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12633A - 용량 조절식 스크롤 압축기 - Google Patents

용량 조절식 스크롤 압축기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12633A
KR20050012633A KR1020030051770A KR20030051770A KR20050012633A KR 20050012633 A KR20050012633 A KR 20050012633A KR 1020030051770 A KR1020030051770 A KR 1020030051770A KR 20030051770 A KR20030051770 A KR 20030051770A KR 20050012633 A KR20050012633 A KR 200500126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bypass
scroll compressor
pressure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17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57057B1 (ko
Inventor
신동구
박홍희
김철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517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7057B1/ko
Priority to US10/832,300 priority patent/US20050019176A1/en
Priority to CNB2004100422457A priority patent/CN100343519C/zh
Publication of KR200500126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26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70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7057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8/00Control of, monitoring of,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28/24Control of, monitoring of,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characterised by using valves controlling pressure or flow rate, e.g. discharge valves or unloading valves
    • F04C28/26Control of, monitoring of,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characterised by using valves controlling pressure or flow rate, e.g. discharge valves or unloading valves using bypass chan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8/0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18/02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8/0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18/02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 F04C18/0207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both members having co-operating elements in spiral form
    • F04C18/0215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both members having co-operating elements in spiral form where only one member is mov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3/00Combinations of two or more pumps, each being of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type,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Pumping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Multi-stage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23/008Hermetic 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Rotary Pumps (AREA)
  • Applications Or Details Of Rotary Compresso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용량 조절식 스크롤 압축기는 스크롤 압축기의 스크롤 부재 압축 공간의 벽이 뚫려 형성되는 바이패스 포트; 일단이 상기 바이패스 포트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스크롤 압축기 내에서 압축되기 전의 저압 상태인 유체가 저장되는 흡입 챔버와 연결되는 바이패스 관로; 상기 바이패스 포트와 상기 바이패스 관로의 연결 상태를 개방/폐쇄 상태로 조작하기 위한 막음 밸브; 상기 막음 밸브의 위치를 개방 또는 폐쇄 위치로 조정하기 위하여, 상기 스크롤 압축기 흡입구의 저압 상태 유체압과, 상기 스크롤 압축기 토출구의 고압 상태 유체압이, 소정의 관로를 통하여 선택적으로 상기 막음 밸브에 인가되도록 하기 위한 조정 밸브가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른 용량 조절식 스크롤 압축기는, 압축 모터의 회전수가 동일한 상태에서 간단한 구성으로도 유체의 바이패스 기능을 이용하여 압축 용량을 가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별도의 추가적인 구성없이, 스크롤 압축기에 의해서 압축되기 전과, 압축된 후의 유체 압력을 이용하여 밸브를 구동함으로써, 스크롤 압축기의 제작 비용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용량 조절식 스크롤 압축기{Scroll compressor with volume regulating capability}
본 발명은 스크롤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스크롤 압축기의 토출 용량을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는 용량 조절식 스크롤 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냉동 시스템은 에어컨 또는 냉장고에 적용되는 시스템으로서, 냉동 사이클을 순환하는 냉매에 의한 열의 흡수 및 방출에 의해서 특정 부분의 온도를 냉각시키는 장치로서 사용된다. 상세하게 냉동 시스템은 계(boundary)의 내부에서 열을 흡수하고, 계의 외부로 흡수된 열을 방출하는 동작이 반복해서 수행됨으로써, 계의 내부를 냉각시키는 시스템이다.
이와 같은 냉동 시스템은 압축, 응축, 팽창, 증발로 이어지는 일련의 과정으로 이루어지고, 이러한 일련의 과정 중에서 스크롤 압축기는 냉매를 압축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스크롤 압축기는 본원 발명의 출원인이 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 "10-1999-0000607", 발명의 명칭, "스크롤 압축기"등과 같은 다수의 문헌에 의해서 이미 공지된 바가 있으므로, 이를 참조하고, 스크롤 압축기의 일반적이 구성 및 동작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스크롤 압축기의 작동에 의해서 압축되는 유체의 압축 용량을 가변할 수 있는 용량 조절식 스크롤 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이 스크롤 압축기의 동작에서 압축기의 압축 용량의 가변이 필요한 이유를 설명한다.
특정 용도에 맞는 스크롤 압축기를 선택하는데 있어서는, 그 사용처를 예상하여 가장 불리한 작동 조건, 예를 들면 가장 큰 압축 용량이 필요한 조건(예를 들면, 열 펌프에 의한 공조기의 난방 운전)과 작은 압축 용량이 필요한 조건(예를 들면, 공조기의 냉방 운전)을 예상하여 스크롤 압축기를 선택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러한 불리한 조건은 실제 작동시에는 거의 발생되지 아니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므로, 결국 압축기를 선택하는데 있어서 최악의 조건을 예상하여 용량이 큰 압축기를 선택하게 되면, 고 비율의 작동 시간 동안 저부하 조건하에서 압축기가 작동하게 된다. 이러한 작동은 결과적으로 시스템의 전체적인 작동효율을 떨어뜨리게 된다.
