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09988A - 질병을 치료 또는 예방하기 위한 조성물 및 일정 크기의리포좀 투여방법 - Google Patents

질병을 치료 또는 예방하기 위한 조성물 및 일정 크기의리포좀 투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09988A
KR20050009988A KR10-2004-7015874A KR20047015874A KR20050009988A KR 20050009988 A KR20050009988 A KR 20050009988A KR 20047015874 A KR20047015874 A KR 20047015874A KR 20050009988 A KR20050009988 A KR 200500099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posomes
administered
days
intervals
choleste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58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로드리구에자웬디브이
비스게이어찰스엘
Original Assignee
에스페리온 루브 디벨로먼트 아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페리온 루브 디벨로먼트 아이엔씨 filed Critical 에스페리온 루브 디벨로먼트 아이엔씨
Publication of KR200500099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9988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0Dispersions; Emulsions
    • A61K9/127Liposom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16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liver or gallbladder disorders, e.g. hepatoprotective agents, cholagogues, litholy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18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pancreatic disorders, e.g. pancreatic enzym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5/00Drugs for genital or sexual disorders; Contraceptives
    • A61P15/10Drugs for genital or sexual disorders; Contraceptives for impoten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6Antipsoria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14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abnormal movements, e.g. chorea, dyskines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8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orders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e.g. nootropic agents, cognition enhancers, drugs for treating Alzheimer's disease or other forms of dement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61P27/02Ophthalmic agents
    • A61P27/06Antiglaucoma agents or mio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6Antihyperlipidem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8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 A61P3/1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for hyperglycaemia, e.g. antidiabe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blood or the extracellular flu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blood or the extracellular fluid
    • A61P7/02Antithrombotic agents; Anticoagulants; Platelet aggregation inhibi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04Inotropic agents, i.e. stimulants of cardiac contraction; Drugs for heart fail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06Antiarrhythm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1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eating ischaemic or atherosclerotic diseases, e.g. antianginal drugs, coronary vasodilators, drugs for myocardial infarction, retinopathy, cerebrovascula insufficiency, renal arteriosclerosi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Diabetes (AREA)
  • Card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pidemiology (AREA)
  • Neur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Neuro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besit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Dermatology (AREA)
  • Endocrinology (AREA)
  • Psychiatr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Rheumatology (AREA)
  • Psych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Gynecology & Obstetrics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포좀들을 포함하는 의약 조성물 및 그러한 리포좀들을 사용하여 여러 질병 및/또는 신체 질환을 예방, 치료 또는 처리(manage)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리포좀들은 큰 단일상 소포체(large unilamellar vesicle;LUVs) 단독 또는 다중상 소포체(multilamellar vesicle;MLVs), 작은 단일상 소포체(SUVs) 또는 다른 치료제들과 혼합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양 및/또는 투약을 사용하여 환자에게 투여되는 일정 지름을 갖는 리포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질병을 치료 또는 예방하기 위한 조성물 및 일정 크기의 리포좀 투여방법{COMPOSITIONS AND METHODS FOR DOSING LIPOSOMES OF CERTAIN SIZES TO TREAT OR PREVENT DISEASE}
동맥 경화증은 미국에서 사망의 주요한 원인이다. 동맥 경화증은 혈관 루멘을 폐색할 수 있고, 혈관을 통한 혈액의 흐름을 방해할 수 있는 동맥 벽 내에 플라크들의 형성이다. 플라크들은 또한 깨질수 있고, 심지어 중대한 협착증없이 혈관에 혈전 형성을 일으키고 혈관들의 폐쇄 및 혈액 흐름의 장애를 일으킬 수 있다.
이환(morbidity) 및 사망(mortality)은 허혈에 의한 말단 기관 상해 및 기관 이상(dysfunction)을 통하여 일반적으로 일어난다. 허혈성 말단 기관 상해의 가장 일반적인 형태는 심근 경색과 뇌혈관 장애들이다. 장애 또는 사망이 이들 혈관 사고들로부터 자주 기인한다. 심지어 심근에 영속적인 상처를 입지않거나 사소한 심근 상해에 이른 동맥 경화증관련 허혈은 협심증과 충혈성 심부전의 형태로 주요한 환자수에 원인이다. 신장들, 장들 및 척수와 같은 다른 기관들도 동맥경화성 폐색에 의하여 또한 상처를 입을 수도 있다. 게다가 대동맥 동맥류와 같은 질환들에서, 동맥경화성 동맥들은 말단 기관 이상과 무관하게 임상 증상들을 일으킬 수 있다. 동맥경화성 병소들은 주요한 동맥들의 내막에 콜레스테롤, 콜레스테롤 에스테르들, 및 인지질의 축적, 평활근 세포들의 증식, 마크로파지(macrophages)로 그들의 변화를 포함하는 단핵 백혈구들의 혈관외 유출(diapedesis) 및 그리고 거품(foam) 세포들들에 의해 형성된 플라크들이다. 지질은 플라크 부피의 주된 부분(일반적으로 건조 중량의 30-65 %)이다. Small, ARTERIOSCLEROSIS, 8: 103-129 (1988). 사실상, 진행중인 동맥 경화의 위험은 일정 형태들의 혈장 콜레스테롤의 농도와 직접 관련된다.
비정상적으로 높은 지질 레벨과 관련된 다른 병들 및 신체 질환은 급성 관상동맥 증후군, 안정성 협심증, 불안정성 협심증, 염증, 혈관 염증, 피부 염증, 관상동맥 심장병(CHD), 심실 부정맥, 말초 혈관질환, 말초 폐색 질환, 간헐성 파행증, 일시적인 허혈 발병, 재협착, 혈관재개통에 대한 감소된 필요, 응고 이상, 허혈, 심혈관성 허혈, 허혈-재관류 상해와 같은 심혈관질환과 관련없는 허혈, 혈소판 감소증, 췌장염, 비알콜성 지방간염(NASH), 당뇨성 신경 장애, 망막증, 심한 당뇨성 신경장애, 파행증, 건선, 중한 팔 허혈, 발기부전, 고지혈증, 고지단백혈증, 저알파지단백혈증, 고중성지방혈증,허혈성 병을 야기하는 협착 질환, 당뇨병, 어린선, 뇌졸증, 상처입기 쉬운(vulnerable) 플라크, 낮은 팔 궤양, 심한 관상동맥 허혈,림프종들, 백내장, 혈관내피세포 손상, 황색종들, 혈관 질환, 흡연과 당뇨병에 기인한 혈관 질환, 경동맥 및 관상동맥 질환, 선천성 심부전, 퇴화(regress) 및 수축 형성된 플라크들, 알쯔하이머 병, 내피 세포 상해를 일으키는 수술 과정의 결합들, 수술 과정의 결과로 내피세포 상해, 혈관질환과 관련된 이환(morbidity), 동맥 루멘에 궤양들, 풍선 혈관 성형술의 결과에 기인한 재협착증, 및 상기에 준한 징후들(subindications)을 포함한다.
콜레스테롤을 포함하는 지질들은 일반적으로 수용성 혈장에 용해되지 않는다. 혈장 지질은 수용성 지질단백질 복합체들에 의하여 운반된다. 이들 지질단백질 복합체들은 내부 안쪽의 비극성 지질들(콜레스테릴 에스테르들과 트리글리세라이드)와 표면증의 양쪽성 단백질들과 극성 지질들(인지질들과 비 에스테르화된 콜레스테롤)로 구성되어 있다. 여러 단백질들(apolipoproteins)이 여러 지질단백질 복합체들(지질단백질)의 표면 코트에 존재한다. 여러 지질단백질들은 지질 대사에서 여러 기능들을 수행한다.
다섯 군의 지질단백질들이 알려져 있다. 일부 지질단백질들은 간에서 말초 조직까지 트리글리세라이드와 콜레스테롤을 운반하고 다른 것들은 간으로 지질들을 운반한다. 콜레스테롤은 간에서 배출되는 담즙산 염으로 대사될 수 있고, 따라서 전체 체내 콜레스테롤을 낮춘다. 두 지질단백질인 저 밀도 지질단백질들(LDL)과 고 밀도 지질단백질들(HDL)은 동맥 경화증의 발병과 높은 정도의 연관을 가지고 있다.
LDL는 높은 콜레스테롤 농도를 가지고 있고, 말초 조직들의 세포들에 지질을 운반하고, 동맥 경화증의 높은 위험과 관련이 있다. HDL은 또한 상대적으로 높은 콜레스테롤 농도를 가지고 있으나, 담즙산 염들로 대사를 위해 간에 지질을 운반하고 발병중인 동맥 경화증의 위험을 감소시키는 것과 관련이 있다.
콜레스테롤 대사와 항상성은 세포 및 혈장에 자유로운 스테롤 간의 복잡한 평형의 결과이다. Phillips 외, BIOCHIM. BIOPHYS. ACTA, 906: 223-276 (1987). 세포들에 콜레스테롤의 운반은 수용체 매개된 LDL 경로, 스캐빈져 수용체 B-I를 통한 선택적 업테이크 및 원형질 막 및 지질단백질들 사이에 스테롤의 수동 교환에 의하여 일어난다. 스테로이드 호르몬들과 담즙 산들을 생산할 수 있는 조직들만이 콜레스테롤을 대사시킬 수 있다. 말단 조직에 남아 있는 여분 자유로운 스테롤의 축적을 저해하기 위하여 원형질 막으로부터 HDL과 지질단백질 유사 입자들로 콜레스테롤의 역방향 이동이 있다. HDL은 비에스테르화된 콜레스테롤로서 담즙에 운반될 수 있거나 배출을 위하여 담즙산 염으로 가공되거나, 간에서 에스테르화되고 저장되거나, 지질단백질 풀로 다시 들어가기 위하여 저 밀도 지질단백질들(VLDL)으로 결합할 수 있는 간으로 과량의 콜레스테롤을 운반한다.
세포들과 지질단백질들 사이에 콜레스테롤의 수동 교환은 수용성 공간을 가로질러 스테롤 분자의 확산을 통하여 일어난다. Phillips 외, supra, 및 Schroederet 외, Exp. BIOL. MED., 196: 235-252 (1991). 만약 자유 스테롤의 화학적 포텐셜이 세포내에서보다 혈장에서 낮다면 전체 세포적 유출이 일어나서 스테롤이 그것의 활성 기울기(gradient)를 따라 막을 떠난다. 이러한 조건하에서 형태적으로 독특한 초기 동맥경화성 병소인 콜레스테롤-에스테르 로드된 세포들은 이들 지질의 세포내 축적의 감소를 야기하는 콜레스테롤을 잃을 뿐만 아니라 에스테르가수분해도 촉진한다는 것을 보인다. Small, ARTERIOSCLEROSIS, 8: 103-129 (1988). 게다가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역 콜레스테롤 운반(낮은 혈장 콜레스테롤 농도들, 또는 높은 HDL 농도들)을 향상하는 것을 기대할 수 있는 조건들은 미성숙 동맥 경화증의 감소된 위험과 상관되고, 플라크 퇴화를 일으킨다는 역학적(epidemiological) 증거가 있다.
독특하게 플라크들은 혈관 내막의 궤양과 관련있다. 지질을 포함하는 플라크들은 부서지기 쉬운 덩어리로 동맥 루멘으로 돌출하는 궤양내에 성장한다.플라크는 혈관의 평활근 매질을 상처를 입힐 수 있고, 약화시킬 수도 있다. 플라크 형성이 진행됨에 따라 플라크들의 더 중심 부들은 혈액 순환으로부터 보호된다. 광대한 플라크 형성은 또한 플라크 위치에서 혈관의 중심에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수축을 야기한다.
현재 동맥 경화증의 가장 효과적인 치료는 예방이다. 혈장 LDL 농도가 거의 정상 수준을 유지할 때 병소들에서 지질들의 진행 및 축적이 중지될 수 있다는 증거가 있다. Reynolds, Circulation, 79: 1146-1148 (1989). 현재 동맥경화성 질환의 예방적 처치는 혈장 콜레스테롤 레벨을 조절하는 식이적 제한들과 관련된 약들의 사용에 촛점을 맞추었다. 게다가, 또한 동맥 벽의 세포들에 의해 변형된 LDL 입자들의 형성 및 업테이크를 억제하는 산화 방지제 치료들이 유익하다고 알려져 있다. Chisolm, CLIN. CARDIO., 14: 25-30 (1991). 그러나, 저콜레스테롤 약들은 동맥 경화증의 진행을 느리게 하는 것처럼 보이는 유리한 혈장 콜레스테롤 변화를 유도하는 반면에 그들은 아테롬(atheroma) 콜레스테롤의 유출과 제거를 촉진하는 상태를 일반적으로 유도하지 않는다. 명백하게, 아테롬의 주요한 퇴화를 달성하고 루멘 장애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지질을 가지고 있는 이들 공간들을 유동화하여야 한다. 현재 증거는 여분의 간 세포 콜레스테롤의 유출을 자극하고 배설, 역 콜레스테롤 운반(RCT)을 위하여 그것을 간에 운반하는 과정들이 동맥 경화증의 예방에 중요한 사건들이다. Gwynne, Clin. CARDIOL. , 14: 17-24 (1991).
동맥 경화증의 현재 치료 형태는 일반적으로 수술적 및 의학적 처지로 나누어진다. 수술적 치료는 폐색의 바이패스 지역들에 혈관 이식 과정(예를 들어 관상동맥 바이패스 이식), 동맥벽으로부터 폐색된 플라크들의 제거(예를 들어 경동맥 동맥 내막 절제) 또는 플라크들을 경피적으로 크래킹(예를 들어 벌룬 혈관 성형술)을 포함할 수 있다. 수술적 치료들은 주요한 위험을 수반하고 단지 분리된 병소만 치료한다. 치료된 병소로부터 아래쪽 동맥경화성 플라크들은 혈액 흐름을 방해하는 것을 계속할 수 있다. 수술적 치료들은 또한 동맥 경화증의 진행을 제한하지 않고 재협착증의 후발 합병증과 관련이 있다.
의학적 치료는 혈관 질환과 관련된 위험인자(예를 들어 흡연, 당뇨병 및 고혈압)의 감소를 지시하고 상기에서 언급한 동맥경화증의 발병과 관련된 혈장 콜레스테롤의 형태들을 낮추는 것을 지시한다. 의학적 치료들은 플라크 형성의 진행을 느리게 할 수 있으나 플라크 퇴화는 상대적으로 희박하다. 그러므로, 전조 동맥 경화증은 종종 수술적 및 의학적 치료 모두를 요구한다.
역설적으로 인지질들과 리포좀들의 정맥 내 주입은 비록 혈청 지질 수준이 일시적으로 증가할지라도 동맥경화성 플라크의 퇴화를 야기하는 것을 보였다.Williams 외, PERSPECT. BIOL. MED., 27: 417-431 (1984). 그러나, 몇몇 예들에서 동맥경화증의 발명 및 진행과 관련된 콜레스테롤은 후에 리포좀 투여를 증가시킬 수도 있다.
생체 내에서 콜레스테롤의 인지질 유도된 유동화를 조사한 기존의 연구들은 다중상 또는 초음파처리된 리포좀 소포체들을 사용하였다. 리포좀 사이즈는 정화 동역학에서 주요한 지표이고 초음파처리된 소포체들이 역 콜레스테롤 운반을 촉진하는데 가장 적합한 이중층 구조를 나타내는 몇몇 이유들 중 하나이다. 초음파 파쇄는 다중상 소포체들(MLV)을 "제한된 크기(limit size)"로 감소시킨다. 이들 시스템들은 파괴없이 이중층 구조에 의하여 채택될 수 있는 최소 굴곡 반지름을 나타낸다. 예를 들면, 생성될 수 있는 최소 사이즈 난(egg) 포스파티딜콜린 리포좀은 전형적으로 약 30nm 직경이고 종종 작은 단일상 소포체(SUV)로 분류된다. 주어진 리포좀 조성물에서 더 작은 입자 직경일수록, 더 큰 순환 반감기를 갖는다는 것을 일반적으로 추측된다. 결론적으로 포스파티딜콜린으로 구성된 SUV는 더 큰 리포좀보다 더 길게 순환되고, 따라서 콜레스테롤을 더 유동화하는 것을 예상할 수 있다. 게다가, SUV에서 인지질들에 의한 패킹 제약들(굴곡의 급한 반지름에 기인한)은 융합을 야기할 수 있는 불안정성을 일으킬 뿐 아니라, Hope 외, CHEM.PHYS. LIPIDS, 40: 89-107(1986) 지질단백질과 동화하는 경향을 증가시킨다. 예를 들어 Schrephofet 외, BIOCHEM.BIOPHYS. ACTA, 542: 296-307(1978) 및 Krupp 외, BIOCHEM.BIOPHYS. ACTA, 72: 1251-1258(1976) 참조. 따라서 SUV는 더 많은 HDL유사 입자들을 생성하고 따라서 말단 조직들로부터 스테롤의 유출을 촉진하는 것이 예측된다. 이러한 예상들 지지하는 50-80nm의 지름을 갖는 리포좀들이 스테롤 유동화 및 플라크 퇴화를 최적화한다는 보고가 있다. 유럽특허공개 번호 0461559 A2.
