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6992Y1 - 태블릿 피씨 - Google Patents

태블릿 피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6992Y1
KR200466992Y1 KR2020120010220U KR20120010220U KR200466992Y1 KR 200466992 Y1 KR200466992 Y1 KR 200466992Y1 KR 2020120010220 U KR2020120010220 U KR 2020120010220U KR 20120010220 U KR20120010220 U KR 20120010220U KR 200466992 Y1 KR200466992 Y1 KR 20046699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board
tablet
coupling
present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102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상구
Original Assignee
한상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상구 filed Critical 한상구
Priority to KR20201200102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699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699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699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4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detachable, e.g. for remote us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62Details related to the integrated keyboard
    • G06F1/1669Detachable keybo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1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monit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3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compu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키보드가 탈착가능하게 구비된 새로운 구조의 태블릿 피씨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태블릿 피씨는 피씨본체(10)의 배면에 키보드(20)가 탈착가능하게 결합되어, 휴대와 보관이 용이할 뿐 아니라, 필요에 따라 키보드(20)를 분리하고 피씨본체(10)만 휴대할 수 있으므로, 휴대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태블릿 피씨{tablet pc}
본 고안은 키보드가 탈착가능하게 구비된 새로운 구조의 태블릿 피씨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휴대성을 강조한 다양한 종류의 태블릿 피씨가 개발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태블릿 피씨는 얇은 판 형상으로 구성되며, 전면에는 터치기능이 있는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되어 사용자가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최근에는 공개특허 제10-2012-0014689호를 비롯한 다양한 선행문헌에 나타난 바와 같이, 키보드가 구비되어 사용자가 문서작성 등을 할 때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다양한 종류의 태블릿 피씨가 개발되고 있다.
이때, 상기 키보드는 태블릿 피씨에 힌지결합되거나, 태블릿 피씨와 별도로 구성되어 필요에 따라 전기적 또는 블루투스 등의 무선통신을 통해 태블릿 피씨와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키보드가 일체로 구비된 태블릿 피씨의 경우, 키보드의 크기만큼 태블릿 피씨의 사이즈가 커지고 무게가 증가되므로, 휴대성을 강조한 태블릿 피씨의 장점이 훼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반대로, 키보드가 태블릿 피씨와 별도로 구성된 경우, 키보드를 태블릿 피씨와 별도로 보관 또는 휴대하여야 하므로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키보드가 탈착가능하게 구비되어 보관 및 휴대가 용이한 새로운 구조의 태블릿 피씨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르면, 전면에는 터치기능이 있는 디스플레이부(11)가 구비된 피씨본체(10)와, 결합수단(30)에 의해 상기 피씨본체(10)의 배면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된 키보드(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블릿 피씨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키보드(20)의 상면에는 상기 피씨본체(10)가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2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블릿 피씨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결합수단(30)은 상기 피씨본체(10)의 배면 양측에 구비된 가이드레일(31)과, 상기 키보드(20)의 양단에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레일(31)에 결합되는 돌출부(3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블릿 피씨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결합수단(30)은 상기 피씨본체(10)의 배면 양측에 형성된 결합홈(33)과, 상기 키보드(20)의 상면에 구비되어 상기 결합홈(33)에 맞물리는 돌기(3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블릿 피씨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결합수단(30)은 상기 피씨본체(10)의 배면에 오목하게 형성된 결합공(12)의 내부에 구비된 자성체재질의 고정부재(35)와, 상기 키보드(20)에 매입고정된 자석부재(36)와, 상기 키보드(20)의 상면에 상기 자석부재(36)의 상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측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된 자성체 재질의 연결부재(37)와, 상기 연결부재(37)에 연결되어 연결부재(37)가 상기 자석부재(36)의 상면에 밀착되도록 하는 탄성부재(38)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재(37)를 상기 결합공(12)에 끼우면 상기 연결부재(37)가 고정부재(35)에 밀착되고 상기 자석부재(36)에서 발생된 자력에 의해 상기 고정부재(35)와 연결부재(37)가 상호 부착되어 키보드(20)가 피씨본체(10)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블릿 피씨가 제공된다.