그러므로, 보통의 작동 조건하에서 전체적인 작동 효율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압축기가 가장 불리한 조건 하에서도 작동 조건을 수용할 수 있도록, 압축 용량의 조절이 가능한 압축기가 요구된다.
이와 같이 스크롤 압축기의 압축 용량을 가변하기 위하여 적용되는 방법은, 전기적인 방법으로 스크롤 압축기의 회전수를 제어하는 방법과, 누설을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종래 스크롤 압축기의 압축 용량을 가변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먼저, 회전수를 제어하는 방법은 성능이 우수하지만, 모터를 정확한 회전수로 제어하기 위한 인버터등과 같은 추가적인 부품이 소요되고, 고속 회전시에 마찰부위의 신뢰성을 확보하기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그리고, 누설을 이용하는 방법으로는, 대한민국 특허출원 10-2001-0062567(미국특허출원번호 09/686,561)등이 있는데, 이러한 방법 또한 다수의 복잡한 부품이 적용되기 때문에, 제조 비용이 상승되는 등의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압축 모터의 회전수가 동일한 상태에서, 바이패스(Bypass)기능을 이용하여 압축 용량을 가변할 수 있도록 하는 용량 조절식 스크롤 압축기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별도의 추가적인 구성없이, 스크롤 압축기에 의해서 압축되기 전과, 압축된 후의 유체 압력을 각각 이용하여 소정의 밸브를 구동함으로써, 압축 용량을 가변할 수 있도록 하는 용량 조절식 스크롤 압축기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스크롤 압축기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비선회 스크롤 부재의 저면도.
도 3과 도 5는 도 1에서 "A"부분을 확대한 도면.
도 4와 도 6은 바이패스 포트의 개폐 상태에 따른 스크롤 부재의 상태를 개념적으로 설명하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밀폐성 외각 12 : 밀폐 플레이트 13 : 흡입 챔버
14 : 토출 챔버 15 : 비선회 스크롤 부재
16 : 선회 스크롤 부재 17 : 비선회 나선형 랩
18 : 선회 나선형 랩 19 : 구동축
21 : 베어링 22 : 흡입구 23 : 토출구
24 : 바이패스 포트 25 : 막음 밸브 26 : 중앙 토출 관로
31 : 바이패스 관로
상기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스크롤 압축기는 스크롤 압축기의 스크롤 부재 압축 공간의 벽이 뚫려 형성되는 바이패스 포트; 일단이 상기 바이패스 포트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스크롤 압축기 내에서 압축되기 전의 저압 상태인 유체가 저장되는 흡입 챔버와 연결되는 바이패스 관로; 상기 바이패스 포트와 상기 바이패스 관로의 연결 상태를 개방/폐쇄 상태로 조작하기 위한 막음 밸브; 상기 막음 밸브의 위치를 개방 또는 폐쇄 위치로 조정하기 위하여, 상기 스크롤 압축기 흡입구의 저압 상태 유체압과, 상기 스크롤 압축기 토출구의 고압 상태 유체압이, 소정의 관로를 통하여 선택적으로 상기 막음 밸브에 인가되도록 하기 위한 조정 밸브가 포함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는 본 발명의 스크롤 압축기는 스크롤 부재의 압축 경로에 형성되는 바이패스 포트; 상기 바이패스 포트의 개방 상태 또는 패쇄 상태를 조작하는 막음 밸브; 상기 막음 밸브의 개방 상태 또는 패쇄 상태를, 상기 스크롤 압축기의 흡입구측의 압력 및/또는 상기 스크롤 압축기의 토출구측의 압력으로 조정하기 위한 바이패스 조정 구조가 포함된다.
제시되는 바와 같은 용량 조절식 스크롤 압축기에 의해서, 별도의 추가적인 구성없이 스크롤 압축기의 압축 용량을 가변하여 운전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는 없으며, 또 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스크롤 압축기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용량 조절식 스크롤 압축기는 스크롤 압축기의 일반적인 구성과, 압축 용량이 조정되기 위한 바이패스 구조와, 상기 바이패스 구조를 조정하기 위한 바이패스 조정 구조가 포함된다.