"간 콜레스테롤 항상성의 해로운 파괴를 야기하지 않고 신체의 일부로부터 콜레스테롤 역 운반을 강화하는 방법"이라는 표제의 미국특허번호 5,746,223("223"특허), "혈관성형 및 심장 카테터 방법"이라는 표제의 미국특허번호 6,080,422("422"특허), "리포좀 조성물 및 동맥경화증에 대한 치료방법"이라는 표제의 미국특허번호 6,139,871("871"특허) 이들 각각은 레퍼런스에 의하여 여기에 삽입되고, 말단 조직들로부터 콜레스테롤의 역 운반을 유도, 동맥경화증의 치료 및 혈관성형 과정에서의 사용을 위한 LUV의 용도를 (특히) 나타낸다.
더욱 상세하게는 "233" 및 "422" 특허는 1000nm 까지(더 큰 리포좀은 비효율적일 수 있다)의 지름을 갖는 LUV의 용도, 약 50,80, 또는 100nm 지름보다 더 큰 것에 대해 기술된 청구항들 및 일 실시예에는 120nm의 바람직한 지름을 나타내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233" 및 "422" 특허에서 투여되는 용량들은 용량 당 kg 당 10-1600mg의 범위이다. 더 특정 실시예들에서 상기 용량은 하루 당 kg 당 600mg 이하이고, 다른 특정 실시예들에서 상기 용량은 하루, 3일 및 5일 당 또끼에 kg 당 300mg 환약이다.
871특허는 바람직하게는 125nm의 지름을 갖는 100-150nm 범위의 지름을 갖는 LUV의 용도를 나타낸다. 871특허는 또한 다중 치료로 kg 당 약 100-150mg의 범위, 일반적으로는 kg당 약 200-750mg, 가장 일반적으로는 약 280-420mg, 일반적으로 주마다 4-16주 동안, 보통은 약 10주간 투여하는 것을 나타낸다. 871특허는 담체내의LUV의 농도는 변할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그 농도는 약 20-200mg/ml이고, 종종 약 50-150mg/ml이고, 가장 자주는 약 100mg/ml일 것이다.
최근 ETC-588(에스페리온 쎄라페틱사의 소유 제품인 1-팔미토일, 2-오레오일 포스파티딜콜린으로부터 제조된 리포좀들)을 사용한 두 연구가 수행되었다. ETC-588는 ETC-588이 가공 또는 배출을 위하여 간으로 그것의 콜레스테롤 로드를 운반한 후에 투약전 레벨로 되돌아 오는 혈청 콜레스테롤의 일시적 증가를 야기하는 혈관 및 말단 조직에서 콜레스테롤 및 다른 교환가능한 지질들을 빼앗는다(유동화라고 알려진 과정). 실험적으로 야기된 동맥 경화증의 유동화 및 퇴화는 ETC-588와 매우 유사한 리포좀 사이즈와 조성을 사용하는 전임상 코스 모델에서 나타난다. ETC-588는 체내에서 콜레스테롤 흐름을 크게 증가시키고 역 지질 운반 경로들을 향상한다.
첫번째 연구는 ETC-588 리포좀들의 단일량의 20, 60, 150,300, 및 600 mg/kg을 가지고 건강한 지원자들에 안전성과 내성을 평가하였다. ETC-588 리포좀들(200 mg/ml)는 주입 펌프를 사용하여 분당 10 ml로 정맥내로 주입되었다. 혈장에서 ETC-588는 인지질(PL)로 분석되었다. 전체 및 비에스테르화된 콜레스테롤(UC) 및 PL은 표준화되고 자동화된 방법에 의하여 분석되었다. 대상들은 무작위 계획에 따라 처리군들로 할당되었다. 안전성과 내성, 실험용 데이타, 생명 징후 및 부작용들이 매시점에서 요약되고 기술적 통계학을 사용하여 처리전 및 처리 후 변화를 요약되었다. 기술적 통계학을 사용하여 약동학(Pharmacokinetic)과 약역학(pharmacodynamic) 측정이 요약되었다. 그 결과들은 비록 콜레스테롤 유동화가 광범위한 용량을 통하여 일어나지만 그 효율은 변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이 외로 세 대상들에서 셋은 600 mg/kg에서 증가된 간 기능 테스트를 갖고 한명은 증가된 간 기능 효소들에 의하여 나타나는 심한 부작용을 가졌다. 다른 부작용은 두통, 현기증, 메스꺼움, 및 피로를 포함한다.
두번째 연구는 3 일 간격으로 총 네 투약을 받았던 건강한 지원자들에서 ETC-588의안전성과 내성을 평가하였다. 투여된 투여량은 100,150, 200,250, 및 300 mg/kg이었다. ETC-588 리포좀들(200 mg/ml)는 주입 펌프를 사용하여 분당 10 ml로 정맥내로 주입되었다. 혈장에서 ETC-588는 인지질(PL)로 분석되었다. 전체 및 비에스테르화된 콜레스테롤(UC) 및 PL은 표준화되고 자동화된 방법에 의하여 분석되었다. 대상들은 무작위 계획에 따라 처리군들로 할당되었다. 안전성과 내성, 실험용 데이타, 생명 징후 및 부작용들이 매시점에서 요약되고 기술적 통계학을 사용하여 처리전 및 처리 후 변화를 요약되었다. 기술적 통계학을 사용하여 약동학(Pharmacokinetic)과 약역학(pharmacodynamic) 측정이 요약되었다. 그 결과들은 비록 효율은 변하지만 콜레스테롤 유동화는 용량 의존적으로 증가된다는 것을 나타낸다. 이외에도 3일 간격으로 총 4 투여는 ETC-588의 바람직하지 않은 축적을 야기하는 것을 나타낸다. 첫번째 연구처럼, 여러 부작용들은 두통, 현기증, 메스꺼움 및 피로를 포함한다. 게다가 이들 투약 연구는 질병이나 다른 바람직하지 않은 신체 질환들을 갖는 환자가 아니라 건강한 환자들에 단독으로 수행되었다.
그러므로, 어떠한 불필요한 부작용을 막거나 줄이는 질환있는 환자들에 안정, 효율 및 비독성 투여량 및 투약을 결정할 필요가 존재한다. 이외에 여기에 기재된 질환 및/또는 신체 이상들 또는 다른 질환 또는 이상들을 앓는 환자들을 치료하기 위하여 적정 크기의 리포좀을 사용하여 더 적정 투약을 결정할 필요가 있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은 LUV 단독 또는 MLV, SUV 및/또는 죽상경화증, 정맥경화증 또는 맥관 또는 혈관의 내부 매질 내에 콜레스테롤 또는 다른 물질을 포함하는 플라크의 축적을 형성하는 혈관 질환을 포함하는 동맥경화증, 급성 관상동맥 증후군, 안정성 협심증, 불안정성 협심증을 포함하는 협심증(angina), 혈관 염증과 피부 염증을 포함하는, 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염증 또는 염증성 질병, 선천성 심부전, 관상동맥 심장병(CHD), 고혈압, 관상동맥 심실 부정맥, 심실주위(surraventricular) 부정맥, 말초 혈관질환, 치명적 심근경색, 비-치명적 심근경색, 심혈관성 허혈, 심장근육 하이버네이션(hybernation), 일시적인 허혈 발병을 포함하는 허혈, 엉덩이 수술, 무릎 수술, 장기 이식 또는 PTCA와 같은 허혈-재관류를 포함하는 심혈관 질환과 관련 없는 허혈, 관상동맥 재관류, 재협착, 수술-주위(PCI) 허혈성 이벤트, 혈관재개통에 대한 감소된 필요, 감소된 경색 영역, 응고 질환, 혈소판 감소증, 심부 정맥 혈전증, 췌장염, 비-알콜성 지방간염(NASH), 당뇨성 신경 장애, 망막증, 당뇨성 신경장애, 건선, 중한 팔 허혈, 파행증, 발기부전, 전립샘 암, 고지혈증, 고지단백혈증, 저알파지단백혈증, 고중성지방혈증, 허혈성 병을 야기하는 협착 질환, I형 및 II형 모두를 포함하는 당뇨병, 어린선, 뇌졸증, 상처입기 쉬운(vulnerable) 플라크, 알쯔하이머 질환, 낮은 팔 궤양, 심한 관상동맥 허혈, 림프종들, 백내장, 혈관내피세포 손상, 황색종들, 말단기관 이상, 혈관 질환, 흡연과 당뇨병에 기인한혈관 질환, 경동맥 및 관상동맥 질환, 퇴화(regress) 및 수축 형성된 플라크들, 내피 상해를 야기하는 외과 수술들의 병합, 외과 수술의 결과로 야기된 내피세포 상해, 혈관 질환과 관련된 병, 동맥 루멘에 궤양들, 풍선 혈관 성형술의 결과에 기인한 재협착증, 및 상기에 준한 징후들(subindications)을 포함하는, 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다양한 질병 및 신체 질환을 예방, 치료 또는 처리하기 위해 사용되는 다양한 치료제들을 함께 함유할 수 있는 리포좀의 약학적 조성물 및 투여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 및 방법은 HDL 레벨을 증가시키기 위해, 저 HDL 레벨을 증가시키기 위해, LDL 레벨을 감소시키기 위해, 고 LDL 레벨을 감소시키기 위해, 일시적으로 LDD 레벨을 증가시키기 위해, 중성지방 레벨을 감소시키기 위해, 다른 지질의 레벨을 증가 또는 감소시키기 위해, 플라크 안전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또는 플라크 파열 가능성을 줄이기 위해, 혈관확장을 증가 또는 감소시키기 위해, 염증을 에방 또는 치료하기 위해, 염증성 질환 또는 염증성 반응을 치료 또는 예방하기 위해, 평활근 및 혈관 내막을 강화 또는 안정화시키기 위해, 간으로의 이동을 위해 세포외 콜레스테롤의 유출(efflux)을 촉진하기 위해, 면역 반응을 조절하기 위해, 동맥경화 플라크로부터 콜레스테롤을 동원하기 위해, 및 조성적(compositional) 및/또는 기능적 변형이 유리한 일정 막, 세포, 조직, 장기, 및 세포외 영역 및/또는 구조를 조절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 및 방법은 또한 국소 적용과 상처 치유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원하지 않는 효과의 부작용을 감소 또는 피하는 동안 콜레스테롤의 감소 및/또는 질병의 치료를 달성하기 위하여 리포좀, 특히 특정 크기 범위의 리포좀의 특정 투여량을 특정 시간 간격으로 특정한 양만큼 투여하는 투여 요법을 포함한다. 따라서, 그것일 필요한 환자에게 리포좀을 투여하는 방법, 리포좀의 투여에 의하여 총 및 LDL 콜레스테롤을 감소시키는 방법, 리포좀의 투여에 의하여 HDL 콜레스테롤의 효율을 증가시키거나 그 레벨을 증가시키는 방법, 및 리포좀을 투약(dosing)하는 방법이 본 명세서에서 상세히 설명된다.
소포체 입자는 (또는 리포좀은) 죽상경화 플라크로부터 콜레스테롤의 유출을 최적화한다. 소포체 입자는 아포인지질, 전형적으로 아포인지질 AI 또는 AII에 결합할 수 있고, 종종 포스파티틸콜린 또는 포스파티틸글리세롤과 같은 인지질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한다. 조성물은 일반적으로 리포좀 및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운반체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리포좀은 투여 전에는 콜레스테롤이 없다. 새로운 투여 요법에서 사용되는 리포좀은 일정 크기의 지름을 가질 수도 있다. 부가적으로, 리포좀은 일정 표준 편차 또는 크기 분포를 가지는 일정 크기의 평균 지름을 가질 수도 있다.
분리되고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리포좀은 일정 표준 편차 또는 크기 분포를 가지는 50 내지 250 나노미터(nm)의 평균 지름을 가진다. 분리되고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리포좀은 ±50%, 바람직하게는 ±40%의 분포를 가진 50 내지 250nm의 평균 지름을 가진다. 분리되고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리포좀은 일정 표준 편차 또는 크기 분포를 가지는 100 내지 140nm의 평균 지름을 가진다. 분리되고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리포좀은 ±50%, 바람직하게는 ±40%의 분포를 가진 100 내지 140nm의 평균 지름을 가진다. 분리되고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리포좀은 일정 표준 편차 또는 크기 분포를 가지는 110 내지 120nm의 평균 지름을 가진다. 분리되고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리포좀은 ±50%, 바람직하게는 ±40%의 분포를 가진 110 내지 120nm의 평균 지름을 가진다. 분리되고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리포좀은 일정 표준 편차 또는 크기 분포를 가지는 100 내지 200nm의 평균 지름을 가진다. 특정 실시예에서, 리포좀은 일정 표준 편차 또는 크기 분포,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50% 사이의 표준 분포를 가진 100 내지 110nm, 110 내지 120nm, 120 내지 130nm, 130 내지 140nm, 140 내지 150nm, 150 내지 160nm, 160 내지 170nm, 170 내지 180nm, 180 내지 190nm, 또는 190 내지 200nm 사이의 평균 지름 크기를 가진다. 특정 실시예에서, 이용된 리포좀은 ETC-588(Esperion Therapeutics, Inc.의 상품)이다.
위에서 확인된 질병 및 신체 질환을 치료하는 방법 또한 제공되며 치료적으로 또는 예방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본 방법은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조성물을 위에서 언급된 질병 또는 신체 질환을 가진 포유동물, 바람직하게는 인간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종종 조성물은 일정 시간 동안 연속적으로 투여된다.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적으로 투여된다. 일반적으로 조성물은 비경구적, 바람직하게는 정맥내로 투여되거나 또는 투여는 근육내, 피하내, 복강내, 경막내, 동맥내, 림프관 경유, 주입(infusion), 근육내로 투여될 수 있고, 만성적 내재 카테터(chronically indwelling catheter) 또는 빨리 놓여진 카테터, 주사기 또는 푸쉬 투여(push administration)에 의해서도 투여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투여는 주입(infusion), 주사기 또는 푸쉬 투여에 의하여 설하, 볼, 점막, 국소, 직장, 질, 내-동맥, 경피로 투여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전형적으로 염증을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하여 또는 상처 치료를 촉진하기 위하여 투여된다.
본 발명의 방법은 리포좀을 단회 또는 나누어 20mg/kg 내지 600mg/kg의, 바람직하게는 50mg/kg 내지 600mg/kg의, 더욱 바락직하게는 50mg/kg 내지 300mg/kg의 투여량으로 그것이 필요한 환자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분리되고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리포좀은 단회 또는 나누어 100mg/kg 내지 200mg/kg의, 바람직하게는 150mg/kg 내지 200mg/kg의 투여량으로 그것이 필요한 환자에게 투여된다. 특정 실시예에서, 소포체 입자는 단회 또는 나누어 110mg/kg 내지 120mg/kg, 120mg/kg 내지 130mg/kg, 130mg/kg 내지 140mg/kg, 140mg/kg 내지 150mg/kg, 150mg/kg 내지 160mg/kg, 160mg/kg 내지 170mg/kg, 170mg/kg 내지 180mg/kg, 180mg/kg 내지 190mg/kg, 또는 190mg/kg 내지 200mg/kg 사이의 투여량으로 그것이 필요한 환자에게 투여된다.
