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10852A - 드럼에 셔터를 권취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드럼에 셔터를 권취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10852A
KR20050010852A KR10-2004-7019606A KR20047019606A KR20050010852A KR 20050010852 A KR20050010852 A KR 20050010852A KR 20047019606 A KR20047019606 A KR 20047019606A KR 20050010852 A KR20050010852 A KR 200500108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utter
drum
roll
wound
be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96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59049B1 (ko
Inventor
코엔레츠베누아
Original Assignee
다이나코 인터내셔날 소시에떼 아노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나코 인터내셔날 소시에떼 아노님 filed Critical 다이나코 인터내셔날 소시에떼 아노님
Publication of KR200500108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08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90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9049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8Roll-type closures
    • E06B9/11Roller shutt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8Roll-type closures
    • E06B9/11Roller shutters
    • E06B9/17Parts or details of roller shutters, e.g. suspension devices, shutter boxes, wicket doors, ventilation open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8Roll-type closures
    • E06B9/11Roller shutters
    • E06B9/15Roller shutters with closing members formed of slats or the like
    • E06B2009/1533Slat connections
    • E06B2009/155Slats connected by separate elements
    • E06B2009/1555Flexible elements, e.g. tapes, strips, cords or chains
    • E06B2009/1561Strip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8Roll-type closures
    • E06B9/11Roller shutters
    • E06B9/17Parts or details of roller shutters, e.g. suspension devices, shutter boxes, wicket doors, ventilation openings
    • E06B9/171Rollers therefor; Fastening roller shutters to rollers
    • E06B2009/1716Arrangements to improve rolling of the shutter on the roll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 Bay Windows, Entrances, And Structural Adjustments Related Thereto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셔터(1)가 개방위치와 폐쇄위치사이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구동수단이 결합된 셔터장치에 관한 것으로, 셔터(1)가 안내트랙(4, 5)에서 안내되며 출입구(6) 또는 기타 다른 개방부를 폐쇄할 수 있게되어 있고, 상기 장치는 셔터가 개방위치로 권취되어 셔터(1)의 연속층에 의하여 형성되는 권취부로 이루어지는 롤(31)을 형성하고 셔터(1)가 폐쇄위치로 풀릴 수 있도록 하는 드럼(8)으로 구성되며, 제한수단(11)이 셔터(1)가 폐쇄위치로 이동될 때에 권취부가 주름잡히지 않도록 하거나 이들 권취부가 상대측에 대하여 미끌어지지 않도록 하는 제공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드럼에 셔터를 권취하는 장치 {DEVICE WITH SHUTTER WINDING ABOUT A DRUM}
본 발명은 출입구 등의 개방부를 폐쇄할 수 있게 셔터를 개방위치와 폐쇄위치 사이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수단이 결합된 셔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장치는 드럼을 구비하고 있으며, 셔터가 개방위치에 있을 때 이러한 드럼의 둘레에 셔터가 권취되어 연속적으로 중첩된 층을 이루는 롤을 형성하며, 드럼으로부터 셔터가 폐쇄위치로 풀릴 수 있게 되어 있다.
종래의 이러한 형태의 장치에 있어서는, 드럼을 그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시킴으로서 풀린 셔터가 하강하여 출입구를 폐쇄할 수 있게 되어 있으며, 셔터의 측변부가 서로 평행하게 연장된 두 안내트랙에서 안내된다. 드럼이 회전될 때에, 셔터의 측변부에 길이방향으로 추력이 가하여진다.
이러한 종래기술은 여러가지 결점을 갖는다. 첫째로, 셔터가 개방될 때 형성되는 롤의 부피가 매우 크며 통상 규칙적이지 못하다.
둘째로, 셔터가 폐쇄될 때, 안내트랙의 상단부상에 위치하는 셔터부분이 드럼의 영역에서 주름이 잡힐 수 있다. 이는 장치의 정상적인 작동에 심각한 피해를준다.
셋째로, 셔터가 다수회의 개방 및 폐쇄되는 과정에서 셔터의 표면이 긁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특히 셔터가 하나 이상의 투시창을 갖는 경우 장기간 사용후에는 투시상태가 저하되는 결점으로 나타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제어상태에서 개방 및 폐쇄될 수 있는 셔터장치를 제공하여 셔터가 개방될 때에 셔터가 매우 규칙적인 롤을 형성하고 안내트랙의 상류측에서 셔터가 주름잡히지 않고 풀릴 수 있도록 함으로써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는데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목적은 셔터가 드럼에 권취될 때 매우 규칙적이고 균일하게 권취되어 중첩된 층을 형성하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셔터가 폐쇄위치로 이동될 때에 권취부가 주름잡히지 않도록 하고 또한 이들 권취부가 상대측에 대하여 미끌어지지 않도록 하는 제한수단이 제공된다.
제한수단은 적어도 일측면에서 셔터의 길이를 따라서 연장된 후크수단으로 구성되고, 이들 후크수단은 권취된 셔터의 연속층이 서로에 대하여 미끌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서로에 대하여 연속된 권취부를 고정한다.
후크수단은 셔터의 길이를 따라 셔터의 양면중 적어도 일측면을 가로질러 형성된 유연성 재질의 스트립으로 구성되며, 이 스트립에는 셔터의 타측면의 대응부분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가 구비되어 있어서 셔터가 드럼에 권취될 때 돌출부가 셔터의 타측면의 부분과 결합될 수 있게 되어 있다.
실질적인 효과를 위하여, 후크수단은 셔터의 양측면에 형성된 후크가 구비된 리본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셔터가 권취될 때 셔터의 일측면의 후크가 셔터의 타측면의 후크에 결합될 수 있게 되어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로서, 롤의 연속된 권취부를 서로 고정하기 위하여 후크수단에 방사상 추력을 가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레싱수단이 드럼에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실시형태로서, 제한수단은 롤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고 롤에 압축력을 가하는 벨트로 구성되며, 이 수단은 셔터가 권취되거나 풀릴 때에 롤의 직경에 대하여 이 벨트의 형상을 수용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로서, 벨트의 일측단부에 견인력을 가하는 수단이 제공되어 벨트의 적어도 일부분이 롤의 윤곽 둘레에 연장되어 셔터가 권취되거나 풀릴 때에 이 롤에 압력을 가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로서, 벨트는 순환되게 형성되어 드럼의 축선에 거의 평행하게 연장된 원통체상에서 안내되며, 롤의 최외측 권취부에 접촉하고 이에 압축력을 가하는 벨트에 의하여 롤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여 있다.
셔터가 권취되거나 풀릴 때에 롤의 직경에 대하여 벨트의 형상을 수용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원통체가 드럼에 대하여 이동토록 착설된다.