본 고안에 따른 태블릿 피씨는 피씨본체(10)의 배면에 키보드(20)가 탈착가능하게 결합되어, 휴대와 보관이 용이할 뿐 아니라, 필요에 따라 키보드(20)를 분리하고 피씨본체(10)만 휴대할 수 있으므로, 휴대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태블릿 피씨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태블릿 피씨의 결합수단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태블릿 피씨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태블릿 피씨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전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태블릿 피씨의 결합방법을 도시한 측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태블릿 피씨의 피씨본체를 키보드에 결합하는 방법을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태블릿 피씨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태블릿 피씨의 제2 실시예의 결합방법을 도시한 측면도,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태블릿 피씨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태블릿 피씨의 제3 실시예의 요부를 도시한 측단면 분해도,
도 11 내지 도 13은 본 고안에 따른 태블릿 피씨의 제3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14는 본 고안에 따른 태블릿 피씨의 제4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15는 본 고안에 따른 태블릿 피씨의 제4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한 참고도이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태블릿 피씨를 도시한 것으로, 피씨본체(10)와, 상기 피씨본체(10)의 배면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키보드(20)로 구성된다.
상기 피씨본체(10)는 종래의 태블릿 피씨와 동일하게, 얇은 패널형상으로 구성되며 전면에는 터치기능이 있는 디스플레이부(11)가 구비된다.
상기 키보드(20)는 종래의 태블릿 피씨용 키보드(20)와 동일하게, 상기 태블릿 피씨에 비해 조금 작은 사이즈로 구성되고, 상면에는 사용자가 조작하여 문자나 숫자 또는 기호를 입력할 수 있는 다수개의 키가 구비된 것으로, 블루투스 등의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피씨본체(10)와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키보드(20)는 상기 피씨본체(10)와 키보드(20)에 구비된 결합수단(30)에 의해 상기 피씨본체(10)의 배면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결합수단(30)은 상기 피씨본체(10)의 배면에 구비된 가이드레일(31)과, 상기 키보드(20)의 양단에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레일(31)에 결합되는 돌출부(32)로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레일(31)은 상기 피씨본체(10)의 배면 양측에 상기 키보드(20)의 폭만큼 양측으로 평행하게 이격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레일(31)에는 상기 돌출부(32)가 삽입되는 삽입홈(31a)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레일(31)은 서로 대향하는 부분이 개구된 "ㄴ"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32)는 상기 삽입홈(31a)에 삽입되도록 키보드(20)의 상면 상단부가 양측 방향으로 각각 돌출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레일(31)의 일측에서 상기 삽입홈(31a)에 키보드(20)의 돌출부(32)를 끼워 타측으로 슬라이드시킴으로써, 피씨본체(10)의 배면에 키보드(20)를 결합할 수 있다.
한편, 가이드레일(31)의 일단은 폐쇄될 수 있는데, 이는 키보드(20)의 돌출부(32)가 삽입된 후 피씨본체(10)에서 키보드(20)가 중력에 의하여 빠져 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키보드(20)의 상면 상부에는 상기 피씨본체(10)가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21)가 형성된다.
