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14585A -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14585A
KR20050014585A KR1020030053252A KR20030053252A KR20050014585A KR 20050014585 A KR20050014585 A KR 20050014585A KR 1020030053252 A KR1020030053252 A KR 1020030053252A KR 20030053252 A KR20030053252 A KR 20030053252A KR 20050014585 A KR20050014585 A KR 200500145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isplay state
screen
user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32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95442B1 (ko
Inventor
김진복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532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5442B1/ko
Priority to US10/833,085 priority patent/US7268829B2/en
Priority to CNB2004100713645A priority patent/CN1306798C/zh
Publication of KR200500145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45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54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5442B1/ko
Priority to US12/585,248 priority patent/USRE42640E1/en
Priority to US13/213,835 priority patent/US20120019666A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64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 H04N9/73Colour balance circuits, e.g. white balance circuits or colour temperature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Processing Of Color Television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가능한 포맷으로 영상신호를 변환시키는 신호처리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의 표시상태를 설정할 수 있는 조절화면 및 상이한 조절 상태에 따른 다수의 기준화면을 제공하고, 상기 조절화면에서 설정된 영상의 표시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신호처리부에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사용자가 선호하는 영상의 표시상태를 사용자 임의대로 설정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기준화면을 참고로 하여 보다 정확히 사용자의 선호에 맞는 영상의 표시상태를 선택설정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선호하는 영상의 표시상태를 사용자 임의대로 설정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보다 정확히 사용자의 선호에 맞는 영상의 표시상태를 선택설정할 수 있게 해 주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TV 또는 모니터 등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색, 명암, 밝기, 색온도등의 영상의 표시상태를 사용자가 선호하는 상태로 조절하거나 충실한 색재현을 위하여 어두운 화면에서 밝은 화면까지 충실하게 색온도, 휘도 등을 재현할 필요가 있다.
특히, 이처럼 디스플레이 장치의 색온도를 일일이 조정하기 위해서는 생산과정에서 많은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종래에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색온도를 2개 내지 5개 정도만을 설정하여 그 데이터를 EEPROM에 저장시킨 후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용 중 화면의 색을 조정하기 위해 색온도를 조정할 때 EEPROM에 저장된 2개 내지 5개의 색온도 중 하나를 선택하여 조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색온도 조정은 사용자가 생산공정시 설정된 복수의 색온도 중 어느 하나의 색온도만을 선택하여 조정할 수 있을 뿐 사용자가 원하는 임의의 색온도를 선택하여 조정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의 색온도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또는 별도로 마련된 장치의 컨트롤 단자를 이용하여 조절되는데, 일반적으로 이 때 선택단자를 누르면 현재 표시되고 있는 영상에 사용자가 선택하는 색온도가 즉시 적용되어 디스플레이 장치 상에 표시되게 되고, 설정단자를 누르면 현재 표시되고 있는 영상에 적용된 색온도로 설정되도록 되어 있다.
이 경우 선택한 색온도가 적용된 영상이 디스플레이 장치 상에 full 화면으로 보여지게 되어, 사용자가 선호하는 색온도를 객관적으로 판단하게 해 줄 비교화면 등을 제공받을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사용자 자신이 설정하고자 하는 색온도를 객관적으로 정확히 판단할 수 있는 기준을 가지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선호하는 영상의 표시상태를 사용자 임의대로 설정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기준화면을 참고로 하여 보다 정확히 사용자의 선호에 맞는 영상의 표시상태를 선택설정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기준화면 및 조절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설정화면 10a, 10b, 10c, 10d : 기준화면
11 : 조절화면 12 : 드래그바
12a : 조절부 20 : 디스플레이부
30 : 신호처리부 40 : 제어부
50 : 설정화면저장부 60 : 사용자설정부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이나 장점들은 부분적으로, 이어지는 상세한 설명에 의해 명백해질 것이며, 부분적으로 본 발명의 실제 적용에 의해 알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영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가능한 포맷으로 영상신호를 변환시키는 신호처리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영상의 표시상태를 설정할 수 있는 조절화면 및 상이한 조절 상태에 따른 다수의 기준화면을 제공하고, 상기 조절화면에서 설정된 영상의 표시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신호처리부에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조절화면은 조절부가 마련된 드래그바를 포함하고, 영상의 표시상태는 상기 드래그바 상에서의 조절부의 이동에 기초하여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영상의 표시상태를 사용자가 설정입력하기 위한 사용자설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설정부는 OSD 버튼 또는 리모트 컨트롤인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영상의 표시상태는 색온도인 것인 것이 효과적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블럭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20)와, 디스플레이부(20)에 표시가능한 포맷으로 영상신호를 변환시키는 신호처리부(30)와, 영상의 표시상태를 설정할 수 있는 조절화면 및 표시상태 설정시 기준이 되는 다수의 기준화면을 제공하고, 상기 조절화면에서 설정된 영상의 표시상태에 기초하여 신호처리부(30)에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40)를 가진다.