본 발명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셔터가 폐쇄위치에 있는 것을 보인 셔터장치의 정면도,
도 2는 도 1에서 보인 셔터장치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셔터장치의 제1실시형태에서 셔터의 측변부를 보인 정면도,
도 4는 도 3의 IV-IV선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셔터장치의 제2실시형태에서 셔터의 측변부를 보인 정면도,
도 6는 도 3의 VI-VI선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셔터장치의 제3실시형태에서 셔터의 측변부를 보인 정면도,
도 8는 도 3의 VIII-VIII선 단면도,
도 9는 도 7의 IX-IX선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셔터장치의 제4실시형태에서, 권취된 셔터에 의하여 형성되는 롤의 여러 중첩된 층을 통한 단면을 보인 부분 확대도,
도 11은 도 10에서 보인 셔터의 측변부 일부를 보인 사시도,
도 12는 도 10과 도 11에서 보인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변형예를 보인 도 10과 유사한 확대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셔터장치의 제5실시형태에서, 권취된 셔터에 의하여 형성되는 롤의 여러 중첩된 층을 통한 단면을 보인 부분 확대도,
도 14는 본 발명의 특정실시형태에서, 셔터가 폐쇄위치에 있을 때 프레싱요소를 갖춘 드럼을 보인 단면도,
도 15는 셔터가 개방위치에 있음을 보인 도 14의 드럼을 보인 단면도,
도 16은 도 15의 XIV-XIV선 단면도,
도 17은 셔터가 개방위치에 있는 것을 보인 본 발명에 의하여 제안된 장치의 특정실시형태를 보인 측면도,
도 18은 셔터가 폐쇄되고 있는 것을 보인 도 17과 같은 측면도,
도 19는 셔터가 폐쇄위치에 있는 것을 보인 도 17과 같은 측면도,
도 20은 셔터가 개방위치에 있는 것을 보인 본 발명에 의하여 제안된 장치의 한 실시형태를 보인 측면도,
도 21은 셔터가 폐쇄위치에 있는 것을 보인 도 20과 같은 측면도,
도 22는 셔터가 개방위치에 있는 것을 보인 것으로, 셔터가 권취되는 본 발명에 의하여 제안된 드럼의 다른 실시형태를 보인 측면도,
도 23은 도 22의 XXIII-XXIII선 단면도,
도 24는 서로 관절연결된 그리드 블록을 갖는 셔터의 연속권취부로 구성되는 롤의 단면도,
도 25는 도 24의 XXV-XXV선 단면도,
도 26은 셔터가 권취되는 드럼의 종단면도,
도 27은 도 26에서 보인 셔터장치의 변형예에서 셔터가 권취되는 드럼을 보인 종단면도,
도 28은 본 발명에 의하여 제안된 실시형태에서 비압축형 구성요소를 갖는 셔터의 일부를 보인 부분정면도,
도 29는 도 28의 IXXX-IXXX선 단면도,
도 30은 셔터가 도 28 및 도 29에서 보인 실시형태의 드럼에 권취된 것을 보인 부분 사시도,
도 31은 셔터가 풀린 상태에서 드럼을 보인 부분평단면도, 및
도 32는 셔터가 권취된 것을 보인 도 31과 유사한 단면도이다.
도면에서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하여서는 동일한 부호로 표시하였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은 드럼과 같은 구동수단이 결합된 셔터장치에 관한 것으로, 드럼의 축이 전기모터의 축과 연결되어 있다. 셔터는 각각 폐쇄위치와 개방위치 사이로 하향 및 상향되게 이동되어 벽의 출입구 또는 회랑과 같은 통로를 폐쇄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셔터"라는 용어는 캔버스, 플라스틱 스트립, 금속커버, 격자구조물, 금속시이트, 모스키토 스크린 등과 같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부드러운 유연성을 갖는 평면적인 부재를 의미한다. 특히, 이러한 셔터는 드럼에 권취될 수 있으며, 그 축선은 셔터가 개방될 때 셔터의 이동방향에 대하여 수직이다.
그러나, 유연한 셔터로서 캔버스의 형태를 예로 들어서 도면에 나타내었다.
도 1은 셔터장치가 폐쇄위치에 있는 것을 보인 것이다. 이 장치는 셔터(1)로 구성되며 이 셔터는 그 양측으로 돌출되어 안내트랙(4)(5)에서 안내되는 구조로서 연속비이드의 형태 또는 서로 관절연결된 소형의 연속블록의 형태로 구성된 측변부(2)(3)를 갖는다. 안내트랙(4)(5)은 벽(7)에 형성된 출입구(6)의 양측에 구비되어 있다.
출입구(6)의 상측에는 드럼(8)이 배치되어 있으며, 이에 셔터(1)가 권취된다. 드럼(8)의 내부에는 전기모터(9)가 배치되어 드럼(8)을 그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구동시킨다. 이는 셔터(1)를 드럼(8)에 권취하여 개방위치에 놓이게 하고 이 드럼으로부터 풀리어 폐쇄위치에 놓이도록 한다. 셔터(1)가 그 폐쇄위치로 이동될 때, 그 측변부(2)(3)는 안내트랙(4)(5)에서 안내된다.
셔터(1)의 중앙에는 투명창(10)이 구비되어 있다.
셔터(1)가 개방될 때 이 셔터는 드럼(8)에 권취되어 셔터(1)의 연속한 중첩층으로 형성되는 권취부로 구성된 롤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연속권취부가 서로 밀착되게 권취되는 매우 콤팩트한 롤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제한수단이 제공된다. 이들 제한수단은 롤의 권취부에 주름이 잡히는 것을 방지하여, 측변부가 안내트랙(4)(5)의 상단에 접촉하고 있는 셔터(1)가 즉시 풀릴 수 있게 한다.
특히, 제한수단은 적어도 일측면에서 셔터(1)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후크수단으로 구성된다. 셔터(1)가 드럼(8)의 둘레에 권취될 때, 이들 후크수단은 연속권취부를 서로 고정함으로써 셔터(1)의 연속층이 서로에 대하여 미끌어지지 않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는 도 3과 도 4에서 설명된다. 이들 도면은 연속비이드의 형태로 구성된 측변부(2)(3)의 한 영역에서 셔터(1)의 일부를 보인 것이다. 특히, 셔터(1)는 측변부(2)(3)의 부근에서 셔터(1)의 일측면에서 그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돌출부(12)로 구성되는 후크수단(11)을 갖는다. 셔터(1)가 권취될 때, 이들 돌출부가 셔터(1)의 외측면에 형성된 결합요입부(13)에 결합된다. 따라서, 셔터(1)가 드럼(8)의 둘레에 권취되어 있을 때 셔터의 연속권취부가 서로 고정된다.
돌출부(12)와 결합요입부(13)사이에는 어느 정도의 마찰이 있거나 또는 어느 정도의 접착성을 보이므로 이들 권취부를 형성하는 셔터(1)의 여러 층이 서로에 대하여 미끌어지지 않는다. 돌출부(12)는 특히 연속권취부를 서로에 대하여 고정하기 위해 결합요입부(13)에 밀착결합된다.
돌출부(12)와 결합요입부(13)가 구비된 셔터(1)의 영역은 폴리우레탄과 같은 엘라스토머 스트립으로 구성되는 것이 좋다. 특히 엘라스토머 재료를 선택함으로써 요입부(13)에 돌출부(12)가 걸리는 것을 향상시킬 수 있다.
셔터(1)가 드럼(8)에 의하여 폐쇄위치로 풀릴 때, 돌출부(12)는 결합요입부(13)로부터 자동적으로 분리된다.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에 의하여 제안된 셔터(1)의 제2실시형태를 보인 것으로, 후크수단(11)이 후크를 갖는 리본(14)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리본(14)에는 셔터(1)의 양면에 부착되는 벨크로 7(Velcro 7)형의 후크가 구비되어 셔터(1)가 드럼(8)에 권취될 때 셔터 일측면의 리본(14)에 구비되어 있는 후크가 셔터의 타측면에 부착된 리본(14)의 후크에 결합된다. 이들 리본은 셔터(1)의 각 측변부(2)(3)에 인접하여 셔터(1)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리본(14)은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짧은 길이의 리본(14)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셔터(1)의 길이방향으로 부착될 수도 있다.