상기 결합부(21)는 상기 키보드(20)의 상면에 오목하게 형성된 것으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씨본체(10)의 하단을 상기 결합부(21)에 끼워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태블릿 피씨는 피씨본체(10)의 배면에 키보드(20)가 탈착가능하게 결합되어, 휴대와 보관이 용이할 뿐 아니라, 필요에 따라 키보드(20)를 분리하고 피씨본체(10)만 휴대할 수 있으므로, 휴대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피씨본체(10)에 키보드(20)를 결합하기 위한 결합수단(30)은 상기 피씨본체(10)의 배면에 구비된 가이드레일(31)과, 상기 키보드(20)의 양단에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레일(31)에 결합되는 돌출부(32)로 구성되어, 구조가 간단하고 강도가 높을 뿐 아니라, 키보드(20)를 피씨본체(10)에 손쉽게 결합하거나 분리할 수 있어서 사용이 매우 편리한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키보드(20)의 상면에는 결합부(21)가 형성되어, 키보드(20)의 상면에 피씨본체(10)를 끼워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별도의 지지대 없이 피씨본체(10)를 세울 수 있어서, 일반적인 노트북 컴퓨터와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결합부(21)는 상기 키보드(20)의 상면에 오목하게 형성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상기 결합부(21)는 상기 키보드(20)의 상면에 돌출되어, 피씨본체(10)에 형성된 결합홈(미도시)을 상기 결합부(21)에 끼워 고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키보드(20)는 블루투스를 통해 상기 컴퓨터본체와 무선통신되도록 구성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상기 키보드(20)에 상기 피씨본체(10)와 연결되는 USB단자를 형성하여, 키보드(20)가 피씨본체(10)와 유선으로 데이터통신가능하게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결합수단(30)은 상기 피씨본체(10)의 배면 양측에 형성된 결합홈(33)과, 상기 키보드(20)의 상면에 구비되어 상기 결합홈(33)에 맞물리는 돌기(34)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돌기(34)는 삽입부(34a)와, 상기 삽입부(34a)의 단부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된 걸림부(34b)로 구성된다.
즉, 상기 돌기(34)는 대략 "ㄴ"자 형상으로, 키보드(20)에 일단이 결합된 삽입부(34a) 및 삽입부(34a)의 타단에서 삽입부(34a)에 직교하게 연장된 걸림부(34b)를 가진다.
그리고, 상기 결합홈(33)은 상기 걸림부(34b)가 삽입되는 대경부(33a)와, 상기 삽입부(34a)에 대응되는 폭으로 형성되어 대경부(33a)에서 일측으로 연장된 소경부(33b)로 구성된다.
따라서, 도 8 의 (a)와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돌기(34)를 상기 대경부(33a)에 끼운 후 상기 소경부(33b) 방향으로 키보드(20)를 밀면 상기 걸림부(34b)가 소경부(33b)에 걸려 키보드(20)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된다.
이와 같이 상기 결합수단(30)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3은 본 고안에 따른 제3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결합수단(30)은 상기 피씨본체(10)의 배면에 오목하게 형성된 결합공(12)의 내부에 구비된 자성체 재질의 고정부재(35)와, 상기 키보드(20)에 매입고정된 자석부재(36)와, 상기 키보드(20)의 상면에 배치되며 상기 자석부재(36)의 상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측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 자성체 재질의 연결부재(37)와, 상기 연결부재(37)에 연결되어 연결부재(37)가 상기 자석부재(36)의 상면에 밀착되도록 하는 탄성부재(38)로 구성된다.
상기 결합공(12)은 상기 피씨본체(10)의 배면의 각 모퉁이 부분에 각각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재(35)는 일반적인 철재질로 구성되며, 상기 결합공(12)의 내부 바닥면에 고정결합된다.
상기 자석부재(36)는 자력강도가 높은 재질로 구성되며 상기 연결부재(37)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후술하는 가이드부(23)에 매입설치된다.
상기 연결부재(37)는 일반적인 철재질로 구성되며 상기 결합공(12)에 삽입되어 상면이 상기 고정부재(35)에 밀착되는 것으로, 상기 키보드(20)의 상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 슬라이드부재(37a)에 고정된다.
상기 슬라이드부재(37a)는 넓은 판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키보드(20)의 케이스(22) 상면에 오목하게 형성된 가이드부(23)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 것으로, 상기 연결부재(37)가 안정적으로 슬라이드되도록 지지하는 기능을 한다.
