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09956A - 신호처리장치와 그 제어방법,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신호처리장치와 그 제어방법,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09956A
KR20050009956A KR1020040055752A KR20040055752A KR20050009956A KR 20050009956 A KR20050009956 A KR 20050009956A KR 1020040055752 A KR1020040055752 A KR 1020040055752A KR 20040055752 A KR20040055752 A KR 20040055752A KR 20050009956 A KR20050009956 A KR 200500099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processing
signal
processing
processing circuit
execu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57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53760B1 (ko
Inventor
요시가하라노리유키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099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99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37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376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2Selection from among a plurality of transforms or standards, e.g. selection between discrete cosine transform [DCT] and sub-band transform or selection between H.263 and H.264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characterised by implementation details or hardware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or decompression, e.g. dedicated software implement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iscrete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iting Of Facsimile Originals (AREA)
  • Image Processing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복수의 신호처리회로와; 복수의 신호처리회로를, 화상데이터의 화소수변환처리를 포함하는 복수의 신호처리를 분담하여 실행하게 하는 프로그램을 기억하고, 복수의 신호처리회로 중 어느 것이 복수의 신호처리의 일부신호처리를 실행하게 하는 것을, 화소수변환처리의 확대율에 따라서 선택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기억된 기억회로로 이루어진 신호처리장치이다.

Description

신호처리장치와 그 제어방법,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SIGNAL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발명의 배경>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신호처리장치와 장치에 대한 제어방법, 프로그램과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신호데코딩처리 등의 신호처리를 적어도 두개의 프로세서로 분담하여 실행하는 기술을 적용하는 경우에 적합하다.
<관련된 기술에 대한 설명>
조립시스템은, 특정한 기능에 적합한 하드웨어 아키텍처와 명령을 구비한, 복수의 프로세서를 이용함으로써, 일련의 처리는 파이프라인방식으로 행하도록 흔히 설계된다. 한편, 각각의 프로세서가, 복수의 상이한 처리에 대하여 멀티태스크 (multi-task) 또는 멀티쓰레드(multi-thread)기구인 경우라도, 비용면을 고려하면서, 태스크 또는 쓰레드의 단위에서 복수의 프로세서 사이에 형성되는 횡단적인 스케줄기구는 거의 없다.
종래기술의 시스템에 있어서, 이러한 멀티태스크 및 복수의 프로세서를 이용하는 파이프라인방법으로 처리를 행하고, 동화상부호화데이터의 데코딩처리를 이하와 같은 방식으로 행한다. 이하, 종래예로서, MPEG2동화상압축방법에 적용되는 데코딩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은 종래기술의 데코딩처리장치의 일구성예에 대하여 도시한다. 먼저, 가변길이데코딩처리에 적합한 프로세서(510)에 있어서, 하프만데코딩수단(500)은 각각의 매크로블록에 입력된 부호화 데이터를 데코드하고, 예측데코딩수단(501)은 DC성분과 운동벡터에 대한 예측데코딩처리를 행한다. 데이터이동수단(502)은, 프로세서(510)로부터 프로세서(511)로 매크로블록마다 데이터를 전송하며, 일반적인 화상처리에 적합하다.
일반적인 화상처리에 적합한 프로세서(511)에서, 데이터는, 양자화처리(503), 역직교처리(504), 이동압축처리(505)를 행하며, 최종데이터를 출력한다.
데코딩처리와 동시에 확장/감축처리를 행하는 방법에 대하여 일반적으로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확장/감축처리에서, 양호한 화질의 화상을 얻을 수 있으며, 데코딩처리가 역직교변환을 행하는 경우, 주파수영역에서 계수를 솎아내어 부가해서 공간영역으로 소망하는 크기로 역직교변환한다. 데코딩후에 해상도변환을 행하는 경우에 비하여, 많은 처리량을 절약할 수 있다.
그러나, 전술한 데코딩시에 확장/감축처리를 도 8에 도시된 데코딩처리장치에 적용한다. 다음,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데코딩처리의 선행단계의 하프만데코딩처리는, 확대율에 관계없이 거의 일정하지만, 데코딩처리의 다음단계인 역직교변환처리 또는 이동보상처리는 확대률에 따라서 변화한다. 구체적으로, 데코딩처리의 선행단계를 행하는 프로세서(510)의 처리는 감축처리시에 증가하고, 데코딩처리의 다음단계를 행하는 프로세서(511)의 처리는 확대처리시에 증가하여, 처리부하의 균형이 열화되어 총처리효율성이 낮아진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의 프로세서 중에서 처리부담의 균형을 향상시키고, 및/또는 각각의 프로세서에 대하여 요구되는 최대처리력을 축소시킬 수 있는 신호처리장치와 장치에 대한 제어방법 및 프로그램과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 1측면에 의하면, 복수의 신호처리회로와; 복수의 신호처리회로를, 화상데이터의 화소수변환처리를 포함하는 복수의 신호처리를 분담하여 실행하게 하는 프로그램을 기억하고, 복수의 신호처리회로 중 어느 것이 복수의 신호처리 중 일부신호처리를 실행하게 되는 것을 화소수변환처리의 확대율에 따라서 선택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기억된 기억회로로 이루어진 신호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에서, 또한,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기억회로는 제 1기억회로와 제 2기억회로 등의 복수의 기억회로로 구성될 수 있다(각각 "서브기억회로"라고 칭한다.). 이런 경우에 있어서, 프로그램은, 각각의 서브기억회로내에 기억된 프로그램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또한, 기억회로 또는 서브기억회로는 신호처리회로의 것과 동일한 반도체기판 위에 집적될 수도 있다. 또한, 기억회로 또는 서브기억회로는 공통밀봉패키지에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기억회로가 복수의 서브기억회로로 구성되는 경우에 있어서, 몇몇의 서브기억회로는 신호처리회로와 함께 집적회로를 구성할 수 있으며, 잔류서브기억회로는, 복수의 신호처리회로로 일체화되지 않는 것 처럼 배열될 수 있다.
