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11328A - 사설망에서의 덱트 단말 호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사설망에서의 덱트 단말 호 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11328A
KR20050011328A KR20030050359A KR20030050359A KR20050011328A KR 20050011328 A KR20050011328 A KR 20050011328A KR 20030050359 A KR20030050359 A KR 20030050359A KR 20030050359 A KR20030050359 A KR 20030050359A KR 20050011328 A KR20050011328 A KR 200500113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t terminal
terminal
dect
qsig
exch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300503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종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300503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11328A/ko
Publication of KR200500113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1328A/ko

Links

Landscapes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Sub-Exchange Stations And Push- Button Telepho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의 사설 교환기가 QSIG(Q reference point SIGnaling protocol) 네트웍으로 연동한 사설망에서 임의의 사설 교환기에 등록된 DECT(Digital Enhanced Cordless Telephone) 단말기가 사설망 내의 다른 사설 교환기의 셀 영역으로 이동한 경우에도 통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사설망에서의 DECT 단말 호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설망에서 QSIG 네트웍으로 연동된 다른 사설 교환기의 셀 영역으로 이동해 간 DECT 단말기에 대해서도 해당되는 QSIG 중계선 채널을 통해 호 처리를 수행하여 통화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로컬 사설 교환기가 서비스할 수 없는 영역까지 서비스 영역을 확장하여 사설망 내의 DECT 단말기에 대한 이동성을 확장할 수 있으며, 특히 다수의 교환기로 연동된 대규모 단지에서 하나의 DECT 단말기를 사용하여 여러 사업장을 이동하면서 통화할 수 있는 등 전체적인 시스템 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사설망에서의 덱트 단말 호 처리 방법{Call Processing Method For DECT Terminal In Private Network}
본 발명은 다수의 사설 교환기가 QSIG(Q reference point SIGnaling protocol) 네트웍으로 연동한 사설망에서의 호 처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임의의 사설 교환기에 등록된 DECT(Digital Enhanced Cordless Telephone) 단말기가 사설망 내의 다른 사설 교환기의 셀 영역으로 이동한 경우에도 통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사설망에서의 DECT 단말 호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DECT(Digital Enhanced Cordless Telephone) 시스템이라 함은 사설 교환기에서 사용되어지는 휴대용 무선 단말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해 주는 시스템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당 사설 교환기는 무선 단말기 사용이 가능하도록 무선 단말 가입자 보드(WTIC ; Wireless Telephone Interface Card)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무선 단말 가입자 보드는 일정 범위의 전파수신지역에 해당되는 셀을 지원함으로써 어느 정도의 공간 내에서 무선 단말기를 휴대하고 다니면서 자유로이 통화가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임의의 통신망 내의 사설 교환기들은 ISDN 중계선 보드(DNIC-PRI ; ISDN/QSIG Interface Card)를 구비함으로써 동일 기종간에 QSIG(Q reference point SIGnaling protocol) 프로토콜로 상호 연동하여 하나의 사설망을 구성할 수 있으며, 이러한 사설망에서 외부로부터 임의의 사설 교환기로 착신되는 호는 QSIG 중계선을 통해 사설망 내의 다른 사설 교환기로 전환될 수 있다.