또한, 영상의 표시상태를 사용자가 설정입력하기 위한 사용자설정부(60)를 더 가진다.
신호처리부(30)는 통상적으로 일반 영상신호를 처리하는 비디오디코더, 디지털영상 신호를 처리하는 ADC와, 비디오디코더 또는 ADC에서 처리된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부(20)에 표시가능한 신호로 변환하는 스케일러를 포함한다.
여기서, 비디오디코더는 NTSC-TV, VHS-Video 등의 일반적인 영상신호를 입력받아, 밝기를 나타내는 신호인 Y, 색차신호인 R-Y와 B-Y로 분리한다. 여기서, 색차신호인 R-Y, B-Y는 컬러를 표현하기 위한 Red, Green, Blue(RGB) 신호를 재구성하는데 사용된다. 비디오디코더로부터 출력되는 밝기신호(Y) 및 색차신호(R-Y,B-Y)는 YCbCr로 표시한다.
ADC(A/D converter)는 DVD나 HDTV용 신호처리장치로서, ADC로부터 출력되는영상신호 또한, 밝기신호(Y) 및 색차신호(R-Y, B-Y)를 포함하는데, ADC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신호는 YPbPr로 표시한다.
스케일러는 YCbCr 및 YPbPr 신호를 디스플레이부(20)의 출력규격에 맞는 수직주파수, 해상도(픽셀), 화면비율(16:9, 4:3) 등에 맞도록 변환하는 한편, YCbCr신호 및 YPbPr신호를 포맷에 따라 미리 설정된 연산 메카니즘을 이용하여 계산함으로써 YCbCr신호 및 YPbPr신호를 디지털RGB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제어부(40)는 영상의 표시상태를 설정할 수 있는 조절화면 및 표시상태 설정시 기준이 되는 다수의 기준화면을 제공한다.
상기 조절화면 및 다수의 기준화면은 제어부(40) 내에 마련된 설정화면저장부(50)에 미리 저장되어 있다. 여기서, 설정화면저장부(50)는 EEPROM 또는 flash memory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기준화면 및 조절화면을 나타낸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선호하는 색온도로 설정하고자 할 때 디스플레이부(20) 상에 표시되는 설정화면(10)은 기준화면(10a 내지 10d) 및 설정화면(11)을 포함한다.
여기서, 기준화면(10a 내지 10d)은 특정 색온도가 적용된 다수의 고정 영상으로 구성되고, 조절화면(11)은 사용자가 선택하는 색온도가 적용된 영상이 표시되는 가변 영상으로 구성된다.
기준화면(10a 내지 10d) 및 조절화면(11)은 색온도에 따른 차이를 비교적 잘 보여주는 영상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예를 들어, 풍경, 인물, 건물, 명암 등의 영상을 사용하여 색온도별로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도면은 각각 6,500K(10a), 9,500K(10b), 13,000K(10c) 및 25,000K(10d)가 적용된 4 개의 고정 영상을 기준화면으로 보여주고 있으나, 기준화면의 수는 반드시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필요에 의해 그 이하 또는 이상의 수로 구성되는 기준화면을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상기 다수의 기준화면은 사용자가 선호하는 색온도로 설정하고자 하는 경우 자신이 선호하는 색온도를 정확히 판단할 수 있도록 기준으로 제공되는 것이다.
여기서, 동일한 고정 영상을 사용하는 것이 색온도의 차이를 비교하는 데 있어서 가장 바람직하나, 서로 다른 고정 영상을 사용하더라도 무방하다. 물론, 기준화면(10a 내지 10d)들과 조절화면(11)을 서로 다른 영상을 사용하더라도 무방함은 용이하게 인식될 것이다.
제어부(40, 도 1 참조)는 상기 조절화면에서 설정된 영상의 표시상태에 기초하여 신호처리부(30)에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기능을 한다.