이때, 상기 슬라이드부재(37a)는 상기 키보드(20)의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슬라이드부재(37a)가 후방으로 후퇴되면 상기 연결부재(37)가 상기 자석부재(36)의 상면에 부착되고, 슬라이드부재(37a)가 전방으로 전진되면 상기 연결부재(37)가 자석부재(36)의 상면으로부터 전방으로 이격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탄성부재(38)는 양단이 상기 슬라이드부재(37a)와 키보드(20)의 케이스(22)에 형성된 가이드부(23) 사이에 끼워지는 압축코일스프링을 이용하는 것으로, 상기 슬라이드부재(37a)를 후방으로 밀어 연결부재(37)가 자성부재의 상면에 위치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태블릿 피씨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연결부재(37)를 결합공(12)에 끼우면 상기 연결부재(37)가 고정부재(35)에 밀착되며, 상기 자석부재(36)에서 발생된 자력에 의해 상기 고정부재(35)와 연결부재(37)가 상호 부착되어 키보드(20)가 피씨본체(10)에 고정된다.
그리고, 피씨본체(10)에 키보드(20)가 결합된 상태에서,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키보드(20)의 바닥면을 책상 등의 상면에 밀착되도록 하고 피씨본체(10)를 전방으로 밀면, 상기 연결부재(37)가 자석부재(36)의 전방으로 슬라이드되어 연결부재(37)가 자석부재(36)로부터 떨어져, 연결부재(37)와 고정부재(35)가 상호 부착되도록 하는 자력이 제거된다.
따라서, 상기 연결부재(37)와 고정부재(35)의 고정이 해제되어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키보드(20)가 분리된다.
반대로, 상기 피씨본체(10)를 고정한 상태에서 키보드(20)를 후방으로 당겨도 동일하게 키보드(20)가 분리된다.
따라서, 키보드(20)의 고정이나 분리가 매우 용이한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연결부재(37)는 상기 슬라이드부재(37a)에 결합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상기 연결부재(37)가 직접 키보드(20)에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부재(37a)는 키보드(20)의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상기 슬라이드부재(37a)는 키보드(20)의 측방향으로 슬라이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4 및 도 15는 본 고안에 따른 제4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키보드(20)에는 전후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피씨본체(10)가 탈착가능하게 결합된 결합부(41)가 형성된 결합부재(40)가 구비된다.
상기 결합부재(40)는 좌우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기단부에 상기 키보드(20)의 양측면에 전후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힌지축(42)이 구비된 것으로, 상기 결합부(41)는 상면 일측에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41)에 피씨본체(10)의 하단을 탈착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결합부재(40)를 상측으로 회동시키면, 상기 결합부(41)가 키보드의 상측으로 돌출되어, 결합부(41)에 피씨본체(10)의 하단을 결합한 상태로 상기 힌지축(42)을 중심으로 피씨본체(10)를 전후방으로 회동시켜 각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피씨본체(10)를 분리한 상태에서는 상기 결합부재(40)를 하측으로 회동시켜, 결합부재(40)가 키보드(20)의 상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태블릿 피씨는 사용자가 상기 결합부재(40)를 상측으로 회동시키고, 상기 결합부재(40)의 결합부(41)에 피씨본체(10)의 하단을 결합하여, 상기 힌지축(42)을 중심으로 피씨본체(10)를 전후방으로 회동시켜 피씨본체(10)의 각도를 조절하여, 더욱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결합부재(40)는 상기 키보드(20)의 양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상기 결합부재(40)는 상기 키보드(20)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어, 사용하지 않을 때는 키보드(20)의 내부로 하강시켜 수납되도록 구성되거나, 기타 다양한 방법으로 키보드(20)에 수납되도록 구성될 수 있고, 기타 다양한 방법으로 상기 키보드(20)의 상측으로 출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상, 상기 내용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단지 예시한 것으로 본 고안의 당업자는 본 고안의 요지를 변경시킴이 없이 본 고안에 대한 수정과 변경을 가할 수 있음을 인지해야 한다.
