결합되는 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블렛 모니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핀부재는 상기 손잡이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1결합돌기의 결합 또는 분리에 따라 탄력적으로 유동되는 탄성체와; 상기 탄성체와 연동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모니터본체에 선택적으로 관통 결합되는 지지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블렛 모니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결합부는 상기 모니터본체 및 상기 지지스탠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된 제2결합홈과; 상기 제2결합홈과 대응 결합되도록 다른 하나에 형성된 제2결합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블렛 모니터.
KR1020030053835A 2003-08-04 2003-08-04 타블렛 모니터 KR1007709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3835A KR100770986B1 (ko) 2003-08-04 2003-08-04 타블렛 모니터
US10/851,205 US6980426B2 (en) 2003-08-04 2004-05-24 Tablet monitor
CNB2004100713518A CN1332280C (zh) 2003-08-04 2004-07-20 图形输入板监视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3835A KR100770986B1 (ko) 2003-08-04 2003-08-04 타블렛 모니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5151A true KR20050015151A (ko) 2005-02-21
KR100770986B1 KR100770986B1 (ko) 2007-10-30

Family

ID=341142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3835A KR100770986B1 (ko) 2003-08-04 2003-08-04 타블렛 모니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6980426B2 (ko)
KR (1) KR100770986B1 (ko)
CN (1) CN1332280C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0716B1 (ko) * 2007-05-28 2014-04-3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91444B2 (en) * 2005-01-03 2009-09-22 Hannspree, Inc. Foldable stand for a display
CN2812226Y (zh) * 2005-08-02 2006-08-30 广州矽金塔电子有限公司 便携式可视电子产品支撑固定结构
TWI295705B (en) * 2006-07-26 2008-04-11 Compal Electronics Inc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with function of adjusting tilt angle of body and apparatus base thereof
US20080136973A1 (en) * 2006-12-08 2008-06-12 Ellis Park Portable projector system
CN100584157C (zh) * 2006-12-19 2010-01-20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自立式电子设备
TWI315770B (en) * 2007-03-22 2009-10-11 Qisda Corp Coupling mechanism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US20090095854A1 (en) 2007-09-06 2009-04-16 Paul Wilbur Forbes Formable Stand System
TWM342009U (en) * 2008-02-21 2008-10-01 Advanpos Technology Co Ltd Connection structure of display device
TW200946000A (en) * 2008-04-18 2009-11-01 Wistron Corp Display that can be assembled in a force-saving manner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display
US8096517B1 (en) * 2008-04-29 2012-01-17 Steven Hamilton Steering wheel laptop computer holder
US20110013351A1 (en) * 2009-07-20 2011-01-20 Mobile Monitor Technologies, Llc Portable monitor
US20110155873A1 (en) * 2009-12-30 2011-06-30 Winegard Company Mounting system for releasably securing an entertainment module to an automotive headrest
CN102026506A (zh) * 2010-12-10 2011-04-20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带多角度定位支架的电子装置
EP2766784B1 (en) 2011-10-14 2020-12-23 Ergotron, Inc. Tablet and monitor support systems
EP2766785B1 (en) 2011-10-14 2019-03-13 Ergotron, Inc. Tablet mounting arm systems and methods
DE112013006368T5 (de) * 2013-03-14 2015-10-08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Elektronisches Anzeigesystem mit einem tragenden Ständer