하지만, 종래에는 다수의 사설 교환기들이 QSIG 네트웍으로 상호 연동하면서사설망을 구축하여 운용되는 경우 사설망 내의 어느 한 사설 교환기에 등록된 무선 단말기인 DECT 단말기는 해당되는 사설 교환기에서 제공하는 전파수신지역인 셀 영역을 벗어나는 경우 즉, 다른 사설 교환기의 셀 영역으로 이동하는 경우 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었고, 따라서 DECT 단말기의 사용 가능한 이동 영역을 확장하기 위해서는 셀 영역을 확장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첨부된 도면 도 1과 같이 사설 교환기 A, B가 QSIG 네트웍을 통해 연동하는 사설망에서 각 사설 교환기에는 일정범위의 셀 영역 내에서 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DECT 단말기가 등록될 수 있으며, 이때 DECT 단말기는 자신이 등록된 사설 교환기에서 부여한 고유의 전화번호를 가지고 호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DECT 단말기는 서로 다른 사설 교환기에 독립적으로 등록될 수 있지만, 어느 한 사설 교환기에서는 다른 사설 교환기에 등록된 DECT 단말 정보를 모르기 때문에 특정 DECT 단말기가 서로 다른 사설 교환기에 등록되어 있더라도 이러한 DECT 단말기에 대해 어느 한 사설 교환기로 착신된 호를 실제 단말기가 위치한 다른 사설 교환기로 중계해 주지는 못하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QSIG 네트웍으로 연동된 사설망의 경우 DECT 단말기는 자신이 등록된 사설 교환기의 셀 영역을 벗어나게 되면 동일 전화번호에 의한 호 처리가 불가능하여 진행중인 호를 끊고 새로운 사설 교환기에 등록한 후에 새로 호를 진행해야 하는 등 DECT 단말기 사용에 큰 제약을 받는 문제점이 있으며, 특히 여러 대의 사설 교환기로 연동된 대규모 단지의 사설망에서 DECT 단말기의 서비스영역을 확장하기 위해서는 해당되는 단말기가 등록된 사설 교환기에서 관할하는 셀 영역을 확장하는 방법 이외에는 별다른 방법이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하지만, 전술한 방법과 같이 사설망 내의 어느 한 사설 교환기가 관할하는 셀 영역을 확장하는 경우 주변의 다른 사설 교환기들의 셀 영역은 축소될 수 밖에 없는 등 전체적인 시스템 활용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사설망에서 QSIG 네트웍으로 연동된 다른 사설 교환기의 셀 영역으로 이동해 간 DECT 단말기에 대해서도 해당되는 QSIG 중계선 채널을 통해 호 처리를 수행하여 통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사설망에서의 DECT 단말 호 처리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설망에서 QSIG 네트웍으로 연동된 다른 사설 교환기의 셀 영역으로 이동해 간 DECT 단말기에 대해서도 통화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로컬 사설 교환기가 서비스할 수 없는 영역까지 서비스 영역을 확장하여 사설망 내의 DECT 단말기에 대한 이동성을 확장하고, 하나의 DECT 단말기를 사용하여 여러 사업장을 이동하면서 통화할 수 있도록 하는 등 전체적인 시스템 활용도를 향상시키는데 있다.
도 1은 종래에 사설 교환기들이 QSIG 네트웍으로 연동된 사설망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사설망에서의 DECT 단말 호 처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사설망에서의 DECT 단말 호 처리 동작에 있어, DECT 단말기의 이동성을 보장하기 위한 위치 정보 등록 절차를 도시한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사설망에서의 DECT 단말 호 처리 동작을 도시한 순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a, 20b : 사설 교환기 21a, 21b : 무선 단말 가입자 보드
22a, 22b : 가입자 제어부 23a, 23b : 중계선 제어부
24a, 24b : ISDN 중계선 보드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다수의 교환기들이 QSIG 네트웍을 통해 연동된 사설망에서의 호 처리 방법에 있어서, 로컬 교환기의 셀 영역을 벗어나 원격 교환기의 셀 영역으로 이동한 DECT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QSIG 네트웍을 통해 연동된 교환기들의 가입자 정보 DB에 등록하는 과정과; 상기 원격 교환기에 위치한 DECT 단말기에 대한 착신 호 수신시 QSIG 네트웍을 통해 호출 메시지를 전송하여 상기 원격 교환기로의 착신 호 전환 처리를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원격 교환기에서 DECT 단말기를 호출한 후에 QSIG 중계선을 통해 통화로를 연결하여 무선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사설망에서의 덱트 단말 호 처리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여기서, 상기 DECT 단말 위치 정보를 등록하는 과정은, 임의의 로컬 교환기의 셀 영역을 벗어나 원격 교환기의 셀 영역으로 이동한 DECT 단말기로부터 상태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수신받아 원격 교환기의 가입자 정보 DB에 등록하는 단계와; 상기 원격 교환기에서 QSIG 네트웍 연동 시스템 정보를 검색하여 상기 QSIG 네트웍을 통해 연동된 교환기들에게 상기 DECT 단말 위치 정보를 전송해 주는 단계와; 상기 QSIG 네트웍을 