도 7-도 9는 본 발명에 의하여 제안된 후크수단의 제3실시형태를 보인 것으로, 다수의 홈이 형성된 홈벨트(15)가 셔터(1)에 부착되고 그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셔터(1)의 일측면에는 일련의 톱니(16)가 구비되어 있는 반면에 셔터(1)의 타측면에는 결합홈(17)이 형성되어 있다. 셔터(1)가 권취될 때, 그 일측면의 톱니(16)가 셔터(1)의 타측면에 형성된 결합홈(17)에 결합됨으로서 셔터(1)의 연속층이 구성하는 롤이 미끌어지지 않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형태의 변형예로서, 셔터(1)에는 그 일측면에만 셔터(1)의 측변부를 따라서 연속톱니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타측면은 예를 들어 가공발포체와 같은 탄력적으로 압축가능한 물질로 구성된 연속스트립을 가짐으로써셔터가 드럼에 권취될 때 톱니가 이 스트립을 부분적으로 압축하여 요구가 형성되면서 이에 톱니가 결합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권취된 셔터의 연속권취부가 서로에 대하여 미끌어지지 않도록 한다.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하여 제안된 후크수단의 제4실시형태를 보인 것으로, 드럼(8)의 둘레에 권취된 셔터(1)의 연속층을 단면으로 보이고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 후크수단은 셔터(1)에 부착되고 측변부(2)(3)에 인접하여 셔터(1)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돌출부(12)로 구성된다. 특히 돌출부(12)는 셔터(1)의 측변부(2)(3)에 평행하게 셔터(1)의 일측면에 연장되며, 이 돌출부는 셔터(1)의 타측부에 형성되고 측변부(2)(3)에 평행하게 셔터(1)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원형단면의 두 리브(9)(20)에 의하여 한정된 요구(18)와 결합된다.
셔터(1)의 표면에 인접한 돌출부(12)의 기부의 단면은 상측부의 단면 보다 작아 셔터(1)가 권취될 때 이 돌출부(12)가 리브(19)(20) 사이의 요구(18)에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리브(19)(20)는 돌출부(12)가 요구(18)에 삽입될 때 탄력적으로 변형된다.
특히, 셔터(1)를 권취할 때 돌출부(12)가 리브(19)(20) 사이의 요구(18)에 접진적으로 결합된다. 동시에, 이들 리브(19)(20)가 이들의 기부(48)에 대하여 서로 접근하고 셔터(1)의 곡률이 증가함에 따라서 돌출부(12)의 상측부가 확대되어어느 정도 평탄해진다. 이와 같이 함으로서, 돌출부(12)는 요구(18)를 형성하는 리브(19)(20) 사이에 협착되어 셔터(1)의 연속권취부가 서로에 대하여 고정된다.
셔터(1)가 그 폐쇄위치로 이동될 때, 셔터(1)는 드럼(8)으로부터 풀리는 영역에서 점진적으로 전개된다. 이러한 영역에서, 리브(19)(20)와 돌출부(12)는 이들의 본래형태로 복귀되어 돌출부(12)가 리브(19)(2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여 제안된 이 실시형태에서, 측변부(2)(3)는 리브(19)(20)와 돌출부(12)를 제공하는 셔터(1)를 따라서 연장된 연속스트립(49)의 일부이다. 이 스트립(49)은 셔터(1)를 구성하기 위하여 유연성 캔버스의 양측에 고정된다.
도 11에서 보인 바와 같이, 돌출부(12)에는 이 돌출부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일련의 홈(51)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홈(51)은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셔터(1)가 권취될 때 이러한 돌출부(12)에 균일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돌출부(12)는 셔터(1)가 권취될 때 형성되는 권취부의 외면에 해당하는 셔터(1)의 면에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여 제안된 이 실시형태의 변형예로서, 도 12에서 보인 바와 같이, 셔터(1)의 평면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예리한 핀(52)이 돌출부(12)에 구비되어 있다. 이들 핀(52)은 이들의 첨단부가 요구(18)측으로 뻗어 있어서 셔터(1)가권취되는 과정에서 돌출부(12)가 요구(18)에 결합될 때 핀(52)이 선행 권취부의 돌출부(12)의 상측부로 침투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권취된 셔터(1)의 연속권취부가 서로 견고히 결합되어 서로에 대하여 미끌어지지 않도록 한다. 이는 셔터(1)를 그 개방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안내트랙(4)(5)에서 이들의 길이방향을 따라 셔터(1)의 측변부(2)(3)에 추력을 가함으로서 그 폐쇄위치로부터 셔터(1)를 권취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의하여 제안된 이 실시형태에서, 셔터(1)는 매우 큰 규모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셔터(1)의 일측면에서 서로 근접하게 형성되어 셔터(1)의 타측면에 제공된 리브(19)(20) 사이의 다수의 결합요구(18)와 결합되는 다수의 돌출부(12)를 구비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하여 제안된 후크수단의 제5실시형태를 보인 것이다. 이 도면은 셔터(1)가 드럼(8)에 권취될 때 형성되는 셔터(1)의 연속층의 일부의 단면을 보인 것이다.
측변부(2)(3)에 근접하여, 셔터(1)는 W-형의 단면을 가짐으로써 셔터(1)의 일측면에 이 셔터(1)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3개의 리브(21)(22)(23)가 형성된다. 요구(24)(25)가 이들 리브(21)(22)(23)사이에 형성된다. 셔터(1)의 타측면에는 요구(24)(25)에 결합되는 두개의 리브(26)(27)를 갖는다. 이들 리브(26)(27)사이에는 요구(28)가 형성된다.
셔터(1)가 권취될 때, 셔터(1)의 일측면에 형성된 리브(21)(22)(23)와 요구(24)(25)는 각각 셔터(1)의 타측면의 요구(28)와 리브(26)(27)에 결합된다. 이로써 롤이 대단히 치밀하게 형성되며 셔터(1)의 연속권취부는 서로에 대하여 미끌어지지 않는다.
셔터(1)가 권취될 때 셔터(1)의 일측면의 리브(21)(22)(23)와 요구(24)(25)가 셔터(1)의 타측면의 요구(28)와 리브(26)(27)에 각각 접촉하는 영역에는 톱니(29)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셔터(1)가 권취될 때, 셔터(1)의 일측면의 톱니(29)는 셔터(1)의 타측면의 톱니(29)에 결합된다. 특히 이들 톱니(29)는 요구내의 리브에 가시를 형성한다.
W-형 단면을 갖는 셔터(1)의 영역은 결합요구에 리브를 고정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견고한 폴리우레탄과 같은 엘라스토머 물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한 특정 실시형태로서, 셔터(1)가 드럼(8)의 둘레에 권취될 때 이 셔터(1)의 연속권취부를 고정하기 위하여 후크수단에 추력을 가할 수 있는 프레싱요소가 제공된다. 이는 도 14-도 16에 도시되어 있다. 셔터(1)는 드럼(8)에 이미권취되어 롤(31)을 형성하는 셔터(1)의 부분과 프레싱요소 사이에서 단단히 고정된다.
특히 이러한 프레싱요소는 회전프레싱원통체(30)로 구성되며 그 축선은 드럼(8)의 축선과 평행하다. 이 원통체(30)는 아직 권취되지 않은 셔터(1)의 부분의 표면이 셔터(1)가 권취될 때 드럼(8)의 둘레에 이미 권취된 셔터(1)의 부분에 접촉하는 영역에 제공된다. 따라서, 셔터(1)가 폐쇄위치로 풀릴 때에 롤(31)의 권취부는 이 영역에서 풀리며 후크수단이 해제된다.