여기에서, 예를 들면, 화소수변환 전의 화소수에 대한 화소수변환 후의 화소수의 비로서, 화상수변환처리의 확대율을 결정한다. 이러한 비율은 1이하일 수 있다. 이런 경우에 있어서, 화소수변환 후의 화소수는 변환전의 것보다 작다. 여기에서, 확대율에 의한 선택은 구성에 제한되지 않으며, 비율로서 주어진 값에 따라서 선택이 이루어진다. 예를 들면, 화소수에 대한 변화처리시, 비율 그 자체의 값이 아니라, 솎아내는 처리에 의해 감소되거나 보간처리에 의해 증가되는 화소수를 지시하는 구성을 이용할 수 있다(즉, 이러한 처리의 경우에 있어서 솎아내거나 보간되는 주파수성분의 수를 주파수영역에서 행한다.). 화상의 화소수가 조건에 의거한신호처리의 결과로서 변화하는 경우의 몇몇의 조건에 따라서 선택되는 구성은, 선택이 확대률에 따라서 이루어질 수 있는 식을 적용한다.
또한, 전술한 일부신호처리는 화상데이터의 확대처리에 대하여 실시되는 신호처리의 구성을 적절하게 이용할 수 있다. 여기에서, 복수의 신호처리의 일부신호처리는, 복수의 신호처리에서 하나의 신호처리의 경우이거나, 복수의 신호처리 중 복수의 신호처리일 수 있다. 바꿔말하자면, 실행될 어떠한 신호처리회로를 결정하기 위해 선택되는 신호처리는 단수이거나 복수일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신호처리는 복수의 신호처리의 구성을 적절하게 이용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화상데이터의 확대처리는 복수의 신호처리를 실행함으로써 행한다. 여기에서, 연속적으로 실행될 복수의 신호처리는, 특정한 신호처리 및 신호처리 후(여기에서, "신호처리 후"는 단지 신호처리 직후 뿐만 아니라 복수의 신호처리에 포함되지 않는 다른 신호처리 후도 포함한다)에 신호처리의 결과로서 얻어지는 신호(다른 신호처리를 부가하여 실행하는 결과로서의 신호를 포함)에 대하여 실행되는 신호처리로 구성된다.
또한, 전술한 신호처리장치는, 상기 복수의 신호처리회로는: 제 1신호처리회로와; 신호처리가 제 1신호처리회로에서 실행되는 결과로서 얻어진 신호에 대하여, 복수의 신호처리중 다른 신호처리를 실행하는 제 2신호처리회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그램은, 일부신호처리를, 확대률이 소정값보다 큰 경우에 있어서, 제 1신호처리회로에서 실행하게 되고, 확대률이 소정값 보다 작은 경우에 있어서, 제 2신호처리회로에서 실행하게 되는 구성을 이용할 수 있다.
여기에서, 신호처리를 제 1신호처리에서 실행한 결과로서 얻은 신호는, 제 1신호처리회로로부터의 출력직후 신호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이렇게 얻은 신호는 제 1신호처리회로에서 신호처리를 실행하는 결과로서 얻은 신호에 대하여 다른 처리를 실행한 결과로서 얻은 신호를 또한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복수의 신호처리회로는: 제 1신호처리회로와; 신호처리를 제 1신호처리회로에서 실행한 결과로서 얻은 신호에 대하여 복수의 신호처리중 다른 ㅅ니호처리를 실행하는 제 2신호처리회로로 이루어지며, 상기 프로그램은: 확대률이 소정값보다 큰 경우, 또는 소정값으로 되지 않는 경우에 있어서 제 1신호처리와 제 2신호처리가, 제 1신호처리회로에서 실행되게 하며, 확대율이 소정값 보다 작은 경우, 또는 소정값으로 되지 않는 경우에 있어서, 제 2신호처리에서 실행되게 하며; 확대율이 소정값과 동등한 값인 경우, 제 1신호처리회로에서 제 1신호처리를 실행하게 하며, 제 2신호처리회로에서 제 2신호처리를 실행하게 하는 구성을 적절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신호처리회로는: 제 1신호처리회로와; 신호처리가 제 1신호처리회로에서 실행되는 결과로서 얻은 신호에 복수의 신호처리중 다른 신호처리를 실행하는 제 2신호처리회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그램은: 확대률이 소정값보다 큰 경우에 있어서, 제 1신호처리와 제 2신호처리를, 제 1신호처리회로에서 실행하게 하며, 확대율이 소정값 보다 작은 경우에 있어서, 제 2신호처리에서 실행하게 하며; 확대율이 소정값과 다른 소정값 사이에 있는 경우, 제 1신호처리회로에서 제 1신호처리를 실행하게 하며, 제 2신호처리회로에서 제 2신호처리를 실행하게 하는구성을 적절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신호처리회로는: 제 1신호처리회로와; 신호처리가 제 1신호처리회로에서 실행되는 결과로서 얻은 신호에 복수의 신호처리중 다른 신호처리를 실행하는 제 2신호처리회로로 이루어지며, 상기 프로그램은, 제 2신호처리회로에서 처리될 신호를 제한하기 위한 정보를 설정하는 처리가 실행되는지 여부를 화소수변환처리의 확대율에 따라서 선택하는 구성을 적절하게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제 1신호처리회로와; 신호처리가 제 1신호처리회로에서 실행되는 결과로서 얻어진 신호에 대한 다른 신호처리를 실행하는 제 2신호처리회로와; 제 1 및 제 2신호처리회로를 화상데이터화소수변환처리를 포함하는 복수의 신호처리를 분담하여 실행하게 하는 프로그램용 기억회로로 이루어지며, 상기 프로그램이, 제 2신호처리회로에서 처리될 신호를 제한하기 위한 정보를 설정하는 처리가 실행되는지 여부를 화소수변환처리의 확대율에 따라서 선택할 수 있는 신호처리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복수의 신호처리회로 중 어느 것이, 화상데이터화소수변환처리를 포함하는 복수의 신호처리중에서 일부신호처리를 실행하기 위해 이용되는 것을 화소수변환처리의 확대율에 따라서 설정하는 단계와; 복수의 신호처리회로로 복수의 신호처리를 분담하고 실행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화상데이터용 신호처리방법에서, 상기 일부신호처리는 설정단계에서 설정된 신호처리회로에 의해 실행되는 신호처리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화상데이터의 화소수변환처리를 실행하는신호처리방법은,
제 1신호처리회로에서 소정의 신호처리를 실행하는 단계와;
신호처리가 제 1신호처리회로에서 실행되는 결과로서 얻은 제 2신호처리회로에서의 신호를 처리하는 단계와로 이루어지며,
미리 결정된 신호처리가, 제 2신호처리회로에서 처리될 신호를 제한하기 위한 정보를 설정하는 설정처리를 포함하는지 여부를 화소수변환처리의 확대율에 따라서 선택되는 신호처리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복수의 신호처리회로를, 화상데이터의 화소수변환처리를 포함하는 복수의 신호처리를 분담하여 실행하도록 구성되며, 복수의 신호처리회로 중 어느 것이 복수의 신호처리의 일부신호처리를 실행하기 위해 이용되는 것을 선택하도록 구성되는 화상데이터신호처리용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화상데이터의 화소수변환처리를 실행하는 프로그램으로서, 제 1신호처리회로를 소정의 신호처리를 실행하게 하고, 제 2신호처리회로를, 신호처리가 제 1신호처리회로에서 실행된 결과로서 얻은 신호를 처리하게 하도록 구성되며, 소정의 신호처리가 제 2신호처리회로에서 처리될 신호를 제한하기 위한 정보를 설정하는 설정처리를 포함하는지 여부를 화소수변환처리의 확대율에 따라서 결정하는 화상데이터의 화소수변환처리를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의한 데코딩처리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의한 스위칭수단에 의해 절환처리동작의 조건을 도시하는 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의한 데코딩처리장치내의 처리부하의 균형을 도시하는 그래프.