먼저, 일반적인 스크롤 압축기의 구성으로는 계의 내부를 밀폐하여 외계와 분리하는 밀폐성 외각(11)과, 상기 밀폐성 외각(11)의 내부에 형성되어 압축기의 내부를 저압의 흡입 챔버(13)와 고압의 토출 챔버(14)로 분리하는 밀폐 플레이트(12)와, 상기 흡입 챔버(13)와 연결되어 압축되는 유체가 흡입되는 흡입구(22)와, 상기 토출 챔버(14)와 연결되어 압축된 유체가 토출되는 토출구(23)와, 상기 밀폐성 외각(11)에 고정되는 비선회 스크롤 부재(15)와, 모터(미도시)로부터 연장되고 상단부가 편심되어 형성되는 구동축(19)과, 상기 구동축(19)과 연계되는 선회 스크롤 부재(16)와, 상기 비선회 스크롤 부재(15)에 형성되는 공기의 압축 경로로서 비선회 나선형 랩(17)과, 상기 비선회 나선형 랩(17)과 간헐적으로 면접되어 공기의 압축경로를 형성하는 선회 나선형 랩(18)과, 상기 구동축(19)을 안전하게 지지하기 위한 베어링(21)과, 상기 비선회 스크롤 부재(15)의 중심부가 관통되어 압축된 유체가 상기 토출 챔버(14)로 배출되기 위한 중앙 토출 관로(26)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바이패스 구조는 상기 비선회 스크롤 부재(15)의 중심이 아닌 다른 소정 부위가 개구되어 형성되는 바이패스 포트(24)와, 상기 바이패스 포트(24)의 후방에 형성되어 유체의 경로를 가이드하는 막음 밸브(25)와, 상기 막음 밸브(25)에서 분지되어 상기 바이패스 포트(24)를 통해서 유출된 유체가 상기 흡입 챔버(13)로 유출되도록 하는 관로인 바이패스 관로(31)가 포함된다.
그리고, 바이패스 조정 구조로는 상기 막음 밸브(25)와 연결되어 상기 막음 밸브(25)를 조정하는 압력을 제공하는 조정 관로(30)와, 상기 조정 관로(30)에 가하여지는 압력이 저압관로(27) 또는 고압관로(28)로 부터 선택적으로 절환되어 공급되도록 하기 위한 조정 밸브(29)가 포함된다.
특히, 상기 저압 관로(27)는 일단은 상기 조정 밸브(29)와 연결되고 타단은 흡입구(22)와 연결되어, 상기 흡입구(22)의 압력이 상기 저압관로(27)에 가하여 진다. 그리고, 상기 고압 관로(28)는 일단은 상기 조정 밸브(29)와 연결되고 타단은토출구(23)와 연결되어, 상기 토출구(23)의 압력이 상기 고압관로(28)에 가하여 지도록 한다.
상세하게, 상기 막음 밸브(25)는 플로우트 밸브(Float Valve)가 적용되어, 소정 하우징의 내부를 자유로이 움직이는 물체에 의해서, 압력이 가해지는 방향으로 자유로이 움직여서 관로의 연결 상태를 변경하도록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제시되는 바와 같은 원기둥 형상의 부재가 원형의 하우징 내부를 움직이도록 하여, 양측 중에서 저압이 가하여지는 방향으로 자유로이 움직이도록 하는 구조가 가능하다. 또 다른 예로서는 하우징의 내주에 놓여 하우징의 내부를 자유로이 움직일 수 있는 원형의 구슬이 형성되도록 하고, 유체가 흐르는 통기구를 개폐하는 일정의 밸브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정 밸브(29)는 소정의 콘트롤러에 의해서 움직이는 솔레노이드 밸브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되는 바와 같은 압력 조절식 스크롤 압축기의 동작을 간단히 설명한다. 먼저, 일반적인 스크롤 압축기는 모터(미도시)와 연결되는 구동축(19)이 회전되면, 상기 구동축(19)과 접촉되는 선회 스크롤 부재(16)가 선회 운동하게 된다. 이때, 비선회 스크롤 부재(15)는 정지 상태로 놓여있다.
그리고, 선회 스크롤 부재(16)가 회전되면, 선회 스크롤 부재(16)에 형성되는 선회 나선형 랩(18)과, 비선회 스크롤 부재(15)에 형성되는 비선회 나선형 랩(17)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으로, 흡입 챔버(13)의 내부에 있는 저압의 피 압축 유체가 유입되어 압축된다.
그리고, 압축된 유체는 비선회 스크롤 부재(15)의 중심부에 형성되는 중앙 토출 관로(26)를 통하여, 상기 토출 챔버(14)로 토출되고, 토출 챔버(14)의 고압 유체는 토출구(23)를 통해 배출된다.