특정 실시예에서, 소포체 입자는 단회 또는 나누어 1일, 2일, 3일, 4일, 5일, 6일, 1주일, 2주일, 3주일, 1달, 2달, 3달, 4달, 5달, 6달, 7달, 8달, 9달, 10달, 11달, 및 1년의 간격으로 또는 미리 정해진 치료 기간 동안 미리 정해진 시간 간격으로 1회 이상 투여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치료의 코스 동안에 투약 간의 시간 간격은 일주일이다. 치료 코스 동안에 바람직한 치료 기간은 1일, 2일, 3일, 4일, 5일, 6일, 1주일, 2주일, 3주일, 4주일, 5주일, 6주일, 7주일, 8주일, 9주일, 10주일, 11주일, 12주일, 13주일, 14주일, 4달, 5달, 6달, 7달, 8달, 9달, 10달,11달, 1년, 2년, 3년, 4년, 또는 5년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치료 코스 동안 치료 기간은 14주 보다 길지 않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리포좀은 치료의 각 코스 동안 1-4, 1-8, 또는 1-14회의 투여로 4-7일의 간격으로 투여된다. 투여 요법은 또한 초기 투여량 투여 후에 유지 투여량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연속 주입(infusion) 처치를 포함한다. 그러한 조성물로 그러한 방법에 따라 치료된 환자는 어떠한 나이일 수 있고, 위에서 열거된 하나 이상의 질병 또는 신체 질환 및/또는 다른 질병 및 질환의 병을 가지고 있을 수 있다.
유용한 정의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약물(drug)"은 관련된 결합 운반체, 애주번트, 활성화제, 또는 코-팩터(co-factor) 없이 치료학적 사용에 알맞은 합성 화합물을 나타내는 것으로 의미된다. "약물"은 천연의 또는 내생적(endogenous) 아포지질단백, 레시틴-콜레스테롤 아실트랜스페라제(acyltransferase), 또는 알부민을 포함하지 않는다. "리포좀", "소포체(vesicle)" 및 "리포좀 소포제"는 수상의 내부를 둘러싸는 지질-함유 막을 가진 구조를 나타내는 것으로 의미된다. 비록 일반적으로 리포좀은 단지 하나의 막을 가지고 있지만, 그 구조는 달리 표시되지 않는다면 하나 이상의 지질 막을 가진다. 그러한 단일 층의 리포좀은 여기에서 "단일상(unilamellar)"로 언급된다. 용어 "LUV"는 큰 단일상 소포체를 의미하고, 용어 "SUV"는 작은 단일상 소포체를 말하고, 용어 "MLV"는 다중상(multilamellar) 소포체를 말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것처럼, 용어 "동맥경화증을 치료하는"은 적어도 하나의 동맥경화 플라크의 콜레스테롤 함량을 줄이는 결과를 가져오는 치료적 간섭을 수행하거나 또는 예방학적으로 동맥경화 플라크의 형성 또는 확장을 예방 또는 억제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리포좀들을 포함하는 의약 조성물 및 그러한 리포좀들을 사용하여 여러 질병 및/또는 신체 질환을 예방, 치료 또는 처리(manage)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리포좀들은 큰 단일상 소포체(large unilamellar vesicle;LUVs) 단독 또는 다중상 소포체(multilamellar vesicle;MLVs), 작은 단일상 소포체(SUVs) 또는 다른 치료제들과 혼합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양 및/또는 투약을 사용하여 환자에게 투여되는 일정 지름을 갖는 리포좀에 관한 것이다.
도 1A은 사출 성형(extrusion)에 의해 제조된 큰 단일상 리포좀(large unilamellar liposome) 일군의 크기 분포를 나타낸다.
도 1B는 균질화(homogenization)에 의해 제조된 약 200nm의 큰 단일상 리포좀 일군의 크기 분포를 나타낸다.
도 1C는 사출 성형에 의해 제조된 ETC-588 리포좀 일군의 크기 분포를 나타낸다.
도 2는 매 4일 마다 리포좀 투여량을 투여한 후에 리포좀과 에스테르화되지 않은 콜레스테롤의 레벨을 나타낸다.
도 3는 매 7일 마다 리포좀 투여량을 투여한 후에 리포좀과 에스테르화되지 않은 콜레스테롤의 레벨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부분적으로 리포좀 특히 특정 크기의 리포좀을 전달하기 위해 사용된 특정 투여와 투여 요법이 그러한 리포좀에 의해 동맥경화 플라크로부터 콜레스테롤의 대사 및/또는 말초 조직으로부터 콜레스테롤의 제거를 최적화하는데 결정적 역할을 한다는 발견에 기초한다. 본 발명의 새로운 방법은 예를 들어 원하지 않는 효과의 독성 부작용과 같은 부작용을 줄이거나 피하는 동안 질병 또는 그들의 증상의 치료 또는 예방을 포함한다. 부가적으로, 리포좀 치료의 앞선 설명과는 대조적으로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리포좀이 리포좀 치료를 위해 앞서 설명된 동맥경화증 및 다른 적응증 이외에 다양한 질병 및 신체 질환을 예방, 치료 또는 처리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그것이 필요한 환자에게 리포좀을 투여하는 방법을 포함하고, 그 방법은 100nm의 평균 지름을 가진 바람직하게는 250nm보다 작은 지름을 가진 리포좀을 콜레스테롤 감소로 치료될 수 있는 질병을 가진 환자에게 단회 또는 나누어 매 4 내지 7일 마다 약 100mg/kg 내지 약 250mg/kg 만큼 바람직하게는 약 100mg/kg 내지 약 200mg/kg 만큼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치료될 환자, 본 발명에서 사용될 리포좀 및 특정 투여량과 투여 요법은 아래에서 자세히 설명된다.
1. 리포좀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100nm보다 큰 평균 지름을 가진, 바람직하게는 100nm 내지 140nm 인, 더욱 바람직하게는 110nm 내지 120nm의 지름을 가진 리포좀이 시스템으로부터 콜레스테롤 제거를 위해 최적이라는 것을 발견하였다. 일반적으로, 지름이 100나노미터보다 큰 리포좀의 월등한 작용은 간의 마이크로-해부에 의해 설명될 수 있다. 간 내에서 순환 시에, 큰 리포좀(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것처럼, 지름이 100nm보다 큰 리포좀)은 주로 굴(sinusoidal) 열기(opening)에 존재하는 쿠퍼 세포에 의해 제거된다. 쿠퍼 세포는 콜레스테롤을 담즙 내 분비 또는 재-이용을 위하여 간세포로 이동시킨다. 작은 리포좀(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것처럼, 지름이 100nm보다 작은 리포좀)은 직접적으로 쿠퍼 세포에 의한 앞선 프로세싱 없이 (또는 제한된 앞선 프로세싱으로) 간세포에 도달한다. 고정된 투여에 있어 큰 크기의 입자보다 주입된 작은 리포좀이 더 많이 존재하기 때문에, 간세포는 급격히 다소 높은 농도의 작은 리포좀 및 그들의 축적된 콜레스테롤에 노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100nm 내지 140nm 사이의 지름, 바람직하게는 110nm 내지 120nm의 지름을 가진 리포좀이 주로 쿠퍼 세포에 의해 제거되고, 더 작거나 또는 더 큰 크기를 가진 리포좀 보다 콜레스테롤을 운반하는데 더 효과적이기 때문에 최적이라는 것을 발견하였다.
리포좀 크기 분포에 더하여 및 크기 분포로부터 분리되어, 발명자들은 환자를 치료하는데 있어 환자에게 일정 투여량 및 투여 요법이 보다 안전하고 더 효과적이라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 내의 사용된 그러한 방법 및 조성물에 있어, 일정 표준 편차 또는 크기 분포를 가지는 일정 평균 지름을 가지는 리포좀 또는 어떠한 크기의 리포좀도 사용할 수 있다. 정말로, 새로운 투여 요법 내에서 또는 바람직한 투여 내에서 최적 크기의 리포좀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정 실시예에서, 리포좀은 표준 편차 또는 크기 분포와 상관없이 100nm보다 큰 평균 지름을 가진다. 분리되고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리포좀은 일정 표준 편차 또는 크기 분포를 가진 50-250나노미터(nm)의 평균 지름을 가진다. 분리되고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리포좀은 ±40-50% 50-250nm의 평균 지름을 가진다. 분리되고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리포좀은 일정 표준 편차 또는 크기 분포를 가진 100-140nm의 평균 지름을 가진다. 분리되고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리포좀은 ±40-50% 100-140nm의 평균 지름을 가진다. 분리되고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리포좀은 일정 표준 편차 또는 크기 분포를 가진 110-120nm의 평균 지름을 가진다. 분리되고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리포좀은 ±40-50% 110-120nm의 평균 지름을 가진다. 분리되고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리포좀은 일정 표준 편차 또는 크기 분포를 가진 100 내지 200nm의 평균 지름을 가진다. 특정 실시예에서, 리포좀은 일정 표준 편차 또는 크기 분포를 가진 100 내지 110nm, 110 내지 120nm, 120 내지 130nm, 130 내지 140nm, 140 내지 150nm, 150 내지 160nm, 160 내지 170nm, 170 내지 180nm, 180 내지 190nm, 또는 190 내지 200nm 사이의 평균 지름 크기를 가지며, 바람직하게 크기 분포는 ±40% 내지 ±50% 사이이다. 바람직한 분리된 실시예에서, 사용된 리포좀은 제조 후에 ±40-50% 100nm 내지 140nm의 평균 지름을 갖는 ETC-588(Esperion Therapeutics, Inc.의 상품)이다.
본 발명은 또한 투여될 때 50nm보다 큰, 바람직하게는 100nm보다 크고 250nm보다 작은 평균 지름을 가진 리포좀의 사용이 LDL 혈청 농도를 높일 수도 높이지 않을 수도 있는 것을 개시한다. 본 발명은 또한 투여될 때 50nm보다 큰, 바람직하게는 100nm보다 크고 250nm보다 작은 평균 지름을 가진 리포좀의 사용이 저(lower) LDL 혈청 농도를 높일 수도 높이지 않을 수도 있는 것을 개시한다. 몇몇 예에서, 리포좀은 약물 또는 단백질과 같은 다른 분자와 결합하지 않는다. 다른 예에서, 본 발명의 리포좀은 (1) 펩타이드, 파라오소네이즈(paraoxonase), 지질단백 리파제, 레시틴 콜레스테롤 아실트랜스페라제(acyltransferase), 인지질 전이 단백질, Apo A-I 및 ApoA-I의 유사체 또는 변이체를 포함하는 지질 결합 단백과 같은 리포좀에 결합하는 단백질 및 펩타이드; (2) HDL, 합성 및/또는 재조합 HDL입자, 아포지질단백 ApoA-I 또는 ApoA-I 유사체를 가지고 만들어진 합성 및/또는 재조합 HDL 입자를 포함하는 작은 수용체; (3) 작은 분자, 스타틴, 아스피린, 클로피도그렐, 베타-차단제를 포함하는 심혈관 치료제, 글리세믹 조절 및/또는 항-당뇨 치료제, 항고혈압 치료제, 헤파린, 니트레이트(nitrate), IIb/IIIa 억제제, ACE 억제제, 베타-차단제, 파이브레이트, 칼슘 채널 억제제, 및/또는 담즙 산 세퀘스트란트(sequestrant); (4) 및 인슐린과 경구 치료제를 포함하는, 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항당뇨제 (및/또는 글리세믹 조절) 약리치료제와 붙거나(bound), 결합하거나(combined) 및/또는 병용하여 투여된다. 부가적으로, 큰 리포좀은 단독으로 또는다중상 소포체 및/또는 작은 단일상 소포체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다. (펩타이드, ApoA-I 및 A-I의 유사체 또는 변이체를 포함하는 지질 결합 단백질과 같은) 단백질 및 펩타이드의 예는 미국특허 제6,004,925호, 제6,046,166호, 제6,037,323호, 제6,287,590호, 제6,329,341호 및 제6,265,377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모든 문헌은 인용에 의하여 그 전체가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HDL, LDL 또는 콜레스테롤을 조절할 수 있는 작은 분자의 예는 미국특허출원 제09/540,740호, 제09/540,739호, 및 제09/540,738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모든 문헌은 그 인용에 의하여 그 전체가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조성물 내의 리포좀이 미국특허 제4,186,183호; 제4,217,344호; 제4,261,975호; 제4,485,054호; 제4,774,085호; 제4,946,787호; 제5,726,157호; 제 5,746,223호; 제5,843,474호; 제5,448,435호; 제5,853,402호; 제6,080,422호, 제6,312,719호; 제 6,139,871호, PCT 특허공개 제WO91/17424호, Deamer and Bangham, BIOCHIM. BIOPHYS. ACTA, 443: 629-634 (1976); Fraley et al., PROC. NATL. ACAD. Sci. USA, 76: 3348-3352 (1979); Hope et al., BIOCHIM. BIOPHYS. ACTA, 812: 55-65 (1985); Mayer et al., BIOCHIM. BIOPHYS. ACTA, 858: 161-168 (1986); 및 Williams et al., PROC. NATL. ACAD. SCI., 85: 242-246 (1988)에 개시된 것과 같은 다양한 방법으로 합성될 수 있음을 파악할 것이다. 상기 모든 문헌은 인용에 의하여 그 전체가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안정한 방법은 예를 들어 초음파(sonication), 사출 성형(extrusion), 고압/균질화(high pressure/homogenization), 마이크로유동화(microfluidization), 계면활성제투석(detergent dialysis), 작음 리포좀 소포체의 칼슘-유도 융합, 및 에테르-융합 방법과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잘 알려진 모든 방법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리포좀은 초음파 및 사출 성형 절차에 의해 가자아 편리하게 생성된다. 간략하게, 지질은 생리 식염수 및 완충액과 혼합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지질의 클로로포름 용액은 진탕되고 N2의 일정 흐름 하에서 용매는 제거된다. 샘플은 고 진공하에서 건조된다. 결과적으로 생성되는 건조 지질 필릉은 150mM NaCl 및 20mM [4-(2-하이드록시에틸)]-피페라진-에탄설포닉 산(Hepes, pH 7.4)로 재수화된다. 이것을 일반적으로 다중상 리포좀 소포체를 생성한다. 단일상 소포체는 초음파 또는 사출 성형에 의해 제조된다.
초음파는 일반적으로 Branson tip sonifier와 같은 팁(tip) 초음파장치에 의해 얼음 수조 내에서 수행된다. 전형적으로, 현탁액은 여러 번의 초음파 사이클이 수행된다. 사출 성형은 Lipex Biomembrane Extruder와 같은 막 익스트루더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사출 성형 필터 내의 정해진 구멍 크기는 특정 크기의 단일상 리포좀 소포체를 생성할 수 있다. 리포좀은 Norton Company, Worcester Mass로부터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한 Ceraflow Microfilter와 같은 비대칭 세라믹 필터를 통한 사출 성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ETC-588 리포좀(Esperion Therapeutics의 상품, 현재 임상 시험에서 사용되고 있음)은 사출 성형에 의해 제조된다. 지금의 방법은 1-팔미토일-2-오레오일 포스파티틸콜린(POPC)를 인산-완충 생리식염수로 수화시키고 이것을 평균 지름이 100 내지 140nm가 될 때까지, 바람직하게는 약 110 내지120nm가 될 때까지 막 필터를 통하여 밀어내는 것을 포함한다. 단회 또는 수회의 통과는 막 필터를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하나의 특정 실시예에서, 2-10 통과가 이루어진다. 바말직하게는 2-5 통과가 이루어진다. 부가적으로 필터 막은 동일 또는 다른 크기일 수 있다(즉, 막의 변화(gradient)가 있을 수 있음). 결과적으로 생성되는 프로덕트는 ETC-588로 불린다. 사출 성형에 의해 특정 크기의 리포좀을 제조하는 예는 2001년 9월 28일에 출원된 미국특허 가출원 제60/326,032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문헌은 인용에 의하여 그 전체가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동일한 평균 지름을 가진 리포좀을 제조하는 다른 방법은 균질화(homogenization) 또는 마이크로유동화(microfluidization)을 포함하나, 입자의 분포가 더 크다. 도 1A와 도 1B를 비교 참조하기 바람. 지금의 기술을 사용하여, 균질화 또는 마이크로유동화에 의해 제조된 입자의 생리학적 효과는 사출 성형에 의해 제조된 것과 다르다. 인지질 mg/kg에 기초하여 동일한 양이 동물에 투여된 경우에 있어서도 제거 키네틱이 다소 빠르고, 콜레스테롤 유동화에 대한 측정에 있어 곡선하면적(AUC)이 다소 적은데, 이는 이러한 입자가 사출 성형된 리포좀 보다 덜 효과적이라는 것을 나타낸다.