통해 연동된 각 교환기에서 DECT 단말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자체 가입자 정보 DB에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원격 교환기로의 착신 호 전환 처리를 수행하는 과정은, 외부로부터 DECT 단말기에 대한 착신 호가 수신되는 경우 가입자 정보 DB를 검색하여 착신 요청된 DECT 단말기가 어떤 교환기에 위치해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DECT 단말기가 원격 교환기에 위치해 있는 경우 상기 원격 교환기로의 QSIG 중계선 채널을 할당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할당한 QSIG 중계선 채널과 착신 호를 연결함으로써 QSIG 네트웍을 통해 착신 요청된 DECT 단말기 호출 메시지를 상기 원격 교환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DECT 단말기에 대해 무선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은, 원격 교환기에서 QSIG 네트웍을 통해 DECT 단말기 호출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착신번호를 분석한 후에 가입자 정보 DB를 검색하여 해당되는 DECT 단말기가 착신 호출이 가능한 상태인지 확인하는 단계와; 착신 호출이 가능한 상태인 경우 DECT 단말기를 호출하고, 착신 응답시 QSIG 중계선을 통해 로컬 교환기 측과의 통화를 연결하여 원격 교환기의 셀 영역으로 이동해간 DECT 단말기에 대해 무선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는 QSIG 네트웍으로 연동된 사설망에서 임의의 DECT 단말기가 자신이 등록된 사설 교환기의 셀 영역을 벗어나 원격지의 다른 사설 교환기의 셀 영역으로 이동한 경우 해당되는 DECT 단말기에 대해 착신되는 호를 QSIG 중계선 채널을 점유하여 전환해 줌으로써 DECT 단말기의 이동성을 보장하게 되는데, 이를 위해 임의의 사설 교환기에 등록된 DECT 단말기가 그 교환기의 셀 영역을 벗어나 다른 사설 교환기의 셀 영역으로 이동하는 경우 현재의 DECT 단말기 위치 정보를 QSIG 네트웍으로 연동된 모든 사설 교환기로 전송하여 등록하게 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사설망에서의 DECT 단말 호 처리 시스템은 첨부한 도면도 2에 예시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데, 여기서 사설망은 본 발명의 설명 및 이해를 돕기 위해 사설 교환기 A와 사설 교환기 B가 QSIG 중계선을 통해 상호 연동하여 구성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도 2와 같이 두 대의 사설 교환기(20a, 20b)가 연동하는 경우로 한정되지 않고 그 이상의 사설 교환기가 연동하는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설망을 구성하는 각 사설 교환기 A, B(20a, 20b)는 무선 단말 가입자 보드(21a, 21b)와, 가입자 제어부(22a, 22b)와, 중계선 제어부(23a, 23b) 및 QSIG 중계선을 접속하여 다른 사설 교환기와 연동하는 ISDN 중계선 보드(24a, 24b)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데, 무선 단말 가입자 보드(21a, 21b)는 DECT 단말기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보드로서 자신이 관리하는 셀 영역 내로 이동해 온 DECT 단말기의 상태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가입자 제어부(22a, 22b)로 전달해 준다.
가입자 제어부(22a, 22b)는 무선 단말 가입자 보드(21a, 21b) 및 중계선 제어부(23a, 23b)와의 연동을 통해 DECT 단말기의 상태 정보 및 위치 정보 등록 기능과, QSIG 연동 시스템 정보 및 DECT 단말 위치 정보 전송 기능과, 착신번호 분석을 통한 DECT 단말 위치 정보 조회 및 착신 호 전환/처리 기능을 제공한다.
중계선 제어부(23a, 23b)는 가입자 제어부(22a, 22b)로부터 QSIG 연동 시스템 정보 및 DECT 단말 위치 정보를 전달받아 현재 QSIG 네트웍을 통해 연동된 사설 교환기(20a, 20b)들에게 셀 영역 내로 이동해 온 DECT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ISDN 중계선 보드(24a, 24b)를 통해 전송해 주며, ISDN 중계선 보드(24a, 24b)를 통해다른 사설 교환기로부터 DECT 단말 위치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이를 가입자 제어부(22a, 22b)로 전달해 준다. 그리고 원격지에 위치한 DECT 단말기로의 착신 호 전환을 위해 QSIG 중계선 채널을 할당하여 해당되는 착신 호와 QSIG 중계선을 연결해 준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사설망에서의 DECT 단말 호 처리 동작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QSIG 네트웍으로 연동된 사설망에서 DECT 단말기의 이동성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현재의 단말기 위치 정보를 등록해야 하는데, 이를 첨부한 도면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사설 교환기 A(20a)에 등록된 DECT 단말기가 해당되는 교환기의 전파수신지역인 셀 영역을 벗어나 사설 교환기 B(20b)의 셀 영역으로 이동한 경우 DECT 단말기의 전원을 오프시켰다가 다시 온 시키게 된다(스텝 S31).