롤(31)의 직경은 셔터(1)가 권취되거나 풀림에 따라서 달라지므로 프레싱요소인 원통체(30)와 드럼(8)은 서로에 대하여 이동가능하게 착설된다. 특히, 롤(31)과 프레싱원통체(30) 사이에 압력을 가하기 위한 수단에 제공된다.
도 14와 도 15에서 보인 바와 같이, 회전프레싱원통체(30)는 출입구(6)의 상부인 벽(7)에 고정적으로 착설되는 반면에, 드럼(8)의 축(32)은 이 축(32)의 양단에서 장치의 케이싱(46)에 제공된 수평가이드(33)에서 수평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게 되어 있다.
드럼(8)은 두개의 헬리컬 압축스프링(34)(35)과 협동하며, 이들 스프링의 일측단부는 드럼(8)에 고정되고 타측단부는 케이싱(46)에 착설된다. 이들 스프링(34)35)은 실질적으로 가이드(33)와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다. 따라서, 드럼(8)은 셔터가 권취되거나 풀릴 때에 이러한 가이드(33)의 방향으로 이동되어 한편으로는 드럼(8) 또는 롤(31)과 다른 한편으로는 프레싱원통체 사이에 압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6은 셔터(1)가 도 13에서 보인 것과 유사한 후크수단을 갖는 프레싱원통체(30)를 보인 것이다. 원통체(30)에 의하여 셔터(1)에 가하여지는 추력의 결과로 리브가 결합요구내에 배치됨으로서 셔터(1)의 연속권취부가 서로 고정될 수 있다.
후크수단(11)은 드럼(8)에 권취된 셔터(1)의 중첩권취부가 서로 고정되나 셔터(1)가 드럼(8)에 권취되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드럼(8)이 회전될 때 이들 권취부가 자동적으로 서로 분리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도 17-도 19는 제한수단이 셔터가 드럼(8)에 권취될 때 셔터에 의하여 형성되는 롤(31)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벨트(36)로 구성되는 본 발명의 특정 실시형태를 보인 것이다. 이 벨트(38)는 셔터(1)가 권취되거나 풀릴 때에 롤(31)에 압력을 가할 수 있게 되어 있으며 이는 벨트(36)의 형상이 롤(31)의 직경에 연속적으로적응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을 갖는다.
이 벨트(36)는 안내면을 가지며, 이는 롤(31)이 그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반면에 벨트(36)가 그 안내면에서 롤(31)에 접할 수 있도록 한다.
안내면은 특히 롤(31)을 향하는 벨트(36)의 면에 일련의 롤러(37)로서 제공된다. 이들 롤러(37)는 롤(31)이 그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롤(31)에 압력이 가하여질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압력과 롤(31)의 연속권취부 사이에 존재하는 마찰의 결과로, 롤은 서로에 대하여 미끌어지지 않는다. 더욱이, 셔터(1)가 풀릴 때에 주름이 잡히는 것이 방지된다.
벨트(36)의 일측단부는 롤(31)과 권취되지 않은 셔터(1)의 일부분 사이에서 롤(31)에 근접한 위치에 배치된 롯드(38)에 부착된다. 이 롯드(38)는 드럼(8)의 축선에 대하여 방사상으로 연장된 슬리트(39)내에서 이동될 수 있다. 벨트(36)는 이러한 롯드(38)로부터 롤(31)의 둘레에 형성되어 권취되지 않은 셔터(1)의 부분이 롯드(38)와 벨트(36) 사이에 배치되도록 한다.
벨트(36)의 일측단부에는 견인력이 가하여진다. 이를 위하여, 안내트랙(2)(3)을 따라서 수직으로 이동될 수 있는 중량체(47)가 벨트의 타측단부에 착설된다.
셔터(1)가 풀릴 때에, 롤(31)의 직경과 그 주연이 작아진다. 따라서, 상기 중량체(47)는 이에 해당하는 거리만큼 안내트랙(2)(3)을 따라서 하강한다. 중량체(47)의 이러한 작용으로, 벨트(36)는 항상 팽팽하게 되고 롤(31)에 가하는 압력을 유지한다. 동시에, 롯드(38)는 상기 슬리트(39)에서 미끄럼 운동하고 벨트(36)의 타측단부에 가하여지는 견인력에 의하여 롤(31)에 대하여 고정된다.
도 20과 도 21은 본 발명에 의하여 제안된 장치의 다른 실시형태를 보인 것으로, 순환되게 연장된 벨트(40)가 롤(31)에 결합되어 있음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벨트(40)의 내면은 롤(31)로부터 일정한 거리를 두고 둘레에 배치된 원통체(41)상에서 안내된다. 이들 원통체의 축선은 드럼(8)의 축선과 실질적으로 평행하다.
벨트(40)의 외면은 측변부(2)(3)에 인접하여 롤(31)을 둘러싸고 있으며 롤(31)에 압력을 가함으로서 이 롤이 팽팽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자유공간(42)이 제공되어 셔터(1)가 풀릴 때에 이러한 자유공간을 통하여 셔터(1)가 안내트랙(4)(5)측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셔터(1)가 권취되거나 또는 셔터가 풀릴 때에, 드럼(8)이 그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함으로서 롤(31)의 최외측 권취부에 접촉하여 있는 벨트(40)가 롤에 의하여 원통체(41)상에서 이동된다.
벨트(40)는 예를 들어 고무와 같은 탄성물질로 구성되어 셔터(1)의 권취과정중에 롤(31)의 직경이 증가할 때 늘어나거나 또는 셔터(1)가 풀릴 때에 롤의 직경이 작아지는 경우 수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형태의 다른 변형예로서, 벨트(40)가 안내되는 원통체(41)중의 하나는 벨트(40)가 항상 팽팽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이동될 수 있고 스프링에 연결되게 착설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가동형의 원통체는 셔터(1)가 권취되거나 풀릴 때에 롤의 직경이 변화됨에 따라 이동된다.
원통체(41)와 아직 권취되지 않은 셔터(1)의 일부분 사이에서 롤(31)에 근접하여 배치된 원통체(41)는 이 원통체가 롤(31)에 근접하거나 이에 접하여 고정될 수 있도록 이동될 수 있게 착설될 수 있다.
도 22와 도 23은 제한수단이 셔터(1)의 측변부(2)(3)을 따라서 연장되 일련의 흡착기(53)로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하여 제안된 셔터장치의 실시형태를 보이고 있다. 셔터(1)가 권취될 때 권취되지 않은 셔터가 연속권취부로 구성되는 롤(31)로변환되는 영역에 프레싱원통체(30)가 제공된다. 이 원통체(30)는 흡착기(53)가 이제 막 형성되는 셔터(1)의 권취부의 외면에 흡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흡착기의 영역에서 셔터에 추력을 가한다.
본 발명에 따른 셔터장치는 서로에 대하여 관절연결된 일련의 견고한 블록(54)으로 구성되는 셔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셔터장치가 도 24와 도 25에 도시되어 있다. 셔터(1)를 그 개방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셔터가 드럼(8)의 둘레에 권취된다. 셔터의 블록(54)은 드럼(8)의 축선과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각 블록(54)에는 각 말단부에 셔터(1)의 일측면에서 셔터의 평면에 횡방향으로 뻗은 톱니(55)가 구비되어 있다.셔터(1)의 외면에서, 각 블록(54)에는 홈(56)이 구비되어 셔터가 드럼(8)의 둘레에 권취될 때에 톱니(55)가 홈(56)에 결합되면서 롤(31)을 형성하며, 이러한 롤의 연속권취부는 상대측에 대하여 고정되어 서로 미끌어지지 않는다.