조절화면(11)은 이동가능한 조절부(12a)를 포함하는 드래그바(12)를 포함하고 있으며, 드래그바(1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조절가능한 색온도의 전체 범위를 표시한다. 여기서, 색온도의 범위는 6,000K 내지 30,000K인 것이 일반적이다.
드래그바(12)에 마련된 조절부(12a)의 이동에 의해, 조절화면(11)에는 조절부(12a)가 드래그부(12) 상에 위치하는 지점에 해당되는 색온도가 적용된 영상이 표시되게 된다.
즉, 사용자가 선호하는 색온도를 설정하기 위해 설정화면(10)을 디스플레이부(20)상에 표시되게 한 경우에 있어서, 조절부(12a)의 이동에 따라 드래그바(12) 상에 조절부(12a)가 위치하는 지점을 제어부(40)에서 감지한다. 연이어 제어부(40)가 이에 대응되는 색온도에 해당되는 제어신호를 신호처리부(30)로 출력하면, 신호처리부(30)에서는 조절화면(11)이 표시되는 영역에만 상기 색온도를 적용하여 디스플레이부(20)에 표시하게 된다.
또한, 사용자가 미리 정해진 설정버튼 등을 이용하여 상기 선택된 색온도로 색온도를 설정하게 되면, 제어부(40)에 이에 해당되는 설정신호가 입력된다. 연이어 제어부(40)가 조절화면(11)이 표시되는 영역에만 적용되던 색온도에 해당되는 제어신호를 신호처리부(30)로 출력하면, 신호처리부(30)에서는 상기 조절화면(11)이 표시되는 영역에만 적용되던 색온도를 전체 화면에 표시되게 될 영상신호에 적용 처리하여 디스플레이부(20)에 표시하게 된다.
여기서, 선택과정에서 조절화면(11)이 표시되는 영역에만 적용되던 색온도는 제어부 내에 마련된 메모리부(미도시)에 일시적으로 저장되고, 설정과정에서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되어 있는 색온도를 읽어와서 신호처리부(30)로 출력할 수 있다.
나아가, 색온도는 보다 향상된 화질 제고를 위해 각 색온도별로 RGB 감마값, 색상, 게인, 컷오프, 휘도 등이 정의되어 있는 룩업 테이블을 이용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신호처리부(30)에서는 색온도에 따라 변환되는 것이 부적절하다고 판단되는 신호, 예를 들어, 스킨 톤 또는 R,G,B 원색에 해당되는 신호에 대해 상기 설정된 색온도를 적용하지 않게 할 수도 있다.
사용자설정부(60)는 사용자가 선호하는 색온도로 설정하고자 설정화면(10)을 디스플레이부(20) 상에 표시되게 하는 기능 키 및 조절화면(11) 상의 조절부(12a)를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 키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나아가, 사용자설정부(60)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마련되어 있는 OSD 버튼 또는 리모트 컨트롤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 각각은 입력된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부(20)에 표시되는 것을 중단시키고 미리 저장되어 있는 설정화면(10)을 표시하여 색온도를 설정할 수 있게 하는 색온도설정 기능 키를 포함하고, 색온도의 선택을 위한 이동 키는 기존의 방향 키 등을 채용할 수 있다.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색온도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색, 명암, 밝기 등 사용자가 선호하는 상태로 설정가능한 영상의 표시상태는 어떠한 것이라도 상기와 같이 각 영상의 표시상태가 상태별로 적용된 기준화면을 참고로 하여 설정하는 것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사용자가 선호하는 영상의 표시상태를 사용자 임의대로 설정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기준화면을 참고로 하여 보다 정확히 사용자의 선호에 맞는 영상의 표시상태를 선택설정할 수 있게 된다.
비록 본 발명은 하나의 실시예가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들이라면 발명의 원칙이나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실시예를 변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 균등물에 의해 정해질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선호하는 영상의 표시상태를 사용자 임의대로 설정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기준화면을 참고로 하여 보다 정확히 사용자의 선호에 맞는 영상의 표시상태를 선택설정할 수 있게 된다.