리포좀 소포체의 크기는 Bloomfield, ANN. REV. BIOPHYS. BIOENG., 10: 421-450 (1981)에 개시된 것처럼 quasi-electric light scattering(QELS)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상기 문헌은 인용에 의하여 그 전체가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평균 리포좀 지름은 형성된 리포좀을 초음파하여 줄어들 수 있다. 간헐적 초음파 사이클은 효율적인 리포좀 합성을 가이드하기 위하여 QELS 평가로 대체될 수 있다. 리포좀은다양한 지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리포좀은 전형적으로 난(egg) 포스파티틸콜린, 난 포스파티틸글리세롤, 디스테아로일포스파티틸콜린, 또는 디스테아로일포스파티딜글리세롤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인지질로 이루어질 것이다. 본 발명의 많은 실시예는 하나 이상의 인지질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조성물 또는 방법 내에서 사용될 수 있는 리포좀의 제조에 적당한 다른 인지질은 포스파티딜콜린, 포스파티딜글리세롤, 레시틴, 베타, 글리코리피드, 감마-디팔미토일-알파-레시틴(gamma-dipalmitoyl-alpha-lecithin), 스핑코마이에린(sphingomyelin), 포스파티딜세린, 포스파티딕산(phosphatidic acid), N-(2,3-디(9-(Z)-옥타데세닐옥시(octadecenyloxy))-프로프(prop)-1-일(yl)-N,N,N-트리메틸암모니움 클로라이드,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라이조레시틴(lysolecithin), 라이조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lysophosphatidylethanolamine), 포스파티딜이노시톨(phosphatidylinositol), 세파린(cephalin), 카디오리핀(cardiolipin), 세레브로사이드(cerebrosides), 디세틸포스파테이트(dicetylphosphate), 디오레오일포스파티딜콜린(dioleoylphosphatidylcholine), 디팔미토일포스파티딜콜린(dipalmitoylphosphatidylcholine), 디팔미토일포스파티딜글리세롤, 디오레오일포스파티딜글리세롤, 팔미토일-오레오일-포스파티딜콜린, 디-스테아로일-포스파티딜콜린(di-stearoyl-phosphatidylcholine), 스테아로일-팔미토일-포스파티딜콜린, 디-팔미토일-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디-스테아로일-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디-미르스토일-포스파티딜세린(di-myrstoyl-phosphatidylserine), 디-오레오일-포스파티딜콜린, 오레오일-팔미토일 포스파티딜콜린, 팔미토일오레오일포스파티딜콜린, 37℃에서 액정상인 지질 및 그것의 혼합물 및 그 유사체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리포좀은 팔미토일오레오일 포스파티틸콜린으로 구성된다. 인을 포함하지 않는 지질(non-phosphorus containing lipids)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의 리포좀에 사용될 수 있다. 이것은 예를 들어 스테아릴아민, 도세실아민(docecylamine), 아세틸 팔미테이트, 지방산 아마이드, 및 그의 유사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리포좀의 사용에 적당한 다른 지질은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잘 알려져 있고, 예를 들어 MCCUTCHEON'S DETERGENTS AND EMULSIFIERS 및 MCCUTCHEON'S FUNCTIONAL MATERIALS, Allured Publishing Co., Ridgewood, N.J.와 같이 잘 알려진 다양한 소스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문헌은 인용에 의하여 그 전체가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일반적으로, 리포좀은 37℃에서, 종종 35℃에서, 및 32℃에서 조차 액정상인 지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액정상인 리포좀은 일반적으로 겔상인 리포좀보다 더 효율적으로 콜레스테롤을 수용한다. 환자는 일반적으로 약 37℃의 중심 온도를 가지기 때문에, 37℃에서 액정상인 지질로 구성된 리포좀은 일반적으로 치료 동안에 액정상이고, 그러므로 플라크로부터 콜레스테롤의 제거를 최적화한다.
바람직하게는 방법 및 조성물에서 사용된 리포좀은 콜레스테롤이 없다.
2. 약제학적 조성물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운반체 또는 부형제를 포함할 수 있다. 많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운반체는 본 발명의 조성물에 적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통상의 생리식염수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운반체로써 적용될 것이다. 다른 적당한 운반체는 예를 들어 알부민과 같은 당단백, 지질단백, 글로브린(globulin) 등을 안정성 촉진을 위해 포함하는 물, 완충 수용액, 0.4% 식염수, 0.3% 글리신, 및 이들의 유사체를 포함한다. 이러한 조성물은 통상의, 잘 알려진 멸균 기술에 의해 멸균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생성되는 수용액은 아마 사용을 위해 포장되고 또는 멸균 조건에서 여과되며, 동결되고, 동결된 조제물은 투여에 앞서 멸균 수용액과 결합된다.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예를 들어 소디움 아세테이트, 소디움 락테이트, 소디움 클로라이드, 소디움 포스페이트, 포타시움 클로라이드, 칼슘 클로라이드 등과 같은 pH 조절 및 완충 성분, 삼투압 조절 성분 및 그의 유사 성분과 같은 적당한 생리적인 조건을 위해 필요한 부속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리포좀의 농도는 다양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리포좀의 농도는 약 20mg/ml 내지 약 1000mg/ml, 바람직하게는 50-300mg/ml, 더욱 바람직하게는 50-200mg/ml,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100-200mg/ml이다. 분리되고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리포좀의 농도는 약 1-20mg/ml, 20-30mg/ml, 30-40mg/ml, 40-50mg/ml, 50-60mg/ml, 60-70mg/ml, 70-80mg/ml, 80-90mg/ml, 90-100mg/ml, 100-110mg/ml, 110-120mg/ml, 120-130mg/ml, 130-140mg/ml, 140-150mg/ml, 150-160mg/ml, 160-170mg/ml, 170-180mg/ml, 180-190mg/ml, 또는 190-200mg/ml이다. 일정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농도는 약 50mg/ml, 100mg/ml, 150mg/ml, 200mg/ml, 250mg/ml, 또는 300mg/ml이다.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이러한 농도를 특정 환자의 또는 다른 리포좀 조성을 가진치료를 최적화하기 위하여 다양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농도는 치료와 관련된 액 로드(fluid load)를 낮추기 위하여 증가될 수 있다. 이것은 특히 동맥경화증-관련 울혈성 심부전 또는 심한 고혈압을 가진 환자에게 바람직하다. 대안적으로, 자극성(irritating) 지질로 구성된 리포좀은 투여 부위에서 염증을 줄이기 위하여 낮은 농도로 희석될 수 있다.
리포좀은 선택적으로 콜레스테롤 전이 비율 또는 리포좀의 콜레스테롤-운반 능력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다양한 단백질 및 폴리펩타이드와 결합할 수 있다. 리포좀과 아포지질단백의 결합이 특히 유용하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것처럼, "리포좀에 결합된(bound)" 또는 "리포좀에 결합하는(binding)"은 대상 화합물인 공유적 또는 비-공유적으로 리포좀의 표면에 결합하거나, 또는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리포좀의 내부에 포함되는 것을 나타낸다. 아포지질단백 AI, 아포지질단백 AII, 및 아포지질단백 E는 일반적으로 리포좀에 결합하는 가장 유용한 아포지질단백이다. 이러한 아포지질단백은 콜레스테롤의 전이를 촉진하고, 대사을 위하여 간에 콜레스테릴 에스터를 촉진하다. 레시틴-콜레스테롤 아실전이효소(acyltransferase)는 또한 자유 콜레스테롤을 콜레스테릴 에스터로 대사시키는데 유용하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 내의 리포좀은 아포지질단백 AI, 아포지질단백 AII, 및 아포지질단백 E, 및 레시틴-콜레스테롤 아실전이효소의 분자와 단독으로 또는 어떠한 결합 및 몰 비율로 결합할 수 있다. 부가적 단백질 또는 다른 비-단백질 분자는 리포좀 안정성 또는 반감기 및 이와 유사한 것을 촉진하기 위하여 리포좀에 결합하기에 유용하다.이러한 것은 예를 들어 콜레스테롤, 폴리에틸렌 클리콜-연결 인지질 및 강그리오사이드, 스테롤, 알킬설페이트, 암모니움 브로마이드, 알부민, 및 이와 유사체를 포함한다.
특정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사용을 위한 약학적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제제 내로 활성 화합물의 프로세싱을 촉진하는 첨가제 및 부가제를 포함하는 생리적으로 허용 가능한 하나 이상의 운반체를 사용하여 통상적인 방법으로 제제화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그러한 제제는 안정화제 및/또는 항산화제를 포함한다. 적절한 제제는 선택된 투여 경로에 의존한다. 본 발명의 리포좀은 동결건조된 형태, 액상 형태, 동결된 형태 또는 파우더 형태일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리포좀은 파우터 형태, 바람직하게는 동결건조된 형태, 더 바람직하게는 동결된 형태, 및 가장 바람직하게는 액상 형태이다.
특정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리포좀은 주사용 수용액으로, 바람직하게는 Hanks 용액, Ringer 용액, 또는 생리 식염수 완충액과 같은 생리적으로 투여 가능한 완충액으로 제제화될 수 있다. 경피점막 투여(transmucosal administration)에 있어, 침투될 장벽에 적절한 침투제가 제제에 사용된다. 그러한 침투제는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 일반적으로 잘 알려져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국소 또는 경피 제제는 안정화제 및/또는 항산화제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리포좀을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잘 알려진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운반체와 결합함으로써 경구 투여용으로 쉽게 제제화할 수 있다. 그러한 운반체는 본 발명의 화합물을 정제, 필제, 당의정, 캅셀, 젤라틴으로 제조된 푸쉬-핏(push-fit) 캅셀, 젤라틴과 가소제로 제조된 소프트 또는 밀봉 캅셀, 액제, 겔, 시럽, 슬러리, 현탁제 및 이와 유사한 제제로 치료될 환자에 의해 경구 섭취되도록 제제화 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안정화제가 첨가될 수 있다. 경구 투여를 위한 모든 제제는 그러한 투여를 위해 알맞은 투여량이어야 한다.
버칼 투여와 관련된 특정 실시예에서, 조성물은 통상적인 방법으로 제제화된 드랍(drop), 정제 또는 로젠즈(lozenge) 형태일 수 있다. 리포좀은 예를 들어 앞서 설명된 것처럼 볼러스(bolus) 주사 또는 연속 주입와 같은 주사에 의한 비경구 투여를 위해 제제화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화합물은 정맥으로, 근육내로 또는 피하로 연속 주입에 의하여 투여될 수 있다. 주사용 제제는 예를 들어 앰플 또는 다회-투여 컨테이너와 같은 유닛 투여 제형으로 첨가적인 보존제와 함께 존재할 수 있다. 조성물은 유상 또는 수상 비히클(vehicle)인 현탁제제, 용액제 또는 유제의 형태를 가질 수 있고, 현탁화제, 안정화제 및/또는 분산화제와 같은 제제용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리포좀의 현탁은 적절한 유상 주사 현탁제로 제조될 수 있다. 수상 주사 현탁제는 소디움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글리세롤, 소르비톨, 또는 덱스트란과 같은 현탁제의 점성을 증가시키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현탁제는 또한 고 농도 용액의 제조를 위한 리포좀의 용해도를 향상시키는 적절한 안정화제 또는 성분을 함유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활성 성분은 예를 들어 멸균 파이로젠-없는 물과 같은 적절한 비히클로 사용 전에 구성 또는 재구성하는 파우더 또는 동결건조 형태일 수 있다.화합물은 예를 들어 코코아 버터 또는 다른 글리세라이드와 같은 통상적인 좌제 기제를 포함하는 좌제 또는 정체 관장제(retention enema)와 같은 직장 조성물로 제제화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제제에 더하여, 리포좀은 데포 제제로 제제화될 수 있다. 그러한 작용 지속 제제는 이식 (예를 들어 피하 또는 근육 내) 또는 근육 내 주사에 의하여 투여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화합물은 적당한 폴리머릭 또는 소수성 물질 또는 이온 교환 수지로 제제활 될 수 있고, 또는 난용성(sparingly soluble) 유도체로 제제화될 수 있다.
약학적 조성물은 또한 적당한 고형 또는 겔상 운반체 또는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운반체 또는 첨가제의 예는 칼슘 카보네이트, 칼슘 포스페이트, 다양한 슈가류, 전분류, 셀룰로오스 유도체, 젤라틴,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과 같은 폴리머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3. 리포좀을 이용하여 특정 질병 및 다른 신체 질환을 예방, 치료 또는 처리하는 방법
또한, 동맥경화증, 정맥경화증 또는 맥관 또는 혈관의 내부 매질 내에 콜레스테롤 또는 다른 물질을 포함하는 플라크의 축적을 형성하는 혈관 질환을 포함하는 동맥경화증, 급성 관상동맥 증후군, 안정성 협심증, 불안정성 협심증을 포함하는 협심증(angina), 혈관 염증과 피부 염증을 포함하는, 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염증 또는 염증성 질병, 선천성 심부전, 관상동맥 심장병(CHD), 고혈압, 관상동맥 심실 부정맥, 심실주위(surraventricular) 부정맥, 말초 혈관질환, 치명적 심근경색, 비-치명적 심근경색, 심혈관성 허혈, 심장근육 하이버네이션(hybernation), 일시적인 허혈 발병을 포함하는 허혈, 엉덩이 수술, 무릎 수술, 장기 이식 또는 PTCA와 같은 허혈-재관류를 포함하는 심혈관 질환과 관련 없는 허혈, 관상동맥 재관류, 재협착, 수술-주위(PCI) 허혈성 이벤트, 혈관재개통에 대한 감소된 필요, 감소된 경색 영역, 응고 질환, 혈소판 감소증, 심부 정맥 혈전증, 췌장염, 비-알콜성 지방간염(NASH), 당뇨성 신경 장애, 망막증, 통증 당뇨성 신경장애, 건선, 중한 팔 허혈, 파행증, 발기부전, 전립샘 암, 고지혈증, 고지단백혈증, 저알파지단백혈증, 고중성지방혈증, 허혈성 병을 야기하는 협착 질환, I형 및 II형 모두를 포함하는 당뇨병, 어린선, 뇌졸증, 상처입기 쉬운(vulnerable) 플라크, 알쯔하이머 질환, 낮은 팔 궤양, 심한 관상동맥 허혈, 림프종들, 백내장, 혈관내피세포 손상, 황색종들, 말단기관 이상, 혈관 질환, 흡연과 당뇨병에 기인한 혈관 질환, 경동맥 및 관상동맥 질환, 퇴화(regress) 및 수축 형성된 플라크들, 내피 상해를 야기하는 외과 수술들의 병합, 외과 수술의 결과로 야기된 내피세포 상해, 혈관 질환과 관련된 병, 동맥 루멘에 궤양들, 풍선 혈관 성형술의 결과에 기인한 재협착증, 및 상기에 준한 징후들(subindications)을 포함하는, 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다양한 질병 및 신체 질환을 예방, 치료 또는 처리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 및 방법은 HDL 레벨을 증가시키기 위해, 저 HDL 레벨을 증가시키기 위해, LDL 레벨을 감소시키기 위해, 고 LDL 레벨을 감소시키기 위해, 일시적으로 LDD 레벨을 증가시키기 위해, 중성지방 레벨을 감소시키기 위해, 다른 지질의 레벨을 증가 또는 감소시키기 위해, 플라크 안전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또는플라크 파열 가능성을 줄이기 위해, 혈관확장을 증가 또는 감소시키기 위해, 염증을 에방 또는 치료하기 위해, 염증성 질환 또는 염증성 반응을 치료 또는 예방하기 위해, 평활근 및 혈관 내막을 강화 또는 안정화시키기 위해, 간으로의 이동을 위해 세포외 콜레스테롤의 유출(efflux)을 촉진하기 위해, 면역 반응을 조절하기 위해, 동맥경화 플라크로부터 콜레스테롤을 동원하기 위해, 및 조성적(compositional) 및/또는 기능적 변형이 유리한 일정 막, 세포, 조직, 장기, 및 세포외 영역 및/또는 구조를 조절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 및 방법은 또한 국소 적용과 상처 치유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리포좀 조성물을 포유류, 바람직하게는 질병이나 질환을 갖는 인간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데, 이러한 리포좀 조성물은 평균 직경이 100 nm보다 크며, 바람직하게는 100 nm 내지 250 nm, 바람직 하게는 100 nm 내지 140nm, 보다 바람직하게는 110 nm 내지 120 nm인 리포좀을 포함한다. 특정 실시예에서, 대상물에 투여되는 리포좀은 100 내지 110nm, 110 내지 120nm, 120 내지 130nm, 130 내지 140nm, 140 내지 150nm, 150 내지 160nm, 160 내지 170nm, 170 내지 180nm, 180 내지 190nm, 및 190 내지 200nm 사이의 평균 직경을 가진다. 특정 실시예에서, 이용된 리포좀은 제조 후 평균 직경이 100 내지 140nm, 바람직하게는 110 내지 120nm 인 ETC-588(Esperion Therapeutics, Inc.의 상품)이다.