JP2014232849A (ja) * 2013-05-30 2014-12-11 株式会社東芝 電子機器用のスタンドおよび電子機器
TWI605716B (zh) * 2015-07-20 2017-11-11 李俊毅 裝載於一電子裝置的可拆卸式投影模組以及具有可拆卸式投影模組的電子裝置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00458Y2 (ja) * 1986-06-30 1996-06-05 株式会社東芝 携帯用電子機器
US4895231A (en) * 1987-09-14 1990-01-23 Sharp Kabushiki Kaisha Carrying case
US5100098A (en) * 1989-06-12 1992-03-31 Grid Systems Corporation Stand and handle for hand held computer
JPH03134718A (ja) * 1989-10-20 1991-06-07 Toshiba Corp 携帯型電子機器
JPH06195150A (ja) 1992-12-24 1994-07-15 Hitachi Ltd 情報処理装置
KR950009393A (ko) * 1993-09-21 1995-04-21 강창록 착탈식 디스플레이 판넬을 갖는 휴대용 컴퓨터
JP3134718B2 (ja) * 1995-06-22 2001-02-13 日新電機株式会社 開閉器の主回路導出装置及びその製作方法
JPH1091281A (ja) * 1996-08-19 1998-04-10 Internatl Business Mach Corp <Ibm> 情報処理機器
US5870280A (en) 1997-06-25 1999-02-09 Compal Electronics, Inc. Base for liquid crystal display having receptacle for accessories
KR100269014B1 (ko) 1997-09-04 2000-12-01 정구영 차량 도난방지 장치
US6556435B1 (en) 1997-10-31 2003-04-29 Hewlett-Packard Company Adjustable height docking station and computing device for use therewith
KR100275266B1 (ko) 1997-11-22 2001-01-15 밍루 매연 정화장치의 캐니스터 연결관
US6343006B1 (en) 1998-11-20 2002-01-29 Jerry Moscovitch Computer display screen system and adjustable screen mount, and swinging screens therefor
JP2001051750A (ja) 1999-08-04 2001-02-23 Hitachi Ltd 情報処理装置用スタンド
DE60036736T2 (de) 1999-08-23 2008-07-24 Jerry Toronto Moscovitch Universelle Schnellbefestigungsvorrichtung für einen LCD Monitor
KR20010059724A (ko) 1999-12-30 2001-07-06 서평원 충전회로
KR100386180B1 (ko) * 2000-10-05 2003-06-02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랫 패널형 디스플레이용 스탠드
JP4328932B2 (ja) 2000-11-30 2009-09-09 ソニー株式会社 モニタ装置およびベース装置
KR100404100B1 (ko) 2001-06-18 2003-1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장치
KR100427191B1 (ko) 2001-07-05 2004-04-17 (주)아이디에스테크놀로지 액정디스플레이 장치
US6762929B2 (en) * 2002-09-12 2004-07-13 Gateway, Inc. Display support apparatus
KR20190000900U (ko) * 2019-03-07 2019-04-10 문병승 주름 노루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0716B1 (ko) * 2007-05-28 2014-04-3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50030706A1 (en) 2005-02-10
KR100770986B1 (ko) 2007-10-30
CN1582100A (zh) 2005-02-16
US6980426B2 (en) 2005-12-27
CN1332280C (zh) 2007-08-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0986B1 (ko) 타블렛 모니터
US6867961B2 (en) Portable computer
US7448581B2 (en) Display apparatus
JPH11184395A (ja) ディスプレイ装置
US20060185276A1 (en) LCD-embeddable screen structure
KR20070092042A (ko) 정보처리장치용 홀딩케이스
JP2002132379A (ja) 携帯用コンピュータ
JP2006100671A (ja) 電子機器
KR20050115148A (ko) 펜의 착탈에 따라 표시모드를 자동 전환하는휴대용컴퓨터 및 그 제어방법
JP2010102316A (ja) デジタル画像表示装置
JP6009879B2 (ja) 携帯用電子端末装置
JPH11149327A (ja) 携帯用情報電子機器
JPH1039945A (ja) 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及び同システムに適用する拡張ユニット
KR200311586Y1 (ko) 다기능 독서대
JP2005354482A (ja) 卓上電子装置
KR100237591B1 (ko) 접철식 컴퓨터
JP6995167B1 (ja) キーボード支持装置
WO2023145287A1 (ja) 位置入力装置
JP4792593B2 (ja) タッチペンの固定構造
KR200160234Y1 (ko) 기능키(function key)가 대향되게 형성된 디스플레이 장치
KR19980049168U (ko) Lcd 모니터가 본체에 일체로 결합된 컴퓨터
KR200466992Y1 (ko) 태블릿 피씨
KR20160002099U (ko) 높이 조절 가능한 다용도 모니터 받침대
KR20110002610U (ko) 독서대 겸용 컴퓨터 키보드
KR200338064Y1 (ko)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