한편, 압축 중인 유체의 바이패스 구조로서, 상기 막음 밸브(25)가 형성되어 있어, 막음 밸브(25)가 닫혀있는 경우에는, 바이패스 포트(24)를 통해서 유체가 배출될 수 없다. 그러나, 막음 밸브(25)가 열려있는 경우에는, 바이패스 포트(24)를 경유한 유체가, 상기 바이패스 관로(31)를 통해서 상기 흡입 챔버(13)의 내부로 배출되어 바이패스 된다. 그러므로, 상기 막음 밸브(25)가 열려있는 경우에는, 압축 용량이 떨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 바이패스 구조를 조정하는 상기 바이패스 조정 구조로서, 상기 막음 밸브(25)의 동작을 조정하기 위하여, 막음밸브(25)에 일단이 연결되어 일정의 조정 압력을 인가하는 조정 관로(30)가 포함된다. 상기 조정 관로(30)의 타단에는 조정 밸브(29)가 형성되고, 상기 조정 밸브(29)에 의해서, 상기 저압 관로(27) 및 고압 관로(28)로부터 공급되는 압력이 선택적으로 상기 조정 관로(30)로 가하여진다.
특히, 상기 저압 관로(27) 및 고압 관로(28)는 상기 흡입구(22) 및 토출구(23)에 그 타단이 연결되어 있어, 상기 스크롤 압축기에서 압축되기 전의 저압의 유체압 또는 압축된 후의 고압의 유체압이 저압 관로(27) 및 고압 관로(28)에 가하여 지도록 한다.
상세하게, 상기 조정 밸브(29)가 도 1을 기준으로 하여 상측으로 이동되어고압 관로(28)와 조정 관로(30)가 연결되는 경우에는, 조정 관로(30)에는 고압이 인가되기 때문에, 상기 막음 밸브(25)는 도면을 기준으로 하측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상기 막음 밸브(25)가 하측으로 이동되어 닫혀 있을 때는, 상기 바이패스 포트(24)가 막혀져 압축되는 중에 있는 유체가 바이패스 되지 아니한다. 그러므로, 압축 용량의 손실없이 많은 유체가 압축될 수 있다.
그러나, 도 1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조정 밸브(29)가 하측으로 이동되어 저압 관로(27)와 조정 관로(30)가 연결되는 경우에는, 조정 관로(30)에는 저압이 인가되기 때문에, 상기 막음 밸브(25)는 도 1을 기준으로 상측으로 이동되어 열리게 된다. 왜냐하면, 스크롤 부재(15)(16)의 상호 운동에 의해서 압축 중인 유체는 적어도 흡입구(22)내의 압력보다는 압력이 높기 때문에, 플로우팅 밸브인 상기 막음 밸브(25)는 열리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막음 밸브(25)가 상측으로 이동되어 열려 있을 때는, 상기 바이패스 포트(24)가 열려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압축되는 도중에 있는 유체가 바이패스 관로(31)를 통해서 상기 흡입 챔버(13)의 내부로 바이패스 되어 토출된다. 그러므로, 압축 용량이 줄어들게 되고, 이러한 경우는 유체가 바이패스되는 양만큼 압축 용량이 줄어들게 되는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비선회 스크롤 부재의 저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비선회 스크롤 부재(15)는 나선형으로 꼬여있는 비선회 나선형 랩(17)과, 상기 비선회 나선형 랩(17)의 중앙부에 형성되어 압축된 유체가 토출되는 중앙 토출 관로(26)와, 상기 비선회 나선형 랩(17)들이 이격되는 사이의 공간에 형성되는 소정의 홀로서 압축되는 도중에 있는 유체가 바이패스 되기 위한 바이패스 포트(24)가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르는 압력 조절식 스크롤 부재의 동작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한다.
도 3과 도 5는 도 1에서 "A"부분을 확대한 도면이고, 도 4와 도 6은 바이패스 포트의 개폐 상태에 따른 스크롤 부재의 상태를 개념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 3과 도 4는 바이패스 포트가 막혀있는 상태를 보이고 있고, 도 5와 도 6은 바이패스 포트가 개방되어 있는 상태를 보이고 있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바이패스 포트(24)가 폐쇄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상세히는, 대향되는 상기 비선회 나선형 랩(17)의 이격되는 공간의 사이에 바이패스 포트(24)가 형성되고, 상기 바이패스 포트(24)는 막음 밸브(25)에 의해서 막혀있다. 이때, 상기 조정관로(30)에는 고압이 인가되기 때문에, 상기 막음 밸브(25)는 강하게 상기 바이패스 포트(24)를 막고 있을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바이패스 포트(24)가 막혀있는 상태에서는, 비선회 나선형 랩(17)과 선회 나선형 랩(18)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인 제 1 흡입체적(41)이 비선회 나선형 랩(17)과 선회 나선형 랩(18)이 만나는 첫 위치부터 형성될 수 있다.