도 4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의한 데코딩처리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의한 스위칭수단에 의한 절환처리동작에 대한 조건을 도시하는 도.
도 6은 비교예로서 데코딩처리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
도 7a는 비교예의 처리량과 확대율 사이의 관계를 도시하는 그래프.
도 7b는 비교예내의 처리부하의 균형을 도시하는 그래프.
도 8은 종래기술의 데코딩처리장치의 하나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9는 종래기술의 비교예에서 처리량과 확대율 사이의 관계를 도시하는 그래프.
<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02, 302, 502, 502 : 데이터이동수단: 103 : 역직교변환처리
104 : 이동보상처리 105, 305 : 스위칭수단
110, 501 : 예측데코딩수단
111, 310, 313, 320, 602: 예측데코딩처리
112, 314, 321, 604 : 역양자화처리 130 : 제 1프로세서
131 : 제 2프로세서 303 : 역직교변환처리
312 : 현저계수플래그부가처리
330, 331, 510, 511, 610, 611 : 프로세서 500 : 하프만데코딩수단
502 : 데이터이동수단 503 : 양자화처리
504, 605 : 역직교처리 505 : 이동압축처리
601 : 계수솎아내기처리
1301, 1311, 3301, 3311 : 메모리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설명>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 1실시예]
먼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의한 데코딩처리장치에서 처리의 구성에 대하여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하프만데코딩처리, 솎아내기처리, 예측데코딩처리, 역양자화처리, 역직교처리 및 이동보상처리는, 화상데이터를 확장하여 결과적으로 실행될 복수의 신호처리동작으로서 실행된다. 입력될 화상데이터는 주파수범위신호로 변환되는 신호이다. 여기에서,특히, 화상데이터를 입력하며, MPEG2에 의해 압축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제 1실시예는, 복수의 신호처리회로를 구성하는 두개의 신호처리회로로서 제 1프로세서(130)과 제 2프로세서(131)을 이용한다. 이들 프로세서는 서로 개별적으로 패키지된다. 또한, 신호는 제 1프로세서(130)에서의 신호처리가 다른 신호처리를 부가하여 행해진 결과로서 얻은 신호이도록 구성된다. 또한, 구성에 있어서, 제 1프로세서(130)로부터 출력된 신호는, 데이터버스 또는 신호루트로 구성된 데이터이동수단을 통하여 제 2프로세서(131)로 입력된다. 여기 제 1실시예에 있어서, 데이터이동수단은 메모리에 의해 또한 형성되는 구성을 이용한다. 제 1프로세서(130)로부터 출력된 신호는 메모리에 일단 기억된 후, 필수 타이밍에서 판독되며 제 2프로세서로 공급된다.
여기에서, 이용될 제 1프로세서(130)는 제 2프로세서(131)보다 하프만데코딩처리에 대하여 더욱 적합하다. 또한, 제 2프로세서(131)는 역직교처리에 대하여 더욱 적절하며/ 또는, 제 1프로세서(130)보다 이동보상프로세서에 더욱 적절하다.
도 1은, 제 1실시예에 있어서, 제 1프로세서(130)와, 제 2프로세서(131)와 데이터이동수단(102)의 구성개념도에 대하여 도시한다. 도 1은, 각각의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신호처리의 흐름을 도시하는 도이기도 하다.
제 1실시예에서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기억회로는 메모리(1301)등의 서브기억회로이며, 메모리(1311)등의 서브기억회로이다. 메모리(1301)는, 제 1프로세서에 배치되며, 메모리(1311)는 제 2프로세서(131)에 배치된다.
이들 메모리(1301)과 (1311)는 다음의 신호처리를 실행하는 프로그램에 의해 기억된다. 확대율을 표시하는 신호는 각각의 프로세서에 공급되어 이하에서 설명될 신호처리흐름은, 각각의 프로세서를 이러한 신호에 의거한 프로그램에 따라서 동작을 실행하게 함으로써 실현된다. 여기에서, 메모리는, 각각의 프로세서의 패키지에 배치될 필요성은 없지만, 패키지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을 각각 기억하는 메모리는 각각의 프로세서에 대응하여 배치될 필요성은 없지만, 하나의 메모리는 각각의 프로세서를 제어하는 프로그램에 의해 기억될 수 있다. 또한, 여기에서 프로그램은 신호처리회로로서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될 것을 구체화되는 것을 의미한다.