셔터(1)가 개방될 때 권취부가 형성되고 셔터(1)가 폐쇄될 때 셔터가 풀리는 영역에서 셔터(1)에 추력을 가할 수 있는 프레싱요소(57)가 제공된다.
셔터(1)가 개방될 때 선행하여 형성된 권취부의 결합홈(56)에 권취부의 톱니(55)를 삽입하기 위하여 셔터(1)가 권취될 때 롤(31)의 둘레에 권취되는 셔터(1)의부분에 프레싱요소에 의하여 블록(54)에 가하여진 추력을 가할 수 있다.
이러한 프레싱요소(57)는 드럼(8)의 축선에 평행한 축선(60)을 중심으로 하여 자유롭게 회전하는 두개의 원통체(58)(59)로 구성된다.폐쇄형의 벨트(61)가 롤(31)의 주연일부에 압력을 가하는 동안에 원통체(58)(59)상에서 안내된다. 상기 원통체(58)(59)는 서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원통체(58)(59)의 둘레에서 안내되는 벨트(61)가 롤(31)에 압력을 가한다.
도 25에서 보인 바와 같이, 톱니(55)와 권취되지 않은 셔터(1)의 일부분에 형성된 홈(56)이 안내트랙(4 또는 5)에서 이동한다.
롤(31)과 벨트(61) 사이의 접촉을 유지하기 위하여, 드럼(8)의 축(32)은 셔터가 개방되거나 폐쇄될 때 셔터의 권취되지 않은 부분에 수직인 방향을 따라 연장된 가이드(33)에서 이동한다. 특히, 스프링(도 24에는 도시하지 않았음)이 제공되어 축(32) 또는 원통체(58)59)에 압력을 가하고 롤(31)과 벨트(61) 사이의 압력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도 26은 유연성 캔버스로 구성된 셔터(1)가 둘레에 권취되는 드럼(8)을 보인 것으로, 셔터는 드럼을 향하는 셔터의 면에서 셔터(1)의 평면에 대하여 돌출된 측변부(2)(3)를 갖는다.
드럼(8)은 원통체(62)로 구성되며 그 단부(63)는 확장되어 원추형을 이룬다. 이들 원추형의 단부(63)에는 이들의 외면에 나선형의 홈(64)이 형성되어 있다.
셔터(1)는 사다리꼴의 형태를 갖춤으로서 셔터(1)의 하측부(65)의 영역에서 셔터(1)의 폭은 셔터(1)의 상측부의 폭 보다 크다. 따라서, 안내트랙(4)(5) 사이의 거리는 드럼(8)에 근접한 안내트랙(4)(5)의 상측단부로부터 이들 안내트랙(4)(5)의 하측단부로 점진적으로 증가한다.
이는 셔터(1)가 폐쇄위치에 있을 때 이 셔터가 안내트랙(4)(5) 사이에 거의 완벽하게 밀착될 수 있도록 한다. 더욱이, 셔터(1)가 권취될 때, 드럼(8)의 둘레에 형성되는 연속권취부도 밀착권취됨으로서 셔터가 매우 콤팩트하게 권취된다.
도 27은 이러한 선행 실시형태의 변형예를 보인 것으로, 드럼(8)에 권취된 셔터(1)의 연속권취부가 셔터가 권취될 때 서로 고정되는 것을 보인 것이다. 이를 위하여, 셔터(1)의 측변부(2)(3)는 셔터(1)의 평면에 대하여 황방향으로 연장된 리브(66)를 갖는다. 이 리브(66)에는 양측에 각각 홈(67)(68)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셔터(1)가 드럼(8)에 권취될 때에 이 리브(66)는 셔터(1)의 선행 권취된 권취부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이 선행 권취부의 리브(66)에 형성된 홈(67)에 결합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서, 셔터(1)의 연속권취부는 셔터(1)가 권취될 때에 서로 고정된다.
이러한 리브(66)를 선행 권취부의 리브의 홈(67)에 안내하기 위하여, 원통체의 형태로 구성되고 축선이 드럼(8)의 축선에 평행한 프레싱요소(57)가 제공된다. 이 원통체는 리브(66)를 선행 권취부의 홈(67)에 삽입하기 위하여 권취부에서 변형되는 셔터(1)의 일부의 측변부(2 또는 3)에 압력을 가한다.
도 28-도 32는 셔터(1)의 측변부(2)(3)를 따라서 연장된 사각단면의 스트립부재(69)가 제공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를 보인 것이다. 이 스트립부재(69)는 그 길이방향으로 비압축형이며 셔터(1)의 측변부(2 또는 3)에 제공된 돌출부(70)에 부착되어 있다. 셔터(1)가 개방될 때, 이 스트립부재(69)는 셔터(1)와 함께 권취되어 도 30 및 도 32에서 보인 바와 같이 연속권취부를 형성한다. 셔터(1)를 그 폐쇄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추력이 스트립부재(69)에 길이방향으로 가하여진다. 셔터(1)의 하측변부(65)에 근접하여 배치된 스트립부재(69)의 하측단부는 상기 돌출부(70)에 작용한다.
이러한 스트립부재(69)는 드럼(8)의 축(32)에 의하여 또는 예를 들어 전기구동장치에 의하여 직접 구동될 수 있다.
셔터(1)가 개방위치에 놓여 있을 때, 비압축형의 스트립부재(69)는 드럼(8)의 둘레에 권취되어 층형의 권취부를 형성한다. 스트립부재(69)에는 연속권취부를 서로 고정하기 위한 후크수단이 구비되어 셔터(1)가 예를 들어 드럼(8)에 의하여구동되어 권취될 때에 추력이 비압축형인 스트립부재(69)에 길이방향으로 가하여진다.
특히, 후크수단은 스트립부재(69)의 일측면에 형성된 연속의 톱니(71)로 구성되며 이에 상응하는 홈(72)이 스트립부재(69)의 반대측 면에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서, 셔터(1)가 권취될 때, 스트립부재(69)로 형성된 연속권취부는 톱니(71)가 홈(72)에 결합될 때 서로 고정된다.
안내트랙이 셔터(1)의 측변부(2)93)를 안내하기 위하여 제공될 때, 셔터(1)가 개방 또는 폐쇄위치로 이동하는 경우 비압축성의 스트립부재(69)가 이들 안내트랙에서 이동된다.
이는 측변부(2)(3)가 예를 들어 특허문헌 EP 0272733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힘이 안내트랙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셔터(1)에 가하여질 때 안내트랙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한다. 동시에, 상기 돌출부(70)가 스트립부재(69)로부터 분리된다.
셔터(1)는 셔터(1)를 따라서 연장된 두꺼운 부분(73)을 가지며 셔터(1)의 평면에 수직인 방향에서 그 두께는 이러한 방향에서 비압축성의 스트립부재(69)의 두께와 같다. 따라서, 셔터(1)가 개방될 때, 셔터(1)에 의하여 형성되는 롤과 스트립부재(69)가 권취되어 형성되는 롤은 동일한 직경을 갖는다.
비압축성의 스트립부재(69)는 예를 들어 유리섬유로 강화된 폴리우레탄과 같은 유연성물질로 된 롯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또한 이는 Kevlar 롯드로 구성될 수도 있다. 금속 또는 합성수지 체인을 이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체인의 링크는 체인이 권취될 때 서로 맞물리는 수단을 갖는다.