상세하게 흡입 체적의 형성에 대하여 설명하면, 비선회 나선형 랩(17)과 선회 나선형 랩(18)이 접촉되어 형성되는 흡입 체적은 두개가 있을 수 있다.
하나는, 비선회 나선형 랩(17)의 내주면과 선회 나선형 랩(18)의 외주면이 만나서 형성되는 제 1 흡입 공간으로서,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은 제 1흡입체적(41)으로 설명될 수 있다.
다른 하나는, 비선회 나선형 랩(17)의 외주면과 선회 나선형 랩(18)의 내주면이 만나서 형성되는 제 2 흡입 공간으로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아니하지만, 선회 나선형 랩(18)이 선회되는 동작에 의해서 생성되는 흡입체적을 충분히 생각해 볼 수 있다.
상기 제 1 흡입공간이 처음으로 시작되는 지점은 CS1(Compress Start 1)로 표시되는 지점이고, 상기 제 2 흡입공간이 처음으로 시작되는 지점은 CS2(Compress Start 2)로 표시되는 지점이다. 한편, 제 1, 2 흡입 공간의 시작 지점이 대칭적이지 아니하므로, 이러한 동작 상태를 '비대칭 운전'이라고 말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2 흡입 공간의 시작 지점이 중심부를 기준으로 볼 때, 한쪽에 같이 형성되는 경우를 '비대칭 운전'이라고 말할 수 있는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바이패스 포트(24)가 개방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상세히는, 대향되는 상기 비선회 나선형 랩(17)의 이격되는 공간의 사이에 바이패스 포트(24)가 형성되고, 상기 바이패스 포트(24)는 막음 밸브(25)가 상측으로 이동되어 있으므로 개방되어 있다. 이때, 상기 조정관로(30)에는 기 설명된 바와 같이 저압이 인가되기 때문에, 상기 막음 밸브(25)가 개방되어 압축 중인 유체가 바이패스되어 바이패스 포트(24) 및 바이패스 관로(31)를 통하여 흡입 챔버(13)의 내부로 바이패스되어 토출된다.
도 6을 참조하면, 바이패스 포트(24)가 개방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비선회 나선형 랩(17)과 선회 나선형 랩(18)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인 제 2 흡입체적(42)이, 비선회 나선형 랩(17)과 선회 나선형 랩(18)이 만나는 첫 위치부터 형성되지 아니한다. 그 대신에 상기 바이패스 포트(24)가 형성되어 있는 위치를 지난 지점부터 제 2 흡입체적(42)이 형성되기 시작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상세하게 흡입 체적의 형성에 대하여 설명하면, 비선회 나선형 랩(17)과 선회 나선형 랩(18)이 접촉되어 형성되는 흡입 공간은 기 설명된 바와 같이 두개가 있을 수 있다.
즉, 하나는, 비선회 나선형 랩(17)의 내주면과 선회 나선형 랩(18)의 외주면이 만나서 형성되는 제 1 흡입 공간으로서,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은 제 1 흡입체적(41)으로 설명될 수 있다.
다른 하나는 비선회 나선형 랩(17)의 외주면과 선회 나선형 랩(18)의 내주면이 만나서 형성되는 제 2 흡입 공간으로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아니하지만, 선회 나선형 랩(18)이 선회되는 동작에 의해서 생성되는 흡입공간을 충분히 생각해 볼 수 있다.
또한, 상기 바이패스 포트(24)는 비선회 나선형 랩(17)의 내주면에 가까이 형성되므로, 제 2 흡입 공간의 형성에는 방해가 없다. 즉, 제 2 흡입 공간이 형성될 때, 상기 바이패스 포트(24)는 선회 나선형 랩(18)에 의해서 막히게 되므로, 제 2 흡입 공간은 바이패스 포트(24)의 유무에 영향을 받지 아니하는 것이다.
압축 초기에 상기 제 1 흡입공간이 처음으로 시작되는 지점은 CS1로 표시되는 지점이고, 압축 초기에 상기 제 2 흡입공간이 처음으로 시작되는 지점은 CS2로 표시되는 지점이다. 즉, 상기 제 1, 2 흡입 공간의 시작 지점인 CS1 과 CS2가 스크롤 부재(15)(16)의 중심을 기점으로 양자가 대칭적이므로, 이러한 동작 상태를 '대칭 운전'이라고 말할 수 있다.