본 방법은 지질 질환과 관련된 상기 확인된 다른 질명과 신체 질환 뿐만 아니라 동맥경화 환부를 치료하는데 특히 유용하다. 하나의 특정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방법은 동맥경화 플라크의 형성이나 확장을 예방적으로 억제하거나 예방하고,동맥경화 플라크의 콜레스테롤 함량을 감소시키고, 및/또는 동맥경화 플라크의 부피와 이에 따라 혈관 내강의 어떤 페쇄도를 감소시킨다. 플라크 부피에 있어서 감소는 일반적으로 적어도 5-30%, 종종 50% 정도, 그리고 일부 예에서는 75% 또는 그 이상이다. 콜레스테롤 함량은 일반적으로 적어도 10 - 30%, 종종 30 - 50% , 일부 예에서는 75 - 85% 정도 또는 그 이상만큼 감소된다. 콜레스테롤은 어떤 직접 유출에 의해 플라크로부터 리포좀 내로 또는 연속적으로 콜레스테롤을 리포좀으로 이동시키는 지질단백질 내로 가동화될 수 있다. 콜레스테롤이 지질단백질로부터 리포좀으로 이동되므로, 지질단백질은 플라크로부터 더 많은 콜레스테롤을 수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콜레스테롤이 지질단백질로부터 수용되는 경우, 콜레스테롤은 HDL로부터 이동된다.
본 방법은 다양한 동물들과 다양한 혈관에 있어서 다른 질병 및 신체 질환들 뿐만 아니라 동맥경화증을 치료하는데 유용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간이 아닌 영장류, 개, 고양이, 설치류, 말, 암소 등이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해 치료될 수 있다고 하더라도, 상기 동물은 인간일 것이다. 대동맥, 경동맥 (보통, 내부 및 외부), 관상동맥, 창자간막동맥, 신장 동맥, 장골 동맥, 오금 동맥 등과 같은 어떠한 혈관의 동맥경화증도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해 치료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콜레스테롤이나 다른 물질을 포함하는 플라크 침착물이 정맥의 내막 또는 내부 배지 내에 형성되는 정맥경화증 또는 어떠한 정맥 질환도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해 치료될 수 있다. 치료되는 인간 환자들은 이전에 치료되지 않았거나 또는 이전에 콜레스테롤과 관련된 질환에 대해 치료받은 적이 있는 유아, 어린이, 청소년, 어른및 노인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또한 외과 수술 전, 그 동안, 또는 그 후에 환자들과 본 명세서에 개시된 특정 질명 또는 신체 질환 및/또는 본 명세서에 개시되지 않은 다른 질병과 질환을 가진 환자들을 치료하는 것을 포함한다. 특정 실시예에서, 본 방법은 동맥경화증, 정맥경화증 또는 맥관 또는 혈관의 내부 매질 내에 콜레스테롤 또는 다른 물질을 포함하는 플라크의 축적을 형성하는 혈관 질환을 포함하는 동맥경화증, 급성 관상동맥 증후군, 안정성 협심증, 불안정성 협심증을 포함하는 협심증(angina), 혈관 염증과 피부 염증을 포함하는, 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염증 또는 염증성 질병, 선천성 심부전, 관상동맥 심장병(CHD), 고혈압, 관상동맥 심실 부정맥, 심실주위(surraventricular) 부정맥, 말초 혈관질환, 치명적 심근경색, 비-치명적 심근경색, 심혈관성 허혈, 심장근육 하이버네이션(hybernation), 일시적인 허혈 발병을 포함하는 허혈, 엉덩이 수술, 무릎 수술, 장기 이식 또는 PTCA와 같은 허혈-재관류를 포함하는 심혈관 질환과 관련 없는 허혈, 관상동맥 재관류, 재협착, 수술-주위(PCI) 허혈성 이벤트, 혈관재개통에 대한 감소된 필요, 감소된 경색 영역, 응고 질환, 혈소판 감소증, 심부 정맥 혈전증, 췌장염, 비-알콜성 지방간염(NASH), 통증 당뇨성 신경 장애, 망막증, 당뇨성 신경장애, 건선, 중한 팔 허혈, 파행증, 발기부전, 전립샘 암, 고지혈증, 고지단백혈증, 저알파지단백혈증, 고중성지방혈증, 허혈성 병을 야기하는 협착 질환, I형 및 II형 모두를 포함하는 당뇨병, 어린선, 뇌졸증, 상처입기 쉬운(vulnerable) 플라크, 알쯔하이머 질환, 낮은 팔 궤양, 심한 관상동맥 허혈, 림프종들, 백내장, 혈관내피세포 손상, 황색종들, 말단기관 이상, 혈관 질환, 흡연과 당뇨병에 기인한 혈관 질환, 경동맥 및 관상동맥 질환, 퇴화(regress) 및 수축 형성된 플라크들, 내피 상해를 야기하는 외과 수술들의 병합, 외과 수술의 결과로 야기된 내피세포 상해, 혈관 질환과 관련된 병, 동맥 루멘에 궤양들, 풍선 혈관 성형술의 결과에 기인한 재협착증, 및 상기에 준한 징후들(subindications)을 포함하는, 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질병을 앓고 있는 환자들에게 본 명세서에 기재된 리포좀 제제를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리포좀 제제는 또한 HDL 레벨을 증가시키기 위해, 저 HDL 레벨을 증가시키기 위해, LDL 레벨을 감소시키기 위해, 고 LDL 레벨을 감소시키기 위해, 일시적으로 LDD 레벨을 증가시키기 위해, 중성지방 레벨을 감소시키기 위해, 다른 지질의 레벨을 증가 또는 감소시키기 위해, 플라크 안전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또는 플라크 파열 가능성을 줄이기 위해, 혈관확장을 증가 또는 감소시키기 위해, 염증을 에방 또는 치료하기 위해, 염증성 질환 또는 염증성 반응을 치료 또는 예방하기 위해, 평활근 및 혈관 내막을 강화 또는 안정화시키기 위해, 간으로의 이동을 위해 세포외 콜레스테롤의 유출(efflux)을 촉진하기 위해, 면역 반응을 조절하기 위해, 동맥경화 플라크로부터 콜레스테롤을 동원하기 위해, 및 조성적(compositional) 및/또는 기능적 변형이 유리한 일정 막, 세포, 조직, 장기, 및 세포외 영역 및/또는 구조를 조절하기 위해 환자들에게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 및 방법은 또한 국소 적용과 상처 치유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또한 특히 침습 혈관 처치로부터 회복중인 환자들에 있어서 재발 또는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한 예방적 치료에 유용하다. 손상된 내피를갖는 혈관부는 동맥경화 플라크을 발달시키는데 위험성이 증가한다. 따라서, 심장 혈관성형술, 혈관 우회로 조성술 및 혈관 내피층을 손상하는 다른 처치들과 같은 침습 혈관 처치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과 병용하여 실행될 수 있다. 침습 처치가 내피 세포층을 손상시키기 때문에, 리포좀은 손상된 부위로부터 콜레스테롤을 제거하고 내피 치유 중 확장의 플라크 형성을 저해하거나 예방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고지질혈증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해 치료될 수 있을 것이다. 리포좀 단독으로 또는 아포지방단백 AI 및 아포지방단백 AII, 아포지방단백 E와 병용하여, 유전학적 또는 2차적 원인으로부터 저알파지방단백혈증, 가족 복합고지질혈증 및 가족 고콜레스테롤혈증을 갖는 개인들에게 투여하는 것은 유용한 치료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투여된 리포좀은 전술한 바와 같이 지질들로 구성될 것이다.지질은 일반적으로 37℃에서 액정 상태에 있다. 또한, 전술한 예와 같이 비록 리포좀이 많은 다른 지질들로 구성될 수 있더라도, 지질은 일반적으로 하나 이상의 인지질, 일부의 경우에는 포스파티딜콜린 또는 포스파티딜글리세롤을 포함할 것이다.
리포좀은 다양한 방법으로 투여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조성물은 경구로 또는 비경구로 투여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조성물은 비경구적으로, 바람직하게는 정맥주사로 투여되거나, 투여는 근육내, 피하, 복막내, 동맥내, 경막내, 림프관을 경유하여, 혈관내로 이루어질 수 있다. 투여는 펌프로 장기간 유치카테터 또는 단기간 장착되는 카테터를 경유하여, 펌프로 정맥주입을 경유하여, 주사기로 정맥주입을 경유하여, 또는 주사기-밀기 투여로 정맥주입을 경유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다른 실시예에서, 투여는 혀밑, 볼, 점막, 국소, 직장, 질 또는 경피일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염증을 예방 또는 치료하거나 상처 치유를 돕기 위하여 투여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리포좀은 정맥내로 투여될 것이다. 종종, 큰 부피 안으로 투여되고 혈관을 흐르는 고 농도 용액을 허용하기 위해서, 리포좀은 상대정맥 또는 하대정맥과 같은 큰 중심 정맥 안으로 투여될 것이다. 리포좀은 고 농도를 직접 손상된 혈관에 전달되도록 혈관 처치 전, 그 동안 또는 그 후에 동맥내로 투여될 수 있다. 리포좀은 또한 개방 처치동안 외과 의사들에 의해 국소 방식으로 직접적으로 혈관에 투여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리포좀은 경구적으로 또는 경피적으로 투여될 수 있다. 또한, 리포좀은 배치 후 장기간 방출을 위해서 혈관 부목내에 포함될 수도 있다. 이것은 관상 동맥내에서 환부의 재협착증의 혈관 성형술 치료에 특히 효과적이다.
특정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리포좀 제제는 약 1-2 ml/min, 2-3 ml/min, 3-4 ml/min, 4-5 ml/min, 5-6 ml/min, 6-7 ml/min, 7-8 ml/min, 8-9 ml/min, 9-10 ml/min, 10-11 ml/min, 11-12 ml/min, 12-13 ml/min, 13-14 ml/min, 14-15 ml/min, 15-16 ml/min, 16-17 ml/min, 17-18 ml/min, 18-19 ml/min, 19-20 ml/min, 20-30 ml/min, 30-40 ml/min, 40-50 ml/min, 50-60 ml/min, 60-70 ml/min, 70-80 ml/min, 80-90 ml/min, 또는 90-100 ml/min의 속도로; 또는 다른 미리 정해진 투여 속도도로 정맥내로, 바람직하게는 주입 펌프를 통하여 투여될 수 있다. 특정 바람직한 실시예서, 본 발명의 리포좀 제제는 주입펌프를 통해서, 주사기 펌프, IV 드립, 및/또는 빠른 드립에 의해 약 10ml/min의 속도로 정맥내에 투여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리포좀 제제는 투석 또는 성분채집술 기계를 통하여 투여될 수 있다.
다른 특정 실시예에서, 정맥내 주입 또는 다른 형태의 투여에 대한 리포좀의 농도는 약 1-10 mg/ml, 10-20 mg/ml, 20-30 mg/ml, 30-40 mg/ml, 40-50 mg/ml, 50-60 mg/ml, 60-70 mg/ml, 70-80 mg/ml, 80-90 mg/ml, 90-100 mg/ml, 100-110 mg/ml, 110-120 mg/ml, 120-130 mg/ml, 130-140 mg/ml, 140-150 mg/ml, 150-160 mg/ml, 160-170 mg/ml, 170-180 mg/ml, 180-190 mg/ml, 190-200 mg/ml, 200-210 mg/ml, 210-220 mg/ml, 220-230 mg/ml, 230-240 mg/ml, 240-250 mg/ml, 250-260 mg/ml, 260-270 mg/ml, 270-280 mg/ml, 280-290 mg/ml, 290-300 mg/ml, 300-310 mg/ml, 310-320 mg/ml, 320-330 mg/ml, 330-340 mg/ml, 340-350 mg/ml, 350-360 mg/ml, 360-370 mg/ml, 370-380 mg/ml, 380-390 mg/ml, 또는 390-400 mg/ml 일 수 있고; 또는 다른 소정의 농도일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정맥내 주입을 위한 리포좀의 농도는 약 200mg/ml이다.
본 발명의 방법은 본 발명의 리포좀 제제를 치료적 또는 예방적으로 전술한 어떤 질병 또는 신체질환 또는 그 외의 질병 또는 신체질환을 갖는 동물들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리포좀의 투여량은 치료를 받을 대상물 또는 환자의 임상 조건 또는 크기에 의해 다양해질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약 20 mg/kg 내지 약 300 mg/kg, 50 mg/kg 내지 약 200 mg/kg, 및/또는 역효과를 피하거나 줄이면서 치료에 효과적인 병든 환자에 의해 허용되는 투여량을 포함한다.
특정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리포좀은 50 mg/kg 내지 300 mg/kg 사이의 일회혹은 분할된 투여량으로 환자에게 투여된다. 별도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리포좀은 100 mg/kg 내지 200 mg/kg 사이, 그리도 더욱 바람직하게는 150 mg/kg 내지 200 mg/kg사이의 일회 또는 분할된 투여량으로 환자에게 투여된다. 다른 더욱 특별한 실시예에서, 소포체 입자는 110 mg/kg 내지 120 mg/kg, 120 mg/kg 내지 130 mg/kg, 130 mg/kg 내지 140 mg/kg, 140 mg/kg 내지 150 mg/kg, 150 mg/kg 내지 160 mg/kg, 160 mg/kg 내지 170 mg/kg, 170 mg/kg 내지 180 mg/kg, 180 mg/kg 내지 190 mg/kg, 또는 190 mg/kg 내지 200 mg/kg 사이의 일회 또는 분할된 투여량으로 환자에게 투여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리포좀은 0-1g, 1-2g, 2-3g, 3-4g,4-5g, 5-6g, 6-7g, 7-8g, 8-9g, 9-10g, 10-11g,11-12g, 12-13g, 13-14g, 14-15g, 15- 16g, 16-17g, 17-18g, 18-19g, 또는 19-20g 사이의 정해진 투여량으로 환자에게 투여된다.
특정 실시예에서, 이러한 투여량(또는 리포좀의 다른 투여량)은 약 하루에 한번, 2일마다 한번, 3일마다 한번, 4일마다 한번, 5일마다 한번, 6일마다 한번, 7일마다 한번, 8일마다 한번, 9일마다 한번, 10일마다 한번, 11일마다 한번, 12일마다 한번, 13일마다 한번, 14일마다 한번, 2-3주마다 한번, 3-4주마다 한번, 4-5주마다 한번, 5-6주마다 한번, 6-7주마다 한번, 7-8주마다 한번, 2-3개월마다 한번, 3-4개월마다 한번, 4-5개월마다 한번, 5-6개월마다 한번, 6-7개월마다 한번, 7-8개월마다 한번, 8-9개월마다 한번, 9-10개월마다 한번, 10-11개월마다 한번, 11-12개월마다 한번, 1-2년마다 한번, 2-3년마다 한번, 3-4년마다 한번, 4-5년마다 한번에 걸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간격으로 일회 또는 분할된 투여량으로 투여되거나; 또는 미리 정해진 치료기간에 대해 미리 정해진 시간 간격에서 다른 방법으로투여된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치료 과정 중 투여량 사이의 시간 간격은 약 일주일에 한번이다.
치료 과정을 위해 바람직한 치료 기간은 처음 투여가 된 때로부터 약 1일, 2일, 3일, 4일, 5일, 6일, 7일, 1 - 2주, 2 - 3주, 3 - 4주, 4 - 5주, 5 - 6주, 6 - 7주, 7 - 8주, 2 - 3개월, 3 - 4개월, 4 - 5개월, 5 - 6개월, 6 - 7개월, 7 - 8개월, 8 - 9개월, 9 - 10개월, 10 - 11개월, 11 - 12개월, 1- 2년, 2- 3년, 3- 4년, 그리고 4- 5년까지 걸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치료 과정은 순환되거나 간헐적일 수 있는데, 여기서 본 발명의 화합물과 제제는 한정된 기간동안 또는 역효과 또는 부작용이 특정 기간(휴식기간) 동안 투여량의 감소 또는 치료의 중단을 정당화할 수 있을 때까지 대상물에게 투여된다. 투여량의 감소, 치료의 중단 또는 휴식기간의 길이는 의사의 판단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그러한 휴식 기간 후, 또는 그러한 역효과나 다른 부작용이 가라앉은 후, 또는 의사의 판단으로, 필요하다면 치료는 재개될 수 있다.