그러면, DECT 단말기는 전원이 온 됨에 따라 자신의 상태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전송하게 되며, 이때 DECT 단말기가 위치한 사설 교환기 B(20b)의 무선 단말 가입자 보드(21b)는 DECT 단말 상태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수신받아 가입자 제어부(22b)로 전달하게 된다(스텝 S32).
이에, 가입자 제어부(22b)는 무선 단말 가입자 보드(21b)로부터 전달되는 DECT 단말기의 상태 정보 및 위치 정보를 가입자 정보 DB에 등록하게 되고(스텝 S33), 또한 QSIG 네트웍을 통해 연동된 사설 교환기들의 시스템 정보를 검색하여(스텝 S34), 해당되는 QSIG 연동 시스템 정보를 DECT 단말기의 위치 정보와 함께 중계선 제어부(23b)로 전달해 주게 된다.
이때, 중계선 제어부(23b)는 가입자 제어부(22b)로부터 전달받은 DECT 단말 위치 정보를 ISDN 중계선 보드(24b)에 연결된 QSIG 중계선을 통해 주변 사설 교환기들에게 전송해 주게 되는데, 즉, 사설 교환기 B(20b)의 셀 영역 내로 이동해 온 DECT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해당되는 QSIG 연동 시스템 정보에 따라 현재 QSIG 네트웍을 통해 연동된 사설 교환기들에게 전송해 주게 된다(스텝 S35).
그러면, QSIG 네트웍을 통해 연동된 사설 교환기 측에서는 QSIG 중계선 및 ISDN 중계선 보드를 통해 전송된 DECT 단말 위치 정보를 중계선 제어부에서 수신하여 가입자 제어부로 전달하게 되며, 이때 가입자 제어부는 중계선 제어부로부터 DECT 단말 위치 정보를 전달받게 되면 번호분석을 한 후에 해당되는 DECT 단말 위치 정보를 자체 가입자 정보 DB에 등록하게 된다(스텝 S36).
상술한 동작에 따라 DECT 단말기의 위치 정보가 QSIG 네트웍으로 연동된 모든 사설 교환기에 등록된 상태에서의 DECT 단말 호 처리 동작을 첨부한 도면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외부로부터 DECT 단말기에 대한 착신 호가 수신되는 경우(스텝 S41) 현재 착신 호가 수신된 로컬 사설 교환기(예컨대, 사설 교환기 A)(20a)의 가입자 제어부(22a)에서는 착신 요청에 대한 번호분석을 수행한 후에 가입자 정보 DB의 DECT 단말 위치 정보를 검색하여(스텝 S42), 현재 착신 요청된 DECT 단말기가 어떤 교환기에 위치해 있는지 즉, 로컬 사설 교환기(20a) 내에 위치해 있는지, QSIG 네트웍으로 연동된 원격지의 다른 사설 교환기(예컨대, 사설 교환기 B)(20b)에 위치해 있는지를 확인하게 된다(스텝 S43).
이때, 착신 요청된 DECT 단말기가 로컬 사설 교환기(20a) 내에 위치해 있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가입자 제어부(22a)는 무선 단말 가입자 보드(21a)를 통해 해당되는 DECT 단말기를 직접 호출하게 되며(스텝 S44), 이후에 착신 가입자가 호출에 응답하게 되면 통화로를 연결함으로써 DECT 단말기에 대해 무선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스텝 S45).
하지만, 착신 요청된 DECT 단말기가 원격 사설 교환기(20b)에 위치해 있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에는 해당되는 사설 교환기로 착신 호를 전환하게 되는데, 이를 위해 중계선 제어부(23a)는 착신 요청된 DECT 단말기가 위치한 원격 사설 교환기(20b)로 착신 호를 전환하기 위한 QSIG 중계선 채널을 할당하게 되며(스텝 S46), 이후에 할당된 QSIG 중계선 채널과 착신 호를 연결함으로써 QSIG 네트웍을 통해 착신 요청된 DECT 단말기 호출 메시지를 전송하게 된다(스텝 S47).