가변길이데코딩처리에 적합한 가변길이데코딩프로세서(130)에 있어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력된 부호화데이터는, 각각의 마이크로블록에 대하여 하프만데코딩처리(100)를 행하며, 외부측으로부터 확대율제어신호가 하나 축소된 경우에 있어서, 솎아내기 처리(101)를 행하여 소망하는 크기로 변환된다.
이 후, 처리는 외부로부터, 이하의 3개의 처리로 확대율제어신호에 의하여 스위칭수단(105)에서 절환된다. 구체적으로, 이들 절환처리는 프로그램에 따른 처리의 결과이다. 각각의 처리의 흐름을 이해하기 위하여, 도 1은, 블록도에서 스위칭수단(105)에 의해 절환될 수 있는 가상의 스위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각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신호처리의 분담은, 확상이 확대되고, 축소되고, 또한 확대하지 않거나 축소되지 않는 경우에 있어서 상이하다. 여기에서, 각각의 경우는, 화소수변환처리 전후의 화소의 비율 S는 확대률 S로서 정의되도록 정의된다. 각각의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처리의 확대률 S에 의해 선택된 상태는 도 2에 도표화된다. 여기에서, 소정값 1 및 확대률 1 보다 크거나 적은 확대률의 경우에 대하여, 각각 설정되며, 프로세서는 두개의 신호처리, 즉, 제 1처리 또는 예측데코딩처리 및 제 2신호처리 또는 역양자회처리를 실행하게 한다. 또한, 하나의 소정값으로서 1. 1과 다른 소정값으로서 0.9를 임의적으로 이용한다. 다음, 1. 1 이상인 확대율인 경우와, 1.1과 0.9 사이 및 0.9 미만인 경우에 대하여, 프로세서는 두개의 신호처리를 실행하게 선택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한쪽의 소정값 또는 다른쪽 소정값과 확대율(S)이 동등한 경우에서, 상부범위 및 하부범위의 한쪽이 포함되는 것을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다. 바꿔말하자면, "확대률이 특정값보다 큰 경우"와 "확대률이 특정값 보다 작은 경우"의 구는, 확대률이 특정값의 큰 범위와 낮은 범위에 속하는 경우를 구체화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프만데코딩처리를 하는 데이터("입력데이터"라고 칭함)가 외부측으로부터의 확대율제어신호에 의해 축소변환처리로 처리되는 경우, 입력데이터가 데이터이동(102)에 공급되는 것 처럼 입력데이터가 공급된다.
입력데이터가 1배변환처리를 행하는 경우, 입력데이터는 DC성분과 운동벡터에 대한 제 1신호처리로서 예측데코딩처리(110)를 행한 다음, 데이터이동수단(102)에 공급된다.
한편, 입력데이터가 확대변환처리를 행하는 경우, 입력데이터는, DC구성성분과 운동벡터에 대한 제 1신호처리로서 예측데코딩처리(111)를 행한다. 외부로부터 확대율제어신호에 따라서, 입력데이터는 외부로부터 확대율제어신호에 의한 제 2신호처리로서 소망하는 역양자화처리를 다음으로 행한 후, 데이터이동수단(102)에 공급된다. 또한 이런 경우에 있어서, 확대변환처리에 대하여 필수적인 보간처리를 예측데코딩처리(111)에서 행한다. 이러한 보간처리는 역양자화처리(112)에서 또한 행할 수 있다.
임의의 처리를 행한 후, 데이터의 이동은, 제 1정보처리수단으로서 가변길이데코딩프로세서(130)로부터 일반적인 화상처리에 적합한 제 2정보처리수단인 화상처리프로세서(131)로 데이터이동수단(102)에 의해 각각의 마이크로블록에 대하여 행한다. 화상처리에 적합한 화상처리프로세서(131)에 있어서, 다음 처리는, 외부로부터 확대율제어신호로 스위칭수단(105)에서 절환된다.
먼저, 입력데이터가 축소변환처리를 행하는 경우에 있어서, DC성분과 이동벡터에 대한 제 1신호처리로서 예측데코딩처리(120)를 행한다. 이어서, 입력데이터는, 확대율에 의하여 외부측으로부터 확대율제어신호로 제 2신호처리로서 소망의 역양자화처리(121)를 행하며, 처리는 역직교변환처리(103)로 전송한다.
한편, 입력데이터가 1배의 변환처리를 행하는 경우, 제 2신호처리인 역양자화처리(122)를 행하며, 처리는 역직교변환처리(103)로 전송한다.
반면에, 입력데이터가 확대변환처리를 행하는 경우, 입력데이터에 실행되는 처리는 없지만, 역직교변환처리(103)를 행하면서 처리가 전송한다.
임의의 전술한 축소변환처리 후에, 1배의 변환처리와 확대변환처리를 행하고, 입력데이터는 외부로부터 확대율제어신호로 확대율에 의한 역직교변환처리를 행한다.
이 후, 이동보상처리(104)는 외부로부터 확대율제어신호로 확대율에 의해 실행한다.
이러한 제 1실시예에 있어서, 전술한 바와 같이, 각각의 프로세서에 의해 유지될 처리의 지정이 확대율에 따라서 변화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신호처리는 분포될 수 있어서, 가변길이데코딩프로세서 (130)(도 3에서 A로 도시되는 바와 같음)와 화상처리프로세서(131)(도 3에서 B로 도시되는 바와 같음)에서 유지되는 부담이 확대율과 상관없이 서로 실질적으로 균등화된다. 결과로서, 복수의 프로세서의 각각에 대하여 요구되는 최대처리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복수의 프로세서를 이용하는 화상처리에서 전체처리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 2실시예]
다음, 이하에서,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제 2실시예에 의한 신호처리장치의 처리구성도이다. 제 1실시예와 같이, 본 실시예는 두개의 신호처리회로로서 두개의 프로세서(330)과 (331)을 이용한다. 이러한 각각의 프로세서는, 메모리(3301)과 (3311)에 기억된 프로그램에 따라서 신호처리를 행한다.