참을성(tolerability), 안전 및 효과(콜레스테롤 수준, 간효소, 특정 결정자 또는 표지자의 혈액수준, 및 생리적 인자를 포함하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는 치료과정 전, 그 동안 또는 그 후 및/또는 간헐적 또는 순환과정의 치료 중 다양한 기간동안 모니터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생리학적 인자, 혈관 변화, 플라크의 안정성, 혈관벽 및 다른 표지자들은 (예를 들면 자기공명 단층촬영(MRI), 혈관내 초음파 및 혈류 기술 등을 포함하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 이미지 기술에 의해 모니터된다. 혈액 표지자는 당업계에 공지된 혈액 테스트에 의해 모니터될 수있다. 그러한 모니터링의 완결 중 또는 그 후에, 치료 섭생은 적절하게 [투여량, 리포좀의 크기나 분포, 투여 속도, 리포좀의 농도, 투여 횟수, 시간 간격 또는 치료기간의 길이를 변경하는 것을 포함한다] 조절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의 리포좀은 다른 약물, 치료학 또는 지질 조절 치료법과 병용하여 환자에게 투여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리포좀은 HMG-CoA 환원효소 억제제(reductase inhibitors), 피브레이트(fibrates), 담즙 산 격리제 (bile acid sequestrants), 니코틴산 및 다른 항-고지질혈증제, 항당뇨병제 및/또는 혈당 조절제, 항-염증제, 항고혈압제, 항-응고제, 아포-AI 유사물 및 Esperion Therapeutics사의 HDL 상승제 HDL, 당업계에 공지된 다른 심장혈관제 및 이들의 조합물과 함께 동시에 투여될 수 있다.
하나의 특정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리포좀은 당뇨병을 앓고 있는 환자들에게 다른 항 당뇨 및/또는 혈당 조절제와 동시에 투여된다. 다른 특정 실시예에서, 리포좀은 염증, 염증 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를 예방, 치료 또는 처리하기 위하여, 또는 염증 반응을 예방하거나 감소시키기 위하여 투여된다. 다른 특정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리포좀은 피부, 피하 또는 국소 염증을 치료하기 위해서 또는 상처 치유를 돕기 위해서 피부에 국부적으로 적용된다. 다른 특정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리포좀은 알츠하이머 병에 의해 괴로워하는 환자를 예방, 처리 또는 치료하기 위하여 환자에게 투여된다. 다른 특정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리포좀은 동맥경화증, 정맥경화증 또는 콜레스테롤이나 다른 물질을 포함하는 플라크의 축적물이 혈관의 내부 또는 내부 배지에 형성되는 다른 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들을 예방, 처리 또는 치료하기 위해 환자에게 투여된다. 다른 특정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리포좀은 비심장혈관 허혈을 포함하는 허혈을 앓고 있는 환자를 예방, 처리 또는 치료하기 위하여 환자에게 투여된다. 다른 특정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리포좀은 엉덩이 수술, 무릎 수슬, 장기이식, PTCA와 같은 허혈 재관류 손상(ischemia reperfusion injury)을 유발할 수 있는 예정 수술 전에 환자를 사전처리하는데 사용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치료 과정을 위한 치료 기간은 14주보다 길지 않다. 다른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리포좀은 치료기간동안 주어진 1-4, 1-8 또는 1-14회 전체 투여량으로, 4-7일 간격으로 5-200 mg/kg부터 투여된다. 다른 특정 실시예에서, 리포좀은 약 4 내지 16주동안, 바람직하게는 약 10주동안(총 10회 치료) 일주일에 한번 5- 200 mg/kg 투여된다.
하나의 특정 실시예에서, 농도가 50-200 mg/ml이고, 평균 직경이 50-250 nm ± 50%, 바람직하게는 100-140 nm ±50%, 보다 바람직하게는 110-120 nm ± 50% 사이인 리포좀은 동맥경화증을 앓고 있는 환자들에게 단독으로 또는 다른 항-경화제와 병용하여 1회 투여량 100 mg/kg으로, 10ml/min 또는 그보다 빠른 속도로 7일에 한번 전체 10회 투여량에 대하여 투여된다.
다른 특정 실시예에서, 농도가 50-200 mg/ml이고, 평균 직경이 50-250 nm ± 50%, 바람직하게는 100-140 nm ±50%, 보다 바람직하게는 110-120 nm ± 50% 사이인 리포좀은 동맥경화증을 앓고 있는 환자들에게 단독으로 또는 다른 항-경화제와 병용하여 1회 투여량 150 mg/kg으로, 10ml/min 또는 그보다 빠른 속도로 7일에 한번 전체 12회 투여량에 대하여 투여된다.
다른 특정 실시예에서, 농도가 50-200 mg/ml이고, 평균 직경이 50-250 nm ± 50%, 바람직하게는 100-140 nm ±50%, 보다 바람직하게는 110-120 nm ± 50% 사이인 리포좀은 동맥경화증을 앓고 있는 환자들에게 단독으로 또는 다른 항-경화제와 병용하여 1회 투여량 200 mg/kg으로, 10ml/min 또는 그보다 빠른 속도로 7일에 한번 전체 14회 투여량에 대하여 투여된다.
다른 특정 실시예에서, 농도가 50-200 mg/ml이고, 평균 직경이 50-250 nm ± 50%, 바람직하게는 100-140 nm ±50%, 보다 바람직하게는 110-120 nm ± 50% 사이인 리포좀은 협심증(angina) 울혈성 심부전, 관상동백 심장병, 고혈압, 또는 부정맥을 앓고 있는 환자들에게 단독으로 또는 다른 심장혈관제와 병용하여 1회 투여량 100 mg/kg으로, 10ml/min 또는 그보다 빠른 속도로 7일에 한번 전체 10회 투여량에 대하여 투여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농도가 50-200 mg/ml이고, 평균 직경이 50-250 nm ± 50%, 바람직하게는 100-140 nm ±50%, 보다 바람직하게는 110-120 nm ± 50% 사이인 리포좀은 협심증(angina) 울혈성 심부전, 관상동맥 심장병, 고혈압, 또는 부정맥을 앓고 있는 환자들에게 단독으로 또는 다른 심장혈관제와 병용하여 1회 투여량 150 mg/kg으로, 10ml/min 또는 그보다 빠른 속도로 7일에 한번 전체 12회 투여량에 대하여 투여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농도가 50-200 mg/ml이고, 평균 직경이 50-250 nm ± 50%, 바람직하게는 100-140 nm ±50%, 보다 바람직하게는 110-120 nm ± 50% 사이인 리포좀은 협심증(angina) 울혈성 심부전, 관상동맥 심장병, 고혈압, 또는 부정맥을앓고 있는 환자들에게 단독으로 또는 다른 심장혈관제와 병용하여 1회 투여량 200 mg/kg으로, 10ml/min 또는 그보다 빠른 속도로 7일에 한번 전체 14회 투여량에 대하여 투여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농도가 50-200 mg/ml이고, 평균 직경이 50-250 nm ± 50%, 바람직하게는 100-140 nm ±50%, 보다 바람직하게는 110-120 nm ± 50% 사이인 리포좀은 염증을 앓고 있는 환자들에게 단독으로 또는 다른 항염증제와 병용하여 1회 투여량 100 mg/kg으로, 10ml/min 또는 그보다 빠른 속도로 7일에 한번 전체 10회 투여량에 대하여 투여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농도가 50-200 mg/ml이고, 평균 직경이 50-250 nm ± 50%, 바람직하게는 100-140 nm ±50%, 보다 바람직하게는 110-120 nm ± 50% 사이인 리포좀은 염증을 앓고 있는 환자들에게 단독으로 또는 다른 항염증제와 병용하여 1회 투여량 150 mg/kg으로, 10ml/min 또는 그보다 빠른 속도로 7일에 한번 전체 12회 투여량에 대하여 투여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농도가 50-200 mg/ml이고, 평균 직경이 50-250 nm ± 50%, 바람직하게는 100-140 nm ±50%, 보다 바람직하게는 110-120 nm ± 50% 사이인 리포좀은 염증을 앓고 있는 환자들에게 단독으로 또는 다른 항염증제와 병용하여 1회 투여량 200 mg/kg으로, 10ml/min 또는 그보다 빠른 속도로 7일에 한번 전체 14회 투여량에 대하여 투여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농도가 50-200 mg/ml이고, 평균 직경이 50-250 nm ± 50%, 바람직하게는 100-140 nm ±50%, 보다 바람직하게는 110-120 nm ± 50% 사이인 리포좀은 허혈을 앓고 있는 환자들에게 단독으로 또는 다른 항허혈제와 병용하여 1회 투여량 100 mg/kg으로, 10ml/min 또는 그보다 빠른 속도로 7일에 한번 전체 10회 투여량에 대하여 투여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농도가 50-200 mg/ml이고, 평균 직경이 50-250 nm ± 50%, 바람직하게는 100-140 nm ±50%, 보다 바람직하게는 110-120 nm ± 50% 사이인 리포좀은 허혈을 앓고 있는 환자들에게 단독으로 또는 다른 항허혈제와 병용하여 1회 투여량 150 mg/kg으로, 10ml/min 또는 그보다 빠른 속도로 7일에 한번 전체 12회 투여량에 대하여 투여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농도가 50-200 mg/ml이고, 평균 직경이 50-250 nm ± 50%, 바람직하게는 100-140 nm ±50%, 보다 바람직하게는 110-120 nm ± 50% 사이인 리포좀은 허혈을 앓고 있는 환자들에게 단독으로 또는 다른 항허혈제와 병용하여 1회 투여량 200 mg/kg으로, 10ml/min 또는 그보다 빠른 속도로 7일에 한번 전체 14회 투여량에 대하여 투여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농도가 50-200 mg/ml이고, 평균 직경이 50-250 nm ± 50%, 바람직하게는 100-140 nm ±50%, 보다 바람직하게는 110-120 nm ± 50% 사이인 리포좀은 고지질혈증, 고지방단백혈증, 저알파지방단백혈증, 고중성지방혈증을 앓고 있는 환자들에게 단독으로 또는 항고지질혈증제, 항고지방단백질혈증제, 항저알파지방단백혈증제 또는 항고중성지방혈증제와 병용하여 1회 투여량 100 mg/kg으로, 10ml/min 또는 그보다 빠른 속도로 7일에 한번 전체 10회 투여량에 대하여 투여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농도가 50-200 mg/ml이고, 평균 직경이 50-250 nm ± 50%, 바람직하게는 100-140 nm ±50%, 보다 바람직하게는 110-120 nm ± 50% 사이인 리포좀은 고지질혈증, 고지방단백혈증, 저알파지방단백혈증, 고중성지방혈증을 앓고 있는 환자들에게 단독으로 또는 항고지질혈증제, 항고지방단백질혈증제, 항저알파지방단백혈증제 또는 항고중성지방혈증제와 병용하여 1회 투여량 150 mg/kg으로, 10ml/min 또는 그보다 빠른 속도로 7일에 한번 전체 12회 투여량에 대하여 투여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농도가 50-200 mg/ml이고, 평균 직경이 50-250 nm ± 50%, 바람직하게는 100-140 nm ±50%, 보다 바람직하게는 110-120 nm ± 50% 사이인 리포좀은 고지질혈증, 고지방단백혈증, 저알파지방단백혈증, 고중성지방혈증을 앓고 있는 환자들에게 단독으로 또는 항고지질혈증제, 항고지방단백질혈증제, 항저알파지방단백혈증제 또는 항고중성지방혈증제와 병용하여 1회 투여량 200 mg/kg으로, 10ml/min 또는 그보다 빠른 속도로 7일에 한번 전체 14회 투여량에 대하여 투여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농도가 50-200 mg/ml이고, 평균 직경이 50-250 nm ± 50%, 바람직하게는 100-140 nm ±50%, 보다 바람직하게는 110-120 nm ± 50% 사이인 리포좀은 심장혈관질환 및 당뇨병을 앓고 있는 환자들에게 단독으로 또는 다른 항당뇨 및/또는 혈당 조절제(glycemic control agent) 및/또는 심장혈관제와 병용하여 1회 투여량 100 mg/kg으로, 10ml/min 또는 그보다 빠른 속도로 7일에 한번 전체 10회 투여량에 대하여 투여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농도가 50-200 mg/ml이고, 평균 직경이 50-250 nm ± 50%, 바람직하게는 100-140 nm ±50%, 보다 바람직하게는 110-120 nm ± 50% 사이인 리포좀은 심장혈관질환 및 당뇨병을 앓고 있는 환자들에게 단독으로 또는 다른 항당뇨 및/또는 혈당 조절제 및/또는 심장혈관제와 병용하여 1회 투여량 150 mg/kg으로, 10ml/min 또는 그보다 빠른 속도로 7일에 한번 전체 12회 투여량에 대하여 투여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농도가 50-200 mg/ml이고, 평균 직경이 50-250 nm ± 50%, 바람직하게는 100-140 nm ±50%, 보다 바람직하게는 110-120 nm ± 50% 사이인 리포좀은 심장혈관질환 및 당뇨병을 앓고 있는 환자들에게 단독으로 또는 다른 항당뇨 및/또는 혈당 조절제 및/또는 심장혈관제와 병용하여 1회 투여량 200 mg/kg으로, 10ml/min 또는 그보다 빠른 속도로 7일에 한번 전체 14회 투여량에 대하여 투여된다.
또한 투여량 섭생은 덩어리(bolus) 투여 또는 유지용량에 따른 프라이머(primer) 용량의 사용을 포함할 수 있는 연속 주입 치료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투여량은 전 치료과정을 통하여 일정할 것이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투여량은 다양할 것이다. 특별한 실시예에서, 리포좀 제제는 단지 한번 투여될 것이고, 다른 실시예에서 여러번의 투여량으로 연속적으로 투여될 것이고, 다른 실시예에서 비연속적인 여러번의 투여량으로 투여될 것이다. 지속시간, 치료계획, 및 투여 섭생은 당업계의 당업자들에게 잘 알려진 방법에 의해 변화될 수 있다. 총 자유 콜레스테롤, 총 에스테르화된 콜레스테롤, HDL 콜레스테롤, LDL 콜레스테롤 및VLDL 콜레스테롤의 혈청 측정은 치료 섭생동안 투여량과 스케줄을 평가하고 수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콜레스테롤이 플라크으로부터 이동되면, 총 혈청콜레스테롤은 상승한다. 총 혈청 콜레스테롤과 HDL 콜레스테롤은 치료 중 상승하고, 에스테르화된 콜레스테롤은 치료 중 감소되는(또는 최소한으로 영향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동물들에 대한 리포좀의 투여량은 일반적으로 인간 무게로 결정된 투여량과 비슷할 것이다. 그러한 조성물과 그러한 방법에 따라 치료된 환자들은 어떠한 연령일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전술한 질병 또는 신체 질환 및 /또는 다른 질병 및 질환을 앓을 수도 있다.
다음의 실시예는 예시로서 제공되는 것이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동맥경화증 환자에서 ETC-588 리포좀의 다회 투여
동맥경화증이 있는 인간 환자에서 ETC-588 리포좀(ETC-588-003 연구)의 다회 투여의 효과를 측정하는 다회 복용에 대한 연구가 실시되었다. ETC-588 리포좀(200 mg/ml)은 주입 펌프를 이용하여 정맥내로 주입되었다. 혈장내에 ETC-588은 인지질(PL)로서 분석되었다. 투여량 그룹은 다음과 같다: 플라시보(7 또는 14 투여량), 50 mg/kg(14 투여량), 100 mg/kg (7 투여량) 또는 200 mg/kg (7 투여량)이 연구되었다. 투여량은 4일 간격(q4d) 또는 7일 간격(q7d)으로 주어졌다. 연구에는 44 내지 76세(평균 63±7세) 사이인 총 42명의 환자(남성 36, 여성 6)가 참여했다. 환자들의 평균 무게는 52.4kg에서 147.7kg의 범위를 갖는 87.7kg±17.0kg이었다. 환자의 평균 기준 HDL-콜레스테롤 레벨은 36±4mg/dL이고, 평균 기준 총 콜레스테롤 레벨은 182±36mg/dL이었다. 추가적으로, 하기 백분율의 환자들은 관상동맥 질환: 98%, 말초 동맥질환: 2%,; 심장동맥 우회술:57%; 안정성 협심증(Stable Angina):29%; 및 불안정성 협심증(Unstable Angina):19%의 심장혈관 역사를 지녔다.