프레싱원통체(30)가 셔터(1)의 개방시에 스트립부재(69)가 권취되어 상기 권취부를 형성하는 영역에 제공된다. 이 원통체(30)는 형성되는 권취부의 톱니(71)가 선행 권취부의 홈(72)에 결합될 수 있도록 스트립부재(69)에 압력을 가한다.
드럼(8)은 원통체(30)의 상부인 벽에 일측단부가 고정된 회전암(74)의 타측단부에 매달리는 형태로 착설된다. 따라서, 중력의 효과하에, 추력은 항상 프레싱원통체(30)와 스트립부재(69) 사이에 존재한다.
본 발명에 의하여 제안된 다른 실시형태에서, 후크수단을 셔터의 평면에 고정하는 대신에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비압축성 부재상에 후크수단이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은 실시형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다른 변형예가 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후크수단은 셔터의 길이방향으로 그 일측면에 연장된 연속의 영구자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에 의하여 제안된 여러 실시형태의 제한수단과 후크수단이 셔터(1)의 측변부(2)(3)에 근접한 영역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이들 수단은 측변부(2)(3)사이의 중앙에 제공되거나 셔터(1)의 전폭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을 것이다.
더욱이, 본 발명에 의하여 제안된 셔터장치는 수직의 안내트랙을 갖는 도어에 제한되지 않고 수평안내트랙, 또는 셔터가 선 스크린용으로 사용되는 경우와 같이 다른 방향으로 연장된 안내트랙을 가질 수 있다. 다른 경우에, 출입구의 상단에 하나의 수평안내트랙이 제공되어 셔터가 이 안내트랙에 매달리는 형태로 구성되거나 전혀 안내트랙이 제공되지 않을 수도 있다.
끝으로, 리브는 서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연장된 연속돌출부로 구성될 수 있다.

Claims (23)

  1. 셔터(1)를 개방위치와 폐쇄위치사이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구동수단을 구비하고 있고, 셔터(1)가 그 개방위치로 권취되어 셔터(1)의 연속층에 의하여 형성되는 권취부의 롤(31)을 형성하고 셔터(1)가 폐쇄위치로 풀릴 수 있도록 하는 드럼(8)을 포함하고 있는 출입구(6) 또는 기타 다른 개방부를 폐쇄할 수 있게 된 셔터장치에 있어서, 셔터(1)가 폐쇄위치로 이동될 때에 권취부가 주름잡히지 않도록 하고, 또는 이들 권취부의 연속층이 서로에 대하여 미끌어지지 않도록 하는 제한수단(11)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제한수단이 적어도 일측면에서 셔터(1)의 길이를 따라서 형성된 후크수단(11)으로 구성되고, 이들 후크수단이 셔터(1)의 권취된 연속층이 서로에 대하여 미끌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연속층을 서로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후크수단(11)이, 셔터의 길이를 따라 셔터의 양면중 적어도 일측면을 가로질러 형성되고 셔터(1)의 타측면의 대응부분과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12, 16, 21, 22, 23, 26, 27)를 갖는 스트립으로 구성되어 있고, 셔터(1)가 드럼(8)에 권취될 때 돌출부(12, 16, 21, 22, 23, 26, 27)가 셔터의 타측면의 대응부분과 결합될 수 있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셔터(1)가 드럼(8)에 권취될 때 셔터(1)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셔터의 타측면 결합요구(13, 17, 18, 24, 25, 28)에 결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톱니(29)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12, 16, 21, 22, 23, 26, 27)가 스트립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후크수단(11)은 셔터(1)의 양측면에 후크가 구비된 리본(14)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셔터(1)가 권취될 때 셔터의 일측면의 후크가 셔터의 타측면의 후크에 결합될 수 있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후크수단(11)은 셔터(1)를 따라서 형성된 홈벨트(15)로 구성되어 있고 그 일측면에는 연속톱니(16)가 구비되어 있으며 타측면에는 결합홈(17)이 형성되어 있어서, 셔터(1)가 권취될 때 톱니(16)가 홈(17)에 결합됨으로서 롤(31)을 형성하는 셔터(1)의 연속층이 서로에 대하여 미끌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셔터(1)의 두께 또는 셔터(1)가 권취될 때 형성되는 연속권취부의 직경의 증가에 적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톱니(16)사이의 거리 또는 크기가 셔터(1)의 길이를 따라서 달라지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2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롤(31)의 권취부의 연속층이 서로에 대하여 고정되도록 하기 위하여 추력을 드럼(8)에 대하여 방사상으로 후크수단(11)에 가할 수 있도록 최소한 하나의 프레싱요소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프레싱요소와 드럼(8)이 서로에 대하여 이동가능하게 착설되고, 롤(31)과 프레싱요소 사이의 압력을 유지하기 위한 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프레싱요소가 회전원통체(30)로 구성되고 그 축선이 드럼(8)의 축선과 평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한수단은 롤(31)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벨트(36, 40)로 구성되고, 이 벨트(36, 40)가 롤(31)에 압력을 가하도록 되어 있고 셔터(1)가 권취되거나 풀릴 때에 롤의 직경에 대하여 이 벨트(36, 40)의 형상을 적용시키는 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롤(31)을 지지하고 롤(31)이 벨트(36)측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안내면이 벨트(36)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안내면이 벨트(36)에 고정되어 롤(31)의 최외측 권취부에 접하는 연속 롤러(37)의 형태로 되어 있고, 이들 롤러가 드럼(8)의 축선에 평행한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4. 제1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벨트(36)의 단부중 하나에 견인력을 가하는 수단(47)이 구비되어 있어서, 벨트의 적어도 일부분이 롤(31)의 외측 둘레를 따라 뻗어서 셔터(1)가 권취되거나 풀릴 때에 이 롤에 압력을 가할 수 있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5. 제1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벨트(40)가 순환되게 형성되어 드럼(8)의 축선과 거의 평행하게 형성된 원통체(41)상에서 안내되며, 롤(31)의 최외측 권취부에 접촉하여 이에 압력을 가하는 벨트(40)에 의하여 롤(31)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셔터(1)가 권취되거나 풀릴 때에 벨트(40)의 형상이 롤(31)의 직경에 적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원통체(41)의 적어도 하나가 드럼(8)에 대하여 이동될 수 있도록 착설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7.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벨트(40)가 탄성물질로 만들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8.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셔터의 구동수단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협동하고 셔터의 길이방향으로 셔터의 측변부를 따라서 형성된 비압축성의 사각단면 스트립부재가 셔터(1)에 결합되어 있고, 셔터가 폐쇄될 때 이 스트립부재가 이러한 측변부에 제공된 돌출부에서 작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셔터가 중첩된 권취부를 형성하는 개방위치에 있을 때 비압축성 스트립부재가 드럼의 둘레에 권취되고, 비압축성 스트립부재에 권취부의 연속층을 서로 고정하기 위한 후크수단이 구비되어 있어서 셔터가 드럼의 구동에 의하여 풀릴 때에 비압축성 스트립부재에 그 길이방향으로 추력을 가할 수 있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0. 제18항 또는 제19항에 있어서, 돌출부가 셔터의 하측단부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1. 제18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셔터가 개방되거나 폐쇄될 때 비압축성 스트립부재가 이동할 수 있는 안내트랙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비압축성 스트립부재와 셔터의 대응 측변부가 안내트랙에서 안내될 때, 힘이 안내트랙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셔터에 가하여지면 셔터의 측변부가 대응하는 안내트랙의 측변부 및 대응하는 비압축성의 스트립부재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3. 제18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셔터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두꺼운 부분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두께가 셔터의 평면에 수직인 방향에서 비압축성의 스트립부재(69)의 두께와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20047019606A 2002-06-13 2003-06-13 셔터장치 KR1010590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BE2002/0387A BE1016275A3 (fr) 2002-06-13 2002-06-13 Dipositif a volet enroulable autour d'un tambour.