그리고, DECT 단말기 호출 메시지를 전송받은 원격 사설 교환기(20b)의 가입자 제어부(22b)에서는 ISDN 중계선 보드(24b) 및 중계선 제어부(23b)를 통해 수신된 DECT 단말기 호출 메시지에 포함된 착신번호를 분석한 후에 가입자 정보 DB를 검색하여(스텝 S48), 현재 착신 호 전환된 DECT 단말기가 자신이 관할하는 셀 영역 내에 위치해 있음을 확인하고, 동시에 DECT 단말 상태 정보를 검색하여 현재 착신호 전환된 DECT 단말기가 착신 호출이 가능한 상태인지를 확인하게 된다(스텝 S49).
이때, DECT 단말 상태 정보를 확인한 결과 착신 호출이 가능하지 않은 상태인 경우에는 착신 호 복구 처리를 수행함으로써 이후에 다시 착신 호출하게 하거나, 음성 또는 문자 메시지를 남길 수 있도록 부가서비스 처리를 수행하게 된다(스텝 S50).
그리고, DECT 단말 상태 정보를 확인한 결과 착신 호출이 가능한 상태인 경우 가입자 제어부(22b)에서는 무선 단말 가입자 보드(21b)를 통해 해당되는 DECT 단말기를 호출하게 된다(스텝 S51).
이후에 착신 가입자가 착신 호출에 응답함에 따라 응답신호가 수신되면, 원격 사설 교환기(20b)의 가입자 제어부(22b)는 QSIG 중계선 채널을 통해 로컬 사설 교환기(20a) 측으로 착신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게 되며(스텝 S52), QSIG 네트웍을 통해 연동된 로컬 사설 교환기(20a) 측과의 통화로를 연결하여 사설망 내의 원격 사설 교환기(20b)의 셀 영역으로 이동해 간 DECT 단말기에 대해 무선 통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스텝 S53).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상술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과 관련하여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자명한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의 대안, 수정 및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사설망에서 QSIG 네트웍으로 연동된 다른 사설 교환기의 셀 영역으로 이동해 간 DECT 단말기에 대해서도 해당되는 QSIG 중계선 채널을 통해 호 처리를 수행하여 통화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로컬 사설 교환기가 서비스할 수 없는 영역까지 서비스 영역을 확장하여 사설망 내의 DECT 단말기에 대한 이동성을 확장할 수 있으며, 특히 다수의 교환기로 연동된 대규모 단지에서 하나의 DECT 단말기를 사용하여 여러 사업장을 이동하면서 통화할 수 있는 등 전체적인 시스템 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Claims (4)

  1. 다수의 교환기들이 QSIG 네트웍을 통해 연동된 사설망에서의 호 처리 방법에 있어서,
    로컬 교환기의 셀 영역을 벗어나 원격 교환기의 셀 영역으로 이동한 DECT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QSIG 네트웍을 통해 연동된 교환기들의 가입자 정보 DB에 등록하는 과정과;
    상기 원격 교환기에 위치한 DECT 단말기에 대한 착신 호 수신시 QSIG 네트웍을 통해 호출 메시지를 전송하여 상기 원격 교환기로의 착신 호 전환 처리를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원격 교환기에서 DECT 단말기를 호출한 후에 QSIG 중계선을 통해 통화로를 연결하여 무선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설망에서의 덱트 단말 호 처리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DECT 단말 위치 정보를 등록하는 과정은, 임의의 로컬 교환기의 셀 영역을 벗어나 원격 교환기의 셀 영역으로 이동한 DECT 단말기로부터 상태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수신받아 원격 교환기의 가입자 정보 DB에 등록하는 단계와;
    상기 원격 교환기에서 QSIG 네트웍 연동 시스템 정보를 검색하여 상기 QSIG네트웍을 통해 연동된 교환기들에게 상기 DECT 단말 위치 정보를 전송해 주는 단계와;
    상기 QSIG 네트웍을 통해 연동된 각 교환기에서 DECT 단말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자체 가입자 정보 DB에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설망에서의 덱트 단말 호 처리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교환기로의 착신 호 전환 처리를 수행하는 과정은, 외부로부터 DECT 단말기에 대한 착신 호가 수신되는 경우 가입자 정보 DB를 검색하여 착신 요청된 DECT 단말기가 어떤 교환기에 위치해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DECT 단말기가 원격 교환기에 위치해 있는 경우 상기 원격 교환기로의 QSIG 중계선 채널을 할당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할당한 