제 1실시예에 있어서, 두개의 프로세서에 대한 신호처리의 분담은 확대율에 따라서 3개의 경우로 분할된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분담은 네개의 경우로 분할된다. 구체적으로, 화소수를 증가시킬 수 있는 경우의 처리흐름처럼, 연속단계에서 프로세서에서 처리될 신호를 제한하기 위하여 정보를 설정하는 처리가 선행단계에서 프로세서에서 실행되는지의 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 설정처리가 선행단계에서 프로세서에서 실행되는 경우에 있어서, 연속단계에서 프로세서가 설정정보에 따라서 특정 신호에 대해 독점적으로 필수적인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실시예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 2실시예에 있어서,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가변길이데코딩처리에 대한 제 1신호처리로서 적합한 가변길이데코딩프로세서(330)는, 각각의 마이크로블록마다 입력된 부호화데이터를 하프만데코딩처리(300)한다. 이후, 외부로부터 확대율제어신호가 솎아내기처리(300)에서 축소되는 경우에 있어서, 입력데이터는 계수솎아내기처리를 하여 소망하는 크기로 변환한다.
이후, 처리는, 외부로부터 확대율제어신호로 스위칭수단(305)에서 이하의 4개의 처리가 절환된다. 확대율(S)에 의하면, 처리는 각각의 조건에 따라서 스위칭수단에 의해 절환된다. 각각의 프로세서(330) 및 (331)에서 실행될 처리가 선택된 상태에 대하여 도 5에서 도시한다.
축소변환처리가 하프만데코딩처리가 행해지는 데이터(또는 입력데이터)에서 실행되는 경우에, 외부로부터 확대율제어신호에 따라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력데이터는 신호처리를 행하지 않고 이동수단(302)에 공급된다. 데이터이동수단 (302)의 구성은 제 1실시에에서 이용되는 데이터이동수단(102)의 것과 동일하다.
한편, 입력데이터가 하나의 타입의 변환처리를 행하는 경우에 있어서, 예측데코딩처리(310)는 DC성분과 운동벡터에 대한 제 1신호처리로서 실행된다. 이후, 입력데이터는 데이터이동수단(302)에 공급된다.
한편, 1배 이상과 1.5이하(1 < S ≤ 1.5) 등의 소정 배수의 확대율(S)의 확대변환처리가 입력데이터에 대해 실행될 경우, 예측데코딩처리(311)는 DC구성성분과 운동벡터에 대한 제 1신호처리로서 실행된다. 다음에, 입력데이터는 외부로부터 확대율제어신호로 제 3신호처리로서 현저계수플래그부가처리(312)를 행하여, 플래그는 입력데이터의 현저계수를 설정한다. 여기에서, 현저계수플래그부가처리(312)에서, 플래그는 데이터에서 현저계수를 설정하고, 하프만데코딩처리(300)와 예측데코딩처리(311)을 행한다. 이 후, 입력데이터를 데이터이동수단(302)에 공급한다. 여기, 예측데코딩처리(311)에서, 확대변환처리에 대하여 필수적인 보간처리를 함께 행한다.
한편, 1.5배이상(1.5 < S)의 확대율(S)의 확대변환처리가 입력데이터에 대해 실행되는 경우, 예측데코딩처리(313)를 DC구성성분과 운동벡터에 대한 제 1신호처리로서 실행한다. 이어서, 외부로부터 확대율제어신호를 가진 제 2신호처리로서, 입력데이터는 확대율에 의한 소망의 역양자화처리(314)를 행한 다음, 데이터이동수단(302)에 공급된다.
여기에서, 데이터를 확대변환처리행하면, 예측데코딩처리(313)에서, 확대변환처리에 대하여 필수적인 보간처리를 함께 행한다. 이러한 보간처리는 역양자화처리(314)에서 행할 수도 있다.
이후, 데이터는 제 2정보처리수단인 화상처리프로세서(331)에 마이크로블록마다 공급된다. 일반적인 화상처리에 적합한 이러한 화상처리프로세서(331)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확대율제어신호에 따라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위칭수단 (305)에 의해 다음의 4개 처리로 처리가 절환된다.
구체적으로, 입력데이터가 감축변환처리를 행하는 경우, 그들은 DC구성성분과 운동벡터에 대한 제 1신호처리로서 예측데코딩처리(320)를 행한다. 이 후, 입력데이터는, 외부로부터 확대율제어신호를 가진 확대율에 따라서 소망의 역양자화처리(321)를 행하며, 처리는 역직교변환처리(303)로 이동한다.
한편, 입력데이터가 1배변환처리를 행하는 경우, 입력데이터, 그 자체가 역양자화처리(322)를 행하면서, 처리를 역직교처리(303)로 전송한다.
한편, 1배이상 및 1.5이하(1 < S ≤1.5)의 확대율(S)의 확대변환처리가 입력데이터에 대하여 행하는 경우에 있어서, 제 4신호처리로서 현저계수에 대한 제 2신호처리, 즉, 현저계수역양자화처리(323)은, 오로지 현저계수에 대하여, 외부로부터, 확대율제어신호에 의해 입력데이터에 대해 실행하고, 플래그는 전술한 현저계수플래그부가처리(312)에 의해 부가된 다음, 처리를 역직교처리(303)로 전송한다. 화소수를 증가시키는 경우의 처리에서, 후단계의 프로세서상의 처리부담은 화소수증가에 따라서 증가한다. 그러나, 제 1프로세서(330)에서 화소수를 확장시키는 보간처리의 실행에 따라서, 후단계의 프로세서인 제 2프로세서(331)에서 신호처리대상을 제한하는 정보를 설정하는 처리, 즉, 현저플래그를 부가하는 처리를 선단계의 프로세서인 제 1프로세서(330)에서 실행하여, 화소수를 증가시키는 처리를 행하지만, 후단계의 프로세서상의 부담의 증가는 억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현저계수플래그(즉, 현저주파수구성성분인 정보지시, 본 실시예에서는 주파수영역의 신호를 취급하기 때문임(즉, 각각의 주파수성분의 계수로 이루어진 신호군))는, 선단계에서 프로세서(330)에 의한 설정을 제 2프로세서(331)에 의해 칭해지면서, 비현저신호에 대한 제 2프로세서(331)의 처리를 축소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신호처리대상을 제한하는 정보는, 특정신호가 현저하다고 표시하는 정보이거나 특정신호가 비현저하다고 지시하는 정보일 수 있다. 한편, 1.5배(1.5 ≤ S)이상인 소정배수 이상인 확대율의 확대변환처리가 입력데이터에 대해 실행하는 경우, 입력데이터는 어떠한 처리를 행하지 않지만 역직교처리(33)에 공급된다.