한편, 상기된 바와 같은 '대칭 운전'이 완전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바이패스 포트(24)의 형성 위치는 비선회 스크롤 부재(15)의 중심부를 기점으로 비선회 나선형 랩(17) 시작 부위의 반대쪽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제 1 흡입체적(41)과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제 2 흡입체적(42)을 비교하면, 흡입체적에 있어서 차이가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상세하게, 상기 제 1 흡입체적(41)은 제 2 흡입체적(42)에 비하여 크고, 이는 곧 비대칭 운전 상태에서는, 보다 많은 유체가 압축되는 것을 의미한다. 다만, 상기 제 2 흡입공간은 양자간에 동일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1 흡입체적(41)과 제 2 흡입체적(42)의 공간이, 바이패스 포트(24)의 개방상태 또는 폐쇄상태에 따라 양자 간에 차이가 남으로써 발생되는 흡입 공간의 체적 차이에 의해서, 압축 용량에 차이가 날 수 있게 된다.
실험에 따르면, 바이패스 포트(24)가 폐쇄되어 압축이 가능한 전체의 용량(전 부하)으로 압축을 시행할 경우에는, 바이패스 포트(24)가 개방되어 일 부분의 용량(부분 부하)에 대해서만 압축을 시행할 경우에 비하여, 18%정도의 압축 용량의 증대가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결국, 바이패스 포트(24)의 개방/폐쇄 상태, 막음 밸브(25)의 개방/폐쇄 상태, 및 조정 밸브(29)의 조정 상태의 변경에 따라서, 스크롤 압축기는 비대칭/대칭운전으로 운전 상태가 전환된다. 그리고, 운전 상태의 전환은 흡입체적의 증감으로 이어져 압축 용량의 가변을 가져올 수 있다.
예를 들면, 조정 밸브(29)의 조정 상태가 고압 관로(28)와 조정 관로(30)를 연결하는 쪽으로 이동되는 경우에는, 막음 밸브(25)가 도면을 기준으로 하측으로 이동되고, 바이패스 포트(24)는 폐쇄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2 흡입공간의 시작 지점이 비대칭으로서 스크롤 압축기는 비대칭 운전상태가 된다. 또한, 이러한 경우에는 압축 용량이 증가되므로, 큰 압축 용량이 요구되는, 예를 들면 공조기의 난방 운전 상태에 적합할 수있다.
이와 반대되는 경우를 설명하면, 조정 밸브(29)의 조정 상태가 저압 관로(27)와 조정 관로(30)를 연결하는 쪽으로 이동되는 경우에는, 막음 밸브(25)가 도면을 기준으로 상측으로 이동되고, 바이패스 포트(24)는 개방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2 흡입공간의 시작 지점이 대칭으로서 스크롤 압축기는 대칭 운전상태가 된다. 또한, 이러한 경우에는 압축 용량이 감소되므로, 작은 압축 용량이 요구되는 공조기의 냉방 운전 상태에 적합할 수 있는 것이다.
다만, 공조기의 냉방/난방의 운전 상태를 예시적인 설명에 지나지 아니하며, 압축 용량의 차이가 필요한 그 어느 사용처라 하더라도 무관하게 적용될 수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많은 부분에서 기 설명된 바가 있는 원 실시예와 동일하고, 다만, 조정 밸브를 기점으로 하는 연결 상태만이 변경된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조정 관로(52)와, 조정 밸브(53), 및 고압관로(51)가 형성되는 것은 원 실시예와 동일하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조정 밸브(53)의 또 다른 연결관로인 저압 관로(도 1의 27참조)가 형성되지 아니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상기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와 같이 저압 관로(27)가 형성되지 아니하는 경우에는, 조정밸브(53)가 도 7을 기준으로 하측으로 이동되어 고압이 조정관로(52)에 가해지지 아니한다.
또한, 그 경우에는 조정 관로(52)의 내부 압력이, 바이패스 포트(24)가 형성된 지점의 압력으로서, 스크롤 압축기의 압축 중인 유체의 중간 압력보다 작으므로, 상기 막음 밸브(25)가 개방될 수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막음 밸브(25)는 소정의 하우징 내부에 자유로이 움직일 수 있는 플로우팅 밸브가 적용될 수 있다.