BE?2002/0387? 2002-06-13
PCT/BE2003/000106 WO2003106801A1 (fr) 2002-06-13 2003-06-13 Dispositif a volet enroulable autour d´un tambou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0852A true KR20050010852A (ko) 2005-01-28
KR101059049B1 KR101059049B1 (ko) 2011-08-24

Family

ID=297211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9606A KR101059049B1 (ko) 2002-06-13 2003-06-13 셔터장치

Country Status (21)

Country Link
US (1) US7275581B2 (ko)
EP (1) EP1518036B1 (ko)
JP (2) JP4806186B2 (ko)
KR (1) KR101059049B1 (ko)
CN (1) CN100449106C (ko)
AU (1) AU2003242062B2 (ko)
BE (1) BE1016275A3 (ko)
BR (1) BR0305067B1 (ko)
CA (1) CA2487812C (ko)
DK (1) DK1518036T3 (ko)
ES (1) ES2593004T3 (ko)
IL (1) IL165733A0 (ko)
MX (1) MXPA04012385A (ko)
NO (1) NO20040628L (ko)
NZ (1) NZ536843A (ko)
PL (1) PL212432B1 (ko)
PT (1) PT1518036T (ko)
RU (1) RU2326225C2 (ko)
UA (1) UA82844C2 (ko)
WO (1) WO2003106801A1 (ko)
ZA (1) ZA200409818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0339B1 (ko) * 2006-03-31 2007-06-19 곽재석 롤 스크린의 하중 조절장치
KR20160018694A (ko) * 2013-06-11 2016-02-17 레이던 컴퍼니 극저온 환경을 위한 가변 애퍼처 기구 내의 열적 제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02004030311D1 (de) * 2004-01-12 2011-01-13 Inalfa Roof Sys Group Bv Aufwickeleinrichtung für eine Blende und Blende mit einer solchen Aufwickeleinrichtung
DE102004008396A1 (de) * 2004-02-20 2005-09-08 Linde Kältetechnik GmbH & Co. KG Kühlmöbel mit Nachtrollo
BE1016320A3 (fr) * 2004-03-17 2006-08-01 Dynaco International Sa Dispositif a rideau deroulable.
EP1777190B1 (en) * 2005-10-21 2010-12-29 Inventio AG Elevator door system
EP1780163A1 (en) * 2005-10-26 2007-05-02 Inventio Ag Door system
DE102006018637B4 (de) * 2006-04-21 2011-05-12 Manfred Seysen Schnelllauftor
US20070277943A1 (en) * 2006-06-05 2007-12-06 Rite-Hite Holding Corporation Track and guide system for a door
US8037921B2 (en) 2006-06-05 2011-10-18 Rite-Hite Holding Corporation Track and guide system for a door
US7748431B2 (en) * 2006-06-05 2010-07-06 Rite-Hite Holding Corporation Track and guide system for a door
EP1916217A1 (en) * 2006-10-25 2008-04-30 Inventio Ag Slat door wound around an axis
CN101168424B (zh) * 2006-10-25 2011-08-03 因温特奥股份公司 门系统
EP1956176A1 (fr) * 2007-02-07 2008-08-13 Dynaco International S.A. Dispositif à rideau enroulable
EP1956178A1 (fr) * 2007-02-07 2008-08-13 Dynaco International S.A. Procédé de fabrication d'un volet et procédé de fabrication d'un ensemble de deux courroies crantées
EP1956179A1 (fr) * 2007-02-07 2008-08-13 Dynaco International S.A. Dispositif à volet enroulable autour d'un tambour
EP1956177A1 (fr) * 2007-02-07 2008-08-13 Dynaco International S.A. Dispositif à rideau flexible
CA2948904C (en) * 2008-08-26 2019-09-10 Hunter Douglas Inc. Roll-up retractable covering for architectural openings
US8016016B2 (en) 2008-11-07 2011-09-13 Mechoshade Systems, Inc. Trough shade system and method
CN101852058B (zh) * 2009-03-31 2014-03-19 徐克林 一种可报警的钢丝栅
CN101684717B (zh) * 2009-06-15 2013-11-06 徐克林 一种可报警安全帘
JP5284239B2 (ja) * 2009-10-07 2013-09-11 株式会社メタコ スクリーン装置
US20110083815A1 (en) * 2009-10-13 2011-04-14 Traichal Construction Co., Inc. dba Warren Door Co . Retractable rubber door assembly with alignment protection structures
CA2815318C (en) 2009-10-26 2018-03-27 Rajiva Dwarka Architectural apparatus and method
DE102010042139A1 (de) 2010-10-07 2012-04-12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Haarpflegeeinrichtung
CN102561916B (zh) * 2010-12-10 2014-08-06 上海利富高塑料制品有限公司 门用卷帘门
US8851147B2 (en) 2011-03-23 2014-10-07 Rytec Corporation Segmented wind lock configuration for overhead roll-up doors and method of constructing the same
DE102011016266A1 (de) * 2011-04-06 2012-10-11 Stöbich Brandschutz GmbH Brand- oder Rauchschutzvorrichtung
US20130068400A1 (en) * 2011-05-11 2013-03-21 Rajiva A. Dwarka Retractable curtain panel with track guide
US20170009524A1 (en) * 2011-05-11 2017-01-12 Rajiva A. Dwarka Retractable curtain panel and enhanced stiffeners
US9347258B2 (en) * 2011-05-11 2016-05-24 Rajiva A. Dwarka Retractable curtain panel with track guide
US20160319593A1 (en) * 2011-05-11 2016-11-03 Rajiva A. Dwarka Retractable curtain panel with track guide
US8887790B2 (en) * 2011-09-13 2014-11-18 Rytec Corporation Wind lock configuration for overhead roll-up doors
US9249621B2 (en) 2012-01-18 2016-02-02 Rajiva A. Dwarka Coil brush curtain assembly
KR101259521B1 (ko) 2012-08-07 2013-05-06 주식회사디오이엔씨 수직방향으로 개폐되는 방화 스크린 셔터의 곡면 개폐라인을 구현하는 장치
CA2823025C (en) * 2012-08-09 2019-12-31 Freedom Screens Of Australia Pty Ltd. Roller assembly and guide for a retractable screen
US9416589B2 (en) * 2012-12-11 2016-08-16 Indotech Industrial Doors Inc. Deformable guide for a rollable door, rollable door guiding system having a deformable guide, and door using the same
MX359139B (es) 2013-01-08 2018-09-17 Rytec Corp Cierre de viento de noventa grados con capacidad de ruptura y panel de puerta y ensamble de puerta que usa el mismo.