전술한 4개의 처리중 어떠한 것을 입력데이터에 실행한 후, 처리는 역직교처리(303)로 전송한다. 확대율에 의한 역직교처리(303)는 외부로부터 확대율제어신호를 가진 입력데이터에 대해 실행한다. 이후, 입력데이터는 외부로부터 확대율제어신호를 가진 확대율에 의해 이동보상처리(304)를 행하여 최종출력을 생성한다.
이러한 제 2실시예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각각의 프로세서에 의해 유지된처리를 확대율에 의해 변경함으로써 각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신호처리를 분포한다. 그러므로, 확대율과 상관없이, 가변길이데코딩프로세서(330)와 화상처리프로세서(331)의 처리에 의해 유지될 부담을 실질적으로 동등하게 할 수 있다. 그러므로, 각각의 복수의 프로세서에 대하여 요규되는 최대처리력을 축소시킬 수 있으며 복수의 프로세서를 이용하는 화상처리에서 전체처리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화소수를 증가시키는 신호처리의 경우에 있어서, 다음처리의 프로세서가 실행될 신호처리의 대상을 제한하기 위하여 정보를 설정하는 신호처리를 선단계에서 프로세서에 의해 행한다. 그러므로, 각각의 프로세서 사이의 처리부담의 균형을 향상시키고 적응성이 높은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비교예]
다음, 이하에서, 제 2실시예에 의한 데코딩처리장치에 대한 비교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비교예의 구성에 대하여 도 6에 도시한다.
먼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력된 부호화데이터는 각각의 마이크로블록마다, 가변길이데코딩처리에 적합한 프로세서(610)에서 하프만데코딩처리(600)를 행한다. 다음, 확대율제어신호를 축소하는 경우, 계수솎아내기처리(601)를 행하여 입력데이터를 소망하는 크기로 변환한다.
다음, 예측데코딩처리(602)를 DC성분과 운동벡터에 대하여 실행하고, 데이터를 프로세서(610)으로부터 일반적인 화상처리에 적합한 프로세서(611)로 각각의 마이크로블록마다 공급된다.
일반적인 화상처리에 적합한 프로세서(611)에 있어서, 확대율에 의한 역양자화처리(604)는 외부로부터 확대율제어신호에 의해 실행된다. 이어서, 입력데이터는 외부로부터 확대율제어신호에 의거한 확대율에 의한 역직교처리(605)을 행한다. 외부로부터 확대율제어신호에 의거한 확대율에 따라서, 이동보상처리(606)는 입력데이터에 대하여 실행하여 최종출력을 생성한다.
비교예에 의한 데코딩처리장치의 프로세서가 처리를 이렇게 구성되는 경우, 그들은 처리를 확대하고 축소하는 기능을 구비하여 각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처리를 고정한다.
그러므로, 도 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로세서(611)에 의한 것 보다 축소시에 데코딩처리의 선단계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세서(610)(도 7a에서 A로 도시함)에 의해 더욱 많은 처리를 실행한다. 확대변환처리시에, 데코딩처리의 다음단계를 실행하는 프로세서(611)(도 7a에서의 A로 도시함)에 의하여 더욱 많은 처리를 실행한다. 또한,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처리부담의 균형이 악화되어 전체 처리효율성을 저감시킨다. 특히 축소시에, 처리량은 1배확대시의 경우의 것과 종합적으로 동일하게 한다.
이것에 대하여, 제 1 및 제 2실시예에 의한 전술한 데코딩처리장치는, 그들의 각각의 블록에 의해 실행될 기능블록을 확대율에 의해 변경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므로, 확대율에 상관없이, 각각의 프로세서에 대한 처리부담의 균형을 만족스럽게 유지하여 전체처리효율성을 매우 양호하게 유지한다. 그러므로, 고속의 데코딩처리를 실현함으로써 각각의 프로세서에 대하여 요구되는 최대처리력을 축소시킬수 있다.
여기에서, 메모리(1301), (1311), (3301) 및 (3311)에 기억된 프로그램은, 각각의 메모리(1301), (1311), (3301) 및 (3311)에서, 개인용 컴퓨터 등을 이용하여 작성된 프로그램을 기입함으로써 작성될 수 있다. 또한, 외부에서 작성된 프로그램은 기억매체에 기억될 수 있으며, 각각의 메모리(1301), (1311), (3301) 및 (3311)에 기록매체를 통하여 공급된다.
프로그램을 공급하는 기억매체는 플렉시블디스크, 하드디스크, 광디스크, 자기광디스크, DC-ROM, CD-R, DVD, DVD±R, DVD-RAM, 자기테이프, 비활성메모리카드 및 ROM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신호처리회로를 이용해서 신호처리를 적합하게 실행할 수 있다.