설명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조정 밸브의 조정 상태를 조정하기만 하면 편리하게 압축 중인 유체를 바이패스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바이패스 포트를 조작할 수 있는 원동력은 스크롤 압축기로 흡입되기 전의 압력인, 저압의 압축전 압력과, 스크롤 압축기에 의해서 압축되어 토출된 후의 압력인 고압의 압축후 압력이 이용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그러므로, 스크롤 압축기의 구조를 한층 더 간단히 할 수 있고,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용량 조절식 스크롤 압축기는, 압축 모터의 회전수가 동일한 상태에서 간단한 구성으로도 유체의 바이패스 기능을 이용하여 압축 용량을 가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별도의 추가적인 구성없이, 스크롤 압축기에 의해서 압축되기 전과, 압축된 후의 유체 압력을 이용하여 밸브를 구동함으로써, 스크롤 압축기의 제작 비용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스크롤 압축기의 스크롤 부재 압축 공간의 벽이 뚫려 형성되는 바이패스 포트;
    일단이 상기 바이패스 포트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스크롤 압축기 내에서 압축되기 전의 저압 상태인 유체가 저장되는 흡입 챔버와 연결되는 바이패스 관로;
    상기 바이패스 포트와 상기 바이패스 관로의 연결 상태를 개방/폐쇄 상태로 조작하기 위한 막음 밸브;
    상기 막음 밸브의 위치를 개방 또는 폐쇄 위치로 조정하기 위하여, 상기 스크롤 압축기 흡입구의 저압 상태 유체압과, 상기 스크롤 압축기 토출구의 고압 상태 유체압이, 소정의 관로를 통하여 선택적으로 상기 막음 밸브에 인가되도록 하기 위한 조정 밸브가 포함되는 용량 조절식 스크롤 압축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밸브에는,
    상기 흡입구와 연결되는 저압관로,
    상기 토출구와 연결되는 고압관로,
    상기 막음밸브와 연결되는 조정관로가 각각 연결되어 그 압력 전달 상태가 조작되는 용량 조절식 스크롤 압축기.
  3. 스크롤 부재의 압축 경로에 형성되는 바이패스 포트;
    상기 바이패스 포트의 개방 상태 또는 폐쇄 상태를 조작하는 막음 밸브;
    상기 막음 밸브의 개방 상태 또는 폐쇄 상태를, 상기 스크롤 압축기의 흡입구측의 압력 및/또는 상기 스크롤 압축기의 토출구측의 압력으로 조정하기 위한 바이패스 조정 구조가 포함되는 용량 조절식 스크롤 압축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 조정 구조에는 상기 흡입구의 유체 압력, 상기 토출구의 유체 압력이 선택되어 연통되도록 하는 조정 밸브,
    상기 조정 밸브 및 상기 막음 밸브에 양단이 연결되어 상기 조정 밸브에 의해서 선택된 유체 압력이 상기 막음 밸브로 인가되도록 하는 조정 관로가 포함되는 용량 조절식 스크롤 압축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 조정 구조에는 상기 토출구의 압력이 선택적으로 연통되도록 하는 조정 밸브.
    상기 조정 밸브 및 상기 막음 밸브에 양단이 연결되어 상기 조정 밸브에 의해서 선택된 유체 압력이 상기 막음 밸브로 인가되도록 하는 조정관로가 포함되는 용량 조절식 스크롤 압축기.
KR1020030051770A 2003-07-26 2003-07-26 용량 조절식 스크롤 압축기 KR1005570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1770A KR100557057B1 (ko) 2003-07-26 2003-07-26 용량 조절식 스크롤 압축기
US10/832,300 US20050019176A1 (en) 2003-07-26 2004-04-27 Variable capacity scroll compressor
CNB2004100422457A CN100343519C (zh) 2003-07-26 2004-05-09 可变容量涡旋压缩机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1770A KR100557057B1 (ko) 2003-07-26 2003-07-26 용량 조절식 스크롤 압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2633A true KR20050012633A (ko) 2005-02-02
KR100557057B1 KR100557057B1 (ko) 2006-03-03

Family

ID=340750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1770A KR100557057B1 (ko) 2003-07-26 2003-07-26 용량 조절식 스크롤 압축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050019176A1 (ko)
KR (1) KR100557057B1 (ko)
CN (1) CN100343519C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6229B1 (ko) * 2008-01-31 2009-09-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크롤 압축기의 모드 전환장치
US10578106B2 (en) 2014-12-12 2020-03-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mpresso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4058B1 (ko) * 2004-11-04 2007-0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크롤 압축기의 용량 가변장치
JP4660335B2 (ja) * 2005-09-30 2011-03-30 三洋電機株式会社 スクロール圧縮機
US7674098B2 (en) * 2006-11-07 2010-03-09 Scroll Technologies Scroll compressor with vapor injection and unloader port
JP2009030469A (ja) * 2007-07-25 2009-02-12 Daikin Ind Ltd スクロール圧縮機
US20100028182A1 (en) * 2008-07-31 2010-02-04 Hahn Gregory W Line fed permanent magnet synchronous type motor for scroll compressor with bypass ports
CN104912795B (zh) * 2014-03-10 2017-06-30 珠海格力节能环保制冷技术研究中心有限公司 变容量涡旋压缩机
CN105317675B (zh) * 2014-06-30 2017-11-14 珠海格力节能环保制冷技术研究中心有限公司 变容量涡旋压缩机
CN106286292B (zh) * 2015-05-27 2018-12-04 珠海格力节能环保制冷技术研究中心有限公司 压缩组件、变容量涡旋压缩机及空调器