QSIG 중계선 채널과 착신 호를 연결함으로써 QSIG 네트웍을 통해 착신 요청된 DECT 단말기 호출 메시지를 상기 원격 교환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설망에서의 덱트 단말 호 처리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DECT 단말기에 대해 무선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은, 원격 교환기에서 QSIG 네트웍을 통해 DECT 단말기 호출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착신번호를 분석한 후에 가입자 정보 DB를 검색하여 해당되는 DECT 단말기가 착신 호출이 가능한 상태인지 확인하는 단계와;
    착신 호출이 가능한 상태인 경우 DECT 단말기를 호출하고, 착신 응답시 QSIG 중계선을 통해 로컬 교환기 측과의 통화를 연결하여 원격 교환기의 셀 영역으로 이동해간 DECT 단말기에 대해 무선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설망에서의 덱트 단말 호 처리 방법.
KR20030050359A 2003-07-22 2003-07-22 사설망에서의 덱트 단말 호 처리 방법 KR2005001132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30050359A KR20050011328A (ko) 2003-07-22 2003-07-22 사설망에서의 덱트 단말 호 처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30050359A KR20050011328A (ko) 2003-07-22 2003-07-22 사설망에서의 덱트 단말 호 처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1328A true KR20050011328A (ko) 2005-01-29

Family

ID=372234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30050359A KR20050011328A (ko) 2003-07-22 2003-07-22 사설망에서의 덱트 단말 호 처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1132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09242A (zh) * 2019-10-30 2020-02-18 厦门亿联网络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dect网络集群下的媒体交互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09242A (zh) * 2019-10-30 2020-02-18 厦门亿联网络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dect网络集群下的媒体交互方法
CN110809242B (zh) * 2019-10-30 2021-07-30 厦门亿联网络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dect网络集群下的媒体交互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62115991A (ja) セル式モ−ビル電話通信システム
JP2010041149A (ja) 交換機、電話システム及び中継通信方法
JP2001245357A (ja) 着信転送方式
KR20050011328A (ko) 사설망에서의 덱트 단말 호 처리 방법
KR100430614B1 (ko) 블루투스 억세스 포인트를 이용한 사설 자동 교환망 시스템
KR20020069976A (ko) 이동 통신망을 통한 이동 단말기의 데이터 서비스 착신 방법
JP2007096956A (ja) 通信システム、アドレス設定装置、アドレス管理装置、移動体通信端末、および、プログラム
JPH0215722A (ja) 通信中チャネル切替方式
JPH09215031A (ja) 移動体通信システム
JPH11205842A (ja) 異移動体通信事業者網間のハンドオーバー方法、および、関門交換機
JP2000358280A (ja) Phsにおける圏外移動時の自動転送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3130812B2 (ja) デジタルコードレス電話システム
KR100201936B1 (ko) 사설 무선교환 시스템의 휴대기 등록방법
KR100353713B1 (ko) 음성 및 데이터를 통합하여 처리하기 위한 통신 시스템
KR100319384B1 (ko) 지능망 서비스 국번과 이동 통신 서비스 국번의 공동 사용장치 및 방법
KR19980061810A (ko) 전전자 교환기에서의 비상호 처리 방법
JPH0377693B2 (ko)
KR20050070175A (ko) 무선랜을 이용한 브이오아이피 무선전화간 직접 정보교환방법
JPH07284154A (ja) 移動通信装置
JPH07240960A (ja) 電話システム
JPH11168773A (ja) 移動電話システム
JPH11298968A (ja) 事業所型プライベートシステムにおける呼制御方式および呼制御装置
JPH10174145A (ja) 構内交換機のディジタルコードレスシステム
KR100260092B1 (ko) 개인 이동 통신 교환기에서의 핸드오프 후 3자 통화 처리 방법
JPH08289339A (ja) 構内電話サービス提供方法およ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