Claims (19)

  1. 복수의 신호처리회로와;
    복수의 신호처리회로를, 화상데이터의 화소수변환처리를 포함하는 복수의 신호처리를 분담해서 실행하게 하고, 상기 복수의 신호처리회로 중 어느 것이 상기 복수의 신호처리 중 일부신호처리를 실행하게 하는 것을 상기 화소수변환처리의 확대율에 따라서 선택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기억된 기억회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처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일부신호처리는 화상데이터를 확장하기 위해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처리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신호처리는 연속적으로 실행되어 화상데이터를 확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처리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신호처리회로는,
    제 1신호처리회로와;
    신호처리가 상기 제 1신호처리회로에서 행해진 결과로서 얻어진 신호에 대해서, 상기 복수의 신호처리중 다른 신호처리를 실행하는 제 2신호처리회로로 이루어지며,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확대율이 소정값보다 큰 경우에 있어서, 상기 일부신호처리를, 상기 제 1신호처리회로에서 실행하게 할 수 있으며, 상기 확대율이 상기소정값보다 작은 경우에 있어서, 상기 일부신호처리를, 상기 제 2신호처리회로에서 실행하게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처리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신호처리회로는,
    제 1신호처리회로와;
    신호처리가 상기 제 1신호처리회로에서 실행된 결과로서 얻은 신호에 대해서, 상기 복수의 신호처리중 다른 신호처리를 행하는 제 2신호처리회로로 이루어지며,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제 1신호처리와 상기 제 2신호처리를,
    상기 확대율이 소정값 보다 큰 경우, 또는 소정값으로 되지 않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제 1신호처리회로에서, 실행하게 할 수 있으며,
    상기 확대율이 소정값 보다 작은 경우, 또는 소정값으로 되지 않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제 2신호처리회로에서, 실행하게 할 수 있으며;
    상기 확대율이 상기 소정값과 동등한 값인 경우, 상기 제 1신호처리회로에서상기 제 1신호처리와 상기 제 2신호처리회로에서 상기 제 2신호처리를 실행하게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처리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신호처리회로는,
    제 1신호처리회로와;
    신호처리가 상기 제 1신호처리회로에서 실행된 결과로서 얻은 신호에 대해서, 상기 복수의 신호처리중 다른 신호처리를 실행하는 제 2신호처리회로로 이루어지며,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제 1신호처리와 상기 제 2신호처리를,
    상기 확대율이 소정값 보다 큰 경우에 있어서, 상기 제 1신호처리회로에서, 실행하게 할 수 있으며,
    상기 확대율이 상기 소정값 보다 작은 다른 소정값보다도 작은 경우에 있어서, 상기 제 2신호처리회로에서, 실행하게 할 수 있으며;
    상기 확대율이 상기 소정값과 상기 다른 소정값 사이의 값을 취하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제 1신호처리회로에서 상기 제 1신호처리와 상기 제 2신호처리회로에서 상기 제 2신호처리를 실행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처리장치.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일부신호처리는 예측데코딩처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처리장치.
  8.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일부신호처리는 역양자화처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처리장치.
  9.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신호처리가 예측데코딩처리인 반면에, 상기 제 2신호처리는 역양자화처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처리장치.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신호처리는 예측데코딩처리인 반면에, 상기 제 2신호처리는 역양자화처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처리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신호처리회로는,
    제 1신호처리회로와;
    신호처리가 상기 제 1신호처리회로에서 실행된 결과로서 얻은 신호에 대해서, 상기 복수의 신호처리중 다른 신호처리를 실행하는 제 2신호처리회로로 이루어지며,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제 2신호처리회로에서 처리될 신호를 제한하기 위해 정보를 설정하는 처리가 실행되는지 아닌지를 상기 화소수변환처리의 확대율에 따라서 선택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처리장치.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신호처리는, 주파수영역신호로 변환된 화상데이터상에서 실행될 신호처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처리장치.
  13. 신호처리장치는,
    제 1신호처리회로와;
    신호처리가 상기 제 1신호처리회로에서 실행된 결과로서 얻은 신호에 대해서, 다른 신호처리를 실행하는 제 2신호처리회로와;
    상기 제 1 및 제 2신호처리회로를, 화상데이터화소수변환처리를 포함하는 복수의 신호처리를 실행하게 하는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기억회로로 이루어지며,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제 2신호처리회로에서 처리될 신호를 제한하기 위해 정보를 설정하는 처리가 실행되는지 여부를 상기 화소수변환처리의 확대율에 따라서 선택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처리장치.
  14. 화상데이터를 위한 신호처리방법은,
    복수의 신호처리회로중의 어느 것이, 실행될 화상데이터화소수변환처리를 포함하는 복수의 신호처리중의 일부신호처리를 실행하기 위해 이용되는 것을 상기 화소수변환처리의 확대율에 따라서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의 신호처리회로로 상기 복수의 신호처리를 분담하여 실행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며,
    상기 일부신호처리는 상기 설정단계에서 설정된 상기 신호처리회로에 의해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처리방법.
  15. 화상데이터의 화소수변환처리를 실행하는 신호처리방법은,
    제 1신호처리회로에서 소정의 신호처리를 행하는 단계와;
    신호처리가 상기 제 1신호처리회로에서 실행된 결과로서 얻어진 제 2신호처리회로에서 신호를 처리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며,
    상기 소정의 신호처리가 상기 제 2신호처리회로에서 처리될 신호를 제한하기 위해 정보를 설정하는 설정처리를 포함하는지의 여부를 상기 화소수변환처리의 확대율에 따라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처리방법.