Claims (4)

  1. 영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가능한 포맷으로 영상신호를 변환시키는 신호처리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영상의 표시상태를 설정할 수 있는 조절화면 및 상이한 조절 상태에 따른 다수의 기준화면을 제공하고, 상기 조절화면에서 설정된 영상의 표시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신호처리부에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화면은 조절부가 마련된 드래그바를 포함하고, 영상의 표시상태는 상기 드래그바 상에서의 상기 조절부의 이동에 기초하여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영상의 표시상태를 사용자가 설정입력하기 위한 사용자설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설정부는 OSD 버튼 또는 리모트 컨트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영상의 표시상태는 색온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030053252A 2003-07-31 2003-07-31 디스플레이 장치 KR1005954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3252A KR100595442B1 (ko) 2003-07-31 2003-07-31 디스플레이 장치
US10/833,085 US7268829B2 (en) 2003-07-31 2004-04-28 Display apparatus
CNB2004100713645A CN1306798C (zh) 2003-07-31 2004-07-20 显示装置
US12/585,248 USRE42640E1 (en) 2003-07-31 2009-09-09 Display apparatus
US13/213,835 US20120019666A1 (en) 2003-07-31 2011-08-19 Display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3252A KR100595442B1 (ko) 2003-07-31 2003-07-31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4585A true KR20050014585A (ko) 2005-02-07
KR100595442B1 KR100595442B1 (ko) 2006-07-03

Family

ID=34101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3252A KR100595442B1 (ko) 2003-07-31 2003-07-31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3) US7268829B2 (ko)
KR (1) KR100595442B1 (ko)
CN (1) CN1306798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5442B1 (ko) * 2003-07-31 2006-07-0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US20110028548A1 (en) * 2004-04-19 2011-02-03 Strategic Science & Technologies, Llc Beneficial effects of increasing local blood flow
US7992086B2 (en) * 2006-06-30 2011-08-02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System and method for adjusting a media-playing set
US8310594B2 (en) * 2008-07-22 2012-11-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picture-based user interface for adjusting picture display parameter settings of a display device
CN102142216B (zh) * 2011-04-02 2013-11-06 奇智软件(北京)有限公司 显示器色彩表现的测试方法及系统
CN106504724B (zh) * 2016-11-08 2020-09-22 Tcl新技术(惠州)有限公司 一种可视化的色温调试方法及系统、显示器及交互系统
CN107170424B (zh) * 2017-06-30 2020-02-21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显示控制方法,显示方法及电子设备

Family Cites Families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17971A (en) * 1984-08-24 1988-01-05 Eastman Kodak Company Partitioned editing method for a collection of video still pictures
CA1272286A (en) * 1986-03-17 1990-07-31 Junichi Oshima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establishing a color balance of a color television monitor
GB8619458D0 (en) * 1986-08-08 1986-09-17 Crosfield Electronics Ltd Generating colour displays
JPH06253327A (ja) 1993-02-26 1994-09-09 Toshiba Corp 表示装置
US5978041A (en) * 1994-10-24 1999-11-02 Hitachi, Ltd. Image display system
US5638117A (en) 1994-11-14 1997-06-10 Sonnetech, Ltd. Interactive method and system for color characterization and calibration of display device
JP3500748B2 (ja) 1994-11-30 2004-02-23 ソニー株式会社 カラーブラウン管色温度設定装置
JP2916753B2 (ja) * 1996-04-30 1999-07-05 株式会社ナナオ ビデオモニタの調整システム
KR980004302A (ko) 1996-06-11 1998-03-30 김광호 칼라커브(Color Curve)의 제어 회로 및 방법
US5874988A (en) * 1996-07-08 1999-02-23 Da Vinci Systems, Inc. System and methods for automated color correction
JPH1079020A (ja) * 1996-09-05 1998-03-24 Canon Inc 画像処理方法及び装置
JP3440731B2 (ja) * 1996-11-25 2003-08-25 株式会社ダイフク ボウリング場の映像表示システム
KR200279348Y1 (ko) 1997-02-19 2002-11-22 위아 주식회사 로봇용토치홀더의구조
KR100247085B1 (ko) 1997-04-18 2000-03-15 전주범 영상화면의 콘트라스트제어장치
JPH10341358A (ja) 1997-06-06 1998-12-22 Nec Corp 画質調整システム
KR19990026076A (ko) 1997-09-22 1999-04-15 구자홍 모니터의 자동 색상 저장 방법 및 자동 색상 절환 방법