전체 및 에스테르화하지 않은 콜레스테롤(UC) 및 PL은 표준, 자동화된 방법으로 분석되었다. 대상물들은 무작위화 스케쥴에 따라서 치료 그룹으로 할당되었다. 안전성 및 참을성(tolerability), 실험실 데이터, 활력 징후 및 역효과는 매 시간 포인트마다, 그리고 투여전 대비 투여 후 변화에 대해서 기술 통계학을 이용하여 요약되었다. 약동학적 및 약역학적 측정은 기술통계학을 사용하여 요약되었다. 비록 2명의 환자들은 역효과 또는 부작용 이외의 이유로 모든 투여량을 완결하기 전에 철회했을지라도, 연구에 참여한 42명의 환자 중 36명이 실제적으로 약물을 수용했다. 어떠한 역효과(AE)를 나타낸 환자의 수는 총 26명(72%)이었고, 심각한 역효과(SAE)를 나타낸 환자의 수는 총 5명(14%) 였다. 33명의 환자들이 약동학적 및 약역학적 분석(3명의 환자에 대한 불완전한 약동학적 데이터와 함께)에 포함된 반면, 안전성 분석에 포함된 환자의 수는 36명이었다. 내피 기능(혈관구조), 염증 표지자 및 자기 공명 영상(MRI)에 대한 ETC-588의 효과도 또한 측정되었다.
결과는 도 2 및 3에 나타냈다. 결과는 콜레스테롤 가동화가 다양한 효과와 함께 ETC-588의 모든 투여량에 걸쳐서 일어났다는 것을 나타낸다. 다음의 역효과와 심각한 역효과는 각 그룹에 대해 기록되었다:
투여 그룹
역효과 카테고리(AE) 플라시보(n=6) 50mg/kgq7d(n=4) 50mg/kgq4d(n=4) 100mg/kgq7d(n=5) 100mg/kgq4d(n=5) 200mg/kgq7d(n=5) 200mg/kgq4d(n=7)
어떠한 AE 4(66.7%) 4(100%) 2(50%) 5(100%) 3(60.0%) 2(40.0%) 6(85.7%)
어떠한 SAE 0 0 1(25.0%) 0 1(25.0%) 1(20.0%) 2(28.6%)
어떠한 중지된 치료 0 0 0 0 0 0 0
적어도 한번의 역효과를 갖는 환자에 있어서 가장 일반적인 역효과는 아래에 요약된다. 심각한 역효과(방광목 구축, 흉부 통증, 과혈당증 또는 당뇨병의 악화)는 ETC-588의 투여와 무관하도록 치료한 의사에 의해 고려되었다:
역효과(총 발생횟수) 플라시보N=6 50mg/kgN=8 100mg/kgN=10 200mg/kgN=12
두통(23) 2 1 5 4
현기증(6) 1 3 0 0
피로(6) 0 0 2 3
구역(5) 0 2 0 1
혈압 증가(4) 0 2 1 0
흉부 통증(3) 0 1 1 0
결국, ETC-588-003 연구로부터 얻어진 결과는 투여량-의존 방식에서 ETC-588 리포좀이 콜레스테롤을 가동화한다는 것과, 200mg/kg 또는 그 이하의 투여량이 일반적으로 안전하고 잘 견뎌내어진다는 것을 나타낸다. 나아가, 전술한 바와 같이, 7일 투여 간격은 혈청에서 인지질과 에스테르화하지 않은 콜레스테롤의 최적 투명성을 가능하게 하기 때문에, 7일 투여 간격은 ETC-588 리포좀에 대한 4일 투여 간격에 비하여 최적임을 나타낸다. 추가적으로, 역효과와 심각한 역효과가 감소되거나 예방될 수 있기 때문에, 7일 투여 간격은 4일 투여간격에 비하여 최적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표에 나타냈듯이, 200 mg/kg이 7일 간격으로 투여된 경우, 어떠한 역효과의 백분율은 40%였고, 어떠한 심각한 역효과는 20%였다. 이에 비하여, 200 mg/kg이 4일 간격으로 투여된 경우, 어떠한 역효과의 백분율은 85.7%였고, 어떠한 심각한 역효과는 28.6%였다. 마찬가지로, 100 mg/kg이 7일 간격으로 투여된 경우, "어떠한 심각한 역효과"의 백분율은 0%였다. 이에 비하여, 100 mg/kg이 4일 간격으로 투여된 경우, "어떠한 심각한 역효과"의 백분율은 25%였다. 마찬가지로, 50 mg/kg이 7일 간격으로 투여된 경우, "어떠한 심각한 역효과"의 백분율은 0%였다. 그러나, 50 mg/kg이 4일 간격으로 투여된 경우, "어떠한 심각한 역효과"의 백분율은 25%였다.

Claims (61)

  1. 인지질 및 수용층을 포함하는 약 50nm와 200nm사이의 평균 지름을 갖는 리포좀을 일회량 또는 분할량으로 kg 당 50mg 및 300mg 사이로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질병 또는 신체 질환을 예방, 치료 또는 처리(manage)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포좀은 4∼10일 간격으로 kg 당 50mg 및 300mg 사이의 양으로 투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포좀은 약 50nm와 150nm사이의 평균 지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포좀은 약 50nm와 200nm사이의 평균 지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포좀은 약 100nm와 200nm사이의 평균 지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포좀은 약 100nm와 250nm사이의 평균 지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포좀은 약 150nm와 200nm사이의 평균 지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포좀은 약 150nm와 250nm사이의 평균 지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리포좀은 다중상 소포체(vesicle), 큰 단일상 소포체, 작은 단일상 소포체 및 그것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다른 인지질 소포체들과 병용 투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은 대상의 LDL 레벨의 실질적 증가 또는 감소를 야기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은 대상의 LDL 레벨의 실질적 증가 또는 감소를 야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지질은 난(egg) 포스파티딜콜린, 난 포스파티딜글리세롤, 디스테아로일포스파티딜콜린(distearoylphosphatidylcholine) 또는 디스테아로일포스파티딜글리세롤(distearoylphosphatidylglycerol), 포스파티딜콜린, 포스파티딜글리세롤, 레시틴, 베타, 글리코리피드, 감마-디팔미토일-알파-레시틴(gamma-dipalmitoyl-alpha-lecithin), 스핑코마이에린(sphingomyelin), 포스파티딜세린, 포스파티딕산(phosphatidic acid), N- (2, 3-디(9- (Z)-옥타데세닐옥시;octadecenyloxy))-프로프(prop)-1-일(yl)-N, N, N-트리메틸암모니움 클로라이드,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라이조레시틴(lysolecithin), 라이조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lysophosphatidylethanolamine), 포스파티딜이노시톨(phosphatidylinositol), 세파린(cephalin), 카디오리핀(cardiolipin), 세레브로사이드(cerebrosides), 디세틸포스파테이트(dicetylphosphate), 디오레오일포스파티딜콜린(dioleoylphosphatidylcholine),디팔미토일포스파티딜콜린(dipalmitoylphosphatidylcholine), 디팔미토일포스파티딜글리세롤,디오레오일포스파티딜글리세롤, 팔미토일-오레오일-포스파티딜콜린, 디-스테아로일-포스파티딜콜린(di-stearoyl-phosphatidylcholine), 스테아로일-팔미토일-포스파티딜콜린, 디-팔미토일-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디-스테아로일-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디-미르스토일-포스파티딜세린(di-myrstoyl-phosphatidylserine), 디-오레오일-포스파티딜콜린, 오레오일-팔미토일 포스파티딜콜린, 팔미토일오레오일 포스파티딜콜린, 37℃에서 액정상인 지질 및 그것의 혼합물 및 그 유사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지질은 팔미토일-오레오일 포스파티딜콜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질병 및 신체 질환은 동맥경화증, 정맥경화증 또는 맥관 또는 혈관의 내부 매질 내에 콜레스테롤 또는 다른 물질을 포함하는 플라크의 축적을 형성하는 혈관 질환, 급성 관상동맥 증후군, 안정성 협심증, 불안정성 협심증을 포함하는 협심증(angina), 염증, 혈관 염증, 피부 염증, 선천성 심부전, 관상동맥 심장병(CHD), 심실 부정맥, 말초 혈관질환, 심근 경색, 치명적 심근경색의 발병, 비치명적 심근경색, 허혈, 심혈관성 허혈, 일시적인 허혈 발병, 심혈관질환과 관련없는 허혈, 허혈-재관류 상해, 혈관재개통에 대한 감소된 필요, 응고 질환, 혈소판 감소증, 심부 정맥 혈전증,췌장염, 비알콜성 지방간염, 당뇨성 신경 장애, 망막증, 심한 당뇨성 신경장애, 파행증, 건선, 중한 팔 허혈, 발기부전, 고지혈증, 고지단백혈증, 저알파지단백혈증, 고중성지방혈증, 및 허혈성 병을 야기하는 협착 질환, I형 및 II형 모두를 포함하는 당뇨병, 어린선, 뇌졸증, 상처입기 쉬운(vulnerable) 플라크, 알쯔하이머 질환, 낮은 팔 궤양, 심한 관상동맥 허혈, 림프종들, 백내장, 혈관내피세포 손상, 황색종들, 말단기관 이상, 혈관 질환, 흡연과 당뇨병에 기인한 혈관 질환, 경동맥 및 관상동맥 질환, 퇴화(regress) 및 수축 형성된 플라크들, 불안정한 플라크, 약한 혈관 맥관, 불안정한 혈관 맥관, 내피세포 상해, 수술 과정의결과로 내피세포 상해, 혈관 질환과 관련된 병, 동맥 루멘에 궤양들, 풍선 혈관 성형술의 결과에 기인한 재협착증, 및 상기에 준한 징후들(subindications)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치료는 혈관 벽 맥관을 강화하고, 간으로 운반을 위한 세포외 콜레스테롤의 유출을 촉진하고, 면역반응을 조절하고, 동맥경화 플라크들에서 콜레스테롤을 유동화하고, 상처 치유를 돕고, 생체막, 세포, 조직, 기관, 세포외 지역 또는 구조를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의 리포좀은 펩타이드, 파라오소네이즈(paraoxonase), 리포프로테인 리페이즈, 아포(Apo) A-I 및 유사체, A-I의 변이체 및 그것의 혼합물들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화합물과 함께 병용투여되거나 또는 화합물들과 부속적으로 결합되어 투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의 리포좀은 콜레스테롤 레벨에 영향을 주는 소 분자 또는 의약품들과 병용투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소분자는 스타틴, 재조합 HDL, 소 HDL 또는 합성 HDL 지질단백질 입차 유사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의 리포좀은 하나 이상의 심혈관 약제, 항-당뇨제 또는 다른 치료 물질과 병용투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의 심혈관 약제는 소분자들, 스타틴(statins), 아스피린, 크로피도드렐(clopidodrel)를 포함하는 베타-차단제들, 칼슘 차단제들, 낮은 분자량 헤파린을 포함하는 헤파린, 포도당 강하체, 질산염, IIb/IIIa 억제제들, ACE 억제제들, 파이브레이트(fibrates), 및 담즙 산 결합제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의 리포좀은 약 매 7일마다 kg 당 약 50mg 양으로 투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2. 제1항에 있어서, 상기의 리포좀은 약 매 7일마다 kg 당 약 100mg 양으로 투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3. 제1항에 있어서, 상기의 리포좀은 약 매 7일마다 kg 당 약 150mg 양으로 투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4. 제1항에 있어서, 상기의 리포좀은 약 매 7일마다 kg 당 약 200mg 양으로 투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5. 제1항에 있어서, 상기의 리포좀은 매 7일마다 kg 당 약 250mg 양으로 투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6. 제1항에 있어서, 상기의 리포좀은 매 7일마다 kg 당 약 300mg 양으로 투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7. 제1항에 있어서, 상기의 리포좀은 한 번 투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8. 제1항에 있어서, 상기의 리포좀은 4∼7일 간격으로 두 번 투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9. 제1항에 있어서, 상기의 리포좀은 4∼7일 간격으로 세 번 투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0. 제1항에 있어서, 상기의 리포좀은 4∼7일 간격으로 네 번 투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1. 제1항에 있어서, 상기의 리포좀은 4∼7일 간격으로 다섯 번 투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2. 제1항에 있어서, 상기의 리포좀은 4∼7일 간격으로 여섯 번 투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3. 제1항에 있어서, 상기의 리포좀은 4∼7일 간격으로 일곱 번 투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4. 제1항에 있어서, 상기의 리포좀은 4∼7일 간격으로 여덟 번 투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5. 제1항에 있어서, 상기의 리포좀은 4∼7일 간격으로 아홉 번 투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6. 제1항에 있어서, 상기의 리포좀은 4∼7일 간격으로 열 번 투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7. 제1항에 있어서, 상기의 리포좀은 4∼7일 간격으로 열한 번 투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8. 제1항에 있어서, 상기의 리포좀은 4∼7일 간격으로 열두 번 투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9. 제1항에 있어서, 상기의 리포좀은 4∼7일 간격으로 열세 번 투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0. 제1항에 있어서, 상기의 리포좀은 4∼7일 간격으로 열네 번 투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1. 제1항에 있어서, 상기의 리포좀은 일 주 간격으로 2∼14회 투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2. 제1항에 있어서, 상기의 리포좀은 이 주 간격으로 2∼14회 투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3. 제1항에 있어서, 상기의 리포좀은 한 달 간격으로 2∼14회 투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4. 제1항에 있어서, 상기의 리포좀은 두 달 간격으로 2∼14회 투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5. 제1항에 있어서, 상기의 리포좀은 세 달 간격으로 2∼14회 투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6. 제1항에 있어서, 상기의 리포좀은 네 달 간격으로 2∼14회 투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7. 제1항에 있어서, 상기의 리포좀은 다섯 달 간격으로 2∼14회 투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8. 제1항에 있어서, 상기의 리포좀은 여섯 달 간격으로 2∼14회 투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9. 제1항에 있어서, 상기의 리포좀은 일곱 달 간격으로 2∼14회 투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0. 제1항에 있어서, 상기의 리포좀은 여덟 달 간격으로 2∼14회 투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1. 제1항에 있어서, 상기의 리포좀은 아홉 달 간격으로 2∼14회 투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2. 제1항에 있어서, 상기의 리포좀은 열 달 간격으로 2∼14회 투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3. 제1항에 있어서, 상기의 리포좀은 열한 달 간격으로 2∼14회 투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4. 제1항에 있어서, 상기의 리포좀은 3년 간격으로 2∼14회 투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5. 제1항에 있어서, 상기의 리포좀은 4년 간격으로 2∼14회 투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6. 50nm와 250nm사이의 평균 입자크기를 갖는 리포좀을 kg 당 100mg에서 200mg 사이로 그것이 필요한 환자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리포좀 치료와 관련된 부작용을 감소 또는 회피하면서 말초 조직내의 콜레스테롤을 감소시키는 방법.
  57. 리포좀을 매 7일 또는 그 이상일마다 일회량 또는 분할량으로 kg 당 100mg에서 200mg 사이로 그것이 필요한 환자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비정상 콜레스테롤 레벨과 관련된 질병 또는 이상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방법.
  58. 제56항에 있어서, 상기 투여는 매 7일마다 1회 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9. 제56항에 있어서, 상기 투여는 6에서 14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0. 50nm와 250nm사이의 평균 지름을 갖는 리포좀을 매4일 또는 그 이상일마다 kg 당 100mg에서 200mg 사이의 양으로 상기 인간 리포좀에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질환있는 인간에서 콜레스테롤을 감소시키는 방법.
  61. 제59항에 있어서, 상기 리포좀은 하나 이상의 심혈관 약제, 항당뇨 및/또는 글리세믹 조절 약제 및/또는 다른 치료제와 병용되는 것을 더욱 포함하는 방법.