AT513942B1 (de) * 2013-01-22 2017-11-15 Htp High Tech Plastics Gmbh Vorrichtung zur Abdeckung einer Sichtöffnung
EP2783888B1 (en) * 2013-03-26 2016-11-02 Inalfa Roof Systems Group B.V. Rollo assembly
US20160318381A1 (en) * 2013-03-26 2016-11-03 Inalfa Roof Syetems Group B.V. Shading assembly
RU2675716C2 (ru) * 2014-02-12 2018-12-24 Асса Аблой Энтранс Системс АБ Высокоскоростная рулонная дверь, содержащая детектор скорости движения полотна
WO2015121255A1 (en) * 2014-02-12 2015-08-20 Assa Abloy Entrance Systems Ab Fast roll-up door comprising a curtain having resilient edges
CN103850640A (zh) * 2014-03-20 2014-06-11 浙江启门科技有限公司 一种柔性快速卷帘门的边排链
CN103867106B (zh) * 2014-03-20 2017-02-08 浙江启门科技有限公司 一种柔性快速卷帘门的抗风机构
CN103850632B (zh) * 2014-03-20 2017-01-04 浙江启门科技有限公司 一种柔性快速卷帘门的防脱落机构
AU2014203018B2 (en) 2014-06-03 2019-07-18 Infinity Retractable Screens Pty Ltd Apparatus for retaining a blind, and blind assembly
AU2014268200A1 (en) 2014-11-26 2016-06-09 Infinity Retractable Screens Pty Ltd Mounting arrangement
JP5798263B1 (ja) * 2015-01-20 2015-10-21 株式会社石井 ロールスクリーン及びガイドテープ
CA2940446A1 (en) * 2015-08-31 2017-02-28 Sun Glow Window Covering Products of Canada Ltd. Roller shade system
KR20170040580A (ko) * 2015-10-05 2017-04-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도어커튼의 회전축 유동구조
CN105421978A (zh) * 2015-12-03 2016-03-23 桐城市丽琼金属制品有限公司 一种窗户防护网
US10309153B2 (en) 2016-09-26 2019-06-04 Draper, Inc. Support system for rolled material
AU201616687S (en) 2016-11-30 2017-01-03 Infinity Retractable Screens Pty Ltd Drawbar for a screen or blind
AU2018215858B2 (en) * 2017-01-31 2023-10-05 Auto Mossa Holdings Limited Roller door blades and roller doors
WO2019173880A1 (en) 2018-03-16 2019-09-19 Infinity Retractable Screens Pty Ltd Draw bar and brake arrangement for a draw bar
BE1027806B1 (fr) * 2019-11-28 2021-06-28 Becoflex Dispositif de couverture d'une surface comprenant des moyens de verrouillage discrets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8668A (en) * 1913-09-10 1915-05-11 William Bernard Knapp Screen, curtain, and the like.
US1612261A (en) * 1925-08-24 1926-12-28 Thomas J Burns Window screen
FR1384797A (fr) * 1963-11-28 1965-01-08 Forest Const Mec Perfectionnement apporté aux volets et rideaux enroulables
US3900063A (en) * 1973-06-18 1975-08-19 J H Channon Inc Roller curtain
US4064648A (en) * 1976-02-23 1977-12-27 Roll-Out Insulation Systems, Inc. Weather responsive insulation system for greenhouses and the like
US4390054A (en) * 1980-07-09 1983-06-28 Seiwa Kagaku Kabushiki Kaisha Apparatus for opening and closing a flexible screen in a greenhouse or the like
US4436137A (en) * 1981-04-04 1984-03-13 Charles Hugh G Window insulation system
JPS5869692U (ja) * 1981-11-06 1983-05-12 ト−ソ−株式会社 側縁ガイドつきロ−ルブラインド
DE8226196U1 (de) * 1982-09-17 1983-02-17 Reflexa-Werke H.P. Albrecht GmbH & Co KG, 8871 Rettenbach Rolladen
US4921033A (en) * 1986-03-31 1990-05-01 Finch Harry E Security door system
JPH085278Y2 (ja) * 1989-11-20 1996-02-14 清茂 服部 巻上げシャッター
FR2683257A1 (fr) * 1991-11-05 1993-05-07 Nergeco Sa Porte de manutention a fonctionnement peu bruyant.
US5482104A (en) * 1993-06-04 1996-01-09 Lichy; Dale M. Guide system for vertically moveable flexible door
US5620039A (en) * 1995-02-10 1997-04-15 Rytec Corporation Apparatus for providing a slidingly-separable connection between a movable barrier and a means for guiding the barrier
US5785105A (en) * 1995-11-13 1998-07-28 Crider; Grant W. Sealable curtain
JP2000160960A (ja) * 1998-12-01 2000-06-13 Kajima Corp シートシャッタ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0339B1 (ko) * 2006-03-31 2007-06-19 곽재석 롤 스크린의 하중 조절장치
KR20160018694A (ko) * 2013-06-11 2016-02-17 레이던 컴퍼니 극저온 환경을 위한 가변 애퍼처 기구 내의 열적 제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518036A1 (fr) 2005-03-30
IL165733A0 (en) 2006-01-15
PL212432B1 (pl) 2012-09-28
CA2487812C (fr) 2011-01-11
DK1518036T3 (en) 2016-11-07
JP2005529262A (ja) 2005-09-29
CN100449106C (zh) 2009-01-07
AU2003242062A1 (en) 2003-12-31
BE1016275A3 (fr) 2006-07-04
NZ536843A (en) 2007-09-28
WO2003106801A1 (fr) 2003-12-24
US7275581B2 (en) 2007-10-02
BR0305067A (pt) 2004-11-09
EP1518036B1 (fr) 2016-07-27
US20060037718A1 (en) 2006-02-23
RU2005100506A (ru) 2005-11-10
AU2003242062B2 (en) 2008-10-02
KR101059049B1 (ko) 2011-08-24
ZA200409818B (en) 2006-07-26
PT1518036T (pt) 2016-10-04
RU2326225C2 (ru) 2008-06-10
UA82844C2 (en) 2008-05-26
CN1659356A (zh) 2005-08-24
BR0305067B1 (pt) 2012-10-02
PL373138A1 (en) 2005-08-22
NO20040628L (no) 2004-03-25
CA2487812A1 (fr) 2003-12-24
ES2593004T3 (es) 2016-12-05
JP2011144630A (ja) 2011-07-28
JP4806186B2 (ja) 2011-11-02
MXPA04012385A (es) 2005-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50010852A (ko) 드럼에 셔터를 권취하는 장치
KR101378627B1 (ko) 유연성 측변부가 구비된 스크린을 갖는 폐쇄장치
US3583465A (en) Flexible curtain structure
JP5081254B2 (ja) 巻きカーテンを備えるデバイス
RU2678395C2 (ru) Высокоскоростная рулонная дверь, содержащая полотно с упругими кромками
JPH05106384A (ja) 伸縮可能な窓遮蔽体を装着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JPS5920495B2 (ja) フランジカバ−
JP2013532242A (ja) 防水バリア
IL164134A (en) Install closure with flexible edges
US4433714A (en) Roller shutter doors
US20100229468A1 (en) Retractable screen system providing a positioning force for a movable sash
JP2023516587A (ja) カバーを溝に係止する手段を含む、表面を覆うための装置
JP4596818B2 (ja) 開閉装置
JPH0665067U (ja) シートのスライド機構
JPH0635116Y2 (ja) 作画シート併設のシャッター装置
CN115035804A (zh) 电子设备
RU1807192C (ru) Подвижной потолок
GB2108186A (en) Slats for roller shutter doors
JP3914483B2 (ja) 開閉装置
CA1131556A (en) Roller door and frame combination
JPH0137548B2 (ko)
JPS59115042A (ja) 指圧体の駆動方法
JPH0577496U (ja) ロールスクリー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