10. 피씨본체 20. 키보드
30. 결합수단

Claims (5)

  1. 전면에는 터치기능이 있는 디스플레이부(11)가 구비된 피씨본체(10)와,
    결합수단(30)에 의해 상기 피씨본체(10)의 배면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된 키보드(20)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수단(30)은
    상기 피씨본체(10)의 배면에 오목하게 형성된 결합공(12)의 내부에 구비된 자성체 재질의 고정부재(35)와,
    상기 키보드(20)에 매입고정된 자석부재(36)와,
    상기 키보드(20)의 상면에 배치되며 상기 자석부재(36)의 상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측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 자성체 재질의 연결부재(37)와,
    상기 연결부재(37)에 연결되어 연결부재(37)가 상기 자석부재(36)의 상면에 밀착되도록 하는 탄성부재(38)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재(37)를 상기 결합공(12)에 끼우면 상기 연결부재(37)가 고정부재(35)에 밀착되고 상기 자석부재(36)에서 발생된 자력에 의해 상기 고정부재(35)와 연결부재(37)가 상호 부착되어 키보드(20)가 피씨본체(10)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블릿 피씨.
  2. 전면에는 터치기능이 있는 디스플레이부(11)가 구비된 피씨본체(10)와,
    결합부재(40)에 의해 상기 피씨본체(10)의 배면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된 키보드(20)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재(40)는 한 쌍이 구비되며, 상기 키보드(20)의 양측면에 전후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힌지축(42)과, 상기 힌지축(42)의 상단에 형성되며 상면이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피씨본체(10)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41)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블릿 피씨.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2020120010220U 2012-11-09 2012-11-09 태블릿 피씨 KR20046699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10220U KR200466992Y1 (ko) 2012-11-09 2012-11-09 태블릿 피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10220U KR200466992Y1 (ko) 2012-11-09 2012-11-09 태블릿 피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6992Y1 true KR200466992Y1 (ko) 2013-05-20

Family

ID=537173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10220U KR200466992Y1 (ko) 2012-11-09 2012-11-09 태블릿 피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6992Y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80892A1 (en) * 2007-01-30 2008-07-31 Inventec Corporation Portable electronic de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80892A1 (en) * 2007-01-30 2008-07-31 Inventec Corporation Portable electronic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25263B2 (en) Portable computer having detachable wireless keyboard
US9069527B2 (en) Tablet support apparatus
TWI519929B (zh) 外接式電子裝置及其相關電腦系統
US9014766B2 (en) Protective clamp frame having power and unclamp duplex button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s
US20140133080A1 (en) Detachable electronic device and connection apparatus usable with the same
JP2011139017A (ja) スライド式電子装置
US9030813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CN103246323A (zh) 电子装置
JP6352735B2 (ja) ドッキング装置
CN101131599A (zh) 信息处理装置和显示装置
US8777175B2 (en)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mechanism
US20180081402A1 (en) Keyboard with Tablet Stand
CN103793005A (zh) 具有键盘的保护壳
US8929067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CN107631143A (zh) 一种多功能一体式计算机支架
KR200466992Y1 (ko) 태블릿 피씨
US20060192757A1 (en) Receiver accommodative wireless input equipment
CN206819217U (zh) 一种多功能组合式平板电脑设备
US20170163304A1 (en) Computing device sleeves
TW522777B (en) Input apparatus for electronic apparatus
US8711551B2 (en) Electronic device with multi-orientation
KR200465932Y1 (ko) 태블릿 컴퓨터용 케이스
JP2008052420A (ja) 情報入力装置
CN104049682A (zh) 可携式电子设备
KR102023078B1 (ko) 태블릿 스탠드 기능을 가진 키보드 장치 및 스피커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