US20170084373A1 (en) * 2015-09-21 2017-03-23 Qualcomm Incorporated Programmable magnet orientations in a magnetic array
CN105508241B (zh) * 2015-12-22 2017-11-24 珠海格力节能环保制冷技术研究中心有限公司 一种涡旋压缩机及其控制方法
CN105927540B (zh) * 2016-05-02 2018-02-23 东北电力大学 涡旋‑旋转式多级变容量压缩机
KR102469601B1 (ko) * 2017-01-26 2022-1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크롤 압축기
CN108591061B (zh) * 2018-05-25 2024-05-07 天津商业大学 带内容积比调节的卧式涡旋式制冷压缩机
CN113007093B (zh) * 2019-12-20 2023-12-22 谷轮环境科技(苏州)有限公司 涡旋压缩机
GB2600716B (en) * 2020-11-05 2023-05-03 Edwards Ltd Scroll pump
KR20220134708A (ko) * 2021-03-25 2022-10-05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스크롤 압축기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76287A (en) * 1980-10-31 1982-05-13 Hitachi Ltd Scroll compressor
JPS58148290A (ja) * 1982-02-26 1983-09-03 Hitachi Ltd スクロ−ル圧縮機を用いた冷凍装置
JP3376692B2 (ja) * 1994-05-30 2003-02-10 株式会社日本自動車部品総合研究所 スクロール型圧縮機
US6047557A (en) * 1995-06-07 2000-04-11 Copeland Corporation Adaptive control for a refrigeration system using pulse width modulated duty cycle scroll compressor
US5613841A (en) * 1995-06-07 1997-03-25 Copeland Corporation Capacity modulated scroll machine
JP3591101B2 (ja) * 1995-12-19 2004-11-17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スクロール形流体機械
US6478550B2 (en) * 1998-06-12 2002-11-12 Daikin Industries, Ltd. Multi-stage capacity-controlled scroll compressor
US6190138B1 (en) * 1998-06-12 2001-02-20 Scroll Technologies Flow valve for correcting reverse rotation in scroll compressor
JP4300712B2 (ja) * 2000-03-15 2009-07-2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冷蔵庫
JP2001354028A (ja) * 2000-06-14 2001-12-25 Denso Corp 蒸気圧縮式冷凍サイクル
US6266968B1 (en) * 2000-07-14 2001-07-31 Robert Walter Redlich Multiple evaporator refrigerator with expansion valve
KR100397561B1 (ko) * 2001-08-20 2003-09-13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스크롤 압축기의 보호장치
KR100459451B1 (ko) * 2002-04-29 2004-1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크롤 압축기의 고진공 방지 장치
KR100469461B1 (ko) * 2002-08-28 2005-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크롤 압축기의 용량 가변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6229B1 (ko) * 2008-01-31 2009-09-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크롤 압축기의 모드 전환장치
US8177522B2 (en) 2008-01-31 2012-05-15 Lg Electronics Inc. Mode changing apparatus for a scroll compressor
US10578106B2 (en) 2014-12-12 2020-03-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mpress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50019176A1 (en) 2005-01-27
KR100557057B1 (ko) 2006-03-03
CN1576601A (zh) 2005-02-09
CN100343519C (zh) 2007-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47321B1 (ko) 용량 조절식 스크롤 압축기
KR100547322B1 (ko) 용량 조절식 스크롤 압축기
KR100557057B1 (ko) 용량 조절식 스크롤 압축기
KR100557056B1 (ko) 용량 조절식 스크롤 압축기
JP4856091B2 (ja) 容量可変型ロータリ圧縮機及びこれを備える冷却システム
JP4639413B2 (ja) スクロール圧縮機および空気調和機
KR930012234B1 (ko) 용량제어 공기조화기
JP5489142B2 (ja) スクロール圧縮機
KR100629872B1 (ko) 로터리 압축기의 용량 가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에어콘의운전 방법
WO2007066463A1 (ja) スクロール圧縮機
US10309700B2 (en) High pressure compressor and refrigerating machine having a high pressure compressor
JP5228905B2 (ja) 冷凍装置
KR20040063217A (ko) 용량가변형 회전압축기
WO2021200858A1 (ja) スクリュー圧縮機及び冷凍装置
JPH08303361A (ja) スクロール圧縮機
JP2004293552A (ja) 容量可変回転圧縮機
JP5515289B2 (ja) 冷凍装置
JP5338314B2 (ja) 圧縮機および冷凍装置
JP3764261B2 (ja) スクロール圧縮機
KR101368395B1 (ko) 스크롤 압축기
KR100621027B1 (ko) 로터리 압축기의 용량 가변 장치
KR101194608B1 (ko) 용량 가변형 로터리 압축기
JP5321055B2 (ja) 冷凍装置
JP5835299B2 (ja) 冷凍装置
KR100560683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2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