KR100260885B1 (ko) 1998-03-09 2000-07-01 윤종용 영상표시기기의 색온도 제어장치
JP3895492B2 (ja) * 1998-03-13 2007-03-22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その方法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KR100299759B1 (ko) * 1998-06-29 2001-10-27 구자홍 영상표시기기의 화면 상태 자동 조정 장치와 방법
US6081267A (en) * 1998-11-19 2000-06-27 Columbia Scientific Incorporated Computerized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X-rays and the like for radiological analysis and manipulation and transmission of data
US6788812B1 (en) * 1999-06-18 2004-09-07 Eastman Kodak Company Techniques for selective enhancement of a digital image
KR100344789B1 (ko) * 1999-10-04 2002-07-19 엘지전자주식회사 모니터의 화면조정 가이드라인 표시장치
JP4564613B2 (ja) * 1999-10-19 2010-10-20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テレビジョン受像機、及び、画像処理方法
US6606100B1 (en) 1999-12-02 2003-08-12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Device for indicating the position of a window in a display and for enhancing an image in the window
CN1188822C (zh) 1999-12-02 2005-02-09 皇家菲利浦电子有限公司 用于突出显示屏幕的被选部分的装置和方法
US6879326B1 (en) * 2000-06-22 2005-04-12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Apparatus and method for highlighting selected portions of a display screen
AU2002246717A1 (en) * 2000-12-21 2002-08-19 Imtech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information on a large scale display
JP2002259035A (ja) * 2001-02-28 2002-09-13 Sony Corp グラフィカルユーザインターフェース及び情報処理装置の操作方法、情報処理装置、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KR100362395B1 (ko) * 2001-03-10 2002-11-23 삼성전자 주식회사 색온도 계산 장치 및 방법
KR100446618B1 (ko) 2001-04-04 2004-09-04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표시 장치에서의 사용자 선호 색온도 변환 방법 및장치
US7882497B2 (en) * 2001-05-17 2011-02-01 Attachmate Corporation Symbiotic computer application and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on and presentation of same
KR20030046942A (ko) 2001-12-07 2003-06-18 (주)대우루컴즈 엘시디(lcd) 화면 조정 표시 장치 및 그 방법
US20030142132A1 (en) * 2002-01-28 2003-07-3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electively adjusting the translucency of windows in response to a scroll wheel rotation
KR100788654B1 (ko) * 2002-11-07 2007-12-26 삼성전자주식회사 화면 조정 장치 및 방법
KR100595442B1 (ko) * 2003-07-31 2006-07-0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306798C (zh) 2007-03-21
US20050024537A1 (en) 2005-02-03
USRE42640E1 (en) 2011-08-23
KR100595442B1 (ko) 2006-07-03
US7268829B2 (en) 2007-09-11
CN1581948A (zh) 2005-02-16
US20120019666A1 (en) 2012-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27437B2 (ja) 多数の色再現範囲を有する色再現装置及びその色信号処理方法
US20060282867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capable of adjusting image quality by using moving image samples
JP4788248B2 (ja) 画像表示装置、プロジェクタおよび画像表示方法
JP2007074347A (ja) 画像表示装置及びプロジェクタ
US20120019666A1 (en) Display apparatus
US8139079B2 (en) Color gamut component analysis apparatus, method of analyzing color gamut component, and color gamut component analysis program
JP2017050636A (ja) 画像処理装置及び表示判定方法
JP2007288587A (ja) 映像調整装置、映像調整方法および映像処理プログラム
JP5131310B2 (ja) 画像表示装置、プロジェクタおよび画像表示方法
JP2009170999A (ja) 表示装置
JP2006086728A (ja) 画像出力装置
JP2008193645A (ja) 明るさ補正装置、その方法、および、表示装置
KR100712481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463831B1 (ko) 인간 시각 특성을 이용한 최적화 화질 추출장치 및 방법
JP2011024202A (ja) 色変換装置、色変換方法、および画像表示システム
US20140375675A1 (en) Image output apparatus and display device
KR100496505B1 (ko) 비디오 신호 처리장치 및 방법
JP2009005097A (ja) 色域調整装置および色域調整方法
KR100335618B1 (ko) 색온도변경기능을구비한칼라디스플레이장치및색온도변경방법
JP2019129471A (ja) 映像表示装置および表示制御方法
JP6610755B2 (ja) 画像処理装置及び表示判定方法
JP6610757B2 (ja) 画像処理装置及び表示判定方法
JP6610756B2 (ja) 画像処理装置及び表示判定方法
JP6610754B2 (ja) 画像処理装置及び表示判定方法
Duan et al. P‐7.18: A 75 ″8K Professional Monitor Based on FPGA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3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