KR10-2004-7015874A 2002-04-05 2003-04-04 질병을 치료 또는 예방하기 위한 조성물 및 일정 크기의리포좀 투여방법 KR2005000998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37040902P 2002-04-05 2002-04-05
US60/370,409 2002-04-05
PCT/US2003/010339 WO2003086351A1 (en) 2002-04-05 2003-04-04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dosing liposomes of certain sizes to treat or prevent diseas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9988A true KR20050009988A (ko) 2005-01-26

Family

ID=292505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5874A KR20050009988A (ko) 2002-04-05 2003-04-04 질병을 치료 또는 예방하기 위한 조성물 및 일정 크기의리포좀 투여방법

Country Status (26)

Country Link
US (2) US20040009216A1 (ko)
EP (1) EP1501482A1 (ko)
JP (1) JP2005527582A (ko)
KR (1) KR20050009988A (ko)
CN (1) CN1655764A (ko)
AP (1) AP2004003157A0 (ko)
AU (1) AU2003230800A1 (ko)
BR (1) BR0309030A (ko)
CA (1) CA2480763A1 (ko)
CR (1) CR7563A (ko)
EA (1) EA007986B1 (ko)
EC (1) ECSP045409A (ko)
HR (1) HRP20040915A2 (ko)
IL (1) IL164370A0 (ko)
IS (1) IS7493A (ko)
MA (1) MA27298A1 (ko)
MX (1) MXPA04009692A (ko)
NO (1) NO20044751L (ko)
NZ (1) NZ535900A (ko)
OA (1) OA12799A (ko)
PL (1) PL372689A1 (ko)
RS (1) RS87704A (ko)
TN (1) TNSN04190A1 (ko)
UA (1) UA80121C2 (ko)
WO (1) WO2003086351A1 (ko)
ZA (1) ZA200407947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8265B1 (ko) * 2005-11-10 2007-10-17 한국화학연구원 혈액내 순환시간을 향상시키기 위한 헤파린이 수식된리포솜 및 이의 제조방법
US8853195B2 (en) 2005-02-28 2014-10-07 Kt & G Corporation Composition for reducing the exudation of serum protein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37270A1 (en) * 2002-10-25 2004-05-06 Vasogen Ireland Limited Cyclooxygenase regulation with pg liposomes
AU2003275850A1 (en) * 2002-10-25 2004-05-13 Vasogen Ireland Limited Cyclooxygenase regulation with ps liposomes
US10517883B2 (en) 2003-06-27 2019-12-31 Zuli Holdings Ltd. Method of treating acute myocardial infarction
CA2533084A1 (en) * 2003-07-21 2005-01-27 Vasogen Ireland Limited Liposomes containing phosphate glycerol groups for treating acute inflammatory condition
US20080260861A1 (en) * 2004-04-07 2008-10-23 The General Hospital Corporation Modulating Lymphatic Function
WO2006083373A2 (en) * 2004-11-23 2006-08-10 Medical College Of Georgia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modulating keratinocyte function
JP4395658B2 (ja) * 2005-11-17 2010-01-13 エムジーファーマ株式会社 コレステロール再上昇抑制用組成物およびその用法
WO2008018932A2 (en) 2006-05-01 2008-02-14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Leland Stanford Junior University Method and use of nano-scale devices for reduction of tissue injury in ischemic and reperfusion injury
EP3578656B1 (en) 2006-05-11 2021-01-06 Alnylam Pharmaceuticals, In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inhibiting expression of the pcsk9 gene
JP2011511004A (ja) * 2008-01-31 2011-04-07 アルナイラム ファーマシューティカル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PCSK9遺伝子を標的とするdsRNAを送達するための最適化された方法
JP6032724B2 (ja) * 2009-03-12 2016-11-30 アルナイラム ファーマシューティカル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Alnylam Pharmaceuticals, Inc. 脂質製剤組成物およびEg5遺伝子とVEGF遺伝子の発現を阻害する方法
JP5769701B2 (ja) 2009-05-05 2015-08-26 テクミラ ファーマシューティカルズ コーポレイションTekmira Pharmaceuticals Corporation 脂質組成物
LT2437726T (lt) * 2009-06-03 2018-09-10 Sequessome Technology Holdings Limited Kompozicijos, skirtos giliųjų audinių skausmo gydymui
AU2010259984B2 (en) * 2009-06-10 2017-03-09 Arbutus Biopharma Corporation Improved lipid formulation
EP2442792A4 (en) * 2009-06-15 2015-12-23 Alnylam Pharmaceuticals Inc DOUBLE STRANDED RNA IN LIPID FORMULATION TARGETING THE PCSK9 GENE
US9051567B2 (en) 2009-06-15 2015-06-09 Tekmira Pharmaceuticals Corporation Methods for increasing efficacy of lipid formulated siRNA
WO2011059262A2 (ko) * 2009-11-13 2011-05-19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사멸세포 표적 펩타이드, 표지물질 및 치료제를 포함하는 리포솜의 아포토시스 관련 질환의 예방, 치료 또는 치료진단을 위한 용도
RU2631597C2 (ru) 2011-07-15 2017-09-25 Нусерт Сайенсиз, Инк. Композиции и способы модулирования метаболических путей
WO2014078459A1 (en) 2012-11-13 2014-05-22 Nusirt Sciences, In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increasing energy metabolism
US9993427B2 (en) 2013-03-14 2018-06-12 Biorest Ltd. Liposome formulation and manufacture
CN104422750B (zh) * 2013-09-05 2016-02-10 中国科学院大连化学物理研究所 一种烟叶中磷脂酰乙醇胺与甘油三酯含量的检测方法
US10251897B2 (en) 2014-01-17 2019-04-09 Nishizaki Bioinformation Research Institute GLUT4 endocytosis inhibitor
CN110279654B (zh) * 2019-07-22 2023-02-03 苏州大学附属第一医院 缓释阿司匹林脂质体水凝胶、制备方法及其在制备治疗复发性腰椎间盘突出症药物中的应用
AU2021392472A1 (en) * 2020-12-04 2023-07-06 Osaka University Cd1d-ligand-compound-containing liposome preparation having improved pharmacokinetics
US11806507B2 (en) 2020-12-22 2023-11-07 Regina E. HERZLINGER Methods, systems, and apparatus for administering an antibody treatment via infusion
WO2022140463A1 (en) * 2020-12-22 2022-06-30 Herzlinger Regina E Methods, systems, and apparatus for administering a monoclonal and/or polyclonal antibody treatment via rapid infusion

Family Cites Families (5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17344A (en) * 1976-06-23 1980-08-12 L'oreal Compositions containing aqueous dispersions of lipid spheres
JPS5348976A (en) * 1976-10-18 1978-05-02 Nippon Zeon Co Ltd Mass transfer apparatus of hollow fiber type
US4186183A (en) * 1978-03-29 1980-01-29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rmy Liposome carriers in chemotherapy of leishmaniasis
US4247393A (en) * 1979-01-11 1981-01-27 Wallace Richard A Hemodialysis assist device
US4261975A (en) * 1979-09-19 1981-04-14 Merck & Co., Inc. Viral liposome particle
DE3276390D1 (en) * 1981-09-10 1987-06-25 Intermedicat Gmbh Method for the selective extracorporeal precipitation of low-density lipoproteins from serum or plasma
US4485054A (en) * 1982-10-04 1984-11-27 Lipoderm Pharmaceuticals Limited Method of encapsulating 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in multilamellar lipid vesicles (MLV)
US4532089A (en) * 1984-01-14 1985-07-30 Northwestern University Method of preparing giant size liposomes
US4663167A (en) * 1984-04-16 1987-05-05 The Board Of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Texas System Composition and method for treatment of disseminated fungal infections in mammals
US4978654A (en) * 1984-04-16 1990-12-18 Board Of Regents, The University Of Texas System Composition and method for treatment of disseminated fungal infections in mammals
US5077056A (en) * 1984-08-08 1991-12-31 The Liposome Company, Inc. Encapsulation of antineoplastic agents in liposomes
US4946787A (en) * 1985-01-07 1990-08-07 Syntex (U.S.A.) Inc. N-(ω,(ω-1)-dialkyloxy)- and N-(ω,(ω-1)-dialkenyloxy)-alk-1-yl-N,N,N-tetrasubstituted ammonium lipids and uses therefor
EP0223831B1 (en) * 1985-05-22 1992-07-15 Liposome Technology, Inc. Liposome inhalation method and system
US4774085A (en) * 1985-07-09 1988-09-27 501 Board of Regents, Univ. of Texas Pharmaceutical administration systems containing a mixture of immunomodulators
US4812314A (en) * 1986-02-24 1989-03-14 Yissum Research & Dev. Co. Of The Hebrew Univ. Of Jerusalem And Hadassah Medical Organization Lipid replacement therapy
US5204112A (en) * 1986-06-16 1993-04-20 The Liposome Company, Inc. Induction of asymmetry in vesicles
US5252263A (en) * 1986-06-16 1993-10-12 The Liposome Company, Inc. Induction of asymmetry in vesicles
US4804539A (en) * 1986-07-28 1989-02-14 Liposome Technology, Inc. Ophthalmic liposomes
US5258499A (en) * 1988-05-16 1993-11-02 Vestar, Inc. Liposome targeting using receptor specific ligands
US5219994A (en) * 1988-11-08 1993-06-15 W. Alton Jones Cell Science Center, Inc. Inhibitor of tissue factor activity
US5015483A (en) * 1989-02-09 1991-05-14 Nabisco Brands, Inc. Liposome composition for the stabilization of oxidizable substances
EP0469082B1 (en) * 1989-04-18 1995-04-05 Vestar, Inc. Liposomal targeting of ischemic tissue
US5225212A (en) * 1989-10-20 1993-07-06 Liposome Technology, Inc. Microreservoir liposome composition and method
US5013556A (en) * 1989-10-20 1991-05-07 Liposome Technology, Inc. Liposomes with enhanced circulation time
DE4018767A1 (de) * 1990-06-12 1991-12-19 Braun Melsungen Ag Wirkstofffreie liposomen zur behandlung von atherosklerose
US5231090A (en) * 1990-07-30 1993-07-27 University Of Miami Treatment for hypercholesterolemia
US5556637A (en) * 1990-08-06 1996-09-17 A. Nattermann & Cie. Gmbh Water containing liposome system
JPH04305879A (ja) * 1990-09-12 1992-10-28 Fuji Electric Co Ltd ディスク記憶装置のヘッド操作用可動体の拘束装置
US5180366A (en) * 1990-10-10 1993-01-19 Woods W T Apparatus and method for angioplasty and for preventing re-stenosis
US5405832A (en) * 1991-11-27 1995-04-11 Immtech International Inc. Method of treating non-streptococcal bacterial infections
US5219888A (en) * 1992-03-31 1993-06-15 American Cyanamid Company Use of retinoids for the treatment of coronary artery disease
US5250060A (en) * 1992-06-26 1993-10-05 Carbo Paul L Angioplasty apparatus
US5637315A (en) * 1993-01-04 1997-06-10 Thomas Jefferson University Treatment of disease states induced by oxidative stress
US5595756A (en) * 1993-12-22 1997-01-21 Inex Pharmaceuticals Corporation Liposomal compositions for enhanced retention of bioactive agents
US6312719B1 (en) * 1994-03-04 2001-11-06 The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Liposome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he treatment of atherosclerosis
US5746223A (en) * 1996-10-11 1998-05-05 Williams; Kevin Jon Method of forcing the reverse transport of cholesterol from a body part to the liver while avoiding harmful disruptions of hepatic cholesterol homeostasis
US6773719B2 (en) * 1994-03-04 2004-08-10 Esperion Luv Development, Inc. Liposomal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ing liposomal compositions to treat dislipidemias
US6139871A (en) * 1995-07-26 2000-10-31 The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Liposome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he treatment of atherosclerosis
US5599306A (en) * 1994-04-01 1997-02-04 Localmed,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external perfusion lumens on balloon catheters
US5622715A (en) * 1994-06-10 1997-04-22 Yissum Research Development Company Of The Hebrew University Of Jerusalem Method of improving renal function
US5753613A (en) * 1994-09-30 1998-05-19 Inex Pharmaceuticals Corporation Compositions for the introduction of polyanionic materials into cells
US5674488A (en) * 1994-10-07 1997-10-07 Reich; John J. Method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hyperchlolesterolemia by in vivo hydrogenation of cholesterol
DE69527212T2 (de) * 1994-11-23 2003-02-20 Kimberly Clark Co Absorbierender artikel mit einem verbundabsorptionskern
US5489611A (en) * 1995-02-10 1996-02-06 Warner-Lambert Company Method for lowering plasma levels of lipoprotein (a)
US5705385A (en) * 1995-06-07 1998-01-06 Inex Pharmaceuticals Corporation Lipid-nucleic acid particles prepared via a hydrophobic lipid-nucleic acid complex intermediate and use for gene transfer
US5741514A (en) * 1995-08-31 1998-04-21 Yissum Research Development Company Of The Hebrew University Of Jerusalem Method for reducing serum lipoprotein(a) concentration
US5736157A (en) * 1995-10-11 1998-04-07 Williams; Kevin Jon Method of regulating cholesterol related genes, enzymes and other compounds,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US5846691A (en) * 1996-07-08 1998-12-08 Polyfibron Technologies, Inc. Composite relief image printing plates and methods for preparing same
US6056973A (en) * 1996-10-11 2000-05-02 Sequus Pharmaceuticals, Inc. Therapeutic liposome composition and method of preparation
US6180660B1 (en) * 1997-08-26 2001-01-30 Merck & Co., Inc. Cholesterol-lowering therapy
US6046166A (en) * 1997-09-29 2000-04-04 Jean-Louis Dasseux Apolipoprotein A-I agonists and their use to treat dyslipidemic disorders
US6037323A (en) * 1997-09-29 2000-03-14 Jean-Louis Dasseux Apolipoprotein A-I agonists and their use to treat dyslipidemic disorders
US6004925A (en) * 1997-09-29 1999-12-21 J. L. Dasseux Apolipoprotein A-I agonists and their use to treat dyslipidemic disorders
US6287590B1 (en) * 1997-10-02 2001-09-11 Esperion Therapeutics, Inc. Peptide/lipid complex formation by co-lyophilization
US6410802B1 (en) * 1999-04-01 2002-06-25 Esperion Therapeutics, Inc. Methods for synthesizing ether compounds and intermediates therefor
CA2373681A1 (en) * 1999-05-14 2000-11-23 Dennis I. Goldberg Pharmaceutical compositions for treating angina and/or anginal equivalents, and kit relating thereto
CA2461702A1 (en) * 2001-09-28 2003-04-03 Esperion Therapeutics,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extrusion of vesicles at high pressur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53195B2 (en) 2005-02-28 2014-10-07 Kt & G Corporation Composition for reducing the exudation of serum proteins
KR100768265B1 (ko) * 2005-11-10 2007-10-17 한국화학연구원 혈액내 순환시간을 향상시키기 위한 헤파린이 수식된리포솜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ZA200407947B (en) 2006-07-26
AU2003230800A1 (en) 2003-10-27
CR7563A (es) 2005-09-20
UA80121C2 (en) 2007-08-27
CA2480763A1 (en) 2003-10-23
HRP20040915A2 (en) 2005-02-28
CN1655764A (zh) 2005-08-17
BR0309030A (pt) 2005-02-01
IS7493A (is) 2004-10-08
PL372689A1 (en) 2005-07-25
US20040009216A1 (en) 2004-01-15
JP2005527582A (ja) 2005-09-15
EP1501482A1 (en) 2005-02-02
TNSN04190A1 (en) 2007-03-12
EA007986B1 (ru) 2007-02-27
AP2004003157A0 (en) 2004-12-31
OA12799A (en) 2006-07-11
EA200401317A1 (ru) 2005-06-30
NZ535900A (en) 2008-08-29
MXPA04009692A (es) 2006-03-08
WO2003086351A1 (en) 2003-10-23
MA27298A1 (fr) 2005-05-02
IL164370A0 (en) 2005-12-18
RS87704A (en) 2006-12-15
US20080213351A1 (en) 2008-09-04
ECSP045409A (es) 2005-03-10
NO20044751L (no) 2004-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50009988A (ko) 질병을 치료 또는 예방하기 위한 조성물 및 일정 크기의리포좀 투여방법
CA2486127C (en) Method of treating dyslipidemic disorders
KR101309440B1 (ko) 옥살리플라틴 리포솜 제제를 함유하는 항종양효과 증강제 및 상기 리포솜 제제를 함유하는 항종양제
JP6535281B2 (ja) 関節炎の処置方法
JP2007269778A (ja) 黄斑変性症及び関連眼状態の治療方法
US20190224124A1 (en) Methods and Kits for Reducing the Susceptibility of Lipoprotein Particles to Atherogenic Aggregation Induced by Arterial-Wall Enzymes
AU2003296335A1 (en) Compositions and methods related to lipid:emodin formulations
JP3804452B2 (ja) 肝炎治療剤
US20070197442A1 (en) Methods for the Treatment of Macular Degeneration and Related Eye Conditions
JP6174995B2 (ja) コレステリルエステルのステロイド産生組織への送達
JP2007224032A (ja) 黄斑変性症及び関連する眼の病気の治療方法
JP2817883B2 (ja) 高度に完全なリポソームおよびその製剤法と用途
US20120157380A1 (en) Pegylated human apoa-1 and process for production thereof
Yukihiro Medical Applications of Phospholipids
KR20100031320A (ko) 혈류 내 순환시간 증가를 위한 단백질로 결합된 리포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768265B1 (ko) 혈액내 순환시간을 향상시키기 위한 헤파린이 수식된리포솜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