  16. 신호처리화상데이터를 위한 프로그램으로서,
    복수의 신호처리회로를, 화상데이터의 화소수변환처리를 포함하는 복수의 신호처리를 분담하여 실행하게 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복수의 신호처리회로의 어느 것이, 상기 복수의 신호처리중 일부신호처리를 실행하기 위해 이용되는 것을 선택하기 위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17. 화상데이터의 화소수변환처리를 실행하는 프로그램은,
    제 1신호처리회로를 소정의 신호처리 실행하게 하고, 제 2신호처리회로를, 신호처리가 상기 제 1신호처리회로에서 실행된 결과로서 얻은 신호를 처리하게 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소정의 신호처리는, 상기 제 2신호처리회로에서 처리될 신호를 제한하기 위한 정보를 설정하는 설정처리를 포함하는지 여부를 상기 화소수변환처리의 확대률에 따라서 선택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18. 기록매체는,
    제 16항에 기재된 프로그램에 의해 기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19. 기록매체는,
    제 17항에 기재된 프로그램에 의해 기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KR20040055752A 2003-07-18 2004-07-16 신호처리장치와 그 제어방법,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KR1006537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277075 2003-07-18
JPJP-P-2003-00277075 2003-07-18
JP2004202347A JP2005057738A (ja) 2003-07-18 2004-07-08 信号処理装置、信号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JP-P-2004-00202347 2004-07-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9956A true KR20050009956A (ko) 2005-01-26
KR100653760B1 KR100653760B1 (ko) 2006-12-05

Family

ID=334790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40055752A KR100653760B1 (ko) 2003-07-18 2004-07-16 신호처리장치와 그 제어방법,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50013495A1 (ko)
EP (1) EP1499132A3 (ko)
JP (1) JP2005057738A (ko)
KR (1) KR100653760B1 (ko)
CN (1) CN1309243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499135A3 (en) * 2003-07-18 2006-04-12 Canon Kabushiki Kaisha Digital data multiplexing and demultiplexing
JP2006085233A (ja) * 2004-09-14 2006-03-30 Noritsu Koki Co Ltd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JP4384607B2 (ja) * 2005-01-25 2009-12-16 株式会社日立国際電気 画像処理装置
JP2008533885A (ja) * 2005-03-15 2008-08-21 ネロ アーゲー 画像データストリームを生成する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ならびに画像データストリームを処理する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JP4769477B2 (ja) * 2005-04-21 2011-09-07 キヤノン株式会社 符号化データ変換方法および符号化データ変換装置
US8705617B2 (en) 2005-09-27 2014-04-22 Qualcomm Incorporated Multiple layer video encoding
CN100420265C (zh) * 2006-11-09 2008-09-17 北京中星微电子有限公司 图像后处理装置及方法
WO2010150465A1 (ja) * 2009-06-25 2010-12-2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AV(Audio Visual)データ再生回路、AVデータ再生装置、集積回路およびAVデータ再生方法
US9223621B1 (en) 2013-01-25 2015-12-29 Amazon Technologies, Inc. Organizing content using pipelines
US8813245B1 (en) 2013-01-25 2014-08-19 Amazon Technologies, Inc. Securing content using pipelines
US9183049B1 (en) * 2013-01-25 2015-11-10 Amazon Technologies, Inc. Processing content using pipelines
WO2021124848A1 (ja) * 2019-12-17 2021-06-24 ソニーグループ株式会社 信号処理装置と信号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66637A (en) * 1987-10-30 1989-09-1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ipelined lighting model processing system for a graphics workstation's shading function
CA2067576C (en) * 1991-07-10 1998-04-14 Jimmie D. Edrington Dynamic load balancing for a multiprocessor pipeline
US5608459A (en) * 1993-08-13 1997-03-04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Video data decoder having motion compensation and image memory circuitry on single substrate
US5673413A (en) * 1995-12-15 1997-09-3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oherency reporting in a multiprocessing system
KR100280285B1 (ko) * 1996-08-19 2001-02-01 윤종용 멀티미디어 신호에 적합한 멀티미디어 프로세서
JP4034380B2 (ja) * 1996-10-31 2008-01-16 株式会社東芝 画像符号化/復号化方法及び装置
US6549577B2 (en) * 1997-09-26 2003-04-15 Sarnoff Corporation Computational resource allocation in an information stream decoder
JPH11308574A (ja) * 1998-04-22 1999-11-05 Sony Corp 走査線数変換装置及び方法
JP2000013609A (ja) 1998-06-23 2000-01-14 Fujitsu Ltd 符号化装置
JP2000032467A (ja) 1998-07-09 2000-01-28 Sony Corp 画像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提供媒体
US6725341B1 (en) * 2000-06-28 2004-04-20 Intel Corporation Cache line pre-load and pre-own based on cache coherence speculation
US6704362B2 (en) * 2001-07-06 2004-03-09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Resource scalable decoding
US6983017B2 (en) * 2001-08-20 2006-01-03 Broadcom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reduced memory mode for high-definition television
JP2003209807A (ja) * 2002-01-10 2003-07-25 Canon Inc 動画再生方法及び装置
JP2003271572A (ja) * 2002-03-14 2003-09-26 Fuji Photo Film Co Ltd 処理分散制御装置、分散処理システム、処理分散制御プログラム、処理分散制御方法
EP1499135A3 (en) * 2003-07-18 2006-04-12 Canon Kabushiki Kaisha Digital data multiplexing and demultiplex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53760B1 (ko) 2006-12-05
US20050013495A1 (en) 2005-01-20
CN1578401A (zh) 2005-02-09
CN1309243C (zh) 2007-04-04
EP1499132A3 (en) 2006-04-19
EP1499132A2 (en) 2005-01-19
JP2005057738A (ja) 2005-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43948B2 (en) Scalable multi-thread video decoding
KR100502586B1 (ko) 처리효율을높인영상음성처리장치
US6782368B2 (en) Media processing apparatus that operates at high efficiency
KR100401087B1 (ko) 여러종류의부호신호를복호하는복호장치
US8320448B2 (en) Encoder with multiple re-entry and exit points
KR100653760B1 (ko) 신호처리장치와 그 제어방법,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JP2010081182A (ja) 画像処理装置
KR20060131725A (ko) 영상 부호화 장치, 영상 부호화 제어 방법 및 영상 부호화제어 프로그램
US6597810B1 (en) Image processor
KR20030011345A (ko) 선택적 움직임 보상을 위한 스케일 가능한 mpeg-2비디오 디코더
JP4675383B2 (ja) 画像復号化装置および方法、画像符号化装置
JPH10108199A (ja) 画像符号化装置
US20080273805A1 (en) Semiconductor device and an image processor
JP4868776B2 (ja) 画像処理装置
JPH1196138A (ja) 逆コサイン変換方法及び逆コサイン変換器
JPH1155668A (ja) 画像符号化装置
US6668087B1 (en) Filter arithmetic device
US20030123555A1 (en) Video decoding system and memory interface apparatus
US7606996B2 (en) Array type operation device
US20060008163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JP2002232884A (ja) 画像符号化装置及び画像符号化方法
JP4476032B2 (ja) 画像圧縮装置、画像伸張装置、及び画像処理装置
JP2008532405A (ja) Mpegデコーダのための適応型フォールバックシステム
JPH11275575A (ja) 画像復号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提供媒体
JPH066785A (ja) 動画像復号化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5

Year of fee payment: 12